29
283 영어교육 6542010겨울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 이병천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CE)) Lee, Byeong-Cheon. (2010). A study on improving the EFL instructor selection process for the secondary school system in Korea. English Teaching, 65(4), 283- 311. It recently became evident that the EFL need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could not be met by the then-current complement of teachers. This le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onversational English Instructors in the public school system. This growing demand for EFL instructors in our nations public schools requires an obligation to examine the selection criteria and process for incoming EFL instructors. Based on our analysis of a nationwide survey of EFL Instructors, we recommend reforms to the selection process system. A total of 199 EFL instructors in secondary schools including those in Seoul, metropolitan cities, medium-sized cities, and small communities participated in the main survey. The survey considered the entire EFL Instructor selection process including the 1st step of applicant specifications, the 2nd step of teaching-learning performance test and interview test. Our analysis suggests that the selection criteria should include the applicants proficiency test score in spoken and written English, and the teaching-learning performance should be emphasized in a greater extent.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way of testing the applicantsteaching- learning performance in the 2nd step selection process should be changed into a more authentic microteaching situation, and that regional needs vary and must be considered in the selection process. I. 연구의 필요성 목적 영어회화 전문강사제도의 도입취지는 우리 국민들의 의사소통능력향상을 적으로 하는 정부의 실용영어강화정책과 관련이 있다. 특히, 초등 영어수업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정책과제로 수행되었으며, 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1년이 지난 즈음에서 먼저 전국 중등학교 영어회화강사 들의 인식을 조사한 자료에 기초하고 있다. 중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 사에 기초한 후속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283

영어교육 65권 4호 2010년 겨울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

이병천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CE))

Lee, Byeong-Cheon. (2010). A study on improving the EFL instructor selection

process for the secondary school system in Korea. English Teaching, 65(4), 283-

311.

It recently became evident that the EFL need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could not

be met by the then-current complement of teachers. This le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onversational English Instructors in the public school system. This

growing demand for EFL instructors in our nation‟s public schools requires an

obligation to examine the selection criteria and process for incoming EFL instructors.

Based on our analysis of a nationwide survey of EFL Instructors, we recommend

reforms to the selection process system. A total of 199 EFL instructors in secondary

schools including those in Seoul, metropolitan cities, medium-sized cities, and small

communities participated in the main survey. The survey considered the entire EFL

Instructor selection process including the 1st step of applicant specifications, the 2nd

step of teaching-learning performance test and interview test. Our analysis suggests

that the selection criteria should include the applicant‟s proficiency test score in spoken

and written English, and the teaching-learning performance should be emphasized in a

greater extent.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way of testing the applicants‟ teaching-

learning performance in the 2nd step selection process should be changed into a more

authentic microteaching situation, and that regional needs vary and must be considered

in the selection process.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영어회화 전문강사제도의 도입취지는 우리 국민들의 의사소통능력향상을 목

적으로 하는 정부의 실용영어강화정책과 관련이 있다. 특히, 초등 영어수업 시

본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의 정책과제로 수행되었으며, 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지 1년이 지난 즈음에서 먼저 전국 중등학교 영어회화강사

들의 인식을 조사한 자료에 기초하고 있다. 중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

사에 기초한 후속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Page 2: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284 이병천

수가 확대되고 중등학교에서는 수준별 영어 이동수업이 실시되는 등 학교 현장

에 추가로 필요한 인력을 충원하기 위함이다. 초등영어수업시수는 초등학교 3,4

학년 영어수업이 주당 1시간에서 2시간으로 늘어나고, 2011년에는 5,6학년 주당

수업시수가 역시 2시간에서 3시간으로 확대 실시될 예정이다. 또한 중등학교

수준별 이동수업은 언어기능이나 언어지식의 능력에 따라 학습자가 선택적으로

수준에 적합한 수업을 선택할 수 있는 이동수업을 말하며 앞으로 확대 실시될

예정으로 있다 (교육과학기술부, 2006). 영어수업시수확대나 수준별 이동수업은

필연적으로 영어교사 수요를 동반하게 되어, 실용영어중심의 영어회화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정도의 영어사용능력과 기본영어교수법 지식을 갖춘 영어회화

전문강사(이하 영어강사)를 선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는 실용영어정책이 수립되고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한 목적으로 정규영어교

사선발과는 별개로 영어사용능력과 수업지도능력 중심으로 평가하여 2010년 충

원을 위하여 2009년 8월과 12월 약 2차에 걸쳐서 모두 약 7,000명의 합격자를

발표하였다(박선호, 2010). 또한 시도별로 영어강사의 수요가 있을 경우 추가 선

발이 계획되어 있다. 정확히 말하면 영어강사의 수요가 늘어난다고 하기보다는

영어교사의 수요가 늘어나는 것인데, 단기적으로 영어정규교사를 확보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가능한 영어강사의 수요를 필요로 한다고 할 수

있겠다.

그래서 영어강사제도의 도입의 직접적 필요성은 초등영어수업시수확대와 중

등 수준별 이동수업에 따른 교사수요라고 할 수 있지만, 큰 그림에서 보면 결

국 영어교육정책의 추세가 실용영어의 강화에 따른 변화라고 볼 수 있다(교육

인적자원부, 2006). 실용영어라 함은 학술 목적의 영어나, 영어자체의 지식 혹은

정확성 위주의 문법 지식 중심에서 벗어나 일상생활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영어,

그 중에서 말하기와 쓰기 등 표현능력이 강조되고 있어 교사의 명칭 또한 영어

회화전문강사로 명명했을 것이다.

하지만 실용영어중심 혹은 회화중심의 실용영어만 가르친다는 영어강사의 도

입취지는 학교현장의 실제 환경과는 거리가 있다. 초등영어수업을 전담해오고

있던 전국 교육대학교 영어교육전공자(영어심화반)는 일반 담임교사를 맡게 되

고 영어강사가 영어를 전담하는 경우가 있다. 중등학교의 경우에도 정규교사의

수업 업무를 영어강사가 맡게 됨에 따라 실제로는 영어강사는 정규교사와 동일

한 수업을 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정규영어교사의 수업을 영어강사가 상당 부

분을 대체하고 있는 현실을 인정할 때 고려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즉, 현실적

으로 영어강사가 일반정규영어교사의 수업을 실제로 진행하고 있는 경우가 많

아, 영어교사에게 필요한 능력을 요구 받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전국 단위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직접 정규 수업 진행경험을 해 본 영어강사를 대상으로, 영

어강사 선발시험에서 요구해야 하는 주요 능력은 어떤 영역이 되어야 하는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영어강사 1, 2, 3차 선발 시험의 평가항목에

대한 현직 강사들의 인식을 통하여, 평가 항목들에 대한 적합성 조사를 하고

Page 3: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 285

둘째, 영어강사의 수업 현황도 아울러 조사하여 앞으로의 영어강사선발시험의

개선 방향을 제언한다.

II. 선행연구

영어강사제도 자체가 새로운 제도이므로,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선행연구는

없으나 영어강사가 학교 현장에서 회화 수업뿐 아니라 수준별 이동수업 및 정

규 수업을 담당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영어교사에게 요구되는 능력에 관한 선

행연구를 고찰하여 영어강사 선발시험 요소의 개선방안에 참고할 수 있을 것이

다. 실제로 영어회화 선발시험은 정규영어교사 선발시험과는 절차와 시험 전형

요소들에 차이가 있다. 처우나 보수 체계, 그리고 기타 관련 업무 등에서도 차

이가 나기 때문에 선발시험체제와 비교하기보다는 영어교사로서의 수업 능력에

관한 문헌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영어강사제도가 외형상 원어민보조교사

와 유사한 것처럼 보이나 앞서 언급한 대로 현실상 보조교사의 업무가 아닌 정

규교사의 업무와 유사하기 때문에 영어교사에게 요구되는 능력을 요구한다고

볼 수 있다. 다음은 영어교사에게 필요한 능력에 관한 선행연구나 문헌을 국내

와 국외로 분류하여 간략하게 정리하였다.

1. 국내 영어교사수업능력 관련 연구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수업 진행을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교

사의 영어 사용 능력이 중요하다는 점에는 정도의 차이가 있을지언정 학자들이

나 영어교사들이 대부분 동의한다(고경석, 김정렬, 김진석, 김진완, 김해동, 류

호열, 정숙경, 2008; 김진석, 김용명, 백인환, 이정민, 임정신, 이천우, 2009; 민찬

규, 2008; 박준언, 2008; 신동일, 2003, 2006, 2009; 이윤, 1999; 임찬빈, 2004, 2005).

그러나 교실 수업이라는 환경을 고려했을 때, 교사의 유창한 영어 사용 능력을

절대적인 요소로 두는 데는 이견이 있다. 즉, 교실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수업

내용을 학습자의 특성에 맞추어 효과적인 전달을 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한다.

전국의 초, 중등 교사 117명을 대상으로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에 대한 의

식 조사 연구에 따르면, 영어 교사에게 필요한 능력으로 유창한 영어의 사용

능력보다 수업 내용 전달 능력이 더 중요하다고 응답하였다(민찬규, 2008). 이는

곧 교사 자신의 영어 사용 능력의 우수함보다는 수업 내용에 필요한 교과 지식

(content knowledge)과 이를 학습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그들 수준에 알맞게 풀

어 전달할 수 있는 영어 사용능력이 필요한 것임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다

음으로 영어사용능력을 기반으로 수업내용전달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수업의

구도를 기획하고 이를 흐름에 반영하는 수업의 구성능력과 함께 언어학습의 특

성상 상호작용 촉진 기법 등을 활용하는 수업 실행 능력이 함께 요구된다(고정

민, 2008; 이윤, 1999; Na, Ahn & Kim, 2008). 다음은 학습에 대한 평가능력으로 학

Page 4: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286 이병천

습자들의 수업 목표 도달 점검이나 평가내용의 타당성, 평가 방법의 적절성 등

을 포함한다(박준언, 2008; Jeon, 2008). 또한 수업의 실행에 앞서 수업 설계와 수

업의 구성 등이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게 하는 교수․학습 지도안 작성 능력

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수업 실행 중 명시적 혹은 잠재적으로 드러나 학습자

들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교직관, 적성, 인성, 전문성 등을 평가할 수 있는

심층 면접이다(김진석 외, 2009). 종합하여 보면, 다섯 개의 내용 영역으로, 그 첫

째가 교사의 수업 영어 사용 능력. 두 번째, 수업 계획과 설계 능력(수업계획안)

을 들 수 있으며 셋째로는 수업 운영기법을 포함한 교사의 수업 실행 능력, 넷

째로는 수업 평가 능력, 다섯째로는 교직관, 적성, 인성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2. 국외 영어교사수업능력 관련 연구

Halliwell(1992)과 Littlewood(1981)가 강조하는 영어교사의 능력은 우리나라에

서 현재 확산되고 있는 „영어로 하는 영어수업‟ 능력이다. 즉 교실수업 관리를

포함하여 영어 교실 수업에서 쓰이는 언어는 영어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영어

사용능력이 강조된다 (Pho, 2009). 또한 수업계획과 설계 능력 그리고 수업 실행

능력이 아울러 강조되고 있다. 진경애 외(2009)는 Cambridge ESOL이 개발한 시

험 5개와 Educational Testing Service(ETS)가 개발한 시험 2개를 조사 분석하였으

며 교사선발 관련 대표적인 시험으로 CELTYLL1(Certificate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to Young Learners)과 CELTA(Certificate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to

Adults)를 들었는데 두 개의 시험에서 영어교사에게 필요한 능력은 수업설계능

력, 수업 실행능력, 수업평가능력으로 분석된다. 두 시험에서 공통적으로 영어

교사에게 요구하는 능력은 효과적인 교수를 위한 준비와 계획, 교실 수업을 수

행함에 필요한 학습자 조직이나 수행에 대한 피드백 등 수업 실행능력, 그리고

학습자들의 수행에 대한 평가능력이다. 평가 항목을 살펴보면, 첫 번째인 수업

활동분야는 최소 2개 이상의 어린 학습자 집단을 6시간의 교수 활동을 통한 평

가로서 실질적으로 어떻게 수업을 진행하는 지를 여러 하위 요소에 따라 평가

한다. 그리고 얼마나 효과적으로 교수 계획을 세웠으며,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

하여 적절한 교수 기술을 사용했는지를 평가하게 되는 것이다. 수업설계분야의

평가는 학습계획안을 기초로 이루어지며 기본적인 영어 교수 영어는 제대로 이

해하고 사용하는지, 학습자 수준에 맞는 수업을 계획하고 이에 적절한 수업 자

료는 사용 했는지 등을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전문성발달분야는 프로그램에 대

한 전체적인 수행 능력을 평가한다. 이외에도 영어 수업이 교사의 진행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님을 고려할 때, 학습자와 교사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 연

구도 있다. Allen, Bailystock, Cummigns, Mougen과 Swain(1982)은 제 2언어 수업에

1

CELTYL(Certificate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to Young Learners): 어린 학습자를

대상으로 영어 교육을 하고자 하는 이들을 위한 시험으로, 106시간의 연수 후에

치러지는 것으로, 연수생은 이 시험에 통과해야만 교사 인증서를 받을 수 있다.

Page 5: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 287

서 제 2언어는 목표로 설정됨과 동시에 목표 성취를 위한 도구이므로 언어학습

을 위한 상호작용을 강조하였다.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학습형태로 연습, 대화, 역할놀이, 받아쓰기, 학습

자 조직으로는 전체학급 혹은 그룹이나 짝, 개별 조직 능력, 언어 기능으로는

기능 및 전략, 의미 협상 및 학습 목표, 학생 및 교사의 일상생활이나 타교과목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있는 자료, 오디오 나 비쥬얼 자료를 이

용한 상호작용능력을 중요한 교사의 능력으로 보았다.

III. 연구 방법

1. 설문 내용

설문 내용으로 먼저 영어회화강사의 배경변인으로서 성별, 연령, 경력 등과

현황 조사(현재의 업무, 수준별 수업 수준, 수업 시수, 교사자격증 소지 여부)를

하였다. 두 번째로 영어회화강사시험 응시 자격 전형요소2와 1차 선발 전형 요

소에 대한 질문이다. 응시자격과 선발전형요소란 학사학위 등 응시자격의 최소

요건, 그리고 교사자격증 소지여부 등 1차 서류 전형요소 및 현재 전형 절차에

포함되지 않은 말하기와 쓰기 등 표현능력 점수의 포함 여부 등에 대한 인식

여부를 조사하였다. 표현능력 점수에 대한 인식은 일반 영어수업보다 영어강사

선발시험이기 때문에 특히 영어강사의 표현능력이 요구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

기 때문이다. 세 번째는 2차 전형요소인 교수·학습지도안 시험 시간과 평가항

목, 수업실연시간과 평가항목별 중요도, 그리고 영어회화 강사가 개선해야 할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2차 시험인 심층면접평가의 전형요소인 면접평가시

간과 평가항목의 중요도, 그리고 영어강사의 수요확대 필요성과 본 제도의 효

과적 운영을 위한 제언으로 구성되었다.

2. 설문 대상·방법

설문은 전국을 서울과 서울 외 대도시, 그리고 중소도시와 읍/면 지역의 중등

학교 영어강사 19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방법은 전문설문조사기관에 의뢰

하여 서울과 전국 광역시, 그리고 16개 시도의 읍/면 지역이 포함되도록 표집하

였으며,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현재 재직하고 있는 영어회화전문강사를 대상

으로 전화 및 면접 설문이 진행되었다. 지역별 설문 대상자는 다음과 같다.

2 [부록] 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 시험 개요 참조

Page 6: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288 이병천

표 1 소속 지역 규모(단위: %)

구분 서울 서울 외대도시 중소도시 읍/면지역 전체

n (26) (45) (88) (40) (199)

% 13.1 22.7 44.2 20.0 100

지역별로 보면 전체 199명 설문 대상자 중 서울 13.1%, 서울 외 대도시

22.7%, 중소도시 44.2%, 그리고 읍/면 지역이 20%로 조사되었다. 서울 외 대도

시는 부산, 광주, 대구, 인천, 대전, 울산 등 광역시가 해당하고, 중소도시와 읍/

면 지역은 행정구역을 중심으로 하여 분류하였다.

Ⅳ. 연구결과

1. 영어회화강사의 현황

표 2 영어회화 전문강사의 실제 담당 업무(복수답변)(단위: %)

구분 (응답수)

비율(%) 서울

서울 외

대도시

중소

도시

읍/면

지역

응답자의 수 (199) (26) (45) (88) (40)

수준별 영어수업 76.4 88.5 91.1 67.0 72.5

방과후 학습 57.3 50.0 37.8 69.3 57.5

일반정규 영어수업 35.7 30.8 11.1 47.7 40.0

원어민 보조교사 관리 16.6 15.4 6.7 18.2 25.0

영어강사들의 실제업무 중 해당 사항을 중복으로 표시할 수 있는 항목이다.

위의 표에서 나타났듯이 주요 업무는 수준별 영어수업(76.4%)이고, 그 다음이

방과후 학습(57.3), 일반 정규 영어수업(35.7%), 그리고 원어민 보조교사관리

(16.6%) 순서이다. 전체적으로 수준별 영어수업이 가장 주요한 업무로 나타났지

만, 중소도시의 경우 방과후 학습이 69.3%, 그리고 수준별 영어수업이 67.0%로

그 뒤를 이었다. 일반 정규 영어수업을 맡는 비율도 서울 외 대도시의 경우

11.1%에 불과하지만, 중소도시의 경우는 47.7%로 나타나 서울 외 대도시의 약

4배가 되어 지역별로 영어강사들의 주요 업무의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다. 기타

업무는 미미하게 나타났지만 재량수업과 영어방송, 특별활동과 개별학습지도,

보충 수업과 특기적성 등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가장 주요한 업무로 나타난 영

어회화 전문강사의 담당 업무 중 수준별 수업과 일반 정규수업에 대한 주당 시

수를 조사하였다. 먼저 수준별 수업 주당 현황이다.

Page 7: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 289

표 3 영어회화 전문강사의 담당 업무별 주당 시수: 수준별 영어수업(단위: %)

구분 (응답수)

비율(%) 서울

서울 외

대도시

중소

도시

읍/면

지역

응답자의 수 (152) (23) (41) (59) (29)

1~5 시간 5.9 4.3 0.0 11.9 3.4

6~10 시간 5.3 4.3 2.4 8.5 3.4

11~15 시간 10.5 8.7 9.8 13.6 6.9

16~20 시간 57.9 47.8 75.6 49.2 58.6

21 시간 이상 20.4 34.8 12.2 16.9 27.6

응답자의 57.9%가 16~20 시간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21시간 이상이 20.4%,

11~15 시간을 담당하는 경우가 10.5%로 나타났으며, 나머지는 10시간 미만이었

다. 주당 21시간 이상 수업을 하고 있는 경우는 서울(34.8%)이 가장 많고, 다음

으로 읍/면지역(27.6%) 순이었으며 중소도시(16.9%)에 이어 서울 외 대도시

(12.2%)에서의 수준별 수업 업무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다음은 수준별 수업의 다음 주요 업무인 일반 정규수업 주당 수업 시수를 조

사하였다.

표 4 영어회화 전문강사의 담당 업무별 주 당 시수(일반정규영어수업)(단위: %)

구분 (응답수)

비율(%) 서울

서울 외

대도시

중소

도시

읍/면

지역

응답자의 수 (71) (8) (5) (42) (16) 1~5 시간 5.6 12.5 0.0 4.8 6.3

6~10 시간 8.5 12.5 20.0 4.8 12.5

11~15 시간 5.6 0.0 0.0 9.5 0.0

16~20 시간 60.6 62.5 80.0 69.0 31.3

21 시간 이상 19.7 12.5 0.0 11.9 50.0

응답자의 60.6%가 16~20 시간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21시간 이상이 19.7%,

6~10 시간을 담당하는 경우가 8.5%로 나타났으며, 나머지는 10시간 미만이었다.

주당 21시간 이상 수업을 하고 있는 경우는 읍/면(50.0%)이 가장 많고, 다음으

로 서울(12.5%) 순이었으며 중소도시(11.9%)에 이어 서울 외 대도시에서는 일반

정규수업 담당이 21시간을 넘는 경우는 없었다. 서울 외 대도시의 경우는 80%

가 16~20 시간을 맡고, 나머지 20%는 6~10시간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수준별 수업과 다음 주요 업무인 일반 정규수업 주당 및 기타 수업

등을 포함한 주당 담당 수업 시수를 조사하였다.

Page 8: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290 이병천

표 5 영어회화 전문강사의 주당 시수(단위: %)

구분 (응답수)

비율(%) 서울

서울 외

대도시

중소

도시

읍/면

지역

응답자의 수 (199) (26) (45) (88) (40)

~20 시간 82.9 88.5 100.0 76.1 75.0

20 시간~24 시간 12.1 3.8 0.0 18.2 17.5

25 시간~28 시간 4.5 7.7 0.0 5.7 5.0

29 시간이상 0.5 0.0 0.0 0.0 2.5

계 100 100 100 100 100

앞서 조사한 수준별 영어수업은 응답자의 57.9%가 16~20 시간, 그리고 일반

정규영어수업 부담에 대해서 응답자의 60.6%가 16~20 시간 등으로 나타났지만

현재 영어회화 전문강사들은 방과후 수업과 원어민 관리 등 다양한 업무를 수

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래서 정규수업이나 수준별 영어수업 등 모

두 합하여 주당 수업 부담을 알아본 결과 위의 표에서 나타났듯이 전체적으로

약 82.9%의 응답자들이 20시간 내의 수업을 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외 대도시에서는 100%, 서울에서도 88.5%가 주당 20시간 내 수업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중소도시 76.1%와 읍/면 지역 75%는 20시간 내의 수업을

하고 있었으나 이 지역에서의 약 18%는 20~24시간의 수업을 하고 있어 수업

부담 측면에서 보면 중소도시 혹은 읍/면 지역 영어회화전담교사들의 수업부담

이 서울지역이나 대도시에 근무하는 영어강사들보다는 높다고 하겠다. 다음으

로는 이러한 다양한 수업 업무가 앞으로 영어교사를 수행한다고 가정할 때 도

움이 될 정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표 6 영어회화 전문강사직 수행의 교사업무에 대한 도움 정도(단위: %)

구분 (응답수)

비율(%) 서울

서울 외

대도시

중소

도시

읍/면

지역

응답자의 수 (199) (26) (45) (88) (40) 매우그렇다 25.1 50.0 17.8 28.4 10.0 그렇다 68.3 42.3 82.2 64.8 77.5

보통이다 6.0 7.7 0.0 6.8 10.0

그렇지 않다 0.5 0.0 0.0 0.0 2.5

계 99.9 100 100 100 100

전체 응답자 중 “영어회화 전문강사직 수행이 교원 임용 후 교수․학습 등의

교사 업무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매우 그렇다‟가

25.1%, „그렇다‟가 68.3%로 대부분(93.4%)의 응답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영어

강사 업무가 향후 정규 교사로 임용되고 난 후 교사 업무를 수행하는 데 도움

이 될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다음은 현재 영어강사들이 앞으로 정규교사선발시

험에 응시할 의향이 있는지에 대한 조사 결과이다.

Page 9: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 291

표 7 영어강사의 향후 임용고사 응시 의향(단위: %)

구분 전체 서울 서울 외

대도시

중소

도시

읍/면

지역

응답자의 수 (199) (26) (45) (88) (40)

매우그렇다 24.1 46.2 28.9 25.0 2.5

그렇다 42.7 26.9 53.3 42.0 42.5

보통이다 14.6 7.7 6.7 13.6 30.0

그렇지 않다 16.6 19.2 11.1 14.8 25.0

전혀 그렇지 않다 2.0 0.0 0.0 4.5 0.0

계 100 100 100 99.9 100

응답자 중 향후 영어교사임용선발시험에 응시할 의향이 매우 있다는 비율은

24.1%, 의향을 가지고 있다는 비율이 42.7%로 66.8%가 임용고시에 응시할 뜻을

나타내었다. 반면, 임용고시에 응시할 의사가 없다고 표시한 사람은 18.6%에

불과하여 현재 영어강사로 재직 중인 응답자들의 대부분이 향후 임용고시에 응

시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강사의 현황을 알아보는 내용 중 마지막으로 현재의 영어강사 중 영어교

사 자격증 소지 비율을 알아보았다.

표 8 영어강사의 정교사 자격증 소지 여부(단위: %)

구분 전체 서울 서울 외

대도시

중소

도시

읍/면

지역

응답자의 수 (199) (26) (45) (88) (40)

그렇다 89.9 92.3 93.3 87.5 90.0

아니다 10.1 7.7 6.7 12.5 10.0

전체 응답자 중 영어정교사 자격증 소지자의 비율은 약 90%로 대부분의 응

답자들이 교사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었다. 지역별로 보아도 서울과 대도시에서

각각 92.3%와 93.3%로 평균보다 높았고 중소도시는 87.5%로 평균에 약간 못

미치고 있으며 읍/면지역의 영어회화강사들은 평균 정교사자격증 소지비율과

같게 조사되었다.

Page 10: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292 이병천

2. 영어강사 선발 응시자격의 최소요건

표 9 응시자격의 최소요건(단위: %, 무응답자제외)

번호 구분 전체 서울 서울 외

대도시

중소

도시

읍/면

지역

(199) (26) (45) (88) (40)

1 국내 학사학위 또는 동등학력 소지자 이상 8.0 7.7 6.7 8.0 10.0

2 1 번조건을 충족, 일정 수준 이상의

공인영어시험 점수 소지자 8.0 7.7 11.1 8.0 5.0

3 국내 학사학위 또는 동등 학력 소지자 중

영어관련 학과 졸업자 36.2 26.9 44.4 38.6 27.5

4 3 번조건을 충족하고 일정수준 이상의

공인영어시험 점수 소지자 39.7 46.2 37.8 35.2 47.5

5 교사자격증 소지자 5.0 3.8 0.0 8.0 5.0

6 영어교사자격증 1.0 0.0 0.0 1.1 2.5

계 88.9 84.6 93.3 89.8 85

응답자의 다수가 국내 학사학위 또는 동등학력 소지자 중 영어관련 학과 졸

업자(36.2%) 혹은 이 조건을 충족하고 일정수준 이상의 공인영어시험 점수 소

지자(39.7%)가 되어야 응시자격을 부여해야 한다고 조사되었다. 다음으로는 국

내 학사학위 또는 동등학력 소지자 이상(8%) 혹은 이 조건을 충족하고 일정 수

준 이상의 공인영어시험 점수 소지자(8%)에게 응시자격을 부여해야 한다고 응

답하였다. 그 나머지의 응답률은 교사자격증 소지자(5%), 영어교사자격증(1.0%),

영어교사자격증과 경력(0.5%), 교사자격증과 회화능력(0.5%), 회화능력(0.5%) 등

으로 나타났다. 3

위의 표에서 나타났듯이 한 가지 흥미로운 것은 교사자격증이 선발요건의 최

소자격이 되어야 한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서울(11.4)과 중소도시(10.2)로 나타났

을 뿐 전체적으로 보아 교사자격증(5%)와 영어교사격증(1%)로 매우 미미하였다.

3. 영어회화강사선발시험의 1 차 시험 전형 요소

1차 시험 전형 요소는 영어회화 전문강사 1차(서류) 전형 평가 요소들의 중

요도에 대한 설문이다.

3 이하 표부터는 극소수 비율로 나타난 요소들은 지면상 모두 표로 나타내지 않고 그

내용을 간단하게 풀어 설명한다.

Page 11: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 293

표 10 1 차 시험 전형요소(단위: %)

구분 전체 서울 서울 외

대도시

중소

도시 읍/면지역

응답자의 수 (199) (26) (45) (88) (40)

기본 점수 18.0 18.8 16.1 18.7 18.0

자격증 소지여부 28.6 29.8 32.9 26.8 27.0

영어공인 시험점수 26.9 25.2 26.6 26.7 28.9

교육 경력 26.5 26.2 24.4 27.8 26.1

계 100 100 100 100 100

1차 선발시험의 중요한 요소로서는 자격증 소지여부가 28.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영어공인 시험점수(26.9%), 교육 경력(26.5%) 그리고 기본 점수

(18.0%)의 순서로 응답하였다. 흥미로운 것은 영어강사 선발시험의 최소자격요

건에는 교사자격증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매우 미미하였으나, 실제 선발

의 요소로는 매우 비중 있게 다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실용영어강화의 흐름 속에 선발되는 영어강사 선발시험의 취지를 살려서 공

인영어시험점수를 요구할 경우, 말하기와 쓰기의 공인점수를 포함해야 하는지

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이다.

표 11 말하기·쓰기 능력점수의 필요성(단위: %)

구분 전체 지역별

서울

서울 외

대도시

중소

도시

읍/면

지역

응답자의 수 (199) (26) (45) (88) (40)

매우 그렇다 11.1 19.2 6.7 13.6 5.0

그렇다 73.4 61.5 75.6 76.1 72.5

보통이다 11.1 15.4 6.7 6.8 22.5

그렇지 않다 4.5 3.8 11.1 3.4 0.0

전혀 그렇지 않다 0.0 0.0 0.0 0.0 0.0

계 100.1 99.9 100.1 99.9 100

위의 표에 나타났듯이 말하기와 쓰기 공인점수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84.5%로 대다수의 전문강사들이 표현능력에 대한 전형 요소의 중요성을 인정

하였다. 표현능력 공인점수가 불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4.5%에 불과하였다.

특히 읍/면 지역은 공인영어점수의 말하기․쓰기 점수의 포함 필요성이 매우 높

게 나타났다.

4. 영어회화강사선발시험의 2 차 시험 전형 요소

2차 선발시험전형요소는 교수학습수업지도안 작성과 수업실연, 및 심층 면접

모두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교수․학습수업지도안 작성 시간에 관한 설

문조사 결과이다.

Page 12: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294 이병천

표 12 2 차전형요소 중 교수학습수업지도안 작성시간(단위: 분)

구분 전체

(평균)

지역별

서울

서울 외

대도시

중소

도시

읍/면

지역

전체 (199) (26) (45) (88) (40)

전체시험시간 62.0 65.4 61.6 61.3 61.8

구상시간 12.1 15.0 11.1 11.7 12.1

작성시간 49.9 50.4 50.4 49.5 49.6

전체적으로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교수학습지도안 작성시간은 1시간(60분) 정

도가 적당하며, 구상시간에 10분-15분, 그리고 실제 수업지도안작성에 약 50분

정도가 적당하다고 나타내었다. 실제로 수업작성 시간은 각 시도별로 자율적으

로 운영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시도에서는 구상시간 없이 수업작성 시간에만 50

분을 허용하고 있어 구상 시간이 필요한 이유를 조사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

과 같다.

표 13 시험시간이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이유(단위: %)

구분 전체 지역별

서울

서울 외

대도시

중소

도시

읍/면

지역

응답자의 수 (39) (9) (5) (19) (6)

무응답 30.8 33.3 20.0 36.8 36.8

구상시간이 짧아서 23.1 11.1 40.0 21.1 21.1

생각을 정리할 시간여유를 줬으면 20.5 22.2 0.0 26.3 26.3

시간이 너무 짧아서 10.3 11.1 20.0 10.5 10.5

계 84.7 77.7 80 94.7 94.7

전체 응답자 중 무응답(30.8%)이 가장 많았고, 구상 시간이 짧다는 응답

(23.1%)과 생각할 여유가 필요하다(20.5%)는 의견, 그리고 작성 시간이 짧아서

시간을 늘릴 필요가 있다는 응답 순으로 나타났다. 나머지의 이유는 시간이 늘

어난 만큼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거나(2.6%), 짧은 시간에 구상할 수 있는 훈련

이 필요하다(2.6%) 등이었다.

표 14 2 차 전형요소 중 교수학습지도안 평가항목의 중요도(단위: %)

구분 전체 지역별

서울

서울 외

대도시

중소

도시

읍/면

지역

전체 (199) (26) (45) (88) (40)

지도안 구성 22.5 28.1 28.8 17.8 21.9

학습목표 24.5 24.0 30.3 22.7 22.1

교수 학습활동 및 절차 29.8 27.1 21.2 34.9 29.9

언어표현 23.3 20.8 19.7 24.5 26.1

계 100.1 100 100 99.9 100

교수학습지도안 평가항목의 중요도는 큰 차이는 없었지만 교수학습활동 및

Page 13: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 295

절차(29.8%)에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다음으로는 „학습 목표(24.5%)‟, „언어표현

(23.3%)‟, „지도안 구성(22.5%)‟의 순으로 응답하였다. 영어로 작성하는 수업지도

안에서의 언어표현 항목은 서울과 대도시 지역보다 중소도시와 읍/면지역에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다음은 2차 전형 중 수업 실연 평가의 적당한 시험시간에 대한 설문조사 결

과이다.

표 15 영어회화 전문강사 2 차 전형의 수업 실연 평가의 적당한 시험시간(단위: 분)

구분 전체(평균) 서울 서울 외

대도시

중소

도시

읍/면

지역

응답자의 수 (199) (26) (45) (88) (40)

전체시험시간 21.7 22.7 21.9 21.9 20.4

구상시간 11.0 11.3 11.9 10.9 10.1

실연시간 10.7 11.3 10.0 11.1 10.3

수업 실연시간은 현재 약 10분 정도로 시행되고 있으며, 10분의 구상시간이

주어진다. 설문 조사 결과도 구상 시간 약 11분과 실연 시간 약 11분으로 현재

의 선발시험에서 주어진 시간이 적당하다는 응답을 보여준다. 수업 실연 시간

확대에 대한 의견을 조사해 본 결과 수업실연 시간이 짧다는 응답이 22% 정도

로 나타났지만, 선다형으로 하나만 체크하게 되어 있어 선택했을 뿐 특별한 의

미가 없어 표로는 나타내지 않고 생략한다. 다음은 수업 실연 평가 요소들의

중요도에 대한 설문 결과이다.

표 16 영어회화 전문강사 2 차 전형 수업실연 평가 요소들의 중요도(단위: %)

구분 전체 서울 서울 외

대도시

중소

도시

읍/면

지역

응답자의 수 (199) (26) (45) (88) (40)

수업구성능력 25.4 28.1 28.0 22.1 27.9

수업실행능력 32.8 29.8 34.4 32.8 33.1

교수언어사용능력 23.7 23.3 21.6 25.5 22.5

교수태도 18.1 18.8 16.0 19.6 16.5

계 100 100 100 100 100

수업 실연 평가 요소의 중요도 응답 결과는 우선 수업 실행 능력이 32.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수업 구성 능력(25.4%)과 교수언어사용능력

(23.7%), 그리고 교수태도(18.1%)의 순서로 나타났다. 중소도시만 수업구성능력

보다 교수언어사용능력에 중요성의 우선순위를 높게 주었지만 전반적으로 특별

한 지역적 차이는 보여주지 않았다. 다음은 수업 실연 평가항목을 중심으로 현

재 영어회화강사들이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는 요소에 대한 설문 결과이다.

Page 14: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296 이병천

표 17 수업실연 평가 항목 중 개선해야할 항목:1 순위(단위: %, 무응답자제외)

구분 전체 서울 서울 외

대도시

중소

도시

읍/면

지역

응답자의 수 (199) (26) (45) (88) (40)

수업구성능력 17.1 23.1 20.0 11.4 22.5

수업실행능력 65.3 50.0 62.2 73.9 60.0

교수언어사용능력 14.1 19.2 15.6 12.5 12.5

교수태도 3.5 7.7 2.2 2.3 5.0

계 100 100 100 100.1 100

현재 영어회화강사들이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는 요소 중 수업 실연 평가항

목을 중심으로 보면, 대다수의 강사들이 수업실행능력(65.3%)을 들었으며, 다음

으로 수업구성능력(17.1%), 교수언어사용능력(14.1%), 그리고 교수 태도(3.5%)

순서로 나타났다. 흥미로운 것은 수업실연의 항목 중 중요도와 실제 강사들이

개선해야 할 항목들이 순서가 일치한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다만, 표 16에서 나

타난 바와 같이 수업실연평가요소들의 중요도 설문 조사 항목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던 요소인 수업실행의 중요성에 대한 비율(32.8%)은 표 17에서도 높게

나타났지만 그 중요성에 있어서는 65.3%로 올라갔다. 이것은 역시 강사선발시

험에서의 항목에서 수업 실행 능력을 중요하게 판단해야 하고, 실제 수업 현장

에서도 수업 실연 항목에 대한 교사 연수나 자기 연수 등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설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2차 선발시험 중 마지막 응시 분야인 심층면접 시험은 심층면접 시간과 심층

면접 항목 중요도에 대한 조사이다. 먼저 심층면접평가의 적당한 시험시간에

관한 설문 조사결과이다.

표 18 2 차 전형 심층 면접 평가의 적당 시험시간(단위: 분)

구분 전체(평균) 서울 서울 외

대도시

중소

도시

읍/면

지역

응답자의 수 (199) (26) (45) (88) (40)

전체시험시간 14.7 15.6 16.3 13.4 15.3

구상시간 7.4 7.9 8.4 6.6 7.6

면접 7.3 7.7 7.9 6.8 7.6

현행 심층면접시간은 질문을 미리 받아 5분 구상, 5분 면접시간으로 일반적으

로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에 대해서 응답자들은 지역별로 약간씩의 차이는 있

지만 구상 시간 약 7.4분, 그리고 면접 시간 약 7.4분으로 약 2.4분씩 늘려 총

14.7분으로 약 15분 정도가 적당한 면접 시간이라고 하였다. 다음은 면접 평가

항목들의 중요도에 대한 설문 결과이다.

Page 15: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 297

표 19 제 2 차 전형 심층면접 평가 항목들의 중요도(단위: %)

구분 전체 서울 서울 외

대도시

중소

도시

읍/면

지역

응답자의 수 (199) (26) (45) (88) (40)

교직관 및 인성적성 25.5 28.5 25.0 24.0 27.1

문제해결능력 23.4 26.2 24.8 23.2 20.4

전문성 27.9 22.3 31.0 28.5 27.0

의사소통능력 23.2 23.1 19.2 24.3 25.5

계 100 100.1 100 100 100

제2차 전형 심층면접 평가 항목들의 중요도 설문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전

문성(27.9%)으로 가장 높고, 교직관 및 인성 적성(25.5%), 문제 해결 능력

(23.4%), 의사소통능력(23.2%)의 순서로 나타났으나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지역적 특성을 보면 서울은 교직관 및 인성 적성(28.5%)을 전문성

(31.0%)보다 중요시하고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5. 영어회화강사제도 개선에 대한 의견

영어강사 제도의 개선에 대한 의견은 두 가지로 첫 번째는 회화강사제도의

확대 필요성이고 두 번째는 현재 회화강사들이 직무를 수행하면서 어려운 점,

그리고 마지막으로 영어강사제도의 효과적 운영에 관한 제언으로 구성되었으며

질문의 형태는 개방형으로 구성되었다. 먼저 영어회화강사제도의 확대필요성에

대한 설문 결과이다.

표 20 영어회화 전문강사 수요 확대 필요성(단위: %)

구분 전체 서울 서울 외

대도시

중소

도시

읍/면

지역

응답자의 수 (199) (26) (45) (88) (40)

그렇다 53.3 38.5 62.2 52.3 55.0

그렇지 않다 46.2 61.5 37.8 47.7 42.5

모르겠다 0.5 0.0 0.0 0.0 2.5

계 100 100 100 100 100

영어강사제도의 확대에 대해서 확대해야 한다는 응답자는 53.3%로 가장 높

고, 다음으로 확대할 필요가 없다는 응답이 46.2%이다. 본 설문 항목에 대해서

는 지역별로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서울은 확대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

이 61.5%로 확대 찬성의견인 38.5%보다 많은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다른 서울

외 대도시를 포함하여 중소도시와 읍/면 지역은 확대 찬성의 의견이 많았다. 특

히 서울 외 대도시는 확대의견이 62.2%, 확대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이 37.8%로

서울과 정반대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다음은 확대 찬성과 반대의 의견에 대한

설문 결과를 보여준다.

Page 16: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298 이병천

표 21 영어회화 전문강사 수요 확대 필요 이유(단위: %, 무응답자 제외)

구분 전체 서울 서울 외

대도시

중소

도시

읍/면

지역

응답자의 수 (106) (10) (28) (46) (22)

교육 수준별 전문 강사가 필요 52.8 70.0 42.9 47.8 68.2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 21.7 10.0 10.7 34.8 13.6

영어 수업시간이 늘어서 6.6 10.0 21.4 0.0 0.0

계 81.1 90 75 82.6 81.8

포함하여 영어강사제도의 확대에 찬성하는 가장 큰 이유는 수준별 전문강사

의 필요성(52.8%)을 들었고, 다음으로 전문성 향상(21.7%)와 영어수업시간이 늘

고 있기 때문(6.6%)로 나타났다. 즉, 대부분의 찬성 이유는 수준별 수업에 따른

전문강사의 필요성 때문에 전문강사제도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기

타 의견으로는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4.7%), 강사의 실력이 정규교사

에 뒤지지 않기 때문에(1.9%), 1:1 수업의 필요성(1.9%)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도시의 경우는 업무의 효율성을 위해서 필요하다는 의견이 10.1%로 나타

나, 전반적으로 영어강사제도의 확대 찬성에 대한 주요의견은 수준별 전문강사

의 필요와 전문성 향상, 기타 의견으로는 수업 등 교사업무의 효율성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전문강사제도를 확대할 필요가 없다는 이유에 대한 설문 결과이다.

표 22 영어회화 전문강사 수요 확대 필요하지 않은 이유(단위: %, 극소수 응답 제외)

구분 전체 서울 서울 외

대도시

중소

도시

읍/면

지역

응답자의 수 (92) (16) (17) (42) (17)

영어 정교사 수요 확대가 필요 32.6 31.3 41.2 38.1 11.8

이미 충분하다 18.5 6.3 5.9 23.8 29.4

모름 13.0 6.3 11.8 7.1 35.3

불안정한 입지 5.4 12.5 11.8 0.0 5.9

회화강사 자질을 갖춘 이가 부족 4.3 0.0 0.0 9.5 0.0

효과적인 전문성 발휘가 어렵다 3.3 6.3 0.0 2.4 5.9

제도정착이 제대로 안되어 있음 2.2 0.0 5.9 2.4 0.0

계 79.3 62.7 76.6 83.3 88.3

전문강사제도를 확대할 필요가 없다는 가장 큰 이유는 흥미롭게도 „영어 정

교사 수요 확대가 필요하기 때문(32.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영어강사들이

생각할 때 회화전문강사의 확대가 아닌 정규교사확대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

은 두 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영어강사를 영어정규교사로 전환시킬

필요가 있다고 해석할 수 있고, 두 번째는 영어강사보다 정규영어교사를 확대

하는 것이 우리나라의 영어교육의 안정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해석이다. 본

항목에 대해서는 좀 더 연구해 볼 가치가 있다. 영어회화강사의 확대 반대에

Page 17: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 299

대한 두 번째의 이유는 이미 영어회화강사가 충분하게 확대되어 있으니 더 이

상의 확대필요는 없다(18.5%)로 나타났다. 지역별 응답을 분석하여 보면, 특히

서울과 대도시의 경우 확대반대의 주요한 이유는 불안정한 입지 때문이라는 응

답이 각각 12.5%와 11.8%로 나타나 주목할 만 하다. 서울의 경우는 의견이 다

양하게 나타났는데, 인원만 확대하는 것에 대한 반대(6.3%),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6.3)이라는 의견과 회화중심의 수업을 하지 않는 현실과 정규교사와의 업

무가 차이가 없기 때문이라는 의견 들이 있었다. 다음은 영어회화 전문강사직

을 수행함에 있어 어려운 점을 알아보았다.

표 23 영어회화 전문강사직 수행에 있어 어려운 점(단위: %, 극소수 응답 제외)

구분 전체 서울 서울 외

대도시

중소

도시

읍/면

지역

응답자의 수 (199) (26) (45) (88) (40)

없음 61.3 42.3 57.8 68.2 62.5

교사에 비해 처우가 미흡하다 4.5 3.8 8.9 3.4 2.5

강사 신분이 불확실해 불편하다 3.0 11.5 2.2 0.0 5.0

계약기간에 대한 불안감이 존재 4.0 11.5 4.4 2.3 2.5

소속감 결여 3.0 3.8 11.1 0.0 0.0

업무가 과중하다 2.0 0.0 0.0 3.4 2.5

보수가 적다. 2.0 11.5 2.2 0.0 0.0

계 79.8 84.4 86.6 77.3 75

영어강사직을 수행함에 있어 어려운 점으로는 „교사에 비해 처우가 미흡하다

(4.5%)‟와 „강사신분이 불확실(3.0%)‟, 계약기간에 대한 불안감(4.0%), 소속감 결

여(3.0%), 그리고 전문강사제도의 미정착(2.5%), 업무의 과중(2.0%)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특별한 어려움이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약 61.3%로 나타나

강사의 업무수행이나 학교 생활이 무난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지역별로 보

면 특이한 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강사신분에 대한 불안감이 서울

의 경우 11.5%로 대도시(2.2%)나 중소도시(0.0%)와 대조적이었다. 서울의 경우

보수가 적어서 어려움을 느낀다는 응답이 아래 표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11.5%로 높게 나타난 반면, 중소도시나 읍/면 지역의 경우는 보수 때문에 어려

움을 느낀다는 응답은 0%로 대조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표 24 영어회화 전문강사직 수행에 있어 어려운 점: 기타의견(단위: %)

구분 전체 서울 서울 외

대도시

중소

도시

읍/면

지역

전문 강사제도가 미정착 2.5 7.7 2.2 1.1 2.5

강사의 수업 량이 많다 1.5 0.0 2.2 0.0 5.0

수업 이외의 잡무가 많다 1.0 0.0 2.2 0.0 2.5

계 4 7.7 4.4 1.1 7.5

Page 18: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300 이병천

반면에 강사의 수업량이 많아 어렵다는 의견이 서울(0.0%)와 대도시(2.2%),

중소도시(0.0%)인데 반하여 읍/면지역은 5.0%로 나타났다. 기타 의견으로는 학

생들 수준이 낮아서(1.0%), 학생들이 수업을 어려워해서(1.1%), 그리고 학생통제

의 어려움(2.0%), 업무의 범위나 교사와의 차별성이 각각 1.5% 등으로 나타났

다. 특히 수업 외의 잡무가 많아서 어렵다는 응답은 서울지역은 0.0% 등으로

적은데 비하여 읍/면지역은 2.5%로 대조를 보여 주었다.

표 25 영어회화 전문강사 제도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의견(단위: %, 극소수의견 제외)

구분 전체 서울 서울 외

대도시

중소

도시

읍/면

지역

응답자의 수 (199) (26) (45) (88) (40)

없음 78.9 57.7 75.6 88.6 75.0

명확한 처우 및 대우 개선 4.0 3.8 8.9 2.3 2.5

행정제도의 체계적 개선 2.5 11.5 2.2 0.0 2.5

전문연수과정을 이수했으면 2.0 0.0 0.0 0.0 10.0

강사 경력 인정 1.5 3.8 2.2 0.0 2.5

근무환경 열악 1.5 0.0 6.7 0.0 0.0

90.4 76.8 95.6 90.9 92.5

기타의견에 대한 구체적 언급 의견은 명확한 처우 개선(4.0%)와 행정제도의

개선(2.5%), 그리고 전문연수과정의 이수 필요성과 강사경력의 인정 필요성 등

이다. 근무환경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한지역적 비율은 대도시에서 6.7%로 가

장 높게 나타나, 서울이나 읍/면지역 등(0.0%)와 뚜렷하게 비교되는 점이 흥미

롭다. 본 항목은 설문 항목이 미리 주어지지 않은 개방형 설문이기 때문에 여

타 개방형 질문과 마찬가지로 응답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설문에 성실하게 응

답한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다양한 의견을 종합하여 보면 „교사‟로서의 위치가

뚜렷하지 않고 업무가 구체적이지 않아 소속감 부여 방안이 필요하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영어강사선발시험에 대한 객관적 조사를 위하여 1,2,3차 선발 시험

에 대한 강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영어강사의 수업 현황과 함께 선발

시험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하여 실제 필요한 수행능력 대비 시험 요소에 대한

적합성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앞으로의 영어강사선발시험의 개선 방향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목적을 위하여 전국을 서울과 서울 외 대도

시, 그리고 중소도시와 읍/면 지역으로 나누어 영어강사 19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장에서는 영어강사선발시험에 대한 설문조사결과에 따

라 선발시험에 대해 도출한 결론과 아울러 개선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강사 선발 응시자격의 최소요건은 국내 학사학위 또는 동등학력

Page 19: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 301

소지자 중 영어관련 학과 졸업자(36.2%) 혹은 이 조건을 충족하고 일정수준 이

상의 공인영어시험 점수 소지자(39.7%)가 되어야 응시자격을 부여하는 것이 타

당할 것이다. 교사자격증이 선발요건의 최소자격이 되어야 한다는 응답자는 전

체적으로 보아 매우 미미하였다.

둘째, 1차 시험 전형의 중요한 요소로서는 교사 자격증 소지여부(28.6%)이며,

다음으로 영어공인 시험점수(26.9%), 교육 경력(26.5%) 을 주요 전형 요소로 하

고 이에 적절한 점수를 부여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1차 시험 전형 요소에서 공인영어시험점수를 요구할 경우, 말하기와 쓰

기의 공인점수를 요구할 필요가 있다. 공인영어점수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

은 84.5%로 대다수의 전문강사들이 표현능력에 대한 전형 요소의 중요성을 인

정하였다.

넷째, 2차 선발시험전형요소인 교수학습수업지도안 작성시간은 구상시간 10분

과 실제 수업지도안작성에 약 50분 정도가 필요하다. 교수학습지도안 평가항목

은 교수학습활동 및 절차(29.8%), „학습 목표(24.5%)‟, „언어표현(23.3%)‟, „지도안

구성(22.5%)‟ 등을 고르게 점수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2차 전형에서 수업실행능력에 대한 배점을 높일 필요가 있다. 수업

실연 평가 요소의 중요도 응답 결과에서 수업 실행 능력(32.8%), 수업 구성 능

력(25.4%), 교수언어사용능력(23.7%), 그리고 교수태도로 18.1%로 나타났다. 또

한 현재 영어회화강사들이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는 요소에는 대다수의 강사들

이 수업실행능력(65.3%)을 들었다. 이는 수업구성능력(17.1%), 교수언어사용능력

(14.1%), 그리고 교수 태도(3.5%) 에 비하여 뚜렷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역시 강사선발시험에서의 항목에서 수업 실행 능력을 중요하게 판단해야 하고,

실제 수업 현장에서도 수업 실연 항목에 대한 교사 연수나 자기 연수 등의 필

요성을 제기하는 설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업실행배점을 높이는 동

시에 수업실행능력향상에 대한 자기연수 혹은 교육청별 연수가 제도적으로 뒷

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2차 선발시험 중 마지막 응시 분야인 심층면접 시험 구상 시간 약

7.4분, 그리고 면접 시간 약 7.4분으로 약 2.4분씩 늘려 총 14.7분, 즉 약 15분

정도로 현재보다 약간 늘려줄 필요가 있다. 그리고 심층면접 평가 항목들의 중

요도 설문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전문성(27.9%), 교직관 및 인성 적성(25.5%),

문제 해결 능력(23.4%), 의사소통능력(23.2%)을 고루 배정할 필요가 있으며, 그

중 전문성에 대한 배점에 가중치도 고려해 볼만 하다.

일곱째, 영어강사 선발 시험 항목별 배점 등 시험 제도 전반에 걸쳐 지역별

로 유연하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2차 선발시험에서 수업실연 부분

의 설문결과를 보면 중소도시에서 수업구성능력보다 교수언어사용능력이 더욱

필요하다는 설문조사 결과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영어로 작성하는 수업

지도안에서의 언어표현 항목은 중소도시와 읍/면지역에서는 타지역보다 특히

강조되고 있다. 영어강사제도의 확대에 대한 방향 또한 지역별로 차이가 있는

만큼 시도교육청별로 유연하게 결정해야 할 것이다. 설문 조사 결과 전체적으

Page 20: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302 이병천

로 보면 확대해야 한다(53.3%)가 확대할 필요가 없다(46.2%)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지역별로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서울은 확대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이 61.5%로 확대 찬성의견인 38.5%보다 많은 차이가 있는 반면 서울 외

대도시는 확대의견이 62.2%, 반대 의견이 37.8%로 서울과 정반대의 결과를 보

여주었다. 따라서 이 역시 지역별로 교사 수급제도를 면밀하게 분석하여 시도

교육청별로 결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강사 제도 확대에 찬성하는 가장 큰

이유를 보면 수준별 전문강사의 필요성(52.8%)이 가장 높게 나타난다.

전반적으로 현재의 영어강사 선발시험의 전형요소는 국내외에서 영어교사에

게 요구하는 주요한 능력들을 고르게 반영하고 있다고 하겠다. 선행연구에서

나타났듯이 영어 교사에게 필요한 능력을 종합하여 보면 첫째로 교사의 수업

영어 사용 능력과 수업 계획과 설계 능력 그리고 교사의 수업 실행 능력이며

교직관, 적성, 인성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Halliwell(1992)과 Littlewood(1981)가

강조하는 영어교사의 능력도 영어사용능력, 수업계획과 설계 능력 그리고 수업

실행 능력이 아울러 강조되고 있다. 또한 해외의 교사선발 관련 대표적인 시험

인 CELTYLL(Certificate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to Young Learners)과

CELTA(Certificate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to Adults)에서 영어교사에게 필요한

능력은 수업설계능력, 수업 실행능력, 수업평가능력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상호

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학습형태로 연습, 대화, 역할놀이, 받아쓰기, 학습자 조직,

그리고 교수 전략, 의미 협상 및 학습 목표 등도 실제적 수업 실행능력에 포함

되나 수업실연상황이 10분이라는 짧은 시간과 실제적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

교실 상황을 부여하기 힘들기 때문에 제한점은 있다. 하지만 영어강사들이 가

장 중요하게 개선해야 하는 점이 수업실행능력이라고 응답한 점을 고려한다면

적어도 마이크로티칭(소집단수업) 수업 형태를 적용하여 실제 수업상황을 만들

어 주는 방안을 신중하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영어강사들의 수업 현황

을 보면, 주요 업무가 수준별 영어수업(76.4%)이고, 그 다음이 방과후 학습

(57.3%), 일반 정규 영어수업(35.7%) 등 주당 약 20시간 정도의 수업을 진행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약 66.8%가 향후 영어교사임용선발시험에 응시할

의향이 있으며, 93.4%의 응답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영어강사 업무가 향후

정규 교사로 임용되고 난 후 교사 업무를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응

답하였다. 또한 전체 응답자 중 영어정교사 자격증 소지자의 비율은 약 90%로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교사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었다. 이런 점을 고려한다면 2

차 전형에서의 수업실연이라는 부분은 상호작용을 관찰할 수 있는 실제수업능

력측정이 가능한 방향으로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고경석, 김정렬, 김진석, 김진완, 김해동, 류호열, 신상근, 이성원, 윤현숙, 정숙

경, 조정순, 최성희, 표경현, 이제영, 김영미. (2008). 표시과목「영어」의

Page 21: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 303

교사 자격 기준 개발과 평가 영역 상세화 및 수업 능력 평가 연구(CRE

2008-6-2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고정민. (2008). 교수방법과 TETE 수업을 중심으로 살펴본 중학교 영어교육. 외

국어교육, 15(1), 383-407.

교육인적자원부. (2006). 영어교육 혁신방안 정책참고자료. 교육인적자원부.

김은주. (2008). 한국 초∙중등 영어 교사 양성 및 재 양성 기관 교과과정 탐색

연구. English Teaching, 63(2), 261-282.

김진석, 김용명, 백인환, 이정민, 임정신, 이천우. (2009). 중∙고등학교 영어회화

수업편성 운영방안 연구(연구보고 CRI 2009-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민찬규. (2008).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에 대한 교사 의식 조사. 영어교육연

구, 20(2). 167-190.

박선호. (2010). 영어회화 전문강사 제도에 관한 초등학교 기본연수 강사들의 인

식 연구. 초등영어교육, 16(2), 157-184.

박준언. (2008).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TEE)” 진단 매뉴얼 개발 및 활성화

방안 모색. 교육인적자원부.

신동일. (2003). 비원어민 교사들의 영어수업 진행능력 평가영역 개발: ESP 관점

에서. 영어교육, 58(4), 61-98.

이 윤. (1999). 초등 영어 수업의 평가 방안. Foreign Languages Education, 6, 197-222.

임찬빈. (2004). 수업평가 기준 개발 연구(Ⅰ): 일반 및 교과(영어, 도덕, 체육) 기

준 상세화(연구보고 RRI 2004-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임찬빈. (2005). 수업평가 기준 개발 연구(Ⅱ): 일반 및 교과(영어, 도덕, 체육) 기

준 상세화(연구보고 RRI 2005-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진경애, 이상하, 조보경, 최희경, 최성희, 최문영, 최태희, 박유미. (2009). TEE 진

단 평가 도구 개발(연구보고 CRE 2009-1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Allen, P., Bailystock, E., Cummings, J., Mougen, R., & Swain, M. (1982). The

development of bilingual proficiency: Interim report on the first year of research.

Unpublished manuscript, Onario Institute for Studies in Eucation, Toronto. ED 301

030.

Halliwell, S. (1992). Teaching English in the primary classroom. UK: Longman Group.

Jeon, In-Jae. (2008). Korean EFL teachers‟ beliefs of English-only instruction. English

Teaching, 63(3), 205-230.

Littlewood, W. (1981).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Na, Yoon-Hee., Ahn, Byung-Kyoo.,& Kim, Hyung-Sun. (2008). Evaluating an in-service

English teacher training program from multiple perspectives. English Teaching,

63(4), 273-302.

Pho, Kyong-Hyon.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perceptions of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and their achievement. English Teaching, 64(1), 95-108.

Page 22: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304 이병천

부록 1

-설문지-

영어회화

전문강사용

통계법 13조(비밀의 보호)에 의거 본 조사에서 개인의

비밀에 속하는 사항은 엄격히 보호됩니다.

안녕하십니까? 교육과학기술부는 초등 영어수업 시수 확대 및 중등 수준

별 영어 이동수업 실시 등 영어교육 강화정책에 따른 영어교사 수요 증대

에 따라 2009년부터 영어회화 전문강사를 선발․운영하여 왔습니다. 영어회

화 전문강사의 효과적인 선발․운영 방안에 대한 의견을 주시면 커다란 도

움이 될 것입니다. 선생님의 응답 내용은 통계법 13조에 의해 철저하게 비

밀이 보장되며 오직 통계분석 용도로만 사용됨을 약속드립니다. 바쁘신 중

에 잠시만 시간을 내어 응답해 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Ⅰ. 배경 변인에 대한 항목입니다.

1. 성별: ① 남자 ② 여자

2. 연령: ① 20대 ② 30대 ③ 40대 ④50대 이상

3. 학교급: ① 초등학교 ② 중학교 ③ 고등학교(☞3-1로)

3-1. 학교 유형: ① 일반계고 ② 전문계고 ③ 특수목적고

④ 기타( )

4. 학교 소속 지역:

① 서울 ② 부산 ③ 대구 ④ 인천 ⑤ 광주 ⑥ 대전

⑦ 울산 ⑧ 경기 ⑨ 강원 ⑩ 충남 ⑪ 충북 ⑫ 전남

⑬ 전북 ⑭ 경남 ⑮ 경북 제주

5. 소속 지역 규모: ① 대도시 ② 중/소도시 ③ 읍/면 지역

6. 영어회화 전문강사 경력 ( )개월

7. 기타 재직경력(해당사항을 모두 기입하십시오.)

① 기간제교사 ( )개월 ② 방과후학교 담당교사 ( )개월

③ 기타(경력명: )( )개월 ④ 해당 없음

8. 초등 2급 정교사 자격증 또는 중등 영어 2급 정교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습니까?

① 그렇다. ② 그렇지 않다.

9. 향후 교원임용고사에 응시할 의향이 있습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해당 사항에 √표나 기술해 주십시오.

Page 23: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 305

Ⅱ. 영어회화 전문강사에 대한 개요를 참고하여 다음 질문에 답하여 주십시오

1. 영어회화 전문강사 응시 자격의 최소 조건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 국내 학사학위 또는 동등 학력 소지자 이상

② 1번 조건을 충족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공인영어시험점수 소지자

③ 국내 학사학위 또는 동등 학력 소지자 중 영어 관련 학과 졸업자

④ 3번 조건을 충족하고 일정 수준 이상의 공인영어시험점수 소지자

⑤ 기타( )

2. 영어회화 전문강사로서 학교에서 실제 담당하고 있는 업무는 무엇입니까?

(해당사항을 모두 고르십시오.)

① 일반정규영어수업(☞ 2-2로) ② 수준별 영어수업(☞ 2-1/2-2로)

③ 방과 후 학습(☞ 2-2로) ④ 원어민 보조교사 관리(☞ 2-2로)

⑤ 기타( )

2-1. 수준별 영어수업의 담당 수업 수준은 무엇입니까?

(해당사항을 모두 고르십시오.)

① 상 ② 중 ③ 하

2-2. 담당 업무별 주당 시수를 기술해 주십시오.

(해당사항을 모두 기술해 주십시오.)

① 일반정규영어수업( 시간) ② 수준별 영어수업( 시간)

③ 방과 후 학습( 시간) ④ 원어민 보조교사 관리( 시간)

⑤ 기타( )

3. 영어회화 전문강사직 수행이 교원 임용 후 교수․학습 등의 교사 업무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 응시 자격: ① 초등 교사 자격증 또는 중등 영어 교사자격증 소지자 또는

② 학사 학위 이상 소지자 중 영어 능통자로서 시․도교육감이 정하는 자

격기준에 해당하는 자 ※시․도별 자격 최소 기준 예) 국내 3,4년제 대학

졸업자

• 신분 및 임용기간: 교원 정원 외로 선발되는 계약직이며 1년, 한 학교에서

최대 4년까지 계약 갱신 가능하며 교원 정원 외로 선발되는 계약직으로,

정규 교원으로 임용됨에 있어 어떠한 우선권도 인정되지 않음

• 연봉 2,400만원(세전 소득, 퇴직금 별도) ※ 지역에 따라 농산어촌 도서벽

지 근무 수당(월30~50만원) 및 순회 강사 수당(월10~15만원) 별도 지급

• 담당 업무: 추가로 확대되는 영어 정규 수업 및 영어교육 업무 지원

Page 24: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306 이병천

Ⅲ. 영어회화 전문강사 1차(서류) 전형 개요를 참고하여 다음 질문에 답하여

주십시오.

1. 1차 전형 요소들의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주십시오.

※ 예) ① 기본 점수(30%) ② 자격증 소지여부(30%) ③ 영어공인 시험 점수(30%)

④ 교육 경력(10%)

① 기본 점수( %) ② 자격증 소지여부( %)

③ 영어공인 시험 점수( %) ④ 교육 경력( %)

2. 공인영어시험점수의 경우 말하기, 쓰기 영역의 점수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그렇지 않다. ⑤ 전혀 그렇지 않다.

Ⅳ. 영어회화 전문강사 2차 전형의 교수․학습 지도안 및 수업 실연 평가

개요를 참고하여 다음 질문에 답하여 주십시오.

1. 교수․학습 지도안 시험 시간에 대한 의견을 적어주십시오.

※ 예) ① 전체 시험 시간(60분) ② 구상 시간(10분) ③ 작성시간(50분)

① 전체 시험시간( 분) ② 구상시간( 분)

③ 작성시간( 분)

• 기본 점수 : 최소 요건 충족시

※ 자격요건 부합, 첨부서류, 자기소개서 및 활동계획서 제출시 기본 점수

부여

• 자격증 소지여부: 초등 2급 정교사 자격증, 중등 영어 2급 정교사 자격증

TESOL MA, TEFL MA, TESL MA 등

교육대학원 영어교육과 석사 등(교사자격증 미발급)

• 영어공인 시험 점수: TOEIC, TOEFL, TEPS, IELTS 등

• 교육 경력: 5년 이상, 3년 이상 5년 미만, 1년 이상 3년 미만, 3개월 이상

1년 미만

※ 위 전형 요소의 세부 항목들은 시․도교육청 별로 다를 수 있음.

• 교수․학습 지도안

- 시험 시간: 구상 10분, 작성 50분

- 배점: 50점

- 평가항목: 지도안 구성, 학습목표, 교수학습활동 및 절차, 언어 표현

• 수업 실연

- 시험 시간: 구상 10분, 실연 10분

- 배점: 100점

- 평가항목: 수업구성능력, 수업실행능력, 교수언어 사용능력, 교수 태도

Page 25: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 307

1-1. 현행 시험 시간과 비교하여 볼 때 시험 시간이 새로이 바뀌어야 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 )

2. 교수․학습 지도안 평가 항목들의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주십시오.

※ 예) ① 지도안 구성(10%) ② 학습목표(20%) ③ 교수학습활동 및 절차(50%)

④ 언어 표현(20%)

① 지도안 구성( %)

② 학습목표( %)

③ 교수학습활동 및 절차( %)

④ 언어 표현( %)

3. 수업 실연 시험 시간에 대한 의견을 적어주십시오.

※ 예) ① 전체 시험 시간(20분) ② 구상 시간(10분) ③ 실연시간(10분)

① 전체 시험 시간( 분)

② 구상시간( 분)

③ 실연시간( 분)

3-1. 현행 시험 시간과 비교하여 볼 때 시험 시간이 새로이 바뀌어야 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 )

4. 수업 실연 평가 항목들의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주십시오.

※ 예) ① 수업구성능력(20%) ② 수업실행능력(40%) ③ 교수언어 사용능력(20%)

④ 교수 태도(20%)

① 수업구성능력( %) ② 수업실행능력( %)

③ 교수언어 사용능력( %) ④ 교수 태도( %)

5. 수업 실연 평가 항목들 중 본교의 영어회화 전문강사가 가장 시급히

개선해야 할 항목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순위를 적어주십시오.)

① 수업구성능력( 순위) ② 수업실행능력( 순위)

③ 교수언어 사용능력( 순위) ④ 교수 태도( 순위)

Ⅴ. 영어회화 전문강사 2차 전형의 심층 면접 평가 개요를 참고하여 다음

질문에 답하여 주십시오.

• 시험 시간: 구상 5분, 면접 5분

• 배점: 100점

• 문항수: 교직관 및 인성적성, 문제해결능력, 전문성 관련하여 각 1문항씩

총 3문항

• 평가항목: 교직관 및 인성적성, 문제해결능력, 전문성, 의사소통능력

Page 26: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308 이병천

1. 심층 면접 평가 시간에 대한 의견을 적어주십시오.

※ 예) ① 전체 시험 시간(10분) ② 구상 시간(5분) ③ 면접(5분)

① 전체 시험 시간( 분) ② 구상 시간( 분)

③ 작성시간( 분)

1-1. 현행 시험 시간과 비교하여 볼 때 시험 시간이 새로이 바뀌어야 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 )

2. 심층 면접 평가 항목들의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주십시오.

※ 예) ① 교직관 및 인성적성(20%) ② 문제해결능력(30%) ③ 전문성(30%)

④ 의사소통능력(20%)

① 교직관 및 인성적성( %) ② 문제해결능력( %)

③ 전문성( %) ④ 의사소통능력( %)

Ⅵ. 다음은 Ⅰ~Ⅴ와 관련된 종합적인 내용입니다.

1. 영어회화 전문강사의 수요 확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그렇다. (☞ 1-1로) ② 그렇지 않다. (☞ 1-2로)

1-1. 영어회화 전문강사의 수요 확대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지 기술해

주십시오.

( )

1-2. 영어회화 전문강사의 수요 확대가 필요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지

기술해

주십시오.

( )

2. 2차 시험 과목들의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주십시오.

※ 예) ① 교수수업지도안(20%) ② 수업실연(50%) ③ 심층면접(30%)

① 교수수업지도안( %) ② 수업실연( %)

③ 심층면접( %)

3. 영어회화 전문강사직을 수행함에 있어 가장 힘든 점은 무엇인지 기술해

주십시오.

( )

4. 영어회화 전문강사 제도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기타 의견을 개진해

주시기 바랍니다.

- 설문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Page 27: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 309

부록 2

-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 시험 개요-

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 시험은 각 시․도별로 시험 요목별로 상이하지만 개략

적인 전형 요소를 나타내기 위해서 특정 시도에서 공고한 내용 중 주요 요소

를 중심으로 하여 제시한다.

1. 시험 일정 및 시간

2. 시험 과목 및 배점

1) 제1차 시험(서면심사)

구 분 내 용 총 배점 비고

전형 서류 제출 ○ 최소 요건 충족 시 30 점

자격증 및 학위증

○ 교사자격증 등 ○ 학위, TESOL 자격증 등 ○ 영어교육과 졸업 학위

30 점 ○ 중복 시 시도별

선택적 조정

영어공인 인증시험 ○TOEFL 등 공인 외국어 시험

점수 30 점

○ 중복 시 시도별

선택적 조정

교육경력 5 년 이상 ~ 1 년 미만 10 점 합 계 100 점

시험별 시험과목 대 상 시험시간 시험장소

제 1 차 시 험 서 면 심 사

제 2 차 시 험

교수․학습

지도안 작성

1 차 시험

합격자 09:30~10:30(1 시간)

각 시도 교육청

홈페이지 및 신문

공고

수업실연 1 차 시험

합격자

11:30~18:00

(10 분 구상 10 분 실연)

심층면접 1 차 시험

합격자

09:30~18:00

(5 분 구상 5 분 면접)

Page 28: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310 이병천

2) 제2차 시험

시험 과목 내 용 배점 비고

교수∙학습 지도안 작성 ○교수․학습 지도안 작성 [영어로 작성] 100 점

수업실연 ○수업실연 [영어로 실시] 50 점

심층면접 ○영어회화 전문강사로서의 적성, 교직관

및 소양 [영어로 실시] 100 점

합 계 250 점

3. 특징

1) 합격자수는 일반적으로 선발분야별 인원의 1.5배수로 함

2) 서면 심사 시 동점자 처리 우선순위(예)

- 1순위 : 자격증 및 학위증 배점 고득점자

- 2순위 : 영어공인인증시험 배점 고득점자

- 3순위 : 교육경력 배점 고득점자

- 4순위 : 교육경력 고경력자

3) 최종 합격자

- 최종합격자는 제2차 시험의 교수․학습지도안, 심층면접, 수업실연

시험과목별로 배점의 40% 이상을 득점한 자(과락 규정)로서

- 제1차 시험의 성적(50점 만점으로 환산), 제2차 시험의 성적(250점)을

합산한 점수(300점 만점)의 다득점자 순으로 선발함

4) 최종 합격자 우선순위

- 1순위 : 수업실연 고득점자

- 2순위 : 심층면접 고득점자

- 3순위 : 교수․학습지도안 작성 고득점자

- 4순위 : 제1차 시험 고득점자 순으로 결정함

5) 합격자 사정 제외 규정

- 제2차 시험(심층면접, 교수․학습지도안, 수업실연) 성적이 각각 해당

배점의 40%미만(과락)인 경우와 총점이 만점(250점)의 60% 미만인 자

- 제2차 시험 과목별 미응시(결시)자는 합격자 사정에서 제외

교육단계(applicable levels): 중등교육(secondary)/고등교육(tertiary)

주제어(key words):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English Conversation Instructor), 교사선발(teacher

selection), 전문강사(English Specialist)

Page 29: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5_4_12.pdf · 주제 연관 능력, 그리고 교과서 실제성

한국 중등영어회화전문강사 선발시험 개선연구 311

이병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0-784) 서울시 중구 정동 15-5

Tel: (02)3704-3956/010-2574-1180

Fax: (02)3704-3954

E-mail: [email protected]

Received in

Reviewed in

Revised version recei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