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7
살균소독제 한국환경보건학회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21동 615호 TEL.02-579-8896 Fax.02-579-8875 www.kseh.org 살균소독제 Case Studies on Victims of Humidifier Disinfectants 이 연구는 환경보건학회 회원들의 성금과 자원봉사로 수행되었습니다.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의 노출실태와 건강영향 조사 2012년 6월 조사연구보고서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View
    2.206

  • Download
    8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살균소독제

한국환경보건학회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221동 615호

TEL.02-579-8896 Fax.02-579-8875 www.kseh.org

살균소독제

Case Studies on Victims of Humidifier Disinfectants

이 연구는 환경보건학회 회원들의 성금과 자원봉사로 수행되었습니다.

조사연구보고서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의

노출실태와

건강

조사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의노출실태와 건강 향 조사

2012년 6월

조사연구보고서

2012환경보건표지(A3) 2012.6.11 11:32 AM 페이지1

Page 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사례 조사연구

Case Studies on Victims of Humidifier Disinfectants

2012년 6월

한국환경보건학회

Page 3: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Page 4: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사례 조사연구

Case Studies on Victims of Humidifier Disinfectants

2012.6.11.

이 보고서를 한국환경보건학회에서 수행한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사례

조사연구 보고서로 제출합니다.

연구원

박동욱 (학회 편집위원장, 방송 )

박정임 (순천향 )

백도명 (학회장, 서울 )

이경무 (방송 )

임신예 (경희 )

임종한 (인하 )

임흥규 (환경보건시민센터)

최경호 (학회 학술이사, 서울 )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하종식 (한국환경보건학회)

학생연구원

이새람 (서울 ) 이은정 (방송 ) 전재범 (방송 )

지영아 (순천향 ) 진별이 (순천향 )

Page 5: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검토 및 자문위원

박석환 (서원 )

양원호 ( 구가톨릭 )

유명순 (서울 )

정지연 (용인 )

조영태 (서울 )

연구의 수행에 도움을 주신 가습기살균제피해자 책모임에 감사드립니다.

이 연구는 한국환경보건학회 회원들의 성금으로 수행되었습니다. 깊이 감사드립니다.

김양호, 김정훈, 김판기, 박동욱, 박석환, 박영식, 박정임, 백도명, 안령미, 양원호, 어수미, 이경무, 이기영, 이상우,

임국환, 임신예, 임종한, 정지연, 조혜리, 주송이, 최경호, 황윤형, 황지희(가나다순)

Page 6: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i -

목 차

서문 1

요약문 3

I. 배경과 목적 5

1. 사건의 배경

2. 가습기 살균제 피해의 규모

3. 가습기 살균제의 사용실태

4. 조사연구의 목적

II. 조사 연구의 방법과 추진체계 15

1. 조사 상과 기간

2. 조사내용

3. 연구추진체계

III. 피해자의 일반특성과 건강영향 21

1. 조사연구 상

2. 피해자의 인구학적 특성

3. 피해 상자의 질병력

4. 건강피해 중증도 분포 특성

5. 소결

IV. 피해자의 가습기 살균제 노출특성 39

1. 가습기 및 가습기 살균제 사용 시작년도

2. 1년 중 가습기 사용 시작 및 종료 시기

3. 가습기 사용특성

4. 가습기 살균제 사용특성

V. 가습기 살균제 사용과 건강피해 상관성 분석 53

1. 질병발생 통계 분석

2. 건강피해 영향 요인 분석

3. 짝지은 환자- 조군 분석

Page 7: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ii -

4. 소결

VI.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와 가족의 정신 건강영향 81

1. 조사의 가설

2. 정신건강 조사 도구

3. 의미와 제한점

4. 소결

5. 설문조사 - 문제해결을 위한 의식조사 분석

VII. 결론 109

1. 요약 및 결론

2. 제한점과 과제

VIII. 참고문헌 114

IX. 부록 117

1. 설문지 양식

2. 설문지 기입 사례

3. 가습기살균제 가족피해 사례소개

4. 설문조사 사진

5. 가습기 살균제 성분의 알려진 독성

Page 8: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iii -

표 목 록

표 1.1. 가습기 살균제 피해사건의 경과일지

표 1.2. 피해신고사례의 유형과 연령집단 및 건강피해

표 1.3. 피해자들의 가습기살균제 제품별 사용빈도와 정부조치

표 2.1. 사례 조사연구 절차

표 3.1. 조사연구 및 분석 상 피해사례(가족)의 선정

표 3.2. 가구 당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분포

표 3.3. 4인 가족과 5인 가족에서 자녀 순서에 따른 질병발생 빈도

표 3.4.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설문조사 응답자의 학력분포

표 3.5.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분석 상의 지역별 분포

표 3.6. 가습기살균제 피해 분석 상의 성별 연령별 분포

표 3.7. 가습기살균제 피해 분석 상 중 0~9세 피해자 성별 연령별 분포

표 3.8. 가습기살균제 피해증상의 최초 발생월 분포와 우리나라의 월별 상 습도

표 3.9. 분석 상사례(95건)에서의 과거 병력

표 3.10. 분석 상사례(95건)에서의 증상 호소

표 3.11. 피해자 건강피해 중증도 분포

표 3.12. 사망 피해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

표 3.13. 0~9세 사망 어린이의 성별 연령별 분포

표 3.14.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분석 상자 중 사망자의 성별 발생 비율

표 3.15.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분석 상자 중 사망자의 연령별 발생 비율

표 3.16. 어린이 사망자의 연령별 발생 비율

표 3.17. 성인의 성별, 연령 별 피해자 및 사망자 분포

표 3.18. 가임기 피해여성(20-49세)의 최초증상 발생 시 임신여부

표 3.19. 최초 증상 발생 시 임산부 12건의 최종 건강피해 중증도 분포

표 3.20. 건강피해 최초 발생에서 사망까지 걸린 시간 분포

표 4.1. 가습기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n=89)

표 4.2. 가습기 살균제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n=88)

표 4.3. 1년 가습기 사용 시작 종료 시기

표 4.4. 하루 가습기 사용 종료 시각

표 4.5. 가습기 유형과 사용 양상의 특성

표 4.6. 가습기와 호흡기 부 사이의 거리(단 : cm)

표 4.7. 환기 시간(단 : 분)

표 4.8. 조사 상자의 살균제 종류별 사용 특성

Page 9: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iv -

표 5.1. 전국 0-2세 영유아의 폐질환 사망과 간질성 폐질환 사망의 연도별 변화

표 5.2. 사망군과 비사망군에서의 가습기 하루 노출 시간

표 5.3.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하루 노출 시간

표 5.4. 사망군과 비사망군에서의 가습기 노출 기간(개월)

표 5.5.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노출 기간(개월)

표 5.6. 사망군과 비사망군에서의 가습기 살균제 1년중 노출 기간(개월)

표 5.7. 사망군과 비사망군에서의 가습기 살균제 총 노출 기간(개월)

표 5.8.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살균제 1년중 노출 기간(개월)

표 5.9.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살균제 총 노출 기간(개월)

표 5.10. 노출 요인과 사망과의 연관성

표 5.11. 노출 요인과 치명적 손상과의 연관성

표 5.12. 사망에 미치는 요인에 한 다중회귀분석

표 5.13. 치명적 손상에 미치는 요인에 한 다중회귀분석

표 5.14. 동일한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 중 환자군- 조군 특성 비교

표 5.15. 동일한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가습기까지의 거리에 한 교차비

표 5.16. 동일한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흡입량에 한 교차비

표 5.17. 다른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 중 환자군- 조군 특성 비교

표 5.18. 다른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가습기 사용에 한 교차비

표 5.19. 다른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가습기 살균제 사용에 한 교차비

표 5.20. 사망 또는 증상이 나타난 후 출생한 형제 세트 중 환자군- 조군 특성 비

표 5.21. 사망 또는 증상이 나타난 후 출생한 형제 세트-가습기 사용에 한 교차비

표 5.22. 사망 또는 증상이 나타난 후 출생한 형제 세트-가습기 살균제 사용에 한

교차비

표 5.23. 같은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 중 환자군- 조군 특성 비교

표 5.24. 같은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임신여부에 한 교차비

표 5.25. 같은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가습기까지의 거리에 한 교차비

표 5.26. 다른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 중 환자군- 조군 특성 비교

표 5.27. 다른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가습기 사용에 한 교차비

표 5.28. 다른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가습기 살균제 사용에 한 교차비

표 6.1.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정신 건강 설문 응답자

표 6.2. 정신건강 설문 응답자 성별

표 6.3. 정신건강 설문 응답자의 연령

표 6.4. 정신건강 설문 응답자의 교육수준

표 6.5. 설문 응답자 상태 구분

표 6.6. 정신건강 설문 응답자의 조사 상자(피해자)와의 관계

Page 10: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v -

표 6.7. 정신건강 설문에 응답한 가족 내 피해자의 상태

표 6.8. 가습기 살균제 사건으로 인해 정신 치료 여부

표 6.9. 정신 치료 방법

표 6.10. 정신 치료 이후 현재 상태

표 6.11. 가습기 살균제 사건 이후 경과 시간

표 6.12. PTSD 증상 설문 응답자 상태

표 6.13. PTSD 증상자군 분율

표 6.14. 응답자들의 삶의 영역에서 문제가 되는 영역들

표 6.15. PTSD 증상으로 인하여 장애가 되는 삶의 영역의 수

표 6.16. 가족 내 피해자의 상태별 PTSD 점수 및 증상군 분율

표 6.17. 환자 여부별 PTSD 점수 및 증상군 분율

표 6.18. 가족관계 별 PTSD 점수 및 증상군 분율

표 6.19. 가족 내 피해자의 상태별 PTSD 점수 및 고위험군 분율

표 6.20. 환자 여부별 PTSD 고위험군 분율

표 6.21. 가족관계 별 PTSD 점수 및 고위험군 분율

표 6.22. 불안 설문 응답자들에서의 불안의 정도

표 6.23. 가족 내 피해자의 상태별 불안 점수 및 불안 정도

표 6.24. 환자 여부별 불안 점수 및 정도

표 6.25. 가족관계 별 불안 점수 및 정도

표 6.26. 가습기 살균제 사건 이후 자살 충동 여부

표 6.27. 자살 충동 횟수

표 6.28. 가족 내 피해자의 상태별 자살 충동 여부

표 6.29. 환자 여부별 자살 충동 여부

표 6.30. 가족관계 별 자살 충동 여부

표 6.31. 자살 충동 여부에 따른 정신 건강 설문 점수

표 6.32. 자살 충동 여부에 따른 PTSD 및 불안군

표 6.33. 자살 충동 여부에 따른 불안 정도

Page 11: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vi -

그 림 목 록

그림 1.1. 가습기용 살균제 개발 기록(1994년 11월26일 매일경제신문)

그림 1.2. 각종 가습기살균제 제품들

그림 2.1. 조사연구 추진 체계와 역할

그림 3.1. 가습기 살균제 피해 분석 상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전체)

그림 3.2. 가습기 살균제 피해 분석 상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0-9세)

그림 3.3. 피해자의 건강중증도 분포

그림 3.4. 가습기 살균 피해 사망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전체)

그림 3.5. 가습기 살균 피해 사망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10세 미만)

그림 3.6.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중 연령별 사망자 발생 비율

그림 4.1. 가습기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n=89)

그림 4.2. 가습기 살균제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n=88)

그림 4.3. 가습기 사용 및 가습기 살균제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비교

그림 4.4. 영유아 및 성인 피해자의 가습기 사용 분포 비교

그림 4.5. 영유아 및 성인 피해자의 가습기 살균제 사용 분포 비교

그림 5.1. 전국 0-2세 폐질환 사망률(10만명당)

그림 5.2. 전국 0-2세 간질성폐질환 사망률(10만명당)

그림 5.3. 전국 0-2세 폐질환 사망 중 간질성폐질환 사망 비율

그림 5.4. 하루 가습기 시간

그림 5.5. 가습기 사용년도와 사망자 분포

그림 5.6 가습기 살균제 사용년도와 사망자 분포

그림 9.1. 가족피해 사례1

그림 9.2. 가족피해 사례2

그림 9.3. 가습기 살균제 세퓨 노출 동물 폐의 육안소견(질병관리본부)

그림 9.4. 가습기 살균제(세퓨) 동물실험과 폐손상환자의 폐사진(질병관리본부)

그림 9.5. 가습기 살균제(옥시싹싹) 동물실험과 폐손상환자의 폐사진(질병관리본부)

그림 9.6. MIT/CMIT, PGH, PHMG 성분의 가습기살균제에 한 세포독성 실험연구

(박창위 외 2012)

Page 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 -

서 문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부분의 생활용품 속에는 합성 화학물질이 들어있다. 이들은

우리 생활에 편리함을 주기도 하지만 적절히 사용되지 않을 때 우리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국가는 화학물질의 안전한 사용을 보장하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한다.

우리는 지난 2011년 5월 이후 사회적인 반향을 일으킨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사건을 심각한 우려로 지켜보았다. 현재까지 파악된 174건의 피해와 52건의 사망은

어쩌면 빙산의 일각일지도 모른다. 그동안 드러나지 않았던 또 다른

‘가습기살균제’들이 있을 수 있고, 앞으로 비슷한 사건들이 우리에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가습기 살균제 사건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에 한

우리의 안전 불감증을 돌이켜볼 계기이자 우리나라 화학물질 관리 체계의 총체적인

부실을 보여주는 단면이라고 판단한다. 가정에서 화학물질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관리 책을 마련해야할 중요한 시점이다.

사건 이후 한국환경보건학회 회원들 사이에서 2011년 가습기살균제 피해자의

노출과 건강영향 등을 꼼꼼히 조사하여 기록으로 남겨야 한다는 제안이

제기되었다. 피해자들의 노출 실태와 건강영향 기록 등 관련된 모든 자료를 모아

기록으로 남김으로써 향후의 화학물질 관리를 위한 반면교사로 삼음은 물론 학문적

활용도 가능하도록 하자는 것이다.

학회 이사회는 2012년 1월 19일 논의를 통해 조사연구를 추진하기로 의결하였다.

조사의 재원을 회원의 성금으로 마련하고 회원의 자원봉사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기로 하였는데 그 이유는 신속한 조사와 중립적인 판단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2012년 2월부터 연구팀을 구성하고 연구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연구진들이

일일이 그동안 접수되었던 모든 피해자에게 연락하여 조사연구에 참여의사를

확인하였다. 이 중 76가구를 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거주 환경을 직접

방문하여 측정조사하였다.

이 연구만으로 가습기 또는 가습기 살균제 사용으로 인한 건강위험에 한 모든

Page 13: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2 -

의문과 질문에 답할 수는 없었다. 성급한 결론을 내리기 보다는 향후 필요한

학문적 그리고 행정적 과제가 무엇인지 끌어내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번 조사 및

연구는 소중한 교육의 기회이기도 하였고 이를 통해 환경보건을 공부하는 우리

연구자의 영역과 지향을 진지하게 성찰해 볼 수 있었다.

이 보고서가 앞으로 필요한 과제를 설정하고 나아가 가정에서 화학물질 노출로

인한 건강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하는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유명을 달리한 피해자들의 명복을 빌며 아직도 고통 받고 있는 생존자와 유가족께

깊은 위로를 드린다.

2012년 6월 11일

한국환경보건학회

Page 14: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3 -

요약문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건강피해를 신고한 피해자와 그 가족을 상으로 살균제 사용

및 질병 특성을 설문과 인터뷰로 조사하였다.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모임과 환경보건시

민센터에 접수된 피해사례 174건(133가족)을 상으로 조사연구 참여희망 여부를 조사

한 결과 모두 105건(76가족)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 가운데 태아피해사례(출생이전)

와 호흡기 질환 이외의 건강영향 사례 등 모두 10건이 분석에서 제외되어 모두 95사

례 74가족을 상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조사 상자를 직접 방문하여 살균제의 사용

여부와 폐 질환을 포함한 질병은 피해자가 보관한 자료로 확인하였고, 가습기가 사용

된 방과 노출조건 등은 직접 연구진이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피해자와 그 가족의 정신

건강에 미친 영향도 함께 조사하였다.

이 조사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접수된 피해자 부분은 사고 발생 이전에는 특별한 질병이 없는 건강한 상태였던

것으로 보인다. 분석 상 피해자 95명 중 사망자는 31건(33%)이며, 어린이와 가임기

여성이 각각 65%와 26%로 거의 부분이었다. 이는 연령과 임신 여부 등 생물학적 특

성이 가습기 살균제에 한 감수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임을 암시한다.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증상이 처음으로 발생된 시점은 가습기 사용이 증가하는 겨

울철과 초봄(1-4월)에 67%가 집중되어 있으며 증상 발생으로부터 사망까지의 평균시간

은 2.5개월이었다. 민감군에서 비교적 짧은 시간 이내에 심각한 건강영향이 초래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체 조사 상자를 상으로 분석한 결과, 가습기 노출시간, 가습기 살균제 사용량

등의 요인은 사망위험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거나, 오히려 반 의 상관성을 보

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일한 방에서 취침한 영유아 형제 또는 성인을 각각

짝지은 환자- 조군 연구 결과 가습기까지의 상 적인 거리가 짧을수록, 주관적 흡입

량이 많을수록 환자군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연령 또는 임신여부가

질병의 위중도에 영향을 미치는 양상을 고려할 때, 같은 방에서 취침한 짝지은 환자-

조군을 어린이와 성인으로 구분하고 임신 여부를 제어하여 수행한 분석결과는 가습

기 살균제 노출이 건강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일정부분 지시한다고 판단된다. 다른 방

을 사용하여 가습기 살균제 노출 유무로 구분되는, 짝지은 환자- 조군 분석에서도 가

Page 15: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4 -

습기 살균제 사용자 집단에서 전적으로 건강영향이 관찰되었다.

피해자 및 그 가족이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나 불안의 경험 분율이 매우 높았

으며 자살 충동을 느끼는 사람도 많았다. 정신건강영향은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건강

피해의 위중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가족 중 사망자가 있는 집단에서 사망

자가 없는 집단에 비해 자살충동 교차비가 4.97로 유의하게 높았다. 가습기 살균제 피

해자와 그 가족을 정상적인 인간관계 및 사회활동에 지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

며 이에 한 적절한 책마련이 요구된다.

이 조사연구는 가습기만의 건강영향은 파악하지 못했다는 점, 가습기 살균제 노

출과 질환사이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규명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러한 부

분에 한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이 필요하다. 이 경험은 우리 일상생활에서 사용

하는 다양한 화학물질에 한 철저한 안전성 관리가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또

한 불철저한 화학물질 안전관리로 인해 심각한 영향을 받은 피해자들에 한 적절

한 구제와 비슷한 사건의 재발방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Page 16: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5 -

I. 배경과 목적1)

1. 사건의 배경

2. 가습기 살균제 피해의 규모

3. 가습기 살균제의 사용실태

4. 조사연구의 목적

1) 최예용 외. 2012.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8, 164-174.를 토 로 작성되었음

Page 17: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Page 18: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7 -

1. 사건의 배경

우리나라에서 가습기용 살균제가 처음 사용된 것은 1994년으로 추정된다. 1994년 11

월 16일 매일경제신문은 국내 회사가 처음으로 가습기살균제를 개발했다는 기사를 보

도하며 ‘독성실험결과 인체에 전혀 해가 없다’는 개발회사의 광고를 소개했다. 다른 나

라에서 생활제품으로써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한 예는 아직까지 보고되지 않았다.

그림 1.1. 가습기용 살균제 개발 기록(1994년 11월26일 매일경제신문).

2011년 5월11일 ‘미확인 바이러스 폐질환으로 산모들이 잇달아 사망한다’는 내용이

보도되었다. 2011년 8월31일 보건복지부 산하 질병관리본부는 서울시내 한 종합병원에

입원한 산모환자들을 상으로 한 역학조사 결과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하는 경우 원인

미상 폐손상의 발생 가능성이 47.3배 높다는 내용을 발표하였다. 질병관리본부는 시민

들에게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하지 말 것과 제조판매회사들에게 판매를 자제할 것을 권

고하였다.

환경보건시민센터와 가습기살균제피해자모임(http://cafe.daum.net/keepus)은 정부가

조사 상을 산모에 국한하여 영유아에 한 피해조사를 하지 않았다고 지적하며 공개

적으로 피해사례를 접수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2012년 4월 13일까지 모두 171건의 피

Page 19: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8 -

해사례가 접수되었다.

질병관리본부는 2011년 11월11일 동물실험결과를 발표하고 ‘가습기살균제를 흡입시

킨 결과 해당물질이 세기관지 주변 폐 세포에 손상을 가하고, 이러한 영향이 누적되어

폐조직의 섬유화성 병변이 나타났다’며 6개 제품에 해 수거명령을 내렸다. 같은 해

12월30일 보건복지부 산하 식품의약품안전청은 ‘가습기살균제를 의약외품으로 지정하

는 ‘의약외품 범위지정’ 고시 개정안’을 공포 및 시행하였다. 이상과 같이 가습기 살균

제 사용과 관련된 건강영향과 피해의 경과를 표 1.1에 정리하였다.

Page 20: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9 -

일시 주요 발표 및 보고 비고

1994년 가습기살균제 최초개발, 판매시작

유공(현 SK케미칼)

2 0 0 0년 중반

옥시, 세퓨 등 다양한 상품 판매, 소비 증가, 이후 2010년까지 형 마트 PB 상품 등 약 20여종 연간 60만개 판매

2006년 초 의료계, ‘2006년 초에 유행한 소아급성 간질성 폐렴’ 논문발표

한소아학회지

2011년4월25일

서울 한 학병원 ‘중환자실에 급성호흡부전 주 증상 중증폐렴 임산부 환자 입원 증가’ 질병관리본부에 신고 및 조사요청

서울아산병원

2011년5월11일

원인미상 폐질환으로 ‘산모연쇄사망’ 언론보도 (서울아산병원 중환자실 입원사례 8건, 이중 4명 사망, 3건 폐이식 수술)

2011년8월31일

보건복지부, 산모사망사건 역학조사결과 발표; ‘가습기살균제 사용 시 원인미상 폐손상 47.3배 높다’(교차비 47.3,

부분적 독성 실험결과); 2004-2011 사이 서울아산병원 내원 고해상 컴퓨터단층촬영(High 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HRCT) 촬영 1,500건 중 28건 확인, 이 중 18건 환자군과 호흡기내과 등에서의 121건의 조군을 상으로 한 환자- 조군 조사결과. 연령, 성별, 곰팡이, 살충제사용 등을 보정한 후에도 가습기살균제 사용 교차비 48.8(95% 신뢰구간 6.1~392.4) 가습기살균제 판매 및 소비 자제권고.

질병관리본부

2011년9월20일

시민단체, 피해사례 1차 발표; 영유아-사망 5건, 환자 1건,

산모-사망 1건, 피해 1건 등 8건

환경보건시민센터

2011년11월1일 국회토론회; 시민단체, 피해사례 2차 발표(50건 추가)

환경보건시민센터

2011년11월9일 시민단체, 피해사례 3차 발표(33건 추가)

환경보건시민센터

2011년11월10일 간질성 폐렴 진단받고 폐이식 받았던 산모 서씨 사망

2011년11월11일

보건복지부, 1차 동물실험결과 중간발표; 10개 제품 상조사결과 일부 성분(PHMG*, PGH†)의 독성 확인, 해당 6개 상품 수거명령, 나머지 제품 사용자제 권고 계속

질병관리본부

표 1.1. 가습기 살균제 피해사건의 경과일지

Page 21: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0 -

일시 주요 발표 및 보고 비고

2011년11월17일 보건복지부, 가습기살균제 의약외품 지정고시안 행정예고.

식품의약품안전청

2011년11월22일 김황식 국무총리 ‘가습기살균제 피해 책 마련하라’ 지시 국무회의

2011년11월30일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회 및 시민단체 피해사례 4차 발표(62건 추가)

환경보건시민센터

2011년12월9일

보건복지부, '생활화학용품 안전관리 종합계획' 추진발표 (세정제, 방향제, 탈취제, 합성세제, 표백제 등 가정용 화학제품 8품목 순차적 조사 상 확 )

2011년12월30일

보건복지부, 가습기살균제 의약외품 지정 (‘의약외품 범위지정’ 고시 개정안 공포 및 시행, 이전까지는 일반 공산품 취급, 이후 판매허가 및 흡입동성과 세포독성시험 의무화)

2012년1월11일

폐이식산모 윤모씨 사망 (2011년 5월 첫 보도 때 언급된 8건 중 5명 사망, 폐이식 환자 2명 등 3명 생존 중)

2012년2월2일

보건복지부, 1차 동물실험결과 최종 발표 (PHMG와 PGH

성분 흡입 독성 최종 확인, CMIT/MIT‡ 성분 함유한 4개 제품 조사결과 독성 확인 안됨. 모든 제품사용자제 권고 계속), 전국 보건소 등 통해서 141건 접수 받아 확인 중 (이중 34건 가습기살균제 관련성 확인, 10건은 사망사례)

질병관리본부

시민단체, 피해사례 5차 발표(17건 추가)환경보건시민센터

2012년3월

시민단체(녹색소비자연 , 여성환경연 등), 80여건 옥시싹싹제품 피해사례 집단분쟁조정 신청

소비자원

2012년4월13일

시민단체, 174건 피해사례접수, 환경보건학회 정밀조사중,

이중 사망 52건(전체의 30%), 폐 또는 심장이식 7건, 가족단위피해 28가구 69건(전체의 40%)

환경보건시민센터

* PHMG(polyhexamethylene guanidine)

† PGH(Oligo(2-(2-ethoxy)ethoxyethyl guanidinium chloride)

‡ CMIT/MIT(chloromethylisothiazolinone/methylisothiazolinone)

Page 2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1 -

2. 가습기 살균제 피해의 규모

환경보건시민센터와 가습기살균제피해자모임에 접수된 피해사례는 2011년 9월 초

부터 2012년 4월13일까지 모두 174건이었다. 피해자 본인이나 가족의 전화접수가

부분이며 가습기살균제피해자모임에 참가하여 접수한 경우도 적지 않다. 접수내

용은 피해자의 인적사항, 병원기록, 가습기살균제 종류 및 사용기간 등이었다. 접

수사례 중 5건은 접수 당시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했으며, 피해가 있을까 봐 불안하다

거나 검사 중이라고 하였으나, 이후 부분 폐렴 등의 질병 진단을 받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표 1.2. 피해신고사례의 유형과 연령집단 및 건강피해

Page 23: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2 -

피해신고 내용을 유형별로 분류하면 30%인 52건이 사망이고, 122건이 생존 환자이

다. 사망자의 연령 를 보면, 태아 2건, 영유아 29건, 소아 4건, 성인 17건(이중 산모 7

건) 등이다. 영유아 사망이 전체의 56%로 가장 많다. 생존환자 122건 중 7건이 폐이식

혹은 폐와 심장이식수술로 살아남은 가장 심각한 생존사례다. 연령 별로 보면 소아 1

건, 성인 6건(이 중 산모 2건)이다. 폐나 심장을 이식하였지만 이후 사망한 사례가 2건

보고되어 사망자로 분류되었다. 한 가족에서 여러 명이 피해를 입은 가족단위 피해가

많은 것도 특징인데 전체 피해사례의 40%인 69명이 이에 해당한다.

3. 가습기 살균제의 사용 실태

시중에 판매된 가습기살균제 제품은 모두 20종류로 파악된다. 우리나라에서 가습기

살균제를 제조 또는 판매한 회사는 외국회사 5개, 국내기업 22개사 등 모두 27개 회사

로 확인되었다. 특히 국내 5개의 기업이 포함(또는 관련)되어 있는데, SK그룹의 SK

케미칼은 원료를 개발했고, 삼성그룹 소속의 홈플러스(1999년4월부터 2011년3월까지),

GS그룹의 GS리테일, 롯데그룹의 롯데마트 그리고 신세계그룹의 이마트 등 4개 형할

인마트들은 가습기살균제의 원료를 이용하여 자신들의 고유한 브랜드로 포장하여 판

매하는 소위 PB상품을 판매해왔다.

그림 1.2. 각종 가습기살균제 제품들.

가습기살균제 시장규모는 연간 20억원 정도이며 연간 소비되는 상품 개수는 60만개

라고 알려져있다. 가습기살균제의 첫 판매는 1994년부터이지만 2000년 들어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면서 본격적으로 판매망이 확 되었다고 한다. 판매회사들은 TV광고

와 마트 등에서 사은품행사 등을 통해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쳤고, 심지어 삼성전자와

같은 가습기 판매 가전사들도 가습기살균제를 사은품으로 포함시킨 사례도 확인되었

다.

Page 24: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3 -

조사에 따르면 가습기를 사용하는 비율이 일반 인구에서 37.2%이고, 이 중 가습기살

균제 사용율은 절반 정도인 18.2%였다. 연령 특성 상 노인인구군은 22.7%로 일반 인구

에 비해 약간 낮고, 산모는 27.8~58.5%, 아토피 환아는 58.3%로 가습기 사용률이 매우

높다(Jeon and Park 2012, Kim EH et al. 2012).

가습기살균제가 20여종, 연간 60만개가 판매되고 있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가습기살

균제 사용인구규모는 연간 수백만명까지 추산이 가능하다. 특히 산모와 아토피환자와

같은 민감군에서 가습기 사용자가 많은 것도 중요하다. 가습기살균제의 종류와 사용

시 농도, 노출의 집중도와 기간, 개인 민감도 등 여러 가지 변수가 존재하겠지만 가습

기살균제 사용으로 인한 잠재적인 피해 상의 수가 적지 않음을 짐작할 수 있다. 다만

상 적으로 심각하지 않은 증상의 피해자들의 경우 거의 신고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

할 수 있다.

표 1.3은 20개의 제품명단과 174건의 접수된 피해자들이 사용한 가습기살균제 제품

에 한 분석내용이다. 피해자들이 사용한 제품은 모두 11종류였다. 피해자들의 절반

정도는 한 종류의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나머지 절반은 여러 종류의 제품을 사용하였

다.

4. 조사 연구의 목적

(1)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현황 파악

정부에서 이미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인명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하고 일련의

조치를 취하고 있는 바,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피해가 의심되는 사례들의 인구학적 특

성, 가습기 살균제 사용 특성과 건강피해 현황, 피해자 가족의 정신건강 현황 등에 관

한 실태를 파악하여 가습기 살균제 피해와 관련된 과학적 근거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

다.

(2) 가습기 살균제 노출과 건강영향의 기록

가습기 살균제의 종류, 사용량, 사용기간 등을 고려하여 살균제 성분에 한 노출특

성을 분석하고, 피해자의 건강 문제 발생과 경과, 현재 상태 등을 파악하여 기록하고

자 한다.

Page 25: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4 -

표 1.3. 피해자들의 가습기살균제 제품별 사용빈도와 정부조치

(3) 피해자 정신건강 측정

사건 발생 이후 호흡기질환으로 고생하게 된 환자들과 이들의 가족, 그리고 사망자

나 이식자들의 가족들에서의 이로 인한 정신적 충격에 해 조사하고자 한다

(4) 생활용품 중 화학물질 관리 강화의 필요성 제기

위와 같은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향후 생활용품 중 화학물질의 유통과 사용을 엄격히

관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도입과 위험성 소통 강화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Page 26: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5 -

II. 조사 연구의 방법과 추진체계

1. 조사 상과 기간

2. 조사내용

3. 연구추진체계

Page 27: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Page 28: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7 -

1. 조사 상과 기간

조사 상 및 규모 : 조사의 상은 2011년 9월 이후 환경보건시민센터와 가습기살균

제피해자 책모임으로 접수된 피해 사례 174건, 133가족이었다. 이 중 설문조사(방문

면담 조사 또는 자기기입식)에는 105건이 참여하여, 접수된 피해사례 중 이번 조사연

구에 참여율은 60%(105건/174건)이었다.

조사 기간 : 2012년 2월 ~ 2012년 5월

2. 조사내용

(1) 조사 내용: 이 조사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아래와 같은 8가지 분야로 구성하였다

(부록 참조).

1) 일반사항 : 응답자 정보, 피해자 정보, 가족관계

2) 건강피해 사항: 건강피해 중증도, 건강피해의 최초 증상, 최초 발생일, 진단

명, 진료 이력, 증거 자료 등

3) 성인 피해자 건강 이력 사항: 평소 건강상태, 과거 병력, 가족력, 직업력, 흡

연력, 음주력 등

4)어린이 피해자 건강 이력 사항: 출생시 건강상태, 주요 생활공간, 평소 건강

상태, 과거 병력, 가족력

5) 거주환경 사항: 거주 형태, 주변 유해 환경, 취사 방식, 가정 실내환경, 실내

흡연, 실내 도면 등

6) 가습기 사용 사항: 가습기 종류, 사용 기간 및 시간, 환기 빈도, 사용한 물

의 종류, 가습기 청소 빈도

7) 가습기 살균제 사용 사항: 살균제 종류, 일회 사용량, 사용 기간, 사용 빈도,

사용 동기, 가습기 살균제의 위험성 인지 여부 등

8) 정신건강 사항: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불안

질문검사(Beck Anxiety Inventory), 자살 충동 및 시도

(2) 조사방식

설문응답자의 편의에 따라 자기기입식(이메일, 우편)과 방문면접조사 방식을 선택하

였다. 거주환경, 방의 크기 및 가습기와 취침 위치와의 거리 등은 조사자가 실측하여

Page 29: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8 -

기록하기도 하였다.

(3) 조사 연구 절차

이 조사연구는 한국환경보건학회 이사회의 의결에 따라 연구추진이 결정되었고, 조

사절차는 조사연구 기획, 설문조사표 설계 및 개발, 설문조사 실시, 조사결과 검증, 결

과 분석, 보고서 작성으로 이루어졌다. 각 절차별 업무내용과 일정을 표 2.1에 요약하

였다.

Page 30: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9 -

표 2.1. 사례 조사연구 절차

조사절차 내용일정

(2012년)

조사연구

기획

계획 수립

- 연구팀 구성

- 조사 연구 계획 수립

- 조사연구비용 조달

- IRB 승인 (서울 학교 보건 학원)

2월

조사 상

점검 및 조사

문항 개발

- 사례접수 피해자 목록 확인

- 피해자 개별 연락, 연구 참여 의사 확인

- 설문조사표 설계 및 개발

- 면접조사를 위한 조사원 교육

2월

조사 일정

조율 및 협의

- 방문조사를 위한 연구팀(조사원) 일정 조율

- 예비조사를 통한 설문조사표 보완 및 수정

- 최종설문조사표 완성

2월

설문조사

실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 설문지 발송

- 설문조사 관련 문의 응2-3월

방문면접

조사 실시

- 방문조사 진행 (면담, 실측)

- 조사 설문지 검토 후 추가보완 실시2-4월

데이터

분석

조사내용

검증

- 입력 데이터 오류 사항 점검

- 피해자 병원 진단 기록 등 관련 자료 확보4월

결과 분석- 자료 처리 및 분석

- 결과표 작성4-5월

데이터

정리보고서 작성

- 전문가 자문회의

- 최종보고서 작성5-6월

Page 31: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20 -

3. 연구추진체계

한국환경보건학회가 기획 및 총괄진행을 담당하고, 회원 중심으로 분야별 연구팀을

구성하여 자료수집, 조사, 분석이 수행되었다. 자문위원단은 조사연구의 진행과정과 최

종보고서 검토 과정에 기여하였다(그림 2.1).

그림 2.1. 조사연구 추진 체계와 역할.

Page 3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21 -

III. 피해자의 일반 특성과 건강영향

1. 조사연구 상

2. 피해자의 인구학적 특성

3. 조사 상자의 질병력

4. 건강피해 중증도 분포 특성

5. 소결

Page 33: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Page 34: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23 -

1. 조사연구 상

설문조사의 상은 2011년 9월 이후 환경보건시민센터와 가습기살균제 피해자 모임

(인터넷카페)로 접수된 피해 사례 174건, 133가족이다.

이 조사 연구에서는 “가습기 살균제 사용과 관련하여 호흡기 증상과 호흡부전을 호

소하고, 임상증상과 경과가 개인의 기존질환과는 구분되는 증상 및 질환군”으로 피해

사례를 정의하고, 이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는 피해사례로 접수된 경우라도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설문조사(방문 면담 조사 또는 자기기입식)에는 105건(76가족)이 참여하여 접수된 피

해사례 중 이번 조사연구에 참여율은 60%(105건/174건)이다.

조사 상 74가족의 가족 수 구성은 전체 270명이었으며, 이 중에서 95명이 최종 분

석된 피해사례였다. 즉, 조사된 105건 중 출생 이전의 태아 피해사례 2건, 보고된 건

강영향이 호흡기 질환이 아닌 경우 등 모두 10건이 분석에서 제외되어, 이번 연구의

분석 상은 모두 95건 (74가족)이었다(표 3.1).

표 3.1. 조사연구 및 분석 상 피해사례(가족)의 선정

구분 사례 수 (가족 수) 비율 설명

피해자 사례 접수 (가족) 건수 174 (133) 100% 신고접수 건수

설문조사 사례 (가족) 건수 105 (76) 60% (57%) 설문 조사된 수

분석 제외 (가족) 건수 10 (2) - 출생 전 태아 등

최종 분석 (가족) 건수 95 (74) -  

가습기 살균제 노출은 가족단위에서 비슷한 노출특성(노출물질, 노출강도, 노출기간

등)을 가지므로 피해발생도 가족단위인 경우가 많았다. 가족구성원 중 2인 이상의 피

해가 발생한 경우는 74가족 중 16가구(22%), 전체 95건 중 37건(39%)에 달하였다(표

3.2).

Page 35: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24 -

표 3.2. 가구 당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분포

가족 내 피해자수*가족 피해자

빈도 백분율 빈도 백분율

1 58 78% 58 61%

2 12 16% 24 25%

3 3 4% 9 9%

4** 1 1% 4 4%

합계 74 100% 95 100%

* 조사 분석에서 가습기 살균제 피해로 의심되는 태아사망 2건은 제외되었음 ** 이 가족의 경우 태아사망을 포함하면 가족 내 피해자 수는 5명임.

가족구성원들 중에서 누가 질환에 이환되는지를 보고자 4인 가족 31가구와 5인 가족

11기구에 하여 피해자의 가족내 위치를 분석하였다(표 3.3). 자녀 순서에 따라 첫째

가 둘째보다, 둘째가 셋째보다 건강피해를 더 많이 입은 경향이 관찰되었다.

Page 36: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25 -

표 3.3. 4인 가족과 5인 가족에서 자녀 순서에 따른 질병발생 빈도

가족구성원별 건강피해 건수(발생비율, %)

아버지 어머니 첫째 자녀 둘째 자녀 셋째 자녀

4인가족

사망 0 6 7 (23%) 4 (13%)

폐심장이식 0 1 0 0

기타 1 6 6 (19%) 4 (13%)

무영향 31 18 18 (58%) 23 (74%)

합계 31 31 31(100%) 31(100%)

5인가족

사망 1 0 3 (27%) 3 (27%) 2 (18%)

폐심장이식 1 2 0 0 0

기타 1 3 3 (27%) 1 (9%) 1 (9%)

무영향 8 6 5 (46%) 7 (64%) 8 (73%)

합계 11 11 11 11 11

설문조사 응답자 전체 95건 중 55건(58%)이 전문 학 졸업 이상의 학력으로 응답하

였다. 학력이 확인되지 않은 26건을 제외하면 응답자 69명 중 45명(65%)이 학 이상

의 학력이었다(표 3.4).

표 3.4.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설문조사 응답자의 학력분포

응답자의 학력학력

빈도 백분율

고등 졸업 14 15%

전문 학 졸업 10 11%

학 졸업 39 41%

학원 졸업 6 6%

미확인 26 27%

합계 95 100%

가습기 살균제 피해 분석 상에 포함된 사례는 경기 31건(33%), 서울 25건(26%),

전 14건(15%), 인천 11건(11%)으로 4지역에 81건(85%)이 집중되어있다(표 3.5). 이는 그

외의 지역에서 발생한 사고사례가 상 적으로 많이 누락되었을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Page 37: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26 -

표 3.5.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분석 상의 지역별 분포

지역피해자 시도단위 사례 2010년 전국 시도단위 인구

사례 빈도 백분율 인구(천명) 구성비(%)

서울 25 26% 10,039 21%

부산 - - 3,446 7%

구 2 2% 2,431 5%

인천 11 12% 2,661 5%

광주 - - 1,450 3%

전 14 15% 1,515 3%

울산 2 2% 1,094 2%

강원 - - 1,443 3%

경기 31 33% 11,637 24%

충북 2 2% 1,479 3%

충남 3 3% 1,959 4%

전북 - - 1,703 3%

전남 2 2% 1,740 4%

경북 1 1% 2,592 5%

경남 2 2% 3,141 6%

제주 - - 547 1%

합계 95 100% 48,875 100%

Page 38: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27 -

그림 3.1. 가습기 살균제 피해 분석 상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전체).

2. 피해자의 인구학적 특성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분석 상 95건 중 남성 피해자 39건(41%), 여성 피해자 56건

(59%)이었다. 연령별로 보았을 때 0세에서 9세까지의 피해자가 46건(49%), 30-39세가

26건(27%)으로 피해자의 76%에 해당되었다(표 3.6).

표 3.6. 가습기살균제 피해 분석 상의 성별 연령별 분포

성별 연령* (년)

0-9 10-19 20-29 30-39 40-49 50-59 60-69 합계

남자39 21 1 1 6 3 4 3 39

41% 53% 3% 3% 15% 8% 10% 8% 100%

여자56 25 0 7 20 2 2 0 56

59%  45% 0% 13% 36% 4% 4% 0% 100%

합계95 46 1 8 26 5 6 3 95

100% 49% 1% 8% 27% 5% 6% 3% 100%

*연령= (피해자 최초발생일-피해자 생년월일)/365의 정수값.

Page 39: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28 -

0세에서 9세까지 피해자 46명의 연령을 세분하여 분석하면 0세에서 2세까지가

80%, 0세에서 3세까지가 91%를 차지하여 어린이 중 특히 영유아에게 그 피해가 집중

되었음을 알 수 있다(표 3.7).

표 3.7. 가습기살균제 피해 분석 상 중 0~9세 피해자 성별 연령별 분포

성별연령* (년)

0 1 2 3 4 6 합계

남자21 6 2 8 3 1 1 21

46% 29% 10% 38% 14% 5% 5% 100%

여자25 6 8 7 2 2 0 25

54% 24% 32% 28% 8% 8% 0% 100%

합계46 12 10 15 5 3 1 46

100% 26% 22% 33% 11% 7% 2% 100%

※연령 : 피해자 최초발생일의 만 연령.

그림 3.2. 가습기 살균제 피해 분석 상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0-9세).

Page 40: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29 -

가습기 살균제 건강 피해 증상이 처음으로 발생된 시점을 월별로 분석한 결과 가습

기 사용이 증가하는 겨울철과 초 봄(1월부터 4월)에 67%가 집중되어있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표 3.8).

표 3.8. 가습기살균제 피해증상의 최초 발생월 분포와 우리나라의 월별 상 습도

월피해증상 발생월별 분포 2010년 월별 전국 상 습도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1 15 16% 62.8 14.2

2 20 21% 65.2 18.5

3 15 16% 65.7 16.0

4 13 14% 60.1 15.0

5 7 7% 65.6 15.0

6 3 3% 69.9 12.7

7 1 1% 79.9 9.0

8 0 0% 81.9 7.3

9 5 5% 78.1 9.3

10 5 5% 71.7 12.0

11 4 4% 60.1 13.5

12 7 7% 61.4 15.6

전체 95 100% 68.6 15.4

Page 41: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30 -

3. 조사 상자의 질병력

전체 상자들은 고혈압, 협심증, 부정맥, 폐질환, 천식, 알러지성비염, 아토피성피부

염 등이 일부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었지만, 전체적으로는 건강한 상태였던 것

으로 파악되었다(표 3.9).

표 3.9. 분석 상사례(95건)에서의 과거 병력

예 아니오 과거 병력 비율(%)

고혈압 6 89 6.3

협심증 1 94 1.1

부정맥 1 94 1.1

폐질환 1 94 1.1

천식 1 94 1.1

알러지성 비염 1 94 1.1

아토피 피부염 1 94 1.1

전체 상자들은 기침, 가래, 호흡곤란, 열, 피로, 흉통, 각혈, 체중 감소 등 다양한

증상을 호소했으며, 그중 기침이 83.2%, 호흡곤란이 57.4%로 가장 높은 호소율을 보였

다(표 3.10).

표 3.10. 분석 상사례(95건)에서의 증상 호소

예 아니오 호소 비율(%)

기침 79 16 83.2

가래 29 66 30.5

호흡곤란 54 40 57.4

열 27 68 28.4

피로 26 69 27.4

흉통 24 71 25.3

각혈 1 94 1.1

체중 감소 31 64 32.6

Page 4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31 -

4. 건강피해 중증도 분포 특성

(1) 건강피해 중증도 분포

분석 상 피해자 95건 중 사망자는 31건(33%)이며, 사망을 포함하여 장기이식 등 심

각한 피해를 입은 경우는 37건(39%)에 달하였다(그림 3.3).

그림 3.3. 피해자의 건강중증도 분포.

(2) 성별 연령별 건강피해 특성

분석 상 피해자 중 어린이 (0-9세 46명, 12세 1명) 피해자 47건 중 사망 20건(43%),

20-69세 피해자 48건 중 사망 11건(23%)로 건강피해의 중증도는 어린이에게 더욱 심각

하게 나타났다(표 3.11).

표 3.11. 피해자 건강피해 중증도 분포

미성년과 성년

건강피해 중증도 (빈도, 백분율%)

사망장기이식(폐, 심장)

호흡기질환 합계

0-19세 20 43% 0 0% 27 57% 47 100%

20-69세 11 23% 6 12% 31 65% 48 100%

합계 31 33% 6 6% 58 61% 95 100%

사망 피해자 31건 중 여성이 21건(68%)으로 남성에 비하여 압도적으로 많았고, 연령

별로 분석하면 0-9세까지 어린이가 20 건(65%), 20-39세 사이의 여성이 8건(26%)이었다

(표 3.12).

Page 43: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32 -

표 3.12. 사망 피해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

성별연령 (년)

0-9 10-19 20-29 30-39 40-49 50-59 60-69 합계

남자10 8 0 0 0 0 2 0 10

32% 80% 0% 0% 0% 0% 20% 0% 100%

여자21 12 0 4 4 0 1 0 21

68% 58% 0% 19% 19% 0% 5% 0% 100%

합계31 20 0 4 4 0 3 0 31

100% 65% 0% 13% 13% 0% 10% 0% 100%

그림 3.4. 가습기 살균 피해 사망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전체).

(3) 영유아 및 가족구성에 따른 건강피해 특성

사망 피해 어린이의 경우 모든 피해자가 0세에서 3세까지로 영유아였다(표 3.13).

Page 44: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33 -

표 3.13. 0~9세 사망 어린이의 성별 연령별 분포

성별 연령 (년)

0 1 2 3 합계

남자8 2 1 4 1 8

40% 25% 13% 50% 13% 100%

여자12 2 3 6 1 12

60% 17% 25% 50% 8% 100%

합계20 4 4 10 2 20

100% 20% 20% 50% 10% 100%

그림 3.5. 가습기 살균 피해 사망자의 성별 연령별 분포(10세 미만).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자 중 사망자의 발생비율을 성별로 분석하면, 남성(26%)보다

여성(38%)에서 사망 발생 비율이 높았다(표 3.14).

표 3.14.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분석 상자 중 사망자의 성별 발생 비율

성별 피해자수 사망자수 피해자 비 사망비율

남자 39 10 26%

여자 56 21 38%

합계 95 31 33%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분석 상자 중 사망자의 연령별 발생 비율은 20-29세와

50-59세(50%), 0-9세(43%) 순이었다(표 3.15).

Page 45: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34 -

표 3.15.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분석 상자 중 사망자의 연령별 발생 비율

연령 (년) 피해자수  사망자수  피해자 비 사망비율

0-9 46 20 43%

10-19 1 0 0%

20-29 8 4 50%

30-39 26 4 15%

40-49 5 0 0%

50-59 6 3 50%

60-69 3 0 0%

합계 95 31 33%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분석 상자 중 0-9세 사이 어린이 사망자의 연령별 발생

비율을 세분한 결과 2세 어린이의 사망 발생 비율(67%)이 가장 높았다(표 3.16).

표 3.16. 어린이 사망자의 연령별 발생 비율

연령 (년)  피해자수 사망자수   피해자 비 사망비율

0 12 4 33%

1 10 4 40%

2 15 10 67%

3 5 2 40%

4 3 0 0%

5 0 0 -

6 1 0 0%

합계 46 20 43%

Page 46: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35 -

그림 3.6.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중 연령별 사망자 발생 비율.

(3) 임산부의 건강피해 특성

성인(20세 이상) 48명의 피해자 중 11건의 사망이 있는데, 이 중 20-49세 여성에 8명

(73%)에 발생하였다(표 3.17).

표 3.17. 성인의 성별, 연령 별 피해자 및 사망자 분포

성별피해자 분포 사망자 분포

20-49 50세 이상 합계 20-49 50세 이상 합계

남자10 7 17 0 2 2

59% 41% 100% 0% 100% 100%

여자29 2 31 8 1 9

94% 6% 100% 89% 11% 100%

합계39 9 48 8 3 11

81% 19% 100% 73% 27% 100%

가임여성(20-49세) 피해자 29건 중, 최초증상 발생 시 임산부 12명(41%)으로 확인되

었다(표 3.18).

Page 47: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36 -

표 3.18. 가임기 피해여성(20-49세)의 최초증상 발생 시 임신여부

임신유무 빈도 백분율

유 12 41%

무 17 59%

합계 29 100%

최초증상 발생 시 임산부 12명 중에서 사망자는 7건(58%)이며, 사망을 포함하여

장기이식 등 심각한 피해를 입은 경우는 9건(75%)에 달하였다(표 3.19).

표 3.19. 최초 증상 발생 시 임산부 12건의 최종 건강피해 중증도 분포

피해자 분류 빈도 백분율

사망 7 58%

폐이식 2 17%

호흡기계 질환 3 25%

합계 12 100%

(4) 건강피해 진행속도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증상 발생에서 사망까지 걸린 시간은 모두 7개월 미만이었

는데(31건), 첫 증상후 사망 사이의 평균시간은 2.5개월 (표준편차 1.6)이었다2). 첫

증상 후 2.5개월만에 호흡부전으로 사망하는 급성 및 아만성 호흡부전증상을 보였

다. 최초 증상 발생에서 사망까지 1개월이 걸리지 않은 경우가 7건(23%), 2개월 미만

이 11건(35%), 3개월 미만이 7건(23%)로 전체 사망 피해의 81%가 증상 발생 후 3개월

이내에 발생하였다(표 3.20).

2) 건강피해 최초 발생에서 사망까지 걸린 시간의 분포 계산방식은 다음과 같다.

(1) 일수=피해자사망일-피해자최초발생일

(2) 월수=일수/30

(3) 월수에 한 정수계산은 “월수”의 정수값만 계산. 예를 들어 월수=1.345이면 1로 계산하여 1개월~2

개월 미만에 들어가게 함. 예를 들어 월수=0.98이면 0으로 계산하여 1개월 미만에 들어가게 함.

Page 48: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37 -

표 3.20. 건강피해 최초 발생에서 사망까지 걸린 시간 분포

연령 (년)

최초증상 발생일 이후 사망까지의 기간 (월)

1개월 미만1개월-2개월

미만2개월-3개월

미만3개월~7개월

미만합계

0-9 2 10% 8 40% 5 25% 5 25% 20 100%

10-19 0 - 0 - 0 - 0 - 0 -

20-29 3 75% 0 0% 1 25% 0 0% 4 100%

30-39 2 50% 1 25% 0 0% 1 25% 4 100%

40-49 0 - 0 - 0 - 0 - 0 -

50-59 0 0% 2 67% 1 33% 0 0% 3 100%

60-69 0 - 0 - 0 - 0 - 0 -

합계 7 23% 11 35% 7 23% 6 19% 31 100%

5. 소결

가습기 살균제 피해접수 사례는 133가족에서 발생한 174건이었고, 이 중 이번

조사연구에는 피해접수 사례의 약 55%인 95 사례(74가족)가 포함되었다.

접수된 피해사례는 전국에 걸쳐 분포하고 있었으나, 수도권의 비중이 상 적으로

컸으며, 피해가 발생한 연도를 재구성하였을 때, 최근에 들어와 중증사례의 경우 그

수가 급격하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증상이 주로 1월에서 4월 사이에 시작된 것으로

조사되어(67%), 건조한 기와 가습기 사용의 증가가 건강피해 발생 빈도와 연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중증 피해는 중증사례의 경우 12월~3월 사이의 겨울철에 80%

이상이 집중되어 있었다.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분석 상자 95건의 과거병력을 조사한 결과 폐질환, 천식

등의 선행 병력이 있는 경우는 1건에 불과하여 전반적으로 건강한 상태였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습기 살균제 피해는 0-3세 영유아(42건, 44%)와 20-39세 여성(27건, 28%)이 가장

Page 49: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38 -

많이 보고되었고, 이들의 건강피해 정도(건강피해 발생자 중 사망발생 비율) 역시

0-3세 영유아의 경우 42명의 피해자 중 20명 사망(48%)하였고, 20-29세 여성의 경우

8명의 피해자 중 4명이 사망(50%)하는 등 다른 그룹에 비하여 더욱 심각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영유아군에 있어서는 0세군보다 2세군에서 더 중증질환의 발생건수나

사망사례가 많았으며, 성인군에서는 여성 가임기 연령층에서 남성보다 훨씬 높은 발생

양상을 보이고 있다.

가족사례가 특히 많았다. 가족 구성원의 위치에 따른 특이성을 살펴보았을 때, 여러

명의 자녀가 있는 경우 첫째 자녀가 둘째 자녀보다 더 발생비율이 높았으며, 둘째

자녀가 셋째 자녀보다 또한 높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20-39세 여성 사망자 8명 중 7명은 증상 발생 당시 임신상태였던 것으로 조사되어,

임산부에게서 건강피해가 심각하였음을 알 수 있다.

가습기 살균제 건강피해 증상 발생에서 사망까지 걸린 시간은 모두 7개월

미만이었는데(31건), 이 중 25건(81%)가 최초 증상 발생에서 사망까지 3개월이 채

걸리지 않을 정도로 매우 급속히 진행되었다.

Page 50: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39 -

IV. 피해자의 가습기 살균제 노출 특성

1. 가습기 및 가습기 살균제 사용 시작년도

2. 1년 중 가습기 사용 시작 및 종료 시기

3. 가습기 사용특성

4. 가습기 살균제 사용특성

Page 51: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Page 5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41 -

1. 가습기 및 가습기 살균제 사용 시작년도

조사 상자의 가습기 사용 시작년도는 95건 중 89건에 해 조사되었다. 1987년에 1

건, 1996년에 1건, 1998년에 1건 등으로 비교적 적었으나 1999년 이후 사용시작 건수가

늘어났으며, 2004년 이후부터 2010년까지 연간 평균적으로 10건 정도로 많았으며 2011

년에 가습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경우도 1건 있었다(표 4.1).

조사 상자의 가습기 사용이 급증한 구간은 2000년 중, 후반(2004 ~ 2010)으로 이

때 가습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경우가 조사 상자의 약 80%를 차지하였다(그림 4.1).

가습기 살균제의 사용 시작년도 역시 95건 중 89건에 해 조사되었다. 조사 상자

는 가습기 살균제를 1996년부터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가습기 살균제 사용빈도는 1999

년에 1건, 2000년에 1건 등으로 드물다가 2002년 이후 사용시작 건수가 늘어났으며,

2004년 이후부터 2010년까지 연간 평균적으로 10건 정도로 사용되었다. 2011년에 가습

기 살균제를 사용하기 시작한 경우는 1건이었다(표 4.2).

가습기 살균제 사용시작 증가율이 높은 구간은 가습기 사용시작 증가율이 높아지는

구간과 동일한 2000년 중, 후반(2004~2010)으로 이 때 가습기를 사용하기 시작한 집

단이 전체의 90%를 차지했다(그림 4.2).

가습기 사용 시작년도와 가습기 살균제의 사용 시작년도를 동시에 나타내면 그림

4.3과 같다. 2003년 이전에는 가습기만 사용하고 가습기 살균제는 사용하지 않다가

2004년 이후,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하기 시작한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다.

Page 53: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42 -

년도 사용시작 건수 누적 빈도1987년 1 1

1988년 0 1

1989년 0 1

1990년 0 1

1991년 0 1

1992년 0 1

1993년 0 1

1994년 0 1

1995년 0 1

1996년 1 2

1997년 0 2

1998년 1 3

1999년 5 8

2000년 1 9

2001년 1 10

2002년 6 16

2003년 1 17

2004년 9 26

2005년 9 35

2006년 12 47

2007년 10 57

2008년 10 67

2009년 13 80

2010년 8 88

2011년 1 89

89

표 4.1. 가습기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n=89)

그림 4.1. 가습기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n=89).

Page 54: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43 -

년도 사용시작 건수 누적 빈도1987년 0 0

1988년 0 0

1989년 0 0

1990년 0 0

1991년 0 0

1992년 0 0

1993년 0 0

1994년 0 0

1995년 0 0

1996년 1 1

1997년 0 1

1998년 0 1

1999년 1 2

2000년 1 3

2001년 0 3

2002년 4 7

2003년 0 7

2004년 10 17

2005년 7 24

2006년 14 38

2007년 9 47

2008년 14 61

2009년 15 76

2010년 11 87

2011년 1 88

88

표 4.2. 가습기 살균제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n=88)

Page 55: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44 -

그림 4.2. 가습기 살균제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n=88).

그림 4.3. 가습기 사용 및 가습기 살균제 사용 시작 년도의 분포 비교

Page 56: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45 -

가습기 사용 시작년도와 가습기 살균제의 사용 시작년도를 영유아와 성인으로 구분

하여 각각 나타내면 그림 4.4 및 그림 4.5와 같음. 영유아와 성인 간에 뚜렷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림 4.4. 영유아 및 성인 피해자의 가습기 사용 분포 비교.

그림 4.5. 영유아 및 성인 피해자의 가습기 살균제 사용 분포 비교.

2. 1년 중 가습기 사용 시작 및 종료 시기

가습기 사용을 시작한 달은 9, 10, 11월이 전체의 약 80%를 차지하였다. 영유아

Page 57: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46 -

의 경우 11월에 사용을 시작한 경우가 가장 많았던 반면, 성인의 경우 10월이 가

장 많았다. 연중 내내 사용한다고 응답한 경우는 성인에서 3건이었다(표 4.3).

  전체 (n=95)   영유아 (n=48) 성인 (n=47)

  N % N % N %

가습기 시작 월

8월 이전 5 5.4 4 8.7 1 2.2

9월 20 21.7 10 21.7 10 21.7

10월 24 26.1 10 21.7 14 30.4

11월 29 31.5 17 37.0 12 26.1

12월 11 12.0 5 10.9 6 13.0

연중사용 3 3.3 0 0.0 3 6.5

계 92 100 46 100 46 100

가습기 종결 월

2월 이전 11 12.0 7 15.2 4 8.7

3월 28 30.4 13 28.3 15 32.6

4월 32 34.8 15 32.6 17 37.0

5월 10 10.9 7 15.2 3 6.5

6월 이후 8 8.7 4 8.7 4 8.7

연중사용 3 3.3 0 0.0 3 6.5

계 92 100 46 100 46 100

표 4.3. 1년 중 가습기 사용 시작 및 종료 시기

하루 중 가습기 사용을 시작하는 시각은 부분 밤 8시 이후였으며, 하루 종일 사용

하는 경우는 12건이었다. 성인의 경우 가습기 사용을 영유아에 비해 더 늦게 시작하는

경향이 있었다(표 4.4).

Page 58: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47 -

  전체 (n=95)   영유아 (n=48) 성인 (n=47)

  N % N % N %

가습기 작동시작18시 이전 12 13.3 5 11.1 7 15.6

20시 15 16.7 4 8.9 11 24.4

22시 44 48.9 26 57.8 18 40.0

23시 이후 8 8.9 3 6.7 5 11.1

하루종일 사용 11 12.2 7 15.6 4 8.9

계 90 100 45 100 45 100

가습기 작동종료6시 이전 11 12.2 5 11.1 6 13.3

7시 19 21.1 9 20.0 10 22.2

8시 30 33.3 17 37.8 13 28.9

9시 13 14.4 6 13.3 7 15.6

10시 이후 6 6.7 1 2.2 5 11.1

하루종일 사용 11 12.2 7 15.6 4 8.9

계 90 100 45 100 45 100

표 4.4. 하루 중 가습기 사용 및 종료 시각

3. 가습기 사용특성

가습기의 종류는 전체적으로 복합식이 65%를 차지하였으며, 성인에서 초음파 가습

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38.1%)(표 4.5).

가습기 물 종류는 전체적으로 부분 수돗물을 사용하였으나(80%), 정수기물을 사용

하는 경우도 20%를 차지했다. 또한, 영유아 피해자에서 수돗물을 사용하는 비율이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습기통에 물을 채우는 방식은 가득 채우는 경우가 약 2/3, 가득 채우지 않고 3분

의 2 이하만 채우는 경우가 1/3을 차지했다.

가습기의 분무량의 강도는 성인에서 더 높은 경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습기의 높이는 부분 책상, 화장 , 책장 등 가구 위에 놓고 쓰는 경우가 많았다

(85%). 또한, 성인의 경우에 가습기를 가구 위에 놓는 경우가 더 많았다(89%).

가습기의 위치를 가깝게 위치한 신체부위별로 구분하였을 때, 전체적으로 머리 위쪽

이나 코 부위에 놓고 취침하는 경우가 많았다(53%). 성인의 경우 영유아 피해자의 경

Page 59: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48 -

우에 비해 머리위쪽/코 부위에 놓고 취침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경향을 보였다.3)

가습기를 사용하는 방을 환기하는 경우가 90%를 차지하였고, 환기하지 않는다고 응

답한 경우도 10% 정도를 차지했다. 환기 시점은 설문되지 않았다.

3) 조사 대상은 자발적으로 환경보건시민센터에 피해사례를 신고한 사례임을 감안할 때, 경미한 영향(자각증상이

없을 수 있음)을 입은 경우는 조사대상자로부터 제외되는 선택바이어스(selection bias)가 영향을 미칠 수 있

을 것으로 추정됨

Page 60: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49 -

  전체 (n=95)  영유아 (n=48) 성인 (n=47) 

  N % N % N %

가습기 종류

복합식 55 64.7 32 74.4 23 54.8

초음파 27 31.8 11 25.6 16 38.1

기타 3 3.5 0 0.0 3 7.1

계 85 100 43 100 42 100

가습기 물 종류

수돗물 74 80.4 39 86.7 35 74.5

정수기물 18 19.6 6 13.3 12 25.5

계 92 100 45 100 47 100

가습기통 물 채우기

3분의 2 이하 29 34.1 15 36.6 14 31.8

가득 56 65.9 26 63.4 30 68.2

계 85 100 41 100 44 100

분무량

최저 8 9.0 5 11.4 3 6.7

약 19 21.3 11 25.0 8 17.8

중 50 56.2 24 54.5 26 57.8

강 12 13.5 4 9.1 8 17.8

계 89 100 44 100 45 100

가습기의 높이

가구위 80 85.1 38 80.9 42 89.4

바닥 14 14.9 9 19.1 5 10.6

계 94 100 47 100 47 100

가습기의 신체부위 위치

다리쪽/다리 아래 25 26.6 16 34.0 9 19.1

몸통부위 19 20.2 8 17.0 11 23.4

머리위쪽/코 부위 50 53.2 23 48.9 27 57.4

94 100 47 100 47 100

가습기 환기여부

예 83 90.2 41 91.1 42 89.4

아니오 9 9.8 4 8.9 5 10.6

계 92 100 45 100 47 100

표 4.5. 가습기 유형과 사용 양상의 특성

Page 61: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50 -

가습기와 호흡기 부위 사이의 거리는 전체적으로 평균 1.5m, 중위수 1.2m였으며, 성

인의 경우 영유아에 비하여 거리가 더 짧았다(표 4.6).4)

  N 평균 표준편차 Q1 Q2 Q3

전체 94 145.5 74.6 100 120 200

영유아 47 158.7 66.8 100 150 200

성인 47 132.2 80.2 80 100 180

표 4.6. 가습기와 호흡기 부위 사이의 거리(단위: cm)

가습기를 사용하는 방을 환기하는 시간은 전체적으로 평균 30분, 중위수 20분 정도

였으며, 성인의 경우 영유아에 비해 환기시간이 더 짧았다(표 4.7).5)

  N 평균 표준편차 Q1 Q2 Q3

전체 90 27.7 30.2 10 20 30

영유아 44 29.7 35.3 10 20 30

성인 46 25.8 24.7 10 20 30

표 4.7. 환기 시간(단위: 분)

4. 가습기 살균제 사용특성

가습기 살균제의 종류를 성분별로 구분하였을 때, 부분인 91%가 PHMG 성분의

가습기 살균제, 7%가 PGH 성분의 가습기 살균제, 41%가 CMIT/MIT 성분의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하였다. PGH의 경우 영유아에서 CMIT/MIT 성분은 성인에서 사용빈도

가 더 높았다(표 4.8).

가습기 살균제의 주입주기는 전체적으로 하루 1회 초과인 경우가 83%를 차지함. 가

종류를 성분별로 구분하였을 때, 부분인 90%가 PHMG 성분의 가습기 살균제, 7%가

PGH 성분의 가습기 살균제, 42%가 CMIT/MIT 성분의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하였다.

PGH의 경우 영유아에서(8.5%) CMIT/MIT 성분은 성인에서(49%) 사용빈도가 더 높았

다.

4) 3)과 같은 설명이 가능함

5) 3)과 같은 설명이 가능함

Page 6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51 -

  전체 (n=95)  영유아 (n=48) 성인 (n=47) 

  N % N % N %

PHMG

비사용 9 9.6 4 8.5 5 10.6

사용 85 90.4 43 91.5 42 89.4

계 94 100 47 100 47 100

PGH

비사용 87 92.6 43 91.5 44 93.6

사용 7 7.4 4 8.5 3 6.4

계 94 100 47 100 47 100

CMIT/MIT

비사용 55 58.5 31 66.0 24 51.1

사용 39 41.5 16 34.0 23 48.9

계 94 100 47 100 47 100

표 4.8. 조사 상자의 살균제 종류별 사용 특성

Page 63: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Page 64: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53 -

V. 가습기 살균제 사용과 건강피해 상관성 분석

1. 질병발생 통계 분석

2. 건강피해 영향 요인 분석

3. 짝지은 환자- 조군 분석

4. 소결

Page 65: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Page 66: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55 -

1. 질병발생 통계 분석

(1) 영유아(0-2세) 폐질환 사망과 간질성 폐질환 사망률 비교

전국 0-2세 영유아 사망 중 폐질환 사망률은 1997년 10만명당 8.49명 수준에서

2010년 3.17명 수준으로 꾸준히 감소하나 간질성폐질환 사망률은 2001년 10만명당

0.38명에서 2010년 0.94명까지 늘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2000년 초반에 10%

내외였던 폐질환 사망자 중 간질성 폐질환으로 인한 사망자의 비율이 2010년에는

30%에 이를 정도로 증가하였다(표 5.1, 그림 5.1-3).

표 5.1. 전국 0-2세 영유아의 폐질환 사망과 간질성 폐질환 사망의 연도별 변화

연도

사망자수

인구수

비율

폐질환* 간질성폐질환**

폐질환 사망률(10만명당)

간질성폐질환 사망률(10만명당)

폐질환 비 간질성폐질환 사망 비중

1997 177 17 2,085,322 8.49 0.82 10%

1998 167 24 2,022,801 8.26 1.19 14%

1999 110 18 1,943,355 5.66 0.93 16%

2000 149 15 1,891,965 7.88 0.79 10%

2001 118 7 1,838,595 6.42 0.38 6%

2002 127 7 1,746,119 7.27 0.40 6%

2003 90 10 1,619,102 5.56 0.62 11%

2004 67 13 1,503,732 4.46 0.86 19%

2005 61 9 1,424,179 4.28 0.63 15%

2006 68 12 1,368,239 4.97 0.88 18%

2007 59 21 1,346,761 4.38 1.56 36%

2008 52 14 1,384,600 3.76 1.01 27%

2009 54 12 1,400,739 3.86 0.86 22%

2010 44 13 1,388,207 3.17 0.94 30%

합계 1,343 192 22,963,716 5.85 0.84 14%

*폐질환은 ICD 분류에 따라 J00.*-J99.*, D76.0, D86.0, D86.2를 포함. ICD는 국제질병사인분류(The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로서 사람의 질병 및 사망 원인에 관한 표준 분류 규정으로 세계보건기구에서 발표.

**간질성 폐질환은 ICD 분류에 따라 J67.*-J69.*(단 J68.2 제외), J80.*, J84.*, J99.*, D76.0,

D86.0, D86.2를 포함.

Page 67: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56 -

그림 5.1. 전국 0-2세 폐질환 사망률(10만명당).

그림 5.2. 전국 0-2세 간질성폐질환 사망률(10만명당).

그림 5.3. 전국 0-2세 폐질환 사망 중 간질성폐질환 사망 비율.

Page 68: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57 -

그림 5.4. 가습기 하루 사용 시간.

국가 사망통계 자료의 검토결과, 전국 0-2세 영유아의 폐질환 사망률(2001년

10만명당 6.42 → 2010년 3.17)은 감소경향을 보이는 반면에 간질성폐질환에 의한

사망률(2001년 10만명당 0.38 → 2010년 0.94)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 건강피해 영향 요인 분석

사망에 관련된 요인들을 살펴보면, 일반 생활 및 주거환경요인, 가습기 및 가습기 살

균제 노출에 한 요인, 노출된 가습기 살균제의 종류와 독성에 관련된 요인과 민감성

과 관련된 상자의 인구 사회적 특성 요인들로 별할 수 있다.

(1) 가습기 사용 시간

전체 가습기 사용 시간은 평균 12.3시간(최소 8시간-최 24시간)이었는데, 24시간 사

용자도 11명(11.6%)에 달한다(그림 5.4). 하지만 사망군과 비사망군,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의 가습기 하루 노출 시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age 69: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58 -

표 5.2. 사망군과 비사망군에서의 가습기 하루 노출 시간

가습기 노출

평균 (시간)* 표준편차

사망군 12.6 5.29

비사망군 12.0 4.90

*p-value > 0.05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

표 5.3.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하루 노출 시간

가습기 노출

평균 (시간)* 표준편차

치명적 손상군 12.3 5.13

비치명적 손상군 12.3 4.97

*p-value > 0.05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

사망군과 비사망군,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노출 기간에서

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표 5.4. 사망군과 비사망군에서의 가습기 노출 기간(개월)

가습기 노출

평균 (개월)* 표준편차

사망군 16.5 25.49

비사망군 25.9 25.83

*p-value > 0.05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

표 5.5.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노출 기간(개월)

가습기 노출

평균 (개월)* 표준편차

치명적 손상군 17.2 24.90

비치명적 손상군 26.3 26.61

*p-value > 0.05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

사망군의 가습기 살균제 1년 노출기간은 평균 5.5개월로 오히려 비사망군 6.2개월에

Page 70: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59 -

비하여 짧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표 5.6). 총 가습기 살균제

노출 기간을 살펴보면, 사망군은 14.5개월, 비사망군은 16.5 개월로 유의한 차이를 보

이지 않았다(표 5.7).

표 5.6. 사망군과 비사망군에서의 가습기 살균제 1년중 노출 기간(개월)

가습기 살균제

평균 (개월)* 표준편차

사망군 5.5 2.25

비사망군 6.2 2.20

*p-value > 0.05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

표 5.7. 사망군과 비사망군에서의 가습기 살균제 총 노출 기간(개월)

가습기 살균제

평균 (개월)* 표준편차

사망군 14.5 16.14

비사망군 16.5 12.30

*p-value > 0.05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

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살균제 1년 노출기간은 평균 5.8개월로 오히려 비치명

적 손상군 6.1개월에 비하여 짧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표

5.8). 총 가습기 살균제 노출 기간도 치명적 손상군은 14.4개월, 비치명적 손상군은

16.7 개월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표 5.9).

표 5.8.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살균제 1년중 노출 기간(개월)

가습기 살균제

평균 (개월)* 표준편차

치명적 손상군 5.8 2.48

비치명적 손상군 6.1 2.07

*p-value > 0.05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

Page 71: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60 -

표 5.9. 치명적 손상군과 비치명적 손상군에서의 가습기 살균제 총 노출 기간(개월)

가습기 살균제

평균 (개월)* 표준편차

치명적 손상군 14.4 24.33

비치명적 손상군 16.7 12.66

*p-value > 0.05 두 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음.

(2) 일반 생활 및 주거환경요인

집 주변 유해환경, 가습기 사용 방 곰팡이 여부, 에어컨 사용 여부, 새 가구 구입 여

부, 실내 리모델링 여부, 간접흡연, 주택형태, 층수, 집 평수, 방 갯수, 난방형태, 취사

형태 등이 조사되었다.

일반 생활 및 주거환경요인 중 집 주변 유해환경, 새 가구 구입 여부, 실내 리모델링

여부, 간접흡연, 주택형태, 층수, 집 평수, 방 갯수, 난방형태, 취사형태등과 사망여부와

의 유의한 관련성은 없었으나, 가습기 사용 방 곰팡이 여부와 사망, 그리고 에어컨 사

용 여부와 사망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p-value < 0.05)이 관찰되었다. 가습기

사용 방 곰팡이 존재와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은 것이 사망과 연관이 되는 것은 밀폐

된 공간에서 가습기 살균제 사용의 피해가 컸음을 보여주는 지표일수도 있다(표 5.10).

가습기를 사용하는 방에 곰팡이 여부, 에어컨 사용 여부와 치명적 손상과는 유의할

만한 관련성을 다변량 분석에서도 같은 효과를 보이는지 확인을 요한다(표 5.13).

(3) 가습기 및 가습기 살균제 노출에 한 요인

한방 사용, 가족으로 공동 노출, 가습기 특징, 가습기 용량, 가습기 분무량, 가습기

물의 종류, 가습기와의 거리, 가습기의 수, 가습기의 위치, 가습기 하루 사용 시간, 가

습기 총 사용기간, 가습기 살균제 총 노출기간, 가습기 살균제 주입 주기, 환기, 환기

시간, 가습기에 물을 채웠는지, 가습기 청소, 가습기 청소 횟수 등이 조사되었다. 이들

부분의 변수는 사망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표 5.10).

가습기 용량, 가습기의 수, 가습기와의 거리, 가습기 살균제 총 노출기간과 상자

사망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그러나 노출과 건강영향의 용량-반응관

Page 7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61 -

계로 해석하기 어려운 관측이었다. 즉 가습기 용량이 적은 그룹이, 2 를 가진 경우보

다 가습기 1 를 가진 그룹이, 그리고 가습기와의 거리가 먼 그룹에서, 가습기 살균제

총 노출기간이 짧은 그룹에서 사망위험이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표 5.10-11). 가습기

살균제 1회 사용량과 치명적 손상 사이에서도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만, 사용량이 적

은 군에게서 오히려 사망 위험이 높게 나타난 것이었다(표 5.11).

(4) 상자의 인구 사회적 특성 요인

성, 나이, 과거 병력, 흡연, 아버지 학력, 어머니 학력 등이 조사되었다.

성, 과거 병력, 흡연, 아버지 학력, 어머니 학력등과 사망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

관성이 없었으며, 단지 6세 미만과 6세 이상을 구분하는 나이에 해서는 사망 여부

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여주었다(p-value < 0.01).

사망과 관련하여 특히 6세미만의 어린이들이 연관성이 되는 것은 이들 어린이 연령

들이 가지는 생물학적인 취약성(biological vulnerability)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5) 가습기 살균제의 종류와 관련된 요인

가습기 살균제 종류별 사용여부가 조사되었다. 시중에 유통되는 가습기 살균제6) 사

용여부와 사망 여부의 관련성을 조사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제품은 없었다. 조사

된 가습기 살균제중 유일하게 가습기살균제 사용 여부와 사망이 연관성이 있다고 나

온 사례는 가습기 메이트가 유일하였다. 하지만 가습기 메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사망

위험이 오히려 낮게 나온 것이어서, 이를 가습기 메이트의 독성영향으로 해석하기 어

렵다.

6) 조사 상 가습기 살균제는 다음과 같다. 옥시싹싹 New 가습기 당번, 이플러스 가습기 살균제, 함박웃음 가습기 세정제, 와이즐렉 가습기 살균제, 홈플러스 가습기 살균제, 세퓨 가습기 살균제, 엔위드, 산도깨비 가습기퍼니셔

Page 73: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62 -

표 5.10. 노출 요인과 사망과의 연관성

노출 요인 상자 비사망(명) 사망(명) p-value

집 주변 유해환경도로에 인접 21 14

0.406인접하지 않음 27 12

가습기 사용 방 곰팡이 여부

예 8 90.044

아니오 55 21

에어컨 사용 여부 예 38 12

0.048아니오 25 19

새 가구 구입 여부 예 8 2

0.356아니오 55 29

실내 리모델링 여부 예 9 9

0.065아니오 53 20

간접흡연노출 31 17

0.654비노출 29 13

주택형태아파트 43 21

0.692단독주택 6 5

다세 주택 11 5

층수6층이상 32 13

0.6496층이하 30 15

집평수20평이하 15 10

0.47820-30평 28 14

30평이상 19 6

방갯수2개 22 13

0.6493개이상 40 18

난방형태중앙집중식 18 6

0.574개별난방-가스 39 21

개별난방-기름 4 3

취사형태 가스 60 20

0.061전기 1 3

한방 사용예 35 20

0.456아니오 27 11

가습기 특징복합 33 15

0.513초음파 14 11

기타 1 1

가습기 용량6 리터 이상 11 1

0.0444-6 리터 15 14

4 리터 이하 12 5

가습기 분무량

최저 5 3

0.434약 11 5

중 26 13

강 10 1

가습기 물의 종류 수돗물 46 20

0.410정수기 9 2

Page 74: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63 -

(표 계속)

노출 요인 상자 비사망(명) 사망(명) p-value

가습기와의 거리 50cm 이하 33 9

0.03150-200cm 21 11

200cm 이상 9 11

가습기의 수 1 24 18

0.0232 18 3

가습기의 위치방바닥 윗쪽 56 25

0.377방바닥 8 6

가습기 하루 사용

시간

24시간 7 3

0.97712-24시간 8 3

8-12시간 41 18

가습기 총사용기간24개월이상 17 8

0.4526-24개월 27 12

6개월 이하 6 6

가습기 살균제

총노출기간

24개월이상 15 2

0.0326개월-24개월 28 9

6개월 이하 24 20

가습기 살균제 주입

주기

하루 2회이상 4 30.797

하루 1회 이하 28 17

1회 사용량 10cc 34 20

0.10910-30cc 14 3

30cc 9 1

환기예 60 28

0.685아니오 1 0

환기 시간 30분이하 22 11

0.72030분-60분 22 7

60분이상 2 1

가습기에 물을

채웠는지

가득 37 13

0.6872/3 18 9

절반 3 2

가습기 청소예 59 28

0.682아니오 1 0

가습기 청소 횟수매일 27 14

0.783이틀에 한번 11 4

3일에 한번 15 9

성남 28 10

0.258여 35 21

나이5세미만 23 20

0.0105세이상 40 11

과거 병력있음 9 2

0.277없음 53 28

흡연흡연자 11 3

0.231비흡연자 50 28

아버지 학력 졸이상 34 140.729

기타 14 7

어머니 학력 졸이상 27 120.945

기타 21 19

Page 75: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64 -

(표 계속)

노출 요인 상자 비사망(명) 사망(명) p-value

가습기 살균제 노출 옥시싹싹 New 가습기

당번

예 53 260.975

아니오 10 5

가습기 메이트예 20 3

0.019아니오 43 28

이플러스 가습기 살균제예 54 27

0.855

아니오 9 4

함박웃음 가습기 세정제예 3 0

0.217아니오 60 31

와이즐렉 가습기 살균제

예 13 40.360

아니오 50 27

홈플러스 가습기 살균제예 10 1

0.073아니오 53 30

세퓨 가습기 살균제예 3 4

0.158아니오 60 27

엔위드예 1 0

0.670아니오 62 21

산도깨비 가습기 퍼니셔예 2 1

0.704아니오 61 30

Page 76: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65 -

표 5.11. 노출 요인과 치명적 손상과의 연관성

노출 요인 상자비치명적

손상(명)치명적 손상(명) p-value

집 주변 유해환경도로에 인접 19 16

0.276인접하지 않음 26 13

가습기 사용 방 곰팡이 여부

예 7 100.046

아니오 51 25

에어컨 사용 여부 예 36 14

0.029아니오 22 22

새 가구 구입 여부 예 8 2

0.308아니오 50 34

실내 리모델링 여부 예 8 10

0.075아니오 49 24

간접흡연노출 30 18

0.773비노출 25 17

주택형태아파트 40 24

0.198단독주택 4 7

다세 주택 11 5

층수6층이상 31 14

0.2746층이하 26 19

집평수20평이하 15 10

0.92120-30평 26 16

30평이상 16 9

방갯수2개 22 14

0.9583개이상 36 22

난방형태중앙집중식 17 7

0.374개별난방-가스 36 24

개별난방-기름 3 4

취사형태 가스 55 25

0.106전기 1 3

한방 사용예 32 23

0.459아니오 25 13

가습기 특징복합 32 16

0.170초음파 11 14

기타 1 1

가습기 용량6 리터 이상 10 2

0.1594-6 리터 15 14

4 리터 이하 11 6

가습기 분무량

최저 3 5

0.092약 11 5

중 23 16

강 10 1

가습기 물의 종류 수돗물 42 24

0.238정수기 9 2

Page 77: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66 -

(표 계속)

노출 요인 상자비치명적

손상(명)치명적 손상(명) p-value

가습기와의 거리 50cm 이하 29 13

0.18950-200cm 20 12

200cm 이상 9 11

가습기의 수 1 21 21

0.0472 16 5

가습기의 위치방바닥 윗쪽 51 30

0.679방바닥 8 6

가습기 하루 사용

시간

24시간 7 3

0.90612-24시간 7 4

8-12시간 37 22

가습기 총사용기간24개월이상 16 9

0.3966-24개월 24 15

6개월 이하 5 7

가습기 살균제

총노출기간

24개월이상 15 2

0.0346개월-24개월 19 13

6개월 이하 23 21

가습기 살균제 주입

주기

하루 2회이상 4 30.886

하루 1회 이하 27 18

1회 사용량 10cc 31 23

0.04010-30cc 14 3

30cc 9 1

환기예 46 28

0.269아니오 8 2

환기 시간 30분이하 22 11

0.92830분-60분 18 11

60분이상 2 1

가습기에 물을

채웠는지

가득 36 14

0.2062/3 14 13

절반 3 2

가습기 청소예 54 33

0.625아니오 1 0

가습기 청소 횟수매일 24 17

0.843이틀에 한번 10 5

3일에 한번 14 10

성남 26 12

0.270여 32 24

나이5세미만 23 20

0.1335세이상 35 16

과거 병력있음 7 4

0.903없음 50 31

흡연흡연자 46 32

0.285비흡연자 10 4

아버지 학력 졸이상 33 150.352

기타 12 9

어머니 학력 졸이상 26 130.773

기타 19 11

Page 78: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67 -

(표 계속)

노출 요인 상자비치명적

손상(명)

치명적

손상(명)p-value

가습기 살균제 노출 옥시싹싹 New 가습기

당번

예 48 310.666

아니오 10 5

가습기 메이트예 18 5

0.060아니오 40 31

이플러스 가습기 살균제예 8 5

0.990아니오 50 31

함박웃음 가습기 세정제예 3 0

0.283아니오 55 36

와이즐렉 가습기 살균제

예 12 50.405

아니오 46 31

홈플러스 가습기 살균제예 7 4

0.888아니오 51 32

세퓨 가습기 살균제예 3 4

0.250아니오 55 32

엔위드예 1 0

0.428아니오 57 36

산도깨비 가습기퍼니셔예 2 1

0.674아니오 56 35

(6) 중증도(severity)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한 분석

단변량분석에서 조사의 상자의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된 요인들을 중

심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여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좀더 정확히 파악하

였다. 그 결과 임신여성은 비교군(비임신 여성, 남성, 청소년)에 비해 사망 교차비가

12.48(95% 신뢰구간: 1.71-91.06)이었으며, 5세 미만의 어린이도 비교군에 비하여 교차

비가 6.55(95% 신뢰구간 1.07-39.90)이었다.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교차비가 0.34(95% 신뢰구간: 0.02-6.61)였으며, 가습기

사용 방 곰팡이 여부는 교차비가 3.05(95% 신뢰구간: 0.61-15.2)였으며, 에어컨 사용여

부는 교차비가 0.44(95% 신뢰구간: 0.11-1.79)이었으나 모두 유의한 수준이 아니었다(표

5.12).

Page 79: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68 -

표 5.12. 사망에 미치는 요인에 한 다중회귀분석

변수 상자 OR LL(95% CI) UL(95% CI)

그룹 구분

임신 여성 12.48 1.71 91.06

5세미만 어린이 6.55 1.07 39.90

비교군 1

흡연 흡연자 0.34 0.02 6.61

비흡연자 1

가습기 사용 방 곰팡이 여부

예 3.05 0.61 15.2

아니오 1

에어컨 사용 여부 예 0.44 0.11 1.79

아니오 1

동일한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치명적인 손상에 미치는 주요 요인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임신여성은 비교군(비임신 여성, 남성, 청소년)에 사망 교차비가 7.53 배 (95%

신뢰구간: 1.23-46.176) 높았으며, 5세미만의 어린이는 비교군에 비하여 교차비가 2.21배

(95% 신뢰구간 0.48-10.16)로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교차비가 0.57(95% 신뢰구간: 0.03-9.62)였으며, 가습기 사

용 방 곰팡이 여부는 교차비가 2.56(95% 신뢰구간: 0.53-12.32)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

의하진 않았다. 반면 에어컨 사용여부는 교차비가 0.23(95% 신뢰구간: 0.06-0.91)으로

치명적 손상의 위험도를 유의하게 낮추었다(표 5.13).

표 5.13. 치명적 손상에 미치는 요인에 한 다중회귀분석

변수 상자 OR LL(95% CI) UL(95% CI)

그룹 구분

임신 여성 7.53 1.23 46.17

5세미만 어린이 2.21 0.48 10.16

비교군 1

흡연 흡연자 0.57 0.03 9.62

비흡연자 1

가습기 사용 방 곰팡이 여부

예 2.56 0.53 12.32

아니오 1

에어컨 사용 여부 예 0.23 0.06 0.91

아니오 1

조사 상자의 사망, 치명적 손상에 미치는 요인에 한 다중회귀분석에서 임

신한 여성, 5세 미만의 어린이가 중증도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인들로 파악되

었다. 가습기 살균제 1회 사용량, 총 가습기 살균제 사용 개월 수가 오히려 낮은

Page 80: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69 -

그림 5.5. 가습기 사용년도와 사망자 분포.

그림 5.6 가습기 살균제 사용년도와 사망자 분포.

그룹에서 사망 위험이 높게 나타나는 등, 사망과 이식에 이르는 중증도에 이르는

변수는 가습기 살균제 노출량보다는 상자의 생물학적 취약성(임신여성, 어린이)

이 중요 요인들로 분석되었다.

(7) 연도별 사망자 분포와 가습기 살균제 사용

조사 상자의 경우 가습기 살균제 사용은 2002년부터 2009년까지 증가 추세를

보여주고 있으며(그림 5.5-6), 가습기 살균제 사용기간이 사망군의 경우 평균 14.5

개월, 비사망군의 경우 16.5개월인 것을 고려하면(표 5.7), 가습기 살균제 사용이

Page 81: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70 -

2009년도에 정점에 이르렀고, 가습기 살균제 노출과 관련된 건강피해가 2010-11년

에 가장 많이 발생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 짝지은 환자- 조군 자료 분석

2절의 분석은 조사 상자가 신고 접수로 선택된 피해자라는 점과, 피해자 중 영유아

와 성인의 노출 특성이 다르다는 점을 감안하면 한계점이 많다고 할 수 있다. 앞선 분

석을 통하여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의 노출 자료의 정량적 활용 가능성이 낮고, 수용체

의 민감성이 질병의 위중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을 고려할 때 피해자와 피해자 가족 중 건강한 조군을 비교하는 접근

방법은 제한된 자료의 활용성을 최 화하여 노출과 건강피해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

한 유용한 방법이다.

짝지은 환자군과 조군 취침 시 가습기 및 가습기 살균제의 사용여부 또는 가습기

까지의 상 적인 거리 또는 상 적인 흡입량(같은 방에서 취침하였을 경우)를 조사함

으로써 가습기 살균제 노출이 건강피해에 미친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1) 조군 선정 과정

먼저 전체 가족 구성원인 270명 중 소아/어린이 피해자(n=48)와 성인 피해자(n=47)

를 구분하고 소아/어린이 피해자에는 건강한 형제/자매를 조군을, 성인 피해자의 경

우는 배우자 등 가족 중 건강한 성인을 조군으로 1:1로 짝지었다.

(가) 형제 조군

총 분석 상 95건 중, 소아/어린이 피해자 48건의 목록을 작성한 다음, 피해자의 증

상발현 당시 형제가 있었거나, 이후에 형제가 태어난 26개 가족을 선별하였다. 형제

조군으로 가능한 상자가 2명이상일 경우는 피해자와 연령이 가장 가까운 1명을

조군으로 선정하였다. 피해자와 형제 조군이 2명씩인 경우는 피해자 각각에 해

연령이 가까운 형제를 각각 조군으로 하였다.

Page 8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71 -

동일한 방에서 취침한 형제가 있었던 경우는 9쌍, 다른 방에서 취침한 형제가 있었

던 경우는 4쌍이었으며, 피해 당시에는 형제가 없었으나 이후 형제/자매가 출생한 경

우는 14쌍이었다. 동일한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에 해서는 가습기까지의 상 적인

거리와 상 적인 흡입량과 피해자 발생 간의 연관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다른 방에

서 취침한 형제 세트에 해서는 가습기 사용 및 가습기 살균제 사용과 피해자 발생

간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나) 성인 조군

총 분석 상 95건 중, 성인 피해자 47건의 목록을 작성한 다음, 피해자의 증상발현

당시에 피해를 입지 않은 성인 가족이 있었던 42개 가족을 선별하였다. 이들 가족이

같은 방에서 취침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동일한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n=24)

와 다른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n=20)를 구성하였다.

동일한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에 해서는 가습기까지의 상 적인 거리와 피

해자 발생 간의 연관성을 평가하였으며, 다른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에 해서

는 가습기 사용 및 가습기 살균제 사용과 피해자 발생 간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2) 동일한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 9쌍7)

가습기까지의 상 적인 거리, 부모가 판단한 상 적인 흡입량, 어린이집을 다닌 유무

를 추가적으로 조사한 결과, 피해자의 경우에 가습기까지의 상 적인 거리가 짧거나

같았고, 상 적인 흡입량도 같거나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8)(표 5.14)

7) 같은 방에서 취침한 형제/자매 중에서 일부만 피해자인 경우8) 이 결과는 중증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의 결과와 반 되는 결과임. 조사 상자의 구성에 선택편견

(selection bias)이 있었음을 지지하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음.

Page 83: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72 -

  환자군 (n=9) 조군 (n=9)

나이 (평균, 표준편차) 2.9 (1.8) 3.8 (2.6)

성별 여자 2 6

남자 7 3

출생 순서첫째 4 5

둘째 5 4

중증도사망/폐심장이식 3

호흡기질환 6

가습기까지의 상 적인 거리더 가까웠다 8 0

똑같았다 1 1

더 멀었다 0 8

흡입량a의 상 적인 크기더 많았다 8 0

같았다 1 1

더 적었다 0 8

어린이집다녔다 5 3

안다녔다 4 5

표 5.14. 동일한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 중 환자군- 조군 특성 비교

a흡입량은 부모의 설명에 근거한 추정값으로 정량적 정보는 아님

가습기까지의 상 적인 거리에 해 교차비를 계산하면, 표 5.15와 같이 8/0이었다.

조군  더 짧음 같거나 더 김

환자군 더 짧음 0 8

같거나 더 김 0 1

Odds Ratio: 8/0

표 5.15. 동일한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가습기까지의

거리에 한 교차비

Page 84: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73 -

흡입량에 해 교차비를 계산하면, 아래의 표 5.16에서와 같이 8/0으로 계산된다.

조군  더 많음 같거나 더 적음

환자군 더 많음 0 8

같거나 더 적음 0 1

Odds Ratio: 8/0

표 5.16. 동일한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흡입량에 한 교

차비

가습기 흡입량은 피해를 입은 소아/어린이와 피해를 입지 않은 형제 중 누가 더 많

이 노출되었는지를 주관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기억편견(recall bias)이 개입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가습기까지의 상 적인 거리는 그러한 가능성이 상 적으로 낮을 것으

로 판단된다.

(3) 다른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 4쌍

이 분석 세트는 피해자와 형제 조군이 각각 다른 방에서 취침한 경우이다.

  환자군 (n=4) 조군 (n=4)

나이 (평균, 표준편차) 1.6 (1.1) 3.3 (2.7)

성별 여자 2 3

남자 3 2

중증도사망/폐심장이식 4

호흡기질환 1  

표 5.17. 다른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 중 환자군- 조군 특성 비교

취침한 방의 가습기 사용 여부와 가습기 살균제 사용 여부를 조사한 결과, 피해를

입은 소아/어린이는 모두 가습기 및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한 방에서 취침하였고, 피해

를 입지 않은 소아/어린이는 모두 가습기 및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하지 않은 방에서

취침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습기 사용에 한 교차비를 계산하면, 아래의 표 5.18과 같

이 4/0으로 계산된다.

Page 85: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74 -

조군  사용 사용 안 함

환자군 사용 0 4

사용 안 함 0 0

Odds Ratio: 4/0

표 5.18. 다른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가습기 사용에 한

교차비

가습기 살균제 사용에 한 교차비를 계산하면, 아래의 표 5.19와 같이 4/0으로 계

산된다.

조군  사용 사용 안 함

환자군 사용 0 4

사용 안 함 0 0

Odds Ratio: 4/0

표 5.19. 다른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가습기 살균제 사

용에 한 교차비

각기 다른 형제가 취침한 방에 한 가습기 사용 및 가습기 살균제 사용 여부는 기

억편견이 개입될 가능성이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4) 사망 또는 증상이 나타난 후 출생한 형제 세트: 14쌍9)

각자 취침한 방의 가습기 사용 여부와 가습기 살균제 사용 여부를 추가적으로 조사

한 결과, 피해를 입은 소아/어린이는 모두 가습기 및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한 방에서

취침하였고, 피해를 입지 않은 소아/어린이의 경우 가습기만 사용하고 가습기 살균제

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1건이었고, 나머지 13건의 경우 모두 가습기 및 가습기 살균

제를 사용하지 않는 방에서 취침한 것으로 나타났다.

9) 피해자가 사망하거나 증상이 나타난 후 출생한 형제를 짝지은 경우로 가정에서 같이 지낸 적이 없

는 경우. 한 가족 내에서 2쌍이 짝지어짐

Page 86: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75 -

  환자군 (n=14) 조군 (n=14)

나이 (평균, 표준편차) 1.9 (1.1)a 2.2 (1.5)b

성별 여자 11 8

남자 3 6

중증도사망/폐심장이식 7

호흡기질환 7  

표 5.20. 사망 또는 증상이 나타난 후 출생한 형제 세트 중 환자군

- 조군 특성 비교

a증상 발생 시 나이; b조사 당시 나이

가습기 사용에 한 교차비를 계산하면, 아래의 표 5.21과 같이 13/0으로 계산된다.

조군  사용 사용 안 함

환자군 사용 1 13

사용 안 함 0 0

Odds Ratio: 13/0

표 5.21. 사망 또는 증상이 나타난 후 출생한 형제 세트-가습기 사

용에 한 교차비

가습기 살균제 사용에 한 교차비를 계산하면, 아래의 표 5.22와 같이 14/0으로 계

산된다.

조군  사용 사용 안 함

환자군 사용 0 14

사용 안 함 0 0

Odds Ratio: 14/0

표 5.22. 사망 또는 증상이 나타난 후 출생한 형제 세트-가습기 살

균제 사용에 한 교차비

마찬가지로, 가습기 사용 및 가습기 살균제 사용 여부는 기억편견이 개입될 가능성

이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Page 87: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76 -

  환자군 (n=24) 조군 (n=24)

연령 (평균, 표준편차) 37.3 (11.1) 38.1 (5.8)

성별 여자 17 7

남자 7 17

임신여부예 10 0

아니오 14 24

학력고졸 이하 5 0

졸 12 17

학원 이상 0 1

흡연 여부예 3 12

아니오 21 12

평상시 건강 상태매우 건강 14

건강한 편 9

약한 편이었다병을 앓았다 1

중증도사망/폐심장이식 10

호흡기질환 14

가습기까지의 상 적인 거리더 가까웠다 19 5

더 멀었다 5 19

집 안에서만 거주 여부예 18 5

아니오 6 18

표 5.23. 같은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 중 환자군- 조군 특성 비교

(5) 같은 방에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 24쌍10)

같은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 24쌍을 상으로 환자군과 조군의 연령, 성별,

임신여부, 학력, 흡연여부, 평상 시 건강상태, 중증도 및 가습기까지의 상 적인 거리,

집 안에서만 거주하였는지 여부를 요약하였다(표 5.23).

10) 같은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중에서 일부만 피해자인 경우의 분석 세트

Page 88: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77 -

조군  예 아니오

환자군 예 0 10

아니오 0 14

Odds Ratio: 10/0

표 5.24. 같은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임신여부에 한

교차비

대조군

  더 짧음 더 김

환자군 더 짧음 0 19

더 김 5 0

Odds Ratio: 19/5=3.8 (95% CI=1.42-10.2)

표 5.25. 같은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가습기까지의

거리에 한 교차비

먼저 임신 여부가 피해자 발생과 매우 강한 연관성을 보였다(교차비 10/0). 이는 사

망 및 폐/심장이식과 같은 중증의 피해자가 영유아 및 임신부에 집중되어 있는 것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가습기까지의 상 적인 거리의 경우 교차비는 19/5=3.8로 계산되었다(95%

CI=1.42-10.2). 임신여부에 하여 보정할 경우, 3.7 (1.02-13.2)의 결과를 보였다.

임신여부 및 가습기까지의 상 적인 거리를 제외한 변수들(성별 구분 포함)은 단변

수 분석에서 유의한 연관성을 관찰되었더라도 임신여부에 해 보정할 경우 연관성이

사라지는 결과를 보였다.

임신부는 모두 피해자라는 사실은 임신부가 민감군(susceptible population)임을 알려

준다. 또한, 가습기까지의 상 적인 거리가 가까울수록 피해가 발생할 위험도가 유의

하게 높아지는 것은 소아/어린이에서 같은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에서 분석한 결과

와 일치하는 것이다.

Page 89: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78 -

  환자군 (n=20) 조군 (n=20)

나이 (평균, 표준편차) 39.1 (9.4) 37.5 (6.8)

성별 여자 13 7

남자 7 13

임신여부예 3 0

아니오 17 20

학력고졸 이하 6 5

졸 9 10

학원 이상 1 1

흡연 여부예 3 8

아니오 17 12

평상시 건강 상태매우 건강 8

건강한 편 10

약한 편이었다 1

병을 앓았다 0

중증도사망/폐심장이식 6

호흡기질환 14

집 안에서만 거주 여부예 9 4

아니오 9 15

표 5.26. 다른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 중 환자군- 조군 특성 비교

(6) 다른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 20쌍11)

다른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 중 환자군과 조군의 연령, 성별, 임신여부, 학

력, 흡연여부, 평상 시 건강상태, 중증도 및 가습기까지의 상 적인 거리, 집 안에서만

거주하였는지 여부를 요약하였다(표 5.26).

가습기 사용에 한 교차비를 계산하면, 아래의 표 5.27과 같이 18/0으로 계산된다.

11) 성인 피해자와 성인 가족 조군이 각각 다른 방에서 취침한 경우의 분석 세트

Page 90: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79 -

조군  사용 사용 안 함

환자군 사용 1 18

사용 안 함 0 0

Odds Ratio: 18/0

표 5.28. 다른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가습기 살균제 사용에

한 교차비

조군  사용 사용 안 함

환자군 사용 1 18

사용 안 함 0 0

Odds Ratio: 18/0

표 5.27. 다른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가습기 사용에 한

교차비

가습기 살균제 사용에 한 교차비를 계산하면, 아래의 표 5.28과 같이 18/0으로 계

산된다.

Page 91: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80 -

4. 소결

우리나라의 0-2세 영유아의 폐질환 사망률은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

으나, 간질성폐질환으로 인한 상 적인 사망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피해자 전체를 상으로 분석한 결과 가습기 살균제 사용량 또는 가습기와의 거리

등의 변수가 중증도에 미치는 영향은 평가하기 어려웠으나, 연령과 임신여부와 같은

생물학적 취약성이 중증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일 수 있음이 암시되었다. 또

한 가습기 사용 방 곰팡이 존재와 에어컨을 사용하지 않은 것이 사망과 연관이 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는 밀폐된 공간에서 가습기 살균제의 피해가 컸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피해자 가족 내 짝지은 환자- 조군을 분석한 결과 각기 다른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 또는 다른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에서 환자군은 전적으로 가습기 살균제

사용군에서만 관찰되었다. 이러한 추세는 사망 또는 증상이 나타난 후 출생한 형제 세

트에서도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같은 방에서 취침한 형제 세트에서는 피해자가 가습기

와의 상 적인 거리가 더 먼 경우는 한 건도 관찰되지 않았으며, 같은 방에서 취침한

성인 가족 세트에서는 가습기와의 상 적인 거리가 짧은 경우에 피해자가 발생할 위

험도가 3-4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9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81 -

VI.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와 가족의 정신건강 영향

1. 조사의 가설

2. 분석결과

3. 의미와 제한점

4. 소결

Page 93: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Page 94: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83 -

1. 조사의 가설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와 가족의 정신건강 영향조사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가지고

수행되었다.

1) 가족 내 피해 정도에 따라 정신 건강 영향의 크기가 다를 것이다.

- 사망, 이식(폐, 폐와 심장), 호흡기질환

2) 가족 내 피해자 수에 따라 정신 건강 영향의 크기가 다를 것이다.

- 1명, 2명, 3명, 4명, 5명

3) 응답자의 상태에 따라 정신 건강 영향의 크기가 다를 것이다.

- 환자

- 가족

4) 피해자와의 관계에 따라 정신 건강 영향의 크기가 다를 것이다.

- 본인, 배우자(부인, 남편), 자녀(아들, 딸), 기타(손녀 등)

2. 분석 결과

통계분석은 SAS 9.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 방법으로는 chi-square 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적용하였다.

정신건강 설문에 응답하여 분석에 포함된 사람은 PTSD 검사에는 75명, 사건 충격척

도 검사 및 불안 검사에는 76명이 응답하였다. 가족으로 하면 70가족으로, 한 가족내

에서 1명이 응답한 경우는 64가족이었으며, 한 가족내에서 2명이 응답한 경우는 6가족

이 있었다.

PTSD 검사 사건 충격척도 검사 불안 검사

응답자 수(명) 75 76 76

표 6.1.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정신 건강 설문 응답자

Page 95: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84 -

설문에 응답자들 중 남자는 27명(35.5%), 여자는 49명(64.5%)이었다. 응답자들의 평균

연령은 38.7세였다. 30 가 71.1%로 가장 많이 참여하였다. 교육수준에 응답한 53명 중

32명(60.4%)이 학교졸업 이상의 학력이었다. 환자는 27명(35.5%), 환자 가족은 49명

(64.5%)이었다.

명 %

남자 27 35.5

여자 49 64.5

표 6.2. 정신건강 설문 응답자 성별

명 %

20-29 4 5.3

30-39 54 71.1

40-49 8 10.5

50-59 7 9.2

60-69 2 2.6

70세 이상 1 1.3

표 6.3. 정신건강 설문 응답자의 연령

명 %

고등학교 졸업 10 18.9

전문 학교 졸업 11 20.8

학교 졸업 27 50.9

학원 졸업 5 9.4

표 6.4. 정신건강 설문 응답자의 교육수준

명 %

환자 27 35.5

환자 가족 49 64.5

표 6.5. 설문 응답자 상태 구분

정신건강 설문 응답자의 조사 상자(피해자)와의 관계는 응답자가 피해자 본인인 경

Page 96: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85 -

우 27명(35.5%), 피해자의 배우자인 경우 14명(18.4), 피해자의 부모인 경우 32명

(42.1%), 기타 3명(4.0%)이었다.

명 %

본인 27 35.5

배우자 14 18.4

부인 9

남편 5

자녀 32 42.1

아들 15

딸 17

기타(응답자; 자녀 1, 할머니 1, 시어머니 1) 3 4.0

표 6.6. 정신건강 설문 응답자의 조사 상자(피해자)와의 관계

정신건강 설문에 응답한 가족 내 피해자의 상태는 다음 표 6.7과 같다. 가족 내 사망

자가 있는 응답자는 32명(42.1%)이고, 폐/폐와 심장 이식 수술을 받은 경우는 4명과

이식적응증이 되지만 거부한 경우 1명, 그 외 호흡기질환자가 있는 경우 39명(51.3%)

이었다. 1가족의 경우에는 가족 내 사망 1명(자녀)과 이식(폐) 1명(부인)이 발생한 가족

이 있었다.

명 가족 수

사망하신 분이 있는 경우 32(42.1%)* 28(40.0%)

이식 수술을 받은 분이 있는 경우 6(7.9%) 5(7.1%)

폐 이식 4 3

폐와 심장 이식 1 1

이식 거부자 1 1

호흡기질환자가 있는 경우 38(50.0%) 37(52.9%)

표 6.7. 정신건강 설문에 응답한 가족 내 피해자의 상태

* 한 가족내에서 설문에 응답자들이 2명인 가족 때문에 본 조사의 사망자수인 31명 보다 높게 나타남.

응답자 중에서 가습기 살균제 사건으로 인한 정신 증상으로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사람들은 13명으로 22.0%를 차지하였다.

Page 97: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86 -

명 %

예 13 22.0

아니오 46 78.0

표 6.8. 가습기 살균제 사건으로 인해 정신 치료 여부

정신 증상의 치료 방법으로는 상담치료 4명, 약물치료 5명이었으며, 치료횟수는 주 1

회 1명, 주 2회 1명, 주 6회 1명, 월 1회 2명, 월 2회 3명, 2개월에 1회 1명으로 조사되

었다.

명 %

정신과 치료 + 상담치료 1 8.3

정신과 치료 + 약물치료 2 16.7

상담치료 4 33.3

약물치료 5 41.7

표 6.9. 정신 치료 방법

설문 응답자들의 현재 상태는 현재도 치료 중인 경우가 4명이었고, 치료 방법이 없

다고 하여서, 약물 중독 및 부작용이 두려워서 치료를 중단한 사람이 2명이었다.

명 % 비고

완전히 회복 3 25.0

치료 중 4 33.3

치료 중단 2 16.7약물 중독과 부작용이 두려워서(1명),

치료방법이 없다고 함(1명)

기타 3 25.0모든 일에 공허한 상태임(1명),

회복은 되었다고 하나 미심쩍음(1명)

표 6.10. 정신 치료 이후 현재 상태

가습기 살균제로 인해 가족의 건강에 문제가 발생한 이후 현재까지의 경과 시간은 6

개월에서 1년 사이가 26명(39.4%)로 가장 많았다(가족 중복 응답 제외).

Page 98: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87 -

명 %

1개월 이하 1 1.5

1-3개월 2 3.0

3-6개월 1 1.5

6개월-1년 26 39.4

1-3년 16 24.2

3년 이상 20 30.3

표 6.11. 가습기 살균제 사건 이후 경과 시간

1)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1)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 정의 및 설문 도구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는 인간이 살면서 겪는 전쟁, 성폭력, 학 등과 같은 개

인이 참아내기 어려운 사건들이 피해자에게 외상으로까지 작용하여 병적인 반응이 나

타나게 되며, 병적인 반응으로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나게 된다(채정호, 2004). 일반적으

로 PTSD는 “외상적 사건을 겪은 사람이 적어도 1개월 이상 지속되는 세 가지 군집의

특징적인 증상, 즉 외상 사건의 재경험, 외상 사건의 회피 및 감정의 둔화, 과도 각성

등을 나타내는 불안장애”라고 정의된다.

PTSD의 진단을 위한 평가 도구로는 면접자 기반 평가, 포괄적 진단 면접, PTSD 특

이 면접도구가 있다. 본 조사에서는 PTSD 진단이 가능하고 정도를 정량화 할 수 있어

임상과 연구 분야에서 많이 사용하는 PTSD 특이 면접도구인 PTSD Symptom

Scale(PSS-I)을 토 로 Foa 등이 개발한 PDS(Posttraumatic Diagnostic Scale) 설문을

사용하였다. 이 설문은 국내에서 남보라(2008)가 신뢰도 및 타당도를 조사하였으며, 20

점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민감도는 100%, 특이도는 84%, 양성예측도는 100%, 음성예

측도는 84%로 PTSD 장애 여부를 선별하는데 적절한 도구임을 밝혔다(남보라, 2004).

PDS 문항은 정신과 진단 평가 시 사용하는 DSM-IV(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for Mental Disorders-IV)의 PTSD 진단기준과 완전히 일치하며, 다양한 외상

을 경험한 남녀에게 실시할 수 있다. PDS는 총 4부분으로 되어 있어, 전체 설문을 조

사하기에는 시간이 너무 길게 소요된다. 이 때문에 환자가 지난 1개월 동안 증상을 경

Page 99: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88 -

험한 빈도를 응답하는 부분만을 조사하였다. 이 설문은 총 1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

며, 재경험 증상에 한 질문 5문항, 회피증상에 한 질문 7문항, 증가된 각성 반응

증상에 한 질문 5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문항은 “지난 1개월 동안” 증상을 경

험한 빈도를 "0" 전혀 아니다, "1" 주 1회 정도, "2" 주 2-4회/1달의 반 정도, "3" 주 5

회 이상/거의 언제나 중에서 선택한다. 그 이외에 증상이 지속된 기간과 증상으로 인

해 장애를 받는 삶의 영역에 해 조사하였다.

PTSD로 진단하기 위해서는 특징적인 증상들이 최소 1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

이러한 증상들이 1개월 미만으로 지속되는 경우를 "급성 스트레스 장애"로 분류하며,

3개월 이내에 증상이 해결되었다면 "급성 PTSD"라고 하고,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

면 "만성 PTSD"로 진단한다. 그리고 사건을 겪은 이후 최소 6개월 후에 증상이 시작

되었다면 “지연성 PTSD”에 해당된다.

본 설문응답자들 중에서 급성 스트레스 장애로 진단된 사람은 9명(12.0%)이었으며,

급성 PTSD로 진단된 사람은 4명(5.3%), 만성 PTSD로 진단된 사람은 62명(82.7%)로 나

타났다.

급성 스트레스 장애 급성 PTSD 만성 PTSD 총

응답자 수(명) 9 4 62 75

표 6.12. PTSD 증상 설문 응답자 상태

따라서, PTSD 설문 응답자 중 급성 스트레스 장애에 속하는 9명을 분석에서 제외하

고, 66명에 해서 분석하였다. 이 중 49명(76.6%)이 사건을 경험하고 6개월 내에 증상

이 발생하였으며, 사건이 발생하고 6개월 후에 증상이 발생하여 지연형 PTSD에 해당

되는 응답자는 15명(23.4%)이었다.

설문 응답자들에서의 응답을 점수로 표현하면, 평균 28.4 표준편차 13.0(범위 0-51)이

었다.

PTSD 증상자 군은 남보라의 연구에서 도출된 절단점을 20점으로 하였을 때는 46명

(69.7%)이 해당되었으며, Foa 등의 기준12)으로 하였을 때는 54명(81.8%)이었다. 이를

Page 100: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89 -

더 세분해서 보면, “한 가지 이상의 재경험 증상”군은 65명(98.5%)이었고, “세 가지 이

상의 회피증상”군은 54명(81.8%), “두 가지 이상의 과각성 증상”군은 59명(89.4%)으로

재경험증상군이 가장 많았고, 과각성 증상군 및 회피 증상군 순이었다.

PTSD 점수 (≥21점)1)

Foa 등의 기준2)

응답자 수 46명(69.7%) 54명(81.8%)

표 6.13. PTSD 증상자군 분율

1) 남보라의 연구에서 도출한 기준 2) Foa 등의 논문에서 정의한 기준. 한 가지 이상의 재경험 증상을 경험하고, 세 가지 이상의 회피증상을 경험하며, 두 가지 이상의 과각성 증상을 일주일에 한 번 이상 경험한 사람을 PTSD 증상자군으로 정의

PTSD 환자들은 과도한 각성 때문에 정상적인 수면을 할 수 없으며, 또한 공격적

인 성향, 성적 충동 조절 및 애정 관계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주의 집중이 안되어

학습에도 지장을 받게 되고, 인 관계 등 사회 생활도 어려워 직업 수행에도 어려

움을 겪게 된다.

응답자들의 삶의 영역에서 문제가 되는 영역들로는 놀이와 여가활동(87.3%), 삶에

한 전반적인 만족(81.0%), 삶의 모든 영역에서의 전반적인 기능 수준(79.4%), 집안

일(75.0%), 친구 관계(74.6%)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관계에도 문제가 있다고

46명(73.0%)에서 응답하였다.

명 %

직업 43 66.2

집안 일 48 75.0

친구 관계 47 74.6

놀이와 여가활동 55 87.3

학업 25 41.7

가족관계 46 73.0

성생활 42 68.9

삶에 한 전반적인 만족 51 81.0

삶의 모든 영역에서의전반적인 기능 수준

50 79.4

표 6.14. 응답자들의 삶의 영역에서 문제가 되는 영역들

12) 삼성-허베이 스피릿호 기름유출사고지역 주민들을 상으로 조사할 때 적용된 기준이다

Page 101: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90 -

PTSD 증상으로 인하여 삶의 영역을 정상적으로 영유하지 못하는 지 여부에 한 조

사에서, 6가지 영역에 문제가 있다는 응답자는 4명(6.2%), 7가지 영역에 문제가 있다는

응답자는 11명(16.9%), 8가지 영역에 문제가 있다는 응답자는 17명(26.2%), 9가지 영역

에 문제가 있다는 응답자는 14명(21.5%)로 6가지 영역 이상에 장애가 있다는 응답자는

총 46명(70.8%)이었다.

명 %

없다 5 7.7

1가지 영역 1 1.5

2가지 영역 3 4.6

3가지 영역 5 7.7

4가지 영역 3 4.6

5가지 영역 2 3.1

6가지 영역 4 6.2

7가지 영역 11 16.9

8가지 영역 17 26.2

9가지 영역 14 21.5

표 6.15. PTSD 증상으로 인하여 장애가 되는 삶의 영역의 수

(2) 응답자들의 각 특성별 PTSD 점수 및 증상군 분율

가족 내 피해자들의 상태에 따라 PTSD 점수 및 증상자군의 분율을 분석한 결과, 사

망자 군에서의 PTSD 평균이 다른 군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국내 PTSD 증상자

기준 및 Foa 등의 기준에 의해 분류해 보면, 가족 내 사망자 군에서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PTSD 증상자군의 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평균±표준편차국내 PTSD 증상군

기준 (≥21점)

Foa 등의 PTSD

증상군 기준

가족 내 사망자 군 33.8±10.5* 26명(86.7%)† 28명(93.3%)‡

가족 내 이식자 군 24.3±11.6 4명(66.7%) 5명(83.3%)

가족 내 호흡기질환자 군 23.8±13.7 16명(53.3%) 21명(70.0%)

표 6.16. 가족 내 피해자의 상태별 PTSD 점수 및 증상군 분율

* 1군에서의 점수가 3군에서의 점수에 비해 유의하게 높음(p=0.0068).

†p=0.0053(각 칸의 숫자가 너무 작아 Mantel-Haenszel Chi-Square 값을 적용함)

‡p=0.0201(Mantel-Haenszel Chi-Square).

Page 10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91 -

또한, 가족 내 사망자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여보면, 가족 내 사망

자 군 33.8점, 그렇지 않은 군 23.9점으로 사망자 군에서의 평균이 유의하게 높았다

(p=0.0015). PTSD 21점 이상군 기준에 의해서도 가족 내 사망자 군에서는 26명(86.7%)

였으며, 그렇지 않은 군 20명(55.6%)로 유의하게 사망자 군에서의 분율이 높았다

(p=0.0062). Foa 등의 기준에 의해서도 가족 내 사망자 군에서는 28명(93.3%), 그렇지

않은 군 26명(72.2%)으로 사망자 군에서의 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268).

환자 여부별 PTSD 정도를 비교한 결과 환자군에서의 평균이 환자 가족의 평균보다

오히려 더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평균±표준편차국내 PTSD

증상군 기준(≥21점)

Foa 등의 PTSD

증상군 기준

환자(n=22) 27.4±12.0 15명(68.2%) 17명(77.3%)

환자의 가족(n=44) 28.9±13.5 31명(70.5%) 37명(84.1%)

표 6.17. 환자 여부별 PTSD 점수 및 증상군 분율

가족관계별로 PTSD 점수 및 증상군 분율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가

족 내 피해자 수별로 PTSD 증상군 분율을 비교한 결과 차이가 없었다.

평균±표준편차국내 PTSD

증상군 기준(≥21점)

Foa 등의 PTSD

증상군 기준

배우자(부인, 남편) 26.7±16.1 8명(61.5%) 9명(69.2%)

자녀(아들, 딸) 29.5±12.2 20명(71.4%) 25명(89.3%)

기타 39.3±7.5 3명(100.0%) 3명(100.0%)

표 6.18. 가족관계 별 PTSD 점수 및 증상군 분율

남보라 등이 제시한 PTSD 점수 21점 이상의 기준을 적용하여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

과, 가족 내 호흡기질환자군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설문응답자의 성별, 연령, 교육수

준, 환자 여부 및 가족내 피해자 수 등을 보정한 후 가족 내 사망자군에서의 PTSD 증

Page 103: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92 -

상군의 교차비는 8.94(95% 신뢰구간 1.82-43.81), 가족 내 이식자군에서는 2.57(95% 신

뢰구간 0.28-24.08)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족 내 사망자가 있는 군 가족에서의

PTSD 위험이 가족 내 호흡기질환자가 있는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약 9배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족 내 사망자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분석 시,

사망자 군에서의 PTSD 교차비는 7.50(95% 신뢰구간 1.65-34.01)배 높아졌다.

Foa 등의 기준을 적용하여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가족 내 호흡기질환자군을 기

준으로 하였을 때, 설문응답자의 성별, 연령, 교육수준, 환자 여부 및 가족내 피해자

수 등을 보정한 후에도 가족 내 사망자군에서의 PTSD 교차비는 6.01(95% 신뢰구간

0.85-42.41), 가족 내 이식자군에서는 3.29(95% 신뢰구간 0.20-55.37)로,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가족 내 피해자의 상태가 위중할수록 가족에서의 PTSD 위험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족 내 사망자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분석 시,

사망자 군에서의 PTSD 교차비는 4.73(95% 신뢰구간 0.77-28.91)배 높아졌다.

2) 한국판 사건 충격척도 수정판(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ES-R-K) 검사 결

(1) 한국판 사건 충격척도 수정판 소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를 환자가 스스로 측정할 수 있는 설문조사로 외상과 관련된

심리적인 반응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서 Horowitz 등이 Impact of Event Scale(IES)을

개발하였으며, Weiss와 Marmar가 수정판을 개발하였다. 국내에서는 은헌정 등(2005)이

번역하고 표준화한 한국판 사건충격 척도 수정판(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이하 IES-R-K)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이 설문은 총 22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침습, 회피, 과각성에 해 5점 척도로 응답을 하게 되어 있다.

PTSD 고위험군의 절단점은 25점으로 하며, 25점 이상 시 외상후 스트레스장애-고위

험군에 해당된다. PTSD 설문 응답자 중 급성 스트레스 장애에 속하는 9명을 분석에서

제외하고, 67명(61가족)에 해서 분석하였다.

설문 응답자들에서의 응답을 점수로 표현하면, 평균 49.5, 표준편차 22.3(범위 0-84)이

었다. 전체 응답자 중 PTSD 고위험군은 56명(83.6%)이었다.

Page 104: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93 -

(2) 응답자들의 각 특성별 PTSD 점수 및 고위험군 분율

가족 내 피해자의 상태별 PTSD 점수 및 고위험군 분율을 분석한 결과, 가족 내 사

망자 군에서의 PTSD 점수가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PTSD 25점 이

상을 기준으로 한 PTSD 고위험군 분율도 가족 내 사망자 군에서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평균±표준편차 PTSD 고위험군 (≥25점)

가족 내 사망자 군 58.7±18.6* 29명(96.7%)†

가족 내 이식자 군 45.7±19.0 5명(83.3%)

가족 내 호흡기질환자 군 41.5±23.3 22명(71.0%)

표 6.19. 가족 내 피해자의 상태별 PTSD 점수 및 고위험군 분율

* 1군에서의 점수가 3군에서의 점수에 비해 유의하게 높음(p=0.0077).

†p=0.0072(각 칸의 숫자가 너무 작아 Mantel-Haenszel Chi-Square 값을 적용함)

가족 내 사망자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여보면, 가족 내 사망자 군

58.7점, 그렇지 않은 군 42.1점으로 사망자 군에서의 평균이 유의하게 높았다

(p=0.0019). PTSD 25점 이상 기준에 의해서도 가족 내 사망자 군에서는 29명(96.7%)이

었으며, 그렇지 않은 군 27명(73.0%)로 유의하게 사망자 군에서의 분율이 높았다

(p=0.0098, Mantel-Haenszel Chi-Square).

환자 여부별 PTSD 점수는 응답자가 환자의 가족인 경우 오히려 높게 나타났으며,

PTSD 고위험군 분율도 환자의 가족에서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평균±표준편차PTSD 고위험군

(≥25점)

환자 43.0±21.8 17명(73.9%)

환자의 가족 53.0±22.0 39명(88.6%)

표 6.20. 환자 여부별 PTSD 고위험군 분율

Page 105: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94 -

가족관계별로 PTSD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PTSD 고위험

군 분율은 피해자가 응답자의 자녀인 경우가 배우자인 군에 비해 높았다. 가족 내 피

해자 수별로 PTSD 증상군 분율은 차이가 없었다.

평균±표준편차PTSD 고위험군

(≥25점)

배우자(부인, 남편) 45.5±29.7 9명(69.2%)*

자녀(아들, 딸) 54.9±17.8 27명(96.4%)

기타 67.0±9.0 3명(100.0%)

표 6.21. 가족관계 별 PTSD 점수 및 고위험군 분율

*p=0.0161(각 칸의 숫자가 너무 작아 Mantel-Haenszel Chi-Square 값을 적용함)

회귀분석 결과, 가족 내 호흡기질환자군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설문응답자의 연령,

성별, 교육수준, 환자여부 및 가족내 피해자 수 등을 보정한 후 PTSD 고위험군에

한 교차비는 설문응답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교차비

1.19, 95% 신뢰구간 1.02-1.39), 가족 내 사망자군에서의 PTSD 고위험군 교차비는

27.29(95% 신뢰구간 1.16-644.31), 가족 내 이식자군에서는 11.36(95% 신뢰구간

0.60-216.28)로, 가족 내 피해자의 상태가 위중할수록 가족에서의 PTSD 위험이 높아짐

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족 내 사망자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분석 시 사망자

군에서의 PTSD 교차비는 9.71(95% 신뢰구간 0.91-103.11)배 높아졌다.

3) 불안 장애(Beck Anxiety Inventory, 이하 BAI) 검사 결과

(1) 불안 측정 도구 소개

불안 정도를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는 Beck 등이 1988년에 개발하고, 한국어로 번역

되었으며, 육성필과 김중술(1997)에 의해 신뢰도가 검증된 Beck 불안 설문지를 이용하

여 조사하였다. 이 설문은 총 21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환자 자신이 1주 동안

경험한 불안 증상을 4점 척도로 평가하는 방식으로, 0점 "전혀 느끼지 않았다" 1점"조

금 느꼈다" 2점 "상당히 느꼈다" 3점 "심하게 느꼈다" 중에서 선택한다. 총점의 범위는

0점에서 63점이다. 한국어판 기준으로는 21점 이하는 불안하지 않은 상태로, 22-26점은

Page 106: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95 -

불안 상태로 관찰과 개입을 요하는 단계이며, 27-31점은 심한 불안상태이고, 32점 이상

은 극심한 불안 상태로 평가한다.

설문 응답자들에서의 응답을 점수로 표현하면, 평균 25.6 표준편차 17.1(범위 0-63)이

었다. 응답 상자 중 불안군(≥22점)은 41명(54.0%)이었으며, 부분이 극심한 불안상태

인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표준편차불안 상태(22-26점)

심한 불안상태(27-31점)

극심한 불안상태(32점 이상)

불안 점수 25.6±17.1 8명(19.5%) 6명(14.6%) 27명(65.9%)

표 6.22. 불안 설문 응답자들에서의 불안의 정도

(2) 응답자들의 각 특성별 불안 점수 및 불안 정도별 분율

가족 내 피해자의 상태별로 불안 점수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가족 내 피

해자의 상태별로 불안의 정도별 분율에도 차이가 없었다.

평균±표준편차불안 상태(22-26점)

심한 불안상태(27-31점)

극심한 불안상태

(32점 이상)

가족 내 사망자 군 30.8±16.2 5명(23.8%) 1명(4.8%) 15명(71.4%)

가족 내 이식자 군 24.8±9.8 1명(25.0%) 1명(25.0%) 2명(50.0%)

가족 내 호흡기질환자 군 21.3±17.9 2명(12.5%) 4명(25.0%) 10명(62.5%)

표 6.23. 가족 내 피해자의 상태별 불안 점수 및 불안 정도

가족 내 사망자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보면, 가족 내 사망자 군

30.8점, 그렇지 않은 군 21.8점으로 사망자 군에서의 평균이 유의하게 높았다

(p=0.0235). 가족 내 사망자 군에서의 “극심한 불안상태군”은 15명(71.4%)이었으며, 그

렇지 않은 군 12명(60.0%)로 차이가 없었다.

Page 107: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96 -

환자 여부별 불안 점수 및 불안의 정도별 분율에 차이가 없었다.

평균±표준편차불안 상태(22-26점)

심한 불안상태(27-31점)

극심한 불안상태

(32점 이상)

환자 25.9±18.5 2명(13.3%) 4명(26.7%) 9명(60.0%)

환자의 가족 25.4±16.5 6명(23.1%) 2명(7.7%) 18명(69.2%)

표 6.24. 환자 여부별 불안 점수 및 정도

가족관계 별로 불안 점수 및 불안의 정도별 분율에 차이가 없었다. 가족 내 피해자

수별로 불안군 분율을 비교한 결과 차이가 없었다.

평균±표준편차불안 상태(22-26점)

심한 불안상태(27-31점)

극심한 불안상태

(32점 이상)

배우자(부인, 남편) 21.5±16.2 - 1명(16.7%) 5명(83.3%)

자녀(아들, 딸) 26.3±16.4 4명(23.5%) 1명(5.9%) 12명(70.6%)

기타 34.3±20.5 2명(66.7%) - 1명(33.3%)

표 6.25. 가족관계 별 불안 점수 및 정도

회귀분석 결과, 가족 내 호흡기질환자군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설문응답자의 연령,

성별, 교육수준, 환자여부 및 가족내 피해자 수 등을 보정한 후 불안군(≥22점)에 해

가족 내 사망자군에서의 불안군 교차비는 4.63(95% 신뢰구간 1.31-16.34), 가족 내 이식

자군에서는 5.64(95% 신뢰구간 0.70-45.24)로 가족 내 사망자군에서의 불안 위험보다

가족 이식자군에서의 불안 위험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가족 내 사망자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분석 시 사망자 군에서의 불안 교차비는 3.49(95% 신뢰구

간 1.07-11.41)배 높아졌다.

Page 108: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97 -

4) 자살 충동 조사 결과

(1) 자살 충동 결과

가습기 살균제 사건 이후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는 사람은 39명(51.3%)이었

다. 자살 충동을 느끼는 횟수는 하루에 1회가 9명으로 가장 많았다. 그 이외 “수시로”

2명, “항상” 1명, “100회” 1명이 응답하였다.

명 %

없다 37 48.7

있다 39 51.3

표 6.26. 가습기 살균제 사건 이후 자살 충동 여부

1-5회/하루 15

10-항상/하루 8

며칠에 한 번-가끔 5

표 6.27. 자살 충동 횟수

죽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이유를 복수로 응답한 결과, “사건 이후 경제적 문제” 때

문은 17명, “가정 내 갈등” 때문은 7명, “정부의 태도” 때문은 21명, “기업의 태도” 때

문은 19명, 기타 6명이었으며, 죽고 싶은 이유를 주관식으로 적은 내용을 정리하면, 죄

책감 4명, 질환 때문에 힘들어서 2명, 치료방법이 없어서 1명, 아이가 너무 보고 싶다

1명, 진료비가 부담되어서 1명으로 나타났다.

가습기 살균제 사건 이후 자살하려는 시도나 계획에 한 질문에 해 “있었다”는

경우는 8명(12.7%)이었으며, 자살 시도 횟수는 1회 2명, 2-3회 3명, 5번 이상 1명 등이

었다.

(2) 응답자의 각 특성별 자살 충동 결과

가족 내 피해자의 상태별 자살 충동을 조사한 결과, 가족 내 사망자 군에서 다른 군

Page 109: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98 -

에 비해 자살 충동군의 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자살 충동 예

자살 충동 아니오

가족 내 사망자 군 21명(65.6%)* 11명(34.4%)

가족 내 이식자 군 32명(50.0%) 3명(50.0%)

가족 내 호흡기질환자 군 156명(39.5%) 23명(60.5%)

표 6.28. 가족 내 피해자의 상태별 자살 충동 여부

* 가족 내 피해자의 심각도가 위중할수록 자살충동을 느끼는 율이 유의하게 증가함(p=0.0305, Mantel-Haenszel Chi-Square).

가족 내 사망자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여보면, 가족 내 사망자 군

에서는 21명(65.6%), 그렇지 않은 군에서는 18명(40.9%)으로 사망자 군에서 유의하게

자살 충동군의 분율이 높았다(p=0.0333).

환자 여부별 자살 충동은 환자의 가족인 경우에서 더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

지는 않았다.

자살 충동 예

자살 충동 아니오

환자 13명(48.2%) 14명(51.9%)

환자의 가족 26명(53.1%) 23명(46.9%)

표 6.29. 환자 여부별 자살 충동 여부

가족관계 별 자살 충동은 피해자가 자녀인 경우가 배우자인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으

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Page 110: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99 -

자살 충동 예

자살 충동 아니오

배우자(부인, 남편) 7명(50.0%) 7명(50.0%)

자녀(아들, 딸) 19명(59.4%) 13명(40.6%)

기타 - 3명(100.0%)

표 6.30. 가족관계 별 자살 충동 여부

회귀분석 결과, 가족 내 호흡기질환자군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설문응답자의 연령,

성별, 교육수준, 환자여부 및 가족내 피해자 수 등을 보정한 후 자살 충동군에 해

가족 내 사망자군에서의 자살 충동의 교차비는 5.42(95% 신뢰구간 1.49-19.63), 가족 내

이식자군에서는 1.75(95% 신뢰구간 0.24-12.65)로 가족 내 피해자의 상태가 위중할수록

가족에서의 자살 충동 위험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족 내 사망자 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분석 시 사망자 군에서의 자살 충동 교차비는 4.97(95% 신뢰구간

1.43-17.27)배 높아졌다.

(3) PTSD 및 불안과 자살 충동간의 관련성 분석

자살 충동군에서 PTSD 증상의 점수, 사건충격 점수 및 불안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TSD 점수

평균±표준편차

사건충격 점수

평균±표준편차

불안 점수

평균±표준편차

자살 충동 예 33.1±12.7* 57.9±20.7† 33.6±17.2‡

자살 충동 아니오 23.1±11.3 40.4±20.6 17.1±12.5

표 6.31. 자살 충동 여부에 따른 정신 건강 설문 점수

* 자살 충동이 있는 군에서 유의하게 PTSD 점수가 높음(p=0.0013). †자살 충동이 있는 군에서 유의하게 사건충격 점수가 높음(p=0.0010). ‡자살 충동이 있는 군에서 유의하게 불안 점수가 높음(p<0.0001).

자살 충동군에서 불안군의 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불안 정도가 심할수록 자

살 충동을 느끼는 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age 111: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00 -

PTSD

증상군*

PTSD

증상군†PTSD 고위험군 불안군

자살 충동 예 28명(80.0%) 31명(88.6%) 32명(91.4%) 28명(71.8%)‡

자살 충동 아니오 18명(58.1%) 23명(74.2%) 24명(75.0%) 13명(35.1%)

표 6.32. 자살 충동 여부에 따른 PTSD 및 불안군

* 남보라의 기준(PTSD 점수 ≥21점) †Foa 등의 기준 ‡자살 충동이 있는 군에서 유의하게 불안군의 분율이 유의하게 높음(p=0.0014).

불안 상태(22-26점)

심한 불안상태(27-31점)

극심한 불안상태(32점 이상)

자살 충동 예 2명(7.1%) 3명(10.7%) 23명(82.1%)*

자살 충동 아니오 6명(46.2%) 3명(23.1%) 4명(30.8%)

표 6.33. 자살 충동 여부에 따른 불안 정도

* 불안 정도가 심할수록 자살충동을 느끼는 율이 유의하게 증가함(p=0.0009, Mantel-Haenszel Chi-Square).

3. 의미와 제한점

이전에 수행된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정도에 한 연구들 중에서 피해 가족들을 상

으로 한 연구를 국외 및 국내에서도 거의 없었다. 미국에서 수행된 가족 혹은 친구들

중 살인을 당한 사건을 경험한 사람들에서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유병률 조사 결과

에 따르면, 특히 가까운 가족구성원들 중에서는 사건 이후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발병

률은 23.3%였으며, 4.8%에서 PTSD 진단 기준에 합당하였다(Amick-McMullan 등,

1991).

국내에서는 2003년 구에서 지하철 화재 사고로 192명이 사망한 사고와 관련하여

사망자 유가족을 상으로 스트레스 장애 정도를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스트레스 측

정 설문의 기준이 20점 이상이며, 이 경우 경고 위험 수준의 스트레스 정도라고 하였

을 때, 조사 상 전체 유가족(20명)에서의 스트레스 점수는 평균 38.6점이었으며, 20명

중 3명을 제외하고 17명(85.0%)에서 20점 이상이었다. 또한, 피해자들과 유족간의 관계

에 따른 분석 결과 인원 수에 비하여 분석하였으며, 특히 부부(n=4)인 경우 점수가

가장 높았고(42점), 부모(n=13)인 경우 38점, 그 외 친척(n=3)인 경우 34점 순이었다.

Page 11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01 -

스트레스 장애가 특히 심한 영역은 “남 앞에 얼굴을 내미는 것이 두렵다”라는 항목으

로, 정상적인 인간관계 및 사회생활을 회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건이 발생하고,

구경북 지역의 상담전문가들이 유가족들을 돕기 위해 봉사단을 조직하였으며, 이 연구

또한 위기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 목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홍종관 등,

2005).

일반적인 지역사회의 PTSD 유병률은 1-14%이며, 외상적 사건을 겪은 고위험 집단의

PTSD 유병률은 3-58%이다(조성식 등, 2009). 일반적으로 전 인구의 약 반 정도의 사람

들이 PTSD를 일으킬 정도의 심한 외상적 사건을 경험한다고 한다(채정호, 2004). 이러

한 외상적 사건을 경험한 사람들 중 약 10-20%가 PTSD가 생기며, 성폭력과 같은 특정

한 사건의 경우에는 약 반 수에서 발생한다고 한다. PTSD의 평생유병률은 7.8% 정도

이며, 남자에서는 5%, 여자에서는 10% 정도로 여자에서 유병률이 더 높고, 증상 이환

기간도 더 길다.

PTSD 발생과 관련된 요인으로 개인적 소인도 중요하며, 또한 외상 이후의 지지체계

등의 요인도 매우 중요한 관련인자이다(채정호, 2004). PTSD 사건 이전의 외상의 과거

력, PTSD 과거력, 우울증 및 다른 정신질환의 과거력, 부모와의 관계, 어렸을 때의 외

상 경험, 외상 사고의 강도 및 양상, 외상 후에 사회적 지지 정도, 경제적 자원, 그 외

스트레스 원인 등이 관련된 요인들이다.

2007년 우리나라에서 역 로 발생한 해양기름유출사고 중 최 규모의 사고인 삼성-

허베이 스피릿호 기름유출사고지역 피해주민을 상으로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증상을

조사한 결과에서는 “한 가지 이상의 재경험 증상을 경험하고, 세 가지 이상의 회피증

상을 경험하며, 두 가지 이상의 과각성 증상을 일주일에 한 번 이상 경험하는 사람”으

로 “PTSD 증상자”로 정의하였으며, 이 때 56.6%가 PTSD 증상자로 나타났다.

서울지역의 한 소방서에 근무하는 소방관들을 상으로 PTSD 고위험군을 조사한 결

과에 따르면, IES-R-K 점수의 평균은 11.26점이었으며, PTSD 고위험군은 13.7%로 나타

났다.

본 조사의 제한점으로는 설문응답자들의 과거 병력에 해 설문에서 상세히 조사하

였으나, 사건 발생 이전의 정신병의 과거력에 해 파악하지 못하였다. 또한, 가습기

살균제 사건 이전의 생애 중에 중요한 사건 경험 여부에 해서도 확인하지 못하였다.

Page 113: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02 -

4. 소결

설문응답자들의 여러 특성들 중에서 특히, 가족 내 사망자가 있는 등 피해의 정

도가 심각할수록 PTSD 및 자살 충동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가족 내 사망자 군에서의 PTSD 점수, PTSD 증상자군 분율 및 고위험군 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PTSD 점수 및 PTSD 고위험군 분율이 환자 가족인 경우 오히려 더 높았다. 이

는 환자 가족인 경우 가족 중에 사망 피해자가 있어 정신 건강 영향이 더 심각하

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자살 충동군에서 PTSD 증상의 점수, 사건충격 점수 및 불안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PTSD 증상 및 불안이 심할수록 자살의 충동이 있을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또한, 불안 정도가 심할수록 자살 충동을 느끼는 율이 유의하게 증가하였

다.

설문 응답자의 관련 내용을 보정한 후에도 가족 내 사망자군에서 “PTSD 증상

군” 위험은 가족내 호흡기질환자군에 비해 약 9배, “불안군” 위험은 약 5배, “자살

충동” 위험은 5배 높았다. 따라서, 특히 가족내 사망자군들에 한 정신적 지원 체

계 수립이 시급하다.

PTSD는 만성화되어 정상적인 인간관계 및 사회생활에 지장을 야기하며, 신체적

정신적 질환이 많고, 자살 시도도 높은 심각한 질환이므로,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가족들에 한 정신적 치료 지원뿐 아니라,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 여러

분야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Page 114: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03 -

5. 설문조사 - 문제해결을 위한 의식조사 분석13)

응답자들의 절반(50%)은 가습기살균제 피해를 도와줄 사람이 주변에 없는 상황에

처해있고, 이중 절반이상(57%)이 정부로부터의 도움을 바라고 있었다. 기업의 도움

을 바라는 응답은 매우 적었는데(4.3%) 이는 기업을 ‘도움의 상’이 아니라 ‘책임의

상’으로 여기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절반이 넘는 (63%) 응답자들은 이번 사고에

한 언론의 보도에 해 ‘매우불만족’하고 있었고,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키기 위

해 이 문제의 보도에 있어서 보강되어야 할 사항 3가지를 중요한 순서 로 들라는

질문에 첫번째 보강사항 ‘정부의 개입(46%)’, 두번째 보강사항 ‘일반국민에게 가습기

살균제 위험 알림(26%)’, 세번째 보강사항 ‘전문가의견 (31%)’을 들었다. 이번 일의

‘해결을 위해’서 중요한 상은 정부와 기업이 가장 중요하였고 ‘매우중요(97%), ‘재

발방지를 위해’서는 정부>기업>언론의 순으로 ‘매우중요’하였다.

(1) 가습기 살균제 사고와 관련하여 현재 귀하와 귀하의 가족을 도울 사람이 있습니

까?

응답1; 있다 34(49%), 없다 34(49%)

응답2;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은 누구입니까?) 가족 27(73%),

응답3; (그 도움이 충분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매우불충분 8(28%), 보통 17(59%), 매

우충분 3(10%)

해석; 응답자의 절반은 피해를 도와줄 사람이 주위에 없다고 답했다. 도와줄 사람이

있다고 답한 경우, 73%가 (도와줄 사람이)가족이라고 답했다. 이는 174건의 피해중

39% 68건이 태아와 영유아이고, 52건의 사망피해의 경우 부분인 60% 31건이 3세

이하의 영유아였던 점을 고려할 때 이들 피해가족이 20-30 의 비교적 젊은 부부로

핵가족 형태를 이루고 있어 피해를 도와줄 주변의 조건이 없다고 답한 것으로 보인

다. 여기에 전체피해의 40% 69건이 28가족에게서 2명이상의 가족구성원이 피해를

입은 것이어서 가족구성원 여러명이 피해를 입어 더욱 어려움이 큰 것으로 보여진

다.

(2) 만일 추가 도움이 필요하다면 누구로부터의 도움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

13) 설문조사 내용 중 ‘문제해결을 위한 의식조사’ 응답의 내용을 요약했다. 특히 ‘외부로부터의 도움

이 필요한 이유를 묻는 주관식 기입방식의 설문응답은 내용을 모두 소개한다. 피해자들의 문제의식이

직접적으로 표현된 부분으로 정신건강과 연결된 지점이 있기 때문이다.

Page 115: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04 -

응답 빈도

가습기 살균제 사용으로 인한 여러 가지 계속되는 합병증치료를 한 병원진료비

검사비 부담에서 '희귀병질환'등록이 되어 병의 치료에 경제 인 도움을

받았으면 한다. 그리고 이제까지 들어간 병원비 등 경제 손실과 정신

스트 스 등 경제 손실부분을 기업을 상 로 손해배상소송을 할 계획인데

여기서 국가가 많은 사람들을 죽게 하고 병들게 한 가습기 살균제를 매한

가해자인 기업과 가습기 살균제를 구입해서 건강 그리고 경제 정신 피해를

입은 국민들인 피해자 사이에서 국가의 한 개입으로 올바른 역할을 하 으면

한다.

1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질병 발생시 오랜 기간 치료를 해야 하며 일상 생활이

불가능하며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이다1

가족외에 구의 도움도 받기 싫습니다. 1

갑작스럽게 일이 생겨서 이해가 안감

보험 해당도 안되고 경제 으로 힘듬1

개인이 기업을 상 하기는 버거움으로 1

건강을 해서 1

경제 인 문제 1

기업과 함께 더불어 유통시킨 정부도 책임이 있기에.. 1

무도 억울하고 가습에 간직하고 있는 고통, 미안함, 죄책감 등등으로 1

당연히 책임을 지어야함 1

부분의 국문은 무엇을 믿고 제품을 구입할까요? 업체와 고(업체의 고일수록

거짓일 수 없지 않을까하는 착각을 했었던거죠2

믿고 사용했기에 1

수술한 후 아무래도 활동이 불편하니까 1

스스로 일상생활이 어려움 1

아기 병간호를 해 1

까?(주관식)

응답; 정부 27(57%), 가족 12(26%), 의사 4(8.5%), 기업 2(4.3%). 언론2(4.3%)

해석; 주관식 질문이라 응답자들의 표현은 다양했지만 크게 정부, 가족, 의사, 기업,

언론 등 5분야로 분류가능했다. 응답자들은 이 사건피해의 도움(해결이라고 이해해

도 좋을 듯)이 가장 필요한 분야로 57%가 정부, 26%가 가족 그리고 의사, 기업 및

언론 순이었다. 질문의 표현이 ‘도움’이라고 되어 있어 환자인 경우 ‘의사’와 물리적

정신적 도움을 위해 ‘가족’을 들고 있지만 피해 책은 정부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는 뜻으로 답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기업의 경우 응답이 매우 적은 데 이는 기업

을 ‘도움’의 상이 아니라 ‘책임’의 상으로 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3) 왜 그 도움이 필요하다고 보시는지 이유 한가지를 들어주시겠습니까?(주관식)

Page 116: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05 -

응답 빈도

아이 돌 . 1

아이가 잘클수있도록 정부의 지원이 필요함 1

아이를 먼 보내고, 가족들의 상실감과 스트 스가 심하 음 2

원인제공자와 수수방 자의 책임에 한 속죄 4

원인 제품에 따른 책임감 1

육아문제 1

육아보육 도움 1

이번 사고가 발생하기 까지 정부의 안일한 화학제품 리기 으로 발생한 사고로

정부의 책임 있는 행동으로 피해자 가족들에게 도움을 주는 건 당연하다고

생각함

2

이번사태를 있게 한 장본인들이므로 1

자녀들이 유아여서 1

문가이다보니 신뢰도가 높아서 1

정말 아무것도 모르고 좋은 로만 알고 아이방에 의무 으로 사용하 기에 2

정부의 리, 책임소홀로 피해사망을 야기시킨 것으로 , 책임과 의식을 다한 것 1

정서 경제성 어려움 1

지속 인 치료와 검진이 필요하고 그에 따른 경제 인 지원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2

질병의 치료 목 1

책임을 져야한다 1

친구들이 집에 놀러왔을 때 가습기 살균제를 보고 쓰는 것을 직 봤음 1

편안함 1

재 정황의 발생기 들이 명확하지 않아 재발이나 회복 등에 해 항상

불안하고 앞으로의 리도 걱정된다. 정부에서는 극 으로 발생기 등을

연구하도록 방안마련, 의료인을 이에 한 연구 환자와 가족의 치료 교육

필요

1

이번 사고가 발생하기 까지 정부의 안일한 화학제품 관리기준으로 발생한 사고로

정부의 책임 있는 행동으로 피해자 및 가족들에게 도움을 주는 건 당연하다고 생

각함

2

이번사태를 있게 한 장본인들이므로 1

자녀들이 유아여서 1

전문가이다보니 신뢰도가높아서 1

정말 아무것도 모르고 좋은줄로만 알고 아이방에 의무적으로 사용하였기에 2

정부의 관리, 책임소홀로 피해사망을 야기시킨것으로 봄, 책임과의식을 다한것 1

정서적 경제성 어려움 1

지속적인 치료와 검진이 필요하고 또 그에따른 경제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 같습니

다.2

Page 117: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06 -

응답 빈도

질병의 치료 목적 1

책임을 져야한다 1

친구들이 집에 놀러왔을 때 가습기 살균제를 보고 쓰는 것을 직접봤음 1

편안함 1

현재 정황의 발생기전들이 명확하지 않아 재발이나 회복점등에 해 항상 불안하

고 앞으로의 관리도 걱정된다. 정부에서는 적극적으로 발생기전 등을 연구하도록

방안마련, 의료인을 이에 한 연구 및 환자와 가족의 치료 및 교육 필요

1

(4) 귀하는 가습기 살균제 사고가 알려진 이후 언론 매체의 관련 내용 보도가 만족

스러우십니까?

응답; 매우불만족 48(63%), 보통 28(37%), 매우만족 0(0%)

해석; 응답자의 절반이상 63%가 이 사건에 한 언론의 보도에 해 ‘매우불만족’이

라고 답했다. ‘매우만족’한다는 응답은 아예 없었다. 이는 ‘언론보도의 내용이 충분

하지 않거나, 보도 횟수가 충분하지 않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5) 언론이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키려면 가습기 살균제 보도에서 앞으로 어떤 내

용을 보강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중요한 순서 로 3개를 골라 주세요. 선택지

1)관련자 경험담, 2)전문가 의견, 3)외국 사례, 4)정부의 개입, 5)일반국민에게 가습기

살균제 위험 알림, 6)예방법 개발과 홍보

응답;

첫번째로 보강되어야 할 보도사항; 정부의개입 35(46%) > 일반국민에게가습기살균

제위험알림 19(25%) > 전문가의견 10(13%) > 관련자경험담 12(16%) > 예방법개발

과홍보 1(1%)

두번째로 보강되어야 할 보도사항; 일반국민에게가습기살균제위험알림 20(26%) >

전문가의견 18(23%) & 정부의개입 18(23%) > 관련자경험담 11(14%) > 외국사례

6(8%) > 예방법개발과홍보 4(5%)

세번째로 보강되어야 할 보도사항; 전문가의견 24(31%) > 예방법개발과홍보

16(21%) > 정부의개입 13(17%) > 일반국민에게가스기살균제위험알림 12(16%) > 관

련자경험담 7(9%) > 외국사례 5(6%)

(6) 귀하께서는 이번 일의 해결을 위해 다음의 노력이 얼마나 많아져야 한다고 생각

하십니까? (정부, 의료전문직, 기업, 소비자단체, 언론, 사건을경험한개인 등 6개 분

Page 118: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07 -

야에 해 전혀아님, 거의아님, 중간, 약간중요, 매우중요 등 5가지 선택지가 제시되

었다.)

응답;

‘매우중요’라고 답한 분야; 정부 & 기업 2개분야 각각 72(97%) > 의료전문직

68(94%) > 언론 67(92%) > 소비자단체 62(85%) > 사건을경험한개인 59(82%)의 순

이었다.

‘매우중요’와 ‘약간중요’를 합한 ‘중요’는 6개 전분야에서 69(95%)~73(100%)로 답했

다.

해석;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6개 분야 모두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중요하다고 응답

했다. ‘매우중요’가 가장 많은 분야는 정부와 기업으로 응답률은 같았다.

(7) 귀하께서는 이번 일의 재발방지를 위해 다음의 노력이 얼마나 많아져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정부, 의료전문직, 기업, 소비자단체, 언론, 사건을경험한개인 등 6개

분야에 해 전혀아님, 거의아님, 중간, 약간중요, 매우중요 등 5가지 선택지가 제시

되었다.)

응답;

‘매우중요’라고 답한 분야; 정부 73(100%) > 기업 72(99%) > 언론 69(95%) > 의료전

문직 67(93%) > 소비자단체 63(86%) > 사건을경험한개인 59(82%) 의 순이었다.

‘매우중요’와 ‘약간중요’를 합한 ‘중요’는 6개 전분야에서 67(94%)~73(100%)로 답했

다. 정부 & 언론 73(100%) > 기업 72(97%) > 의료기관 & 소비자단체 70(97%) > 사

건을경험한개인 67(94%)의 순서였다.

해석;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6개 분야 모두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중요하다고 응답

했다. ‘문제해결’을 강조한 앞의 질문과 비교할때 ‘재발방지’를 강조한 질문에서는

정부>기업>언론의 순서로 중요도를 답했다.

Page 119: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Page 120: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09 -

VII. 결론

1. 요약 및 결론

2. 제한점과 과제

Page 121: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Page 12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11 -

1. 요약 및 결론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건강피해를 신고한 피해자와 그 가족을 상으로 살균제 사용

및 질병 특성을 설문과 인터뷰로 조사하였고 살균제의 사용 여부와 폐 질환을 포함한

질병은 피해자가 보관한 자료로 확인하였다. 이 조사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

인할 수 있었다.

접수된 피해자 부분은 사고 발생 이전에는 특별한 질병이 없는 건강한 상태였던

것으로 보인다. 분석 상 피해자 95명 중 사망자는 31건(33%)이며, 여기에 장기 이식

등을 받은 심각한 피해사례까지 포함하면 치명적 피해자는 37건(39%)에 달한다. 사망

피해자 중 어린이와 가임기 여성이 각각 65%와 26%를 차지하였다. 가습기 살균제 건

강피해 증상이 처음으로 발생된 시점은 가습기 사용이 증가하는 겨울철과 초봄(1-4월)

에 67%가 집중되어 있으며 증상 발생으로부터 사망까지의 평균시간은 2.5개월이었다.

이는 연령과 임신 여부 등 생물학적 특성이 가습기 살균제에 한 감수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임을 암시하며, 민감군에서 비교적 짧은 시간 이내에 심각한 건강영향

이 초래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가습기 노출시간, 가습기 살균제 사용량 등의 요인은 사망위험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거나, 오히려 반 의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동일한 방에

서 취침한 영유아 형제 또는 성인을 각각 짝지은 환자- 조군 연구 결과 가습기까지의

상 적인 거리가 짧을수록, 주관적 흡입량이 많을수록 환자군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

상을 보여주었다. 서로 다른 방을 사용하여 가습기 살균제 노출 유무로 구분되는, 짝

지은 환자- 조군 분석에서도 가습기 살균제 사용자 집단에서 전적으로 건강영향이 관

찰되었다.

피해자 및 그 가족이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나 불안을 경험하는 분율이 매우

높았으며 자살 충동을 느끼는 사람도 많았다. 정신건강영향은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건강피해의 위중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가족 중 사망자가 있는 집단에서 사

망자가 없는 집단에 비해 자살충동 교차비가 4.97로 유의하게 높았다.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와 그 가족을 정상적인 인간관계 및 사회활동에 지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판단

된다.

Page 123: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12 -

2. 조사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과제

1) 한계점

본 조사 상은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해서 폐 질환이 걸렸다고 신고한 피해자나 피해

자 가족이었다. 이들을 상으로 살균제 사용 및 질병 특성을 설문과 인터뷰로 조사하

였다. 살균제의 사용 여부와 폐 질환을 포함한 질병은 피해자가 보관한 자료로 확인하

였다. 본 조사는 기본적으로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의 진술과 이들이 갖고 있는 자료를

근거로 얻은 결과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다.

첫째, 가습기만을 사용(살균제를 첨가하지 않음)했을 때 발생되는 유해인자(미생물,

미생물 독소 등)의 폐 질환 위험은 평가하지 못했다. 문헌에 의하면 살균제를 혼합하

지 않아도 가습기 물에 오염된 곰팡이, 박테리아, 엔도톡신 등이 폐렴 등 가습기 폐질

환(humidifier lung or humidifier fever)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

구에서는 가습기 살균제는 사용하지 않으면서 가습기만을 사용하는 인구집단을 조사

하지 않았으므로, 가습기 사용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해인자들의 노출 및 위험성평가

는 수행하지 못했다.

둘째, 가습기 살균제의 사용(노출)과 폐 질환과의 직접적인 연관을 규명하지 못했다.

살균제를 사용한 피해자만을 조사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즉 살균제가 폐 질환 발생 혹

은 사망 등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쳤는지 혹은 다른 유해인자와 상가(additive), 상승

(synergic) 작용을 했는지 추정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본 조사를 통해 "가습기에 살균

제를 혼합해서 사용할 경우 폐 질환으로 인한 사망 등 치명적인 건강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설은 일정정도 확인될 수 있었다.

2) 향후 과제

질병관리본부는 가습기를 사용한 사람에게서 발생된 폐 손상의 원인인자로 가습기

물에 혼합해서 사용한 살균제로 확정하였다. 가습기 물에 살균제를 혼합해서 사용할

경우 폐 손상 위험이 있다는 것이 현재까지 내려진 결론이다. 가습기 살균제 생산 및

시판도 중단된 상태여서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건강영향은 더 이상 발생되지 않을 것

으로 판단되며, 이는 가습기 살균제가 그동안 보고된 건강피해의 중요한 원인이라는

증거가 된다. 그러나 가습기를 사용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유해인자와 잠재적 건강영향

Page 124: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13 -

에 한 연구와 관리가 필요하다.

둘째, 가습기 살균제의 폐 질환 발생위험과의 연관 나아가서는 양-반응관계를 규명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즉 과거 살균제 사용특성과 폐 질환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각

유해인자의 폐 질환과의 연관 및 양-반응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내용

은 가습기를 사용하지 않은 그룹, 가습기만을 사용한 그룹 그리고 가습기에 살균제를

사용한 그룹간의 상 적인 폐 질환 위험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과거 가습

기 및 가습기 살균제의 사용 특성에 한 노출평가가 핵심이다. 또한 가습기 살균제로

사용되어온 주요 활성물질에 한 독성연구도 필요하다.

셋째, 생활환경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화학물질에 한 철저한 안전성 관리가 필요하

다.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화학물질의 불과 15%에 해서만 독성정보를 가지고 있으

며 그나마 안전성의 판단에 충분한 수준의 정보가 아니라는 점은 우려스럽다. 영유아

등 민감 인구 집단에 노출되는 상황을 충분히 고려한 안전성 평가 및 관리가 필요하

다. 이러한 맥락에서 유통량에 근거한 독성평가 및 안전성 관리의 제한점이 지적되어

야 한다. 노출되는 인구집단의 민감성과 노출경로를 고려한 안전성 관리가 요구된다.

넷째, 불철저한 화학물질 안전관리로 인해 심각한 영향을 받은 피해자들에 한 적

절한 구제와 비슷한 사건의 재발방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모든 국민은 보건에 관

하여 국가의 보호를 받을 권리가 있다.

Page 125: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14 -

VIII. 참고문헌

Amick-McMullan A, Kilpatrick DG, Resnick HS. Homicide as a risk factor for

PTSD among surviving family members. Behav Modif. 1991;15(4):545-559.

Asian Citizen’s Center for Environment and Health. Report No.120. 8 Sep 2011.

Asian Citizen’s Center for Environment and Health. Report No.122. 20 Sep 2011.

Asian Citizen’s Center for Environment and Health. Report No.128~129. 1 Nov

2011.

Asian Citizen’s Center for Environment and Health. Report No.131. 9 Nov 2011.

Asian Citizen’s Center for Environment and Health. Report No.132. 29 Nov 2011.

Asian Citizen’s Center for Environment and Health. Report No.139. 10 Jan 2012.

Asian Citizen’s Center for Environment and Health. Report No.140. 2 Feb 2012.

Beck AT, Epstein N, Brown G, Steer RA. An inventory for measuring clinical

anxiety: psychometric properties. J Consult Clin Psychol 1988;56(6):893-897.

Cheon CK et al., 2008. Epidemic acute interstitial pneumonia in children

occurred during the early 2006s. Korea Journal of Pediatrics. 51(4):383-390.

Cheong HK, Ha M, Lee JH. Unrecognized Bomb Hidden in the Babies’ room:

Fatal Pulmonary Damage Related with Use of Biocide in Humidifiers. Environ

Health Toxicol. 2012;27:e2012001.

Choi YY, et al. Health Damages and Lessons of the Use of Humidifier

Disinfectants in Korea. J Environ Health Sci, 2012; 38(2) 166-174

Choi YY. Murders of Biocide Disguised Household Products. In: Special section

of umidifier Disinfectants-Threat of Biocide. The Way Living Together. 2012;1:46-49.

Christina LB et al. Final Report of the Safety Assessment of Methylisothiazoline.

International Journal of Toxicology 29(supplement 3, 2010)

Daftary AS, Deterding RR. Inhalation lung injury associated with humidifier

"White Dust". Pediatrics. 2012; 127(2): e509-e512.

Fink JN, Banaszak EF, Baroriak JJ, Hensley GT, Kurup VP, Scanlon GT, et al.

Interstitial lung disease due to contamination of forced air system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976; 84: 406-413.

Foa EB, Riggs DS, Dancu CV, Rothbaum BO.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brief

instrument for assess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J trauma stress 1993;6(4):

459-473.

Jeon BH, Park YJ. Frequency of Humidifier and Humidifier Disinfectants Usage

Page 126: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15 -

in Gyeonggi Province. Environ Health Toxicol. 2012;27:e2012002.

Kim DS. 2009. Diagnostic Approaches to Diffuse Interstitial Lung Diseases. J

Korea Med Asso 52(1):5-13.

Kim EH, Ahn K, Cheong HK. Use of Humidifiers with Children Suffering from

Atopic Dermatitis. Environ Health Toxicol. 2012;27:e2012004.

Kim YW. 2009. Sarcoidosis. J Korea Med Asso 52(1):41-48.

Kohler PF, Gross G, Salvaggio J, Hawkins J. Humidifier lung: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related to thermotolerant bacterial aerosols. Chest. 1976; 69(2):

294-29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nterim report of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n lung injury with unknown cause in Korea.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11;4(45):817-832.

Kornum JB et al., 2008. The incidence of interstitial lung disease 1995–.2005: a

Danish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BMC Pulmonary Medicine. 8:24.

Lee JH, Kim YH, Kwon JH. Fatal Misuse of Humidifier Disinfectants in Korea:

Importance of Screening Risk Assessment and Implications for Management of

Chemicals in Consumer Products. Environ Sci Technol. 2012;46(5):2498-2500.

Lee JH. The Safety issue of household product in the light of humidifier

disinfectants problems. Seminar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and Toxicology. 2011:45-63.

Maeil Business Newspaper. New disinfectant product for humidifier. 1994 Dec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ess Release. Order for withdrawal of six

humidifier disinfectants products from the market issued. Available:

http://english.mw.go.kr/front_eng/al/sal0201vw.jsp?PAR_MENU_ID=1002&MENU

_ID=100203&page=1&CONT_SEQ=260454&SEARCHKEY=&SEARCHVALUE

(accessed 16 Apr 2012)

Ohnishi H, Yokoyama A, Hamada H, Manabe S, Ito R, Watanabe A, et al.

Humidifier Lung: Possible Contribution of Endotoxin-induced Lung Injury.

Internal Medicine. 2002; 41(12): 1179-1182.

Park ES. Timetable of Humidifier Disinfectants Incident. In: Special section of

Humidifier Disinfectants-Threat of Biocide. The Way Living Together. 2012;1:44-45.

Scientific Committee of the Korean Academy of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2009. 2008 National Survey of Idiopathic Interstitial Pneumonia in

Korea. The Korean Academy of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66:141-151.

Page 127: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16 -

Seabury J, Salvaggio J, Domer J, Fink J, Kawai T. Characterization of

thermophilic actinomycetes isolated from residential heating and humidification

systems. J Allergy Clin Immunol. 1973; 51(3): 161-173.

Sweet LC, Anderson JA, Callies QC, Osborne Coates E.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related to a home furnace humidifier. J Allergy Clin Immunol. 1971;

48(3): 171-178.

Tourville DR, Weiss WI, Wertlake PT, Leudemann GM.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due to contamination of home humidifier. J Allergy Clin Immunol.

1972; 49(4): 245-251.

권순찬, 송재철, 이수진, 김인아, 고재우, 류현철, 김석현, 김 호, 정승아. 일개 소방

서 소방관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및 관련요인. 한산업의학회지 2008;20(3):

193-204.

김신혜 등. 2008. 3세 남아에서 발견된 급성 간질성 폐렴 1례. 소아알레르기 호흡기

18(3):358-363.

남보라, 권호인, 권정혜. 한국판 외상 후 스트레스 진단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10;29(1):147-167.

남보라. 한국판 외상 후 스트레스 진단 척도의 신회도 및 타당도 연구. 고려 학교

학원 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8.

박수화 등. 2007. 특발성 간질성 폐렴 15례의 임상적 고찰. 소아알레르기 호흡기

17(3):271-281.

손진욱. 살아남은 자의 고통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사목정보 2011;4(5):88-92.

육성필, 김중술. 한국판 Beck Anxiety Inventory의 임상적 연구 : 환자군과 비환자

군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97;16(1):185-197.

은헌정, 권태완, 이선미, 김태형, 최말례, 조수진. 한국판 사건 충격척도 수정판의 신

뢰도 및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2005;44:303-310.

조성식, 이태경, 김정민, 방예원, 홍나래, 임형준, 권영준, 조용범, 문재용, 주영수. 삼

성-허베이 스피릿호 기름유출사고지역 주민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증상과 관

련 요인. 한산업의학회지 2009;21(3):235-245.

지정구, 황경열. 구 지하철 화재 사망자 유가족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한

연구. 동서정신과학. 2008;11(1):97-112.

채정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진단과 병태 생리. 한정신약물학회지 2004;15(1):

14-21.

홍종관, 김춘경, 이수연, 최웅용. 구 지하철 화재 사망자 유가족의 외상후 스트레

스 장애에 관한 연구. 정서·행동장애연구(구.정서·학습장애 연구). 2005;21(1):139-154.

Page 128: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17 -

IX. 부록

1. 설문지 양식

2. 설문지 기입 사례

3. 가습기 살균제 가족피해 사례소개

4. 설문조사 사진

5. 가습기 살균제 성분의 알려진 독성

Page 129: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Page 130: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19 -

1. 설문지 양식

【 가습기살균제 건강영향 조사 설문지 】

뜻하지 않은 일을 겪으신 점, 진심으로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가슴 아픈 일에

대해 아픔을 느끼고 있기에도 부족하고, 잊고 싶은 기억들을 다시 생각하게 될

수 있겠기에 조심스러운 마음입니다. 다만, 가습기살균제의 건강영향에 대한 이

조사를 통해 그 근본 원인을 밝혀내어 앞으로 더 이상 이러한 일이 다시는 발생

하지 않도록 하고자 합니다. 설문지는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첫 번째 부분은 건강영향과 가습기 및 가습기살균제 사용에 대한 질문들이고,

두 번째 부분은“이번 가습기살균제 사고”이후 겪으신 정신건강에 대한 질문

입니다. 응답하시기에 힘든 내용들이 포함되어 있지만, 정확한 영향 조사를

위해 솔직한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설문 조사 방식은 훈련받은 설문조사자의 질문에 사실대로 답을 해 주시면 됩니다.

조사 시간은 대략 1시간 정도입니다.

감사합니다.

2012년 2월

조사주관기관 【한국환경보건학회】조사참여기관 【경희대학교병원 직업환경의학과】 【대구가톨릭대학교 환경보건학과】 【방송통신대학교 환경보건학과】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인하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사회의학교실】 【환경보건시민센터】

Page 131: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20 -

동 의 서1. 목적:

본 조사는 환경보건시민센터로 “가습기살균제 사용으로 인해 건강 영향”이 발생하였다고 접수한 전체 대상자들 중 본 설문 조사에 동의한 분들을 대상으로 진행합니다. 이번 조사를 통하여 가습기살균제로 인해 건강영향이 발생한 분들에서의 살균제 노출 현황 및 건강영향을 확인하며, 생활 속에서 사용한 화학물질로 인해 건강영향이 발생하게 된 현 상황이 다시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고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자료로 사용될 것입니다.

2. 연구과정과 내용:본 조사에 동의하시는 경우 훈련받은 조사원들이 귀하의 가정을 방문하여 귀하가 과

거에 사용한 가습기 및 가습기살균제의 사용 방법, 노출상황 등에 대하여 조사합니다. 또한 이 문제로 인해 가족들에게 발생한 정신건강영향(우울증, 불안증,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등)에 대해 조사합니다. 또한 관련 의무기록 및 방사선 사진 자료를 받아 병원 경과 및 진단명 등의 자료를 확인하게 됩니다. 또한 기록 보존을 위한 사진 촬영을 함께 진행합니다.

3. 불편 및 이득:설문지 답변과 조사에 약 1시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이번 설문조사는 가슴 아

픈 기억들을 다시 떠올려야하는 힘든 일이시겠지만, 관련 자료를 정확하게 기억해보고, 기록으로 남기고, 분석하여 대책 마련을 위한 중요한 기본 자료가 될 것입니다.

4. 연구참여자로서의 권리1) 연구에 참여할 경우 알게 된 귀하의 모든 개인정보는 어떠한 이유로도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관리됩니다. 귀하의 답변과 분석 결과는 연구목적 이외의 어떤 목적으로도 사용되지 않을 것이며 통계적으로 처리되어 연구목적으로 사용될 때에도 개인적 정보는 알 수 없도록 익명처리할 것입니다.2) 귀하는 이 연구에서 빠지고 싶을 때는 아무런 불이익이 없이 언제든지 중지할 수 있으며, 원하는 경우에는 이전에 제공한 모든 정보를 영구하게 파기할 것입니다. 3) 귀하는 이 연구의 종료시점에서 모든 연구 결과에 대한 설명을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있습니다. 문의 사항이 있으면, 언제든지 아래로 연락하여 주십시오.

연구책임자: 한국환경보건학회 전화: e-mail:

본인은 위의 정보를 읽었으며, 자발적으로 이 연구에 참여하는 것에 동의합니다.

서명: 날짜: 2012년 ( )월 ( )일

Page 13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접수사례번호 설문지 번호 설문 장소

설문조사일 년 월 일( 요일) 시 분 설문조사자 이름

가족 중 피해자 수 (응답자와의 관계)

☐1명 ☐2명( , ) ☐3명( , , ) ☐4명( , , , )

설문응답자 이름: 생년월일: 년 월 일, 성별: ☐남 ☐여

조사대상자 이름: 생일 년 월 일성별 ☐남 ☐여

응답자와의 관계 ☐본인 ☐부인 ☐남편 ☐아들 ☐딸 ☐태아 ☐친정 어머니 ☐며느리 ☐기타( )

가족관계

아버지 이름: 생일: 년 월 일 직업: 최종학력:

어머니 이름: 생일: 년 월 일 직업: 최종학력:

결혼년도 년 월 일

자녀1 성별 ☐남 ☐여 이름: 생일: 년 월 일 직업:

자녀2 성별 ☐남 ☐여 이름: 생일: 년 월 일 직업:

자녀3 성별 ☐남 ☐여 이름: 생일: 년 월 일 직업:

현주소

과거주소(이사한 경우) 2

과거주소(이사한 경우) 1-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하기 시작한 집

연락처 (집) - - (핸드폰) - -

이메일)

조사대상자 분류☐사망 ☐폐이식 ☐심장이식 ☐기타 돌아가신 날짜 년 월 일

조사대상자 현재 상태☐증상 없음 ☐증상 있음(정도:☐심하다 ☐약간 심하다 ☐보통이다 ☐별로 없다)☐병원 치료(약물복용 함) ☐병원 진찰만(추적검사) ☐기타

질병발생 당시 조사대상자 임신여부 ☐예(임신 주) ☐아니오

- 121 -

Page 133: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최초 증상(복수 응답)

☐기침 ☐가래 ☐호흡곤란 ☐열 ☐기타☐피곤함 ☐가슴통증 ☐객혈 ☐체중감소 최초 증상 발생일 년 월 일

최초 병원 방문일 년 월 일 병원이름: 진단명 1) 2) 3) 병원에서 가습기 사용여부 ☐예 ☐아니오 ☐기타

병원에서 가습기살균제 사용여부 ☐예 ☐아니오 ☐기타

2번째 병원

전원이유전원일 년 월 일 병원이름: 진단명 1) 2) 3) 병원에서 가습기 사용여부 ☐예 ☐아니오 ☐기타

병원에서 가습기살균제 사용여부 ☐예 ☐아니오 ☐기타

3번째 병원

전원이유전원일 년 월 일 병원이름: 진단명 1) 2) 3) 병원에서 가습기 사용여부 ☐예 ☐아니오 ☐기타

병원에서 가습기살균제 사용여부 ☐예 ☐아니오 ☐기타

4번째 병원

전원이유전원일 년 월 일 병원이름: 진단명 1) 2) 3) 병원에서 가습기 사용여부 ☐예 ☐아니오 ☐기타

병원에서 가습기살균제 사용여부 ☐예 ☐아니오 ☐기타

첫번째중환자실 입원일 년 월 일 시술(에크모) 횟수: 회조직검사 여부 ☐예 ☐아니오 조직검사 횟수: 회수술(이식)일 년 월 일 수술이름:

두번째중환자실 입원일 년 월 일 시술(에크모) 횟수: 회조직검사 여부 ☐예 ☐아니오 조직검사 횟수: 회수술(이식)일 년 월 일 수술이름:

출산일(임산부의 경우) 년 월 일 ☐자연분만 ☐제왕절개 ☐강제출산 ☐기타:

준비한기록 종류

☐가족관계증명서 ☐사망진단서 의무기록(※병원기록은 외래와 입원기록 모두 필요합니다.) ☐1번째 병원 ☐2번째 병원 ☐3번째 병원

☐흉부방사선사진 ☐CT사진 ☐조직검사결과지 ☐혈액검사결과지 ☐객담검사결과지☐진단서 ☐의사기록지 ☐간호사기록지 ☐응급실기록지 ☐출생증명서☐세균배양검사결과지(객담) ☐세균배양검사결과지(혈액)☐기타: ☐추후 보완 필요 서류:

※ 이번 일로 귀하께서 사용하신 의료비용(직접 비용)은 어느 정도나 됩니까? 원

- 122 -

Page 134: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조사대상자가 성인인 경우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평소 건강상태 ☐매우 건강하였다. ☐건강한 편이다. ☐약한 편이다. ☐병을 앓았다.

조사대상자의 과거 병력

☐고혈압 ☐협심증(심근경색증) ☐부정맥 ☐그 외 심장병☐기관지질환(이름: ) ☐폐질환(이름: )☐천식 ☐뇌졸중[중풍]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피부염 ☐당뇨병 ☐암 ☐기타:

병력이 있으시다면 진단 시기 및 치료기간

1 년 월 일 ∼ 년 월 일2 년 월 일 ∼ 년 월 일3 년 월 일 ∼ 년 월 일

조사대상자가 복용하신 약물조사대상자의 수술 병력

조사대상자의 가족력 ☐폐질환(이름: ) ☐심장병(이름: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피부염 ☐기타:

조사대상자의 직업력☐사무직 ☐서비스업(자세히: ) ☐생산직 업종: , 업무내용: ☐주부 ☐기타:

오염물질(화학물질, 유해물 등)에 노출되거나 취급하는 업무를 수행하신 경험이 있습니까? ☐ 현재 오염물을 취급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 기간: 년 ∼ 년 ☐ 현재는 없지만, 과거에 경험한 적이 있다. → 기간: 년 ∼ 년 ☐ 전혀 없다.현재 또는 과거에 오염물질을 취급하였다면, 어떠한 물질을 취급하셨는지 아시는 대로 적어주십시오. 가구제작 등의 먼지가 많이 나는 취미 혹은 페인트 등의 화학물질을 스프레이하는 취미 혹은 경험, 혹은 부업을 한 적이 있으십니까? ☐예(구체적으로 ) ☐아니오조사대상자의 체격 신장 cm 체중 ㎏

조사대상자 흡연력

☐비흡연자 ☐과거흡연자 ☐현재흡연자 흡연기간 년 ∼ 년흡연량 갑/하루, 년

흡연기간 년 ∼ 년흡연량 갑/하루, 년

조사대상자 음주력

음주횟수

☐전혀 마시지 않음

☐거의 마시지 않음

☐어울리는 정도

☐주1회 ☐주 2회 이상

음주량 ☐소주 반병이하 ☐소주 반병-한병 ☐소주 한 병 이상

- 123 -

Page 135: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조사대상자가 어린이/영유아인 경우 작성해 주시기 바랍니다.임신기간: 주, 모르시는 경우 출산 예정일에 비해 언제 출산하였는지요?(예로, 2주 먼저) 분만 방법: ☐정상 분만 ☐제왕절개(이유는: ) ☐강제출산 ☐기타출생 당시 건강 상태 특이사항: ☐정상 ☐특이사항( )인큐베이터에 있었습니까? ☐예(기간: 주) ☐아니오수유 방법: ☐완전 모유 ☐분유 ☐혼합출생 시 몸무게: ㎏ 출생 시 키: ㎝현재 어린이/영유아의 체격: 신장 cm 체중 ㎏아프기 전 어린이/영유아 생활 패턴 조사 ☐어린이 집: 언제부터 년 월 ∼ 년 월 일주일에 방문한 일수: 일/주, 하루 이용시간: 시간/일 어린이집에서 가습기 사용 여부: ☐예 ☐아니오 어린이집에서 가습기살균제 사용 여부: ☐예 ☐아니오 ☐모른다 어린이집을 중단한 이유: ☐아파서 ☐기타 *어린이집을 중단하고 며칠 후 입원하셨습니까? 일 ☐유치원: 언제부터 년 월 ∼ 년 월 ☐초등학교: 언제부터 년 월 학년

평소 건강상태 ☐매우 건강하였다. ☐건강한 편이다. ☐감기가 자주 걸렸다. ☐병을 앓았다. ☐기타:

과거 병력☐심장병(이름: ) ☐기관지질환(이름: ) ☐폐질환(이름: )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피부염 ☐기타:

병력이 있으시다면 진단 시기 및 치료기간

1 년 월 일 ∼ 년 월 일2 년 월 일 ∼ 년 월 일3 년 월 일 ∼ 년 월 일

조사대상자가 복용하신 약물

조사대상자의 수술 병력

조사대상자의 입원여부와 이유 ☐예(이유: ) ☐아니오

조사대상자의 가족력 ☐폐질환(이름: ) ☐심장병(이름: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피부염 ☐기타:

- 124 -

Page 136: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집주변의 유해환경

☐큰 도로 주변( 차선) ☐공장 ☐기타: 집과의 거리 m 집과의 거리 m 집과의 거리 m

집 형태 ☐아파트 ☐단독주택 ☐다세대주택 ☐기타 주택의 건축년도 년 층수:전체 층 중 층 평수: 평 방 갯수: 개

난방형태 ☐중앙집중식 ☐개별난방-가스보일러 ☐개별난방-기름보일러☐개별난방-연탄보일러 ☐모름 ☐기타

취사형태 ☐가스 ☐전기 ☐기타가족들이 모두 한 방에서 거주하셨는지요? ☐예 ☐아니오

<집 전체 도면 그리기> <가습기 사용 방 그리기>- 가능한 ‘부동산114’ 등에서 구한 집도면에 표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방에 번호를 정해 적어 주시기 바랍니다.

- 가습기를 사용한 방의 가로*세로*높이 - 방의 환기 시설(문과 창문의 위치) - 가습기 위치, 가습기 놓인 곳 높이- 조사대상자 취침 위치(침대 혹은 바닥 구분) - 가습기와 조사대상자 얼굴(코) 부위까지의 거리 - 가습기 분무방향(화살표로 표시)- 가습기를 사용한 방이 여러 개인 경우는 공간을 나누어 그려 주시기 바랍니다.

방에서 가습기 위치

1. ☐방바닥 위쪽 (가구위; 방바닥에서 높이 m) ☐방 바닥2. 신체부위와의 위치 ☐머리 위쪽 ☐코부위 ☐몸통부위 ☐다리쪽 ☐다리 아래쪽

방을 같이 사용하신 분

1번 방) 2번 방)3번 방) 4번 방)

- 125 -

Page 137: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정 실내환경

가습기 사용 방 곰팡이 여부 ☐예 ☐아니오에어컨 사용 여부 ☐예 ☐아니오새가구 구입 여부 ☐예 ☐아니오 시기: 년 월실내리모델링 여부 ☐예 ☐아니오 시기: 년 월

집안 식구들 중 흡연하시는 분이 계시는지요?

1. 누구: 흡연량: 갑/하루, 흡연 기간: 년흡연 특성; ☐집에서는 피우지 않음 ☐베란다에서 피움 ☐기타: 가족이 있는 곳에서 흡연 여부: ☐예 ☐아니오2. 누구: 흡연량: 갑/하루, 흡연 기간: 년흡연 특성; ☐집에서는 피우지 않음 ☐베란다에서 피움 ☐기타: 가족이 있는 곳에서 흡연 여부: ☐예 ☐아니오

- 126 -

※ 다음은 가습기에 대한 질문입니다. 가습기를 2대 이상 사용한 경우 각각의 질문에 모두 대답해 주시기 바랍니다.가습기 주 관리자 ☐아버지 ☐어머니 ☐자녀 ☐기타가습기를 사용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병이 있어서, 가습기가 좋다고 하여(병명은? ) ☐공기가 건조하여 ☐기타:

사용하신 가습기 종류 1회사명(모델명): 용량: L 구입 시기 년가습기 특징 ☐복합식(가열식+초음파) ☐초음파 ☐기타: 가습기 분무량 ☐최저 ☐약 ☐중 ☐강

가습기(1)를 사용한 기간 년 월 ∼ 년 월 가습기를 사용 시기(1년중), 시간(하루중) (1년중) 월 ∼ 월 (하루중) ______시∼_____ 시이 가습기에 살균제를 사용하셨습니까? ☐예 ☐아니오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한 기간 년 월 ∼ 년 월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한 기간(1년 중) 월 ∼ 월사용하신 방을 앞페이지 도면에서 해당 번호를 적어 주세요. ( 번 방)가습기를 사용한 방의 환기 여부 및 시간 ☐예(하루 회, 분) ☐아니오평상 시 가습기 통에 물을 어느 정도나 채우셨습니까? ☐가득 ☐2/3정도 ☐절반정도 ☐기타가습기에 사용하신 물의 종류는 어떤 것입니까? ☐수돗물 ☐정수기물 ☐기타가습기 청소여부 ☐예 ☐아니오

가습기 청소횟수 ☐매일 ☐2일에 한 번 ☐3일에 한 번 ☐4일에 한 번☐5일에 한 번 ☐6일에 한 번 ☐7일에 한 번 ☐기타

Page 138: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사용하신 가습기 종류 2회사명(모델명): 용량: L 구입 시기 년가습기 특징 ☐복합식(가열식+초음파) ☐초음파 ☐기타: 가습기 분무량 ☐최저 ☐약 ☐중 ☐강

가습기(2)를 사용한 기간 년 월 ∼ 년 월 가습기를 사용 시기(1년중), 시간(하루중) (1년중) 월 ∼ 월 (하루중) ______시∼_____ 시이 가습기에 살균제를 사용하셨습니까? ☐예 ☐아니오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한 기간 년 월 ∼ 년 월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한 기간(1년 중) 월 ∼ 월사용하신 방을 앞페이지 도면에서 해당 번호를 적어 주세요. ( 번 방)가습기를 사용한 방의 환기 여부 및 시간 ☐예(하루 회, 분) ☐아니오평상 시 가습기 통에 물을 어느 정도나 채우셨습니까? ☐가득 ☐2/3정도 ☐절반정도 ☐기타가습기에 사용하신 물의 종류는 어떤 것입니까? ☐수돗물 ☐정수기물 ☐기타가습기 청소여부 ☐예 ☐아니오가습기 청소횟수 ☐매일 ☐2일에 한 번 ☐3일에 한 번 ☐4일에 한 번

☐5일에 한 번 ☐6일에 한 번 ☐7일에 한 번 ☐기타

- 127 -

가습기살균제 종류 1

회사명: 일회사용용량: cc살균제 병에 써진 권장량 cc 구입 주기: 용기특징 ☐병(크기: ) ☐일회용팩 ☐기타:

가습기살균제 종류 2

회사명: 일회사용용량: cc살균제 병에 써진 권장량 cc 구입 주기: 용기특징 ☐병(크기: ) ☐일회용팩 ☐기타:

가습기살균제 종류 3

회사명: 일회사용용량: cc살균제 병에 써진 권장량 cc 구입 주기: 용기특징 ☐병(크기: ) ☐일회용팩 ☐기타:

가습기살균제를 가습기에 넣은 횟수

☐하루에 번 ☐매일 ☐2일에 한 번 ☐3일에 한 번☐기타:

가습기살균제 종류

1 옥시싹싹 New 가습기 당번 8 세퓨 가습기 살균제 15 가습기 청정제2 가습기 메이트 9 엔위드 16 유아 전용 가습기 항균제3 이플러스 가습기 살균제 10 클라나드 17 홈워쉬 가습기 살균세정4 함박웃음 가습기 세정제 11 하이지어(담채형) 18 항알레르겐5 와이즐렉 가습기 살균제 12 하이지어(필터용) 19 가습기무균6 홈플러스 가습기 살균제 13 산도깨비 가습기 퍼니셔 20 에어가드 리퀴드7 가습기 클린업 14 아토오가닉 가습기 살균제 21 롯데마트 가습기 살균제

※ 다음은 가습기살균제에 대한 질문입니다.

Page 139: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가습기살균제 사용방법을 말씀해주세요(주관식, 실제 사용하신 방법대로 적으시기 바랍니다).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한 이유나 동기가 무엇인가요? 자유롭게 적어보시기 바랍니다.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하자고 결정을 하신 분은 누구입니까? ☐응답자 본인 ☐배우자 ☐기타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하신 이유는 무엇입니까? ☐청결을 위해서 ☐건강보조위해 ☐기타

이번 사고 발생 이전에 가습기 사용과 관련된 건강 위험에 관해 들어 본 적이 있으셨습니까? ☐있다(어떤 종류의 위험에 관해 들어보셨습니까? ) ☐없다

이번 사고 발생 이전에 가습기 살균제와 관련된 건강 위험에 관해 들어본 적이 있으셨습니까? ☐있다(어떤 종류의 위험에 관해 들어보셨습니까? ) ☐없다살균제 사용상의 주의 사항에 대해 알고 계셨습니까? ☐예 ☐아니오가습기살균제구입 장소

☐대형마트(이름 )

☐동네 슈퍼마켓

☐온라인 쇼핑몰 (이름 )

☐홈쇼핑 ☐기타

가습기살균제를 알게 된 계기 ☐잡지 ☐인터넷 ☐신문 ☐지인의 소개 ☐기타:

가습기살균제 구입 영수증 보유여부 ☐예 ☐아니오사용하신 가습기 보유여부 ☐예 ☐아니오사용하신 가습기살균제 보유여부 ☐예 ☐아니오가습기살균제 이외 추가로 사용물질(약품)이 있으신지요? 이름:

가습기살균제 사용을 중단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살균제가 원인임을 알고서 ☐병원에 입원하게 되어

☐기타:

- 128 -

Page 140: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귀하께서는 이번 사고 발생 이전에 “간질성 폐렴”이라는 질병에 관해 들어 본 적이 있으셨습니까? ☐있다.(누구로부터 그 병명을 들어보셨습니까? ☐가족 ☐주변 이웃 ☐의료인 ☐언론매체) ☐없다.가습기 살균제 사고와 관련하여 현재 귀하와 귀하의 가족을 도울 사람이 있습니까? ☐있다. → ☐가족 ☐친구 ☐이웃 ☐기타 ) 그 도움이 충분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매우 불충분 ☐보통 ☐매우 충분 ☐없다.만일 추가 도움이 필요하다면 누구로부터의 도움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주관식) 왜 그 도움이 필요하다고 보시는지 이유 한 가지를 들어 주시겠습니까?(주관식) 귀하는 가습기 살균제 사고가 알려진 이후 언론 매체의 관련 내용 보도가 만족스러우십니까? ☐매우 불만족 ☐보통 ☐매우 만족언론이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키려면 가습기 살균제 보도에서 앞으로 어떤 내용을 보강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중요한 순서대로 3개를 골라 주세요. 응답: , , ) ①관련자 경험담 ②전문가 의견 ③외국 사례 ④정부의 개입 ⑤일반 국민에게 가습기 살균제 위험 알림 ⑥예방법 개발과 홍보

- 129 -

귀하께서는 이번 일의 해결을 위해 다음의 노력이 얼마나 많아져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전혀 아님 거의 아님 중간 약간 중요 매우 중요

정부 ☐ ☐ ☐ ☐ ☐의료 전문직 ☐ ☐ ☐ ☐ ☐기업 ☐ ☐ ☐ ☐ ☐소비자 단체 ☐ ☐ ☐ ☐ ☐언론 ☐ ☐ ☐ ☐ ☐사건을 경험한 개인 ☐ ☐ ☐ ☐ ☐귀하께서는 이번 일의 재발 방지를 위해 다음의 노력이 얼마나 중요하리라고 보십니까?

전혀 아님 거의 아님 중간 약간 중요 매우 중요정부 ☐ ☐ ☐ ☐ ☐의료 전문직 ☐ ☐ ☐ ☐ ☐기업 ☐ ☐ ☐ ☐ ☐소비자 단체 ☐ ☐ ☐ ☐ ☐언론 ☐ ☐ ☐ ☐ ☐사건을 경험한 개인 ☐ ☐ ☐ ☐ ☐

Page 141: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이제부터는 정신 건강 영향 조사 부분입니다.* 이번 일로 인해 치료를 받은 적이 있습니까? ☐예 ☐아니오 치료 방법: ☐정신과 ☐상담 ☐약물치료 있으시다면 치료 기간은 언제입니까? 년 월 일 ∼ 년 월 일 치료는 몇 회 받으셨습니까? 일주일에 회/ 혹은 한달에 회 현재는 어떤 상태이십니까? 1) 완전히 회복되었다. 2) 치료 중이다. 3) 치료를 중단하였다. 그 이유: 4) 기타:

A. 가습기살균제로 인해 가족의 건강에 문제가 발생한 이후 현재까지의 경과 시간은?( ) (1) 1개월 이하 (2) 1-3개월 (3) 3-6개월 (4) 6개월-1년 (5) 1-3년 (6) 3년 이상

- 130 -

※ 다음 중에 지난 1개월 동안 문제를 경험한 빈도에 해당되는 번호를 찾아서 0-3 중에 “O” 표를 하시기 바랍니다. 가습기살균제로 인해 가족의 건강에 문제(사망, 혹은 이식 수술)가 발생한 경우를 “이번 사건”이라고 줄여서 이야기 하도록 하겠습니다.(0) 전혀 아니다 혹은 1회 (2) 주 2-4회 / 1달의 반 정도

(1) 주 1회 정도 (3) 주 5회 이상/ 거의 언제나

a 0 1 2 3 이번 사건에 대해 원치 않는 괴로운 생각이나 이미지가 떠오름b 0 1 2 3 이번 사건에 대한 악몽c 0 1 2 3 이번 사건을 재경험, 마치 사건이 다시 일어나는 것처럼 행동하거나 느낌d 0 1 2 3 이반 사건이 떠오르면 정서적인 고통을 느낌(예: 두려움, 화남, 슬픔, 죄책감 등)e 0 1 2 3 이번 사건이 떠오르면 신체 반응을 경험(예: 땀이 나거나, 심장이 두근거림)f 0 1 2 3 이번 사건에 대한 생각, 대화, 느낌을 피하려고 함g 0 1 2 3 이번 사건을 떠올리게 하는 활동, 사람, 장소를 피하려고 함h 0 1 2 3 이번 사건의 중요한 부분을 기억하지 못함i 0 1 2 3 중요한 활동에 대한 관심이나 참여가 줄어듦j 0 1 2 3 주변 사람들과 소원하거나 단절된 느낌k 0 1 2 3 정서적으로 마비된 것처럼 느낌(예: 울 수 없거나 사랑하는 감정을 느끼기 어려움)l 0 1 2 3 미래에 대한 계획이나 기대가 실현될 수 없을 것 같이 느낌

(예: 직업, 결혼, 자녀를 갖지 못할 것 같다거나 오래 살지 못할 것 같이 생각함)m 0 1 2 3 잠들기 어렵거나 잠을 계속 자기 어려움n 0 1 2 3 지속적으로 과민해지거나 분노늘 폭발하게 됨o 0 1 2 3 집중하는데 어려움p 0 1 2 3 지나치게 경계하게 됨

(예: 주변에 누가 있는지 점검하기, 등 뒤에 다른 사람이 있으면 불편함 등)q 0 1 2 3 크게 놀라거나, 쉽게 놀라게 됨(예: 누군가 다가오는 경우 크게 놀람)

Page 14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B. 앞에서 질문하는 여러 증상들을 경험한 지 얼마나 되었습니까?( ) (1) 1개월 이하 (2) 1-3개월 (3) 3개월 이상

C. 이번 사건을 경험하고 얼마 후에 이러한 증상들이 시작되었습니까?( ) (1) 6개월 이하 (2) 6개월 이상

- 131 -

a ☐ 예 ☐ 아니오 직업b ☐ 예 ☐ 아니오 집안 일c ☐ 예 ☐ 아니오 친구 관계d ☐ 예 ☐ 아니오 놀이와 여가활동e ☐ 예 ☐ 아니오 학업f ☐ 예 ☐ 아니오 가족관계g ☐ 예 ☐ 아니오 성생활h ☐ 예 ☐ 아니오 삶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i ☐ 예 ☐ 아니오 삶의 모든 영역에서의 전반적인 기능 수준

※ D. 지난 1개월 동안 앞에서 질문한 17문제의 증상들로 다음에 제시되는 삶의 영역에서 방해가 되는지 예와 아니오 중에서 해당하는 곳에 표시하시오.

 E. 1. 가습기살균제 문제 이후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하신 적이 있습니까? : ☐없다. ☐있다. 하루에 회

E. 2. 무엇 때문에 죽고 싶다는 생각이 드시는지요? (답 : ) * 가습기살균제 문제라면, 문제 이후, 해당되는 내용을 골라주세요(복수 응답 가능). ① 사건 이후 경제적 문제 ② 가정 내 갈등 ③ 정부의 태도 ④ 기업의 태도 ⑤ 기타 :

* 가습기살균제 문제와 관계가 없으시다면, 어떠한 문제인지요?

☐ 개인적인 문제여서 대답이 곤란하다.☐ 응답할 수 있다. 응답:

E. 3. 가습기살균제 문제 이후 자살하려는 시도나 계획은 있었나요? ☐예(횟수 : _____ 번) ☐아니오

Page 143: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F. 다음 질문은 스트레스를 경험한 사람이 사건 이후에 경험할 수 있는 후유증에 대한 질문들입니다. 본인이 경험하신 “이번 사건”을 떠올리면서, 지난 1주일 동안 “이번 사건” 때문에 아래의 후유증으로 인해 얼마나 고통스러웠는지, 얼마나 어려움을 겪었는지를 0-4번 중에서 해당하는 곳에 표시하시오.

a "이번 사건"을 떠올리게 하는 어떤 것이 나에게 그 때의 감정을 다시 불러 일으켰다. 0 1 2 3 4

b 나는 수면을 지속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0 1 2 3 4c 나는 다른 일들로 인해 "이번 사건"을 생각하게 된다. 0 1 2 3 4d 나는 "이번 사건" 이후로 예민하고 화가 난다고 느꼈다. 0 1 2 3 4e "이번 사건"에 대해 생각하거나 떠오를 때마다 혼란스러워지기 때문에

회피 하려고 한다. 0 1 2 3 4f 내가 생각하지 않으려고 해도 "이번 사건"이 생각난다. 0 1 2 3 4g "이번 사건"이 일어나지 않았거나, 현실이 아닌 것처럼 느꼈다. 0 1 2 3 4h "이번 사건"을 상기시키는 것들을 멀리하며 지냈다. 0 1 2 3 4i "이번 사건"의 영상이 나의 마음속에 갑자기 떠오르곤 했다. 0 1 2 3 4j 나는 신경이 예민해졌고 쉽게 깜짝 놀랐다. 0 1 2 3 4k "이번 사건"에 관해 생각하지 않기 위해 노력한다. 0 1 2 3 4l 나는 "이번 사건"에 대한 여전히 많은 감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지만

신경쓰고 싶지 않았다. 0 1 2 3 4m "이번 사건"에 대한 나의 감정은 무감각한 느낌이었다. 0 1 2 3 4n 나는 마치 사건 당시로 돌아간 것처럼 느끼거나 행동할 때가 있었다. 0 1 2 3 4o 나는 "이번 사건" 이후로 잠들기가 어려웠다. 0 1 2 3 4p 나는 "이번 사건"에 대한 강한 감정이 물밀 듯 밀려오는 것을 느꼈다. 0 1 2 3 4q 내 기억에서 "이번 사건"을 지워버리려고 노력했다. 0 1 2 3 4r 나는 집중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0 1 2 3 4s "이번 사건"을 떠올리게 하는 어떤 것에도 식은땀, 호흡곤란, 오심, 심장 두근거림

같은 신체적인 반응을 일으켰다. 0 1 2 3 4t 나는 "이번 사건"에 관한 꿈들을 꾼 적이 있었다. 0 1 2 3 4u 내가 주위를 경계하고 감시하고 있다고 느꼈다. 0 1 2 3 4v 나는 "이번 사건"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0 1 2 3 4

- 132 -

Page 144: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G. 다음 질문들은 지난 1주일간 다음의 증상을 얼마나 느꼈는지 알아보기 위한 질문들입니다. 각각의 질문들을 주의 깊게 읽으시고, 자신에게 해당되는 정도에 따라 1번(전혀 느끼지 않았다)부터 4번(심하게 느꼈다) 중에서 해당하는 곳에 표시하시오.

번호 질문전혀

느끼지 않았다

조금 느꼈다.

상당히 느꼈다.

심하게 느꼈다.

a 가끔씩 몸이 저리고 쑤시며 감각이 마비된 느낌을 받는다. 1 2 3 4b 흥분된 느낌을 받는다. 1 2 3 4c 가끔씩 다리가 떨리곤 한다. 1 2 3 4d 편안하게 쉴 수가 없다. 1 2 3 4e 매우 나쁜 일이 일어날 것 같은 두려움을 느낀다. 1 2 3 4f 어지러움(현기증)을 느낀다. 1 2 3 4g 가끔씩 심장이 두근거리고 빨리 뛴다. 1 2 3 4h 침착하지 못하다. 1 2 3 4i 자주 겁을 먹고 무서움을 느낀다. 1 2 3 4j 신경이 과민되어 있다. 1 2 3 4k 가끔씩 숨이 막히고 질식할 것 같다. 1 2 3 4l 자주 손이 떨린다. 1 2 3 4m 안절부절 못해 한다. 1 2 3 4n 미칠 것 같은 두려움을 느낀다. 1 2 3 4o 가끔씩 숨쉬기 곤란할 때가 있다. 1 2 3 4p 죽을 것 같은 두려움을 느낀다. 1 2 3 4q 불안한 상태가 있다. 1 2 3 4r 자주 소화가 잘 안되고 뱃속이 불편하다. 1 2 3 4s 가끔씩 기절할 것 같다. 1 2 3 4t 자주 얼굴이 붉어지곤 한다. 1 2 3 4u 땀을 많이 흘린다.(더위로 인한 경우는 제외) 1 2 3 4

- 133 -

Page 145: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H. 이번 가습기살균제로 인한 문제가 발생한 이후 현재 본인에게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일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자유롭게 적어보시기 바랍니다. (예: 정신적 충격 치료 지원, 자녀들의 안정, 생활의 안정, 경제적 지원, 회사의 사과, 정부의 대책 마련, 직장 생활 안정 등)

※ I. 이번 가습기살균제로 인한 문제를 겪으시면서 본인이 느끼고, 생각하고, 고민했던 내용들이 많으실 것으로 생각됩니다. 본인이 느끼신 점을 자유롭게 적어보시기 바랍니다.

- 134 -

※ J. 현재 가족들이 모두 같이 살고 있나요? ☐예 ☐아니오(이유: ) 자녀분들은 현재 누가 돌보아 주고 있습니까? ☐친가 ☐외가 ☐친척(누구): ☐기타: 향후 계획은 어떠합니까? ※ K. 이번 일이 귀하의 가정에 큰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귀하의 직장 일에 미친 영향은 어떠합니까?(주관식)

귀하의 자녀분들은 어떻게 알고 느끼고 있는지요?(주관식)

【오랜 시간, 설문 조사에 응답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Page 146: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35 -

2. 설문지 기입 사례

Page 147: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36 -

Page 148: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37 -

Page 149: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38 -

3. 가습기 살균제 가족피해 사례소개

그림 9.1. 가족피해 사례1.

Page 150: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39 -

그림 9.2. 가족피해 사례2.

Page 151: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40 -

4. 설문조사 사진

가습기살균제와 설문조사

가습기 사용 높이 측정

Page 152: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41 -

설문조사 동영상 촬영으로 기록

가습기살균제 사용방법 재연,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Page 153: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42 -

설문지 작성 중

Page 154: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43 -

5. 가습기 살균제 성분의 알려진 독성

가습기살균제 제품 중 정부(질병관리본부)가 살균제성분(PHMG(polyhexamethylene

guanidine), PGH(Oligo(2-(2-ethoxy)ethoxyethyl guanidinium chloride))을 확인하고 동

물실험을 통해 흡입독성을 밝혀내 강제수거명령의 상이 된 제품은 모두 6종으로 옥

시싹싹 ‘가습기당번’(PHMG), 롯데마트 ‘와이즐렛’(PHMG), ‘세퓨’(PGH), ‘홈플러스 가

습기살균제’(PHMG), 코스트코 ‘가습기클린업’(PHMG), ‘아토오가닉 가습기살균

제’(PGH) 등이다. 다른 종류의 살균제 성분인

CMIT/MIT(chloromethylisothiazolinone/methylisothiazolinone)를 주성분으로 한 제품

인 애경 ‘가습기메이트’의 경우 흡입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질병관리본부는 밝혔다.

2011년 11월 11일 질병관리본부의 흡입독성실험 결과 발표에서 이 실험에 참가한 울

산 의 병리학과 연구팀은 살균제 성분중 PGH를 사용한 제품인 옥시싹싹과 세퓨

제품을 이용한 동물실험결과를 폐손상사진으로 공개했다. 연구팀은 동물실험사진과 더

불어 동일제품을 사용한 피해자의 폐손상사진도 비교하여 공개했다.

그림 9.3. 가습기 살균제 세퓨 노출 동물 폐의 육안소견(질병관리본부 2011년 11월11일

발표).

Page 155: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44 -

그림 9.4. 가습기 살균제(세퓨) 동물실험과 폐손상환자의 폐사진(질병관리본부 2011년

11월11일 발표).

그림 9.5. 가습기 살균제(옥시싹싹) 동물실험과 폐손상환자의 폐사진(질병관리본부

2011년 11월11일 발표).

Page 156: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45 -

살균제 성분으로 사용된 CMIT/MIT는 급성 흡입시 독성이 나타난다. 1L당 1.07mg

과 2.09mg의 농도에서 수컷 실험쥐 6마리가 모두 치사하였고, 암컷 6마리 중 3마리가

치사하였다. 농도를 1L당 0.15mg으로 낮추었을 때는 수컷 6마리중 3마리와 암컷 6마

리 중 5마리가 치사하였다(Christina et al, 2011).

가습기살균제 제조 및 판매사들은 주요 살균제 성분을 공개하지 않으면서도, 유럽과

국내 등에서 안전성 검사를 충분히 받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초음파 가습기를 사용

한 환경과 비슷한 조건에서의 노출로 인한 독성을 평가하지는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

다. 수입제품의 경우 외국에서는 세정살균제 용도로 씻거나 닦아내는 데 사용한 반면,

국내로 들여와서는 기 중으로 비산시켜 사용하는 가습기투입용으로 용도를 변경하

여 판매하였다. 정부당국 역시 가습기살균제의 흡입독성의 가능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

아 가습기살균제를 일반 제조상품으로 여겨 안전관리의 사각지 에 방치해 왔다.

질병관리본부가 동물실험에서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고 했던 가습기살균제의 주요

성분중 하나인 PGH의 경우, 다른 정부기관에서는 인체독성에 해 파악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청 그리고 농림수산식품부가 공동으로 운

영하는 식품안전포털인 식품안전정보서비스(www.foodnara.co.kr)는 PGH가 눈이나 피

부에 닿으면 발진이나 화상을 일으킬 수 있고, 특히 들이마시면 타는 것과 같은 느낌

과 함께 호흡곤란을 겪게 된다고 경고하고 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알려진 3종류의 가습기살균제 성분에 해 흡입독성평가를 한

결과, 위해도가 PGH 10,500, PHMG 2,500, CMIT/MIT 9.41로 매우 높게 조사되었다.

연구자들은 만약 기업이나 정부가 사전에 충실한 독성평가를 하였다면 시중에 제품이

유통되지 않았을 것이고 그러므로 피해를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지적되었다(이종현

등, 2012).

2012년 5월 환경독성보건학회 학술 회에서 발표된 연구결과에 따르면, CMIT/MIT,

PGH, PHMG 등의 살균제 성분을 사용하는 가습기살균제 제품에 한 인간 폐세포독

성 실험결과 가습기메이트, 세퓨, 옥시싹싹, 와이즐렉 등의 제품에서 세포독성이 확인

되었다(박창위 외, 2012. 그림 9.4).

Page 157: 가습기살균제 보고서(2012)

- 146 -

그림 9.6. MIT/CMIT, PGH, PHMG 성분의 가습기살균제에 한 세포독성 실험연구

(박창위 외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