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Generic Measure of Health Status: QALY, DALY 원예201443건강QALY, DALY 알아. 1 (Sabermetrics)두되, , , 어어리를 [1]. 인의 건강이있, DALY(Disability Adjusted Life Year)QALY(Quality Adjusted Life Year)[8, 17]. DALYQALY과계알아이있, 이있알아. 점적주제. 2 DALY DALY있으, , , 건강를말. , DALY. !!!, ?? 를말을유. 1

DALY & QALY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Generic Measure of Health Status: QALY, DALY

김진섭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예방의학교실

2014년 4월 3일

요 약

건강상태 측정지표인 QALY, DALY 에 대해 알아본다.

1 서론

미국메이저리그에서는세이버메트릭스(Sabermetrics)라는분야가대두되고선수의능력을판단하

는기준으로활발히활용되고있는데,이는야구기록을수리통계학적으로분석하여전통적인타율,

다승, 방어율 등의 지표를 넘어 어떤 선수가 승리를 부르는 선수인지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생긴

통계학의한분야이다[1].이와비슷하게집단또는개인의건강지표를숫자하나로표현하려는노력

들이 있었고, 현재 널리 쓰이는 것으로는 DALY(Disability Adjusted Life Year)와 QALY(Quality

Adjusted Life Year)가 있다[8, 17]. 본문에서는 DALY와 QALY의 개념과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고

어떤 공통점이 있는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려 한다. 특히 본문에서는 핵심적인 계산과

프로그램을 중점적으로 이야기함으로서 본 주제연구 세미나 후 바로 데이터분석을 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DALY

DALY는 한글로 표현하면 장애보정손실연수라 할 수 있으며 즉, 질병으로 인한 사망, 장애, 또는

건강하지않은상태로나타나는손실연수를말하는것이다.헷갈리면안되는것이, DALY는손실정

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평균기대수명으로부터 얼마나 더 손해보냐!!!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단어만

보고잘못추측하여이것저것보정하였을때개인수명이얼마나되냐??를말해주는것이아니라는

점을 유념하자.

1

흔히 DALY=YLL + YLD 로 표현하며 YLL는 years of life lost로 사망으로 인한 손실을 의미한다.

성별, 질병, 나이를 고정하였을 때 YLL은

YLL = N× L (1)

(N: number of death, L: standard life expectancy at age of death in years)표시된다.한편 YLD는

years lost due to disability로 장해로 인한 손실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YLD = I×DW× L (2)

(I: incidence, DW: disability weight, L: average duration of the case until remission or death(years))

그림 1: Concept of DALY

여기까지는 보건학 전공자들이 흔히 알고 있는 부분일 것이다. 자 이제 그럼 결국 DALY를

실제로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아보자. 간단히 말해서 YLL, YLD 식에 이용되는 지표들이 다 필요한

것이다(Disability weight는후술하겠다).성별,연령별로다양한지표들이필요한것을알수있는데

실제모든지표들이완벽하게갖추어진경우는거의없다.따라서적절한모형에따라이것을추정해

주는 방법이 필요하고 이를 수행하는 소프트웨어가 DISMOD이다.

2.1 DISMOD

DISMOD DISMOD는 Global Burden of Disease 1990에 이용된 소프트웨어로, incidence, re-

mission, case fatality의세가지지표를이용하여 prevalence, mortality, disease duration등의다른

2

지표들을 추정하는데 이용되었다[2]. DISMOD의 핵심은 미분방정식을 이용하여 특정 연령범위의

사람들의 건상상태를 추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른 지표들을 계산하는 것인데 그 개요는 다음과

같다.

그림 2: Conceptual Disease Model

그림 2를 토대로 핵심 계산식을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dSa

da= −iaSa + raCa (3)

dCa

da= −(fa + ra)Ca + iaSa (4)

dDa

da= faCa (5)

(a: age group, S: 건강한 사람의 수, C: 해당 질병상태인 사람의 수, D: 해당 질병으로 죽은 사람의

수, i: incidence, r: remission, f : fatality)

첫 번째 수식을 예로 들면 건강한 사람 수의 변화량은 건강한 사람 수와 incidence의 곱만큼

감소하고 , 질병상태인 사람 수와 remission의 곱만큼 증가한다는 것이다. 이 미분방정식의 핵심은

3

연령별 i, r, f 를알면결국 Sa, Ca, Da를알수있게된다는것이고,이를알면 prevalence와mortality

를 구할 수 있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PYa =1

2× (Sa + Ca + Sa+1 + Ca+1) (6)

ca =1

2× Ca + Ca+1

PYa(7)

ba =Da+1 −Da

PYa(8)

(PY : age interval person-year at risk, c: prevalence, b: mortality)

여기에 다른 원인으로 인한 사망률 ma를 알고 있으면 결국, 질병상태에서 빠져나갈 확률은

ra + fa + ma가 되고 이를 이용하면 disease duration또한 구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incidence,

remission, case fatality의세가지지표를토대로나머지지표들을추정하는소프트웨어가 DISMOD

이다.

DISMOD II DISMOD II는 Global Burden of Disease 2000에 이용된 소프트웨어로, DISMOD

에서부족했던그래픽효과를지원하며 incidence, remission, fatality의세지표를 input으로받았던

한계에서 벗어나, 더 많은 질병의 상태를 추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2]. 즉, prevalence나

mortality 정보를 input으로 받아 역으로 다른 지표를 추정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이 정보만

가지고 DISMOD의 과정을 완벽히 역으로 계산해낼 수는 없으나 각종 통계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가능성이 높은 추정치를 제시하며 물론 최소 3가지 지표는 있어야 나머지도 추론할 수 있다. 한국의

질병부담에 대한 대부분의 논문들이 이 DISMOD II를 이용하였다[18, 11, 19].

DISMOD-MR DISMOD-MR은Global Burden of Disease 2010에이용된소프트웨어로, https:

//github.com/ihmeuw/dismod_mr에서소스코드를다운로드받을수있으며파이썬(python)에서

작동되어 진입장벽이 높은데, 이는 베이지안 통계를 적용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DISMOD-II와

의 가장 큰 차이점은 베이지안 접근법을 이용하였다는 것과 Meta-regression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다[16].

베이지안접근법의핵심은연구자가관심있는변수의사후분포(posterior)가사전분포(prior)와가능

도(likelihood)의곱에비례한다는점인데,기존통계방법이귀무가설로변수값을 0으로가정하고그

가정 하에서 가능도를 최대로 하는 변수값을 계산하는 것이었다면, 베이지안 접근법은 귀무가설과

4

의미상 통하는 사전분포를 좀 더 유연하게 가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암(cancer)의

경우 일반적으로 나이가 증가할수록 incidence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 양상을 사전분포

(prior)로 지정한 후 데이터가 주는 정보 가능성의 정보 (likelihood)를 종합하여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하나의 특징인 Meta-regression은 여러 지역이나 나라들의 정보를 종합하여 원하는 정보를 추

정할 수 있게 하며, 이를 통하여 지역이나 나라들의 차이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살펴볼 수 있다.

Prevalence의예를들어설명하면,각지역별또는나라별로 prevalence를모두구한다음이지표를

종속변수로 두고 회귀분석을 수행하는 것이며 지표 특성에 따라 종속변수의 분포는 로짓, 포아송,

음이항 분포 등 다양하게 지정할 수 있다.

Meta-regression에서 독립변수를 포함하는 방법은 fixed effect와 random effect가 있는데, fixed ef-

fect는 일반적인 변수(예: 성별, 나이 등)과 질병지표에 영향을 끼치리라 예상되는 지역이나 나라의

특성, study-protocol등이포함되어분석될수있으며, random effect에는지역이나나라그자체를

변수로 두어, 지역이나 나라에 따른 heterogeniety를 살펴볼 수 있다.

베이지안 통계와 메타분석법에 대해 한글로 공부하고 싶으신 분은 NECA 연구방법시리즈 3.

베이지안 메타분석법을 참조하길 바란다.

2.2 Adjustment

DALY계산에 필요한 지표들을 구하는 것이 전부는 아니다. YLL=N×L, YLD=I×DW×L 로 그냥

단순히 계산하는 것이 아니며, 실제로는 여러가지가 보정되는데 대표적인 것들은 다음과 같다.

연령가중치(weighting) 젊은 사람의 사망을 늙은 사람의 사망보다 더 가중치를 준다.

할인율(discounting) 현재의 건강수준을 미래의 건강수준보다 더 가중치를 준다(예: 3%)

표준기대여명

장애별가중치 완벽한건강상태를 0,사망을 1로가정하고장애의종류에따라 PTO(person trade-

off), VAS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장애별 가중치를 구함

예를 들어 3%의 할인율을 적용한다면 YLL과 YLD의 식은 다음과 같이 바뀌게 된다.[6].

5

YLL =N

0.03(1− e−0.03L) (9)

YLD =I×DW

0.03(1− e−0.03L) (10)

여기에 연령가중치까지 적용하면 식은 더 복잡해지게 되며 식의 내용은 참고논문을 참조하길

바란다.

2.3 Disability weight

장애가중치 보정은 따로 이야기를 해 보겠다. 그동안 알려진 장애가중치 보정방법은 Ranking,

Visual Analog Scale(VAS), Standard Gamble(SG), Time Trade-Off(TTO) 등이 있는

데 이것들의 개념은 알아서 찾아보시길 바란다[10, 7, 4, 3]. GBD(Global burden of disease) 1996

에서는 장애가중치 보정방법으로 “person trade-off”라는 개념을 제시하였는데[9], 그림 3을 보면

이해가 될 것이다.

그림 3: Person trade-off

전문가집단을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조사결과를 토대로 22개의 indicator condition을

배치하였으며 이를 7단계의 장해 범주로 나눈 후, 나머지 질병에 대해서는 구한 것을 가지고 적당히

평균을 내서 계산을 한다(그림 4).

6

그림 4: Person trade-off(2)

GBD 2010 GBD 2010에서는 289개의질병과 1160개의 sequelae를토대로 220개의 health status

에 대해 가중치를 줄 수 있게 되었는데(그림 5)[16], 전세계적으로 population-based household

survey와 open-access internet survey를 시행하였으며 크게 paired comparison과 population

health equivalence방법이있다.이중 population health equivalence는앞서언급한 person trade-

off 방법과 유사하며, paired comparison은 만성질환끼리의 비교, 급성질환끼리의 비교를 분리하여

질문하였으며 paired comparison을 통하여 질환끼리의 비교를 할 수 있으며, population health

equivalence로는 어떤 질병상태와 죽음에 대한 비교를 할 수 있어 질병상태를 0-1사이의 숫자로

표현할 수 있게 해준다[13]. 이를 이용하여 paired comparison의 결과를 0-1의 scale로 변환할 수

있다.

1. paired comparison : 질환끼리 우열을 가린다!!

2. health equivalence: 각 질환이 건강에 비해 어느정도인가를 구한다. (0-1)척도

3. 질환끼리 우열을 가린 것을 토대로 0-1척도에 대입.

3 QALY

QALY(Quaility Adjusted Life Year)는 삶의 질을 계량적으로 반영하기 위하여 1976년에 처음 제

안된 지표로서 지금처럼 널리 쓰이게 된 것은 얼마 되지 않았는데, disease burden을 계량하기 위해

7

그림 5: Disability weight in GBD 2010

만들어진 DALY와 개념상 유사한 부분이 많다[20]. 그냥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넘어갈 사람들은

QALY는 DALY의반대라고알고있으면될듯한데이는 DALY에서는완전한상태가 0,죽음이 1인

반면에 QALY에서는 완전한 상태를 1로 하여 기타 삶의 질의 상태를 0-1사이로 계량하는 것이기

때문이다.허나죽음을 1로보는것과완전한상태를 1로하여나머지를측정하는것은개념이상당히

달라지기 때문에 무작정 반대라고 할 수는 없으며 기타 age weighting등 세부사안에서도 차이가

난다. 기본 개념은 그림 6에 소개되어 있으며, 이에 본 단원에서는 QALY의 계산법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넘어가도록 하겠다.

3.1 Calculation of QALY

QALY 계산에 대한 내용은 [14]에 자세히 나와있으며 간략히 요약해 보도록 하겠다.

어떤 사람이 Quality Q(0-1)의 상태로 1년을 산다고 하자. 그러면 그 1년동안의 QALY는

QALYs lived in one year = 1×Q (11)

8

그림 6: Concept of QALY

가 되며, 따라서 어떤 사람의 a살부터의 질보정 기대여명(QALE: Quality Adjusted Life Ex-

pectancy)는 다음과 같다.

QALE =

a+L∑a

Qt (12)

(L: residual life expectancy of the individual at age a, t: time unit)

여기에 DALY 때처럼 discounting을 적용한다면 즉, 현재의 삶의 질에 더 가중치를 준다면

Discounted QALE =

a+L∑a

Qt

(1 + r)t−a(13)

(r: discounting rate)

가 된다. 자, 여기까지 계산할 줄 알면 개인의 QALY를 계산할 수 있는 것이다. 허나 개인의

QALY를그냥구하는것으로는별의미가없으며 QALY의주용도는 cost-effectiveness분석을위한

9

것이다. 이제 특정 intervention i가 시행된 후의 quality지표를 Qi라 하고 기존의(no intervention

or standard intervention) quality 지표를 Q라 하면 QALY의 변화를

QALYs gained =a+Li∑a

Qit

(1 + r)t−a−

a+L∑a

Qt

(1 + r)t−a(14)

(Li: residual life expectancy after intervention i)

로 표시할 수 있다.

3.2 DALY와의 차이점

Quality scale과 disability scale이 반대개념이 있음을 앞에서 설명하였는데, 이것 말고도 DALY

와의 차이점이 있다. 대표적으로는 DALY의 weight는 전문가들이 결정하는데 비하여, QALY의

weight는 일반 인구집단에서 직접적으로 계산된다는 것이다(GBD 2010은 아님). 직접적으로 계산

하는 방법에는 GBD 2010에서도 언급한 방법들이 있으며,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에는 Health

Utilities Index (Torrance et al. 1996) 나 EuroQol (Dolan 1997)이 있는데 본문에서는 EuroQol의

EQ-5D(EuroQOL five dimensions questionnaire)중 3 level 버전을 살펴보도록 하겠다[15, 5, 12].

EQ-5D-3L은이름그대로 5가지차원에서 3가지레벨로삶의질을측정하겠다는것인데 Demension

은 Mobility, Pain/discomfort, Self-care, Anxiety/depression, Usual activities의 5가

지가 있고 각 차원마다 삶의 질이 높은 순서대로 123으로 level이 표현된다(그림 7). 이것을 가지고

직접적인 방법인 TTO나 VAS 방법에서 나온 숫자로 변환하면 weighting이 구해지는 것이며 여러

나라들의 TTO, VAS와 EQ-5D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의 reference를 토대로 이를 변환하게 된다.

간단한 예제는 http://www.economicsnetwork.ac.uk/health/EQ_5D_index_calculator.xls

를 참조하면 된다.

3.3 개선된 QALY

QALY가 DALY와의 비교에서 큰 약점을 보이는 곳이 바로 age weighting이다. 앞서 설명한 QALY

의 식에서는 age weight을 하는 부분이 없는데, 이는 젊거나 늙거나 기본적으로는 삶의 질이 차이가

없다는 가정이며 현실성이 떨어진다. 또한 discount를 보정하는 부분도 기본단위별로 discrete하게

보정되어 있어 연속함수로 보정되어 있는 DALY에 비해 부정확한 부분이다. 하나씩 해결해 보자.

먼저 discounting을 연속함수로 보정한다면 QALE는 다음과 같다. 위에서 구한 QALE와 비교해

보자.

10

그림 7: Concept EQ-5D-3L

QALE =

∫ a+L

aQe−r(x−a)dx = Q

1− erL

r(15)

(r: discounting rate, L: residual life expectancy of the individual at age a)

이에 따른 intervention i에 대한 QALEs gained는

QALYs gained = Qi 1− erLi

r−Q

1− erL

r(16)

(i: intervention i)

가 된다. 이제 age-weighting이 남았다. a부터 a + L살까지의 기간을 적당히 몇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각 구간마다 Q값을 다르게 배정하는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참고문헌을 살펴보길 바란다.

4 마치며..

지금까지 건강지표의 단일수치인 DALY와 QALY를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얼핏 보기

에는단한가지지표로우열을가려주는것이엄청난매력으로다가올수있으나,살펴보면가정이나

11

가중치를주는방법에따라결과가천차만별로바뀌게되고,데이터를구하고분석하는것도상당히

어려워 함부로 접근하기 어렵다는 생각이 들었다. 적절한 분석 소프트웨어의 부재도 문제가 되는

데 특히 DISMOD-MR이나 현재 개발버전이 나온 DISMOD III는 기본적으로 파이썬 프로그래밍

언어의 모듈로 실행되고 베이지안 통계의 MCMC를 위하여 다른 모듈들도 많이 설치해야 되어

윈도우에서는 설치하는 것 조차 까다로우며 실제 다운받는 홈페이지에서도 설치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DALY나 QALY의 개념 자체는 어느정도 완성되어 있어 패러다임을 바꾸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나 세부 계산내용이나 쉽게 쓸수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이라는 측면에서는 아직도 연구할

부분이무궁무진하게많다고생각되며, Burden of disease의경우출판되는논문들의제목과양상이

XXX나라의 YYY질병의 Burden of disease..로거의천편일률화되어있는것을보아데이터만보유

하고 DISMOD MR을잘사용할수만있으면논문출판에도상당히유리한주제라는생각이들었다.

마지막으로는 Disability-adjusted나 Quality-adjusted가아닌 Desire-adjusted life year라는개념이

중요해질 날을 꿈꾸어 본다. 어떤 종류의 욕망이든지 빠르고 쉽게, 반드시 이루어지는 것이 최고가

아닌가 생각해 본다.

참고 문헌

[1] J. Albert. An introduction to sabermetrics. Bowling Green State University (http://www-

math. bgsu. edu/˜ albert/papers/saber. html), 1997.

[2] J. J. Barendregt, G. J. Van Oortmarssen, T. Vos, and C. J. Murray. A generic model for the

assessment of disease epidemiology: the computational basis of dismod ii. Population health

metrics, 1(1):4, 2003.

[3] K. Bennett and G. Torrance. Measuring health state preferences and utilities: rating scale,

time trade-off, and standard gamble techniques. Quality of life and pharmacoeconomics in

clinical trials, 2:253–265, 1996.

[4] N. Crichton. Visual analogue scale (vas). J Clin Nurs, 10(5):706–6, 2001.

[5] P. Dolan. Modeling valuations for euroqol health states. Medical care, 35(11):1095–1108,

1997.

12

[6] D. Donev, L. Zaletel-Kragelj, V. Bjegovic, and G. Burazeri. Measuring the burden of disease:

Disability adjusted life years (daly). METHODS AND TOOLS IN PUBLIC HEALTH,

30:715, 2010.

[7] H. M. McCormack, D. J. Horne, S. Sheather, et al. Clinical applications of visual analogue

scales: a critical review. Psychol Med, 18(4):1007–19, 1988.

[8] C. J. Murray. Quantifying the burden of disease: the technical basis for disability-adjusted

life years.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72(3):429, 1994.

[9] E. Nord. The person-trade-off approach to valuing health care programs. Medical decision

making, 15(3):201–208, 1995.

[10] E. E. Ohnhaus and R. Adler. Methodological problems in the measurement of pain: a com-

parison between the verbal rating scale and the visual analogue scale. Pain, 1(4):379–384,

1975.

[11] J. Park, S. Yoon, H. Lee, H. Jo, S. Lee, Y. Kim, Y. Kim, and Y. Shin. Burden of disease at-

tributable to obesity and overweight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30(11):1661–

1669, 2006.

[12] C. Phillips and G. Thompson. What is a QALY?, volume 1. Hayward Medical Communi-

cations, 1998.

[13] J. A. Salomon, T. Vos, D. R. Hogan, M. Gagnon, M. Naghavi, A. Mokdad, N. Begum,

R. Shah, M. Karyana, S. Kosen, et al. Common values in assessing health outcomes from

disease and injury: disability weights measurement study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The Lancet, 380(9859):2129–2143, 2013.

[14] F. Sassi. Calculating qalys, comparing qaly and daly calculations. Health Policy and Plan-

ning, 21(5):402–408, 2006.

[15] G. W. Torrance, D. H. Feeny, W. J. Furlong, R. D. Barr, Y. Zhang, and Q. Wang. Mul-

tiattribute utility function for a comprehensive health status classification system: Health

utilities index mark 2. Medical care, 34(7):702–722, 1996.

13

[16] T. Vos, A. D. Flaxman, M. Naghavi, R. Lozano, C. Michaud, M. Ezzati, K. Shibuya, J. A.

Salomon, S. Abdalla, V. Aboyans, et al. Years lived with disability (ylds) for 1160 sequelae

of 289 diseases and injuries 1990–2010: a systematic analysis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0. The Lancet, 380(9859):2163–2196, 2013.

[17] A. Williams, R. Evans, and M. Drummond. Quality-adjusted life-years. The Lancet,

329(8546):1372–1373, 1987.

[18] S.-J. Yoon, S.-C. Bae, S.-I. Lee, H. Chang, H. S. Jo, J.-H. Sung, J.-H. Park, J.-Y. Lee, and

Y. Shin. Measuring the burden of disease in korea.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2(3):518–523, 2007.

[19] S.-J. Yoon, H. Lee, Y. Shin, Y.-I. Kim, C.-Y. Kim, and H. Chang. Estimation of the burden

of major cancers in korea.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17(5):604, 2002.

[20] R. Zeckhauser and D. Shepard. Where now for saving lives. Law & Contemp. Probs., 40:5,

1976.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