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1he JOUTIIIlI ofYeolin Educotion 2008. Vol 16, No. 3 , pp 55-71 ..., 4 2 FAIR Cognillve Skllls FAIR : (ADH Dl, 1 . '- DeficitIHyper- active Disorder, 1998; Dupaul & Stoner, 2003). ADHD *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 Upload
    -

  • View
    189

  • Download
    1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열린쿄혹염구 1he JOUTIIIlI ofYeolin Educotion 2008. Vol 16, No. 3, pp 55-71

주의력 1헤효」 를를 늘j 口 l~ 과잉행풍 문제를 가El

위한 주의칩중력 풍진을

을악민지프로그랩의 효과 연구*

요 。t...,

아통의

정현주**

온 연구에서는 주의력걸핍 과잉행동 문제가 있는 아동의 집중력 및 인지기술 강화를 위한 음악 활동을 제공하여 주의집중력괴 음악인지기술때| 할상을 보이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종 23명 의 아동들이 잠여하였으며 비교집단괴 실힘집단에 각각 11 명과 12명씩으로 나뉘었다‘ 비교집단 은 망과후 제공되는 음악특기적성 프로그램에 잠여하였으며 실힘집단은 음악인지기술 강화를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에 잠여하였다 두 집단에 제공된 프로그램 모두 4 닫계로 구성되어 주 2 호l씩 종 16주 동안 제공되었다‘ 음악인지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보기 위해 FAIR 주의집중럭 검사 척도와 음악인기기술검사(MuSIC Cognillve Skllls Test)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사전 사후 검사자료 는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 (ANCOVAl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FAIR 검사 에서서는 프로그램 실행 이후 선택적 집줄력을 의미하는 선택능력지수(Pl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 였고 음악인지기술김사대|서는 리듬과제어|만 유의미한 번화를 보였다(p(.05l 이러한 결과는 소리 의 공간적 및 시간적 속성 지각콰 인지, 음악적 정보처리와 같은 인지기술 강화를 위해 구조화

된 응악활동이 주의집중력 증진에 영향을 미진다는 기존의 선행연구 걸콰들과 일치한다

주제어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ADHDl, 음악인지프로그램 주의집중력, 음악게쉬틸트, 음악정보 처리

1 . 서 를르 '-

최근 가정이나 학교에서 아동의 주의력 결핍과 과영행동 장애(Attention DeficitIHyper­

active Disorder, 이하 ADHD)문제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진단, 원인, 치료 등

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Barkley, 1998; Dupaul & Stoner, 2003). ADHD

는 시대에 따라서 그 정의와 개념이 조금씩 변화되어 왔다. 초기에는 과잉행동의 진단명

이 ‘미세 뇌기능 장애’라는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하여 이후 과잉운동 반응, 과잉운동을 동

* 본 연구는 한국학술진흥재단 기초연구지원(과제번호 B00813)에 의해 수행되었음.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 부교수

Page 2: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56. ~멸린교육연구』 찌116집 찌13호

반한 주의력 결핍장애 (Attention Deficit Disorder: ADD), 그리고 최근에는 주의력 결핍 장애

가 몇 가지의 종류로 구분되면서 이 중 한 종류는 주의력 결핍-과잉행동장애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 ADHD)로 명 명 되 어 졌 다(Amen, 2001;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2000). 더 나아가 ADHD는 행동 특성에 따라 주의력결핍 우세형, 과잉행동-충동

우세형, 그리고 복합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김동일, 2007). 이러한 ADHD 아동의 주의력

문제와 과잉행동, 충동조절의 문제는 학습과제 수행이나, 사회적 관계, 그리고 우울과 같

은 심 리 적 장애 등 이 차적 인 문제 를 야기 한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4).

미국의 경우 대개 학령기 아동의 5-10%가 주의력 결핍 장애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

고 았으며, 그 비율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Jackson, 2003). 우리나라에서는 4-16세 아동의

약 5-15%가 ADHD로 추정되며, 이러한 비율은 자폐성 장애와 갇은 타 장애에 비해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조수철, 2001). ADHD에 관심이 증가하는 이유는 집중력 결핍과 과

잉행동 문제가 정신지체나 정서장애와 같은 장애아동은 물론 일반 아동들에서 가장 흔하

게 발견되는 부적응행동이며, 전반적으로 학생들의 주의력이 계속 낮아지고 있고 크게 산

만해지고 있는 현상이 보여 지기 때문이다(검동일, 2007).

ADHD 아동들은 많은 경우 행동장애, 불안장애, 우울 장애, 학습장애, 닥 장애 등을 복

합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가 청소년기까지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정영숙 외

2001). 또한 ADHD 아동들은 과잉행동, 충동성, 주의력 결핍으로 인하여 인지, 학습, 행동,

사회 • 정서적 영역의 발달에 이르기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조기 치료교육

의 부재로 인해 청소년 비행이나 일탈, 학업 부진, 또래와의 관계 악화, 학교생활에서의

적응 곤란, 부모 및 교사와의 관계 악화, 또는 비사회적 행동문제로 이어질 수도 있다

(Barkely, 1998).

ADHD 아동을 위한 치료 방법에는 약물 치료, 행동 수정 치료, 인지행동치료, 미술치료,

놀이치료, 사회적 기술 훈련 등이 있다(Henker & Whalen, 1998). 이 중에서 가장 많이 사

용되는 치료는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를 들 수 있다. 약물치료는 ADHD 아동들에게 가

장 흔히 사용되어온 치료법이며 단기간 내 충동성과 주의력 결함을 경감시키고 과잉행동

을 감소시키는데 매우 효과적 임을 보여주었다(박난숙, 1992; 오은영, 2003; Barkley, 1998;

Henker & Whalen, 1998). 하지만 약물치료가 즉각적인 행동조절을 가져오는 데에는 효과

적이나 장기적인 행동 변화나 학습수행능력을 유도하지 못하는 점과 약물투여에 따른 심

장맥박의 변화나 체중과 신장의 성장억제 등의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김미애, 홍창희, 1999; Kloren, Coons & Borgestedt, 1987). 또한 McCoey와 그의 동료들은

(2002) 약물치료의 효과성 연구와 관련하여 연구 기간, 평가도구 타당성 문제 등 여러 제

한점이 있으므로 임상적 효과성을 입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ADHD 아동들을 위한 인지행동치료는 학교 현장에서 방해요인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아동들의 증상과 행동 패턴을 조절하고 수정하는 전략들을 아동들에게 학습시

키는 치료 방법 이다(김도연, 2003; Baer & Nietzel, 1991; Shillingfor, Lambie & Walter,

Page 3: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정연주 l 주의력 결핍 및 괴잉맹동 문제를 '1진 。I동의 주의집중력 증진율 위얀 옴악인i'il프로그램의 g괴 연구 .57

2007). 아동에게 주체가 되어 스스로 충동성을 통제하고 상황에 맞게 행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전략을 훈련시키는 접근인 인지행동치료 역시도 개개인이 가지는 문제

행동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고 과제수행에서 사회적응 행동으로의 일반화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단점이 보고되었다(Abikoff, 1991).

주의력 및 행동 변화를 위해 다매개체적 치료전략을 사용하거나 기존의 치료방법을 통

합한 연구들은 시 각 및 청 각 자극이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Smitlunan-Brown과 Church

(1 996)는 인지행동치료에 뇌파 조절을 위한 음향과 같은 시각, 청각적 매체 또는 미술 작

업을 통합 시켰을 때 더욱 효과적임을 보고하였다. 또한 권명옥, 김정일 그리고 정옥남

(2001)은 대부분의 ADHD 문제가 신경전달물질이나 대뇌화학물질들의 불균형 혹은 결핍

에서 비롯됨을 지적하면서 정각통합훈련(AIT)을 통해 AIT가 ADHD 아동의 소리 민감성과

청력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보고하였다. 또한 신체운동이나 운동치료를 통해

ADHD 아동의 주의력 및 행동 변화를 연구한 연구들은 신체운동이 긍정적인 신체 개념과

함께 주의집중력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음을 보고하였다(허정식, 2004; Becker, 1998).

ADHD 아동들을 대상으로 음악을 사용한 연구는 1980년대에 들어와서 활발하게 이루어

졌는데, 다양한 음악활동이 ADHD 아동의 과영 또는 충동적 행동과 같은 부적절한 행동

을 감소시키고 집중력을 증진시킨다는 긍정적인 결과틀을 제시하였다(정미라, 2006; Cripe,

1986; Jackson, 2003; Montello & Coons, 1998) ADHD 아동들의 경우 환경에서 제공되는 소

리의 전경과 배경(figure and ground)을 구분하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작은 자극에도 주

의력이 분산되어 과제 작업에 한계를 갖는다(신민섭, 오경자, 홍강의, 1995; 장은진, 신민

섭, 1996). Prior 외 (1 985)는 ADHD 아동들의 주의 력 결핍 문제로 인해 평균보다 낮은 선

택적 주의력과 지속성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여기서 선택적 주의란 전경과 배경을 구분

하는 것으로 수많은 정보 중에서 필요한 정보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을 의미하는데, 많은

연구블이 음악활동은 소리 정보들을 시간적 구조에 근거하여 분류하고(리듬) 음의 높낮이

흐름(선율)을 인식하게 하는 만큼 참여자의 인지력을 강화시킨다는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Madsen, 1981; Morton, Kershner & Siegel, 1990; Pratt, Abel & Skidmore, 1995). 이는 음악

자체가 여러 음들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소리 하나 하나를 듣기보다

음들의 구조와 전개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게쉬탈트(gestalt) 능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Sloboda, 1985).

게쉬탈트 능력은 전경과 배경을 분리하는 인식력을 기본으로 하는데, 이에는 다음과 같

은 네 가지 원리가 적용된다(Lipscomb, 1996). 첫째, 단순함의 원리로 주어진 정보를 지각

하는 과정에서 가능하면 어떤 의미에서든지 일관성과 통일성을 찾으려는 성향을 의미한

다. 음악 정보에서 일관적으로 지각되는 특정한 요인들을 규명하고 이를 중심으로 음악

정보를 분류화(grouping)하는 작업이 이에 해당된다. 둘째, 유사성의 원리로, 제공된 청각

적 정보를 음색, 음역, 소리가 생산되는 물리적 위치 등 유사한 종류나 특성끼리 구분 짓

는 작업을 말한다. 셋째는 근접성의 원리로 리듬과 선율 구조 내에서 근접한 시간적(하위

Page 4: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58. 멜린교육연구』 찌116집 찌13호

분할된 박) 혹은 공간적(음고) 패턴올 중심으로 분류화 하는 것음 의미한다. 넷째, 연속성

의 원리 혹은 잉태의 원리이며, 이는 음악적 맥락을 인지하고 선율의 흐름을 예측하는 기

술을 의미하는데 이는 추상적 인지 기술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전제와 함께 Morton, Kershner와 Sigel(1990)는 청각정보처리 과정을 활성화시켜

주의집중력과 기억 향상을 위해 음악청취 훈련을 실시한 결과 아동의 산만함이 유의미하

게 감소되 었음을 보고하였다. Jackson(2003)은 ADHD 아동들을 위 한 효과적 인 음악활동의

유형을 보기 위해 초등학교에서 일하는 1116명의 음악치료사들 중 500명을 무작위로 선

정하여 ADHD 아동들을 위한 음악치료 세션 구성과정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고 판단되는

활동들을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 과잉행동 조절에는 음악과 동작이, 과제수행증진에는

악기연주가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다. 또한 Rickson & Watkins(2003)의 연구에서는 13명의 ADHD로 진단 받은 아동들을 대상으로 지시적인 음악활동과 즉흥연주 중심의 음악활동이

아동들의 충동적 행동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연구한 결과 지시적인 음악활동이 즉흥

연주 중심의 활동보다 충동적 행동이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더 나아가 Rickson(2006)

의 연구에서는 구조화된 음악활동이 공격적 행동을 감소하였음을 보고하고 있다. 더 나아

가 Vaughn(2000)은 음악인지 훈련을 통해 청각적 정보의 공간 및 시간 지각능력 (spatial

and temporal reasoning)이 다른 학습 과제에도 전이되었음을 보고 하였으며 이는 Parson,

Hodge & Fox(1998)의 연구에서 제시된 음악적 능력과 공간능력을 처리하는 피질망이 연

계되어 있다는 결과와 일치함을 보여준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양한 음악 중심의 활동이 ADHD 아동들이 가지고 있는 여

러 문제 행동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기존연구에 사용된 음악적

개입 (intervention) 의 형태를 살펴보면 모두 연주, 감상, 가창 등 통합적인 활동을 중심으로

다루었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어떠한 음악요소적 개업과 활동이 효과적이었는지에 대해

정확한 규명이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악 연주 및 학습 중심의 활동이 아닌 음악의 인지기술에 목표

를 둔 음악활동이 집중력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지 보고자 음악특기적성 프로그램과 음악

인지 프로그램으로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을 나누어 아동들의 주의집중력과 음악 인지기술

증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II.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에서는 서울 시내 초등학교 1, 2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 중 주의력 결핍과 과잉

행동을 보이는 학생들 38명을 각 반 담임교사와 학교 상담교사로부터 추천받았다. 대상

Page 5: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정연주 l 쭈의력 껄핍 및 피잉명동 문제를 기진 。I동의 주의집중력 증진율 위얀 용익인lil프로그램의 효괴 연구 .59

선정을 위해 교사는 Conners의 주의집중행동 평정척도(Abbreviated Conners Teacher Rating

Scale-Revised: ACTRS-R)를 작성하였으며 그 결과 척도의 접수가 표준편차의 2배인 16점

이상을 얻은 아동들을 대상으로 선정되었다(오경자, 이혜련, 1989; Conners, 1995). 추천받

은 학생들 중 약물치료나 다른 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아동들은 제외하였으며 모두 23

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의 동일성을 위해서 23 명의 ACTRS-R의

접수를 참고하여 먼저 높은 접수에서 낮은 점수로 나열한 후 한 아동씩 비교집단과 실험

집단 교대로 할당함으로써 II명은 비교집단으로, 12명은 실험집단으로 나누었다.

비교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유무를 보기 위해 FAIR 주의집중력 사전 검사를 중심으

로 동질성 검사를 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712). 이는 두

집단간의 동질성이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비교집단은 방과후에 제공되고 있는 특기적성

음악활동에 참여하는 아동들로 구성되었으며 실험집단에 참여하는 아동들에게는 본 연구

에서 구성한 음악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2. 실험도구

가. FAIR 주의집중력 검사

FAIR 주의집중력 검사는 “Fra따‘sfurter Aufmerle-InventaR"의 약자로 독일의 Moosbrugger

와 Ohleschlaegel이 공동 개발하였고 오현숙(2002)이 번안하였다. 이 검사는 주의력이 여러

기능적 요소로 구성된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구성되었으며 과제 수행에 필요한 주의력의

근본적인 기능 메커니즘을 측정함으로써 개인별로 상의한 주의력 프로파일의 유형을 파

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었다.

본 연구의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위해 음악 프로그램 실행 전과 후에 FAIR 주의집중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참여자들은 개별적으로 검사에 참여하였다. 검사 과제는 총 6분이

며, 진행 방법 설명 등을 포함하여 대략 20정도 개별적으로 소요되었다. 이 검사는 정해진

검사시간 동안 집중해서 작업한 양을 표시하는 ‘선택능력 지수(P)’, 주의력에 필요한 자기

통제력을 보여주는 ‘품질통제지수(Q)’, 집중이 얼마나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는지를 보여주

는 ‘연속성 지수(c)’를 측정한다. 여기서 P값은 정보처리 단계상에 필요한 작업 기능이며,

Q값은 주의력의 상의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Q값은 주의력을 지속하는 데에 필요

한 뇌 에너지 활성 수준의 지표가 되는 지수이다.

나. 음악인지기술검사(Music Cognitive Skills Test)

음악인지기술검사(MCST)는 리듬과제, 선율과제, 조성과제를 중심으로 문항이 구성되어

있으며 음악 활동 시 펼요한 소리인지력과 단기기억력을 측정하기위해 사용되었다.

MCST는 Rider( 1981)가 연구한 음악인지기숨 진단 영역을 토대로 개발된 음악 문항 과제

Page 6: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60. f열린교육연구』 찌116집 찌13호

로 구성되어 었으며 피검사자의 음의 장단과 고저에 따른 패턴 인식 및 정보처리 능력을

평가하기위해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과제 수행에 있어 기본적으로 필요한 주의집중

력 증진에 구조화된 인지기술강화 중심의 음악활동의 효과를 보는 데에 목표를 두었으므

로 리듬과제와 선율과제만을 선택하여 실시하였다.

리듬과제는 총 15문항으로 구성되어 었으며 난이도에 따라 리듬 패턴이 제시되고 패턴

이 반복성이 문항에 따라 달라지면서 피검사자가 제시된 리듬간의 유사성을 인식하고 분

류하여 기억할 수 있는 지를 검사한다. 즉, 음의 시간적 나열을 전체와 부분에 근거하여

조직화할 수 있는 능력을 검사한다.

선율과제는 공간적 특성을 가진 음들이 특정 시간의 패턴을 가지고 배열되었는지를 인

지하고 이를 기억하고 재생산하는 능력을 검사한다. 선율과제는 총 1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마다 음들이 나열되는 흐름(contour)을 인지하고 다른 리듬패턴과의 유사성

을 규명할 수 있는지를 단계적으로 측정한다. 음악인지기술검사 점수는 리듬과제와 선율

과제 수행 시 대상자가 맞게 응답한 마디수를 계산하여 산출하였다.

3. 실험설계 및 절차

본 연구는 음악인지 프로그램이 주의집중력 결핍 및 과잉행동 문제를 가진 아동들에 주

의집중력 증진을 가져오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특기적성 프로그램을 실행한 비

교집단과 음악인지 프로그램을 실행한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FAIR검사와 MCST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여 두 집단의 점수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실험은 2007년 3월 5일부터 3월 13일까지 담임교사를 통해 참여자들을 추천 받아

ACTRS-R 검사 접수를 토대로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으로 나뉘었으며 3월 19일까지 FAIR

와 MCST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3월 26일부터 7월 13일까지는 음악특기적성 프로그램

과 음악인지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7월 16일부터 27일까지 FAIR와 MCST 사후 검사를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4. 집단별 프로그램

본 연구에서는 23명의 참여자들이 비교집단(통제군)과 실험집단으로 나뉘었으며 비교집

단에는 방과 후 음악특기적성 활동들을 중심으로 프로그램화 하였고, 실험집단에서는 음

악인지기술 강화를 중심으로 한 음악인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하였다. 두 프로그램

의 차이는 음악특기적성 프로그램에서는 가창과 악기(타악기, 오카리나, 리코더)연주 방법

과 기술을 학습하는 데에 목적을 둔 반면 음악인지 프로그램에서는 악기와 음악자료를 이

용하여 음악을 인지하는 데에 필요한 기본적인 인지기술 강화를 중심으로 활동들을 구성

하였다. 각 집단에서 실행된 프로그램 내용과 세부 과제는 다음과 갇다.

Page 7: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정연주 l 쭈의력 결핍 및 피잉맹통 문제를 끼진 이동의 주의집중릭 종전& 위!인 용악인i'il프로그램의 효괴 연구 .61

가. 비교집단(통제군): 음악특기적성 프로그램

본 연구의 비교집단에서는 기존의 방과 후 음악 특기적성으로 제공되고 있는 가창반,

오카리나반, 타악기반, 리코더 수업의 내용을 통합하여 악기 연주 기술을 학습하고 강화

하는 활동들로 구성하였다. 모두 16주 수업으로 구성되었으며 , 수엽의 목적은 악기 연주

기법을 배우고 학습된 기술을 중심으로 음악을 연주할 수 있다는 것에 두고 있다. 프로그

램 내용은 다음과 같다 <표 2-1 참조>

(H 2-1) 음악특기쩍잉 프로그램 내용

주 단계별 목표 활동 내용 세부과제 ,

• 가창을 통한 선율 및 박자 개 념 • 주제별 노래의 가사토의

1-4 l 단계 학습

·선율 및 리듬 구조 이해 가창 • 노래를 구성하는 음악적 구조 및

·악절에 따라 호흡하기 개념 학습

2 단계 ·박자리듬 및 선율 리듬 학습 • 박자에 따른 다양한 리 듬 패 턴 만

5-8 • 다양한 장단과 패턴 학습 들기 연주-타악기

• 악기별 리듬패턴 연주

3 단계 • 악기별 연주패턴 학습 및 연주 • 오카리 나 음계 학습 및 동요(5음)

9-14 연주-• 오카리나와 리코더 합주 ~2f'-

취주악기 • 리코더 배우기 ·리코더 음계 학습 및 동요(5음)

리코더 음계 학습 및 동요 연주 hi그4-;z「

4 단계 • 가창, 타악기, 오카리나, 리코더

15-16 합주-합주 ·악기별 선율 및 화음 구성

재창작하기 • 목소리, 선율악기, 타악기 의 조화 • 파E 별 연주패턴 학습 및 합주

경험

나. 설혐집단: 음악인지 프로그랭

음악인지 프로그램은 소리의 공간적, 시간적 특성을 구조화하고 그 정보에 따라 소리를

분류화(그룹핑)하는 기술과 이러한 소리정보처리 능력을 강화하는 데에 목표를 두고 구성

되었다. Rider(1 981 )의 연구에서 사용된 음악인지기술 진단 영역을 토대로 리듬 및 선율

과제를 단계적으로 구성한 항목들을 개발하였다 즉, 음악인지 프로그램은 특정 악기를

연주하는 활동이나 연구 기법을 배우는 연주 기술과는 달리 다양한 소리(음)들로 구성된

음악의 전경과 배경 구조를 인지하고 이를 구성하는 음의 시간적 구조(리듬) 그리고 공간

적 구조(선율) 패턴을 이해하고 조직화하는 인지 기능을 강화하는 데에 목표를 둔 활동으

Page 8: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62. 옐린교육언구』 찌116집 찌13호

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음악인지 프로그램은 방과 후 학교에 적합하게 총 16회기에 실시될 수 있는 활

동들로 프로그램화 하였다. 모두 4단계로 구성되었으며 각 단계는 4주 동안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 실시된 프로그랩은 4개월간 주 2회 실시되었으며 세션은 45분으로 구성되었다.

주 활동으로 제시된 음악과제는 발달적으로 8-10세의 연령에 적합한 음악 과제를 구성하

였으며 구체적으로는 리듬 및 선율 구성과 전개의 난이도, 그리고 과제 수행 시간을 단계

적으로 체계화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1-4

5-8

단계벌목표

〈묘 2-2> 음악인미프로그램 내용

활동 내용

• 음의 시간적 특성(음가)

인식하기

• 음의 공간적 특성(음고)

인식하기

세부과제

• 음의 물리적 속성을 이해하고 음고를

시각화함

• 음고의 청각적, 시각적 감각 통합 강화

• 음의 길이를 이해하고 시간적 구조를

제시함

• 음의 시간적 패 턴 인 식 및 분류 과제

수행

l 단계 • 리듬과제 1: 단순 리듬을

제시된 리듬패턴 지속적으로 연주하기

• 음악의 기본박(grounding beat)을 연주함

• 음악의 하위분할된 박(subdivided beat)

을 연주함 분류화 및

리듬패턴의 • 음악에 맞추어 제시된 두 가지 리듬 유사성 인식 • 리듬과제 2: 두 가지 패턴 패턴을 기억하여 교대로 연주함 단기기억력 향상 을 지시에 따라 연주하기 • 음악에 맞추어 제시된 두 가지의 리듬

2 단계

선율흐름 인식

선율패턴의

반복성과

패턴을 하위분할하여 교대로 연주합

• 음악에 맞추어 하위분할된 패턴 외 다

른 리듬패턴을 연주합

• 리듬과제 3: 네 가지 패턴 • 음악에 맞추어 네 가지 패턴을 교대로

을 지시에 따라 연주하기 지시에 따라 연주함

• 선율의 공간적 배열과 시

간적 배열 인식하기

• 패턴을 시간적 특성에 따라 배열하여

전개적으로 연주함

.5개음 선율패턴

- 순차진행 패턴

.8개음 선율패턴 인식- 도약진행 패턴

Page 9: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정연주 l 주의력 멸엽 및 괴잉맹동 문제를 기진 이동의 주의집중력 흥진율 위얀 옴익인1i1프로그램의 효피 언구 .63

·음악에서의 주선융 인식 • 선융 인식 및 기억

하고 변주된 선율을 규명 - 변주선율I 인식 및 연주

유사성 구별력 하기 - 변주선율2 인식 및 연주

강화 • 선율의 구조와 패턴 인지, - 선율패턴의 caIl & response 형태의

확장하기 조성적 관계 인식하기

- Response 부분 창작 및 연주

3 단계 ·음악적 지시 따르기 • 지시에 따라 악기를 교대로 연주하기

수행력 증진: 수행 • 연주시간 증가

9-12 시간 및 완성도 ·리듬 패턴 연주 변화 • 음악에 맞추어 연주 리듬 패턴, 템포 }

증진,충동 조절 및 ·제시된 빠르기와 강도에 및 강도조절

통제력 증진 따라 변주하기 • 북연주의 템포 및 강도 조절하기

·집중시간 증진: • 주어진 3~5악기에 따른 연주 패턴 교

-ABA 형식에 근거한 연주 대로 연주하기

4 단계 -ABACA 형식에 근거한 연주 • 변주선율 연주 및 형 식 에 따라 연주하 13-16 복합과제 수행 력 -ABACADA 형식에 근거한

'i'‘그4-:1「: 기 증진 • 복합적 음악 형식 및 과· 선율의 길이 증진 및 리듬구조(하위분 제 수행할 및 부점) 강화하여 연주하기

m.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들의 주의집중력에 음악인지 프로그램 실행 전과 후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지를 보기 위해 FAIR 집중력 검사척도와 음악인지기술검사(MCSη 척도를

실시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두 척도의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

였으며, 프로그램 실행 이후 각 척도의 사전 사후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분석한 후

집단 간 평균차의 유의성을 검증하기위해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고 사후검사 접

수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Page 10: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64. 멜린교육연구』 찌116집 찌13호

N. 결과 및 논의

1. FAIR 집중력 검사

본 연구에서는 음악인지 프로그램이 주의집중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보고자

FAIR 주의집중력 검사를 실험처치 전과 후에 실시하였다. FAIR 집중력 검사를 통해 세

가지 하위항목을 살펴보았는데 이는 정해진 검사시간 동안 집중해서 작업한 양을 표시하

는 ‘선태능력 지수(P)’, 주의력에 필요한 자기통제력을 보여주는 ‘질통제지수(Q)’ , 집중이

얼마나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는지를 보여주는 ‘연속성 지수(c)’ 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의 집단 간 차이를 고려하여 사후검사 접수를 공변인으로 설

정하여 사전평균 접수와 공변인에 의해 교정된 사후 평균 점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FAlR검사의 선택능력지수인 P값은 비교집단에서는 99.81 에서 113 .7로 증가한 반면 실험집

단에서는 118.08에서 138.1로 증가하였다. 질통제지수 Q값의 경우 비교집단에서는 .63에서

.66로, 실험집단에서는 .59에서 .75로 변화하였다. 연속성 지수인 C값에서는 비교집단이

76.36에서 78.36으로 증가한 반면 실험 집단에서는 95.55에서 99.55로 증가하였다<표 4-1

참조>.

〈표 4-1) FAIR우의입증력 검마 P, Q, C 앙목의 ̂ t먼 마무 평균괴 교면평균

사전검사 사후검사 Adi. M

M SD M SD M SE

통제 99.81 45.51 103.81 48.68 113.7 6.1 P

실험 118.08 59.7 147.03 66.40 138.1 5.9

통제 .63 .28 .66 .30 .66 .03 Q

실험 .59 .27 75 .32 .75 .058

통제 76.36 45.92 77.54 39.30 78.36 3.01 C

실험 95.55 54.26 116.95 71.30 99.55 6.98

통제 집단과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 접수를 공변량 분석한 결과, 선택능력지수인 P

값은 p<.05 수준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반면 질통제지수인 Q와 연속성지수

C값에서는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각 하위 항목에 대한 교정된 사후검사가 상승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표 4-2 참조>

Page 11: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정연주 l 주의릭 멸핍 및 과잉앵통 문찌|를 끼진 。I동의 주의집중릭 종전& 위민 용익인1i1프로그램의 a과 연구 .65

〈묘 4-2> 쭈의핍증력 검마에 대안 공변랑 분엑

영역 Source SS df MS F p

공변인 63975 .6 63975.6 155.26 .000

P 집단 33 13.33 33 13.33 8.0 .0 11 *

오차 8240.90 20 4 12.04

공변인 1.639 1.639 65.73 .000

Q 집단 089 .089 3.5 074

오차 499 20 025

공변인 5903 1.87 59031 .87 95.62 .000

C 집단 2533.18 2533.18 4.10 .056

오차 12347.18 20 617.35

* p<.05

2. 음악인지기술검사

음악인지기술검사는 실험처치 전후에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동시에 실시되었으며 실

시되었다. 검사는 개별적으로 시행되었으며 사전사후 검사조건을 동일하게 제시하였다.

먼저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의 사전평균 접수와 공변인에 의해 교정된 평균 접수를 보면 리

듬 과제에서는 8.63에서 1 1.03으로 증가한 반면 실험집단에서는 10 .2 1 에서 13 .50으로 증가

하였다. 선율과제에서는 비교집단의 사전평균이 5 .72에서 교정된 평균이 5 .79로 나타났으

며 실험집단의 사전평균은 6.00, 교정된 사후평균은 7 .25로 나타났다<표4-3참조>.

〈표 4- 3> 음악인미끼올 f\ t먼마무 럼마의 명균괴 쿄면명균

사전검사 사후검사 Adi. M

M SD M SD M SE

통제 8.63 2.33 9.54 3.26 11.03 .52 리듬

실험 10.21 5.1 7 14.91 4.29. 13 .5 .71

통제 5.72 1.6 5.71 1.97 5.79 .688 선율

실험 6.00 1.47 7.33 2.77 7.25 .658

참여자들의 음악인지기술과 주의집중력 변화에 대해 사전검사 접수와 공변인으로 설정

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한 결과 리듬과제에서 p<. 05수준에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

Page 12: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66. 멸린교육연구J 1i1116집 찌13호

였으며 선율과제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표 4-4> 참조.

〈표 4-4) 음악인미기올 럼야의 리듬괴메 펌우에 대인 공변량 분엑

영역 Source SS dl MS F p

공변인 198.83 198.88 35.88 .000

리듬 집단 29 .5 1 29.5 5.3 .032*

오차 110.81 20

공변인 20.03 20.03 3.86 .63

선율 집단 12.06 12.06 2.3 .143

오차 103.63 20 5.1

* p<.05

본 연구에서는 음악활동이 소리 정보를 지각하고 인지하는 데에 필요한 주의력 중에서

도 특별히 소리 정보의 속성을 중심으로 전경과 배경을 분리할 수 있는 선택적 주의력을

강화한다는 여 러 선행 연구들의 결과(Dr려æ 1998, Handel, 1993, Le따피 & Jackendoff, 1983)

를 토대로 인지기술 강화 중심의 음악인지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주의집중력과 과제수행

력에 변화를 살펴보았다.

FAIR 집중력 검사를 통해 주의력의 하위 기능인 선택적 주의력 (P), 자기통제력(Q), 그리

고 주의력의 연속성(C)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음악인지 프로그램 실행이후 실험집단과 비

교집단 간에 선택능력지수인 P값에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 외 과제에 필요한 자기

통제력(Q 지수)과 집중력의 연속성(C 값)에는 사후검사 접수가 증가하였지만 비교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유의미한 변화를 보인 선택능력지수는 정보처리 과정에

서 매우 중요한 기능이며 음악 활동이 소리의 전경과 배경을 구분하여 의미 있는 정보들

을 묶어서 처리하게 하는 선태적 집중력을 향상시킨다는 기존의 연구들과 일치한다{정현

주, 2005; Sloboda, 1985). 음악적 작업은 소리의 다면적인 측면을 지각하고 이를 토대로

소리의 여러 가지 구조와 전개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선택적 주의력이 요구된다. 조성 중

심의 활동은 화음이나 화성과 같이 음들이 동시에 제시되지만 각 선율라인을 지각하고 인

지할 수 있어야 활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는 소리의 전경과 배경을 구분하는 선택적

집중력이 요구된다. 비교집단에 실행된 악기 연주를 중심으로 한 음악활동보다는 실험집

단에 실시된 음악인지기술 강화 중심의 활동들이 이러한 선택적 주의력을 강화하였고 이

로 인해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도출하였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음악인지기술검사에서는 선율 과제에서는 사후 점수가 약간 증가한 반면 리듬 과제에

서는 프로그램 실시 이후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 검사에서의 증가된 접수

는 곧 수행된 리듬 과제의 양과 질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하는데 ,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Page 13: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정연쭈 l 쭈의력 결핍 및 과잉맹동 문쩨률 't진 。I동의 주의집중력 증진융 위얀 용익인7i1프로그램의 g피 연구 .67

음악이 시간에 근거한 예술로서 시작과 끝이 명확하게 구조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적 특성은 과제 수행 시 참여자가 활동을 완성하였을 시에 성취감을 경험하게 하므로

과제 완성 에 대 한 동기 를 강화하는 데 에 기 여 한다(Jackson, 2003; Rickson & Watkins,

2006).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율과제에서는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은 선

율과제가 리듬 과제보다 소리의 공간적 특성을 인지해야 하는 한층 높은 추상적 지각력이

요구됨으로 리듬 중심의 과제보다는 난이도가 높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았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 보여 진 결과는 기존의 음악과 학습 영역에서 증가하고 있는 여

러 연구 결과들이 제안한 결론과 갇이 음악을 통해 청각적 정보의 공간 및 시간 지각능력

(spatial and temporal reasoning)이 강화될 수 있다는 점과 이러한 능력은 비음악적 과제를

수행할 때 필요한 기본적인 주의력 및 선택적 집중력 강화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기

존 연구들의 결과틀을 지지한다(Raucher, Shaw & Ky, 1993; 1995; Rauscher, et. al, 1997;

Rider, 1981; Vaughn, 2000). 또한 이러한 결과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들에게 음

악과 같은 비학습적인(non-academic) 콘텐츠를 중심으로 인지기술강화를 위해 체계화된 프

로그램을 실시하였을 때 학습에 관련된 기본적인 인지기술, 주의력, 과제 수행력 등과 같

은 영역에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보여진 결과와 시사점을 토대로 추후 연구에는 이러한 음악인지기술을 학

습 내용 빛 과제에 전이 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전략 개발을 다루는 것을 제안한다. 본 연

구에서는 연구 방법에서의 몇 가지 제한점이 있었으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첫째, 주의력 결핍 및 과영행동의 정도와 그 유형에 따라 개인차가

있으므로 집단 내 행동적 문제나 이로 인한 학습관련 특성에 대한 동질성을 확보하는 데

에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실험집단의 참여자들이 하나 이상의 집단으로 나뉘어 프

로그램에 참여할 시 연구 환경 및 공간적 조건 등의 일관성 유지에도 제한점이 었다. 추

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제한점을 고려하여 보다 더 효율적인 연구 환경과 절차를

고안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E-mail 정 현주([email protected])

참고문헌

김도연 (2003). ADHD 아동에 대한 인지행동놀이치료, 부모훈련 병합치료의 효과. 박사학

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김동일. (2007 ), ADHD 학교상담. 서울: 학지사 출판사

권명옥, 김정일, 정옥남 (2001) . 청각통합훈련이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 미치는

Page 14: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68. 멜린교육언구』 찌116집 찌13호

효과. Joumal of Emotional Disturbances & Leaming Di닐:abjJities. 17( 1). 231 -255. 김미애, 홍창희 (1999 ), 약물치료 중인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아동에 대한 인지-행동 치료의

효과. 한국임상심리학회 하계학술대회 발표 논문

박난숙 (1992 ), Methylphenidate 치료가 주의력 결핍 과잉활동아의 인지, 행동 및 사회, 학습,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박난숙, 오경자, 홍난희 (1995), 주의력결핍 과잉 활동 장애에 대한 약물 치료와 부모 훈련을

통한 행동 치료의 효과. 한국심 리 학회지. 14 ( 1) .1 -14. 신민섭, 오경자, 홍강의 (1995).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인지적 특성. 소아청소년정

신의 학. l( 1). 55-64. 오경자, 이혜련 (1989). ADHD 평가도구로서의 단축형 Conners 평가척도연구. 한국심리학회

지 : 임상. 8 (1). 135-142. 오은영 (2003 ), ADHD 남자아동들에게서 Methylyphenidate 치료 전후에 Tc-99m ECD

Sped로 측정된 국소뇌혈류 이상과 인지적 특성벼화와의 연관관계. 생물치료정신의

학. 9(2). 오현숙 (2002 ), FAIR 주의집중력 검사. 서울: 중앙적성연구소 장은진, 신민섭(1996).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아와 학습장애아의 인지적 결함에 대한 비

교연구. 정신병리학. 5 (1). 46-62 정미라 (2006). 음악치료가 ADHD 유아의 주의집중력과 자가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

육. 15(2). 241-255 정영숙, 이상복 정보인, 홍강의 (2001). 장애아동 빈몬유형과 복지정책.2001년 한국사회복

지학회 춘계학술대회. 318-335. 정현주 (2005 ), 음악치료학의 이해와 적용.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조수철 (2001 ), 주의력 결핍 • 과영운동장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허정식 (2004 ), 프로그램화된 신체운동이 주의력결핍과잉행동 장애 아동의 자기개념, 주의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채육교육학회지. 9(2). 187-198 Abikoff. H. (1991). Cognitive training in ADHD Children. Joumal of Leaming Disability.

24(4). 205-209

Amen. D .. G (2001). Images of attention deficit disorder. Brain Atlas at BrainPlace.com Available: http://www.brainplace.com/bp/atlas/ch12.asp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Committee on Quality Improvement. Subcommittee on Attention Defict/Hyperadivity Disorder. (2000 ), Diagnosis and evaluation of the child with attention defect/ hyperadivity disorder. Pediatrics. 105. 1158-117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4 ),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4th Eds-Test Revision). Washington. DC: Author.

Barkley. R (1998 ), Attention-Deficit Hyperadive Disorder. New York: The Guilford Press. Baer. R.. & Nietzel. M. T. (1 991). Cognitive and behavioral treatment of impulsivity in

children: A meta analytic review of the outcome literature. Joumal of Clinical ChI1d Psychology. 20. 400-412.

Becker. M (1998). The effects of exercise versus methyphenidate on attention and behavior

Page 15: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정연주 l 주의력 결핍 및 피잉맹동 문제를 '1진 。I동의 주의집중력 증진을 위얀 옴익인7i1프로그램의 효괴 연구 .69

in children with ADHD.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Sciences & Engineering. 58 (12-B).

Conners. C. K (1995). Conners’ Continuous Performance Test Computer Program 3.0 user’s

manuaL North Tonawanda. NY: MHS.

Cripe. F. F. (1986). Rock music as therapy for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disorder.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Music Therapy. 23. 30-37.

Drake. C. (1998 ), Psychological processes involved in the temporal organization of complex auditory sequences: Universal and acquired processes. Music Perception. 16. 11-16

Dupaul. G .. Stoner. G. (2003 ), ADHD in schools: Assessment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he Guildford Press

Graziano. A.. Peterson. M. & Shaw. G. (1999). Enhanced learning of proportional mathematics through music training and spatiaHemporal reasoning. Neurologi떠l

21(2). 139-152.

Handel. S. (1993), The effect of tempo and tone duration on rhythm discrimination. Perception & Psychophysics 7. 370-382

Henk. A & Whalen. C (1998) Hyperactivity and attention deficits. American Psychologist. 44 216-223.

Hetland. L (2000). Listening to music enhances spatiaHemporal reasoning: Evidence for

the Mozart effed. Journal of Aesthetic Education. 34. 05-148

Jackson. N. A. (2003). A survey of music therapy methods and their role in the treatment of early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λlusic Therapy. XL. 4,

302-323.

Kloren. R. C∞ns. H.. & Borgstedt. A. (1987). Effeds of methyphenidate of adolescents with childhood history of attention deficit disorder: Clinical findings.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ChJ1d and Adolescent Psychiatry. 26. 363-367

Lerdahl. F & Jackendoff. R. (1983). A generative theory of tonal music. Cambridge. MA:

The MIT Press Lipscomb. S. (1996 ), The cognitive organization of musical sound. In Handbook of Music

Psychology (Ed. D Hodges). IMR Press

Madsen. C. K (1981). Music therapy: a behavioral guide for the mentally retarded. Washington: NAMT.

McCoey. E .. EDupaul. G .. Eckert. T. Vanbrakel, J & Volpe. R. (2002 ), Early intervention for preschool-aged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1α 14-28. Montello. L.. Coons. Edgar (1998). Effeds of active versus passive group music therapy

on preadolescent with emotional, learning and behavioral disorders. Journal of Music Therapy. 35( 1). 49-67.

Morton. L.. Kershner. J.. & Siegel, L (1990). The potential for therapeutic appl

Page 16: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70. 멸린교육연구』 찌116집 찌13호

195-206

Parson. L. Hodges. D .. & Fox. P. (1998). “ Neural basis of the comprehension on musical

harmony. melody. and rhythm". Proceedings of the Cognitive Neuroscience Society

Meeting. San Francisco. California. April 1998.

Pior. M. Sanson. A.. Freethy. C .. Geffen. G. (1985). Auditory attentional abi1ities in

hyperactive childre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 Psychiatry. 26(2) 289-304

Pratt. R. R.. Abel. H. H .. & Skidmore. J. (1995). The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with background music on EEG patterns of ADHD children. lnternational Journal of Arts Medicine. 4. 24-31.

Rauscher. F .. Shaw. G .. & Ky. K. (1993). Music and spatial task performance. Nature. 365. 611

Rauscher. F .. Shaw. G .. & Ky. K. (1995). Listening to Mozart enhances spetial temporal

reasoning: Towards a neurological basis. Neuroscience Letters. 185(1). 44-47

Rauscher. F .. Shaw. G .. & Ky. K. (1997). Music training causes long-term enhancement

of preschool children's spatial-temporal reasoning. Neurological Research. 19. 2-8

Rickson. D. & Watkins. W. (2003). Music therapy to promote prosocial behaviors in

aggressive adolescent boys. Journal 01 Music Therapy. 40. 283-301 Rickson. D. (2006). instructional and improvisational models of music therapy with

adolescents who hav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Journal of Music Therapy. 43( 1). 39-53

Rider. M (1981). The assessment of cognitive functioning level through musical perception.

Journal of Music Therapy. 18(3) 110-119

Smithman-Brown. V .. & Church. R. P. (1996). Mandala drawing: Faci1itating reative

growth in children with ADD or ADHD. Art Therapy: Journal of the American Art Therapy Association. 13. 252-262

Shillingford. M. Lambie. G .. & Walter. S. (2007). An integrative. cognitive-behavioral.

systemic approach to working with students diagnosed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 Profes외~onal School Counseling. 11(2). 105-113

Sloboda. J. (1985). Musical mind. Oxford University Press.

Vaughn. K (2000) Music and mathematics: modest support for the relationship. Journal of Aesthetic Education. 34(3/4). 149-168

Whalen. C. K (1989). Attention deficit in hyperactivity disorder. In T. H. Ollendick &

Herson (EdsJ. Handbook of ch11dren psychology(2nd Ed .. pp. 131-169). New York:

Plenim Press.

• 접수일 2008년 10월 7일 / 수정 일 2008년 11월 13일 / 게재 확정 일 2008년 11월 24일

• 교신저자 : 정현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 부교수, 서울특별시 서대문

구 대 현동 11-1. 02-3277-3562

Page 17: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정연주 l 주의력 갤밍 및 피잉앵동 문제를 끼진 이통의 주의집중력 증진율 위얀 옴악인1i1프로그램의 g과 연구 .71

Abstract

The effect of Music Cognitive Program on Attention Span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e Behavior

Hyun Ju Chong Ewha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gnitive music program on increase of attention span and task engagement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and hyperactive behavior. A total of 23 children participated: 11 children in control group and 12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 The cognitive music program was formulated for 16 sessions in four stages, and the program was provided for 16 weeks.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regular after-school music program, and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developed music cognitive program with emphasis on enhancing cognitive ski11s in music task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attention span, F AIR test was adrniniste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bot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task engagement, Music Cognitive Ski1l Test was adrninistered and number of measures in rhythm and melody tasks were record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ce difference in selective attention(P) score in F AIR test. For quality control(Q) scores and continuation(C) score, there were some increase in the post-test scores for experimental group, but did not show any significanc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For Music Cognitive Ski1l T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nly in the rhythm task. Such results support that of the existing studies that structured music activities and tasks facilitate increase in attention spa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skil1s required in order to process musical information.

Key words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e Disorder(ADHD), Cognitive Music Program, Attention Span, Task Engagement, Music Gestalt, Music Information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