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4
조사연구 2002-6 (1)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관간 연계강화방안 - 연계영향요인 및 연계경험을 중심으로 - 이 금 진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황 태 연 (용인정신병원 정신재활센터장)

황 태 연 용인정신병원 정신재활센터장...조사연구 2002-6 (1)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관간 연계강화방안 - 연계영향요인 및 연계경험을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조사연구 2002-6 (1)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간 연계강화방안

- 연계 향요인 연계경험을 심으로 -

연 구 자: 이 진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원)

황 태 연 (용인정신병원 정신재활센터장)

머 리 말

우리 공단에서는, '장애인 복지발 5개년 계획‘에 따라 1차 장애범주 확

상인 신규장애유형에 한 고용정책을 수립하고, 이들을 고용시장으로 유

도하기 한 다양한 직업재활 연구를 해오고 있습니다.

신규로 유입된 장애유형 정신장애인은 질병의 만성화 특성으로 인해,

질병과 장애가 공존하는 상태에서 계속되는 치료비용의 경제 부담과 실직

으로 인한 경제 어려움이라는 이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국의 정신장애인은 약 7만으로 추정되며, 상당수는 사회화에

요한 시기인 청년기에 병이 시작되어 삶의 의욕을 잃고 가족 등 주변 사람

들에게는 심리 ․경제 부담을 주고 있는 실정입니다.

정신장애인들은 다른 장애유형에 비하여 취업률이 낮게 나타나고 있으며,

사회 편견으로 직업재활의 어려움이 많고, 취업에 성공했을지라도 직업유

지가 어려워 각계의 다각 인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 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정신장

애인 서비스연속체 강화를 하여, 정신장애인을 상으로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들을 탐색하고, 이들간 연계경험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연계

요인을 분석하여 연계강화방안을 모색하고자 하 습니다.

향후 정신장애인에 한 지속 인 연구를 통하여 장애와 실직으로 신체

․심리 ․경제 어려움을 겪는 많은 정신장애인들이 장애를 극복하고,

심리 안녕과 취업을 통한 경제 안정 속에서, 삶의 질이 향상되기를 바랍

니다.

끝으로, 조사에 조해 주신 련기 담당자여러분, 연구에 도움을 주신

공동연구자와 자문 원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2002년 12월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고 용 개 발 원

원 장 김 선 규

- i -

- 목 차 -

제1장 서 론 ··························································································1

제1 연구필요성 목 ········································································1

제2 연구내용 ··························································································3

제3 연구방법 ··························································································4

제2장 이론 배경 ···············································································8

제1 정신장애인 개념과 직업재활서비스 고찰 ······································8

1. 정신장애인의 개념 ······························································8

2.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 개념정의 ················································13

3.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서비스 ·······················································15

제2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수행기 ····················································20

1.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22

2. 복건복지부 정신보건과 달체계내의 직업재활 수행기 ··············26

3. 복지부 장애인정책과․재활지원과 달체계상의 직업재활 수행기 ······32

제3 연계개념과 선행연구 검토 ···························································36

1. 연계 개념정리 ············································································36

2. 기 간 연계에 한 선행연구 ·····················································38

제4 외국의 연계사례 ···········································································42

1. 미국- "Wisconsin Pathway to Independence" 기반 연계/조정사례 ·······················42

2. 일본- 장애자고용지원센터를 통한 조정/연계 사례 ···········································47

3. 독일- 정신보건 앙센터(Zentralinstitute fuer seelische Gesundheit)를 통한 조정/연계 사례 ···· 57

- ii -

제3장 연계실태 요구분석 ····························································59

제1 연계실태 ························································································59

1. 조사 상자 상기 일반 특성 ········································59

2. 연계의식 태도 ·········································································65

3. 연계실태 ·······················································································72

제2 연계요구분석 ·················································································79

1. 련기 과 연계시 방해 요소 ·····················································79

2. 연계 강화에 한 의견 ································································86

제4장 연계강화 측요인 분석 ·························································93

제1 연계 측요인 분석틀 ····································································93

1. 변수정의 ·····················································································93

2. 연구 모형 가설 ·····································································96

제2 연계상황 산 도 분석 ··································································99

제3 연계 측요인 검증 ··································································108

1. 상 계분석 ············································································108

2. 연계시도에 향을 주는 측요인 검증 ···································109

3. 연계강화에 향을 주는 측요인 검증 ···································113

제5장 연계경험 연계환경분석 ···················································116

제1 지역기반 연계경험분석 ·······························································116

1. 연구참여자의 배경 ·····································································116

2. 근거자료의 범주화 ·····································································117

3. 연계경험에 한 근거이론 ·························································124

제2 연계자원환경 고찰 ······································································126

1. 련법 ·························································································126

- iii -

2. 정신보건 산 ··············································································136

3. 정보구축화 ················································································138

제6장 연계강화 방안 ······································································143

제1 단계별 연계강화방안 ·································································143

1. 1단계 : 의사소통과 조강화방안 ···························································144

2. 2단계 : 조정(coordination)방안 ······························································146

3. 3단계 : 향후의 력(Collaboration)과 동맹(Confederation) 강화방안 ·····················151

제2 차원별 연계강화방안 ··································································153

1. 개인차원 ·····················································································153

2. 조직차원 ·····················································································156

3. 환경차원 ·····················································································162

제7장 결론 제언 ··········································································164

※ 참 고 문 헌 ·················································································172

※ 부 록 ··················································································179

- iv -

- 표 목 차 -

<표 I-2-1> 설문지 내용 ··················································································5

<표 II-1-1> 정신장애인 수별 내용 ···························································12

<표 II-1-2>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수행기 분류 ·······································20

<표 II-1-3>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달체계 ···············································21

<표 II-1-4> 공단 체조직도 ········································································23

<표 II-1-5> 고용개발원 조직도 ····································································24

<표 II-1-6> 직업 문학교와 지사 조직도 ····················································24

<표 II-1-7> 정신보건센터 정신보건사업 조직도 ······································27

<표 II-1-8> 사회복귀시설 조직도 ·································································30

<표 II-1-9> 장애인복지 조직도 ·································································33

<표 II-2-1> 기 간 상호작용 5단계 ·····························································37

<표 III-1-1> 조사 상자의 일반 특성 ·····················································60

<표 III-1-2> 조사 상기 의 일반 특성 I ················································62

<표 III-1-3> 조사 상기 의 일반 특성 II ···············································63

<표 III-1-4> 조사 상기 의 일반 특성 III ·············································63

<표 III-1-5> 기 별 정신장애인에게 제공 인 직업재활서비스 내용 ········64

<표 III-1-6> 연계필요성 인지 ·······································································66

<표 III-1-7> 기 별 연계필요성 인지 ··························································66

<표 III-1-8> 타기 자원 요성 인지 ··························································66

<표 III-1-9> 기 별 타기 자원 요성 인지 ·············································66

<표 III-1-10> 련기 사업내용 인지 ························································67

<표 III-1-11> 련기 담당자 인지여부 ·····················································67

<표 III-1-12> 공단 담당자 인지여부 ····························································68

<표 III-1-13> 장애인복지 담당자 인지여부 ·············································68

<표 III-1-14> 사회복귀시설 담당자 인지여부 ·············································69

<표 III-1-15> 정신보건센터 담당자 인지여부 ·············································69

<표 III-1-16> 기 별 정신장애인 이해를 한 교육 경험 유무 ·················71

- v -

<표 III-1-17> 지난 1년 간 연계경험 유무 ···················································72

<표 III-1-18> 공단과 연계경험 유무 ····························································73

<표 III-1-19> 장애인복지 과 연계경험 유무 ·············································73

<표 III-1-20> 사회복귀시설과 연계경험 유무 ·············································74

<표 III-1-21> 정신보건센터와 연계경험 유무 ·············································74

<표 III-1-22> 련기 과의 연계형태 ··························································76

<표 III-1-23> 기 별 련기 과의 연계형태 ·············································77

<표 III-1-24> 연계횟수 ·················································································77

<표 III-1-25> 련기 별 사례의뢰방식 ······················································78

<표 III-1-26> 기 유형별 사례의뢰방식 ······················································78

<표 III-1-27> 사례의뢰 후 사후연락 ··························································78

<표 III-1-28> 련기 연계정도 ·······························································79

<표 III-2-1> 련기 과 연계시 방해요소 ·················································80

<표 III-2-2> 공단과 연계시 방해요소 ························································81

<표 III-2-3> 장애인복지 과 연계시 방해요소 ············································82

<표 III-2-4> 사회복귀시설과 연계시 방해요소 ············································83

<표 III-2-5> 정신보건센터와 연계시 방해요소 ············································84

<표 III-2-6> 연계강화를 해 변화될 부분 ·················································86

<표 III-2-7> 향후 기 별 담당업무 ······························································87

<표 III-2-8> 공단의 향후 담당업무 ······························································89

<표 III-2-9> 장애인복지 의 향후 담당업무 ···············································90

<표 III-2-10> 사회복귀시설의 향후 담당업무 ·············································91

<표 III-2-11> 정신보건센터의 향후 담당업무 ·············································92

<표 IV-3-2> 연계시도에 향을 미치는 개인요인검증 ···························110

<표 IV-3-3> 연계시도에 향을 미치는 조직요인검증 ···························111

<표 IV-3-4> 연계시도에 향을 미치는 종합요인검증 ·····························112

<표 IV-3-5> 주 연계정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검증 ························114

<표 IV-3-6> 객 연계정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검증 ························115

<표 V-1-1> 력추구유형 분류 ··································································125

<표 V-2-1> 연계 련 제한 법조항 ·························································134

- vi -

<표 V-2-2> 정신질환 리 산개요 ···························································137

<표 VI-1-1> 기 별 향후 담당서비스지지 항목 ······································147

<표 VI-1-2> 각 기 향후 필수 인 담당서비스 정리 ·····························148

<표 VI-2-1> 연계 력시 제조건 ·································································154

- 그림목차 -

<그림 I-2-1> 연구개념도 ················································································4

<그림 III-1-1> 기 별 정신장애인에게 제공 인 직업재활서비스 ·············65

<그림 III-1-2> 기 별 담당자인지 도식화 ···················································70

<그림 III-1-3> 기 별 정신장애인 이해를 한 교육경험 유무 ·················71

<그림 III-1-4> 연계경험 유무 ·······································································72

<그림 III-1-5> 기 별 련기 과 연계여부 도식화 ···································75

<그림 III-2-1> 기 별 련기 과 연계시 방해요소 도식화 ······················85

<그림 III-2-2> 향후 기 별 담당업무 I ·······················································88

<그림 III-2-3> 향후 기 별 담당업무 II ······················································88

<그림 IV-1-1> 연구모형 ···············································································96

<그림 IV-2-1> 변수 롯 I ···········································································99

<그림 IV-2-2> 변수 롯 II ·········································································100

<그림 IV-2-3> 기 유형별 개체 롯 ··························································100

<그림 IV-2-4> 지역별 개체 롯 ·································································101

<그림 IV-2-5> 직업재활 담인력 유무에 따른 개체 롯 ························101

<그림 IV-2-6> 직업재활 산배정 유무에 따른 개체 롯 ························102

<그림 IV-2-7> 자원의존도에 따른 개체 롯 ·············································102

<그림 IV-2-8> 성별에 따른 개체 롯 ························································103

<그림 IV-2-9> 연령에 따른 개체 롯 ························································103

<그림 IV-2-10> 결혼여부에 따른 개체 롯 ···············································104

<그림 IV-2-11> 교육수 에 따른 개체 롯 ···············································104

- vii -

<그림 IV-2-12> 경력에 따른 개체 롯 ······················································105

<그림 IV-2-13> 근무지경력에 따른 개체 롯 ········································105

<그림 IV-2-14> 교육연수경험 유무에 따른 개체 롯 ·······························106

<그림 IV-2-15> 연계필요성 인지정도에 따른 개체 롯 ···························106

<그림 IV-2-16> 련기 사업인지정도에 따른 개체 롯 ························107

<그림 V-1-1>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간 력추구 경험 개념도 ··· 125

<그림 V-2-1> 고용 산망 시스템 구성도 ··················································140

<그림 VI-1-1> 각기 향후 필수 인 담당서비스 정리 ···························149

- 1 -

제1장 서 론

제1 연구필요성 목

정신장애인에게 있어 직업재활의 의미는 다양하다. 직업재활은 정신장애인의

정신재활(Psychiatric Rehabilitation)에 가장 요한 지표이며, 가치 있는 사회

역할(Social Role)을 찾는 과정이며, 삶의 질(Quility of Life)에 향을 미치는 요

한 요소이다. 즉, 직업재활은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Social Integration)을 이끄는

가장 큰 요건이다.

우리나라의 정신장애인은 약 7만명으로 추정되며, 경제활동에 참가할 수 있는

15세 이상의 인구는 5만명으로 나타났다(변용찬 외, 2001). 정신장애인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26.8%이고 이 실업률은 62.6%로, 다른 장애유형과 비교하여 정신장애

인의 실업률이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정신장애인의 취업이 다른 장

애유형보다 어렵다는 것을 나타내며, 정신장애인에게 있어 직업재활의 지원이 더

욱 필요함을 의미한다. 한 정신장애인은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활법」제3조

2호에 직업재활시 지원을 우선시 한 증장애인이다. 따라서 정신장애인에 한

극 인 직업재활지원이 필요하다.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의 성공 측요인은 개인 요인과 사회환경 요인으

로 크게 나 수 있다. 개인 성공 측요인은 성별, 결혼상태, 연령, 교육수 ,

병 직업력 등(Weiner,1964; Buell& Antony, 1973; Strauss, 1989)의 인구학 특성

과 개인자존감, 동기, 스트 스 처능력 등(Strauss, 1989; Jacobs,1988; Antony et

al, 1984)의 심리 요인, 진단명, 정신 증상 등(Buell& Antony, 1973; Arns&

Linrey,1995) 손상측면 장애요인이 있다. 사회환경 측요인은 사회 지지, 직

업재활 로그램 참여, 사례 리 등(Vandergoot,1978; Jacobs, 1988)으로 나타났다.

최근 선행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결과를 살펴보면, 개인 측요인보다 사회

- 2 -

환경 측요인이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의 개입 폭과 변화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오수정, 1999; 주소 , 1999; 이 진, 2000). 그러므로, 정신장애인의 직업

재활 활성화를 하여, 정신장애인 개인의 인 자원 능력향상도 요하지만, 지역

사회에서 정신장애인의 사회환경 지지체계서비스의 개발지원이 더욱 필요하며

이들 서비스간 연계가 필수 이라 할 수 있다. 한 서비스기 간 연계는 정신장

애인의 탈시설화, 지역사회 독립생활로 이어지는 과정 속에서 요하게 부각된 서

비스연속체 개념과 맞물려 더욱 요하다.

우리나라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는 1990년 부터 정신보건분야에서 제

공되고 있는 직업재활서비스 로그램, 사례 리 서비스가 있고, 2000년부터

제공되기 시작한 복지분야, 노동분야의 직업재활정책 서비스가 있다. 즉, 정신

장애인을 상으로 한 직업재활수행기 은 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에서 시작

하여 재는 장애인복지 과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공단지사들로 확 되었

다.

그러나 이들 기 의 직업재활 련 서비스와 로그램은 시행기간과 경험이

짧기 때문에 시도 , 실험 성격으로 진행되어 체계성이 없고, 행정 으로 일

성이 없어 기 간 연계의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를 들어, 소한 장애개념

하에서 구성된 기존의 장애인 고용정책 서비스 체계 내에서, 2000년부터 정신

장애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복지기 이나 노동부 산하기 에서는 정신

장애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거나 기피하는 크리 (Creaming) 상이 나타

나고 있다. 한 기존에 정신장애인에게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던 사회복

귀시설, 정신보건센터와 새롭게 정신장애인 상서비스를 시작한 장애인복지 ,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이 상호간 정보와 이해부족으로 복된 서비스를 제공하

거나 필요한 서비스를 효과 으로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재까지 시행되어온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들의 실태를 악

을 통해 노동․복지․보건분야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의 경험을 공유하고, 이들

기 간 연계정도와 연계강화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연계를 활성화하

- 3 -

는 것이 필요하다.

기존 서비스 달체계, 력, 연계에 한 선행연구들은 서비스 기 의 구

조․기능 분류, 운 주체별 분류 등 제공자 심의 달체계 개선과 효율성에

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달체계 개선에 한 논의들은 명백한

한계를 지닌다. 그 이유는 클라이언트의 이 반 되지 않은 상태에서 달자

들의 효율성만 나타나기 쉽기 때문이다(김 종,1998). 그러므로 아동복지서비스,

노인복지서비스, 정신장애인 서비스 등 클라이언트의 에서 서비스를 분류하

고, 지역사회 내에서 이러한 서비스 조직과 달체계를 찾아내어 력방안을 마련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정신장애인의 직

업재활서비스를 찾아내어 연계방안을 마련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 활성화를 하여, 정신장애인의 직업재

활욕구를 심으로 다양한 직업재활수행기 간의 연계경험과 연계정도, 그리고 연

계에 향을 미치는 요인, 연계자원환경을 분석하고자 한다.

제2 연구내용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효과 인 고용증 를 해 직업재활 수행기 간 체

계 인 연계방안을 모색하여, 정신장애인에게 통합 인 직업재활 서비스를 제공하

는데 그 목 이 있다.

이에 따라 직업재활수행기 간 연계정도 분석과 연계에 향을 미치는 요인

을 규명하고,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의 연계와 련된 지원환경 즉 법, 제

도 산 등을 악하고자 한다. 연구의 개념도는 <그림 I-2-1>과 같다.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의 서비스체계 연계실태를 악하고 공단과

련기 상호간의 역할을 재정립하여, 연계의 조·조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 4 -

<그림 I-2-1> 연구개념도

연계 자원환경

안정성

연계에 향을

미치는 요인

(개인/조직요인)

연계

정도

연계강화

방안도출

지역기반

연계 경험

본 조사연구를 통해 살펴 볼 구체 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의 연계실태, 연계정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의 연계시도와 연계강화정도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3》정신장애인 직업재활 서비스 연계를 한 우리나라 지역사회의 연

계경험과 지원환경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의 연구질문을 기 로 하여 도출된 시사 을 바탕으로한 정신장

애인 직업재활수행기 간의 연계강화방안은 무엇인가?

제3 연구방법

1. 문헌자료 분석

정신장애인의 개념정의와 직업재활서비스, 서비스수행기 간 연계 력방안에

한 선행연구를 수집하여 분석하 고, 정신보건기 직업재활 산 구조 련

법내의 연계에 한 사항을 분석하 다. 한 외국의 연계경험과 동향을 탐색하

여 연계방안에 한 시사 을 도출하 다.

- 5 -

2. 설문조사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의 연계실태, 연계정도, 연계에 향을 미치는 요

인은 무엇인지 살펴보기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 다.

가. 조사 상 조사기간

본 연구는 국의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직업재활실시센터로 지정된 장

애인복지 ,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산하 고용개발원 13개 지소 등 모두 164

기 의 담당자를 상으로 조사되었다. 설문은 우편조사로 실시되었고, 조사기간

은 2002년 8월 19일에서 2002년 8월 31일까지 총 2주간 회수되었다. 총 164개 기

122개가 회수되어 회수율은 74%로 나타났다.

나. 조사지 개발 조사내용

본 설문지는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의 연계실태와 연계요인을 악하고

자 개발되었다. 내용은 우선 으로 련 문가 3인의 검토를 통해 조사항목의 타

당성을 확보하 으며, 설문 상자들의 질문문항에 한 이해도 반 을 하여 수

행기 의 담당자 상으로 Pilot test를 실시하여 문항수정 작업을 하 다.

<표 I-2-1> 설문지 내용

구분 설문내용

일반 사항

기 명, 유형, 소재지, 설립연도, 참여인력, 산배정

서비스 상자, 직업재활서비스 유형

응답자 성별, 연령, 경력, 근무경력, 학력, 문가유형

연계의식

상자이해 교육경험

타기 자원의 요도인지, 연계의 필요성인지

타기 사업인지, 타기 담당자인지

연계실태

연계경험, 연계기 유형

연계형태, 연계활동수,

사례의뢰방식, 사후 리방식

연계정도 평가, 연계방해요인

연계방안향후 각기 의 주담당 서비스 역, 연계활성화 방안

향후 각기 의 변화될 부분

- 6 -

다. 자료분석방법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0.1 통계 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처리하 으며, 사용

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변수들의 일반 인 특성과 분포를 알아보기 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

편차들의 기술통계방법을 활용하 다.

둘째, 기 들 사이의 연계정도를 주성분분석(PCA)을 통해 요약․분석하고 연계

요인을 추정하 다.

셋째, 개인요인, 조직요인과 연계정도와의 상 계를 알아보기 해 상 계

분석을 실시하 다.

넷째, 연계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해 로지스틱 회귀분석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 다.

다섯째, 연계강화정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해 다귀 회귀분석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 다.

여섯째, 독립변수들의 상 향력 검증과 모델선정을 해 후향제거 방식을

이용하여 각각 회귀분석을 실시하 다.

3. 면담조사

지역기반으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간 연계경험을 알아보고, 연계경험

을 설명하는 근거이론을 개발하고자 질 방법으로 조사하 다.

가. 조사 상 자료수집방법

조사 상은 ○○지역에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를 수행하고 있는 기 들

의 다 역의 문가로 사회복귀시설 사회복지사 2인, 정신보건센터 간호사 2인,

장애인복지 (직업재활실시센터) 평가사 2인, 공단지소 직업재활업무담당자 4인을

상으로 하 다. 각 기 당사자에게는 면담에 한 승인을 받았다. 자료수집

방법은 질 인터뷰방식을 택하 고,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한다. 질 조사

- 7 -

방법 근거이론(grounded Theory)에 바탕은 둔 Strauss & Cobin의 차(Janice

& Peggy, 1995;신경림 역)를 사용하 다.

나. 자료수집내용

주요 내용은 “연계경험은 무엇인가?” 으며, 반구조화된 질문은 다음과 같다.

①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의 연계 속에서 본 기 의 역할을 무엇인가?

(어떤 서비스, 역사, 조직, 등등)

② 지역내 어떤 기 과 연계 인가?

③ 의뢰서비스나 로그램등 연계의 효과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④ 연계에 하여 기 장의 생각은 어떠한가?

⑤ 연계의 장 , 이 은 무엇인가?

⑥ 연계시에 부딪히게 되는 주요 문제 은 무엇이 있는가?

⑦ 이러한 문제 을 해결하기 한 방법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다. 자료분석방법

개방코딩(Open coding), 축코딩(Axial coding), 선택코딩(Selective coding)의

차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 다. 개방코딩은 간(line by line)단 분석방법을

사용하 고, 축코딩을 통해 6C(Cause, Consequences, Context, Contingencies,

Covariance, Condition)를 발견하고, 선택코딩을 통해 핵심범주를 발견하여 이에

한 이론 개념틀을 만들었다. 이때 “이 연계 상에서 가장 요한 것은 무엇

인가?”, “연구자에게 반복해서 인상을 주는 상은 무엇인가?”를 시하여 분석

작성하 다.

- 8 -

제2장 이론 배경

제1 정신장애인 개념과 직업재활서비스 고찰

1. 정신장애인의 개념

정신장애를 갖은 사람들은 다양한 용어로 명명되고 있다. ‘정신질환자’, ’정신

분열병환자‘, ’만성정신질환자‘, ’정신장애인‘, ’ 증정신장애인, ’정신장애회복자‘ 등

이다. 이러한 용어사용은 정신장애에 한 학문 배경 차이, 합의되지 않음, 서

비스 상군 기 차이 등으로 인해 더욱 여러 가지 용어로 나타나고 있다. 한 개

인에 한 명명은 개인 자신의 사회 역할과 자아감, 행동을 결정할 뿐 아니라

타인의 반응을 결정하기 때문에(조흥식,1995), 이에 한 논의가 필요하다.

우선 '정신질환자', '정신분열병환자', ‘만성정신질환자’라는 용어는 재활 개

입의 상이라기보다 의학 인 치료의 상이라는 측면이 강하다. ‘정신질환자’1)

라는 용어는 재활을 해서 의료 치료가 우선 으로 요하기 때문에 치료의

상으로서 사용하게 된 이후 다음의 재활단계에서도 일부 그 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환자'라는 개념은 서비스에서 주로 수동 인 처치 즉 치료의 상일 뿐

서비스에 한 능동 인 주도권이 없는 상이라는 개념이 있으며, 서비스의 주도

권은 주로 치료자에게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복합 인 재활서비스가 필요한 상

자들에게 ‘치료’라는 한가지 수동 인 서비스 수혜자로서의 역할을 하게 하여 의

존 으로 서비스를 받게 할 뿐 아니라 ‘병의 진행성’이란 의미로 인해 낙인

(Stigma)을 심화시킬 수 있다. 한 ‘정신분열병환자’라는 용어는 정신장애의 여

러 유형 가장 많은 발생률을 보이는 군2)으로, 정신장애인을 표하기도 하며,

1) 정신질환은 정신병 (Psychotic)인 것과 신경증 (neurotic)인 것 모두를 포함하면

서 재 질병의 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지칭한다(문인숙,양옥경.1991)

- 9 -

다수의 연구에서 이 유형에 한 연구가 빈번히 이 지고 있어 자주 사용되고

있다.

‘만성정신질환자’라는 용어는 정신질환의 특성이 재발이 쉽고, 병을 보유하는

기간이 장기화된다는 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정신질환이 이러한 만성질환

(chronic illness) 특성을 갖는다는 에서 복지계에서 사용되는 ‘장애’와의 정확

한 구분이 어려워지게 되었다. 질환은 치유가능성이 있으나 장애는 정신 , 신체

기능의 상실이 구 으로 남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만성질환의 경우 의료

완치가 곤란하여 일상생활의 장애, 사회참여의 장애로 이행되는 장애상태에 놓

이게 된다. 즉, 질병이 원인이 되어 장애로 귀결되는 경우가 많고, 질병과 장애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으므로 질병과 장애가 연속 인 개념으로 이해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질환과 장애에 한 다양한 개념정의에 의한 합의 도달이 이 지고

있다.

정신보건분야에서는 우리나라 장애인복지법상 정신장애인이 장애인 범주에

포함되기 부터 ‘정신장애인’이란 용어를 사용해 왔다. 여기서 정신장애인이란

증상의 치료 입장은 물론 사회 기능을 회복시키고자 하는 재활의 측면을 강

조한 용어이며, 인 맥락에서 다루어지게 되었다(최동애,1992). 양옥경(1993)에

따르면 정신장애는 어의 Mental Disorder3)를 번역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 기존

에 사용되던 ‘장애’의 개념과는 약간 다르다고 하 다. 그 이유는 기존의 우리나

라의 장애개념은 신체장애인 주의 개념으로 장애상태를 변화시킬 수 없는

구불변 의미와 정 인 측면보다 부정 인 상태를 강조하는 개념이었기 때

문이다.

2) 정신질환의 71.3%를 차지하고 있다(이정균,1992)

3) 정신장애(Mental Disorder)라는 용어는 미국의 정신장애 진단 통계편람인

DSM(Diagnostic &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과 국제질병분류인 ICD-10에서

사용되어졌다. DSM-IV에 의하면 ‘정신장애’라는 용어는 환원주의 이고, 이원론 인 개념을

바탕으로 ‘신체장애’와 ‘정신장애’의 구별을 함축하고 있다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정신장

애의 개념에 한 정확한 의학 개념은 더욱이 제공할 수 없음을 인정하고 있다. 즉 정신장

애라는 개념은 의학 정의요소에 의한 것 보다 사회 정의요소가 포함된 용어라 할 수 있

다(이근후 외, 1995).

- 10 -

2000년 1차 장애인범주확 이 에 우리나라의 장애개념은 의학 인 손상

심의 신체장애인이 주 장애 상이었던 것에 비해 다른 나라는 장애의 범주가 넓

었다4). 1980년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국제장애분류(ICIDH: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s, Disabilities and Handicaps)에서 장애를 손상(impairment), 불능

(disability), 불리(handicap)로 규정하여 장애를 사회 수 에서의 담론으로 이끌

었고, 1999년 국제장애분류(ICIDH-2;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s,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는 ICF;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5)에서 장

애를 손상(impairment), 활동(activity), 참여(participation)로 구분하고, 건강상태,

개인수 , 사회수 에서 환경과 상호작용으로 악하고 구불변이 아닌 변화될

수 있는 개념으로 바 게 되면서 더욱 장애범주를 확 시켰다. 통 으로 건강

의 지표는 치사율(The Mortality rates of population)에 근거하 으나 ICF로의 개

념이동으로 건강의 지표는 삶(life) 즉, 어떻게 건강을 유지하고 어떻게 생산성을

높이고, 삶을 유지하느냐에 근거하게 되었다. 이러한 개념발달은 의료 개입뿐

만 아니라 법, 사회정책 발달에 도움을 주었고, 장애인집단에 권익향상에 도움을

주었다.

ICF는 장애(Disability)라는 것이 소수집단의 문제가 아니며, 단지 시각장애인이

나 휠체어를 타고 다니는 지체장애인의 문제만이 아님을 알게 하 다. 이 듯

IC-F는 잔존하는 노동능력, 지역사회 독립생활능력 등 상의 능력을 화 하는

4) 외국은 넓은 장애개념으로 인해 장애출 률이 국 22%, 미국20.6%, 호주 15.6%인데 비하

여 장애개념을 ‘신체구조 기능상의 장애’로 보던 우리나라의 경우 1995년 장애인실태조

사 당시 2.35%의 출 률을 나타냈다(이 진,2001a 재인용).

5) ICIDH-2에서는 장애를 손상(impairment), 활동(activity), 참여(participation)로 구분하 다.

즉 손상은 신체구조․기능과 련된 기능상의 제한 는 불능을 의미하며, 활동 는 활동

제한은 일상생활과 련된 구체 인 활동 수행여부를 의미한다. 참여 는 참여억제는 손상

과 활동제한에 따른 사회 수 에서의 참여정도를 의미한다. 이 듯 ICIDH-2에서는

ICIDH-1에서 사용된 용어를 립화하고 장애상태가 환경과 상호작용을 통해 변화될 수 있

음을 강조하 다. ICF는 ICIDH-2의 약어상 임말 이해를 용이하기 해 사용되고 있다.

ICF는 ‘기능과 장애(Functioning & Disability)'와 '맥락 요소(Contextual Factors)' 두부분

으로 나뉘고 각각의 요소로는 신체기능과 구조(Body Functions& Structures), 활동과 참여

(Activities& Participation), 환경 요소(Environmental Factors), 개인 요소(Personal

Factors)로 구성된다(WHO,2001a).

- 11 -

데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 다. ICF는 장애의 사회 상황을 책임지고 개인의 기

능(f-unctioning)에 한 사회 , 물리 환경의 향을 기록하는 기제를 제공한다.

를 들어, 증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이 어떤 건물에서 일하기가 어렵다는 것은

엘리베이터나 이동수단이 제공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ICF는 이 게 개입에

을 맞추었다. ICF는 병의 원인에 상 없이 모든 질병과 건강상태를 동등한 치

에 두었다. 어떤 사람이 감기나 혹은 심증 혹은 우울증(Depression)으로 취업

을 할 수 없다고 할 때, 립 인 근을 통해 정신장애도 신체 질환과 같은

치에 있게 되었고,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에 한 다양한 사회 부담들에

한 재인식과 기록에 기헌했다(WHO, 2001a).

장애개념의 변화 속에서 우리나라도 국제 인 장애개념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장애인 정책을 환시켜 신체장애 주의 장애개념에서 탈피하게 되었다. 즉, 장

애를 구불변한 것이 아닌 환경과 상호작용을 통해 변화될 수 있으며, 삶의 유지

측면에서 바라보게 되었다. 이로 인해 장애범주 확 방안을 마련하게 되었으며,

정신장애인은 2000년부터 ‘장애인복지발 5개년 계획’의 1차 범주화 상으로 포

함되어 장애인복지법상 장애인이 되었다.

이런 의미에서 사용되고 있는 ‘정신장애인’, ‘ 증정신장애인’, ‘정신장애회복

자’라는 용어에 해서 살펴보자. 장애인복지법 제2조 1항에 의하면 장애인은 신

체 ․ 정신 장애로 인하여 장기간에 걸쳐 일상생활 는 사회생활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 자를 말한다. 제2조 2항에 의하면 장애를 신체 장애와 정신 장

애 두 부분으로 구분하고 있다6).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제2조 1항에 의하면 ‘정신

장애인(精神障碍人)’은 “지속 인 정신분열병, 분열형 정동장애(情動障碍), 양극성

정동장애 반복성 우울장애에 의한 기능 능력 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 혹은

사회생활을 하기 한 기능 수행에 한 제한을 받아 도움이 필요한 사람”

으로 정의되어 있다. 한 증정신장애인이란 개념은 장애인복지법상에 나타난

6) 신체 장애라 함은 주요 외부신체기능의 장애, 내부기 의 장애 등을 말한다. 정신 장

애라 함은 정신지체 는 정신 질환으로 발생하는 장애를 말한다(제2조2항).

- 12 -

․경증 구분에 의해 사용되는 용어로 장애인복지법상 장애인의 등 은 6등 이

며, 정신장애인은 1에서 3등 으로 모두 증장애인에 속한다. 이런 이유로 증

정신장애인이란 용어를 사용한다. 각 등 별 정의는 <표 II-1-1>과 같다.

<표 II-1-1>정신장애인 수별 내용

수 내 용

제1

1. 정신분열병으로 망상, 환청, 사고장애, 기괴한 행동 등의 양성증상 는 사회 축과

같은 음성증상이 심하고, 한 인격변화가 있으며, 기능 능력장애로 인하여 주

의 인 도움이 없이는 일상생활을 해나가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사람 (정신병을 진

단받은지 1년이상 경과한 사람에 한한다. 이하 같다)

2. 양극성 정동장애(조울병)로 기분, 의욕, 행동 사고장애 증상이 심한 증상기가 지속

되거나, 자주 반복되며, 기능 능력장애로 인하여 주 의 인 도움이 없이는 일

상생활을 해나가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사람

3. 반복성 우울장애로 정신병 증상이 동반되고, 기분, 의욕, 행동 등에 한 우울증상

이 심한 증상기가 지속되거나 자주 반복되며, 기능 능력장애로 인하여 주 의

인 도움이 없이는 일상생활을 해나가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사람

4. 분열정동장애로 1호 내지 3호에 하는 증상이 있는 사람

제2

1. 정신분열병으로 망상, 환청, 사고장애, 기괴한 행동 등의 양성증상 사회 축 등

의 음성증상이 있고, 등도의 인격변화가 있으며, 기능 능력장애로 인하여 주 의

많은 도움이 없으면 일상생활을 하기 어려운 사람

2. 양극성 정동장애(조울병)로 기분, 의욕, 행동 사고장애 증상이 있는 증상기가 지속

되거나, 자주 반복되며, 기능 능력장애로 인하여 주 의 많은 도움이 없으면 일상

생활을 하기 어려운 사람

3. 만성 인 반복성 우울장애로 망상 등 정신병 증상이 동반되고, 기분, 의욕, 행동 등

에 한 우울증상이 있는 증상기가 지속되거나 자주 반복되며, 기능 능력장애로 인

하여 주 의 많은 도움이 없으면 일상생활을 하기 어려운 사람

4. 만성 인 분열정동장애로 1호 내지 3호에 하는 증상이 있는 사람

제3

1. 정신분열병으로 망상, 환청, 사고장애, 기괴한 행동 등의 양성증상이 있으나, 인격변

화나 퇴행은 심하지 않은 경우로서 기능 능력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 혹은 사회생

활을 하기 한 기능 수행에 제한을 받아 간헐 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

2. 양극성 정동장애(조울병)로 기분, 의욕, 행동 사고장애 증상이 하지는 않지만

증상기가 지속되거나 자주 반복되는 경우로서 기능 능력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

혹은 사회생활을 하기 한 기능 수행에 제한을 받아 간헐 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

3. 반복성 우울장애로 기분, 의욕, 행동 등에 한 우울증상이 있는 증상기가 지속되거

나 자주 반복되는 경우로서 기능 능력장애로 인하여 일상생활 혹은 사회생활을

하기 한 기능 수행에 제한을 받아 간헐 으로 도움이 필요한 사람

4. 분열정동장애로 1호 내지 3호에 하는 증상이 있는 사람

*자료출처:장애인 정지침,2000

- 13 -

‘정신장애회복자‘라는 용어는 정신장애에 한 비장애인들의 심한 편견 즉 타

인을 할 수 있는 증상이 진행 인 사람으로 인식되는 것을 피하기 해서 일

부 사용되는 용어이다. 이 용어는 주로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정신질환의

성기 증상이 없는 상태를 강조함으로써 시민들의 편견해소를 통해 정신장애인의

사회참여를 높이기 한 것이다.

이 듯 우리나라에서 정신장애인은 다양한 장 즉, 재활분야와 정신보건분야의

흐름 속에서 다양한 용어로 명명되어 왔다. 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용어

는 ‘정신장애인’이며, 명명이 통일되어야 할 것이다. 즉, 정신장애인이라는 용어에

는 만성이라는 개념이 이미 내포되어 있으며, 증이라는 개념도 내포되어 있다.

한 치료의 상이라기보다 재활의 상의 에서 정의되어진 것이다. 그러므

로 본 연구의 정신장애인에 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즉, 정신장애인이란 ICF의

장애개념에 근거하여, 정신질환의 만성화된 상태로 인해 질병이 의 정신 기능

이 회복되지 못하여 취업이나 지역사회에서의 삶의 유지를 한 기능수행에 개입

이 필요한 자라고 할 수 있다.

2.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 개념정의

사람들이 일(work)을 하는 의미는 무엇인가? Webster사 (2002)에 의하면

“일이란 ‘휴식’과 ’놀이‘ 는 ’여가‘를 한 활동을 제외한 모든 생산 활동”으로

정의한다. 한 National Alliance for the Mental ill(1999)에 의하면 “일(Work)이

란 다수 사람들에게 경제 안정, 자아정체감을 형성하게 하고, 지역사회 삶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삶의 주요소이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즉 일은 개인과 그 가족에게 사회 지 , 재인식, 동맹, 다양한 사회의 참

여를 통한 심리 , 사회 생산물을 제공한다(Lee E. Isaacson, Duane Brown,

2000).

- 14 -

이 듯 일이 경제 보상 외에 개인에게 주는 의미를 정리해보면, 시간개념을

갖게 하고, 사회 참여를 하게 하고, 집합 인 목표와 노력을 갖게 하고, 사회

정체감을 갖게 하고, 규칙 인 활동을 제공한다(WHO,2000 재인용). 이 듯 일이

성인 삶의 활동에 심요소 하나라고 볼 때, 일로 인한 만족감이 개인 체의

만족감의 요한 결정요소임을 알 수 있다.

정신장애인에게도 직업을 갖는다는 것은 여러 가지 의미가 있다.

첫째, 정신장애인에게 일은 동기, 자기확신, 구조 활동, 계성에 변화를 이

끌 수 있다. 일은 포 정신과 치료에 요한 구성요소가 되고 실제 성취

를 통해 자아존 감이 향상된다.

둘째, 많은 정신장애인들이 생산 인 일에 활동 으로 종사할 때 정신과 증

상이 경감된다(M.D.Bell, P.H.Lysaker & R.M.Milstein, 1996)는 연구결과가 나타났

다. 즉 일을 통한 다양한 경험을 통해 다른 스트 스를 화시키거나 처능력을

진시켜 증상의 재발을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셋째, 일을 유지한다는 것은 개인이 지역사회에 머물 수 있는 능력의 주요 지

표이다. 즉 일을 얻고 유지하기 해서 정신장애인들은 인 계능력, 직업기술

습득, 증상 리기술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직업을 갖고 있다는 것은 재활의 척도

가 될 수 있다.

넷째, 일로 인한 임 에 의해 정신장애인은 지역사회 내에서 생산 인 참여를

하게 되는 의의를 갖게 된다.

이러한 일의 요성으로 인해 정신장애인에게도 재활단계에서 직업재활은 필

수 이라 할 수 있다. Anthony(1986)에 의하면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이란 정신

장애로 인해 비장애인들이 갖는 사회 역할을 충족시킬 수 없는 핸디캡을 지닌

정신장애인들에게 보다 구조 이고 체계 인 직업을 갖게 하여 사회 역할을 지

속 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고 하 다. McGowan & Porter(1967)는

직업재활이란 사회 , 경제 , 직업 으로 훌륭한 사회인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잠재능력을 최 한 발휘하도록 도와주는 과정으로, 일차 인 목 은 개인의 실

- 15 -

이고 구 인 직업 응이라고 하 다. 국제노동기구(ILO)에서는 직업재활

(vocational rehabilitation)을 “직무지도와 훈련 그리고 취업알선 등과 같은 직업

서비스를 포함하는 연속 이고 력 인 재활과정의 일부로써 장애인이 한

고용을 확보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원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즉,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이란 직업을 확보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직업 서

비스를 제공하며 특히 직업유지에 련하는 지속 이고 종합 인 원조를 제공함

으로써 정신장애인이 사회에 통합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3.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서비스

기존 정신장애인에게 있어 직업재활을 정신사회재활의 일부분이었기 때문에

고용서비스가 사회재활서비스의 일부로 포함되어있다. 이런 이유로 부분 정신

장애인 직업재활 서비스들이 실제 유 고용된 상태(취업)보다 다양한 직업능력을

발달시키는데 이 맞춰져 왔다. 그러나 향후에는 좀더 경제 소득을 으

로 한 고용진입에 이 맞춰진 직업재활서비스들이 제공되어야 한다.

다음은 간략하게 정신장애인 상의 직업재활 서비스들의 유형과 그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첫째, 병원 심의 직업재활 로그램(Hospital-based programmes of training

and work integration)이다. 과거에는 병원 심 서비스가 많았으나 재는 어

들고 있다. 직업재활의 목표는 자기신뢰감(Self-confidence)과 일반 기능(general

functioning)향상 등에 있다. 이러한 활동의 종류는 음식물 분리수거, 정원 가꾸

기, 소 포 운 등이다. 이러한 로그램 참여자들은 입원기간이 어드는 경향

은 있었지만 구 인 취업상태를 갖게된 경우는 은 것으로 나타났다

(WHO,2000).

둘째, 보호작업 로그램(Sheltered workshops)이다. 이것은 하청작업형태의

- 16 -

통 인 보호작업장 서비스이다. 이 형태는 실질 인 경제 수입을 얻는 취업

의 의미보다는 환자역할(patient role)을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로그램 참여

자의 10~15%가 좀더 실질 인 직업재활 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능력개발이

이 지고 있다는 보고가 되고 있다(WHO,2000).

셋째, 정신사회 클럽하우스 모델(Psycho-social Clubhouse model)이다. 클럽

하우스모델은 뉴욕시의 Fountain House에서 시작되었다. 클럽하우스에서는 클럽

내의 작업 심활동을 포함하여 회원7)에게 다양한 직업재활서비스 즉 임시고용

(TE:Transitional Employment), 독립고용(Independent Employment)8)서비스를 제

공한다. 클럽하우스의 독특성은 클럽하우스라는 소사회에서 제공되는 동료의식,

연 감(fellowship)이다(Alexis D. et al, 2001;재인용). 다른 정신사회재활서비스에

서도 환고용은 제공되고 있지만, 임시고용(TE)9)은 클럽하우스에서 제공되는

표 인 서비스이다. 임시고용은 정신장애인의 경쟁취업이라는 목표를 향해 단기

으로 통합제공되는 서비스이다.

넷째, 지역사회 숙박(Community Lodge) 로그램이다. 이 서비스는 거주

(House)와 일(work)을 조합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는 미국 여러 지역에

서 비슷한 형태가 많이 나타났고, 시행하는 지역마다 차이가 많았지만 그 기본 개

념은 경쟁시장에서 그들의 서비스를 매할 수 있는 정신장애인들이 함께 공동생

활을 하는 것이다(Fairweather et al, 1969).

7) 클럽하우스에서는 기본 철학에 근거하여 개별 정신장애인에 해 회원(Member)라고 호칭

한다.

8) 클럽하우스에서 사용되는 독립고용(Independent employment)은 일반고용, 경쟁고용

(Competitive employment)과 같은 의미이다.

9) 임시고용(TE)은 한 회원이 작업장에서 한 업무에 해 훈련을 받고 독립 으로 일하게 된

다. 클럽하우스의 직원(Staff)이 가끔 취업장을 방문하여 업무지도를 한다. 회원이 그 업

무 취직되는가는 클럽하우스와 회원이 공동으로 결정하며, 회사로부터 근로자로서의 면 을

받지 않는다. 한 회원이 그 직업에 보통 6개월에서 9개월 정도 지나 숙달이 되면, 다른 회

원에게 그 업무가 제공된다. 임시고용업무는 주로 반일제(part-time) 업무가 많기 때문에

업무가 끝나면 클럽하우스에 돌아와서 다른 활동에 참여하기도 한다. 클럽에서는 그 업무에

근로자가 결원되지 않도록 보장을 한다. 그 기 때문에 임시고용으로서의 직업은 구 인

고용을 의미하지 않으며 회원에게 직업경험을 갖게 하고 직업인으로서의 태도와 직업세계

를 탐색할 수 있도록 돕는다(Alexis D. et al, 2001).

- 17 -

다섯째, PACT(Programmes of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내 직업재활서

비스이다. 이 서비스는 Stein, Test & Marx에 의해 개발되어진 것으로 증정신

질환자의 늘어나는 지역기반 서비스 욕구에 부응한 것이다. 이 서비스의 은

질환으로부터의 ‘회복’과 ‘삶의 질’ 강화이다. 이 훈련은 캐나다와 미국의 몇몇 지

역에서 실시되고 있다. PACT는 정신과 문의, 공인간호사, 련 문가, 직업재활

문가, 약물 독 련 문가, 로그램 행정가 등 학제간 근을 실시한다. 24

시 기개입 서비스가 실시된다. TCL(Training in community living)서비스 역시

이 로그램 내에서 처음 시도되고 개발되어졌다. 이 서비스는 상자의 기본 욕

구에 기반하 고,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철 한 개별사례 리(individual

management)와 반 개입(global approach)이다.

여섯째, 지원고용 로그램(Supported employment programmes)이다. 정신장

애인 직업재활의 가장 큰 목 은 경쟁고용을 유지하는 것이지만, 정신장애인의

다수가 이를 달성하기 어렵다. 많은 정신장애인들이 지원고용(SE: Supported

Employment) 로그램에 참여한다. 지원고용을 시행하는 모델에는 개별배치․지

원(IPS:Individual Placement & Support)모델과 선택-획득-유지(Choose-Get-Keep)

모델 등이 있다. 지원고용에 한 미국재활법(The American Rehabilitation Act)의

정의를 보면, “지원고용이란 심한 장애를 갖은 사람을 해 지속 인 지지서비스

를 제공하는 통합된 장에서의 경쟁고용이다.”라고 하 다. 여기서 심한 장애는

①장애로 인하여 한번도 경쟁고용을 한 경험이 없는 개인, ② 본래 장애의 심각성

으로 인해 직업재활국으로부터 집 이고 면 인 지지고용서비스가 필요한 개

인, ③ 정신질환으로 인한 증장애로 환고용이 필요한 개인이다. 이런 이유로

부분의 지원고용 로그램은 개인이 직업을 구하는 것은 돕고, 일을 시작하기

에 보조지원을 제공하고, 고용기간 반에 걸쳐 지속 인 지원을 한다. 지원고용

을 통해 구한 직업은 부분의 경우 최 임 수 정도의 일들이다. 지원고용

로그램을 이용한 정신장애인집단과 다른 집단을 비교하 을 때, 직업을 유지한다

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참여한 상자들이 삶의질의 향상되고 직업만족도가 높

- 18 -

다는 보고가 있지만 다양한 정부의 지지 로그램이 폐지되지 않는 한에서 소수

만이 돈을 벌 수 있다(WHO,2000).

일곱째, 일반 노동시장에 ‘노동통합계약’을 통해 취업으로 연결하는 서비스이

다. 노동시장에 장애인들의 진 인 재통합을 진시키기 해서 개인의 '노동

통합계약(work integration contracts)'가 사용되어질 수 있다. 고용주는 소기업

는 지역사회기 이 되는 경향이 있다. 계약은 부분은 부분 기간을 정해두진

않지만 그 지속기간은 다양하며, 정부로부터 감소하는 비율만큼 지원을 받는다.

를 들어 캐나다의 퀘백주에서는 첫 번째 해에는 장애인의 에 85%까지 두

번째 해부터는 75%까지 보조 을 다.

여덟째, 사회기업(Social Firms) 근이다. 사회기업이란 일반기업과 같은

상황10)에서 장애인의 고용을 해 발달된 소기업들이다. 사회기업에서 장애인

들은 비장애인들과 함께 일한다. 모두가 근로계약에 따라 정상 인 임 을 받는

다.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 같은 권리과 의무를 갖는다. 사회기업은 증가하는

실업률과 다운사이징, 문 훈련 요구, 지속 으로 높은 생산성요구 등의 일자

체 속성의 변화 등에 따라 실 인 문제해결을 해 20세기 말부터 발달되어왔

다.

사회기업의 운 과 평가를 해 유럽연합(EU)에서 Horizon I, II 로젝트를

통해 모범 인 지원이 구성되어졌다. 이 로젝트는 이에 참여하는 참여국들의

, 경험, 문제와 해결 을 집성하면서 다국 동을 진시켰다. 사회 기업

이 일반기업과의 주요차이는 다음과 같다.

① 사회기업의 가장 큰 임무는 장애인들과 사회 취약계층들의 고용을 창출

하는 것이다. 즉, 사회기업은 사회 이고 상업 인 임무를 동시에 갖는다.

② 사회기업 작업장의 가장 큰 특징 하나는 근로장애인의 능력을 고양시

키는 환경이라는 것이다. 즉, 사회기업은 장애인들을 활발히 모집하고 히 필

10) 일반기업과 같은 상황이긴 하지만 근로장애인이 지원을 필요로 할 때, 이에 한 지원을

제공을 하는 기업형태이다.

- 19 -

요한 조치들을 제공한다.

③ 장애인이 갖고 있는 장애의 문제성보다는 근로자로서 능력을 강조한다.

이러한 유연한 근을 통해 근로자욕구에 따라 과업이 배열되고 조정되어진다.

이와 같은 주요 차이에 의해 장애인들은 작업에 빨리 응해 나가고 있다.

아홉번째, 조합운동(cooperative movement)이다. 동조합 모델은 다양한 형

태가 있으며 표 인 것이 이탈리아11)의 동조합들이다. 동조합은 정신건강서

비스와 독립 으로 운 되지만 정신건강서비스조직과 아주 한 연계 속에서

운 되고 있다. 많은 조합들이 사회기업(Social Firms)의 철학은 공유하고 있다.

조합은 A, B 두 가지 형태가 있는데 A형태는 보건복지를 보조하는 것이 주요 목

이고, B형태는 장애인의 취업기회를 증진시키는데 주요 목 이 있다. 두 가지

형태 모두 정부의 지원 을 받으려면 장애인을 30%이상 고용해야 한다.

열번째, 기타 여러 가지 형태의 서비스들이 있다. 이러한 형태는 정신장애인

의 고용을 진하기 한 새롭게 시도되는 다양한 로그램 형태와 사회기업

(Social Firms)의 다양한 형태들이다. 최근에 시도들은 기존의 임 일자리에서

벗어나서 정신장애인들이 화이트칼라 업종에 고용될 수 있도록 비하고 있다. 미

국의 장애인 고용 로젝트에서는 화이트칼라업종을 제공하고 있다.

11) 이탈리아는 avant garde 정신보건법으로 잘 알려져 있다. 정신보건법 제180조항에 의해서

1978년 정신병원의 입원서비스를 지시키고 지역사회 정신건강센터에서 치료와 사후 리

가 이 지도록 하 다. 입원서비스는 단지 종합병원내의 15베드 이하규모로 정하 다. 이

법의 운용은 각 지방자치제마다 시장을 심으로 노동권을 포함하여 평등권, 지역사회 통

합, 온 한 시민권이라는 철학에 바탕을 두고 실행되었다(Conte S., 1994).

- 20 -

제2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수행기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수행기 은 ‘정신장애인을 상으로 고용 진 직업재

활을 목표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과 단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재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이라는 한가지 목표만을 해 설립․운 되는 기 은 드물

다. 각 기 들은 주요 목표나 상에서 차이를 보이며 설립․운 되고 있다. 그

러므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수행기 은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의 일부분 지원하

는 시설이나 단체들이 모두 조합되어 규정되어야 한다.

운 주체와 성격에 따라 분류하면, 노동부 산하의 장애인고용 진공단, 공단의

13개 지사, 고용개발원, 직업 문학교가 있으며, 보건복지부 산하의 장애인복지

(직업재활실시센터)과 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이 설립․운 되고 있다<표

II-1-2>. 한 이들의 달체계를 살펴보면 <표 II-1-3> 과 같다.

<표 II-1-2>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수행기 분류

구 분 지원기 지원부처 지원 상 직업재활 지원내용

I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고용개발원

공단 지사(13개지사)

직업 문학교(5개교)

노동부

-장애인고용과

장애인 유형

(정신장애인의 경우

등록장애인만 해당)

-직업재활

-직업기술훈련

-취업알선, 지원고용

-기 지원

II-장애인복지

(직업재활실시센터)

보건복지부

-장애인제도과

장애인 유형

(정신장애인 경우

등록장애인만 해당)

-취업알선

-보호작업장운

III-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

보건복지부

-정신보건과

정신장애인

(장애인등록과

상 없음)

-의료재활

-직업 교육

-직업재활훈련

-취업알선

- 21 -

<표 II-1-3>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달체계

노동부 보건복지부

장애인

고용

원회

고용평등국

사회복지정책실

장애인복지심의 건강증진국

장애인고용과장애인

정책과재활지원과 정신보건과

한국장애인

고용 진공단

고용개발원

공단지사

직업문

학교

지방노동청

장애인 복지시설 정신보건시설

2)) 장애인생활시설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장애인유료복지시설

1)

근로시설

보호작업장

직업훈련시설

작업활동센터

*1)정신보건센터는 정신보건법상 정신보건시설은 아님*2)공단은 2000년 10월부터 직업재활센터, 작업활동시설, 작업훈련시설,보호작업시설, 장애인복지단체 등 장애인 직업재활기 사업 수행기 지원*2002년 9월 시

- 22 -

1.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가.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이하 '공단')의 역사와 조직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은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활법 제 36조에 따라 1990

년에 장애인의 고용 진 직업재활업무를 효율 으로 수행하기 하여 설립되

었다. 공단은 1992년 일산직업 문학교를 인수․운 하면서 장애인 직업훈련서비

스를 시작하 고, 1993년 부산지사 개소를 필두로 하여 각 지역에 지사를 통한 지

역 심 서비스를 실시하기 시작하 다. 한, 1997년 서울 남부지사 부설로 직업

능력평가센터를 설치하여 장애인들의 평가업무를 활성화하 다. 2002년 9월 시

공단은 총 5개교의 직업 문학교(일산직업 문학교, 부산직업 문학교, 직업

문학교, 남직업 문학교, 구직업 문학교)를 운 하고 있고, 총 13개(서울 부,

서울남부, 부산, 구, 인천, 주, , 수원, 원주, 청주, 주, 창원, 제주)지사에

서 각종 고용 진 직업재활사업을 하고 있으며, 제주지역을 제외한 12개 지사

내에 직업능력평가센터가 설치․운 되고 있다.

공단의 조직<표 II-1-4>은 본부, 산하기 , 지사로 크게 구성되어진다.

우선 본부는 3임원 3국 3실 6부로 구성되어져 있다.

- 23 -

<표 II-1-4> 공단 체조직도

이사장

비서실

기획 리이사 고용 진이사 감사 소속기

고용개발원

기획 리국 직업재활국 고용지원국 감사실

직업 문학교

(5개교)

건립추진단

지사(13개)

공단 산하기 고용개발원은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산하기 으로 증

장애인의 직업재활연구 모델개발을 하여 1999년에 개소되었다. 조직은 원장

산하에 연구실과 직업능력개발실이 있으며 연구실은 정책제도 , 직업재활 , 고

용환경 , 보조도구개발 으로 개 으로 구성되어있다. 직업능력개발실에는 상담

평가부, 직업훈련부, 리부가 있다<표 II-1-5>. 5개의 직업 문학교는 리부와

교학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학부에는 교무과, 직업재활과, 다양한 훈련공과가 있

다. 13개의 지사는 고용 진부와 직업재활부로 구성되어 있고, 직업재활부 으

로 평가센터가 설치되어 있다12).

12) 평가센터는 제주지사를 제외한 12개지사에 설치되어 있으며, 재 제주지사에는 평가사 한

분이 견근무 이다.

- 24 -

<표 II-1-5> 고용개발원 조직도

원장

직업능력개발실 연구실

정책제도

직업재활

리부상담

평가부

직업

훈련부

교육

연수부

고용환경

작업보조도구

<표 II-1-6> 직업 문학교와 지사 조직도

직업 문학교 지사

리부 교학부고용

진부

직업

재활부

평가센터

나. 공단의 서비스

공단 서비스 최우선의 목표는 ‘장애인의 취업을 통한 자립’이다. 이를 한

공단의 체 인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의 고용 진 직업재활에 한 정보의 수집. 분석. 제공 조사.

연구

- 25 -

둘째, 장애인에 한 직업상담. 직업 성검사. 직업능력평가. 등 직업지도

셋째, 장애인에 한 직업 응훈련. 직업능력개발훈련. 취업알선. 취업후 응지

넷째, 장애인직업생활상담원 등 문요원의 양성. 연수.

다섯째, 사업주에게 고용시설자 융자, 장애인용작업장비, 공구비 무상 지원,

고용보조 , 고용장려 , 고용 련특별비용 지원

여섯째, 장애인에게 통근차량구입자 , 직업안정자 , 창업자 융자

일곱째, 장애인의 직업 응훈련시설, 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 장애인표 사업

장 운

여덟째, 장애인의 고용 진을 한 취업알선기 간 취업알선 산망 구축. 리,

홍보. 교육 장애인 기능경기 회 등 련사업

아홉째, 기타 장애인의 고용 진 취업재활을 하여 필요한 사업 노동부

장 는 앙행정기 의 장이 탁하는 업무

열번째, 장애인고용부담 용․징수 업무

다.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련 력에 참여할 부서 력서비스

정신장애인은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활법상 모든 직업재활서비스의 상자

가 된다. 연계될 부서의 서비스는 각 지사에서는 직업재활부를 통해 지원고용, 취

업알선, 직업평가센터를 통한 직업평가를 받을 수 있다. 고용개발원에서는 직

인 서비스는 아니지만, 상담평가부 직업 역개발사업과 연구실 직업재활 을 통

한 각종 연구사업에 연계될 수 있다. 직업 문학교에서는 직업재활과를 통한 모

집과 취업연계, 훈련공과를 통한 직업훈련을 받을 수 있다.

- 26 -

2. 복건복지부 정신보건과 달체계내의 직업재활 수행기

복건복지부 정신보건과 달체계상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으로는 정

신보건센터와 사회복귀시설이 있다. 각종 의료시설, 낮병원에서도 직업재활을 실

시하는 곳이 있으나 직업재활서비스를 으로 실시하는 정신보건센터와 사회

복귀시설에 을 맞추어 역사와 조직구조, 서비스 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정신보건센터

1) 정신보건센터 역사와 조직

정신보건센터는 1995년 12월 정신보건법이 통과된 후, 1995년 국에 1개소,

1997년 20개소, 2000년에 38개소 2001년 6월 시 에서는 46개소가 민 력으로

설립․운 되고 있다(서동우 외, 2001). 그러나 재 정신보건법에서는 정신보건

센터의 명칭과 역할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 정신보건센터는 보건소가 직 운 하

는 경우와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지역사회 력기 (정신의료기 의료법인, 사

회복지법인, 학교법인, 종교법인, 사단법인 등의 비 리법인)이 탁받아 운 하는

형태가 있다.

정신보건센터의 조직은 정신보건사업 과 운 원회, 자문 원회로 구성된

다. 정신보건사업 은 정신보건센터장 1인, 의사1인, 상근 사업 담요원 최소 2

인으로 구성된다. 정신보선센터장은 력기 의 정신과 문의 는 정신보건

문요원으로 임명되는데 보건소가 정신보건센터를 직 하는 경우 보건소장이 겸임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모든 센터는 주 1일 내지 2일 정도 근무하는 정신과

문의를 두어야 하며, 정신과 문의의 지도 하에 정신과 공의가 주 1일정도 근무

할 수 있다. 사업 담요원은 정신보건 문요원을 우선 으로 하되, 문요원이 아

닌 간호사‧사회복지사‧심리학을 공한 학사학 이상을 소지한 자도 가능하며,

추가로 상근 는 비상근 인력을 기본 산의 2/3의 범 내에서 쓸 수 있다. 기

- 27 -

타 보건소지원인력, 기타인력 등이 있다.

운 원회는 정신보건사업 과 보건소 계공무원, 력기 담당자 기타

사업 계자로 구성되며 정시보건센터사업을 총 ,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자문

원회는 정신보건 련 문가, 지역사회내 지도자, 가족모임 표 등으로 구성되며

정신보건사업에 자문과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정신보건센터의 일반 인 조직도는

<표 II-1-7>과 같다.

<표 II-1-7> 정신보건센터 정신보건사업 조직도

센터장

상임 장

재무행정/평가

지역사회 리 재활훈련 지원사업

사례 리

6개구지원

정신장애인

가족지원

약물 의회

주간재활

직업재활

알콜 독 리

홍보

자원 리

산정보 리

*강남정신보건센터 조직

2) 제공 서비스

정신보건센터의 주요 서비스 목표는 정신건강증진, 정신질환의 방‧조기발견

‧조기치료 재활서비스 등의 포 인 정신보건서비스 체계의 구축을 통해 지

역내 정신장애인과 일반주민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을 증진하고, 지역사회를 정신

장애인에게 우호 이고 치료 인 환경으로 변화시켜 정신장애인이 생산 구성원

으로 사회에 통합되어 함께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28 -

사업내용은 사업에 투입되는 산과 인력, 사업추진체계에 따라 다양한 사업

내용을 선택할 수 있으며, 사업의 종류는 기본필수사업과 선택사업으로 나 어진

다.

먼 기본필수사업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보건 련 자원 악 등 지역사회진단

둘째, 상자 발견‧등록 의뢰‧연계체계(정신보건 서비스 달체계) 구축

셋째, 주간보호 로그램

넷째, 사례 리

다섯째, 정신질환 방 정신건강증진 로그램

여섯째, 직업재활 로그램

일곱째, 지역 내 보건복지인력에 한 정신보건자문

여덟째, 가족 교육

아홉째, 정신보건 련세미나, 자문․운 원회

일곱째, 자원 사자 리 연결

여덟째, 운 원회, 자문 원회 운

선택사업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알코올 약물 독환자 재활 로그램

둘째, 치매환자 주간보호 로그램 등 노인정신보건

셋째, 정신보건 조사연구사업

넷째, 정신장애인 주거시설 운 는 운 지원

다섯째, 정신과 응 진료 는 응 상담서비스

여섯째, 소아‧청소년 정신보건(학교정신보건)

일곱째, 산업정신보건(직장인 상)

여덟째, 외래진료

- 29 -

3)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련 력에 참여할 부서 력서비스

정신보건센터는 다학문 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에는 정신과 문의, 정

신보건간호사,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정신보건임상심리사 등이 구성된다. 정신보건

센터에서는 사례 리체제로 이 지기 때문에 각 사례마다 사례담당자와 력하여

야 하고, 력할 수 있는 서비스는 지속 인 사례 리, 지원이다. 직업재활서비스

는 부분의 정신보건센터가 2차 년도부터 시작하며, 직업재활교육 훈련, 취업

과 련된 일상생활 사회생활 훈련, 보호작업장 운 , 공공근로 연계, 임시취

업, 경쟁고용 등의 지원, 농사짓기, 사업체 운 등 선택하여 수행하고 있다.

나. 사회복귀시설

1) 사회복귀시설 역사와 조직

사회복귀시설은 정신보건법 제3조 4항의 정의에 의하면 다음과 같다. 사회복

귀시설이라 함은 이 법에 의하여 설치된 시설로서 정신장애인을 정신의료기 에

입원시키거나 정신요양시설에 입소시키지 아니하고 사회복귀 진을 한 훈련을

행하는 시설을 말한다.

사회복귀시설은 1995년 국에 1개의 사회복귀시설만이 존재하 던 상황에서

1997년 5개소, 1998년 18개소에 이어 재 2000년에는 33개의 사회복귀시설이 운

되었으며(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2000), 2001년 6월 시 총 66개소가 설

립․운 되고 있다(서동우외, 2001). 향후2010년까지 시․군․구 단 에 최소 한곳

씩 253개소 이상 설치하겠다는 보건복지부의 결정에 따라 계속해서 설립될 정

이다.

사회복귀시설은 정신보건법 제15조에 따라 생활훈련시설, 작업훈련시설, 종합

훈련시설, 주거시설13)로 구분된다. 사회복귀시설의 조직은 시설장, 정신보건 문요

13) 생활훈련시설 : 정신질환자가 가정에서 일상생활을 하기 한 생활 응훈련 실시

작업훈련시설 : 정신질환자가 사회복귀할 수 있도록 직업재활훈련 실시

- 30 -

원, 정신과 문의, 보조원, 양사, 리인 등의 법정 인력기 이 있으며, 종합훈련

시설의 경우 시설장 1인, 정신보건 문요원은 입소정원 15인당 1인, 정신과 문의

1인, 보조원 입소정원 10인당 1인, 양사 50인당 1인으로 구성된다(정신보건

과,1999)<표 II-1-8>.

<표 II-1-8> 사회복귀시설 조직도

시설장

자문교수

운 원회

자문의

장 생활훈련 담당 직업훈련담당

* 성남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 ‘고운 리’조직도

2) 제공서비스

주거시설을 제외한 생활훈련시설, 작업훈련시설, 종합훈련시설의 서비스는 다

음과 같다.

① 생활훈련시설

ㅇ 가정, 학교, 직장 사회생활에 필요한 기술을 습득 는 재습득하도록 하

거나 일상생활을 스스로 유지하는 데 필요한 기능회복 훈련 실시

ㅇ 일상생활훈련, 사회기술훈련, 증상 리훈련 등을 실시

종합훈련시설 : 생활훈련과 작업훈련을 동시에 실시하는 시설

주 거 시 설 : 정신질환으로 가정에서 생활이 어려운 자에게 주거를 제공하는 시설

- 31 -

ㅇ 의사소통훈련, 가사기능재활 로그램 실시

ㅇ 회원들간 자율 회의운

② 작업훈련시설

ㅇ 취업 비 로그램 운

- 이용자의 희망과 상태를 고려하여 합한 취업 취업훈련 모색

- 취업동기 련 토론, 취업 비 련 정보이용방법, 이력서쓰기등 로그램실시

- 합한 취업훈련 실시

- 사회복귀시설내 업무에 자원 사를 하거나 인근 취업장, 기업체 등 견학

사회복귀시설과 연결된 취업장에서의 단기실습으로 개인 취업 비정도 확인

ㅇ 임시취업과정 개설․운

- 임시취업기 확보 이용자 배치

- 임시취업기 방문․임시취업자 지원

ㅇ 독립취업지원 로그램 운

- 독립취업기 확보

- 취업기 방문․지원

- 취업자 모임 개설 지원

․ 취업회원의 기 응을 해 한 개인 집단상담을 실시하고 취업과

정에 생기는 문제해결에 필요한 지원 긴 연락체계 구축

③ 종합훈련시설

ㅇ생활훈련시설과 작업훈련시설에서 수행하는 사업운

ㅇ사회 응 로그램, 직업재활 취업 로그램 운

3) 연계부서와 연계서비스

사회복귀시설 작업훈련시설과 종합훈련시설에는 직업재활담당자가 다른

사례 리자와 구별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직업재활담당자가 여러 지역

사회 서비스와 연계를 담당하게 된다. 사회복귀시설에서는 여러 가지 취업 직

업교육과 취업연결이 활발히 실시되고 있다.

- 32 -

3. 복지부 장애인정책과․재활지원과 달체계상의 직업재활 수행기

복건복지부 장애인정책과․재활지원과 달체계상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

행기 으로는 장애인복지 이 있다. 장애인복지법상 시설구분은 제48조에 의하여

장애인생활시설,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장애인유료복지시

설, 기타 통령령으로 정하는 시설로 되어 있다. 장애인복지 은 장애인복지법

제48조에 의한 시설구분에 의하면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에 속한다. 그러나 법인

체에서 장애인복지 을 운 하면서 기타 직업재활시설을 병설형태로 운 하기 때

문에 장애인복지 의 기능과 역할에 하여 살펴보기로 하겠다.

장애인복지 은 지역사회의 가정 내에서 생활하고 있는 장애인을 상으로

장애의 사정과 평가, 사회심리와 직업재활, 특수교육, 의료재활 등의 종합 인 재

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기 을 말한다. 역사와 조직구조, 서비스 등을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장애인복지 역사와 조직구조

장애인복지 은 1980년 부터 지역단 로 설치되어 재가장애인의 직업재활

교육을 실시하고, 1986년부터는 보호작업장도 운 하 으며, 1987년 장애인 상의

장훈련을 실시하고 2000년에는 장애인종합복지 58개소, 종별복지 20개소가

운 되었다(강선진, 2001). 2002년에는 총 93개의 장애인복지 이 운 되고 있다

(보건복지부, 2002).

장애인복지 에서는 종합 인 장애인재활사업 직업재활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1999년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활법의 제36조 3항에 따라 그 업무의 일부

를 탁받아 ‘직업재활실시센터’로 지정되어 더욱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장애

인복지 은 동법 제48조 제1항 2호에 의한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로 장애인복지

으로 장애인에게 문 인 상담․치료․훈련 등을 제공하거나 여가활동 사

- 33 -

회참여활동 등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하는 시설이라고 정의 내려진다.

장애인복지 의 일반 인 조직도는 <표 II-1-9>와 같다. 복지 의 직제는

장, 사무국장, 일반직, 기능직, 고용직으로 구분된다. 복지 은 장 에 사무국

장 1인을 두고, 사무국장 에 종사자 정원 규모 사업의 특수성에 따라 4~7개

범 내에서 각 을 두도록 되어 있다. 복지 의 은 지원부서로 총무 기

획 을 두고, 사업부서로 상담지원 , 사회재활 , 의료재활 , 직업재활 , 정보화

을 두며 장1인 원 약간명을 두되 필요시 정원규모 사업의 특수성에

따라 지원부서의 경우 총무 과 기획 을 통합하여 ‘총무지원 ’이라고 하며, 사업

부서의 경우 시설장이 자치단체장과 의하여 직제를 추가로 둘 수 있게 되어 있

다(보건복지부, 2002).

<표 II-1-9> 장애인복지 조직도

장 운 원회

사무국장

임상복지

의료재활

직업재활

특수교육

기획

총무

지역사회재활

주간보호

보호작업

직업재활센터

이동목욕센터

재가복지

사센터

*서부장애인복지 조직도“http://www.openlife.or.kr

- 34 -

나. 제공서비스

장애인복지 서비스의 주요 목 은 재활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지역 장애인

의 자활자립과 복지증진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공되는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보건복지부, 2002).

첫째, 진단 정사업 상담 각종 검사, 진단을 통한 정, 장애 등록 지체진단

정 원회 평가 원회 운

둘째, 의료재활사업 장애인의 신체기능 회복을 한 의료재활서비스 제공 진료실

운 ,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청능훈련, 재활보조기구 사용자 착용훈

련 등

셋째, 교육재활사업 장애인에 한 각종 교육재활서비스 제공 조기교육( 유아, 아

동 등), 통합교육, 부모교육, 학습지도(취학아동교육, 문자교육, 검정고시 등),

컴퓨터교육, 각종교구 여, 시․청각장애인기 재활 등

넷째, 직업재활사업 장애인의 경제 안정과 자립 진을 도모하기 한 직업재활

서비스 제공 직업상담, 직업평가, 직업훈련(직능개발훈련, 직업 훈련, 사회

응훈련 등), 보호작업장 운 , 취업알선(지원고용 등), 장 응훈련 사후지도

다섯째, 사회심리재활사업 장애인의 사회참여 확 를 한 각종 사회심리재활서비

스 제공 재활상담(개별, 집단, 가족, 동료 등), 사회 응훈련(캠 , 방과후

활동, 사회기술훈련 등), 심리치료(놀이치료, 심리운동치료, 음악치료, 미술

치료, 치료 크 이션 등), 성교육, 장애가족지원(장애형제 기능강화, 부모

스트 스 처훈련, 장애인의 자녀 지원 등), 자조집단(동아리활동, 부모회

육성), 결혼상담, 공동생활가정, 주간보호센터, 단기보호센터 등

여섯째, 재가장애인복지사업 지역사회장애인의 재가복지서비스 제공 재가복지서비

스(상담, 의료, 교육, 가사지원 등), 지역사회자원활용 연계망 구축, 이동

목욕, 재가 자립지원 등

일곱째, 스포츠 여가 활동사업 신체 , 정신 건강증진을 한 스포츠 여

가 활동 지원 내방장애인 체육 회 개최, 장애유형에 맞는 체육교실운 ,

취미, 여가, 오락 로그램 운 등

여덟째, 정보제공사업 장애 련 정보제공 시각장애인 도서(시청각자료 등) 제작․

출 ․보 ․ 여, ARS운 , BBS 운

아홉째, 수화 련사업 청각․언어장애인에 한 수화서비스 제공 수화교실, 수화

- 35 -

통역 사원 양성 견, 수화자막 비디오 등 상물 제작․보 ․

여 등

열번째, 여성장애인의 복지증진사업 사회 차별 부당한 우를 받기 쉬운 여

성장애인의 권익보호 임신․출산․양육, 가사 지원 등 복지 증진 여성

장애인 상담실 쉼터 운 , 여성장애인 임신․출산․양육․가사보조활

동 지원, 여성장애인 결혼 주선 등

열한번째, 사회교육사업 비장애인의 장애인에 한 인식 개선 참여 조성 장애

체험, 장애인부모교육, 장애인복지 문요원교육(세미나, 워크샵 등), 지

역사회주민교육, 지역 학의 실습생 지도 등

열두번째, 지역사회자원개발 사업 지역사회에 한 장애인의 이해 증진 자원개

발․활용 자원 사자(청소년, 학생, 일반 등) 발굴교육․활동 리,

지역행정기 ․일반 사회단체종사자․교육 언론기 등과의 교류 력

증진, 기타자원개발․활용(인 , 물 자원 등)

열세번째, 홍보계몽사업 지역사회를 상으로 한 장애인식개선 장애 방 등을

한 활동 보 발행, 장애발생 방 캠페인 매스컴을 활용한 장애인식

개선 홍보, 견학 등

열네번째, 조사연구사업 장애인복지증진을 한 조사연구 다양한 재활 로그램

개발․보 지역장애인 욕구 실태 조사, 재활 로그램 개발, 이용자

만족도 조사, 지역장애인 복지정책 개발, 각종 자료제작(도서․시청각

자료 등) 등

열다섯번째, 기타 사업 기타 장애인 복지 증진을 해 필요한 사업 지역특성에 맞

는 재활 로그램 개발, 시행

다. 연계할 부서 연계서비스

장애인복지 의 직업재활서비스와 연계가 가능하며, 제로 운 되기 때문에

직업재활 과 연계하여야 한다. 한 장애인복지 직업재활센터로 지정된 34

개소에서는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활법상 기 지원으로 취업의뢰, 직업평가, 지

원고용 등을 실시하고 있다. 직업재활센터로 지정된 기 과의 활발한 연계가 가

능하다.

- 36 -

제3 연계개념과 선행연구 검토

1. 연계 개념정리

기 간 연계(Inter-organizational linkage)의 개념은 다양한 의미를 포 한다. 前

田信雄(1990)는 연계를 서로 다른 분야가 하나의 목 을 향해서 함께 일을 하는 것으

로 정의하고 있으며, 발 단계에 따라 연락, 연계, 통합의 세 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박경숙, 1996 재인용)14).

Bailey와 Koney(1996)는 서비스 연계(linkage)를 무엇이라고 부르든지 공동 목

을 달성하기 한 공동참여하는 부분들간의 창조 인 력을 강조하는 활동 상호

작용 형태라고 하 다.

박경수(1997)는 연계를 체계 력을 통해 단편 인 서비스가 아닌 복합 ․포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최종 으로 주어지는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기

한 조정노력(coordinate efforts)을 의미한다고 하 다. 한 장애인의 인생주기에

따른 서비스의 종 력과 일정시 에서의 횡 력을 포함하며, 한 연계방법으

로 의뢰, 정보교류, 공동사업추진, 재정공유 등을 한 직 , 간 상호작용을 포

한다고 보았다.

이 듯 선행연구들과 문헌들에서 연계에 한 용어는 기 상호간 제휴

(Inter-agency cooperation), 기 간 상호조정(Inter-agency coordination), 동

(collaboration), 연결망(networking), 서비스 통합(service integration)등을 포함한다.

다양한 연계개념 사용에 있어, 손 훈(1998)은 연계 개념의 정의 거틀로 가장 우

세한 것은 계 발달 이라고 보았다. 즉, 동, 조정, 력이 지역 기 상호간의

노력안에서 단계 으로 발달한다는 것이다. 각 단계는 력(Collaboration), 다 역

14) 연락은 개별조직간 수시의 정보교환이 이루어지는 ‘ ’으로 구성되며, 연계란 다른 조직과

정기 인 업무제휴를 하는 ‘선’으로 구성되고, 통합은 하나의 조직내 항상 인 연계체계를

구축하는 ‘면’으로 구성된다고 개념화 하 다.

- 37 -

력(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조직상호간 력(Interorganizational

collaboration), 기 상호간 제휴(Interagency cooperation), 기 상호간 조정

(Interagency coordination), 기 상호간 력(Interagency collaboration), 조직

리(Trans-Organizational Management)라고 7단계로 구분하 다.

Tobin(1986;이시연외, 2002재인용)도 기 간 계를 계의 긴 정도와 유형에

따라 5단계로 나 어 설명하 다. 즉 의사소통(Communication), 조(Cooperation),

조정(Coordination), 력(Collaboration), 동맹(Confederation)으로 구분하 다<표

II-2-1>.

<표 II-2-1>기 간 상호작용 5단계

수 유 형

의사소통(Communication)

․기 간에 정보나 아이디어를 공유하기 해서 구두나 문서화된

혹은 다른 유형의 제한 인 의사소통

․자문이 포함됨

조(Cooperation)

․2개 이상의 다른 기 이 독립 인 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하지

만 모든 업무는 유사하며 상충되지 않은 목 을 추구함

․기 은 정보를 공유하나 독립 으로 실행함

․조직들은 불필요한 서비스 복을 피하기 한 노력을 함

조정(Coordination)

․2개 이상의 다른 기 이 로그램 계획을 함께 하고 원활한 상호

작용을 조성하고 갈등, 낭비, 불필요한 서비스 복을 피함

․기 은 정보를 공유하고 서로 홍보하고, 의뢰함

력(Collaboration)

․2개 이상의 다른 기 이 단일 로그램이나 서비스를 함께 제공

․각 기 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지키지만 자원은 함께 공유함

동맹(Confederation)

․2개 이상의 기 들이 로그램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해서 동

맹을 맺음

․모든 참여기 은 다른 정체성이나 자원들을 갖지 않음

앞서 살펴본 연계의 의미를 정리하면, 연계의 근본 인 개념은 두 개 이상의 기

이 공동의 목 하에서 함께 력 으로 일한다는 것이며, 한 연계에는 발달 단

계가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개념의 기 하여 연계에 해 논의를

하고자 한다.

- 38 -

2. 기 간 연계에 한 선행연구

기 간 연계에 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기 간 연계에 한 다양한 측면을 연

구한 연구들은 있으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간의 연계에 한 선행연구는 거

의 없었다. 이는 상기 을 정신장애인이라는 상과 직업재활이라는 서비스로 제

한하 기 때문이다. 이에 일반 인 기 간 연계에 련한 선행연구들에 해 살펴보

고 연계에 한 논의요소를 찾고자 한다.

Beatrice(1990)는 조직간 연계를 조정(coordination)의 측면으로 보고, 1986년에

서 1989년 뉴 지 인서비스국에서 변화된 주요 정책을 기반으로 한 기 간 조정

상황을 탐색하여 조정의 장 , 단 , 고려할 요소, 략에 하여 설명하 다. 이 연

구에서 이러한 조직간 조정은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부합될 수 있는 좋은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조직들은 좀더 개방체계여야 한다고 설명하 다.

Wimpfheimer et al(1990)은 조직간 연계를 력(collaboration)의 측면으로 보고,

력의 목 은 클라이언트에게 포 서비스를 제공하고, 둘 이상 기 의 산을 효

과 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하 다. 한 력의 제조건 4가지와 필수조건 4가지를

설명하 다. 제조건으로는 상호이해, 한 시기, 권한과 향력, 창조성을 들었

고, 필수조건은 력기 모두 승자가 되고, 지역내 문제에 한 책임을 인식하고,

험을 공유하고 각 기 의 한계를 인식해야 한다고 하 다.

Woodard와 Doreian(1994)는 정신보건조직의 계망을 조사하 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 서비스가 특화된 조직일수록 연계가 었으며 비교 조직의 역이 큰 조

직이 조직간 계가 활발하여 계에서 심에 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서비스가 특화된 조직일수록 단일한 자원교환이 많고 반면 단체의 경우 여러 다양한

자원의 교환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Provan과 Milward(1995)는 정신보건조직의 조직간 계망과 력체계의 효과성

에 하여 질 , 양 비교연구를 통해서 계망이 하게 통합되어 있을 때, 외부

통제기제가 직 이고 분산되어 있지 않을 때15), 체계가 안정되어 있을 때, 다른

- 39 -

네트웤, 체계 환경자원이 좀더 풍부할 때 가장 효과 이라고 결론내렸다.

Bailey& Koney(1996)는 기 간 력에 한 탐색 연구를 통해서 력을 한

8가지 핵심요소를 명시하 다. 즉, 리더쉽, 멤버쉽, 환경 연계, 략, 목 , 과업,

구조와 체계16)이다.

박경숙(1996)은 사회복지 문요원과 복지 , 보건소의 연계실태와 이에 향을

미치는 요인에 한 연구를 통해 연계담당자의 문성, 역간에 상호호혜성의 원칙

이 요하며, 공동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서비스 연계활성화에 정 인 기여를 한다

고 측하 다. 연계실태에서 나타난 문제 으로는 사회복지 문요원이 담당하고 있

는 가구가 정신장애인과 같이 문요원 단독으로 담당하기는 어려운 특성의 가구일

경우 오히려 연계를 하지 않는 이었다. 정책 함의로는 다음과 같이 6가지 방향을

제시하 다. 첫째, 서비스 연계를 기 의 일상업무로 정착시키기 해 다면 이 지

원이 필요하다. 둘째, 연계할 수 있는 서비스를 다양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연계활성화를 하여 재 잘되고 있는 기 들 사이의 활동을 더 우선 으로 활성화

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연계기 의 서비스 에서 재 연계가 잘되고 있는

것부터 진 으로 활성화시킨다. 다섯째, 서비스연계 형태에 있어 기 간 조직통

합17)이 필요할 경우 각 기 담당자들의 교육을 통한 진 통합이 필요하다. 여섯

째, 효율 인 연계를 하여 클라이언트에 한 정보공유를 한 정보망 설치가 필요

하다고 주장하 다.

15) 계망 효과가 낮게 나타날 때는 외부의 통제가 간 이고 감독과 통제를 하는 지방

정부의 기제가 없을 때라고 하 다.

16) ①‘리더쉽’은 공식 /비공식 으로 력을 지도하고 지시하는 기 과 개인 ②‘멤버쉽’은

력단 에서 지도자를 돕는 기 과 개인 ③‘환경 연계’는 력 계의 지도자, 구성원 과 외

부 조직과 개인들 사이의 계 ④‘ 략’은 력의 공동목 을 실 하기 해 력하기 한

방법과 모델 ⑤‘목 ’은 력의 체목표와 사명 ⑥‘과업’은 력을 한 략을 조작화한

세부 활동 ⑦‘구조’는 목 달성을 해 력할 때에 사람과 과업을 구분하는 방법 ⑧‘체

계’는 력 구조를 유지시키는 운 결속이라고 정의하 다(Bailey & Koney, 1996).

17) 기 간 연계가 제 로 이 지지 않을 때, 서비스의 비연속성과 편성의 문제가 나타난

다. 이 문제들의 해결책을 해 주로 제안되는 것이 ‘서비스 통합’의 개념이다. 통합은 ‘완

통합’ 과 ‘단순 조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련한 다양한 행정 방법으로는 ①종

합서비스 센터 ②단일화된 수창구개발 ③종합 인 정보와 의뢰시스템 구축 ④기타 클라

이언트 사후 리 사례 리 지원 서비스 등 단순 조정방법이 있다(김 종,1998).

- 40 -

박경수(1997)는 장애인 직업재활 수행기 간 연계방안에 한 탐색 조사를 통

해 기 별 역할을 재정립하고, 지역별 의체 구성이 필요하며, 장애인고용 정보망의

구축과 모델사업추진을 제시하 다. 한 문인력의 부족이 연계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보고 기 간 력을 한 교육강화를 주장하 고, 장애인 범주확 에 따라

연계할 기 역의 확 가 필요하다고 하 다.

이 주(1998)는 장애인복지 련조직을 심으로 조직간 계 특성과 결정요인

을 규명하는 연구를 통해 선행연구들의 이론 배경을 두 가지 측면, 즉 자원의존론

(Resource dependency theory)18)과 역이론(Domain theory)19)으로 구분하여 설명

하 다. 연구의 결과로는 조직요인 자원의존도보다는 조직의 역이, 개인요인

문 능력보다 비공식 인맥이 더 큰 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제시하고 조직 계

분석에 있어 조직요인과 개인요인의 종합 분석이 필요함을 나타냈다.

강선진(2001)은 장애인직업재활서비스 기 의 조직간 계에 한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 다. 첫째, 기 간 계를 원활히 하기 해서는 주도 조직과

심조직을 심으로 달체계모형을 기획해야 한다. 둘째, 기 간에 무엇을 교환의

으로 하는 계인가에 따라 조직모형이 달라져야 한다. 셋째, 다양한 자원 즉

로그램 개발, 문인력의 양성, 자 등이 확보되어야 한다. 넷째, 장애유형과 증

도에 따른 직업재활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고 제시하 다.

이시연외(2002)은 지역 력 황 발 방안에 한 사례연구를 통해 력사업

18) 자원의존론의 주요 내용은 조직의 자원부족이나 자원의 불안정 상태가 조직의 안정에

이 되고 이러한 상황에서 조직들은 조직간 계를 형성함으로써 자원부족이나 자원의 불

안정에 응한다는 것이다. 자원의존론에 따르면 자원의존이 클수록 조직간 계는 증가하

게 된다고 본다(이 주,1998).

19) 역이론의 주요내용은 조직간 계를 두 조직간 계로 보느냐, 조직집합, 조직간 계망

으로 분석하느냐에 따라 설명이 달라진다. 우선 두 조직간 계에서는 역이 유사한 정도

에 따라 계가 달라지는데 역의 유사성이 일정정도 확보되면 조직간 계가 증가하다가

역의 유사성이 심하게 증가되면 조직간 경쟁으로 인해 조직간 계가 감소한다는 ‘∩형’

견해가 있다. 한 조직간 계를 조직집합이나 조직간 계망으로 분석할 경우 조직 역

은 조직 역의 특성․ 넓이를 심으로 설명된다. 조직 역 특성으로 볼 때, 조직마다

심으로 하는 기능과 목 이 다르고 이러한 기능과 목 의 상이성은 과업환경(조직이 필요

로 하는 잠재 이고 실재 인 자원에 한 근을 통제하는 모든 외부단체와 조직들)의 차

이를 나타낸다. 따라서 과업환경은 한 조직이 조직간 계를 맺는 범 를 결정하여 결국

조직의 기능과 목 이 조직간 계를 결정하는 맥락을 규정하고 있다(이 주,1998).

- 41 -

의 지속을 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의회가 지향하는 비젼에 한

공유가 제되어야 한다. 둘째, 력사업에 한 기 장의 인식과 심이 제되어

야 한다. 셋째, 력사업에 필요한 산이 확보되어야 한다. 넷째, 의회 업무분담,

배치, 역할지침, 의사소통과 의사결정과정이 체계 으로 조직되어야 한다. 다섯째,

실무담당자의 잦은 교체, 문성, 책임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해 교육, 훈련, 수퍼비

젼 과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기 간 상호성이 제되어야 한다고 제시하 다.

- 42 -

제4 외국의 연계사례

1. 미국- "Wisconsin Pathway to Independence" 기반 연계/조정사례

미국 내에서도 정신건강서비스 체계에서 어려운 은 클라이언트 집단의 다

양화되고 복합 인 욕구에 응하는 것이다. 미국에서 탈시설화가 일어나면서 다

양한 서비스 체계들이 정신장애를 갖은 사람들의 개별 인 욕구 즉, 정신건강, 신

체 건강, 직업재활, 사회보장 등의 서비스 제공을 해 계획되어졌다.

Anthony(2000)는 정신장애인들의 주거, 건강, 경제 , 교육 , 직업 , 사회 지

지 욕구 등의 다양한 욕구로 인해 다양한 서비스 제공자 사이의 조정

(coordination)이 이 지게 되었으며, 정신건강서비스 체계가 이러한 정신장애인들

이 서비스간에서 락되거나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책임이 있다고 하 다.

한 Anthony와 Blanch(1989)는 서비스간 통합시도를 해 무엇을 으로

하는가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 다. 첫째, 법 계와 로그램 모델, 둘

째, 재정 기제, 셋째, 기 간 연계를 강화하려는 략, 넷째, 책임할당이다. 이

러한 네 가지 요소들이 히 합해져서 력이 이 진다고 보았다.

이 듯 미국정신보건계에서는 장 근과 지지자원의 연계, 통합 등이 강조되

면서 지역사회지지체계(CSS: Community Service System)20)를 모색하게 되었으며,

1990년에 미국국립정신보건연구소(NIMH)에서는 지역사회지지체계(CSS: Commun

it-y Service System)에 한 직업재활서비스, 사례 리, 기개입서비스 등의 주요

요소를 정의하고, 29개 사업분석을 통해 지지체계효과를 분석하여, 서비스간 이용

의 유용성, 만족도 등에 정 결과를 도출했다(Anthony, 2000 재인용).

지역사회지지체계(CSS)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특히 표 기능은 지

20) 지역사회지지체계(CSS)는 재활측면을 보완하고 심리사회재활에 을 두며

지역사회 서비스간 통합의 원조책임을 강조한 서비스 체계를 의미한다(양옥

경, 1996)

- 43 -

역기반 사례 리(Case management)이다.

사례 리는 정신장애인에 한 개별화된 상담과 자원연결이 주요한 역할이다.

사례 리자는 정신장애인의 욕구 기능을 사정하고 주변 자원의 이용가능성을

사정한다. 양옥경(1996)은 사례 리의 주요개념을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따른 개

별화된 서비스 제공, 서비스 네크웤 내의 조정(coordination), 조화롭게 조정된 서

비스의 통합(integration), 서비스제공의 연속성(continuity of care)이라고 하 다.

클라이언트 욕구에 따른 체계간의 조정이라는 개념을 다시 정리하여 지역기

반 체계 리(Systems management)라고 하고 이 하 에 제공자간 동, 사례 리,

인력에 한 행동 리 훈련으로 구분하고 있다(Dane county, 2000). 사례 리

은 지역사회내의 핵심기 내에 존재하면서 각종 서비스들을 통합하고 조정하게

되고 이 조를 얻기 해 원회를 결정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원회는 각 기

에 수행하는 역할을 조정하고 체계간의 단 된 부분을 발견하고 통합되도록 하

고 있다(양옥경, 1996, 재인용).

미국에서의 정신장애인 고용 련 지역사회 연계, 통합사업 사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21). 의료 인 장기치료를 필요로 하는 장애인들의 고용을 해 미국

의 스콘신 주에서는 "Wisconsin Pathway to Independence“(이하 WPTI)라는

고용연계 로젝트가 시작되었다.

가. WPTI 목

WPTI의 목 은 장애인들의 고용증 와 임 상승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

고 지역사회내 가치 있는 역할을 하게되며, 독립을 돕는 것이다. 한 이를 통해

공공재정의 지출을 이고 좀더 다양한 근로 장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다. 한 연방정부의 여규정에 한 정책조정을 목 으로 하고 있다.

21) http://www.dhfs.state.wi.us의 내용을 참조하 다.

- 44 -

나. WPTI 연계상황

WPTI는 스콘신의 보건가족서비스국(Department of Health & Family)와 노

동증진국(Department of Workforce Development)과 공동 력을 통해 이 로젝

트를 수행되고 있다. 한 연계되어 있는 력 상은 제일 먼 클라이언트인 장

애인과 가족이며, 직업재활국 등의 직업재활서비스 트 와 Robert Wood Johns

on재단과 사회보장국이 재정지원 트 로 지방정부와 자문 트 로 각 연구기

과 연구지원 트 로 력하고 있다.

이 력 계가 이 지는 요한 요소는 ‘단일한 ’의 자문을 통한 다양한 서

비스에 한 근의 단순화이다. 즉, 모든 참여자들은 고용을 목 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다양한 로그램과 문가에게 서비스를 받기 해서 단지 한

과 상담을 통해 조정된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이러한 지역의 포 지원망(C

omprehensive Assistance Networks)에는 직업, 교육, 보건과 다양한 지원서비스가

모두 포함된다. 각 조직들은 지방 직업재활부와 연계되어 필요한 훈련과 작업장

개선조치, 응보조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함께 일한다. 한 각 조직들은 고용주

를 모집하여 상자들이 고용주가 필요로 하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훈련한다.

이러한 목 은 분 된 의료서비스, 장기치료서비스, 직업재활, 교육, 여 로

그램들을 연계하여 모든 서비스가 직업을 목 으로 배열되고 조정되도록 하는 것

이다. 모든 지지 로그램에 한 ‘ 기반 포 근’이 효과 조정과 유용성을

가져오고 있다.

다. WPTI 서비스

1) 상

WPTI의 상은 정신장애, 증신체장애, 발달장애를 갖은 사람, AIDS나 HIV

감염된 사람 등이다. 모든 참여자들은 보충 보장연 (SSI), 장애수당(SSDI)수혜자

이면서 직업재활국(DVR)서비스 상이 되는 사람이다.

- 45 -

2) 서비스

(1) 부 상담(Benefits counselling)

부상담은 요한 서비스로 모든 참여자들에게 의무 으로 제공된다. 일을

하게됨으로 발생될 수 있는 손실분이 있기 때문에 근로기간에 따라 소득으로 발

생되는 결과에 한 지식이 필요하다. Pathway는 여상담서비스를 지속 으로

강화하기 해 여상담자들에게 지속 인 재훈련과 교육을 받게 하고 있다.

한 스콘신 주는 고용인력사(ERI)와 계약을 통해 여상담자들을 훈련시키고, 서

비스의 질을 평가받고 있다.

(2) 직업/고용서비스의 완벽한 연속체구비

서비스 계약이 된 지역기 들의 주요 상자에 따라 다양한 근들이 되고 있

다. 즉 신체장애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에 해서는 VFP(Vocationl Future

Plan)라는 로그램 하에서 직업서비스가 조정된다. 지역지지 로그램(CSP; Com

munity support program)에 의해 서비스 받는 상자(정신장애인은 이 로그램

에 포함됨)들에 해서는 PACT(Program of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모

델에 의해 직업재활서비스들이 운 된다. 한 정신장애인만을 상으로 하는 클

럽하우스와도 계약을 통해 함께 력하고 있다. Pathway는 각 상자 특성과 기

의 성격에 따라 한 서비스모델을 결정하여 지원하고 있다.

일반 인 지원내용은①직업평가/목표계획, ②직업훈련분석 ③작업장 개선조치분

석, ④구직지원, ⑤고용주 계약, ⑥지속 인 고용자와 고용주 지원 등이다.

(3) 장기 사후 리와 주기 인 개입

Pathway의 특징 하나는 장기간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

서비스 후에 직장을 갖게되거나 훈련을 받게 될 때, 한달에 한번정도 사후 리가

되며, 필요시에 주기 인 개입을 하게 된다.

- 46 -

(4) 새로운 규제와 정책제도 생성

Pathway를 통해 고용을 방해하는 많은 규정들이 사라지고 새로운 정책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주로 자신의 수익을 높이고, 의료보장을 유지할 수 있는 부분

들이다. 다음은 Pathway를 통해 새로 조정된 정책들이다.

- 근로 이거나 일하고자하는 사람 연방정부 빈곤선의 250%까지 medicaid(65

세 미만의 소득층,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의료보장) 상이 되게 함

- 취업시 보충 사회보장수입(SSI)을 포기하게 되는 사람의 경우 수입에 한 세

을 경감시켜주고, 장애상태 검토를 지한다.

- 취업시 사회보장장애보험(SSDI)을 포기하게 되는 사람의 경우 세 경감을 통해

고용을 유도하고, 의료보장은 지속 으로 유지되게 한다.

(5) 연구

연구는 주정부의 책임으로 여러 연구기 , 연구원과 교수인력이 함께 력하

고 있다. 이러한 집 인 연구이유는 논리 인 연구결과를 통한 효과 인 정책

변화를 이 내기 해서이다.

(6) 장애인의 참여와 고용주 연계

Pathway의 특징은 장애인의 요구를 직 듣는 것을 요시하는 것이다.

로그램들은 주로 장애인들로 구성된 감독회의에 의해 운 된다. 회의는 최소 1/4

분기마다 개최되며, 이를 통해 필요한 사업들이 나타난다.

다른 특징은 지역기 과 제공자들이 지역사회의 고용주들과 연계망을 형성하

고 고용주의 자문을 받는 것이다.

- 47 -

2. 일본22)-장애자고용지원센터를 통한 조정/연계 사례

일본의 장애자고용지원시스템은 공공직업안정소, 장애자직업센터, 직업능력개

발기 등을 심으로 체계화, 발 해왔다. 그러나 장애의 증화와 다양화 특히

정신지체인이나 정신장애인의 증가로 인해 기존의 지원시스템의 변화가 필요하

다. 이런 변화 에 하나로 시․읍․면 등 지역사회를 심으로 생활을 지지하는

복지부문과 취업생활을 지원하는 고용부문이 연계를 통해 취직․직장정착에 이를

때까지 상담과 원조를 일 해 실시하는 조직으로 장애자고용지원센터가 설립되었

다. 기존의 공공직업안정소, 장애자직업센터, 직업능력개발기 등의 기능을 살펴

보고, 마지막으로 장애자고용지원센터의 기능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가. 공공직업안정소

공공직업안정소(이하 안정소)의 업무는 직업의 소개, 알선을 기본 인 임무로

하는 공공기 이다. 안정소는 취업을 원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그 주요 역할이며 특히, 취직이 어려운 장애인의 고용 진, 직업안정을 보조

하는 업무 등 역시 요한 업무 의 하나이다. 안정소의 업무는 구직자의 악

과 취직후 사후지도까지 직업재활의 과정에 걸치는 것이지만 ‘취업알선’이 가장

심업무이다. 업무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구직자등록제도:

안정소에서는 창구에서 구직한 장애인은 부 등록 장에 기재하여 본인의

장애정도, 기능, 직업력 등이 기입되는 구직자등록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등록

은 본인에 의해 취소요청이 없는 한, 취직 후에도 지속 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2) 직업재활의 상이 되는 장애인에 한 정보수집:

22) 일본장애자고용 진 회(1998) 地域ベースの障害 雇用支援システムに關する硏究調査硏究

報告No.25, 障害 職業總合センター. 부분발췌

- 48 -

안정소는 장애인의 구직에 한 정보를 수집하여 사업체에 정보를 제공한다.

취직을 희망하면서도 구직등록을 하지 않는 장애인에 해 복지기 과 교육

계기 등에 연계하여 정보를 수집한다.

3) 구인개척 구인개발:

구인개척이란 새롭게 구인신청을 받을 수 있도록 사업체에서 구인확보를 꾀

하는 것이다. 구인개발이란 취직이 힘든 장애인의 직업능력에 맞추어 사업주

에게 작업내용, 작업환경 등에 일정한 개선조치를 의뢰, 조언하여 구인확보를

하는 것이다.

4) 직업지도:

안정소는 장애인이 장애의 종류나 정도에 가장 하다고 생각하는 직업에

취업하여 직업유지를 할 수 있도록 지도, 조언을 해야 한다. 한 필요할 경

우 성검사를 실시한다.

5) 응훈련

안정소는 도도부 의 민간 사업체에 탁하여 장애인이 훈련을 받을 수 있도

록 한다. 이 응훈련에 의해 장애인은 실제 작업을 경험할 수 있다.

6) 취직후 사후지도

안정소는 취직후 장애인이 작업 작업환경에 응하고 있는 지 어떤지를

확인하여, 응이 곤란한 것 같으면 한 상담, 조언, 지도를 한다. 장애인

의 이직, 직은 비교 근속연수가 짧은 사람에게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취직

하고 나서 1년 간은 지속 으로 조언과 지도를 한다. 만약 필요한 경우는 1년

이상 지도를 계속해서 하게 된다.

7) 사업주에 한 리지도

장애자의 고용 진 안정을 하여 장애인을 고용하 거나 고용을 하고자

하는 사업주에 해 기술 사항에 하여 조언과 지도를 한다.

8) 고용율 미달성 사업체 지도

고용율 미달성 사업체에 하여 고용계획의 작성을 명할 수 있다. 이 권한을

- 49 -

극 으로 활용하여 고융율 달성지도에 노력한다. 안정소는 노동 신으로부

터 고용율 달성을 한 지도의 권한을 임 맡고 있다. 사업주가 그 계획실시

를 정히 따르지 않을 경우는 사업체명을 신문에 공표 하도록 하 다.

나. 지역장애자직업센터

장애자직업센터는 장애자직업종합센터, 역장애자직업센터, 지역장애자직업

센터가 있지만, 지역의 취로지원은 지역장애자직업센터가 심이 된다. 그러므로

지역장애자직업센터의 업무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지역장애자직업센터는 각 도도부 에 1개소씩과 주요 도도부 에 5개소의 출

장소가 설치되어 있다. 지역센터는 지역에서의 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추진하는

계시설, 기 의 조정을 하는 시설로 지역의 직업재활의 핵심기 이다. 업무내용

은 다음과 같다.

1) 업무내용

(1) 직업평가:

각종 검사, 조사를 통해 상자의 직업능력과 성을 평가하고 목표를 수립하

여 직업재활계획을 세운다.

(2) 직업지도:

검사와 조사의 결과나 그 밖의 기 등의 정보를 바탕으로 직업과 련된

상자의 자기이해를 돕고, 이를 바탕으로 직업재활계획에 한 여러 가지 원조

를 한다.

(3) 직업 비훈련:

작업장면을 재 한 직업훈련실에서 장애인에게 간이작업을 훈련시켜 기본

인 노동습 을 체득시킨다.

(4) 직업강습:

OA직업강습과 직업 비강습을 설치하여 직업에 필요한 지식 기능을 습득

- 50 -

시킨다.

(5) 직역개발원조사업:

직역개발원조사업은 기존의 방법으로서는 응할 수 없던 직업 인 증장

애인에 하여 민간사업체를 직업재활의 장소로 활용하여 개개인의 직업능력

향상 직역의 확 를 목 으로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구체 으로 1명의 장

애인에 하여 지역센터로부터 통근, 직장생활 등에 해 지원을 하는 생활지

원 트 , 사업체에서 실제 작업과 직무기술지원 트 가 2인 1조가 되어 일

일방식으로 직업생활에 응을 높이고 있다. 기간은 1~7개월 정도이다.

장애인에 해 개별 으로 섬세한 지원을 할 수 있고, 사업체내에도 장애인을

지원하는 경험이 축 되는 등 정 인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6) 직장 응지도:

공공직업안정소등의 계기 과 함께 취직 후 사후 리를 하지만 특히 취직

후의 작업환경이나 인간 계 등의 응이 힘든 장애인을 심으로 심리 , 신

체 문제 에 해 지원한다.

(7) 사업주에 한 지원

장애인고용의 당사자인 사업주에게 장애인 고용에 한 사항(매치, 작업보조

구, 작업설비, 환경, 기타 기술 사항) 등을 원조한다. 한 지역센터에는 ‘장

애인직업상담가’를 배치하여 문 지식과 기술로 직업평가, 직업지도, 직업재

활 계획 등을 세우도록 한다.

2) 지역센터와 공공직업안정소와의 연계

공공직업안정소는 성검사, 직업지도 등을 하게 되어 있지만 정신지체인, 정

신장애인 등 고용 책을 세우기 어려운 경우 지역센터에 연계하여 ‘장애인직업상

담가’가 문 인 직업평가, 재활계획을 세우도록 연계하고 있다. 이때에 구체

으로 공공직업안정소는 ①구직자의 능력 정 등을 의뢰(구직신청자 문 인

직업상담과 능력 정을 받을 필요가 있다고 단되는 자를 의뢰) ②직원 견 의뢰

- 51 -

(취직후 직장 응지도, 사업체에 장애자의 응지도에 한 문지식이 필요한 경

우 지역센터 직원 견의뢰)등을 한다. 지역센터는 지역의 장애인 구직등록을

하고 있지 않은 사람에 하여 능력 정을 한 뒤 그 내용을 안정소에 연락하여

구직등록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 안정소와 직업센터는 직업재활 등에 한

정보 수집과 제공에도 연계를 하고 있고, 안정소가 하는 직업강습회, 순회직업상

담, 고용주 간담회, 특별상담 등에 하여 지역센터 직원의 견 등을 력하거나

지역센터가 하는 직무시행법을 한 력사업소의 업무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다. 직업능력개발 련시설

1) 공공 직업능력개발학교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동시에 직업훈련이 가능한 경우 고용 진사업단 는

도도부 이 설치한 일반 직업능력개발학교에서 훈련을 받도록 되어 있다. 일반

직업능력개발학교에서 직업훈련을 받기 어려운 장애인에 해서는 국가 는 부

에서 설정하는 장애인직업능력개발학교가 장애인의 특성에 따라 직업훈련을 하

고 있다.

장애자직업능력개발학교는 장애인의 장애 정도나 능력에 따라 한 직업훈

련을 문 으로 실시하고 있다. 입학생의 부분은 신체장애인이지만 정신지체

인을 상으로 하는 1개교가 설치되어 있다. 최근에는 사업체에 취직하여 실제

장애인의 기능이나 기술을 짧은 기간에 향상시키는 것을 목 으로 한 단기과정의

훈련이 증가하고 있다.

2) 민간단체, 기업 등의 직업능력향상을 한 훈련, 교육

지역에 장애인 직업훈련은 공공 직업능력개발학교 이외에도 다양한 기 에서

실시되고 있다. 장애가 다양화, 증화 됨에 따라 장애인의 특징이나 특성에 따

- 52 -

라 알맞은 직업훈련이 개발되도록 요구되었다. 공공직업능력개발학교와 민간기업

이나 사회복지시설들이 그 지식과 노하우를 서로교환하고 력하여 직업훈련의

효과를 거두고 있다.

3) 타기 과 장애인능력개발학교와 다른 고용 련기 과의 연계

훈련생의 모집활동과 취직활동에서 연계되고 있으며, 주로 자료의 우송 방

문이 심이 되어 홍보처는 공공직업안정소, 양호학교등의 교육기 , 복지 계단

체가 상이 되고 있다. 아직까지 의료기 에서는 모집활동에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복지, 교육, 의료 등의 연계가 향후 더 발달되어져야 하는 것이 과제이다.

라. 장애자고용지원센터

1) 설립배경

장애인고용 진제도와 각종 서비스에 의해 장애인고용을 주도하고 있던 일본

은 민간기업의 실고용율이 법정고용율 이하로 하회하고 있는 상황에서 증신체

장애인, 정신지체인, 정신장애회복자23) 등 종래의 제도체계로서는 취업이 어려운

장애인이 증가하여 장애인고용정책의 새로운 변화를 요구하게 되었다. 기존 장애

인고용의 달체계는 구직등록, 직업상담, 직업평가, 직업훈련, 취업을 공공직업안

정소와 장애자직업센터, 직업능력개발시설이 심이 되어 실시하는 것이 일반 이

었다. 이 경우, 수산시설 등 복지 계시설에 입소하거나, 양호학교 졸업후 집에서

복지서비스를 받아 소규모작업장에서 일하거나, 기존의 장애인고용 달체계의 편

입되지 못한 신규 장애유형 등 달체계의 비연속성으로 인해 서비스에서 탈락된

상자들의 고용 진이 문제가 되었다. 이에 시읍면 수 에서 복지부문과 고용부

문의 연계를 통해 취직, 직장정착에 이르기까지 상담, 원조를 일 으로 실행하

23) 일본에서는 취업의 상이 되는 ‘정신장애인’의 경우 ‘정신장애회복자’라고 부른

다.

- 53 -

는 인 지원시스템을 구 하는 조직으로 장애자고용지원센터를 설립하게 되었다.

2) 고용지원센터의 기능

(1) 설립구역

고용지원센터의 지정은 도도부 지사가 하나의 시읍면의 구역을 단 에 한

개의 공익법인을 지정하는 것이 원칙이다. 장애자고용지원센터가 하는 장애자고

용지원은 직업과 생활양면에 걸친 서비스로 다양한 기 이 서비스하는 것보다 한

기 이 책임을 갖고 통합 으로 실시하는 것이 효율 으로 사료되어 시작되었다.

한 그 지역사회의 통일 인 직업재활업무의 실시면에서도 한지역의 직업재활업

무의 실시책임을 지는 조직을 1개로 하는 편이 효과 이기 때문이다. 한 2개

이상의 시읍면구역을 한 개의 공익법인인 고용지원센터가 지원할 수 있는 역형

고용지원센터도 실시되고 있다.

(2) 지원 상자

고용지원센터의 지원이 상으로 삼는 장애자는 증신체장애자, 정신지체인,

정신장애회복자이다. 구체 으로 직무수행능력에 있어, 지역센터가 실시하는 직

업 비훈련을 한후 즉시 취직되기 어려운 사람, 일상․사회면을 포함한 직업생활

상면에 제한이 있어 취업을 한 지도와 생활면의 지도가 동시에 필요한 사람, 취

직 후 직장부 응으로 이직한 사람이나 휴직하고 있는 사람 등이다.

3) 업무내용

(1) 직업 비훈련:

고용지원센터는 지원 상자에 하여 필요한 직업 비훈련을 한다. 이것은

장애의 종류나 정도에 따라 직업생활에 필요한 기본 인 사항을 익히고 직업능력

유지에 필요한 취업 훈련이다. 구체 으로 볼펜 분해나 조립, 메모장 만드는

- 54 -

작업훈련, 일상생활이나 직업생활에 필요한 작문이나 계산등의 학습, 직업인으로

서의 매 와 규칙을 배우는 생활훈련과 인 계훈련 등 지원 상자의 능력에 따

라 여러 가지 훈련이 구성된다.

(2) 직장견학 등의 실시

고용지원센터 내에서의 경작업에 종사하는 것 등에 의해 기본 인 직업습

을 익히고 지원 상자에 해 직업 비훈련의 일환으로 지역에서의 사업체를 활

용한 직장견학이나 직장실습을 실시한다. 직장실습을 통해 직장 응성을 높인다.

(3) 수산시설 등과의 긴 한 계

고용지원센터에 기 되는 역할의 하나는 복지부문과 노동부문의 계역할이

다. 고용지원센터는 수산시설 등의 사회 사시설의 입소자, 양호학교 졸업후 재

택장애자, 소규모작업소의 장애자 등 직업재활을 희망하는 사람들의 악에 노력

한다. 이러한 이유로 수산시설 등을 정기 으로 방문하게 되어 있다.

(4) 자원 사자 등록, 연수

지원 상자가 취업할 연구 여러 가지 면에서 도움이 필요하다. 를 들어 통

근, 직업생활지원, 업무지원 등이다. 고용지원센터로서는 이를 지원해 수 있는

자원 사자를 모집하여 희망하는 경우, 연수교육을 통해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익

히게 하여 ‘고용지원자’로 등록한다. 그러므로 고용지원자는 순수한 자원 사자역

할이다.

(5) 취직후 직장정착을 한 지도

고용지원센터는 취직이 특히 곤란한 장애인을 상으로 삼고 있지만 취직후

서비스가 종료되는 것이 아니라 취직유지가 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상담, 조언,

원조를 하고 있다. 구체 으로는 인간 계, 통근원조, 주택문제에 한 도움 등이

다.

(6) 사업주에 한 조언과 원조

사업주의 이해와 력이 없으면 장애인의 직장정착은 어렵다. 그래서 고용지

원센터에서는 고용지원 상자의 장애의 특성이나 능력을 정확하게 악하여 고용

- 55 -

리의 방법에 해서 사업주에게 조언을 한다. 여러번 직장유지에 어려움을 나

타내는 장애인의 경우 지속 으로 직장방문을 통해 원조를 한다.

4) 다른 고용 련기 과의 연계

고용지원센터는 직장견학 등의 력사업체의 선정에 있어 공공직업안정소에

서 장애자다수고용사업체, 직장 응훈련실시사업체 등의 한 정보의 제공 직

장견학 등에 있어서의 력을 받는다. 고용지원센터에서 서비스 받고 있는 지원

상자 취직의 가능성이 상되는 사람으로 구직등록을 하지 않고 있는 사람

에 해서는 거주지의 공공안정소에 지역센터에 있어 직업평가의 결과 소견

고용지원센터에 있어 직업 비훈련 실시 후 상황 기타 필요한 사항을 연락하는

것으로 한다. 기타, 고용의 장소의 확보, 취직후의 사후지도에 력을 한다. 고

용지원센터는 지원 상자의 직업평가를 지역센터에 의뢰하는데 사 에 지원 상

자의 정보를 제공하여 직업평가가 실시되도록 한다. 고용지원센터는 지역센터에

있어 책정된 직업재활계획에 기반해서 직업 비훈련의 업무를 하게 되어 있다.

5) 향후 고용지원센터의 역할 개

향후 고용지원센터의 역할과제는 다음과 같다.

(1) 상자의 변화에 따른 지역에서의 복지부문과 연계

장애자의 취업지원시스템은 술했듯이 상자의 변화로 인하여 문제가 발생

되었다. 신체장애인이 주된 상자이던 직업재활시스템으로서는 공공직업안정소,

장애인직업센터, 장애인능력개발학교 등이 각각 그 기능을 다하여 역할분담을 통

해 지원을 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장애가 증화, 다양화되고, 정신지체인과 정신

장애회복자가 증가함에 따라 취업지원시스템의 재편이 필요해졌다.

생활과 취업은 분리될 수 없으며, 장애인취업을 해서는 지역기반으로 복지부

문과 노동부문이 연계되는 것이 효과 이다. 그러므로 향후 상자변화에 따른

지역기반 연계역할기능이 고용지원센터의 역할이다.

- 56 -

(2)취업 비

정신지체인, 정신장애회복자 등의 기 직업 비, 일반 직업 비는 요

한 일이다. 일본에서는 증장애인의 취업에 있어 직업 비가 반드시 필요한 것

이 아니라고 보면서, 오히려 사업체 쪽의 비가 요하다는 논의도 있다. 그러므

로 고용지원센터에서도 향후 더 확 실시하고자 한다.

(3) 상담원조

취업을 한 후 이직시 상담원조기 의 직업재활역할이 필요하다. 이 에는 학

교, 사회복지시설, 공공직업안정소, 갱생상담소, 복지사무소 등이 상담원조의 역할

을 해왔다. 이같은 상담원조는 언제나 필요할 때마다 계속해서 직업훈련, 직업평

가, 직업지도가 필요하고 이직이라는 체험시 심리 손상을 상담할 수 있는 생활

지원 등도 필요하다. 노동부문와 복지부문의 력기 이며 이용자 1명, 1명에게

심을 보낼 수 있는 소규모 시설인 고용지원센터는 이러한 상담원조기 에 알맞

은 것이다.

(4) 조정(coordination)기능을 갖은 장애자고용지원센터

정신지체인, 정신장애회복자의 취업생활이 지속 으로 유지되기 해서는 취

업을 포함한 생활 반을 지지해주는 제도나 시스템이 필요하다. 복지부문은 주로

생활면의 지원을 하고, 노동부문과 복지부문과 연계 속에서 취업에 한 지속된

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일본에서 장애인취업이 성공 으로 진행되는 지역사례

의 특징은 상자 개별 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취직후 장기에 걸친 사후지

도이다.

종래의 직업재활시스템은 각 문기 이 각각의 문성을 높여 역할분담을 명

확히 하여 기 상호의 연계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직업재활에 계된 다른

역(복지, 교육, 의료, 주택 등)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도 요하다. 이러한 사회

자원이 충분히 활용되도록 정보를 수집하여 정리하고, 지원 상자에게 효과 인

서비스 조정을 통해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향후 요 과제이다.

- 57 -

3. 독일24)-정신보건 앙센터(Zentralinstitute fuer seelische Gesundheit)를 통한 조정/연계 사례

독일의 정신보건복지제도에 해 연구한 김미원(1995)에 따르면 독일의 정신

보건복지는 별도의 제도가 있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신체장애인 심의 제도에

포함되어있다. 독일의 정신장애인의 개념은 만성장애라는 포 인 의미로 이해

된다. 만성장애란 독일사회부조법(BSHG)에 규정된 신체장애뿐만 아니라 ‘정신’

인 장애를 포 으로 포함하는 말이다. 사회법 으로 만성장애의 핵심은

‘사회 안에서의 삶에 참여’하는 능력과 련되어 이해되어지고 있다.

구체 으로 정신장애인은 정신분열증, 정신질환자 혹은 뇌조직질환자 등을 포

함하는데 독일사회부조법(BSHG)의 통합원조규정(제3장 1 로 정신장애인의 사회

통합원조를 규정)에 의한 정신장애인을 정신 장애로 인하여 사회통합능력을 크

게 침해 받은자로 ① 신체 원인에 기인하지 않는 정신질환자, ② 질병, 뇌손상,

간질 는 다른 신체 손상의 결과로 야기된 정신질환 ③ 독증(알콜 독, 약물

독) ④ 노이로제, 인성장애로 규정되고 있다.

1970년에 재활추진을 한 행동 로그램(Akitionsprogramm, 1970)이 제정되

어 신체장애인이든 정신장애인이든 상 없이 재활원조를 주어야 한다는 정책이

세워졌다. 이 조처에 따라 모든 장애인은 장애유형에 상 없이 직업과 사회통합

을 한 포 인 의학 , 직업 원조를 요청할 수 있게 되었다.

독일의 정신보건제도는 다양한 련제도 즉 의료제도, 연 제도, 장애인의 사

회복귀와 노동시장의 복귀를 한 각종법(노동 진법, 증장애인법, 재활조정법)

의 규정을 받는다.

재활조정법(Rehabilitationsangleichungsgesetz)은 재활담당기 들의 재활 련

법 조항을 조정함으로써 장애인의 서비스를 통합시키려는 목 하에 만들어졌다.

이 법은 재활기 들의 조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해 연방노동국

(Bundesanstalt fuer Arbeit:BA)이 장애인의 상담에 한 의시 우선 지 를 갖

24) 김미원, "독일의 정신보건복지 달체계에 한 연구"1995. 부분발췌

- 58 -

게 함과 동시에 각 기 의 서비스 조정에 문제가 발생하기 조가 이루어지도

록 하고있다. 장애인을 한 재활은 서비스 제공이 법 으로 명시된 청, 법인

체, 시설만이 할 수 있는데 이 기 들의 서비스 기 에 차이가 있거나 문제가 생

기면 재활기 은 연방노동국(BA)에 재활통합안을 요청할 수 있다. 연방노동국

(BA)는 구체 사례에서 장애인이 재활가능성이 높으며 지속 통합가능성을 고

려하여 방안을 제시하며, 이 제시가 거부될 경우 최종 결정은 재활기 이 한다.

<표 II-3-1> 독일 정신보건제도의 구성

진단범주 책 기 기

공 부조 상 이나 서비스제공 담당 청 BSHG 증장애인법

취업 직업불능 조기연 의사처방에 의한 연 보험 RVO

험성:

자기자신 경우

타인경우

기록.상담/강제입원

입원/권리박탈

보건국

법원결정에 의해 결찰,

가정복지국

BGB

교육/부부, 생활문제 치료 상담,훈련 상담시설 BSHG, 복지기

신경증 문제 정신분석 개업한 정신과의사 RVO

정신 질병 의학 치료 개업의/병원 RVO

노동불능 질병신고/치료 개업의 RVO

취업능력의 상실 직업 책 직업 진기 재활법

정신장애 재활 책요양클리닉,공동시설주간

휴양시설, 클럽 등재활법

노령 간병양로시설/간병시설,

지역사회간호사BSHG,RVO

독일의 경우도 재활, 고용, 주거에 한 보충 서비스들이 서로 독립 인 기

들의 연결망을 통해 구성된다. 이 게 다양한 조직과 인원이 여하므로 정신

보건 재활계획과 련한 각 기 과 문인력들의 조정이 필요했다.

독일에서는 이러한 조정에 해 지역마다 차이가 있지만 정신보건 앙센터의

건립을 통해 조정을 하고 있다. 서비스 할의 기본단 가 지방자치단체로 되어

있는 독일은 시장의 심의하에 설치된 정신보건 앙센터(Zentralinstitute fuer

seelische Gesundheit)는 지역의 공동거주시설, 보호작업장, 클럽, 여가선용단체 등

여러 기 에 한 조정을 하고 있다.

- 59 -

제3장 연계실태 요구분석

본 장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간 연계실태와 연

계요구에 하여 살펴보았다.

제1 연계실태

본 연구의 목 에 따라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02년 8월 19일부터 8월

31일까지 실시된 설문조사를 통해 성실하게 응답한 122개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

되었다.

1. 조사 상자 상기 일반 특성

가. 조사 상자의 일반 특성

조사 상자의 일반 특성은 <표 III-1-1>과 같다. 설문응답자 122명 남성

은 31.1%(38명), 여성은 68.9%(84명)로 나타났다. 연령 는 20 가 51.6%(63명),

30 가 42.6%(52명), 40 가 4.9%(6명)를 차지하 으며, 평균연령은 30세 다. 교

육수 은 졸이 59.8%(73명)로 가장 많았고, 학원이상이 39.3%(48명), 고졸이

0.8%(1명)로 나타났다. 결혼상태는 미혼이 56.6%(69명), 기혼이 43.4%(53명)이었

다. 조사 상자의 총경력기간은 ‘1~3년’이 44.5%(53명)으로 가장 많았고, ‘4~6년’

이 28.6%(34명), 7~9년이 10.9%(13명), ‘10년 이상’이 16.0%(19명)으로 조사되었으

며, 총평균경력기간은 4년 7개월로 나타났다. 조사 상자의 근무지의 근무기간

은 ‘1~3년’이 75.2%(91명)이 가장 많았고, ‘4~6년’이 17.4%(21명), ‘7~9년’이 3.3%(4

명), ‘10년 이상’이 4.1%(5명)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근무지 근무기간은 2년 2개

- 60 -

월로 나타났다. 문가유형은 사회복지사가 61.5%(75명)로 가장 많았고, 간호사

11.5%(14명), 직업재활사 10.7%(13명), 임상심리사 9.0%(11명), 직업훈련교사 1.6%(2

명), 기타 5.7%(7명)로 나타났다.

<표 III-1-1> 조사 상자의 일반 특성

변인 구분 빈도수(N) 백분율(%)

성별남자 38 31.1여자 84 68.9

연령

20~29세 63 51.630~39세 52 42.640~49세 6 4.9

교육수

고졸 1 0.8졸 73 59.8

학원이상 48 39.3

결혼여부미혼 69 56.6기혼 53 43.4

근무지 근무기간

1~3년 91 75.24~6년 21 17.47~9년 4 3.3

10년이상 5 4.1

총경력 기간

1~3년 53 44.54~6년 34 28.67~9년 13 10.9

10년 이상 19 16.0

문가유형

사회복지사 75 61.5직업재활사 13 10.7간호사 14 11.5

임상심리사 11 9.0의사 0 0.0

직업훈련교사 2 1.6기타 7 5.7

- 61 -

나. 조사 상기 의 일반 특성

1) 조사 상기 의 일반 특성

조사 상기 은 사회복귀시설이 42.6%(52개소)로 가장 많았고, 정신보건센터

는 27.0%(33개소), 공단지사 산하기 은 11.5%(14개소), 장애인복지 은

18.9%(23개소)로 나타났다.

기 의 소재지는 경기지역이 26.2%(32개소)로 가장 많았고, 서울은 23.0%(28개

소), 인천 2.5%(3개소), 3.3%(4개소), 충남 4.1%(5개소), 충북 0.8%(1개소),

주 3.3%(4개소), 남 0.8%(1개소), 북 6.6%(8개소), 강원 1.6%(2개소), 구

8.2%(10개소), 경북 4.1%(5개소), 울산 2.5%(3개소), 부산 4.9%(6개소), 경남 4.1%(5

개소), 제주 4.1%(5개소)로 나타났다.

기 의 설립연도는 주로 1991년에서 2000년 사이(73.3%)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1996년에 설립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 의 직업재활실시연도를 통해 1990

년 부터 2000년 이후까지 지속 으로 직업재활을 실시하는 서비스기 이 늘어나

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평균 으로 1997년에 직업재활을 서비스하는 기 이 많

이 나타났다.

조사 상기 의 36.9%(45개소)가 직업재활업무만을 담하는 인력이 없었고,

담인력이 있는 기 은 63.1%(77개소)로 조사되었다. 상기 의 74.8%(89개소)

가 직업재활 산이 있었으며, 나머지 25.2%(30개소)는 직업재활 산이 없는 것으

로 나타났다. 한 조사 상기 들은 부분(92.5%) 정신장애인에게 서비스를 제

공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62 -

<표 III-1-2> 조사 상기 의 일반 특성 I

변인 구분 빈도수(N) 백분율(%)

기 유형

사회복귀시설 52 42.6정신보건센터 33 27.0

공단 지사 산하기 14 11.5장애인복지 23 18.9

기 소재지

서울 28 23.0경기 32 26.2인천 3 2.5

4 3.3충남 5 4.1충북 1 0.8주 4 3.3남 1 0.8북 8 6.6

강원 2 1.6구 10 8.2

경북 5 4.1울산 3 2.5부산 6 4.9경남 5 4.1제주 5 4.1

기 설립연도

1981년~1990년 16 13.31991년~2000년 88 73.3

2001년 이후 16 13.3

기 의

직업재활실시연도

1981년~1990년 13 11.51991년~2000년 68 60.2

2001년 이후 32 28.3

직업재활 담인력

유무

유 77 63.1무 45 36.9

직업재활 산유무유 89 74.8무 30 25.2

정신장애인 서비스

경험 유무

유 111 92.5무 9 7.5

- 63 -

조사 상기 의 상근직원수, 직업재활 참여인력수, 담인력수, 직업재활 산

비율, 정신장애인의 장애인등록율은 분포가 비 칭 (skew)이서 앙값을 함께 살

펴보았다<표 III-1-3>. 상근직원수는 4명, 이 직업재활에 참여하는 인력수는 3명

으로 나타났다. 한 직업재활업무만 담하는 인력은 2명 정도로 나타났다. 직

업재활 산비율은 8%로 나타났으며, 사회복귀시설의 경우 직업재활 산이 구분되

어 책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다른 기 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조사 상기

에서 서비스 인 정신장애인의 장애등록비율은 45.7%로 조사되었다.

기 유형에 따라 직업재활 담인력 유무를 살펴본 결과<표 III-1-4>, 사회복귀

시설과 정신보건센터는 담인력이 없는 경우가 각각 55.8%, 44.2%로 높게 나타

났으며, 공단과 장애인복지 은 거의 직업재활 담인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

다.

<표 III-1-3> 조사 상기 의 일반 특성 II

변인 앙값 평균 표 편차 최소 최

상근직원수 4.0 15.6 21.1 1.0 115.0

직업재활참여인력수 3.0 6.7 12.0 0.0 64.0

담인력수 2.0 6.5 8.9 1.0 40.0

직업재활산 비율

8.0 20.6 32.2 0.0 100.0

정신장애 등록율 45.7 49.2 34.2 0.0 100.0

*분포가 비 칭 이어서 앙값을 함께 제시함

<표 III-1-4> 조사 상기 의 일반 특성 III

변인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공단기 장애인복지 체

인력

무 29(55.8%) 14(42.4%) 2(14.3%) 0(0.0%) 45(36.9%)유 23(44.2%) 19(57.6%) 12(85.7%) 23(100.0%) 77(63.1%)

계 52(100.0%) 33(100.0%) 14(100.0%) 23(100.0%) 122(100.0%)산

유무

무 21(42.0%) 9(28.1%) 0(0.0%) 0(0.0%) 30(25.2%)유 29(58.0%) 23(71.9%) 14(100.0%) 23(100.0%) 89(74.8%)

계 50(100.0%) 32(100.0%) 14(100.0%) 23(100.0%) 119(100.0%)

- 64 -

2) 기 별 재 제공 인 직업재활서비스

기 별로 정신장애인에게 제공 인 직업재활서비스25)를 살펴보았다<표

III-1-5><그림 III-1-1>. 조사결과, 련 기 들은 직업 비훈련, 직업기술훈련,

보호작업장을 제외하고 모든 직업재활서비스를 차별성 없이 제공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한 반 으로 정신장애인의 직업기술훈련서비스 제공(29.8%)이

타서비스에 비해 취약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III-1-5> 기 별 정신장애인에게 제공 인 직업재활서비스 내용

직업재활서비스 사회복귀시설정신보건센터 공단기 장애인복지 체

직업상담( 수) 44(86.3)

31(93.9)

13(92.9)

23(100.0)

111(91.7)

직업평가 27(52.9)

25(75.8)

13(92.9)

23(100.0)

88(72.7)

직업 비훈련 48(94.1)

31(93.9)

6(42.9)

23(100.0)

108(89.3)

직업기술훈련 10(19.6)

7(21.2)

6(42.9)

13(56.5)

36(29.8)

보호작업장 25(49.0)

20(60.6)

1(7.1)

16(69.6)

62(51.2)

지지고용 29(56.9)

27(81.8)

11(78.6)

22(95.7)

89(73.6)

취업의뢰 33(64.7)

26(78.8)

13(92.9)

23(100.0)

95(78.5)

장방문지원 33(64.7)

26(78.8)

12(85.7)

21(91.3)

92(76.0)

사후지도서비스 41(80.4)

30(90.9)

13(92.9)

22(95.7)

106(87.6)

사업체개발 35(68.6)

25(75.8)

11(78.6)

23(100.0)

94(77.7)

기타 2(3.9)

1(3.0)

0(0.0)

1(4.3)

4(3.3)

계 51(42.1)

33(27.3)

14(11.6)

23(19.0)

121(100.0)

* 복응답, **50%이상인 항목에 ▨

25) ①직업상담: 직업 목표성취와 련한 재활계획수립, 조정, 심리 상담 ②직업평가: 직업 성검사, 작업표본평가, 사회기술훈련/ 인 계기술 평가 등 ③직업 비훈련: 직업훈련 인 인 계훈련, 일상생활훈련 등 ④직업기술훈련: 제빵기술, 인쇄기술, 속공 기술, IT기술 등 ⑤보호작업장: 작업활동, 보호작업, 생산품 매, 직업훈련시설에 설치된 작업장 ⑥지지고용: 임시고용, 지원고용 포함된 지원서비스 ⑦취업의뢰: 취업알선, 경쟁․일반고용지원 ⑧ 장방문지원: 취업장 장방문지원, 직무지도 역할 등 ⑨사후지도서비스: 취업이후 지속 사례 리 서비스 ⑩사업체개발: 취업할 수 있는 사업체, 사업장 발굴

- 65 -

<그림 III-1-1> 기 별 정신장애인에게 제공 인 직업재활서비스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직업상담

직업평가

직업전준비훈련

직업기술훈련

보호작업장

지지고용

취업의뢰

현장방문지원

사후지도서비스

사업체개발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공단기관 장애인복지관

2. 연계의식 태도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 수행기 담당자들의 연계에 한 의식과 태도

타기 사업 담당자 인지, 정신장애인 이해를 한 교육경험에 하여 조사

하 다.

가. 연계의 필요성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에 있어 연계의 필요성에 해서 5 척도(‘매우 필요하

다’ . ‘ 필요하지 않다’)로 조사한 결과, 평균 4.73으로 나타났다. 즉, 연계필요

- 66 -

성에 해서는 부분 매우 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표 III-1-6>.

담당자의 근무하는 기 별로는 정신보건센터(4.80)가 제일 높게 나타났고, 사회복

귀시설(4.73), 공단기 (4.60), 장애인복지 (4.40)순으로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었다.

<표 III-1-6> 연계 필요성 인지

변인 평균 표 편차 최소 최

연계필요성 4.73 0.48 3.0 5.0

<표 III-1-7> 기 별 연계 필요성 인지

변인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공단기 장애인복지

연계필요성 4.73 4.80 4.60 4.40

나. 타기 자원의 요성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에 있어 타기 자원의 요성을 어느 정도로 인지하고

있는지 5 척도(‘매우 요하다’, ‘ 요하지 않다’)로 조사한 결과, 평균 4.70

으로 나타났다<표 III-1-8>. 즉, 타기 자원에 해서 부분 매우 요하다고 인

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담당자의 근무하는 기 별로는 정신보건센터(4.82)가

제일 높게 나타났고, 사회복귀시설(4.76), 장애인복지 (4.57), 공단기 (4.50) 순으

로 타기 자원의 요성을 인지하고 있었다<표 III-1-9>.

<표 III-1-8> 타기 자원의 요성 인지

변인 평균 표 편차 최소 최

타기 자원 요도 4.70 0.46 4.0 5.0

<표 III-1-9> 기 별 타기 자원 요성 인지

변인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공단기 장애인복지

연계필요성 4.76 4.82 4.50 4.57

- 67 -

다. 련기 사업과 담당자인지

1) 기 별 사업인지도

조사 상자들에게 공단, 장애인복지 ,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의 상호 사

업에 해 어느 정도 알고 있는지 5 척도로 조사한 결과, 공단사업에 해서는

3.6 , 장애인복지 사업에 해서는 3.5 , 사회복귀시설 사업은 4.0 , 정신보건

센터 사업에 해서는 3.9 정도로 사업에 하여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부분 ‘보통’ 정도로 상호기 에 한 사업을 인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III-1-10> 련기 사업내용 인지

상기 평균 표 편차 최소 최

공단기 3.6 0.97 1.0 5.0장애인복지 3.5 0.98 1.0 5.0사회복귀시설 4.0 1.02 1.0 5.0정신보건센터 3.9 0.93 1.0 5.0

2) 기 별 담당자 인지여부

(1) 련기 담당자 인지여부

련기 의 담당자들에 해서 알고 있는지에 하여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부분(72.2%)이 련기 의 담당자에 하여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

나 공단의 담당자와 장애인복지 의 담당자에 해서는 각각 모른다는 응답이

33.0%, 34.8%로 다소 높게 조사되었다.

<표 III-1-11> 련기 담당자 인지여부

상기 공단기 장애인복지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체

인지

여부

유 77(67.0%) 75(65.2%) 95(81.2%) 91(79.1%) 338(73.2%)무 38(33.0%) 40(34.8%) 22(18.8%) 24(20.9%) 124(26.8%)

계 115(100.0%) 115(100.0%) 117(100.0%) 115(100.0%) 462(100.0%)

- 68 -

(2) 기 별 련기 담당자 인지여부

① 조사 상자들의 공단담당자 인지여부

공단 담당자에 한 다른 기 종사자들의 인지여부를 살펴본 결과, 장애인복

지 종사자들은 부분(90.5%)이 공단 담당자에 하여 알고 있었으며, 사회복귀

시설 종사자와 정신보건센터 종사자들은 각각 55.1%, 57.6%가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III-1-12> 공단 담당자 인지여부

공단 담당자 Total안다 모른다

사회복귀시설종사자 27(55.1%)

22(44.9%)

49(100.0%)

정신보건센터 종사자 19(57.6%)

14(42.4%)

33(100.0%)

장애인복지 종사자 19(90.5%)

2(9.5%)

21(100.0%)

② 조사 상자들의 장애인복지 담당자 인지여부

장애인복지 담당자에 한 다른 기 종사자들의 인지여부를 살펴본 결과,

공단 종사자와 정신보건센터 종사자들의 각각 69.2%, 69.7%가 장애인복지 담당

자를 알고 있었다. 그러나 사회복귀시설의 종사자들은 45.2%만이 장애인복지

담당자를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III-1-13> 장애인복지 담당자 인지여부

장애인복지 담당자 Total안다 모른다

사회복귀시설 종사자 22(45.8%)

26(54.2%)

48(100.0%)

정신보건센터 종사자 23(69.7%)

10(30.3%)

33(100.0%)

공단기 종사자 9(69.2%)

4(30.8%)

13(100.0%)

- 69 -

③ 조사 상자들의 사회복귀시설 담당자 인지여부

사회복귀시설 담당자에 한 다른 기 종사자들의 인지여부를 살펴본 결과,

공단 종사자와 정신보건센터 종사자들의 각각 78.6%, 81.3%가 사회복귀시설 담당

자를 알고 있었다. 그러나 장애인복지 종사자의 반이상(54.5%)은 사회복귀시설

담당자를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III-1-14> 사회복귀시설 담당자 인지여부

사회복귀시설 담당자 Total안다 모른다

정신보건센터 종사자 26(81.3%)

6(18.8%)

32(100.0%)

공단기 종사자 11(78.6%)

3(21.4%)

14(100.0%)

장애인복지 종사자 10(45.5%)

12(54.5%)

22(100.0%)

④ 조사 상자들의 정신보건센터 담당자 인지여부

정신보건센터 담당자에 한 다른 기 종사자들의 인지여부를 살펴본 결과,

공단 종사자와 사회복귀시설 종사자, 장애인복지 종사자들의 각각 92.3%,

80.9%, 54.5%가 정신보건센터 담당자를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III-1-15> 정신보건센터 담당자 인지여부

정신보건센터 담당자 체

안다 모른다

사회복귀시설 종사자 38(80.9%)

9(19.1%)

47(100.0%)

공단기 종사자 12(92.3%)

1(7.7%)

13(100.0%)

장애인복지 종사자 12(54.5%)

10(45.5%)

22(100.0%)

- 70 -

기 별 련기 담당자 인지여부를 도식화하여 정리해보면 <그림 III-1-2>와

같이 나타난다. 즉, 사회복귀시설과 공단, 공단과 정신보건센터, 정신보건센터와

장애인복지 , 장애인복지 과 공단, 사회복귀시설과 정신보건센터 담당자 상호간

에는 50%이상 안면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복귀시설과 장애인복지

상호간 담당자에 한 인지는 상호간 50%이하로 담당자간 안면이 부족한 것으

로 나타났다.

<그림 III-1-2> 기 별 담당자 인지 도식화

공단

사회

복귀

시설

장애인

복지

정신

보건

센터

50%이상 안다 :

50%미만 안다 :

- 71 -

라. 정신장애인에 이해교육(다양한 정신보건교육) 경험 유무

조사 상자들의 정신장애인에 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지에 하여 살

펴보았다. 조사결과, 조사 상자의 85.8%가 정신장애인을 이해하기 한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 별로 살펴보면, 사회복귀시설과 정신보건센터에 근무

하는 담당자들은 90%이상이 모두 정신장애인에 한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

다. 반면, 공단과 장애인복지 담당자들 각각 42.9%, 33.3%가 정신장애인에

한 교육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들 기 종사자들의 교육이 강화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표 III-1-16> 기 별 정신장애인 이해를 한 교육 경험 유무

변인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공단기 장애인복지 체

교육

유무

유50

(96.2%)31

(93.9%)8

(57.1%)14

(66.7%)103

(85.8%)

무2

(3.8%)2

(6.1%)6

(42.9%)7

(33.3%)17

(14.2%)계 52

(100.0%)33

(100.0%)14

(100.0%)21

(100.0%)120

(100.0%)

<그림 III-1-3> 기 별 정신장애인 이해를 한 교육경험 유무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100.0%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공단 장애인복지관

교육경험 유무

- 72 -

3. 연계실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서비스 수행기 들의 연계경험과 연계형태, 연계횟수,

사례의뢰와 사후연락, 인지된 연계정도에 하여 살펴보았다.

가. 연계경험

1) 연계 경험 여부

지난 1년간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시 련 기 과 연계한 경험이 있는지에

하여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88.0%가 연계경험이 있었고, 응답자 12.0%는 다른

기 과 연계한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III-1-17> 지난 1년 간 연계경험 유무

변인 구분 빈도수(N) 백분율(%)

연계경험 유무유 103 88.0무 14 12.0

<그림 III-1-4> 연계경험 유무

연계경험

유88%

무12%

- 73 -

2) 기 별 연계경험 여부

① 기 별 공단과 연계경험 여부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시 공단과 련기 의 연계경험을 살펴보면, 정신보건센

터와 사회복귀시설은 각각 60.6%, 59.6%로 연계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

면 장애인복지 은 30.4%로 연계경험이 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III-1-18> 공단과 연계경험 유무

련기 공단과 연계 체

무 유

사회복귀시설 21(40.4%)

31(59.6%)

52(100.0%)

정신보건센터 13(39.4%)

20(60.6%)

33(100.0%)

장애인복지 16(69.6%)

7(30.4%)

23(100.0%)

② 기 별 장애인복지 과 연계경험 여부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시 장애인복지 과 련기 의 연계경험을 살펴보면, 정

신보건센터의 경우 60.6%가 연계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복귀시설과

공단은 각각 46.2%, 21.4%로 연계경험이 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III-1-19> 장애인복지 과 연계경험 유무

련기 장애인복지 과 연계 체

무 유

사회복귀시설 28(53.8%)

24(46.2%)

52(100.0%)

정신보건센터 13(39.4%)

20(60.6%)

33(100.0%)

공단기 11(78.6%)

3(21.4%)

14(100.0%)

- 74 -

③ 기 별 사회복귀시설과 연계경험 여부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시 사회복귀시설과 련기 의 연계경험을 살펴보면, 정

신보건센터와 공단은 각각 57.6%, 71.4%가 연계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

면, 장애인복지 은 39.1%로 사회복귀시설과의 연계경험이 은 것으로 조사되었

다.

<표 III-1-20> 사회복귀시설과 연계경험 유무

련기 사회복귀시설과 연계 체

무 유

정신보건센터 14(42.4%)

19(57.6%)

33(100.0%)

공단기 4(28.6%)

10(71.4%)

14(100.0%)

장애인복지 14(60.9%)

9(39.1%)

23(100.0%)

④ 기 별 정신보건센터와 연계경험 여부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시 정신보건센터와 련기 의 연계경험을 살펴보면, 공

단과 장애인복지 은 각각 78.6%, 56.5%가 연계경험이 있었으며, 사회복귀시설은

48.1%가 정신보건센터와 연계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III-1-21> 정신보건센터와 연계경험 유무

련기 정신보건센터와 연계경험 체

무 유

사회복귀시설 27(51.9%)

25(48.1%)

52(100.0%)

공단기 3(21.4%)

11(78.6%)

14(100.0%)

장애인복지 10(43.5%)

13(56.5%)

23(100.0%)

- 75 -

기 별 련기 과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시 연계경험여부를 도식화하여 정리

해보면 <그림 III-1-5>과 같이 나타난다. 사회복귀시설과 공단, 공단과 정신보건센

터, 정신보건센터와 장애인복지 상호간에는 50%이상 연계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사회복귀시설과 장애인복지 , 장애인복지 과 공단 상호간에는

연계경험이 50%미만으로 연계경험이 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 정신보건센터

와 사회복귀시설 상호간에는 정신보건센터에서 사회복귀시설로의 연계시도가 많

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III-1-5> 기 별 련기 과 연계여부 도식화

공단

사회

복귀

시설

장애인

복지

정신

보건

센터

연계경험 50%이상 :

연계경험 50%미만 :

- 76 -

나. 연계형태

1) 련기 과의 연계형태

공단, 장애인복지 ,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간의 연계형태를 살펴보았다.

련기 들은 공단, 장애인복지 과는 주로 ‘사례의뢰’형태(각각 75.4%, 72.2%)로

연계하고 있었다. 한 련기 들은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와 ‘사례의뢰형

태’, ‘일회 공동 로그램 사업’, ‘정기 모임형태’로 연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III-1-22>.

<표 III-1-22> 련기 과의 연계형태

연계형태 공단 장애인복지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빈도 백분율 빈도 백분율 빈도 백분율 빈도 백분율

사례의뢰 49 75.4 39 72.2 40 54.1 47 65.3

일회 공동 로그램/사업 16 24.6 13 24.1 32 43.2 33 45.8

정기 모임형태 8 12.3 19 35.2 37 50.0 31 43.1

지속 공동계획 수립형태 6 9.2 13 24.1 26 35.1 26 36.1

기타 6 9.2 6 11.1 8 10.8 7 9.7

* 복응답, **40%이상인 항목에 ▨

2)기 별 련기 과의 연계형태

기 별 연계형태를 좀더 세분화하여 살펴보면, 정신보건센터와 사회복귀시설

상호간에는 지속 인 공동계획수립형태까지 활발한 연계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단은 정신보건시설들과 일회 공동 로그램사업까지, 장애인복지

은 지속 공동계획수립형태로 연계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77 -

<표 III-1-23> 기 별 련기 과의 연계형태

기 형태 사회

복귀

시설

정신

보건

센터

장애

인복

사회

복귀

시설

정신

보건

센터

공단 정신

보건

센터

공단 장애

인복

사회

복귀

시설

공단 장애

인복

공단 장애인복지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사례의뢰 27 14 5 15 15 3 10 7 8 16 9 1181.8 73.7 55.6 65.2 75 75 47.6 70 80 53.3 75 91.7

일회 공동 로그램/사업 8 4 2 2 7 1 10 5 4 16 5 624.2 21.1 22.2 8.7 35 25 47.6 50 40 53.3 41.7 50

정기 모임형태 4 1 2 9 4 2 9 3 6 16 2 512.1 5.3 22.2 39.1 20 50 42.9 30 60 53.3 16.7 41.7

지속 공동계획 수립형태 4 1 0 5 6 0 9 2 5 12 2 612.1 5.3 0 21.7 30 0 42.9 20 50 40 16.7 50

기타 3 3 0 5 0 0 1 0 1 5 0 19.1 15.8 0 21.7 0 0 4.8 0 10 16.7 0 8.3

* 복응답, **40%이상인 항목에 ▨

다. 연계횟수

연계기 들 사이의 지난 1년간 연계횟수26)를 조사하 다. 연계횟수는 ‘1~10

회’가 64.4%로 가장 많았고, ‘11~20회’(16.3%), ‘21~30회’(6.7%), ‘31~40회’(3.8%)순으

로 나타났다. 기 들은 평균 9회 정도의 연계를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III-1-24> 연계횟수

연계횟수 빈도 백분율

1~10회 67 64.411~20회 17 16.321~30회 7 6.731~40회 4 3.841~50회 0 0.051~60회 1 1.061~70회 1 1.071~80회 2 1.981~90회 1 1.0

91회 이상 4 3.8체 104 100.0

26) 연계활동수는 기 간 의뢰수, 공동사업추진, 정기 모임등 모든 활동수의 합을 기입하도록 하 음

- 78 -

라. 사례의뢰와 사후연락

기 들의 사례의뢰방식을 살펴본 결과, 주로 ‘ 화’나 ‘의뢰담당자가 직 방

문’하여 사례를 의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 별로는 <표 III-1-25>와 같은

형태로 나타났다. 사례의뢰 후 사후연락을 취하는지 살펴본 결과<표 III-1-27>,

부분(92.9%)이 사후연락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III-1-25> 련기 별 사례의뢰방식

사례의뢰방식

공단 장애인복지 사회복귀시설정신보건센터

빈도 백분율 빈도 백분율 빈도 백분율 빈도 백분율

주로 공문을 통해 22 29.7 24 35.8 28 36.4 35 44.9주로 화를 통해 42 56.8 32 47.8 59 76.6 58 74.4

의뢰담당자가 직 방문 35 47.3 29 43.3 41 53.2 39 50서비스 상자 단독 방문 9 12.2 5 7.5 10 13 16 20.5사례 의뢰 경험 없음 10 13.5 18 26.9 6 7.8 4 5.1

* 복응답, **40%이상인 항목에 ▨

<표 III-1-26> 기 유형별 사례의뢰방식

사례의뢰방식

사회

복귀

시설

정신

보건

센터

장애

인복

사회

복귀

시설

정신

보건

센터

공단 정신

보건

센터

공단 장애인

복지

사회

복귀

시설

공단 장애

인복

공단 장애인복지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주로 공문 10 4 5 6 10 2 6 5 5 17 7 5

25.6 17.4 62.5 19.4 45.5 40 27.3 45.5 45.5 47.2 58.3 35.7주로 화 25 13 2 12 12 2 14 8 8 26 10 11

64.1 56.5 25 38.7 54.5 40 63.6 72.7 72.7 72.2 83.3 78.6의뢰담당자 직 방문 18 12 3 11 15 0 10 7 7 16 7 10

46.2 52.2 37.5 35.5 68.2 0 45.5 63.6 63.6 44.4 58.3 71.4서비스 상자 단독방문 5 3 0 0 3 1 1 2 2 6 2 5

12.8 13 0 0 13.6 20 4.5 18.2 18.2 16.7 16.7 35.7사례의뢰 경험 없음 4 4 2 11 4 2 1 0 2 3 0 0

10.3 17.4 25 35.5 18.2 40 4.5 0 18.2 8.3 0 0

* 복응답, **40%이상인 항목에 ▨

<표 III-1-27>사례의뢰 후 사후연락

변인 체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공단기 장애인복지

사후

연락

유 92(92.9%) 40(93.0%) 28(100.0%) 12(100.0%) 12(75.0%)무 7(7.1%) 3(7.0%) 0(0.0%) 0(0.0%) 4(25.0%)

계 99(100.0%) 43(100.0%) 28(100.0%) 12(100.0%) 16(100.0%)

- 79 -

마. 인지된 연계정도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시 련기 과 지난 1년간 어느 정도 연계가 이루어졌는

지 5 척도(‘매우 잘되고 있음’, ‘ 안되고 있음’)로 조사하 다. 그 결과 공단

과 장애인복지 은 각각 2.61 , 2.64 으로 나타났고, 사회복귀시설과 정신보건센

터는 3.34 , 3.25 으로 조사되었다. 즉, 련기 들과 공단, 장애인복지 간에

는 연계가 보통이하로 이 진다고 인지되고 있었고, 련기 들과 사회복귀시설과

정신보건센터는 연계가 보통이상으로 이 진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III-1-28> 련기 연계정도

변인 평균 표 편차 최소 최

공단기 2.61 1.07 1.0 5.0

장애인복지 2.64 1.30 1.0 5.0

사회복귀시설 3.34 1.20 1.0 5.0

정신보건센터 3.25 1.14 1.0 5.0

제2 연계요구분석

1. 련기 과 연계시 방해 요소

가. 련기 과의 연계시 방해 요소

련기 과 연계시 어떠한 어려운 이 있었는지 조사한 결과를 살펴보았다<

표 III-2-1>. 공단과 연계시 어려운 1순 는 ‘체계 인 력방법 부족’이라고

응답했고, 2순 는 ‘사업에 한 정보부족’, 3순 는 ‘지리 거리’라고 응답하 다.

장애인복지 과 연계시 어려운 1순 는 ‘체계 인 력방법 부족’이라고

응답했고, 2순 는 ‘정신장애인에 한 이해부족’, 3순 는 ‘사업에 한 정보부족’

- 80 -

이라고 응답하 다. 사회복귀시설과 연계시 어려운 1순 는 ‘체계 인 력방

법 부족’이라고 응답했고, 2순 는 ‘공동목 에 한 합의부족’, 3순 는 ‘기 간

역경쟁’이라고 응답하 다. 정신보건센터와 연계시 어려운 1순 는 ‘체계 인

력방법 부족’이라고 응답했고, 2순 는 ‘지리 거리’, 3순 는 ‘공동목 에 한

합의부족’이라고 응답하 다.

<표 III-2-1> 련기 과 연계시 방해요소

연계시 방해 요소 공단 장애인복지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사업에 한 정보의 부족55

(18.6)42

(14.8)21

(11.4)17

(11.0)

체계 인 력방법의 부족70

(23.7)64

(22.6)48

(25.9)44

(28.4)

공동목 에 한 합의부족39

(13.2)39

(13.8)31

(16.8)23

(14.8)

지리 거리47

(15.9)33

(11.7)26

(14.1)25

(16.1)

기 간의 역의 경쟁19

(3.4)22

(7.8)27

(14.6)19

(12.3)

기 에 한 신뢰부족9

(3.1)12

(4.2)8

(4.3)7

(4.5)

개인 안면의 부족18

(6.1)20

(7.1)16

(8.6)12

(7.7)

정신장애인에 한 이해부족45

(15.3)45

(15.9)8

(4.3)7

(4.5)

기타2

(0.7)6

(2.1)0

(0.0)1

(0.6)

* 복응답, ** 각 항목 3순 까지 ▨

나. 기 별로 인지하고 있는 연계시 방해요소

개별 기 들의 시 에서 상기 과 연계시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을 세부

으로 살펴보았다.

1) 기 별로 인지하고 있는 공단과 연계시 방해요소

공단과 연계시 어려운 에 하여 각 기 담당자들은 다음과 같이 응답하

다. 사회복귀시설 담당자들의 경우 1순 로 ‘체계 인 력방법의 부족(71.4%)’을

꼽았고, 2순 로 ‘사업에 한 정보부족(67.3%)’, 3순 로 ‘정신장애인에 한 이해

- 81 -

부족(46.9%)’라고 응답하 다. 정신보건센터 담당자들의 경우 1순 는 ‘체계 인

력방법의 부족(61.3%)’과 ‘지리 거리(61.3%)’로 나타났고, 2순 는 ‘사업에 한

정보부족(58.1%)’, 3순 는 ‘정신장애인에 한 이해부족(45.2%)’로 조사되었다. 장

애인복지 담당자들의 경우 1순 는 ‘체계 인 력방법의 부족(81.3%)’로 나타

났고, 2순 는 ‘공동목 에 한 합의부족(62.5%)’, 3순 는 ‘기 간 역경쟁

(43.8%)’로 조사되었다.

<표 III-2-2> 공단과 연계시 방해요소

공단과 연계시 방해요소 체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장애인복지

사업에 한 정보부족 55(18.6)

33(67.3)

18(58.1)

4(25)

체계 인 력방법의 부족 70(23.7)

35(71.4)

19(61.3)

13(81.3)

공동목 에 한 합의부족 39(13.2)

18(36.7)

9(29)

10(62.5)

지리 거리 47(15.9)

21(42.9)

19(61.3)

6(37.5)

기 간 역경쟁 19(3.4)

2(4.1)

1(3.2)

7(43.8)

기 에 한 신뢰부족 9(3.1)

5(10.2)

0(0)

4(25)

개인 안면부족 18(6.1)

7(14.3)

516.1

531.3

정신장애인에 한 이해부족 45(15.3)

23(46.9)

14(45.2)

5(31.3)

기타 2(0.7)

2(4.1)

0(0)

0(0)

* 복응답, ** 각 항목 3순 까지 ▨

2) 기 별로 인지하고 있는 장애인복지 과 연계시 방해요소

장애인복지 과 연계시 어려운 에 하여 각 기 담당자들은 다음과 같이

응답하 다. 사회복귀시설 담당자들의 경우 1순 로 ‘체계 인 력방법의 부족

(68.9%)’을 꼽았고, 2순 로 ‘사업에 한 정보부족(51.1%)’, 3순 로 ‘정신장애인에

한 이해부족(46.7%)’라고 응답하 다. 정신보건센터 담당자들의 경우 1순 는

‘체계 인 력방법의 부족(55.6%)로 나타났고, 2순 는 ’지리 거리(48.1%)와 ‘정

신장애인에 한 이해부족(48.1%)’로 나타났고, 3순 는 ‘사업에 한 정보부족

(33.3%)’로 조사되었다. 공단 담당자들의 경우 1순 는 ‘체계 인 력방법의 부

- 82 -

족(61.5%)’과 ‘기 간 역경쟁(61.5%)로 나타났고, 2순 는 ‘공동목 에 한 합의

부족(53.8%)’, 3순 는 ‘사업에 한 정보부족(38.5%), ‘기 에 한 신뢰부족

(38.5%)’, 로 조사되었다.

<표 III-2-3> 장애인복지 과 연계시 방해요소

장애인복지 과 연계시 방해요소 체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공단

사업에 한 정보의 부족 42(14.8)

23(51.1)

9(33.3)

5(38.5)

체계 인 력방법 부족 64(22.6)

31(68.9)

15(55.6)

8(61.5)

공동목 에 한 합의부족 39(13.8)

18(40)

7(25.9)

7(53.8)

지리 거리 33(11.7)

17(37.8)

13(48.1)

0(0)

기 간 역경쟁 22(7.8)

6(13.3)

2(7.4)

8(61.5)

기 에 한 신뢰부족 12(4.2)

5(11.1)

1(3.7)

5(38.5)

개인 안면의 부족 20(7.1)

11(24.4)

4(14.8)

2(15.4)

정신장애인에 한 이해부족 45(15.9)

21(46.7)

13(48.1)

2(15.4)

기타 6(2.1)

5(11.1)

1(3.7)

0(0)

* 복응답, ** 각 항목 3순 까지 ▨

3) 기 별로 인지하고 있는 사회복귀시설과 연계시 방해요소

사회복귀시설과 연계시 어려운 에 하여 각 기 담당자들은 다음과 같이

응답하 다. 정신보건센터 담당자들의 경우 1순 로 ‘체계 인 력방법의 부족

(52.0%)’을 꼽았고, 2순 로 ‘공동목 에 한 합의부족(40.0%)’과 ‘기 간 역경쟁

(40.0%)’, 3순 로 ‘지리 거리(32.0%)’라고 응답하 다. 공단 담당자들의 경우 1

순 는 ‘체계 인 력방법의 부족(84.6%)’라고 응답하 고, 2순 는 ‘사업에 한

정보부족(53.8%)’, 3순 는 ‘공동목 에 한 합의부족(38.5%)’으로 조사되었다. 장

애인복지 담당자들의 경우 1순 는 ‘체계 인 력방법의 부족(62.5%)’으로 나타

났고, 2순 는 ‘공동목 에 한 합의부족(56.3%)’, 3순 는 ‘사업에 한 정보부족

(50.0%)’과 ‘개인 안면부족(50.0%)’이라고 응답하 다.

- 83 -

<표 III-2-4> 사회복귀시설과 연계시 방해요소

체 정신보건센터 공단 장애인복지

사업에 한 정보부족 21(11.4)

3(12)

7(53.8)

8(50)

체계 인 력방법 부족 48(25.9)

13(52)

11(84.6)

10(62.5)

공동목 에 한 합의부족 31(16.8)

10(40.0)

5(38.5)

9(56.3)

지리 거리 26(14.1)

8(32.0)

1(7.7)

7(43.8)

기 간 역 경쟁 27(14.6)

10(40.0)

1(7.7)

2(12.5)

기 에 한 신뢰부족 8(4.3)

0(0)

2(15.4)

4(25)

개인 안면부족 16(8.6)

3(12)

2(15.4)

8(50)

정신장애인에 한 이해부족 8(4.3)

1(4)

0(0)

5(31.3)

기타 0(0.0)

0(0)

0(0)

0(0)

* 복응답, ** 각 항목 3순 까지 ▨

4) 기 별로 인지하고 있는 정신보건센터와 연계시 방해요소

정신보건센터와 연계시 어려운 에 하여 각 기 담당자들은 다음과 같이

응답하 다. 사회복귀시설 담당자들의 경우 1순 로 ‘체계 인 력방법의 부족

(44.7%)’을 꼽았고, 2순 로 ‘지리 거리(34.2%)’, 3순 로 ‘기 간 역경쟁

(28.9%)’이라고 응답하 다. 공단 담당자들의 경우 1순 는 ‘체계 인 력방법

의 부족(75.0%)’이라고 응답하 고, 2순 는 ‘사업에 한 정보부족(33.3%)’과 ‘공동

목 에 한 합의부족(33.3%)’, 3순 는 ‘기 에 한 신뢰부족(16.7%)’으로 조사되

었다.

장애인복지 담당자들의 경우 1순 는 ‘체계 인 력방법의 부족(73.3%)’으로

나타났고, 2순 는 ‘공동목 에 한 합의부족(46.7%)’, 3순 는 ‘사업에 한 정보

부족(40.0%)’과 ‘개인 안면부족(40.0%)’으로 응답하 다.

- 84 -

<표 III-2-5> 정신보건센터와 연계시 방해요소

체 사회복귀시설 공단 장애인복지

사업에 한 정보의 부족 17(11.0)

7(18.4)

4(33.3)

6(40.0)

체계 인 력방법 부족 44(28.4)

17(44.7)

9(75)

11(73.3)

공동목 에 한 합의부족 23(14.8)

9(23.7)

4(33.3)

7(46.7)

지리 거리 25(16.1)

13(34.2)

0(0.0)

5(33.3)

기 간 역의 경쟁 19(12.3)

11(28.9)

3(25.0)

2(13.3)

기 에 한 신뢰부족 7(4.5)

2(5.3)

2(16.7)

3(20.0)

개인 안면의 부족 12(7.7)

2(5.3)

1(8.3)

6(40.0)

정신장애인에 한 이해부족 7(4.5)

1(2.6)

1(8.3)

4(26.7)

기타 1(0.6)

1(2.6)

0(0.0)

0(0.0)

* 복응답, ** 각 항목 3순 까지 ▨

기 별 련기 과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시 연계시 방해요소를 도식화하여 정리

해보면 <그림 III-2-1>과 같이 나타난다. 모든 기 이 연계시 방해요소 1순 로

지 한 ‘체계 인 력방법 부족’항목을 제외한 2순 와 3순 의 방해요소를 나타

내었다. 한 임의 으로 공단과 장애인복지 을 ‘비정신보건시설’, 사회복귀시설

과 정신보건센터를 ‘정신보건시설’로 구분하여 설명하 다.

그림에서 정신보건시설과 비정신보건시설 상호간 요구하는 사항은 도표 바깥쪽

에 치해 있는 부분이다. 이들간에는 우선 으로 ‘사업정보가 부족’한 것으로 나

타났다. 한 정신보건시설 담당자들은 비정신보건시설 담당자들의 ‘정신장애인에

한 이해부족’을 방해요소로 꼽았다. 반면 비정신보건시설 담당자들은 정신보건

시설 담당자들과 ‘공동목 합의부족’을 방해요소로 꼽았다.

그림에서 정신보건시설간에 요구하는 사항과 비정신보건시설간에 요구하는 사

항은 도표 안쪽에 치해 있는 부분이다. 정신보건시설간, 즉 정신보건센터와 사

회복귀시설간에 상호 ‘기 간 역경쟁’이 방해요소로 분석되었으며, 비정신보건시

- 85 -

설간 즉 공단과 장애인복지 간에도 상호 ‘기 간 역경쟁’이 방해요소로 분석되

었다.

<그림 III-2-1> 기 별 련기 과 연계시 방해요소 도식화

장애인

복지

공단

사회

복귀

시설

정신

보건

센터

①정신장애인이해부족

② 사업정보부족

①공동목 합의부족

② 사업정보부족

② 개인안면부족

① 정신장애인이해부족

② 지리 거리

② 사업정보부족

①공동목 합의부족

② 사업정보부족

② 개인안면부족

① 사업정보부족

②공동목 합의부족

① 지리 거리

② 사업정보부족

③ 정신장애인이해부족

①공동목 합의부족

② 기 역경쟁

① 기 간 역경쟁

② 사업정보부족

② 기 신뢰부족

① 기 간 역경쟁

①공동목 합의부족

②지리 거리

① 지리 거리

② 기 간 역경쟁

① 사업정보부족

②정신장애인이해부족

① 사업정보부족

②공동목 합의부족

■요구방향 :

■①:1순 , ②:2순 , ③:3순 (※공동순 존재함)

■도표외부 : 정신보건시설과 비정신보건시설간 요구사항

■도표내부 : 정신보건시설간 요구사항 & 비정신보건시설간 요구사항

- 86 -

2. 연계 강화에 한 의견

향후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간 연계 강화를 하여 변화되어야 할 부

분과 향후 각 기 이 담당해야할 서비스 역에 하여 조사하 다.

가. 향후 연계강화를 해 개선될 부분

향후 연계강화를 해 개선될 부분에 하여 체 으로는 ‘정신보건기 의

직업재활 련 산증액(80.2%)‘, ‘정신보건기 의 직업재활 담인력증강(76.7%)’,

‘지역기반 지역 의체, 정보공유장 등 구성(72.4%)’, ‘연계와 련된 법 , 제도

보완(68.1%)’, ‘연계 련 기 인력들에 한 정신보건교육(58.6%)’, ‘연계 련 기

들의 극 인 사업홍보(49.1%)’, ‘미등록 정신장애인에 한 장애인등록 유도

(23.3%)’,‘기타(2.6%)’순으로 응답하 다 <표 III-2-6>.

<표 III-2-6>연계강화를 해 변화될 부분

변화되어야될 요소 체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공단 장애인복지

연계와 련된 법 , 제도 보완 79(68.1)

41(82)

17(54.8)

8(66.7)

13(56.5)

정신보건기 의 직업재활 련 산 증액 93(80.2)

44(88)

26(83.9)

7(58.3)

16(69.6)

정신보건기 의 직업재활 담인력 증강 89(76.7)

40(80)

27(87.1)

5(41.7)

17(73.9)

연계 련기 인력들에 한 정신보건교육 68(58.6)

31(62)

16(51.6)

8(66.7)

13(56.5)

연계 련기 들의 극 인 사업 홍보 57(49.1)

23(46)

20(64.5)

4(33.3)

10(43.5)

지역기반 지역 의체, 정보공유장 등 구성 84(72.4)

37(74)

24(77.4)

6(50)

17(73.9)

미등록 정신장애인에 한 장애인등록 유도 27(23.3)

12(24)

8(25.8)

1(8.3)

6(26.1)

기타 3(2.6)

2(4)

0(0)

0(0)

1(4.3)

기 별로 1순 로 응답한 항목을 살펴보면, 사회복귀시설 담당자들의 경우

‘정신보건기 의 직업재활 련 산증액(88.0%)’을, 정신보건센터의 담당자들은 ‘정

신보건기 의 직업재활 담인력 증강(87.1%)’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 87 -

공단 담당자들은 1순 로 ‘연계와 련된 법 , 제도 보완(66.7%)’과 ‘연계 련기

인력들에 한 정신보건교육(66.7%)’를 나타냈으며, 장애인복지 에 근무하는

담당자들은 1순 로 ‘정신보건기 의 직업재활 담인력증강(73.9%)’과 ’지역기반

지역 의체, 정보공유장 구성(73.9%)‘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나. 향후 각 기 이 담당해야 할 서비스

1) 향후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시 련기 이 담당해야 할 업무

향후 정신장애인에 한 직업재활서비스시 각 기 이 담당해야할 업무에 하

여 살펴본 결과는 <표 III-2-7>과 같다. 공단은 ‘사업체 개발(64.9%)’, ‘취업의뢰

(53.2%)‘, 직업평가(50.5%)’, ‘지지고용(42.3%)’, ‘직업기술훈련(40.5%)’이 주요 담당할

업무로 나타났다. 장애인복지 은 ‘보호작업장(50.4%)’, ‘직업상담(40.7%)’이 주요

담당할 업무로 조사되었다. 사회복귀시설은 ‘직업 비훈련(70.9%)’, ‘보호작업

장(48.2%)’, ‘사후지도서비스(44.5%)’가 주요 담당할 업무로 나타났다. 정신보건센

터는 ‘직업 비훈련(67.0%)’, ‘직업상담(55.0%)’, ‘사후지도서비스(50.5%)’가 주요

담당해야 할 업무로 조사되었다<그림 III-2-2><그림 III-2-3>.

<표 III-2-7>향후 기 별 담당업무

직업재활서비스유형 공단 장애인복지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직업상담 25 22.5 46 40.7 36 32.7 60 55직업평가 56 50.5 41 36.3 11 10 30 27.5직업 비훈련 5 4.5 21 18.6 78 70.9 73 67직업기술훈련 45 40.5 40 35.4 26 23.6 9 8.3보호작업장 6 5.4 57 50.4 53 48.2 21 19.3지지고용 47 42.3 43 38.1 30 27.3 18 16.5취업의뢰 59 53.2 33 29.2 22 20 28 25.7장방문지원 25 22.5 34 30.1 39 35.5 28 25.7사후지도서비스 10 9 20 17.7 49 44.5 55 50.5사업체개발 72 64.9 23 20.4 13 11.8 15 13.8기타 5 4.5 0 0 0 0 1 0.9* 복응답, ** 40%이상 항목에 ▨

- 88 -

직업상담

직업평가

직업전준비훈련

직업기술훈련

보호작업장

지지고용

취업의뢰

현장방문지원

사후지도서비스

사업체개발

기타

공단

장애인복지관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그림 III-2-2> 향후 기 별 담당업무 I

0

10

20

30

40

50

60

70

80

직업상담

직업평가

직업전준비훈련

직업기술훈련

보호작업장

지지고용

취업의뢰

현장방문지원

사후지도서비스

사업체개발

기타

공단 장애인복지관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그림 III-2-3> 향후 기 별 담당업무 II

- 89 -

2) 기 별로 인지하는 향후 담당해야할 서비스

각 기 의 향후 담당해야 할 서비스에 해, 기 별 시 을 반 하여 세부 으

로 분석하 다.

① 기 별로 인지하고 있는 공단의 향후 담당서비스

공단이 향후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시 주로 담당해야 하는 서비스에 해, 각 기

의 시 에서 세부 으로 살펴본 결과는 <표 III-2-8>과 같다.

체 으로 공단은 ‘사업체 개발(64.9%)’, ‘취업의뢰(53.2%)‘, 직업평가(50.5%)’,

‘지지고용(42.3%)’, ‘직업기술훈련(40.5%)’이 주요 담당할 업무로 나타났다.

공단 스스로는 직업평가, 사업체개발, 직업상담, 취업의뢰를 주요 업무라고 생각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기 간 역경쟁이 발생하는 장애인복지 담당자들

의 경우 공단 스스로 생각하는 서비스와 일치하는 서비스를 공단업무라고 응답하

다. 정신보건시설 즉, 사회복귀시설과 정신보건센터에서 근무하는 담당자들은

직업기술훈련과 지지고용 항목에 서비스 제공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III-2-8> 공단의 향후 담당업무

체 당사자 장애인복지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직업상담 25(22.5)

6(50)

8(42.1)

8(16.3)

3(9.7)

직업평가 56(50.5)

8(66.7)

10(52.6)

25(51)

13(41.9)

직업 비훈련 5(4.5)

0(0)

1(5.3)

4(8.2)

0(0)

직업기술훈련 45(40.5)

4(33.3)

6(31.6)

21(42.9)

14(45.2)

보호작업장 6(5.4)

0(0)

1(5.3)

3(6.1)

2(6.5)

지지고용 47(42.3)

4(33.3)

5(26.3)

25(51)

13(41.9)

취업의뢰 59(53.2)

6(50)

11(57.9)

22(44.9)

20(64.5)

장방문지원 25(22.5)

0(0)

5(26.3)

12(24.5)

8(25.8)

사후지도서비스 10(9)

1(8.3)

3(15.8)

3(6.1)

3(9.7)

사업체개발 72(64.9)

8(66.7)

11(57.9)

31(63.3)

22(71)

기타 5(4.5)

0(0)

4(21.1)

0(0)

1(3.2)

* 복응답, ** 40%이상 항목에 ▨

- 90 -

② 기 별로 인지하고 있는 장애인복지 의 향후 담당업무

장애인복지 이 향후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시 주로 담당해야 하는 서비스에

해, 각 기 의 시 에서 세부 으로 살펴본 결과는 <표 III-2-9>과 같다.

체 으로 장애인복지 은 보호작업장(50.4%)’, ‘직업상담(40.7%)’이 주요 담당

할 업무로 조사되었다.

장애인복지 스스로는 보호작업장, 직업기술훈련, 직업평가, 취업의뢰를 주요

업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기 간 역경쟁이 발생하는 공단 담

당자들의 경우 장애인복지 의 주요 서비스는 보호작업장, 직업기술훈련, 직업평

가라고 응답하 다. 사회복귀시설 담당자들은 장애인복지 의 보호작업장 서비스

를 강조하 고, 정신보건센터 담당자들은 직업상담 업무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표 III-2-9> 장애인복지 의 향후 담당업무

체 당사자 공단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직업상담 46(40.7)

11(35.5)

17(37)

3(23.1)

15(65.2)

직업평가 41(36.3)

13(41.9)

19(41.3)

2(15.4)

7(30.4)

직업 비훈련 21(18.6)

5(16.1)

5(10.9)

6(46.2)

5(21.7)

직업기술훈련 40(35.4)

15(48.4)

23(50)

1(7.7)

1(4.3)

보호작업장 57(50.4)

18(58.1)

24(52.2)

10(76.9)

5(21.7)

지지고용 43(38.1)

10(32.3)

12(26.1)

7(53.8)

14(60.9)

취업의뢰 33(29.2)

13(41.9)

12(26.1)

1(7.7)

7(30.4)

장방문지원 34(30.1)

5(16.1)

13(28.3)

5(38.5)

11(47.8)

사후지도서비스 20(17.7)

3(9.7)

5(10.9)

2(15.4)

10(43.5)

사업체개발 23(20.4)

7(22.6)

11(23.9)

2(15.4)

3(13)

Column 113 31 46 13 23

* 복응답, ** 40%이상 항목에 ▨

- 91 -

③ 기 별로 인지하고 있는 사회복귀시설의 향후 담당업무

사회복귀시설이 향후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시 주로 담당해야 하는 서비스에

해, 각 기 의 시 에서 세부 으로 살펴본 결과는 <표 III-2-10>과 같다.

체 으로 사회복귀시설은 ‘직업 비훈련(70.9%)’, ‘보호작업장(48.2%)’, ‘사

후지도서비스(44.5%)’가 주요 담당할 업무로 나타났다.

사회복귀시설 스스로는 보호작업장, 직업 비훈련, 장방문지도를 주요 업

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기 간 역경쟁이 발생하는 정신보건센

터 담당자들의 경우 사회복귀시설의 주요 서비스는 직업 비훈련이라고 응답

하 다. 공단 담당자들은 사회복귀시설의 사후지도 서비스를 강조하 고, 장애인

복지 담당자들은 직업기술훈련과 지지고용 업무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III-2-10> 사회복귀시설의 향후 담당업무

체 당사자 정신보건센터 공단 장애인복지

직업상담 36(32.7)

3(23.1)

7(36.8)

18(36.7)

8(27.6)

직업평가 11(10)

0(0)

1(5.3)

4(8.2)

6(20.7)

직업 비훈련 78(70.9)

10(76.9)

15(78.9)

39(79.6)

14(48.3)

직업기술훈련 26(23.6)

3(23.1)

7(36.8)

2(4.1)

14(48.3)

보호작업장 53(48.2)

11(84.6)

6(31.6)

20(40.8)

16(55.2)

지지고용 30(27.3)

2(15.4)

5(26.3)

11(22.4)

12(41.4)

취업의뢰 22(20)

0(0)

6(31.6)

10(20.4)

6(20.7)

장방문지도 39(35.5)

7(53.8)

6(31.6)

15(30.6)

11(37.9)

사후지도서비스 49(44.5)

2(15.4)

7(36.8)

33(67.3)

7(24.1)

사업체개발 13(11.8)

1(7.7)

1(5.3)

5(10.2)

6(20.7)

Column 110 13 19 49 29Total 100 11.8 17.3 44.5 26.4

* 복응답, ** 40%이상 항목에 ▨

- 92 -

④ 기 별로 인지하고 있는 정신보건센터의 향후 담당업무

정신보건센터가 향후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시 주로 담당해야 하는 서비스에

해, 각 기 의 시 에서 세부 으로 살펴본 결과는 <표 III-2-11>과 같다.

체 으로 정신보건센터는 ‘직업 비훈련(67.0%)’, ‘직업상담(55.0%)’, ‘사후

지도서비스(50.5%)’가 주요 담당해야 할 업무로 조사되었다.

정신보건센터 스스로는 직업 비훈련, 직업상담, 장방문지도, 사후지도서

비스를 주요 업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기 간 역경쟁이 발생

하는 사회복귀시설 담당자들의 경우 정신보건센터의 주요 서비스는 직업 비

훈련과 보호작업장이라고 응답하 다. 공단 담당자와 장애인복지 담당자들은

직업 비훈련과 직업상담 업무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III-2-11> 정신보건센터의 향후 담당업무

체 당사자 사회복귀시설

공단 장애인복지

직업상담 60(55)

11(57.9)

4(30.8)

25(54.3)

20(64.5)

직업평가 30(27.5)

4(21.1)

3(23.1)

11(23.9)

12(38.7)

직업 비훈련 73(67)

14(73.7)

11(84.6)

30(65.2)

18(58.1)

직업기술훈련 9(8.3)

3(15.8)

3(23.1)

1(2.2)

2(6.5)

보호작업장 21(19.3)

2(10.5)

7(53.8)

7(15.2)

5(16.1)

지지고용 18(16.5)

4(21.1)

0(0)

10(21.7)

4(12.9)

취업의뢰 28(25.7)

4(21.1)

1(7.7)

14(30.4)

9(29)

장방문지도 28(25.7)

8(42.1)

5(38.5)

9(19.6)

6(19.4)

사후지도서비스 55(50.5)

8(42.1)

5(38.5)

20(43.5)

22(71)

사업체개발 15(13.8)

1(5.3)

0(0)

7(15.2)

7(22.6)

기타 1(0.9)

0(0)

0(0)

1(2.2)

0(0)

Column 109 19 13 46 31

* 복응답, ** 40%이상 항목에 ▨

- 93 -

제4장 연계강화 측요인 분석

본장에서는 통계 추론 검증을 통해 연계시도와 연계강화에 향을 미치는

측요인을 분석하 다.

제1 연계 측요인 분석틀

1. 변수정의

가. 개념정의

1) 연계정도

연계란 타기 과 공동의 목 을 달성하기 한 력활동으로 기 간 의뢰, 정

보교류, 공동사업추진, 재정공유 등의 직․간 인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연계정

도는 객 연계정도와 주 연계정도로 구분하 다.

2) 연계시도

연계시도란 타기 과 공동의 목 을 달성하기 해 력활동 즉, 기 간 의

뢰, 정보교류, 공동사업추진, 재정공유 등의 직․간 인 상호작용 경험유무를 의

미한다.

3) 개인 요인

Akinbode & Clark(1976)은 역할담당자의 특성과 리자의 의사결정이 연계정

도에 향을 다고 측하 다. Boje & Whetten(1981)은 과거의 연계경험이 연

계에 향을 다고 측하 다. Mattessich & Monsey(1992)는 개인 상호간의

존경, 이해, 신뢰, 합의에 도달하는 능력이 연계정도에 향을 다고 측하 다.

박경숙(1996)은 사회복지 문요원과 복지 , 보건소의 연계실태와 이에 향

- 94 -

을 미치는 요인에 한 연구를 통해 연계담당자의 문성, 역간에 상호호혜성의

원칙이 요하며, 공동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서비스 연계활성화에 정 인 기여

를 한다고 측하 다.

이 주(1998)는 장애인복지 련조직을 심으로 조직간 계 특성과 결정요

인을 규명하는 연구를 통해 개인요인 문 능력보다 비공식 인맥이 더 큰

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제시하 다.

그러므로 개인요인 문성에 해당하는 총경력, 근무지 근무기간, 정신보

건교육 경험유무와 역간 상호호혜성과 인맥에 해당하는 연계 요성인지, 련

기 사업인지가 연계정도에 향을 미치는 정도를 악하 다. 한 인구학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결혼유무, 학력을 살펴보았다.

4) 조직 요인

Aiken & Hage(1968)와 Paluson(1975)는 연구를 통해 조직의 특성(복잡성, 의

사 달, 집 도, 공식화정도)이 연계에 향을 미친다고 하 으며, 박경수(1997)는

기 특성(이념, 의식, 지리 근성, 규모)등이 연계에 향을 다고 측하 다.

이 주(1998)는 장애인복지 련조직을 심으로 조직간 계 특성과 결정요

인을 규명하는 연구를 결과로는 조직요인 자원의존도보다는 조직의 역이 더

큰 향을 미친다고 하 으나 강선진(2000)은 역시 조직의 역이 연계에 향을

다고 측하 다. 반면, Ven de ven & Delbecq(1976)은 자원의 상호의존도가

조직연계에 향을 다고 하 다.

그러므로 조직요인으로는 조직의존도, 조직 역과 조직특성으로 직업재활 담

인력 유무, 직업재활 산 유무가 연계정도에 향을 미치는 정도를 악하 다.

나. 조작 정의 - 변수 측정

1) 종속변수

- 95 -

(1) 연계정도

연계정도는 주 연계와 객 연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주 인 연

계정도’는 각 기 별 담당자가 생각하는 각 기 과의 연계정도를 5 척도로 합산

하여 측정하 다. ‘객 인 연계정도’는 지난 1년 간 연계경험이 있는 기 에

한 기 간 의뢰 수, 공동사업추진, 정기 모임 등의 기 별 총합을 측정하 다.

(2) 연계시도

연계시도여부는 타기 과 공동의 목 을 달성하기 한 력활동 즉, 기 간

의뢰, 정보교류, 공동사업추진, 재정공유 등의 직․간 인 상호작용 경험유무를

의미하는 것으로 더미변수로 변환 측정하 다.

2) 독립변수

(1) 개인요인

① 인구학 요인

성별, 결혼유무는 더미변수로, 연령과 교육수 은 연속 변수화하여 측정․활

용하 다.

② 문성 정도

문성에 해당하는 경력기간과 근무지 근무기간은 년수로 연속변수로 측정

하고, 정신장애인 이해를 한 다양한 정신보건교육 경험유무는 더미변수로

변환 활용하 다.

③ 연계의식

연계필요성 인지, 련기 사업인지정도는 모두 5 척도로 측정하 다.

(2)조직요인

① 자원의존도

자원의존도는 이 주(1998), 강선진(2000)에서 측정한 방법으로 타조직 자원

- 96 -

의 요도에 한 주 인지정도를 5 척도 구성하여 측정하 다.

② 조직 역

조직 역은 기 별로 서비스 상자과 서비스가 차이가 나므로 조직유형(사

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공단, 장애인복지 )을 더미변수로 하여 활용하

다.

③ 조직특성

조직특성은 직업재활 산유무를 더미변수로, 직업재활 담인력 유무를 더미

변수화하여 활용하 다.

2. 연구 모형 가설

가. 연구모형

앞서 살펴본 변수들을 근거로 하여 설계한 연구모형은 <그림 IV-1-1>과 같다.

<그림 IV-1-1> 연구모형

개인요인

인구학 요인

문성 정도

연계의식

연계 시도 여부

연계경험 유

연계경험 무

연계 강화정도

주 연계정도

객 연계정도

조직요인

자원의존도

조직 역

조직특성

- 97 -

나. 연구가설

《연구문제 2: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 기 의 연계 시도와 연계강화정도에 향

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에 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연구가설 1》개인 요인과 조직요인은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 기 간 연계

시도에 유의미한 향을 미칠 것이다.

1-1. 개인의 인구학 특성(성별, 학력, 결혼여부, 교육수 등)은 연계시도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칠 것이다.

1-2. 개인의 문성정도(경력기간, 근무지 근무기간, 정신장애인 이해를 한

교육연수 경험유무)는 연계시도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칠 것이다.

1-3. 개인의 연계의식(연계 필요성인지, 련기 사업인지)이 연계시도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칠 것이다.

1-4. 조직의 인지된 자원의존도가 연계시도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칠 것이다.

1-5. 조직의 역(기 유형)이 연계시도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칠 것이다.

1-6. 조직의 특성(직업재활 담인력 유무, 직업재활 산 유무)이 연계정도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2》개인 요인과 조직요인은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 기 간 연계

강화정도에 유의미한 향을 미칠 것이다.

1-1. 개인의 인구학 특성(성별, 학력, 결혼여부, 교육수 등)은 연계정도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칠 것이다.

1-2. 개인의 문성정도(경력기간, 근무지 근무기간, 정신장애인 이해를 한

교육연수 경험유무)는 연계정도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칠 것이다.

1-3. 개인의 연계의식(연계 필요성인지, 련기 사업인지)이 연계정도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칠 것이다.

- 98 -

1-4. 조직의 인지된 자원의존도가 연계정도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칠 것이다.

1-5. 조직의 역(기 유형)이 연계정도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칠 것이다.

1-6. 조직의 특성(직업재활 담인력 유무, 직업재활 산 유무)이 연계정도에

의미 있는 향을 미칠 것이다.

- 99 -

Component Plot

Component 1-연계활성화정도

1.0.50.0-.5-1.0

Com

ponent 2-

주연계기관

1.0

.5

0.0

-.5

-1.0

b94b93

b92

b91

제2 연계상황 산 도 분석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간의 연계상태를 차원의 공간에서 시각화하여

각 변수에 따른 련성을 살펴보기 해, 객 연계를 구성하는 변수들에 하

여 주성분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을 실시한 후 산 도를 분석하는 것

이 주목 이다.

객 연계를 구성하는 변수들의 요인추출은 고유치(eigenvalue) 1이상인 것

을 택하 고, 2개의 요인이 고유치가 1이상이었다. 이 요인들의 설명변량은 67.2%

로 나타났다. <그림 IV-1-2>에서 제2축까지 고려한 차원 공간에 변수들을 치

시켰다. 제1요인은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등 연계수가 높은 변수들이 .90이

상의 높은 요인부하량을 나타내었다. 제1요인은 연계활성화정도로 명명하 다.

제2요인은 공단이 양수, 장애인복지 이 음수, 정신보건기 들이 치로 요인부

하량을 나타내었다. 제2요인은 연계기 특성으로 명명하 다.

즉 <그림 IV-2-1>에서 X축의 우측으로 갈수록 연계가 활성화된 상태로 볼 수 있

고, Y축의 윗쪽은 공

단과의 연계가 활발

한 기 치, Y축 기

은 정신보건기

들과의 연계가 활발

한 기 치, Y축 아

래쪽은 장애인복지

과의 연계가 활발한

기 의 치라 볼 수

있다.

<그림 IV-2-1> 변수 롯 I

- 100 -

연계활성화정도

86420-2

공단

정신보건기관

장애인복지관

8

6

4

2

0

-2

-4

-6

연계활성화 정도

86420-2

전달체계

부처별

연계

8

6

4

2

0

-2

-4

-6

사회복귀시설정신보건센터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정신보건센터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사회복귀시설사회복귀시설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정신보건센터정신보건센터정신보건센터사회복귀시설

사회복귀시설사회복귀시설장애인복지관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

사회복귀시설사회복귀시설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사회복귀시설

공단기관사회복귀시설공단기관사회복귀시설공단기관공단기관사회복귀시설사회복귀시설장애인복지관사회복귀시설사회복귀시설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정신보건센터사회복귀시설사회복귀시설 사회복귀시설사회복귀시설사회복귀시설

사회복귀시설

공단기관

정신보건센터장애인복지관

정신보건센터사회복귀시설

장애인복지관정신보건센터정신보건센터정신보건센터

장애인복지관공단기관장애인복지관장애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사회복귀시설사회복귀시설사회복귀시설정신보건센터공단기관사회복귀시설사회복귀시설

장애인복지관장애인복지관

사회복귀시설

사회복귀시설사회복귀시설정신보건센터사회복귀시설정신보건센터정신보건센터공단기관장애인복지관공단기관정신보건센터사회복귀시설장애인복지관장애인복지관정신보건센터사회복귀시설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공단기관장애인복지관

공단기관

정신보건센터

<그림 IV-2-2>은 반 으로 살펴본 개체 롯으로 X축을 살펴보았을 때,

치 주변에 몰려있고 우측으로 흩어져 있는 상태로 나타났다.

즉 연계활성화 기

상태라고 볼 수 있다.

한 Y축에도 치

주변에 몰려 있는 것

으로 정신장애인 직업

재활서비스는 정신보

건기 을 심으로 연

계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림 IV-2-2> 변수 롯 II

<그림 IV-2-3>는 기 유형별로 살펴본 개체 롯이다.

반 으로 기 유

형 사회복귀시설이

활발한 연계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림 IV-2-3> 기 유형별 개체 롯

- 101 -

<지역별> 연계활성화 정도

86420-2

기관별

8

6

4

2

0

-2

-4

-6

광주경기서울

경기서울 경기경기서울

서울

경기서울서울

경기

경기경기경기경기경기

서울서울서울서울

서울

전북경기경기

경기경기경기부산경기서울경기경기부산부산서울대구대전서울

제주

제주서울서울전남 전북대구경남

충남

경기

경북서울

대구부산

강원경기전북충남

경기 광주충남서울

대구전북경기대구경기서울대구인천

전북경기

대전

충북경남경기경기경북경남제주제주대구인천경남경기서울서울대구

전북

광주

서울 서울

인천

울산

<전담인력 유,무> 연계활성화정도

86420-2

기관별

8

6

4

2

0

-2

-4

-6

무유유

유유 유유무

유유무

유유유유무

유유유유

유유무

무무유무유무유유유무유무무무

무유유무 무무무

무유

유유

유무무무

유 유유유

유무유유무유무유

유유

유무무무무유무유유유유유유무무

유 유

<그림 IV-2-4>는 지역별로 살펴본 개체 롯이다.

반 으로 서울,

경기지역의 기 들

의 연계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는 서울,

경기지역에 기 들

이 집 배치 되어

있는 것과 련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림 IV-2-4> 지역별 개체 롯

<그림 IV-2-5>은 직업재활 담인력 유무에 따라 살펴본 개체 롯이다.

반 으로 기

에 직업재활서비스

를 담하는 인력이

구분되어 있을 경우,

연계가 활성화되어

있는 쪽으로 분포되

어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그림 IV-2-5> 직업재활 담인력 유무에 따른 개체 롯

- 102 -

<직업재활배정 예산유무> 연계활성화정도

86420-2

기관별

8

6

4

2

0

-2

-4

-6

무무유

유유 유유무

유유유

유유유유유

유유

무유무

유유유무유유유유유유유유유무

무유유유 무유무

무무

유무유유

유 유유유

유무유무유유유무

유유

유무유유무무유유유유유유유무

유 유

<자원의존도> 연계활성화정도

86420-2

기관별

8

6

4

2

0

-2

-4

-6

555

55 555

5

455

5

54555

5545

5

545

5555555554555

4

5554 555

5

4

54

54

5

4555

4

5545

554

4455455 55

4

5

5454 4 54555 455

4

5

4 5

5

45

<그림 IV-2-6>은 직업재활 산배정 유무에 따라 살펴본 개체 롯이다.

반 으로 기

에 직업재활 산이

구분되어 따로 배정

되어 있을 경우, 연

계가 활성화되어 있

는 쪽으로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그림 IV-2-6> 직업재활 산배정 유무에 따른 개체 롯

<그림 IV-2-7>은 자원의존도에 따라 살펴본 개체 롯이다.

반 으로 타기

자원에 의존도가 높

은 경우, 연계가 활성

화된 쪽으로 분포되

어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그림 IV-2-7> 자원의존도에 따른 개체 롯

- 103 -

<성별> 연계활성화정도

86420-2

연계기관별

8

6

4

2

0

-2

-4

-6

남자남자여자

남자여자 여자여자여자

남자

여자여자여자

남자

여자여자여자여자여자

여자남자여자여자

여자

여자여자여자

여자여자남자여자여자여자여자여자여자여자남자남자여자

여자

남자여자여자여자 여자여자여자

여자

여자

여자여자

남자남자

여자

여자남자여자여자

남자

여자여자여자여자

여자남자남자

남자남자남자여자여자여자여자여자

남자여자

여자

여자여자남자여자여자여자남자여자여자여자남자여자남자

여자

여자

여자 남자

남자

남자여자

<연령> 연계활성화정도

86420-2

연계기관별

8

6

4

2

0

-2

-4

-6

30대30대20대

30대20대 20대20대30대

20대

20대20대30대

30대

20대20대30대30대20대

20대30대20대20대

20대

20대30대30대

20대30대30대20대30대30대30대30대20대20대20대20대30대

20대

40대30대30대20대 30대20대20대

20대

20대

20대20대

30대30대

20대

20대30대30대20대

20대

40대20대20대30대

20대20대30대

20대40대20대20대30대30대20대20대

30대20대

20대

20대30대30대20대20대20대30대30대20대20대20대20대

30대

30대

20대 30대

30대

30대30대

<그림 IV-2-8>는 성별에 따른 개체 롯이다.

반 으로 성별에

따라 남성과 여성이

비슷한 정도로, 연계

가 활성화된 쪽으로

분포되어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그림 IV-2-8> 성별에 따른 개체 롯

<그림 IV-2-9>은 연령에 따른 개체 롯이다.

30 연령층이 연

계활성화된 쪽으로

분포되어 있으나,

반 으로 연령에 따

른 분포의 차이를 나

타나지 않는 것으로

단된다.

<그림 IV-2-9> 연령에 따른 개체 롯

- 104 -

<결혼여부 > 연계활성화정도

86420-2

연계기관별

8

6

4

2

0

-2

-4

-6

기혼기혼기혼

기혼미혼 미혼미혼미혼

미혼

기혼미혼미혼

미혼

미혼미혼기혼기혼미혼

미혼기혼미혼미혼

미혼

미혼기혼기혼

미혼기혼기혼미혼기혼기혼기혼기혼기혼미혼기혼미혼기혼

기혼

기혼미혼기혼미혼 기혼미혼미혼

미혼

미혼

미혼미혼

미혼미혼

미혼

미혼기혼기혼미혼

미혼

기혼미혼기혼기혼

미혼기혼미혼

미혼기혼미혼미혼미혼미혼미혼미혼

기혼미혼

기혼

미혼미혼기혼미혼미혼미혼미혼기혼미혼기혼미혼미혼미혼

미혼

미혼

미혼 기혼

기혼

기혼기혼

<교육수준> 연계활성화정도

86420-2

연계기관별

8

6

4

2

0

-2

-4

-6

18.018.018.0

18.016.0 16.018.016.0

16.0

18.018.016.0

18.0

16.016.016.016.016.0

16.016.016.018.0

18.0

16.016.018.0

16.018.018.018.018.018.018.016.018.016.018.018.018.0

16.0

16.018.016.016.0 18.016.018.0

16.0

18.0

16.016.0

18.018.0

16.0

16.016.016.018.0

16.0

18.016.016.016.0

16.016.018.0

16.016.016.018.018.018.018.018.0

16.018.0

16.0

16.018.016.016.016.016.018.016.016.016.016.018.016.0

18.0

16.0

18.0 18.0

18.0

18.016.0

<그림 IV-2-10>는 결혼여부에 따른 개체 롯이다.

반 으로 결혼

여부에 따른 분포상

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단된

다.

<그림 IV-2-10> 결혼여부에 따른 개체 롯

<그림 IV-2-11>는 교육수 에 따른 개체 롯이다.

반 으로 교육

수 이 높을수록

연계활성화쪽으로

분포되어 있는 것

으로 단된다.

<그림 IV-2-11> 교육수 에 따른 개체 롯

- 105 -

<경력> 연계활성화정도

86420-2

연계기관별

8

6

4

2

0

-2

-4

-6

3년9년3년

9년3년 3년3년10년이상

6년

3년6년9년

6년

3년6년9년10년이상3년

6년6년3년3년3년

6년6년

3년9년6년6년10년이상9년6년10년이상6년3년3년9년

6년

3년9년6년3년 3년6년

3년

3년

3년3년

10년이상6년

3년

3년6년9년3년

6년

10년이상3년3년

10년이상

3년3년6년

3년10년이상6년3년6년9년6년3년10년이상6년

6년

3년10년이상3년3년3년3년6년10년이상6년6년3년3년3년

3년

6년

3년10년이상

9년

10년이상10년이상

<현근무지경력> 연계활성화정도

86420-2

연계기관별

8

6

4

2

0

-2

-4

-6

3년9년3년

3년3년 3년3년6년

3년

3년3년3년

3년

3년3년3년6년3년

3년3년3년3년

3년

3년6년3년

3년3년6년3년9년6년3년6년6년3년3년3년3년

3년

3년3년6년3년 3년6년3년3년

3년3년

3년6년

3년

3년6년3년3년

6년

3년3년3년3년

3년3년6년

3년3년3년3년6년3년3년3년10년이상6년

3년

3년3년3년3년3년3년3년6년3년3년3년3년3년

3년

3년

3년10년이상

6년

10년이상6년

<그림 IV-2-12>은 경력에 따른 개체 롯이다.

반 으로 담당자

들의 경력기간이 길

수록 연계활성화쪽으

로 분포되어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그림 IV-2-12> 경력에 따른 개체 롯

<그림 IV-2-13>는 근무지 근무기간에 따른 개체 롯이다.

담당자들의 근무

지 근무기간에 따른

분포상의 차이는 나

타나지 않았다.

<그림 IV-2-13> 근무지 근무기간에 따른 개체 롯

- 106 -

<대상자이해교육 유무> 연계활성화정도

86420-2

연계기관별

8

6

4

2

0

-2

-4

-6

유유유

유유 유유유

유유유

유유유유유

유유유유

유유유

유유무유유유유무유유유유유

유유유유 유

유유

무유

유무유유

무유유

유무유

유유유유유유유유유

유유유유무유유유유유유유유

유 유

유유

<연계필요성 인지도> 연계활성화정도

86420-2

연계기관별

8

6

4

2

0

-2

-4

-6

555

55 555

5

555

5

44455

5545

4

555

5555555554455

5

5545 555

5

5

54

54

5

4555

5

5555

555

4555455 55

5

5

5454 5 54553 555

5

5

4 5

5

45

<그림 IV-2-14>는 정신장애인 이해를 한 교육연수 경험 유무에 따른 개체

롯이다.

반 으로 교육연

수 경험이 있을 경우

연계활성화쪽으로 분

포되어 있는 것으로

단된다.

<그림 IV-2-14> 교육연수경험 유무에 따른 개체 롯

<그림 IV-2-15>는 담당자들의 연계필요성 인지정도에 따른 개체 롯이다.

반 으로 연계필

요성을 높게 생각할

수록 연계활성화쪽으

로 분포되어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그림 IV-2-15> 연계필요성 인지정도에 따른 개체 롯

- 107 -

<관련기관사업인지도> 연계활성화정도

86420-2

연계기관별

8

6

4

2

0

-2

-4

-6

151618

1213 131315

17

151313

18

1716131813

16151218

17

151517

15121614171515111514141317

17

16121418 12131415

1712

179

15

15131218

17

111217

161618

1514161413171716

1515

17

14141711201816171214

12

17

17 1517

16

<그림 IV-2-16>는 담당자들의 련기 사업인지정도에 따른 개체 롯이다.

반 으로 사업인

지정도가 높을수록

연계활성화쪽으로 분

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IV-2-16> 련기 사업인지정도에 따른 개체 롯

- 108 -

제3 연계 측요인 검증

1. 상 계분석

회귀분석에 앞서 연계시도와 연계정도에 향을 주는 독립변수들간의 상

계를 <표 IV-3-1>과 같이 분석하 다.

해당변수를 살펴보면, 개인 요인으로 성별, 연령, 결혼여부, 교육수 , 경력

기간, 근무지 근무기간, 정신장애인 련 교육경험여부, 연계필요성 인지정도, 타

기 사업인지정도, 조직요인으로는 타기 자원의존도, 조직 역, 직업재활 담인

력유무, 직업재활 산 유무로 구성된다.

독립변수간 상 계가 높은 경우 변수들간의 다 공선성(Multicolinearity)을

의심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간 상 계수가 r=.80을 넘는 계는 발

견되지 않았다. 즉, 다 공선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표 IV-3-1> 독립변수간 상 계  X1 X2 X3 X4 X5 X6 X7 X8 X9 X10 X11 X12 X13 X14 X15

X11.000 .237** -0.16 -0.044-0.026 0.135 -.289** -0.064 0.057 -0.095 -0.007 -.290** 0.091 0.147 0.014

X2.237** 1.000 -.608** 0.124 .676** .334** -0.069 -0.056 -0.0140.124 -0.098 -0.059 0.086 -0.019 -0.157

X3-0.16 -.608** 1.000 -0.032-.491** -.355** 0.127 -0.012 -0.031-.183* 0.12 -0.062 0.056 -0.019 0.006

X4-0.044 0.124 -0.032 1.000 0.155 0.143 .196* 0.11 0.038 0.065 -0.05 -0.05 .180* 0.158 0.058

X5-0.026 .676** -.491** 0.155 1.000 .535** 0.027 0.007 -0.0340.111 -0.135 -0.019 0.011 0.064 0.028

X60.135 .334** -.355** 0.143 .535** 1.000 -0.035 -0.01 0.022 -0.108 -.215* -0.123 -0.021 .256** .182*

X7-.289** -0.069 0.127 .196* 0.027 -0.035 1.000 0.173 .206* 0.151 .259** 0.143 -.299** -0.068 -0.131

X8-0.064 -0.056 -0.012 0.11 0.007 -0.01 0.173 1.000 0.077 .409** 0.071 0.113 -0.065 -0.042 -0.119

X90.057 -0.014 -0.031 0.038 -0.034 0.022 .206* 0.077 1.000 .188* -0.04 0.139 0.049 0.078 -0.002

X10-0.095 0.124 -.183* 0.065 0.111 -0.108 0.151 .409** .188* 1.000 0.1 0.161 -0.042 -0.024 -0.139

X11-0.007 -0.098 0.12 -0.05 -0.135 -.215* .259** 0.071 -0.04 0.1 1.000 -.525** -.310** -.337** -.329**

X12-.290** -0.059 -0.062 -0.05 -0.019 -0.123 0.143 0.113 0.139 0.161 -.525** 1.000 -.219* -0.07 -0.041

X130.091 0.086 0.056 .180* 0.011 -0.021 -.299** -0.065 0.049 -0.042 -.310** -.219* 1.000 0.169 .212*

X140.147 -0.019 -0.019 0.158 0.064 .256** -0.068 -0.042 0.078 -0.024 -.337** -0.07 0.169 1.000 .277**

X150.014 -0.157 0.006 0.058 0.028 .182* -0.131 -0.119 -0.002-0.139 -.329** -0.041 .212* .277** 1.000

** Correlation is significant at the 0.01 level (2-tailed).* Correlation is significant at the 0.05 level (2-tailed).

X1 : 성별 X2 : 연령 X3 : 결혼여부 X4 : 교육수 X5 : 경력기간

X6 : 근무지 근무기간 X7 : 정신장애인 련 교육연수경험 X8 : 연계필요인지정도

X9 : 련기 사업인지정도 X10 : 자원의존도 X11: 기 역1 X12:기 역2

X13: 기 역3 X14:직업재활 담인력유무 X15:직업재활 산유무

- 109 -

2. 연계시도에 향을 주는 측요인 검증

《연구가설1》의 하 가설 검증을 해 즉,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간

연계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과 향력을 알아보기 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 다. 먼 연구가설에 따라 연구변수들을 추가하여

모델을 구성하고, 모든 변수들로 구성되는 완 모형(Full Model)과 후향단계

(Backward stepwise)선택방법을 실행한 축소모형(Reduced Model)을 각각 제시하

다.

<표 IV-3-2>는 개인요인의 하 항목별로 구성되었으며, 모델의 구성자체는 각

각 모델I(p=.025), 모델II(p=.003), 모델III(p=.011)로 모두 유의미하며, 사례가 정확

히 분류된 정도는 각각 89.0%, 87.6%, 88.2%로 나타났다.

개인요인 연계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수 (p=.016), 교육연수경

험 유무(p=.000), 련기 사업인지(p=.032)로 나타났다.

즉 교육수 이 1단 높아질수록 연계를 시도할 확률은 139%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담당자의 학력수 이 높을수록 련기 과의 연계시도가 높아

짐을 의미한다. 한 정신장애인 이해를 한 교육연수경험이 있을 경우 연계시

도는 11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담당자들의 련기 사업에 한

인지정도가 1단 증가할수록 연계를 시도할 확률은 41%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 110 -

<표 IV-3-2> 연계시도에 향을 미치는 개인요인검증

Variable Model I Model II Model III

B Sig Exp(B) B Sig Exp(B) B Sig Exp(B)

성 별 -.311 .626 .732

연 령 -.065 .309 .937

결혼여부 .139 .861 1.149

교육수 .873 .016* 2.394

경력기간 -.007 .364 .003

근무지 근무기간 -.003 .813 .997

교육연수경험유무 2.363 .000** 10.622

연계필요성 인지 1.080 .075 2.945

련기 사업인지 .344 .032* 1.411

자원의존도 - - - - - - - - -

조직 역1 - - - - - - - - -

조직 역2

조직 역3

직업재활 담인력여부 - - - - - - - - -

직업재활 산여부 - - - - - - - - -

constant -10.308 .095 .000 .735 .250 2.086 -7.797 .026 .000

goodness-of-fit 12.683

df=8 (p=.123)

7.760

df=8 (p=.457)

3.159

df=7 (p=.870)

Percentage Correct 89.0% 87.6% 88.2%

Model X2 11.023

df=4 (p=.025)

14.104

df=3 (p=.003)

9.074

df=2 (p=.011)

Negelkerke R2 .174 .223 .159

* p<.05 ** p<.01

<표 IV-3-3>은 조직요인의 하 항목별로 구성되었으며, 각 모델은 모델

IV(p=.021), 모델V(p=.019)로 구성자체가 유의미하 고, 모델VI(p=.696)으로 구성이

유의미하지 않았다. 사례가 정확히 분류된 정도는 각각 88.2%, 88.2%, 87.9%로

나타났다.

조직요인 연계시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원의존도(p=.021), 조직 역

1(p=.019)으로 나타났다.

즉, 자원의존도가 1단 높아질수록 연계를 시도할 확률은 285%증가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다른 기 에 자원의존도가 높을수록 련기 과의 연계시

- 111 -

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한 조직 역1이 유의미하게 나타난 것은 기 유형이

사회복귀시설일 경우 다른 기 에 비하여 연계시도를 할 확률이 5배정도 증가한

다는 것이다.

<표 IV-3-3> 연계시도에 향을 미치는 조직요인검증

Variable Model IV Model V Model VI

B Sig Exp(B) B Sig Exp(B) B Sig Exp(B)

성 별

연 령

결혼여부

교육수

경력기간

근무지 근무기간

교육연수경험유무

연계필요성 인지

련기 사업인지

자원의존도 1.348 .021* 3.851

조직 역1 1.616 .019* 5.031

조직 역2 1.476 .051 4.375

조직 역3 8.376 .762 4341.8

직업재활 담인력여부 -.509 .442 .601

직업재활 산여부 .381 .572 1.464

constant -4.177 .112 .015 .827 .068 2.286 2.048 .001 7.753

goodness-of-fit - .001

df=2 (p=.999)

1.671

df=2 (p=.434)

Percentage Correct 88.2% 88.2% 87.9%

Model X25.348

df=1 (p=.021)

9.953

df=3 (p=.019)

.725

df=2 (p=.696)

Negelkerke R2 .085 .156 .012

* p<.05 ** p<.01

<표 IV-3-4>은 개인요인과 조직요인의 모든 변수들로 구성되는 완 모형(Full

Model)과 후향단계 (Backward stepwise)선택방법을 실행한 축소모형(Reduced

Model)이다.

- 112 -

각 모델은 완 모형(p=.003), 축소모형(p=.001)로 구성자체가 유의미하 다.

한 사례가 정확히 분류된 정도는 각각 93.1%, 90.2%로 나타났다.

완 모형을 통해 독립변수간 상호 향력이 통제되었을 경우, 연계시도에 향

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연수경험(p=.013)으로 분석되었으며, 향력이 은 변수들

을 단계 으로 제외시켜 얻어진 축소모형을 통해 나타난 요인은 교육연수경험

(p=.003)과 자원의존도(p=.049)로 분석되었다.

즉, 정신장애인 이해를 한 교육연수경험이 있을 경우 연계시도를 할 확률은

9배 증가하고, 자원의존도가 1단 높아질수록 연계를 시도할 확률은 300%증가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IV-3-4> 연계시도에 향을 미치는 종합요인검증

Variable Full Model Reduced Model

B Sig Exp(B) B Sig Exp(B)

성 별 1.655 .280 5.235

연 령 -.226 .179 .798

결혼여부 -1.344 .458 .261

교육수 .381 .567 1.464

경력기간 -.022 .211 .978 -.014 .060 .986

근무지 근무기간 .016 .414 1.016

교육연수경험유무 4.812 .013* 123.020 2.213 .003** 9.139

연계필요성 인지 -.638 .607 .529

련기 사업인지 .335 .183 1.399

자원의존도 2.392 .088 10.936 1.412 .049* 4.104

조직 역1 .640 .713 1.897

조직 역2 .072 .964 1.075

조직 역3 13.380 .725 647065.2

직업재활 담인력여부 -2.722 .118 .066

직업재활 산여부 -.445 .752 .641

constant -10.742 .395 .000 -5.183 .106 .006

goodness-of-fit 6.706

df=8 (p=.569)

6.934

df=8 (p=.544)

Percentage Correct 93.1% 90.2%

Model X234.534

df=15 (p=.003)

16.942

df=3 (p=.001)

Negelkerke R2 .557 .297

* p<.05 ** p<.01

- 113 -

3. 연계강화에 향을 주는 측 요인검증

《연구가설2》의 하 가설 검증을 해 즉,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간

연계강화정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과 향력을 알아보기 하여 다회귀분석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 다. 종속변수인 주 연계와 객

연계에 하여 모든 변수들로 구성되는 완 모형(Full Model)과 후향제거

(Backward elimination)선택방법을 실행한 축소모형(Reduced Model)을 각각 제시

하 다.

<표 IV-3-5>는 주 연계에 한 개인요인과 조직요인의 모든 변수들로 구

성되는 완 모형(Full Model)과 후향제거 선택방법을 실행한 축소모형(Reduced

Model)이다.

먼 , 독립변수들의 상호 향력이 통제된 완 모형의 경우 모형의 구성자체는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45.3%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 으로 유

의미한 수 에서 주 연계강화정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은 담당자의 근무

지 경력기간으로 나타났다. 즉 근무지 근무기간이 길수록 연계가 강화되는 것으

로 분석된다.

완 모형에서 향력이 은 변수들을 단계 으로 제외시켜 얻어진 축소모형

의 경우 34.9%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 으로 유의미한 수 에

서 주 연계강화정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무지 근무기간, 련기 사

업인지, 직업재활 담인력 여부로 분석되었다.

즉 근무지 근무기간이 길수록, 련기 들의 사업에 한 정보를 많이 알수

록, 근무하는 기 에 직업재활 담인력이 있을 경우에 연계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

타났다.

- 114 -

<표 IV-3-5> 주 연계정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검증

Variable Full Model Reduced Model

B β T B β T

성 별 .917 .142 1.145

연 령 -.213 -.331 .891

결혼여부 -.512 -.086 -1.531

교육수 -.253 -.086 -.552

경력기간 3.855E-03 .052 -.640

근무지 근무기간 4.016E-02 .425 .257* 3.365E-02 .356 2.972**

교육연수경험유무 3.092 .240 2.172

연계필요성 인지 1.001 .114 1.638

련기 사업인지 .231 .162 .774 .360 .252 2.136*

자원의존도 -8.9E-02 -.012 1.202

조직 역1 2.522E-02 .004 -.082

조직 역2 -.335 -.052 .019

조직 역3 1.198 .093 -.236

직업재활 담인력여부 1.616 .273 .570 1.734 .293 2.230*

직업재활 산여부 -1.689 -.251 1.765 -.933 -.147 -1.180

constant 10.754 -1.803 5.326

R2 .453 .349

Durbin-Watson 1.743 1.797

F 2.108* 6.564***

* p<.05 ** p<.01

<표 IV-3-6>는 객 연계에 한 개인요인과 조직요인의 모든 변수들로 구

성되는 완 모형(Full Model)과 후향제거 선택방법을 실행한 축소모형(Reduced

Model)이다.

먼 , 독립변수들의 상호 향력이 통제된 완 모형의 경우 모형의 구성자체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립변수의 향력도 나타나지 않았다.

완 모형에서 향력이 은 변수들을 단계 으로 제외시켜 얻어진 축소모형

의 경우 구성자체도 유의미하며, 10.3%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

으로 유의미한 수 에서 객 연계강화정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정

신장애인 이해를 한 교육연수경험유무로 나타났다.

- 115 -

즉 성별의 경우 남성일 경우, 정신장애인 이해를 한 교육연수 경험이 있을

경우 연계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남성은 인구학 요인으로 통제변

수로 본다면 교육연수경험이 연계강화에 주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표 IV-3-6> 객 연계정도에 향을 미치는 요인검증

Variable Full Model I Reduced Model II

B β T B β T

성 별 21.873 .270 1.903 24.363 .301 2.795**

연 령 1.256 .163 .812

결혼여부 4.188 .058 .409

교육수 3.264 .090 .776

경력기간 -1.3E-02 -.015 -.080

근무지 근무기간 -.180 -.151 -.997

교육연수경험유무 16.442 .138 .978 27.913 .234 2.179**

연계필요성 인지 10.186 .119 .993

련기 사업인지 -1.034 -.059 -.518

자원의존도 -.936 -.011 -.095

조직 역1 14.619 .199 .989

조직 역2 .601 .008 .039

조직 역3 -5.293 -.047 -.299

직업재활 담인력여부 10.001 .134 1.107

직업재활 산여부 15.984 .189 1.582

constant -144.443 -1.483 -13.464 -1.039

R2 .203 .103

Durbin-Watson 2.058 2.058

F 1.222 4.897**

* p<.05 ** p<.01

- 116 -

제5장 연계경험 연계환경분석

본 장에서는 면 조사를 통해서 지역기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담당자

들의 연계경험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연계환경을 고찰하 다.

제1 지역기반 연계경험분석

본 에서는 우리나라의 지역기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간 연계경험

에 한 심층분석을 통해 연계경험을 설명하는 근거이론을 제시하 다. 연구문제

는 ‘우리나라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간의 연계경험은 무엇인가?“이다.

우리나라의 지역기반 정신장애인직업재활수행기 간 연계경험을 이해하고 설명

하고자 질 분석방법 근거이론방법을 이용하 다. 자료분석은 Strauss와

Cobin(1990)이 제시한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분석단계를 따랐다. 분석

기에 개방코딩을 통해 개념과 범주를 확인하 고, 축코딩을 통해 범주들끼리 복잡

한 련성을 원인 상황, 상, 맥락, 매개요인, 행동과 상호작용, 략, 결과로

패러다임모형을 악하 다. 선택코딩을 통해 많은 범주 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상을 가장 잘 표할 수 있는 핵심범주를 발견하여 다른 범주들과의 련성을

찾음으로써 이론의 근거를 세우는 작업을 하 다.

1. 연구참여자의 배경

본 연구목 은 지역기반 정신장애인직업재활수행기 간 연계경험으로 ○○지

역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의 담당자로 한정되어 실시되었다. 연구참여자

의 소속기 은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장애인종합복지 ,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지사 총 4개 기 이다. 연구참여자는 모두 10인으로 문유형은 사회복지

사, 간호사, 공단 일반직 직원이었으며, 연령은 모두 30 이상이었고, 경력은

- 117 -

부분 5년 이상이었고 1명이 경력1년이었다. 참여자 8명은 여성이었고, 2명은

남성이었다. 연구참여자들은 모두 련기 상호간에 연계경험이 있었다.

2. 근거자료의 범주화

:지역기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간 연계경험

연구참여자별로 나타난 개념을 근거로 하 범주를 도출한 후 이러한 하 범

주에서 추상성이 증가된 범주를 도출하 다. 본 연구를 통해 최종 으로 도출된

범주는 16개로 다음과 같다.

1) 자원부족

연구참여자들 특히 정신보건 련 조직에서 근무하는 참여자들은 사업수행시

산확보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특히 산에서 직업재활 산확보의 어려

움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사업 산 지 기 의 비 실성을 지 하 다.

-2000년도에 직업재활을 하다가 (정신보건센터사업) 산을 늘려보려구 했는데

올해도 같이 나와서 희가 사업을 확 하는 것이 힘들어지고 해서요..

-사회복귀시설은 운 비가 사업단 가 아니라 이용인원실 으로 지 이 되기

때문에 취업회원에 해 지원이 제약되는 어려움이 있어요. 희(기 ) 경우 (기

인력)3명 1명이 취업담당을 하고 있는데 이 사람의 활동은 운 비에 도

움이 안되면서 돈은 제일 많이 쓰게되죠.

2) 클라이언트의 복합 욕구

참여자들은 서비스 상자들의 직업재활에 한 욕구가 커지면서 서비스를 다양

화해야 하는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기 에 인 , 물 자원이 부족하고 장애인들 욕구는 무 복합 이기 때문에

연계를 하지 않으면 욕구에 맞는 서비스제공이 어려워요.

- 118 -

3) 지역사회내 타기 으로 심돌리기

참여자들은 기본 으로 가까운 지역 심으로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들에 해 찾아보는 경험을 갖고 있었다. 2000년 정신장애인이 신규장애유형

으로 법정 장애인등록이 되면서 정신보건조직 뿐만 아니라 장애인 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내 다양한 기 에 심을 기울이고 있었다.

- 희 지역에 련기 이 없다가 새롭게 복귀시설이 생기면서 그곳에서 직업재

활을 담당한다고 하니까..

-99년에 센터가 오 하고, 우리기 이 2000년에 오 되면서 개소시에 어떻게

복되지 않고 연계할 수 있는지 상의하면서 개소했어요.

-○○에서 정신장애인 부모회에서 정신장애인 직업 역개발을 해달라는 요청이

들어와서 희가 잘 모르기 때문에 ○○기 의사선생님과 의논을 통해서 사업을

시작한 경우가 있어요.

-처음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에 한 네트웍을 악하면서 ○○기 에 해서도 아

름아름으로 알게 되었어요.

4) 련기 인력부족

참여자들은 다양한 업무로 인한 업무과잉, 사업량에 비해 부족한 인력, 특히 직

업재활 담인력의 없음으로 인한 어려움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이 3-4명인데 ..모든 업무를 다해야하기 때문에 취업연결, 사후 리 등이

가장 어려워요.

-한 사람이 80 이스 정도 리하고 있는데 .. 기개입, 로그램, 낮치료센터도

운 해야해요.

5) 지리 근성 떨어짐

참여자들은 동일한 지역을 담당하고 있는 타기 과 연계시에 거리가 멀어서

력이 어려웠던 경험을 갖고 있었다. 이것은 기 마다 담당하고 있는 지역의 범

- 119 -

가 차이가 나면서 력시 사례를 의뢰하거나 모임을 갖기에 거리가 무 멀어지

는 경우 다.

- 재 ○○있는 기 에서 ○○에 있는 ○○기 과 연계하는데 무리가 있어요. 왕

복3~4시간정도가 걸리는데 ..

6) 비정신보건기 담당자들의 클라이언트에 한 이해부족

정신보건기 에 근무하는 참여자는 비정신보건기 담당인력들의 정신장애인에

한 이해부족경험을 토로했으며, 비정신보건기 담당자 스스로도 정신장애인에

한 이해부족을 경험한다고 하 다.

-정신장애의 개념을 우리○○들이 얼마나 알고 있느냐? 는 개인 으로 모릅니

다. 어떻게 취업을 시켜야 되는지 조차 모릅니다. 어느 정도 자세히 알아야

하는지 모르겠지만 업체에 소개시키기에 정보가 무 없습니다.

-(비정신보건기 )○○○기 에서는 확실히 ( 상자를)이해하는 부분이 모자라

요. 정신장애인의 능력을 자꾸자꾸 향상시키고 발 시키려고 무리하게 노력하는

등 여러 가지..

-(비정신보건기 )○○기 에 (회원이)상담하러 갔는데.. 희 회원보고 하루에

몇번 발작을 하느냐고 물었다고 하더라구요. 희 회원이 깜짝놀랐 요.

7) 련기 서비스 상자 기 차이

참여자들은 련기 사이에 서비스 상자 기 차이로 연계시 어려움을 경험하

고 있었다. 특히 상자들의 정신장애라는 낙인화 우려로 인한 장애인등록 기피

로 서비스 연계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정신장애인분들이 등록 안하는 문제는 꼭 걸리더라구요. 장애인등록을 하지 않

은 경우 서비스제공이 어렵거든요.

-○○기 에서 정신지체장애인분들을 의뢰하는 경우가 있고, ○○기 에서는 지

체장애인 분 에서 신경증 인 분들을 보내시기도 하는데 희는 순수 정신장애

- 120 -

인만을 상으로 서비스를 하거든요. 상자의 개념이 틀린 이 연계상 어려운

이기도 해요.

-정신장애가 있는지에 해 상담 받으려고 ○○기 에 의뢰했는데, 정신과진단서

가 있어야 된다고 하네요. 특히 지체장애인 등록을 받았기 때문에 더욱 정신보건

서비스 받기가 어렵더라구요. 그런 경우 연계하기가 어려웠어요.

8) 정책 편성

서비스 상자를 연계하여 취업이 성공하더라도 국민기 생활보장법상 수 권

자인 서비스 상자의 경우 취직후 의료보호 탈락문제로 도포기하는 사례가 있

었다. 이로 인해 연계기 들 사이에 연계를 기피하거나 타기 의 력태도를 부

정 으로 경험하고 있었다.

-생활보호 상 문제가 걸려요. 취업이 되어도 의료보호를 보장받기 해서 취업

을 포기하니..의뢰올 때 의료보호 상자는 취업연계하기가 싫다니까요.

-생활보호 상자의 경우 취업 후에 수입이 생기면 생활보호 상자에서 무조건 탈

락하는 것이 모순인 것 같아요. 희 회원들은 지속 으로 약을 먹어야 하고, 혹

시나 병원에 입원하게 될 경우 오히려 취업을 안하는 것만 못하거든요.

9) 연계기 담당자의 잦은 변경으로 인한 어려움

참여자들은 련기 의 연계하던 담당자가 변경되면서 어려웠던 을 경험하고

있었다. 특히 담당자가 자주 변경되는 기 과는 이후 연계가 어지는 부정 인

경험을 표출했다.

-처음 만났을 때, 여러○○기 사업얘기는 들었지만 담당자가 자주 바 시더라

구요. 처음에 담당실무자와 다 계획세우고 하다가 자주 바 니까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하고..

- 121 -

10) 련 기 담당자들의 ‘열린마음’

참여자들은 련기 과 연계시에 무엇보다도 연계담당자, 기 리자의 개방

인 의사소통, 태도, 변화가능성 등이 연계의 요한 요소라고 지 하 다.

-연계하고 력하는 것이 요한 게 ‘열린 마음’이에요. 시설장님이나 인력들이

마음이 다 열려 있어서..

11) 연계노력

참여자들은 연계업무가 하나의 업무로 다 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기 들 사이에 연계가 되려면 이에 해 심과 노력이 필요했고, 연계

계 형성기간 필요했다고 응답했다.

-연계도 시간이 필요하고 노력이 필요해요. 그 체계가 하루아침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 2-3년 되면서 조 씩 잡 가요.

- 련기 을 극 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해요. 서로 이용하려는 노력을 필요

하죠. ○○기 혼자서 직업재활을 혼자 할 수 없으니까요.

-○○기 통해 지원고용하려고 4-5번 정도 찾아가고, 고용주 모임에도 참석하

고..

12) 련기 서비스 이해도

참여자들은 타기 서비스를 이해하는 것이 요하다고 진술했다. 타기 사업

정보를 알아가면서 연계를 시도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가 부족한 타기 사업

에 해선 좀더 극 인 홍보가 이 지길 희망하고 있었다.

- 연계가 이 질 수 있도록 해당기 들이 서로 알리고 알려는 노력들이 있어야

..○○기 은 좀더 극 으로 사업홍보를 했으면 해요.

-정신장애인은 우리기 에서만 새로운 것이지 의료쪽에서는 새로운게 아니잖아

요. 희가 잘난척 할 필요가 없어요. 기존 구축된 인 라에 해 이해하고 연

계하는게 필요해요.

- 122 -

- ..아는 만큼 연계도 활발히 해요. ○○사업은 잘 모르겠더라구요. 어느 정도

아는데 시간 걸렸어요. 타기 사업에 해 알아야..

13) 기 의 상호간 사업조정

참여자들은 련기 과 연락을 하게 되고, 의뢰하면서 사업에 심을 갖게 되

고, 사업조정을 하게되는 경험을 갖고 있었다. 사업조정의 경우, 우선 연계를 시

도한 기 의 사업조정이 일어나고, 상 기 의 사업조정이 일어나는 경험을 하고

있었다. 어떤 기 은 새로운 제도나 사업이 생겨나기도 하고, 어떤 기 은 시행

이던 사업이 축소되거나 연계를 강화하는 등의 변화가 생겨났다.

-서로의 취지를 설명하고 보호작업장이 필요한 회원을 (○○기 에)의뢰하면 좋

을 것 같아서...그래서 ‘졸업제도’가 생겼어요. 주간보호센터에서 계속 계신분은

계속 정체되고 상회원은 한정되어 있고 해서 1년 6개월정도의 졸업제도를 만들

어서 졸업후 가능한 회원은 ○○기 에 의뢰했어요.

-○○기 과 보호작업장 물량만 연계했죠. ○○기 은 정신장애인은 무조건

희기 에 의뢰했어요. 이제 의뢰 상자에 해서 이해하면서....이후에 ○○기

의 보호작업장에서 희 회원이 일을 하고 있어요.

14) 서비스 복 회원탈락으로 인한 역할 재혼란

참여자들은 서로 연계가 시작되면서 공식 으로 비공식 으로 사업내용의 조정

이 일어난 후 조정된 내용을 시행하면서 다시 서비스 복이 일어나거나 역할이

혼란한 경험을 했다.

-그 역이나 입장이 딱 구분되어 있지 않으면서..그러니깐 아직은 혼란기인 것

같아요. ○○○기 이 좀더 직업재활을 강조하고 있죠. (하지만)같은 회원인데

여기서 연결되어 갔을 경우, (사례 리시) 복서비스일 수 있고, 상자도 혼란

스러워하고..

-사례 리에서 문제가 있었는데 취업장 리는 ○○에서 하고 회원 리는 우리가

- 123 -

하니까 고용주가 혼란스러워 하고, 회원이 간에서 탈락되는 경우도 있었어요.

15) 지속 인 력모임 결성 재조정과정

참여자들은 서로 일회성의 정보공유에서 력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서로 지속

인 정보공유를 해 정기 인 회의를 갖게 되었고, 사례를 공유하고 사업에

해서도 함께 논의하는 경험을 진술했다. 정기 모임 뿐 아니라 공동 력사업을

함께 진행하는 경험도 갖게 되며, 계속해서 서비스 재조정이 일어난다고 응답했

다.

- 이 게 한 사례에 해 여러 서비스 담당자들이 연결될 경우 서로 정리하고 공

유해요. 그 형식을 올해부터 희가 만들었어요. 그런데 아직까지 규모가 크지

않지만 앞으로 좀더 필요하구요.

- 달마다 실무진이 모여서 월례회의를 하는데 회의를 통해서 주로 사업에 해

서로 반 으로 (의논)하고 있고, ○○기 도 자료를 만들어와서 발표하고 ..

16) 교육필요

참여자들은 새롭게 정신장애인 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의 담당자들의 교

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상자이해가 요하기 때문에 정신장애인 이해와

련한 교육이 먼 시행되어야 한다고 진술했다.

-서비스하는 사람들이 먼 교육이 되어야 하는데, 우리가 지식이 부족하죠.

-작년에 한번 상담해 보고 올해 하게 되는데...처음엔 당황스러워서요. 정신장애

인을 상담한다는 것이요. 취업연결을 해 상담한다는 것이 어려웠어요. 는

한번정도 정신장애인에 해 교육을 받은 이 있지만 희기 다른 트분들은

교육경험이 거의 없어요.

- 124 -

3. 연계경험에 한 근거이론

1) 력추구

본 연구 참여자의 연계경험은 ‘ 력추구’과정으로 도출되었으며 개념 틀은

<그림 V-1-1>과 같다.

‘ 력추구’는 근거자료의 범주화에서 악된 ‘다른 기 에 한 심돌리기’라는

범주를 추상화시켜 핵심범주로 도출하 다. 연구참여자들의 연계경험은 ‘다른 기

에 한 심돌리기’ 다. 이것은 클라이언트의 다원화된 욕구와 기 의 자원

의 부족 상으로 인하여 발생된 노력이었다.

즉, 력추구과정의 원인 상황은 클라이언트의 다원화된 욕구와 기 의 자원

부족상황이었다. 력추구과정의 맥락은 방해요인과 활성화요인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방해요인은 련기 의 인력부족, 지리 근성 부족, 정신장애인 상

자에 한 이해부족, 서비스 상자 기 차이, 정책 편성이었고, 활성화요인은

연계담당자의 ‘열린마음’, 연계노력, 비정신보건기 담당자들의 상자이해를

한 교육실시 다.

력추구과정의 ‘작용/상호작용’ 략은 타기 서비스 이해하기, 우리기 서비

스조정하기, 타기 서비스조정하기, 역할 재혼란기, 력모임 결성하기 다. 이

를 단계 으로 구분하면 력추구시 이용할 수 있는 지역기 서비스를 탐색하기,

타기 서비스를 이해하기, 기 상호간의 서비스 조정하기, 역할혼란기(역할 재설

정기), 지속 력체 구성기(지속 력 조정기)로 분석되었다.

2) 력추구 유형

본 연구분석을 통해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간 력추구유형은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력을 추구하는 담당자 특성과 담당자가 근무하는 조직의

특성에 따라 구분하 다. 담당자가 력을 먼 시도하고 지속 으로 력을 추

구하는 등 극성을 띠는지 혹은 소극성을 띠는지와 력 계에서 소속기 의 조

- 125 -

정가능성, 변화가능성이 유연한지가 구분기 이었다. 이에 따라 주도형, 조형,

권 형, 반응형(순응형)으로 명명하 다. 즉, 주도형은 력에 있어 먼 시도하며,

변화가 유연하게 이 지는 유형이며, 반응형은 력을 시도해오는 조직에 의해 수

동 으로 반응하며, 변화가능성이 은 유형이었다<표 V-1-1>.

<표 V-1-1> 력추구유형 분류

담당자특성

조직특성극성 소극성

변화 유연성 주도형 조형

변화 경직성 권 형 반응형

<그림 V-1-1>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간 력추구 경험 개념도

기 의 자원부족

클라이언트 복합 욕구

력추구

: 타기 으로

심돌리기

방해요인

-인력부족

- 근성떨어짐

- 상자이해부족

- 상자기 차이

-정책 편성

-담당자 잦은교체

활성화요인

-연계담당자

'열린마음'

-연계노력

- 상자이해교육

타기 사업 이해하기

지역기 탐색하기

기 상호조정기

역할혼란기(재설정)

지속 력체 구성기

- 126 -

제2 연계자원환경 고찰

- 련 법, 정신보건 산, 정보구축화 심으로 -

연계환경이란 연계를 둘러싼 환경 지지측면으로, 이에 한 구체 요소를 정

의하거나 설명 요인을 분석한 연구는 미진하다. 다만 탐색 연구로 Mattessich

& Monsey(1992)에 의하면 지역사회내 상호 력 분 기일 때, 지역사회내에 상

호 력을 이룰 수 있는 지도자가 있을 때 연계가 활성화된다고 하 다. Dennis

F. Beatrice(1990)는 법률 제약이 있을 때, 정부기 이 이러한 연계에 흥미를 갖

고 있을 때 연계가 활성화된다고 하 다. Akinbode & Clark(1976)와 Boje &

Whetten(1981)도 역시 법규정, 법 연계가 필요하다고 하 다. Provan과

Milward(1995)도 연구에서 지역사회체계가 안정되어 있을 때, 다른 네트워크기

, 산 등의 체계 환경자원이 좀더 풍부할 때 가장 효과 이라고 결론 내렸다.

한 손 훈(1998)은 상호연계와 련된 법이 존재할 때, 문가의 지속 인 교

육체계가 있을 때, 정보체계가 구축되어있을 때 연계가 활성화된다고 하 다.

그러므로 본 에서는 연계환경으로 나타난 부분 연계에 련된 법, 련

산, 연계를 한 정보구축화 정도에 하여 탐색 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 련법

재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을 해 살펴보아야 할 3 법 즉,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활법, 장애인복지법, 정신보건법의 연계에 련 조항들을 살펴보도록 하

겠다.

가.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활법

1) 법안 형성 목

- 127 -

(1) 법안 형성

-1988년 12월「심신장애자고용 진법」발의

-1990년 1월「장애인고용 진등에 한법률」제정․공포 (제4219호)

-2000년 1월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활법」 문개정․공포(제6166호)

-2001년 1월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활법」일부개정․공포(제6400호)

(2) 목 : 장애인이 자신의 능력에 맞는 직업재활을 통해 인간다운 생활을 살

수 있도록 장애인의 고용 진 직업재활을 도모하는데 그 목 이 있

다.

2) 법의 체계: 총 6장, 74조 부칙

(1) 총칙 :

목 , 정의,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책임, 사업주의 책임, 장애인의 자립노

력,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활기본계획 등, 교육부 보건복지부와의 연계

(2)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활:

장애인직업재활실시기 , 직업지도, 직업 응훈련, 직업능력개발훈련, 지원

고용, 보호고용, 취업알선 등 취업알선기 간 연계, 자 업장애인지원, 장애

인근로자 지원, 취업 후 응지도, 사업주에 한 고용지도, 장애인고용 우

수 사업주의 우 , 사업주에 한 자료제공, 장애인실태조사

(3) 장애인고용의무 부담 :

국가 지방자치 단체의 장애인 고용의무, 사업주의 장애인고용의무, 사

업주의 장애인고용계획 수립, 장애인고용장려 의 지 , 장애인고용부담

의 납부 가삼 연체 의 징수, 통지, 감독 체납처분, 징수우선순 ,

서류의 송달 소멸시효, 시효의 단, 결손처분

(4) 한국장애인 고용 진공단 :

공단의 설립, 법인격, 사무소, 설립등기, 정 , 임원의 임면, 임원의 임기,

임원의 직무, 임원의 결격 사유, 임원의 겸직제한, 이사회, 직원의 임면, 산

- 128 -

하기 , 국유재산 등의 무상 부, 자 의 차입, 공단의 회계, 사업계획 등의

승인, 사업계획 결산서 작성의 특례, 결산서의 제출, 잉여 의 처리, 업무

의 지도․감독 유사명칭의 사용 지. 민법의 용

(5) 장애인 고용 진 직업재활 기 :

기 의 설치, 기 의 재원, 기 의 용도, 기 의 운용․ 리, 기 의 회계

기 , 자 계정의 설치

(6) 보칙 :

장애인직업생활상담원, 보고와 검사, 세제지원, 경비보조, 조 권한의

임․ 탁, 다른 법률과의 계, 과태료, 벌칙 용에 있어서의 공무원의제

3) 연계 련 법 내용:

2001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활법

제7조 (교육인 자원부 보건복지부와의 연계)

① 교육인 자원부장 은 특수교육진흥법에 의한 특수교육 상자의 취업을

진하기 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직업교육 내용 등에

하여 노동부장 과 의하여야 한다. <개정 2001.1.29>

② 보건복지부장 은 직업재활사업 등이 효율 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노

동부장 과 긴 히 조하여야 한다.

제15조 (취업알선기 간 연계 등)

① 노동부장 은 장애인의 취업기회를 확 하기 하여 취업알선 업무를

수행하는 재활실시기 간 구인 ․ 구직정보의 교류와 장애인근로자 리

등의 효율 인 연계를 도모하고 제36조의 규정에 의한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에서 이를 종합 으로 집 리할 수 있도록 취업알선 산망 구

축 등의 조치를 강구하여야 한다.

② 노동부장 은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취업알선 산망 구축 등의 조치를

강구함에 있어서 직업안정법 제4조제1호의 규정에 의한 직업안정기 과

연계되도록 하여야 한다.

- 129 -

나. 장애인복지법

1) 법안 형성 목

(1) 법안 형성

-1981년 6월「심신장애인복지법」제정․공포

-1989년 12월「장애인복지법」 문개정․공포(제4179호)

-1999년 2월 「장애인복지법」 문개정․공포(제5931호)

-2001년 4월 「장애인복지법」일부개정․공포(제6460호)

(2) 목 : 장애인의 인간다운 삶과 권리 보장을 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등

의 책임을 명백히 하며, 장애발생의 방과 장애인의 의료, 교육, 직업재

활, 생활환경개선 등에 한 사업을 정함으로 장애인복지 책의 추진도

모와 장애인 자립, 보호 수당의 지 등에 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함

으로써 장애인의 생활안정에 기여하는 등 장애인 복지증진 사회활동

참여증진에 기여함을 목 으로 한다.

2)법의 체계: 총 8장, 80조 부칙 9조

(1) 총칙 :

목 , 장애인정의, 기본이념, 장애인의 권리, 장애인 가족의 의무, 증장애

인의 보호, 보호자에 한 배려, 차별 지 등, 국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

장애인복지조정 원회, 장애인의 날, 다른법률과의 계, 법제상의 조치등

(2) 기본시책의 강구:

장애발생 방, 의료․재활치료, 사회 응훈련, 교육, 직업재활, 정보에의 근,

편의시설, 안 책의 강구, 선거권 등 행사의 편의제공, 주택의 보 , 문화

환경의 정비등, 복지연구 등의진흥, 경제 부담의 경감

(3) 복지조치 :

조사, 장애인 등록, 장애인복지상담원, 재활상담 입소 등의 조치, 장애유

- 130 -

형별 재활서비스 제공, 의료비의 지 , 자녀교육비의 지 , 장애인사용자동

차등에 한 지원 등, 장애인보조견의 훈련․보 지원 등, 자 의 여 등,

생업지원, 자립훈련비 지원,생산품의 구매, 고용의 진, 공공시설의 우선이

용, 국․공유재산의 우선매각 도는 뮤․무상임 , 장애수당, 장애아동부양수

당 보호수당, 재활의 연구

(4) 복지시설 단체 :

보호조치 등, 장애인복지시설, 장애인복지시설의설치, 시설운 의 개시등, 감

독, 시설의 개선, 사업의 정지, 폐쇄 등, 감독, 단체의 보호․육성, 장애인복

지단체 의회

(5) 재활보조기구 :

재활보조기구, 재활보조기구 품목고시, 교부, 재활보조기구업체의 지원․육

성, 재활보조기구 연구개발의 지원등, 의지․보조기 제조업소의 개설사실통

보 등, 의지․보조기 제조업소의 개설사실 폐쇄 등

(6) 장애인복지 문인력 :

장애인복지 문인력의 양성 등, 의지․보조기사자격증의 교부 등, 의지․보

조기사국가시험의 실시 등, 응시자격의 제한 등, 보수교육, 자격취소, 자격정

(7) 보칙:

비용의 부담, 비용의 수집, 비용의 보조, 압류 지, 조세의 감면, 심사청구,

권한의 임 등

(8) 벌칙:

벌칙, 양벌규정 과태료

- 131 -

3) 연계 련 법 내용

장애인복지법 2001

제11조 (장애인복지조정 원회)

① 장애인복지 종합정책을 수립하고 계 부처간의 의견을 조정하며 그 정

책의 이행을 감독하고 평가하기 하여 국무총리 소속하에 장애인복지조

정 원회를 둔다.

② 장애인복지조정 원회는 다음 각호의 사항을 심의 ․ 조정한다.

1. 장애인복지정책의 기본방향에 한 사항

2. 장애인복지증진을 한 제도개선과 산지원에 한 사항

3. 요한 특수교육정책의 조정에 한 사항

4. 요한 장애인 고용 진정책의 조정에 한 사항

5. 장애인복지에 한 련부처의 조사항

6. 기타 장애인복지와 련하여 통령령이 정하는 사항

③ 장애인복지조정 원회는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계 행정기 에

하여 그 소속직원의 출석 ․ 설명과 자료의 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

④ 장애인복지조정 원회의 구성 운 에 하여 필요한 사항은 통령령

으로 정한다.

제13조 (다른 법률과의 계)

제2조의 규정에 의한 장애인 정신보건법과 국가유공자등 우 지원에

한법률 등 통령령이 정하는 다른 법률의 용을 받는 장애인에 해서는

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이 법의 용을 제한할 수 있다.

다. 정신보건법

1) 법안 형성 목

(1) 법안 형성

-1995년 12월「정신보건법」제정․공포

-1997년 12월「정신보건법」 문개정․공포(제5486호)

-2000년 1월 「정신보건법」일부개정․공포(제6152호)

(2) 목 : 정신보건법은 인간에 한 존엄과 가치 보장을 기본 이념으로 하여

정신질환자의 인권보호에 을 두었으며, 정신질환의 방과 정신질환자

- 132 -

의 의료 사회복귀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민의 정신건강증진

에 이바지함을 목 으로 하고 있다.

2) 법의 체계: 총6장 59조 부칙6조

(1) 총칙 :

목 , 기본이념, 정의 , 국가, 자치단체 국민의 의무규정, 실태조사

(2) 정신보건시설 :

정신병원의 설치, 정신요양시설의 설치․운 , 정신요양시설의 폐지․휴

지․재개신고, 정신요양시설의 개선, 사업의 정지, 허가취소 등, 정신의료

기 의 시설기 등, 보건소, 정신보건연구기 의 설치, 사회복귀시설의 설

치․운 , 사회복귀시설의 종류, 사회복귀시설의 폐지․휴지․재개신고,

시설설치의 폐쇄등, 청문정

(3) 보호 치료 :

보호의무자, 보호의무자의 의무, 자의입원,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 시․

도지사에 의한 입원, 응 입원

(4) 퇴원의 청구 심사 :

정신보건심의 원회 설치 종류, 직무, 퇴원심사청구, 지방정신보건심의

원회의 회부, 퇴원심사, 퇴원명령, 재심사청구, 재심사 회부, 시․도지사

에 의한 입원조치의 해제, 가퇴원, 무단퇴원자에 한 조치, 보고․검사등

(5) 권익보호 지원 등:

입원 지 등, 권익보호, 비 설의 지, 수용 지, 특수치료의 제한, 행

동제한의 지, 환자의 격리제한, 직업지도 등, 단체․시설의 보호육성 등,

경제 부담의 경감 등, 비용의 부담, 비용의 징수, 보조 , 권한의 임

(6) 벌칙 : 벌칙, 양벌규정, 과태료

- 133 -

3) 연계 련 법 내용

정신보건법 2001

부칙 제6조 (다른 법령과의 계)

이 법 시행당시 다른 법령에서 정신보건법의 규정을 인용하고 있는 경우

이 법 그에 한 규정이 있는 때에는 이 법의 해당 규정을 인용한 것

으로 본다.

라. 연계조항들의 문제

1) 연계 련조항의 미흡성

련된 3개 법 즉,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활법, 장애인복지법, 정신보건법을 살

펴본 결과, 기 간 연계와 련하여 어떤 차나 내용이 매우 미흡하 다. 장애

인고용 진 직업재활법에서는 제7조(교육인 자원부와 보건복지부와의 연계)와

제15조(취업알선기 간 연계 등)가 연계와 련하여 나타나 있으나, 장애인복지법

과 정신보건법에서는 기 간 연계에 한 조항이 나타나 있지 않았다. 다만, 장

애인복지법 제11조에 나타난 ‘장애인복지조정 원회’에 한 사항은 연계에 있어

요한 부분이나, 부처간의 조정역할로 기 간 연계에서 조정의 역할과는 거리가

멀었다. 한 장애인복지법 제13조와 정신보건법 부칙 제6조에서는 다른 법률과

의 계만 언 되어 있다.

2) 연계조항들이 추상성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활법 제7조(교육인 자원부와 보건복지부와의 연계)는

직업재활 수행기 간의 구체 인 연계조항은 아니지만, 그 상 단계인 계부처간

의 연계문제를 확보하기 한 규정으로서 교육부와 보건복지부가 노동부 장 과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활사업에 각 부처가 필요로 하는 사항에 하여 의

할 수 있도록 함으로 최소한의 산 복추진방지, 효율성 증진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조항의 구체 조규정에 해

- 134 -

서는 나타나 있지 않아 형식 인 조항이 될 수 있다.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활법 제15조(취업알선기 간 연계 등)에서는 연계기 간

취업알선 산망 구축에 하여 나타나 있다. 이는 취업알선분야에서 효율 인 연

계도모를 해 고무 인 부분이다. 그러나 그 이외의 의뢰나 연계체계에 한 연

계사항에 한 언 은 나타나있지 않다.

3) 연계 련 제한성

<표 V-2-1> 연계 련 제한 법조항

2001장애인고용 진

직업재활법

2001장애인복지법

2002정신보건법

제8조(장애인직업재활실시기 ) ① 장애인직업재활실시기 (이하 "재활실시기 "이라 한다)은 장애인에 한 직업재활사업을 다양하게 개발하여 장애인에게 직 제공하여야 하며 특히 증장애인의 자립능력 제고를

한 직업재활실시에 극 노력하여야 한다.② 재활실시기 은 다음 각호의 1과 같다.

1. 특수교육진흥법 제2조제3호의 규정에 의한 특수교육기2. 장애인복지법 제48조제1항제2호의 규정에 의한 장애인복지

3. 장애인복지법 제48조제1항제3호의 규정에 의한 장애인직업재활시설4. 장애인복지법 제53조의 규정에 의한 장애인복지단체5. 근로자직업훈련 진법 제2조제2호의 규정에 의한 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6. 기타 노동부령으로 정하는 기 으로서 노동부장 이 장애인에 한 직업재활사업을 수행할 능력이 있다고 인정하는 기

제13조(다른법률과의 계) 제2조 규정 장애인

정신보건법- - - 용받는 장애인에 해서는 통령령이 정하는바에 따라 이법의 용을제한할 수 있다.

제48조 (장애인복지시설) ① 장애인복지시설의 종류는 다음 각호와 같다.2.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 장애인복지 , 의료재활시설, 체육시설, 수련시설, 공동생활가정 등 장애인에게

문 인 상담 ․ 치료 ․ 훈련 등을 제공하거나 여가활동 사회참여활동 등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하는 시설3. 장애인직업재활시설 : 일반 고용이 어려운 장애인이 특별히 비된 작업환경에서 직업훈련을 받거나 직업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설

제16조(사회복귀시설의 종류) 사회복귀시설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정신질환자생활훈련시설:정신질환 때문에 가정에서 일상생활을 하는데 지장이 있는 정신질환자를 하여 일상생활에 응할 수 있도록 렴한 요 으로 거실 기타 시설을 이용하게 하고 필요한 훈련 지도를 함으로써 정신질환자의 사회복귀를 진할 것을 목 으로 하는 시설

2. 정신질환자작업훈련시설:고용되기 곤란한 정신질환자가 자활할 수 있도록 렴한 요 으로 거실 기타 시설을 이용하게 하고 필요한 훈련을 하며 직업을 알선함으로써 사회복귀 진을 도모하는 것을 목 으로 하는 시설

3. 기타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시설

의 <표 V-2-1>를 살펴보면, 먼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활법 제8조에서는 직

업재활실시기 의 정의를 특수교육기 , 장애인복지 ,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장애

- 135 -

인복지단체, 직업능력개발훈련시설, 기타 노동부령이 정하는 기 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 특수교육기 27) 은 교육기 이지만 의 으로 직업재활실시기 의

분류에 포함되어 있다.

반면, 정신보건법상 제16조상 사회복귀시설은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을 수행하

고 있으나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활법 상에는 제외되어 있다. 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에 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정신보건센터의 경우는 정신보건법상의 법

기 이 아닌 모호한 기 성격을 갖고 있다. 이 듯 법 미비로 인하여 직업

재활실시기 에서 사회복귀시설와 정신보건센터는 제외되어 다양한 지원기회가

차단되는 제한성을 나타내고 있다.

한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활법 상 직업재활기 으로 분류된 장애인복지 과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은 장애인복지법 제13조와 시행령 제10조에 의해28) 정신장애

인에게 주거편의, 상담, 치료, 훈련 등의 필요한 서비스를 용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조항은 정신보건법상의 제공되는 서비스와의 복이 우려된 면이기도

하나 우리나라의 장애인 체 인 라가 미흡한 시 에서 지역사회내 연계할 수 있

는 자원기 들을 법 으로 차단한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

27) 특수교육 상자들이 다니는 유치원․ 등학교, 학교, 공과를 포함한 고등학교의 과정

을 교육하는 특수학교 특수학 을 말한다.

28)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제10조 (다른 법률과의 계)

② 법 제2조의 규정에 의한 장애인 정신보건법의 용을 받는 장애인에 하여는법 제

13조의 규정에 의하여 법 제31조 제1항 제2호 제3호의 규정을 용하지 아니한다.

- 136 -

2. 정신보건 산

정신보건사업 사회복귀시설은 일반회계 산으로 운 되고 있으며, 정신보건

센터는 국민건강증진 기 으로 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귀시설의

운 산은 <표 V-2-2>에서 보듯 2003년에는 12억 1900만원으로 증액되어 년

도 미 25.4%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정신보건센터는 국민건강증진

기 으로 2000년도에는 7억 2천만원으로 운 되었고, 개소당 지방비를 포함하여

약 3천만원의 운 지원이 되었다(복지부, 2000). 이러한 지원은 2001년도에는 14

억원, 2003년에는 지역정신보건사업운 에 15억 1천만원정도가 책정되어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29).

체 인 정신보건의 산은 확 되고 있음이 고무 이라 할 수 있으나 지역정

신보건사업의 요성에도 불구하고 사업비가 은 부분과 정신보건센터의 경우

기 지원에 의한 산의 불안정 측면은 일반 산으로의 환이 필요하다.

한 정신보건 산의 확보측면 뿐 아니라 산 지원방식에 변화가 필요하다.

사회복귀시설의 경우 산지원은 직원인건비, 시설 리운 비 로그램 운 비

로 구분하여 산을 지원 받고 있다. 그 로그램 운 비는 이용자카운트형30)

으로 지원되고 있다. 이로 인해 이용 상자들에게 기 내 서비스 제공이 산에

반 될 뿐 직업재활 후 외부에 나가서 활동하는 부분에 해서는 산지원

이 이 지지 않고 있다. 즉, 사회복귀시설에서 회원들이 직업재활을 통해 취업이

될 경우 장방문지원이나 기타 로그램 내 서비스를 받지 않는 회원에 한 서

비스는 산을 지원 받지 못하여 결국 산지원방식이 직업재활을 방해하는 요소

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산지원방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29) www.npil.org30) 입소 이용인원의 재활 사회복귀를 지원하기 한 각종 서비스 로그

램비용으로 생활훈련, 작업훈련, 여가활동, 부서활동 등의 진행 재료비용이며,

년간 집행계획을 수립하여 균형있게 사용(1인당 110천원:국고+지방비/년)

- 137 -

<표 V-2-2>정신질환 리 산개요

구분2002년 산

(A)

2003년 산

(B)

증감

(B-A)%

계(국특)

43,896

(3,000)

54,188

(8,197)

10,292

(5,197)

23.4

(173.2)

ㅇ정신요양시설지원 27,726 36,715 8,989 32.4

-운 지원 18,635 25,895 7,260 39.0

-기능보강 4,287 4,797 510 11.9

-사회복귀시설운 기능보강 4,804 6,023 1,219 25.4

ㅇ 한정신보건가족 회 지원 - 150 150 신규

ㅇ 정신병원운 16,319 17,279 1,140 7.1

ㅇ 국립서울병원이 (국특) (3,000) (8,197) (5,197) (173.2)

ㅇ 행정경비 31 44 13 41.9

*보건복지부 제출자료:www.npil.org

- 138 -

3. 정보구축화

기 간 연계와 서비스 통합방안 하나는 컴퓨터 산망을 통한 정보연계망 구

축이다.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은 1998년도부터 장애인 상의 취업알선시스템을 구성

하여 운 이며, 2002년 4월에는 고용정보망으로 통합하여 공단 내부기 뿐 아

니라 직업재활실시센터 137개 기 과 함께 연계망을 구축하고 있다.

정신보건사업에서는 1997년 서울시 정신보건 정보 리시스템 M-HIS(Mental

Health Information System)가 1차 개발완료 되어 강남정신보건센터에서 1년간 시

험운 을 거쳐 1998년 8월 서울시 정신보건 정보 리시스템 M-HIS 5개 센터에

배포․운 되었으며, 2000년 1월 서울시정신보건 산망 시범운 (서울시 7개 센

터)되었다. 한 복지부에서도 정신보건 자원 리를 하여 1998년부터 반 인

정신보건정보 구축작업을 시작하 다.

향후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시 의뢰와 연계활성화를 해 정신보건기 들과 장

애인고용정보망과의 정보연계망 구축이 필요하다.

장애인고용정보망과 정신보건정보시스템 내용을 간단히 살펴보았다.

가. 고용정보시스템

1) 목 :

장애인고용정보시스템(외부시스템)은 장애인에 한 취업알선 서비스의 증

장애인과 사업장에 한 구인구직시의 편의성, 내부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한 효율성을 제고하기 한 목 으로 개발되었다.

2) 구성:

시스템은 크게 기화면, 사이트내용검색, 기 소개, 구인검색, 구직검색, 기

- 139 -

별 구인구직정보, 직업능력평가, 도우미, 구직신청, 구인신청, 융자지원안내,

직업훈련안내, 련사이트, 인터넷 련정보검색, 최근채용정보, HOT구인, 최신

뉴스, 알림, 자원 사, 웹사이트 리로 구성되어 있다.

3) 주요내용:

■ 기화면 : 웹사이트의 기화면으로 각 메뉴로 근할 수 있는 링크 연결

주요 알림 사항들을 사용자에게 제공

■ 사이트내용검색 : 웹사이트 내부에 구축된 컨텐츠들에 한 검색 기능을

제공

■ 기 소개 :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과 직업재활실시기 들에 한 안내

기능을 제공

■ 구인검색 : 구인업체에 한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검색할 수 있도록 제공

■ 구직검색 : 구직자에 한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검색할 수 있도록 제공

■ 기 별 구인구직정보 : 내부사용자(공단과 직업재활실시기 )가 구인정보나

홍보 게시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

■ 직업능력평가 : 직업능력평가에 한 안내 기능을 제공

■ 도우미 : 웹사이트를 이용하는데 필요한 도우미 기능을 제공

■ 구직신청 : 장애인이 구직신청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 (내부시스템과

연계)

■ 구인신청 : 사업장이 구인신청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 (내부시스템과

연계)

■ 융자지원안내 : 융자지원에 한 안내 기능을 제공

■ 직업훈련안내 : 직업훈련에 한 안내 기능을 제공

■ 련사이트 : 련된 사이트에 한 링크를 제공

■ 인터넷 련정보검색 : 장애인고용과 련된 정보를 지정된 타 사이트에서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

- 140 -

■ 최근채용정보 : 가장 최근의 채용정보를 제공

■ HOT구인 : 고 인력구인업체,다수구인업체,장애인의무고용사업체 등의 채

용정보를 제공

■ 최신뉴스 : 장애인고용과 련된 정보를 타 사이트에서 검색한 결과를

리자가 선정하여 사용자에게 그 정보를 제공

■ 알림 : 사용자에게 공지 사항을 알림

■ 자원 사 : 자원 사를 신청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 (내부시스템과 연계)

■ 웹사이트 리 : 기 별구인구직정보,도우미,최근채용정보,HOT구인,알림,자

원 사에 한 웹사이트 리자 기능을 제공

<그림 V-2-1> 고용 산망 시스템 구성도

- 141 -

나. 정신보건 정보망

복지부에서 1998년 추진한 정신보건정보시스템의 내용31)이다.

1) 목 :

■ 정신보건 리 상자 DB구축

■ 정신보건자원DB구축

■ 정신보건 련 internet home-page 기반 작성

■ 국립정신병원 정보시스템 확 구축

2) 구성업무:

■ 정신질환자 리 : 정신보건 리 상자 데이터베이스 구축, 정신질환 조기

발견을 한 진단 로그램 개발

■ 정신보건 자원 리 : 정신보건 련자원 데이터베이스 구축

■ 자료 달, 정보공유를 한 네트워크 구축 :

- 환자치료 자료 연계를 한 조와 지원체계 수립

- 연계기 간 물리 네트워크 구축

■ 정신보건정보 서비스 제공

■ 국립정신병원정보시스템 확 구축

3) 기 효과

■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의 활성화 :

지역사회에서의 정신보건사업에 한 요성인식제고 조기진단도구에

의한 리 상자의 용이한 악

■ 정신보건 리 상자 치료 리의 효율화:

31) http://www.richis.org/dbbank/practice/plan04/plan04_001.htm

- 142 -

국가 차원에서의 정신보건 상자 리가 용이해짐으로써 치료의 지속성

과 시의 한 의료서비스 제공

■ 정신보건 리 정책 수립의 기틀을 마련 :

정신보건 상자 리, 정신보건시설 인력의 용이한 악으로 지역단

정책수립 지원

■ 정신보건자원(시설, 인력)의 부족, 지역간 불균형 등 문제 의 가시화

■ 정신보건 련 각종통계 산출 :

정신보건과 련하여 리 상자, 시설, 인력 등에 한 종합 인 각종 통

계자료 산출

■ 정신장애인에 한 사회 인식 제고

- 143 -

제6장 연계강화 방안

지 까지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의 연계실태와 연계 향요인을 분석하고,

지역기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의 연계경험과 연계지원환경에 하여 살

펴보았다.

이에 따라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간 연계강화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제1 단계별 연계강화방안

Tobin(1986)은 기 의 상호작용을 연계의 긴 성 정도와 유형에 따라 5단계로

나 어 설명하 다32). 즉, 의사소통(Communication), 조(Cooperation), 조정

(Coordination), 력(Collaboration), 동맹(Confederation)이다. 이 단계를 우리나

라 지역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수행기 간 연계상황에

용해보았다33).

결과, 공단, 복지 은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에 있어 의사소통(Communication),

조(Cooperation)가 일어나는 1, 2단계 정도수 에서 연계를 하고 있으며, 사회복

귀시설과 정신보건센터는 조정(Coordination)과 력(Collaboration)이 일어나는 3,

4단계 정도의 연계가 이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설명하면, 비정신보건기 34)과 련기 들은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에 있

어 1, 2단계, 정신보건기 35)과 련기 들은 3, 4단계이며, 평균 으로는 조정이

필요한 3단계가 재 우리나라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간 연계상태라고

단되어 진다. 그러나 이는 지역마다 차이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2) 본 연구 p37 참조33) 본 연구 제3장 1 연계실태 나. 연계형태 p76 참조

34) 본 연구에서 임의 으로 공단과 장애인복지 을 비정신보건기 이라고 구분하여

설명함

35) 본 연구에서 사회복귀시설과 정신보건센터를 임의 으로 구분하여 설명함

- 144 -

그러므로 단계를 다시 3단계로 구분하여 의사소통(Communication), 조

(Cooperation)가 일어나는 1단계, 조정(Coordination)이 필요한 2단계, 력

(Collaboration), 동맹(Confederation)이 일어나는 향후 3단계에 따른 연계강화방안

과제를 제시하도록 하겠다.

1. 1단계 : 의사소통과 조강화방안

본 연구조사를 통해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간에 이 지는 의사소통과

조 등의 연계경험을 살펴보았다36). 그 결과 조사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이 연계경

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자세히 살펴보면, 사회복귀시설과 공단, 공단과

정신보건센터, 정신보건센터와 장애인복지 상호간에는 50%이상 연계경험이 있

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반면, 사회복귀시설과 장애인복지 , 장애인복지 과 공단

상호간에는 연계경험이 50%미만으로 게 나타났다37). 이러한 연계가 어느 정도

이 졌는지 담당자들의 평가를 살펴보면, 공단, 장애인복지 과는 보통이하, 사회

복귀시설과 정신보건센터와는 보통이상의 연계가 이 진다고 나타났다38). 즉 비정

신보건기 (공단, 장애인복지 )과 정신보건기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간의

의사소통, 조가 어려운 것으로 단된다.

이에 비정신보건기 과 정신보건기 간 연계방해요소로 응답한 내용을 살펴보

면 다음과 같다. 즉, 1순 인 체계 인 력방법부족을 제외하면, 상호간 사업정

보부족이 가장 문제 으로 나타났으며, 비정신보건기 에 해서는 정신장애인에

한 이해부족, 정신보건기 에 해서는 공동목 합의부족이 문제 으로 지 되

었다.

한 본 연구 제 4장의 기 간 연계를 시도하게 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담당자의 교육수 ’, ‘정신장애인 이해를 한 교육연수 경험’, ‘ 련기 사업인

36) 본 연구 제3장 pp72~75참조

37) <그림 III-1-5> p75참조

38) 본 연구 p79참조

- 145 -

지’, ‘타기 자원의존도’가 나타났으며, 이 축소모형을 통해 ‘정신장애인 이해를

한 교육연수 경험’이 있을 경우 연계를 시도할 확률은 9배 증가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러한 실태조사와 설명 조사를 통해 도출될 수 있는 의사소통 조강화

방안은 ‘교육연수 강화’와 ‘기 사업의 홍보’이다.

가. 방안1: 정신장애인 이해를 한 공단,복지 담당자 교육․연수 강화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을 해서는 연계기 의 담당자들이 정신장애인에 한

이해가 수반되어야 연계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실태조사에서도 나타났듯이 공

단과 복지 담당자들 각각 42.9%, 33.3%가 교육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5장의 연계경험분석39)에서도 공단, 복지 근무자들 스스로 교육의 필요성을 주

장하고 있다. 한 연계시도요인 분석결과 정신장애인 이해를 한 교육연수 경험

이 있을 경우 연계를 시도할 확률은 9배 증가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러므로 처

음 연계시도, 의뢰, 조의 시작을 해 비정신보건기 담당자들의 의무 인 서

비스 상자 이해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

나. 방안2: 련기 들의 극 인 기 사업 홍보

정신보건기 과 비정신보건기 상호간에는 사업정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

다. 연계시도 요인을 분석한 결과, ‘ 련기 사업인지’가 1단 증가할수록 연계

를 시도할 확률은 41%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기 들 사이에는

극 인 홍보가 필요하다. 기존의 기 의 담당자들은 상 기 이 먼 홍보해

것을 희망하고 있으나 이는 소극 인 자세이다. 기 간 연계가 활성화되기 해

서는 극 으로 자신의 기 을 련기 들에게 알리는 것이 필요하다. 사회복귀

시설과 정신보건센터는 공단과 장애인복지 에 소속기 의 사업내용을 주도 으

로 알리는 것이 필요하고, 공단과 장애인복지 도 기존 장애인재활시설에 추가하

39) 본 연구 p123 참조

- 146 -

여 사회복귀시설과 정신보건센터에 극 인 사업홍보가 이 져야 연계가 강화될

수 있다.

2. 2단계: 조정(coordination)방안

본 연구조사결과, 재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간에는 조정(coordination)

이 필요한 상황으로 나타났다. 연계실태에서 나타난 기 별 정신장애인에게 제공

인 직업재활서비스 내용을 살펴보면<표 III-1-5>40),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들은 정신장애인과 련하여 제공될 수 있는 직업재활서비스 즉, 직업상담, 직

업평가, 직업 비훈련, 직업기술훈련, 보호작업장, 지지고용, 취업의뢰, 장방

문지원, 사후지도서비스, 사업체개발을 차별성 없이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러한 기 별 차별성 없는 서비스 제공은 ‘직업기술훈련서비스’의 경우는 타

서비스에 비해 제공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나며, 모든 기 이 제공한다고 하는 서

비스의 경우는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기 보다 제공되야할 서비스가 효과

으로 상자들에게 달되지 못하는 결과로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각 기 별 제공 서비스 내용에 한 조정이 필요하다. 특히 조사결

과 정신보건시설간 기 간 역경쟁, 비정신보건시설간 기 간 역경쟁이 연계의

방해요소로 나타났듯이41), 정신보건기 즉 사회복귀시설과 정신보건센터간의 서

비스내용 조정과 비정신보건기 즉 공단과 장애인복지 간의 서비스내용 조정이

필요하다.

즉, ‘기 별 담당서비스내용 조정’과 ‘지역사회내 서비스 조정역할 담당기 지

정’, ‘사례 리기능강화’가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간 서비스 조정의 과제이

다.

40) 본 연구 p64참조

41) <그림 III-2-1> 기 별 련기 과 연계시 방해요소 도식화 참조 p85

- 147 -

가. 방안1: 기 별 담당서비스 내용 조정-필수 서비스 제공강화

본 연구에서는 향후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시 련기 이 담당해야 할 업

무에 하여 조사하 다42). 우선 련기 담당자들이 50%와 40%가 넘게 지지한

각 기 의 담당서비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표 VI-1-1>.

<표 VI-1-1> 기 별 향후 담당서비스지지 항목

직업재활서비스 공단 장애인

복지

사회복

귀시설

정신보

건센터직업재활서비스 공단 장애인

복지

사회복

귀시설

정신보

건센터

직업상담 직업상담

직업평가 직업평가

직업 비훈련 직업 비훈련

직업기술훈련 직업기술훈련

보호작업장 보호작업장

지지고용 지지고용

취업의뢰 취업의뢰

장방문지원 장방문지원

사후지도서비스 사후지도서비스

사업체개발 사업체개발

50% 이상지지 항목 ▧ 40%이상지지 항목 ▧

과반수 이상이 지지한 각 기 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시 담당업무는 다음과

같다. 공단은 정신장애인의 ‘직업평가’, ‘취업의뢰’, ‘사업체 개발’서비스를 담당해

야 한다. 복지 은 정신장애인의 ‘보호작업장’서비스를 담당해야 한다. 사회복귀

시설은 ‘직업 비훈련’을 담당해야 한다. 정신보건센터는 ‘직업상담’, ‘직업

비훈련’, ‘사후지도 서비스’를 담당해야 한다.

직업재활서비스 과반수 이상 지지하는 기 의 담당서비스가 정해지지 않은

것은 ‘직업기술훈련’과 ‘지지고용’, ‘ 장방문지도’로 나타났다. 이 세 가지 서비스

는 재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에서 기 간 역할이 세부 인 조정이 필요한

서비스로 볼 수 있다.

40%이상이 지지한 각기 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시 담당업무는 다음과 같다.

42) 본 연구 p87 참조

- 148 -

공단은 ‘직업평가’, ‘직업기술훈련’, ‘지지고용’, ‘취업의뢰’, ‘사업체개발’서비스를

담당해야 한다. 복지 은 ‘직업상담’과 ‘보호작업장’서비스를 담당해야 한다. 사회

복귀시설은 ‘직업 비훈련’, ‘보호작업장’, ‘사후지도서비스’를 담당해야 한다.

정신보건센터는 ‘직업상담, ’직업 비훈련‘, ’사후지도서비스‘를 담당해야 한다.

즉, ‘직업기술훈련’과 ‘지지고용’은 향후 ‘공단’이 담당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으

나 ‘ 장방문지원’의 경우는 40% 이상 지지가 되는 담당기 이 정해지지 않았다.

조사결과를 통한 ‘ 장방문지원’의 담당기 을 정하기 하여 당사자 과

타기 을 반 하여 분석하 다43). 결과, 당사자 에서도 타기 에

서도 사회복귀시설이 ‘ 장방문지원’을 담당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향후 필수 으로 담당해야 할 기 별 담당서비스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공단은 ‘직업평가’, ‘직업기술훈련’, ‘지지고용’, ‘취업의뢰’, ‘사업체개발’서비

스를 담당해야 한다. 복지 은 ‘직업상담’과 ‘보호작업장’서비스를 담당해야 한다.

사회복귀시설은 ‘직업 비훈련’, ‘보호작업장’, ‘사후지도서비스’, ‘ 장방문서비

스’를 담당해야 한다. 정신보건센터는 ‘직업상담, ’직업 비훈련‘, ’사후지도서비

스‘를 담당해야 한다<표 VI-1-2>,<그림 VI-1-1>.

<표 VI-1-2> 각기 향후 필수 인 담당서비스 정리

직업재활서비스 공단 장애인복지 사회복귀시설정신보건센터

직업상담

직업평가

직업 비훈련

직업기술훈련

보호작업장

지지고용

취업의뢰

장방문지원

사후지도서비스

사업체개발

각기 필수담당서비스 항목 ▧

43) 본 연구 p89~92 참조

- 149 -

<그림 VI-1-1> 각기 향후 필수 인 담당서비스 정리

직업상담

직업평가

직업전준비훈련

직업기술훈련

보호작업장

지지고용

취업의뢰

현장방문지원

사후지도서비스

사업체개발

공단

장애인복지관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나. 방안2: 지역사회내 서비스 조정역할 담당기 지정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시 지역사회를 심으로 이러한 서비스를 조정할 핵심기

44)이 필요하다. 재 우리나라에는 제도 으로 기 간 연계에 있어 조정

(coordination)역할을 부여받은 기 은 없다. 직업재활 체로 볼 때는 공단의 13

개 지사가 지역 심으로 핵심기 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당 성을 갖지만, 정신장

애인이라는 상자의 특성을 볼 때는 정신보건기 이 담당해야 하는 당 성을 갖

는다.

본 연구 5장에서 지역기반 연계경험분석을 통해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시 기

간 력추구유형 분류하 다. 즉, 조직의 변화가능성과 담당자의 변화리더쉽에

따라 주도형, 조형, 권 형, 반응형 4가지로 구분하 다. 이때, 정신장애인 직업

재활시 핵심기 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주도형의 기 은 정신보건기 이었고, 반응

44) 특정한 서비스 달체계에 포함되는 조직들에서 핵심이 되는 조직으로, 한 달

체계 내에서 조직들간에 이루어지는 다양한 성격의 교환 계들에서 조정의 역할

을 히 수행하거나 다수의 조직들이 필요로 하는 주요 자원을 통제하고 있거나

혹은 공식 /합법 으로 조정과 통제의 역할을 부여받고 있는 조직을 말한다(김

종,1998).

- 150 -

형은 비정신보건기 이었다. 그러므로 재 지역사회에 어떤 법 인 연계조정기

구가 없는 상황에서 정신보건기 들의 극 인 핵심기구 역할이 필요하다.

정신보건기 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극 으로 핵심역할을 하기 해서는 우

선 으로 사회복귀시설과 정신보건센터의 설립목 에 따른 기능상 차별화가 필요

하다. 조사결과 나타난 지역사회내 정신보건센터와 사회복귀시설의 기 간 역

경쟁은 두 기 의 기능상 목 이 차별화 되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독일45)의 경우 지역마다 차이는 있으나, 주로 시장의 심의 하에 정신보건 앙센터

(Zentralinstitute fuer seelische Gesundheit)가 지역사회내 여러 기 에 한 조정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정신보건센터가 법 인 기 도 아니며, 지

역내에서 조정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향후 정신보건센터의 법 체계 내

진입과 역할규정이 기 되어진다.

다. 방안3: 정신보건기 들의 사례 리(Case management) 기능 강화

사례 리는 조직들간에 연계가 느슨한 상황에서 개별 사례들을 심으로 서

비스들 간의 조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단순조정의 한 방법이다. 미국의 사

례46)에서 보듯, 탈시설화 후 사례 리를 통해 정신장애인들이 서비스간 탈락을 방

지하도록 하고 있다. 우리나라 정신보건기 들도 사례 리서비스를 제공하고 있

으나, 사례 리 이 사례 리와 각종 로그램과 서비스 운 을 동시에 제공하는

과 한 업무를 하고 있어 정신장애인 서비스간 조정의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다. 재 우리나라 연계상황에서 가장 그 역할이 기 되는 안이라 할 수 있

다. 그러므로 정신보건기 들이 사례 리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제

반 여건 조성이 필요하다.

45) 본 연구 p57~58 참조

46) 본 연구 p42~46 참조

- 151 -

3. 3단계: 향후의 력(Collaboration)과 동맹(Confederation) 강화방안

재 우리나라의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간 연계는 의사소통, 조가 일

어나고, 조정이 필요한 단계로 단된다. 그러나 향후 장애인 직업재활 연계에서

는 재보다 더욱 긴 한 서비스 통합이 요구되리라 사료된다. 그 이유는 직업재

활은 모든 재활의 총합결과로 가장 복합 인 클라이언트 욕구와 다면 재활 응

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에 한 비와 고려가 필요하다.

이에 외국의 사례를 통해 긴 해지는 력단계에서의 연계방안을 살펴보

았다47). 미국 Wisconsin Pathway to Independence(WPTI)의 고용연계 로젝트

사례와 일본의 장애자고용지원센터의 사례, 한 독일의 재활조정법의 조정사례를

통해 향후 ‘단일화된 수(intake)창구’ 개발과 ‘연계 련 법조항 마련’이 안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가. 단일화된 수창구 개발

미국 Wisconsin Pathway to Independence(WPTI)의 고용연계 로젝트의 특징

은 보건가족서비스국, 노동증진국, 직업재활국 등의 다양한 부처간의 력으로 이

지며, 이 력의 요요소는 ‘단일화된 ’의 자문을 통한 서비스 근의 단순화

이다. Pathway 에서는 지역내 고용 련 모든 기 들과 계약을 맺고 조정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사람들은 Pathway 과 상담을 통해 지역

내 모든 서비스를 하게 제공받게 된다. 일본의 장애자고용지원센터 역시 직

업재활 련 복합 욕구에 응하여 통합된 서비스제공을 해 설립되었으며, 향

후 조정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므로 향후 연계망 속의 조직들 사이에 수를

담하는 단일화된 공동창구를 개발하여 직업재활에 참여하고자 하는 상자들의

근을 단순하게 하고, 서비스를 히 조정하는 안이 제시될 수 있다.

47) 본 연구 p42~56 참조

- 152 -

나. 연계 련 법조항 마련

독일의 재활조정법(Rehabilitationsangleichungsgesetz)은 재활기 들의 재활

련 법조항을 조정함으로써 장애인 서비스를 통합시키려는 목 으로 제정되었다.

이법을 통해 재활기 들이 조가 이 지도록 차를 마련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앞서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활법, 장애인복지법, 정신보건법 고찰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연계조항들이 미흡하고 추상 이며 이런 결과로 인해 정신보건기 을 재

활연계선상에서 제한하는 문제 을 나타내고 있다. 이런 들의 보완이 필요할

뿐 아니라 궁극 으로는 연계 조정의 요성을 인지하고 법 조정안을 마련

하는 것이 향후 과제이다.

- 153 -

제2 차원별 연계강화방안

기 간 연계는 그 주체가 련조직들이지만,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기 간 연

계에서 조직요인 뿐 아니라 연계를 담당하는 개인요인과 연계가 이 지는 환경요

인 역시 기 간 연계에 요한 요소임이 나타났다. 한 본 연구의 연계강화

측요인 분석을 통해서도 독립변수 개인요인과 조직요인이 연계에 요한 요인

임이 검증되었으며, 이는 지역기반 질 조사를 통해서도 지지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를 토 로, 개인차원, 조직차원, 환경차원으로 구분하여 연계강화방안

을 구체 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1. 개인차원의 연계강화방안

가. 담당자들의 개방 태도(열린 마음)함양

본 연구의 질 조사 결과 나타난 것을 살펴보면, 연계담당자와 기 리자의

‘열린마음’으로 범주화된 개방 인 의사소통, 태도가 기 간 연계에 요한 역할을

한다고 나타났다. 그러므로 연계담당자들은 지역내 경쟁 인 태도보다는 개방

인 태도를 함양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Wimpfheimer et al(1990)에 의해서도 지지되는 것으로 두 기 의 개방

인 의사소통이 기 간 과업을 분명히 해주고, 문제해결에 한 책임성을 인식하

게 하여 지역사회 새로운 근을 가능하게 한다고 하 다. 한 경쟁 인 태도보

다 모든 참여자가 승자가 되는 승승이론(Win-Win)에 따른 력태도가 필수조건이

라는 것과 일치한다<표 VI-2-1>.

- 154 -

<표 VI-2-1> 연계 력시 제조건

연계 필수사항 련기 A

제조건

(Pre-condition)

상호이해

(Mutuality)

기 명/기 역사/기 목표(최우선목표․차선목표)

/기 조직/인사제도(직책순서:부장 , 차장 , 일반직

등)상호기 비교/ 동에 참여할 부서/

기 력시 함께할 vision논의

한 시기

(Timing)

주어진 문제에 해 두기 모두 내부에서 재

개입할 시기( 력할 시기)로 인정하는가 논의

권 / 향력

(Authority

/Influence)

조직에서 조직내 자원을 움직일 수 있는 권한이

있는 표자의 참석( 력에 한 인식)

조직의 표자가 권 뿐아니라 실제 향력이

있는가 논의

창조성

(Creativity)

같이 일할 구성원들이 문제를 새롭게 조작하고 해결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가?

력진행시

필수

조건

(Condition)

승승이론

(Everyone A

Winner)

력시 두기 모두 이득이 있는가?

(재정지원/재정공동사용/상징 지 획득/ 신/여러가

지 다른 이득들)

책임인식

(Acknowleging

Responsbility)

개방 인 의사소통을 두기 이 할 수 있는가?

:“개방 인 의사소통”은 공통문제에 기 이 개입해야

할 과업을 분명히 해주고, 문제해결에 한 책임성을

인식하게 해 다. 두기 의 력은 지역사회의 문제에

한 새로운 근을 할수 있게 한다.

공통 험인식

(Common Risk)

두 기 모두 공통의 험요소에 해 인식하고 있는

가?

:모든 기 은 기 고갈이나 재정지원 단, 새로운 지

역사회 혹은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한 응에 한

기술 어려움 등 공통의 험요소가 있음

소속기 제한

인식

(Accept Limits)

두기 은 자신기 들의 제한된 능력을 알고 있는가?

:모든 기 은 단독으로는 할 수 없는 제한 이 있다.

* Wimpfheimer et al(1990)

- 155 -

나. 기 리자 담당자의 연계에 한 극 여

본 연구 질 조사를 통해 ‘연계노력’으로 범주화된 내용을 살펴보면 연계도

하나의 업무로 이에 한 심과 노력이 필요하고, 연계 형성기간이 필요하다고

하 다. 그러므로 담당자들은 연계에 시간투자 심, 극 태도를 취해야

한다. 한 체계 인 력방법부족이 가장 연계에 어려운 이라고 나타난 것처

럼 연계와 련된 교육에 참여하여, 상자 이해를 한 교육에 참여하는 것이 필

요하다. 다음은 Beatrice. D.F.(1990)가 권유한 연계담당자들의 지침이다.

<표 VI-2-2> 연계 력시 담당자 지침

지 침 내 용

1) 연계할 수 있는 기 들이  공동으로 원하는 것 을 발견하고 활용하라

  2) 자신의 로그램을 해 가장 높은 직 (실무자가 아닌 책임자)이

기 조정 에 참여하라.

  3) 기 간 유사한 목 을 최 한 부각시켜라.

  4) 심을 불러일으켜 모든 기 들이 력에 참여하도록 하라

  5) 상호간 도움을 다는 동의를 시작으로 조정이 시작된다.

  6) 개인 인간 계를 넓 라(기 간 문가들의 비공식 인간 계를 통해

조직의 타성을 극복시킬 수 있다).

  7) 자신의 주도 행동으로 기 상호간 이익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라

  8) 한 시기에 행동하라

  9) 기를 장 으로 활용하여 기 시에 함께 공동 처를 하도록 한다.

  10) 작은 행동이 요하다는 것을 상기하라(회신 화, 작은 정보공유 등)

  11) 신규 로그램도입은 조정의 결정체역할을 한다.

  12) 력에 참여할 기 에 조정시 얻게되는 청사진을 제시하라

* Beatrice. D.F.(1990)

- 156 -

2. 조직차원의 연계강화방안

본 조사연구 결과 나타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서비스 연계에서 개선될 과

연계 측요인을 심으로 각 조직들의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상

기 은 공단, 장애인복지 ,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로 기 별 연계강화방안은

다음과 같다.

가. 공단의 과제

1) 신규재활기 상 극 홍보

연구조사를 통해 공단과 연계시 방해요소를 살펴본 결과, 정신보건기 (정신보

건센터와 사회복귀시설)들은 공단에 하여 ‘사업정보부족’이 연계의 방해요소라고

응답하 다. 한 연계 측요인 분석을 통해 ‘ 련기 사업인지’ 는 연계시도와

연계강화에 향을 미치는 측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공단은 새롭게 정신

장애유형이 법 장애인으로 등록되면서부터 직업재활 상기 이 된 정신보건기

상으로 극 인 홍보가 필요하다. 한 향후 장애인 범주 확 에 따라 지

속 인 의료서비스가 필요한 장애유형이 확 될 것으로 측된다. 그러므로 이러

한 의료기 을 상으로 공단사업에 한 극 인 홍보가 필요하다.

2) 공단 직원 상 신규장애유형 교육 의무화

조사결과 ‘담당자들의 정신장애인 이해부족’이 연계의 방해요소라고 나타났으

며, 공단 담당자들 42.9%는 정신장애인 이해를 한 교육경험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장애인 이해를 한 교육경험이 연계강화에 요한 측변수 나타난

결과를 반 한다면, 공단은 직원 상 신규장애유형 이해를 한 교육을 의무화해

야 한다. 즉, 신규장애유형 이해를 한 교육을 기본교육내용으로 추가하고, 인사

고과에 반 하는 등의 방안마련이 필요하다.

- 157 -

3) 서비스 내용 조정

: 직업평가, 직업기술훈련, 지지고용, 취업의뢰, 사업체개발 업무 시행

공단은 정신보건기 들의 자원이 부족한 부분 공단의 주요 서비스를 필수

으로 수행해야 한다. 공단이 제공해야 할 필수 서비스는 직업평가, 직업기술훈

련, 지지고용, 취업의뢰, 사업체개발서비스로 나타났다.

이 지지고용(지원고용), 취업의뢰 서비스는 공단 지사와 직업재활실시센터로

지정된 장애인복지 이 함께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로 지역을 기반으로 경쟁이 아

닌 조정을 통한 업무수행이 필요하다.

직업기술훈련은 정신장애인에게 제공되는 직업재활서비스 가장 취약한 것으

로 나타났다. 그러나 재 공단 산하의 직업 문학교에서는 정신장애인이 훈련

상에서 제외되어 있다. 그러므로 정신장애인들의 직업기술훈련의 욕구에 응하

기 해 공단에서는 직업 문학교에 문인력배치 기존인력교육, 지원 등으로

직업훈련기회를 확 해야 한다.

4) 순환보직제 재검토

연계강화요인 분석을 통해 ‘ 근무지 근무기간’이 길수록 연계가 강화되는 것

으로 나타났다. 한 면 조사를 통해 정신보건기 담당자들이 공단 담당자들의

‘잦은 순환’으로 연계시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재 공단직

원들의 순환보직제의 기간 차에 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5) 장 근(Outreach)서비스 확

련기 들은 공단과 연계시 ‘지리 거리’가 방해요소라고 응답하 다. 재

공단은 13개 지사로 16개 역자치단체에도 다 배치되지 못한 상황이다. 한 정

신보건기 들도 재 인 라가 구축되는 상황에서 상호간 지리 근성이 떨어

지는 측면이 있다. 그러므로 재 공단지사의 평가서비스 등이 이동서비스, 방문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는 것처럼 장 근서비스를 확 해야하며, 더불어 향후 공

- 158 -

단 지사도 확충되어야 한다.

나. 장애인복지 (직업재활실시센터)

1) 장애인복지 담당자들의 신규장애유형 교육 연수강화

설문조사와 면 조사를 통해 장애인복지 (직업재활실시센터) ‘담당자들의 정

신장애인 이해부족’이 연계의 방해요소라고 나타났다. 장애인복지 담당자들

33.3%는 정신장애인 이해를 한 교육경험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 장애

인 이해를 한 교육경험이 연계강화에 요한 측변수 나타난 결과를 반 한다

면, 장애인 복지 (직업재활실시센터) 담당자들의 신규장애유형 이해를 한 교육

을 의무화해야 한다.

2) 극 인 사업홍보

정신보건기 의 담당자들은 장애인복지 과 연계시 ‘사업정보부족’이 연계방해

요소라고 응답하 다. 연계 측요인 분석을 통해 ‘ 련기 사업인지’ 는 연계시

도와 연계강화에 향을 미치는 측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장애인복지

은 정신보건기 에 극 인 홍보가 필요하다. 특히 조사에서 나타났듯이 상

으로 사회복귀시설과 담당자 인지정도나 연계경험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상호간 극 홍보가 필요하다.

3) 서비스 내용 조정

: 직업상담, 보호작업장 서비스 시행

장애인복지 이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에서 제공해야 할 서비스는

직업상담과 보호작업장서비스로 나타났다. 보호작업서비스의 경우, 정신보건기

들은 소규모로 보호작업장을 운 하여 물품을 하청 받기가 어렵고, 하청을 받더라

도 사업주가 원하는 기한 내에 완료하기 어렵기 때문에 체 인 운 이 어렵다.

- 159 -

한 보호작업에 참여하는 정신장애인들이 받게 되는 여도 낮은 수 이다. 그

러므로 장애인복지 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다. 재 장애인복지 에서 운 하는

보호작업장에서는 정신장애인들을 지지할 수 있는 문인력 부족으로 서비스제공

을 어려워하고 있다. 그러므로 정신보건기 과의 력 하에 보호작업서비스의 운

이 제공되어야 한다.

장애인복지 에서 직업재활실시센터를 운 하면서 지원고용과 취업의뢰 서비

스를 공단 지사와 함께 제공하고 있다. 그러므로 지역에 따라 기 간에 효율 인

조정이 필요하다.

다. 정신보건센터

1) 공단, 장애인복지 상 극 인 사업홍보

공단과 장애인복지 의 담당자들은 정신보건센터와 연계시 ‘사업정보부족’이

연계방해요소라고 응답하 다. 연계 측요인 분석을 통해 ‘ 련기 사업인지’ 는

연계시도와 연계강화에 향을 미치는 측요인으로 나타났으므로 향후 공단과

장애인복지 상으로 수행하는 사업에 한 극 인 홍보가 필요하다.

2) 서비스 내용 조정

: 직업상담, 직업 비훈련, 사후지도서비스 시행

정신보건센터가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에서 제공해야 할 서비스는

직업상담, 직업 비훈련, 사후지도서비스로 나타났다.

특히 정신보건센터는 사례 리(case management)기능을 강화하여 개별 사례를

심으로 한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

한 지역내에서 정신보건기 인 사회복귀시설과 지속 인 업무의 조정이 필

요하다.

- 160 -

3) 지역내 의회 구성 등 지역기반 력시 핵심기 역할

정신장애인 직업재활기 간 연계가 활성화되기 해서 이에 해 지속 인

심을 갖고 지역내 기 간 서비스를 조정하고 의체를 운 하는 등의 핵심기 역

할이 필요하다.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활법에 의해 공단은 장애인직업재활의 핵

심기 임이 분명하지만, 정신장애인 특성상 상자에 한 정보를 갖고 있으며,

공공성을 갖춘 정신보건센터의 역할이 요하다. 정신보건센터는 향후 정신보건

법상의 법 기 이 되어야 하며, 지역기반으로 정신보건서비스의 조정기 역할

을 수행해야 한다.

4) 정신보건센터 문인력의 근무조건 개선

연계강화요인 분석을 통해 ‘ 근무지 근무기간’이 길수록 연계가 강화되는 것

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신보건센터의 인력들은 여체계가 단순하고, 근무여건

이 불안정하여 담당자들이 자주 교체되고 있다. 그러므로 담당자들이 지속 으로

근무할 수 있는 근무여건 조성이 필요하다.

라. 사회복귀시설

1) 공단, 장애인복지 상 극 인 사업홍보

공단과 장애인복지 의 담당자들은 사회복귀시설과에 한 ‘사업정보부족’이

연계방해요소라고 응답하 다. 연계 측요인 분석을 통해 ‘ 련기 사업인지’ 는

연계시도와 연계강화에 향을 미치는 측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향후 공

단과 장애인복지 상으로 수행하는 사업에 한 극 인 홍보가 필요하다.

2) 서비스 내용 조정

: 직업 비훈련, 보호작업장, 장방문지원, 사후지도서비스 시행

사회복귀시설이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에서 제공해야 할 서비스는

- 161 -

직업 비훈련, 보호작업장, 장방문지원, 사후지도서비스로 나타났다.

특히 장방문지원서비스는 직업유지에 있어서 요한 서비스이다. 정신장애

인의 경우 직무지도원(job coach)에 의한 물리 , 기술 작업환경조성도 필요하지

만, 정서 지지 등의 심리 작업환경조성이 더욱 요하다. 그러므로 장방문

을 통한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한 사회복귀시설은 정신보건센터와 함께 사례 리(case management)기능을

강화하여 개별 사례를 심으로 한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해

야한다.

3) 산지원방식 조정

사회복귀시설의 경우 산지원은 직원인건비, 시설 리운 비 로그램 운

비로 구분하여 지원 받고 있다. 그 로그램 운 비는 이용자카운트형48)으

로 지원되고 있다. 이로 인해 이용 상자들에게 기 내 서비스 제공이 산에 반

될 뿐 직업재활 후 외부에 나가서 활동하는 부분에 해서는 산지원이

이 지지 않고 있다. 즉, 사회복귀시설에서 회원들이 직업재활을 통해 취업이 될

경우 장방문지원이나 기타 로그램 내 서비스를 받지 않는 회원에 한 서비

스는 산을 지원 받지 못하여 결국 산지원방식이 직업재활을 방해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산지원방식의 조정이 필요하다.

4) 사회복귀시설 문인력 근무조건 개선(직업재활 담인력 배치 등)

사회복귀시설의 문인력은 교육수 이 높고, 문수련을 통한 문성을 갖고

있지만 낮은 여체계에서 일하고 있다. 한 오히려 병원에서의 근무경력은 호

에서 책정되지 못하는 등의 불합리한 등으로 문인력들이 병원으로 다시 회

귀하는 상이 나타나며, 담당자들이 자주 교체되고 있다. 연계강화요인 분석을

48) 입소 이용인원의 재활 사회복귀를 지원하기 한 각종 서비스 로그

램비용으로 생활훈련, 작업훈련, 여가활동, 부서활동 등의 진행 재료비용이며,

년간 집행계획을 수립하여 균형있게 사용(1인당 110천원:국고+지방비/년)

- 162 -

통해 ‘ 근무지 근무기간’이 길수록 연계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담당자

들이 지속 으로 근무할 수 있는 근무여건 조성이 필요하다. 한 연계강화 요인

직업재활 담인력이 있을 경우 연계가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를 볼 때,

직업재활만을 담하는 인력배치가 필요하다.

3. 환경차원의 연계강화방안

가. 법 연계 강화

선행연구를 통해 법규정, 법 연계규정이 있을 경우 연계가 강화된다고 나타

났다(Dennis F. Beatrice, 1990; Akinbode & Clark, 1976; Boje & Whetten,1981).

정신장애인 직업재활과 련되는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활법, 장애인복지법, 정

신보건법을 고찰한 결과, 연계조항이 미흡하고 추상 이며 이런 결과로 인해 정신

보건기 을 재활연계선상에서 제한하는 문제 을 나타내고 있다49). 즉, 사회복귀

시설과 정신보건센터는 직업재활을 수행하는데도 불구하고, 장애인고용 진 직업

재활법상 연계기 이 되지 못하여 다양한 지원 상에서 제외되고 있으며, 장애인

복지법 제13조와 시행령 제10조에 의해 정신장애인들은 기타 다른 복지서비스

근이 차단되고 있다. 이런 들의 보완이 필요할 뿐 아니라 궁극 으로는 연계

조정의 요성을 인지하고 법 조정안을 마련하는 것이 향후 과제이다.

나. 정신보건 산 확보

정신장애인은 사회 의료비용 지출이 많다. 그러므로 지역사회 내 직업재활

의 성공은 비용효과측면에서 정 인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정신보건 산

확보를 통한 직업재활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정신보건사업 사회복귀시설은 일반회계 산으로 운 되고 있으며, 정신보건

센터는 국민건강증진 기 으로 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 인 정신보

49) 본 연구 p130~139참조

- 163 -

건의 산은 확 되고 있음이 고무 이라 할 수 있으나 지역정신보건사업의 요

성에도 불구하고 사업비가 은 부분과 정신보건센터의 경우 기 지원에 의한

산의 불안정 측면은 일반 산으로의 환이 필요하다.

다. 정보망 구축

손 훈(1998)은 정보체계가 구축되어있을 때 연계가 활성화된다고 하 다. 이

러한 정보망 구축은 조직들이 각자의 독립성을 유지한 채 정보와 의뢰시스템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단순 조정방법이면서도 강력한 통합효과를 갖는다(김 종,

1998).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은 1998년도부터 장애인 상의 취업알선시스템을

구성하여 운 이며, 외부기 과도 함께 연계망을 구축하고 있다. 정신보건사업

에서도 정신보건 정보 리시스템체계를 갖추어나가고 있다. 이러한 정보화의

요성이 부각되는 상황에서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시 의뢰와 연계활성화를 해

정신보건기 들과 장애인고용정보망과의 정보연계망 구축이 필요하다.

라. 정신보건시설 장애인 재활시설 인 라 구축강화

각 재활기 들은 거리상의 문제로 지리 근성이 떨어져 연계에 애로사항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과 경기지역 외에 다른 지역에는 정신보건기 들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연계활성화에 앞서 상기 인 라 구축이 지속 으로 필

요하다.

- 164 -

제7장 결론 제언

본 연구는 지역기반으로 정신장애인에게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기 을

조합하여 규정하고, 이들간의 연계경험과 연계실태, 연계에 향을 미치는 측요

인, 연계환경 분석을 통해 연계강화방안을 모색하는데 주된 목 이 있다.

이를 해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를 고찰하고, 수행

기 을 분석규정하고, 기 간 연계에 한 선행연구를 통해 연계에 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를 선정하 고, 미국, 일본, 독일의 연계경험, 연계환경자원을 고찰하 다.

둘째, 설문조사를 통해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간 연계실태․연계정도를

악하고, 연계시도요인과 연계강화요인을 분석하 다.

셋째, 질 조사 방법 근거이론에 바탕을 둔 Strauss & Cobin의 차에 따라

한 지역을 선정하여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담당자들의 연계경험을 분석하

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계실태를 조사한 결과,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간 연계에 있어

사회복귀시설과 정신보건센터를 심으로 연계가 이 지고 있으며, 연계정도는 연

계 기 상태로 단된다.

지역 으로는 서울과 경기지역을 심으로 활발히 이 지고 있으나 이는 서울

과 경기지역에 기 이 집 분포되어 설립되어 있는 것과 련이 있는 것으로 사

료된다.

연계형태를 Tobin(1986)의 연계긴 도에 따라 5단계로 분석해보면, 공단과 장

애인복지 는 정신보건기 들과 의사소통(Communication), 조(Cooperation)가

- 165 -

일어나는 1, 2단계 정도수 에서 연계를 하고 있으며, 사회복귀시설과 정신보건센

터는 조정(Coordination)과 력(Collaboration)이 일어나는 3, 4단계 정도의 연계

가 이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단, 장애인복지 ,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즉 정신장애인직업재활수행기 의 연계단계는 각 기 의 직업재활서비스가 차별

성 없이 제공되고 있어 조정(Coordination)이 필요한 3단계로 구분 지을 수 있었

다.

연계방해요인으로는 제1순 가 체계 인 력방법부족으로 나타나 이에 한

교육이 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1순 를 제외한 2, 3순 의 방해요소를 살펴보면, 공단과 장애인복지 간, 정

신보건센터와 사회복귀시설간에 비슷한 방해요소가 나타났다. 즉 공단과 장애인

복지 을 비정신보건시설이라고 할 때, 이들 사이에서는 ‘공동목 합의부족’과

‘기 간 역경쟁’이 나타났다. 한 정신보건센터와 사회복귀시설을 정신보건시

설이라고 할 때, 이들 사이에도 ‘공동목 합의부족’과 ‘기 간 역경쟁’이 나타났

다. 그러므로 비정신보건기 간, 정신보건기 간 조정이 더욱 필요함을 알 수 있

었다.

한 비정신보건기 (공단, 장애인복지 )과 정신보건기 (정신보건센터와 사회

복귀시설) 사이에는 사업에 한 정보부족, 지리 거리가 방해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비정신보건기 과 정신보건기 사이에서 극 인 홍보와 인 라구축

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정신보건기 에서는 비정신보건기 담당자들의 정신

장애인에 한 이해부족을 연계방해요인으로 꼽아 비정신보건기 담당자들의 교

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각 기 의 역할에 해서 공단은 ‘직업평가’, ‘직업기술훈련’, ‘지원고

용’, ‘취업의뢰’, ‘사업체개발’을, 장애인복지 은 ‘직업상담’, ‘보호작업장’을, 사회복

귀시설을 ‘직업 비훈련’, ‘보호작업장’, ‘사후지도서비스’를 정신보건센터는 ‘직

업상담’, ‘직업 비훈련’, ‘사후지도서비스’ 등을 해야 한다고 나타났다.

연계강화를 해서 변화되어야할 1순 는 직업재활 산 증액, 2순 는 직업재

- 166 -

활 담인력 증강, 3순 는 지역기반 정보공유장 구성, 4순 는 연계와 련한 법

, 제도 보완 등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연계시도와 연계강화 측 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 , 연계를 시도하게되는 측요인을 개인요인과 조직요인으로 구분하여 로

지스틱(Logistic)회귀분석을 실시하 다. 개인요인 ‘교육수 ’, ‘정신장애인 이

해를 한 교육연수경험’, ‘ 련기 사업인지도’가 측요인으로 나타났고, 조직요

인 ‘조직 역’, ‘자원의존도’가 측요인으로 나타났다.

즉, ‘교육수 ’이 1단 증가할수록 연계를 시도할 확률은 139%증가하고, ‘정신

장애인 이해를 한 교육연수경험’이 있을 경우 연계시도는 11배 증가한다. 한

련기 에 한 사업인지도가 1단 증가할 때, 연계 시도확률은 41% 증가하고,

사회복귀시설일수록 연계시도는 5배정도 높다. 체 으로 Reduced Model을 살

펴보면, ‘정신장애인 이해를 한 교육연수경험’이 있을 때, 9배정도 연계시도 확

률이 높으며, 다른 기 에 한 ‘자원의존’이 1단 증가할 때, 300%정도 연계시

도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계를 강화시키는 측요인으로 주 연계정도와 객 연계정도에 향

을 미치는 요인들에 하여 다회귀(Multiple Regression)분석을 실시하 다.

개인 측요인은 ‘ 근무지 근무기간’, ‘ 련기 사업인지’, ‘정신장애인 이해를

한 교육연수경험’으로 나타났고, 조직 측요인은 ‘직업재활 담인력 유무’로 나

타났다.

즉, 근무지 근무기간이 길수록, 련기 들의 사업에 한 정보를 많이 알수

록, 근무하는 기 에 직업재활 담인력이 있을 때, 정신장애인 이해를 한 교육

연수경험이 있을 경우 연계가 강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째,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간 담당자들이 인지하는 연계경험을 분석하

다. 이들의 연계경험은 ‘다른기 에 심돌리기’ 즉 ‘ 력추구’과정으로 도출되

- 167 -

었다. 력추구과정에서 원인 상황은 ‘클라이언트의 다원화된 욕구’와 ‘기 의

자원부족상황’이었으며, 력추구과정의 맥락은 방해요인과 활성화요인으로 구분

될 수 있었다. 방해요인은 ‘인력부족’, ‘지리 근성 떨어짐’, ‘ 상자이해부족’,

‘서비스 상자 차이’, ‘정책 편성’이었고, 활성화요인은 ‘연계담당자의 열린마음

(개방 태도)’, ‘연계노력’, ‘정신장애인 이해를 한 담당자 교육’이었다.

력추구과정의 ‘작용/상호작용’ 략은 ‘타기 서비스 이해하기’, ‘우리기 서비

스조정하기’, ‘타기 서비스조정하기’, ‘역할 재혼란기’, ‘ 력모임 결성하기’ 다.

이를 단계 으로 구분하면 력추구시 이용할 수 있는 지역기 서비스를 탐색하

기, 타기 서비스를 이해하기, 기 상호간의 서비스 조정하기, 역할혼란기(역할

재설정기), 지속 력체 구성기(지속 력 조정기)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분석을 통해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간 력추구유형은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력을 추구하는 담당자 특성과 담당자가 근무하는 조직의

특성을 기 으로, 주도형, 조형, 권 형, 반응형(순응형)으로 명명하 다. 즉, 주

도형은 력에 있어 먼 시도하며, 변화가 유연하게 이 지는 유형이며, 반응형

은 력을 시도해오는 조직에 의해 수동 으로 반응하며, 변화가능성이 은 유형

이었다.

넷째, 연계환경을 고찰한 결과, 우리나라 련법들에서 연계 련 조항은 추상

이고 미흡하며 제한성이 나타내고 있었다. 한 정신보건 산이 강화될 필요성

이 있으며, 정보구축의 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각 기 별로 정보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끝으로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단계별․차원별로 제시한 연계강

화방안을 종합 으로 요약․제시하 다.

첫째, 공단과 장애인복지 담당자의 정신장애인 이해를 한 교육이 선행되야

- 168 -

한다. 교육경험은 연계시도를 하는 측요인이며, 연계강화를 한 측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질 분석의 연계경험과 양 분석의 연계실태에서 나타난 결과

를 살펴보면, 공단과 장애인복지 담당자 스스로 교육의 부족함을 토로하고 있으

며, 정신보건기 의 담당자들은 두 기 담당자의 정신장애인에 한 이해부족이

연계의 방해요인으로 지 하고 있다. 그러므로 공단과 장애인복지 은 2000년 이

후 법 으로 직업재활의 상이 된, 정신장애인에 한 이해를 한 교육이 강화

되어야 한다.

둘째,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 수행기 인 공단, 장애인복지 , 사회복귀시

설, 정신보건센터는 지역기반으로 사업내용에 한 극 인 홍보가 요구된다.

련기 의 사업인지정도가 연계시도와 강화를 한 측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질 조사결과 지역의 련기 의 사업인지가 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 연계

실태에서 공단과 장애인복지 의 담당자들은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의 사업

정보부족이 연계의 방해요인으로 꼽았고, 정신보건기 들은 공단과 장애인복지

에 한 사업정보부족을 연계방해요인으로 지 하 다. 그러므로 새롭게 연계

상이 된 기 들에 한 극 인 홍보사업이 필요하다.

셋째, 지역기반으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간 조정(coordination)이 필요

하다. 연구결과, 기 별로 제공되는 직업재활서비스가 차별성 없이 제공되고 있

으며, 이로 인해 필요한 서비스가 효과 으로 제공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사회복귀시설과 정신보건센터간의 역경쟁, 공단과 장애인복지 간의 역

경쟁이 방해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역경쟁은 부정 인 측면이 아니

라 력추구과정의 한 단계로 인식되어야 하며, 지속 인 역할재설정기를 거쳐 연

계활성화과정이 일어남을 인식해야 한다. 그러므로 이에 한 지역차원에서의 서

비스조정이 필요하다. 즉 ‘기 별 담당서비스 내용 조정’과 ‘지역사회내 서비스 조

정역할 담당기 지정’, ‘사례 리기능강화’가 필요하다.

- 169 -

기 별 담당서비스 조정내용을 살펴보면, 공단은 직업평가, 직업기술훈련, 지지

고용, 취업의뢰, 사업체 개발을 으로 실시해야 한다. 복지 은 직업상담과

보호작업장서비스를 담당해야 한다. 사회복귀시설은 직업 비훈련, 보호작업

장, 장방문서비스, 사후지도를 담당해야 한다. 정신보건센터는 직업상담, 직업

비훈련, 사후지도서비스를 으로 실시해야 한다.

지역사회내 서비스 조정역할을 할 법 당 조직이 없는 상황에서 질 조사에

서 나타난 ‘주도형’인 력추구유형의 조직이 지역내에서 조정역할을 담당해야 한

다. 이러한 주도형은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에 있어 주로 사회복귀시설과 정신보건

센터 담당자가 극 인 기 이었다. 특히 정신보건센터의 기 성격상 향후

이러한 조정역할에 극 여가 필요하다.

사례 리는 연계가 느슨한 상황에서 개별사례에 한 효과 인 서비스 조정효

과를 나타낼 수 있는 방법으로 재 각 기 의 사례 리 기능이 강화되어야 한다.

넷째, 련기 담당자들의 잦은 교체와 이직을 여야 한다.

연계강화 측요인 근무지 근무기간이 길수록 연계가 활발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질 조사결과 련기 의 담당자들의 잦은 교체가 연계를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보건센터와 사회복귀시설의 경우 근무조건의 안정을 통해

이직 상을 여야 한다. 한 공단의 경우는 순환보직제에 있어 담당자들의 잦

은 교체는 연계를 어렵게 함을 인식하고, 담당자들의 순환시 근무기간, 차 등에

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다섯째, 연계활동에 한 담당자들의 인식 환이 필요하다.

질 조사결과에서 나타났듯이 연계도 하나의 사업이며,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

다. 이에 한 담당자 기 장의 인식변화가 필요하며, 체계 인 연계방법에

한 교육연수가 실시와 참여가 요구된다. 한 담당자들의 열린마음, 즉 개방

인 태도와 창조성이 필요하다. 담당자들은 항상 자신이 연계의 요한 도구임을

- 170 -

인식하고 극 인 연계의식을 갖아야 한다.

여섯째, 향후 력과 동맹강화를 해 법 연계강화, 정신보건 산 안정성 확

보, 정보망 구축, 련 시설 인 라 구축 등 연계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즉, 추상 이고 미흡한 련법들의 연계조항으로 인해 제한 인 부분을 개선하

고, 정신보건 산을 안정 으로 확보하여 산배분을 실화해야 한다. 특히 사회

복귀시설의 경우 산배분구조가 이용형카운트제로 되어 장방문지원을 어렵게

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한 연계실태조사결과, 련기 들이 지역 내

에 존재할 경우 거리가 무 멀거나 아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지역에 따라 편

차를 이루며 나타났다. 그러므로 향후 지역기반으로 정신장애인 서비스기 들의

설립이 연계에 선행되어 이 져야하며, 한 련기 들의 의뢰활성화와 정보공유

를 해 장애인고용정보망 연계구축방안마련이 필요하다

한 향후 더욱 긴 한 직업재활기 간 연계가 요구될 경우, ‘단일화된 수창

구’마련이 안이 될 수 있다. 앞서 외국사례 고찰을 통해 나타난 조정통합의 한

방법으로 미국 Wisconsin Pathway to Independence(WPTI)의 고용연계 로젝트

사례에서 Pathway지역 리 과 일본의 장애자고용지원센터의 사례이다. 즉 향후

우리나라에서도 서비스 통합의 요구 속에 지역기반의 지원 리체계가 필요할 것

으로 사료된다.

기타 향후 제언 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련기 의 서비스 상자 기 차이로 인해 연계의 어려움 해소를

해 정책 으로 새로운 서비스 상자 기 마련이 필요하다. 정신보건센터, 사회복

귀시설의 경우 기 마다 정신지체장애인과 정신장애․신체장애를 동시에 갖은

복장애인의 경우 서비스 제공여부가 다르다. 정신지체장애인과 복장애인에게

서비스 제공여부에 해 일정한 기 마련 제시가 연계의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

- 171 -

둘째, 국민기 생활보장정책과 장애인고용정책의 정책 편성 문제에 한 해결

방안마련이 필요하다. 즉, 정신장애인 수 권 상자들은 의료비를 보장받기

해 근로능력이 있음에도 직업을 갖지 않거나, 최 임 기 이상을 지원하는 지

원고용 로그램을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 연결부

재에 한 안제시가 시 하다.

셋째, 정신장애인 사회 편견해소를 통한 장애인등록 유도가 이 져야 한다.

정신장애인 장애인복지법상 등록장애인 상이면서도 사회 편견으로 인하여

장애인 등록을 기피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로 정신보건기 담당자들은

장애인복지 과 공단에 미등록 정신장애인에 한 서비스 제공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다른 장애유형과의 형평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정신장

애인의 사회 편견해소를 통한 등록유도방안 제시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172 -

참 고 문 헌

김승아(1992). 장애인 직업재활상담서비스 달체계에 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강선진(2001). “장애인직업재활서비스기 의 조직간 계에 한 연구”, 가톨릭 학

교 석사학 논문.

김미원(1995). “독일의 정신보건복지 달체계에 한 연구”, 한국정신건강복지연구

소.

김 종(1998). 사회복지행정, 학지사.

문인숙, 양옥경(1991). 정신장애와 사회사업, 서울:일신사.

박경수(1997). 통합 인 직업재활서비스 제공을 한 련기 과의 연계방

안,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박경숙(1996). “사회복지 문요원과 복지 , 보건소의 서비스연계에 향을 미치는

요인들- 소도시, 농 의 사회복지 문요원을 심으로-”, 한국사회복지

학, 30, 48-76.

변용찬 외(2001). 2000년 장애인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부(2000). 장애인 정지침.

보건복지부(2001), 2001년 정신보건사업안내.

보건복지부(2002). 2002 장애인복지사업안내.

서동우 외(2001). 지역정신보건사업 기술지원단 사업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손 훈(1998). “사회복지서비스 달체계의 새로운 변화를 한 ‘기 상호간 력’의

개념도입에 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14(1), 경성 학교 사회과학연구

소.

신경림 역(2001). 근거이론의 단계, 문사.

- 173 -

_________(1997). 질 간호연구방법, Janice & Peggy.

신 (1999). “우리나라 정신보건 달체계모형”, 정신건강연구, 18, 1-11.

양옥경(1993). “장애인복지에 있어 국가와 민간의 역할”. 미간행물.3.

______(1996). 지역사회 정신건강, 나남출 .

양옥경 외 3인(1997). 미국 스콘신주 정신건강체계, 지역정신보건사회복지연구회

10월 세미나 자료집

오수정(1999). “정신장애인의 직업유지에 향을 미치는 요인에 한 연구”. 숭실 학교

석사학 논문

이근후 외(1995). 정신장애의 진단 통계편람 제4 , 하나의학사.

이 진(2000). “정신장애인의 직업유지기간에 향을 미치는 요인에 한 연구”. 이화여

자 학교 석사학 논문.

______(2001a). 장애인고용정책 비교연구,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______(2001b). 내부장애인 직업재활 활성화 방안,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이계존(2000).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체계 수립에 한 연구,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이시연, 이용창 (2002). “지역 력사업의 황 발 방안에 한 연구-수서․일원지역

의 의회 사례를 심으로-”, 태화임상사회사업연구, 9.

이정균(1992). 정신의학, 서울일조각.

이 주(1998). “사회복지조직 구성원의 조직간 계: 장애인복지 련조직을 심으

로”, 서울 학교 학원 박사학 논문.

정신보건과(1999). 사회복귀시설 설치․운 지침, 보건복지부.

조흥식(1995). “만성정신장애와 재활”, 만성정신장애와 사회복지서비스, 한국정신건강

복지연구소, 인간과복지.

주소 (1999). “정신분열병 환자의 직업유지와 작업환경에 한 연구”. 서울여자 학

교 석사학 논문.

- 174 -

최희수(1999), “정신분열병 환자의 직업재활 성과의 측요인에 한 연구”, 서울여

자 학교 박사학 논문.

최동애(1992). “만성정신분열증 환자의 스트 스와 스트 스 처에 한 연구”. 이

화여자 학교 석사학 논문.

한국정신건강복지연구소(1994). 만성정신장애와 사회복지서비스, 인간과 복지.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2000). 정신보건 사회복지사 이론. 279.

홍재 (2002). “정신보건서비스 달 모델에 한 연구”, 서울시립 학교 학원 석사학

논문.

장애인고용 진 직업재활법

장애인복지법

정신보건법

日本障害 雇用促進協 (1998). 地域ベースの障害 雇用支援システムに關する硏究調

査硏究報告No.25, 障害 職業總合センター.

Aiken, M. & Hage, J.(1968). Organizational Interdependence and

Intra-Organizational Structur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3(6), 912-930.

Akinbode, A., & Clark, R. C.(1976). A Framework for Analyzing IOR. Human

Relations, 20(2), 101-114.

Alexis D. et al (2001). "A Retrospective Study of Clubhouse-based Transitional

Employment",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spring 2001,

24(4)

Anthony, W. A.(2000). A Recovery-oriented service system: setting some system

level standards,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 175 -

24(2),159-167

Anthony, W. A.& Blanch, A. K. (1989). Research on community support services:

What have we learned?, Psychosocial rehabilitation journal,

12(3), 55-81.

Anthony, W. A, & Jansen, M.(1984). Predicting the vocational capacity of the

chronically mentally ill, American Psychologist, 39(5),

537-544.

Anthony, W. A. (1986). The practice of psychiatric rehabilitation, Schizophrenia

Bulletin. 2(4), 542.

Arns, P., & Linnery, J. A.(1995). Relating functional skills of severly mentally ill

clients to subjective and societal benefits. Psychiatric Services,

46(3) 260-265.

Bailey D., & Koney, K. M.(1996). "Inter-organizational community-based

collaboratives: A strategic response to shape the social work

agenda, Social Work , 41(6) 602-611.

Beatrice, D.F.(1990). “Inter-agency coordination: A practitioner's guide to a strategy

for effective social policy",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14(4)

45-59.

Boje, D. M., & Whetten, D. A.(1981). Effects of Organizational Strategies and

Contextual Constraints on Centrality and Attributions of

Influence Inter-organizational Network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6, 378-395.

Buell G. J., & Anthony, W.A.(1973). Demographic characteristic as predictors of

recidivism and post-hospital employment. Journal of Counseling

- 176 -

Psychology, 20, 361-365.

Conte, S.(1994). Memorandum to WAPR board of directors.

Dane county.(2000). 2001 Dane county budget issue mental health system for

children k-8 dane county department of human services

June, 2000

Fairweather et al(1969). Community life for the mental ill: an alternative to

institutional care. Chicago, Adeline.

Jacobs, H.E.(1998). Vocational training. In Psychiatric Rehabilitation of Chronic

Mental Patients. American Psychiatric Press. 245-284.

Lee E. Isaacson, & Duane, B.(2000). Career Information,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Development, 7th edition, Allyn & Bacon.

Bell, M. D., Lysaker, P.H., & Milstein, R.M.(1996). Clinical benefits of paid work

activity in schizophrenia. Schizophrenia Bulletin, 22(1), 51-55-56.

Lawrence C. Hamilton(1992), Regression with Graphics, University of New

Hampshire, Durham.

McGowan, J.F., & Porter, T.L.(1967). Introduction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cess, Washington: the superintendent of document U. S.

Goverment printing office.

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 2002.

National Alliance for the Mentally Ill(NAMI). Fact sheet. Facts about mental

illness and work. Angust 1999(www.nami.org).

Paulson, S.K.(1974). Causal Analysis of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 An

Axiomatic Theory Revisited,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9(3), 319-337.

- 177 -

Provan, K. G., & Milward, H. B.(1995). A Preliminary Theory of

Inter-organizational Network Effectiveness: A Comparative

Study of Four Community Mental Health System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0, 1-33.

Strauss, A., & Cobin, J.(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London:SAGE

Publication.

Strauss, J.S.(1989). Subjective experience of schizophrenia: Toward a new dynamic

psychiatric-II Schizophrenia Bulletin, 15, 179-187.

Van de Ven, Andrew H., & Delbecq, A. L.(1976). Determinant of Coordination

Modes within Organization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1(2), 322-338.

Vandergoot, D.(1987). Review of placement research literature: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Rehabilitation Counselling Bulletin, 30,

243-272.

Weiner, H.(1964). Characteristic associated with rehabilitation, The Personnel and

Guidance Journal, 42(7).

WHO(2000). Mental health and work: Impact, issues and good practices,(a joint

product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sation).

_____(2001a). ICF Introduction.

_____(2001b). WHO Publishes New Guidelines to Measure Health, Press Release

WHO/48.

Wimpfheimer, R., Bloom, M., & Kramer, M.(1990). “Inter-agency collaboration: Some

working principles",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14(4), 89-102.

- 178 -

Woodard, K. L., & Doreian, P.(1994). " Utilizing and understanding community

service provision network: A report of social service research, 18(3),

1-41.

- 179 -

부 록

부록1. 설문지

부록2. 연계기 주소록

- 180 -

부록1. 설문지

- 181 -

<부록1>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실태 및 연계방안 설문조사지

ID정신장애인 직업재활실태 연계방안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실에서는 2002년 보건

복지부의 요청과제로 정신장애인의 직업재활 활성화를 하여 다

음과 같은 내용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자 합니다.

본 설문지는 국의 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 고용 진공단,

장애인복지 등에서 실시되고 있는 정신장애인을 한 직업재활

로그램의 실태와 함께 각 기 간의 연계를 조사하여 향후 보다

통합된 직업재활 서비스를 제공코자 작성된 것입니다.

바쁘신 가운데 설문에 응답해 주셔서 감사를 드립니다. 귀 기

의 조는 희 연구에 귀 한 자료가 될 것입니다. 조사내용과

련하여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아래로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2002년 8월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고용개발원

용인정신병원 정신재활센터

연 구 자: 고 용 개 발 원 이 진(☎031-728-7161)

공동연구자: 용 인 정 신 재 활 센 터 황태연(☎031-288-0206)

*본 설문은 연구목 외의 기타 다른 목 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작성하신 설문결과는 2002년 8월 31일(토)까지 고용개발원 연구실(463-802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297-1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고용개발원 연구실)로 동 한

반송우편을 이용하시어 보내주시거나 송(fax:031-728-7104)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설문에 참여해주신 기 에 연구완료후 보고서를 발송해 드리겠습니다.

반송우편에는 우표를 붙이지 않으셔도 됩니다.

- 182 -

조사기관 / 응답자 배경 정보

기 관

기 관 명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기 관 유 형 1)사회복귀시설 (종합훈련시설  , 생활훈련시설 , 직업훈련시설  , 주거시설  ) 2)정신보건센터 (보건소형  , 민관협력형  ) 3)공단 (지사  , 직업전문학교 , 고용개발원  ) 4)장애인복지관 (직업재활센터  )

기관 소재지 1)서울  2)경기  3)인천  4)대전  5)충남  6)충북  7)광주  8)전남  9)전북 10)강원 11)대구 12)경북 13)울산 14)부산 15)경남 16)제주 

기관설립연도/직업재활실시연도

■ 귀 기관 설립연도는? ______________년도■ 귀 기관에서 직업재활서비스를 시작한 연도는? ______________년도

직업재활 참여인력

■ 귀 기관의 전체 상근 직원 수는? _______________명■ 직원 중 직업재활서비스에 참여하는 인력의 수는? _______________명■ 직업재활 업무만을 전담하는 인력은? ① 있다(_____명) ②없다

직업재활예산배정

■ 총 예산 중 직업재활에 배정된 예산이 있는가? ① 있다 ②없다 :직업재활예산이 있다면 총예산에 대한 비율은? 약______________%

서비스대상자 정신장애등록율

■ 지난 1년간 귀 기관에서 서비스 받은 정신장애인이 있습니까? ① 있다: 정신장애인이 있다면 이중 몇 %가 정신 장애인등록을 했습니까? 서비스대상 총______명중 _______명 등록 (약_________________%) ② 없다

직업재활서비스유형

귀 기관에서 현재 서비스 중인 곳에 모두 ∨ 표시 해주세요. 1) 직업상담(직업적 목표성취와 관련한 재활계획수립, 조정, 심리적상담) 2) 직업평가(ex:직업적성검사, 작업표본평가,사회기술/대인관계기술 평가) 3) 직업전 준비훈련 (ex:직업훈련 초점인 대인관계훈련, 일상생활훈련 등) 4) 직업기술훈련 (ex:제빵기술, 인쇄기술, 금속공예기술, IT기술 등) 5) 보호작업장(작업활동,보호작업,생산품판매,직업훈련시설에 설치된 작업장 포괄) 6) 지지고용(임시고용, 지원고용 포함된 지원서비스) 7) 취업의뢰(취업알선, 경쟁․일반고용지원) 8) 현장방문지원(취업장 현장방문지원, 직무지도 역할 등) 9) 사후지도서비스 (취업이후 지속적 사례관리서비스) 10)사업체 개발(취업할 수 있는 사업체, 사업장 발굴) 11)기타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응답자

성 별 1)남 2)여연 령 만__________세결 혼 여 부 1)미혼 2)기혼경 력 총__________년___________개월

현근무지 근무기간 총__________년___________개월학 력 1)고졸 2)대졸 3)대학원 이상전 문 가 유 형 1)사회복지사 2)직업재활사 3)간호사 4)임상심리사 5)의사 6)직업훈련교사 7)기타___

- 183 -

기관간 연계 ※ 모든 문항은 “정신장애인 대상의 직업재활사업”에 대한 사항임을 유의해주시기 바랍니다.※ 연계정의: 연계란 타기관과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협력활동으로 기관간 의뢰, 정보교류, 공동사업추진, 재정공유 등의 직․간접적인 상호작용을 의미함 관련기관: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지소 및 고용개발원(이후 공단), 장애인복지관, 정신보건관련시설

1. 귀하는 정신장애인에 대한 교육(다양한 정신보건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으십니까? ① 있다 ②없다 2. 귀하는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에 있어 관련 기관의 자원이 어느 정도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중요하다 ② 중요하다 ③보통이다 ④ 별로 중요하지 않다 ⑤ 전혀 중요하지 않다3. 귀하는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에 있어 관련 기관들과 연계가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필요하다 ② 필요하다 ③보통이다 ④ 별로 필요하지 않다 ⑤ 전혀 필요하지 않다4. 귀하는 관련 기관들의 사업내용에 대하여 알고 계십니까?

관련 기관 사업 인지정도 공단 장애인복지관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① 아주 잘 안다② 잘 안다③ 보통이다④ 잘 모른다⑤ 전혀 모른다

5. 귀하는 관련 기관들의 직업재활사업담당자에 대하여 알고 계십니까?

관련 기관 담당자 인지여부 공단 장애인복지관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① 안다② 모른다

6. 귀하는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사업 중 관련 기관과 연계를 한 경험이 있습니까? ① 있다 ②없다(☞ 13번으로 가세요)7. 지난 1년간 귀 기관의 직업재활사업 중 연계경험이 있는 관련기관을 모두 ∨표 해주십시오.

관련 기관 공단 장애인복지관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연계 경험 체크 8. 귀 기관은 관련 기관과 어떤 형태로 연계하고 있습니까? (연계경험 있는 기관에 한해 모두 ∨표 하세요)

관련 기관과의 연계형태 공단 장애인복지관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① 사례의뢰 ② 일회적 공동프로그램/사업 ③ 정기적 모임 형태 (사례회의/연구․친목회의 등)④ 지속적인 기관간 공동계획 수립형태⑤ 기타___________________

- 184 -

9. 지난 1년간 정신장애인 직업재활과 관련하여 귀 기관의 관련 기관과 연계 활동수는? (연계경험 있는 기관에 한해 모든 활동 수(기관간 의뢰수, 공동사업추진, 정기적 모임 등)의 합을 대략적으로 꼭 기입해주세요)

연계활동수 공단 장애인복지관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년간 연계수/년) (__________) (__________) (__________) (__________)

10. 관련 기관과 사례의뢰의 방식은?(기관별로 해당하는 연계형태 모두 ∨표 하세요)

사례의뢰 방식 공단 장애인복지관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① 주로 공문을 통해 ② 주로 전화를 통해 ③ 의뢰담당자가 직접 방문④ 서비스대상자 단독 방문⑤ 사례 의뢰 경험 없음

11. 귀하는 관련 기관에 사례의뢰 후 또는 의뢰 받은 후 상대기관과 사후연락을 합니까? ① 한다 ② 하지 않는다

12. 귀하는 지난 1년간 각 기관과 어느 정도 연계가 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표 하세요)

연계정도

관련 기관

전혀 안되고 있음

잘 되지 않음 보통임 잘되고 있음 매우

잘되고 있음① ② ③ ④ ⑤

공 단장애인복지관사회복귀시설정신보건센터

13. 각 관련기관과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서비스 연계시 방해요인을 모두 V로 표시해 주십시오.

방 해 요 인 공단 장애인복지관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① 사업에 대한 정보의 부족 ② 체계적인 협력방법의 부족 ③ 공동목적에 대한 합의의 부족 ④ 지리적 거리⑤ 기관간의 영역의 경쟁 ⑥ 기관에 대한 신뢰 부족 ⑦ 개인적 안면의 부족 ⑧ 정신장애인에 대한 이해부족

⑨ 기타(_____________________)

- 185 -

14. 향후 정신장애인 직업재활 중 관련기관이 우선적으로 담당해야 할 서비스를 기관별로 3개씩 체크해 주세요.(기관간 담당 서비스의 중복체크가 가능하며, 서비스 내용을 먼저 잘 읽으시고 신중하게 체크해주세요)

기관 직업재활서비스 내용

예>A기관 공단 장애인

복지관사회복귀

시설정신보건

센터 1. 직업상담(직업적 목표성취와 관련한 재활계획수립, 조정, 심리적상담) 2. 직업평가(ex:직업적성검사, 작업표본평가,사회기술/대인관계기술 평가) ∨ 3. 직업전 준비훈련 (대인관계,일상생활훈련 등) 4. 직업기술훈련(ex:인쇄,자동차정비기술, IT기술 등) 5. 보호작업장 (작업활동,보호작업,생산품판매,직업훈련시설에

설치된 작업장 포괄) 6. 지지고용(임시고용/ 지원고용) ∨ 7. 취업의뢰(취업알선서비스, 경쟁․일반고용지원) 8. 현장방문지원(취업장 현장방문지원, 직무지도 역할 등) ∨ 9. 사후지도서비스 (취업이후 지속적 사례관리서비스)10. 사업체 개발(취업할 수 있는 사업체, 사업장 발굴)11. 기타___________________________

15. 향후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 연계의 활성화를 위해 변화될 부분에 대해 모두 체크해주세요. ① 연계와 관련된 법/제도적 보완 ② 정신보건관련시설(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의 직업재활을 위한 직접적인 예산 증액 ③ 정신보건관련시설의 직업재활 전담인력 증강 ④ 관련기관(공단, 복지관, 정신보건관련시설) 전문인력들에 대한 정신보건관련 교육 ⑤ 관련기관(공단, 복지관, 정신보건관련시설)들의 제공서비스에 대한 적극적 홍보 ⑥ 지역을 기반으로 한 지역협의제 구성, 정기적 세미나 및 정보공유장 구성 ⑦ 미등록 정신장애인에 대한 장애인등록 유도 ⑧ 기타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6. 귀하는 향후 연계의 활성화를 위한 관련기관들이 상호 변화되어야 할 부분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⑴ 정신보건관련시설(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

⑵ 공 단

⑶ 장애인복지관

♣ 조사에 응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

- 186 -

부록2. 연계기 주소록

1.사회복귀시설 주소

2.정신보건센터 주소

3.장애인복지 (직업재활실시센터)주소

4.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본부, 지사, 직업 문학교 주소

- 187 -

1. 사회복귀시설 주소록 (2002. 7.19)

도시 설 명 시설종별

프로그램

개소시기

주 소

전 화 / 전 송

기쁜우리네 종합훈련 2001.

서울시 강서구 가양동 기쁜우리 복지 관 사회복귀시설 (ꂕ157-200) 02)3665-3831/ 02)3665-3292 http://www.gibbun.or.kr

무지개둥지 주거시설 2001. 4 서울시 은평구 증산동 166-16, 2층(6호선 증산전철역) (ꂕ 142-071) 02)305-8048 / 02)305-8048

사랑의집 종합훈련 99. 3 서울시 강북구 수유 1동 50-35번지 (ꂕ 142-071) 02)945-5443 / 02)980-5443

새샘터

치유공동체주거시설 98. 9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동 413-86 (ꂕ 140-025) 02)335-4287 / 02)333-4527

새로돋는집 주거시설 2001.4

서울시 관악구 봉천9동 635-682

기린빌라6-301 (ꂕ 151-059)

02)872-9961 / 02)875-9965

서대문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

종합훈련

(이용시설)95. 6

서울시 서대문구 남가좌1동 139-4

(ꂕ 120-120)

02)375-5040,5042 / 02)374-7860

서울정신보건

재활센터이용훈련 2000.11

서울시 동대문구 제기동 1158-32

(ꂕ130-865)

02)928-1152~4 / 02)928-1105

서초

사회복귀시설종합훈련

2001.10

서울시 서초구 잠원동 60-5

반포종합사회복지관내 (ꂕ137-907) 02)3477-9811 / 02)535-4661

www.banpocwc.or.kr

석계나눔터 생활시설 99. 12

서울시 성북구 석관1동 133-61

다솜빌딩 301호 (ꂕ136-151 )

02)959-7184 / 02)967-8602

성모사회

복귀시설

작업훈련

시설99. 4

서울시 성동구 마장동 527-2번지

성동종합복지관 내 (ꂕ 133-050)

02)2290-3159 / 02)2282-3190

www.omni.or.kr

성신여대부설

정신사회재활

센터

이용시설 99. 9

서울시 성북구 동성동1가 48번지

성신여대부설 심리건강연구소 내

(ꂕ 136-051)

02)926-2172~4 / 02)926-1274

송파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

종합훈련

(이용시설)97.

서울시 풍납동 330-1번지

풍납사회복지관 내 (ꂕ 138-040)

02)488-2228 / 02)473-7733

http://home.hanmir.com/~songpacmh

(계속)

- 188 -

도시 설 명 시설종별

프로그램

개소시기

주 소

전 화 / 전 송

영등포

종합사회

복귀시설

이용시설 2001. 3

서울시 영등포구 신길 5동 440-56

영등포 종합 사회복지관(ꂕ150-055)

02)845-5331 / 02)845-8052

은성너싱홈 주거시설 98. 4

서울시 은평구 갈현2동 492-11

(ꂕ 122-502)

02)352-2004 / 352-2059

진성너싱홈 생활훈련 01. 2

서울시 은평구 갈현2동 492-12

(ꂕ 122-502)

02)352-2004(2058) / 352-2059

정훈간호센터 주거시설

서울시 강북구 미아4동 7-9번지

(ꂕ 142-104)

02)988-5481 / 02)987-2833

중랑한울

정신건강센터

생활훈련

(이용시설)99. 8

서울시 중랑구 상봉 2동 126-42호

대우빌딩 4층 (ꂕ 131-860)

02)2207-9964 / 02)2207-9965

태화

샘솟는집

종합훈련

이용+입소86. 4

서울시 마포구 아현동 620-2번지

(ꂕ 121-010)

02)392-1155 / 02)3148-5468

http://www.fountainhouse.or.kr

평화정신

장애인

사회복귀시설

종합훈련 2001. 1

서울 노원구 중계 3동 514-3(420)

(ꂕ 139-223)

02) 949-0123 / 949-0125

한국

약물상담소이용시설 99. 8

서울시 영등포구 영등포우체국

사서함161번지 (ꂕ 150-650)

02)847-0675 / 833-9191

한마음의집 주거 2001. 2

서울시 서대문구 홍은3동 265-174

(ꂕ 120-103)

02)396-6732 / 395-9986

http://hanmaumzip.kt.to

한림알콜

상담센터이용 2002.

서울시 관악구 신림7동 665-1

신림종합복지관 (ꂕ 151-884)

02)851-1885

한울

정신건강센터

종합훈련

(이용시설) 97. 7.

서울시 관악구 봉천8동1531-27번지

(ꂕ 151-058)

02)877-9964 / 877-9965

(http://1wool.or.kr)

EM:02)877-9733 / 02)875-9965

(계속)

- 189 -

도시 설 명 시설종별

프로그램

개소시기

주 소

전 화 / 전 송

기쁜우리종합훈련

(이용시설)2000.12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1동 510-9

와치종합사회복지관내 (ꂕ 606-081)

051)403-4200 / 051)404-6033

부산

베네스트주거시설 2000.3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3동 649-8번

지 (ꂕ 609-842)

051)936-2030 / 051)583-2604

www.benest.co.kr

사직

클럽하우스종합훈련 99. 3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2동 594-8

사직종합사회복지관(ꂕ 607-122)

051)506-5757 / 051)506-3420

송국

클럽하우스

종합훈련

(이용시설) 96.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2동 141번지

(ꂕ 612-022)

051)747-0578 / 051)747-0578

http://www.songguk.pe.ky

아미

정신건강센터

종합훈련

이용+입소 99.

부산광역시 서구 아미동2가 89-155

번지 (ꂕ 602-062)

051)244-2005 / 051)244-2006

http://www.happymental.net

형주나눔의집 주거시설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1동 460-50

번지 (ꂕ 607-061)

051)554-4463 / 051)554-4463

컴넷하우스 생활훈련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9동 491-1

(ꂕ 611-819)

(051)759-1268 / (051)759-1284

http://cnh.bulgukto.co.kr

대구

베네스트생활훈련 2000.3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10동 1642-32

번지 (ꂕ 705-040)

053)628-5868 / 053)628-5864

http://www.benest.co.kr

대구

베네스트109이용시설 2000.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설화리

553-109 (ꂕ 711-833)

053)635-5865 / 053)635-5860

http://www.benest.co.kr

대구위니스 생활훈련 2000.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660-1

(ꂕ 702-010 )

053)958-0234 / 053)958-0235

http://www.benest.co.kr

대구재활센터 종합훈련

(이용시설) 98.

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 성서공업

3차 2단계 68B 1-2L (ꂕ 704-200)

053)582-5826 / 053)588-9231

http://members.tripod.co.kr/~jawhal

(계속)

- 190 -

도시 설 명 시설종별

프로그램

개소시기

주 소

전 화 / 전 송

대구정신건강

센터

생활훈련

(이용시설) 98.

대구시 동구 신천 4동 316-5

(ꂕ 701-827)

053)743-8816 / 053)744-1941

http://www.tmhcsw.net

비 콘 주거 2000. 6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 10동

1642-36 (ꂕ 704-200)

053)627-5868 / 053)628-5864

http://www.benest.co.kr

앞산베네스트종합훈련

(입소)2002. 2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 5동 1681-16

(ꂕ 705-802)

053)651-5865 / 053)651-5863

http://www.benest.co.kr

우리둥지 주거시설 2001. 1

대구광역시 달서구 신당동 1812번지

(ꂕ 702-820)

053)583-5826 / 053)583-5826

누리

정신건강센터이용시설 2000.11

대구광역시 북구 대현 1동 228-6

(우:702-820)

053)959-9925 / 053)939-6721

해인정신건강

상담센터생활훈련 97.4

대구광역시 중구 남산1동 684-41번

지3층 (ꂕ 700-441)

053)425-0425 / 053)422-2815

남동

사회복귀시설

종합훈련

(이용시설)99. 6

인천광역시 남동구 만수6동 1007번

지 (ꂕ 405-246)

032)472-4004 / 032) 472-4005

월산

사회복귀시설

종합훈련

(이용시설)2002. 6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5동 151-2

(ꂕ 403-821)

032)507-4892 / 032) 507-4893

대전

사회복귀센터

종합훈련

(이용시설)2000.4

대전광역시 중구 대흥동 178-3번지

(ꂕ 301-010)

042)223-8582 / 042)254-0167

베데스다

예수마을

소망의집

주거 2000. 3

대전광역시 서구 가수원동 763-5

(ꂕ 302-241)

042)545-9954 / 042)545-9954

원력의집 주거 01. 6

대전광역시 서구 도마1동 33-35

(ꂕ 302-819)

042)533-4846

햇살한줌종합훈련

(이용시설) 96. 6

대전광역시 대덕구 오정동 315-10번

지 (ꂕ 306-010)

042)622-7018 / 042)622-7019

www.sunhanjum.com

- 191 -

도시 설 명 시설종별

프로그램

개소시기

주 소

전 화 / 전 송

광주

사회복귀시설

종합훈련

( 이용 )2001. 3

광주광역시 북구 오치동 912-1

(ꂕ 500-130)

062)262-4379 / 261-2141

http://www.kwf-kwangju.or.kr

아가페하우스 주거시설 2000.6

광주광역시 동구 용산동 산 39-9

일광맨션 703 (ꂕ 501-830)

062)234-4507(fax. 겸용)

인광

희망의샘종합훈련 99.11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 5가62-12

(ꂕ 506-210)

062)233-4006 / (fax. 겸용)

http://cafe.daum.net/hmsaem

새마음

정신문화센터이용시설 2000.11

울산광역시 남구 신정2동 1265-1

청운빌딩 4층 (ꂕ680-833)

052)275-1116 / 052)275-1377

춘천사회복귀

시설

종합훈련

(이용시설)2001. 3

춘천시 후평3동 899 석사3지구 내 한

국복지재단 (ꂕ200-963)

033)242-0051 / 033)242-0054

www.cckwf.or.kr

고운누리 이용시설 99.10

성남시 수정구 산성동 2115번지

산성동복지회관 내 (ꂕ 461-260)

031)732-2411 / 031)732-6642

www.gounnuri.or.kr

경기

정신재활센터작업훈련 99.

수원시 장안구 연무동 256-2번지

(ꂕ 440-242)

031)242-0877 / 031)242-0885

개척터 이용시설 2001.7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고등동 231-1

금강외과병원 3층 (ꂕ441-803)

031)251-2534(0557) / 258-2534

늘푸름 이용시설 2001.7

경기도 오산시 오산동 869-37 2층

(ꂕ447-801)

031)373-1900 / 031)373-1950

www.sarangbat.or.kr

밝은아침

간호센터주거 01. 1

경기 고양시일산구 성석동992-10

(ꂕ411-570)

031)977-0286

사랑밭남양집 주거 2000. 5

경기도 화성시 동탄면 반송리606

남양B 401 (ꂕ 445-811)

031)376-1801,5690 / 376-5691

www.srangbat.or.kr

(계속)

- 192 -

도시 설 명 시설종별

프로그램

개소시기

주 소

전 화 / 전 송

사랑밭새동네 주거 2000. 9

경기도 오산시 은계동28-1 우성그린 빌라 104동 102호 (ꂕ 447-300) 031)376-9126 / 031)376-5691 www.srangbat.or.kr

사랑밭재활원종합훈련

이용+입소80. 1

경기도 화성시 동탄면 반송리573번지 (ꂕ 445-810) 031)376-5690 / 031)376-5691 www.srangbat.or.kr

사랑밭

해바라기주거 2000. 12

경기도 화성시 동탄면 반송리606 남양B 403 (ꂕ 445-811) 031)376-3261,5690 / 376-5691 www.srangbat.or.kr

삼정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

종합훈련

(이용시설)99. 1

부천시 오정구 삼정동 365-2 삼정복지회관 내 (ꂕ 421-150) 032)323-3162(교212) / 324-9892 www samjeong.org

우리집 주거시설 2000.1

경기도 용인시 역북동 380-8번지

다가구 302호 (ꂕ 449-020)

031)335-8473 / fax 겸용

우리집2. 주거시설 2001. 8

경기도 용인시 역북동 380-8번지

다가구 (ꂕ 449-020)

031)322-3911 / 031)335-8473

오사랑센터 생활훈련 2001. 9

경기도 포천군 내촌면 신팔2리 315

(ꂕ487-831)

031)533-0580 / 031)533-0581

http://omental.netian.com

이 레 종합훈련 2000.

의정부시 의정부1동 211-1(2층)

(ꂕ 480-011)

031)856-1500 / 031)856-1501

http://yire.bora.to

정성너싱홈 주거시설 2001.7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영화동 37-99

(ꂕ440-861 )

031)252-1607 / 031)252-1607

한라

사회복귀시설종합훈련 96. 8

부천시 원미구 중4동 1028번지

한라종합사회복지관 내(ꂕ 420-020)

032)324-0723~4 / 032)324-0725

http://www.halla.or.kr

보람의집 종합훈련 99. 8

충남 논산시 연산면 한전리

337-8번지 (ꂕ 320-870)

041)735-9984 / 041)734-0694

베데스다

예수마을

사랑의집

주거시설 2000.12

충남 논산시 연산면 신암리 10

(ꂕ 302-973)

041)735-3325 / 041)735-0928

(계속)

- 193 -

도시 설 명 시설종별

프로그램

개소시기

주 소

전 화 / 전 송

디딤터종합훈련

(입소시설)2002. 1

충북 청원군 현도면 우록리 15

(ꂕ363-823)

043)269-0145 / 043)269-0146

성애마을종합훈련

이용+입소2000. 10

충남 아산시 음봉면 덕지리 38-1

(ꂕ 336-861)

041)544-4580 / 041)541-4581

http://www.sungae.or.kr/village

청주

사회복귀시설종합훈련 2001. 3

충북 청주시 상당구 영운동 209-6

청주사회복지관 내 (ꂕ 360-090)

043)253-4493 / 043)254-4493

http://www.kwf-chongju.or.kr

충주지역정신

건강센터종합훈련 2002. 6

충북 충주시 봉방동 404번지

(ꂕ 380-960)

043)848-6381 / 043)855-5992

늘빛

클럽하우스종합훈련 99.

경남 진주시 문산읍 안전리 368-7

(ꂕ 660-840)

055)758-6589 / 055)759-2267

http://myhome.naver.com/sole0918

벧엘

클럽하우스

종합훈련

(이용시설)98. 6

경남 양산시 북부동 702-7

(ꂕ 626-850)

055)387-6127 / 055)387-6127

숭인

사회복귀시설

종합훈련

(이용시설)99. 1

경남 양산시 웅상읍 주진리 산 12-1

(ꂕ 626-844)

055)389-1234(교220) / 389-1230

대구대학교

정신건강

상담센터

이용시설 2000.4

경북 경산시 진량읍 내리리15번지

대구대학교 (ꂕ 712-714)

053)850-5954~7 / 053)850-5958

대성정신재활

종합센터종합훈련

경북안동시 임하면 고곡리226-1번지

(ꂕ760-830)

054)822-9250~1 / 054)822-9389

www.dsw21.com

마야

정신사회

문화센터

이용시설 99. 6

경북 영천시 금노동 566-1번지

영신빌딩 3층 (ꂕ 770-060)

054)338-3313 / 054)338-3312

남난 원 주거시설 2000.3

전남 영광군 영광읍 남천리 209번지

(ꂕ 513-800)

061)352-9913 / 061)353-1960

http://www.happynanwuen.com

(계속)

- 194 -

도시 설 명 시설종별

프로그램

개소시기

주 소

전 화 / 전 송

마음의

그루터기주거시설

전북 전주시 완산구 중노송동 714-4

(ꂕ 560-100)

063)288-0635 / 063)214-1244

http://www.mindrest.pe.ky

마음사랑의집종합훈련

(이용)2000.1

전북 정읍시 연지동 350-11번지

(ꂕ 580-070)

063)533-8233 (fax겸용)

http://www.hlove.or.kr

정신재활센터종합훈련

(이용입소)2001.3

전북 익산시 신동745-11

(ꂕ 570-976)

063)841-6446 / 063)841-6446

정신건강

복지센터

종합훈련

(이용,입소)2000.12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 1가 205-45

(ꂕ 560-241)

063) 232-7032 / 063)221-7032

http://www.mhwc.or.kr

진안소망의집 주거시설 2000.12

전북 진안군 진안읍 반월리 639

(ꂕ567-801)

063-432-2194 / 063-432-2194

희망을

나누는집주거시설 99.11

전북 전주시 덕진구 고랑동 819-29

(ꂕ 561-340)

063)214-1245 / 063)214-1245

http://www.hopehome.pe.ky

희망의쉼터종합훈련

(이용)99.12

전북 군산시 미원동 22번지 2층

(ꂕ 573-180)

063)442-4599 / 063)442-4596

http://www.kshope.org

희망의

그루터기주거 2000. 12

전북 군산시 미원동 22번지 3층

(ꂕ 573-180)

063)443-5917 / 063)442-4596

http://www.kshope.org

한일정신

건강의 집

종합훈련

(이용)2001. 1

전북 완주군 상관면 신리 694-1

한일장신대학교 내 (ꂕ 565-830)

063)230-5494 / 230-5493

제주

정신재활센터

종합훈련

(이용)2000. 10

제주시 연동 301-5 덕일빌딩 4층

(ꂕ 690-170)

064)742-9500 / 742-2171

단비

사회복귀시설

종합훈련

(이용)2001. 3

제주 제주시 도남동 68-7

(ꂕ 690-807)

064)759-5980 / 755-1377]

http://www.kwf-jeju.or.kr

- 195 -

2. 정신보건센터(센터형) 주소

서울시 정신보건센터

이름 주소 전화번호협력기관

/운영주체홈페이지

성동구

정신보건센터

성동구 금호1가 580

성동보건분소 3층

02-228

2-4765

한양대학교

병원

http://www.free

chal.com/sdmh

c

성북구

정신건강센터

성북구

동선동2가15번지연우

빌딩4층

02-921

-8906

의정부

의료원

http://www.seo

ulmind.net

강북구

정신보건센터

강북구 미아7동

1339-5

02-985

-0222

경희대

의과대학

http://www.seo

ulmind.net

노원구

정신보건센터노원구 상계6동701-1

02-950

-3756상계백병원

http://www.seo

ulmind.net

서대문구

정신보건센터

서대문구 연희3동

165-2

02-337

-2176

김병후

정신과

http://www.seo

ulmind.net

강서구

정신보건센터강서구 염창동275-12

02-657

-0190

김병후

정신과

강남구

정신보건센터

강남구 일원1동

666-7 형일빌딩 3층

02-222

6-0344

용인

정신병원

http://www.seo

ulmind.net

부산 정신보건센터

이름 주소 전화번호협력기관

/운영주체홈페이지

금정구

정신보건센터금정구장전3동 649-8

051-58

3-2600새동래병원

http://www.bigs

hot.co.kr

대구 정신보건센터

이름 주소 전화번호협력기관

/운영주체홈페이지

서구

정신보건센터서구평리3동 1230-9

053-56

0-2595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http://www.seo

gumhc.co.kr

수성구

정신보건센터수성구범어1동 238-3

053-76

5-5864대동병원

http://www.bela

mi.co.kr

대구

정신건강센터

대구 광역시 동구

효목1동 60-1 대구정

신건강센터

- 196 -

인천 정신보건센터

시설명 주소 전화번호협력기관/운영주체

홈페이지

중구정신보건센터

중구 신흥동2가 23032-760-7554

인하대학병원

광주 정신보건센터

시설명 주소 전화번호협력기관/운영주체

홈페이지

동구정신보건센터

동구 서석동 31062-220-0468

천주의성요한병원

http://hmt.richis.org

서구정신보건센터

서구 농성동 269-6062-365-1236

전남대간호학과

http://www.calm.or.kr

대전 정신보건센터

시설명 주소 전화번호협력기관

/운영주체홈페이지

서구

정신보건센터서구 만년동 340

042-488

-9742

충남

대학병원

my.netian.com/

~sogumhc

대덕구

정신보건센터대덕구 석봉동 26-1

042-637

-1677성모병원

http://my.dream

wiz.com/tdmhc

울산 정신보건센터

시설명 주소 전화번호협력기관/운

영주체홈페이지

남구

정신보건센터남구 야음동 576-10

052-227

-1116큰빛병원

경기 정신보건센터

시설명 주소 전화번호협력기관

/운영주체홈페이지

수원 권선구

정신보건센터

수원 권선구 매산로3

가 16-6

031-247

-0888

아주대정신

http://www.me

ntalhealth.or.kr

성남 분당구

정신보건센터

성남 분당구 야탑동

349

031-702

-7214

용인정신병

- 197 -

경기 정신보건센터

시설명 주소 전화번호협력기관

/운영주체홈페이지

부천 원미구

정신보건센터

부천 원미구 심곡1

동 427-6

032-65

4-0660서울대 의대

http://my.dream

wiz.com/pcmhc

안양 만안구

정신보건센터

안양 만안구 안양6

동 532-1

031-46

9-2989

평촌한림대성

심병원

안산시

정신보건센터

안산시 고잔동 515

번지

031-41

1-7573아주의대

www.ansancmh

c.or.kr

용인시

정신보건센터

용인시김장령동 21

7-1

031-33

6-9222용인정신병원

www.ycenter.or.

kr

평택시

정신보건센터

평택시 통복동 83-

1

031-65

8-9818

윤신경정신과

의원

user.chollian.net

/~kemhp

화성시

정신보건센터

화성시 향남면 행정

리 287-1

031-35

3-0175보건소직영

김포시

정신보건센터김포시 사우동 869

031-99

8-4005

이대부속 동

대문병원

광주시

정신보건센터광주시 경안동 115

031-76

2-9752

성모정신과의

하남시

정신보건센터하남시 신장동 520

031-79

0-6558보건소직영

의왕시

정신보건센터

의왕시 오전동 330

-11

031-45

8-0682계요병원

www.kmental.ne

t

오산시

정신보건센터

오산시 오산동 48-

2

031-37

3-4352아주대의대

과천시

정신보건센터과천시 중앙동 1-3

031-50

4-4440고대안암병원

고양 덕양구

정신보건센터

고양 덕양구 주교동

603

031-96

8-2333

연세대 구민

건강증진연구

www.goyangma

um.wo.to

의정부시

정신보건센터

의정부시 의정부 2

동 516

031-82

8-4567의정부의료원

myhome.naver.c

om/ujbcenter/

남양주시

정신보건센터

남양주시 금곡동 18

5-10

031-59

2-5891축령복음병원

동두천시

정신보건센터

동두천시 중앙동 64

3

031-86

3-3632동원병원 www.cmhc.or.kr

연천군

정신보건센터

연천군 전곡읍 은대

리 577-36

031-83

0-2131

서울대 의료

관리학교실

- 198 -

강원 정신보건센터

시설명 주소 전화번호협력기관

/운영주체홈페이지

춘천시

정신보건센터

춘천시 동면 장학2

리 791-16

033)241

-4256

서울대 보건대

학원

http://www.c

hmhc.org

충북 정신보건센터

시설명 주소 전화번호협력기관

/운영주체홈페이지

청원군보건소

정신보건센터

청주시 지북동

208번지

043)297

-0801충북대학교병원

medview.med

ric.or.kr/mhc

충남 정신보건센터

시설명 주소 전화번호협력기관

/운영주체홈페이지

아산시 정신보

건센터

아산시 모종동

573-2

041)540

-2536보건소직영

health.asan.c

hungnam.kr

전북 정신보건센터

시설명 주소 전화번호협력기관

/운영주체홈페이지

전주시 정신보

건센터

전주시 덕진구 진

북동 416-16

063)273

-6996전주예수병원

www.ccmhc.c

om

군산시 정신보

건센터

군산시 대야면 시

경리 786

063)450

-4496

원광대

군산의료원

my.netian.com

/~ksmhc

익산시 정신보

건센터

익산시 함열읍 와

리 294-126

063)861

-0030

원광대

의과대학

www.iksanmh.

or.kr

전남 정신보건센터

시설명 주소 전화번호협력기관

/운영주체홈페이지

영광군

정신보건센터

영광군 영광읍 남

천리 326

061)350-

5666

영광

기독신하병원

www.yeonggw

ang.jeonnam.k

r

- 199 -

경북 정신보건센터

시설명 주소 전화번호협력기관

/운영주체홈페이지

포항북구

정신보건센터

포항시 북구 장성

동 1363번지

054)254-

1275

동국대

포항병원

http://www.ph

health.or.kr

구미시

정신보건센터

구미시 지산동

853-12

054)456-

8360

김천

신경정신병원

경남 정신보건센터

시설명 주소 전화번호협력기관

/운영주체홈페이지

창원시

정신보건센터

창원군 사림동

36-1

055)287-1

223동서병원

hngwon.go.kr/

new-0914/heal

th

제주 정신보건센터

시설명 주소 전화번호협력기관

/운영주체홈페이지

제주시

정신보건센터

제주시 도남동 10

38

064)750-4

217

지방공사 제

주도 제주의

료원

www.chmc.co

.kr

- 200 -

직업재활수행기관주소 (장애인복지관-직업재활센터지정)35개소

서 울 기 관 명 주 소 전화번호

서부장애인복지관 서울 은평구 구산동 191-1 02-351-3982

강북장애인종합복지관 서울 강북구 번동 306-12 02-989-4216

서울북부

장애인종합복지관

서울 노원구 상계6동 771 02-951-9876

서대문

장애인종합복지관

서울 서대문구 남가좌 1동

270-1

02-376-6283~

5

서울노원

시각장애인복지관

서울 노원구 상계6동 771 02-9500-152

서울남부

장애인종합복지관

서울 동작구 신대방2동 395

(보라매공원내)

02-841-2077

서울시립

정신지체인복지관

서울 동작구 신대방2동 395

(보라매공원내)

02-846-9277

기쁜우리복지관 서울 강서구 가양2동 1466 02-3665-3831

~4

실로암

시각장애인복지관

서울 관악구 봉천본동 931-7 02-880-0561

충현복지관 서울 강남구 역삼동 충현남길

14

02-564-4885

성모자애복지관 서울시 강남구 율현동 110 02-3411-9581

~3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서울 강동구 고덕동 317-24 02-441-5001~

3

청음회관 서울 강남구 역삼동 681-50 02-556-3493

부 산 부산장애인종합복지관 부산시 연제구 연산4동

578-5

051-868-3580

대 구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 대구 수성구 파동 1-1 053-763-1011

경상북도

장애인종합복지관

경북 안동시 북후면 도촌리

846-1

054-858-7340

상주시

장애인종합복지관

경북 상주시 만산동 60-2 054-534-6934

인 천

 

인천시각장애인복지관 인천시 남구 학익동 709-1 032-876-3500

노틀담복지관 인천 계양구 계산2동 산40 032-542-3711

~5

부천시

장애인종합복지관

경기 부천시 오정구 작동 57

번지

032-662-2755

(계속)

- 201 -

서 울 기 관 명 주 소 전화번호

광 주

 

엠마우스복지관 광주 북구 운암2동 480-2 062-524-7701

~2

명도 복지관 전남 목포시 산정2동 225-54 061-279-4879

덕산

장애인종합복지관

전남 담양군 금성면 금성리

산16-1

061-382-4548

대 전 충남서부

장애인종합복지관

충남 보령시 주교면 관창리

397-4

041-934-7231

충남남부

장애인종합복지관

충남 공주시 계룡면 기산리

627-1

041-856-7071

~2

수 원

 

성분도

장애인직업재활원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진우리

661

031-762-7282

성남시

장애인종합복지관

경기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1동 64-2

031-736-0042

안양시

장애인종합복지관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2

동 22-1

031-389-2789

원 주 강원도

장애인종합복지관

강원도 춘천시 사농동 105-5 033-255-2498

청 주 혜원

장애인종합복지관

충북 청주시 흥덕구미평동

271-7

043-295-2503

제천

장애인종합복지관

충북 제천시 청전동 689 043-652-0900

~3

전 주 전북

장애인종합복지관

전북 전주시 완산군 효자동3

가 1215-21

063-222-9999

남원시

장애인종합복지관

전북 남원시 이백면 남계리

343-3

063-635-0077

창 원 경상남도

장애인종합복지관

경남 창원시 봉곡동 179-1 055-266-2225

제 주 제주도

장애인종합복지관

제주도 제주시 아리동 396-1 064-702-0295

~6

- 202 -

4.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및 산하기관 주소

관 서 명 주 소 전 화 번 호

공 단 본 부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297-1번지

031)

728-7001-3

고 용 개 발 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297-1번지031) 728-7000

일산직업전문학교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탄현동

111-14번지

031)

915-6601-7

부산직업전문학교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면

달산리 246번지

051)

727-2731-4

대전직업전문학교대전광역시 대덕구 신일동

1687-1번지 공단4단지

042) 605-5435

605-5464-5

서울중부사무소서울 중구 흥인동 13-1

한성프라자 13층

02)

2254-4682-5

2254-4621

서울남부사무소서울 강남구 논현동 115-7

미성빌딩(오리엔트 사옥 2층)

02)

3446-3077-8

3446-2985-7

부산사무소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

877-2번지(사학연금회관 6층)

051) 644-7751

644-7752

대구사무소대구광역시 남구 대명6동

1053-1 웅진B/D 10층

053)

656-6811-2

656-6691-2

인천사무소인천광역시 남구 도화동 592-5

부성B/D 9층

032)

874-0361-4

광주사무소광주광역시 북구 우산동

555-22 대영 B/D 5층

062)

511-1981-4

514-1987

대전사무소대전광역시 동구 용전동 44-2

삼우 B/D 6층

042)

635-3701-4

수원사무소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1046 인석B/D 2층

031)

231-9101-4

원주사무소

강원도 원주시 우산동 405-29

강원도 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4층

033)

744-4973-5

744-3417-9

(계속)

- 203 -

관 서 명 주 소 전 화 번 호

청주사무소

충북 청주시 홍덕구 사창동

143-5 국민은행 청주서지점

3층

043)

272-2261-2

272-3336-7

전주사무소전북 전주시 덕진구 인후동 1가

807-8 노동부 종합청사 1층

063)

246-4656-7

246-1913-4

창원사무소경남 창원시 중앙동 93-2

대한교원공제회관 6층

055)

285-7992-4

285-8201-3

제주사무소

제주도 제주시 이도2동 390

제주도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3층

064) 759-7907

자 문 원

김 형 완 (서울장애인종합복지 직업재활 장)

이 경 아 (수원여자 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

이 문 (아주의 의과 학 정신과학교실 부교수)

이 정 희 (보건복지부 장애인정책과 사무 )

채 정 환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기획 산부 부장)

조사연구 2002 - 6(1)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수행기 간 연계강화방안 -연계 향요인 연계경험을 심으로-

2002년 12월 인쇄

2002년 12월 발행

발행처 : 한국장애인고용 진공단

고 용 개 발 원

(463-802)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297-1

☏ 031) 728-7161 Fax 031) 728-7104

http://www.kepad.or.kr

ISBN : 89-89802-58-x 93330

인쇄처 :

≪비매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