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
199 영어교육 6422009여름 COLT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학생과 영어 강사의 상호작용 분석 * (서울대학교) Lee, Byungmin. (2009). An analysis of both the characteristics of classes and teacher and student interaction in an English Village using COLT. English Teaching, 64(2), 199-232.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eaningful and communicative the classes in an English Village are. Furthermore it attempts to observe the amount of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class discourse. Four classes from the Kyunggi Ansan English Village in 2005 were selected. These four classes were a part of a 5-day English program in which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 across the Kyunggi province. COLT Parts A and B were us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 classes. In addition, the amount of actual time spent speaking in English by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was also calcula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even though the classes used English exclusively as a medium of instruction, the classes examined in the study were not communicative enough to bring meaningful and authentic interaction. Students were mostly situated in a passive mode where they had scarc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the class. The utterances produced by the students in the four classes were either ultraminimal or minimal, consisting of only one or two words or formulated sentences repeating the teacher’s utterances. In all the classes, students occupied a very limited amount of time speaking in English, ranging from about 6 to 14 minutes. These results suggest a need for a more communicative classroom in order to bring about meaningful and authentic interaction. * COLT‘Communicative Orientation of Language Teaching’줄인 말로, 언어교실 수업을 분석하기 위해서 개발된 분석틀이다. 논문에서 COLT라고 줄여서 사용할 것임.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199

어 64 2 2009 여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 강사의 상호작용 분석*

병 민

(서울대학교)

Lee, Byungmin. (2009). An analysis of both the characteristics of classes and

teacher and student interaction in an English Village using COLT. English

Teaching, 64(2), 199-232.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eaningful and communicative the

classes in an English Village are. Furthermore it attempts to observe the amount of

student participation in the class discourse. Four classes from the Kyunggi Ansan

English Village in 2005 were selected. These four classes were a part of a 5-day English

program in which secon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 across the Kyunggi

province. COLT Parts A and B were us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

classes. In addition, the amount of actual time spent speaking in English by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was also calcula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even though the classes

used English exclusively as a medium of instruction, the classes examined in the study

were not communicative enough to bring meaningful and authentic interaction. Students

were mostly situated in a passive mode where they had scarc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the class. The utterances produced by the students in the four classes were

either ultraminimal or minimal, consisting of only one or two words or formulated

sentences repeating the teacher’s utterances. In all the classes, students occupied a very

limited amount of time speaking in English, ranging from about 6 to 14 minutes. These

results suggest a need for a more communicative classroom in order to bring about

meaningful and authentic interaction.

* COLT는 ‘Communicative Orientation of Language Teaching’ 말 , 언어 실 수업

하 해 개 틀 다. 에 COLT라고 여 사 할 것 .

Page 2: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병 민

200

I. 들어가는말

어마 우리 라에 시 고 태 어 다1. 어

공 는 경과 사 건 만들어 생들 실질 어 체험

수 도 었다. 런 어마 경 도에 시 었 , 후

여러 지 단체에 어마 다. 료에

어마 30여개에 고 다( 용 , 2007).

어마 EFL 경에 상 어 습 공간 수 다.

생 원어민 강사 낮고, 사 통 어 사용 , 생

들 수업에 는 식당, 복도, 숙사 등에 어에 고 원어민과

상 용 가능 다. 듯 어마 어 생 경과 슷 건

만들어 고 생들에게 연스러운 어 체험 가능 게 다.

지만 어마 능 어 과에 는 사

람들 다. 5 6 라는 짧 체험 통 어 연수 수

얼마 체 수 는가 는 에 어마 에 들어가는

엄청 고 과연 어느 도 과 어낼 수 는

가 는 경 에 지 다 가 다.

다 에도 고 어 리 단 내리는 것 쉽지

다. 실 어마 공간에 생들 어 어 체험 는지 실 연

것 거 없는 실에 는 욱 그러 다. 단 간 지만 생들 그

에 어 어 가지 , 어능 상 습 동

태도 같 역에 어 변 가 는지 체계 사 것

거 없다2.

어마 에 어 어체험 니지만, 원어민 진 는

어 수업 등 몰 에 진 연 는 다( , ,

고 민, 2008; Jiae Lee, 2007). 들 연 들 사 드 원어민 사

1 어마 학술적 정 개 아니다. 어마 적 원어민 심

어 경 한 체험 시 갖 경험 주 어 시 할

수 다. 어마 라는 어 하여, (1999)가 처 “ 어마 (English

Village Course)” 라는 어 사 하고 다. 어마 한 과학 술원에 여

학 동안 학생 상 개 한 프 그램 가리키는 , 본 에 지칭하는

어마 과는 다 태 다. (1999) 어마 사 는 어캠프 한 태라

고 해하는 것 람직하 , 그런 점에 본 에 다루고 한 어마 과 별

수 것 같다. 2 어마 과 한 연 는 학원 사학 수 에 다루어졌 ,

학술 에 어마 한 연 는 거 찾아볼 수 없다. 들어, 학술연

스 DBPIA 검색하 어마 수업 동 한 연 는 찾아보

어 다.

Page 3: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COLT 통한 어마 수업 특 학생과 어 강사 상

201

rnq 가 가지는 특 미시 것 수업 특징

보여주고 지는 못 다. 들 연 는 실 라는 공간에 루어

진 것들 어마 라는 새 운 체험 공간에 루어진 것 니다.

어 습 경, 사 생 상 용 수업 내용, 습 목 생들

에 실과 어마 가 다. 라 러 연

에 어마 특 과 단 는 것 계가 다. 어마

우리 라 고 어 고 체 연 가 미 상 에

실체 보 미가 다. 런 경에 본 연 에 는 어

마 에 진 는 수업 직 고 여 어마 수업 어떻게

진 는지 술 에 어 보고 다. 특 , 수업에

생들과 원어민 강사 사 에 어 상 용 어 고, 어 주고

, 사 통 동 라는 에 수업 내용 어 특징 보

여주고 는지 실 보고 다.

II. 문헌연

EFL 경에 어 동 어 공간 실

심 어 에, 수업에 엇 어 는지 살펴보는 것

미가 다. Nunan(1991) 실 수업 연 미 다 과 같 고

다,

As language classrooms are specifically constituted to bring about learning, it is not

unreasonable to collect data about what goes on there as a means of adding to our

knowledge of language learning and use. (p. 91)

언어 습 연 에 실에 루어지는 어 습 동 어 습득

어떻게 연결 는지 습과 과 습결과 계 사 는 것

연 과 , 실 수업 통 과 과 결과(process-product) 계

연 들도 다수 개 었다(Mackey & Gass, 2005; Mckay,

2006).

그러 내에 실 수업 상 진 연 는 많지 다. 연

는 생들 사들 어 진 는 수업에 어떻게 라보는가

같 식 태도에 연 ( , , 규 , 2002; Sung-Ae Kim,

2002; Sung-Yeon Kim, 2002; YoungSook Kim, 2002), 연 들만 수업에

직 실시 다( , , 2007; Jenny Hye-Won Lee,

2002; InJae Lim, 2002; In Ja Sung, 2006).

(2007) 경우 간 어 진 는 어 사 어 수업

Page 4: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병 민

202

(TETE) 다. 1 상 에 는 생들 어 수업

것 보 , 사는 수업 진 거 생들 도 질

는 보 시 등 목 어 사용 다. 라 실질 사

통과는 가 거 지 고 다. 어 진 는 수업

는 지만, 생들 수업 통 극 사 통 과 에 여

지 는 것 타났다.

원 등 상 연 는 InJae Lim(2002) In Ja

Sung(2006) 연 가 다. InJae Lim(2002)는 여러 가지 틀 사용 여 등

3 실 어수업 다. 특 COLT 틀 용 여 수

업 과 내용 사 통에 어 다. 결과 보

수업에 언어 식에 수업 태는 보 지 다고 보고

고 다. 편, In Ja Sung(2006)는 어린 어 원에 원어민 강사

어 강사 수업 다3 . 수업 통 타 결과

보 생들에게 어 공 고 다 수업 동 는

어 강사 어 능 단지 변수에 과 , 다 수업 동

고 생들 지 능 고 는 강사 수업 원어민

강사 수업보다 람직 다고 보고 고 다.

실 수업에 어 는 에 고 어습득 에 연 것

들 다( , 고 민, 2008; Jiae Lee, 2007). , 고 민(2008) 연

에 는 등 3 과 몰 실에 원어민 사 가 보여

주는 특 다. 상 생들 등 1 몰

에 어 수업에 원어민 강사가 보여주는

특 과는 다 수업 내용 보여주었다. , 원어민 강사가 말

질에 어 훨 뿐만 니라, 내용 심 수업 루어지

에 몰 에 보여주는 미 내용 심 특 보여주고 다.

내 어 습 상 루어진 런 연 들에도 고 상

우리 라에 어 수업에 지 못 다. 는

도 몫 다. 연 가 신 수업 상 지 ,

다 수업에 들어가 고 연 는 것 쉽지 다. 공식 진

는 공개 수업 니 신 수업 에 공개 지 는 우리 라

사들 특 에 수업 내용 직 고 는 것 쉽지 다.

근 공 내에 생들 어 사 통 능 상시키 원어

민 강사 거 어 진 는 어 수업 고 지만, 과

용 에 직 지 상 에 그 고 다.

3 흔히 ‘ 어 치원’ 라고 리는 ‘전 제 어린 어 학원’ 공식적 치원

허가 아니다. 그래 에 는 어 치원 라는 신에 전

제 어린 어 학원 라는 어 사 하 다.

Page 5: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COLT 통한 어마 수업 특 학생과 어 강사 상

203

미 다에 실 수업 통 내용 심 수업 몰

에 생들과 사 상 용 어떻게 타 는가에 연 는 다수

다(Allen, Swain, Harley & Cummins, 1990; Chaudron, 1988; Fazio & Lyster, 1998;

Fröhlich, Spada & Allen, 1985; Loschky, 1994; Tsui, 1995).

실에 루어진 사 생 상 용 연 들 보 많

경우 사 심 루어지는 수업에 생들 는 평균 30%

타 다(Musumeci, 1996; Tsui, 1995). 사들 동 사 보 사가

는 말 에 질 는 말 체 20-40% 지 는 것

타 다(Chaudron, 1988). 사가 , 답 도 고, 도 생 답에

사가 다시 는 태 는 주 사에 주도 는 것 타

났다.

Fröhlich 등(1985) 여러가지 수업 틀 에 COLT 용 여 다

태 수업 어느 도 사 통 특징 보여주고 는지 다. 그

들에 다에 진 고 는 개 다 언어 그램

( 심 어 그램, 어 그램, 어몰 , ESL 그램)

, 심 어 식 사 통 심 수업과 가 거리가 었 ,

어몰 상 사 통 심 수업에 가 가 운 것 타났

다4 . 들 연 에 COLT가 언어 수업 특징 는

용 도 라는 것 보여주었다.

편, 몰 럼 충 언어 주어지는 경에 도 실 수업에

생들 여 가 많지 것 타 고 다. Allen 등(1990)

에 , 몰 경에 도 생들 에 극 여 수 는

가 사 루어지는 상 용도 지 다고 보고 고 다.

특 생들 수업 시간에 들 단어 는 단어

크게 지 것 타났다. 몰 건에 과 내용 시키고

달 는 수업 다 보 , 생들 목 언어 사용 고 목 언어

통 사 상 용 수 는 가 다. 는 우리 라 등 몰

수업 연 에 도 슷 게 타 다( , 고 민, 2008).

몰 결과 취도에 평가에 듣 같

수동 언어 능 원어민과 슷 수 에 지만, 말 쓰 동

생들 목 어 상 도 지 다는 지

많다(Fortune, 2001; Genesee, 1987; Harley, Allen, Cummins & Swain, 1990; Swain, 1985,

4 캐나다에 는 다양한 어 프 그램 제공 고 다. 들어, 핵심 어는

‘Core French’라고 리는 어 프 그램 전통적 식 어 프 그

램 라고 할 수 다. 어 프 그램 ‘Extended French’라고 리 프 그램

핵심 어 달리 어 수업 시간 조 프 그램 다. 그러나 어 몰

만큼 전체 과정 50-100% 어 진행하지는 않는다.

Page 6: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병 민

204

1995). 런 결과들 특 수업 통 진 것들 미

갖는다.

우리 라에 도 원어민 강사가 진 는 어 수업 늘어 고, 어

사에 어 진 는 TETE 수업 가 고 뿐만 니라, 원

어민 강사들에게 수업 수 는 어마 고 는 상 에 , 수

업 언어 어 매개 원어민 강사 생들 사 에 어 상 용 어

고, 생들 그러 상 용 통 어 어 체험 는지 실

고 가 다. 특 어마 과 같 막 산

는 경우에 그램 질 평가 과에 실 욱

다. 라 본 연 에 는 다 과 같 질 가지고 어마 수업에

연 진 다:

1. 어마 에 공 는 개별 수업 에 사 통 심 수

업 특 보여주는가?

2. 어마 에 공 는 개별 수업에 강사 생 는 어 상

용 특 보여주는가?

3. 어마 에 공 는 개별 수업에 생들과 강사 어

어느 도 고 체 시간 얼마 는가?

III. 연 방법

1. 연 대상

본 연 는 경 도 산 어마 에 진 는 5 6 어마 그램

상 다. 산 어마 5 6 그램 내 개 어

마 그램 경 도 지역에 는 생들 상 다. 가

는 생들 경 도 내에 재 고 는 2 생들 주

단 여 지만 신 택에 산 어마 5 6 과 에

가 다.

본 연 에 여 생들 경 도 지역 2 에 재 고 는

생들 다. 어 원 다닌 경험 갖고 지만, 어 가에

살거 어 연수 다 경험 거 없었다. 어마 에 지원

에 어 에 심 고 에 평균 상 어능 가진

생들 었다. 는 생들과 뷰 통 도 었다. 지만

들 생들 같 경 도 지역 산 당 신도시 생들과

상 어에 경험 었다.

어마 에 루어지는 수업 진 는 강사들 원어민 포

Page 7: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COLT 통한 어마 수업 특 학생과 어 강사 상

205

어에 강사들 다. 들 어마 에 루어지는 생들

어체험 담당 는 , 어 가에 사 상 지 고,

어마 에 진 는 사 연수 수 , 어마 에 공 는 그

램에 담담 수업 진 다. 신 담당 수업 지 가

에 당 수업 내용 고 다. 같 그램

주 단 복 에 는 생들 어 수 고

신 담당 수업에 경험도 편 다.

5 6 동 어마 에 루어지는 그램 진 에 라 각

실 순 그램 수 는 식 다. 각 공간에 여러가지 다

주 별 수업 진 는 , 생들 도가 수업 ‘ 리’ ‘ ’

는 ‘미술’과 같 직 몸 체험 고 동 는 수업 었 , 상

도가 낮 수업 ‘ 식’과 같 수업 었다. 연 에 생들

도 보 개 수업과 낮 도 보 개 수업 여

개 수업 ( 리, 식, , 과 ) 다.

2. 자료 수집 절차

어마 5 6 그램에 루어지는 개별 수업 내용

동 상 실시 다. 동 상 2005 11월과 12월에 걸쳐 진

었다. 5 6 그램 생들 월 에 어마 에 에

퇴 에 첫째 생들 어마 경에 는 단계 다. 라

수업 는 생들 어마 에 어느 도 숙 진 과 에

루어 다. 각 주 별 수업 5 6 동 개 6-14시간 단 는 ,

그 에 90 동 진 는 수업 고 다. 개 수업

체 시간 335 었다.

1 어마 사 상 수업 개

리 식 과

수업 진

강사

원어민 강사

1 /

강사 1

원어민 강사 1 /

강사 1

원어민 강사

2

원어민 1 /

강사

1

생수 24 24 17 13

수업 시간 80 77 86 92

수업 각 실마다 MP3

여 수업에 루어지는 내용과 생과 원어민 강사

생과 원어민 강사 사 에 어 는 다. 가 원어민 강

Page 8: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병 민

206

사 생들 는 것 식 지 도 여 는 각 실

주변에 다. 동 상 께 원생 수업 진

는 각 실마다 어 시간 에 라 진 는 수업 주 트

지에 다. 원어민 강사 생들 동 상 에

거 감 없었고, 수업 진 는 동 진 는 것에

거 신경 쓰지 고 연스럽게 동 다. 연스러운 는 생

들 생들과 거 우리말 거 는 여러가지

동 통 도 수 었다.

에 루 후에 어마 도 에 생

들과 어마 체험과 뷰 실시 다. 뷰에 가 생들

생 10여 었 주 수업 공간에 어지는 어

체험 어마 과 어 수업 사 에 뷰

실시 다. 뷰는 2-3 생들과 그룹 루어 체

뷰 시간 1시간 도 었다.

3. 자료 분석 방법

1) COLT

어마 개별 수업 내용 COLT 틀 용 여 다. COLT는

1980 생들 2언어 달과 실 수업과 계 규 개

수업 틀 다. 특 , COLT는 수업 동 에 2언어습득에 상

계가 다고 실 검 들

주 에, 실에 루어지는 수업 얼마 사 통 특징

담고 는지 계량 보여 다(Allen, Fröhlich & Spada, 1984; Spada & Fröhlich,

1995 ). 러 COLT는 여러 연 에 실 수업 갖고 는 사 통

수업에 루어지는 사 생 에 타 는 상 용

특 사용 었다( , Fröhlich et al., 1985; Lightbown & Spada,

1990, 1994; InJae Lim, 2002; Lyster & Ranta, 1997; Spada & Lightbown, 1993; White,

Spada, Lightbown & Ranta, 1991).

COLT 틀 Part A B 어 다. Part A는 수업에 어 는 에

드 수업 동 , 수업 내용, 수업 동 등에 라 시간 별

여 개별 수업 실 사 통 동 가 특징 담고 는지

보여 다. Part B는 수업에 사 생 여 상 용 특징

사 통과 2언어습득 에 다. Part B 에 는 2언어습득

에 미 는 상 용 연스러운 미 는 사 통에

에, 실에 루어진 가 상 연스러운 특 어

느 도 고 는지 보여 다.

Page 9: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COLT 통한 어마 수업 특 학생과 어 강사 상

207

본 연 에 는 COLT Part A B 용 여 개별 수업 각 에 드들

다. 개별 수업 내용 에 드 단 COLT 틀에 라

고 는 많 시간 에, 다 COLT 에 여

다. 연 포 여 어 사 사 과 원생

여 었다. COLT 매뉴얼(Spada & Fröhlich, 1995) 통 COLT 틀에 숙 진

다 , 각 수업 다. 신뢰도 수업

, COLT 매뉴얼에 라 Part A는 에 직 수업

후, 상 보 다시 내용 다.

Part B는 매뉴얼에 라 상 보 사 생들 사 에 어

내용 다. Part B는 Part A 달리 주 는

들 에, 는 과 에 목에 라 견

지 거쳐 결 다.

2) 체 시간 계산

COLT 에는 포 어 지 지만 본 연 에 는 체 시간에

강사 생들 과 시간 포 다. 강사 생들

타내는 도수는 수업에 어 는 상 용 곡

수 다는 과 에 었다. 들어, COLT Part B 에

강사 생 말 도수가 슷 게 타났어도, 강사는 랫동 여러

생들 것 단어 수 었다 강사

생 사 에 어 상 용 도 COLT 만 통

드러 지 는 계가 다.

어 시간 생 강사가 시간 단 계산 여 체

시간 계산 , 생들 시간 경우 개별 생 단 계산

지 고 체 생 단 계산 다. 들어, 수업 시간에 생

라도 어 그것 생 체 어 시간에 포 었다.

리 식 수업에 동 많 고, 동 에 생들

말 지 거 , 그냥 주어진 과업만 수 경우가 많 다. 동 에

생들 리 말 는 경우가 어도, 우리말 사용 에 그

포 지 다. 강사 생들 체 시간 순수 게 강사

생 수업 시간에 어 시간 가리킨다.

IV. 결과 및 논의

어마 에 루어진 수업 사 통에 고 루어 는지 생

들 그런 체험 공간에 어 주고 어 습 어

Page 10: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병 민

208

상 용 주고 는지 보 개별 수업에 COLT

실시 다. COLT 에 각 수업 특 살펴보 다 과 같다.

1. COLT Part A 분석을 통한 수업 성 분석

다 가지 개별 수업 다: (1) 수업 동

여 , (2) 수업에 다루어지는 내용, (3) 수업 내용 결 는 사람, (4)

생들 동 게 는 언어 능, (5) 수업에 다루어지는 재.

1) 수업 동 여

수업에 수업 동에 여 는 사람들 어떻게 어 는지

보 래 2 같다. 2는 체 수업 에 드에 별

보여주고 다5.

2 사 생간 수업 동 [단 %]

Whole Class

T-S/C S-S/C Choral Group Group with

T-S/C

Individual

리 32.50 0 2.50 0 46.25 18.75

식 68.42 0 22.08 9.5 0 0

62.11 0 0 37.89 0 0

과 49.25 11.11 0 39.64 0 0

*T-S/C: 강사가 수업 어가 체 생 는 개별 생과 상 용 는 경우

가리킨다. S-S/C: 개별 생 다 개별 생 체 생 상 상 용 는

경우 가리킨다. Choral: 강사가 수업 어가 체 생들과 상 용 는 태

지만, 생들 체 강사 듯 라 는 경우 가리킨다.

Group: 생들 리 동 는 경우 가리킨다. Group with T-S/C:

동 강사가 개별 상 상 용 는 경우 가리킨다.

Individual: 생들 개별 사 과 수 는 경우 가리킨다.

어마 수업 각 에 드마다 여 들 어떻게 었는지 살펴보

, 수업에 동 지 고 는 것

수 다. 과 과 수업에 는 순수 별 동 각각 37.89% 39.64%

지 고 , 리 수업에 도 순수 동 니지만 사가

여 는 태 동 46.25% 지 고 다. 지만, 식 수업

5 본 에 COLT 결과 제시할 , COLT에 고 하게 사 는

주들 우리말 역하지 않고 원 그 사 하 다. 는 독 들 해

돕고, 역하는 과정에 생할 수 는 미 변 나 란 없애 한 것 다.

Page 11: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COLT 통한 어마 수업 특 학생과 어 강사 상

209

순수 별 동보다는 강사에 주도 는 수업 체 시

간별 동에 68.42% 지 고 다. 수업에 는 특징 강사

가 는 말 그 생들 라 는 태 수업 도 상

타났다. ‘Choral’ 강사가 생들 듯

라 복 는 다. 런 동 주 청 식 수업 통

언어 수업에 주 타 는 런 동 식 수업에 는

주 었다.

수업 식 수업 동 통 어느 도 생들

리 사 통 가능 수업 갖 고 다. 특 리 별

직 리 거 는 동 다. 런 동 생들 리

보다 극 사 통 공 것 지는 실 지

다. 동 사 통 심 수업에 생들 리 목 어

사용 사 통 시키 는 도가 담겨 다(Larsen-Freeman, 1986).

그러 실 수업 내용 보 , 동 심 는 사 통 심 수

업 든 상 에 가 는 다. 습 들 동 어 사

용 고 고, 습 들 목 어 능숙도가 어지고, 동 수업

신 는 숙 지 우리 라 생들에게 어

통 사 통 수 는지 다. 냐 , 리

수업 경우 별 동 지만, 생들 리 만들거

는 과 에 게 우리말 사용 여 통 결 다.

수업내 동 타 동에 생들 리 우리말 사용 사 는

개 수업에 공통 었다. 마도 생들 어 루어지는 사

통 원어민 강사 강사 는 것 미 다고 생각 , 동료

생들과 어 사 통 갖는 용 가 견 지 못 는 것

보 다. 어 경 우리 사 생들 상

사에 도 슷 지 고 다(Rao, 2002). 미 스 어

몰 에 타 등 5 생들 언어 사용 보 생들

몰 경에 여러가지 다 변수에 어 언어 사용 것

지 택 는 것 타났다(Fortune, 2001).

편, Robinson(2003) 지심리 에 생들 수 는 과

계 , 과 수 수 는 원, 사 계 단계, 충 사 지

식, 언어 료 등 충 고 것 다. 실 어마 에 공

는 수업에 다 별 동 는 미 는 동

것 지 니 사 통 공 것 지

실 지 다. 어도 어 체험 는 것 어마 목 라 러

동 통 생들 어 보다 극 사용 수 도 도

가 다. 그 지 원어민 강사가 어 수업 진 다고 도

생들 리 연스럽게 당 목 어 사용 지는 는다. 런 COLT Part

Page 12: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병 민

210

B 에 보다 게 다루어질 것 다.

2) 수업에 다루어지는 내용

수업 여러 가지 다 내용 다루게 다. 들어, 강사가 수업에

지 규 규 는 고, 수업에 진 는

동 규 는 경우도 다. 짜

어떻게 는지 는 경우도 , 내용, , 어 는 가

고 는 어 내용 는 도 다. 개 수업 런

에 어떻게 어 는지 3에 시 어 다.

3 어마 수업 내용 [단 %]

Language Other Topics

Management Form Func Narrow Broad Total

리 2.50 1.25 0 2.50 23.75 26.25

식 16.88 58.45 0 3.89 10.39 14.78

3.00 0 5.23 39.15 35.75 74.90

과 20.39 3.54 0 63.88 0 0

( 계 )

Combinations

Func/

Broad

Form/Func/

Narrow

Form/Func/

Broad

Proc/

Broad

Proc/Func/

Broad

Func/

Narrow

13.75 0 3.75 6.25 46.25 0

0 0 10.39 0 0 0

0 0 0 0 0 16.86

0 9.78 0 2.41 ̀ 0 0

*Management: 수업 진 사가 생들 리 는 에 루어진 수

업 내용 가리킨다. Form: 수업에 체 언어 식 다룬 경우 가리킨다.

Func(Function): 수업 내용에 시 언어 능에 다룬 경우 가리킨다.

Proc(Procedure): 과 내용 다루고 는 경우 가리킨다. Narrow: 수

업에 다루는 내용 실 생 가 운 주변 경 경험 다루고 는 경우

가리킨다. Broad: 수업에 다루는 내용 실 생 가 운 주변 경 어

내용 과목과 내용 다루고 는 경우 가리킨다.

Combinations: 내용과 언어 식 능 타 는 경우 가리킨다.

들어, Proc/Func/Broad 경우, 실 생들 상생 과 직 없는

주 다루 다루고 체 언어 능 시

고 가 는 내용 는 경우 가리킨다.

수업 내용 에 , 어 , , 언어 능 등 언어 식

시 다룬 경우는 리 식 수업에 주 타 , 지

Page 13: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COLT 통한 어마 수업 특 학생과 어 강사 상

211

개 수업에 는 많 타 지 다. 식 수업 경우 언어 식

다룬 체 58.45% 지 다. 수업 내용 보 원어민 강

사가 수업 진 에도 고, 마 우리 라 어 수업에 어

언어 능 는 심 어 수업 진 는 것과 슷 상

보여주었다. 언어 식과 능 체 수업 69% 도가 내

용보다는 언어 식 다루고 다. 리 수업 경우 리

는 내용 다루고 도, 언어 식(3.75%) 언어 능

(13.75%)에 내용 지 수업에 많 타 고 다.

수업 동 진 다루 사 통 능과 언어

상당 시 다루고 다(46.25%).

상 과 수업 경우 언어 식보다는 내용 심 수업

진 다. 수업에 다루어진 내용 보 , 과 생 상생

주변에 어 는 내용 주 루고 는 , 다 수업들

게 다 내용 다루고 다.

2) 수업에 사용 는 재 수업 료

어마 수업 에 루어지는 규 어 수업 니 에

재에 도는 상 낮 다. 어마 에 공 는 재가 는

지만 수업 재에 크게 지 고 진 었다. 식과 같 수

업 계 지도 용 수업 진 다. 리 경우에는

실 벽에 어 는 포스 컴퓨 통 그림 료들 공 었

, 리 직 만들 주어진 재 용 여 간단 쓰

동 진 도 다. 다 개 수업도 동 심 수업 진

었 에, 재 가지고 고 쓰거 내용 는 수

업 태 진 지는 다.

4 어마 수업에 사용 재 료 [단 %]

Text No material

Minimal Extended Audio Visual Video used

리 36.62 0 0 6.56 0 56.31

식 0 0 0 71.4 0 28.6

0 0 0 0 23.85 76.15

과 14.13 0 0 2.80 83.07

*No material used: 수업에 주어진 재 다 재 사용 지 고 수업 진

경우 다.

Page 14: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병 민

212

4) 수업 내용과 주 는 누가 결 는가?

수업 내용 주 결 는 주체가 누 가 사 보 경우

강사 어마 에 진 과 에 라 수업 내용 결 었다. 다만

수업에 는 강사에 과 가 주어지 는 지만, 만들

생들 각 신 내용 워 어 에 생들 신

내용 결 수 는 열 었다. 든 수업에 생과

강사가 견 수업 내용 결 거 생들 수업 내용 결

수 는 는 거 없었다. 생들 수동 강사가 는

주 내용 라가는 태 다. 5는 수업 내용 결 는 강사

생 역 보여주고 다.

5 수업에 다루어지는 내용 결 는 사람 [단 %]

Teacher/Text Teacher/Text/Students Student

리 100 0 0

식 100 0 0

66.6 33.4 0

과 100 0 0

5) 개 수업 듣 , , 쓰 , 말 동

개 수업에 루어진 듣 , 말 , , 쓰 동 보 , 수업

간 다 갖고 는 것 수 다. 각 수업에 언어 능별

동 보 래 6과 같다.

6 수업에 다루는 어 능별 포 [단 %]

Modalities Combinations

L S R W Other LS RW WLR

리 0 2.50 0 6.25 46.25 32.50 0 12.5

식 74.02 10.39 0 0 0 11.78 0 3.8

62.11 22.48 0 4.36 5.81 5.23 0 0

과 22.29 0 0 0 27.41 42.85 7.45 0

*L=듣 , S=말 , R= , W=쓰 , LS=듣 /말 , RW= /쓰 , WLR=쓰 /듣 /

어마 특 상 듣 말 동 수업 상당 지

고 다. 특 식과 수업에 순수 듣 동 매우 게

타 고 다(각각 74.02% 62.11%). 수업에 간 쓰

동 는 지만 매우 미미 , 그런 동 게 거

Page 15: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COLT 통한 어마 수업 특 학생과 어 강사 상

213

쓰는 동 니었다.

6) 각 수업 어느 도 사 통 가?

마지막 경 산 어마 5 6 그램에 진 는 개별 수업

어느 도 사 통 특 갖고 는지 보 다. 각 수업 사 통

지 계산 Fröhlich 등(1985) 사용 용 여 사 통

지 계산 다. 계산 식 (1) ‘ 동(Group Work)’, (2)‘ 미 심(Focus

on Meaning)’과 식과 다 내용 결 (Combination of form and the other content

categories)6, (3) ‘주 결 (Topic Control)’, (4) 재 사용(Extended Text),

(5) ‘실 재 사용(Use of Semi/Non-Pedagogical Materials)’ 다 개 목

체 수업에 각 목 지 는 계산 다. 0-19%는 1 , 20-39%

는 2 , 40-59%는 3 , 60-79%는 4 , 80-100%는 5 변 , 개별 수

업에 각 목별 과 수는 7과 같다.

7 어마 개 수업 사 통 지

동 미 심

주 결

재 사용

재 사용

리 46.25%(3) 35%(2) 0%(1) 0%(1) 0%(1) 8

식 9.5%(1) 31.66%(2) 0%(1) 0%(1) 0%(1) 6

37.89%(2) 77.90%(4) 33.4%(2) 0%(1) 23.85%(2) 11

과 39.64%(2) 86.68(5) 0%(1) 0%(1) 0%(1) 10

*( ) 안의 숫자는 %를 위에 제시한 기준에 따라 점수로 환산한 것임.

개 수업 에 사 통 지 가 가 게 타 수업

었다. 상 식과 리 수업 사 통 지 가 낮게 타

사 통 심 수업과 가 거리가 었다. Fröhlich 등(1985)에 사

가지 언어 그램과 , 수업 어 몰

어 그램과 사 통 지 가 근 다7.

에 식 수업 어 강사가 어 수업 진 지만, 수업 내

용 언어 에 맞춰 진 었 에 심 어 슷 지

타내었다. 식 수업 경우 체 77 에 주 다루어진 내용

6 미 심 다 항 과 조합에 는 수업 내 언어 식 나 능보다는 어느

정도 내 에 심 고 루어졌는지 보여주는 지 다. 항 에 는 3

‘Language’ 과 ‘Form’ 나 ‘Function’ 내 과 결합 어 나타난 포함하여

계산하 다. 7 참고 들에 하 , 핵심 어(Core French)는 6, ESL 프 그램 7, 어

(Extended French)는 10, 어 몰 (French Immersion) 12 조사 었다.

Page 16: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병 민

214

개 언어 과 어 습 는 것 었다. 들 , ‘It’s a compass.’라는

과 ‘East, West, South, North’ 럼 타내는 단어, ‘What country is the

east of Korea?” 변 ‘What country is the north of the United States?’

등과 같 용 여 개별 가 고 답 는 태 수업

진 었다. 라 수업 내용 식 라는 에 시사 는 것 럼

민 계 여러 라 다룸 목

식 갖게 는 것 니라, 개 어 단어 심 지도 보

고 말 보고 주어진 는 게 고, 질 만들어

고 답 는 태 진 었다. 라 수업 진 거 원

어민 강사가 사용 어 에 수업에 사용 어는 진 개

단어 에 었고 그것 고 연습 는 태 체 수업 진

었다.

가지 미 운 사실 Fröhlich 등(1985)에 다 어 몰 사

통 지 가 12 타 는 , 도 지 보여주 가 사 통 지

가 수업 경우에도 ‘ 미 심’ 80% 상 거

‘ 재’ 용 는 에 20% 상 가 다. 근 언

어 에 식 시 다룰 것 고 지만, 그것 역식

귀 미 는 것 니다(Doughty, 2003). 어떻게 보 수업

상당 미 내용에 수업 었지만, 지 에 보여주는 것 럼

수업에 내용 미 강 거 다 역 강 가 다는

것 보여 다.

2. COLT Part B 분석을 통한 강사와 학생의 발화 상호작용 특성

1) 강사 통 수업내 상 용 특

강사가 생들과 주고 어느 도 실 사 통 특

고 는지 보 다. COLT Part B 통 수업내에

보 주고 가능 질 주고 는지, 보 청 는 상

진 몰라 보 청 고 는지 다. 다 그림 1과 그림

2는 강사 생들 주고 특 보여 다(COLT 에

보다 결과는 1 ). 개 다 수업에 타 강

사 보 수업마다 간 가 다.

Page 17: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COLT 통한 어마 수업 특 학생과 어 강사 상

215

그림 1 개 수업 Unpredicted/Predicted 강사 포 [단 %]

식 수업에 는 상 가능 보 고 답 는

가 많 에, 과 수업에 는 가능 보다

는 가능 지 실 가 많 다.

보 청 고 고 답 는 상 에 도 슷 결과 보여주었다.

들어, 과 수업에 는 상 진 미에 보 청 는

가 많 타났지만, 리 식 수업에 는

강사가 보 청 는 가 많 다. 리 수업 86.6% 그리고

식 수업 82%가 진 는 질 니라, 실 특징 답

는 가능 가식 답 청 는 질 많 다.

그림 2

개 수업 Pseudo/Genuine Request 강사 포 [단 %]

2) 생 에 강사

강사 생들 상 사 통 , 강사가 생들 내용에

Page 18: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병 민

216

어떻게 고 는지 사 보 다. 8 – 11 각 수업에 강사

가 생들 것 어떻게 고 는지 보여 다.

8 리 수업에 생 에 강사

reaction to

form/message incorporation of student utterance

form message correction repetition paraphrase comment expansion clarification

request

elaboration

request

34 118 17 72 0 61 11 13 11

152 185

22.4(%) 77.6(%) 9.2(%) 38.9(%) 0(%) 33(%) 5.9(%) 7(%) 5.9(%)

9 식에 생 에 강사

reaction to

form/message incorporation of student utterance

form message correction repetition paraphrase commentexpansion clarification

request

elaboration

request

45 77 14 32 0 78 4 2 0

122 130

36.9(%) 63.1(%) 10.8(%) 24.6(%) 0(%) 60(%) 3.1(%) 1.5(%) 0(%)

10 수업에 생 에 강사

reaction to

form/message incorporation of student utterance

form message correction repetition paraphrase comment expansion clarification

request

elaboration

request

31 206 4 46 37 96 18 40 19

237 260

13.1(%) 86.9(%) 1.5(%) 17.7(%) 14.2(%) 36.9(%) 6.9(%) 15.4(%) 7.3(%)

표 11

과학 수업에 학생의 발화에 대한 강사의 반응 분

reaction to

form/message incorporation of student utterance

form message correction repetition paraphrase comment expansion clarification

request

elaboration

request

51 210 15 62 17 91 28 33 22

261 268

19.5(%) 80.5(%) 5.6(%) 23.1(%) 6.3(%) 34.0(%) 10.4(%) 12.3(%) 8.2(%)

Page 19: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COLT 통한 어마 수업 특 학생과 어 강사 상

217

8과 9 보 , 리 식 수업에 는 강사가 생들

에 내용과 께, 상당 식에 맞 어 보

다(각각 22.4% 36.9%). 상 과 수업에 는 언어 식보다

는 수업에 다루어지는 내용에 어 강사가 생들 에

보 다. 80-86% 도가 생 내용에 었다.

편, 강사가 생 내용 극 상 용 수 는 만들

어갔는지 보 강사가 생들 어떻게 용 는지 살펴보 다.

리 식 수업 경우 강사는 주 생들 내용 심

고쳐주거 복 는 가 많 다. 상 과 수업에

는 생들 어 고쳐주거 복 도 었지만, 그것 수용

거 다 꾸어 는 경우가 었다. 거

(expansion), 미 청 거 (clarification request), 가 청

는(elaboration request) 경우는 들 수업에 각각 29.6% 30.9% 지 고 다.

에 리 식에 는 각각 18.8% 4.6% 지 다.

생들과 고 답 는 가 지 고 어 갔

는지 보 , 과 과 수업에 생들 내용에 미

다시 어보거 보다 상 게 어 보는 경우가 타났다.

그러 지 수업에 는 강사가 생들 에 극

시도 보 고 는 경우가 거 타 지 다. 다시 말 후

수업 강사가 생들과 실 사 통에 어 수 는 미 는

주고 는 시도가 었다. 것 수업에 타 는 상

에 과 , 체 강사 생들 사 에 미 는 상 용 사

통 게 어 지 다.

생들 어 수 지 에 생들 극

강사 주고 수 는 수 니었다. 들어, 원어민 강사가

극 시도 도 생들 미 지 못 거

신 수 없었 에 원어민 강사 리는

경우가 었다.

[ 1 ]

T: Why is she sad? She's sad because . . . What? That's ok..that's ok..Anything's ok.

Ss: . . .

T: ( 생들 없 ) She is sad because she has no friend. She is sad because she

has no boy friend.

Ss: . . .

T: ( 생들 없 ) Why? Why is she sad?

Ss: . . .

T: (계 생들 없다) She's sad because her dog died.

Page 20: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병 민

218

T: Why is she sad? Anyone? She's sad because she has no money? Or she's sad because

she...Oh..she lost what? She lost what?

에 보 강사는 여러 생들과 미 는 시도 지만

생들 답 지 못 고 다.

수업에 가 게 타 는 것 강사 트 , 는

강사들 생들 , “Good”, “Wonderful” “Fantastic” 등과 같

보 경우 , 생들 에 내용 미에

극 트 경우는 많지 다. 그것 생들 능동

많지 고 내용 지 어갈만 내용

니었 에 타 수 는 가 었다.

3) 생들 어 통 상 용 특

생들 에 여 내용과 맥락 COLT Part B

다. 생들 여 상 용 보 래 그림 3-그림 6과 같

다 (COLT 에 2 ).

그림 3 각 수업에 생들 Predicted/Unpredicted [단 %]

실 사 통 상 에 타 는 보 격 (information gap)에

사 통 보 , 개 수업에 런 특징 타 지

다. 강사 내용 결과 마 가지 생들 에 도 보

주고 거 청 는 경우에 상 가능 는 개 수업에 게

타났다. 수업에 상 가능 보 주고 경우는 86-94%

지 보 주고 가 실 사 통 상 과는 거

Page 21: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COLT 통한 어마 수업 특 학생과 어 강사 상

219

리가 는 다.

편, 생들 직 보 청 경우도 고 허 경우는 진

미에 보 청 것에 상 낮게 타났다. 개 수업

에 식 거 진 미 청 는 는 니었

다.

그림 4 각 수업에 생들 Pseudo/Genuine Request [단 %]

그림 5 각 수업에 생들 Ultra/Minimal/Sustained [단 %]

생들 실질 타내는 ‘ultraminial’과 ‘minimal’

그리고 ‘sustained’ 보 , 각 수업마다 생들 200 에 300

도 것 타 지만, 생들 는 매우 짧 다.

‘Ultraminimal’ 경우 단어 가리키는 , 런

Page 22: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병 민

220

단어 가 생들 체 에 70-80% 지 다.

‘Minimal’ 경우는 단어 상, (phrase), (clause)

(sentence), 는 강사가 답에 생들 강사가 말

그 라 말 경우 다. 개 수업에 런 ‘minimal’ 는 체

16-30% 지 다. 들어, 식 수업에 강사 생

보 , 래 2 과 같다.

[ 2 ]

T: What's the answer?

S: Japan

T: Japan is the east of Korea. What country is the west of Korea?

S: China.

T: Make a long sentence.

S: China is the west of Korea.

T: Good, wonderful, fantastic. China is the west of Korea.

여 ‘Japan is the east of Korea.’ 는 ‘China is the west of Korea.’같 들

식 수업에 복 연습 강사가

것 생들에게 청 경우 다. 생들

만들어낸 니 , 수업 시간에 연습 그 사용

단어만 꾸어 것 다. 런 단 ‘minimal’ 는

리 식 수업에 주 타 는 , 는 언어 식과 능에

고 강사가 식 도 거 어낸 경우 다. 라 생들

미에 고 (spontaneous) 경우는 단어 수

‘untraminimal’ 가 거 지 다. 3 그런

다.

[ 3 ]

T: How many people is a broadcasting talking to?

S: Many people

T: Yeah. How many people? How many people?

Ss: Many people.

T: What?

Ss: Many.

T: Many people. How many people?

Ss: Many people.

T: Many people. Very good. Excellent. Broadcasting is talking to many people. He’s

talking to many people. So this is a broadcasting. Very nice. How do we broadcast?

Page 23: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COLT 통한 어마 수업 특 학생과 어 강사 상

221

What do we use to broadcast?

수업 보 , 생과 원어민 강사 사 에 얼마 많

사람들에게 달 느냐라는 주 가지고 누고 지만, 생들

는 단어 지 는다. 연스러운 상 에 그 상 가진

는 거 타 지 다. 6 보 강사가 끄는 수업 동 하는

가운 , 학생들 다 과 같 말 주고 는다.

[ 6 ]

S1: No, No, one more. 에 에. OK. I am genius.

S2: You’re stupid.

에 단 가 타 는 , 마도 “I am genius.” “You’re

stupid.” 같 생들 미 단 사용 었

지, 개별 단어 것 닌 것 보 다.

체 수업에 생들 도 시 는 상 많지

다. 수업 강사가 주도 에 생들 에 강사가

라 거 게 거 수업에 운 용 여

도 질 에 답 는 것들 었다. 러 ‘discourse initiation’ 그림

6에 보여주는 것 럼 각 수업에 3 에 32 도 타났다. 도

는 상 특 과 수업에 32 타났는 생들 과 에 내용

동료 생들 에 는 상 에 타 것들 었다.

그림 6

각 수업에 생들 ‘discourse initiation’ 도수

생들 어 강사에게 말 걸어보는 경우에도 는

Page 24: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병 민

222

가는 것 는 경우가 많 다. 들어, 식 수업에 생들

강사에게 어 시도 경우, “teacher”라고 강사 주목

다 다 과 같 짧게 주고 는다.

[ 4 ]

S: Teacher, answer write?

T: Secrete answer. Don't tell anybody.

보 , 어 동 는 상 에 생들 드에 고

뒷 에 답 다. 런 상 에 생 강사에게 답 냐고

어보고 다. 에 강사는 답 에 다 사람에게 말

다고 답 고 다. 같 수업에 생 주도 가

게 시도 경우 보 , 지도 가지고 강사가 동 는 상

에 어느 생 강사에게 다 과 같 시도 고 다.

[ 5 ]

S: Teacher, Junho is my money steal and world message.

생 강사에게 에 는 가 엇 훔 고 다는 내용

말 고 것 같다. 상 수업 내용과 직 는 것

니 , 생들 리 수업 간에 는 과 에 런 상 생

것 다. 생 강사에게 리 삼 말 지만, 에

강사는 듣지 못 강사 생 사 에 런 가 상 용

도 어 지 다.

에 가지 공통 특징 생들 강사 주목

‘teacher’라는 사용 고 다. 우리말에 ‘ 생님, 가 마 쳐

.’라고 ‘ 생님’과 같 능 는 다. 실 ‘Excuse me, Mr.

____’ 같 사용 수 지만, 런 타 지 다. 마도

‘teacher’라는 우리 라 생들 사 지 리 사용

고 는 것 보 다.

3. 강사 및 학생의 영어 발화 시간 및 점유율

체 수업에 강사 생들 어느 도 에 여 고 각각 수업

여 들 시간 어느 도 지 는지 시간

계산 다. 개 수업 그림

과 같다.

Page 25: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COLT 통한 어마 수업 특 학생과 어 강사 상

223

그림 7 개별 수업 사 생 실 [단 %]

그림 7 보 , 각 수업별 원어민 강사가 체 시간

76.68% - 83.41% 지 고 어 원어민 강사가 시간

77% 는다. 수 는 다 연 들과 , 강사가

고 상 생들 낮다. Tsui(1995)에 , 생들

가 체 수업에 30% 타 다고 는 , 본 사에 는 생

들 가 평균 20% 도에 고 다. 우리 생들 사

심 수업에 숙 고 수업 시간에 극 여 지 는 특

에 상 가능 결과 는 지만, 원어민 주도 는 수업에 도 상보

다 낮 보여주고 다.

12 각 수업별 강사 생 체 시간

리 식 과

체 수업시간 80 77 92 86

강사 21 46 23 53 39 59 46 23

생 5 51 4 45 11 54 14 6

편, 12 보 , 개 수업에 생들 시간 6 에 14

도 것 다. 시간 개별 생들 체 시

간 니고, 체 생들 시간 시간 다. 라 개별

생 에 보 수업에 6 에 14 도 어 말 다고 보

어 다. 80 내지 90 루어지는 수업에 체 생들

시간 6 에 14 도에 그 고 어 , 실 개별 생

생각 보 개 시간 그 도도 지 가능 다. 결

Page 26: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병 민

224

수업 어떻게 직 느냐에 라 생들 수업 여 가 달

라지게 는 것 수 다.

어마 수업에 루어진 내용 , 가지 주목

들 다. 첫째, 생들 신들 리 동 거 강사가 시

는 수업 내용 동 지 못 경우 우리말 사용 여 에

게 거 , 그냥 어가거 , 다 생 는 동 보고 라 는 경

우가 많 다. 런 식 사 통 결 미

지 못 는 상 생 미 상과 같 경우는 게 타

지 다.

가 지 거 내용 지 경우 강사에게 거 다시

어보는 갖는 것 어습득 에 보 언어 습 언

어 체계 들어갈 수 는 계 가 다. 그러 생들 런 경우에 에

생에게 어 보거 고 마는 경우가 많 다. 결 원어민 강

사 통 어 상 게 공 었지만, 미

상 상 에 생들 우리말 사용 거 그냥 어감 어

고 습득 수 는 갖지 못 다.

째, 강사 생 수업 라는 공간에 주고 내용 실

사 통 상 에 생 가 는 , 실 특 상

많 타났다. 그런 에 강사 생 사 에 고간

질 어 습득에 도움 수 는 특징들 많 보여주지 못 다.

째, 생들과 강사 보 강사가 시간 생들

시간보다 게는 3 에 많게는 5 가 는다. 런 는 강사가 수업

주도 내용 달 수업 진 어

생들에게 공 는 태 수업 었 에 타 결과 다.

본 연 에 사 수업 시간 어마 체험 는 니다. 어

마 에는 많 원어민 강사들 상주 고 고, 생들 수업 시간 에도

상생 공간에 그들과 연스럽게 상 용 가능 다.

어마 공간에 어 사용 다는 건 에, 생들 어

사용 고 시도 , 어 사용 사 통 시도 는 과 에 심

리 담 다 동료 생들 느 수 는 타 감 에

루어지는 어 수업에 상 웠다. 어마 라는 공간

주는 런 연스러운 어 경 어 수업과는 가 다.

뷰에 생들 어마 체험에 다 과 같 말 다:

담 : 여러 들 리 어 ?

생1: .

담 : ? 진짜 어 ?

생 3: 에 쯤.

Page 27: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COLT 통한 어마 수업 특 학생과 어 강사 상

225

생2: 에 늦게 어 리 어 ...Hurry up! 러고 고...계 그

래 .

담 : 우리말만 는 것 같 ... , 우리 리 우리말만

것 같 ... 우리말 쓰 얼마 편 고 ..

생1: 숙 보 . 단어 달라 . 실에 열어라.

그러 , Bathroom, bathroom...Open, open, open 러고...

생1: 말 고 어 고 어 . 여 고 ..

생2: 식 도 막 어만 쓰 . 말도 는 어 ..

담 : 어 ?

생2: Oh, my god. (말도 는...)

생: 어 막 ... I go 실

생1: Ok you go. Next time

담 : 평 에 들 랑 어 ?

생1: 그 에는 그런 것 는 것보다 말 쓰는 것 편 는 ,

어 많 니 말 는 것보다 어 는 것 편

그런 것 .

담 : 원래 에는 그 게 거죠?

생1: 거 . 들 에 그러 ( 주, 어 사용 ) .

생2: 어 말 재수 없다고 그러고.

담 : 그럼, 여 는 어 도 ?

생1: , 여 는 어 는 규 니 . 그리고 여 는

어 말 다고 재수 없다고 그런 게 없 니 .

생2: 그리고 들 많 .

V. 결론 및 제언

산 어마 5 6 그램에 공 는 어 수업 생들에게 어

체험 공 는지 수업 내용 심 보 다. COLT 틀

용 여 개 수업 결과 보 , 어마 에 진 수

업 상 사 통 심 수업 과 거리가 었다. 강사들 규

생들과 어 사용 수업 진 지만, 생과 원어민 강사 사 에

어지는 상 용 지 못 다. 수업 에 강사 심 동

과 어 별 동 개별 동들 었지만, 어 주 강사

통 공 었고, 생들 수동 강사 말 듣거 동에 여 는

상 보여주었다. 어 수업 내용 달에 다보니, 생들

극 여 고 가 , 어 수업 언어

Page 28: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병 민

226

심 수업 루어짐 생들 미 는 사 통 갖지 못

경우도 었다.

어 에 보 어마 수업 럼 실 공간 만들어

고 틀에 짜 수업 진 는 것보다는 시간 많 보 생과

원어민 강사가 보다 실 상 에 고 상 용 수 도 다.

수업도 내용 달보다는 생들 내용 통 어 사용 수

도 많 여 는 식 가 다. 그러 개 수업

결과에 는 런 특징과는 거리가 었다.

본 연 는 가지 다. 첫째, 어마 에 진 는 수업만

에, 실 생들 5 6 동 수업 공간에 어 체험

지 다 수업에 어 어 체험 루어 는지

수 없었다. 료 수집 어마 립 에 루어

에 그동 루어진 그램 변 수는 없었다. 라 연

결과만 통 어마 과 미 평가 는 것 경계 가

다. 째, 본 연 에 강사 변수는 고 지 다. 어 원어민 강사라는 공

통 는 지만, 그들 같 경 가지고 는 것 니 같

언어 공 고 는 것도 니다. 라 사 그램 경

우 강사에 라 다 태 수업 루어질 가능 다. 째, 단

간에 루어지는 언어 체험 에 러 통 타 는 수업

내용 생들 어 습득에 어 미쳤는지 보 에는 다.

째, 어마 에 루어지는 5 6 라는 간 어 습득 라는

에 보 매우 다. 그러 짧 간에도 고 생들 어

습 동 에 여 수 는 도 다. 본 연 는 런

변 보여주지 못 계가 다.

어마 운 과 여 가지 언 다 과 같다. 첫째, 시 보

다는 수업에 생들 어 사용 수 도 보다 다 수 강

가 다. 수업 시간에 생들 실질 짧

단어 에 고 다. 강사는 생들과 개 집단별 보다 극

시도 가 다. 생 체 상 는 수업

강사가 직 생들 들어가 결 과 과 수 과 에

극 여 여 가 다.

째, 생들 어마 에 에 본 사 통 에

사 가 다. 니 생들 런 들 어마 내에

상시 지 수 도 가 다. 들어, ‘Excuse me.’ ‘May I ask

you a question?’ ‘I have a question.’ ‘Could you explain one more time?’ ‘I don’t

understand what you mean.’ ‘It’s not clear to me.’ ‘How can I say this in English?’등과 같

사 통 상 에 시 거 지 어가게 도 수

는 략 들 생들 숙지 고 가 다. 런 사

Page 29: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COLT 통한 어마 수업 특 학생과 어 강사 상

227

용 수 원어민 강사 여러 공간에 보다 극 상 용 가능

게 수 다.

마지막 어마 연 어마 체험 후에 어 는

태도 동 에 어 변 가 어 고 그것 어떻게 지 고 지 는지

변 동 변 에 연 보는 것도 다. 편, 생

들 수업 상 에 어 사용 도 에도 고 우리말 게

사용 다. 마도 생들 어 신에 우리말 사용 상 경 질

사 보 미 는 견 수 것 다. , 어 상 에

생들 우리말 사용 고, 어 상 에 어 사용 는가 는

다. 통 생들 어 보다 극 사용 수 는

갈 수 다. 는 개별 생

생들 특 뿐만 니라, 어마 라는 공간 주는 건도 고

가 다.

어마 우리 라에 시 고 어 체험 공간 다. 런 공간

생들에게 어 어 공 고 어떻게 그램 질과 내용

상시 갈 수 는지 보다 많 연 본다.

참고문헌

. (2007). 어 진 는 1 어 수업 실 담 상

용에 수업 연 . 사 . 울 , 울.

, 고 민. (2008). 등 과 몰 수업에 원어민 사 . 용언어 ,

24(1), 205-224.

병민. (2003). EFL 어 습 경에 습시간 미. 어 , 10(2),

107-129.

용 . (2007). 어마 실태 식 사 운 개 . 사 . 고

, 울.

Allen, P., Fröhlich, M., & Spada, N. (1984). The communicative orientation of second

language teaching: An observation scheme. In J, Handscombe, R. A. Orem & B. P.

Taylor (Eds.), On TESOL '83 (pp. 231-252). Washington, DC: TESOL.

Allen, P., Swain, M., Harley, B., & Cummins, J. (1990). Aspects of classroom treatment:

Toward a more comprehensive view of second language education. In B. Harley, P.

Allen, J. Cummins & M. Swain (Eds.), The development of second language

proficiency (pp. 57-81). Cambridge: Cambridge Univeristy Press.

Chaudron, C. (1988). Second language classrooms: Research on teaching and learnin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ughty, C. J. (2003). Instructed SLA: Constraints, compensation, and enhancement. In C.

Page 30: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병 민

228

J. Doughty & M. Long (Eds.), The handbook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pp.

256-310). Oxford: Blackwell.

Fazio, L., & Lyster, R. (1998). Immersion and submersion classrooms: A comparison of

instructional practices in language arts. Journal of Multilingual and Multicultural

Development, 19 (4), 303–317.

Fortune, T.M. (2001). Understanding immersion students’ oral language use as a mediator

of social interaction in the classroom. Unpublsi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Morris, MN.

Fröhlich, M., Spada, N., & Allen, P. (1985). Difference in the communicative orientation

of L2 classrooms. TESOL Quarterly, 19(1), 27-57.

Harley, B., Allen, P., Cummins, J., & Swain, M. (1990). The nature of language

proficiency. In B. Harley, P. Allen, J. Cummins & M. Swain (Eds.), The

development of second language proficiency (pp. 7-25).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Kim, Sung-Ae. (2002).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classes in the Korean context. English Teaching, 57(4), 315-346.

Kim, Sung-Yeon. (2002). Teachers’ perceptions about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English Teaching, 57(1), 131-148.

Kim, YoungSook. (2002). Teachers’ and stduents’ perception of English use in secondary

English classroom. English Teaching, 57(4), 131-156.

Larsen-Freeman, D. (1986). Techniques and principles in language teaching.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Lee, Jenny Hye-Won. (2002). The nature and quality of English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Korean primary school classroo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ampton, Southampton, NY.

Lee, Jiae. (2007). Corrective feedback and learner uptake in English immersion

classrooms at the primary level in Korea. English Teaching, 62(4), 311-333.

Lightbown, P. M., & Spada, N. (1990). Focus-on-form and corrective feedback in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Effects on second language learning.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12(4), 429-448.

Lightbown, P. M., & Spada, N. (1994). An innovative program for primary ESL students

in Quebec. TESOL Quarterly, 28(3), 563-579.

Lim, InJae. (2002). A study of four Korean third-grade EFL classroom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olumbia University, New York.

Loschky, L. (1994). Comprehensible input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What is the

relationship?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16, 303-323.

Lyster, R., & Ranta, L. (1997). Corrective feedback and learner uptake: Negotiation of

form in communicative classrooms.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19(1),

37-66.

Page 31: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COLT 통한 어마 수업 특 학생과 어 강사 상

229

Mackey, A., & Gass, S. M. (2005). Second language research: Methodology and design.

Mahwah, NJ: Lawrence Erlbaum.

Mckay, S. (2006). Researching second language classrooms. Mahwah, NJ: Lawrence

Erlbaum.

Musumeci, D. (1996). Teacher-learner negotiation in content-based instruction:

Communication at cross-purposes? Applied Linguistics, 17, 286-325.

Nunan, D. (1991).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A textbook for teachers. Hemel

Hempstead: Prentice Hall International.

Rao, Z. (2002), Chinese students’ perceptions of communicative and non-communicative

activities in EFL Classroom. System, 30, 85-105.

Robinson, P. (2003). Attention and memory during SLA. In C. J. Doughty & M. Long

(Eds.), The handbook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pp. 631-678). Oxford:

Blackwell.

Spada, N., & Frolich, M. (1995). COLT observation scheme: Communicative orientation

of language teaching coding conventions and applications. Sydney: National

Centre for English Language Teaching and Research at Macquarie University.

Spada, N., & Lightbown, P. M. (1993). Instruction and the development of questions in L2

classrooms.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15(2), 205-224.

Sung, In Ja. (2006). A comparison of class activities led by teachers in English

kindergarten: Korean children's attitud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McGill

University, Montreal, Canada.

Swain, M. (1995). Three functions of output in second language learning. In G. Cook & B.

Seidelhofer (Eds.) Principle and practice in applied linguistics: Studies in honor of

H.G. Widdowson (pp. 125-144).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Swain, M., & Lapkin, S. (1998). Interaction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Two adolescent

French immersion students working together. Modern Language Journal, 82,

320-337.

White, L., Spada, N., Lightbown, P. M., & Ranta, L. (1991). Input enhancement and L2

question formation. Applied Linguistics, 12(4), 416-432.

Page 32: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병 민

230

부록 1

리 수업에 강사 상 용

target language information gap sustained speech

L1 L2 giving information request info.

minimal sustained predicted unpredicted pseudo request genuine request

도수 0 478 67 46 187 29 213 50

도 계 478 113 216 263

% 0 100 59.3 40.7 86.6 13.4 81 19

식 수업에 강사 상 용

target language information gap sustained speech

L1 L2 giving information request info.

minimal sustained predicted unpredicted pseudo request genuine request

도수 0 461 81 3 213 46 187 77

도 게 461 84 259 264

% 0 100 96.4 3.6 82.2 17.8 70.8 29.2

수업에 강사 상 용

target language information gap sustained speech

L1 L2 giving information request info.

minimal sustained predicted unpredicted pseudo request genuine request

도수 0 9 208 74 71 220 134

도 계 598 217 145 354

% 0 100 4.1 95.9 51 49 62.1 37.9

과 수업에 강사 상 용

target language information gap sustained speech

L1 L2 giving information request info.

minimal sustained predicted unpredicted pseudo request genuine request

도수 0 513 3 136 65 50 239 100

도 계 513 139 115 339

% 0 100 2.2 97.8 56.5 43.5 70.5 29.5

Page 33: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COLT 통한 어마 수업 특 학생과 어 강사 상

231

부록 2

리 수업에 생들 상 용

discourse

initiation

target

language information gap sustained speech

L1 L2

giving information request info. ultra

minimal minimal

predict unpredict pseudo

request

genuine

request

도수 10 7 241 176 27 2 5 190 54

체 도 10 248 203 7 244

% 2.8 97.2 86.7 13.3 28.6 71.4 77.9 22.1

식 수업에 생들 상 용

discourse

initiation

target

language information gap sustained speech

L1 L2

giving information request info. ultra

minimal Minimal

Predict unpredict pseudo

request

genuine

request

도수 3 4 232 153 9 1 0 175 58

체 도 3 236 162 1 233

% 1.7 98.3 94.4 5.6 100 0 75.1 24.9

수업에 생들 상 용

discourse

initiation

target

language information gap sustained speech

L1 L2

giving information request info. ultra

minimal Minimal

predict unpredict pseudo

request

genuine

request

도수 4 17 213 121 41 2 2 148 63

체 도 4 230 162 4 211

% 7.4 92.6 74.7 25.3 50 50 70.1 29.9

과 수업에 생들 상 용

discours

e

initiatio

n

target

language information gap sustained speech

L1 L2

giving information request info. ultra

minimal minimal

sustaine

d predict unpredict pseudo

request

genuine

request

도수 32 23 309 115 120 2 8 253 50 5

체 도 32 332 235 10 308

% 6.9 93.1 48.9 51.1 20 80 82.1 16.2 1.6

Page 34: COLT를 통한 영어마을 수업 특성 및 학생과 영어journal.kate.or.kr/wp-content/uploads/2015/02/kate_64_2...한 연구과제이며, 교실 수업 관찰을 통해서 과정과

병 민

232

교육단계(applicable levels): 초등, 중등, 고등 주제어(key words): 영어마을, 의사소통중심 수업, 수업 분석, 상호작용, COLT 이병민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151-748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599 Tel:(02) 880-7677/H.P.: 017-239-0672 Fax: (02)880-7671 Email: [email protected] Received in March, 2009 Reviewed in April, 2009 Revised version received in May,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