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2014.01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공공기관...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2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와 도입 수준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공공기관...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2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와 도입 수준

2014.01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조직 창의성 보고서

Page 2: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공공기관...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2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와 도입 수준

목 차

Executives Summar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스마트워크의 개념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와 도입 수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공공기관의 근무 현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Work Diet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Mobility Innovation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5

Space Flexibilit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5

IT Infra 활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6

Creative Organization & Work Weight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7

공공기관에 대한 시사점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9

스마트워크를 도입을 위한 제언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0

조사 방법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2

참고문헌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3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본 문서는 한국생산성본부 컨버전스비즈니스센터가 제공하는 문서로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사전 동의 및 허락 없이 문서를 온라인 사이트 및 각종 출판물에 무단 게재, 전재하거나 유포할 수 없습니다

Page 3: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공공기관...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2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와 도입 수준

Executives Summary

조사 목적

조사 방법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 및 도입 수준

스마트워크 현황

조직 창의성과 WORK WEIGHT 현황

• 창조경제의 정부 3.0 시대에서 공공기관들은 공공데이터의 개방과 민간 사업화 지원, 관련 기관 및 민간과의 의사소통 및 협

업 능력 강화, 새로운 정보기술을 활용한 대국민 맞춤형 서비스 창출을 요구 받고 있음. 또한, 공공기관은 경영 효율화 요구

와 지방 이전으로 기관 효율성 강화와 지리적 제약을 극복할 새로운 경영 체계의 구축을 필요로 하고 있음.

• 본 보고서는 공공기관이 겪고 있는 주요 경영 이슈의 해결 도구로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의 현황

과 향후 변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음.

• 본 보고서는 KPC CreWISE 스마트 조직•문화 진단 모델을 토대로 2013 년 10 월 16 일부터 11 월 14 일 까지 108 개 공공

기관으로부터 수집한 표본을 활용해 작성됨.

• ‘스마트워크’는 스마트 기술의 활용과 관습 및 제도의 개선을 통해 업무 낭비요소를 제거하고, 똑똑하고 현명하게 일하는 역

량과 창조적 업무 공간을 확보하여 정부 3.0 실행을 위한 선도적 기관으로 변화하게 해주는 새로운 공공 생산성 향상 혁신

패러다임임.

• 공공기관들은 일반적 개념 수준에서 스마트워크를 이해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실행 방법에 대한 이해는 부족함. 또한, 절반

에 약간 못 미치는 공공기관들이 스마트워크를 도입했지만, 대부분 부분적 도입에 머무르고 있음.

• 임직원들의 시간관리능력이 부족하며, 결재•의사결정과 회의 효율성이 낮거나 업무단절이 발생하는 빈도가 잦음.

• 반면 Work Diet 를 위해 시행 중인 보고•회의•문서 간소화나 집중근무제는 기대했던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음.

• 업무공간 효율화와 관련된 기법 중 통합문서관리와 유연근무제의 도입율은 높으나 원격영상회의, 클라우드 프린팅, 스마트

워크센터는 도입율이 낮아, 관련 인프라의 확충과 활용율을 높이기 위한 변화관리가 필요함.

• 유연근무제의 활용 시 우려 사항은 직원관리, 결재 및 의사결정, 업무 지시 등으로 나타남.

• 임직원의 스마트 디바이스 활용 역량 향상과, BYOD(Bring Your Own Device)를 위한 공식적인 지원과 통제가 요구됨.

• 기관 목표/사업 성장을 위해 창의성이 중요하다는 응답이 72.5%인 반면, 산업 및 경쟁사와 비교한 기관의 창의적 성과가

높다는 응답은 11.8%에 불과해 조직 창의성을 기반으로 한 경쟁우위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반면, 창의적 문화, 창의성 발휘를 위한 자원 지원, 창의 성과 보상, 자율적 업무 권장 등 창의 환경 수준은 미흡함.

• 2013 년 공공기관 경영평가와 관련해 스마트워크 관련 지표의 비율이 적지 않으며, 창조경제 실행과 관련하여 2014 년에

는 비율이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공공기관들은 스마트워크가 창조경제 실행, 새로운 혁신활동, 지방이전에 유용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음.

Page 4: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공공기관...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2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와 도입 수준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1

스마트워크의 개념

스마트워크의 등장 배경과 정의

우리나라는 초고속인터넷과 같은 발달된 통신 인프라를 토대로

1990 년대 지속적으로 공공부문 정보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전세계적인 공공부문 정보화 리더로서 인정받고 있습

니다. 특히 정부는 2013 년 ‘정부 3.0’의 개념을 제시하여 적극

적인 스마트 모바일 기술의 활용과 공공정보의 개발 및 공유를

통해 창조경제를 지원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며 국민 맞춤형 서

비스 제공하는 것을 국정의 주요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1].

창조경제의 정부 3.0 시대에서 공공기관들은 공공데이터의 개

방과 민간 사업화 지원, 관련 기관 및 민간과의 의사소통 및 협

업 능력 강화, 모바일 기술 등의 새로운 정보기술을 활용한 대

국민 맞춤형 서비스 창출을 요구 받고 있습니다. 또한 공공기관

들은 효율성·책임성·투명성의 3 대 원칙에 따라 경영 효율화를

상시적으로 수행할 것을 요구 받고 있으며, 지방 이전 대상 공

공기관의 경우 지리적 문제로 인해 유관기관과의 협업 효율성

감소 및 직원들의 이·퇴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입니다.

공공기관들이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전략 수립 관점 및 일하

는 방식에 대한 패러다임 변화와 이를 지원할 스마트 정보기술

의 도입과 활용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공공부문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공공기관

들은 새로운 혁신 기법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스마트워크’는 스

마트 기술의 활용과 관습 및 제도의 개선을 통해 업무 낭비요소

를 제거하고, 똑똑하고 현명하게 일하는 역량과 창조적 업무 공

간을 확보하여 정부 3.0 실행을 위한 선도적 기관으로 변화하

게 해주는 새로운 공공 생산성 향상 혁신 패러다임입니다.

스마트워크에 대한 오해

스마트워크센터의 이용이나 유연근무제의 도입은 스마트워크

의 일부분에 불과합니다. 스마트워크는 불필요 업무 제거, 현장

중심 업무 수행, 업무 공간 개선, 조직 창의성 개발, 그리고 이의

실행을 위한 제도·ICT 인프라를 구축하여 창의적 성과를 창출하

고 생산성을 향상하는 통합적 혁신 체계입니다.

<그림 1> 스마트워크 추진 범위

스마트워크와 기존 혁신 활동의 차이

업무 자동화, 프로세스 최적화, 경영진의 지시를 중심으로 하는

기존의 혁신 기법들은 기계적이고 정형적이며 직원들의 수동적

참여로 인해 혁신 피로도가 높아지는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스마트워크는 임직원들이 능동적이고 역동적으로 개인의

창의성을 발휘하여 즐겁게 일할 수 있는 직장을 만드는 인간 중

심적 혁신 기법으로서, 임직원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기관 내외

부 및 국민들과의 상호협업을 통해 단순한 기관 업무 효율성의

수준을 넘어, 우리 기관의 비전을 달성하고 창조경제 실행을 위

한 창의적 경쟁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그림 2> 스마트워크와 기존 혁신 기법 비교

Page 5: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공공기관...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2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와 도입 수준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2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와 도입 수준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 수준과 관련하여 공공기관들은 민간기

업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이해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민간기업의 경우 81.8%가 스마트워크에 대해 일반적 수준 이

상의 이해를 하고 있는 반면, 공공기관의 경우 92.5%로 나타

나 민간기업에 비해 10% 가량 높은 수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스마트워크의 실제 실행을 위한 스마트워크의 구체적인

개념, 도입사례, 실행방법에 대한 이해도에 있어서는 공공기관

응답자의 20.1%, 민간기업 응답자의 34.4%가 이해하고 있다

고 응답하여, 공공기관의 이해도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

니다.

공공기관의 경우 ‘정부 3.0’의 실행과 2014 년부터 스마트 디바

이스 기반의 모바일 업무 환경의 구축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

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도를 개념적 수

준에서 실제 실행을 위한 심층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노력

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공공기관 스마트워크 도

입에 특화된 교육 및 컨설팅 프로그램의 활용이 필요합니다.

<그림 3>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 수준

3.3%

14.8%

47.4%

34.4%

1.9%

5.6%

72.4%

20.1%

0.0% 20.0% 40.0% 60.0% 80.0%

전혀 들은 적 없음

들어봤으나 잘 모름

일반적 수준에서

개념 이해

구체적 개념,

사례, 실행방법 이해

공공기관 관리자 민간기업 관리자

스마트워크의 실제 도입 수준과 관련하여 공공기관의 46.2%,

민간기업의 47.3%가 스마트워크를 전사적으로 또는 일부 도

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전사적 수준에서 스마트워

크를 도입한 공공기관은 4.3%인 반면, 민간기업은 12.3%로

나타나 공공기관이 민간기업에 비해 스마트워크의 개념에 대한

이해도는 높은 반면 실제 도입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

다. 그러나 도입을 준비중인 비율은 공공기관이 21.5%로 민간

기업(14.4%)보다 높게 나타났습니다.

공공기관의 전사적 스마트워크 도입 수준이 낮은 것은 스마트

워크의 핵심 요소인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업무의 수행이

보안 문제로 인해 제약을 받아왔고, 공공기관들이 특정 지역(서

울 및 대전)에 집중되어 있어 협업이 비교적 원활하게 수행되어

전사적 스마트워크 도입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높지 않았던 것

에 원인이 있습니다.

그러나 2013 년부터 공공기관 스마트 디바이스 활용을 위한

‘국가·공공기관 업무용 스마트폰 보안규격’을 충족시키는 보안

솔루션이 속속 출시되고, 공공기관의 실제 적용사례들이 확보

되면서 공공기관 모바일 오피스 구축을 통한 스마트워크 도입

기반이 마련된 상황입니다[2]. 또한 공공기관 지방이전과 관련

하여 스마트워크 센터, 원격협업, 유연근무제에 대한 니즈가 높

아지고 있고[3-5], ‘정부 3.0’의 추진과제에도 스마트워크가 포

함되어 있어 2014 년을 기점으로 공공기관의 전사적 스마트워

크 도입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림 4> 스마트워크 도입 수준

38.4%

14.4%

34.9%

12.3%

32.3%

21.5%

41.9%

4.3%

0.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도입 안함

도입 예정

일부 도입

전사적 도입

공공기관 관리자 민간기업 관리자

공공기관의 근무 현황

근무시간

근무 시간은 선진국 판단의 중요 기준인 일-삶의 균형(Work-

Life Balance)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OECD 의 2013 년

도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직장인들의 연간 근무시간은

2,090 시간으로 OECD 평균 근무시간인 1,776 시간에 비해

314 시간을 더 근무하고 있으며, 일-삶의 균형은 전체 36 개 조

사 대상 국가 중 33 위에 랭크되어 있습니다[6]. 과도한 근무시

간은 기관 입장에서 수당 및 업무 공간의 운영과 관련된 비용을

증가시키고, 임직원 개인의 건강, 안전, 스트레스와 관련된 문

제점들을 유발합니다. 또한 정부에서 중점적으로 추진중인 고

용 및 출산율 증대에도 부정적 영향을 끼칩니다.

공공기관과 민간기업 근무자의 평균 근무시간은 평균 9.3 시간

으로 동일하며, 이는 최근 잡코리아의 조사 결과(9 시간 26 분)

와 거의 동일한 결과입니다[7]. 공공기관은 8 시간을 근무한다

는 응답(35.8%)이 가장 높은 반면, 민간기업은 10 시간을 근

무한다는 응답(31.4%)이 가장 높습니다. 또한 공공기관과 민

간기업 모두 하루 평균 10 시간을 근무한다는 응답이 44.6%

로 동일하게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직장인의 평균 출퇴

근 시간이 약 2 시간 정도라는 점을 고려할 때[8], 절반 가까운

공공기관 직원들이 하루 12 시간 정도를 직장 생활을 위해 사용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전반적으로 공공기관 근무자

Page 6: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공공기관...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2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와 도입 수준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3

들은 민간기업과 마찬가지로 장시간 근무에 시달리고 있으며,

근무시간을 감소하여 일과 삶의 균형을 찾을 필요가 있습니다.

<그림 5> 평균 근무 시간

29.6%

25.7%

31.4%

4.8%

8.4%

35.8%

19.6%

32.4%

3.4%

8.8%

0.0% 10.0% 20.0% 30.0% 40.0%

8시간

9시간

10시간

11시간

12시간 이상

공공 민간

근무 시간의 감소를 위해서는 만성적 잔업 및 불필요 업무를 유

발시키는 조직관습을 제거하고 결재/보고 과정에서의 대기 시

간을 최소화 시켜줄 수 있는 업무 모빌리티의 확보가 필요합니

다. 또한 하던 일을 더 열심히 하는 것에서 벗어나 더 현명하게

일할 수 있는 역량의 개발이 필요합니다.

근무 시간 중 업무 유형별 소요 시간과 관련하여 문서작성

(30.0%)과 검토/의사결정(21.9%)에 투입하는 시간이 전체

근무 시간의 51.9%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보검색/수집(20.4%), 회의(14.0%), 보고(13.8%)에도 상

당한 시간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업무 관습

전반에 대한 진단과 개선을 통해 기관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가 존재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림 6> 업무 유형별 수행 비율

13.8%

14.0%

20.4%

21.9%

30.0%

0.0% 5.0% 10.0% 15.0% 20.0% 25.0% 30.0% 35.0%

보고

회의

정보검색/수집

검토/의사결정

문서작성

Work Diet

스마트워크는 불필요한 업무와 관습을 제거하여 공공기관의 핵

심 목적에 집중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시간을 확

보하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기관 내 비효율적인

업무 관습과 저부가가치 업무를 제거하는 Work Diet 가 필수

적입니다. 비효율적인 개인 업무 시간 관리, 회의 진행, 결재/의

사결정, 갑작스런 호출/회의 등은 업무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주

요 요인들입니다. 따라서 공공기관들은 이러한 요인들의 현황

을 파악하고 개선을 위한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시간관리 역량

스마트워크가 자리잡은 기업에서는 임직원 개개인이 자신의 시

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스스로 불필요 업무를 제거하고 남

은 시간을 창의적인 업무에 투자함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창출

합니다. 따라서 개인의 시간관리 역량은 스마트워크를 위한 첫

발걸음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임직원들이 스스로의 시간

을 잘 관리하는지 조사한 결과, 잘 관리한다는 응답은 19.8%

인 반면,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27.4%로 시간 관리 역량이 부

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업무 전문성의 강화와 함께

개인 일정 및 협업 일정 관리 능력의 배양을 통해 시간 관리 능

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그림 7> 임직원들이 시간 관리를 잘 하는 수준

5.7%

21.7%

52.8%

17.0%

2.8%

0.0%

10.0%

20.0%

30.0%

40.0%

50.0%

60.0%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회의 운영 역량

회의는 조직 내 의사소통과 협업을 의하여 꼭 필요하지만 효율

적으로 운영되지 않을 경우 회의 참석자들의 업무 시간을 빼앗

고 업무 효율성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임직원들

의 회의 운영 효율성에 대해 조사한 결과 잘 운영하는 경우는

19.8%인 반면 그렇지 않다는 응답은 32.1%로, 회의 운영 관

습에 대한 개선이 꼭 필요한 상황입니다.

<그림 8> 회의 운영을 잘 하는 수준

5.7%

26.4%

48.1%

16.0%

3.8%

0.0%

10.0%

20.0%

30.0%

40.0%

50.0%

60.0%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Page 7: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공공기관...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2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와 도입 수준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4

회의 관습의 개선을 위해서는 회의 준비, 진행, 정리 단계에 대

해 운영 지침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스마트

정보기술을 제공해야 합니다.

<표 1> 회의 운영 단계별 스마트 정보기술 활용

단계 스마트 정보기술

준비 • 공유 스케줄링 시스템: 회의 일정 수립, 준비사항 공지, 회

의실 예약, 예) 구글 캘린더

• 클라우드 저장소: 회의 자료 사전 공유, 예) 구글 드라이브

진행 • 페이퍼리스 회의 시스템: 회의 참석자들이 보유한 테블릿

상에서 동일 자료/화면 공유, 공동 노트 작성, 예) 위노트

• 회의 생산성 계산기: 회의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 계산

• 원격회의 시스템: 원격에서의 회의 참석 지원

정리 • 그룹웨어: 회의록의 저장 및 공유

업무단절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서는 외부 자극으로 인해 업무에 대

한 집중이 방해 받는 업무단절(Work Interruption)을 최소화

해야 합니다. 업무단절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Gloria Mark

에 의하면 직장인들이 업무단절을 경험한 후 업무집중도가 원

래 상태로 회복되기까지 평균 25 분이 소요되며[9], 협업 관련

전문 컨설팅펌인 Basex 는 업무단절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이

전체 임금의 28%에 달한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하기도 하였습

니다[10].

업무 중 발생하는 갑작스런 호출이나 회의는 업무단절을 유발

시키는 주요 원인이라는 점에서 최소화될 필요가 있습니다. 그

러나 공공기관의 42.4%는 자신의 기관에서 갑작스런 호출이

나 회의가 자주 발생한다고 응답하여 업무단절을 유발시키는

업무관습이 폭넓게 퍼져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집중근

무시간제 등의 제도적 장치와 함께 각종 스마트 디바이스 및 업

무용 정보시스템으로부터의 불필요한 알람을 최소화하는 방향

으로 운영 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림 9> 갑작스런 호출 및 회의

2.8%

54.7%

39.6%

2.8%

0.0%

10.0%

20.0%

30.0%

40.0%

50.0%

60.0%

전혀 없음 가끔 발생 자주 발생 매우 자주 발생

결재/의사결정

결재/의사결정 시간은 기관 내부적으로는 사업 일정 준수, 외부

적으로는 고객 및 유관기관의 요구에 대한 신속한 대응과 밀접

한 관련이 있어 공공기관들은 결재와 의사결정에 소요되는 시

간을 줄이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효율적

인 결재/의사결정 시간에 대해 일괄적인 기준을 적용하기는 어

렵지만 스마트워크를 성공적으로 도입한 기업에서는 일반적인

결재/의사결정 사항의 경우 12 시간 이내에 처리되는 것이 일

반적입니다[11-14].

공공기관에 대한 조사 결과 일반적인 결재/의사결정에 1 일 이

상 소요되는 기관이 17.0%로 나타나 결재/의사결정 방법의 개

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수치는 향후 현장중심

경영이 확대되면서 더욱 높아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모

바일 결재 도입 및 의사결정 권한 위임의 확대 등을 통해 불필

요한 결재 대기 시간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그림 10> 일반적인 결재/의사결정 처리 소요시간

11.3%

29.2%

23.6%

18.9% 17.0%

0.0%

5.0%

10.0%

15.0%

20.0%

25.0%

30.0%

35.0%

대부분

즉시 처리

2시간 이하 4시간 이하 8시간 이하 1일 이상

WORK DIET 를 위한 노력과 성과

공공기관들은 82.4%가 보고·회의·문서 간소화를, 45.4%가

집중근무제를 시행하는 등 Work Diet 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

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들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는

응답은 각각 10.6%, 10.7%로 저조한 반면, 기대에 못 미친다

는 응답은 40.2%와 44.7%로 나타나 제도 도입으로 인한 성

과를 체감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제도 자체의 문제라기 보다 이들 제도가 기관의 일상적인

업무 관습으로서 자리잡고 있지 못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체

계적인 변화관리 활동의 수행을 통해 Work Diet 관련 제도들

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Page 8: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공공기관...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2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와 도입 수준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5

<그림 11> Work Diet 기법 도입율

82.4%

45.4%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보고/회의/문서 간소화 집중근무제

<그림 12> Work Diet 기법 활용율

17.0%

16.1%

27.7%

24.1%

44.7%

47.1%

6.4%

11.5%

4.3%

1.1%

0.0% 20.0% 40.0% 60.0% 80.0% 100.0%

집중근무제

보고/회의/문서 간소화

전혀 기대에 못미침 기대에 못미침 보통

널리 활용됨 매우 널리 활용됨

Mobility Innovation

현장중심 업무

대민 밀착형 서비스의 제공이 중요시되는 최근 정책 방향에 따

라 공공기관 서비스에 대한 수요의 파악과 서비스 제공 과정에

서 현장중심 업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공공기관 응

답자 중 사무실 외의 장소에서 근무하는 시간이 20% 이상이라

고 응답한 비율은 31.3%로 현장중심 업무 수행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현장중심 업

무는 기관 내부 업무(결재, 보고, 회의 등)의 지연을 발생시키기

도 합니다.

<그림 13> 사무실 외 장소 근무시간

68.7%

22.9%

8.4%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0~20% 21~40% 41% 이상

공공기관의 임직원들이 효율적으로 현장중심의 업무를 수행하

기 위해서는 사무실 외의 장소에서도 끊김 없이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모바일 업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과 함께 제도적인

측면에서 현장출퇴근제의 시행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지금까지

보안상의 문제로 인하여 모바일 업무 시스템의 구축에 많은 제

약을 받아왔던 것이 현실이며, 내부 관습 문제로 현장출퇴근제

의 활용을 꺼리는 경우도 많습니다.

최근 공공기관의 업무 모바일화와 관련된 보안 이슈가 상당부

분 해결된 점을 고려할 때, 현장중심 모바일 업무 체계의 구축

을 위한 준비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특히, 이는 기획 업무뿐만

아니라 국민과의 접점에서 근무하는 부서들의 현장중심 업무

역량 향상을 위해서도 꼭 필요합니다.

Space Flexibility

Space Flexibility 는 물리적인 업무 공간의 개선뿐만 아니라 정

보기술을 활용하여 기관의 임직원들이 서로 떨어져 있는 환경

에서도 의사소통과 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고, 사무실에 가득

한 각종 서류들을 제거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Space Flexibility 를 위한 대표

적인 기법으로는 통합문서관리, 유연근무제, 원격영상회의, 클

라우드 프린팅, 원격근무센터 등이 있습니다.

이들 기법에 대한 도입율은 통합문서관리와 유연근무제가 높은

반면, 원격영상회의, 클라우드 프린팅, 스마워크센터는 낮게 나

타났습니다. 통합문서관리 체계의 경우 기존부터 행정문서의

교환과 결재를 위하여 널리 구축이 이루어졌고, 유연근무제 역

시 공공기관 경영평가 기준으로 포함되어 있어 도입율이 높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나, 이들 기법들은 스마트워크라는 하

나의 체계 속에서 도입되었다기 보다 개별적으로 도입되어 활

용되어온 경향이 강하며, 향후 통합된 활용 체계(예: 유연근무

제 활용을 위해 문서관리 시스템의 모바일화 추진)의 구축을 통

해 성과 창출의 시너지를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그림 14> Space Flexibility 기업 도입율

30.6%

34.3%

42.6%

70.4%

75.9%

0.0% 20.0% 40.0% 60.0% 80.0%

스마트워크센터

클라우드 프린팅

원격영상회의

유연근무제

통합문서관리

12.6%

%%

10.7%

%%

Page 9: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공공기관...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2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와 도입 수준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6

Space Flexibility 기법의 활용률은 통합문서관리, 유연근무제,

원격영상회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클라우드 프린

팅과 스마트워크센터의 활용률은 낮게 나타났습니다.

<그림 15> Space Flexibility 기법 활용율

6.5%

8.6%

18.2%

14.86%

11.25%

45.2%

34.3%

34.1%

21.62%

23.75%

38.7%

40.0%

18.2%

32.43%

36.25%

6.5%

11.4%

20.5%

25.68%

23.75%

3.2%

5.7%

9.1%

5.41%

5.00%

0.0% 20.0% 40.0% 60.0% 80.0% 100.0%

스마트워크센터

클라우드 프린팅

원격영상회의

유연근무제

통합문서관리

전혀 기대에 못미침 기대에 못미침 보통

널리 활용됨 매우 널리 활용됨

원격영상회의의 경우 도입율은 42.6%로 절반 이하가 도입하

였지만 활용률은 두 번째로 높아 향후 Space Flexibility 를 확

보하기 위한 핵심 기법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세계적

인 전략 컨설팅펌인 McKinsey 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도

다양한 소셜 기술 중 원격영상회의의 활용율이 61.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15], 특히 공공기관 지방이전이 추진되고 있

는 상황에서 원격영상회의의 유용성은 더욱 높아질 것입니다.

클라우드 프린팅은 기존의 프린터들을 제거하고 여러 대의 컴

퓨터가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의 프린터를 사용하는 클

라우드 기반의 공용 프린터로 교체하는 기법입니다. 클라우드

프린팅을 도입한 조직들은 프린터 대수가 줄어들어 여유 공간

이 생기고 공용으로 프린터를 사용함으로 프린터 출력량이 줄

어드는 효과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공공기관의 경우 클

라우드 프린팅의 도입율과 활용율이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

습니다. 이는 초기 도입 비용의 문제와 회의와 보고 시 종이로

출력한 문서를 활용하는 경향이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공공기

관은 클라우드 프린팅의 도입을 단순한 프린터 교체 사업으로

볼 것이 아니라, 기업의 회의와 보고 관습을 개선하고 운용 비

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회로 인식하고 클라우드 프린팅 도입을

추진할 필요가 있습니다.

스마트워크센터 또한 도입율과 활용율이 모두 낮은 것으로 나

타났습니다. 이는 그 동안 구축된 14 개의 정부 스마트워크 센

터 중 출장자들의 활용에 초점을 맞춘 스마트워크센터는 4 개

(서울청사, 서울역, 세종청사, 과천청사)에 불과하고 운영 기간

이 1 년이 채 안되어[16], 스마트워크센터 활용에 대한 인식이

충분히 퍼지지 않았고 활용 목적과 인프라 수에 있어 공공기관

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향후 출장형

스마트워크 센터가 지방이전 공공기관에서 출장이 잦은 임직원

들을 중심으로 스마트워크센터의 활용률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

됩니다.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의 핵심 추진 사항인 유연근무제의 활용과

관련해, 본 보고서의 결과(도입률 70.4%)는 기획재정부가

2013 년도 1/4 분기 조사한 수치(도입률 70.1%)와 거의 동일

합니다[17]. 유연근무제 활용 시 임원 및 관리자들이 우려하는

문제점으로는 직원 관리, 결재 및 의사결정, 업무 지시에 대한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유연근무제 시

행 시 직원들의 근로감독과 업무 지시 및 결재와 관련된 모바일

업무 시스템을 구축하고 업무 프로세스를 이에 맞게 재설계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림 16> 유연근무제로 인한 문제점에 대한 인식

17.6%

19.4%

27.8%

29.6%

43.5%

50.0%

59.3%

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직원 성과 평가 애로

관리자의 심리적 불안감

직원 업무 효율성 저하

직원 간 협업 저하

업무 지시 애로

결재 및 의사결정 애로

직원 관리에 문제 발생

IT Infra 활용

2014 년부터 공공기관도 스마트 디바이스의 활용을 위한 IT

Infra 의 구축이 본격화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공공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스마트 디바이스 활용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스마트 디바이스를 업무에 능숙하게 활용한다는 응답은 보통

이상이라는 응답이 50.0%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지만, 활용 역

량이 보통 이하라는 응답도 절반에 달했습니다. 스마트워크의

수행을 위해서는 일부 직원이 아니라 전 직원들이 스마트 디바

이스를 활용하여 의사소통과 협업을 하고 외부에서 업무 처리

와 결재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향후 공공

기관이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스마트워크를 원활하게 수

행하기 위해서는 업무 시스템에 맞춤화된 스마트 디바이스 활

용 매뉴얼과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이 필요합니다.

28.8%

%%

31.1%

%%

29.5%

17.1%

%%

9.7%

%%

Page 10: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공공기관...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2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와 도입 수준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7

<그림 17> 스마트 디바이스의 업무 활용 능숙도

3.4%

11.4%

35.2%

41.6%

8.4%

0.0%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45.0%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개인이 보유한 스마트 기기를 업무에 활용하는 BYOD(Bring

Your Own Device) 정책과 관련하여 BYOD 에 대해 기관의

공식적인 지원과 통제가 이루어진다는 응답은 15.5%에 불과

하며, 54.6%는 허용하지만 공식적인 지원과 통제를 지원하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29.9%는 BYOD 를 허용하고 있지 않습

니다. 이러한 결과는 38.8%가 공식적인 허용과 지원을 하는

민간기업과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공공기관의 경우

BYOD 의 체계적 지원을 위한 기존 사례가 부족하고 보안 규제

요건이 까다롭다는 것에 그 원인이 있습니다.

<그림 18> BYOD 정책 수준

17.0%

44.2%

38.8%

29.9%

54.6%

15.5%

0.0% 10.0% 20.0% 30.0% 40.0% 50.0% 60.0%

허용 안함

허용/지원 및

통제 없음

허용/지원 및

통제 존재

공공기관 민간기업

BYOD 는 스마트 업무 수행을 위한 기회를 제공해주는 반면, 보

안 유출과 같은 심각한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기관 차

원에서 BYOD 정책을 수립하고 지원을 제공해야 합니다. 민간

대기업의 경우 BYOD 실행에 필요한 자원이 풍부하여 빠른 기

간 내에 정책 및 지원 체계의 수립이 가능하지만, 공공기관의

경우 자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보안과 관련된 요구 수준이

높으므로 BYOD 도입을 위한 보다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합니

다. 공공기관의 경우 2014 년부터 내부 업무 시스템과 연동된

스마트 디바이스 활용이 활성화 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사전에

도입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습니다.

스마트 기기의 업무 활용 금지는 공공기관과 민간기업 모두에

서 폭넓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조직들은 보안에 대

한 우려로 인해 스마트 기기의 사용을 금지하는 경우가 많습니

다. 그러나 스마트 기기의 사용을 무조건 금지시킬 경우 스마트

기기의 활용으로 얻을 수 있는 생산성 향상의 기회를 놓치는 부

작용을 낳기도 합니다.

공공기관은 업종의 특성과 부서별 업무 특성을 고려하여 스마

트 기기 사용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적절한 통제 기술 및 제도

지원 하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도록 할 필요가 있습니다. 특

히 현장 서비스나 영업과 같이 민간 기업에서 스마트 기기의 활

용 성과가 입증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점진적으로 스마트 기기

의 활용을 넓혀 나가는 것도 좋은 접근법이 될 수 있습니다.

BYOD 로 인한 업무 관련 통신비의 지원과 관련하여 월정액 지

원에 대한 선호도가 48.5%로 가장 높으며. 업무관련 전화-데

이터 사용액에 대한 요구도 39.2%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월정

액 지원의 경우 평균적으로 월별 약 53,000 원의 지원금을 희

망하고 있습니다.

<그림 19> BYOD 로 인한 통신비 지원 정책 선호도

12.4%

48.5%

39.2%

0.0%

10.0%

20.0%

30.0%

40.0%

50.0%

60.0%

지원 불필요 월정액 지원 업무관련 사용액

Creative Organization & Work Weight

CREATIVE ORGANIZATION 과 WORK WEIGHT 의 개념

조직 환경에서 창의성은 어떠한 분야에 대해 새롭고 유용한 아

이디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조직들은 창의적인 아이

디어들의 성공적인 실행을 통해 혁신을 이룰 수 있습니다. 따라

서 조직 창의성은 조직의 혁신을 위한 핵심 원천이라 할 수 있

습니다[18]. Creative Organization 은 다양한 창의성 향상 도

구와 집단 창의성 개발 프로그램을 통해 조직 창의성을 개발하

는 활동을 의미합니다.

또한 Work Weight 는 Work Diet, Mobility Innovation,

Space Flexibility 를 통해 확보한 여유 시간과 모바일 및 공간

인프라를 창의적으로 활용하여 조직 전체의 스마트 역량을 향

상시킴으로써 고부가가치 업무에 집중하고 새로운 제품과 서비

스를 개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age 11: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공공기관...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2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와 도입 수준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8

공공기관의 조직 창의성에 대한 인식

공공기관의 경우 조직 창의성이 기관의 목표 달성 또는 사업 성

장을 위해 중요하다는 응답이 72.5%로 나타나, 공공기관의 전

략 달성과 성장을 위해서는 조직 창의성을 개발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림 20> 기관 목표/사업 성장을 위한 창의성의 중요성

2.9% 6.9%

17.6%

48.0%

24.5%

0.0%

10.0%

20.0%

30.0%

40.0%

50.0%

60.0%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조직 창의성과 관련된 기관 내 환경과 관련하여 창의문화를 권

장한다는 응답이 29.4%, 창의적 업무 수행을 위한 자원(시간,

예산 등)을 지원한다는 응답이 15.7%, 창의적 성과에 대한 보

상이 충분하다는 응답이 26.2%, 자율적 업무를 권장한다는 응

답이 27.5%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창의문화를 제외한 모든 조

사항목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보다 부정적인 인식이 더 높게 나

타났습니다.

이는 창의성을 권장하는 문화가 충분히 조성되어 있지 않으며,

실질적인 지원 역시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공공

기관들은 창의적 업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일 필

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스마트워크와 같은 구체적인 실행

프로그램의 도입을 통해 창의적 조직으로의 전환을 추진할 필

요가 있습니다.

<그림 21> 창의성을 위한 조직 환경

8.8%

6.2%

9.8%

5.9%

26.5%

23.4%

28.4%

21.6%

37.3%

44.1%

46.1%

43.1%

24.5%

23.4%

12.7%

26.5%

2.9%

2.8%

2.9%

2.9%

0.0% 20.0% 40.0% 60.0% 80.0% 100.0%

업무 자율성

보상

자원 지원

창의문화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창의성에 기반한 WORK WEIGHT 성과

공공기관에서 산업 내부 또는 유사 기관과 비교할 때 신제품·서

비스나 프로세스개선과 같은 창의적 성과물을 산출하는 수준에

대해 조사한 결과, 매우 많이 산출되는 경우는 2%, 많이 산출

되는 경우는 11.8%에 불과했습니다. 반면 상대적으로 적다는

응답은 40.2%에 달해 공공기관의 창의적 성과 향상을 위한 노

력이 필요합니다.

<그림 22> 창의적 성과물의 산출 수준

15.7%

24.5%

46.1%

11.8%

2.0%

0.0%

10.0%

20.0%

30.0%

40.0%

50.0%

매우 적게

산출

적게 산출 보통 많이 산출 매우 많이

산출

조직 차원의 창의적 환경 조성은 창의적 성과물의 산출과 밀접

한 관계가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공공기관의 창의적 환경

(창의적 문화, 자원 지원, 보상, 자율적 업무 권장)과 창의적 성

과물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하였습니다. 상관관계 분석은

두 요인 중 어느 한쪽이 증가(감소)할 때 다른 한쪽도 증가(감소)

하는 경향이 얼마나 강한지 분석하는 통계 기법입니다. 상관관

계는 -1 ~ +1 의 수치를 가지는데, 일반적으로 상관관계의 수

치가 0.6~0.8 인 경우 두 요인간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해석합니다[19]. 참고로 기존 연구들에서 ERP 와 Six Sigma 와

같은 혁신 기법과 기업 성과와의 상관관계는 0.15~0.50 정도

의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20, 21].

분석결과는 창의적 환경이 창의적 성과물과 최대 0.73 의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공공기관들은

스마트워크의 도입을 통해 창의적 환경을 강화함으로써 창의적

성과물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표 2> 창의적 환경과 창의적 성과물간의 상관관계

환경 상관관계 해석

창의적 문화 0.67 0.0~0.1: 거의 관계없음

0.1~0.2: 약한 상관관계

0.2~0.4: 보통의 상관관계

0.4~0.6: 비교적 강한 상관관계

0.6~0.8: 강한 상관관계

0.8~1.0: 매우 강한 상관관계

자원 지원 0.73

보상 0.69

자율적 업무 권장 0.63

29.4%

%%

15.7%

%%

26.2%

%%

27.5%

%%

Page 12: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공공기관...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2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와 도입 수준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9

공공기관 전략 달성과 이슈 해결을 위한 WORK WEIGHT

2013 년도 공공기관 경영평가와 관련하여 스마트워크 관련 지

표(원격근무센터, 유연/재택근무제, 모바일 오피스, 일-가정 균

형, 협업 강화 등)의 비중은 100 점 만점 기준으로 1-5 점이라

는 의견이 31.0%였으며, 6 점 이상의 비중을 가진 기관도

18.0%에 달해, 스마트워크의 실행이 공공기관의 경영평가에

상당부분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림 23> 공공기관 경영평가 시 스마트워크 관련 지표 비율

51.0%

31.0%

15.0%

3.0%

0.0%

10.0%

20.0%

30.0%

40.0%

50.0%

60.0%

포함 안됨 1-5점 6-10점 11점 이상

공공기관의 주요 전략이자 이슈인 창조경제 실행, 혁신활동 수

행, 지방이전과 관련하여 46.0%는 창조경제의 실행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45.0%는 새로운 혁신활동으로 적합한 것으로,

72.2%가 지방이전 기관에 유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2014 년도 공공기관 경영평가에는 창조경제 구현, 안전·건강,

국민편의, 문화융성을 위한 공공기관간 협업이 강조되고, 선진

국 우수 사례와의 비교 평가와 서비스 개선에 대한 평가가 강화

될 예정입니다[22]. 이러한 상황에서, 글로벌 수준의 창의적 서

비스 개발, 기존 서비스의 국민 지향적 개선, 기관간 협업 능력

강화를 위해 공공부문의 스마트워크의 도입 필요성은 더욱 커

질 것입니다.

<그림 24> 공공기관 이슈 해결책으로서 스마트워크 적합성

2.8%

4.0%

4.0%

18.0%

17.0%

25.0%

33.0%

33.0%

50.0%

37.0%

37.0%

22.2%

8.0%

9.0%

0.0% 20.0% 40.0% 60.0% 80.0% 100.0%

지방이전

새로운

혁신활동

창조경제

실행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공공기관에 대한 시사점

우리는 스마트하게 일하고 있습니까?

스마트한 조직이 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업무와 관습을 제거

하고 고객 및 이해관계자들에게 높은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업

무와 새로운 서비스의 개발에 노력을 집중해야 합니다. 그러나

조사 결과 공공기관은 시간 관리 및 회의 운영 수준이 높지 않

고, 업무단절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결재/의사결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근무시간은 길고 현장 중

심의 업무 수행은 부족한 상황입니다. 따라서 그 동안 공공기관

들이 지속적인 업무 개선 노력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스마트

하게 업무를 수행하는 역량은 부족한 상황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공공기관들의 스마트 업무 수행 역량이 높지 않은 이유는 그 동

안 추진했던 BPR, PI 와 같은 혁신 기법들이 프로세스의 정형화

와 표준화에 초점을 맞춰왔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기법들은 임

직원들의 능동적인 참여가 부족하더라도 표준화된 업무 절차를

정보시스템에 반영하면 직원들이 변경된 프로세스에 따라 업무

를 수행할 수 밖에 없으므로 상대적으로 손쉽게 실행이 가능하

였습니다.

그러나 창조경제 시대에 공공기관들은 프로세스 개선의 수준을

넘어 임직원 개개인이 능동적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이를 새로운 서비스의 개발이나 대국민 서비스의 가치 증대를

위해 적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국민 및

유관 기관과 효율적으로 의사소통과 협업을 할 수 있어야 합니

다.

즉, 공공기관들이 창조경제 환경에서 스마트하게 업무를 수행

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프로세스 개선 관점에서 탈피하여, 임직

원 개개인이 스마트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인간 중심적

이고 능동적이며 역동적인 변화를 지원하는 스마트워크 체계로

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창의적으로 일하고 있습니까?

공공기관들이 변화된 환경에서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고 사업을

수행해 나가기 위해서는 조직 창의성의 개발이 필요한 시대가

되었습니다. 즉, 사업 수행 및 관리 중심에서 새로운 대국민 서

비스의 개발을 통해 국민 가치를 증대시키고 고용 창출을 해야

하는 상황을 맞이하게 된 것입니다. 그러나 본 보고서의 분석

결과는 공공기관의 창의적 업무 환경과 성과 수준이 이러한 환

경 변화에 대응하기에는 미흡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공공기관들이 창의적 조직으로 변모하기 위해서는 창의성에 대

한 몇 가지 편견을 제거할 필요가 있습니다. 조직 창의성의 세

계적인 대가인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Teresa M. Amabile 교

46.0%

%%

45.0%

%%

72.2%

%%

Page 13: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공공기관...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2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와 도입 수준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10

수는 우리가 조직 환경에서의 창의성에 대해 다음과 같은 몇 가

지 오해를 하고 있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18].

• 창의성은 특이한 성격이나 괴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조직에서 특정한 행동/제품/아이디어로의 형태로 발현될 수

있음.

• 창의성은 예술적인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사업관리부터 과

학적 발견까지 조직 구성원들이 활동하는 모든 영역에서 새

롭고 적절한 행동을 하는 것을 의미함.

• 창의성은 단순히 IQ 와 같은 지능으로 대표될 수 없으며, 전

문성, 창의적 스킬, 업무 모티베이션 등 다양한 요소들이 결

합되고 상호작용함으로써 발현됨.

• 창의적 결과물은 가치중립적이며, 이를 올바르게 활용하여

혁신 성과로 연계시키기 위해서는 올바른 활용 방향을 설정

하기 위한 체계적인 관리 활동이 필요함.

즉, 조직 창의성은 모호하고 우연히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조직의 체계적인 전략 수립과 관리활동을 통해 개발되고 강화

되며 실질적인 성과 창출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공공기

관에서 추진 중인 다양한 혁신 기법들은 조직 창의성의 증대보

다 업무의 효율화와 표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경우가 많으

므로, 조직 창의성 개발에 초점을 맞춘 스마트워크를 창조경제

실행을 위한 새로운 전사적 혁신 운동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습

니다.

스마트워크가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습니까?

모든 조직에서 새로운 혁신 기법을 도입할 때 가장 중요한 고려

사항은 실질적이고 가시적인 성과 창출이 가능한지의 여부일

것입니다. 스마트워크는 공공기관 외부 이해관계자와 내부 이

해관계자 모두의 관점을 만족시킬 수 있는 가시적인 성과를 창

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혁신 패러다임입니다.

매년마다 수행되는 공공기관 성과평가와 관련하여, 본 보고서

의 조사 결과는 스마트워크를 통해 수행되는 세부 프로그램들

이 공공기관의 성과평가에 상당부분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보

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창조경제의 실행을 중요한 평가기준으

로 고려한 2014 년도 공공기관 성과평가의 개선 방향을 고려할

때, 스마트워크는 공공기관들이 외부 이해관계자들의 변화요구

를 충족시키기 위한 포괄적 변화의 도구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스마트워크는 내부 이해관계자인 임직원들에게 열심히 일하면

서도 삶이 행복해질 수 있는 직장을 실현시켜주기 위한 인간중

심적 혁신 도구로서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습니다. 포스코, 유

한킴벌리, 경기도청 등 스마트워크를 도입한 조직들의 사례는

스마트워크의 도입이 조직과 개인의 업무 성과를 증대시키는

것과 함께 임직원들의 직장 및 삶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23, 24]. 즉, 기존의 혁신 기법들이

쥐어짜기식 혁신으로 높은 혁신 피로도를 유발하여 단기적인

성과 창출에 머물렀던 것에 비하여, 스마트워크는 임직원들이

능동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면서도 일과 삶의 균형을 잡을 수 있

는 환경을 조성하여 지속적인 혁신 성과 창출을 가능하게 합니

다.

스마트워크를 도입을 위한 제언

스마트워크의 도입을 단순한 정보기술 도입이나 제도 개선 관

점에서 접근할 경우 소기에 목표한 성과를 달성하는 것이 어렵

습니다. 성공적으로 스마트워크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그림

25>와 같이 관습 개혁을 통해 불필요한 업무를 제거하는 Work

Diet, 언제 어디서나 편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Mobility Innovation, 지리적 제약에 상관없이 의사소통과 협

업을 가능하게 하고 창의적이고 비용 효율적인 업무 공간을 구

축하는 Space Flexibility, 기관 전체의 창의적 역량을 증진시키

고 아이디어 창출을 활성화하는 Creative Organization, 단순

한 업무 효율화를 넘어 가치가 높은 프로세스를 강화하고 새로

운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는 Work Weight, 이러한 모든 것

들의 실행을 뒷받침하는 IT Infra 측면에서 통합적인 전환 프로

그램을 실행해야 합니다.

즉, 스마트워크는 전사적인 패러다임 전환 측면에서 접근할 필

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그림 26>과 같이 스마트워크 핵

심 성공 요인 및 임직원 개개인의 업무 수행 행태에 대한 정확

한 진단과 더불어, 업무 수행 방식의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교육 및 집단 워크샵 등의 변화 프로그램이 함께 수

행되어야 합니다.

한국생산성본부는 스마트 혁신을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추진

하기 위한 컨설팅 프로그램인 CreWISE(Creative Work

Innovation for Smart Enterprise)를 통해 공공기관들이 똑똑

하고 창의적인 기관으로 전환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Page 14: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공공기관...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2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와 도입 수준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11

<그림 25> 스마트워크 도입을 위한 KPC CreWISE 프로그램

<그림 26> KPC CreWISE 추진 체계

Page 15: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공공기관...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2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와 도입 수준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12

조사 방법

표본 수집 방법 및 표본의 특성

본 조사는 국내 공공기관 관리자, 공공기관 일반 직원, 민간기업 관리자 및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 방식으로 수행되었습니다. 설

문은 2013 년 10 월 16 일부터 11 월 14 일까지 수행되었으며, 295 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전화 및 이메일을 이용해 설문 참여

를 요청하고, 설문 웹사이트와 인쇄된 설문지를 통해 표본을 수집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수집한 유효 표본은 공공기관 관리자가

108 개, 공공기관 직원이 98 개, 민간기업 관리자가 147 개, 민간기업 직원이 339 개 입니다. 본 보고서의 주요 분석 대상인 108

개 공공기관 표본의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표 3> 표본의 특성

특성 항목 비율

기관 유형 공기업 1(대규모기관) 13.7%

공기업 2(중소기관) 12.6%

기금관리형 12.6%

위탁집행형 9.5%

강소형 51.6%

기관 규모(임직원 수) 1-50 명 15.8%

51-100 명 17.9%

101-300 명 30.5%

301-1,000 명 15.8%

1,000 명 이상 20.0%

통계 수치 해석에 대한 유의 사항

본 조사는 표본추출 방식으로 수행되어 보고서에서 제시된 통계 수치는 전체 공공기관의 실제 수치와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

니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 제시한 통계 수치를 활용할 때에는 표본추출 과정에서 발생하는 통계적 오차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표본오차(Sampling Error)는 신뢰수준 95%에서 ±7.2%입니다.

Page 16: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공공기관...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2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와 도입 수준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참고문헌

1. 안전행정부, 정부 3.0 추진 기본계획, 2013.

2. 전자신문, 국정원 보안 심사 통과 MDM 들, 공공 모바일 시장 문 연다, 2013.5.17.

3. CIOBIZ+, 공공기관 지방 이전에 스마트워크센터 구축 활발, 2013.1.7.

4. 연합뉴스, 기재부, 9 개 공공기관에 유연근무 유형 도입 권고, 2013.10.18.

5. 디지털타임즈, 지방 이전 공공 SI 시장 잡아라, 2013.6.4.

6. OECD. OECD Better Life Index. 2012 [cited 2013 7 November]; Available from:

http://www.oecdbetterlifeindex.org/.

7. 동아일보, 직장인 하루 평균 근로시간, “대기업이라고 좋은 건 아니네”, 2013.7.15.

8. 매일경제, 직장인 70% `대중교통으로 출근한다`, 2013.8.9.

9. New York Times, Meet the Life Hackers, 2005.

10. Basex, The Cost of Not Paying Attention: How Interruptions Impact Knowledge Worker Productivity, 2005.

11. 디지털데일리, IT 혁신의 3 대 키워드 ‘모바일·소셜·클라우드’…기업은 진화한다, 2011.5.17.

12. 전자신문, [Case Study]KTDS 프로젝트관리 기반 ERP, 2010.10.17.

13. 디지털타임즈, 삼양사, 전자결재ㆍ파일링 통합 문서관리시스템 구축, 2004.11.18.

14. 2012.11.1, 하이트진로 결재시간 54→8 시간 단축, 2012.11.1.

15. McKinsey & Company, Organizing for change through social technologies: McKinsey Global Survey results, 2013.

16. 안전행정부, 출장도 스마트 하게, 회의도 스마트 하게: 안행부, 10.18 일 서울역 스마트워크센터 개소, 2013.10.18.

17. 기획재정부, ‘13 년 1/4 분기 공공기관 유연근무제 추진현황, 2013.

18. Amabile, T.M.,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 1996, Harvard Business School.

19. Rea, L.M. and R.A. Parker, Designing & Conducting Survey Research: A Comprehensive Guide. 3rd ed2005,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0. Jenatabadi, H.S., et al., Impact of Supply Chain Man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and Management, 2013.

8(19): p. 107-121.

21. Chen, Z. and K.H. Tan, The impact of organization ownership structure on JIT implementation and production

operations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Operations & Production Management, 2013. 33(9): p. 1202-

1229.

22. 기획재정부, 공공기관 합리화 정책방향, 2013.

23. 안전행정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스마트워크 우수사례집, 2013.

24. 한국정보화진흥원, 스마트워크 우수사례집, 2012.

Page 17: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공공기관...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2 스마트워크에 대한 이해와 도입 수준

공공기관 스마트워크와 조직 창의성 보고서

저자 소개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에서 MIS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국생산성본부 컨버전스비즈니스센터에 재직 중이며,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딜로이트컨설팅 등에서 근무하였다. 주요 관심분야는 스마트워크, 창조경영 혁신, 애자일, SCRUM, ISP,

BPR 등이다.

Company Information

한국생산성본부 컨버전스비즈니스센터

110-751 서울시 종로구 새문안로 5 가길 32 생산성빌딩 7 층

Tel 02-724-1208

E-mail [email protected]

Fax 02-724-1225

http://www.kpc.or.kr/

손 정 민

(Son, Jung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