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96 Ⅱ.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도가·도교 윤리 사상 4 도가·도교 윤리 사상의 성립과 전개 과정에서 나타난 주요 사상을 설명할 수 있다. 도가·도교 윤리 사상이 제시한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가치관을 정립할 수 있다. 도가·도교 윤리 사상이 한국의 전통 사상과 문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이해할 수 있다. 학습 목표 노자는 재화나 재물처럼 인간이 살아가는 데 수단에 불과한 것들을 소중하게 여기며 추종하는 인간의 그릇된 가치관에서 사회 혼란이 비롯된다고 보았다. 그는“얻기 힘든 재물을 귀중하게 여기지 않으면 도둑이 없어지고, 욕망을 일으킬 만한 것이 보이지 않으면 백성들의 생각이 교란되지 않는다.”라고 하면서 인간이 살아가면서 진정으로 추구해야 할 가치가 무엇인지를 말하였다. 중단원 스케치 아직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오지만을 여행하는 방랑객이 있었다.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구 슬들이 모두 값비싼 보석 들이었기 때문이다. 문명세상에사는사람들은저구슬들을 얻고자서로싸우는데, 이마을의아이들에게는 그저놀이도구에불과하구나. 어느 마을에 도착한 그는 구슬치기 놀이를 하고 있는 아이들을 보고 깜짝 놀랐다. [핵심 키워드] 도가사상, 도(道), 도덕경, 노자, 장자, 무위자연(無爲自然), 제물(齊物), 물아일체(物我一體), 황로학, 태평도, 오두 미교, 청담, 죽림칠현, 겸허와 부쟁, 상선약수, 심재, 좌망, 오행, 칠성신, 공과격 [자료 해설]자료는 노자가“도덕경”에서 제창한“불귀난득지화(不貴難得之貨)”를 각색한 것이다. 노자는 사회 혼란의 한 원인으로 물질적인 가치와 같은 인간의 삶에 있어 수단에 불과한 것들에 대해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그릇된 가치관을 꼽고 있다. [지도상 유의점]도교 사상의 성립 배경과 전개 과정을 상호 비교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를 위해 도가·도교 사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잘 정리하도록 유도한다.

도가·도교윤리사상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윤리와...[자료더하기]장자는노자의사상 을계승하면서도, 특히주관적편 견과선입견에서벗어난개인의정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도가·도교윤리사상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윤리와...[자료더하기]장자는노자의사상 을계승하면서도, 특히주관적편 견과선입견에서벗어난개인의정

96 ㅣⅡ.동양과한국윤리사상

도가·도교 윤리 사상4● 도가·도교윤리사상의성립과전개과정에서나타난주요사상을설명할수있다.

● 도가·도교윤리사상이제시한특징을이해하고, 이를바탕으로자신의가치관을정립할수있다.

● 도가·도교윤리사상이한국의전통사상과문화에어떤영향을주었는지이해할수있다.

학습목표

노자는재화나재물처럼인간이살아가는데수단에불과한것들을소중하게여기며추종하는인간의그릇된가치관에서

사회혼란이비롯된다고보았다. 그는“얻기힘든재물을귀중하게여기지않으면도둑이없어지고, 욕망을일으킬만한것이

보이지않으면백성들의생각이교란되지않는다.”라고하면서인간이살아가면서진정으로추구해야할가치가무엇인지를

말하였다.

중단원 스케치

아직세상에알려지지않은오지만을여행하는방랑객이있었다.

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구슬들이 모두 값비싼 보석들이었기때문이다.

문명세상에사는사람들은저구슬들을

얻고자서로싸우는데, 이마을의아이들에게는

그저놀이도구에불과하구나.

어느마을에도착한그는구슬치기놀이를하고있는아이들을보고깜짝놀랐다.

[핵심키워드]도가사상, 도(道), 도덕경, 노자, 장자, 무위자연(無爲自然), 제물(齊物), 물아일체(物我一體), 황로학, 태평도, 오두미교, 청담, 죽림칠현, 겸허와부쟁, 상선약수, 심재, 좌망, 오행, 칠성신, 공과격

[자료해설]자료는노자가“도덕경”에서제창한“불귀난득지화(不貴難得之貨)”를각색한것이다. 노자는사회혼란의한원인으로물질적인가치와같은인간의삶에있어수단에불과한것들에대해맹목적으로추종하는그릇된가치관을꼽고있다.

[지도상유의점]도교사상의성립배경과전개과정을상호비교의관점에서이해하고,이를위해도가·도교사상의공통점과차이점에대해잘정리하도록유도한다.

215교과(2-4-1,2) 2014.1.2 5:28 PM 페이지96 mac02 T

Page 2: 도가·도교윤리사상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윤리와...[자료더하기]장자는노자의사상 을계승하면서도, 특히주관적편 견과선입견에서벗어난개인의정

01 도가·도교 사상의 연원과 전개

나그네가 길을 가다가 나무꾼을 만났다. 그런데 나무꾼은 나그네 옆에 있는 가지와

잎이 무성한 나무는 베지 않았다. 나그네가 그 까닭을 묻자 나무꾼은“아무짝에도 쓸모

없기 때문이라네.”라고 말하였다. 나그네는 산에서 내려와 옛 벗의 집에 머물게 되었다.

그 벗은반가워하며잘우는거위는살려주고울지못하는쓸모없는거위를잡아요리

해 주었다. 나그네는 혼자 중얼거렸다. “어제 산속의 나무는 쓸모없어서 오래 살 수 있

었고, 지금이주인집의거위는쓸모없어서죽게되는구나!” - “장자”, ‘소요유편’-

4. 도가·도교윤리사상ㅣ97

ㅣ우주만물의생성원리, 도(道) ㅣ

유교와마찬가지로춘추전국시대의혼란을극복하

고자태동한도가사상은도(道)를중심으로인간이진

정으로추구해야할가치가무엇인지를제시하였다. 노

자와장자에의해확립되었기때문에도가사상을‘노장

사상(老莊思想)’이라고도한다.

노자(老子, 기원전 579?~기원전 499?)의 사상이담

긴“도덕경”에서는도를“천지의시초[天地之始]”이며,

“만물의어머니[萬物之母]”라고하였다. 도는천지만물

● 쓸모있고없고의차이는무엇에서비롯되는것일까?

● 우리가말하는‘쓸모있음’이언제나‘쓸모있다.’고말할수있을까?

단원열기

“도덕경(道德經)”

도가와 도교 사상의 근간이 되는 저술로서“노자”라고도 한다. “도덕경”

은 200자 원고지 25매 정도의 짧은 분량이며, 저자에 대해서도 여러 의

견이있지만일반적으로노자가남긴것으로알려져있다.

같은 글자, 다른 의미의‘도’

유교에서말하는도는도덕적인면을위주로말하는것이고, 불교의도는깨달음이나수행방법등을말한다. 도가에서말하는

도는우주만물의근원을의미한다.

도란잠시도내몸을떠날수없는것이다.떠날수있다면도가아니다.

깨달음을얻기위해서는여덟가지의바른도를실천해야한다.

도는보려해도보이지않고, 들으려해도들리지않으며, 잡으려해도잡히지않는다.

공자▶ 석가모니▶ ◀노자

쓸모있음? 쓸모없음?

[자료해설]도는동양윤리사상에서매우중요한개념이며, 도가가리키는뜻도매우광범위하다. 어원으로보면, ‘착( )’을부수로할때는‘길을가는것’을의미한다. ‘착’에대해“설문해자”에서는‘잠시가다가잠시멈춤, 쉬엄쉬엄길을감’이라고설명하고있다. 수(首)를부수로할때는‘학문의길’을뜻한다. 자료를통하여도가의‘도(道)’는형체가없고인간의감각경험을초월하여존재하며, 언어로표현할수없고이름지을수도없는것이며,지식을쌓아올리는방법으로파악할수없는것이지만분명히존재하는실체임을설명한다.

Ⅲ단원별지⑧참조

[지도상유의점]도가에서제창한핵심개념을명확하게제시하고, 도가사상이유가나다른학파와다른점이무엇인지를이해시켜야한다. 또춘추전국시대이후도가의사상이어떻게변모해갔는지에대한설명도필요하다.

유교는사회혼란의원인을‘도덕성의타락’으로보았지만, 도가는인간의그릇된가치관과인위적인규범과제도로보았다.

서양에서도“도덕경”을읽는사람들이증가추세라고한다. 헤겔이나하이데거같은철학자나톨스토이같은작가도“도덕경”에깊은감명을받았다고한다.

우주만물의근원이라는의미이다.

[지도상유의점]도가ㆍ도교사상의연원과전개에 대한 설명이 너무 역사적으로 흐르지 않도록유의한다.

215교과(2-4-1,2) 2014.1.2 5:29 PM 페이지97 mac02 T

Page 3: 도가·도교윤리사상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윤리와...[자료더하기]장자는노자의사상 을계승하면서도, 특히주관적편 견과선입견에서벗어난개인의정

을창조·운행하고발전시키는실체이자원리인것이다. 그런데노자는이도를“도

라는말로표현하면그도는이미항구불변의도가아니다[道可道非常道].”라고하였

다. 이말속에는우주의궁극적근원이되는도는너무현묘(玄妙)하고포괄적이어서

과학법칙이나공식처럼인간이사용하는언어로는표현할수없다는의미가들어있

다. 그럼에도노자가우주의궁극적인근원을도라고말한것은사람들이이해할수

있도록하기위한방편이었다.

장자는자신이처한새로운역사적상황에서도에대해다음과같이설명하였다.

도는실상도있고증표도있지만의식적으로힘을들여서함이없고나타남이없다. 따라서전할

수는있지만받을수는없고, 얻을수는있지만보여질수는없다. 스스로를근본으로삼고, 스스로

를뿌리로한다. 그것은천지가있기이전부터본래있었다. 귀신과상제를신령스럽게하며하늘을

만들고땅을내었다. - “장자”, ‘대종사편’-

장자역시도는모든존재의근원적실체이지만, 문자나말로써전할수없다고주

장하였다. 나아가도는“땅강아지나개미같은것에도있고, 돌피 에도있고, 기

와에도있으며, 똥과오줌에도있다.”라고함으로써“도는없는곳이없다

[無所不在].”라고주장하였다. 이것은우주만물의근원으로서의도는보

편적이고절대적일뿐만아니라, 구체적인사물을떠난것이아닌실재하는

실체임을지적한것이다.

장자가말한도는본질적인측면에서노자의도와다르지않음을알수있다. 이러

한두사상가의도에대한인식을바탕으로도가사상이성립되었으며, 이는이후도

교사상이형성되고발전하는데큰영향을끼쳤다.

▲장자(莊子, 기원전 365?~

기원전 270?)

‘도가’라는 명칭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노자의사상이세상을바르게살아가는처세를강조하였다면, 장자의 사상

은 오히려 세속적인 삶을 초월하여 정신적 자유를 누리는 것에 주안점을 두

었다. 노자는 노자대로, 장자는 장자대로 각기 나름의 입장을 전개했던 것이

다. 선진(先秦) 시대에는이들을묶어서부르지않았다. 그러다가한나라시대

에 접어들면서 노자와 장자를‘도가’나‘노장’이라고 부르기 시작하였다. 그

이유는 노자와 장자의 학문이 서로 고유의 특색을 지니고 있지만, 두 사상가

모두 인위적인 사상이나 제도에 반대하였으며, 도를 우주 만물 생성의 근본

원리로생각하는관점을토대로주장을폈기때문이다.

▲노장사상은도를우주만물생성의근본원리로보았다.

98 ㅣⅡ.동양과한국윤리사상

돌피

볏과의한해살이풀이다.

일반적으로도가란노자와장자의사상을의미하고,도교는도가사상이종교적형태를띠며

변형된것을말해요.

노자는기원전6세기경춘추시대의사상가이며, 장자는기원전4세기경전국시대의인물이다.

노자보다개인적인수양과내적인깨달음을더욱중시하였다.

[자료더하기]도가사상의의의우리가의식하든그러지못하든도가사상은우리의식심저(心底)를움직이고있고그것은중국, 한국, 일본삼국의종교, 철학, 예술, 정치의밑바닥을흐르고있다. 공자의윤리적이고현실주의적인사상이우리생활에서양(陽)적인외면세계에영향을주었다면, 노자의형이상학적이고신비주의적인사상은우리생활에서음(陰)적인내면세계를움직였다고할수있다.

강의 tip_ 도가사상의뿌리

양주(楊朱)

•중생경물(重生輕物)̀: 생명을 온전하게 하여 그 진수를 보전하며, 물질때문에신체에누를끼치게하지않는다.

•“천하를이롭게하기위해털한올도뽑지않겠다.”→사람마다천하를이롭게하려하지않는다면천하는안정된다고본다.

강의 tip_ 노자와장자의비교`1

노자

정치·사회적혼란을극복하기위한방법론에관심

장자

정치적 관심보다는 세속을 초월한 개인의 정신적인절대자유의경지를추구하려는경향이강함

Ⅱ단원별지⑦참조

215교과(2-4-1,2) 2014.1.2 5:29 PM 페이지98 mac02 T

Page 4: 도가·도교윤리사상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윤리와...[자료더하기]장자는노자의사상 을계승하면서도, 특히주관적편 견과선입견에서벗어난개인의정

ㅣ무위자연과물아일체ㅣ

노자와장자는우주만물의근원적원리나절대적실체를도라고주장하였으며, 이

를인간이추구해야할진정한가치로보고강조하였다. 그들은사람들이추구하는경

험적지식이나사유, 제도와문화등은오히려참된삶을실현하는데방해가될뿐만

아니라, 세상을더욱혼탁하게한다는사실에주목하였다. 따라서사람의힘이가해지

지않은자연그대로의상태, 곧무위자연 의세계를지향하며절대적실체인도를따

르며살아가는것이가장이상적인삶이라고생각하였다.

노자가볼때인간은태생적으로순박하고순수한자연의덕을가지고있으나, 사

물의겉모습이나형식에이끌려서사물의본질이나가치를올바르게인식하지못하

는존재였다. 따라서인간이지어낸지식이나사유, 제도와문화등은필연적으로인

간의참된삶을방해할수밖에없으며, 이러한것을없애야만인간이인간답게사는

4. 도가·도교윤리사상ㅣ99

무위자연(無爲自然)

‘무위’란 함이 없다는 뜻이지만,

‘아무 일도 하지 않는다.’는 뜻

이 아니라 인위적인 일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자연’은‘스

스로 그러하다.’는 뜻이다. 따라

서‘무위자연’이란 강제적이고

인위적인 것이 아니라 자연의

이치에 순응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다음 두 글을 읽고 아래 물음에 따라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 보자.

1. (가)의밑줄친부분에대해 (나)를주장한사상가가해줄수있는조언을써보자.

2. (나)를주장한사상가가생각하는진정한아름다움이란무엇일지생각해보자.

개별 모둠활동

(가) 얼마전대학에강의를갔다가놀란적이있다. 여학생대다수가성형을

하고모두비슷한눈모양을하고있었기때문이다. 성형을한학생은예

뻐져야만 하는 강박감이 자신을 옥죄었다고 하였다. 또한 수두룩한 얼

짱·몸짱들과경쟁사회에서평범한외모를갖고살아남을수있을까, 특

히직업을‘쟁취’할수있을까하는불안감이든다고까지하였다.

(나) 사람들은소, 양, 개, 돼지를잡아먹고, 고라니와사슴은부드러운풀을

먹고, 지네는뱀을먹고, 솔개와까마귀는쥐를좋아한다. 이들중에서

어느동물의입맛이올바른것인가? 원숭이는편저[̀狙̀]의암컷이되고,

고라니는사슴과교미를하며, 미꾸라지는물고기와어울려논다. 모장

(毛 )과여희(麗姬)는사람들이미인이라고하지만물고기는그들을보

면물속깊이들어가고, 새는그들을보면높이날아가고, 고라니와사

슴은그들을보면뛰어달아난다. 이들중누가천하의올바른아름다움을알고있는가? 내가보건대세상사람들이

인의(仁義)와시비(是非)를어지럽게주장하지만어찌그것을구분할수있겠는가? - “장자”, ‘제물론편’̀-

Ⅱ단원별지⑧참조

Ⅱ단원별지⑦참조

강의 tip_ 노자와장자의비교`2•노자: 정치사회적혼란을극복하기위한방법론에관심을가짐•장자: 정치적관심보다는세속을초월한개인의정신적인절대자유의경지를추구하려는경향이강함

215교과(2-4-1,2) 2014.1.2 5:29 PM 페이지99 mac02 T

Page 5: 도가·도교윤리사상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윤리와...[자료더하기]장자는노자의사상 을계승하면서도, 특히주관적편 견과선입견에서벗어난개인의정

황제(黃帝)

우리가‘단군의 자손’이라고 하

는 것처럼 중국인은‘염황의 자

손’이라고 한다. 여기서‘염’은

전설에 나오는 중국 고대의 제

왕(帝王)인 염제를, ‘황’은 황제

를 지칭한다. 황로 사상은 중국

인들이 자신의 시조라고 생각하

는 황제와 노자의 사상을 근간

으로학설을체계화하였다.

100 ㅣⅡ.동양과한국윤리사상

물아일체(物我一體)

사물과‘나’는구별없이하나라

는 말로, 우리의 상식과 이분법

적 관점에서 보면 사물과 나는

구별되지만, 도의 견지에서보면

모든 사물은 나와 다를 바 없이

하나가된다.

세상, 즉도가실현된세상을이룰수있다고생각하였다.

대도(大道)가폐하면인(仁)이니의(義)니하는것이강조되고, 지략이니지모니하는것이설치면

엄청난위선이만연하게된다. 가족관계가조화롭지못하면효(孝)니자(慈)니하는것이나서고, 나

라가어지러워지면충신이생겨난다. - “도덕경”, 제1̀8`장 -

위에서언급된인, 의, 효, 자등은유교에서강조하는덕목이다. 노자는이러한덕

목이더이상거론되거나요구되지않고, 윤리적제약이나규범에머물러있는단계를

넘어서모든것이도에돌아가서그본연의모습을되찾는경지를지향하였다.

나아가장자는노자의무위자연에대한관점을토대로더욱발전된사상을전개하

였다. 그는인간이감각기관을통해얻는지식은참된앎이아니라조건이나상황에

따라달라질수있는관계적이고상대적인것이라고생각하였다. 또한인간은‘나’에

집착하기때문에판단이주관적이고불확실하므로사물의본질에대해서알수없다

고하였다.

이러한장자의관점은제물(齊物)을통해더욱구체화되었는데, 제물이란‘이것이

냐저것이냐’에서어느한쪽만을택하는것이아니라, 양쪽모두를보아야한다는것

이다. 즉같은사물일지라도누가어떻게보느냐에따라크기도하고동시에작기도

하다는것이다. 이처럼장자는시비(是非)와대립을초월한세계에서사물을관조할

때비로소사물의참된모습을제대로파악할수있다고보았다. 이것이장자가말한

물아일체 의사상이며, 인간이마땅히추구해야할‘큰지혜’이다.

도가사상은황로학파나태평도, 오두미교와청담사상등이형성되는데바탕이되

었으며, 오랫동안중국은물론주변여러나라의사상과문화에깊은영향을주었다.

ㅣ도교사상의전개ㅣ

한(漢)나라가통일되자사람들은강성했던진나라가멸망하게된이유에대해생각

하였다. 이들은진나라의억압적인통치방법을대신할수있는새로운사상을찾기에

이르렀고, 이러한시대적요청에따라청정무위를내세운황로학(黃老學)이주목을

받게되었다. 황로란황제 와노자의머리글자를따서지은이름으로, 황제는법칙의

발견자이자법률의제정자이며, 노자는도가의시조로서무위(無爲)의삶을강조한인

물이다. 또한황로학은유가, 법가, 묵가등의학파가지닌일부관점을수용하여노자

의무위사상을개조하고보충함으로써모든백성이질서와안녕을누리며자연스럽

게발전하는사회를염원하였다.

한나라말에이르러세상이다시혼란에빠지자백성들사이에서도가사상을근간

으로삼는태평도와오두미교가성행하였다. 태평도(太平道)는자신의잘못을뉘우치

노자가보기에, 유교가강조하는덕목들이여전히강조되고있다는것은결국그런윤리적이상이실현되지않고있음을말한다.

노자에의하면, 세상이아름다움을알아보는것자체가추함이있다는것이고, 착한것을알아보는것자체가착하지않음이있다는것이다. 따라서가지고못가짐도서로의관계에서생기고, 어렵고쉬움도서로의관계에서생기며, 길고짧음, 높고낮음도서로의관계에서생기는것이라고주장한다.

‘제물’의‘제(齊)’는‘가지런히하다’, ‘같게하다’라는의미를지닌다. 진위시비(眞僞是非)를가리는모든논쟁은모두상대적이며, 모두가하나로귀속되는것이다.

진나라가 멸망하고 한나라가 중국을 통일하였을때새로운정치사상을정립하려는시도로등장하였다. 한나라 이전에는‘황로’라는 용어가 보이지않는다.

최초의 도교적(道敎的) 교단(敎團)으로 2세기에장각(張角)이창시하였다.

[자료더하기]장자는노자의사상을 계승하면서도, 특히 주관적 편견과선입견에서벗어난개인의정신적자유경지를추구하였다.

Ⅱ단원별지⑦참조

215교과(2-4-1,2) 2014.1.2 5:29 PM 페이지100 mac02 T

Page 6: 도가·도교윤리사상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윤리와...[자료더하기]장자는노자의사상 을계승하면서도, 특히주관적편 견과선입견에서벗어난개인의정

다음 두 글의 입장을 바탕으로 아래에 제시된 주제에 대해 토론해 보자.

•“세상에 금하고 가리는 것이 많을수록 사람은 더욱 가난해지고, 사람들 사이에 날카로운 무기가 많을수록 나라는 더욱 혼미해

지고, 사람 사이에 잔꾀가 많을수록 괴상한 물건이 더욱 많아지고, 법이나 명령이 요란할수록 도둑이 더욱 많아진다.”따라서

성인은 말한다. “내가 억지로 일을 하지 않으므로 백성이 저절로 교화되고, 내가 고요히 있는 것을 좋아하므로 백성이 저절로

바르게 되고, 내가 일을 꾸미지 않으므로 백성이 저절로 풍족하게 되고 내가 욕심을 부리지 않으므로 백성이 저절로 순박해진

다.” -“도덕경”, 제5̀7̀장 -

•인간은 자연의 한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인간은 자연의 이치에 순응하면서 자연스럽게 살아가야 하는 존재이다. 그

럼에도인간은불필요한윤리규정을만들어스스로를속박하고, 강력한나라를만든다는구실로무기를개발하여전쟁을벌인

다. 과학 기술의 발달로 인류는 풍요를 누리고 있지만, 오히려 인간이 느끼는 행복 지수는 나날이 낮아지고 있다. 또한 공공의

안녕과 질서 유지를 위하여 온갖 법령이 제정되고 처벌도 강화되었지만, 오히려 강력 범죄는 더욱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해결하기위해서는먼저나라의지도자부터무위(無爲)를 바탕으로자연스러움의가치를존중하여야한다.

는기도를통해서복을추구하며, 부적과맑은물로써병을치료할

수있다고선전하면서급속히퍼져나갔다. 이들은막강해진교세를

등에업고이상사회를만들고자난을일으켰으나실패하였다. 그러

나태평도의교세는꺾이지않았고백성들사이에서은밀하게전파

되었다.

오두미교(五斗米敎)는‘천사도(天師道)’라고도 불렸는데, 교단에

가입하려는사람들에게다섯말의쌀을바치게한데서붙여진이름

이다. 그들은신자에게노자의“도덕경”을학습시키고그릇된행위

를한사람에게는공동체를위해일하도록하였다. 또한선행을권장

하며“착한일을하게되면질병이낫게되고영원히죽지않는신선이될수도있다.”

라고강조하면서교단을갖춘종교로발전하였다. 태평도와오두미교는정부의통제

력이약화되고탐관오리의학정이극으로치닫는혼탁한사회속에서핍박을받고억

울함에빠진백성들에게위안과희망을주었다.

황로학이지배계층을위한사상이었고태평도와오두미교가주로궁핍한백성들

4. 도가·도교윤리사상ㅣ101

▲청성산(靑城山)

중국 도교의 발원지 중 한 곳으로, 오두미교를 창시한

장릉(張陵)이이곳에서포교를시작하였다.

토론주제

•스마트폰의 편리함이 우리

에게주는그늘

•갈등과 다툼이 없는 우리

반만들기

이들은 황색의 두건을 둘러서 표시했기 때문에, 이들을황건(黃巾)의 적(賊)이라 하고, 이들이 일으킨난을‘황건의난’이라고한다.

우리나라는7세기경고구려에서성행하였다는기록이있다.

같은종교를믿는사람들이모여만든종교단체.

[활동길잡이]다음의예시답안을참고하여학생들의견해를발표할수있도록지도한다. •스마트폰의편리함이우리에게주는그늘스마트폰은손바닥위에있는컴퓨터이다. 친구와의대화를언제나가능하게하고공부에찌든우리들의놀이기구이기도하다. 그러나스마트폰으로인하여사생활이침해되는등우리가일상에서경험하는대부분의부정적인행위도스마트폰때문에생기는경우가다반사이다. 또휴식을위해스마트폰으로게임을즐기지만그것이지나쳐휴식은고사하고우리는더욱혼미해지고오히려스트레스를받기도한다. •갈등과다툼이없는우리반만들기노자에의하면, 꽉짜여진제도나교칙만으로는우리반의갈등과다툼을없앨수는없다. 오히려각자가지닌자연본성, 즉개성을존중해갈등과다툼을일으키는당사자들의편견과고정관념을없애나가는것이근본해결책이될수있을것이다.

215교과(2-4-1,2) 2014.1.2 5:29 PM 페이지101 mac02 T

Page 7: 도가·도교윤리사상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윤리와...[자료더하기]장자는노자의사상 을계승하면서도, 특히주관적편 견과선입견에서벗어난개인의정

102 ㅣⅡ.동양과한국윤리사상

의고단한삶을달래주었던종교였다면,청담(淸談)은

위·진시대의현학자 들에의해노장사상을더욱철학

적으로발전시킨사상이라고볼수있다. 청담이란현학

자들이 노장사상을 바탕으로 우주 만물의 본질과 현상,

그리고이들양자의관계와같은우주론적이고형이상학

적인문제에대해견해를주고받는것을말한다. 청담을즐

겨논했던대표적인물로는죽림칠현(竹林七賢)을들수있

는데, 이들은위·진교체기의불안한현실에휩싸이지않

고자은둔생활을즐겼다. 또한현학자들중왕필 이다른

학자와주고받은청담은주위사람들을놀라게하였으며, 정시지음 이라고도칭송되

었다. 왕필에따르면, 도는모든현상의기초가되고이를통합시키는하나의궁극적

인원칙이며, 도의다른명칭은‘무(無)’라고하였다. 그는“무를근본으로삼는다.”라

고하여무를‘유(有)’와대립되는개념이아니라, 오히려모든존재의최종점이자본

체라고생각하였다.

도교는노자와장자의사상을근간으로시대의요청에맞게변화하거나다른학파

의사상과결합하기도하면서민중에게큰영향을주는종교로자리잡았다. 도교의

몇몇종파에서보이는장생불사(長生不死)의신선이될수있다는믿음과신비주의는

도가사상과는확연히구별되는내용이다. 하지만도를근본개념으로삼아인위적인

관념이나제도의고착화를비판하면서무위자연의경지를추구한점은도가와도교

의공통점이라고볼수있다.

죽림칠현

위·진(魏晉) 시대 부패한 정치권력과 세속으로부터 탈피하여 안심입명(安心立命)을 추구한 일곱 현학자를 일컬어‘죽림칠현’

이라고 한다. 이들은 예교(禮敎), 관직 등의 현실적 속박에서 벗어나 청담(淸談) 혹은 현언(玄言)이라고 하는 우주론적 최고 원리

의경지를토론하는논변을즐겼으며, 철학적이고예술적인사유와가치를중시하였다.

▲‘대나무숲의일곱현학자’, 죽림칠현(탁본)

▲왕필이주석을단“도덕경”

왕필(王弼, 226~249)

위나라의사상가로서, 그가 남긴

“도덕경”에 대한 주석은 오늘날

에도 도가 사상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자료로꼽히고있다.

정시지음(正始之音)

정시란 위나라 왕인 조방(曹芳)

의 시호이다. ‘정시 연간(240

~249)에 나눈 소리’라는 뜻으

로, 왕필이하안(何晏, 193~249)

과 주고받은청담을가리킨다.

현학자(玄學者)

위·진 시대의 현학자들은 노자

와 장자를 숭상하고 예법에 구

속받지않았다. 그들은노장사상

을 토대로 유가의 경서를 해석

하고청담을즐겼다.

“노자”, “장자”, “주역”의3현(三玄)의고전에의거하여사상을전개하였다.

열살무렵당대의석학들과청담을시작했으며, 20대초반세상을떠났다.

도가에서말하는‘무위’의‘무(無)’와같은의미의‘무’이다.

혹은‘불로장생’이라고도 하며, 병에 걸리지 않고 건강하게 오래살도록몸관리를잘하는것[양생(養生)]이요구된다.

[자료해설]중국진(晉)나라때에서로친교를맺고죽림에모여술과음악을즐기며청담(淸談)을나누었던 7명의사람들. 위(魏)·진(晋)의양왕조교체기로정변(政變)이계속되던당시의귀족사회에서는몸을보전하기위하여정치에관계하지않고은둔생활을하는풍조가생겨났다.

강의 tip_ 도가사상과도교사상

도가사상

•철학적•정신적자유의추구

•인위적인도덕규범배격

세속적인한계를초월한절대자유의경지추구

도교사상

•종교적•불사의신선추구

•유가의도덕규범일부인정

215교과(2-4-1,2) 2014.1.2 5:29 PM 페이지102 mac02 T

Page 8: 도가·도교윤리사상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윤리와...[자료더하기]장자는노자의사상 을계승하면서도, 특히주관적편 견과선입견에서벗어난개인의정

02 도가·도교사상의특징과한국전통사상과의융합

세상에 물보다 더 부드럽고 여린 것은 없다. 물은 모든 생명을 기르고 모든

사악한것을씻어내지만자신을드러내지않고언제나낮은곳으로만흐른다. 바

위와 같은 큰 장애물을 만나도 물은 그와 다투지 않고 조용히 옆으로 비켜 흐른

다. 그러나 단단하고 힘센 것을 물리치는 데 물보다 더 훌륭한 것은 없다. 약한

것이 강한 것을 이기고 부드러운 것이 굳센 것을 이기는 것, 바위를 뚫는 것도

끊임없이떨어지는한방울의물이아니던가!

ㅣ이상적인삶ㅣ

고대 중국에는 많은 학파가 있었지만 도가·도교처럼 오랫

동안철학과종교등의여러측면에서많은사람의삶에영향

을끼친학파는드물다. 이러한것이가능했던까닭은도가·

도교가지니고있는사상적특징에서찾아볼수있다.

노자는도를본받아따르며그것을실현하는것이가장이상적인삶

이라고보았다. 그리고도를실현하려면인간이만든규범적가치를버리고자연의

소박함을드러내며, 이와동시에마음속에서일어나는온갖사사로움과욕심을없애

고만족할줄알아야한다고하였다.

● 물이지닌특성을통해우리가배워야할점은무엇일까?

● 물은도가가제시한도와어떤점이닮았을까?

단원열기

4. 도가·도교윤리사상ㅣ103

성인(聖人)

유교·불교·도가는 공통으로‘성인’을 이상적 인간상으로 삼아 이를 이루기 위

한 다양한 수양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이 말하는 성인은 각각 다른 의

미를 지니고있다. 유교에서는 사리에밝고 덕과 지혜를지닌 도덕적으로완성된 사

람을 성인으로 지칭하며, 불교에서는 세속의 모든 번뇌를 끊고 깨달음을 얻은 사람

을 가리킨다. 도가에서는 세속적 분별 의식에서 벗어나 대자연과 하나가 된 사람을

일컫는다. 이처럼 유·불·도가말하는성인의의미는조금씩다르지만성인을통해

세상을 살아가는 참된 지혜와 방법을 일깨우고자 한 측면에서는 모두 동일하다고

할수있다.

인간은땅을본받고

[人法地], 땅은하늘을

본받으며[地法天],

하늘은도를본받고

[天法地], 도는자연을

본받는다[道法自然].

- “도덕경”, 제2̀5̀장 -

노자는물이비록여리지만단단하고힘센것을물리치는데물보다더훌륭한것은없다고하였다.

[예시답안]물은더러운것을씻어정결하게해준다. 더러운 것을 씻어 준다는 것은 남의 허물을 떠맡는다는 뜻이다.남을시기하고미워하며다투는것이아니라언제나겸손하게상대를배려하는마음을우리는물을통해배운다.

[예시답안]“도덕경”에서는가장훌륭한것은물처럼되는것이라고하였다. 물없이삶을지탱할수있는것은아무것도없다. 그러나물은그것을자랑하지않는다. 물은온갖것을위해섬길뿐, 그들과겨루는일이없고, 모두가싫어하는낮은곳으로흐를뿐이다. 그래서노자는물은“도에가장가까운것”이라고하였다.

무위자연과 상선약수가 이상적인삶의가장중요한원리이다.

[자료더하기]유교·불교·도가에서말하는성인

유교

불교

도가

•성인과인인(仁人)의도리를실천하는데물리지않고, 남을가르치는데지치지않는다.

•군자의도(道)야어찌속일수있겠는가? 말단적인일과근본이되는일을두루잘하는사람은성인뿐이다.

미혹하고 어리석음에서 해탈하여 깨달음을 얻고[轉迷開悟], 범부(중생)적인것을고쳐서성인(부처)이된다[革凡成聖].

•성인에게는고정된마음이없다. 백성의마음을자기마음으로삼는다. •성인은무위(無爲)로써일을처리하고, 말로하지않는가르침을펼친다.

[지도상 유의점]도가·도교에서 이상적인 삶을 이루기 위해 제시된수양이론이나자연관등의특징을설명하고, 이러한사상이우리나라에미친영향을시대별로정리할수있도록한다.

215교과(2-4-1,2) 2014.1.2 5:29 PM 페이지103 mac02 T

Page 9: 도가·도교윤리사상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윤리와...[자료더하기]장자는노자의사상 을계승하면서도, 특히주관적편 견과선입견에서벗어난개인의정

104 ㅣⅡ.동양과한국윤리사상

노자는자연의사물중에서도가지닌속성을가장닮은것이‘물[水]’이라고하였

다. 만약인간이물의속성에따라겸허(謙虛)와부쟁(不爭)의덕으로삶을살아간다

면, 이는곧도를체득하고실현하기위한삶과다를바가없다는것이다. 이처럼가장

이상적인무위자연의삶의모습을상선약수 라고한다.

노자는특히통치자가인위적인제도와법령을만들고부국강병을위해끊임없이

전쟁을일삼는것은도에역행하는것이라고지적하였다. 따라서통치자는백성을통

치할때백성들의평화로운삶에최대한관여해서는안되며소국과민(小國寡民)을

지향해야한다고주장하였다.

장자는자신의아집에서비롯되는분별과대립, 편견을잊어버리고모든것이하나임

을아는것이이상적인삶이라고보았다. 한마디로세속적가치에서벗어나자연과하나

가된정신적자유를추구한것이다. 정신적자유란삶과죽음마저도초탈할때가능한

것이며, 이를실현한사람을지인, 진인, 신인, 천인, 성인등으로불렀다.

지인(至人)은물아의구별이없고, 신인(神人)은공을의식하지않으며, 성인(聖人)은명예를무시

한다. - “장자”, ‘소요유편’-

장자가강조하는이상적인삶은모자란다고억지를부리지않고, 공을세워도우쭐

거리지않고, 무엇을하려고꾀하지않고, 일이잘되어도자만하지않는자세를견지

할때비로소영위할수있는것이다. 이것은자연과하나가되는삶이며, 이러한장자

의생각은노자가제시한“성인은공을내세우지않는다.”라고한것과맥을같이한

다. 그렇다면이러한삶을살아가려면어떤노력을기울여야할까? 장자는욕심, 분별

심, 이분법적사고, 자기중심적인마음을완전히버려야한다고주장하면서심재 를

제시하였다.

상선약수(上善若水)

“으뜸이 되는 선(善)은 물과 같

다.”라는 의미로, 노자는 물이

갖추고 있는 덕은 무위자연을

나타낸다고보았다.

소국과민

나라는 작고 백성의 수는 적어야 한다. 온갖 도구가 있지만 쓰지 않게

하며 백성들이 생명을 중시하도록 하면, 살던 곳을 버리고 멀리 이사

가는 일이 없을 것이다. 비록 배나 수레가 있더라도 탈 일이 없고,

비록갑옷과무기가있더라도펼쳐놓을일이없다.

백성들로 하여금노끈을 묶어서글자 대신 쓰던고대의 소박한상태

로 돌아가게 하며, 음식을 맛있게 먹고, 옷을 아름답게 여기며, 사는 그곳을

편안하게 여기고, 그 풍속을 즐겨야 한다. 이웃 나라를 서로 바라볼 수가 있어서

닭 우는 소리와 개 짖는 소리가 들려도 백성들은 늙어 죽을 때까지 서로 왕래하는

일이없을것이다. - “도덕경”, 제`80`장 -

▲정선, ‘동리채국도(東離採菊圖)’

심재(心齋)

마음을 비워서 깨끗하게 하는

것을가리킨다.

노자는“국가의통치는마치작은생선을굽듯이해야한다.”고하였다. 백성들의삶에대해사사건건간섭하지말고스스로되어가도록놓아두라는것이다.

이것이앞서살펴본‘제물’의근본정신이다.

본래이분법이란‘떨어져있는’이라는뜻의그리스어‘dicha’와‘자르다’라는뜻의‘tomos’에서유래하였다. 특정한성질이나속성을갖고있는것과그렇지않은것둘로나누려는사고방식이다.

완전히자족(自足)하는사회이기때문에서로침입해서훔치거나빌릴일이없어서로왕래할필요가없다.

‘겸허’는낮은곳에위치하려는성질이며‘부쟁’은다투지않고포용하려는성질이다. 노자는낮은곳에머물면서만물을이롭게하고, 남들과다투지않는물이도(道)에가깝다고보았다.

[자료해설]노자는주나라와같이거대한통일제국의국가형태에반대하며통치자보다백성들의평화로운삶을중시하는국가, 백성들의삶에인위적으로개입하지않는작고소극적인국가를추구하였다.

강의 tip_ 소요유•외물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살아감

•제물(齊物)을 통해 얻게 되는 절대자유의경지

강의 tip_ 소요유•외물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살아감

•제물(齊物)을 통해 얻게 되는 절대자유의경지

215교과(2-4-1,2) 2014.1.2 5:29 PM 페이지104 mac02 T

Page 10: 도가·도교윤리사상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윤리와...[자료더하기]장자는노자의사상 을계승하면서도, 특히주관적편 견과선입견에서벗어난개인의정

4. 도가·도교윤리사상ㅣ105

다음 이야기에 담긴 의의를 생각하며 아래 질문에 답해 보자.

남쪽바다의임금을숙( ), 북쪽바다의임금을홀(忽), 그중앙의임금을혼돈(混沌)이라고하였다. 숙과홀은때때로

혼돈의땅에서만났는데, 혼돈은그때마다두임금을극진히대접하였다. 어느날, 숙과홀은혼돈의은덕을갚는것에대

해의논하였다. “사람에겐모두일곱구멍이있어보고, 듣고, 먹고, 숨쉬는데, 오직혼돈에게만이런구멍이없으니구멍

을뚫어줍시다.”숙과홀은혼돈을위하여하루에한구멍씩뚫어주었는데, 이레가되자혼돈은죽고말았다.

- “장자”, ‘응제왕편’-

1. 남에게잘해주려고한행동이오히려남에게피해를준경우가있었다면, 그이유는무엇때문일까?

2. 위이야기에등장하는숙과홀을인간으로, 혼돈을자연으로설정한다면, 인간과자연의바람직한관계는어떤모습이어

야하는지자신의생각을발표해보자.

먼저마음을하나로모으라. 귀로소리를듣지말고마음으로들어라. 다음에는마음으로듣지

말고기 로들어라. 귀는소리를들을뿐이고마음은대상을인지할뿐이지만기는텅비어모든

것을수용하니, 이렇게텅빈기로써사물을대하면그빈곳에도가들어온다. 이렇게도가들어오

도록마음을깨끗이비우는것이‘심재’라는것이다. - “장자”, ‘인간세편’-

마음을모으고귀가아닌기로소리를듣는다는것을실천하기란쉬운일이아니

며, 모든것을버리거나잊지않고서는거의불가능하다. 장자는좌망 을통해이점

에대해언급하였다. 좌망은우선자신의몸과팔다리와같은외형적인것을잊어버리

라고한다. 그리고자신이옳다고믿고있는모든지혜도버려야비로소도와하나가

되는참된삶의경지에이를수있다고주장하였다.

ㅣ자연에서배우는지혜ㅣ

고대중국사회에서는하늘에의해우주만물이창조되고, 하늘은지고무상(至高無

上)한존재로서인간의운명에관여한다고생각하였다. 노자는이러한전통적관념에

서탈피하여도를우주만물의근원이자생성원리로보았다. 노자가볼때도는천지

가창조되기이전부터존재하였으며, 설령천지가사라지더라도없어질위태로움이

없다. 도가만물을생성한것은자연스럽게발생한것이며, 만물을주재하기위함이

아니다. 또한주관적의지나욕망도없는것이다. 하늘역시마찬가지로인간의주관

적의지와욕구와는아무런관계가없다.

하늘과땅은어질지않아모든것을짚으로만든개 처럼취급한다. - “도덕경”, 제5̀̀장 -

좌망(坐忘)

좌망은‘앉아서잊는다.’는뜻이다.

기(氣)

장자가 언급한‘기’는 도교 사상

은 물론이고 훗날 성리학자들에

도영향을끼쳤다.

‘짚으로만든개’

고대 중국에서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된 것으로, 제사가 끝나면

쓸모가없어버려졌다.

지존무상(至尊無上)과같은의미이며, 가장높아더이상이없다는의미이다.

[예시답안]나의입장만고려하고상대의처지를고려하지않았기때문일것이다. 내가좋아하기때문에상대도선호할것이라고생각하고행동할때상대는오히려불편해하고겸연쩍어하게된다.

[예시답안]혼돈에게구멍을만들어준다는이야기는자연성을없애고인위적인것이가미된다는의미를지닌다. 이러한인위적인행동으로‘자연’은죽음에이르게된다. 인간중심적인교만함을버리고인간도자연의일부라는겸손함을지닐때인간과자연은바람직한관계를형성할수있다.

[지도상유의점]도가·도교사상의사상적특징을기술하되, 현실 생활의윤리적측면과연관하여언급한다.

Ⅱ단원별지⑦참조

215교과(2-4-1,2) 2014.1.2 5:29 PM 페이지105 mac02 T

Page 11: 도가·도교윤리사상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윤리와...[자료더하기]장자는노자의사상 을계승하면서도, 특히주관적편 견과선입견에서벗어난개인의정

106 ㅣⅡ.동양과한국윤리사상

‘짚으로만든개’라는말속에는‘개의치않다.’, ‘특별한의미가없다.’는뜻이담

겨있다. 하늘은만물에대해의미를부여하거나편애하지않고우주전체의조

화로운원리에따라순리대로움직일따름이라는것이다. 장자역시이러한자

연의이치나순리는그누구도어길수없으며, 만약이를어기면괴로움과고

통이따른다고주장하였다.

ㅣ도교에서강조하는바람직한삶의모습ㅣ

황로학파는자연계와인류사회는하늘과땅, 여름과겨울, 낮과밤, 군주와신하,

아버지와아들이음양으로양분되어상호모순적관계를맺고있다고보았다. 그러나

이러한모순은상호의존적관계이기때문에서로조화를이루어야한다고주장하였

다. 이러한황로학파의사상은한나라초국가의기틀을바로잡고사회질서를유지하

는데유용하게활용되었다.

태평도와오두미교는착취와억압의현실적고통에서벗어나신선이되어‘영원히

사는것[長生不死]’을이상으로삼은도교의대표적인종파이다. 태평도는“태평경”

에서“억만금의재산을축적하고도가난한사람을구제하지않는사람은그죄를없

태평경(太平經)

태평도는 이 책의 이름에서 유

래한 것이며, “태평청령서(太平

淸領書)”라고도 한다. 오두미교

역시 이 책을 신봉하는 한 일파

이다.

다음은 좌망을 소재로 엮은 가상 대화이다. 읽고 아래 물음에 답해 보자.

1. 위대화에서눈으로보는감각작용이나무엇을판단하는지각작용이우리를구속한다고생각한까닭은무엇일까?

2. 친구와참된우정을쌓고자할때위대화가우리에게주는시사점은무엇인지써보자.

개별 모둠활동

- “장자”, ‘대종사편’-

스승님, 저는이제인(仁),의(義), 예(禮), 악(樂) 등을모두잊게되었습니다.

몸에서힘을빼어일체의감각을잊고, 몸과마음이텅비어도와하나가되는것입니다. 도와하나가되면시비선악에사로잡히지않고, 무한한자유를얻을수있습니다.

훌륭한일이다.그러나아직수양을더해야겠구나.

무엇을가리켜하는말이냐?

훌륭하구나!이제내가너에게서배워야겠구나.

스승님, 저는이제조용히앉아우리를구속하는모든것을잊어버릴수있게되었습니다.

하늘, 땅, 성인그리고도가만물과인간에제사를지낼때한번쓰고버리는“짚으로만든개처럼취급한다.”는말은무편무당(無偏無黨)하고한결같은관계를극적으로묘사한것이다.

[예시답안]도(道)에깊이이르기위해서는이지적이고관념적이고계산적이고논리적이고분석적이고합리적인마음을우선잊어야한다. 그런데이러한것들은모두우리의감각기관을통해형성된다. 이런것들에얽매인다면더큰단계에이를수없으며, 도가가추구하는자유의경지에도이를수없기때문이다.

[예시답안]먼저선입견과고정관념을버려야한다. 즉친구의배경, 외모, 성적등과같은외적인요소에집착하지말고마음을열고친구의진심을보려는태도, 또진심으로친구를대하려는태도를가져야한다.

[지도상 유의점]도가ㆍ도교 사상이 지나치게 신비주의 사상으로 흐르지 않도록 유의하고, 도교사상에나타난양생술(養生術)은가급적구체적으로다루지않도록한다.

[자료해설]장자는일체의감각이나사유활동을정지한채사물의변화에임하면[坐忘, 좌망],절대평등의경지에있는도가그빈마음에모이게된다[心齋, 심재]고하였다.

215교과(2-4-1,2) 2014.1.2 5:29 PM 페이지106 mac02 T

Page 12: 도가·도교윤리사상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윤리와...[자료더하기]장자는노자의사상 을계승하면서도, 특히주관적편 견과선입견에서벗어난개인의정

4. 도가·도교윤리사상ㅣ107

앨수없을것이다.”라고하면서수탈을일삼는권력층을비난하고가난한백성들의

마음을움직였다. 오두미교는의사(義舍)를지어그곳에쌀과고기를둔다음지나가

던행인들에게무상으로나누어주기도하였으며, 범죄에대해서도세차례용서를한

다음그래도고쳐지지않을때에는처벌하였다. 태평도와오두미교가지향한권선징

악의관념은민간신앙으로서백성들의삶에큰영향을미쳤다.

한편, 태평도와오두미교는신선이되기위한수련방법을제시하면서백성

들에게큰반향을일으켰다. 대표적인수련방법에는외단법(外丹法)과내단법

(內丹法)이있다. 외단법이란불로장생의약을만들어이를복용함으로써신선이

되는방법이다. 이러한약의개발은고대의학의발전에적지않은영향을주었

다. 내단법은주로호흡을가다듬는방법으로, 들숨과날숨을최대한천천히하

여몸에서흐르는기를자신의의도대로흐르게함으로써자신은물론다른사람

의병도낫게하는것이다.

청담사상은도가사상을형이상학적으로더욱발전시켰으며, 특히

왕필이후“도덕경”에대한연구가더욱활발하게진행되었다. 또한

현학자들이세속적인기득권을버리고고상한가치를추구한삶의모습은

신선에비견되기도하였다.

ㅣ한국의도가·도교사상ㅣ

도가·도교사상은일반적으로삼국시대에전래되어유교, 불교와함께삼교병립

분위기가형성되고, 고려시대에이르러삼교가상호교섭하였다고본다.

고구려의경우영류왕때노자의“도덕경”이강론되었다는기록이전해오지만, 이

보다앞서도가·도교사상이고구려의사회적지배계층은물론민간에

까지깊은영향을준것으로보인다.

백제에는도가·도교사상이언제전래되었는지알기는어렵다. “삼국

사기”에근구수왕이태자시절고구려의군대를격퇴하고이를쫓으려하

자백제의한장수가“족함을알면치욕을당하지않고, 그칠줄알면위태

롭지않다.”라는“도덕경”의구절을인용하여추격을거두게하였다는기

록으로볼때, 도가·도교사상은그이전에이미전래되어당시백제의전

통윤리에영향을미쳤음을짐작할수있다.

신라에서는“도덕경”등도가의경전을전수받아노장사상을익혀나아

갔다. 특히당나라에유학한학생들에의해신선사상을핵심으로하는도

교가전래되어유행하였다. 신라의도가·도교의모습은최치원의풍류도

▲산수무늬벽돌(백제)

신선 사상을 바탕으로 전개된 산수무늬의 특

징과 함께 산수화의 초기 양식을 반영하고 있

다. 하단에는수면을, 중간의넓은부분에는선

산(仙山)으로 추정되는 산악을, 상단에는 구름

이떠있는하늘을표현하고있다.

▲ 태극권이나 기공법도 도교의 수련 방법에서

발전한것이다.

‘의로운집’이라는뜻이다.

고구려의제27대왕. 동북쪽의부여성으로부터동남쪽바다에이르는 천리장성을 축조하기시작하였다.

백제 제14대 왕. 중국, 일본과 국교를맺었고,왕의 손자 진손왕과 함께 왕인을 일본에 보내기도했다.

인간이이세상에서육체를지닌채늙지도죽지도않을수있다는있다는사상. 진(晋)나라갈홍(葛洪)에 의해체계화되었는데, 선약(仙藥)이 제일중요시되었고, 양생설에서나온호흡법·방중술(房中術) 등은보조수단으로여겨졌다.

강의 tip_ 도교가한국에미친영향

무위자연

불로장생설

무병과 장수를 바라는 백성들의관심을끔

권선징악과 안심입명에영향을미침

[지도상유의점]도가ㆍ도교사상의특징이가지는현대적의의와함께한국전통사상에끼친영향에대해설명한다.

215교과(2-4-1,2) 2014.1.2 5:29 PM 페이지107 mac02 T

Page 13: 도가·도교윤리사상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윤리와...[자료더하기]장자는노자의사상 을계승하면서도, 특히주관적편 견과선입견에서벗어난개인의정

108 ㅣⅡ.동양과한국윤리사상

에대한언급에서볼수있다. 최치원은“풍류도가유교와불교는물론노자의사상과

같다.”라고하였는데, 이를미루어볼때도가·도교사상이유행하였음을알수있다.

이처럼삼국시대의도가·도교사상은불교와유교같은다른사상과특별히충돌

하지않았고, 서로다른종교일지라도배척하지않고다른여러사상을조화롭게수렴

하는전통으로자리매김하였다.

고려시대에는도교의식인재초 가자주거행되었다. 재초의형식은중국의도교

의례를따랐고, 재앙을물리치고국가의태평과민생안정의기원을목적으로하였다.

재초는이외에도하늘로부터왕권의정통성을인정받으려는목적도있었다. 또한인

간세상의길흉화복은하늘[天]이나신(神)의뜻에달려있다는당시사람들의세계관

을보여주었다.

고려시대의도가·도교사상은전쟁과질병, 재난등의극복을기원하는국가적인

도교행사를통해크게융성하였으며, 도교의음양, 오행 , 의술, 점성, 수경신(守庚

申) 등은도가·도교사상이민간에자연스럽게수용되는기반이되었다. 특히풍수지

리사상을수용하여자연과조화를이루려는신앙적측면을보이기도하였다.

조선시대유학자들은기본적으로도가사상을유학의전통에어긋나는이단으로

규정하였다. 이러한배타적인분위기속에서도소수의학자들은도가·도교사상을

이해하고수용하는포용적자세를보였다. 예를들어이이(李珥)는유교든도가든성

현의궁극적가르침은서로다르지않다고보았으며, 유교적관점에서“도덕경”을새

롭게 해석하여“순언(醇言)”을 집필하였다. 이처럼 조선 시대에는 표면적으로는 도

가·도교사상을권장하지않았지만, 이이와같은지식인들이이를꾸준하게연구해

왔음을추측해볼수있다.

재초(齋醮)

재(齋)는 심신을청정히하는것,

초(醮)는 단(壇)을 만들어 술과

음식을 바쳐서 신에게 제사 올

리는 것을 말한다. 신과 인간 사

이를 중개하는 도사(道士)가 의

식을주관한다.

오행(五行)

동양에서는 우주 만물의 기본적

인 구성 요소를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로 여기고,

이들이 상생(相生)과 상극(相剋)

을 통해 끊임없이 변화한다고

보았다.

도교의풍습, 수경신(守庚申)

우리나라의 전통 신 중 하나인 수경신은 사람의 몸 안에 있는 것으로, 여러 가지 해

로운 일을 하는 해충을 제거하거나 또는 약화한다. 이는 해충을 제거함으로써 불로장생

할 수 있다는 도교의 신앙에서 비롯되었다. 도교에서는 사람의 몸 안에 세 마리의 벌레

[삼시충(三尸蟲)]가 있는데, 이 벌레들은 60일마다 돌아오는 경신일 밤에 사람의 몸에서

빠져나가그동안사람이저지른죄를상제에게보고하여수명을단축시킨다고여겼다.

이러한 도교적 믿음으로 말미암아 사람들이 경신일 밤에는 잠을 자지 않고 밤을 새

움으로써 벌레들이 상제에게 죄를 보고하지 못하도록 하는 풍습이 생겨났다. 고려 원종

때에 이르러 이 풍습은 신분의 고하를 막론하고 널리 퍼지게 되었고, 조선 시대에는 더욱 성행하였다. 특히 왕이 직접 참여하는

궁중 행사로까지 발전하자, 유학자들이 이를 비판하는 간쟁(諫諍)을 올리기도 하였으나 이 풍습을 막지는 못하였다. 궁중에서 이

행사가폐지된것은조선영조때였으나, 민간에서는다양한방식으로지속되었다.

삼시도(三`尸`圖)

下尸

中尸

上尸

강의 tip_ 도가와풍수지리

도가

풍수지리

•인간과자연은구분되지않음•자연과인간이하나가되는삶을추구

땅에는 인간의 몸처럼 기운이흐르고있고, 인간의몸에기(氣)가 모이는 혈(穴)이있듯이, 땅에도 그러한 지점이있음

최치원의‘난랑비서문’에는풍류도에포함된“현묘지도(玄妙之道), 접화군생(接化群生)”이라는말이있는데, 그 말속에는유·불·도삼교가서로조화롭게공존하는우리민족의종교적인모습이나타나있다.

우주만물을만들어내는상반된성질의두가지기운. 양이햇볕이라면음은그늘을의미한다.

-조선시대유학자들의도가이해. Ⅱ단원별지⑧참조

215교과(2-4-1,2) 2014.1.2 5:29 PM 페이지108 mac02 T

Page 14: 도가·도교윤리사상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윤리와...[자료더하기]장자는노자의사상 을계승하면서도, 특히주관적편 견과선입견에서벗어난개인의정

4. 도가·도교윤리사상ㅣ109

조선시대의도가·도교사상은민간신앙이나의학, 민간풍습등

에도많은영향을미쳤다. 특히북극성을추종하며형성된성수신앙

(星宿信仰)은 우리나라 특유의 신앙으로 형성·발전하였으며, 민간

에서가신(家神)의하나로숭배되는칠성신 은바로도교적성수신

앙의직접적인영향을받은사례이다. 또한수련적도교는본래예방

의학적인양생법으로조선시대의성리학자들도큰관심을기울였고

“의방유취(醫方類聚)”, “동의보감(東醫寶鑑)”과 같은 의학 서적에도

도교적요소가수록되는등도교사상의영향력을찾아볼수있다.

한편, 유교·불교·도교삼교를묘합하여선행을권장하는선서

(善書)가조선초부터대한제국때까지널리보급되었다. 그중선행

[功]과악행[過]을각각점수로매기는‘공과격(功過格)’이널리유포

되어권선징악의생활윤리를실천하는데일조하였다.

ㅣ도가·도교사상이우리에게주는교훈ㅣ

도가·도교 사상은 한국의 전통 사상에 깊은 영향을 끼쳤을 뿐만 아니라, 현대

사회가안고있는병리현상을치유할수있는윤리와사상으로서시사점을준다.

첫째, 우리가궁극적으로추구해야하는가치가무엇인지를일깨워주었다. 도가는

제도와문명등의인위적가치를부정하고, 외형에이끌려사물의본질을보지못하는

1993년 12월 12일, 부여에서 발굴된 백제 금동 대향로는 백제는 물론‘한국의 미’를 대표하는 걸작으

로 알려져 있다. 발굴 당시 이 향로는 워낙 탁월한 예술성과 완벽한 조형성을 두루 갖추고 있어서 그 이

름을 짓기도 까다로웠다. 수많은 논의와 고심 끝에‘금동 용봉 봉래산 향로’라는 이름이 처음 지어졌다.

봉래산(蓬萊山)은 사마천의“사기(史記)”등의 기록에영주산(瀛洲山), 방장산(方丈山)과 더불어삼신산(三神山)

의 하나로 소개되어 있으며, 중국 한대(漢代)에 유행하던 도교 사상을 상징한다. 백제 금동 대향로의 뚜껑은 도

교의이상향인삼신산을표현한것인데, 중국 한나라에서는‘박산로(博山爐)’라고하여이와같은형태의향로

가널리유행된바있다. 그래서 백제금동대향로가백제인의작품이아니라중국에서제작된것이라는

추정이있어온것도사실이다.

그렇지만 백제금동대향로는중국향로에서는찾아볼수없는독창적인조형성을갖추고있다고평

가받는데, 그 이유는 바로 향로의 몸체를 이루는 연꽃 때문이다. 연꽃은 다름 아닌 불교의 상징으로

‘극락세계에서 연꽃이 만물을 탄생시킨다[蓮花化生].’는 불교적 생성관을 보여 준다. 즉 연화화생의 기운으

로향로뚜껑에솟아있는 74개의산봉우리가불꽃처럼일어난다는실로놀라운상상력을보여주고있는데, 도교와불교가서로

융합되어조화를이루는모습은바로백제의문화적토양에서만가능한발상으로이해되고있다.

- ◯`◯ ̀일보, 윤용희국립부여박물관학예연구사 -

▲백제금동대향로

유물 속에 깃든 도가·도교 사상

칠성신(七星神)

북두칠성을 숭배하여 인격화한 신으로, 인간의 수명과

재물을관장하고비를내리게하는신이다.

성수 신앙에서는 북극성 이외에도 북두성, 남두성, 문창성, 삼태성등의별들을경배한다.

조선세종때왕명으로편찬된동양최대의의학사전

권선징악(勸善懲惡)적인도교의서적. 일상생활을선(善)인공(功)과악(惡)이되는과(過)로나누어도덕률, 곧격(格)에따라처신할것을가르쳤다.

자하문. Ⅱ단원별지⑧참조

[지도상유의점]도가ㆍ도교사상이윤리의식에끼친긍정적영향에대해발표해보게한다.

오래살려고몸과마음을편안히하고병에걸리지않도록노력함.

강의 tip_ 도교의신앙대상•옥황상제→길흉화복주재•칠성신→수명과재물관장•조왕→부엌에서부녀자의소원을들어줌

215교과(2-4-1,2) 2014.1.2 5:29 PM 페이지109 mac02 T

Page 15: 도가·도교윤리사상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윤리와...[자료더하기]장자는노자의사상 을계승하면서도, 특히주관적편 견과선입견에서벗어난개인의정

현상을지적하였다. 세속적이고물질적인가치보다자연적이고정신적인

가치가더욱중요하고우선시되어야한다는점을일깨워주었던것이다.

둘째, 인간은자연적존재로서자연의이치에순응하며자연과더불

어살아가야함을강조하였다. 노자는인간의과도한욕망을절제하고

무위자연의삶을살아야한다고강조하였는데, 이는장자는물론이후

의도교사상에서도공통으로찾아볼수있는특징이다. 오늘날인류가

당면하고있는환경문제는자연적존재로서의인간자체를망각하고,

인간 자신의 욕구 충족만을 추구하면서 발생한 것이다. 도가·도교의

사상은이러한문제들을해결할수있는사상적실마리가될수있다.

셋째, 착한일을권장하고나쁜일은응징하는권선징악의정신을심어주었다. 장

자는아집에서비롯되는분별과대립, 편견을버려야한다고강조하였다. 이는자신의

이익만을생각하지않고, 남의처지와형편을생각하고돕는이타적인정신으로발전

하였다. 특히도가·도교의전개과정에서드러난권선징악의정신은불안정한사회

질서속에서도인간성을유지하는근간이되었으며, 이후우리나라문화와풍습에도

깊은영향을주었다.

110 ㅣⅡ.동양과한국윤리사상

▲ 도가·도교 사상을 비롯한 동양 사상은 인간과

자연의조화를추구한다.

노자와을지문덕

도가 사상이 일찍이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유행하였다는 점을 짐작하게 하는 단서가 있다. 다음 (가)는

“도덕경”의일부내용이고, (나)는 수(隋)나라의 우중문(于仲文)이 30만 대군을이끌고고구려를침략했을

때고구려의을지문덕장군이그에게보낸시이다.

위의 두글을통해을지문덕장군이도가사상에깊은조예가있었음을짐작할수있다. 을지문덕장군은인위적인행위인전쟁

을하지않고적을물리치고자“도덕경”에서볼수있는‘만족을앎[知足]’을인용하여적장우중문을회유하였다. 그러나우중문이

이에응하지않자물이지닌위력을활용하여수나라의야욕을꺾었다.

(가) •도(道)로써군주를보좌하는사람은무력을써서세상에군림하는일이없어야한다. 무력을

쓰면반드시그대가가있기마련이어서군사가주둔하는곳에는가시엉퀴가자라나고, 큰

전쟁뒤에는반드시흉년이온다.

•만족할줄알면[知足] 수치를겪지않으며, 그칠줄알면위태로움이없어오래갈수있다.

•세상에물보다더약한것은없으나굳고강한것을공격하는데이보다앞서는것이없다.

(나) 신기한책략은하늘의이치를다했고[神策究天文],

오묘한계획은땅의이치를다했노라[妙算窮地理].

전쟁에이겨서공(功) 이미높으니[戰勝功旣高],

만족함을알고[知足] 그만두기를바라노라[知足願云止].

을지문덕동상▶

노자가제시한욕망절제의가장좋은방법은‘족함을아는것[知足]’이다.

[자료해설]612년(영양왕 23년) 수나라의우중문이 100만대군을이끌고고구려를쳐들어왔을때, 고구려는요동지역에서잘방어를하였다. 우중문은30만별동대를구성해고구려를직접공격했는데, 을지문덕은이를역이용해평양까지수나라군대를유인했다. 결국수나라군대는평양근처까지도착했으나군량보급이떨어져곤경에처했다. 이때을지문덕은우중문에게위와같은시를보냈다. 이시를본우중문은자신이속은것을깨닫고급히후퇴했다. 하

지만이미을지문덕은이사실을알고살수(지금의청천강으로추정)에서매복하고있다가수나라군대를대파했다. 이전쟁(살수대첩)은수나라가멸망하는데큰원인이되었다.

215교과(2-4-1,2) 2014.1.2 5:29 PM 페이지110 mac02 T

Page 16: 도가·도교윤리사상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윤리와...[자료더하기]장자는노자의사상 을계승하면서도, 특히주관적편 견과선입견에서벗어난개인의정

4. 도가·도교윤리사상ㅣ111

(가)의 입장을 바탕으로, (나)의 이야기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을 이야기해 보자.

개별 모둠활동

(가) 천하에도가있으면준마도농사를짓고, 천하에도가없으면군마가성밖의전쟁터에서새끼를낳는다. 만족할줄

모르는것보다더큰화는없고, 얻으려고만하는욕심보다더큰허물은없다. 그러므로있는그대로를만족할줄알

면언제나부족함이란없다. - “도덕경”, 제4̀6̀장 -

(나) 바흠의발걸음이차츰무거워졌다. 몸은땀투성이가되었고구두

를벗은발은찢기어걷기조차힘들었다. 좀쉬고싶었지만늦게

들어가면한뼘의땅도차지할수가없었기때문에앉아서쉬지도

못했다. “큰일이야, 실패할지도 모르겠어! 만약 늦으면 어떡하

지?”바흠은입이바싹마르고두다리는천근만근이나되는듯이

무거웠다. “그래, 내가너무욕심을부렸나봐!”그래도바흠은죽

을힘을다해달렸다.

…̀…바흠은쓰러지면서도돈이든모자를움켜쥐었다. “허어,

장한일이오! 땅을완전히잡으셨소!”촌장이소리쳤다. “주인님!”

하인이쓰러진바흠을부축하였다. 그렇지만바흠의입에서는피

가쏟아져나왔다. 바흠은그렇게죽어갔다. “쯧쯧, 이렇게죽다

니.”사람들이혀를차며안타까워했다. 하인이괭이를가지고바

흠의머리끝에서발끝까지그가묻힐만큼의땅을파기시작하였다. 그의키만큼의땅이그가차지할수있는땅의

전부였다. - 톨스토이, “사람에게는얼마만큼의땅이필요한가”-

넷째, 자연과학과의학의발전에크게이바지하였다. 노자는하늘이세상을만들

었고인간사를주재한다는전통적관념에서탈피하여하늘은자연의일부분에지나

지않으며, 우주만물은도에의해생성된다는점을역설하였다. 나아가장자는우리

가지닌선입견과고정관념에서벗어날때사물의참모습을알수있다고하였는데,

이러한도가사상은이후자연과학의발전에영향을끼쳤다. 아울러도교는질병을

치유하고불로장생하는신선이되기위한많은수련법을제시하였는데, 이는인간의

건강한정신과육체를유지하는방책이되었고, 의학의발전에도기여하였다.

끝으로, 도가·도교사상은기존의틀에얽매이지않는자유로운예술정신

을불어넣어주었다. 노자가강조한자연의소박함이나장자가추구한자유로

운정신적경지는위·진시대이후예술가들의창작활동에깊은자극과영감

을주었다. 동양화에서는형형색색의화려함이거의없는담백한채색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창작의대상으로자연의아름다움을주로묘사하였다. 이는질

박함속에서진정한아름다움을찾고자했던도가의정신을반영하고있다. ▲남송시대마원, ‘산경춘행도(山俓春行圖)’

쯧쯧, 이사람키만큼이이사람의

땅이군.

Ⅱ단원별지⑧참조

[자료해설](나)는‘과연사람에게는얼마만큼의땅이필요할까?’라는물음을통해욕심을내지말고자기분수에맞게살아야한다는평범한진리를쉽고잔잔하게깨우쳐주고있다.

215교과(2-4-1,2) 2014.1.2 5:30 PM 페이지111 mac02 T

Page 17: 도가·도교윤리사상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윤리와...[자료더하기]장자는노자의사상 을계승하면서도, 특히주관적편 견과선입견에서벗어난개인의정

명화 / 사진 / 영화 속

윤리이야기 ‘매트릭스(The Matrix)’에담긴도가·도교사상

112 ㅣⅡ.동양과한국윤리사상

모피어스: 자네는꿈의세계와실제세계를어떻게구분하는가?

현실같은꿈을꾸어본적이있나? 네오?

사물은 모두‘저것’아닌 것이 없고, ‘이것’아닌 것이 없다. 자기를 상대방이 보면‘저것’이 되는 줄 모르고, 자기가 자기에 대한 것

만알뿐이다. 그러므로‘저것’은‘이것’에서나오고, ‘이것’은‘저것’때문에생긴다고하였다. 이것이바로‘이것’과‘저것’이서로생겨

나게한다는방생설(方生說)이다.

- 정선경, “태평광기선계와매트릭스가상현실의공간이동에주목하여”-

기계가통제하는세상이현실세계보다훨씬더진짜같다. 허름한

옷에묽은죽으로식사를대체하는현실생활보다허상이지만기억력

이삭제되고모든생활이통제되는매트릭스의그럴듯한세상이더현

실적일수있다. 눈앞에펼쳐진사물은허상일지언정시각적화려함이

즐거움을더해주고미각적달콤함이현실처럼느껴진다. 그래서사이

퍼는이성보다감성에무게를두고매트릭스가이세상보다더진짜

같다고하는것이다. 영화 1편에서모피어스는네오에게이런질문을

던진다.

이대사는장자에나오는꿈과현실에대한호접몽(胡蝶夢) 이야기

를연상시킨다. 만물은다를바없이하나와같음을역설하는제물(齊

物)에서물화(物化), 즉실재하는것의변화를이야기한다. 모든사물

은변화하며영원한것은도(道)일뿐이니, 현실과초현실은하나의연

장선위에존재할수있다.

현실과비현실에관한영화속두인물의대화는분별과대립을초월한자유로운정신적경지를추구한“장자”의다음구절

을연상시킨다.

네오: 이건현실이아닌가요?

모피어스: 현실이뭐지? 현실을어떻게정의내리나? 만일 느끼고맛보고냄새맡고보는것을현실이라고한다면현실은그저뇌

에서해석해받아들인전자신호에불과해.

▲영화‘매트릭스’의한장면

사이퍼: 난 이 고기 요리가 실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 내가

이 고기 한 점을 입에 넣으면 매트릭스가 내 뇌에 이 고기는 맛

있고촉촉하다고이야기하는것인줄알고있단말이야.{ }

{ }

{ }

▲호접몽(胡蝶夢)

호접몽은 꿈속에서 장자가 나비가 되어 날아다니다가 깬 후 자

기가 꿈에서 나비가 되었던 것인지, 나비가 꿈에서 장자가 되었

는지모르겠다고한이야기에서비롯된말이다. 일반적으로현실

과꿈의구별이안되거나인생의덧없음을비유할때사용한다.

앤디위쇼스키, 래리워쇼스키감독, 1999년개봉. 매트릭스(matrix)는 여자의‘자궁’을뜻하는용어로, 영화속의배경이되는가상공간을가리킨다. 미래세계를배경으로두뇌속의기억을조작하여인간을지배하려는인공지능컴퓨터와이에대항하는인간들간의대결을그리고있다.

215교과(2-4-1,2) 2014.1.2 5:30 PM 페이지112 mac02 T

Page 18: 도가·도교윤리사상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윤리와...[자료더하기]장자는노자의사상 을계승하면서도, 특히주관적편 견과선입견에서벗어난개인의정

4. 도가·도교윤리사상

중단원갈무리

내용정리문제

다음빈칸에들어갈알맞은말을각각써보자.

⑴도가사상은 를사상의근본개념으로삼고있다. 도

⑵ 이란인위적인일을하지않고자연의이치에순응한다는의미를담고있다. 무위자연

⑶장자가주장한 이란‘조용히앉아자신을구속하는일체를잊는다.’는의미를지닌다. 좌망

⑷ 이란위·진시대현학자들이행한논변을말한다. 청담

⑸위·진시대부패한정치권력과세속으로부터탈피하여안심입명을추구한일곱현학자를 이라고한다.

⑹선행을권장하기위해선행과악행을점수로매기는도교의서책을 이라고한다. 공과격

1

4. 도가·도교윤리사상ㅣ113

다음진술을검토하고, 틀린부분은바르게고쳐보자.2

검토내용

⑴도가와도교는그근원이서로다른학파이다. ○ / ×

○ / ×

○ / ×

○ / ×

○ / ×

⑵소국과민이란노자가주장하는이상사회의모습이다.

검토결과 바로잡음

⑶심재란‘마음을깨끗이비운다.’는의미의도가수양방법이다.

⑷황로학파는황제와노자의사상만을계승하였다.

⑸청담사상에따르면, 모든현상의기초가되면서만물을하나로통

합시키는궁극적인원리는도이다.

관련있는것끼리서로연결해보자.

⑴오두미교 ㉠사물과나는구별없이하나이다.• •

⑵물아일체㉡국가의태평성대와민생의안정을위해거행된고려시대의

제사의식이다.• •

⑶재초㉢착한일을하면질병이낫고영원히죽지않는신선이될수

있다.• •

3

⑷상선약수 ㉣으뜸이되는선(善)은물과같다.• •

다른→같은

청담역시도가의사상을기초로형성된사상이다.황로학파는황제와노자의사상을계승하고, 유가, 법가,묵가등의학파가지닌일부관점을수용하였다.

죽림칠현

215교과(2-4-1,2) 2014.1.2 5:30 PM 페이지113 mac02 T

Page 19: 도가·도교윤리사상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윤리와...[자료더하기]장자는노자의사상 을계승하면서도, 특히주관적편 견과선입견에서벗어난개인의정

장자는“우주만물은한필의말과같다.”라고하였다. 사물의관점에서보면

만물과말은분명서로다른별개의실체이지만도(道)의관점에서보

면하나일수밖에없다. 따라서우리는사물의한쪽만보는대립적사고

나고정관념의틀에서벗어나더높은차원에서사물의참모습을전체적으로바라볼수있는직관과통찰력을가

져야한다. “장자”에는다음과같은이야기가있다.

어느날, 장자가혜자와함께한호수의다리위를거닐며대화를나누었다.

장자: 물고기들이한가롭게놀고있으니, 이것이물고기들의즐거움이겠지?

혜자: 자네는물고기가아닌데, 어찌 물고기의즐거움을알수있는가?

장자: 자네는내가아닌데, 어떻게내가물고기의즐거움을모른다는것을

알수있는가?

혜자: 나는 자네가 아니니까 물론 자네를 모르지. 그렇다면 자네도 물고기가

아니니까자네가물고기의즐거움을알지못한다는것은확실하네.

장자: 자, 처음으로 돌아가 보세. 자네는 내게‘어찌 물고기의 즐거움을 알 수 있냐’고

물었지. 이 말은 자네가 이미 내가 물고기의 즐거움을 안다는 것을 알고 물은 것이네. 나는 지금

이호수의다리위에서물고기와일체가되어그즐거움을알고있는것이라네. - ‘추수(秋水) 편’-

장자의논지를살펴보면, 혜자는장자가아니면서장자가안다는것을알았던셈이니, 장자역시물고기가아니

지만물고기의즐거움을알수있다는말이된다. 여기서우리가주목할점은혜자가장자와물고기둘사이는소

통할수없는별개의사물이라는논리를펴고있는데반해, 장자는이런고정관념을넘어선경지를이야기하고

있다는사실이다. 다시말해장자가물고기의즐거움을안다고한것은그것이논리나인식론의문제가아니라직

관적체험을통해나와만물이하나가될수있음을시사한것이라고볼수있다. 형식적인논리에얽매여서는만

물과내가하나라는참된인식에도달할수없다는것이다. 우리에게익숙한다음이야기도인간의선입견과편견

을재치있게풍자하고있다.

옛날에 원숭이를 기르는 사람이 그 먹이로 도토리를 주면서“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를 주겠다.”라고 하였다. 그러자 원숭

이들은 모두 화를 냈다. “그러면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를 주겠다.”라고 말하였다. 그러자 원숭이들이 모두 기뻐하였다. 그

명분이나 실제 내용은 달리진 것이 없는데도 원숭이들은 모두 화를 내다가 기뻐하였다. 있는 그대로를 인정해야 한다. 그러므로

성인은옳고그름의양극을조화시킨다. - ‘제물(齊物) 편’-

장자는 노자와 함께 도가를 대표하는 사상가이다. 장자의 사상이 담겨 있는

“장자”는 동양 고전의 백미로서 사상사뿐만 아니라 문학사에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후세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노자의“도덕경”이 간략한 어록이나 시

(詩), 산문형식인반면, “장자”는주로풍자나해학과같은우화형식으로이루

어져 있으며, 우리에게 외물(外物)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살아가는 삶을

일러주고있다. 우리는“장자”를통해그동안맹목적으로추종해온고정

관념, 차별과 분별 의식 등이 얼마나 부질없는 것인가를 깨달을 수 있

으며, 도가에서추구했던절대자유의경지에대해생각해보게될것

이다.

장자와“장자(莊子)”

인물과고전을말하다

114 ㅣⅡ.동양과한국윤리사상

215교과(2-4-1,2) 2014.1.2 5:30 PM 페이지114 mac02 T

Page 20: 도가·도교윤리사상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윤리와...[자료더하기]장자는노자의사상 을계승하면서도, 특히주관적편 견과선입견에서벗어난개인의정

도토리는아침에세개를받든, 네개를받든총일곱개

라는양에는변함이없다. 문제는자신이받을혜택전체

를보지못하고눈앞의현실에만급급한원숭이의감정에

있는것이다. 이점에서는인간또한마찬가지이다. 인간

의감정이만들어낸모든대립개념은일시적인현상일

뿐, 자연의흐름전체를놓고보면달라질것은아무것도

없다.

그러나인간은작위(作爲)와분별을통해얻은지혜[小

知]를참된것으로알고언제나자신이옳고현명하다는아집(我執)에사로잡혀있다. 다음이야기는인간의자기

중심적사고와편견이자연의흐름을방해하는어리석음을풍자하고있다.

옛날 바닷새가 노나라 도성 밖에 날아와 앉았다. 왕이 이 새를 친히 종묘 안으로 데리고 와 술을 권하고, 음악을 연주해 주며,

소와 돼지, 양을 잡아 극진히대접하였다. 그러나 새는어리둥절해하고슬퍼할뿐, 고기 한 점 먹지를않고술도한잔마시지않

은채사흘만에죽고말았다. - ‘지락(至樂) 편’-

인간의관점에서보면, 왕이바닷새를극진히대접한것으로생각할수있지만바닷새는바닷새그자체로인

정해야한다. 만약바닷새를인간의인식세계로끌고와인간의가치기준에맞게변형한다면바닷새가지닌

본연의가치는상실되고마는것이다. 가치가상실되는정도가아니라새를죽이는일이되는것이다.

“장자”에서는일관되게이점에대해이야기하고있지만인간은이분법적사고나고정관념을쉽게버리기

어렵다. 그이유는무엇일까?

우물 안의 개구리에게는 바다를 이야기할 수 없으니, 한곳에 갇혀 살기 때문이다. 여름 벌레에게 얼음을 이야기할 수 없으니,

한철에매여살기때문이다. 마음이굽은선비에게도(道)를 이야기할수없으니, 한 가지가르침에얽매여살기때문이다.

- ‘추수(秋水) 편’-

그러므로마음을깨끗이비우고, 자신을구속하는일체의틀에서벗어나야한다. 이것이가능할때대립적인사

고나고정관념에서벗어나너와나를따져차별하지않을수있다. 또한삶과죽음에선을긋지않으며, 시작과끝

에연연하지않게되며, 주관에서벗어나만물과더불어조화를이루고살아가는자유로운영혼을지닌존재로거

듭날수있다. - 오강남, “장자”-

윗글에서가장감명깊게읽은부분에밑줄을긋고, 그 내용이우리에게주는교훈을써보자.

4. 도가·도교윤리사상ㅣ115

[활동길잡이]다음과같이이야기의특색을정리하여학생들에게제시하고, 자신이생각하는이야기의교훈을발표할수있도록분위기를조성한다.

물고기즐거움이야기

조삼모사이야기

노나라새이야기

우물안개구리이야기

‘인간이다른사람을진정으로이해할수있는가’라는문제를토론하면서이이야기를들려주었다고한다. 우리가남을제대로이해하기위해서어떤자세를지녀야할지를들려주는이야기이다.

인간들이사물의양면을동시에보지못함과, 궁극실재가하나임을모르는것을지적한철학적·종교적의미를함축한이야기이다.

각자에게는천부의본성이있는것. 이를무시하고새를사람으로여겨서는안된다는뜻이다. 남처럼되는것이아니라각자의본성그대로살고본성을계발하는것이중요하다.

우리눈에보이는현상세계만이유일한실재요, 그이상의세계란있을수없다고믿고있는우리들을두고하는이야기이다. 또, 자신이속한사회, 사상, 종교만이최고의진리라고주장하는사람들의이야기일수도있다.

학생스스로직접활동할수있도록지도한다.

215교과(2-4-1,2) 2014.1.2 5:30 PM 페이지115 mac02 T

Page 21: 도가·도교윤리사상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윤리와...[자료더하기]장자는노자의사상 을계승하면서도, 특히주관적편 견과선입견에서벗어난개인의정

Ⅱ단원별지⑦

보충자료

▶`장자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98쪽

“장자라는 사람은 몽인(蒙人)으로서, 이름은 장주라고 불렸

고양혜왕과제선왕시대의사람이다. 그의학문은살피지않은

것이없을정도로박학다식하였다. 그러나그기본정신은노자

의설에귀속되어있다. 그는저서에우화를많이썼다.”

- 사마천, “사기(史記)”‘노장신한열전’-

▶`무위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99쪽

‘무위’라는 것은“도덕경”과“장자”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행

동원리이다. 여기서무위란‘행위가없음(non-action)’이다. 그

러나가만히앉아서무위도식하거나빈둥거린다는뜻이결코아

니다. 무위란보통인간사에서발견되는인위적행위, 과장된행

위, 계산된행위, 쓸데없는행위, 남을의식하는행위, 자기중심

적행위, 부산하게설치는행위, 억지로하는행위, 남의일에간

섭하는행위, 함부로하는행위등의일체의부자연스러운행위

를하지않는다는뜻이다. 행동이매우자연스럽고자발적이어

서자기가하는행동이구태여행동으로느껴지지않는행동, 그

래서행동이라이름할수도없는행동, 그러한행동이‘함이없

는함’, 즉‘무위의위[無爲之爲]’라는것이다.

▶`물아일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00쪽

사물에대해우리가의식적으로옳다고하거나옳지않다고

할필요가없다. 막대기면막대기, 기둥이면기둥, 영희는영희

이므로, 우리가의식적으로분별할필요가없다. 개념적분별이

있으면성취가있고, 성취가있으면훼손이있지만, 순수경험

에서는 성취도 훼손도 없다. 따라서 달인(達人)은 분별을 피하

고순수경험에머무르므로거의도에가깝다. 그 지극한경지

에 머물러 있으면서도 머물러 있다는 것을 모른다. 이 경지에

이르면 서로 다른 사물일지라도 우리의 인식상으로는 사실상

이미구별이없어진다. 이 경지에이르면“천지는나와더불어

표로정리하는단원핵심

주요개념및내용해설

Ⅱ. 동양과한국윤리사상

4. 도가·도교윤리사상

<핵심 1> 도가의핵심용어

도천지 만물을 창조·운행·발전시키는 실체이자 원리를

말함

무위자연사람의힘이가해지지않은자연그대로의상태를의미

물아일체 모든사물은나와다를바없이하나임

상선약수 가장이상적인무위자연의삶의모습→“겸허와부쟁”

좌망 조용히앉아자신을구속하는일체를잊음

심재 자기중심적인마음을버리고깨끗이함

<핵심 2> 도교사상의전개

한나라초

황로학(黃老學)의유행→황제와노자의사상을근간으

로유가, 법가, 묵가등의사상을수용하고, 무위사상을

개조·보충함으로써백성이질서와안녕을누리는사회

를염원함

한나라말

태평도와 오두미교의 등장 → 정부의 통제력이 약화되

고탐관오리의학정이극으로치닫는사회속에서백성

들에게위안과희망을줌

위·진

시대

현학자들에의해청담사상발전→우주론적이고형이

상학적인문제에대해견해를주고받음

<핵심 3> 한국의도가·도교사상

삼국시대

•유교, 불교와함께상호병립기를형성함

•영류왕의“도덕경”강론, 근구수왕의“도덕경”인용, 최치원의‘풍류도’에대한언급등을미루어볼때도가·도교사상이유

행하였음을짐작할수있음

고려시대

•재초자주거행: 국가의태평과민생의안정을기원

•음양, 오행, 의술, 점술, 수경신등은민간에자연스럽게수용되는기반이됨

•풍수지리사상을바탕으로자연과조화를이루려는신앙적인측면을보이기도함

조선시대•“의방유취”,“동의보감”에도교적요소가수록됨

•선행과악행을점수로매기는“공과격”이널리유포됨

215교과(2-4-1,2) 2014.1.2 5:30 PM 페이지116 mac02 T

Page 22: 도가·도교윤리사상viewpds.jihak.co.kr/tsoldb/교과서별/고_윤리와...[자료더하기]장자는노자의사상 을계승하면서도, 특히주관적편 견과선입견에서벗어난개인의정

Ⅱ단원별지⑧

생겼고만물은나와더불어하나임”을깨달을수있다.

`▶‘짚으로만든개’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05쪽

하늘과땅그리고성인, 따라서이들로대표되는도는인간의

감정에좌우되어누구에게는햇빛을더주고누구에게는덜주

는등의일을하지않는다는뜻이다. 모든것은우주전체의조

화로운원리와의상관관계에따라순리대로되어갈뿐이다. 도

는이처럼한결같아서도를향해나를더사랑해달라고조르

거나간구할수도없고그럴필요도없다. 도는우리의변덕스

러운이기적요구사항에죄우되지않으므로오직한결같은도

의근본원리에우리자신을맡기고쓸데없이속을태우며조급

하게굴지않는태도를갖는것이바람직하다.

▶`조선시대의유학자들의도가이해 _______________________ 108쪽

조선시대의유학이념에서는“도덕경”을이단으로비판하는

것이기본입장으로확립되어있었다. 그러나“도덕경”에대한

평가에는상당히다양한입장이있었다. 16세기후반“도덕경”

에대해비판적입장을취한퇴계이황의태도와“도덕경”의상

당 부분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율곡 이이의 태도 사이에“도덕

경”을보는시각의차이가뚜렷하게나타났다. 이에비해조선

후기에 넘어와서는 유학자들 사이에“도덕경”에 대해 훨씬 자

유롭고 긍정적인 이해의 분위기가 확산되고, “도덕경”을 정밀

하게주석하는작업도활발하게일어나기시작하였다.

▶`자하문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09쪽

경주불국사의자하문은750년경에세워졌다. 그후여러차

례의중건, 중수를거쳐 1966년크게보수되었다. 청운교와백

운교를 올라 자하문을 들어서면 그 곳으로부터 대웅전을 비롯

한불국토가전개된다. 이름을자하(紫霞, 붉은노을)라고한것

은부처님의광명을형용한것이다. 그런데자(紫) 자는보랏빛

을 의미하는데, 보랏빛은 신령스러운 최상단의 색으로 신선술

에서는하늘과땅을잇는색으로간주되기도한다. 도교사상이

불교문화에도영향을준것이라고추측된다.

주는메시지는궁극적으로는쓸모가있거나없거나어느한쪽

에매여서는안되며, 쓸모있고없고를떠나아무런집착없이

자유로운경지를추구하라는것이다.

•사물은쓰기에따라쓸모있기도하고쓸모없기도하다. 언제

나쓸모있는것이란없으며, 또언제나쓸모없는것도없다. 가

령모든나무는기둥감이되어야한다거나, 굽은나무는땔감으

로밖에쓸데가없다고하는고정관념에서벗어나면, 어떤나

무든지쓰임새는무한하다. 굽은나무는대궐을짓는데재목으

로는쓸모가없지만꼬부랑할머니의지팡이로는쓸모가있다.

또감을따는연장으로도쓰고, 물을건널때그깊이를알아보

는잣대로도쓸수있는것이다. 따라서우리는머릿속에이미

형성된‘쓸모’로사물을보는것이아니라, 사물자체에서쓸모

를찾아내야한다.

성찰해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99쪽

1.라틴어속담에“입맛은변론할것이못된다.”라는것이있

다. 우리식으로 말하면‘제 눈의 안경’이다. 선악(善惡), 미추

(美醜), 우열(愚劣), 귀천(貴賤) 등은어떤가치기준으로재느냐

에따라결정되는상대적인개념에불과하다. 물론사람에게는

좋은직장을구하고, 아름다운사람과사귀는것이좋지만, 이

것을절대적인것으로주장하고모든가치판단의기준으로삼

을수는없다. 오히려다양성과다원을인정하고자신만의고유

한개성을만들어나가는것이더필요하다.

2.우리가모장과여희를미인이라고선망하지만물고기나새,

사슴은그미인을피하고싶을정도로추녀로느낄것이다. 진

정한 아름다움이란 우리 눈으로 감각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마음으로와닿는것이며기(氣)로써느껴지는것이다.

성찰해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11쪽

인간의욕망은마치목마른사람이마시는바닷물과같다고

한다. 마시면 마실수록 더 갈증을 느껴 결국 죽음에 이른다는

의미이다. 노자는만족할줄아는마음이개인적인안녕의차원

을넘어서전쟁과평화라는사회적·국가적문제와도직결되는

것으로보고있다. 더욱가지겠다는욕심, 만족할줄모르는마

음이싸움의원인임을지적한것이다.

나아가노자는한도모르고치닫는욕구, 가지면가질수록더

갖고싶은욕심을경계하고어느정도에서그만둘줄아는지족

(知足)의 마음이 중요하다고 본다. 욕망이란 만족할 줄 모르는

데서생기는하나의증상이므로증상만붙들고늘어질것이아

니라, 이런증상을치유하는근본적인치유로서만족할줄아는

마음을지닐때욕망은저절로없어지게된다는것이다.

단원열기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97쪽

•우리가흔히말하는‘쓸모있음’과‘쓸모없음’은모두가우리

의고정관념에지나지않는다. “집 짓는자들이버린돌이모

퉁이의머릿돌”이될수도있다. 위의이야기가우리에게전해

주요과제풀이

215교과(2-4-1,2) 2014.1.2 5:30 PM 페이지117 mac02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