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 1 - 목차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2. 연구방법 및 연구설계 3. 결론 3.1. 연구문제에 대한 결론 3.2.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2. 본론 : 자료분석 및 결과논의 2.1. 부산내성중학교의 독서교육 분석 2.2. 부산내성중학교 독서교육의 제시 생애독자의 양성을 위한 학교 독서교육 및 독서프로그램의 실질적인 기획 - 부산내성중학교를 중심으로 - 윤슬 차예리 최주연 정지윤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한국사회에서 독서와 관련한 뜨거운 감자 중 하나는 ‘독서교육’이다. 독서교육이란 말 그대로 책을 읽 는 것을 가르침으로써 학습자가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의미한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시행 되고 있는 독서교육은 순수하고 본질적인 모습보다 수단적이고 왜곡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독 서교육의 오류는 사실상 ‘왜 독서를 해야 하는가’라는 목적설정에 원인이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 기초 적인 작업을 정비하는 것이 우선이 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왜 학생들이 책을 읽도록 해야 하는가? 언어적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수능 언어영역에서 1등급을 받도록 하기 위해, 어린 나이에 교양적 지 식을 익힘으로써 교양인으로 성장하기 위해, 독서 측면에서 인정받음으로써 차별화된 인재로 인정받기 위해 등등. 독서를 해야 하는 이유는 다양하게 나열될 수 있지만, 교육의 의미와 독서의 의의를 고려 하여 보다 질적인 목적을 추구해야할 의무가 있다. 즉, 교육이 미성숙한 존재에게 지식을 학습시키고 능력을 개발시킴으로써 성숙한 존재로 변화시키는 것임을, 독서가 책을 통해 독자를 더 성숙한 존재로 변화시키는 것임을 기억해야한다. 미성숙한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은 그들의 삶 전반에 영향을 미 치는 것이고, 독자를 성숙하게 하는 독서는 단순한 읽기가 아니라 책을 통해 그들의 삶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결국, 독서교육은 청소년들에게 미성숙한 시기에 영향을 미치며 그들을 성숙하 게 하는 것이기에 수단적이고 왜곡된 모습으로 운영되는 것은 우려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우리는 교 육에서의 독서를 단순한 학습적 차원으로 받아들이기보다 장기적이고 총체적인 측면에서 신중하게 생 각하여 현재 독서교육의 문제를 극복하고 독서교육의 발전을 지향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해야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독서를 해야 하는 이유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은 ‘생애독자의 양성’이라고 할 수 있다. 생애독자는 어떻게 정의될 수 있는가? 생애독자에서 생애는 “살아 있는 한평생의 기간.” 1) 이라고 정의

생애독자의 양성을 위한 학교 독서교육 및 독서프로그램의 실질적인 …pnulis.com/wp-content/uploads/2017/08/6... · 되고 있는 독서교육은 순수하고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 1 -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1.2. 연구방법 및 연구설계

    3. 결론

    3.1. 연구문제에 대한 결론

    3.2.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2. 본론 : 자료분석 및 결과논의

    2.1. 부산내성중학교의 독서교육 분석

    2.2. 부산내성중학교 독서교육의 제시

    생애독자의 양성을 위한

    학교 독서교육 및 독서프로그램의 실질적인 기획

    - 부산내성중학교를 중심으로 -

    윤슬(차예리, 최주연, 정지윤)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연구목적

    한국사회에서 독서와 관련한 뜨거운 감자 중 하나는 ‘독서교육’이다. 독서교육이란 말 그대로 책을 읽는 것을 가르침으로써 학습자가 책을 읽을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의미한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독서교육은 순수하고 본질적인 모습보다 수단적이고 왜곡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독서교육의 오류는 사실상 ‘왜 독서를 해야 하는가’라는 목적설정에 원인이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 기초적인 작업을 정비하는 것이 우선이 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왜 학생들이 책을 읽도록 해야 하는가? 언어적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수능 언어영역에서 1등급을 받도록 하기 위해, 어린 나이에 교양적 지식을 익힘으로써 교양인으로 성장하기 위해, 독서 측면에서 인정받음으로써 차별화된 인재로 인정받기 위해 등등. 독서를 해야 하는 이유는 다양하게 나열될 수 있지만, 교육의 의미와 독서의 의의를 고려하여 보다 질적인 목적을 추구해야할 의무가 있다. 즉, 교육이 미성숙한 존재에게 지식을 학습시키고 능력을 개발시킴으로써 성숙한 존재로 변화시키는 것임을, 독서가 책을 통해 독자를 더 성숙한 존재로 변화시키는 것임을 기억해야한다. 미성숙한 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은 그들의 삶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고, 독자를 성숙하게 하는 독서는 단순한 읽기가 아니라 책을 통해 그들의 삶에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결국, 독서교육은 청소년들에게 미성숙한 시기에 영향을 미치며 그들을 성숙하게 하는 것이기에 수단적이고 왜곡된 모습으로 운영되는 것은 우려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우리는 교육에서의 독서를 단순한 학습적 차원으로 받아들이기보다 장기적이고 총체적인 측면에서 신중하게 생각하여 현재 독서교육의 문제를 극복하고 독서교육의 발전을 지향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해야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독서를 해야 하는 이유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은 ‘생애독자의 양성’이라고 할 수 있다. 생애독자는 어떻게 정의될 수 있는가? 생애독자에서 생애는 “살아 있는 한평생의 기간.”1)이라고 정의

  • - 2 -

    되며, 독자는 “책, 신문, 잡지 따위의 글을 읽는 사람.”2)이라고 정의된다. 즉, 생애독자는 살아 있는 한 평생의 기간 동안 책, 신문, 잡지 따위의 글을 읽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추구하고자하는 생애독자는 보다 상위적인 개념이다. 다시 말해 생애독자란 ‘한평생의 기간’동안 스스로 ‘글을 읽는’ 자발적인 독자뿐만 아니라, 자신만의 삶이 아닌 자신의 삶을 둘러싼 범사회적인 위치에서 독서의 중심이 되는 주체적인 독자라고 정의할 수 있다. “독자는 세상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를 가지고 있고, 자발적으로 동기를 부여하고 의미를 구성하고, 선택하며, 즐거움을 향유하는 주체이다.”3)라는 말은 이러한 생애독자의 정의를 보다 명확하게 해준다. 따라서 도서관인으로서 우리는 생애독자의 중요성을 숙지하고, 생애독자를 양성하기 위하여 노력함으로써 장기적이고 총체적인 측면에서 독서교육을 바라보며, 본질적인 측면에서 독서교육을 시행해야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독서교육에 대한 몇 가지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두 가지 연구경향을 파악할 수 있다. 첫째, 독서의 도구적인 목적을 강조하는 기존 독서교육의 한계와 문제점을 비판하지만 그들의 연구 역시 기존 독서교육의 시각을 탈피하지 못한다. 조윤경(2000)4)의 연구를 살펴보면, 기존 독서교육은 독서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지도하지 못하고 독서를 단순히 새로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긴다고 비판한다. 그러나 그의 연구결과는 독서의 본질적 즐거움을 실현하는 독서교육이 아니라 단순히 독서감상문쓰기, 독서감상화 그리기, 문장의 중요도 구분하기 등의 독후활동을 통한 교과형태의 독서교육을 제시하고 있다. 최영주(2010)5)의 연구를 살펴보면, 교과학습과 연계된 기존 독서교육을 받는 학생들은 독서를 부담스럽게 느끼고 낮은 흥미를 가진 독서생활을 한다고 비판한다. 그러나 그의 연구결과는 교과학습을 직간접적으로 원조해줄 수 있는 독서교육을 제시함으로써 독서를 하나의 교과로 바라보고 있다. 둘째, 본질적인 독서 또는 생애독자를 위한 독서교육에 대해 강조하는 연구의 경우에 그러한 독서교육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 및 모형이 제시되지 않거나 기존의 방법 및 모형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이삼형(2011)6)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생애교육으로서 독서교육에 대해 설명하면서 생애독자를 만들기 위해서 체계적인 독서교육과 의미있고 재미있는 독서경험으로서의 독서교육을 지향해야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이나 방식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김주상(2015)7)의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학교 독서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독서습관 형성을 목표로 기획되면서 독후양식 및 독서생활집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기에 바람직한 독후표현양식의 개발과 그로 구성된 독서생활집을 제작하여 학교 독서교육에 적용해야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그의 연구결과로 제시된 독서생활집의 구체적인 내용은 인물비교하기, 독서퀴즈만들기, 등장인물과 가상대화 혹은 인터뷰하기 등으로 기존 독후활동과 크게 차이가 없다. 따라서 하나의 공통적 매뉴얼을 만들었다는 데 의의가 있지만,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면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아쉬움을 보인다. 이렇게 기존 연구들을 살펴봄으로써 도구적인 목적의 독서교육에서 벗어나 본질적인 목적의 독서교육, 즉 생애독자의 양성을 위한 독서교육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말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독서교육에 대하여 기존 독서교육의 내용에서 벗어난 구체적인 방법 및 모형을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교육의 의미와 독서의 의의를 함의하는 ‘생애독자의 양성’을 기본목적으로 하여 학교도서관에서의 독서교육을 실질적으로 기획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독서프로그램이 실제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기획함으로써 사서교사의 업무에 대한 매뉴얼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전에 임의로 선정한 부산내성중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독서교육의 현황과 특성을 살펴봄

    1) 네이버 국어사전, ‘생애’2) 네이버 국어사전, ‘독자’3) 정옥년, 2007, “독서의 정의적 영역과 독자 발달”, 『독서연구』, Vol.17, p.139-180, 한국독서학회, p.1544) 조윤경, 2000, “독서교육의 실태와 독서교과 활용방안”,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5) 최영주, 2010, “교과과정과 연계한 학교도서관 독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6) 이삼형, 2011, “읽기(독서)에서의 교육 내용 위계화 : 생애교육으로서의 독서교육”, 『국어교육학연구』, 41(0): 29-52, 국어교

    육학회7) 김주상, 2015, “독서생활집을 활용한 바람직한 독후활동 방법 연구”, 『한국독서교육학회지』, 3(1): 99-127, 한국독서교육학회

  • - 3 -

    으로써 독서교육의 사례적인 현실을 살펴본 뒤, 부산내성중학교에 적합한 독서교육을 계획해봄으로써 학교도서관에 기반한 독서교육의 실현을 도모해보고자 하였다.

    1.2. 연구방법 및 연구설계

    본 연구는 양적연구방법인 문헌연구를 주 연구방법으로 하되, 양적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연구대상을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하기위해 질적연구방법인 면담을 추가적으로 활용하기로 한다. 연구대상은 임의로 설정한 부산내성중학교이며, 면담연구대상은 부산내성중학교 사서교사이다.

    2. 본론 : 자료분석 및 결과논의

    2.1. 부산내성중학교의 독서교육 분석

    구체적으로 독서교육을 계획하고 독서프로그램을 제시하기 전, 먼저 해당 학교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봄으로써 그 현황과 특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는 부산내성중학교에 적합한 독서교육을 계획하고, 효과적인 독서프로그램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 작업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다음에서 해당 학교 자체의 특성을 살펴보고, 해당 학교에서 실제로 이루어지는 독서교육의 모습을 살펴볼 것이다.

    2.1.1. 부산내성중학교의 특성

    부산내성중학교 자체의 특성은 외부적인 특성과 내부적인 특성으로 나눠살펴볼 수 있다.

    2.1.1.1. 부산내성중학교 외부적 특성

    부산내성중학교가 어떠한 외부적인 특성을 가지는지 살펴보기 위해서는 지리적 특성8)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해당 학교는 동래구에 위치하기 때문에 부산교육대학교, 부산대학교 등의 대학도서관과의 접근성이 높은 편이며, 부산의 공공도서관들과 아주 높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의 접근성이 있는 편이다. 이를 통해서 해당 학교가 외부자원과 협력하는 것이 아주 어렵지는 않을 것이라고 유추해볼 수 있다.

    8) 네이버지도 ‘부산내성중학교’ http://map.naver.com/

  • - 4 -

    부산내성중학교

    그림 1 부산내성중학교의 지리적 위치

    2.1.1.2. 부산내성중학교 내부적 특성

    부산내성중학교가 어떠한 내부적인 특성을 가지는지 살펴보기 위해서는 부산내성중학교가 지향하는 교육관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해당 학교는 교육목표9)를 명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주목할 점은 ‘건강한 몸, 알찬 실력, 따뜻한 품성’을 가진 학생을 양성하기 위해 교육적으로 노력해야함을 제시한다는 점이다.

    그림 2 부산내성중학교 교육목표

    해당 학교는 경영 목표와 방침10)을 명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주목할 점은 ‘장점 지능을 계발하는 다양한 동아리 활동 및 방과후학교 운영’, ‘체험과 실천 위주의 진로 봉사활동’, ‘자율과 책임의 학생자지문화 활성화’에 초점을 둔 학교운영이 이루어져야한다는 점이다.

    9) 부산내성중학교 홈페이지-‘학교소개’ http://naesung.ms.kr/10) 부산내성중학교 홈페이지-‘학교소개’ http://naesung.ms.kr/

  • - 5 -

    그림 3 부산내성중학교 경영 목표 및 방침

    해당 학교는 학교장 경영관11)을 명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주목할 점은 ‘건강한 몸과 마음’을 가진 학생상과 ‘학교 교육에 참여하는’ 학부모상을 추구한다는 점이다.

    그림 4 부산내성중학교 학교장 경영관

    그리고 해당 학교는 내성인 인성덕목을 명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주목할 점은 끈기 덕목의 실천 방안으로 ‘진로교육을 통한 나의 꿈 찾기-진로체험활동을 통한 진로탐색능력 신장’을 고려하고, 자주 덕목의 실천 방안으로 ‘독서의 생활화 추진’을 고려하며, 도전 덕목의 실천 방안으로 ‘꿈을 가져라-진로교육과 연계한 다양한 진로 체험’을 고려한다는 점이다.

    11) 부산내성중학교 홈페이지-‘학교소개’ http://naesung.ms.kr/

  • - 6 -

    그림 5 부산내성중학교 내성인 인성덕목

    또한 해당 학교는 안전하고 행복한 학교를 위한 방안을 명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주목할 점은 교직원이 학생들을 ‘올바른 품성을 기르도록 지도한다’는 점과 ‘독서활동을 확대’하여 교육한다는 점이다.

    그림 6 부산내성중학교 안전하고 행복한 학교 방안

    2.1.2. 부산내성중학교의 독서프로그램 운영현황

    ‘느티나무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이 어떠한 운영 특성을 가지는지는 독서행사계획과 사서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살펴볼 수 있으며, 이를 장점과 단점으로 나눠살펴볼 수 있다.

  • - 7 -

    먼저 독서행사계획을 살펴보면, 매달마다 주제를 선정하여 그 주제의 특성에 맞는 독서교육을 운영하고 있었으며, 그 달 안에서도 매달마다 각각 다른 독서프로그램 행사가 진행되고 있었다.

    그림 7 느티나무도서관 독서행사 계획

    느티나무도서관에서 운영하는 독서행사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며, 흥미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몇몇 프로그램의 경우,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하여 제시되기에 책과 독서에 대한 친숙함을 유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보여줄 수 있는 몇 가지 프로그램 내용은 다음과 같다.

  • - 8 -

    그림 8 느티나무도서관 독서행사 내용

    반면에 독서행사프로그램이 대체적으로 학생들의 독서활동에 대해 물질적 보상을 주는 것에 치우쳐있으며, 단순한 이벤트성으로 끝날 가능성이 높고, 독서의 흥미유발에 다소 치우친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여줄 수 있는 몇 가지 프로그램 내용은 다음과 같다.

  • - 9 -

    그림 9 느티나무도서관 독서행사 내용

    다음으로 사서교사와의 면담을 살펴보자. 실제로 면담을 통해 파악한 장단점은 다음과 같다.

    느티나무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 장점은 첫째, 대체로 학교장을 비롯한 학교 교직원들이 학교도서관에 대해 호의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새로운 독서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있어 긍정적인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과 관련된다.

    도서관예산이 도서구입비와 운영비를 포함해서 학교예산의 5% 이상이 되어야해요. 근데 실제로는 5%를 유지하는 게 잘 안 돼요. 5% 이상이면 꽤 큰 돈이거든요. 그런데 올해 교장선생님이 새로 오시면서 예산이 조금 증가했어요. 그래서 도서구입비가 640이고 운영비가 50정도 됩니다. 교장선생님께서 오셔서 “도서관 구입비가 뭐 이리 작노”라고 하시면서 더 준거에요. 교장선생님이 의지가 있으신 거죠.

    둘째, 학교도서관의 위치가 접근성이 높은 덕분에 학생들에게 독서프로그램을 홍보하기 유리하다는 점이다. 이는 새로운 독서프로그램의 홍보가 이루어지기 쉽다는 것과 관련된다.

    도서관이 정말 위치가 좋은거 같다고 생각해요. 들어오면 바로 있으니까. 다른 학교는 꼭대기 아님 맨 끝인데 그런데 있음 아무도 안오죠, 그리고 무슨 일을 하는지 모르죠. 그런데 여기는 입구에 홍보 포스터 같은거 붙여놓으면 가다가 들어와서 “선생님 이거 뭐에요? 뭐에요?”라고 물어보기 때문에 정말 위치가 좋은거같아요. 눈에 보이니까 많이 와요.

    셋째, 타 학교의 사서교사와 활발한 소통과 협력이 이루어지는 덕분에 독서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와 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부산내성중학교 독서프로그램이 긍정적인 성과를 보일 시, 다른 학교에서도 해당 독서프로그램이 시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부산내성중학교 독서프로그램의 기획으로 사회전반적인 변화를 기대해볼 수 있다.

    사서교사 협의회라고 있죠. 한 두 분 빼고는 거의 다 가입해서 활동하고 있어요. 여기에 초·중·고등별로 1년마다 연구하는 모임이 따로 있습니다. 지금 초등학교들은 컬러링 북,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하고 있고, 중학교는 원래는 부산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책 놀이 로드를 만들고 있었거든요. 책 놀이 하면서 여행을 하는 거에요. 그 다음으로 고등학교는 프로젝트 학습. 논문쓰기 같은 걸 연구하고 있죠. 그리고 해마다 연말 되면 급별

  • - 10 -

    로 발표하고, 자료 공유하고 있습니다.

    넷째, 사서교사가 활발하고 긍정적인 태도로 독서교육에 임하고 있는 덕분에 새로운 독서프로그램의 시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우수한 독서프로그램이 기획되어도 이를 시도할 사서교사가 부정적이고 소극적으로 행동하면 프로그램이 제대로 시행될 수 없을뿐더러, 프로그램의 성과를 최대한으로 이끌어낼 수 없다. 따라서 사서교사의 적극적인 태도는 독서프로그램 시행에 있어 좋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느티나무도서관의 독서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 단점은 첫째, 예산이 적은 문제 때문에 예산을 최소한 줄일 수 있는 방향으로 독서프로그램의 기획을 고려해야한다는 점이다. 아래 면담내용을 통해 이를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망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점은 올해 학교장이 도서관에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기에 점차 독서교육관련 예산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기대해볼 수 있는 점이다.

    원래 예산이 도서구입비랑 운영비를 합해서 학교운영비의 5% 이상으로 하는게 권장이에요. 근데 그게 권장사항이어서 잘 지켜지지가 않아요. 그래서 학교에서 의무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들쭉날쭉하죠.

    둘째, 학교 내 타교사들과 협력수업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으며 대학도서관이나 공공도서관에서 장서지원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 때문에 독서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다양한 사회구성원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미흡하다는 점이다. 아래 면담 내용에서 이룰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사회적으로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독서프로그램의 기획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협력수업은 좀 힘들어요. 왜냐면은 이게 굉장히 까다로운 문제거든요. 선생님들은 자기 수업을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는 것을 싫어하세요. 누가 내 수업을 어떻게 하는지 본다면 얼마나 좀 불편해하시죠. 더군다나 젊은 선생님인 내가 “선생님 같이 하실래요?”하면 안하죠. 차라리 떠넘겼음 떠넘겼지 협력이 안 되는 거에요. 협력수업에는 3단계가 있습니다. 근데 하위 단계밖에 안 되는 거에요. 지원, 책 지원, 공간제공 뭐 이정도 수준이죠. 나는 하고 싶은데 그분들이 안하는 거죠. 그게 안타깝죠.

    2.2. 부산내성중학교 독서교육의 제시

    앞서 우리는 부산내성중학교의 특징적인 모습을 살펴보고, 학교도서관에서 실제로 운영되는 학교도서관과 독서프로그램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해당 학교와 학교도서관의 장점과 단점은 물론, 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독서교육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파악할 수 있었다. 다음에서는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해당 학교와 학교도서관, 독서프로그램의 장점을 활용하고 단점을 개선할 수 있는 독서교육을 직접 계획해보고자 한다. 독서교육의 토대가 되어야할 기본 방향을 새롭게 제시한 뒤, 이를 바탕으로 실제 운영되고 있는 독서프로그램을 고려하여 전반적인 독서교육을 계획할 것이며 새롭게 제시할 수 있는 독서교육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기획할 것이다. 부가적으로 독서교육이 잘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이 되도록 이상적인 도서관환경조성을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전반적인 계획에 있어 현재 느티나무도서관이 제시하고 있는 도서관 및 독서교육의 목적과 방침을 고려하고자 한다.

  • - 11 -

    그림 10 느티나무도서관 도서관운영 및 독서교육계획

    2.2.1. 학교 독서교육의 기본 방향

    우리는 본문에 들어서기 앞서, 생애독자의 정의로 ‘한평생의 기간동안 스스로 글을 읽는 자발적인 독자’와 ‘자신의 삶을 둘러싼 범사회적인 위치에서 독서의 중심이 되는 주체적인 독자’를 동시에 제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생애독자의 의미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부산내성중학교 독서교육의 기본방향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생애독자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와 유사한 용어인 ‘평생 독자(lifetime reader)’를 살펴볼 수 있다. 박현정(2012)12)의 설명에 따르면, 평생독자란 “자신의 교양과 지식 성숙을 위해 자발적으로 평생 동안 독서 활동을 하는 존재”이며, “텍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인지적 지식, 정서, 가치관, 규범 등을 고정된 실체로서 단순히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독서가 아니라 “독자 자신의 인생 체험과 삶의 양식, 사회적 맥락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요인들이 상호 작용을 통하여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는 진정한 독서를 하는 독자라고 정의된다. 이를 통해 생애독자를 양성하는 것은 독서의 본질을 실현하는 것이자, 질적으로 높은 독서문화를 구축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를 근거로 독서교육이 더 나은 독서교육을 위해 지향해야할 방향이 ‘생애독자의 양성’임을 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부산내성중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독서교육이 보다 본질적이고 양질적인 수준이 되기 위해서는 독서교육의 기본 방향으로 ‘생애독자의 양성’을 지향해야하는 것이다. 즉, 독서교육이 ‘독서’의 탈을 쓴 단순한 읽기가 아니라 진정한 독서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했듯이 ‘생애독자의 양성’에 주목해야한다.

    2.2.1.1. 학교 독서교육의 목표설정

    앞서 우리는 부산내성중학교에서 학교도서관을 통해 이루어져야할 독서교육의 기본 방향으로 ‘생애독자의 양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독서교육의 기본적인 목표로 ‘생애독자의 양성’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세부적인 목표로 3가지를 설정했는데, ‘주체적인 독자를 양성하는 독서교육’, ‘생태계 사회를 구성하는 독서교육’, ‘행복한 미래를 도모하는 독서교육’이 그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체적인 독자를 양성하는 독서교육을 목표로 한다. 즉, 독서의 원동력이 되는 내적 동기를 개

    12) 박현정, 2012, 『평생 독자를 위한 몰입 독서의 이론적 탐색』, 가톨릭대학교, 국내석사, p.49

  • - 12 -

    발하는 독서교육을 목표로 한다. 여기서 말하는 동기란 독서동기를 의미한다. 김은미(2014)13)에 의하면 독서동기는 “책을 읽고자 하는 행동을 일으키는 힘으로서, 독자에게 독서행동을 일으키게 하는 중요한 원인”이기에, 우리는 독서교육의 목표를 설정할 때 학생들의 독서동기유발을 고려해야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독서동기는 크게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로 나눠진다. 내적 동기는 내재적동기(intrinsic motivation)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김은미14)는 내재적동기를 “학습자 자신의 흥미나 호기심과 같은 요인들에서 유래된 동기”이며 “활동 그 자체가 보상으로 작용”하고 “자발성을 일으키게 하여 행동에 대한 만족감을 크게 하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반면에 외적 동기는 외재적동기(extrinsic motivation)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 김은미15)는 외재적동기를 “성적, 상, 칭찬, 처벌 등 외부적 목적을 만족시키기 위한 요인들에서 유래된 동기”이며 “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은 분명”하지만 “학습자 내부의 동기를 감소시키거나 학습자에게 낮은 자기 인식과 편협한 동기를 형성”시킬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내재적동기와 외재적동기는 독서모습에서 차이를 가져오는데, 김은미16)의 연구를 통해 이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외재적 독서동기가 높은 학생보다 내재적 독서동기가 높은 학생이 “독서량이 높게”, “독서시간이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서 독서에서 내재적 동기가 외재적 동기보다 다소 독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연구에 따르면 “외재적 독서동기는 학습과제물을 해결하기 위해서와 진학 및 진로를 위해서, 내재적 독서동기는 여가활동을 위해서”가 주된 독서목적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서 독서에서 내재적 동기가 외재적 동기보다 다소 독서를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받아들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내재적 독서동기를 유발하는 독서교육은 학생들이 독서를 자주, 많이 하도록 하며, 어떤 활동을 위한 독서가 아니라 독서 그 자체로 독서활동을 생각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외재적 독서동기를 무시하고 내재적 독서동기만을 강요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이연옥(2011)17)교수님의 설명에 의하면, Mathewson은 “독서태도와 독서행동의 상관관계에서 독서태도는 외적 동기와 내적 감정 상태에 영향 받은 의도(intention)를 매개로하여 독서행동으로 이어진다”고 하였는데, 이는 “독서에 대한 긍정적인 느낌의 ‘태도’는 책을 읽고자 하는 ‘의도’를 자극하고 이러한 자극된 ‘의도’는 ‘행동’을 이끌어낸다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주목해야할 점은 독서를 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의도에 내적 감정상태와 외적 동기 모두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즉, 독서교육을 계획할 때 이러한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 모두를 활용하여 독서동기를 유도해야 효과적인 독서교육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13) 김은미, 2014, 『독서동기가 독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대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23

    14) 김은미, 2014, 『독서동기가 독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대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5-16

    15) 김은미, 2014, 『독서동기가 독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대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6-17

    16) 김은미, 2014, 『독서동기가 독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대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5-7

    17) 이연옥, 2011, “초등학교 학생들의 독서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2 No.3, 한국도서관 정보학회, p.293-309

  • - 13 -

    그림 11 Mathewson의 독서

    출처 : 이연옥, 2015, 『학교도서관론 강의자료』-‘학교도서관의 교육서비스’

    둘째, 생태계 사회를 구성하는 독서교육을 목표로 한다. 즉, 사람과 사람 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지는 독서교육을 목표로 한다. 여기서 생태계 사회를 구성하는 독서교육이란, 독서교육이 단순히 학교나 학교도서관, 또는 문헌정보학의 측면에서만 고려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차원에서 포괄적으로 고려되어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연옥(2015)18) 교수님의 설명에 따르면, 사서교사는 학습공동체의 범위 속에서 다양한 자원들과 협력을 해야 하며 학습공동체를 고려한 학교도서관을 운영해야한다. 이를 통해 학교도서관에서 사서교사가 독서교육을 계획할 때 사회의 다양한 사람들과 최대한 협력해야하며, 학교도서관을 운영할 때 사회의 일부분으로써 유의미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12 학습공동체의 범위

    덧붙여서 부산내성중학교 독서교육의 경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독서교육이기에 청소년교육의 특성을 고려하여 주변환경과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독서교육을 계획해야한다. Bronfenbrener19)는

    18) 이연옥, 2015, 『학교도서관론 강의자료』-‘사서교사의 리더쉽과 협력’19) 한상철, 2008, 『청소년학 : 청소년 이해와 지도』, 2판, 학지사, p.173

  • - 14 -

    생태학적 모형을 통해 “청소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요인들을 거시적이며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틀”을 설명하면서 생태계가 여러 동식물로 끈끈하게 연결되어있듯이 청소년이 발달하는 환경도 여러 요인들로 끈끈하게 연결되어있다고 주장한다. 그에 의하면 한 명의 청소년이 성장하는 데에는 가족이나 또래친구는 물론이고 그들과 형성된 관계, 나아가 지역사회환경, 사회 및 역사적 환경, 시간적 환경이 모두 영향을 미친다. 즉, 청소년은 그 스스로 자라는 것이 아니라 그를 둘러싼 모든 환경과 함께 자라는 것이다. 이를 통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독서교육은 사회적인 협력 속에서 이루어져야하며, 학교도서관은 청소년이 독서를 통해 사회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그들을 교육해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13 Bronfenbrener의 생태학적 모형

    출처 : 송미령, 2010, 아동발달 수업자료-‘아동발달이론2

    셋째, 행복한 미래를 도모하는 독서교육을 목표로 한다. 즉, 꾸준한 시행으로 장기적인 목적을 달성하는 독서교육을 목표로 한다. 여기서 행복한 미래를 도모하는 독서교육이란, 독서교육이 단순히 단기적인 행사로 시행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독서를 하는 ‘독서습관’을 가지도록 하며 자연스럽게 책을 받아들이는 ‘독서가치관’을 익히도록 하는 장기적인 계획으로 시행되어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월별로 테마를 내세우면서 재미있게 진행되는 독서교육도 필요하지만, 일년 단위나 학기 단위로 꾸준히 진행되는 독서교육도 필요하다. 장기적인 독서교육으로는 기존의 독서동아리나 독서캠페인 등이 해당될 수 있지만, 이보다 독서습관 형성이나 독서가치관 정립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전문적인 독서프로그램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독서교육을 통해 긍정적인 독서습관을 형성하고 독서가치관을 정립하는 것은 현재시점에서의 일회성 독서교육에서 벗어나 미래시점에서의 총체적 독서교육을 구현하는 것이기 때문에 의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이 세 가지 독서교육의 세부적인 목표는 얼핏 보면 각자 별개의 목표로 보이지만, ‘생애독자’라는 키워드를 두고 살펴보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있다고 볼 수 있다. 첫 번째 목표인 내적 동기를 개발하는 독서교육은 스스로, 지속적으로 독서를 할 수 있는 원동력을 배우도록 하기에 주체적으로 독서를 할 수 있게 한다. 이는 평생동안 자발적인 독서를 하는 독자를 양성하기에 생애독자의 양성을 달성할 수 있다. 두 번째 목표인 사람 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지는 독서교육은 사회의 여러 상황 속에서 다양한 사람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독서를 할 수 있게 한다. 이는 단순한 독서가 아니라 삶 속에서 여러 가지 요인들과 상호작용하여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는 독서를 유도하기에 생애독자의 양성을 달성할

  • - 15 -

    수 있다. 세 번째 목표인 꾸준한 시행으로 장기적인 목적을 달성하는 독서교육은 독서를 습관화하고 독서에 대해 자연스럽게 생각하도록 하기에 현재를 비롯하여 미래에서도 독자가 될 수 있게 한다. 이는 자발적으로 독서활동을 하는 미래의 독자를 양성하기에 생애독자의 양성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서술한 내용을 뒤에서 제시할 프로그램과 연결하여 모형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14 부산내성중학교 독서교육의 모형 제시

    2.2.1.2. 학교 독서교육의 운영형태

    우리는 부산내성중학교에서 학교도서관을 통해 이루어져야할 독서교육의 운영형태를 독서교육계획 수립의 측면과 독서프로그램 기획의 측면으로 나눠 제시하였다.

    먼저, 독서교육계획 수립의 측면에서 운영형태로 성과와 반응이 ‘긍정적인 기존 독서교육계획’과 생애독자의 양성을 도모할 수 있는 ‘양질의 새로운 독서교육계획’의 ‘결합’으로 인한 ‘질적 독서교육’으로의 발전을 제시하였다. 송승훈20)의 설명에 따르면, 독서교육의 성공 요소는 “선택과 집중, 일의 추진주체를 강하게 세우기”와 “다수 구성원들의 동참을 위한 기획”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여기서 주목해야할 점은 ‘선택과 집중, 일의 추진주체를 강하게 세우기’ 위해서 많은 사업을 단순히 늘여놓는 것이 아니라 학교 상황에 적합한 소수의 사업을 선정하여 그 일에 힘을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이다. 이를 고려하여 해당 학교에서 새롭게 제시될 독서교육은 기존에 운영되고 있던 독서교육계획을 검토하여 긍정적인 효과가 비교적 확실한 계획을 선정하고, 여기에 독서교육의 본질적인 목표를 추구할 수 있는 새로운 독서교육계획을 추가로 선정하여 운영되는 것인데, 이를 통해 융통성과 효율성을 고려하여 질적인 변화를 도모할 수 있어야한다. 지금까지 서술한 내용을 모형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15 부산내성중학교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운영모형 제시

    다음으로, 독서프로그램 기획의 측면에서 운영형태로 ‘혼자 읽기’에서 ‘함께 읽기’로의 확장, 그리고 이러한 다각적인 ‘읽기의 반복과 축적’으로 인한 ‘생애독자문화’의 도모를 제시하였다. 여기서 혼자 읽기란 다른 누구의 개입 없이 책을 선택하고 자유롭게 책을 읽음으로써 독서를 통해 자신만의 공간을

    20) 송승훈, 2010.08.08., 『한국에서 독서교육 기획하기-한국에서 독서교육 계획을 짜는 방법』, 구름배, p.7-8

  • - 16 -

    꾸리는 것을 의미하며, 함께 읽기란 타인과 책에 대해 생각을 나누거나 타인에게 책에 설명함으로써 독서를 통해 소통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해당 학교에서 새롭게 제시될 독서교육은 일차적으로는 혼자 읽기로, 이차적으로는 함께 읽기로 운영되는 것인데, 이러한 과정이 계속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학생들에게 자연스럽게 생애독자로 성장할 수 있는 문화적인 기반을 제공할 수 있어야한다. 지금까지 서술한 내용을 모형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 16 부산내성중학교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운영모형 제시

    2.2.2. 학교 독서교육의 계획 수립

    앞서 제시한 독서교육의 목표설정과 운영형태를 토대로 새롭게 구성한 독서교육의 전체 계획은 다음과 같다.

  • - 17 -

    월 주행사 내용

    우탐생 우온세 우시행1 학기

    3월

    1주

    우탐생 모집, 선발 우온세 모집, 선발

    우시행 상반기 독서가족

    모집, 선발 2주3주 우시행 독서가족 부모교육4주 우시행 독서가족 부모교육5주

    우시행 1학기 독서가족활동

    (매주)

    우탐생 1학기 진로탐색활동

    (2,3학년 대상으로 매주

    진행)

    우온세 2학기 봉사활동(매주)

    4월

    6주7주8주9주

    5월

    10주11주12주13주

    6월

    14주15주16주17주

    기말고사 18주

    7월19주 책거리 파티, 임명장 수여식 책거리 파티 책거리 파티, 임명장 수여식20주 여름방학

    2 학기8월 1주

    우탐생 2학기 진로탐색활동

    (1학년 대상으로

    정규수업시간에 매주 진행)

    우온세 2학기 봉사활동(매주)

    우시행 하반기 독서가족

    모집, 선발

    9월

    2주3주 우시행 독서가족 부모교육4주 우시행 독서가족 부모교육5주

    우시행 2학기 독서가족활동

    (매주)

    6주

    10월

    7주8주9주10주

    11월

    11주

    12주3학년 기말고사 (1,2학년만

    활동)

    3학년 기말고사 (1,2학년

    독서가족만 활동)13주

    우온세 2학기 봉사활동우시행 2학기 독서가족활동

    (매주)14주

    12월

    15주

    16주 1,2학년 기말고사1,2학년 기말고사 (3학년만

    활동)

    1,2학년 기말고사 (3학년

    독서가족만 활동)17주 학예전18주 책거리 파티, 임명장 책거리파티 임명장 책거리 파티, 임명장 수여식19주 겨울방학

    표 2 학교 독서프로그램의 주별 계획

    시간요일

    월 화 수 목 금 토 일오전

    10:00 - 12:00

    우온세

    3차 모임

    오후

    2:00 - 4:00

    우시행

    독서가족

    모임

    우시행

    독서가족

    모임방과후

    4:30 - 6:00

    우탐생

    1차 모임

    우탐생

    2차 모임

    우온세

    1차 모임

    우탐생

    3차 모임

    우온세

    2차 모임

    표 3 학교 독서프로그램의 일별 계획

  • - 18 -

    2.2.3. 학교 독서교육의 프로그램 기획

    독서교육의 전체 계획에서 구체적인 독서프로그램은 독서진로탐색프로그램, 독서지역봉사프로그램, 독서여가문화프로그램으로 실시된다.

    2.2.3.1. 독서 진로탐색 프로그램 : 우탐생

    < 우리들의 탐구생활 >탐 : 탐험하자! 책을 통해 진로를 탐험하고구 : 구하자! 궁금한 질문에 답을 구하고생 : 생생하게! 멘토들의 이야기를 통해 생생한 직업체험을 하는활 : 활기차게! 꿈꾸는 활기찬 독서활동

    그림 17 우탐생 포스터 예시 그림 18 우탐생 임명장 예시

    1. 프로그램 취지 및 목적

    우탐생은 “필요한 것을 조사하여 찾아내거나 얻어 냄”21)라는 ‘탐구’의 의미처럼, 자신에게 필요한 진로정보를 책을 통해서 구한다는 의미의 독서프로그램으로 기획되었다. 이 독서프로그램은 독서가 진로탐색의 장으로서 기능하고 독서를 통해 자신을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목적이다. 2016년부터 모든 중학교에서는 자유학기제를 실시하게 된다. 자유학기제는 “중학교 교육과정 중 한 학기 동안 학생들이 중간·기말고사 등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 꿈과 끼를 찾을 수 있도록 수업 운영을

    21) 네이버 국어사전, ‘탐구’

  • - 19 -

    월 주 행사 내용1 학기

    3월 1-5주 우탐생 모집, 선발

    토론, 실습 등 학생 참여형으로 개선하고 진로탐색 활동 등 다양한 체험 활동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을 유연하게 운영하는 제도”22)라고 할 수 있다. 자유학기제에 따르면 “각 학교는 여건에 따라 기본교과의 교과목 시수를 일부 감축하여 운영하되, 오전에는 기본교과 위주로 공부하고, 오후에는 학생들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자율과정을 운영”23)하도록 되어있다. 이처럼 자유학기제는 단조롭고 딱딱한 수업 중심의 기존의 교육과는 전혀 다른 자율적이고 참여형의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교육을 하도록 지향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다른 어떤 곳보다 창조적이고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도서관의 역할은 보다 커진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생애독자의 의미와도 연관되는데, 체험이나 사회적 맥락 등을 통해서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는 독서를 하는 생애독자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독서를 통해 다양한 직업체험과 진로탐색을 하는 독서교육을 고려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프로그램의 대상이 되는 중학교 학생들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긴즈버그의 이론을 살펴보았다. 긴즈버그24)는 인간의 진로의사결정을 환상기, 잠정기, 현실기라는 3가지 단계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는데, 중학생은 이중에서 잠정기 시기에 해당된다. 잠정기는 11~16세 정도까지 지속되는 시기로써, 직업에 대한 단편적이고 환상에 근거한 판단을 하던 환상기를 지나 수집한 정보를 근거로 하여 잠정적인 진로선택 행위를 하는 시기로, 흥미, 능력, 가치라는 하위 단계로 구성되어있다. 이를 통해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활동이 양질의 정보수집이 기본바탕이 되어야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정보수집의 바탕이 될 수 있는 학교제반요소는 학교도서관이 대표적이다. 생애독자와 관련하여 생각해보면, 자신의 교양과 지식 성숙을 위해 자발적으로 평생 독서를 하는 생애독자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진로 및 직업관련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독서를 하는 독서교육을 고려해볼 수 있는 것이다. 앞서 내성중에 대해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올바른 품성을 지니고 자신의 미래에 대한 진취적인 태도를 가진 사람이 될 수 있도록 독서와 진로교육, 봉사 활동을 지향하고 있었고, 진로선택이론을 살펴보아 진로탐색의 프로그램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할지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정보들에 근거하여 ‘우리들의 탐구생활(우탐생)’이라는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개발해보았다. 프로그램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자면 학생들은 다양한 직업과 관련된 책을 읽고 또래 친구들과 논의를 한 후 만들어진 질문지를 해당 직업을 가진 멘토에게 보내 답변을 듣는 것으로, 학생들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흥미, 가치관, 적성 등 자신에 대한 인식을 모호하고 추상적인 상태에서 분명하고 구체적인 상태로 나아갈 수 있으며, 자신이 하고자 하는 직업에 대해 탐색하여 그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자신의 직업에 헌신하고 봉사하는 멘토들의 모습을 보며 바람직한 가치관과 직업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2. 프로그램 내용 및 운영방법

    프로그램 명 : 우리들의 탐구생활 (우탐생)시간 : 매주 월,화,목요일 방과후 1시간 30분대상 : 전 학년 – 1학년의 경우 2학기에 시행

    - 2,3학년의 경우 1학기에 시행

    22) 교육부 공교육진흥과, 2013.5.28., 『학생의 꿈과 끼를 살려 행복교육을 실현하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계획(안)』, 교육부, p.3

    23) 박정애, 2015, 『진로독서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324) 김봉환 외, 2013, 『진로상담』, 학지사, p.64-66

  • - 20 -

    4월

    6주

    우탐생 1학기 진로탐색활동

    (2,3학년 대상으로 매주 진행)

    7주8주9주

    5월

    10주11주12주13주

    6월

    14주15주16주17주

    기말고사 18주

    7월19주 임명장 수여식 + 책거리 파티20주 여름방학

    2 학기8월 1주

    우탐생 2학기 진로탐색활동

    (1학년 대상으로 정규수업시간에 매주 진행)

    9월

    2주3주4주5주6주

    10월

    7주8주9주10주

    11월

    11주12주13주14주

    12월

    15주16주 1,2학년 기말고사 17주 학예전18주 임명장 수여식 + 책거리 파티19주 겨울방학

    표 4 우탐생 연간 계획

    시간 장소 주요활동

    1차 모임매주 월요일

    4:30 - 6:00학교 도서관

    - 금주의 직업 안내

    - 주변 도서관에서 대출한 직업관련 도서 제공

    - 책읽기 & 책 읽어오도록 지도

    2차 모임매주 화요일

    4:30 - 6:00학교 도서관

    - 책에 대한 소개와 소감 제시

    - 멘토에게 물어볼 질문 논의

    3차 모임매주 목요일

    4:30 – 6:00학교 도서관

    - 멘토와의 인터뷰 영상 시청

    - 영상 시청 후 논의

    표 5 우탐생 활동 내용(2,3학년)

  • - 21 -

    시간 장소 주요활동

    1차 모임매주 월요일

    (정규시간 90분)학교 도서관

    - 금주의 직업 안내

    - 주변 도서관에서 대출한 직업관련 도서 제공

    - 책읽기 & 책 읽어오도록 지도

    2차 모임매주 화요일

    (정규시간 90분)학교 도서관

    - 책에 대한 소개와 소감 제시

    - 멘토에게 물어볼 질문 논의

    3차 모임매주 목요일

    (정규시간 90분)학교 도서관

    - 멘토와의 인터뷰 영상 시청

    - 영상 시청 후 논의

    표 6 우탐생 활동 내용(1학년)

    내년부터 전면 시행되는 자유학기제는 내성중의 경우 1학기에 실시될 예정인지, 2학기에 실시될 예정인지 아직 정확하게 결정되지는 않았으나, 대부분의 국공립학교가 2학기에 자유학기제를 실시한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내성중 역시 2학기에 실시한다고 가정하고 프로그램을 기획하였다. 프로그램의 진행은 2,3학년의 경우 1학기 방과 후에 진행하며 1학년의 경우는 자유학기제로 인하여 교육과정의 유연한 편성과 운영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규수업시간에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1차 모임 : 사서교사는 도서관에 모인 학생들에게 그 주에 알아볼 직업과 그와 관련된 책들에 대해 소개한 후, 지역도서관과의 연계로 대출해온 다양한 책들을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읽어볼 수 있는 시간을 준다. 그리고 사서교사는 학생들에게 다음 날까지 책을 읽어올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자신이 제공한 책 외에도 다른 책이 많이 존재한다는 사실과 그 책들을 주변 도서관에서 빌릴 수 있다는 사실을 알리는 것으로 1차 모임을 끝낸다. 2차 모임 : 도서관에 모인 학생들은 각자 자신이 읽어온 책의 내용이나 읽고 들었던 생각에 대해 얘기하고, 멘토에게 질문하고 싶은 점이나 하고 싶은 말 등에 대해 토론하는 시간을 가진다. 사서교사는 이 과정에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대신 학생들의 토론이 엇나가고 있는지 확인하고 제재하는 수준으로 참여한다. 모임이 끝나갈 즈음, 사서교사는 학생들에게 토론을 통해 정리된 질문지를 받고, 수요일에 멘토를 찾아가 인터뷰 한 것을 영상으로 찍는다. 3차 모임 : 사서교사는 편집한 멘토와의 인터뷰를 학생들에게 보여준 후, 서로 논의하는 시간을 준다. 학생들은 이러한 과정 속에서 새로운 궁금증을 가질 수 있고, 어딘가 부족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사서교사는 해당 직업과 관련된 커뮤니티나 길마중 - sns 진로 진학 커뮤니티25), 워크넷 - 직업·진로26), 한국고용정보원 직업·학과정보 동영상27), 부산진로진학지원센터같은 진로 관련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것으로 한 주의 진로탐색 프로그램을 마무리한다.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각 직업에 종사하고 있는 멘토를 구하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사서교사가 구할 수 있는 멘토에는 학부모를 이용한 학부모 멘토와 지역사회에 존재하는 진로진학지원센터에 협조를 구하여 컨텍된 멘토로 나눌 수 있다. 학부모 멘토의 경우, 학기 초 학부모에게 가정통신문을 발송하거나 학교홈페이지의 학부모 게시판에 통신문을 게시하여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며, 사서교사는 이를 통해 도움을 얻을 수 있는 직업의 종류와 시기에 대해 살펴보고, 다양한 직업의 멘토를 구할 수 없다고 판단된다면 부산진로진학지원센터28)에 협조를 구하여 멘토를 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멘토와의 인터뷰는 멘토가 직업이 하는 일, 관련 에피소드 등에 대해 말하며 자신의 직업을 소개하고, 학생들의 질문에 답변하는 것으로 이뤄진다. 이렇듯, 멘토와의 인터뷰는 간단한 것처럼 보이지만 학생들에게 직업세계에 대한 가장 정확한 지식을 제공할 수 있으며, 지역사회와의 연계로도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기 때문에 신경써서 준비할 필요가 있다.

    25) 길마중-‘sns 진로 진학 커뮤니티’, http://www.gilmajung.net/v2/26) 워크넷-‘직업·진로’, http://www.work.go.kr/jobMain.do 27) 한국고용정보원 직업-‘학과정보 동영상’, http://www.jobvideo.or.kr/ 28) 부산진로진학지원센터, https://dream.pen.go.kr/center/

  • - 22 -

    그림 19 우탐생 가정통신문 예시

    3. 프로그램 예상성과 및 기대효과

    이 프로그램으로 기대할 수 있는 긍정적인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활동을 통해 진로탐색활동의 한계를 보완함으로써 자유학기제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 자유학기제의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진로체험활동 프로그램의 마련이 필요한데, 이는 진로체험활동을 제공하는 교육환경에 따라 교육의 질이 크게 달라짐을 의미한다. 즉, 농어촌지역이나 외곽지역과 같은 비주류지역의 교육은 수도권과 같은 주류지역의 교육에 뒤처짐으로써 교육적으로 빈부의 격차가 심해질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직접체험교육을 보완하는 간접체험교육인 독서교육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독서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이 진로에 관한 간접체험을 함으로써 사회·경제적 여건으로 인해 현실적인 상황에서 불가능한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고, 직업세계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 나아가 학교는 학부모라는 인적 자원과 주변 진로 관련 기관들을 동원하여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때문에 지역 사회 연계 체제를 만들어 다른 어느 학교보다도 특색이고 효과적으로 국가의 교육 제도를 수행할 수 있다. 둘째, 해당학교의 교육목적과 느티나무도서관의 독서교육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교 경영목표 및 방침에 명시되어있는 ‘체험과 실천 위주의 진로활동’을 달성할 수 있으며, 내성인 인성덕목에 명시되어있는 ‘진로체험활동을 통한 진로탐색능력 신장’을 달성할 수 있고, ‘진로교육과 연계한 다양한 진로 체험’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느티나무도서관에서 도서관운영 및 독서교육계획으로 명시한 ‘학생들의 진로에 도움을 주는 맞춤형 독서자료 제공 및 창의체험 중심의 독서교육’을 실현할 수

  • - 23 -

    직업 관련 도서

    PD

    1. 『(10대를 위한) 직업의 세계. 1-6』, 스토리텔링연구소 지음, 삼양미디어, 2015

    2. 『나는 PD다』, 안태근 지음, 스토리하우스, 2015

    3. 『다큐처럼 일하고 예능처럼 신나게 : 나영석에서 김태호까지 예능 PD 6인에게 배우는 창의적

    으로 일하는 법』, 정덕현 지음, 중앙북스, 2014

    4. 『피디란 무엇인가 : 현직 PD 42인이 전하는 PD 매뉴얼』, 한국 PD 연합회 엮음 ; 이정식, 오행

    운, 김형석, 송민엽, 최다은, 김보람, 조, 김영사, 2014

    5. 『피디 마인드 : 진짜 피디가 되기 위한 피디처럼 생각하는 법』, 김신완 지음, 새잎, 2014

    6. 『나는 드라마 PD다』, 안태근 저, 스토리하우스, 2013

    7. 『1 대 100 : 방송 이지원 PD』, 콘텐츠: 이지원 ; 글: 서지원 ; 그림: 이예휘, 스콜라 : 위즈덤

    하우스, 2013

    8. 『소심한 미호 방송 PD 되다』, 신승철 글 ; 이승연 그림, 김영사, 2012

    9. 『PD가 말하는 PD : 21명의 현직 PD들이 솔직하게 털어놓은 PD의 세계』, 김민식..[등]지음, 부

    키, 2005

    경찰관

    1. 『월화수목금금금 : 어느 퇴직 경찰관이 걸어온 삶의 이야기』, 배효갑 지음, 네오, 2014

    2. 『경찰관으로 성공하는 길』, 김석돈 저, 백산출판사, 2013

    3. 『나의 직업 경찰관 : 21C 진로/진학 정보 개발 중심』, 동천기획연구실, 동천출판, 2013

    4. 『어느 경찰관의 사람공부 : 오늘도 우리 동네에서 일어나고 있는 찐하고 짠한 이야기들』, 이배

    동 저, 정신세계사, 2015

    5. 『나의 직업 경찰관』, 청소년행복연구실, 동천출판, 2013

    6. 『나는 대한민국 국가 공무원이다. 경찰편』, 나상미, 함께북스, 2014

    요리사

    1. 『요리사 어떻게 되었을까? : 현직 요리사들의 커리어패스를 통해 알아보는 리얼 요리사입성

    이야기』, 캠퍼스멘토 [편, Campus Mentor(캠퍼스멘토), 2015

    2. 『(10대를 위한) 직업의 세계. 1-6』, 스토리텔링연구소, 삼양미디어, 2015

    3. 『긍정의 손끝으로 세상을 요리하라 : 아홉 손가락으로 이룬 최고 요리사의 꿈 대한민국 요리

    명장 박효남의 요리인생 도전기』, 박효남 지음, 처음, 2015

    4. 『나의 직업 요리사』, 청소년행복연구실, 동천출판, 2014

    5. 『궁금해요! 요리사가 사는 세상』, 박찬일 ; 김성효, 창비, 2010

    6. 『(요리사가 말하는)요리사 : 14명의 요리사들이 솔직하게 털어놓은 요리사의 세계』, 장미영 외,

    부키, 2006

    7. 『요리사 & 소핑호스트 : 생활과학 계열 ·예체능 계열』, 와이즈멘토 글 ; 김성희 그림, 김영사,

    2013

    표 7 우탐생 직업별 도서 제공 예시

    있다. 셋째, 생애독자의 양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로관련 독서를 통해 자신의 진로탐색에 호기심과 관심을 가짐으로써 독서를 자발적으로 할 수 있는 내재적 독서동기를 유도하여 생애독자를 양성하고, 독서를 통한 간접체험과 멘토들과의 소통을 통한 간접체험을 병행함으로써 독서활동의 범위를 범사회적으로 확대하여 생애독자를 양성한다. 또한, 자연스럽게 책을 자신을 돌아보고 자신을 탐구하는 대상으로 받아들이는 독서가치관을 형성함으로써 생애독자로 성장하는 장기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학생들은 진로라는 중대한 선택을 하는데 책으로부터 도움을 얻게 되고, 이러한 긍정적인 경험을 통해 다양하고 객관적인 정보가 담겨있는 책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구할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독서태도는 한 순간의 일시적인 모습이 아나라, 살아가며 계속해서 나타나는 영구적인 모습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1. 부산대학교 도서관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 63번길 2 (장전동)

  • - 24 -

    051-510-1800, https://lib.pusan.ac.kr/

    2. 부산광역시립시민도서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월드컵대로 462(초읍동)051-810-8200, http://www.siminlib.go.kr/

    3. 부산광역시립 서동도서관 : 부산광역시 금정구 서부로 76번길 5 (서동)051-522-0456, http://www.seodonglib.kr/

    4. 부산광역시립 연산도서관 : 부산광역시 연제구 고분로 191번길 16 (연산9동 252-5)051-759-3359, https://real.yeonsanlib.kr/design20/index.php

    5. 부산광역시립 명장도서관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인로 46번길 35051-527-0582~4, http://real.mjlib.kr/

    2.2.3.2. 독서 지역봉사 프로그램 : 우온세

    < 우온세 : 우리지역 온새미로 세상만들기 >온 : 온기를! 책으로 온기를 전하고새 : 세상에! 책읽어주기로 세상에 목소리를 전하는미 : 미소짓는! 너와 내가 미소짓는로 : 오늘을! 오늘을 만드는 독서봉사

  • - 25 -

    그림 25 우온세 포스터 예시 그림 26 우온세 임명장 예시

    1. 프로그램 취지 및 목적

    우온세는 “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자연 그대로의 상태로”29)라는 ‘온새미로’의 의미처럼, 사회 속에서 남을 배타적으로 대하거나 편을 가르지 않고 존중하며 책을 통해 소통한다는 의미의 독서프로그램으로 기획되었다. 이 독서프로그램을 통해 독서가 소통의 장으로서 기능하고 학교도서관이 지역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책 읽어주기 활동이 읽어주는 사람과 듣는 사람 모두에게 정서적 안정감과 인지적, 행동적 발달을 가져오며 둘 사이에 감정적 교류, 사회정서 및 사회적 상호작용 발달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 사실을 가지고 봉사활동의 일환으로 지역의 아동센터, 노인복지센터에서 책 읽어주기 활동을 하고 그 과정의 전반을 학생들이 다 일구어 나가도록 프로그램을 기획했다. ‘우리지역 온새미로 세상만들기 (우온세)’는 이전에 언급한 내성중 독서교육의 기본 방향 중 사람과 사람 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지는 독서교육을 목표로 하는 지역사회 연계 독서활동이다. 구체적으로 읽어주기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황인담(2010)30)의 연구를 살펴보면, “독서요법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경증 치매노인들의 인지도는 향상되었으며, 우울증은 감소하였고,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이 증가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수연(2012)31)의 연구를 살펴보면,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 후에 많은 학생이 도서관 기능에 대한 이해와 인식, 사서 업무에 대한 이해가 높아졌으며, 도서관 방문 횟수도 증가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고,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더욱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박주현(2015)32)의 연구를 살펴보면, “책 읽어주기 활동은

    29) 네이버 국어사전, ‘온새미로’30) 황인담, & 박준식. 2010. “독서요법이 경증 치매노인에게 미치는 효과”.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1 No.4, 한국도서관

    정보학회, p.383-402.31) 한수연, & 조현양. 2012. “독서와 도서관 관련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도서관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

    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3 No4, p.347-368

  • - 26 -

    월 주 행사 내용1 학기

    3월 1-5주 우온세 모집, 선발

    4월

    6주

    우온세 1학기 봉사활동(매주)

    7주8주9주

    5월

    10주11주12주13주

    6월

    14주15주16주17주

    기말고사 18주

    7월19주 책거리 파티20주 여름방학

    2 학기8월 1주

    우온세 2학기 봉사활동(매주)

    9월

    2주3주4주5주6주

    10월

    7주8주9주10주

    11월

    11주12주 3학년 기말고사 (1,2학년만 활동)13주

    우온세 2학기 봉사활동14주

    12월15주16주 1,2학년 기말고사 (3학년만 활동)

    아동의 독서태도는 물론 독서태도의 모든 하위 영역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책 읽어주기 활동은 아동의 자아 존중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자아존중감과 독서태도 간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책읽어주기 독서봉사를 통해 봉사활동을 하는 학생뿐만 아니라 봉사의 대상이 되는 노인, 아동들 역시 책을 통해 정서적 유대감을 가지게 되고, 인지적 변화를 느끼며, 책에 대한 흥미를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생애독자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책읽어주기를 통해 지역사회의 구성원을 생애독자로 양성할 수 있는 것이다.

    2. 프로그램 내용 및 운영방법

    프로그램 명 : 우리지역 온새미로 세상만들기 (우온세)시간 : 매주 금요일 방과후 1시간 30분 토요일 봉사활동 3시간 (봉사활동 시간 부여) 대상 : 전 학년

    32) 박주현, 박경희, & 이명규. 2015. “책 읽어주기가 초등학생들의 독서태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6 No2, 한국도서관 정보학회 p.1-27.

  • - 27 -

    17주 학예전18주 임명장 수여식 + 책거리 파티19주 겨울방학

    표 8 우온세 연간 계획

    시간 장소 주요활동

    OT 학기초 학교 도서관- 프로그램 설명

    - 기관 정하기

    1차 모임매주 수요일

    4:30 - 6:00학교 도서관

    - 책 선정

    - 또래와 논의

    2차 모임매주 금요일

    4:30 - 6:00학교 도서관

    - 조별 책 선정(북토크)

    - 책 읽어주기 연습

    3차 모임매주 토요일

    10:00- 12:00학교 도서관

    - 기관 방문

    - 책 읽어주기 활동

    - 피드백

    표 9 우온세 활동 내용

    OT: 선발된 학생들은 각자 노인복지관, 아동복지관 중 어느 기관을 갈지 먼저 선정한다. 그와 함께 사서교사는 프로그램의 운영내용과 봉사방법을 학생들에게 구체적으로 안내한다. 1차 모임: 선정한 복지지관을 바탕으로 자신이 갈 지역공공기관의 특징을 고려해 각 기관에서 읽어주기 알맞겠다고 생각되는 책을 브라우징 혹은 세렌티피티(우연한 발견)를 통해 선정하고 읽게 한다. 이 때 사서교사는 노인복지관의 경우 시집, 중단편 소설, 아동복지관의 경우 그림책, 우화나 설화, 청소년 도서의 식으로 각 기관에서 읽어주기에 적절한 종류와 수준의 책들을 알려준다. 알림이 끝난 뒤에는 책을 고르고, 읽는 시간을 가진다. 이 시간 동안 학생들은 단순히 책만을 읽는 것이 아닌, 친구, 선배와 책의 내용에 대해 대화를 나누며, 어떤 책이 더 괜찮은가 자유롭게 토의한다. 여기서 사서교사는 학생들의 토의가 잡담의 장이 되지 않도록 분위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해야 하며, 1시간 30분이 지난 뒤에도 책을 다 읽지 못한 학생이 있다면 대출해 갈 수 있도록 지도한다. 또한 학생들이 각 기관에서 읽을 책을 선정하고 대출할 때마다 확인 도장을 찍어주어 이후 2학기에 있을 임명장 수여식 때 임명장과 선물을 주는데 활용한다. 2차 모임 : 같은 기관을 맡은 학생들끼리 그룹을 지어서 모여 앉아 학생들 끼리 돌아가며 자신이 선정한 책을 발표한다. 간단히 책의 내용을 설명하고, 자신이 느낀 점을 말하며 왜 이 책이 읽어주기에 적합한지 이야기 한다. 조원들이 모두 돌아가면서 자신의 이야기를 하고나서 어떤 책을 선정할 것인지 고른다. 노인복지관의 경우 시집이나 중단편 소설 등에서 토론을 거쳐 책을 선정한다. 예를 들어 시집의 경우는 한 학생이 시집 안에서 어떤 시를 읽을지 구상한다. 중단편 소설이나 이야기의 경우 3-4명 정도의 학생들이 각각 배역을 맡아 구연동화를 읽듯이 실감나게 이야기를 읽는다. 아동복지관의 경우도 이와 유사하게 그림책, 우화나 설화, 청소년 도서 중에서 토론을 거쳐 책을 선정한 뒤 역할을 맡아 실감나게 이야기 읽기를 연습한다. 구상이 끝나고 나면 학생들은 봉사를 나가기 전, 자신이 맡은 부분을 모여서 연습한다. 3차 모임 : 학생들은 조별로 맡은 기관을 방문한다. 먼저, 이야기를 듣는 노인, 아동들에게 인사, 우온세 소개, 자기 소개를 한 뒤에 맡은 순서대로 나와 책 읽어주기 활동을 한다. 책 읽어주기 활동이 끝난 뒤에는 노인, 아동들과 함께 책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면서 그들의 말벗이 되어 준다. 활동이 모두 끝난 뒤에는 사서교사와 학생들이 모여 그 날에 아쉬웠던 점, 잘했던 점을 말하며 활동을 마무리한다.

    3. 프로그램 예상성과 및 기대효과

  • - 28 -

    이 프로그램으로 기대할 수 있는 긍정적인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봉사문화를 조성하고 책읽어주기로 지역사회에서 봉사함으로써 독서의 긍정적인 파급력을 도모할 수 있다. 일차적으로 보면, 학생들이 프로그램 전반을 자신들의 힘으로 구성하고 완성하며 사서교사는 그것을 주관하지 않고 도움을 주는 조력자의 역할을 하기에 학생들은 주체성을 가지고 독서활동을 하게 된다. 이차적으로 보면, 지역사회의 다양한 구성원들을 만나고 그들과 함께 책을 읽으며 그들과 생각을 공유하게 됨으로써 지역사회와 감정적, 인지적인 교류를 하게 된다. 이를 통해 구성원 간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여 독서에 대한 우호적인 감정을 갖게 되며, 이를 가능하게 하는 매개체가 책이므로 책에 대한 관심도 갖게 될 것이다. 즉, 독서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서로 소통하면서 독서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를 누리고 긍정적인 독서가치관을 가지는, 이른바 독서사회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독서봉사를 통해 학교도서관의 역할을 제고할 수 있다. 즉, 지역사회의 단체들과 협약하며 독서봉사를 함으로써 지역사회 내에서 학교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홍보할 수 있게 되며, 자연스럽게 학교 도서관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할 것이다. ‘학교 안의 도서관’으로서 학교도서관을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 사회의 여러 인사들과 만나며 독서의 즐거움을 널리 알리고 학교의 인식을 높임으로서 학교 도서관의 필요성을 인정받는 ‘사회 안의 도서관’으로서 학교도서관을 생각하게 된다. 셋째, 해당 학교의 교육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교 교육목표에 명시되어있는 ‘따뜻한 품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으며, 경영목표 및 방침에 명시되어있는 ‘체험과 실천 위주의 봉사활동’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고, 학교장 경영관에 명시되어있는 ‘건강한 마음’을 가진 학생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생애독자의 양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서를 통해 지역사회와 유대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독서를 자발적으로 할 수 있는 내재적 독서동기를 유도하여 생애독자를 양성하고, 독서를 통해 지역사회와 소통함으로써 사회적 차원에서 독서활동을 유도하여 생애독자를 양성한다. 또한, 주기적인 독서봉사를 통해 긍정적인 독서가치관을 형성함으로써 생애독자로 성장하는 장기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학생들이 ‘나 혼자 하는 독서’에서 벗어나 ‘여러 사람과 어울리며 함께 하는 독서’를 경험하게 되면서 독서에 대한 높은 수준의 가치관을 갖게 되는 것이다.

    1. 동래구노인복지관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로207번길 18 동래구 노인복지관 051-554-6252, http://www.dnswc.or.kr/main/index.html

    2. 노인복지용구종합센터 :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2동 1486 051-502-1445, http://www.happyaging-busan.co.kr/

    3. 동래재가노인복지센터 :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237번길 96 051-944-3400, http://cafe.daum.net/dlsilvercenter/

    4. 동래튼튼이지역아동센터 : 부산광역시 동래구 중앙대로1333번길 46-1

  • - 29 -

    051-555-7032, http://happylog.naver.com/tntnylove.do

    5. 명륜지역아동센터 :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로 210 051-553-8279, http://happylog.naver.com/mrchild.do

    6. 대동병원 소아병동 :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 187 대동병원 051-554-1233, http://www.ddh.co.kr/00main/main.php

    2.2.3.3. 독서 여가문화 프로그램 : 우시행

    < 우리가족의 시나브로 여행 >시 : 시작되는! 대화와 눈빛으로 시작되는나 : 나들이! 가족과 함께하는 책읽기 나들이로브 : 부담없이! 차근차근 부담없이로 : 노크하는! 책읽기에 노크하는 독서여행

    그림 33 우시행 포스터 예시 그림 34 우시행 임명장 예시

    1. 프로그램 취지 및 목적

  • - 30 -

    월 주 행사 내용1 학기

    3월

    1주우시행 상반기 독서가족 모집, 선발

    2주3주 우시행 독서가족 부모교육4주 우시행 독서가족 부모교육

    우시행은 “모르는 사이에 조금씩 조금씩”33)이라는 ‘시나브로’의 의미처럼, 가족과 함께하는 색다른 독서를 통해 자신의 여가문화를 독서문화로 습관화한다는 의미의 독서프로그램으로 기획되었다. 이 독서프로그램을 통해 독서가 여가의 장으로서 기능하고 여가의 중심으로 자리를 잡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때 여가란 “단순한 오락이나 소비가 아닌 자신의 개발을 위해 흥미를 가지고 자발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자유시간”34)을 의미한다. 또한 여가교육의 특성 중 하나는 여가가 “편협하고 정지적이고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평생에 걸친 광범위한 경험을 내포”함을 인지하는 것인데, 이를 통해 “만족하고 유익한 여가시간을 활용할 줄 아는 기능을 터득하게 함으로써 개인이 자기를 개발하도록 하는” 여가교육을 실시해야한다. 이를 통해 여가가 평생동안 이루어지는 장기적인 활동이자 자신의 발전을 위한 활동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생애독자의 의미와도 연관되는데, 평생동안 자발적으로 독서를 하는 생애독자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독서를 자신의 여가활동으로 받아들이게 하는 독서교육을 고려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여가교육으로써의 독서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단순히 개인적인 차원에서만 생각하기보다 사회적인 차원에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김찬수(2004)35)는 중·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학생들이 “희망하는 여가교육 공급자는 학교와 가정 순으로” 나타났으며, “건전한 여가 문화 형성을 위하여 가정에 바라는 점으로 충분한 용돈 지급과 여가 시간 제공, 부모님의 관심과 이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가정에서는 부모들의 청소년 여가에 대한 긍정적 인식변화와 가족 여가문화 조성”이 필요하고,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소질 계발을 위한 특별활동이나 방과후 특기·적성 신장 등 다양한 여가지도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를 통해 청소년 여가문화형성을 위해 가정의 협력을 유도하는 여가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여가교육의 방안으로 학교에서 다양한 여가지도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독서를 여가문화로 지도하려는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프로그램 역시 가정의 참여가 이루어지도록 기획해야할 것이다. 특히, Rowe(1991)36)의 5세에서 14세 사이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나이, 그리고 성별과 무관하게 가정에서의 독서 활동이 학습자들의 독서 성취, 독서에 대한 태도, 수업에서의 주의집중 등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기에 독서교육프로그램에서 가정의 참여가 이루어지도록 기획하는 것은 더욱 중요하다. 평생동안 자발적인 독서를 하는 생애독자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독자 자신의 독서에 대한 자세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2. 프로그램 내용 및 운영방법

    프로그램 명 : 우리가족 시나브로 여행 (우시행)시간 : 매주 토요일, 일요일 오후 2시간대상 : 전 학년

    33) 네이버 국어사전, ‘시나브로’34) 김찬수, 2004, 『평생교육차원의 청소년 여가활동 실태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35) 김찬수, 2004, 『평생교육차원의 청소년 여가활동 실태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36) 정옥년, 2007, “독서의 정의적 영역과 독자 발달”, 『독서연구』, Vol.17, p.139-180, 한국독서학회, p.157

  • - 31 -

    5주

    우시행 1학기 독서가족활동 (매주)

    4월

    6주7주8주9주

    5월

    10주11주12주13주

    6월

    14주15주16주17주

    기말고사 18주

    7월19주 책거리 파티, 임명장 수여식20주 여름방학

    2 학기8월 1주

    우시행 하반기 독서가족 모집, 선발

    9월

    2주3주 우시행 독서가족 부모교육4주 우시행 독서가족 부모교육5주

    우시행 2학기 독서가족활동 (매주)

    6주

    10월

    7주8주9주10주

    11월

    11주12주 3학년 기말고사 (1,2학년 독서가족만 활동)13주

    우시행 2학기 독서가족활동 (매주)14주

    12월

    15주16주 1,2학년 기말고사 (3학년 독서가족만 활동)17주 학예전18주 책거리 파티, 임명장 수여식19주 겨울방학

    표 10 우시행 연간 계획

    시간 장소 주요활동

    부모교육 모임

    학기 초 2주간

    매주 토요일

    2:00 - 3:00

    학교 도서관

    - 프로그램 취지 설명

    - 올바른 독서관련 안내

    - 독서의 중요성 설명

    OT3월 5주차 토요일

    2:00 - 3:00학교 도서관

    - 프로그램 및 활동방법 설명

    - 그림책 읽기의 당위성 설명

    - 가족 자기소개

    독서가족활동 모임매주 토요일, 일요일

    2:00 - 4:00학교 도서관

    - 책 선택 및 자율독서

    - 가족 내 북토크

    - 가족 간 북토크

    표 11 우시행 활동 내용

    부모교육 모임 : 자녀와 함께 책을 읽거나 책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 부모의 경우, 자녀의 생각에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거나 성급하게 독서를 종용하는 실수를 범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서교사는 프로그램의 취지를 설명하고, 자녀의 올바른 독서를 유

  • - 32 -

    도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독서가 왜 중요한지, 독서를 꾸준히 하는 것이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실질적인 연구결과를 통해 설명함으로써 가정의 꾸준한 참여와 적극적인 태도를 당부한다. OT : 프로그램 첫 시간에 이루어지는 오리엔테이션에서는 사서교사가 가족과 학생 모두에게 프로그램의 내용과 활동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때 부담 없이 원하는 책을 선택해서 자유로이 읽을 수 있으며, 재미있고 편안한 여가시간으로 받아들일 수 있음을 강조한다. 그리고 그냥 책이 아니라 그림책을 읽고 서로 얘기하는 것임을 숙지하게 하고, 그림책이 유아나 아동의 전유물이 아니라 모든 이의 도서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다양한 그림책의 예시를 보여줄 수도 있다. 또한, 서로 호의적이고 긍정적인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해 한 가정씩 앞으로 나와 자신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지도록 한다. 독서가족활동 모임 : 매주 토요일과 일요일마다 사서교사의 지도하에 본격적으로 독서가족활동을 한다. 참여하는 학생과 학생의 가족이 스스로 책을 선택하고 자유롭게 읽을 수 있도록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이때 간단한 다과를 준비하거나 준비해오도록 하는 것도 고려해볼만하다. 책을 각자 읽는 것도 좋지만, 가족끼리 서로에게 읽어주기를 해보는 것도 좋다. 그리고 읽은 후, 읽은 그림책에 대해서 가족끼리 서로의 생각을 나누고 내용을 전달하는 북토크를 한 시간 동안 진행한다. 다음으로 한가정당 한 사람씩 앞으로 나와서 선택하여 읽은 책에 대해 가족 내에서 오고간 생각을 발표하고, 책 내용을 소개하는 북토크를 40분 정도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20분 정도는 사서교사가 활동을 마무리짓고, 참여자끼리 서로 인사하며 활동을 마칠 수 있도록 격려한다.

    3. 프로그램 예상성과 및 기대효과

    이 프로그램으로 기대할 수 있는 긍정적인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여가문화를 조성하고 여가장소로 도서관을 제공함으로써 청소년들의 긍정적인 여가문화를 형성할 수 있다. “여가를 더 많이 인식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주변 환경을 정비해주고 문화적 요소를 제공해준다면 청소년들은 여가를 통해 보다 큰 성장과 발전을 가져올 것이며, 창의적이고 개척적인 삶을 설계할 수 있을 것”37)이라는 말은 이를 설명해준다. 특히, 건전한 여가활동을 지도하는 것은 “청소년들에게 신체적·심리적·지적 발달뿐만 아니라 능동적인 인간이 되게 하며, 규칙을 지키고 공정성을 존중하는 습관을 기르게” 하고, “타인과의 관계에 있어서 협동적이고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자질을 함양시켜주며, 소질을 계발하고 자신을 표현할 기회를 가질 수 있게 한다.”38)는 장점이 있는데, 독서활동은 건전한 여가활동에 해당되기에 청소년에게 유익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둘째, 해당 학교의 교육 목적과 느티나무도서관의 독서교육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교장 경영관에 명시되어있는 ‘신뢰하는 마음으로 학교 교육에 참여하는’ 학부모상을 달성할 수 있으며, 내성인 인성덕목에 명시되어있는 ‘독서의 생활화 추진’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느티나무도서관에서 학부모 독서동아리 운영을 통해 ‘책읽는 학교-책읽는 가정의 독서분위기 조성’과 ‘학교 독서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보다 적극적으로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37) 한상철, 2008, 『청소년학 : 청소년 이해와 지도』, 2판, 학지사, p.21638) 한상철, 2008, 『청소년학 : 청소년 이해와 지도』, 2판, 학지사, p.216

  • - 33 -

    그림 35 느티나무도서관 독서행사 내용

    셋째, 생애독자의 양성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독서를 통해 가족들과 유대관계를 형성함으로써 독서를 자발적으로 할 수 있는 내재적 독서동기를 유도하여 생애독자를 양성하고, 독서를 통해 가족들과 소통함으로써 사회적 차원에서 독서활동을 유도하여 생애독자를 양성한다. 또한, 주기적인 독서모임을 통해 독서습관을 형성함으로써 생애독자로 성장하는 장기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 - 34 -

    3. 결론

    3.1. 연구문제에 대한 결론

    본 연구를 통해서 새롭게 제시되는 독서교육의 기대효과는 활용적인 면에서의 기대효과와 발전적인 면에서의 기대효과로 나눠살펴볼 수 있다. 활용적인 면에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해당 학교의 특성과 독서교육의 특성을 고려하여 장점은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단점은 개선하려는 노력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새로운 독서교육이 환경을 융통성 있게 활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활용적인 면에서 우수하다. 또 다른 효과는 학교의 교육관과 학교도서관의 목적과 방침을 달성하려는 노력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새로운 독서교육이 환경에 유연하게 적응하는 것이기 때문에 활용적인 면에서 우수하다. 발전적인 면에서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해당 학교도서관과 독서프로그램을 보다 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독서교육의 목표설정에서 언급했듯이 우리가 제시하는 독서교육은 독서의 내적동기를 유도하고, 독서를 통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도모하고, 장기적인 독서습관을 형성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는 새로운 독서교육이 생애독자를 양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기 때문에 발전적인 면에서 질적으로 우수하다. 특히, 이는 단순히 독서교육의 직접적인 참여자인 학생만 생애독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인 참여자인 가족, 친구, 지역사회, 나아가 국가사회에까지 독서를 통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제시한 독서교육과 방향을 같이 하는 독서교육이 점차 퍼지게 된다면, 독서에 좋은 감정을 가지고 책을 자연스럽게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사회구성원들이 증가하게 되면서 범사회적인 변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독서교육을 통해 생애독자 문화공동체 또는 생애독자 문화사회를 구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림 36 부산내성중학교 독서교육의 기대효과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생애독자의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실질적인 독서교육의 모습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임의로 선정한 연구대상인 부산내성중학교에서 실제로 시행되고 있던 독서교육의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이에 대한 객관적인 파악 후 학교도서관에 기반한 독서교육을 기획해보았다. 부산내성중학교의 외부적 특성과 내부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기존에 운영되던 독서교육은 부족한 면이 있었지만 새로운 독서교육이 운영되기에 적절한 기반요소를 갖추고 있었다. 따라서 연구결과로

  • - 35 -

    제시한 세 가지 독서교육인 우탐생, 우온세, 우시행 프로그램이 실제로 운영되는 모습을 기대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독서교육의 모델 및 프로그램을 기획함으로써 본질적인 목적의 독서교육을 제시하고 기존 독서교육의 내용에서 벗어난 구체적인 방법 및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즉, 본 연구를 통해 선행연구에서 도구적인 목적을 강조하는 기존 독서교육의 시각을 탈피하지 못한 점과 본질적인 독서교육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 및 모형이 부재한 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3.3.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본 연구는 생애독자의 양성이라는 독서교육의 본질을 추구하고, 실질적인 독서교육의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사서교사의 매뉴얼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는 특정 학교를 대상으로 그에 적합한 독서교육 및 독서프로그램을 기획하였기 때문에 다소 편협적인 독서교육이라는 한계점이 제시된다. 이러한 한계점은 본 연구대상 학교와 차이가 큰 학교에서는 제시된 독서교육이 실행되기가 어렵다는 문제, 즉 모든 학교도서관에서 일반화되기 어렵다는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제시된 독서프로그램을 다양한 학교에서 시범하여 미흡한 점을 수정하고 보완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또는 본 연구대상 학교와 차이가 큰 학교에 적합한 독서교육을 연구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특정학교에 대한 조사를 통해 독서교육의 모형을 제시하였지만 실제로 수행을 통해 검증된 결과가 없기 때문에 다소 이론적인 면이 있다는 한계점이 제시된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제시된 독서교육의 모형을 기본으로 삼아 실제로 시범운영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그에 따른 결과와 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