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
제4회 K O S S D A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일시 | 2018. 2. 2.(금) 13:30-17:00 장소 |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영원홀 (210호) 주최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한국사회과학자료원 KBS 방송문화연구소 후원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제4

회한

국의

생활

시간

조사

서울

대학

교 아

시아

연구

소 한

국사

회과

학자

료원

제4회

K O S S D A 데 이 터 페 어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일시 | 2018. 2. 2.(금) 13:30-17:00

장소 | 서울대 아시아연구소 영원홀 (210호)

주최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한국사회과학자료원

KBS 방송문화연구소

후원 |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Page 2: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Page 3: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PROGRAM

Page 4: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Page 5: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CONTENTS

01생활시간조사란 무엇인가윤자영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

이재현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이주희 (통계개발원 사무관)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23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31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 가구원간의 관계를 기준으로 한 생활시간 심층분석

53사회과학자를 위한 2014 생활시간조사의 단순 무식한 소개

Page 6: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Page 7: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 발 표 1 >

생활시간조사란 무엇인가

윤자영(충남대 경제학과 교수)

Page 8: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Page 9: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생활시간조사란 무엇인가윤자영

충남대학교 경제학과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제4회 데이터페어

2018년 2월 2일

주제

• 생활시간조사 역사

• 생활시간조사 현황

• 생활시간조사 주제별 국외 연구 동향

• 생활시간조사 국내 연구 동향

- 3 -

Page 10: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시간사용조사 개요

• 목적• 기존의 공식 시장 경제 통계가 수집하지 않는 가사 및 돌봄노동과 여가 시간, 행동이 일어나는 공간과 맥락 등을 상세하게 수집

•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이슈 연구• 삶의 질의 현황, 패턴, 변화에 관한 총체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함

• 내용• 정해진 시간 동안 응답자가 어떤 행동에 얼마만큼의 시간을 썼는지 기록하는 조사

• 가계지출조사에 상응하는 시간지출조사

• 방식• 시간일지/전화/모바일 조사 방식• 일정한 시간(10분/30분)마다; 일주일 1/2/7일• 가구/개인 조사

• 주기• 매년/5년

시간사용조사 역사

• 20세기 초, 노동계급 가족의 생활 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 산업화 과정의 노동착취, 노동과 여가 조사

• 1924년 구소련 시간사용조사• 계획 경제에 이용하기 위한 자료

• 1930년대 Bureau of Home Economics of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가 신기술의 농가의 시간사용에 미치는 영향

• 1960년대 말쯤, 12개국의 시간사용조사를 이용한 시장 경제와계획 경제의 시간 사용 비교연구가 Multinational Comparative Time-Budget Research Project 란 이름으로 Alexander Szalai가 추진.

• TV의 영향, 자유 시간 사용, 여가 행동, 자녀 양육 시간, 통근 시간, 교육의 영향, 기술 발전의 영향,

• 나중에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ime Use Research 로 발전하게된 계기가 됨.

- 4 -

Page 11: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시간사용조사 역사• 1970년대 개발도상국의 시간사용 조사

• 개발과 계획 목적• 신가정경제학은 무급 가사 활동의 생산적 측면 인식• 가구 내 여성과 아동이라는 인적 자원의 활용에 관심• 고용, 실업, 불완전고용 측정 개선

• UN 제 4차 세계여성회의에서 여성이 수행하는 모든 형태의 노동 측정 요구, 시간사용조사 관심 촉구

• The 1995 Human Development Report 는 전세계 여성의 경제적 지위에 관해 31개 국의 시간사용조사를 사용하여 여성의 경제적 기여를 측정함.

• UN Statistics Divis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Activities for Time-use Statistics(2016)

• Employment and related activities; Production of goods for own final use; Unpaid domestic services for household and family members; Unpaid caregiving services for household and family members; Unpaid volunteer, trainee and other unpaid work; Learning; Socializing and communication, community participation and religious practice; Culture, leisure, mass-media and sports practices; Self-care and maintenance

- 5 -

Page 12: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Suh and Folbre (2017)

MTUS 포함 시간사용조사 자료

- 6 -

Page 13: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시간사용조사를 사용한 주요 연구 영역

1. 무급노동의 측정과 가치평가2. 삶의 질이나 생활 수준 측정과 분석3. 가구 내 시간 배분4. 다양한 영역의 시간 사용

1. 무급노동의 측정과 가치평가

• “가구와 사회가 기능하는 방식에 중대한 변화가 진행되어 왔다. 예를 들어, 과거에 가족 성원에게서 제공받던 서비스의 많은 부분을이제는 시장에서 구매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국민계정에 소득의 증가로 표현되지만 생활 수준의 변화에 대한 잘못된 인상을 남길 수 있다. 왜냐하면 그 소득의 증가는 단순히 서비스의 생산이비시장 영역에서 시장 영역으로 이동했다는 사실을 반영할 뿐이기때문이다. 가족 안에서 생산되는 많은 서비스는 공식적인 소득과생산 계정에서는 잡히지 않고 있지만 경제 행위의 중요한 측면을이루고 있다.” (Report by the Commission on the Measurement of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rogress, Stiglitz , Sen, and Fitoussi. 2009)

- 7 -

Page 14: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Accounting for total work in labour statistics, Brandolini, A., & Viviano, E. (2016).

• GDP 국민계정 보완; 시장에서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만을 국민총생산으로 추계하여 국민경제의 성장을 계측하는 전통적 방식에 대한 보완

• 가정경제학에서 가사노동의 가치 측정 활발(Gronau, 1973)

• 산업 사회의 비시장 가사 노동을 거시경제적으로 측정(Chadeau, 1985)

• 가정의 내구재 지출을 투자로 취급하고 조리, 청소, 보육과 같은 비시장 가구 생산 활동을 중시 (Landefeld, J. S., Fraumeni, B. M., & Vojtech, C. M., 2009)

• 개별 국가를 넘어서서 Eurostat 국제기구에서 국가 간 비교를 위해 국민위성계정 구축 시도 (Varjonen, J., Hamunen, E., & Soinne, K. 2014).

• 여성의 국민경제에 대한 기여; 가사 생산 등 서비스 경제를 포함하면국민 경제에서 여성의 시간과 상대 임금 기여는 큼(Ngai, L. R., & Petrongolo, B. ,2017).

- 8 -

Page 15: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 돌봄노동 측정

• 아동양육이나 노인돌봄에 들어가는 돌봄 시간 계산(Suh, J., 2016; Giannelli, G. C., Mangiavacchi, L., & Piccoli, L. 2012).

• 거시 경제 차원에서 National Transfer Accounts 구축 (Gal, R. I., Vanhuysse, P., & Vargha, L., 2017).

• 자녀 양육 부분의 국민위성계정(Suh, J., & Folbre, N. ,2016).

2. 삶의 질이나 생활 수준 측정과 분석

• 경제적 성과와 생활 수준을 측정하는 전통적인 방식에 대한 비판 대두(Katherine Abraham and Christopher Mackie, 2004, Robert Eisner, 1989, Nancy Folbre, 2008,D.S. Ironmonger, 2000)

• GDP가 물질적 복지와 그에 따른 행복을 제대로 반영하는가?

• 비시장노동이 시장에서 교환되지는 않지만 소비를 위해서 생산하는 재화와 서비스는 화폐소득과 마찬가지로 “소득”으로 개념화할 수 있음. • 홑벌이와 맞벌이 가구 생활수준: 동일한 가구소득은 동일한 생활 수준을 의미하는가?

• 빈곤과 소득불평등• 화폐소득 빈곤을 시간(노동)으로 보충• 소득 불평등: 가사생산 가치를 포함한 불평등 (Frazis, Harley; Stewart,

Jay, 2009)

- 9 -

Page 16: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How does household production affect measured income inequality, (Frazis, Harley; Stewart, Jay, 2009)

• 균등화지수 계산• 기존 균등화지수는 화폐지출만으로. 무급노동의 균등화지수는 화폐소득에 대한 균등화지수와 다름 (Folbre, N., Murray-Close, M., & Suh, J. ,2017; Gardes, F., & Starzec, C., (2017).

• 여가 시간의 추이• 여가 시간; 돈은 있지만 시간이 없는 여가 부족자 vs 돈이 없는 비자발적 여가 향유자(Fleming and Spellerberg, 1999)

• 1965-2003년 미국 여가 시간 급증. 남성 주당 6-8시간, 여성 주당 4-8시간 증가. 저학력자 여가 시간 증가. 여가 시간 불평등도 증가. (Aguiar, M., & Hurst, E. 2007)

• 시간부족 혹은 빈곤(time crunch/poverty)• 시간 빈곤을 포함하는 빈곤의 광범위한 정의, 노동에 가사 노동 포함

(Blackden, C. M., & Wodon, Q. (Eds.), 2006).

- 10 -

Page 17: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 주관적 행복 연구• 시간 사용과 행복에 대한 경험을 같이 조사 (Flèche, S., & Smith,

C. ,2017). • 미국 시간사용조사의 행복 조사

• 실업과 주관적 행복 경험; 실업자는 슬픔과 고통이라는 경험 수준이 높음 (Krueger, A.B. and A. Mueller, 2012).

• 고소득자는 더 행복한가? 행복감을 주지 않는 활동을 더 많이 함. 미국시간사용조사는 주관적 감정에 관한 부가 조사 실시 (Kahneman, D., Krueger, A. B., Schkade, D., Schwarz, N., & Stone, A. A. , 2006).

3. 가구 내 시간배분

• 성별노동분업• 가사노동 시간 감소 영향 요인 분석(Anxo, D., & Carlin, P. S. (2004). • 사회학; 상대 자원 이론, 가용 시간 이론, 젠더 이데올로기 이론

• 협상력과 규범의 영향 (Kühhirt, M, (2011).

• 비교국가적 시각 (Hook, 2010): 노동시간과 부모휴가가 긴 국가에서여성은 time-inflexible housework을 더 많이 함. 보육시설과 남성 육아휴직이 높은 곳은 여성이 이러한 노동을 덜함.

• 부모의 돌봄 시간• 아빠의 돌봄 시간이 증가했지만, 질적 변화는 크지 않음.• 자녀 성별과 시간 배분; 아빠는 아들과 더 많은 시간 보냄• 부모의 교육 수준• 자녀의 출생 순위

- 11 -

Page 18: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 가족형태의 변화와 시간배분• 취업모의 증가로 인한 자녀와의 시간 추이; 임금노동 시간이 증가한 만큼 자녀와의 시간 감소하지 않음. 직접/적극적 돌봄 시간 증가 (Bianchi, S. M., 2000).

• 양부모와 한부모 가구의 자녀와의 시간(Craig, L., 2005). • 모의 취업과 자녀 비만 (Cawley, J., & Liu, F., 2012).

• 노동시장의 변화와 시간배분• 부모의 비전형 노동시간과 자녀의 시간 사용 (Gracia, P., & Garcia-

Roman, J., (2017). ; 스페인에서 아빠의 근로스케줄은 별 영향없지만엄마의 저녁 시간대 근로스케줄은 아동발달 관련 자녀 시간을 줄이고자녀의 tv와 게임 시간 증가.

• 경기변동과 시간 배분; 미국 금융위기 동안, 유급+무급 노동 시간의 부모 격차 감소함. 남성의 임금 노동 시간이 감소한 것이 주요 원인. 남성은 개인 유지와 여가 시간 증가함(Berik, G., & Kongar, E. ,2013).

• 실업자와 취업자의 시간 사용의 차이, 여가 시간이 늘고 가사노동 시간이 늘지 않음(Burda and Hamermesh, 2010).

• 조세와 시간배분• OECD 국가에서 근로소득세는 가사생산-시장노동이 아니라 여가-시장노동 대체를 야기. 가내생산의 노동생산성이 증가했기 때문(Duernecker, G., & Herrendorf, B. (2018).

• 복지정책과 시간배분• 멕시코의 PROGRESA(복지 급여를 자녀 등교와 연결)의 영향; 여학생학교 시간 증가, 여성의 프로그램 조건 충족 활동 시간 증가. 어른의 임금노동 감소하지 않음.

• 실업급여와 구직활동• 미국에서 실업자의 구직활동은 평균 41분, 유럽보다 긺. 관대한 실업급여는 구직활동과 역의 관계 (Krueger and Mueller, 2009)

- 12 -

Page 19: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4. 다양한 영역의 시간 사용

• 미디어 사용• 애완 동물 보살피기• 환경(날씨)와 시간 사용• 수면 시간• 식사 시간• 사회적 자본 측정(Giannelli, G. C., Mangiavacchi, L., & Piccoli,

L.(2012).

국내 연구 동향

• 가사노동의 측정과 가치 평가• 가사노동 가치 측정과 국민위성계정• Time Transfer Accounts 구축• 자녀 양육 시간의 가치• 노인의 생산활동 실태 및 경제적 가치 평가• 비시장노동과 소득불평등

• ‘삶의 질‘과 생활수준• 빈곤여성의 재량 시간 연구• 여가 활동

• 기혼취업자의 여가 제약• 여가 시간 불평등

• 시간부족감과 시간사용만족도• 맞벌이 부부• 노동시간의 영향

• 함께하는 시간(관계재)와 행복

- 13 -

Page 20: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국내 연구 동향

• 성별분업• 맞벌이 부부의 시간사용실태나 가사노동분담에 관한 연구가 시간사용조사가 시작된 2000년대 이후 사회학, 가정관리학 분야에서 수행됨.

• 2000년대 취업 여성의 ‘이중노동부담’• 기혼 남녀의 무급 노동 시간 변화 연구• 여가와 돌봄노동 분리한 시간배분 영향 요인 분석• 최근들어 일가정양립이나 일생활균형과 연결지어 분석

• 자녀돌봄 시간• 부모의 교육과 자녀 돌봄 시간 불평등• 부모의 취업과 미취학자녀 돌봄 시간• 자녀 양육 시간의 시계열적 변화 요인 분석

• 노동시장 변화와 시간 배분• 근로시간단축제도 시행으로 인한 맞벌이 부부의 가사노동시간 변화• 노동시장 유연화와 일하는 시간대의 유연화 및 다양화

국내 연구 동향

• 인구집단별 생활시간 사용 실태 분석• 사회복지학 분야 중고령자, 고령화시대의 노인의 시간사용과 복지 정책적 함의

• 교육경쟁 사회에서 청소년의 생활시간과 교육 관련 연구• 학생인권조례 제정 이후 저녁시간 및 야간자율학습 시간의 변화• 가족유형에 따른 학생의 생활시간 사용(진미정, 2008)

• 고실업 시대 니트 청년 시간 사용

• ‘함께하는 시간‘• 2009년 생활시간조사 이후, 가족공유시간, 부부공유시간, 혼자 시간

(방임 시간) 분석

- 14 -

Page 21: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국내 연구 동향

• 다양한 영역의 시간사용 실태• 국민생활시간조사를 이용 인터넷 이용에 따른 생활시간 패턴의 변화

(강남준. 이재현, 오현경, 2008)• 인터넷 사용과 사회적 교제• 컴퓨터 모바일 게임 시간• 수면 시간• 통근 시간

- 15 -

Page 22: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 16 -

Page 23: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시간사용조사 참고문헌

Aguiar, Mark, and Erik Hurst. "Measuring Trends in Leisure: The Allocation of Time over Five

Decades."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22, no. 3 (2007): 969-1006.

Anxo, Dominique, and Paul S Carlin. "Intra-Family Time Allocation to Housework: French

Evidence." (2004).

Basner, Mathias, Kenneth M Fomberstein, Farid M Razavi, Siobhan Banks, Jeffrey H William, Roger

R Rosa, and David F Dinges. "American Time Use Survey: Sleep Time and Its Relationship

to Waking Activities." Sleep 30, no. 9 (2007): 1085-95.

Berik, Günseli, and Ebru Kongar. "Time Allocation of Married Mothers and Fathers in Hard Times:

The 2007–09 Us Recession." Feminist Economics 19, no. 3 (2013): 208-37.

Bianchi, Suzanne M. "Family Change and Time Allocation in American Families."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638, no. 1 (2011): 21-44.

———. "Maternal Employment and Time with Children: Dramatic Change or Surprising

Continuity?". Demography 37, no. 4 (2000): 401-14.

Bianchi, Suzanne M, Liana C Sayer, Melissa A Milkie, and John P Robinson. "Housework: Who Did,

Does or Will Do It, and How Much Does It Matter?". Social Forces 91, no. 1 (2012): 55-63.

Biddle, Jeff E, and Daniel S Hamermesh. "Sleep and the Allocation of Tim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98, no. 5, Part 1 (1990): 922-43.

Blackden, C Mark, and Quentin Wodon. Gender, Time Use, and Poverty in Sub-Saharan Africa. Vol.

73: World Bank Publications, 2006.

Bonke, Jens, and Gosta Esping-Andersen. "Parental Investments in Children: How Educational

Homogamy and Bargaining Affect Time Allocation."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10, no.

20 (2009): 1-13.

Booth, Alison L, and Jan C Van Ours. "Job Satisfaction and Family Happiness: The Part‐Time Work

Puzzle." The Economic Journal 118, no. 526 (2008).

Burda, Michael C, and Daniel S Hamermesh. "Unemployment, Market Work and Household

Production." Economics Letters 107, no. 2 (2010): 131-33.

Cawley, John, and Feng Liu. "Maternal Employment and Childhood Obesity: A Search for

Mechanisms in Time Use Data." Economics & Human Biology 10, no. 4 (2012): 352-64.

Chadeau, Ann. "Measuring Household Activities: Some International Comparisons." Review of

income and wealth 31, no. 3 (1985): 237-53.

Connelly, Rachel, and Ebru Kongar. Gender and Time Use in a Global Context: The Economics of

Employment and Unpaid Labor. Springer, 2017.

Couch, Kenneth A, Mary C Daly, and Douglas A Wolf. "Time? Money? Both? The Allocation of

Resources to Older Parents." Demography 36, no. 2 (1999): 219-32.

Couprie, Hélène. "Time Allocation within the Family: Welfare Implications of Life in a Couple." The

Economic Journal 117, no. 516 (2007): 287-305.

Craig, Lyn. "Does Father Care Mean Fathers Share? A Comparison of How Mothers and Fathers in

- 17 -

Page 24: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Intact Families Spend Time with Children." Gender & society 20, no. 2 (2006): 259-81.

———. "The Money or the Care: A Comparison of Couple and Sole Parent Households' Time

Allocation to Work and Children." Australian Journal of Social Issues 40, no. 4 (2005): 521.

Duernecker, Georg, and Berthold Herrendorf. "On the Allocation of Time–a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Roles of Taxes and Productivities." European Economic Review 102 (2018): 169-87.

Figart, Deborah M. "Accounting for Household Production: Toward an Improved Measure of

Macroeconomic Well-Being." In Stories of Progressive Institutional Change. 15-26:

Springer, 2017.

Flèche, Sarah, and Conal Smith. "Time Use Surveys and Experienced Well-Being in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2017).

Folbre, Nancy, Marta Murray-Close, and Jooyeoun Suh. "Equivalence Scales for Extended Income

in the Us." Review of Economics of the Household (2017): 1-39.

Folbre, Nancy, and Jayoung Yoon. "What Is Child Care? Lessons from Time-Use Surveys of Major

English-Speaking Countries." Review of Economics of the Household 5, no. 3 (2007): 223-

48.

Frazis, Harley, and Jay Stewart. "How Does Household Production Affect Measured Income

Inequality?".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s 24, no. 1 (2011): 3-22.

Gal, Robert I, Pieter Vanhuysse, and Lili Vargha. "Pro-Elderly Welfare States within Child-Oriented

Societies." (2017).

García-Mainar, Inmaculada, Jose Alberto Molina, and Víctor M Montuenga. "Gender Differences in

Childcare: Time Allocation in Five European Countries." Feminist Economics 17, no. 1

(2011): 119-50.

Gardes, François, and Christophe Starzec. "A Restatement of Equivalence Scales Using Time and

Monetary Expenditures Combined with Individual Prices." Review of income and wealth

(2017).

Gee, Kar-Fai. "Development of Estimates for Household Production of Non-Market Services in

Oecd Countries for the Index of Economic Well-Being." Centre for the Study of Living

Standards, 2015.

Gelber, Alexander M, and Joshua W Mitchell. "Taxes and Time Allocation: Evidence from Single

Women and Men." The Review of Economic Studies 79, no. 3 (2011): 863-97.

Giannelli, Gianna C, Lucia Mangiavacchi, and Luca Piccoli. "Gdp and the Value of Family

Caretaking: How Much Does Europe Care?". Applied Economics 44, no. 16 (2012): 2111-

31.

Gracia, Pablo, and Joan Garcia-Roman. "Parents' Nonstandard Work Hours and Children's Time

Use in Spain: The Intersection of Parental Work Schedules, Gender, and Education."

(2017).

Graff Zivin, Joshua, and Matthew Neidell. "Temperature and the Allocation of Time: Implications

for Climate Change." Journal of Labor Economics 32, no. 1 (2014): 1-26.

Gronau, Reuben. "The Intrafamily Allocation of Time: The Value of the Housewives' Time." The

- 18 -

Page 25: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American Economic Review 63, no. 4 (1973): 634-51.

Grossbard, Shoshana. "A Theory of Allocation of Time in Markets for Labor and Marriage:

Macromodel." In The Marriage Motive: A Price Theory of Marriage. 21-32: Springer, 2015.

Guryan, Jonathan, Erik Hurst, and Melissa Kearney. "Parental Education and Parental Time with

Children."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22, no. 3 (2008): 23-46.

Hallberg, Daniel, and Anders Klevmarken. "Time for Children: A Study of Parent's Time Allocation."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s 16, no. 2 (2003): 205-26.

Hamermesh, Daniel S. "Time to Eat: Household Production under Increasing Income Inequality."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89, no. 4 (2007): 852-63.

Hook, Jennifer L. "Gender Inequality in the Welfare State: Sex Segregation in Housework, 1965–

2003."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15, no. 5 (2010): 1480-523.

Huh, Kyungok, and Yoonkyung Yuh. "Values of Household Production in Korea Compared to Us,

Australia, Finland, and Canada: An Analysis from a Cross-National Comparative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6, no. 1 (2005): 61-74.

Ironmonger, Duncan, and Faye Soupourmas. "Estimating Household Production Outputs with Time

Use Episode Data." electronic International Journal of Time Use Research 6, no. 2 (2009):

240-68.

Jacobsen, Joyce P, and Peter Kooreman. "Timing Constraints and the Allocation of Time: The

Effects of Changing Shopping Hours Regulations in the Netherlands." Contributions to

Economic Analysis 271 (2004): 19-42.

Kahneman, Daniel, Alan B Krueger, David Schkade, Norbert Schwarz, and Arthur A Stone. "Would

You Be Happier If You Were Richer? A Focusing Illusion." science 312, no. 5782 (2006):

1908-10.

Kaushal, Neeraj, and Felix M Muchomba. "Missing Time with Parents: Son Preference among

Asians in the USA."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s (2017): 1-31.

Krueger, Alan B. "Are We Having More Fun Yet? Categorizing and Evaluating Changes in Time

Allocation." Brookings Papers on Economic Activity 2007, no. 2 (2007): 193-215.

Krueger, Alan B, and Andreas Mueller. "Job Search and Unemployment Insurance: New Evidence

from Time Use Data." Journal of Public Economics 94, no. 3-4 (2010): 298-307.

Kühhirt, Michael. "Childbirth and the Long-Term Division of Labour within Couples: How Do

Substitution, Bargaining Power, and Norms Affect Parents’ Time Allocation in West

Germany?".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28, no. 5 (2011): 565-82.

Lachance-Grzela, Mylène, and Geneviève Bouchard. "Why Do Women Do the Lion’s Share of

Housework? A Decade of Research." Sex roles 63, no. 11-12 (2010): 767-80.

Landefeld, J Steven, Barbara M Fraumeni, and Cindy M Vojtech. "Accounting for Household

Production: A Prototype Satellite Account Using the American Time Use Survey." Review

of income and wealth 55, no. 2 (2009): 205-25.

Lundberg, Shelly, Sabrina Wulff Pabilonia, and Jennifer Ward-Batts. "Time Allocation of Parents

and Investments in Sons and Daughters." Unpublished paper (2007).

- 19 -

Page 26: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Lyons, Glenn, and John Urry. "Travel Time Use in the Information Ag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Policy and Practice 39, no. 2-3 (2005): 257-76.

Ngai, L Rachel, and Barbara Petrongolo. "Gender Gaps and the Rise of the Service Economy."

American Economic Journal: Macroeconomics 9, no. 4 (2017): 1-44.

Offer, Shira, and Barbara Schneider. "Revisiting the Gender Gap in Time-Use Patterns: Multitasking

and Well-Being among Mothers and Fathers in Dual-Earner Famili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76, no. 6 (2011): 809-33.

Parker, Susan, and Emmanuel Skoufias. "The Impact of Progresa on Work, Leisure and Time

Allocation." Washington, DC: International Food Policy Research Institute (2000).

Podor, Melinda, and Timothy J Halliday. "Health Status and the Allocation of Time." Health

Economics 21, no. 5 (2012): 514-27.

Price, Joseph. "Parent-Child Quality Time Does Birth Order Matter?". Journal of Human Resources

43, no. 1 (2008): 240-65.

Raley, Sara, Suzanne M Bianchi, and Wendy Wang. "When Do Fathers Care? Mothers’ Economic

Contribution and Fathers’ Involvement in Child Car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17,

no. 5 (2012): 1422-59.

Robinson, John, and Geoffrey Godbey. Time for Life: The Surprising Ways Americans Use Their

Time. Penn State Press, 2010.

Sayer, Liana C, Suzanne M Bianchi, and John P Robinson. "Are Parents Investing Less in Children?

Trends in Mothers’ and Fathers’ Time with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10,

no. 1 (2004): 1-43.

Schreyer, Paul, and W Erwin Diewert. "Household Production, Leisure, and Living Standards." In

Measuring Economic Sustainability and Progress. 89-114: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4.

Song, Younghwan. "The Effect of Job Displacement on Subjective Well-Being." (2017).

Suh, Jooyeoun. "Measuring the “Sandwich”: Care for Children and Adults in the American Time

Use Survey 2003–2012." Journal of Family and Economic Issues 37, no. 2 (2016): 197-211.

Suh, Jooyeoun, and Nancy Folbre. "Time, Money, and Inequality." Œconomia. History,

Methodology, Philosophy, no. 7-1 (2017): 3-24.

———. "Valuing Unpaid Child Care in the Us: A Prototype Satellite Account Using the American

Time Use Survey." Review of income and wealth 62, no. 4 (2016): 668-84.

Szalai, Alexander. "The Use of Time: Daily Activities of Urban and Suburban Populations in Twelve

Countries." (1972).

Varjonen, Johanna, Eeva Hamunen, and Katri Soinne. "Satellite Accounts on Household

Production: Eurostat Methodology and Experiences to Apply It." Helsinki, Finlandia:

Statistics Finland (2014).

Walker, Kathryn E, and Margaret E Woods. "Time Use. A Measure of Household Production of

Family Goods and Services." (1976).

Yeung, W Jean, John F Sandberg, Pamela E Davis‐Kean, and Sandra L Hofferth. "Children's Time

- 20 -

Page 27: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with Fathers in Intact Familie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3, no. 1 (2001): 136-54.

Yoon, Jayoung. "Counting Care Work in Social Policy: Valuing Unpaid Child-and Eldercare in

Korea." Feminist Economics 20, no. 2 (2014): 65-89.

Zivin, Joshua Graff, and Matthew J Neidell. "Temperature and the Allocation of Time: Implications

for Climate Change."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10.

강남준, 이재현, 오현경. "인터넷 이용에 따른 생활시간 패턴의 변화." 한국언론정보학보 (2008): 145-80.

강재원, 박지혁, 박혜연. "일반 노인들의 시간사용 실태 분석: 체계적 고찰."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5, no. 2

(2017): 87-102.

고은주, 김진욱. "자녀연령과 계층적 요인이 영유아 자녀 직접돌봄시간 유형에 미치는 영향: 퍼지셋 이념형

분석의 활용." 보건사회연구 36, no. 4 (2016): 35-62.

권순범, 진미정. "취업 여부에 따른 어머니의 미취학자녀 돌봄시간 사용 양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4, no. 3

(2016): 27-43.

김기헌, 이경상. "청소년 생활시간 활용실태 및 변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2006): 1-98.

김상문. "인터넷 사용이 사회적 교제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2, no. 4 (2015): 71-92.

김수정, 김은지. "한국 맞벌이 가구에서 가사노동과 경제적 의존의 관계." 한국사회학 41, no. 2 (2007): 147-

74.

김외숙. "기혼자의 여가시간 공유대상 유형: 유형별 특성과 유형 결정요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 no.

3 (2012): 133-52.

김외숙, 박은정. "기혼취업자의 여가제약유형에 따른 여가활동참여의 차이."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 no.

1 (2013): 241-63.

김진욱. "일하는 어머니들의 이중노동부담에 관한 실증연구." 사회복지정책 35, no. 단일호 (2008): 197-220.

———. "한국 노인의 생산적 활동에 관한 실증연구-1999 년과 2004 년 생활시간조사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25 (2006): 133-58.

———. "한국 노인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2004 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에 나타난 노인의 일, 가족, 여가생활

분석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2, no. 단일호 (2006): 149-77.

김진욱, 권진. "한국 기혼남성의 무급노동 시간에 대한 연구: 생활시간조사 1999 년~ 2014 년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55 (2017): 181-215.

노혜진. "관계재로서 함께하는 시간의 실태와 영향요인 및 분해." 사회복지연구 48, no. 3 (2017): 117-43.

———. "부모의 교육적 동질혼에 따른 자녀 돌봄시간의 불평등." 사회복지정책, 2014.

———. "재량시간 Discretionary Time 을 중심으로 본 빈곤여성의 삶의 질." 사회복지연구 44, no. 1 (2013):

61-87.

류재린. "관계재가 노인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33, no. 3 (2017): 29-57.

박민자, 손문금.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와 관련된 생활시간사용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19

(2007): 93-120.

박은영, 김진욱. "아동의 컴퓨터· 모바일 게임시간과 부모영향요인 연구: 2009 년과 2014 년

생활시간조사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2016).

박은정, 이성림. "미취학자녀를 둔 맞벌이부부의 자녀양육시간 유형에 따른 시간부족감 및 시간사용만족도의

차이."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 no. 4 (2013): 97-111.

박정열, 손영미. "여성 근로자의 일과 삶의 균형 유형화: 전일제 여성 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 no. 2 (2014): 75-102.

배한진, 진미정. "학생인권조례 제정 이후 고등학생 저녁시간 및 야간자율학습시간의 변화." 한국청소년연구

28, no. 2 (2017): 101-30.

배호중. "맞벌이 가구 남편의 가사노동시간." 사회과학연구 31, no. 4 (2015): 151-81.

- 21 -

Page 28: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서미숙. "성별에 따른 통근시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여성연구논총 18 (2016): 5-36.

손문금. "맞벌이 부부의 무급노동분담에 대한 실증적 연구." 페미니즘 연구, no. 5 (2005): 239-87.

신윤정, 기재량, 우석진, and 윤자영. "저출산 정책 확대에 따른 자녀 양육 행태 변화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안미영. "고령화와 젠더 불평등." 여성연구 (2017): 7-34.

———. "한국 맞벌이 부부의 고용 형태와 가족 내 노동 분업의 젠더 불평등에 관한 연구." 경제와사회 112

(2017): 13-40.

양영순. "고령화사회에서 노인의 시간사용과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6 (2007): 1-26.

오만석. "한국 학생들의 생활시간 사용에 대한 비교 연구." 비교교육연구 20 (2010): 299-330.

유재언. "대한민국 근로자들의 평일 저녁 가족공유시간 영향요인: 요일별 퇴근시각, 귀가시각, 통근시간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8 (2016): 32-59.

윤자영. "기획논문: 비시장노동과 소득불평등: 한국의 경험." 여성경제연구 6, no. 2 (2009): 31-59.

———. "모 (母) 의 시간 배분 결정요인 분석." 노동경제논집 33, no. 2 (2010): 27-52.

———. "자녀 양육시간의 경제적 가치." 노동리뷰 2010, no. 7 (2010): 23-38.

은기수, 차승은. "한국의 일상생활에서 남녀의 수면시간과 관련 요인 탐색." 통계연구 15, no. 2 (2010): 82-

103.

이승미, 이현아. "맞벌이 임금근로자 남녀의 생활시간구조분석."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9, no. 5

(2011): 81-96.

이연숙, 김외숙, 이기영, 조희금, 이승미, 김하늬, and 한영선. "가족공유 여가시간 및 결정요인: 부부,

미취학자녀, 그 외 가족 및 친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 no. 1 (2012): 199-227.

이진우, 금현섭. "맞벌이 여성의 가사부담에 대한 대체행태 정도와 그 요인." 가족과 문화 29 (2017): 27-52.

———. "맞벌이 여성의 가사부담에 대한 대체행태 정도와 그 요인." 가족과 문화 29 (2017): 27-52.

정경희, 이윤경, and 윤지은. 노인의 생산활동 실태 및 경제적 가치 평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조미라. "여가시간 불평등 연구." 한국인구학 39, no. 1 (2016): 29-57.

조성호. "부부의 시간배분 결정요인: 맞벌이 부부를 중심으로." 노동경제논집 39, no. 1 (2016): 57-79.

조희금, 이승미, 김외숙, 이기영, 이연숙, and 한영선. "가족이 함께하는 식사시간과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 no. 1 (2011): 1-28.

주은선. "노동시간이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 no. 7 (2016): 750-59.

주익현. "맞벌이 여성의 소득기여도가 가사 시간량에 미치는 효과: 2004 년, 2009 년, 2014 년 시계열적

변화를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46, no. 2 (2015): 49-68.

———. "자녀돌봄노동이 아내의 수면부족에 미치는 효과." 한국인구학 40, no. 4 (2017): 79-102.

지민웅, 조민수. "기획논문: 맞벌이 임금근로자 부부의 가사노동시간은 상호 대체재인가?

법정근로시간단축제도 시행에 따른 시장노동시간의 변화를 이용하여." 여성경제연구 11, no. 1

(2014): 1-31.

진미정. "가족구조에 따른 아동의 생활시간 비교." 가족과 문화 20 (2008): 187-211.

차승은. "시간일지로 살펴본 부부의 주말시간활용." 가족과 문화 25 (2013): 1-30.

채화영, 김주희, 이기영. "중・ 고령자의 생활시간 유형화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 no. 2 (2011):

129-46.

한준. "일하는 시간의 유연화 및 다양화." 사회과학논집 42, no. 1 (2011): 23-38.

허경옥. "가정생산의 국민소득계정 통합." 소비자학연구 15, no. 4 (2004): 17-35.

황남희. "인구고령화와 가계생산." 여성연구 (2013): 135-70.

- 22 -

Page 29: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 발 표 2 >

KBS 국민생활시간조사,1981-2015이재현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Page 30: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Page 31: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KBS 한국방송

서울대 언론정보연구소

I. KBS 국민생활시간조사의 개요

1.  연혁 · KBS와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SNUICR)가 공동으로 1981년 처음 실시 · 2015년까지 10차례 조사 수행 · 1982년부터 세계시간조사학회(IATUR)에 조사 자료 및 연구 결과를 보고, 발표하여 조사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옴 2.  의의 · 우리나라 국민들의 생활시간을 과학적으로 측정하고 체계적으로 분석 · 국민여가활동 진흥정책 등 제반 국가정책 수립을 위한 정책적, 학술적 기초 자료로 활용 · 미디어 정책 및 기업의 광고, 홍보 전략 수립을 위한 중요 지표로 기능 · 1981년부터 축적된 시계열 자료를 통해 40여 년에 걸친 사회변화의 흐름을 파악 · 일본 NHK와 양자 협의를 거쳐 같은 시기에 조사를 진행함으로써 국제 비교연구를 수행

- 25 -

Page 32: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3.  다른 조사들과의 비교 1)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 10분 단위 · 1999년에 시작 (조사주기 : 5년) · 조사규모 : 전국 약 8,100가구의 만 10세 이상 가구원 약 21,000명 · 조사 취지상 미디어 행동에 대한 상세 집계 한계 2) KISDI 한국미디어패널조사 · 15분 단위 · 2000년에 시작 (조사주기 : 1년) · 조사규모 : 서울, 경기 및 6대 광역시 3,000가구를 대상으로 처음 실시 2011년부터 조사대상을 전국 16개 광역자치단체 5,000 가구로 확대 · 조사 항목: 미디어 기기 보유 현황, 통신서비스 가입 및 지출 현황, 시간대별 미디어 이용 행위 (다이어리 설문)

Ⅱ. 조사방법

1. 표집 · 통계청의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및 지역별 인구현황 자료를 토대로 성별, 연령별, 시도별, 지역크기별로 유층화한 다단계 유층확률표집방법 (stratified random sampling)을 사용하여 표본 추출 2. 실사 지역 · 전국의 특별시·광역시·도 중에서 구·읍·면 단위의 100개 지점을 선정 3. 실사 기간 · 2015년 10월 17일(토), 18일(일), 19일(월) 3일에 걸쳐 실사 수행 4. 유효 피조사자 · 3,500명의 피조사자로부터 회수한 3일치의 생활시간기입용지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408명의 응답자료를 분석에 활용(유효율 97.4%)

- 26 -

Page 33: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Ⅲ. 행동분류

1. 행동분류 및 코딩 · 생활행동은 크게 생활필수행동, 노동, 여가로 구분 - 생활필수행동: 수면, 식사, 신변잡일 - 노동: 일, 가사, 통근 - 여가: 행락, 관람, 휴식 등 다양한 여가활동과 미디어 활동 * 미디어 활동에 보다 큰 관심을 기울이는 본 조사의 특성상 2015년 조사는 가사의 하위항목을 대분류로 통합, 미디어 항목은 보다 세분화함 2. 중복행동 처리지침 · 2015년 조사도 예년과 마찬가지로 중복행동 인정 · 특히, 미디어 이용의 경우 수면을 제외한 모든 행동과의 중복 행동을 인정 · 하나의 행동이 두 가지 의미를 지니는 경우에도 플랫폼과 콘텐츠에 중복 코딩 예) 컴퓨터로 온라인게임: 플랫폼인 컴퓨터(오락)/ 콘텐츠인 컴퓨터게임하기로 코딩 휴대전화 애플리케이션으로 일용품 구입: 가사/휴대전화(쇼핑전자거래)로 코딩

- 27 -

Page 34: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행동분류표 (2015)

Ⅳ. 데이터 구조

행동1:01(수면), 행동2:00(없음), 재택 여부:1(재택)

행동1:13(휴식), 행동2:83(모바일 오락), 재택 여부:1(재택)

행동1:42(통학), 행동2:00(없음), 재택 여부:0(밖)

인적사항 아이디: 0002, 뒤의 13자리=개인정보 시도+지역+성별+학력+직업+나이+가입한 유료방송서비스

하나의 아이디당 5자리 data set이 96개*3일

- 28 -

Page 35: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Ⅴ. 조사결과의 요약

1. 시간량 분석 · 행동별 시간량 (전체/행위자) 및 표준편차, 행위자 비율 · 성, 연령, 지역, 직업, 학력 등 하위집단별로 집계 2. 시간대 분석 · 하루 96개 시간대별로 행동별 행위자 비율 · 성, 연령, 지역, 직업, 학력 등 하위집단별 집계

시간량 분석 결과표

- 29 -

Page 36: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시간대 분석 결과표

Ⅵ. 자료의 활용

1. 미디어 이용 연구 · 시간 재할당 가설 (이재현, 2005; 강남준 외, 2008 등) · 모바일 미디어 이용 (이재현,2006) · 인터넷의 영향 (오현경 외, 2008) · 미디어 이용 양극화 (조성동, 2009) · 미디어 세대의 변천 (김해리, 2018) 2. 방송 편성 연구 · 방송 기본 편성 패턴 (이재현,1994; 김현주, 1994 등) · 프로그램 기획 및 개별 프로그램 평가 (이재현, 1994) 3. 사회학적 연구 · 생활패턴의 동시화 (이재현, 1997) · 여가 생활 분석 (김복수, 2011; 최종후 외, 2006) · 장애인, 노인 등의 생활패턴 (김미옥, 2010; 최종후 외 2014) · 이동 패턴 (정병두, 2003; 2012) · 가족 생활시간 (김영란, 2015)

- 30 -

Page 37: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 발 표 3 >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 가구원간의 관계를 기준으로 한 생활시간 심층분석

이주희(통계개발원 사무관)

Page 38: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Page 39: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통계청생활시간조사 1999-2014

-가구원간의관계를기준으로한

생활시간심층분석

통계청통계분석실이주희, 조은숙, 박상영

목 차

I. 조사개요

II. 2014년 표본설계 및 가중값

III. 아동,청(소)년 생활시간 분석 결과

IV. 25세 이상 가족 생애주기별 분석 결과

V. 데이터 사용시 유의점

- 33 -

Page 40: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조사개요Ⅰ

생활시간조사 조사목적

국민들이 주어진 하루 24시간을 어떤 형태로 보내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국민의 생

활방식과 삶의 질 및 주관적 웰빙의 파악

가사노동 등 무급노동 및 비시장생산에 소요된 시간을 분석하여 그 경제적 가치를

측정(가계생산 위성계정 개발에 활용)

양성평등, 노동, 복지, 문화, 교통 등에 대한 정책수립(일, 가정 양립 정책 등), 가족

공유시간 실태 분석, 여가, 이동, 근무형태 등 사회변화의 파악

조사방법

조사표 중 가구, 개인 관련 항목은 대상 가구와의 면접을 통해 조사원이 기입,

시간일지 및 관련항목은 응답자가 연속된 2일간(00시~24시) 직접 기입

대상가구에 가구번호 부여한 후 시작번호 기준으로 대상가구를 가구번호순으로

3가구씩 5개 그룹(총 15가구)으로 나눈 후 조사일정 결정

조사체계 : 통계청→지방통계청(사무소)→지도공무원 및 임시조사원→조사대상가구

4

A그룹 B그룹 C그룹 D그룹 E그룹금 토 일 월 화 수 목 금 토 일

I. 조사개요

- 34 -

Page 41: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5

구분 1999 2004 2009 2014

표본규모

850조사구

(조사구당20가구조사),17,000가구,

46,000명

850조사구

(조사구당15가구조사),12,750가구,

32,000명

540조사구

(조사구당15가구조사),8,100가구, 21,000명

800조사구

(조사구당15가구조사),12,000가구,

27,000명

회당 조사차수

및 조사월1차 - 9월 1차 - 9월 2차 - 3월, 9월 3차 – 7월, 9월, 12월

행동

분류수

대, 중 9, 51 9, 50 9, 50 9, 42

소 125 137 144 138

사용 표본 경제활동인구조사 가구 경제활동인구조사 가구 사회조사 가구 별도 표본

I. 조사개요

6

1999년

시간일지

2009년

시간일지

2014년

시간일지

I. 조사개요

- 35 -

Page 42: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7

» 제공항목의 구성 변화 검토: 추가 or 삭제 항목

• 시간일지 변화: ‘함께한 사람’ 추가(2009년), ‘근무나 등교일 여부’ 추가(2014년)

1999년 2004년 2009년 2014년

시간

일지

주된행동,

동시행동,

집안에 있은 시간,

이동수단은 주된 행동과

같이 기입,

날짜, 요일구분

동일 추가: 함께한사람

(5개 구분),

이틀간 시간

사용 만족도

변경: 함께한사람(6개 구분),

행위장소/이동수단(세분)

한 칼럼에서 조사,

일별 시간사용 만족도

추가: 일지별 건강상태,

근무나등교일여부,

방문자(유무),일지작성자

가구

관련

주택종류, 입주형태, 주거

면적, 미취학 아동 유무, 유

료 보육 여부, 자가용유무

추가: (맞벌이

가구여부), 다른

주택 소유여부

삭제: 미취학유료보육여부,

다른주택소유여부, 자가용

유무

추가: 10세이상 돌봄필요사유,

10세미만 재학, 재원여부, 분거

가족, 월평균가구소득

개인

관련

성,연령, 교육, 혼인, 일여부,

산(직)업, 평소시간부족 등

추가: 남자는 일 여

자는 가정 , 부업여

부, 월평균소득 등

추가: 임금근로자 근로형태

삭제: 근무장소 등

추가: 일을하지않은이유, 주관적

만족감, 가사분담만족도등

삭제: 부업여부(부업시간은조사)

I. 조사개요

8

함께한사람항목변화2014년행동분류의돌보기

2009년 2014년

1. 혼자

2. 배우자

3. 미취학자녀

4. 그외가족, 친척

5. 기타

1. 혼자

2. 배우자

3. 만10세미만 (손)자녀

4. 만10세이상( 손)자녀

5. 부모

9. 기타아는사람

5가족및가구원돌보기

51함께사는만10세미만아이돌보기

52함께사는만10세이상초중고생돌보기

53함께사는배우자돌보기

54함께사는부모및조부모돌보기

55함께사는그외가구원돌보기

56함께살지않는부모및조부모돌보기

57함께살지않는그외가구원돌보기

함께한사람항목

• 정의 : 같은 ‘공간’에 있으면서 ‘동일한주된행동’을 같이 한 경우로 한정

이에 의하면 가족 돌보기의 경우 ‘혼자’를 기입

조사목적 : ‘가족공유시간실태를 분석하고 다양한 가족공유 형태를 파악한다. 개인-가족-사회 사이

의 균형 잡힌 생활을 위해 필요한 사회적 여건을 파악하고 각종 정책에 기초 자료 제공’

• EU 권고안: 근거리(on hand)에같이있었는지를 물으나 행동을 같이 할 필요는 없음

이는 문항을묻는목적과 함께국제비교를 위해서도 재검토 중임

I. 조사개요

- 36 -

Page 43: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9

• 시간일지에서 2009년에 함께한 사람 항목 추가 되어 조사하면서 기존 행동분류 코드 유지했으나

2014년 행동분류에서는 관련 분류 통합됨

• 2009년부터 식사 교제 이외에도 모든 행동분류에 대해 산출 가능해짐

2014년연계 2014년 2009년 2004년 1999년연계코드 행동분류명 조사코드, 행동분류명 조사코드, 행동분류명 조사코드, 행동분류명 조사코드, 행동분류명

T1 개인유지 1 개인유지 1 개인유지 1 개인유지 1 개인유지

T12 식사 및 간식 12 식사 및 간식 12 식사 및 간식 12 식사 및 간식 12 식사 및 간식

T121 식사 121 식사

T1211 가족과의 식사 121 가족과의 식사 121 가족과의 식사 121 가족과의 식사

T1212 그외의 식사 122 그 외의 식사

T12121 혼자 식사 122 혼자 식사 122 혼자 식사

T12122 가족외 사람과의 식사 123 가족 외 사람과의 식사 123 가족 외 사람과의 식사

T7 교제 및 여가활동 7 교제 및 여가활동 7 교제 및 여가활동 7 교제 및 여가활동 7 교제 및 여가활동

T71 교제활동 71 교제활동 71 교제활동 71 교제활동 71 교제활동

T711 대면교제 711 대면교제

T7111 가족·친척과의교제

712 가족·친척과의 교제 712 가족·친척과의 교제 712 가족·친척과의 교제

T7112 그외 사람들과의 교제 713 그 외 사람들과의 교제 713 그 외 사람들과의 교제 713 그 외 사람들과의 교제

I. 조사개요

10

식사 가족과의식사 혼자식사 가족외사람과식사

성 요일별 1999 2004 2009 2014 1999 2004 2009 2014* 2004 2009 2014* 2004 2009 2014*

요일평균 1:15 1:16 1:19 1:26 0:40 0:37 0:37 0:37 0:16 0:17 0:21 0:22 0:24 0:36

평일 1:15 1:15 1:17 1:24 0:38 0:33 0:32 0:31 0:17 0:18 0:22 0:25 0:27 0:36

토요일 1:15 1:16 1:22 1:30 0:43 0:42 0:47 0:47 0:16 0:17 0:20 0:18 0:18 0:36

일요일 1:19 1:19 1:23 1:30 0:50 0:51 0:53 0:53 0:14 0:14 0:17 0:15 0:15 0:34

주 : 1999년~2009년은 kosis에 수록된 결과임, 2014년은 가족과, 혼자, 가족외 사람과 식사, 가족, 친척과의 교제, 그외 사람들과의 교제는 함께한 시간 칼럼을 이용하여 산출한 결과임, 2014년에는 가족의 범위 축소됨(배우자, (손)자녀, 부모 한정)

대면교제 가족·친척과의교제 그외사람들과의교제

성 요일별 1999 2004 2009 2014 1999 2004 2009 2014* 2004 2009 2009 2014*

요일평균 0:44 0:39 0:35 0:30 0:11 0:09 0:09 0:07 0:32 0:30 0:26 0:25

평일 0:41 0:38 0:33 0:29 0:09 0:07 0:07 0:06 0:32 0:31 0:27 0:23

토요일 0:48 0:46 0:42 0:36 0:14 0:13 0:15 0:12 0:34 0:32 0:27 0:29

일요일 0:50 0:43 0:38 0:33 0:19 0:17 0:15 0:12 0:31 0:26 0:23 0:26

<단위: 시간>

<단위: 시간>

O 가족과 식사

O 가족과의 교제

I. 조사개요

- 37 -

Page 44: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2014년 표본설계 및 가중값Ⅱ

모집단 및 표본추출틀 모집단 : 대한민국에 거주하고 있는 만 10세 이상 모든 사람 표본추출틀 :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 중 일반조사구의

조사구특성 일반(1), 아파트(A) 조사구(신축 아파트 포함)

표본규모 및 목표허용오차 표본규모 : 약 12,000가구의 만 10세 이상 가구원

(800개 조사구, 조사구당 15가구) 목표허용오차 : 주요 변수 상대표준오차(CV) 평균 1.7%이내

층 및 표본추출방법(총 48개 층) 지역 층 : 전국의 16개 시도 일자 층 : 365일을 3개의 층으로 구분함(여름/봄․가을/겨울)

추출방법 : 층화 2단 집락추출 1단 추출: (추출단위(PSU) : 조사구) : 확률비례계통추출 2단 추출: (추출단위(USU) : 가구) : 단순임의추출 가구내 만 10세 이상 가구원은 전수 조사

12

II. 2014년 표본설계 및 가중값

- 38 -

Page 45: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일자 층 결정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조사횟수 결정

• 「생활시간조사 방법론 개선방안 연구」(김영원 외, 2010)

• 「생활시간조사 방법론 개선결과 심층 검토 및 실무적용방안 연구」(최재혁 외, 2013,

통계개발원)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일자 모집단을 3개로 층화

• 2008년~2012년까지 5개년 기상청 기상자료 평균 이용(평균기온, 강수량 등 9개 변수)• 2014년 달력의 월, 분기, 요일, 주중/주말, 공휴일, 휴가, 방학 변수 사용함

조사일자 선택

층의 주별 평균과 층별 평균의 비교 및 시계열 유지 등 여러 가지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종 결정

층별 표본 배분 일자 층별 배분 후 3개 일자 층 안에서 16개 지역층별 표본배분

• 제곱근배분과 최소 표본규모, 목표 cv 등 고려하여 조정함

표본추출

• 지역층별로 분류지표에 따라 정렬 후 확률비례추출방법으로 일자 층 3개 각각 추출

13

II. 2014년 표본설계 및 가중값

가중값

계절별가중값작성

• 설계 가중값 → 무응답 조정 → 요일별 조정 → 사후층화 조정

• 요일별 조정계수 : 각 계절층별 대표 기간 내 요일별 전체 일수를 조사일수로 나눔

• 사후층화 : 2014년 7월 기준의 동일한 인구 및 가구 추계자료 적용

계절 가중값 조정• 계절별 조사를 연간화하기 위해 계절 가중값을 연간 기준일수를 이용하여 비조정

연간 가중값 작성

• 가구 사후층화 조정 : 16개 설계층별 가구주성별로 조정

• 가구원 사후층화 조정 : 2차원 3단계 반복비례 적용

14

II. 2014년 표본설계 및 가중값

- 39 -

Page 46: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추정방법

평균시간

• 행동을 하지 않은 사람을 포함한 전체 응답자의 행동분류별 평균시간, 주행동만

집계한 경우 1일 전체 평균시간의 합은 24시간임

행위자 비율

• 대상자 중 하루 24시간 동안 각 행동을 10분 이상 한 사람의 비율

행위자 평균시간

• 각 행동을 하루 24시간 동안 10분 이상 한 사람들의 행동별 평균시간

10분 간격별 행위자 비율

• 하루를 10분 간격으로 구분하여 10분 동안 각 행동을 한 사람의 해당인구 전체에

대한 비율(%)

30분 간격별 행위자 비율

• 각 30분 간격내의 3개의 10분 간격 행위자 비율의 평균값

※ 출처: ‘2014년 생활시간조사 이용자 가이드라인(2016)’, 통계청

15

II. 2014년 표본설계 및 가중값

요일평균 평균시간 추정 방법

1999년, 2004년조사 : 개인별 가중값에 요일별 가중값이 반영되지 않음

• 평토일의 평균을 각각 계산 후 평일평균에 5/7, 토, 일요일 평균에 1/7을 해주는 방법으

로 추정

2009년, 2014년 조사 : 개인별 가중값에 요일별 가중치가 반영됨

• 요일평균 시간 추정시 별도 가중평균 적용 절차 불필요

• 2009년에는 금토일 가중값을 1/2로 줄여서 가중값 생성함

• 2014년에는 요일 조정계수 반영하여 가중값 생성함

통계표 관련 기타 주요 용어• 주행동, 동시행동 : 같은 시간대에 두가지 이상의 행동을 한 경우 가장 길게 한 행동이나

응답자가 주된 행동이라고 판단한 행동이 주행동, 주행동 외에 행한 행동이 동시행동임

• 모든행동 : 주행동과 동시행동을 포괄하여 집계한 행동

• 필수시간 : 잠, 식사 등 개인 유지를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시간(1. 개인유지)

• 의무시간 : 일반적으로 해야 하는 의무가 부여된 시간(2일,3학습,4가사,5가족돌보기,8이동)

• 여가시간 : 필수,의무시간이 아닌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한 시간(6참여봉사,7교제여가,9기타)

※ 출처: ‘2014 생활시간 이용자 가이드라인(2016)’, 통계청

16

II. 2014년 표본설계 및 가중값

- 40 -

Page 47: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아동,청(소)년 생활시간 분석 결과Ⅲ

18

• 생활시간조사의 가구원간의 관계를 활용하여, 세대구성별(1인가구, 1~3세대 가구)로

구분하고, 세대구성에 따라 가구원간에 시간 사용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

• 가족과 함께한 시간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함께한 사람’ 항목 개선 시사점 제시

• 가구 특성에 따른 생활시간조사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함

• 2014년 생활시간조사 일지 및 가구정보

• (아동, 청소년 분석) 부모와 자녀의 데이터를 연결하여 사용, 부모 중 한 명 이상과

같이 거주하는 10~24세 미혼자녀, 손자녀로 2세대 양부모, 2세대 부모 한 명과

거주, 3세대인 9,324개 일지

• (25세 이상 분석) 가구주와 배우자로 한정하여 분석, 배우자와 함께한 시간 분석시

는 가구주와 배우자 데이터를 연결하여 사용

• (독립변수) 등교,근무일 여부, 평일주말여부, 학교급, 세대구분, 부모 맞벌이 여부,

가구소득, 부모의 학력, 성별, 총 가구원수, 가족 생애주기 구분 등

III. 아동,청(소)년 생활시간 분석 결과

- 41 -

Page 48: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19

• 주된 행동의 전체 평균시간을 대상으로 영향 및 차이 분석

• 개인별 가중치를 적용

• SAS를 이용하여 분석함(proc reg, glm, transpose, array 등 사용)

• 시간량 비중과 가족과의 시간과 관련성 등을 고려하여 주요 행동분류 28개를 위주로

분산분석, 이 중 주요 10개 행동분류에 대해서 다중 회귀분석함

• 주된 행동을 ‘함께한사람’ 항목과 ‘행위장소’ 항목을 동시에 이용하여

가족과 ‘집에같이있었던’ 시간과 ‘집에서동일한행동을함께한’ 시간 산출하여 비교

< 시간대 파일 읽기(예) >

III. 아동,청(소)년 생활시간 분석 결과

20

• 가족구조에 따른 아동의 생활시간 비교(진미정 2008년)

- 가족구조(①양친②모자③부자④3세대⑤조손가족)가 아동의생활시간사용양태에

미치는영향: 학원에다니는시간, 혼자공부하는시간, 가족과함께보내는시간등에서

유의미한차이발견

• 제39차 국제학술대회

- 가족의시간과기술적변화: 2000년, 2015년 영국의시간일지연구(Killian Mullan)

: 분석대상을부모와함께사는8-16세 자녀3,400명(2000년), 2,000명(2015년)과부모를

매치하여가족단위로데이터셋을생성함

1) 자녀가집에서부모와함께있는시간

2) 자녀가집에함께있으면서동일한행동을한시간의변화분석

3) 부모와자녀가함께있는시간동안컴퓨터, 스마트폰등의기기를사용한시간분석

☞ (집에서) 함께한시간동안부모및자녀가기기를사용하는시간이상당하며,

가족끼리동일한행동을함께한시간은그리길지않았음.

III. 아동,청(소)년 생활시간 분석 결과

- 42 -

Page 49: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21

- 시간일지 작성일이 ‘근무, 등교하는 날’인지 여부를 구분하기 위해 2014년 추가됨

- 2014년에 조사기간에 여름(7.18.~7.27.)이 처음 추가되면서 방학이나 휴가 시 경활

여부나 학생여부, 평토일 구분이 설명해 주기 어려운 부분을 보완해 주는 역할 가능

• 평일이 쉬는 날 이거나 주말에 등교, 근무 : 24세이하 1,264일(11.9%), 25세이상 6,490일(15%)

- 이 연구에서는 ‘쉬는날’과 ‘해당없음’을 통합해서 이하 ‘쉬는날’로 표기하여 분석함

구분요일

계등교,근무일

쉬는날해당없음

구분요일

계등교,근무일

쉬는날해당없음

10-24세 계 10,582 5,968 3,871 743 25세이상 계 43,394 20,826 7,699 14,869

학생 평 5,241 4,668 573 일함 평 17,082 15,683 1,399

토 1,697 272 1,425 (휴가,휴 토 5,568 3,160 2,408

일 1,706 134 1,572 직포함) 일 5,644 1,870 3,774

학생외 평 1,166 663 54 449 일안함 평 8,938 97 45 8,796

토 376 138 92 146 토 3,167 10 35 3,122

일 396 93 155 148 일 2,995 6 38 2,951

<평토일, 등교근무일별 일지수 분포> <단위: 개>

III. 아동,청(소)년 생활시간 분석 결과

22

- 취업자(일시휴직 포함)나 학생의 경우 [1] 또는 [2], 그 외는 [3]을 기입한다.

․ [1] 근무 또는 등교: 출근을 한 후 개인적인 일을 위해 조퇴, 외출 등을 한 경우 포함

․ [2] 쉬는 날: 연가를 내거나 회사가 공식적으로 쉬는 날인 경우, 현장학습 등의

사유로 조사 대상 일에 학교를 가지 않은 경우 포함

․ [3] 해당 없음: 달리 쉬는 날이 정해지지 않은 주부, 무직자 등이 해당

< ‘등교, 근무일’ 항목의 조사표 내 형태 및 지침서 설명 >

자료 : ‘2014 생활시간조사’ 이용자 가이드라인

III. 아동,청(소)년 생활시간 분석 결과

- 43 -

Page 50: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23

회귀분석주요분석대상변수 단계선택시만사용한변수

등교,근무일 여부(쉬는날= 1) 평일,주말 여부(휴일=1)

세대구분(준거=2세대 양친부모와 거주)가구특성_편부모여부

(준거=18세미만으로 양부모와 거주)

학교급별(준거=학생외, 초중고생만 분석시는 고등학생) 아이 연령(준거=20세이상)

가구소득(준거=400~600만원)

맞벌이가구 여부(준거=홑벌이)

부모 교육정도(준거=부모 다 고졸이하)부모 전일이나 자영, 시간제여부(준거=한명만 일함 등)

성별(여학생=1), 총 가구원수 0~24세 가구원수

< 10~35세 학생의 학교급별 만연령 분포 >• 학교급별연령분포 연령범위가 넓게 분포함

대학생이상의 편차가 특히 큼

10~24세 안에 전체 대학이상 재학생의

80.8%가 포함됨

학교급별 차이 효과를 보여주는 연령

구분을 규정하기가 어려움

III. 아동,청(소)년 생활시간 분석 결과

24

< 10~24세 등교근무일과 평일,주말여부별 생활시간의 비교 >

III. 아동,청(소)년 생활시간 분석 결과

- 44 -

Page 51: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25

<그림 > 아동, 청(소)년의 부모와 함께한 시간과 집안에 있은 시간 관계

함께한 사람 항목 집안에 있었는지 여부 항목

학교급부모와함께_w5

집밖에서부모와함께_zf

집안에서부모와함께_z9

같은 집안에부모와2)_zb

부모와집에서같은행동

(소분류)_zc

부모와집에서 같은행동(중분류)_ze

부모와집에서 다른행동(소)_zd

등교근무일

초등학생 1:21 0:16 1:04 4:19 1:09 1:19 3:10

중학생 0:58 0:11 0:45 4:01 0:56 1:04 3:05

고등학생 0:38 0:09 0:28 3:24 0:38 0:48 2:45

쉬는날초등학생 4:36 2:29 2:04 7:13 2:23 2:43 4:50

중학생 2:45 1:00 1:42 7:01 1:57 2:19 5:04

고등학생 2:08 0:54 1:11 6:13 1:29 1:47 4:44

< 학교급별 부모와 함께 한 평균시간1) 및 집에 같이 있은 평균시간 1) >단위(시간:분)

주 1) 수면시간은 제외함, 2) 부모 중 한명 이상과 함께 있었으면 ‘부모와’로 표현함

III. 아동,청(소)년 생활시간 분석 결과

26

III. 아동,청(소)년 생활시간 분석 결과

- 45 -

Page 52: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27

III. 아동,청(소)년 생활시간 분석 결과

25세 이상 가족 생애주기별 분석 결과Ⅳ

- 46 -

Page 53: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29

• 기존 연구자료인 개인과 가족의 생애주기 구분을 참고하여 분석대상 연령그룹을

구분하고 가구원별로 연령구분을 적용하여 분석

< 개인과 가족의 생애주기 : 기존 연구 >

개인의생애주기* 가족의생애주기* 분포

주기구분생애주기

사건

가구주

연령구분

생애주기

사건

2010년인총

가구%*

2014생활시간가구주

일지수 %

성장기 (0~19세)- 0~12아동,13~19청소년기

출생,교육가족형성기(25~34세) 결혼 16.2 2,374 10.2

성숙기 (20~49세)- 20~29청년,30~49장년기

노동시장 진입,결혼 및 출산

확장기(35~44세) 자녀 출산 및 양육 23.8 5,002 21.5

노쇠기 (50~84세)- 50~64중년,65~84노년기

은퇴, 빈둥지기수축기(45~64) 자녀 결혼, 자녀 독립 42.2 10,136 43.6

해체기 (85세이상) 사망소멸기(65+) 배우자사망,본인사망 17.8 5,710 24.6

자료 : 통계개발원 동향분석실, ‘생애주기별 주요 특성 및 변화 분석(2013년)’주 : 1. 가족 생애주기 구분에 ‘초혼연령’ 및 ‘첫 출산연령‘이 고려됨

2. 평균 초혼연령 남성(31.8세), 여성(28.9세), 기혼여성의 첫 출산연령 30.1세(「인구동태조사」,2010년)※ 평균 초혼연령 남성(32.4세), 여성(29.8세), 기혼여성의 첫 출산연령 31.0세(「인구동태조사」,2014년)

<단위: 개, %>

IV. 25세 이상 가족 생애주기별 분석 결과

30

회귀분석주요분석대상변수 단계선택시만사용한변수

가족 생애주기 구분(준거=가족 수축기)

등교,근무일 여부(쉬는날= 1) 평일,주말 여부(휴일=1)

세대구분(준거=2세대 전체 또는 2세대 부부+자녀)

자녀 최저연령별 유무(준거=17세 이하 (손)자녀 없음) 총 가구원수,

혼인상태(준거=유배우) , 성별(여=1) 10세미만 아동수, 미취학아동수

부부 전일 근로나 자영, 시간제 근로 여부(준거=한명 일안함)

본인 교육정도(준거=고졸)

가구소득(준거=200~400만원)

맞벌이가구 여부(준거=홑벌이)부모 전일이나 자영, 시간제 여부(준거=한명만 일함 등)부부 교육정도(준거=둘다 고졸이하)

< 생애주기, 성별 주말에 등교근무일인 비율> < 가구주 가족 생애주기 및 배우자의 연령에 따른 일지수 분포 >

IV. 25세 이상 가족 생애주기별 분석 결과

- 47 -

Page 54: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31

< 25세이상 가구주나 배우자의 가족 생애주기별 특성 비교 >

IV. 25세 이상 가족 생애주기별 분석 결과

32

< 25세이상 가구주나 배우자의 등교근무일과 평일,주말여부별 생활시간의 비교 >

IV. 25세 이상 가족 생애주기별 분석 결과

- 48 -

Page 55: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33

의무행동(일+가사+돌보기+학습+이동) 평균시간 가정관리 평균시간

요일 성가족주기

1인가구

1세대 2,3세대 또는부부+자녀

한부모+자녀

3세대

p 1인가구

1세대 2,3세대 또는부부+자녀

한부모+자녀

3세대

p

평일 남 형성기 9:43 10:01 10:45 *** 0:38 0:22 0:19 ***

확장기 9:08 10:09 10:33 9:46 10:46 *** 0:45 0:28 0:17 1:06 0:11 ***

수축기 8:01 8:17 9:24 9:27 9:15 *** 1:10 0:34 0:20 1:02 0:17 ***

소멸기 4:50 4:22 5:23 *** 1:58 0:56 0:55 ***

여 형성기 9:45 8:49 10:15 *** 1:01 1:55 3:09 ***

확장기 9:35 9:13 9:59 9:38 10:13 *** 1:12 2:25 3:19 2:43 2:49 ***

수축기 7:55 8:11 9:06 9:28 9:31 *** 2:26 3:11 3:18 2:28 3:06 ***

소멸기 5:07 6:10 6:43 *** 2:44 3:38 3:38 ***

주말 남 형성기 5:49 5:37 6:57 *** 1:07 1:14 0:52 **

확장기 6:54 5:36 6:27 6:19 5:53 * 1:09 0:45 0:55 1:47 0:54 ***

수축기 6:19 5:53 5:56 6:47 6:12 1:23 0:43 0:44 1:31 0:48 ***

소멸기 4:32 3:46 4:31 *** 1:58 0:54 0:58 ***

여 형성기 6:04 5:57 8:18 *** 1:46 2:33 3:14 ***

확장기 6:42 7:09 7:32 8:04 7:23 ** 2:03 2:42 3:44 3:24 3:23 ***

수축기 7:02 7:06 7:15 8:02 7:51 *** 2:33 3:38 3:41 2:57 3:34 ***

소멸기 4:44 6:11 5:57 *** 2:52 3:49 3:37 ***

IV. 25세 이상 가족 생애주기별 분석 결과

34

함께한 사람 항목 집안에 있었는지 여부 항목

세대 요일가족

생애주기배우자와함께한 시간

집안에같이 있었고

‘배우자와 함께'

집밖에같이 있었고

'배우자와 함께'

함께한 시간+배우자 돌봄시간 합

집안에배우자와 같이

있었음

집안에서같은행동함

집안에서다른행동함

1~3세대 전체 전체 2:44 1:37 1:02 2:46 4:51 1:42 3:09

평일 형성기 1:38 1:04 0:29 1:41 3:26 1:04 2:22

확장기 1:23 0:54 0:24 1:25 3:18 0:54 2:24

수축기 1:58 1:13 0:40 1:59 3:54 1:17 2:37

소멸기 3:45 2:45 0:54 3:48 7:26 3:01 4:24

주말 형성기 4:55 2:01 2:50 4:56 5:58 2:09 3:49

확장기 4:33 1:56 2:34 4:34 5:42 1:57 3:45

수축기 4:01 1:59 1:57 4:03 5:46 2:05 3:41

소멸기 4:29 3:02 1:21 4:32 7:51 3:14 4:38

1세대 전체 전체 3:29 2:12 1:11 3:31 6:00 2:24 3:36

평일 형성기 1:55 1:10 0:38 1:58 3:05 1:10 1:55

주말 형성기 5:25 2:27 2:56 5:27 5:51 2:43 3:08

소멸기 4:36 3:09 1:20 4:39 8:05 3:22 4:42

2,3세대 전체 전체 2:23 1:21 0:59 2:25 4:18 1:23 2:56

평일 형성기 1:31 1:02 0:25 1:34 3:35 1:02 2:34

주말 형성기 4:43 1:51 2:48 4:44 6:01 1:55 4:06

소멸기 4:10 2:43 1:21 4:12 7:14 2:50 4:23

< 세대, 요일 가족주기별 배우자와 함께 한 평균시간 및 집에 같이 있은 평균시간 >단위(시간:분)

- 집안에 같이 있었던 시간의 33%만 배우자와 함께함, 집안에 있으면서 함께한 사람에 표시한 경우는집안에 같이 있으면서 동일한 행동을 한 시간과 거의 유사

- 1세대가 2,3세대 보다 배우자와 함께 있은 시간이 1시간 이상 길게 나타남

- 49 -

Page 56: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35

함께한 사람 항목 집안에 있었는지 여부 항목

요일 성가족

생애주기10세 미만

(손)자녀와 함께

10세미만 함께+

10세미만돌보기

10세 이상(손)자녀와함께

집안에같이 있었고’10세 이상자녀와 함께'

집밖에같이 있었고’10세 이상자녀와 함께'

10세 이상자녀와 함께

+10세이상초중고생돌보기

집안에10세 이상자녀와 같이있었음

집안에서 같은행동함

집안에서 다른행동함

전체 전체 0:45 1:23 0:34 0:21 0:11 0:38 2:58 0:39 2:19

평일

남 형성기 0:33 1:14 0:02 0:01 0:01 0:02 0:04 0:01 0:03

확장기 0:29 0:47 0:19 0:15 0:03 0:20 1:11 0:17 0:55

수축기 0:06 0:09 0:18 0:14 0:03 0:20 2:30 0:32 1:58

소멸기 0:09 0:13 0:21 0:14 0:05 0:21 3:41 0:54 2:47

여 형성기 1:31 5:11 0:04 0:02 0:01 0:05 0:15 0:02 0:13

확장기 0:48 2:07 0:42 0:33 0:07 1:00 3:11 0:34 2:36

수축기 0:07 0:16 0:22 0:16 0:04 0:27 4:06 0:45 3:21

소멸기 0:10 0:18 0:26 0:21 0:02 0:29 5:04 1:20 3:45

주 남 형성기 2:57 4:09 0:02 0:02 0:00 0:03 0:06 0:02 0:04

말 확장기 2:58 3:43 1:22 0:38 0:43 1:25 2:15 0:42 1:33

수축기 0:22 0:27 0:57 0:33 0:22 0:59 4:16 1:07 3:09

소멸기 0:16 0:18 0:23 0:16 0:05 0:24 4:12 1:06 3:06

여 형성기 4:10 7:11 0:09 0:05 0:04 0:11 0:22 0:06 0:16

확장기 2:42 3:42 2:12 1:02 1:06 2:21 4:47 1:09 3:38

수축기 0:12 0:18 0:48 0:29 0:17 0:50 5:48 1:15 4:34

소멸기 0:14 0:21 0:36 0:28 0:05 0:38 5:46 1:26 4:20

< 세대, 요일 가족주기별 자녀와 함께 한 평균시간 및 집에 같이 있은 평균시간 > 단위(시간:분)

- 집안에 같이 있었던 시간의 12%만 10세 이상 자녀와 함께함- 집안에 있으면서 함께한 사람에 표시한 경우는 집안에 같이 있으면서 동일한 행동을 한 시간보다 18분 적음- 함께한 시간에 돌보기 시간을 합하면 10세미만은 45분-> 1시간23분, 10세이상은 34->38분으로 늘어남

데이터 사용시 유의점Ⅴ

- 50 -

Page 57: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37

메타데이터확인

• 2014년에는 6개의 마스터 파일이 있음(가구정보, 시간량(연간, 9월), 시간대(연간,9월),

함께한 사람별 주행동)

• 각 연도별로 메타 데이터(조사표, 집계기준, 일러두기, 행동분류표)를 확인

• 2014년에는 ‘2014 생활시간조사이용자가이드라인’ 확인

시계열분석

• 연도별로 조사회수가 다르므로 연도간 시계열 분석시에는 연간 자료 보다 9월 자료를 이용

• 연도별로, 동일 연도 안에서도 연간과 9월 자료의 행동분류 코드가 다르므로 주의

• 2014년에는 행동분류가 큰 폭으로 변경되면서 과거 시계열과 연결한 시계열연계표 제공됨

조건별규모확인

• 조건을 여러 개 사용하면 셀의 표본수가 너무 적게 되어 대표성이 없을 수 있음

→ 조건별 규모 및 상대표준오차 등을 확인하고 적정 수준으로 사용 필요함

자료제공

• 보도자료는 통계청 홈페이지(http://kostat.go.kr) • 통계 공표자료는 KOSIS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 • 마이크로데이터는 MDIS(http://mdis.kostat.go.kr) 에서 제공됩니다.

V. 데이터 사용시 유의점

Thank You

- 51 -

Page 58: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 52 -

Page 59: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 발 표 4 >

사회과학자를 위한2014 생활시간조사의 단순 무식한 소개

이윤석(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Page 60: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Page 61: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사회과학자를 위한2014 생활시간조사의

단순 무식한 소개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2014 생활시간조사

- 55 -

Page 62: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보고서

시간일지

- 56 -

Page 63: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가구관련사항 1

가구관련사항 2

- 57 -

Page 64: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가구관련사항 3

• 분가가구원: 배우자, 자녀• 집의 종류• 자가, 전세, 월세 등• 가구소득

개인관련사항

• 삶의 질: 시간부족, 피곤, 삶의 만족도• 가사분담: 만족도, 태도• 경제활동: 여부, 직업, 산업, 종사상 지위, 일하는 시간, 정기휴일• 교육• 개인소득

- 58 -

Page 65: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2014 생활시간조사의 특징(다른 생활시간자료와 비교할때)• 12,000여 가구 10세 이상 가구원• 조사기간: 3차(7월, 9월, 11월)• 각 응답자 당 이틀(48시간 조사)• 각 가구원 같은 날 같은 시간 대상 조사• 함께, 같이: 혼자, 배우자, 10세미만, 10세이상, 부모, 기타

조사기간의 구체적 일자

- 59 -

Page 66: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Time Diary Research in the World

• 긴 역사- 미국의 경우 1960s 이후 현재까지- 경제학적인 관심(국민계정)에서 출발

• 특정 행위에 사용하는 시간량에 학문적 관심- 예) 부인과 남편의 가사노동, 주5일제 이후 여가 등- “시간량” 파일

• 역사적 사회적 변화

• 시간에 대한 사회적 관심(subjective well-being)

2014 생활시간조사의 단점

• 아주 적은 “종속”변수- 삶의 질(만족도, 시간부족, 피곤): 문제 많은 변수 ㅜㅜ- 시간사용량

• 매우 불편- 세세한 행위 구분(많은 변수): SPSS, SAS 프로그램- 복잡한 자료구조: 이틀(개인 당 2줄), 가구원(가구 당 다름)- 변수 지정

- 60 -

Page 67: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2014 생활시간조사의 장점

• golden standard for time estimates - direct question에 대한 좋은 대안- 그렇지만 infrequent and short… : 예) 담배, 담소 등- 아마도 이미… : 예) 가사노동시간- 하지만 아직도… : 예) 노동시간- 한국이라는 contexts

2014 생활시간조사의 장점

• 다양한 집단에 대한 연구 가능- representative sample: 연구의 주요 정당성- 예) 이혼자, 30대 미혼자, 외동 부부, 혼자 사는 남자 노인

- 예) 미혼인 남성, 주말부부 남편, 이혼한 남성 비교

Total 12,692 14,296 26,988

divorced 412 507 919

widowed 301 1,917 2,218

married 7,905 8,208 16,113

single 4,074 3,664 7,738

status man woman Total

marital sex

Total 12,692 14,296 26,988

6 2,656 3,506 6,162

5 2,298 2,415 4,713

4 2,403 2,677 5,080

3 2,054 2,282 4,336

2 1,296 1,577 2,873

1 1,985 1,839 3,824

agegroup man woman Total

sex

- 61 -

Page 68: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2014 생활시간조사의 장점

• 다양한 집단에 대한 다양한 질문- 이혼자들의 가사노동시간, 여가시간- 싱글들의 사회적 관계- 외동과 다동들의 시간사용 차이 등- 지역에 따른 차이 비교 등

2014 생활시간조사의 장점

• ** 가구 구성원들간의 비교**- 개인의 시간사용 패턴→ 개인과 가족의 시간사용 패턴- 예) 기혼자들의 가사노동 시간→ 부인과 남편의 가사노동 시간 비교

- 개인의 시간사용의 영향→ 개인과 가족의 시간사용의 영향- 예) working at night and subjective well-being → spouses’ working at night and subjective well-being

- 62 -

Page 69: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2014 생활시간조사의 장점

• ** 가구 구성원들간의 시간사용이 필요한 연구**- 예) 부모와 자녀의 TV 시청 시간- 예) 형제들간의 공부시간 비교

• 아내와 남편, 어머니와 아버지, 부모와 자식, 며느리와 시어머니, 조부모와 손자녀, 형제와 자매 등 다양한 조합 가능

• 위 조합의 다양한 하위 그룹도 가능

2014 생활시간조사의 장점

• ‘함께’를 통한 개념의 확대- 예) 가사노동 → 함께 하는 가사노동- 예) 양육행위 → 함께 하는 양육행위- 예) 여가활동 → 함께 하는 여가활동- 예) 근무활동 → 함께 하는 근무활동(자영업) - 오직 가족원들만 가능

- 63 -

Page 70: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유의점

• Day 1 과 Day 2 - 시간량 연구 대부분 Day 1 또는 Day 2 만 사용- Day 1: 화, 목, 금, 토, 일- Day 2: 월, 수, 금, 토, 일

Total 26,988 100.00

wednesday 2,680 9.93 100.00

tuesday 2,726 10.10 90.07

monday 2,707 10.03 79.97

sunday 5,282 19.57 69.94

saturday 5,519 20.45 50.37

friday 5,398 20.00 29.92

thursday 2,676 9.92 9.92

date Freq. Percent Cum.

. tab date if day==1

Total 26,988 100.00

wednesday 2,726 10.10 100.00

tuesday 2,680 9.93 89.90

monday 2,670 9.89 79.97

sunday 5,459 20.23 70.08

saturday 5,289 19.60 49.85

friday 5,443 20.17 30.25

thursday 2,721 10.08 10.08

date Freq. Percent Cum.

. tab date if day==2

유의점

• Day 1 과 Day 2

Total 26,988 100.00

tuesday 5,406 20.03 100.00

sunday 5,377 19.92 79.97

saturday 5,364 19.88 60.05

friday 5,444 20.17 40.17

thursday 5,397 20.00 20.00

date Freq. Percent Cum.

. tab date if day==1

Total 26,988 100.00

wednesday 5,406 20.03 100.00

monday 5,377 19.92 79.97

sunday 5,364 19.88 60.05

saturday 5,444 20.17 40.17

friday 5,397 20.00 20.00

date Freq. Percent Cum.

. tab date if day==2

- 64 -

Page 71: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유의점

• string 변수- 직업, 산업- (시간대) 활동분류코드

• 변용 명령어

산업, 직업 코드(일부)

- 65 -

Page 72: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활동분류코드(일부)

유의점

• 함께한 사람- 함께한사람별주행동 자료 사용- 시간대 자료에서 변용: 함께한 사람의 세세한 구분

예) only with spouse, only with children with spouse and children

- 66 -

Page 73: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유의점

• 함께한 사람, 시간대 사용을 위한 프로그램

함께한 사람

- 67 -

Page 74: 한국의 생활시간조사 - kossda.snu.ac.kr 이윤석 (서울시립대 도시사회학과 교수) kbs 국민생활시간조사, 1981-2015 23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1999-2014

맺음말

• Research potentials from the 2014 Korean Time Diary Survey - large sample size - all family members - together - two days

• Great hassles ㅜㅜ- data structures- string variables

- 6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