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2
연구보고서 미 FTA에 대응한 종자산업 발전전략 수립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한ㆍ미 FTA에 대응한 종자산업 발전전략 수립library.mafra.go.kr/skyblueimage/12452.pdf · 나. 분야별 발전전략 수립 식량종자와 원예작물의 채소,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 연구보고서

    한ㆍ미 FTA에 대응한 종자산업

    발전전략 수립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제 출 문

    자유무역협정이행지원기금 지출원인행위담당임원 귀하

    본 보고서를 “한ㆍ미 FTA에 대응한 종자산업 발전전략 수립” 연구용역

    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6. 12. 15.

    연구수행기관명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총괄연구책임자 : 박 세 원 (건국대학교)

    공동연구원 : 정 병 룡 (경상대학교)

    한 지 학 (㈜농우바이오)

    천 세 철 (건국대학교)

    유 영 우 (㈜농우바이오)

    연구보조원 : 김 효 순 (건국대학교)

    고 은 영 (건국대학교)

    한 승 완 (건국대학교)

    윤 효 은 (건국대학교)

  • - i -

    요 약 문

    1. 연구 필요성

    ○ 한ㆍ미 FTA를 비롯한 시장개방에 기초한 국제무역의 흐름에 대비하여 종

    자산업 분야도 시장개방 이후의 상황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해야할 시점임

    ○ 종자는 농업의 한 분야이기는 하나 좁은 경지여건에서도 우수한 인력과

    고도의 기술력만 갖추고 있다면 반도체 산업과 같이 우리나라가 세계적으

    로 성장할 수 있는 분야임

    ○ 우리나라는 우수한 육종인력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능력

    을 맘껏 발휘하고 궁극적으로 종자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제반 여건

    이 선진국에 비하여 많이 뒤떨어져 있음

    ○ 국내 종자산업이 국제경쟁력을 갖추려면 분자마커, 유전자분석, 형질전환

    등의 생명공학 분야의 연구개발에 투자가 지속되어야 함. 이러한 분자육

    종 기술의 발전이 우수한 품종의 개발에 절대적인 요인이 되고 있음

    ○ 국내 유수의 종자기업이 다국적 기업에 인수합병된 상황하에서 이들과 경

    쟁할 수 있는 국내 종자기업의 육성이 요구됨. 경쟁력 있는 종자기업의

    육성만이 국내 종자산업을 보호하고 우수한 육종가와 유전자원을 국내농

    업자원으로 보유하여 신품종개발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음

    ○ 이제부터는 종자분야를 바라보는 시각을 산업의 육성에 초점을 맞추고 종

    자가 상품화되기까지의 “품종개발 - 증식ㆍ생산 - 조제(종자처리) - 유통

  • - ii -

    ㆍ판매(수출)” 전 과정이 함께 성장하여 가시적인 경제적 성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종합적인 육성전략일 필요함. 특히 종자의 품종보호와 종자

    보험, 유통체계 등에 대한 합리적인 제도와 방안이 마련되어 공정한 경쟁

    이 되도록 해야 함

    ○ 현재 종자산업의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요소를 제거하고 수출산업으

    로 육성하기 위해서 중ㆍ장기적인 국가차원의 종합적인 발전전략을 수립

    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종자관련 지원정책을 패키지화함으

    로써 종자기업의 경쟁력 제고에 실질적으로 기여되도록 해야 함

    2. 연구 목표 및 주요 내용

    ○ 국내 종자산업의 현황을 검토하는 것과 동시에 미국 종자산업의 발달 요

    인을 분석하여 우리 종자산업의 중ㆍ장기적인 목표와 발전방향을 제시하

    고자 하였음

    ○ 기존의 식량ㆍ채소ㆍ과수ㆍ화훼ㆍ버섯 등 분야별 종자산업 발전전략을 조

    사하여 전체적인 종자산업 발전방안과 연계하고자 하였음

    ○ 한미 FTA에 대비하여 종자산업의 종합적 발달을 위한 일관지원체계를 구

    축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음

    ○ 종자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종합적 발전전략과 더불어 및 FTA 협상

    전략을 수립하고자 하였음

    ○ 육종ㆍ원예전문인력 양성방안(단기 및 장기 코스교육)이 마련되어 종자산

    업 발전을 위한 인적자원 확보방안을 제시하였음

  • - iii -

    3. 종자산업 현황과 한ㆍ미 FTA의 영향

    ○ 다국적 종자회사의 규모화를 위한 M&A의 여파로 국내 업계 상위 종자회

    사들이 세미니스나 신젠타와 같은 다국적 종자회사에 인수합병되었음. 이

    와 동시에 우리의 소중한 유전자원까지 넘어가면서 토종 종자기업들의 성

    장이 위축되고 국내 종자시장 역시 이들의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없는 여

    건에 처해있음

    ○ 세계 종자시장은 미국을 선두로 네덜란드ㆍ프랑스 등의 농업선진국이 주

    도하고 있으며 아시아에서는 일본이 세계적인 수준에 있는 반면 우리나라

    는 원예작물분야에서 일부 시장을 점유하고 있음

    ○ 상위 10대 종자회사들이 세계 종자 시장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으며 국가

    를 초월한 이들의 영향력 또한 막대하므로 국내 시장의 안정화뿐만 아니

    라 세계시장에서 이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토종 종자 기업의 육성과 기

    업이 성장할 수 있는 인적ㆍ물적ㆍ제도적 인프라가 체계적으로 정비되어

    있지 않은 실정임

    ○ 선진농업국을 중심으로 자국의 유전자원과 지적재산권 보호를 위한 제도

    적 지원과 각종 규제를 강화하고 있음. 특히 미국은 식물품종보호법을 시

    행하여 자국 육종가들의 품종개발과 특허 증가를 유도하고 있고, 일본도

    자국의 유전자원을 대가없이 활용한 타국의 농산물이 수입되는 것을 금지

    하고 있음

    ○ 세계경제가 개방화 시대로 접어든 만큼 통상마찰의 소지가 있는 국가의

    직접지원이나 투자보다는 글로벌 기업의 육성을 통해서 산업 발전을 유도

    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며, 기업들의 육성과정에서 필요한 정책적ㆍ제도적

    지원도 기업들 간의 상호 발전적인 경쟁체제를 토대로 이루어져야 함

  • - iv -

    ○ 한ㆍ미 FTA 협정이 체결될 경우, 관련분야 전문가들이 우리나라 농업생

    산액 감소를 예상하고 있는 만큼 농업의 한 부분인 국내 종자산업 역시

    희망적이라고 볼 수는 없음. 하지만 국내 기업들이 성장이 지속되는 세계

    시장으로 눈을 돌린다면 기술집약적 고부가가치 산업이고 지적재산권 확

    보로 로열티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종자산업을 고부가가치의 수출농업으로

    바꿀 수 있는 좋은 기회임

    4. 종자산업발전을 위한 일관지원체계 구축

    가. 종자산업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중장기 목표 수립

    ○ 종자산업을 자본 및 기술집약적 산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정부의 “종

    자산업발전 중ㆍ장기 계획”을 확고한 의지를 갖고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필요가 있음

    ○ 이를 위해 단계별 구체적 발전 목표를 세울 필요가 있음.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들의 자문을 토대로 ‘07년부터 ’15년까지 총 9년의 기간을 3년씩

    3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별 발전 목표를 설정하였음

  • - v -

    ❏ 단계별 발전 목표 설정(예시)구 분 1단계(2007~2009) 2단계(2009~2012) 3단계(2012~2015)

    수출산업 육성 - 수출목표 - 박람회 지원 - 해외정보수집 지원

    -$4,000만-중국, 동남아-20건

    -$7,000만-미국, 유럽-50건

    -$10,000만-전세계-100건

    종자사업단-11품목 사업단-신품종 50점 상용화-마커 25점 개발

    -22품목 사업단-신품종 100점 상용화-마커 50점 개발

    -33품목 사업단-신품종 200점 상용화-마커 100점 개발

    종묘회사 육성* -5개 기업 육성 (대기업 1개사 포함)-10개 기업 육성 (대기업 2개사 포함)

    -15개 기업 육성 (대기업 3개사 포함)

    육성가 양성 -33명 -66명 -99명육성가 활성화 지원 - 신품종장려금 - 우수품종상

    -100건-5

    -200건-10

    -400건-20

    정책과제 지속지원 -1~3년차 정책백서 -4~6년차 정책백서 -7~9년차 정책백서

    국가기관조직 및 기능개편

    -종자계 → 생명산업정책과-종자관리소 → 종자산업진흥원-종자산업발전위원회 신설

    ※ 2단계와 3단계의 수치는 누적 수치임

    나. 분야별 발전전략 수립

    ○ 식량종자와 원예작물의 채소, 과수, 화훼로 나누어 분야별 발전전략을

    제시함(보고서 p.96~p.104 참조)

    다. 비즈니스 모델 설정을 통한 지원 형태 분류

    ○ 우리나라의 종자회사 중 육종과 종자판매를 병행하고 있는 회사는 많지

    않으며 실질적인 품종육성이 가능한 육종인력도 많지 않은 상황임.기존

    의 소수의 육종가도 개인육종육종가로 활동하여 판매와 연계된 사업영

    역이 매우 취약하여 종자산업 발전의 걸림돌이 되고 있음

  • - vi -

    ○ 이와 같이 열악한 여건의 국내 종자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가칭)종

    자사업단이라는 비즈니스모델의 선정과 지원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음.

    이러한 비즈니스모델은 규모와 기능면에서 대기업사업단, 중소기업사업

    단, 공통기반지원사업단으로 구분될 수 있음. 각각의 사업단이 지향하

    는 목표에 따라 지원의 형태도 달라져야 함

    ❏ (가칭)종자사업단의 유형

    라. 종자산업 지원정책 개선방안

    ○ 현재는 종자산업발전을 위한 규모화된 연구사업단은 별도로 존재하지

    않고 품종개발관련 과제가 산발적으로 있어 단편적이며 연속성이 없는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음. 이를 새롭게 정리ㆍ조직하여 (가칭)종자사업

    단 중심의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지원체제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 - vii -

    ○ (가칭)종자사업단 지원을 위한 신규정책

    다음과 같은 정책들이 기존정책과 더불어 새로운 정책으로 고려될 수 있음

    - 연구개발단계 : 연구개발과제의 규모화, 개인육종가에게 문호개방

    - 육종단계 : 국가기관(도진흥원) 시설이용, 품종보호제도 강화

    - 상품화 단계 : 종자가공센터 건립 및 운영 지원

    - 판매 단계 : 종자보험, 자조금제도

    - 수출 단계 : 해외육성기지 건설, 해외전시포 및 상품 홍보지원, 국내

    개발 GMO종자 해외시장개척 지원 등

    - 기타 : 후계자 양성, M&A방어를 위한 제도 마련 등

    ○ 지원체계 개선 : 육종기술개발 지원체계를 보다 효과적이면서 효율적으

    로 관리하기 위하여 (가칭)종자사업단의 회사형태에 패키지로 지원하는

    체계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

    ○ 인적자원 육성

    - 학교차원에서 품종육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우수학생을 적극 지원하

    고 정부차원에서는 후계자 인턴과정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최신의

    육종 정보와 현장 교육의 기회가 지속적으로 주어져야 함

    - 경력을 갖춘 육종가 및 종자회사 CEO, 임원진, 관련 연구책임자들을

    위한 최고육종가 과정과 육종후계자, 종자회사 실무자들을 위한 최

    고육종전문가과정을 개설하여 교육훈련을 체계화하고 종자관련 종사

    자들에게 상호간에 정보를 나누고 협조하는 분위기가 될 수 있는 인

    적 네트워크 구축을 도모함

    ○ 종자보험제도 도입 : 현실적으로 지원제도의 시행에 어려운 점이 있으

    나 종자사고시 피해와 파급효과가 큰 만큼 국가기관이 보증한 종자

  • - viii -

    에 한해서라도 종자보험제도를 도입하여 농민과 육종가 모두를 보호

    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필요함

    ○ 종자산업 정책백서 발간 : 종자산업 발전 중장기 대책은 우리나라 농업

    발전 제도의 하나인 만큼 종자산업 분야의 백서를 1~3년 단위로 작성

    하여 수정ㆍ보완 해 나간다면 체계적이면서 지속적인 정보축적과 정책

    에 활용이 가능하므로 정부의 중점 목표와 전략이 보다 구체화되고 시

    행착오를 줄일 수 있을 것임

    5. (가칭)종자산업단 육성 방안

    가. 최종 목표 및 단계별 목표

    ○ 최종목표는 종자산업 발전에 필요한 역량을 집중할 실질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종자산업을 이끌어갈 기업과 인

    재를 육성하고 종자산업을 농업분야의 수출동력산업으로 육성하는 탄

    탄한 기반을 다지는 데 있음

    ○ 단계별 목표 : 단계별 목표를 통하여 9년간(3년 3단계)의 단계별 지원을

    통하여 세계 수준의 종자수출 국가로 자리매김하도록 목표 구체화

    - 1단계(2007~2009) : 수출액 4천만달러, 5개의 기업(대기업 1개 포함),

    11개 품목, 33명의 육성가 양성

    - 2단계(2009~2012) : 수출액 7천만달러, 10개 기업(대기업 2개 포함),

    22개 품목, 66명의 육성가 양성

    - 3단계(2013~2015) : 수출액 1억달러, 15개의 기업(대기업 3개 포함),

    33개 품목, 99명의 육성가 양성

  • - ix -

    ❏ 분야별/단계별 목표

    나. 추진방안

    ○ (가칭)종자사업단은 대기업ㆍ중소기업ㆍ공통기반지원기업 사업단으로 분

    류하고 그 기준을 다음과 같이 정하였음

    - 대기업사업단 : 이미 신품종 육종, 종자가공, 기술지원, 국내판매 및

    해외수출까지의 종자사업을 하기 위한 제반 기반을 갖추고 있으며

    매출규모가 200억원 이상인 규모화 된 사업단

    - 중소기업사업단 : 단일품목 또는 2~3개 품목의 육성체계를 갖춘 중

    소기업이나 개인육종가들이 마케팅전문기업, 기술지원 및 종자가공

    기업 등과 컨소시엄을 이루어 구성된 사업단

    - 공통기반지원기업사업단 : 사업성격에 의해 구분되는 사업단으로 품

    목을 육성하여 판매하는 사업을 하는 사업단과는 달리 이들 사업단

    을 지원하는 생명공학기술이나 상품화, 채종, 판매 등의 기능적으로

    전문화된 사업단

  • - x -

    ○ 사업단 선정 기준 : 사업계획의 적정성, 품목 및 육성가의 경쟁력, R&D

    지원체계의 구축 정도, 상품화 가능성, 기획 및 홍보전략, 판매 및 수출

    전략 등의 항목을 두어 단계별로 관련 전문가들에 의해 합리적이면서

    공정하게 평가하여 선정

    ○ 사업단 지원 방법 : 선정된 사업단에 대한 지원은 전체 9년간의 사업기

    간을 설정하고 3년씩 3단계로 구분하여 실시하며, 각 단계에서 중간평

    가를 실시하여 부실 사업단은 탈락시키고 우수 사업단에는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경쟁시스템을 적용

    다.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정책지원의 방향을 공정한 경쟁을 통해 산업이 발전하도록 유도하는 미

    래지향적 패러다임으로 바꿀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음

    ○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형태의 사업단에 지원함으로써 운영에 대한 정부

    의 직접개입을 최소화하여 산업발전의 효율과 효과를 확보하고 정부는

    정책지원의 성과를 관리ㆍ감독ㆍ평가할 수 있는 대상을 명확히 하는 효

    과를 거둘 수 있음

    ○ 경쟁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R&D 부문을 강화하기 위하여 연구인

    력과 시스템을 갖춘 국가연구기관이나 대학이 사업단에 컨소시엄을 구성

    하여 참여함으로써 상호 교류 및 연구 협력을 유도하여 그 결과를 바로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면 정책지원의 효과를 더 높일 수 있음

    ○ 인턴제도 등을 활용하여 사업단에서 육종 전문인력을 선발ㆍ육성한다면

    별도의 비용이 소요되는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지 않아도 오히려 효율적

    으로 필요한 분야의 인재를 양성할 수 있을 것임

    ○ 궁극적으로 종자산업 지원정책의 실질적인 파트너로 활용할 수 있음

  • - xi -

    ❏ 종자사업단 사업비 내역(예시)(단위 : 백만원)

    사 업 내 용 계 국 고 자부담 융 자 비고

    합 계 8,000 5,560 1,540 900

    □ 신품종 육성 4,000 2,176 924 900

    ○토지임대료 60 48 12 5,000평☓4천원☓3년 ○토지구입비 1,000 - 200 800

    연구농장용 토지: 10,000평☓10만원담보없이 5년거치 분할상환

    ○시설투자비 250 100 50 100하우스건립: 1,000평☓ 10만원=1억원유리온실건립: 100평☓ 150만원=1.5억원

    ○신규투자비 70 56 14트랙터, 경운기외 관리기, 건조기 등 구입비

    ○연구원 인건비 450 240 210인턴쉽으로 후계자 양성 기간인 9년간 국고에서 지원, 연봉 5천만원☓9년

    ○연구보조원 인건비 450 360 90 5천만원(3인)☓9년 ○농약ㆍ자재비 180 144 36 2백만원☓9년 ○유전자원수집 90 70 20 천만원☓9년 ○시장정보수집 90 70 20 천만원☓9년 ○해외기지유지비 900 720 180 1억원☓9년 ○연락시험비용 180 144 36 2백만원☓9년 ○외부시험비용 280 224 56

    마커ㆍ병리 등 공통기반 사업에 지불하는 수수료

    □ 마케팅 및 홍보 4,000 3,384 616 -

    ○해외박람회 360 288 72 2천만원☓2회☓9년, 연간 2회 실시, 총18회 ○수출시장정보수집 270 216 54 천만원☓3회☓9년 연간 3회 실시, 총27회 ○해외전시포 운영 900 720 180

    운영경비: 5천만원(1년,1만평)☓9년=4.5억원관리인 인건비: 천만원☓5인☓9년=4.5억원

    ○사업단결성 및 법인 설립 270 216 54 사업단내 회의비, 운영비 등 3천만원☓9년 ○농가교육 및 전시포 운영 480 384 96 품명회 및 품종설명회개최 등 비용

    ○마케팅기반구축 SW/HW 200 160 40마케팅기반 구축을 위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입 및 유지 관리비

    ○종자가공비용 600 480 120 종자 정선 가공 포장 비용

    ○공동브랜드 개발 운영비용 650 650브랜드개발비: 2억원브랜드 홍보ㆍ관리비: 5천만원☓9년=4.5억원

    ○경영컨설팅 270 270 3천만원☓9년※ 종자사업단이 1품목을 육성했을 경우에 대한 예산이며, 품목의 수가 많아지면 늘어난 품목의 수만

    큼 품목당 신품종육성비용 40억 원씩을 추가하고, 마케팅 및 홍보비용은 공통활용 되는 부분이므로

    품목수의 증가와 관련 없이 40억 원으로 고정

    예) 3품목 육성시 : 신품종 육성비 40억☓3품목 + 마케팅 및 홍보 40억 = 160억

  • - xii -

    목 차

    I. 서론 ····················································································· 11. 연구의 필요성 ························································································ 12.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8

    II. 종자산업 현황과 한ㆍ미 FTA의 영향 ···························· 111. 세계 종자산업의 현황 ········································································· 112. 국내 종자산업 현황 ············································································ 413. 한ㆍ미 FTA가 국내 종자산업에 미치는 영향 ·································· 54

    III. 미국의 종자산업 발전 요인 분석 ································· 571. 종자산업의 중요성에 대한 재인식 ····················································· 572. 다국적 기업의 합병과 이동을 통한 규모화 ······································ 593. 품종육성 R&D에 대한 정부와 기업의 역할변화 ······························· 614. 품종보호에 대한 제도적 장치 강화 ·················································· 63

    IV. 국내 종자산업 육성정책 분석 ······································· 671. 국내 종자산업 육성정책 개요 ···························································· 672. 조직과 기능 정비 ··············································································· 693. 연구개발 지원체계 개선 ··································································· 724. 품종육성정책의 문제점 ······································································ 765. 분야별 육종 목표 ··············································································· 846. 종자산업을 수출산업으로 육성 ·························································· 867. 종자관련 제도 보완․정비 ···································································· 88

  • - xiii -

    V. 종자산업발전을 위한 일관지원체계 구축방안 ··············· 911. 종자산업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중장기 목표 ····································· 912. 분야별 발전전략 수립 ········································································ 953. 비즈니스 모델 설정을 통한 지원 형태 분류 ·································· 1054. 종자산업 지원정책 개선방안 ···························································· 108

    VI. (가칭)종자사업단 육성 방안 ········································ 1191. 최종 목표 및 단계별 목표 ································································ 1192. 추진 방안 ·························································································· 1223. (가칭)종자사업단 구성 사례 ···························································· 1344.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152

    VII. 결론 ············································································· 155

    참고문헌 ·············································································· 165

    부록 1. (가칭)종자사업단 육성 지원사업 계획(안) ··················· 169부록 2. 종자관련 전문교육 시행지침(안) ································ 233

  • - xiv -

    표 목 차

    표 Ⅱ-1. 세계 종자시장 규모 ······································································· 11표 Ⅱ-2. 주요 국가별 종자시장 규모 ·························································· 12표 Ⅱ-3. 작물별 세계 종자교역 규모 ·························································· 13표 Ⅱ-4. 주요 국가별 종자 수출액 ····························································· 14표 Ⅱ-5. 매출액 기준 세계 상위 10대 종자회사 ········································ 15표 Ⅱ-6. 세계 종자시장의 지역(국가)에 따른 연평균성장률 예상 ············ 16표 Ⅱ-7. 세계 종자시장의 품목별 연평균 성장률 예상 ····························· 17표 Ⅱ-8. 네덜란드의 종자 생산면적 ··························································· 20표 Ⅱ-9. 네덜란드의 종자 수출액 현황 ······················································ 22표 Ⅱ-10. 네덜란드의 종자 수입액 현황 ···················································· 23표 Ⅱ-11. 일본의 종자 수출 현황 ······························································· 26표 Ⅱ-12. 일본의 종자 수입 현황 ······························································· 26표 Ⅱ-13. 일본의 주요 종자 수입국 현황 ·················································· 27표 Ⅱ-14. 일본의 작물별 종자 수입 현황 ·················································· 28표 Ⅱ-15. UPOV 1978협약과 1991 협약의 비교 ········································ 30표 Ⅱ-16. 작물별 품종보호 출원 및 등록 현황 ·········································· 31표 Ⅱ-17. 민간/공공부문 품종 출원 신청 현황 ·········································· 33표 Ⅱ-18. 세계 지역별 보존 유전자원 현황 ··············································· 37표 Ⅱ-19. 주요 국가의 종자 유전자원 보유 및 인력현황 비교 ················ 38표 Ⅱ-20. 종자은행 토종작물 보유현황 ······················································ 39

  • - xv -

    표 Ⅱ-21. 국내 종자시장 규모 ····································································· 41표 Ⅱ-22. 국내 채소ㆍ곡류의 종자시장과 작물시장 규모 ························· 42표 Ⅱ-23. 국내 채소종자 품목별 매출 비율 ·············································· 42표 Ⅱ-24. 종자 수출입 규모 ········································································ 43표 Ⅱ-25. 국내 종자 업체 인수합병 현황 ·················································· 44표 Ⅱ-26. 국내 종자 회사별 수출실적 ······················································· 47표 Ⅱ-27. 농진청 개발 품종 점유율 ··························································· 48표 Ⅱ-28. 세계의 과수 육종 연구기관 현황 ·············································· 49표 Ⅱ-29. 화훼육성 품종 현황 ···································································· 50표 Ⅱ-30. 화란과 우리나라의 품종 육종 현황 비교 ·································· 51표 Ⅱ-31. 독일과 우리나라의 품종 육종 현황 비교 ·································· 52

    표 Ⅲ-1. 미국의 일반특허법에 의한 식물특허 현황 ·································· 65

    표 Ⅳ-1. 종자 관련 기관별 기능 ································································· 70표 Ⅳ-2. 관행육종과 분자육종의 비교 ························································ 72표 Ⅳ-3. 품종개발 단계별 현황 및 문제점 ················································· 79표 Ⅳ-4. 종자산업 단계별 현황 및 문제점 ················································· 81표 Ⅳ-5. 종자수출 현황 및 문제점 ····························································· 83표 Ⅳ-6. 분야별 발전 목표 ········································································ 84표 Ⅳ-7. 원예작물 우량 품종 육성 목표 예시 ··········································· 85

  • - xvi -

    표 Ⅴ-1. 단계별 발전 목표 설정(예시) ······················································· 94표 Ⅴ-2. 벼 및 특수미 개발단계 ································································· 96표 Ⅴ-3. 맥류 및 감자 개발 단계 ····························································· 98표 Ⅴ-4. 채소 종자별 품종 개발 단계 ······················································ 100표 Ⅴ-5. 과수 종자별 개발 단계 ······························································· 102표 Ⅴ-6. 화훼 종자별 개발 단계 ······························································· 104표 Ⅴ-7. 원예작물 종자의 경쟁력 유무 품목 ············································ 112표 Ⅴ-8. 종자산업발전을 위한 부문별 정책과제 ······································ 117

    표 Ⅵ-1. 단계별 육성 추진 품목 ······························································· 120표 Ⅵ-2. 육성가 선정 자료 항목(예시) ····················································· 129표 Ⅵ-3. 종자사업단 사업비 내역(예시) ··················································· 133표 Ⅵ-4. 중국 고추시장 분석 자료 ··························································· 137표 Ⅵ-5. 중국 수출용 고추 품종의 육성목표와 목표시장 ······················· 139표 Ⅵ-6. PLC (Product Life Cycle) ························································· 141표 Ⅵ-7. 종자 가공기계설비 추정 투자 비용 ··········································· 148표 Ⅵ-8. 분자마커개발 및 검정회사 설립 비용 ········································ 150

  • - xvii -

    그 림 목 차

    그림 Ⅱ-1. 품종보호제도와 종자 산업의 관계 설문조사 ··························· 36그림 Ⅱ-2. 국내종자시장에서의 인수업체와 국내업체간 시장점유율 변화 ··· 45

    그림 Ⅲ-1. 미국의 생명공학을 이용한 작물 현황 ······································ 58그림 Ⅲ-2. 1980년대 이후 2005년까지 주요 종자회사의 인수 및 합병도(일부) ··· 60그림 Ⅲ-3. 미국 작물 육종에 대한 R&D 지출 변화 ·································· 61

    그림 Ⅳ-1. 국내 종자산업의 역할 분담 패러다임 변화 ···························· 71그림 Ⅳ-2. 분자마커에 의한 분자육종의 기술 ··········································· 73그림 Ⅳ-3 분자육종의 기술의 발달 단계 ···················································· 75

    그림 Ⅴ-1. 국내 종자산업 육성정책 ·························································· 92그림 Ⅴ-2. (가칭)종자사업단 비즈니스 모델 분류 ··································· 106그림 Ⅴ-3. (가칭)종자사업단 지원을 위한 기존 및 신규 정책 ··············· 109그림 Ⅴ-4. 품종개발 지원체계 변화 ·························································· 111그림 Ⅴ-5. 종자보험의 역할 ······································································· 114그림 Ⅴ-6. 종자산업 정책백서(예시) ······················································· 117

  • - xviii -

    그림 Ⅵ-1. 분야별 정량적 목표 ································································· 120그림 Ⅵ-2. (가칭)종자사업단 분류 ···························································· 122그림 Ⅵ-3. 신품종 육성에서 시장진출까지의 과정 ·································· 123그림 Ⅵ-4. 육종가와 생명공학자의 육성목표 (양파의 예) ······················ 124그림 Ⅵ-5. 사업주체간의 종합적인 관계 ··················································· 127그림 Ⅵ-6. 국내 종자산업 발전의 의미 ···················································· 135그림 Ⅵ-7. 중국에서 주로 재배되는 고추 품종 ········································ 136그림 Ⅵ-8. 중국의 Hot-Pepper 마켓 ······················································· 136그림 Ⅵ-9. (가칭)종자사업단의 기본조직도 ·············································· 143그림 Ⅵ-10. 국내 종자산업의 4가지 단계의 발전 가상 수준 비교 ········· 145그림 Ⅵ-11. 종자의 가공 과정 ··································································· 147그림 Ⅵ-12. 네덜란드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마커개발 기업 ················ 149

  • - 1 -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우리나라 농업은 세계무역기구(WTO)가 추진 중인 도하개발의제(DDA)협

    상과 국가간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등 시장개방에 대한 세계적인 흐름

    속에서 국제적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자구적인 노력이 절실히 필요한 시기에

    직면하고 있다. 국내농업은 세계시장에서 다른 산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경

    쟁력이 떨어지지만 경제적인 측면 이외의 의미와 중요성 때문에 최대한 시장

    을 보호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국가 전체적인 경제

    여건과 세계경제의 커다란 흐름은 궁극적으로 국경을 허물고 물류와 자본이

    자유롭게 이동하는 것이라는데 인식을 같이 하고 있다. 최근에 우리사회의

    가장 큰 이슈 중의 하나로 등장한 한ㆍ미 자유무역협정(FTA)을 위한 협상

    역시 양국의 산업여건에 따라 유리한 협상결과를 얻기 위해 진통을 겪고 있

    으나 결과적으로는 합의점에 도달하게 될 것이라는 사실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으며 오히려 한시라도 빨리 협상 이후의 상황을 예측하고 이에 대비한 미

    래를 준비해야만 할 것이다.

    우리 농업이 세계경제와 조화롭게 발전하고 미래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서는 자급자족에 급급한 쇄국적 농업이 아니라, 세계로 뻗어 나가는 수출 지

    향적 농업으로 나가야 하며 식물분야에서 그 구심점이 되는 것이 종자라 할

    수 있다(김병동, 2006). 종자는 농업의 투입자재 중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종자의 성능 또는 고유특성은 농작물의 생산성과 수량 및 품질 등의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한 국가의 농업경쟁력은 우수한 성능을 가진

  • - 2 -

    종자를 많이 육성할 수 있는 육종기술 및 육종인력의 확보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김달중, 2001). 우리나라의 채소 육종 기술은 세계적인

    수준으로 인정받고 있다. 1997년 국제구제금융(IMF) 사태를 전후로 우리나

    라의 주요 채소종자 회사들이 외국기업에 합병되었는데 거대 자본을 배경으

    로 한 다국적 종묘기업들이 비교적 시장 규모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인수ㆍ합

    병시 국내 종묘기업에 높은 가치를 부여한데는 높은 육종 기술력과 육종인력

    때문이었음은 공공연한 사실로 이는 우리나라 채소육종기술 수준을 보여주는

    한 예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일부 채소에서 만큼은 세계적인 육종기술을 가지고 있던 국내 굴지

    의 종묘기업들이 다국적 기업에 넘어가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정부와 국내

    종묘기업들의 종자의 미래 가치에 대한 인식 부족과 무관심은 국내 종자산업

    이 사실상 붕괴되는 위기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전의 연구(김달중, 2001)에

    서 제시된 우리나라의 종자산업의 당면과제를 보면 우리 종자산업의 현 주소

    를 더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첫째, 그 동안 주요 식량작물 등의 품종개발을 국가가 주도적으로 추진한

    결과 채소분야를 제외하고는 민간부문의 종자산업 참여가 극히 부진하여 외

    국에 뒤지고 있으며, 특히 화훼류 및 일부 채소종자의 경우 대부분 외국 종

    자에 의존하고 있어 수출 채산성 악화는 물론 농업의 국제경쟁력을 저하시키

    는 요인이 되고 있다.

    둘째, 품종보호제도에 대한 종자업계 종사자 및 농업인의 인식부족으로 연

    구개발 투자가 타 분야에 비해 미흡하고, 개인육종가 등 민간의 종자산업 참

    여가 위축되고 있다.

  • - 3 -

    셋째, 주곡자급 위주의 농업정책의 영향으로 종합적인 중장기 품종육성정

    책이 추진되지 못했으며, 특히 종자 전담부서의 부재로 품종개발 주체간의

    역할분담이나 유전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체계 등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넷째, 종자산업의 경쟁력 확보는 우수품종 개발능력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

    나 정부차원의 정책적인 무관심으로 인해 품종육성 인력의 발굴 및 지원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개인육종가의 품종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국가연구기

    관과 종자회사와의 협력체제구축은 이제 시작단계에 불과한 실정이다. 그리

    하여 주곡 작물인 쌀을 제외한 나머지 종자산업 분야의 경우, 국제시장에서

    의 경쟁력은 말할 것도 없고 국내시장에서 마저도 자본과 기술력을 갖춘 다

    국적 종묘기업에 잠식되어 갈 수 밖에 없는 현실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우리 종자산업의 현실적인 어려움을 극복해 나가기 위한 종합적인

    발전전략 수립의 필요성은 이미 여러 전문가들로부터 주장되어왔고, 국제무

    역 시장 개방의 가속화로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점에 도달했다. 종자산업

    은 “품종개발 → 증식․생산 → 조제(종자처리) → 유통․판매․수출”의 단계

    로 구성되며 이중 어느 것 하나만 부족해도 상품화되어 시장에 나오기 힘든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나, 종자산업의 종합적 발달을 위한 일관 지원체계가

    미비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각 단계별로 정책지원을 필요로 하는 사항을 살

    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품종개발의 경우 농림기술개발과제를 비롯한 정부기관 출연연구비와

    종합자금제로 지원하고 있으나 식량작물을 제외하면 종자회사나 각 농가에서

    자체 비용으로 품종개발을 하고 있다.

    둘째, 증식․채종의 문제점으로 과수 우량묘목 생산 외에는 지원이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종자회사에서는 자체적으로 하고 있으나 채소 종자의

    채종은 대부분 해외 채종지를 임대하여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 - 4 -

    셋째, 조제(종자처리)의 경우 기자재 융자지원은 가능하나, 운영자금 지원

    이 부족하다. 국내에서 종자처리와 종자의 품질관리를 제대로 할 수 있는 종

    자회사는 외국기업을 포함하여 약 5~6개 밖에 없다.

    넷째, 종자의 유통․판매 과정을 살펴보면 품종보호권 침해에 대한 분쟁조

    정 절차가 없으므로 종자분쟁이 발생하면 현재로는 품종보호권의 범위 내에

    서 종자관리소의 재배 심사를 근거로 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다.

    다섯째, 종자 수출 확대를 위해 박람회 참가, 해외시장 견학 등을 지원하고

    있으나, 물류비․포장비 등 실질적 자금 지원이 없는 현실이다. 지금까지는

    각 종묘회사 또는 종자회사에서 자구책으로 수출을 하고 있으며, 현 정부의

    농산물 수입 정책으로 국내 시장 붕괴의 속도가 수출의 속도를 훨씬 능가하

    고 있는 실정이다.

    연구비는 농림부를 중심으로 여러 정부산하기관에서 출연하고 있지만 종자

    산업 발전을 위한 분야에 집중 투자가 미흡한 실정이다. 품종개발 분야의 경

    우 벼 위주의 품종개발 투자로 원예․특작 분야의 투자가 상대적으로 매우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 종자산업에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생명

    공학의 분자육종 연구 투자 또한 매우 열악한 편이라 할 수 있다.

    종자 관리를 위하여 현재 종자업 등록, 종자보증, 수입적응성 시험 등의 업

    무가 종자관리소․지자체․협회 등으로 분산되어 운영됨으로서 유통조사 등

    종자관련 업무가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제도적으로

    는 식량작물의 종자산업에 민간업체 참여가 가능하나, 실제로는 정부주도의

    보급체계가 유지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가 벼, 보리, 콩, 옥수수, 감자 종

    자를 투입원가 이하로 보급하므로 민간업체는 가격경쟁에서 불리한 상황이

    다. 더구나 5대 식량작물 종자는 국가품종목록등재와 보증이 의무사항으로

  • - 5 -

    다른 작물에 비하여 민간의 종자업 참여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므로 민간의

    식량종자산업 활성화를 위해 제도적인 개선을 통해 등재제도를 완화할 필요

    가 있다. 무보증 종자에 대한 적극적인 유통단속이 이루어지지 않아 종자산

    업법을 준수하여 보증판매하는 민간업체가 오히려 손해라는 인식이 팽배하

    다. 건전한 유통질서 확립을 위해 유통업체 및 농민들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와 단속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

    국내 종자산업이 국제경쟁력을 갖추려면 육종후계자 등의 인적자원의 양성

    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육종 전문인력의 부재는 종

    자산업 발전의 가장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특히, 대학 교육에서 육종학뿐

    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의 비중이 크게 줄어들고 있고 농과대학

    의 구조조정에 따라 이들 과목의 개설이 점점 어려워지는 상황이다. 따라서

    국립대학을 중심으로 농과대학의 핵심프로그램을 보완하여 종자산업의 근간

    이 되는 육종후계자 등의 인적자원 양성에 보다 더 관심과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종자산업은 기술장벽이 높은 첨단산업으로 인적자원이 풍부한 우리나라 농

    업여건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농업여건이 우리와 비슷한 화란은

    연간 10억 달러의 종자를 수출하는 반면 우리나라는 17백만 달러에 그치고

    있다. 우리나라는 무, 배추, 고추 등 일부 채소 분야에 있어 세계 최고수준의

    육종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인도 등 거대시장에서 한국산 채소

    종자에 대한 이미지도 좋아 수출농업으로의 성장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세계 채소종자 시장은 2000년 36억 달러에서 2010년에는 60억

    달러 규모로 성장이 예상되며 중국과 인도는 인구증가와 고도의 경제성장으

    로 성능이 우수한 교잡종 F1 종자수요가 급증할 전망이다. 또한 고부가가치

  • - 6 -

    수출이 가능한 작물의 특성화와 상업화가 절실히 요구될 뿐만 아니라 우리나

    라 자생의 약용작물의 특성화를 위해 육종을 통한 품종개발도 뒤따라야 한

    다.

    종자는 농업생산의 기본 요소로 일단 시장이 잠식되면 해당 작물은 지속적

    으로 종자회사에 종속되는 특성이 있다. Monsanto 등 다국적 기업들의 경

    우 자사 품종 무단 사용에 대해 인도 농업인을 대상으로 무차별적 소송을 제

    기하고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도 외국 품종을 주로 재배하는 장미 등 일부

    화훼류에 매년 60억원 내외의 대외 로열티를 지속적으로 지불하고 있는 상황

    이다. 따라서 대외경쟁력 있는 품목은 수출종자로 적극적으로 육성하는 한

    편, 현재는 경쟁력이 낮더라도 수입대체효과가 크고 더 나아가서는 세계시장

    을 점유할 수 있는 주요 품목은 장기적인 안목에서 투자할 필요가 있다. 지

    금의 여건하에서도 자원을 집중하여 10년 이상 지속적인 투자를 하지 않으면

    선진국과의 격차를 줄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 이후에는 결국 종자의 대외

    종속이 더 심화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다. 우수한 신품종을 개발했을

    경우 세계시장에 종자를 수출하여 수익을 창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적

    재산권에 의한 로열티 수입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종자산업의

    발전은 우리농업을 업그레이드 시킬 차세대 성장 산업으로 육성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GMO에 대한 세계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지는 않으나, GMO에 의

    한 세계 생명공학작물 시장은 1996년 2억8천만 달러에서 2005년 52억5천

    만 달러로 9년 동안 약 19배가 성장하였다. 한 예로 Dupont사는 종자 매

    출액의 50%를 GM종자 판매 수익으로 얻고 있다. GM작물의 재배면적은

    초창기 1996년 1.7백만 ha에 비해 2005년에는 90백만 ha로 53배 증가하

  • - 7 -

    였다. 현재 21개국의 8백5십만 농부가 재배하고 있고 2010년에는 1천5백만

    농부가 30개국에서 재배하여 약 80억 달러의 생명공학 작물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의 GMO 개발 수준은 아직 미약하여 향후 외국 GM

    종자가 한국에 수입되어 재배되기 전에 GMO 개발 및 수출을 위한 육성과

    정책 방향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종자시장은 특성상 많은 틈새시장이 존재한다. 중소기업이 대기업의 틈새

    를 메울 수 있을 때 전체 종자 산업구조의 건전성이 보장될 수 있고 대기업

    과 중소기업의 상생이 가능하며 산업의 다양성 또한 확보할 수 있다. 국내

    종자산업에 있어서 육종기술을 비롯한 관련 인프라가 현 단계까지 발달하는

    데 종자회사는 정부의 많은 도움 없이 거의 자력으로 생존하였다고 할 수 있

    다. 하지만 앞으로 정부에서 품종육성을 위한 연구개발과 같은 분야에 집중

    적으로 기업을 지원해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한다면 우리나라 종자회사는 국

    제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 - 8 -

    2. 연구의 목적 및 내용

    가. 연구 목적

    본 연구를 통해 한-미 FTA 협정 체결에 따른 품종 및 종자의 수출입시

    예상되는 장단점을 사전에 검토․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종자산

    업을 “농업분야의 수출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수출산업 육성의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 7대 원예종묘산업국 도약

    둘째, 세계시장점유율 최대인 종목(종자나 묘) 10개 육성

    셋째, 세계적인 육종회사 및 개인육종가 육성

    넷째, 세계 5대(화란, 미국, 일본, 이스라엘 포함) 원예 종묘 수출국 및 품

    종등록국 성장

    다섯째, 세계적인 종묘 생산수출회사 육성

    여섯째, 세계 5대 식물유전자원 수집/관리(유전자은행)국으로 도약

    위와 같은 정책목표를 실현할 수 있는 종자산업발전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

    시하고자 하였다. 아직은 종자 및 품종보호권과 관련한 FTA 협상 전략이

    마련되고 있는 단계이므로 마련된 전략을 토대로 산업체, 학계, 기관, 농가의

    실제 실행방안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나. 연구 내용 및 범위

    본 연구는 아래와 같은 연구 내용과 범위를 가지고 단계적으로 추진되었다.

  • - 9 -

    첫째, 한국과 미국의 종자산업의 분야․단계별 현황(역량) 비교를 바탕으

    로 미국의 품종 및 종자관련 규정과 제도를 살펴보고, 미국의 종자산업 발달

    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과 미국 종자산업의 경쟁력을 비교하여, 우리

    나라의 종자산업의 중․장기적 목표와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참고하고자 하

    였다.

    둘째, 기존의 식량ㆍ채소ㆍ과수ㆍ화훼ㆍ버섯 등 분야별 종자산업 발전전략

    을 조사하여 전체적인 종자산업 발전방안과 연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전자원 수집ㆍ관리 및 품종육성 기술개발 전략이 수립되어야 하고 분야별

    종자산업의 단계적 구성에서 문제점 도출 및 산업의 종합적 발달을 위한 일

    관 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

    고자 하였다.

    셋째, 종자산업의 종합적 발달을 위한 일관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국가기관의 조직 및 기능 정비, 품종개발 지원체계

    및 민간 품종개발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또한 우수 품종의 보급ㆍ판매

    를 지원하고. 종자산업을 수출산업으로 육성하며, 이와 더불어 종자관련 제

    도를 보완하고 정비하기 위한 제도적 방안을 마련코자 하였다. 이를 위한 구

    체적인 국내 종자산업 발전을 위한 산ㆍ학ㆍ관ㆍ연의 역할분담 방안을 제시

    하고자 하였다.

    넷째, 종자산업발전을 위한 지원정책을 패키지화하여 종자사업모델을 육성

    함으로써 경쟁력을 갖춘 중소기업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이들 중소기업이 거

    대 다국적기업의 국내종자시장 공략에 대응할 수 있는 대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종자 최고경영자 및 최고전문가를 양성하고 상호간의 교류 및 정

  • - 10 -

    보교환을 통해 긴밀한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함으로써 첨단종자산업발전의 실

    질적인 원동력이 되도록하는 교육훈련과정의 지원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여섯째, 종자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종합적 발전전략 및 FTA 협상 체결

    에 대응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 11 -

    II. 종자산업 현황과 한ㆍ미 FTA의 영향

    1. 세계 종자산업의 현황

    가. 세계 종자산업 동향

    세계의 상업적 종자시장 규모는 280억 달러 내외이며, 국제간 교역규모는

    45억 달러 내외로 추정된다(표 II-1). 지역별 종자시장 점유율은 유럽

    (33%), 북미(23%), 아시아-태평양(17%), 남미(11%), 일본(9%), 기타

    (8%) 순이다. 각 작물별 규모는 곡물이 100억 달러로 우위를 점하고 있지

    만, 화훼・목초 56억 달러에 이어 채소 종자 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

    다. 세계 채소종자시장의 경우 연평균 42% 속도로 성장하여 2010년까지

    57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국가별 종자시장 규모는 미국이 45억 달러로 가장 큰 시장을 차지하고 있

    고, 유럽에서는 프랑스, 브라질, 독일이 각각 15억 달러, 12억 달러, 10억

    달러로 우위를 점하고 있다. 아시아 지역은 중국과 일본이 각각 25억 달러로

    아시아의 양대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한국은 약 1.3억 달러 정도의 시장을

    가지고 있다(표 Ⅱ-2).

    표 Ⅱ-1. 세계 종자시장 규모(2000)

    (단위 : 억$)

    곡물 화훼․목초 채소 과수 기타 계

    100 56 35 20 69 280

    자료: 농림부(2006).

  • - 12 -

    표 Ⅱ-2. 주요 국가별 종자시장 규모

    (단위 : 백만$)

    국가별 시장규모 국가별 시장규모 국가별 시장규모

    미국 4,500 네덜란드 300 핀란드 80

    중국 2,500 호주 280 아일랜드 80

    일본 2,500 헝가리 200 칠레 70

    프랑스 1,500 덴마크 200 파라과이 70

    브라질 1,200 남아공 190 포르투갈 60

    독일 1,000 오스트리아 170 방글라데시 60

    인도 900 모로코 160 콜롬비아 40

    아르헨티나 900 스웨덴 150 슬로베니아 30

    이탈리아 680 이집트 140 짐바브웨 30

    영국 570 그리스 140 볼리비아 20

    스페인 450 벨기에 130 케냐 18

    폴란드 400 뉴질랜드 90 잠비아 6

    캐나다 350 슬로바키아 90 한국 125

    멕시코 350 스위스 80 합계 30,000

    자료 : 김달중(2001), “품종육성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세계 종자 유통 현황을 작물별로 살펴보면 원예용 종자가 11억 달러이고

    다음으로 옥수수, 약용작물 등을 통합하여 약 9.5억 달러 정도이다. 원예작

    물에는 채소, 화훼 및 과수 작물 등 종류가 매우 다양하지만, 옥수수는 단일

    작물로서 가장 거래량이 많았다. 종자산업의 유통량을 살펴보더라도 원예용

    종자의 시장 중요도를 가름할 수 있다.

  • - 13 -

    표 Ⅱ-3. 작물별 세계 종자교역 규모

    작물별 교역량(백만$) 구성비(%)

    원예용 종자 1,115 31.6

    옥수수 530 14.6

    약용작물 427 11.7

    감자 400 11.0

    사탕수수 308 8.5

    밀 75 2.1

    기타 590 20.6

    계 3,445 100

    자료 : 박현태 등(2002), “채소종자의 시장동향과 수출 활성화 방안”

    2000년 기준 국가별 종자 수출액은 표 Ⅱ-4와 같다. 미국이 농산물과 원

    예작물 분야에서 연간 7억 달러를 수출하고 있고, 이어 프랑스와 네덜란드가

    각각 6.2억 달러와 5.3억 달러로 전체 종자수출액의 82.5%를 이들 세 국가

    가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원예작물의 경우, 200억

    달러에 이르는 네덜란드의 종자수출액은 매우 인상적이다. 또 일본은 아시아

    국가 가운데 40억 달러로 가장 많이 종자를 수출하고 있으며 특히 원예작물

    분야에서는 세계 5위권의 수출국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원예작물 분야에서

    만 1.6억 달러 정도를 수출하고 있어 우리와 농업 여건이 비슷한 이들 국가

    와의 국제경쟁력 차이를 실감할 수 있다. 하지만 이들 국가의 수출실적은 장

    기적인 안목으로 종자산업을 활성화시키고 토종 종자기업들이 국제경쟁력을

    갖춘다면, 미래의 수출산업으로써의 성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한 예라 할 수

    있다.

  • - 14 -

    표 Ⅱ-4. 주요 국가별 종자 수출액

    (단위 : 백만$)

    국가별 농작물 원예작물 계

    미국 500 200 700

    네덜란드 420 200 620

    프랑스 432 100 532

    브라질 192 1 193

    덴마크 150 40 190

    독일 150 35 185

    벨기에 111 - 111

    칠레 63 44 107

    이탈리아 73 30 103

    캐나다 - - 100

    아르헨티나 43 1 44

    오스트리아 40 - 40

    일본 - 40 40

    헝가리 33 3 36

    뉴질랜드 26 6 32

    호주 22 10 32

    인도 - - 23

    체코/슬로바키아 18 0 18

    남아공 11 6 17

    태국 3 12 15

    러시아 11 2 13

    한국 - 16 16

    자료 : 김달중(2001), “품종육성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p.23. 재인용

    세계적인 종자회사의 분포를 보면 약 400개가 유럽에 본사를 두고 있고,

    미국에만 600여개의 회사가 존재한다. 이는 세계 종자 유통량의 70% 이상

    을 미국과 유럽에서 교역하고 있으므로 당연한 산업 분포일 것이다. 표 Ⅱ-5

    는 매출액 기준 세계 상위 10대 종자회사의 현황을 나타낸 것이다.

  • - 15 -

    표 Ⅱ-5. 매출액 기준 세계 상위 10대 종자회사

    (단위 : 백만$)

    1996 1999 2004

    회사명 매출액 회사명 매출액 회사명 매출액

    Pioneer 735 Pioneer 1,800 Monsanto 2,800

    Novartis 290 Monsanto 1,300 Dupon/Pioneer 2,600

    Limagrain 201 Novatis 900 Syngenta 1,240

    Advanta 200 Limagrain 850 Limagrain 1,040

    Seminis 180 Seminis 500 KWS AG 620

    Takii 175 Advanta 460 Land O Lakes 540

    Sakata 175 Agribiotech 460 Sakata 420

    KWS 152 KWS 390 Bayer 390

    Dekalb 150 Takii 310 Takii 370

    Cargill 130 Sakata 280 DFL-Trifolium 320

    *농우바이오 26

    자료(1996,1999) : 김달중(2001), “품종육성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자료(2004) : etc group(2005), “Grobal Seed Industry Concentration 2005"

    2004년 기준으로 보면 몬산토가 28억 달러로 그동안 업계 1위를 고수하던

    Pioneer를 추월하고 매출순위 1위를 차지하였고, Dupon/Pioneer가 26억

    달러의 매출을 보이면서 그 뒤를 잇고 있다. 이 두 회사의 매출액을 합하면

    약 54억 달러로 나머지 8개 회사의 총 매출액(49억 달러)보다 큰데 이는 세

    계 종자시장에서 차지하는 영향력을 단편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몬산토의 주

    요 수출작물은 채소와 과일류이고, Dupon/Pioneer는 옥수수, 콩과작물과

    사료작물이 주를 이루고 있다.

    세계 각국의 농업부문에 대한 시장보호가 WTO체제하의 DDA협상, FTA

    를 통한 지역주의 등으로 인하여 점차 개방화되면서 농업의 근간이 되는 종

  • - 16 -

    자 역시 교역규모가 점차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전의 연구보고(Global Industry Analysts Inc, 2004)에 따르면 세

    계 종자시장은 2010년까지 420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

    며, 2001년부터 2010까지 세계의 종자 시장은 연평균성장률 4.27%로 늘어

    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가 속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우

    2001년 47.8억 달러에서 2010년 73억 달러 규모로 커져서 4.85%의 가장

    큰 연평균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표 Ⅱ-6). 우리나라와 FTA

    협상을 벌이고 있는 세계최대 종자시장인 미국은 2001년 59.5억 달러(세계

    종자시장의 약 20.56%) 규모에서 2010년까지 87억 달러에 이르는 누적연

    간교역규모(world accumulate annual sales)로 세계 종자시장을 이끌

    어 갈 것으로 예상된다.

    표 Ⅱ-6. 세계 종자시장의 지역(국가)에 따른 연평균성장률 예상(2001~2010)

    지역/국가 연평균성장율(%)

    아시아-태평양 4.85%

    일본 4.42%

    라틴아메리카 4.36%

    미국 4.30%

    유럽 4.26%

    캐나다 3.39%

    기타 지역 2.84%

    세계 평균 4.27%

    자료: Global Industry Analysts Inc.(2004), ‘SEEDS: A Global Strategic Business Report’

  • - 17 -

    표 Ⅱ-7. 세계 종자시장의 품목별 연평균 성장률 예상(2001~2010)

    (단위 : %))

    지역/국가 곡물 채소 Oil 화훼 잔디/목초 과일 기타

    아시아-태평양 5.23 4.75 5.30 4.01 3.26 3.61 3.49

    유럽 3.40 5.23 5.39 5.44 3.63 3.29 3.19

    라틴아메리카 4.59 4.62 4.48 4.55 3.80 4.05 3.33

    미국 3.68 4.47 4.12 6.16 5.18 3.46 3.75

    일본 2.64 6.32 3.92 4.91 3.16 2.75 3.32

    캐나다 2.47 3.73 4.28 4.27 3.84 3.26 3.35

    기타지역 2.50 3.29 2.81 3.93 2.80 2.13 2.14

    세계 평균 3.96 4.99 4.71 5.20 4.10 3.35 3.28

    자료: Global Industry Analysts Inc.(2004), ‘SEEDS: A Global Strategic Business Report’

    품목별로 보면 곡물종자의 경우 2001년 전체 종자시장의 36%를 차지하는

    105억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3.96%씩 성장하여 2010년에는 148.8억 달러

    규모로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나라가 세계시장에서 기술경쟁력이 있는

    채소종자의 경우도 2001년 36.7억 달러 규모에서 2010년 57억 달러 규모

    로 커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는데 연평균성장률 4.99%로 화훼종자시장

    (5.20%) 다음으로 빠른 성장이 기대되는 품목이다.

    세계 종자시장에서 국가간ㆍ기업간 경쟁은 전쟁을 방불케 할 정도로 치열

    하다. 특히 거대자본을 배경으로 한 다국적 종자회사는 전통 육종기술과 생

    명공학을 기초로 한 분자육종기술을 접목하여 유전자원 확보 및 신품종 개발

    에 눈을 돌린 후 이미 지적재산권 확보를 통한 우수품종 독점으로 국제 경쟁

    력에서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선진국들은 이러한 종자산업의 중요성을 먼저

    인식하고 자국의 종자회사 육성을 위하여 정책적, 행정적, 재정적 지원 및

    혜택을 주고 수출을 장려하고 있다.

  • - 18 -

    나. 주요 국가별 종자산업 현황

    1) 미국

    미국은 4억 2,700만 ha의 경지면적을 가진 세계 최대의 농업생산국이자

    세계 최대의 종자시장으로 그 규모는 식량종자 40억 달러, 채소종자 및 화훼

    종자 11억 달러로 추산하고 있고, 세계 종자무역의 38%를 점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세계 종자시장을 좌우하는 24개 회사

    중 7개 회사가 미국에 본거지를 두고 있으며 현재 외국기업이 소유하는 회사

    들 중에도 많은 대규모 회사들이 미국에 근거를 두고 있다. 현재 약 600여개

    의 종자회사가 있고 그 중 약 200개의 회사가 옥수수의 육종 및 생산ㆍ판매

    에 관여하고 있다.

    세계 최대의 종자회사인 Pioneer Group은 미국 옥수수 시장의 44%, 콩

    시장의 19%를 차지하고 있으며 Delta & Pine land는 목화 종자시장의

    55%를 점유하고 있다. 유전공학분야에서는 종자회사 자체에서의 연구는 물

    론 유전공학관련 연구 전문회사인 Calgene, DNA Plant Technology,

    Mycongen 등이 종자회사와 공동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박현태 외,

    2001).

    미국의 수출종자산업이 오늘날 괄목할만한 성장을 하게 된 데는 다양한 요

    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우선 종자기업이 혁신적이고 적

    극적으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려는 노력을 지속해왔다는 점이다. 또한 많은

    종자회사들이 정체된 국내시장을 탈피하여 세계시장을 중요한 시장으로 보았

    으며, 다른 회사들과의 치열한 경쟁을 통해 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하면서 종

    자회사의 수익을 유지할 수 있는 길로 여겼다. 새로운 기술의 개발 및 고품

  • - 19 -

    질 종자의 생산이 세계 종자산업의 과거와 미래의 성공을 이끌어내는데 중요

    가 요인이 되었다. 미국내에서 농민을 중심으로 우수한 유전적ㆍ생리적 고품

    질 종자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면서 고품질 종자의 생산이 촉진되었다. 더구

    나 기후적 및 지리적 다양성이 세계의 다양한 기후와 토양조건에 부합되어

    세계 시장에 종자를 수출할 수 있는 유리한 여건을 갖추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GMO 종자산업의 활성화와 소비자의 인식 변화로 미국 기업이

    세계 종자산업의 선두를 차지하고 있다.

    2) 네덜란드

    네덜란드는 작물 재배면적과 인구가 EU 회원국 중에서도 매우 적은 편에

    속한다. 하지만 이렇게 열악한 농업 여건을 극복하기 위해 종자와 생산 기술

    및 설비 분야를 집중 육성하여 현재는 명실상부한 농업선진국으로 성장하였

    다. 특히 고부가가치 첨단산업인 종자산업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와 노력으로

    오늘날 미국 등과 함께 세계 3대 채소 종자 수출국이 될 수 있었다. 일찍이

    네덜란드는 곡물보다는 저비용 고수익 구조의 원예작물 특히 시설원예(화훼)

    분야에 대한 선택과 집중으로 세계시장을 주도하여 왔다. 국가의 핵심산업이

    농업인 관계로 민간기업의 경쟁구도하에 농업의 자생력을 키워왔다. 이로 인

    해 민간기업의 농업분야에 대한 자발적 참여가 상대적으로 활발하였고 종자산

    업 역시 민간기업 주도로 발달하고 있다.

    현재는 농업분야 컨설팅과 연구개발 등은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

    고 업체가 농민들의 요구에 맞는 양질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경쟁하며 수익

    을 창출하고 있다. 한편 생명공학관련 민간기업은 산업체, 농민, 학계, 정부

    연구기관 등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수익을 올리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작물

  • - 20 -

    의 고급화 정책으로 차별화를 기했으며 생산된 작물의 검정, 유통, 수송, 판

    매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이 유럽지역을 한정했을 때 1~2일 내로 완료되는

    완벽한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국제시장에서의 판매망을 확고히 유지하고 나아

    가서는 발전시키고 있다. 또한 종자, 재배방법, 친환경농법, 시설 등을 하나

    로 하는 패키지 수출로 시장 확대를 꾀하고 있다.

    네덜란드의 작물별 종자 재배면적을 살펴보면 목초류가 전체의 70%정도로

    가장 많은 재배면적을 차지하고 있고 곡물류와 유류 종자가 다음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전체 종자 재배 면적은 2000년 33,711ha이었던 것

    이 2005년에는 38,051ha로 증가하였다. 재배면적의 증가를 통해 종자생산

    량도 점차 증가해 왔음을 추측할 수 있다.

    표 Ⅱ-8. 네덜란드의 종자 생산면적(2000~2005)

    (단위 : Ha, (%)))

    구 분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곡물류5,786

    (17.2)

    5,489

    (17.4)

    5,272

    (18.5)

    5,131

    (15.8)

    5,011

    (13.8)

    4,952

    (13.0)

    유류종자류3,420

    (10.1)

    3,668

    (11.6)

    3,353

    (11.8)

    3,731

    (11.5)

    3,745

    (10.3)

    3,790

    (10.0)

    목초류23,049

    (68.4)

    20,784

    (65.9)

    18,138

    (63.8)

    21,815

    (67.2)

    25,896

    (71.4)

    28,006

    (73.6)

    사료작물류28

    (0.1)

    54

    (0.2)

    141

    (0.5)

    136

    (0.4)

    170

    (0.5)

    44

    (0.1)

    채소류795

    (2.4)

    874

    (2.8)

    886

    (3.1)

    1,012

    (3.1)

    935

    (2.6)

    792

    (2.1)

    두류79

    (0.2)

    231

    (1.7)

    268

    (0.9)

    251

    (0.8)

    129

    (0.4)

    92

    (0.2)

    화훼류554

    (1.6)

    415

    (1.3)

    375

    (1.3)

    392

    (1.2)

    378

    (1.0)

    375

    (1.0)

    합계 33,711 31,515 28,433 32,468 36,264 38,051

    자료: Bob Flach(2005). Netherlands Planting Seeds Annual 2005'.

  • - 21 -

    작물별로는 곡물과 화훼류의 재배면적이 소폭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는 반

    면 목초류의 재배면적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소의 경

    우는 2003년까지 재배면적이 증가하다가 이후로 감소 추세로 돌아섰음을 알

    수 있다(표 Ⅱ-8).

    표 Ⅱ-9와 Ⅱ-10은 네덜란드의 종자수출입 현황을 보여주고 있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네덜란드의 종자 교역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출액은 4억9천만 달러에서 8억8천만 달러로 약 1.8배 증가하였

    고 수입액은 경우 2억4천5백만 달러에서 3억8천6백만 달러로 1.6배 증가하

    였다. 작물별로 보면 수출은 모든 작물에서 두 배에 가까운 성장을 하였으나

    화훼류에서는 수출 성장세가 다소 둔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입은 곡물

    류와 유류종자의 수입이 3배 가까이 증가하였고, 사료작물의 경우는 일정하

    지 않으나 전반적으로 감소추세로 나타났다. 수입총액으로는 채소 종자의 수

    입이 1억8천1십만 달러로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고 있었다.

  • - 22 -

    표 Ⅱ-9. 네덜란드의 종자 수출액 현황(2000~2005)

    (단위 : 백만$))

    구 분2000. 7.~

    2001. 6.

    2001. 7.~

    2002. 6.

    2002. 7.~

    2003. 6.

    2003. 7.~

    2004. 6.

    2004. 7.~

    2005. 6.

    곡물ㆍ유류종자류 37.8 35.7 43.0 49.8 52.7

    프랑스 12.0 9.3 8.9 15.7 11.9

    독일 9.7 7.6 10.6 11.3 8.6

    벨기에 3.9 7.3 11.7 8.9 15.9

    목초류 33.5 39.0 42.6 52.6 70.8

    독일 10.1 9.6 12.8 15.8 22.2

    프랑스 3.6 5.8 6.5 7.3 10.2

    영국 3.7 4.5 4.5 6.2 7.8

    사료작물류 24.4 29.5 27.8 42.6 42.4

    독일 10.5 7.7 4.0 11.5 6.9

    벨기에 1.4 5.6 7.0 8.3 7.6

    영국 2.8 3.5 3.7 5.5 5.7

    채소류 312.1 344.9 478.0 580.4 585.3

    스페인 51.4 56.6 89.2 104.8 89.3

    이탈리아 27.0 25.6 49.9 61.9 60.4

    프랑스 29.8 28.8 42.3 53.0 51.8

    두류 24.8 29.0 25.9 33.2 33.9

    프랑스 7.2 8.3 6.6 9.0 9.0

    벨기에 1.9 3.4 3.8 5.8 5.8

    이탈리아 3.0 3.8 2.5 3.5 2.8

    화훼 및 수목류 39.6 39.8 53.0 49.4 48.4

    미국 11.4 9.8 11.5 13.3 12.3

    독일 5.8 7.3 11.3 10.8 13.2

    영국 3.3 3.7 5.5 5.1 5.3

    기타 17.8 14.6 24.0 35.1 46.3

    미국 1.6 0.9 3.3 4.6 8.1

    스페인 3.0 3.5 4.9 7.5 8.0

    벨기에 0.3 0.4 0.6 0.6 5.1

    합계 489.9 532.6 694.3 843.1 879.8

    스페인 60.2 66.2 100.9 119.4 106.9

    독일 77.3 76.1 85.0 102.5 99.7

    프랑스 60.6 60.6 73.2 91.7 92.1

    자료: Bob Flach(2005). Netherlands Planting Seeds Annual 2005'.

  • - 23 -

    표 Ⅱ-10. 네덜란드의 종자 수입액 현황(2000~2005)

    (단위 : 백만$))

    구 분2000. 7.~

    2001. 6.

    2001. 7.~

    2002. 6.

    2002. 7.~

    2003. 6.

    2003. 7.~

    2004. 6.

    2004. 7.~

    2005. 6.

    곡물ㆍ유류종자류 31.3 41.6 47.6 67.0 87.8

    프랑스 8.7 15.4 18.5 25.2 38.8

    독일 5.0 9.6 14.1 14.4 18.2

    헝가리 - 3.5 4.0 6.2 10.2

    목초류 15.7 17.2 29.9 35.7 30.0

    독일 1.5 1.4 10.1 15.8 5.8

    미국 5.3 4.7 7.2 6.0 5.8

    덴마크 3.1 4.7 5.3 6.0 7.4

    사료작물류 24.7 13.3 8.1 32.6 21.1

    호주 21.6 9.9 2.7 25.4 11.2

    뉴질랜드 - 0.5 0.9 1.2 1.7

    독일 0.3 0.4 1.6 1.2 1.5

    채소류 115.4 113.2 135.5 156.3 180.1

    프랑스 24.2 22.7 23.4 29.0 39.5

    미국 20.7 22.5 27.0 25.5 32.5

    이탈리아 Na 8.0 13.0 11.0 14.5

    두류 10.8 12.9 12.0 15.0 19.6

    탄자니아 1.0 4.1 2.1 5.1 3.4

    미국 5.4 4.5 3.0 4.2 4.1

    헝가리 Na 0.4 0.8 0.8 6.6

    화훼 및 수목류 32.5 31.2 36.2 36.5 31.0

    미국 7.0 5.8 7.7 8.8 8.1

    독일 2.9 3.4 3.9 3.9 4.4

    프랑스 1.8 1.5 2.6 2.9 2.0

    기타 14.2 12.7 12.3 19.6 16.5

    벨기에 1.2 0.7 3.9 9.6 0.0

    미국 Na 1.25 1.04 2.38 3.94

    독일 Na 5.55 0.21 0.24 5.08

    합계 244.6 242.2 281.6 362.9 386.0

    프랑스 37.6 43.2 49.8 60.7 84.4

    독일 23.6 27.2 39.1 49.3 45.6

    미국 42.0 40.4 47.0 47.6 55.3

    자료: Bob Flach(2005). Netherlands Planting Seeds Annual 2005'.

  • - 24 -

    3) 일본

    일본의 경우 대규모 종자회사는 다품목 위주의 생산체제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고, 소규모 회사는 품목별로 전문화(특성화)하여 국내시장을 주로 공

    략하는 전략을 쓰고 있다. 식량작물은 생산에서 보급에 이르기까지 정부주도

    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반해, 원예작물은 민간회사 주도로 종자가 유통되고

    있다. 즉, 곡류, 서류 등은 농협계통의 유통체계에 의해 주도되고 있고, 원예

    종자의 경우 생산도매는 주요 종목만 유통시키는 종합생산도매, 특정품목만

    을 제한적으로 거래하는 특정품목생산도매, 소량 판매를 주로 하는 소포장

    도매로 구분되어 운영되고 있다.

    현재 일본 정부는 농가 고령화, 경영규모 확대에 따른 구입묘의 이용 증가

    로 고품질ㆍ저비용 종자의 안정적인 공급에 주력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생명

    공학기술을 활용한 육종분야에 대한 정부 지원을 확대하여 유전정보를 활용

    한 효율적 품종육성시스템 개발사업(1998~2002)을 추진한 후 2001년부터

    2005년까지 고성능 종묘생산ㆍ유통 시스템 확립 촉진사업에 집중 투자하였

    다. 민간 종자기업도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품종개발과 육종기간 단축

    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일본의 종자유통은 (사)일본종묘협회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주로 업계

    의 의견조정, 정책건의, 정부위탁사업 등을 수행하고 있다. 정부위탁사업은

    우선 국가가 육성한 품종의 민간분양의 역할 담당자로서 각종 계약체결의 업

    무와 유전정보를 활용한 효율적 품종육성 시스템 개발사업을 보조사업으로

    하고 있다. 또한 농림수산성 위탁으로 특정 화훼류 특성분류 사업도 시행하

    고 있고 아울러 재해대책으로 원예종자 종자 수습안정을 위한 비축사업도 실

    시하고 있다. 민간기업에서도 유통질서 확립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일본의

    대표적 민간종묘업체 중 다끼이(Takii)의 경우 특약점 상인들로 조직된 단

  • - 25 -

    체 TSK(다끼이종묘회)에서 유통질서 계도를 통해 안정적 가격을 유지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 회사의 경우 또한 소비자 지향적인 품종개발 방식을

    도입하여 특히, ‘기능성 강화’ 품종 육성에 주력하고 있다(박현태 등, 2001).

    일본 정부에서도 육종가들의 권리 보호를 위한 제도를 강화하고 있다. 일

    본 농림수산성에서는 지난 8월 재배 목적의 자가 육종을 금지해온 종자 및

    묘목의 수를 23가지에서 81가지로 증가하는 개정 법안을 발표하였다(이 법

    안은 2007년 8월부터 효력을 발휘함). 더불어 종자ㆍ묘목법(Seeds and

    Seedling Act)의 처벌 조항을 강화하는 법 개정을 위하여 분과위원회를 구

    성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등록된 일본 품종들을 이용하여 불법적인 방법으

    로 생산된 종자의 수입을 금지하려는 자국 육종가들의 법적인 대응 활동을

    돕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정부의 노력과 함께 민간 종자업계 종사자들

    도 불법복제를 금기로 삼고 상호 신뢰를 중요시하는 풍토가 매우 강해서 불

    법 복제종자 유통시 업계에서 퇴출시키는 등 신품종 육성에 대한 자긍심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고 있다(Yuichi Hayashi, 2006).

    표 Ⅱ-11과 Ⅱ-12는 2004년과 2005년 일본의 종자 수출입 현황을 나타

    낸 것이다. 2005년도 일본의 종자수출양은 연간 약 1,900톤이고 금액으로는

    9천만 달러 수준이며 그 중에서 채소류가 전체의 7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수입양은 연간 약 90,000톤이고 금액으로는 약 12천만 달러로 수입양의

    90%를 사료작물이 차지하고 있으나 수입액은 채소류가 43%, 사료작물이

    30%로 채소류 종자의 수입이 많다. 양적으로는 수입이 수출의 46.6배인 반

    면 금액으로는 약 1.3배 밖에 되지 않는데 이는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사료

    작물의 수입이 많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일본 종자산업의 기술수

    준과 대외경쟁력이 높아 고품질 종자를 높은 가격으로 수출하고 있기 때문으

    로도 볼 수 있다.

  • - 26 -

    표 Ⅱ-11. 일본의 종자 수출 현황

    작물수출량(톤) 수출액(천$)

    2004 2005 증감률 2004 2005 증감률

    채소류 1,436 1,400 -2.5 % 71,410 68,571 -4.0 %

    사료작물 16 32 100.0 % 132 131 -0.8 %

    초화류 38 39 2.6 % 23,211 18,974 -18.3 %

    기타 454 461 1.5 % 3,688 3,850 4.0 %

    합계 1,944 1,932 -0.6 % 98,441 91,526 -7.0 %

    자료: Yuichi Hayashi(2006). ‘Japan Planting Seeds Annual 2006’.

    표 Ⅱ-12. 일본의 종자 수입 현황

    작물수입량(톤) 수입액(천$)

    2004 2005 증감률(%) 2004 2005 증감률(%)

    채소류 4,823 5,285 9.6 49,378 55,519 12.4

    사탕무 63 62 -1.6 4,585 4,143 -9.6

    사료작물 75,364 81,900 8.7 38,106 38,152 0.1

    초화류 255 354 38.8 12,261 14,920 21.7

    옥수수 327 305 -6.7 4,932 4,372 -11.4

    녹두ㆍ콩류 813 761 -6.4 2,853 2,701 -5.3

    기타 1,845 1,432 -22.4 7,892 7,020 -11.0

    합계 83,490 90,099 7.9 120,007 126,827 5.7

    자료: Yuichi Hayashi(2006). ‘Japan Planting Seeds Annual 2006’.

  • - 27 -

    표 Ⅱ-13과 Ⅱ-14는 각각 2004년과 2005년도 일본의 주요 종자 수입국

    현황과 작물별 수입 현황을 나타낸 것이다. 이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

    본의 주요 종자 수입국은 미국, 호주로 이 두 국가에서 전체의 41.2%가량을

    수입하고 있으며 미국은 채소류에서 호주는 사료작물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우리의 관심을 끄는 것은 일본이 중국

    으로부터도 전체의 약 7.2%에 해당하는 세 번째로 많은 양의 종자를 수입하

    고 있고 전년도에 비하여 13%가량의 증가를 보인다는 점이다. 중국으로부터

    의 주요 수입 작물도 사료작물이나 옥수수가 아닌 채소류와 녹두ㆍ콩류라는

    점은 우리나라도 이러한 중국의 종자 수출에 따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인 만큼 관심을 가지고 빠르게 대처방안을 모색하여야 함을 일깨워 준

    다.

    표 Ⅱ-13. 일본의 주요 종자 수입국 현황

    국가명수입액(천$)

    증감률(%) 점유율(%)2004 2005

    미국 31,719 33,186 4.6 26.2

    호주 19,153 19,003 -0.8 15.0

    중국 8,088 9,144 13.1 7.2

    이탈리아 7,652 9,036 18.1 7.1

    프랑스 5,680 7,965 40.2 6.3

    네덜란드 6,799 7,852 15.5 6.2

    주요국 소계 81,095 88,191 8.8 68.0

    총 수입액 120,007 126,827 5.7 100.0

    자료: Yuichi Hayashi(2006). ‘Japan Planting Seeds Annual 2006’.

  • - 28 -

    표 Ⅱ-14. 일본의 작물별 종자 수입 현황

    작물 주요수입국2004 2005

    수입액(천$) 점유율(%) 수입액(천$) 점유율(%)

    채소류

    vegetables

    전체 49,378 100 55,519 100

    미국 9,324 19 9,940 18

    이탈리아 7,416 15 8,698 16

    중국 3,967 8 4,773 9

    덴마크 3,352 8 4,094 7

    네덜란드 3,153 7 3,912 7

    주요국 소계 27,212 57 31,417 57

    사탕무

    sugar beet

    전체 4,585 100 4,143 100

    미국 2,341 51 2,006 48

    이탈리아 1,274 28 1,333 32

    중국 351 8 376 8

    덴마크 574 13 350 8

    네덜란드 14 3 74 2

    주요국 소계 4,554 99 4,139 100

    사료작물

    forage crops

    전체 38,106 100 38,152 100

    호주 16,246 43 16,017 42

    미국 12,282 32 13,522 35

    프랑스 2,347 6 3,207 8

    독일 1,086 3 1,191 3

    캐나다 1,271 3 898 2

    주요국 소계 33,232 87 34,835 90

    옥수수

    Sweet Corns

    전체 4,932 100 4,372 100

    미국 3,317 67 3,607 83

    칠레 1,605 48 701 16

    프랑스 6 0.1 64 1

    주요국 소계 4,928 99 4,372 100

    완두/콩류

    peas / beans

    전체 2,853 100 2,701 100

    미국 2,240 79 1,468 54

    네덜란드 190 6 347 13

    태국 105 4 299 11

    중국 69 2 225 8

    인도 66 2 133 5

    주요국 소계 2,670 94 2,473 91

    초화류

    Herbaceous

    Plants

    전체 12,261 100 14,920 100

    네덜란드 2,938 24 3,406 23

    칠레 2,594 21 2,588 17

    미국 1,618 13 2,268 15

    중국 1,535 12 2,121 14

    프랑스 1,128 9 1,528 10

    주요국 소계 9,813 80 11,911 79

    자료: Yuichi Hayashi(2006). ‘Japan Planting Seeds Annual 2006’.

  • - 29 -

    다. 품종보호제도 현황(UPOV 중심으로)

    현재 우리나라의 종자사업은 큰 변화를 맞고 있다. 국내적으로는 1997년

    종자수입 자유화 정책과 더불어 국내 종자회사간 시장 경쟁에서 국제적으로

    거대한 종자회사와 경합을 하게 되었다. 국제적으로는 세계무역기구(WTO)

    「무역관련 지적재산권 협정 (TRIPs: Agreement on Trade-Related

    Aspects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에 따라 협정 가입국들은

    식물 신품종을 육종한 육종가의 권리를 지적재산권으로 보호하는 의무를 지

    키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몇몇 작물을 제외하고 품종개발 기술수준이 외국에

    비해 낙후된 실정이다. 이는 무엇보다도 육종가의 품종개발 의욕을 고취할

    수 있는 제도적 기준이 없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에 품종개발 활성화를 위

    해 이러한 법제도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국제식물신품종보호동맹(UPOV)은 식물 신품종 보호에 관한 국가간의 협

    력과 법규 및 제도의 조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