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9
1 최종 보고서/2011.12 방암 발생 환해 노출에 한 연 립환학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 View
    1.167

  • Download
    0

Embed Size (px)

DESCRIPTION

국립환경과학원의 연구용역으로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환자-대조군 설문조사 결과 유의미한 환경요인이 도출되었습니다. 2011.12

Citation preview

Page 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

최종 보고서/2011.12

유방암 발생과

환경유해인자 노출에 관한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Page 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

Page 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3

제 출 문

국립환경과학원장 귀하

본 보고서를 유방암 발생과 환경유해인자 노출에 관한 연구 사업의“ ”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11. 12

연 구 기 관 : 이화여자대학교연구수행기간 : 2011. 7 ~ 2011. 12연구 책임자 : 정최경희연 구 원: 김인아

김환철문병인박소희박수경정해관하은희황승식

Page 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4

Page 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5

요 약 문

제목1.

유방암 발생과 환경유해인자 노출에 관한 연구

연구배경 및 목적2.

현재 우리나라의 유방암 발생률과 사망률은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세 이상 여성의 유방암 발생률은 년 십만 명 당 명에서. 55 1999 36.2

년 명으로 전체 여성의 유방암 사망률은 년 십만 명 당 명2007 78.9 , 1983 2.1

에서 년 명으로 증가하였다2010 7.5 .

유방암을 발생시키는 위험요인으로는 연령 초경 연령 폐경 연령 첫 만, , ,

삭 연령 가족력 양성 유방질환 기왕력 다른 쪽 유방의 암 기왕력 체중, , , , ,

음주 방사선 노출 경구 피임약 복용 호르몬 치료, , , , DES

복용 등이 있으며 이는 그 근거가 비교적 확실하여(Diethylstillbesterol) ,

확정된 위험요인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기존의 확정된 위험요(established) .

인만으로는 현재 국내에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유방암 발생을 설명하는

데 한계가 있다.

유방암을 발생시키는 다른 위험요인으로 여러 인자들이 연구되고 있는

바 유방암이 에스트로겐 의존 암종이라는 점은 내분비계교란물질, (EDCs,

등 체내에서 외인성 에스트로겐으로 작용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할 수 있는 환경노출물질이 유방암 발생과 관련성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가설을 뒷받침하는 동물실험 결과들이 외국에서 활.

발하게 발표되고 있다 한국사회가 급격하게 산업화되며 각종 화학물질에.

대한 환경 노출이 증가했다는 점 또한 이 물질들과 국내 유방암 증가와의

관련성을 의심하기에 충분하다 급격한 환경 노출물질 증가와 유방암 발생.

Page 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6

증가는 유방암 발생과 환경 위험요인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를 진

행하는 데 좋은 토양을 마련해준다 그러나 잠복기가 상대적으로 길고 발.

생률이 높지 않은 암종에 대한 연구는 그 설계에서부터 다양한 고려와 고

민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유방암 발생과 환경 위험요인과의 관련성을 본격적

으로 탐구하는 연구를 위해 그 연구에 적용하게 될 연구 설계를 제안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연구 설계 제안을 위해 유방암 발생과 위험요인의.

분포를 파악하고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을 폭넓게 고찰하여 우선순위,

를 정한 후 우선순위가 높은 환경 위험요인에 대해 과거 노출을 측정할,

수 있는 설문조사 도구를 마련하는 과정을 거칠 것이다 이 설문조사 도구.

를 이용한 예비조사 결과와 문헌 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연구 설계를

제안한다.

연구내용 및 방법3.

가 유방암 발생 및 사망 관련 기술역학적 분석.

유방암 발생률 및 사망률 분석1)

연령표준화 발생률은 한국중앙암등록자료와 주민등록인구 자료를 연령,

표준화 사망률은 사망자료와 주민등록인구 자료 및 인구추계자료를 이용해

구하였다 표준인구는 년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2005 .

유방암 발생 시공간 군집 분석2)

한국중앙암등록자료를 이용하여 년부터 년까지 년간 발생한1999 2008 10

전국 개 지역별 여성 유방암에 대해 연령군을 보정한 지역별 발생률234 ,

군집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SaTScan .

유방암의 확립된 위험요인에 대한 기여위험도3)

한국중앙암등록자료와 서울대 유방암 환자 대조군 연구 자료를 통해 위-

Page 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7

험 요인의 상대위험도와 유병률을 이용하여 폐경 전후로 기여위험도를 산

출하였다.

나 우선적 검토대상 유방암 관련 환경 요인 선정 및 고찰.

개 이상의 동물 실험에서 유방암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보고된 화학물질1

과 에서 현재 공통적으로 연구 중인 물Sister study, Silent spring institute

질을 합한 화학물질을 포괄적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으로 선정하였다.

이 중 현재 우리나라에서 대량 생산되는 화학물질 대기 오염물질 소비재, ,

생산물 식품 첨가물 직업적으로 명 이상의 여성이 노출되는 물질을, , 1,000

기준으로 차 선별하고 기존 역학 연구가 개 이상 존재하는지 여부를 기1 , 1

준으로 차 선별하였다2 . 이상 물질 및 직업 중 유방암 관련 역IARC 2A

학연구가 존재하는 물질 및 직업을 합하여 우선적 검토대상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을 확정하였다 확정 후 국내외 연구 자료 및 논문 등을 통.

해 우선적 검토대상 환경 위험요인에 대해 기존 역학연구 결과 노출 수준, ,

노출 경로 평가방법 등을 조사하였다, .

다 설문 조사 도구 마련 및 예비조사.

환경위험요인에 대해 본 연구진이 고찰한 노출 경로와 국내외에서 시행

되었거나 시행중인 유방암 관련 혹은 환경위험요인 조사 관련 설문지를,

참조하여 설문지를 차로 작성한 후 연구진 회의와 자문위원의 자문을 거1

쳐 설문조사 도구를 마련하였다 마련된 설문지를 이용해 인지조사를 실시.

해 설문지를 재수정한 후 유방암을 과거에 진단받은 환자군 명 대조군, 62 ,

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 환자 대조군 연구 설계 를 실시하였다124 ( - ) .

라 유방암과 환경 요인의 관련성 평가를 위한 연구 설계안 제안.

Page 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8

일부 수정한 등 이 제안한 연구 설계 방법을 적용하여 연, Hedrick (1993)

구 정의 단계와 연구 설계 계획 단계를 거쳐 유방암과 환경 요인의 관련성/

평가를 위한 연구 설계 안을 차로 마련하였다 이후 연구진 회의와 자문1 .

회의를 거쳐 수정하였다.

연구결과4.

가 유방암 발생 및 사망 관련 기술역학적 분석.

유방암 발생률 및 사망률 분석1)

국내 여성의 유방암 발생률 및 사망률 증가 추세는 뚜렷하였다 연령별.

로는 세 그 중에서도 세의 발생률이 가장 높은 양상을 보였으40-64 , 45-49

며 이러한 양상은 년부터 년 모두 유사했다 연령에 따라 유방암, 1999 2008 .

사망률이 증가하는 양상을 명확히 관찰할 수 있고 세 이후 연령에서는, 45

코호트에 따른 사망률 증가양상도 보였다 사망률의 경우 연령별로는.

세에서의 증가 양상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더 뚜렷하였고 세 이후50-64 , 65

사망률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부산 경기 서울 인천 등. , , ,

대도시에서 발생률과 사망률이 높은 양상을 보였다 세 여성에서는. 45-64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유방암 사망률이 증가하였으나 세 여성에서, 25-44

는 그 반대 양상을 보였다.

유방암 발생 시공간 군집 분석2)

여성 유방암은 년부터 년까지 서울 동북부 서울 서부1999 2008 (26%),

경기 남부 대전 중부 가 다른 지역 평균과 비교하여 유(17%), (10%), (12%)

의하게 높았다 시기별로는 년부터 년까지 년 동안 전국적으로. 2001 2005 5

다른 연도에 비해 발생이 높았다4% .

유방암의 확립된 위험요인에 대한 기여위험분율3)

유방암 발생에 가족력 생식관련요인 호르몬관련 요인 건강행태 요인이, , ,

기여하는 인구집단 기여위험분율 은 유방암 사망에 기여하는(PAF) 55.8%,

Page 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9

기여위험분율은 였다60.2% .

나 우선적 검토대상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 선정 및 고찰.

최종적으로 선정된 우선적 검토대상 환경 위험요인은 1,3-Butadiene,

acrylamide, benzene, ethylene oxide , bisphenol A(BPA), phthalates,

formaldehyde, tetrachloroethylene, trichloroethylene, dioxins,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2-amino-3-methylimidazo[4,5-f]

quinoline (IQ), 2-amino-1-methyl-6-phenylimidazo(4,5-b)-pyridine

(PhIP), dieldrin/aldrin, p,p'-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 (DDT) / p,p'-

dichlorodiphenyldichloroethylene (DDE), radon, X-/Gamma-Radiation,

tobacco smoking.second-hand tobacco smoke, nitrate/nitrite (ingested)

under conditions that result in endogenous nitrosation, painter,

등 종이hairdresser/barber, shiftwork that involves circadian disruption 22

었다 문헌 고찰을 통해 각 요인들의 노출 경로를 종합해 보았을 때 노출. ,

경로는 직업 거주지역 대기오염 식품 식품섭취 방법 개인용품으로 범주, , , , ,

화되었다.

다 설문 조사 도구 마련 및 예비조사.

설문지는 환자군용과 대조군용 종으로 만들어졌으며 건강 월경 임시, 2 , , / /

출산 호르몬제 건강행태 개인용품 사용 식품 용기 사용 거주지역 거주지/ , , , / , / ,

직업 응답자 특성 등 개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환자군은 쪽 대조군은, 8 . 15 ,

쪽 분량이었다12 .

예비조사 결과 단변량 분석과 다변량 분석 모두에서 유방암 유병 여부,

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는 환경 위험요인들이 다수 발견되었

다 단변량 분석에서 유방암 유병 여부에 따라 교차비가 유의하게 증가한.

환경 위험요인은 매니큐어 교차비 청소용 세제( 3.667, 95% CI 1.356-9.915),

Page 1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0

나 차량용 세척제 교차비 의 잦은 사용 지난( 5.296, 95% CI 2.092-13.407) , 1

년간 과자나 쿠키 교차비 아이스크림 교차비( 2.444, 95% CI 1.188-5.026), (

두유 교차비 의2.796, 95% CI 1.154-6.773), ( 3.397, 95% CI, 1.675-6.892)

잦은 섭취 십대 당시 감자나 고구마 튀김 교차비, ( 8.438, 95% CI

과자나 쿠키 교차비 굽거나 튀2.848-25.000), ( 4.411, 95% CI 2.185-8.906),

긴 생선 교차비 햄이나 베이컨류 교차비( 2.245, 95% CI 1.161-4.343), (

발효유 교차비3.158, 95% CI 1.239-8.048), ( 2.306, 95% CI 1.134-4.689),

아이스크림 교차비 의 잦은 섭취 플라스틱 용( 3.224, 95% CI 1.437-7.230) ,

기나 랩을 이용한 전자레인지 사용 교차비 페( 2.306, 95% CI 1.201-4.428),

트병 사용 교차비 버스나 택시 회사 종점 근( 2.399, 95% CI 1.206-4.772),

처 거주력 교차비 도로 근처 거주력 교차비( 6.667, 95% CI 1.835-24.224), (

교대제 근무력 교차비2.569, 95% CI 1.291-5.111), ( 5.859, 95% CI

간접 흡연력 교차비 이었다1.900-18.067), ( 3.226, 95% CI 1.501-6.937) .

연령 교육수준 가족력 양성유방질환력 초경 연령 수유력 호르몬제 복, , , , , ,

용 음주와 비만을 보정한 후 시행한 다변량분석에서 유의한 관련성을 보,

인 환경 위험요인은 매니큐어 교차비 청소용( 5.309, 95% CI 1.158-24.352),

세제나 차량용 세척제 교차비 의 잦은 사용 지( 7.237, 95% CI 1.897-27.615) ,

난 년간 두유 교차비 의 잡은 섭취 십대 시절1 ( 3.059, 95% CI 1.155-8.103) ,

감자나 고구마 튀김류 교차비 과자나 쿠키( 4.662, 95% CI 1.224-17.749),

교차비 굽거나 튀긴 생선 교차비( 4.442, 95% CI 1.645-11.995), ( 3.031,

발효유 교차비 아이스95% CI 1.116-8.232), ( 4.364, 95% CI 1.356-9.915),

크림 교차비 의 잦은 섭취 거주지 근처 버스( 3.667, 95% CI 1.454-13.096) , /

택시 종점 존재 교차비 교대제 근무력 교차비( 7.76, 95% CI 1.141-52.760), (

이었다6.485, 95% CI 1.211-34.738) .

라 유방암과 환경 요인의 관련성 평가를 위한 연구 설계 제안.

Page 1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1

예비조사 결과는 향후 유방암과 환경 위험요인과의 관련성을 탐구하는

본격적인 연구가 반드시 필요함을 시사한다 잠복기가 길고 유방암의 발생.

률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을 감안할 때 향후 연구는 환자 대조군 연구가, -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대상자는 설문지의 난이도와 유방암 역학을 감.

안하여 세 여성으로 제한하고 유방암 발병례를 환자군으로 한다 환30-59 , .

자군과 대조군 모두 병원 기반으로 모집한다 병원 기반 연구의 경우 일반.

적으로 대조군 모집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환자군과 대조군 비는 로 하, 1:1

여 교차비 을 유의하게 검출해낼 수 있는 표본 수는 환자군과 대조군2.0

각각 약 명이다 측정도구는 본 연구에서 수정한 설문지를 기반으로1,150 .

수정 보완해서 사용하며 의무기록조사와 생체시료조사를 추가하여 정확도,

를 높이도록 한다.

결 론5.

예비조사 결과 국내에서의 환경 위험요인 노출이 유방암 발생과 관련성

이 있다는 가설이 지지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수행된 예비조사는.

유방암 유병례를 환자군으로 하여 조사하였기 때문에 회상편견의 가능성이

더 높고 조사 대상자 수가 적어서 추정치의 신뢰구간이 상당히 넓으며 값,

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더 자세한 추가 분석을 하는 데 제한이 있었다 그.

럼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큰 교차비가 몇몇 요인들에 대해 제시된 것은 정

확성과 신뢰성을 높인 추후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향후 연구는 본 예.

비조사 결과와 개발된 설문지를 참조하여 제시된 연구 설계안을 바탕으로,

보다 대규모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대효과6.

본 연구를 통해 유방암의 역학을 입체적으로 분석하고 유방암 연구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물질들을 포괄적으로 고찰하여 우선순위를

Page 1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2

선정하였다 제시된 정보들은 향후 유방암과 환경 위험요인과의 관련성을.

탐색하고 기본 방향을 설정하는 데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

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설문지와 예비조사 결과를 통해 제안된.

연구 설계 안은 향후 본격적인 연구를 계획하고 수립 실행하는 데 튼실한,

토대가 될 것이다.

Page 1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3

차 례

제출문 ··························································································································2

요약문 ··························································································································3

차례 ····························································································································11

표 차례 ······················································································································15

그림 차례 ··················································································································20

연구 배경 및 목적I. ·····························································································21

연구 배경 및 필요성1. ·······················································································21

가 유방암 발생 및 사망 현황. ·········································································21

나 유방암의 위험요인. ·······················································································24

연구 목적2. ···········································································································40

연구 내용 및 방법.Ⅱ ···························································································41

유방암 발생과 사망의 기술역학적 분석1. ·····················································43

가 유방암 발생률 및 사망률 분석. ·······························································43

나 유방암 발생 시공간 군집 분석. ·································································44

다 유방암의 확립된 위험요인에 대한 기여위험도. ·····································44

우선적 검토대상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 선정2. ·································47

가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 포괄적 파악. ···············································47

나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 차 선정. 1 ·····················································49

다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 차 선정. 2 ·····················································50

라 직업 및 기타 위험요인 보완. ·····································································50

Page 1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4

우선적 검토대상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 고찰3. ·································51

외국의 유방암 환경 위험 요인 조사 체계 고찰4. ·······································51

설문조사 도구 마련 및 예비조사5. ·································································52

가 설문조사 도구 마련. ·····················································································52

나 인지조사. ·········································································································52

다 예비조사. ·········································································································54

유방암과 환경 위험요인의 관련성 평가를 위한 연구 설계 제안6. ·········57

가 연구 설계 단계. ·····························································································57

나 연구 설계. ·······································································································58

연구 추진 체계7. ·································································································59

연구 결과 및 고찰.Ⅲ ···························································································61

유방암 발생 및 사망의 기술역학적 분석1. ···················································61

가 유방암 발생률 및 사망률 분석. ·································································61

나 유방암 발생 시공간 군집 분석. ·································································68

다 유방암의 확립된 위험요인에 대한 기여위험도. ·····································70

우선적 검토대상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 선정2. ·································76

가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 포괄적 파악. ···············································76

나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 차 선정. 1 ·····················································87

다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 차 선정. 2 ·····················································98

라 직업 및 기타 위험요인 보완. ·····································································99

마 최종적으로 선정된 우선적 검토대상 환경 위험요인. ·························100

유방암 관련 우선적 검토대상 환경 위험요인 고찰3. ·······························102

가 산업용 화학물질. ·························································································102

나 연소 부산물. ·································································································113

Page 1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5

다 살충제. ···········································································································116

라 방사선. ···········································································································117

마 건강행태. ·······································································································118

바 직업. ···············································································································118

외국의 유방암 환경 위험 요인 조사 체계4. ···············································121

가. BCERCs(Breast Cancer and the Environment Research Centers) ····

·······················································································································121

나. Sister study(A study of the Genetic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125

다. Cape Cod Breast Cancer and Environment Study ··························128

설문조사 도구 마련5. ·······················································································130

가 환경 위험요인 노출 경로 범주화. ···························································130

나 설문지 개발. ·································································································130

인지조사 및 예비조사6. ···················································································133

가 인지조사. ·····································································································133

나 예비조사. ·····································································································143

유방암과 환경요인의 관련성 평가를 위한 연구 설계 제안7. ·················189

가 연구 정의. ·····································································································189

나 연구 설계 계획. / ···························································································191

결론.Ⅳ ···················································································································201

기대 성과 및 향후 계획.Ⅴ ···············································································203

참고문헌.Ⅵ ·········································································································205

부록.Ⅶ ···················································································································215

인지조사 환자군 설문지1. ···············································································216

Page 1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6

인지조사 대조군 설문지2. ···············································································232

예비조사 환자군 설문지3. ···············································································244

예비조사 대조군 설문지4. ···············································································259

최종 제안 설문지5. ···························································································271

증례기록서6. ·······································································································287

Page 1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7

표 차 례

유방암의 확정된 위험요인의 위험도Table 1-1. (established) ·····················26

유방암 발생률과 환경요인의 상관계수Table 1-2. ········································33

유방암 사망률과 환경요인의 상관계수Table 1-3. ········································35

유방암의 환경 위험요인Table 1-4. ··································································38

유방암의 식이 위험요인Table 1-5. ··································································39

유방암의 기타 위험요인Table 1-6. ··································································39

인지조사 대상자 개요Table 2-1. ······································································54

환자군과 대조군 응답자의 거주 지역별 연령 현황Table 2-2. ··················56

본 연구의 자문진Table 2-3. ··············································································60

유방암 군집 분석 결과Table 3-1. ····································································69

한국 유방암 위험요인의 연관성의 강도Table 3-2. ······································71

유방암 위험요인의 연령표준화 노출률Table 3-3. ········································72

폐경여부에 따라 생식 관련 위험요인이 기여하는 유방암 발생Table 3-4.

및 사망 추정 수 ·················································································74

관련 위험요인이 기여하는 유방암 발생 및 사망 추정 수Table 3-5. ······ 75

개 이상의 동물실험 연구에서 유선종양 발암물질로 보고된 화Table 3-6. 1

학물질 ···································································································78

우리나라 대량생산 화학물질Table 3-7. ··························································88

대기오염물질Table 3-8. ······················································································89

소비재 제품 화학물질Table 3-9. ······································································90

Page 1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8

식품 첨가 물질Table 3-10. ················································································92

년 특수건강검진 수검 여성노동자 수Table 3-11. 2009 ································93

환경 노출 지표 이용 차 선정 물질Table 3-12. 1 ··········································95

위험도 및 노출수준 이용 차 선정Table 3-13. 2 ············································98

최종적으로 보완된 직업 및 기타 위험요인Table 3-14. ····························100

최종적으로 선정된 우선적 검토대상 환경 위험요인Table 3-15. ············101

가장 흔히 사용되는 프탈레이트류 물질Table 3-16. ··································109

산업용 화학물질의 상대위험도 노출 수준 생물학적 노출지표Table 3-17. , ,

·········································································································112

연소 부산물의 상대위험도 노출 수준 생물학적 노출지표Table 3-18. , , ······

·········································································································115

살충제의 상대위험도 노출 수준 생물학적 노출지표Table 3-19. , , ·········· 116

방사선의 상대위험도와 추정된 노출 수준Table 3-20. ······························117

건강행태의 상대위험도 노출 수준 생물학적 노출지표Table 3-21. , , ······ 119

직업적 위험요인의 상대위험도와 추정된 노출 수준Table 3-22. ············120

Table 3-23. BECRC (Breast Cancer and the Environment Research

Centers) ··························································································122

의Table 3-24. BCERC Puberty study ····························································123

의Table 3-25. BCERC Windows of Susceptibility study ·························124

Table 3-26. Sister study (A Study of the Genetic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126

Table 3-27. Cape Cod Breast and Environment Study ····························129

우선적 검토대상 환경요인의 노출경로 범주화Table 3-28. ······················131

설문지 질문의 이해도 응답 분포Table 3-29. ··············································134

Page 1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9

설문지 질문의 이해도와 관련된 서술 내용Table 3-30. ····························135

설문지에 응답하는 데 걸린 시간Table 3-31. ··············································136

설문에 대한 집중도 분포Table 3-32. ····························································137

설문에 대한 응답 거부 정도 분포Table 3-33. ············································137

설문 응답의 거부와 관련된 서술 내용Table 3-34. ····································138

설문지 전체 구성에 대한 응답Table 3-35. ··················································139

예비조사 대상자 분포Table 3-36. ··································································144

예비조사 대상 환자군 분포Table 3-37. ························································145

유방암의 확립된 위험요인 분포Table 3-38. ················································146

지난 년간 개인용품 사용 빈도 분포Table 3-39. 1 Ⅰ ··································148

지난 년간 개인용품 사용 빈도 분포Table 3-40. 1 Ⅱ ··································148

지난 년간 염색과 브릿지 사용 빈도 분포Table 3-41. 1 ····························148

개인용품 잦은 사용 시작 연령 무응답Table 3-42. ····································149

해충 퇴치 방법 및 무응답 분포Table 3-43. ················································149

모유수유 받은 분포 및 모유수유 기간Table 3-44. ····································150

지난 년간 식품 섭취 빈도 분포Table 3-45. 1 Ⅰ ··········································151

지난 년간 식품 섭취 빈도 분포Table 3-46. 1 Ⅱ ··········································151

지난 년간 식품 섭취 빈도 분포Table 3-47. 1 Ⅲ ··········································152

지난 년간 회당 식품 섭취량 분포Table 3-48. 1 1 ········································153

지난 년간 일일 커피 섭취 빈도 분포Table 3-49. 1 ····································154

십대 당시 식품 섭취 빈도 분포Table 3-50. Ⅰ ············································154

십대 당시 식품 섭취 빈도 분포Table 3-51. Ⅱ ············································155

십대 당시 식품 섭취 빈도 분포Table 3-52. Ⅲ ············································156

십대 당시 일일 커피 섭취 빈도 분포Table 3-53. ······································156

Page 2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0

지난 년간 음식 섭취 방법 빈도 분포Table 3-54. 1 ····································157

지난 년간 잦은 음식 섭취 방법 시작 연령 무응답Table 3-55. 1 ············158

거주지 근처 시설 분포Table 3-56. Ⅰ ····························································159

거주지 근처 시설 분포Table 3-57. Ⅱ ····························································160

거주지 근처 시설 분포Table 3-58. Ⅲ ····························································161

거주지 근처 시설 분포Table 3-59. Ⅳ ····························································162

거주지 근처 시설 분포Table 3-60. Ⅴ ····························································163

직업력 분포Table 3-61. ····················································································164

각 직업력 근무 기간 시작 연령 마친 연령 무응답Table 3-62. , , ············165

각 직업력 세부질문 응답 분포Table 3-63. ··················································166

기타 환경위험요인 분포Table 3-64. ······························································167

방사선 노출 빈도 분포Table 3-65. ································································168

개인용품 사용빈도의 환자 대조군 분포Table 3-66. / ··································169

개인용품 사용빈도의 환자 대조군 분포 경향Table 3-67. / ························171

진단 전 또는 지난 년간 섭취 식품 빈도의 환자 대조군 분포Table 3-68. 1 /

···········································································································172

진단 전 또는 지난 년간 섭취 식품 빈도의 환자 대조군 분포Table 3-69. 1 /

경향 ···································································································173

십대 당시 섭취 식품 빈도의 환자 대조군 분포Table 3-70. / ····················175

십대 당시 섭취 식품 빈도의 환자 대조군 분포 경향Table 3-71. / ·········· 176

모유수유 및 식품섭취 방법의 환자 대조군 분포Table 3-72. / ··················177

식품섭취 방법의 환자 대조군 분포 경향Table 3-73. / ································178

거주지 근처 시설의 환자 대조군 분포 경향Table 3-74. / ··························179

직업력의 환자 대조군 분포 경향Table 3-75. / ··············································181

Page 2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1

기타 환경위험요인의 환자 대조군 분포 경향Table 3-76. / ························182

유방암 유병 여부에 따른 환경 위험요인의 교차비 단변량Table 3-77. :Ⅰ

분석 ···································································································184

유방암 유병 여부에 따른 환경 위험요인의 교차비 단변량Table 3-78. :Ⅱ

분석 ···································································································185

유방암 유병 여부에 따른 환경 위험요인의 교차비 다변량분Table 3-79. :

석 ·······································································································186

향후 연구의 연구 질문Table 3-80. ································································190

유방암과 환경요인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한 주요 변수Table 3-81. ·· 192

코호트연구의 표본 수 결정Table 3-82. ························································195

환자 대조군 연구의 표본 수 결정Table 3-83. - ············································196

Page 2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2

그림 차례

우리나라 연령표준화 유방암 발생률 및 사망률Fig. 1-1. ···························22

외국의 유방암 연령표준화 사망률 추세Fig. 1-2. ·········································23

연구 내용 및 방법Fig. 2-1. ···············································································42

지역별 시공간 군집 확인 기법Fig. 2-2. ·························································45

유방암의 환경 위험요인 검토 과정Fig. 2-3. ·················································48

연구 설계 단계Fig. 2-4. ·····················································································57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진Fig. 2-5. ·····················································59

유방암의 연령표준화 발생률 및 사망률 추세Fig. 3-1. ·······························62

세 단위별 유방암 발생률Fig. 3-2. 5 ·································································63

세 단위별 유방암 사망률Fig. 3-3. 5 ·································································63

출생 코호트 별 연령에 따른 사망률 추세Fig. 3-4. ·····································64

연령별 출생 코호트에 따른 사망률 추세Fig. 3-5. ·······································64

지역별 연령표준화 발생률 추세Fig. 3-6. ·······················································66

지역별 연령표준화 사망률 추세Fig. 3-7. ·······················································66

교육수준별 유방암 사망률 추세Fig. 3-8. ·······················································67

직업계층별 유방암 사망률 추세Fig. 3-9. ·······················································67

기법을 이용한 유방암 군집Fig. 3-10. Scan ··················································69

본 연구의 구상 체계Fig. 3-11. (conceptual framework) ····························190

Page 2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3

I. 연구 배경 및 목적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가. 유방암 발생 및 사망 현황

전 세계적으로 유방암의 발생 빈도는 국가 간 뚜렷한 차이를 보여 미

국 유럽 등 산업화된 국가에서 높은 경향을 보이고 아시아 및 아프리카, ,

지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빈도를 나타낸다 한국 여성은 일생을 살아가.

는 동안 명 당 명꼴로 유방암에 걸리는데 이는 미국이나 유럽 국가보다25 1

훨씬 작은 수치이다 중앙암등록사업부 년 우리나라에서 유방암( , 2006). 2008

으로 진단받은 여성은 만 명 당 명이었다 같은 해 미국 중서부 유10 15.7 . ,

럽에서는 여성 만 명 당 각각 명 명 이상이 유방암으로 진단을10 26.4 , 23.3

받았다(GLOBOCAN, 2008).

그러나 우리나라의 연도별 유방암 연령표준화 발생률 십만 명 당 은( )

년 명에서 년 명 년 명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1999 24.5 2004 33.6 , 2007 39.9

하은희 등 년 유방암 발생 증가율을 분석한(Fig. 1-1A)( , 2010). 2002 2008∼

결과 우리나라 유방암 발생 증가율은 위 약 로 위인 일본과도 격차1 , 91% 2

가 컸다 반면 년 발생률이 가장 높았던 상위 개국은 감소하거나 발. 2002 4

생 증가폭이 감소하는 추세였다(GLOBOCAN, 2008).

미국이나 유럽 국가에서 유방암 발생은 연령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

는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세 전후의 여성에서 발생률이 가장 높은 양상을50

보인다 박수경 등 년이후 년까지 우리나라의 유방암 호발( , 2009). 1999 2007

연령은 세였다 하은희 등 반면 미국과 북유럽에서는 세 이45-54 ( , 2010). 65

상 여성에서 유방암 발생률이 가장 높았다.

Page 2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4

우리나라의 연도별 유방암 연령표준화 사망률 명 당 은 년(100,000 ) 1983

에서 년 년 년 로 증가하였다0.38 1990 0.58, 2000 1.05, 2008 1.57 (Fig. 1-1B).

년 유방암 발생률은 년 유방암 발생률에 비해 증가한 반면2007 1999 62.9% ,

년 유방암 사망률은 년 유방암 사망률에 비해 증가하여 유2007 1999 49.5% ,

방암 사망률보다 유방암 발생률의 증가 폭이 컸다 이는 유방암 검진으로.

인한 조기 암 발견 증가 의학의 발달 등으로 유방암 생존율이 증가하였기,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하은희 등( , 2010).

대부분의 유럽 국가와 영국에서 유방암 사망률은 년까지 증가하다가1990

년 이후 조금씩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중부 유1990 (Fig. 1-2A),

럽과 동부 유럽의 사망률은 증가하고 있다 홍콩과 일본 등 아(Fig. 1-2B).

시아권 국가의 유방암 사망률도 아직까지는 유럽 유방암 사망률의 절반 정

Fig. 2 우리나라 연령표준화 유방암 발생률 및 사망률 명 명-1. ( /100,000 )

출처 하은희 등: , 2010.

Page 2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5

도 수치를 보이나 꾸준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서부(Fig. 1-2B).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미국에서 유방암 사망률이 감소하는 이유는 조기 진, ,

단 및 정확한 진단 타목시펜 등 적절한 치료를 받는 환자 수 증가 때문으,

로 여겨진다(Veronesi et al., 2005).

이와 같이 한국 사회에서 유방암 발생률 및 사망률이 급격히 증가했다

는 점 유방암 발생 및 사망 연령 구조가 외국과 다르다는 점은 국내 여성, ,

들 의 유방암 위험요인에 대한 노출 수준이 급격히 변화해 왔고 이 변화,

양상이 외국과 다를 것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외국의 유방암 연령표준화 사망률 추세 명 명Fig. 1-2. ( /100,000 )

출처: Veronesi, 2005.

Page 2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6

나. 유방암의 위험요인

1) 유방암의 확정된 위험요인(Established)

유방암의 위험요인에 관해서 국내외 많은 연구가 시행되었다 유방암 위.

험요인에 관한 한 통합적 보고에서는 연령 지역적 위치 초경 연령 폐경, , ,

연령 첫 만삭 연령 가족력 양성 유방질환 기왕력 다른 쪽 유방의 암 기, , , ,

왕력 사회경제적 위치 식이 체중 음주 방사선 노출 경구 피임약 복용, , , , , , ,

호르몬 치료 복용을 유방암의 위험요인으로 제시, DES(Diethylstillbesterol)

하였다(McPherson et al., 2000).

연령의 경우 폐경 전까지 매 년마다 유방암 위험이 배가 되며 폐경10 2 ,

후에는 증가율이 낮아진다.

지역적 위치의 경우 서구 유방암 발생 위험은 극동지역의 유방암 발생의

다섯 배 정도이나 하와이로 이주한 일본인은 세대가 경과할수록 하와이 유

방암 발생 양상을 따르는 모습을 보여 환경 요인이 유방암 발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McPherson et al., 2000).

국내외 많은 연구에서 이른 초경 연령을 유방암의 확정된 위험요인으로

지목하고 있고 국내에서 시행된 한 코호트연구에서도 이른 초경이 유방암

발생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자연 폐경 연령이(Park et al., 2011) 55

세 이후인 여성은 자연 폐경 연령이 세 이전이었던 여성에 비해 두 배45

정도의 유방암 위험을 가지며 세 이전 양측 난소절제술을 받은 여성은35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유방암 발생 위험이 정도였다 이른 초경과40% .

늦은 폐경이 유방암 발생과 관련 있는 이유는 여성호르몬에 노출되는 기간

을 늘이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Park et al., 2011).

출산경험이 없는 것 과 늦은 나이의 첫 출산은 유방암 발생(Nulliparity)

위험을 높이는데 첫 자녀 출산 연령이 세 이후인 여성은 그렇지 않은, 30

여성보다 두 배의 유방암 발생 위험을 갖는다.

Page 2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7

유방암 가족력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종류가 아직 모두 밝혀진 것은 아니

나 번 염색체와 번 염색체에 위치하고 있는 유전자와, 17 13 BRCA1 BRCA2

유전자의 변이가 가족성 유방암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일반 인구집단에서 유전자가 있을 확률은 크지 않. BRCA 1,2

다 그러나 가족력은 유전적 소인과 환경적 인자와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가족성 유방암 중 일부가 유전자 돌연변이가 있는 유전성 유방암이다 박수(

경 등 촌 이내 가족 어머니 자매 딸 에서 유, 2009). 1 (first degree relative. , , )

방암 발생 가족력이 있는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유방암 발생 위

험이 배 이상이다2 (McPherson et al., 2000).

유방의 중증 비정형 상피 증식 기(severe atypical epithelial hyperplasia)

왕력이 있는 여성은 유방 증식성 변화 기왕력이 없(proliferative changes)

는 여성보다 유방암 발생 위험이 배에서 배 높다 유방의 낭종성 변화4 5 . ,

복합 섬유선종 유두종 경화성 선증(complex fibroadenomas), (papillomas),

중등도상피 증식 을(sclerosis adenosis), (moderate epithelial hyperplasia)

가진 여성은 그렇지 않은 정도보다 유방암 발생 위험이 배에서 배 높1.5 3

다 이차 세계대전 당시 방사선에 노출되었던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유방암 발생 위험이 배 정도 높다는 보고가 있다2 (McPherson et al.,

2000).

경구 피임약을 년 동안 복용하였던 여성은 경구 피임약을 복용하지 않10

은 여성보다 유방암 위험이 약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경구 피임약,

복용을 중단한 후 년 이상이 지나면 유방암 발생 위험은 다시 일반 인구10

수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폐경 후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복합.

호르몬 치료는 유방암 발생 위험을 배 높이며 유방 밀도를 높임으로써1.34 ,

유방암 검진의 민감도와 특이도 저하와도 관련이 있다(Mcpherson, 2000).

노인은 젊은 사람에 비해 배 이상의 을 가지며 선진국은 개발도상10 RR ,

국에 비해 이상의 을 갖는다 유방촬영술 상 치밀 유방조직인 경우5 RR .

Page 2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8

값은 이상이며 세 이전의 초경이나 세 이후 폐경은 의RR 5 , 11 54 2 3 RR∼

을 가진다 첫 출산이 세 이후인 경우 촌 이내 가족의 유방암 기왕력. 40 , 1 ,

비정형 증식성 병변 등의 양성 유방 질환력은 각각 이상 의 값을3, 2 , 5 RR

가진다 다른 쪽 유방의 유방암 과거력 사회경제적 위치 상 높은 계층이거. ,

나 낮은 계층인 경우 또한 각각 이상 의 을 보인다 폐경 이전의 비4 , 2 RR .

만은 폐경 후의 비만은 의 을 보인다 경구 피임약은 호르몬0.7, 3 RR . 1.2,

치료는 복용은 의 을 보인다1.66, DES(Diethylstillbesterol) 2 RR (table 1-1).

위험요인 비교위험도 고위험 집단

연령 >10 나이 든 사람

지정학적 위치 5 선진국

유방 밀도 >5 맘모그램 상 과밀도 유방조직

초경 연령 3 세 이전11

폐경 연령 2 세 이후54

첫 번째 만삭분만 연령 3 세 이후 첫 아이 분만40

가족력 >2 촌 이내 유방암1

양성 유방질환 과거력 4 5– 비정형 증식

다른쪽 유방의 암 >4 유방암 과거력

사회경제적 집단 2 과Group I II*

BMI

폐경 전 0·7 높은 BMI

폐경 후 2 높은 BMI

음주 1·07 매일 음주 시 증가7%

전리방사선 노출 3 세 이후 소녀 비정상 노출10

모유수유와 분만력 모유수유 개월마다12

위험도 감소 한4·3% ,

아이 당 감소7% .

모유수유 하지 않은 여성

외인성 호르몬 사용    

경구 피임약 1·2 현재 사용

호르몬 대체 요법 1·66 현재 사용현재 사용

Diethylstilbestrol 2 임신 시 사용

와 는 높은 사회경제적 상태 낮은 사회경제적 상태를 의미함* I II , .

출처: Veronesi et al., 2005.

유방암의 확정된 위험요인의 위험도Table 1-1. (established)

Page 2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9

2) 유방암의 확정되지 않은 위험요인

유방암의 확정되지 않은 위험요인으로는 식이와 비타민 섭취 발한 억제,

제 브래지어 인공유산 유방 보형물 환경중의 화학 요인(Antiperspirants), , , , ,

흡연 밤근무가 있다, (American Cancer Society, 2011).

유방암 발생에 대한 식이와 비타민 요인의 영향은 식습관 조사 및 분석

의 어려움으로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시행한.

환자 대조군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여성에서 유방암 발생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는 식품은 곡류 감자류 견과류 버섯류 난류였으며 녹황색 채, , , ,

소 과일 해조류는 그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아 등, , ( ,

2003).

유방암이 에스트로겐 의존 암종이라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내분비계교란물질 등 환경 중 화(EDCs,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학요인이 외인성 에스트로겐으로 작용하여 유방암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가설이 가능하다 유방암 발생과 환경 요인의 관련성을 찾고자 하는 연구.

가 국내외에서 시행중이나 아직 뚜렷한 관련성은 밝혀지지 않았다 또한.

유방암 조직에서 발한 억제제의 보존제로 쓰이는 파라벤 이 검출(parabens)

되었다는 보고가 있었고 이 파라벤은 약한 에스트로겐 작용을 갖고 있기,

때문에 유방암 발생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추정은 가능하다 그러나 유.

방암 발생 원인에 대한 대규모 연구에서 발한 억제제와 유방암 발생은 관

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American Cancer Society, 2011).

내분비계교란물질은 제초제 식품 석유 농약 화장품 샴푸 살균제 내부, , , , , , ,

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음식 용기 플라스틱 병과 몇 가지 약과 같은,

자주 소비되는 다량의 상품에서 존재한다 에스트로겐 유사 작용을 가진.

환경 중 화학 물질에 노출되는 것이 공중 보건에 있어 중요한 문제이나,

아직 유방암과 환경 중 내분비계교란물질의 관련성에 관해 합의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스칸디나비아 반도의(American Cancer Society, 2011).

Page 3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30

에서는 유방암에 걸릴 확률이 친부모보다 양부모와 배 더 밀Sister study 4

접하다는 자료를 이용해 유방암 발생에 유전적 요인은 환경적 요인, 27%,

은 를 기여한다고 밝혔다73% (Lichtenstein et al., 2000).

간접흡연이 유방암 발생과 관련성이 있다는 동물 실험 연구 결과가 있으

나 인간을 대상으로 한 몇 개 역학연구는 서로 일치되지 않은 결과를 보이

고 있다 밤근무를 포함하는 교대 근무. (shift work that involves circardian

가 유방암 발생과 관련 있으며 이런 결과는 밤근무를 포함하는 교rhythm) ,

대 근무가 체내 멜라토닌 수치의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일 것이라는 보고가

있다 그러나 아직 연구 중인 분야이며 합의된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고 있.

다.

유방암의 위험요인으로 연구 중인 여러 요인들 가운데 최근 가장 활발하

게 연구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환경 위험요인이다 한국사회가 급격하게.

산업화되며 각종 화학물질에 대한 환경 노출 수준이 변화했다는 점은 이

물질들과 국내 유방암 증가와의 관련성을 의심하기에 충분하다 환경 위험.

요인이 유방암 발병에 관여한다는 가설을 입증하는 동물실험 결과들은 외

국에서 활발하게 발표되고 있으며 다양한 역학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

3) 외국의 유방암 환경 위험요인 역학 연구

에서 발표한Silent Spring Institute ‘Silent spring institute guide to

에 따르면 환경cohort studies for environmental breast cancer research' ,

요인과 유방암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하는 코호트 연구는 약 개가 존재50

한다 이 중 환경 요인이 주 독립변수이거나 유방암이 주 종속변수인 연구.

는 Agricultural Health Study, Environment and Genetic Determinants of

Puberty, European Prospective Investigation into Cancer and Nutrition

(EPIC), Kaiser Research Program on Genes, the Environment and

Health (RPGEH), Sister study: Environmental and Genetic Risk Factors

Page 3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31

for Breast Cancer, Women's Environment, Cancer, and Radiation

등이다Epidemiology (WECARE) Study .

는 미국의Agricultural Health Study 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National Institue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NIEH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 National Institute of

가 연구 주체로서 연구 자금을 지Occupational Safety & Health (NIOSH)

원하고 있다 년부터 진행된 코호트 연구이며 아이오와주와 노스캐롤. 1993

라이나주의 농부 명과 그 배우자를 연구 대상으로 흡연 음용과 식89,000 ,

이 구강 헹굼, 표본 직업 수행 정보 생활습관 요인 농약 노출 암 가족력, , , , ,

생식기계 기왕력 농업 노출 일반 건강을 측정한다 암 유방암 백혈병 골, , . ( , ,

수종 비호지킨성 임파종 피부 흑색종 폐암 대장암 직장암 췌장암 방광, , , , , , ,

암 전립선암 천식 신경계 질환 손상 사망 및 생식기계 영향을 결과 변, ), , , ,

수로 한다.

는Environment and Genetic Determinants of Puberty Breast Cancer

and the Environment Research Center (BCERC) - Mt. Sinai School of

Medicine, Kaiser Permanente, and Cincinnati Children's Hospital Medical

가 연구 주체이고 연구 자금은 와 에서 지원한다 년Center NIEHS NCI . 2003

부터 진행된 코호트 연구이며 첫 방문 시 세인 소녀 명을 연구 대6-8 1,180

상으로 호르몬 변화 비만 식이 가족력 정신사회적 스트레스원 환경 노, , . , ,

출 유전적 다형성을 측정한다 사춘기 시작을 결과 변수로 한다, . . BCERC

는 년 월 설립된 개의 센터로 와 가 지원하여 유방암 임2003 9 4 , NIEHS NCI

상치료 역학조사 지역사회 교육 및 캠페인을 통합적으로 운영한다 각 연, , .

구소에서는 유방암의 환경요인에 대한 보고서와 자료를 꾸준히 발행하고

있다.

은European Prospective Investigation into Cancer and Nutrition (EPIC)

와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World Health

Page 3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32

가 연구 주체이고 연구 자금은Organization (WHO) European

에서 지원한다 년Commossion "Europe Against Cancer" Programme . 1992

부터 진행된 코호트 연구이며 개 유럽국가 덴마크 프랑스 독일 그리스10 ( , , , ,

이탈리아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페인 스웨덴 영국 명의 여성과, , , , , ) 520,000

남성을 대상으로 기초 조사와 신체 계측 키 체중 엉덩이 둘레 허리 둘레( , , , )

을 측정하고 혈액 표본을 채취한다 유방암과 다른 암을 포함한 만성 질환, .

을 결과 변수로 한다.

Kaiser Research Program on Genes, the Environment and Health

는 가 연구 주체이고 연구(RPGEH) Kaiser Foundation Research Institute

자금은 Community Benefit Program of Kaiser Permanente, Robert Wood

에서 지원한다 년부터 진행된 코호트 연구Johnson Foundation, NIH . 1997

이며 명의 남부 캘리포니아 카이저 퍼머넌트 소속원 남성과 여성 을500,000 ( )

연구 대상으로 하는데 최근까지 모집된 연구 대상자는 명이다 의학110,000 .

정보 생활 습관 인구학 정보 환경 정보 일부의 유전학 정보를 측정하며, , , ,

결과 변수는 심장 질환 암 당뇨병 고혈압 알츠하이머병 천식과 기타 질, , , , ,

환이다.

Sister study: Environmental and Genetic Risk Factors for Breast

는 가 연구 주체이고 연구 자금은 와Cancer NIEHS NIEHS National Center

에서 지원한다 년부터 진on Minority Health and Health Disparities . 2003

행된 코호트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본인은 유방암을 진단받은 적이 없으.

나 생물학적 자매가 유방암을 진단받은 세 명이고 각 연구 대35-74 50,000 ,

상자는 최소 십년간 추적관찰된다 기초 설문 자료 공복 혈액 아침 첫 소. , ,

변 거주지 먼지 표본 발톱 표본, , . 추적 관찰 시 매년 건강 상태 설문 자료,

년마다 건강 년마다 생활습관 년마다 노출 조사를 한다 보고자2-3 , 2-3 , 2-3 .

하는 결과 변수는 유방암 다른 암 골다공증 심장 질환 당뇨병 자가면역, , , , ,

질환이다.

Page 3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33

Women's Environment, Cancer, and Radiation Epidemiology

는(WECARE) Study Memorial Sloan-Kettering Cancer Center and

가 연구 주체이며 연구 자금은 에서 지원한다 년부터 진others NIEHS . 2000

행된 코호트 연구이며 연구 대상은 세 이전에 유방암을 진단받은 일측성55

유방암 환자 명과 양측성 유방암 환자 명의 총 명이다 설문700 1,400 2,100 . ,

분석을 위한 혈액 표본을 이용하여 유전자 에 초DNA (ATM, BRCA 1/2)

점을 맞춘 유방암 방사선 환경 상호작용 연구이다- .

는 미국의ERBC (Environmental Risks and Breast cancer) Vassar

가 주축이 된 연구로 유방암의 환경요인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여College ,

보고서를 발행한다 보고서는 유방암의 일반적인 위험요인을 비롯해 세제. ,

플라스틱 피임약 사용여부 중금속 살충제 방사능 등의 환경요인을 포함, , , ,

하고 있다 에서는 유방암과 환경요인에 대한 교육자료와. Vassar College

동영상도 제작하여 배포하는 프로젝트도 진행하고 있다.

에서는 미국의 의 지원으로 유State of the Evidence Breast Cancer Fund

방암의 환경요인에 대한 과학적 자료를 고찰하여 매해 보고서를 발행한다.

년 현재 번째 개정판이 발행되었으며 유방암의 환경요인에 대한 가장2010 6

최근의 자료들을 포함하고 있다.

년 에서 발전한1993 Massachusetts Breast Cancer Coalition The Silent

는 지역의 유방암 발생률이 다른 지역에서 높다Spring Institute Cape Cod

는 통계를 시작으로 유방암의 환경요인에 대한 연구 프로젝트를 시작하였

다 이 연구는. Cape Cod Breast Cancer and Environment Study, the

로 내분비계 장애물질 살충제 등 환경요인의Newton Breast Cancer Study ,

영향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4) 유방암 발생의 환경적 요인에 관한 국내 연구

유방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위험요인의 중요성을 인식한 국립환

Page 3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34

경과학원은 년 유방암 발생의 환경적 요인에 관한 연구 를 발주한2010 < >

바 있다 이 연구는 유방암 발생의 잠재적인 환경 위험요인을 목록화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시행되었다 하은희 등( , 2010).

(1) 국내외 문헌 조사를 통하여 잠재적 환경요인 도출

국내외 연구 동향을 살펴본 결과 유방암 위험요인에 대한 연구는 비교,

적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환경요인과 유방암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현재까지 직업 내분비계 장애물질 대기오염 식이. , , ,

및 영양 비타민 지방섭취 등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등 환경적 요인에, , ),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특히 국내에서는 식이 및 영양소에 대한 연구 이외.

의 환경요인 직업 내분비계 장애물질 대기오염 에 대한 연구 자료는 거의( , , )

없었다.

(2) 국내 유방암 발생률 및 사망률 자료 조사

우리나라의 년 유방암 연령표준화 발생률은 해마다 약간의 차1999 2007∼

이가 있지만 꾸준히 증가하였다 우리나라의 연도별 유방암 연령표준화 발.

생률 명 당 은 년 명에서 년 년 명이었다(100,000 ) 1999 24.5 2004 33.6, 2007 39.9 .

년 우리나라 유방암 연령표준화사망률은 대부분의 도시에서 큰1991 2008∼

변동폭을 나타내고 있지만 사망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였,

다 우리나라 유방암 연령표준화사망률은 년 에서 년. 1983 0.38 1990 0.58,

년 년 이었다2000 1.05, 2008 1.57 .

(3) 유방암 발생률 및 사망률 자료와 환경요인의 관련성 분석

국내 연도별 유방암 연령표준화 발생률 및 사망률 자료와 가정된 lag

년 단위 만큼 이동된 연간 환경요인 자료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time( ) .

유방암 발생률과 환경 요인의 상관계수는 와 같았다table 1-2 . Lag time 0

Page 3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35

년 년 가정 시 상관계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시기의 상19∼

관계수는 였다0.29 0.99 .∼

상관계수가 가장 높은 시기의 상관계수가 이상을 보인 환경 요인은0.9

자동차 등록현황 연간 백색시유 소비량 연간 총 유제품 소비량 인당 연, , , 1

간 육류 소비량 인당 연간 우유 소비량 연간 살충제 생산량 연간 벤젠, 1 , ,

생산량 연간 톨루엔 생산량 연간 파라크실렌 생산량 연간 스티렌모너머, , ,

생산량 연간 가소제 생산량 연간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생산량 연간 기초, , ,

화학물질 생산량 연간 합성고무 생산량 연간 고밀도 폴리에틸렌 생산량, , ,

연간 저밀도 폴리에틸렌 생산량 연간 수지 생산량 연간 폴리프로필, ABS ,

렌 생산량 연간 불포화 폴리에스터 수지 생산량 연간 페놀수지 생산량, , ,

연간 일반폐기물 발생량 연간 산업폐기물 발생량 연간 소각 처리량이었, ,

다.

주요 관련 요인들

상관계수가

가장 높은

시기 년( )

상관계수가 가장

높은 시기의

상관계수

통계자료

기간

자동차 등록 현황 10 0.99 1966-2009

연간 내분비계장애 추정물질 환경배출량 2 0.29 1999-2006

연간 백색시유 소비량 19 0.96 1978-2008

연간 총 유제품 소비량 19 0.96 1978-2008

인당 연간 육류 소비량1 10 0.99 1995-2008

인당 연간 우유 소비량1 10 0.91 1978-2008

연간 살충제 생산량 3 0.91 1995-2009

연간 살균제 생산량 2 0.61 1995-2009

연간 제초제 생산량 9 0.83 1995-2009

연간 농약 생산량 살충제 살균제 제( , ,

초제 생산량 총합)

10 0.75 1995-2009

출처 하은희 등: , 2010

유방암 발생률과 환경요인의 상관계수Table 1-2.

Page 3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36

유방암 발생률과 환경요인의 상관계수 계속Table 1-2. ( )

주요 관련 요인들

상관계수가

가장 높은

시기 년( )

상관계수가 가장

높은 시기의

상관계수

통 계 자 료

기간

연간 화학물질 환경 배출량 1 0.85 2001-2008

연간 벤젠 생산량 7 0.99 1995-2009

연간 톨루엔 생산량 10 0.99 1995-2009

연간 크실렌 생산량 4 -0.38 2000-2009

연간 파라크실렌 생산량 2 0.92 2000-2009

연간 크실렌 합 생산량 벤젠 톨루엔( , ,

크실렌 파라크실렌 생산량 총합, )

0 0.43 2000-2009

연간 스티렌모너머 생산량 10 0.99 1995-2009

연간 가소제 생산량 6 0.98 1995-2009

연간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생산량 0 0.94 1995-2009

연간 안료생산량 0 0.87 2000-2009

연간 기초화학물질 생산량 벤젠( ,

톨루엔 크실렌 파라크실렌, , ,

스티렌모너머 가소제 폴리프로필렌, ,

글리콜 안료 생산량 총합, )

9 0.99 1995-2009

연간 합성 고무 생산량 8 0.96 1995-2009

연간 고밀도 폴리에틸렌 생산량 8 0.99 1995-2009

연간 저밀도 폴리에틸렌 생산량 9 0.99 1995-2009

연간 폴리스티렌 생산량 10 0.99 1995-2009

연간 수지 생산량ABS 9 0.99 1995-2009

연간 폴리프로필렌 생산량 8 0.99 1995-2009

연간 불포화 폴리에스터수지 생산량 1 0.94 1995-2009

연간 페놀 수지 생산량 1 0.96 1995-2009

연간 폴리우레탄 생산량 5 0.74 1995-2009

연간 일반폐기물 발생량 5 0.98 1992-2007

연간 산업폐기물 발생량 5 0.99 1992-2007

연간 소각 처리량 5 0.98 1996-2008

출처 하은희 등: , 2010.

Page 3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37

유방암 사망률과 환경 요인의 상관계수는 과 같았다 상관계수table 1-3 .

가 가장 높은 시기의 상관계수가 이상을 보인 환경 요인은 자동차 등록0.9

현황 연간 백색시유 소비량 연간 총 유제품 소비량 인당 연간 육류 소, , , 1

비량 인당 연간 우유 소비량 연간 화학물질 환경 배출량 연간 벤젠 생, 1 , ,

산량 연간 톨루엔 생산량 연간 스티렌모너머 생산량 연간 가소제 생산량, , , ,

연간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생산량 연간 기초화학물질 생산량 연간 합성고, ,

무 생산량 연간 고밀도 폴리에틸렌 생산량 연간 저밀도 폴리에틸렌 생산, ,

량 연간 수지 생산량 연간 폴리프로필렌 생산량 연간 일반폐기물 발, ABS , ,

생량 연간 산업폐기물 발생량 연간 소각 처리량이었다, , .

주요 관련 요인들

상관계수가

가장 높은

시기 년( )

상관계수가 가장

높은 시기의

상관계수

통계자료

기간

자동차 등록 현황 0 0.98 1966-2009

연간 내분비계장애 추정물질 환경

배출량

3 0.79 1999-2006

연간 백색시유 소비량 15 0.98 1978-2008

연간 총 유제품 소비량 15 0.98 1978-2008

인당 연간 육류 소비량1 14 0.99 1995-2008

인당 연간 우유 소비량1 14 0.99 1978-2008

연간 살충제 생산량 11 0.6 1995-2009

연간 살균제 생산량 0 0.46 1995-2009

연간 제초제 생산량 11 0.75 1995-2009

연간 농약 생산량 살충제 살균제( , ,

제초제 생산량 총합)

11 0.83 1995-2009

출처 하은희 등: , 2010.    

유방암 사망률과 환경요인의 상관계수Table 1-3.

Page 3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38

유방암 사망률과 환경요인의 상관계수 계속Table 1-3. ( )

주요 관련 요인들

상관계수가

가장 높은

시기 년( )

상관계수가 가장

높은 시기의

상관계수

통계자료

기간

연간 화학물질 환경 배출량 1 0.92 2001-2008

연간 벤젠 생산량 5 0.95 1995-2009

연간 톨루엔 생산량 2 0.92 1995-2009

연간 크실렌 생산량 5 0.21 2000-2009

연간 파라크실렌 생산량 0 0.84 2000-2009

연간 크실렌 합 생산량 크실렌과(

파라크실렌 생산량 총합)

0 0.36 2000-2009

연간 스티렌모너머 생산량 5 0.98 1995-2009

연간 가소제 생산량 3 0.96 1995-2009

연간 폴리프로필렌글리 생산량 0 0.93 1995-2009

연간 안료 생산량 0 0.79 2000-2009

연간 기초화학물질 생산량 벤젠( ,

톨루엔 크실렌 파라크실렌, , ,

스티렌모너머 가소제 폴리프로필렌, ,

글리콜 안료 생산량 총합, )

2 0.95 1995-2009

연간 합성고무 생산량 5 0.96 1995-2009

연간 고밀도폴리에틸렌 생산량 3 0.96 1995-2009

연간 저밀도폴리에틸렌 생산량 6 0.96 1995-2009

연간 폴리스티렌 생산량 5 0.82 1995-2009

연간 수지 생산량ABS 3 0.95 1995-2009

연간 폴리프로필렌 생산량 5 0.95 1995-2009

연간 불포화폴리에스터수지 생산량 0 0.82 1995-2009

연간 페놀수지 생산량 0 0.86 1995-2009

연간 폴리우레탄 생산량 3 0.82 1995-2009

연간 일반폐기물 발생량 1 0.97 1992-2007

연간 산업폐기물 발생량 0 0.97 1992-2007

연간 소각 처리량 3 0.97 1996-2008

출처 하은희 등: , 2010.

Page 3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39

(4) 유방암의 잠재적 환경 위험요인 목록화

유방암 발생의 환경적 요인에 관한 연구 에서 유방암의 잠재적 환경< >

위험요인인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된 항목은 세 가지로 국제암연구소(IARC)

의 발암물질 선정여부 기존 연구결과에서 의미있는 위험도 값 제시 여부, ,

문헌 고찰 결과 위험도가 추정되는 물질인지의 여부였다 이 세 가지 항목.

을 기준으로 선정한 유방암의 환경 위험요인은 와 같다 우선순위table 1-4 .

에 해당되는 환경 요인은 방사선1 , PCB(polychlorinated biphenyl),

PAHs(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Ethylene oxide, Benzene,

Solvents, DDT(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 17- estradiol, Vinylβ

였다 유방암의 식이 위험요인으로는 음주와 포화지chloride, 1,3-butadiene .

방이 일반 위험요인으로는 초산연령 분만횟수 수유 비만 야간교대근무, , , , ,

가 우선순위 로 선정되었다 우선순위 에 해당하는 위험요인은 연령 초1 . 2 ,

경연령 유산횟수 운동 유방통증 이주였다 우선순위 에는 교육수준 소, , , , . 3 ,

득수준 총 월경기간이 해당되었다, (table 1-6).

Page 4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40

우선순위 1

방사선, PCB(polychlorinated biphenyl), PAHs(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Ethylene oxide, Benzene, Solvents,

DDT(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 17- estradiol,β

Vinyl chloride, 1,3 butadiene

우선순위 2

전자파, -hexachlorocyclohexane, PBBs (polybromobiphenyl),β

Aromatic Amines, PCE (tetrachloroethylene),

PERC (Tetrachloroethylene), PBDE(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Creosote, Styrene, DES (Di-ethyl Stillbestrol), Gasoline products,

Pesticides, PCBs (Polychlorinated Biphenyl), Dieldrin, Alkylphenols,

p-nonylphenol, Heptachlor, Heavy metals, Zeranol, Zearalenone,

rBGH/rBST

우선순위 3

포함Dioxin (TCDD ), DDE (dichloro-diphenyl-dichloro-ethylene),

BPA (Bispheol-A), BBP (butyl-benzyl-phthalate), Triazines,

자외선 차단제

출처 하은희 등: , 2010.

유방암의 환경 위험요인Table 1-4.

Page 4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41

우선순위 1 음주 포화지방 육류, ,

우선순위 2

흡연 단백질 탄수화물 칼슘 일 평균 섭취 열량 인, , , , 1 , ,

칼륨 철 비타민 나이아신 엽산 항산화, , A·B1·B2·D·E, , ,

비타민 식이섬유 셀레늄 곡류 감자류 견과류 버섯류, , , , , , ,

계란 등의 난류 어패류 녹황색 채소 과일 해조류, , , , ,

유제품

우선순위 3 커피 비타민 섬유소 콜레스테롤, C, ,

출처 하은희 등: , 2010.

유방암의 식이 위험요인Table 1-5.

우선순위 1초산연령 분만횟수 수유 비만 체질량지수, , , ( ),

야간교대근무

우선순위 2  연령 초경연령 유산횟수 운동 유방통증 이주, , , , ,

우선순위 3 교육수준 소득수준 총 월경기간, ,

출처 하은희 등: , 2010.

유방암의 기타 위험요인Table 1-6.

Page 4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42

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유방암 발생과 환경 위험요인과의 관련성을 탐구하기 위한 연

구 설계안을 제안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한다 연구 설계안 제안을 위해.

유방암 발생과 위험요인의 분포를 파악하고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의,

평가 방법을 고찰한 후 설문조사 도구를 마련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

목적은 다음과 같다.

유방암 발생의 환경적 요인에 관한 연구 를 보완하여 유방암의 발1) < >

생과 사망 실태 및 특성을 파악한다.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을 폭넓게 검토하여 우선적으로 검토해야2) ,

할 목록을 작성한 후 이를 대상으로 노출 경로 및 노출 수준 평가방법을, ,

고찰하여 정리한다.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에 대한 설문조사 도구를 마련하고 예비조3) ,

사를 통해 설문조사 도구의 타당성을 평가한다.

위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유방암 발생과 환경 위험요인의 관련성 평4)

가를 위한 연구 설계안을 제안한다.

Page 4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43

II. 연구 내용 및 방법

본 연구의 연구 내용 및 방법은 과 같다Fig. 2-1 .

자료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유방암 발생과 사망의 기술역학적 분석을 시

행하였다 유방암을 발생시키는 확정된 위험요인을 검토하고 우리나라의.

노출 수준과 위험도를 이용해 확정된 위험요인의 기여위험도를 산출하고자

하였다.

문헌고찰과 연구진 회의 및 자문회의를 통하여 유방암 관련 환경 요인을

포괄적으로 검토하고 우선적 검토대상 환경요인을 도출하였다 우선적 검.

토대상 환경요인의 위험도 노출수준 평가방법을 고찰하여 이 결과를 바탕, ,

으로 설문조사 도구를 마련하였다 마련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자문회의와.

인지조사를 시행하여 설문도구를 수정하고 예비조사를 시행하였다.

외국의 유방암 환경 위험요인 조사체계를 고찰하고 예비조사 결과와 문,

헌고찰 결과를 종합하여 유방암 발생과 환경 위험요인의 관련성 평가를 위

한 연구 설계안을 제안하였다.

Page 4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44

연구 내용 및 방법Fig. 2-1.

Page 4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45

1. 유방암 발생과 사망의 기술역학적 분석

가. 유방암 발생률 및 사망률 분석

발생률은 중앙 암등록 자료와 주민등록인구 자료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년부터 년까지 시도별 세 단위별 유방암 발생자수 자료는 중앙1999 2008 5

암등록 자료를 이용하였다 해당 연도별 시도별 세 단위별 주민등록인구. 5

수는 통계청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았다 전체 및 시도별 연령표준화 발생률.

은 직접표준화법을 이용해 산출하였으며 표준인구는 년 인구주택총조, 2005

사 인구를 이용하였다.

사망률은 사망자료와 주민등록인구 자료 및 인구추계자료를 이용해 구하

였다 세 자료 모두 통계청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았다 사망자료는 년부. . 1983

터 년까지 다운이 가능하였다 주민등록인구자료는 년 이후만 다2010 . 1992

운이 가능하여 년부터 년까지는 주민등록인구자료를 년부터, 1992 2010 , 1983

년까지는 추계인구자료를 이용하였다 발생률과 같은 방식으로 연령표1991 .

준화하였다.

지역에 따른 유방암 발생률 및 사망률 산출에서는 세 미만의 유방암25

발생 및 사망이 거의 없는 점을 감안하여 세 이상을 대상으로 하였다25 .

지역은 시도별로 구분하였다 교육수준 및 직업에 따른 사망률은 세. 25-64

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교육수준은 초졸 이하 중고졸 대졸 이상으로, , , ,

직업은 사무직 서비스직 생산직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 .

분석에는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였다SAS 9.1.2 .

Page 4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46

나. 유방암 발생 시공간 군집 분석

지역별 유방암 발생 양상을 보다 소지역별로 살펴보기 위해 시공간 군집

분석을 시행하였다 시공간 군집 분석에서는 직접 표준화법 대신 간접 표.

준화법을 이용한 표준화발생비 이하 를(standardized incidence ratio, SIR)

사용하였다 소지역 분석에서는 발생자 수가 충분치 않을 경우 직접 표준.

화법을 사용한 발생률 값이 상당히 불안정하여 간접 표준화법이 많이 사용

된다 일반적으로 인구 구조가 서로 다른 지역의 값을 직접 비교하는. SIR

것은 권장되지 않으나 최근 환경 역학 분야에서는 인구 구조가 극단적으,

로 다르지 않을 경우 비교하기도 한다 오히려 소지역에서는 직접 표준화.

율의 분산이 더 크므로 을 이용하여 지도화 베이지언 평활화 등 하고SIR ( )

분석하는 것이 추천되고 있다(Fig. 2-2).

본 연구의 유방암 발생 시공간 군집 분석에서는 한국중앙암등록자료를

이용하여 년부터 년까지 년간 전국 개 지역별 여성 유방암1999 2008 10 234

발생의 연령군을 보정한 지역별 발생률 군집을 프로그램을 이용SaTScan

하여 조사하였다 프로그램은 기법을 이용하는 것으로 지. SaTScan Scan ,

역별 발생률의 시간 및 공간을 동시에 고려하여 군집을 확인할 수 있다.

다. 유방암의 확립된 위험요인에 대한 기여위험도1)

1) 기여위험도 분석 시 고려한 유방암의 위험요인

유방암 위험요인으로 생식 관련 요인 으로는 빠른(reproductive factors)

초경과 늦은 폐경 높은 초산 연령과 미혼 임신횟수의 증가와 모유수유 기, ,

간의 증가 경구피임약과 호르몬 요법을 고려하였고 유방암에 대한 가족, ,

1) 이 부분의 연구방법과 결과는 본 연구 연구진의 일원이 국립암센터에서 기관고유연

구사업을 진행한 연구의 결과 일부를 제공받아 싣는 것임을 밝힌다.

Page 4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47

력 생활습관과 관련된 요인으로 흡연 음주 운동 비만 등을 고려하여 기, , , ,

여위험도를 산출하였다.

지역별 시공간 군집 확인 기법Fig. 2-2.

2) 상대위험도 추정

생식 관련 요인과 경구피임약 및 호르몬 요법 생활습관 요인 등에 관한,

유방암의 상대위험도는 서울대 유방암 환자 대조군 연구 자료를 통해 연령-

및 모든 고려된 변수를 보정하여 추정하였다 유방암은 폐경 전후로 양상.

이 상이하므로 모든 고려된 요인에 대하여 폐경 전후 기준으로 자료를 구

분하여 분석하였다 경구용 피임 사용의 경우는 폐경 전에서만 호르몬 요.

법은 폐경 후에서만 자료를 취하였다 기존 국내 생식관련 요인을 통한 유.

Page 4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48

방암 위험도 추정은 대부분 서울대 유방암 환자 대조군 연구 자료를 통해-

연구되었으므로 기존 논문에서 제시된 상대위험도를 통한 메타분석 결과

산출 과정은 생략하였다.

3) 노출률 (exposure prevalence)

노출률은 일개 위험요인 노출에 감수성이 있는 인구 중 실제 노출된 사

람의 분율을 의미한다 생식적 특성 경구피임약 및 호르몬 요법 등과 관련. ,

된 노출률은 년 대단위 서울대 유방암 환자 대조군 연구 자료의 대조1996 -

군을 연령별 로 구분하여 계산하였다(<30, 30~39, 40~49, 50~59, 60~69, 0+) .

서울대 유방암 대조군 자료를 연령별로 구분한 것은 연령별 인구분포가 상

이하므로 연령별 분포를 표준화하여 유병률을 산출하기 위한 것이다 서울.

대 유방암 대조군 자료를 다시 년도 추계인구의 연령비율로 표준화하1990

여 노출률을 산출하였다.

4) 기여위험도 추정

생식관련요인은 폐경 전후로 상이한 상대위험도와 유병률을 가지므로 기

여위험도 또한 폐경 전후로 각각 산출하였다 생식 관련 특성과 관련된 유.

방암 및 전체암 발생건수는 중앙암등록본부의 년 암발생통계자료를 이2007

용하여 산출하였다.

Page 4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49

2. 우선적 검토대상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 선정

우선적 검토대상 환경위험요인의 선정 과정은 과 같다 유방암관Fig. 2-3 .

련 환경 위험요인 포괄적 파악단계에서는 개 이상의 동물실험에서1

으로 파악된 화학물질 개와mammary gland carcinogen 216 Sister study,

에서 현재 공통적으로 연구 중인 물질 개를 합해Silent spring institute 9

개의 환경 위험요인을 선정하였다225 .

환경 노출 지표 이용 차 선정 단계에서는 국내에서 대량 생산되는 화학1

물질 대기 오염물질 소비재 생산물 식품 첨가물 직업적으로 명 이, , , , 1,000

상의 여성이 노출되는 물질 종을 차 선별하였다 위험도 및 노출수준96 1 .

이용 차 선정 단계에서는 기존 역학 연구가 개 이상 존재하는 물질 개2 1 12

를 선정하였다 직업 및 기타 위험요인 보완단계에서 이상 물질. IARC 2A

및 직업 개를 추가하여 총 종의 우선적 검토대상 환경위험요인을 선정10 22

하였다.

가.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 포괄적 파악

소속 연구자인 등이 년 지에Silent Spring Institute Rudel 2007 Cancer

발표한 리뷰 논문 <Chemicals causing mammary gland tumors in

animals signal new directions for epidemiology, chemicals testing, and

을 물질 선정과정의 출발점risk assessment for breast cancer prevention>

으로 삼았다 이 논문에 따르면. , IARC(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U.S. National Toxicology Program, Carcinogenicity Potency

에서 동Database, Chemical Carcinogenicity Research Information System

물의 유선종양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보고한 화학물질은 총 개였다 세216 .

Page 5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50

부적으로 살펴보면 각 단체에서 동물의 유선종양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보,

고한 화학물질은 개 개IARC 96 , U.S. National Toxicology Program 46 ,

개Carcinogenicity Potency Database 111 , Chemical Carcinogenicity

개였다Research Information System 131 (Rudel et al, 2007).

유방암의 환경 위험요인 검토 과정Fig. 2-3.

Page 5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51

에서 현재 공통적으로 연구 중인 물Sister study, Silent spring institute

질 중에 이미 포괄적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 개에 포함되어 있는, 216

물질을 제외한 나머지 개 물질을 포함시켰다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9 .

포괄적 파악 단계에서 검토된 위험 요인 개수는 개와 개 물질을 합한216 9

개였다225 .

나.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 차 선정1

의 연구를 참조하여 개 물질 중 노출 가능성이 높은 물질을 선Rudel , 225

정하기 위해 다음의 기준을 정하고 물질을 선정하였다.

우리나라에서 대량 생산되는 화학물질(HPV)①

대기 오염물질②

소비재 포함 물질③

식품 첨가물④

직업적으로 명 이상의 여성이 노출되는 물질1,000⑤

우리나라에서 대량 생산되는 화학물질은 OECD Existing Chemicals

에서 년 월 현재 연간 백만파운드이상 대량생산되는 화학Database 2011 8 1

물질 목록을 사용하였고 대기오염물질 소비재 포함 물질 식품 첨가물 여, , ,

부는 의 논문 자료를 인용하였다 직업적으로 명 이상의 여성이Rudel . 1,000

노출되는 물질인지 파악하기 위해 개 물질 중 국내 특수건강진단 대상225

물질을 뽑아내고 각 물질 별로 검진을 받은 여성 노동자 수를 한국산업안,

전보건공단에 요청하여 자료를 받았다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 포괄적.

파악 단계에서 검토된 개 물질 중 개 물질이 기준에 합당하였다225 96 .

Page 5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52

다.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 차 선정2

차 선정 지표는 인간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역학 연구의 존재 유무로 하2

였다 대부분 물질의 연구 진행이 초창기인 상태에서 조금이라도 정보를.

더 많이 가지고 있는 물질로부터 출발하는 것이 이후 시행착오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에서 해당 물질을 검색하. Pub med

여 위험도 값이 존재하는 역학연구가 있는 물질을 위험도 및 노출수준 이

용 차 선정 물질로 지정하였다 해당 물질은 총 개였다2 . 12 .

라. 직업 및 기타 위험요인 보완

등의 논문이 화학물질들을 대상으로 리뷰한 것이기 때문에 차에Rudel , 2

걸쳐 선정된 물질들도 모두 화학물질에 국한되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자료를 이용하였다IARC . 이상 물질 및 직업 개의IARC 2A 166

를 검토하여 유방암 관련 기술이 있는 위험요인 및 직업 중 생monograph

물학적 요인 약물 이미 목록에 포함된 물질을 제외한 개 요인을 추가로, , 10

선정하였다.

Page 5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53

3. 우선적 검토대상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 고찰

우선적 검토대상 환경 위험요인 개에 대해 문헌고찰을 통해 기존 역학22

연구 결과 노출 수준 및 노출 경로 평가방법 등을 정리하였다 문헌고찰, , .

은 검색 웹사이트 검색 및Pubmed , TOXNET (www.toxnet.nlm.nih.gov/)

검토를 통해 이루어졌다IARC Monographs .

4. 외국의 유방암 환경 위험 요인 조사 체계 고찰

외국에서 유방암의 환경 위험 요인을 활발히 연구하고 있는 조사 체계를

문헌 고찰을 통해 선정하였다 선정된 조사 체계는. BCERCs(Breast

Cancer and the Environment Research Centers), Sister Study(A Study

of the Genetic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Cape

였다Cod Breast Cancer and Environment Study .

조사는 각 조사 체계의 공식 홈페이지(http://www.bcerc.org,

와http://www.sisterstudy.org, http://www.silentspring.org) American

홈페이지 를 바탕으로 하였다cancer society (http://www.cancer.org) .

에서 및Medline “BCERC" ”Breast Cancer and the Environment

및Research Centers“, ”Sister study“ ”A Study of the Genetic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Cape Cod Breast

및 로 검색하여Cancer and Environment Study“ ”Silent spring institute"

나온 논문도 참고하였다.

Page 5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54

5. 설문조사 도구 마련 및 예비조사

가. 설문조사 도구 마련

문헌고찰을 통해 정리된 노출경로는 범주화하여 직업 거주지역 거주지, / ,

대기오염 식품 용기 개인용품 등 개 군으로 나누었다 각각의 노출 경로, , , 6 .

에 대해 정리된 내용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차로 작성하였다 차 작성 과1 . 1

정에서 국내외에서 사용하고 있는 설문지를 참조하였는데 산모 영유아의, ·

환경유해인자 노출 및 건강영향 연구 설문지 국민생체시료 중 유해물질,

실태조사 설문지 이진헌 등 국민건강영양조사 설문지 서울대병원( , 2008), ,

그린클리닉 설문지 산업단지 오염 노출수준 및 건강영향조사 설문지, ,

Sister study, NIH(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diet history

questionnaire, LIBCSP(Long Island Breast Cancer Study), Cape Cod

설문지 등이다 연구진회의와 자문진 의견을 통해 설문지를 수차례study .

수정하여 인지조사에 사용할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나. 인지조사

인지조사 는 설문지 개발 후 완성된 초안에 대해 응(cognitive interview)

답자와의 심층면접을 통해 꼼꼼히 설문문항에 포함된 용어나 질문 문장들

을 재검토 해보는 단계로서 최근 설문지 개발 과정에서의 그 중요성이 부

각되고 있다 인지조사는 설문조사의 진행상의 문제나 결측률 등을 파악하.

는 것이 주요 목적인 사전조사나 설문 실시 후 설문에 대한 의견조사로서

실시되는 사후평가와는 그 성격이나 목적 진행방법이 전혀 다르다 인지조, .

사는 개발된 설문지 초안에 대해 응답자들과 대 심층면접을 실시함으로1 1

Page 5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55

써 과연 설문응답자들이 설문 조사지를 작성한 연구자들이 의도한 바와 동

일하게 각 질문을 이해하고 있는 지를 고찰하는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 인지조사는 기존에 개발된 유방암 관련 환경위험요인 연구

의 예비조사 도구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보다 정확한 유방암 발생과

환경 위험요인의 관련성 평가를 위한 조사 도구를 마련하기 위해 실시하였

다 개발된 설문지를 이용해 조사원과 대상자 간 심층면접. 1:1 (In-depth

을 하였고 환자군용 설문지와 대조군용 설문지 모두에 대해 일interview) ,

반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은 대 명 대 명 대 명으로 총 명이었다40 60 , 50 6 , 60 6 18 (table

조사기간은 년 월 일부터 월 일까지 일간 이루어졌다 주2-1). 2011 11 2 11 4 3 .

요 조사내용은 질문의 이해도 응답 시간 및 집중도 응답거부 정도 설문, , ,

지 전체 구성에 관한 것이었다.

Page 5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56

구분 설문구분 거주 지역 시 군 구( / / ) 면접일

대40

대조군 서울시 강북구 2011. 11. 2

대조군 서울시 양천구 2011. 11. 2

대조군 서울시 종로구 2011. 11. 2

환자군 서울시 노원구 2011. 11. 3

환자군 서울시 종로구 2011. 11. 3

환자군 서울시 양천구 2011. 11. 3

대50

대조군 서울시 동작구 2011. 11. 2

대조군 서울시 양천구 2011. 11. 2

대조군 서울시 노원구 2011. 11. 3

환자군 서울시 성동구 2011. 11. 3

환자군 경기도 안양시 2011. 11. 3

환자군 서울시 구로구 2011. 11. 4

대60

대조군 경기도 시흥시 2011. 11. 2

대조군 서울시 강북구 2011. 11. 2

대조군 서울시 강서구 2011. 11. 3

환자군 서울시 종로구 2011. 11. 3

환자군 경기도 부천시 2011. 11. 4

환자군 서울시 성북구 2011. 11. 4

인지조사 대상자 개요Table 2-1.

다. 예비조사

인지조사를 거쳐 수정된 설문도구에 대해 설문 문항의 타당도와 노출파

악 능력 응답의 용이성을 평가하기 위해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 .

로는 첫째 설문을 통해 측정된 유해물질 노출 정도와 유방암과의 관련성,

Page 5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57

을 파악하여 설문 문항의 예측타당도를 평가하며 둘째 노출의 변이를 파, ,

악할 수 있는지 평가 셋째 무응답률 등을 측정하여 향후 연구의 원활한, ,

수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예비조사는 환자 대조군 연구로 유방암을 진단받은 환자 명 일반인구- 62 ,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방암을 진단받은 환자는 유방암 환우회를 통124 .

해 접촉하였고 설문은 환우회 모임이 있는 장소 고대안암병원 고대구로병, ( ,

원 이대목동병원 에서 이루어졌다, ) .

환자군과 대조군 비는 로 하였다 환자군 설문이 모두 끝난 후 환자의1:2 .

거주지역과 연령을 파악해 대조군 추출 지역과 연령대를 정하였다 거주지, .

역은 시군구까지 연령을 대 단위로 짝짓기하였다 대조군 대상자 선정은, 10 .

선정된 지역에서 조사지점 선정 후 각 조사지점에서 대 이상 여성의 활30

동이 활발한 문화센터에서 주로 진행되었다 가구방문의 경우 부녀회의 협. ,

조를 얻어 진행되었으며 조사 대상 시 군 구 단위의 지역 설정 후 면접원/ /

이 직접 방문하여 조사하였다.

년 월 일부터 일까지 일에 거쳐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모든2011 11 16 30 15 ,

면접은 조사원과 대상자 로 진행되었다 환자군과 대조군의 지역 및 연1:1 .

령 구성은 와 같다table 2-2 .

Page 5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58

거주지역 환자군 대조군

대30 대40 대50 대60 계 대30 대40 대50 대60 계

강원도 1       1 2       2

춘천시- 1 1 2 2

경기도 1 8 9 2 16 18

광명시- 5 5 10 10

광주시- 1 1 2 2

남양주시- 1 1 2 2

안양시- 1 1 2 2

의정부시- 1 1 2 2

대전광역시 1 1 2 2

유성구- 1 1 2 2

부천시 1 1 2 2

오정구- 1 1 2 2

서울시 20 24 6 50 40 48 12 100

강남구- 1 1 2 2

강북구- 1 1 2 2 2 4

강서구- 2 2 4 4 4 8

관악구- 1 2 3 2 4 6

구로구- 6 3 1 10 12 6 2 20

금천구- 1 1 2 2

도봉구- 1 2 2 5 2 4 4 10

동대문구- 1 1 2 2

성동구- 1 1 2 2 2 4

성북구- 5 3 8 10 6 16

양천구- 3 4 1 8 6 8 2 16

영등포구- 3 3 6 6

중구- 1 1 2 2

중랑구- 1 1 2 2

총합계 1 21 34 6 62 1 42 68 12 124

환자군과 대조군 응답자의 거주 지역별 연령 현황 단위 명Table 2-2. ( : )

Page 5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59

6. 유방암과 환경 위험요인의 관련성 평가를 위한 연구 설

계 제안

가. 연구 설계 단계

본 연구에서 연구 설계 방법은 의 방법을 일부 수정Hedrick et al.(1993)

하여 적용하였다 연구 설계는 다음과 같이 연구 정의 단계와 연구 설계. /

계획 단계로 나눌 수 있다(Fig. 2-4).

연구 설계 단계Fig. 2-4.

1) 연구 정의

연구 정의 단계는 문제 이해 연구 물음 파악 단계로 구성된다 연구 물, .

Page 6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60

음은 의 가지 요소로 구성되므로 이 가What, Who, Where, When, Why 5 , 5

지 요소에 미뤄 연구 물음을 파악하였고 구상 체계(Conceptual

를 만들었다framework) .

2) 연구 설계 계획/

연구 설계 계획 단계는 연구 디자인 설계 선택 자료 수집 방법 선택 강/ , ,

점과 단점 및 실현 가능성 평가로 구성된다 연구 디자인 설계 선택 단계.

에서는 주 변수에 대한 기술 고안 일반화 정도 정의 인구 지역 시간, ( , , ),

정확도 수준을 결정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 선택 단계에서는 자(precision) .

료 형태 결정 존재하는 자료 또는 수집될 자료의 정확도와 신뢰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나. 연구 설계

각 단계에서 환경 위험요인들에 대해 고찰한 내용과 예비조사 결과를 참

조하여 연구 설계안을 마련하였다 연구의 정확도를 결정하는 요인 중 하.

나인 표본 수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통계 패키지와Stata PS (Power and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차로 마련된 연구 설Sample Size Calculations) . 1

계안은 연구진회의와 자문회의를 거쳐 확정하였다.

Page 6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61

7. 연구 추진 체계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구성된 연구진은 와 같다 암역학 환Fig. 2-5 . ,

경의학 유방암 외과 직업의학 각 분야에서 인정받는 국내 최우수 연구자, ,

들로 구성하였다 또한 자문진으로 국내 암역학 및 환경 위험요인과 관련.

하여 활발히 연구하는 연구자들을 위촉하였다(table 2-3).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진Fig. 2-5.

Page 6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62

분야 이 름 소 속

미디어 고혜미 프리랜서 다큐멘터리 작가

역학 및 통계 공경애 이대목동병원 임상시험센터

역학 권호장 단국대 의대

역학 신명희 성균관대 의대

환경보건 양지연 연세대 환경공해연구소

직업의학 이혜은 한국산업안전공단 연구원

환경보건 최경호 서울대 보건대학원

역학 하미나 단국대 의대

역학 황승식 인하대 의대

본 연구의 자문진Table 2-3.

Page 6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63

III. 연구 결과 및 고찰

1. 유방암 발생 및 사망의 기술역학적 분석

가. 유방암 발생률 및 사망률 분석

1) 유방암의 발생률 및 사망률 추세

국내 여성의 유방암 발생률 및 사망률 증가 추세는 뚜렷하였다(Fig.

년 십만 명 당 명이던 연령표준화 사망률이 년대 중반 이후3-1). 1983 3.2 90

명 내외로 증가하였고 년 명 년 명에 달하였다 발생률의5 , 2002 6.1 , 2010 6.5 .

증가 추세는 더 뚜렷하여 년 십만 명 당 명이었으나 년에는, 2000 27.3 , 2008

명까지 증가하였다48.2 .

2) 연령별 유방암 발생률 및 사망률

세 단위별로 년부터 년까지의 유방암 발생률을 에 제5 1999 2008 Fig. 3-2

시하였다 연령별로는 세 그 중에서도 세의 발생률이 가장 높. 40-64 , 45-49

은 양상을 보였으며 이러한 양상은 년부터 년 모두 유사했다, 1999 2008 .

년부터 년으로 올수록 유방암 발생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1999 2008 .

세 여성은 년 십만 명 당 명의 발생률을 보였으나 년에는45-49 1999 72 , 2008

명으로 증가하였다133 .

은 세 단위별 유방암 사망률의 추세를 제시한 것이다 연령별로Fig. 3-3 5 .

는 세에서의 증가 양상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더 뚜렷하였고 세50-64 , 65

이후 사망률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발생률과 마찬가지로 최근으로 올.

수록 사망률이 증가하는 양상이 전 연령층에서 관찰되었다.

Page 6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64

와 는 연령 효과와 코호트 효과를 구분하기 위해 코호트와Fig. 3-4 3-5

연령에 따른 사망률을 그림으로 제시하였다 는 출생 코호트 별 연. Fig. 3-4

령에 따른 사망률 추세를 나타낸 것으로 점이 연결되어 생긴 한 개의 직,

선은 같은 연도에 태어난 사람이 연령이 증가하면서 나타나는 유방암 사망

률 변화를 보여준다 모든 코호트에서 연령이 증가하면서 유방암 사망률도.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는 연령별 출생 코호트에 따른 사. Fig. 3-5

망률 추세를 나타낸 것으로 동일한 연령군으로 묶인 사람이 태어난 년도,

에 따라 유방암 사망률이 변화하는 양상을 나타낸 것이다 세 이후 연령. 45

군에서는 최근에 태어난 코호트로 오면서 사망률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

고 있다.

유방암의 연령표준화 발생률 및 사망률 추세Fig. 3-1.

Page 6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65

세 단위별 유방암 발생률Fig. 3-2. 5

세 단위별 유방암 사망률Fig. 3-3. 5

Page 6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66

출생 코호트 별 연령에 따른 사망률 추세Fig. 3-4.

연령별 출생 코호트에 따른 사망률 추세Fig. 3-5.

Page 6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67

3) 지역별 연령표준화 발생률 및 사망률

유방암의 지역별 연령표준화 발생률 및 사망률을 와 에 제시Fig. 3-6 3-7

하였다 연령표준화 발생률의 경우 대부분 지역에서 최근으로 오면서 발생.

률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서울 경기 인천 대전 부산 대구 울. , , , , , ,

산 등 대도시에서 발생률이 높은 양상을 보였다 지역별 연령표준화 사망.

률은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발생률만큼 일관된 양상을 보이진 않

았다 부산 경기 서울 인천에서 사망률이 높은 양상을 보였다 전남 전. , , , . ,

북 경남은 발생률과 사망률 모두 낮은 양상을 보였고 그 외 지역은 사망, ,

률과 발생률 순위가 다소 달랐다.

4) 교육수준 및 직업계층별 연령표준화 사망률

세 여성에서는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유방암으로 인한 사망률이45-64

증가하였다 그러나 초졸 이하와 대졸 이상의 사망률 격차는 최(Fig. 3-8).

근으로 올수록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년에는 초졸 이하인 여. 1990-1994

성에 비해 대졸 이상인 여성이 유방암으로 사망할 위험이 배가량이었으2.2

나 년에는 배로 감소하였다 세 여성에서는 년2000-2004 1.5 . 25-44 1990-1994

대졸 여성의 사망률이 높았으나 년 이후 초졸 이하인 여성의 사망률, 1995

이 대졸 이상 여성 사망률의 약 배까지 증가하였다 직업계층에서도 사무2 .

직이 생산직에 비해 사망률이 높은 양상을 보였으나 그 크기는 점차 감소,

하는 양상이었다 년에 세 여성에서는 사무직이(Fig. 3-9). 1990-1994 45-64

생산직에 비해 배 세 여성에서는 배에 달했으나 년3.7 , 25-44 2.9 , 2000-2004

에는 각각 배 배였다3.4 , 1.9 .

Page 6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68

지역별 연령표준화 발생률 추세Fig. 3-6.

지역별 연령표준화 사망률 추세Fig. 3-7.

Page 6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69

교육수준별 유방암 사망률 추세Fig. 3-8.

직업계층별 유방암 사망률 추세Fig. 3-9.

Page 7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70

나. 유방암 발생 시공간 군집 분석

여성 유방암은 년부터 년까지 기간 내내 서울 동북부 서1999 2008 (26%),

울 서부 경기 남부 대전 중부 가 다른 지역 평균과 비교(17%), (10%), (12%)

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서울 동북부로 군집이 묶인 지역은 서울 성동구 동. ,

대문구 광진구 중구 용산구 강남구 성북구 중랑구 종로구 송파구 서, , , , , , , , ,

초구 강동구였고 서울 서부로 군집이 잡힌 지역은 양천구 구로구 영등포, , , ,

구 강서구 마포구 금천구 동작구 서대문구 경기도 부천시 광명시였다, , , , , , , .

경기 남부 군집에는 오산시 수원시 화성시 용인시 평택시 의왕시 군포, , , , , ,

시 안성시 성남시 안양시 과천시가 묶였다 대전 중부 군집에는 대구 수, , , , .

성구 남구 중구가 포함되었다, , .

시기별로는 년부터 년까지 년 동안 전국적으로 다른 연도에 비2001 2005 5

해 발생이 높았으며 대구 남부는 년부터 년까지 년 동안 다4% , 2001 2004 4

른 연도 다른 지역에 비해 발생이 높았음이 확인된다, 25% (Fig. 3-10,

table 3-1).

Page 7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71

기법을 이용한 유방암 군집Fig. 3-10. Scan

군집 군집중심시작

연도

종료

연도군집수 LLR P-value

비교

위험도

1 서울 성동 1999 2008 12 234.1 <0.0001 1.26

2 서울 양천 1999 2008 10 93.88 <0.0001 1.17

3 경기 오산 1999 2008 11 34.01 <0.0001 1.1

4 대구 수성 2001 2004 3 15.16 0.002 1.25

5 전국 2001 2005 234 15 0.002 1.04

6 대전 중구 1999 2008 4 14.87 0.002 1.12

유방암 군집 분석 결과Table 3-1.

Page 7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72

다. 유방암의 확립된 위험요인에 대한 기여위험도1)

1) 상대위험도

상대위험도 산출 결과 폐경연령이 늦을수록 유방암 위험이 증가하는 경,

향이 나타났으며 월경 기간이 증가할수록 유방암 위험이 증가하였다 폐경, .

이전의 여성에 비해 폐경 이후 여성의 유방암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첫출산 연령이 낮을수록 임신횟수가 증가할수록 모유수유 기간이 증가.

할수록 여성의 유방암 위험이 낮아졌다 경구 피임제를 이용할수록 유방암.

에 대한 위험이 컸고 호르몬 요법 이용 경험이 있을수록 유방암 위험이,

낮아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table 3-2).

2) 노출률 (exposure prevalence)

생식적 특성 경구피임약 및 호르몬 요법 등과 관련된 노출률은 년, 1996

대단위 서울대 유방암 환자 대조군 연구 자료의 대조군을 연령별- (<30,

로 구분하여 계산하였다 서울대 유방암 대30~39, 40~49, 50~59, 60~69, 0+) .

조군 자료를 연령별로 구분한 것은 연령별 인구분포가 상이하므로 연령별

분포를 표준화하여 노출률을 산출하기 위한 것이다 서울대 유방암 대조군.

자료를 다시 년도 추계인구의 연령비율로 표준화하여 노출률을 산출하1990

였다 그 결과는 과 같다. table 3-3 .

1) 이 부분의 연구방법과 결과는 본 연구 연구진의 일원이 국립암센터에서 기관고유연

구사업을 진행한 연구의 결과 일부를 제공받아 싣는 것임을 밝힌다.

Page 7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73

위험요인 분류위험도

폐경 전 여성 폐경 후 여성

초경 연령 0-13 1.33(1.01-1.76) 1.34(0.91-1.97)

14-16 1.39(1.10-1.76) 1.09(0.88-1.35)

17+ 1.00 1.00

폐경 연령 0-44 1.00

45-49 1.52(1.12-2.06)

50-54 1.82(1.36-3.23)

55+ 1.86(1.32-3.67)

분만 경험 경험 없음 1.13(0.98-1.43) 2.20(1.32-3.67)

경험 있음 1.00 1.00

자녀 수 1-2 1.08(0.85-1.38) 1.21 (0.95-1.53)

3+ 1.00 1

첫 분만 연령 0-24 1 1

25-29 1.37 (1.07-1.74) 1.11 (0.87-1.41)

30+ 1.56 (1.17-2.10) 1.20 (0.84-1.73)

모유수유 전체 기간 1-6 1.23 (0.99-1.55) 1.58 (1.06-2.33)

7+ 1 1

경구 피임약 사용 경험 없음 1

경험 있음 1.11 (0.81-1.52)

호르몬 대체 요법 경험 없음 1.04 (0.76-1.44)

경험 있음 1

유방암 가족력 없음 1 1

있음 2.07 (1.31-3.25) 2.20 (1.28-3.78)

BMI 미만25 1 1

25-29.99 1.14 (0.93-1.40) 1.07 (0.86-1.33)

30+ 1.12 (0.60-2.11) 1.81 (1.05-3.13)

음주 경험 없음 1 1

경험 있음 1.03 (0.87-1.28) 1.27 (0.99-1.63)

흡연 경험 없음 1 1

경험 있음 1.09 (0.77-1.54) 1.31 (0.86-1.98)

운동 안 함 1.36 (1.13-2.09) 1.68 (1.36-2.09)

함 1 1

출처 서울대 유방암 연구 년도: (2009 ).

한국 유방암 위험요인의 연관성의 강도Table 3-2.

Page 7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74

위험요인 분류 폐경 전 여성 폐경 후 여성

초경 연령 0-13 0.35 0.06

14-16 0.57 0.54

17+ 0.08 0.4

폐경 연령 0-44 - 0.15

45-49 - 0.32

50-54 - 0.44

55+ - 0.08

임신 경험 경험 없음 0.39 0.03

경험 있음 0.61 0.97

자녀 수 1-2 0.93 0.38

3+ 0.07 0.62

첫 분만 연령 0-24 0.18 0.44

25-29 0.65 0.45

30+ 0.17 0.11

모우슈유 총 기간 1-6 0.45 0.07

7+ 0.55 0.93

경구 피임약 사용 경험 없음 0.95

경험 있음 0.05

호르몬 대체 요법 경험 없음 0.92

경험 있음 0.08

유방암 가족력 없음 0.98 0.98

있음 0.02 0.02

BMI 미만25 0.9 0.68

25-29.99 0.09 0.29

이상30 0.01 0.03

음주 경험 없음 0.5 0.83

경험 있음 0.5 0.17

흡연 경험 없음 0.94 0.93

경험 있음 0.06 0.07

운동 안 함 0.72 0.63

함 0.28 0.37

유방암 위험요인의 연령표준화 노출률Table 3-3. (%)

Page 7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75

3) 기여위험도 추정 결과

유방암 발생 사망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생식관련 요인은 첫출산 연,

령으로 발생에 사망에 의 영향을 미쳤다 유방암 발생 사망30.55%, 23.58% . ,

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건강행태 요인은 운동으로 발생 사망20.5%,

의 영향을 미쳤다29.9% .

폐경전 유방암 발생자의 가 생식관련 요인에 기인하였고 폐경전51.05% ,

유방암 사망자의 가 생식관련 요인에 의해 사망하였다 폐경후 유방54.54% .

암 발생자의 가 생식관련 요인으로 기인하였고 폐경후 유방암 사망61.86% ,

자의 가 생식관련 요인에 의해 사망하였다53.43% .

생식관련 요인 중 초경 폐경 연령을 제외한 수정 가능한 생식요인에 의,

한 기여위험도는 폐경전은 유방암 발생의 사망의 이고 폐경25.7%, 29.2% ,

후는 유방암 발생의 사망의 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7.1%, 18.67% .

수정 가능한 생식요인 및 호르몬 관련 요인 경구피임약 호르몬 요법 에 의( , )

한 기여위험도는 폐경전은 유방암 발생의 사망의 폐경후26.22%, 29.71%,

는 유방암 발생의 사망의 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20.63%, 22.2% .

정 가능한 생식요인 유방암 가족력 건강행태 요인 등에 의해 폐경전은 유, ,

방암 발생의 사망의 폐경후는 유방암 발생의 사망50.6%, 53.56%, 61.03%,

의 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2.6% (table 3-4, table 3-5).

Page 7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76

요인

폐경 전 여성 폐경 후 여성

기여위험

도 (%)발생 사망

기여위험

도(%)발생 사망

수정불가능

요인

유방암 가족력 2.19 142 13 2.28 115 24

초경 연령 2.19 142 107 11.63 476 111

폐경 연령 - 11.58 474 110

수정가능 생

식 요인

임신 경험 -0.4 -23 -2 1.5 62 14

자녀 수 29.48 1,006 110 5.14 203 47

첫 분만 연령 30.55 1,043 114 23.85 940 219

모유 수유 총 기간 4.51 154 17 5.88 232 54

수정가능 호

르몬 요인

경구 피임약 0.75 43 5

호르몬 대체 요법 -4.18 -171 -40

수정가능 행

동 요인

BMI 1.34 87 8 4.16 210 44

운동 20.5 1331 125 29.9 1508 316

음주 1.47 95 9 4.35 220 46

흡연 0.53 35 3 1.99 100 21

생식 요인 I: 51.05 3314 334 I: 61.86 3120 671

D: 54.54 D: 53.43

수정가능 생식 요인 I: 25.70 1669 179 I: 17.10 863 198

D: 29.20 D: 18.67

가족력과 생식 요인 I: 53.24 3456 347 I: 64.14 3235 695

D: 56.73 D: 65.71

수정가능 생식과 호르몬 요인 I: 26.22 1702 182 I: 20.63 1041 235

D: 29.71 D: 22.20

수정가능 생식 호르몬 행동 요, ,

I: 50.06 3250 328 I: 61.03 3078 662

D: 53.56 D: 62.60

폐경여부에 따라 생식 관련 위험요인이 기여하는 유방암 발생Table 3-4.

및 사망 추정 수

Page 7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77

요인

전체 여성

발생기여위험

도 (%)사망

기여위험

도 (%)

수정불가능

요인

유방암 가족력 257 2.23 38 2.25

초경 연령 1972 17.1 224 13.4

폐경 연령 1931 16.7 405 24.3

수 정 가 능

생식 요인

임신 경험 507 4.4 68 4.08

자녀 수 505 7.17 91 7.25

첫 분만 연령 1065 15.1 149 11.9

모유수유 총 기간 454 6.44 69 5.49

수 정 가 능

호르몬 요

경구 피임약 33 0.29 3 0.19

호르몬 대체 요법 178 1.54 37 2.24

수 정 가 능

행동 요인

BMI 297 2.58 52 3.13

운동 2839 24.6 442 26.5

음주 315 2.73 55 3.3

흡연 135 1.17 24 1.45

생식 요인 6434 55.8 1005 60.2

수정가능 생식 요인 2531 22 376 22.5

가족력과 생식 요인 6692 58 1042 62.4

수정가능 생식 호르몬 요인/ 2743 23.8 417 25

수정가능 생식 행동 호르몬 요인/ / 6328 54.9 990 59.3

에 대한 유방암 기여RF 11536 55.8 1.67 60.2

관련 위험요인이 기여하는 유방암 발생 및 사망 추정 수Table 3-5.

Page 7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78

2. 우선적 검토대상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 선정

가.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 포괄적 파악

IARC(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U.S.

NTP(National Toxicology Program), CPDB(Carcinogenicity Potency

Database), CCRIS(Chemical Carcinogenicity Research Information

에서 동물의 유선종양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보고한 화학물질은 총System)

개였다216 (Rudel et al, 2007)(table 3-6).

자료에서는CPDB , ‘‘Summary Table of Carcinogenic Potency Database

에서 유선종양 목록에 있는 모든 화학물질을 선별하였by Target Organ’’

다 는 개 기준에 따라 개 화학물질을 보고하고 있다 이 기. CPDB 15 1,485 .

준은 유선조직 종양의 평가를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유선 종양 발암

성을 평가하지 않은 많은 연구가 포함되었다 기준은 연구 저자가. CPDB

치료 관련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이는지를 고려한 종양 목록으

로 제한되어 있다.

로부터 를 찾아 유선종양을 증IARC Monographs summaries ‘‘mammary’’

가시키는 물질만을 목록에 포함시켰다 는 개방되어있는 논문만을 고. IARC

찰하였으며 고찰에 포함되는 논문에 대한 질 기준은 갖고 있Monograph

지 않다.

의NTP Technical Reports ‘‘Chemicals Associated with Site-Specific

목록에 있는 모든 화학물질을 포함Tumor Induction in Mammary Gland’’

시켰다 또한 최근 년동안의 연구 와 표적장기로부터 유선. 2 NTP abstracts

종양을 증가시킨다고 보고된 화학물질을 목록에 포함시켰다. NTP 11th

로부터 유선종양 발생을 증가시킨다고 보고된 화학물질을 목록에 포ROC

Page 7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79

함시켰다.

마지막으로 의 화학물질에서 를 검색하여 발암성 연, CCRIS ‘‘mammary’’

구에서 유선종양 발암성 증가를 보인 화학물질을 목록에 포함시켰다.

에 따르면 자료는Technical Resources International , CCRIS Chemical

와 정부 보고서 결과를 포함한다 자료Abstracts Service (Columbus, OH) .

는 용량 투여경로 기간 종 계통 표본 수 종양 분석 방법에 대한 정보가, , , , , ,

있는 경우로 제한된다.

각 단체에서 동물의 유선종양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보고한 화학물질은

개 개IARC 96 , U.S. National Toxicology Program 46 , Carcinogenicity

개Potency Database 111 , Chemical Carcinogenicity Research Information

개였다 이를 종합하여 목록에 포함된 화학물질은System 131 . Industrial

종 종 종chemicals 36 , Chlorinated solvents 6 , Products of combustion 18 ,

종 종Pesticides 10 , Dyes 18 , Radiation and drinking water disinfection 5

종 종 종 종, Pharmaceuticals 47 , Hormones 17 , Natural products 5 ,

종 종이Research chemicals 15 , Unclassified (likely research chemicals) 39

다.

Page 8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80

No. Chemical name CAS No.Orginating

list*IARCclass†

EPA

class‡Industrial chemicals (n = 36)        

1 1,2-Dibromoethane 106-93-4 P,I,N,C 2A ***

2 1,2-Propylene oxide 75-56-9 P,I 2B B2

3 1,3-Butadiene 106-99-0 P,N,C 2A ****

4 1,4-Dioxane 123-91-1 P,I,C 2B B2

5 2,2-Bis(bromomethyl)-1,3-propanediol 3296-90-0 P,I,N,C 2B

6 2,3-Dibromo-1-propanol 96-13-9 I,N,C 2B

7 2,4-Diaminotoluene 95-80-7 P,N,C 2B

8 2,4-Dinitrotoluene 121-14-2 P,I,N,C 2B B2

9 2-Chloroacetophenone 532-27-4 N

10 2-Methylaziridine 75-55-8 N,C 2B

11 4,4'-Methylene-bis(2-chloroaniline) 101-14-4 P,I,N,C 2A

12 5-Nitroacenaphthene 602-87-9 P,I,N,C 2B

13 Acrylamide 79-06-1 P,I,N,C 2A B2

14 Acrylonitrile 107-13-1 P,I,N,C 2B B1

15AF-2 (2-(2-furyl)-3-(5-nitro-2-furyl) acrylamide)

3688-53-7 P,I,C 2B

16 Benzene 71-43-2 P,N,C 1 A

17 Chloroprene 126-99-8 P,I,N,C 2B

18 Ethylene oxide 75-21-8 P,I,N 1

19 Glycidol 556-52-5 P,I,N,C 2A

20 Hydrazine 302-01-2 I 2B B2

21 Hydrazobenzene 122-66-7 P,N B2

22 Indium phosphide 22398-80-7 N, I 2A

23 Nitrobenzene 98-95-3 P,N,C 2B D

24 Nitromethane 75-52-5 P,I,N,C 2B

25 N-Nitroso-di-n-butylamine 924-16-3 N 2B B2

26 o-Nitrotoluene 88-72-2 N,C

27 o-Aminoazotoluene 97-56-3 N 2B

28 o-Toluidine 95-53-4 P,I,N 2A

29 Perfluorooctanoic acid 335-67-1 ††

30 Propane sultone 1120-71-4 P,I,N,C 2B

31 Styrene 100-42-5 P,I,C 2B

32 Toluene diisocyanate mixtures 26471-62-5 P,I,N,C 2B

33 Urethane 51-79-6 N,C 2B

34 Vinyl chloride 75-01-4 P,I,N,C 1 A

35 Vinyl fluoride 75-02-5 P,I,N,C 2A

36 Vinylidene chloride 75-35-4 P,I,C 3 C

개 이상의 동물실험 연구에서 유선종양 발암물질로 보고된 화Table 3-6. 1

학물질(1)

Page 8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81

개 이상의 동물실험 연구에서 유선종양 발암물질로 보고된 화Table 3-6. 1

학물질 계속( . 2)

No. Chemical name CAS No.Orginating

list*IARCclass†

EPAclass‡

Chlorinated solvents (n = 6)

37 1,1-Dichloroethane 75-34-3 N C

38 1,2-Dichloroethane 107-06-2 P,I,N,C 2B B2

39 1,2,3-Trichloropropane 96-18-4 P,I,N,C 2A

40 1,2-Dichloropropane 78-87-5 N,C 3

41 Carbon tetrachloride 56-23-5 P,I,N 2B B2

42 Methylene chloride 75-09-2 P,I,N,C 2B B2

Products of combustion (n = 18)

43 1,3-Dinitropyrene 75321-20-9 C 3

44 1,8-Dinitropyrene 42397-65-9 I,N,C 2B

45 1-Nitropyrene 5522-43-0 P,I,N,C 2B

46 2-Aminoanthracene 613-13-8 C

47 2-Nitrofluorene 607-57-8 I 2B

483-Amino-1-methyl-5h-pyrido[4,3-b]indole

62450-07-1 C 2B

49 3-Methylcholanthrene 56-49-5 P

50 4-Nitropyrene 57835-92-4 I,N,C 2B

51 6-Nitrochrysene 7496-02-8 N 2B

52 7,12-Dimethylbenz[a]anthracene 57-97-6 C

53 Benzo[a]pyrene 50-32-8 N ,C 2A B2

54 Dibenz[a,h]anthracene 53-70-3 N 2A B2

55 Dibenzo[def,p]chrysene 191-30-0 C 2B

56 IQ 76180-96-6 P,I,N,C 2A

57 Isoprene 78-79-5 I,N,C 2B

58 MeIQ 77094-11-2 I,N,C 2B

59 PhIP 105650-23-5 I,N,C 2B

60 Trp-P-2 acetate 72254-58-1 P

Pesticides (n = 10)

61 1,2-Dibromo-3-chloropropane 96-12-8 P,I,N,C 2B

62 Atrazine 1912-24-9 P,I,C 3

63 Captafol 2425-06-1 P 2A

64 Chlordane 12789-03-6 C B2

65 Clonitralid 1420-04-8 N

66 Dichlorvos 62-73-7 N,C 2B B2

67 Fenvalerate 51630-58-1 I 3

68 Nifurthiazole 3570-75-0 P,I,C 2B

69 Simazine 122-34-9 I 3

70 Sulfallate 95-06-7 P,I,N,C 2B

Page 8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82

개 이상의 동물실험 연구에서 유선종양 발암물질로 보고된 화Table 3-6. 1

학물질 계속( . 3)

No.   Chemical name CAS No.Orginating

list*IARCclass†

EPAclass‡

Dyes (n = 18)

71 2,4-Diaminoanisole sulfate 39156-41-7 P,N

72 3,3'-Dichlorobenzidine 91-94-1 P,I,N,C 2B B2

73 3,3'-Dimethoxybenzidine 119-90-4 N 2B

74 3,3'-Dimethylbenzidine 119-93-7 N 2B

75 4,4'-Methylene-bis(2-methylaniline) 838-88-0 P,I 2B

76 4-Aminobiphenyl 92-67-1 P,I,N,C 1

77 5-Nitro-o-anisidine 99-59-2 I 3

78 Amsonic acid 81-11-8 N

79 Benzidine 92-87-5 P,I,N 1 A

80 C.I. Acid Red 114 6459-94-5 N 2B

81 C.I. Basic Red 9 monohydrochloride 569-61-9 N,C 2B

82 C.I. Direct Black 38 1937-37-7 P,I,N,C 2A

83 FD&C Violet No. 1 1694-09-3 P,I,C 2B

84 Guinea green B 4680-78-8 I 3

85 HC Yellow no. 3 56932-45-7 C

86 Leucomalachite green 129-73-7 N

87 Malachite green 2437-29-8 N

88 N,N'-Diacetylbenzidine 613-35-4 I,C 2B

Radiation and drinking water disinfection (n = 5)

89 Magnetic fields I 3

90MX (3-Chloro-4-(dichloromethyl)-5-hydroxy-2(5h)-furanone)

77439-76-0 P,I,C 2B

91 Neutrons I 1

92 Radionuclide hydrogen-3 I 1

93X-rays, gamma rays (ionizingradiation)

I 1

Page 8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83

개 이상의 동물실험 연구에서 유선종양 발암물질로 보고된 화Table 3-6. 1

학물질 계속( . 4)

No.   Chemical name CAS No.Orginating

list*IARCclass†

EPAclass‡

Pharmaceuticals (n = 47)

941-(2-Hydroxyethyl)-3-[(5-nitrofurfu-rylidene)amino]-2-imidazolidinone

5036-03-3 P

95 1,2-Dimethyl-5-nitroimidazole 551-92-8 P

961-[(5-Nitrofurfurylidene)amino]-2-imidazolidinone

555-84-0 P,I,C 2B

972-Amino-5-(5-nitro-2-furyl)-1,3,4-oxadiazole

3775-55-1 P

982-Amino-5-(5-nitro-2-furyl)-1,3,4-thiadiazole

712-68-5 P,I,C 2B

99 2-Amino-5-nitrothiazole 121-66-4 P,I 3

100 4,4'-Sulfonylbisacetanilide 77-46-3 P

1014-Methyl-1-[(5-nitrofurfurylidene)amino]-2-imidazolidinone

21638-36-8 P

1025-(Morpholinomethyl)-3-[(5-nitrofurf-urylidene)-amino]-2-oxazolidinone-lform

3795-88-8 I 2B

103 5-Azacytidine 320-67-2 P 2A

104 Acronycine 7008-42-6 P,N,C

105 Doxorubicin (Adriamycin) 23214-92-8 I,N,C 2A

106 Amsacrine 51264-14-3 I 2B

107anti-(+/-)-trans-7,8,9,10-Tetrahydro-benzo[a]pyrene-7,8-diol-9,10-epoxide

58917-67-2 C

108 Bemitradine 88133-11-3 P,C

109 Chloroambucil 305-03-3 P,C 1

110 Cyclophosphamide 50-18-0 N,C 1

111 Cytembena 21739-91-3 P,N,C

112 Dacarbazine 4342-03-4 P,I,N 2B

113 Daunomycin 20830-81-3 I,C 2B

114 Dibromomannitol 488-41-5 P

115 Furosemide 54-31-9 P,I,N,C 3

116 Griseofulvin 126-07-8 P 2B

117 Hexamethylmelamine 531-18-0 P

118 Indomethacin 53-86-1 P

119 Isoniazid 54-85-3 P 3

120Isonicotinic acidvanillylidenehydrazide

149-17-7 P

121 Isophosphamide 3778-73-2 N,C 3

Page 8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84

개 이상의 동물실험 연구에서 유선종양 발암물질로 보고된 화Table 3-6. 1

학물질 계속( . 5)

No. Chemical name CAS No.Orginating

list*IARCclass†

EPAclass‡

Pharmaceuticals (n = 47)

122 L-5-Morpholinomethyl-3-[(5-nitrofurfurylidene)amino]-2-oxa-zolidinone HCl

3031-51-4 P

123 Merphalan 531-76-0 I,C 2B

124 Metronidazole 443-48-1 P,I,N,C 2B

125 Mitomycin-C 50-07-7 C 2B

126 Nithiazide 139-94-6 P,I,N,C 3

127 N,N'-Dimethylnitrosourea 55120-47-3 C

128 N-[4-(5-Nitro-2-furyl)-2-thiazolyl]acetamide

531-82-8 P,I,C 2B

129 Niridazole 61-57-4 I,C 2B

130 Nitrofurantoin 67-20-9 I,C 3

131 Nitrofurazone 59-87-0 P,I,N,C 3

132 Norlestrin 8015-12-1 P

133 Phenacetin 62-44-2 P 2A

134 Phenesterin 3546-10-9 P,N

135 Procarbazine hydrochloride 366-70-1 P,I,N,C 2A

136 Reserpine 50-55-5 P,I,N,C 3

137 SQ 18506 28754-68-9 C

138 Thiotepa 52-24-4 I,N,C 1

139 Trans-2-[(Dimethylamino)methylimino]-5-[2-(5-nitro-2-furyl)vinyl]-1,3,4-oxadiazole

25962-77-0 I 2B

140 Uracil mustard 66-75-1 I,C 2B

Page 8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85

개 이상의 동물실험 연구에서 유선종양 발암물질로 보고된 화Table 3-6. 1

학물질 계속( . 6)

No. Chemical name CAS No.Orginating

list*IARCclass†

EPAclass‡

Hormones (n = 17)

141 17a-Hydroxyprogesterone caproate 630-56-8 I 2B

142 Chlormadinone acetate 302-22-7 I,C 2B

143 Conjugated estrogens I 1

144 Diethylstilbestrol 56-53-1 P,I,N,C 1

145 Estradiol-17b 50-28-2 I,C 1

146 Estriol 50-27-1 I,C 1

147 Estrone 53-16-7 I,C 1

148 Ethinylestradiol 57-63-6 I,C 1

149 Ethynodial diacetate 297-76-7 I,C 2B

150 Lynestrenol 52-76-6 I 2B

151 Medroxyprogesterone acetate 71-58-9 I,C 2B

152 Megestrol acetate 595-33-5 I,C 2B

153 Mestranol 72-33-3 I,C 1

154 Norethisterone 68-22-4 I,N 2B

155 Norethynodrel 68-23-5 I,C 2B

156 Progesterone 57-83-0 I,C 2B

157 Testosterone 58-22-0 I,C 2A

Natural products (n = 5)

158Bracken fern (and its extractedchemicals)

P,I,C 2B

159 Carboxymethylnitrosourea 60391-92-6 P

160 Methyleugenol 93-15-2 N,C

161 Ochratoxin A 303-47-9 P,N,C 2B

162 Wood dust methanol extract I,N 1

Research chemicals (n = 15)

163 1-Amyl-1-nitrosourea 10589-74-9 P

164 2-Acetylaminofluorene 53-96-3 P,C

165 2-Aminofluorene 153-78-6 C

166 3,2'-Dimethyl-4-aminobiphenyl 13394-86-0 C

Page 8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86

개 이상의 동물실험 연구에서 유선종양 발암물질로 보고된 화Table 3-6. 1

학물질 계속( . 7)

No. Chemical name CAS No.Orginating

list*IARCclass†

EPAclass‡

167 4-(5-Nitro-2-furyl)thiazole 53757-28-1 P,C

1684-Bis(2-hydroxyethyl)amino-2-(5-nitro-2-thienyl)quinazoline

33372-39-3 P

1694-Hydroxyaminoquinoline 1-oxidehydrochloride

1010-61-3 C

170 Ethyl methanesulfonate 62-50-0 N 2B

171N-(4-(5-Nitro-2-furyl)-2-thiazolyl)formamide

24554-26-5 C

172 N-(9-Oxo-2-fluorenyl)acetamide 3096-50-2 P

173 N,N'-Diethyl-N-nitrosourea 49540-32-1 C

174 N-N-Butyl-N-Nitrosourea 869-01-2 P,C

175 N-Nitroso-N-ethylurea 759-73-9 N,C 2A

176 N-Nitroso-N-methylurea 684-93-5 N,C 2A

177 Vinyl carbamate epoxide 82617-23-0 C

Unclassified (likely research chemicals) (n = 39)

178 N(6)-(Methylnitroso)adenosine 21928-82-5 P

179 1-(2-Hydroxyethyl)-1-nitrosourea 13743-07-2 P

180 1-(2-Hydroxyethyl)-nitroso-3-ethylurea 96724-45-7 P,C

181 1,3-Dibutyl-1-nitrosourea 56654-52-5 P

182 1-Allyl-1-nitrosourea 760-56-5 P,C

183 1-Ethylnitroso-3-(2-hydroxyethyl)-urea 96724-44-6 P,C

184 1-Ethylnitroso-3-(2-oxopropyl)-urea 110559-84-7 P,C

1852-Hydraz ino-4-(5-n i t ro-2-fury l )thiazole

26049-68-3 P,C

1862-Hydraz i no-4-(p-aminopheny l )thiazole

26049-71-8 P

187 2-Hydrazino-4-(p-nitrophenyl) thiazole 26049-70-7 P

1882-(2,2-Dimethylhydrazino)-4-(5-nitro-2-furyl) thiazole

26049-69-4 P

1892,2,2-Trifluoro-N-[4-(5-nitro-2-furyl)-2-thiazolyl]acetamide

42011-48-3 P

190 2-Methoxy-3-aminodibenzofuran 5834-17-3 P

1913-(5-Nitro-2-furyl)-imidazo(1,2-a)pyridine

75198-31-1 P

Page 8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87

개 이상의 동물실험 연구에서 유선종양 발암물질로 보고된 화Table 3-6. 1

학물질 계속( . 8)

No. Chemical name CAS No.Orginating

list*

IARCclass†

EPAclass‡

192 4,6-Diamino-2-(5-nitro-2-furyl)-s-triazine 720-69-4 P

1934,6-Dimethyl-2-(5-nitro-2- furyl)pyrimidine

59-35-8 P

194 4-Acetylaminobiphenyl 4075-79-0 P

195 4-Aminostilbene 834-24-2 C

196anti-(+/-)-1,2,3,4-Tetrahydrobenzo[c]phenanthrene-3,4-diol-1,2-epoxide

C

197anti-1,2,3,10b-Tetrahydrofluoranthene-2,3-diol 1,10b-oxide

83349-67-1 C

198anti-4,5-Dihydroxy-6,6a-epoxy-4,5,6,6a-tetrahydrobenzo[j]fluoranthene

138857-19-9 C

199anti-9,10-Dihydroxy-11,12-epoxy-9,10,11,12-tetrahydrobenzo[j]fluoranthene

138857-21-3 C

200 Azoxyethane 16301-26-1 C

201anti-Benzo[a]chrysene-11,12-diol-13,14-epoxide

132832-26-9 C

202anti-Dibenzo[a,l]pyrene-11,12-dihydrodiol-13,14-epoxide

153926-04-6 C

203Dimethylaminoethylnitrosoethylurea,nitrite salt

142713-78-8 P

204Formic acid2-(4-methyl-2-thiazolyl)hydrazide

32852-21-4 P

205 Methylhydrazine sulfate 302-15-8 C

206 N-Hexylnitrosourea 18774-85-1 P,C

207 N-(2-Fluorenyl)-2,2,2-trifluoroacetamide 363-17-7 P

208N-(N-methyl-N-nitrosocarbamoyl)-L-ornithine

63642-17-1 P,C

209N,N'-[6-(5- nitro-2-furyl)-s-triazine-2,4-diyl]bisacetamide

51325-35-0 P

210 N-L-Diacetamidofluorene 63019-65-8 P

211 N-Ethyl-N'-methyl-N-nitrosourea 72479-23-3 C

212 N-Hydroxy-2-(acetylamino)fluorene 53-95-2 C

Page 8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88

개 이상의 동물실험 연구에서 유선종양 발암물질로 보고된 화Table 3-6. 1

학물질 계속( . 9)

No. Chemical name CAS No.Orginating

list*

IARCclass†

EPAclass‡

213 N-Hydroxy-N,N'-diacetylbenzidine 71609-22-8 C

214 N-Hydroxy-N-formyl-trans-4-

aminostilbene

118745-11-2 C

215 N-Hydroxy-N-propionyl-trans-4-

aminostilbene

118745-12-3 C

216 trans-N-Hydroxy-4-acetylaminostilbene 843-23-2 C    

CAS - Chemical Abstract Service

IARC-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동물에서 유선종양을 일으킨다고 보고한 자료원 는* - . P Carcinogenicity Potency

는 은Database, I IARC Monographs, N National Toxicology Program (NTP 2002), C

는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Chemical Carcinogen Research Information System

을 의미한다.

발암물질 분류를 의미하고 분류는 모든 위치의 종양에 대한 발암성IARC , IARC†

을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Group 1 carcinogenic to humans. Group 2A– –

probably carcinogenic to humans. Group 2B possibly carcinogenic to humans.–

Group 3 not classifiable as to carcinogenicity in humans. Group 4 probably– –

not carcinogenic to humans.

분류 체계를 의미하고 분류는 전체 발암 증거 동물The U.S. EPA (1986) , EPA ( ,‡

사람 기타 자료 를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 . Group A Carcinogenic to–

Humans; Group B Probably Carcinogenic to Humans; Group D Not– –

Classifiable as to Human Carcinogenicity; and Group E Evidence of–

Noncarcinogenicity for Humans.

는 에서 유선 발암물질로 밝혀짐Perfluorooctanoic acid Sibinski (1987).52 .††

*** Weight of evidence narrative only. Likely to be carcinogenic to humans.

**** Weight of evidence narrative only. Carcinogenic to humans by inhalation.

Page 8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89

나.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 차 선정1

개 물질 중 노출 가능성이 높은 물질을 선정하기 위해225 , HPV(high

식품 첨가물 대기오염물질 소비재 포함 물production volume) chemical, , ,

질 직업 노출 화학물질 기준을 적용하였다, (Rudel et al, 2007).

은 연간 백만파운드 약 톤 이상 생산되는 물질을HPV chemical 1 ( 453.6 )

의미하며 우리나라 자료는HPV chemical OECD Existing Chemicals

를 이용하였다 는 회Database . OECD Existing Chemicals Database OECD

원국 별 연간 백만파운드 톤 이상 생산되는 물질 정보를 제공하며1 (453.6 )

매일 업데이트된다 년 월 일 우리나라의 은 종으로. 2011 8 8 HPV chemical 35

과 같다table 3-7 .

대기오염물질은 실외 혹은 실내에서 관측되었다는 개 이상의 보고가 있1

는 물질과 소비재 생산물로부터의 오프가스 공정이나 시설로부터 배출되는(

가스 인 화학물질을 포함한다 대기오염물질로 분류된 화학물질은 소비재) .

에 들어 있거나 식품과 음용수 및 생산품 속의 미량 화학물질을 포함하므,

로 일반 인구 노출 가능성이 있다 대기오염물질은 총(Rudel et al, 2007).

종이다35 (table 3-8).

소비재 포함 물질 목록은 소비재 제품에 과거와 현재 사용되는 화학물질

을 의미한다 자료는. IARC Monographs, NTP Technical Reports, NTP

11th ROC, National Library of Medicine’s (NLM) Hazardous Substance

의Database, U.S. EPA Source Ranking Database (SRD), NLM’s

Household Products Database (HPD), the Scorecard Website, Pesticide

Action Network Pesticides Database, NLM’s ToxNet, PubChem, The

에서 구하였다 만약 화학물질이 위의 어느 자료에도 존재하Merck Index .

지 않는다면 검색엔진을 이용하여 화학물질의 이름과Google.com CAS

를 검색하였다 소비재 제품 화학물질은 총 종이다No. . 73 (table 3-9).

Page 9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90

No. Chemical name CAS No.

1 Acetamide, N-phenyl- 103-84-4

2 Barium carbonate 513-77-9

3 Barium chloride 10361-37-2

4 Benzenesulfonic acid,4,4'-oxybis-, dihydrazide 80-51-3

5 Benzenesulfonic acid, dodecyl- 27176-87-0

6 Benzenesulfonyl chloride, 4-methyl- 98-59-9

7 Benzoyl peroxide 94-36-0

8 Butanamide,2,2'-[(3,3'-dichloro[1,1'-biphenyl]-4,4'-diyl)bis(azo)]bis[N-(2-methylphenyl)-3-oxo-

5468-75-7

9 Calcium distearate 1592-23-0

10 Calcium hydrogenphosphate 7757-93-9

11 Calcium phosphate(3:2) 7758-87-4

12 Calcium sulfate, dihydrate 10101-41-4

13 Copper cyanide 544-92-3

14 Copper monochloride 7758-89-6

15 Cyclohexanedimethanol 105-08-8

16 Dipotassium hydrogenphosphate 7758-11-4

17 Disodium disulphite 7681-57-4

18 Disulfide, bis(dimethylthiocarbamoyl)- 137-26-8

19 Ethane,1,1-difluoro- 75-37-6

20 Iron dichloride 7758-94-3

21 Magnesium chloride 7786-30-3

22 Magnesium sulfate 7487-88-9

23 Manganese(II) oxide 1344-43-0

24 Manganese(III) oxide 1317-34-6

25 Manganese dioxide (MnO2) 1313-13-9

26 Naphthalene, 1-methyl- 90-12-0

27 Naphthalene, 2-methyl- 91-57-6

28 Phenol, 4,4'-(1-methylethylidene)bis-, polymer with(chloromethyl)oxirane

25068-38-6

29 Phosphoric acid 7664-38-2

30 Stronium carbonate 1633-05-2

31 Stronium sulphate 7759-02-06

32 Titanium dioxide 13463-67-7

33 Trimanganese tetraoxide 1317-35-7

34 Zirconium dioxide 1314-23-4

35 Zirconium orthosilicate 10101-52-7

우리나라 대량생산 화학물질Table 3-7.

Page 9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91

No. Chemical name CAS No.

1 1,2-Dibromoethane 106-93-4

2 1,3-Butadiene 106-99-0

3 1,4-Dioxane 123-91-1

4 Acrylamide 79-06-1

5 Benzene 71-43-2

6 Ethylene oxide 75-21-8

7 Hydrazine 302-01-2

8 Nitrobenzene 98-95-3

9 Nitromethane 75-52-5

10 N-Nitroso-di-n-butylamine 924-16-3

11 o-Toluidine 95-53-4

12 Styrene 100-42-5

13 Vinylidene chloride 75-35-4

14 1,2-Dichloroethane 107-06-2

15 Carbon tetrachloride 56-23-5

16 Methylene chloride 75-09-2

17 1,3-Dinitropyrene 75321-20-9

18 1,8-Dinitropyrene 42397-65-9

19 1-Nitropyrene 5522-43-0

20 2-Aminoanthracene 613-13-8

21 2-Nitrofluorene 607-57-8

22 3-Methylcholanthrene 56-49-5

23 4-Nitropyrene 57835-92-4

24 6-Nitrochrysene 7496-02-8

25 7,12-Dimethylbenz[a]anthracene 57-97-6

26 Benzo[a]pyrene 50-32-8

27 Dibenz[a,h]anthracene 53-70-3

28 Dibenzo[def,p]chrysene 191-30-0

29 Isoprene 78-79-5

30 1,2-Dibromo-3-chloropropane 96-12-8

31 Atrazine 1912-24-9

32 Chlordane 12789-03-6

33 Dichlorvos 62-73-7

34 Simazine 122-34-9

35 4-Aminobiphenyl 92-67-1

출처: Rudel, 2007

대기오염물질Table 3-8.

Page 9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92

No. Chemical name CAS No.

1 1,2-Propylene oxide 75-56-9

2 1,3-Butadiene 106-99-0

3 1,4-Dioxane 123-91-1

4 2,2-Bis(bromomethyl)-1,3-propanediol 3296-90-0

5 2,3-Dibromo-1-propanol 96-13-9

6 2,4-Diaminotoluene 95-80-7

7 2-Chloroacetophenone 532-27-4

8 2-Methylaziridine 75-55-8

9 4,4'-Methylene-bis(2-chloroaniline) 101-14-4

10 Acrylamide 79-06-1

11 Acrylonitrile 107-13-1

12 AF-2 (2-(2-furyl)-3-(5-nitro-2-furyl) acrylamide) 3688-53-7

13 Benzene 71-43-2

14 Chloroprene 126-99-8

15 Ethylene oxide 75-21-8

16 Nitrobenzene 98-95-3

17 Nitromethane 75-52-5

18 N-Nitroso-di-n-butylamine 924-16-3

19 o-Nitrotoluene 88-72-2

20 o-Toluidine 95-53-4

21 Perfluorooctanoic acid 335-67-1

22 Propane sultone 1120-71-4

23 Styrene 100-42-5

24 Toluene diisocyanate mixtures 26471-62-5

25 Urethane 51-79-6

26 Vinyl chloride 75-01-4

27 Vinyl fluoride 75-02-5

28 Vinylidene chloride 75-35-4

29 1,1-Dichloroethane 75-34-3

30 1,2-Dichloroethane 107-06-2

31 1,2-Dichloropropane 78-87-5

32 Carbon tetrachloride 56-23-5

33 Methylene chloride 75-09-2

34 3-Amino-1-methyl-5h-pyrido[4,3-b] indole 62450-07-1

35 IQ 76180-96-6

출처: Rudel, 2007  

소비재 제품 화학물질Table 3-9.

Page 9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93

소비재 제품 화학물질 계속Table 3-9. ( )

No. Chemical name CAS No.

36 Isoprene 78-79-5

37 MeIQ 77094-11-2

38 PhIP 105650-23-5

39 Trp-P-2 acetate 72254-58-1

40 1,2-Dibromo-3-chloropropane 96-12-8

41 Atrazine 1912-24-9

42 Captafol 2425-06-1

43 Chlordane 12789-03-6

44 Clonitralid 1420-04-8

45 Dichlorvos 62-73-7

46 Fenvalerate 51630-58-1

47 Simazine 122-34-9

48 Sulfallate 95-06-7

49 2,4-Diaminoanisole sulfate 39156-41-7

50 3,3'-Dichlorobenzidine 91-94-1

51 3,3'-Dimethoxybenzidine 119-90-4

52 3,3'-Dimethylbenzidine 119-93-7

53 4-Aminobiphenyl 92-67-1

54 5-Nitro-o-anisidine 99-59-2

55 Amsonic acid 81-11-8

56 Benzidine 92-87-5

57 C.I. Acid Red 114 6459-94-5

58 C.I. Basic Red 9 monohydrochloride 569-61-9

59 C.I. Direct Black 38 1937-37-7

60 FD&C Violet No. 1 1694-09-3

61 Guinea green B 4680-78-8

62 Leucomalachite green 129-73-7

63 Malachite green 2437-29-8

64MX

(3-Chloro-4-(dichloromethyl)-5-hydroxy-2(5h)-furanone)77439-76-0

65 2-Amino-5-nitrothiazole 121-66-4

66 Nithiazide 139-94-6

67 Nitrofurazone 59-87-0

68 Conjugated estrogens

69 Estrone 53-16-7

70 Progesterone 57-83-0

71 Bracken fern (and its extracted chemicals)

72 Methyleugenol 93-15-2

73 Ochratoxin A 303-47-9

출처: Rudel, 2007

Page 9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94

식품 첨가물질 목록은 미국 가 발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간한 자료를‘‘Everything added to food in the United States’’ (EAFUS)

이용하였다 미국 에서 승인된 식품 첨가 물질은(Rudel et al, 2007). FDA

총 종으로 모두 소비재 제품 화학물질에 포함된 화학물질이다10 (table

3-10).

No. Chemical name CAS No.

1 1,2-Propylene oxide 75-56-9

2 Benzene 71-43-2

3 Ethylene oxide 75-21-8

4 Hydrazine 302-01-2

5 Styrene 100-42-5

6 1,2-Dichloroethane 107-06-2

7 Methylene chloride 75-09-2

8 FD&C Violet No. 1 1694-09-3

9 Guinea green B 4680-78-8

10 Methyleugenol 93-15-2

출처: Rudel, 2007

식품 첨가 물질Table 3-10.

의 논문은 직업적으로 명 이상의 여성이 노출되는 화학물질을Rudel 5,000

직업적으로 흔하게 노출되는 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위 개 물질 중 우. 225

리나라여성 근로자가 특수건강검진을 받는 대상 물질에 대해 검진을 받는

자료를 구하여 명 이상 노출되는 물질을 선정하였다 년 특수건, 1,000 . 2009

강검진을 받은 여성의 해당 대상 유해물질과 검진자 수는 과 같table 3-11

다.

Page 9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95

No. 특수건강검진 대상 물질 명검진받은여성노동자 수

계 8,274

1 부타디엔1,3- 98

2 부타디엔물질을 중량비율 이상함유한제재1,3- 1% 0

3 디옥산1,4- 177

4 디옥산물질을 중량비율 이상함유한제재1,4- 1% 0

5 아크릴아미드 214

6 아크릴아미드물질을 중량비율 이상함유한제재1% 4

7 아크릴로니트릴 132

8 아크릴로니트릴물질을 중량비율 이상함유한제재1% 2

9 벤젠 526

10 벤젠물질을 중량비율 이상함유한제재1% 16

11 벤젠함유고무풀 중량비율 이상( 5% ) 0

12 산화에틸렌 1,698

13 산화에틸렌물질을 중량비율 이상함유한제제1% 92

14 에폭시 프로판올2,3- -1- 476

16 에폭시 프로판올 글리시돌 물질을 중량비율 이2,3- -1- ( ) 1%상함유한제재

0

17 하이드라진 76

18 하이드라진물질을 중량비율 이상함유한제재1% 0

19 니트로메탄 9

20 니트로메탄물질을 중량비율 이상함유한제재1% 0

21 스티렌 1,277

22 스티렌물질을 중량비율 이상함유한제재1% 7

23 염화비닐 및 함유물질 38

24 염화비닐물질을 함유한제제 함유된중량의비율이 이상( 1%함유한제제)

0

25 이염화에틸렌 65

26 이염화에틸렌 디클로로에탄 물질을 중량비율 이상(1,2- ) 1%함유한제재

20

년 특수건강검진 수검 여성노동자 수Table 3-11. 2009

Page 9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96

년 특수건강검진 수검 여성노동자 수Table 3-11. 2009

No. 특수건강검진 대상 물질 명검진받은여성노동자 수

27 트리클로로프로판1,2,3- 8

28 트리클로로프로판물질을 중량비율 이상함유한제재1,2,3- 1% 4

29 사염화탄소 229

30 사염화탄소물질을 중량비율 이상함유한제재1% 9

31 디클로로메탄 2,995

32 디클로로메탄 이염화메틸렌 물질을 중량비율 이상함유한제재( ) 1% 80

33 디클로로벤지딘과 그염 및 함유제제 6

34 디클로로벤지딘과 그염물질을 함유한제제 함유된중량의비율이( 1%이상함유한제제)

0

35 디클로로벤지딘3,3- 1

36 벤지딘과그염 0

37 벤지딘과그염물질을중량비율 이상함유한제제1% 0

38 마젠타 0

39 마젠다물질을중량비율 이상함유한제제1% 0

40 디아니시딘과 그 염 및 함유제제 6

41 디아니시딘과 그 염물질을 함유한제제 함유된중량의비율이 이( 1%상함유한제제)

0

42 오르토 톨리딘과 그 염 및 함유제제- 4

43 오르토 톨리딘과 그 염물질을 함유한제제 함유된중량의비율이- ( 1%이상함유한제제)

0

44 디아미노 디클로로 디페닐메탄4,4- -3,3- 5

45 디아미노 디클로로 디페닐메탄물질을중량비율 이4, 4'- -3, 3' - 1%상함유한제제

0

이상의 선정 기준을 종합하여 개 이상의 동물실험에서 유선종양 발암물1

질로 보고된 화학물질 종 중 개 환경 요인을 차적으로 선정하였다225 96 1 .

종 종Industrial chemical 36 , Chlorinated solvents 8 , Products of

종 종 종combustion 18 , Pesticides 12 , Dyes 15 , Radiation and drinking

종 종 종이었다water disinfection 1 , Pharmaceuticals 3 , Natural products 3

(table 3-12).

Page 9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97

Category No. Chemical name CAS No.

Industrialchemicals(N=36)

1 1,2-Dibromoethane 106-93-4

2 1,2-Propylene oxide 75-56-9

3 1,3-Butadiene 106-99-0

4 1,4-Dioxane 123-91-1

5 2,2-Bis(bromomethyl)-1,3-propanediol 3296-90-0

6 2,3-Dibromo-1-propanol 96-13-9

7 2,4-Diaminotoluene 95-80-7

8 2-Chloroacetophenone 532-27-4

9 2-Methylaziridine 75-55-8

10 4,40-Methylene-bis(2-chloroaniline) 101-14-4

11 Acrylamide 79-06-1

12 Acrylonitrile 107-13-1

13 AF-2(2-(2-furyl)-3-(5-nitro-2-furyl)acrylamide) 3688-53-7

14 Benzene 71-43-2

15 Chloroprene 126-99-8

16 Ethyleneoxide 75-21-8

17 Glycidol 556-52-5

18 Hydrazine 302-01-2

19 Nitrobenzene 98-95-3

20 Nitromethane 75-52-5

21 N-Nitroso-di-n-butylamine 924-16-3

22 o-Nitrotoluene 88-72-2

23 o-Toluidine 95-53-4

24 Perfluorooctanoicacid 335-67-1

25 Propanesultone 1120-71-4

26 Styrene 100-42-5

27 Toluenediisocyanatemixtures 26471-62-5

28 Urethane 51-79-6

29 Vinylchloride 75-01-4

30 Vinylfluoride 75-02-5

31 Vinylidenechloride 75-35-4

32 BPA

33 Phthalates

34 Parabens

35 Alkylphenols

36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PBDE) fireretardants

환경 노출 지표 이용 차 선정 물질Table 3-12. 1

Page 9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98

환경 노출 지표 이용 차 선정 물질 계속Table 3-12. 1 ( )

Category No. Chemical name CAS No.

Chlorinated

solvents (N=8)

37 1,1-Dichloroethane 75-34-3

38 1,2-Dichloroethane 107-06-2

39 1,2-Dichloropropane 78-87-5

40 Carbontetrachloride 56-23-5

41 Methylenechloride 75-09-2

42 1,2,3-Trichloropropane 96-18-4

43 Dioxins

44 PCBs

Products of

combustion

(N=18)

45 1,3-Dinitropyrene 75321-20-9

46 1,8-Dinitropyrene 42397-65-9

47 1-Nitropyrene 5522-43-0

48 2-Aminoanthracene 613-13-8

49 2-Nitrofluorene 607-57-8

50 3-Amino-1-methyl-5h-pyrido[4,3-b]indole 62450-07-1

51 3-Methylcholanthrene 56-49-5

52 4-Nitropyrene 57835-92-4

53 6-Nitrochrysene 7496-02-8

54 7,12-Dimethylbenz[a]anthracene 57-97-6

55 Benzo[a]pyrene 50-32-8

56 Dibenz[a,h]anthracene 53-70-3

57 Dibenzo[def,p]chrysene 191-30-0

58 IQ 76180-96-6

59 Isoprene 78-79-5

60 MeIQ 77094-11-2

61 PhIP 105650-23-5

62 Trp-P-2acetate 72254-58-1

Pesticides

(N=12)

63 1,2-Dibromo-3-chloropropane 96-12-8

64 Atrazine 1912-24-9

65 Captafol 2425-06-1

66 Chlordane 12789-03-6

67 Clonitralid 1420-04-8

68 Dichlorvos 62-73-7

69 Fenvalerate 51630-58-1

70 Simazine 122-34-9

71 Sulfallate 95-06-7

72 Heptachlor

73 Dieldrin and aldrin

74 DDT/DDE

Page 9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99

환경 노출 지표 이용 차 선정 물질 계속Table 3-12. 1 ( )

Category No. Chemical name CAS No.

Dyes (N=15) 75 2,4-Diaminoanisolesulfate 39156-41-7

76 3,30-Dichlorobenzidine 91-94-1

77 3,30-Dimethoxybenzidine 119-90-4

78 3,30-Dimethylbenzidine 119-93-7

79 4-Aminobiphenyl 92-67-1

80 5-Nitro-o-anisidine 99-59-2

81 Amsonicacid 81-11-8

82 Benzidine 92-87-5

83 C.I.AcidRed114 6459-94-5

84 C.I.BasicRed9monohydrochloride 569-61-9

85 C.I.DirectBlack38 1937-37-7

86 FD&CVioletNo.1 1694-09-3

87 GuineagreenB 4680-78-8

88 Leucomalachitegreen 129-73-7

89 Malachitegreen 2437-29-8

Radiation and

drinking water

disinfection

(N=1)

90 MX (3-Chloro-4-(dichloromethyl)-5-

hydroxy- 2(5h)-furanone)

77439-76-0

Pharmaceuticals

(N=3)

91 2-Amino-5-nitrothiazole 121-66-4

92 Nithiazide 139-94-6

93 Nitrofurazone 59-87-0

Natural

products (N=3)

94 Brackenfern(anditsextractedchemicals)

95 Methyleugenol 93-15-2

96 OchratoxinA 303-47-9

Page 10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00

다. 유방암 관련 환경 위험요인 차 선정2

유방암 관련 환경 노출지표 이용 차 선정물질 종 중 인간을 대상으1 96 ,

로 한 역학연구가 있는 경우 차 선정물질로 분류하였다 해당 물질은 총2 .

개였다12 (table 3-13).

Category No. Chemical name CAS No.

Industrialchemicals

1 1,3-Butadiene 106-99-0

2 Acrylamide 79-06-1

3 Benzene 71-43-2

4 Ethyleneoxide 75-21-8

5 BPA

6 Phthalates

7 PCBs

Products ofcombustion

8 Dioxins

9 IQ 76180-96-6

10 PhIP 105650-23-5

Pesticides 11 Dieldrin and aldrin 60-57-1

/ 309-00-2

12 DDT / DDE 50-29-3

/ 72-55-9

위험도 및 노출수준 이용 차 선정Table 3-13. 2

Page 10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01

라. 직업 및 기타 위험요인 보완

유방암 관련 포괄적 환경요인은 화학물질만 고려하였기 때문에 위험도

및 노출수준 이용 차 선정물질 또한 화학물질에 국한되어 있다 따라서2 .

직업 및 기타 위험요인을 보완할 필요성이 있다.

는 인간에게 암을IARC(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발생시킬 수 있는 위험요인에 대해 연구하는 산하 기관이다 에WHO . IARC

서는 화학적 요인 뿐 아니라 물리적 요인 직업 및 기타 위험요인에 대해,

서도 발암성을 평가하여 로 발표하고 있다 따라서 본IARC Monographs .

연구에서 직업 및 기타 위험요인을 보완하기 위해 자료IARC Monograph

를 이용하였다.

이상 물질 및 직업 개 중 유방암 관련 기술이 있는 위험요IARC 2A 166

인 및 직업은 종이었다 종 중 직업 요인은16 . 16 Painter, Hairdresser or

이었다 종 중 화학barber, Shiftwork that involves circadian disruption . 16

적 요인은 Formaldehyde, Tetrachloroethylene (Perchloroethylene),

였다 종 중 기타 요인은Trichloroethylene . 16 Plutonium, Radioiodines,

including iodine-131, Radium-224 and its decay products, Radium-226

and its decay products, Radon-222 and its decay products, Tobacco,

smokeless, Tobacco smoke, second-hand, Tobacco smoking, X- and

Gamma-Radiation, Nitrate or nitrite (ingested) under conditions that

이었다result in endogenous nitrosation .

종 중 생물학적 요인과 약물 전 단계에서 이미 선정된 위험요인을 제16 ,

외한 직업 및 기타 위험요인은 종이었다10 (table 3-14).

Page 10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02

No. 직업 및 기타 위험요인 IARC class

1 Formaldehyde Group 1

2 Painter Group 1

3 Radon Group 1

4 Tobacco smoking Group 1

5 X- and Gamma-Radiation Group 1

6 Hairdresser or barber Group 2A

7 Nitrate or nitrite (ingested) under conditionsthat result in endogenous nitrosation

Group 2A

8 Shiftwork that involves circadian disruption Group 2A

9 Tetrachloroethylene (Perchloroethylene) Group 2A

10 Trichloroethylene Group 2A

최종적으로 보완된 직업 및 기타 위험요인Table 3-14.

마. 최종적으로 선정된 우선적 검토대상 환경 위험요인

기존 역학 연구 유무를 기준으로 차 선정 화학물질 개와 직업 및 기2 12

타 위험요인 종을 합하여10 종의 요인이 우선적 검토대상 환경 위험요인22

으로 최종적으로 선정되었다(table 3-15).

Page 10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03

Category No. Chemical name CAS No.

Industrial chemicals 1 1,3-Butadiene 106-99-0

2 Acrylamide 79-06-1

3 Benzene 71-43-2

4 Ethylene oxide 75-21-8

5 BPA

6 Phthalates

7 PCBs

8 Formaldehyde

9 Tetrachloroethylene(Perchloroethylene)

10 Trichloroethylene

Products ofcombustion

11 Dioxins

12 IQ 76180-96-6

13 PhIP 105650-23-5

Pesticides 14 Dieldrin and aldrin 60-57-1 /309-00-2

15 DDT / DDE 50-29-3 /72-55-9

Radiation 16 Radon

17 X- and Gamma-Radiation

Health behaviours 18 Tobacco smoking

19 Nitrate or nitrite (ingested) underconditions that result in endogenousnitrosation

Occupation 20 Painter

21 Hairdresser or barber

  22 Shiftwork that involves circadiandisruption

 

최종적으로 선정된 우선적 검토대상 환경 위험요인Table 3-15.

Page 10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04

3. 유방암 관련 우선적 검토대상 환경 위험요인 고찰

유방암 관련 우선적 검토대상 환경요인 종에 대해 기존 역학 연구를22

고찰하고 평가 방법과 노출 경로를 조사하였다 또한 국내에서(table 3-16).

보고된 자료를 바탕으로 각 물질의 노출 수준도 추정하였다.

가. 산업용 화학물질

1) 1,3-Butadiene

의 직업적 노출은 석유 정제 및 부타디엔 생산 부타디엔1, 3-Butadiene ,

을 이용한 중합체와 유도체의 생산 고무 및 플라스틱 생산 시에 발생한다, .

관련 공장 근처에 거주하는 경우 환경을 통한 노출이 일어날 수 있으며,

자연 노출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은 자동차 매연 성분 중 하나로 노출되고 간접흡연시에도1,3-Butadiene ,

노출된다 식품 포장지에 일부 함유되어 있으나 식품으로는 전달되지는 않.

는 것으로 되어 있다 카놀라유 같은 평지기름 을 가지고 조리할. (rape oil)

때 발생한다는 보고도 있다.

유방암과 부타디엔 노출의 관련성을 탐구한 연구에 의하면 년의1,3- , 10

을 적용하면 개월 이상 가솔린이나 연소물질에 노출될 가능성이lag time 3

있는 직업에 종사한 남성에서 유방암 발생의 교차비가 로 보고2.5 (1.3-4.5)

되었다 모노그래프에 의하면 부타디엔은 조혈기계(table 3-16). IARC 1,3-

암을 대상으로 에 속하는 물질이나 유방암에 대한 언급은 찾을 수group 1 ,

없다.

은 합성고무 및 다량체 스티렌 부타디엔 생산에 주로1,3-Butadiene ( - )

사용되는 화학물질로서 그 노출량이 년대 후반 에서(85%) , 1970 (<20mg/ )㎥

Page 10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05

년대 에 이르면서 많이 감소하였다 현재 북미 및 서유럽의2000 (<2mg/ ) .㎥

현대적 설비에서는 노출량이 이하이며 중국에서는 이하로2mg/ , 4mg/㎥ ㎥

다소 높게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국가 공장형태 생산공정과 관계없이 일. , ,

부 업무는 단기간에 거쳐 매우 높은 농도 에 노출될 수 있다( 200mg/ )∼ ㎥

참고 년에 실시한 작업환경실태조사에 의하면 우( : 1mg/ 0.5ppm). 2009 ,㎥≒

리나라에서 부타디엔을 제조하는 사업장은 개 명 사용하는 사업1,3- 6 (226 ),

장은 개 명 이었고 명이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31 (214 ) , 216 .

사업장에서 노출되는 인구는 국내에서 매우 낮은 편으로 여겨진다 환경.

적 노출 인구의 분율을 자동차 배기가스에서 나타날 수 있음을 감안하여

로 잡고 자동차 배기가스를 활용한 연구에서의 를 사용하면 인20% OR=2.5

구집단 기여위험분율은 대략 정도로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벤20% .

젠과 를 포함한 다양한 화학물질의 중복노출이고 직업적으로 노출이PAH

되는 직업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휘발유의 정제 기술

이 높아졌음을 감안하면 인구집단 기여위험분율은 낮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부타디엔의 생물학적 노출지표로 직업적 노출의 경우 소변 중1,3-

가 권고되어 왔다monohydroxy-butenyl mercapturic acid (MHBMA) . 1,3-

부타디엔의 생체반감기는 대사산물을 무엇으로 측정하느냐에 따라 약간씩

다르기는 하지만 시간을 넘지는 않는다30 .

2) Acrylamide

는 정수 시설이나 폐수 처리 시설의 응집제 유정시설의Acrylamide ,

생화학 실험용 크로마토그래피의 겔 에 사용되는flow-control agent, (gel)

폴리아크릴아마이드 의 합성에 주로 사용된다 식품 중 아(polyacrylamides) .

크릴아마이드는 년 처음으로 에 의2002 Swedish National Food Authority

해 확인되었다 후렌치후라이와 같이 탄수화물 성분 함량이 높고 단백질.

Page 10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06

함량은 낮은 식물성 식품을 높은 온도에서 조리할 때 자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감자스낵 비스킷 시리얼 초콜릿 커피 서양자두 주스 등. · · · · · (prune juice)

의 식품에서 비교적 많은 양의 아크릴아마이드가 검출되었다 년 식품. 2005

의약품 안전청 자료 식이노출량평가를 위한 식품별 섭취량 분포 에 따르< >

면 세 유아의 경우 평균 섭취량이 로 가장 높았으3 6 0.47 /kg-bw/day∼ ㎍

며 이는 전 국민 평균 식이노출량에 비해 배 이상 높은 수치였다 흡연에2 .

의해서도 노출될 수 있다 아크릴아마이드는 식이의 변화와 함께 노출량이.

증가했을 것으로 추측이 가능하며 이 경우 년대 이후를 증가 시기로1990

잡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에서는 아크릴아마이드를 으로 분류하였다 전체암에 의한IARC group1 .

사망 췌장암과 비호지킨 림프종이 주요 대상 암종이었다 명의 여성, . 33,731

을 대상으로 한 영국 코호트 연구에 의하면 아크릴아마이드 노출과 유방,

암 위험 간에 유의한 결과가 발견되지 않았다 (hazard ratio=1.08 per 10

그러나 폐경 이전 여성들에서는/day 95% CI: 0.98 1.18, Ptrend=0.1).㎍ –

아크릴아마이드 섭취와 유방암 간에 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보고되었다

(hazard ratio=1.2, 95% CI: 1.0 1.3, p for trend=0.008). Nurses' Health–

를 통해 연구된 여성 대상 조사에 의하면 잠복기를 고려해도Study 88,672 ,

아크릴아마이드 섭취와 유방암 간에 관련성이 있다고 할 수 없었다 스웨.

덴 코호트 연구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은 아니었다.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에서는 를 생체노출지표로 사용하고 있다 생2003-04) hemoglobin adducts .

체반감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은 명의 성인 남성Fennell et al.(2005) 24

자원자를 대상으로 단회투여 를[1,2,3-13C3]-acrylamide( : 0.5, 1, 3 mg/kg)

경구투여 한 실험에서 그룹의 경우 투여 후 시간 동안 투여량3 mg/kg 24

의 정도가 소변 중에서 대사체로 회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40% . Fuhr et

은 의 아크릴아마이드를 식품을 통해 섭취한 자원자들의al.(2006) 0.94 mg

소변 중에 배출된 아크릴아마이드와 N-acetyl-S-(2-carbamoylethyl)

Page 10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07

cysteine(AAMA), glycidamide, N-acetyl-S-(2-hydroxy-2-

등의 대사체들을 정량하여 전체 투여량carbamoylethyl) cysteine(GAMA) ,

의 정도가 시간 이내에 회수되는 것을 보고하였다 의60% 72 . 1 mg

아크릴아마이드를 물로 섭취한 남성 자원자의 경우deuterium-labeled ,

와 두 가지 대사체의 소변을 통한 제거 반감기는 약 시AAMA GAMA 3.5

간이었다.

3) Benzene

은 자연적으로 벤젠이 함유된 음식물 담배 연기 자동차 배기Benzene , ,

가스 자동차 급제동시 타이어가 닳을 때 나는 연기 아교 접착제 가정용, , , ,

세척제 페인트 제거제 일부 미술 재료 쓰레기 매립지에서 나오는 침출수, , , ,

벤젠을 사용하는 산업체로부터 정화되지 않고 흘러나온 폐수 에틸 벤젠이,

나 스틸렌을 제조하는 공장 정유 공장 화학 약품 제조 공장 등으로부터, ,

나오는 연기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벤젠은 통계청에서 생산량 자료 확인이 가능한 년부터 지속적으로1995

생산량이 증가하였다 년 대한석유공사가 울산정유공장 현 정유. 1970 ( SK )

안에 방향족 제조공장과 나프타분해공장을 가동하였으므로 이 시기부터 본

격적으로 벤젠의 생산 사용 유통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그 이전에, , .

는 산업의 발전에 따라 광범위한 산업에서 다양하게 사용되었을 것으로 생

각된다 울산지역에서 대기 중 벤젠에 대하여 시행한 연구에서는 약 만. 100

명 중에 세 이상 만명을 노출 인구로 잡아 시행하였다 이 연구에서30 51 .

측정한 대기중 벤젠의 평균 농도는 7.88 / (min : 1.16 max : 23.32 /㎍ ㎥ ∼ ㎍

였다) .㎥

최근의 환자대조군 연구와 코호트 연구에서는 벤젠과 유방암 사이에 통

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폐경전 여성을 대상으로.

한 환자 대조군 연구에서는 벤젠 노출 수준에 따라 양 반응 관계가 관찰- -

Page 10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08

되었다 [low: odds ratio (OR) 1.64, 95% confidence interval (95% CI)

전체적으로0.64-4.21; high: OR 1.95,95% CI 1.14-3.33)]. OR=1.91

이었다(95%CI=1.18-3.08) .

현재 특수건강진단에서 사용하는 벤젠의 생물학적 모니터링 지표로는 요

중 페놀 요중 뮤콘산 페닐머캅토산 등이다 이중 페놀은 벤젠에 특이적, , S- .

이지 않다 벤젠의 저농도 노출을 잘 반영하는 지표로 요중 뮤콘산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벤젠은 지방함량이 높은 조직에서의 생물학적 반감기가. 24

시간으로 어느 경로로 흡수되더라도 빠른 시간 가장 짧은 생물학적 반감기(

는 시간 내에 배설되는 물질이다1 2 ) .~

4) Ethylene oxide

산화에틸렌은 주로 다른 화학물질 에틸렌글리콜 에탄올아민 글리콜에테( , ,

르 등 의 생산에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은 증가추세이다 대개 직접적인) , .

에틸렌 산화 및 살균된 의료장비 생산공장에서의 평균노출은 2-20mg/㎥

수준으로 알려져 있으며 가장 많이 노출되는 곳인 병원 내 살균부서에서,

는 유럽 및 북미지역의 경우 평균 이내로 상당한 감소를2mg/ ( 1ppm)㎥ ≒

이루었다 그러나 일부 단기간에 거쳐 이루어지는 업무는 여전히 매우 높.

은 농도에 노출될 수 있다 년에 실시한 작업환경실태조사에 의하면. 2009 ,

우리나라에서 산화에틸렌을 제조하는 사업장은 개 명 사용하는 사업8 (505 ),

장은 개 명 이었으며 산화에틸렌을 사용할 것으로 추정되는 사업장은52 (409 ) ,

개 명 이었다 이외에도 는 식품 옷 화장품 등을 통480 (2,668 ) . Ethyleneoxide , ,

해 노출이 가능하다 흡연 자동차 매연 등을 통해서도 노출 될 수 있다. , .

현재 산화에틸렌을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는 산업은 보건의료산업

이다 년 통계청 경제활동인구부가조사에 따르면 보건업 종사자 여. 2009 60

만명이다 이중 최대 정도가 노출된다고 감안할 때 노출 인구는 만. 10% 6

여명으로 생각된다 이는 전체 경제활동 인구의 미만인 수치이다 병원. 1% .

Page 10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09

에 가스 소독기가 도입되기 시작한 시기는 년대 이후로 생각된다EO 1980 .

는 산화에틸렌을 으로 분류하였다 네 개의 코호트 연구에IARC group 1 .

서 산화에틸렌 노출과 유방암의 관련성에 대한 정보가 보고되었다. NIOSH

의 연구와 영국의 병원 살균근로자 코호트 연구에서는 유방암의 의한 사망

률이 전체적으로 증가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세 개의 코호트 연구에서는.

유방암 사망률이 아니라 유방암 발생률에 근거하여 위험도를 산출하였는( )

데 의 연구와 스웨덴의 코호트 연구에서는 전체적으로 위험도 증가, NIOSH

를 확인하지 못하였고 미국 뉴욕주에서 실시한 코호트 연구에서는, 60%

정도의 위험도 증가를 보였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불분명 하였다(borderline) .

그러나 의 연구에서는 암발생률이 다소 과소평가 된NIOSH (underestimate)

면이 있어 전체적 암발생률 조사에서 결과가 부 가 될 바이어스(negative)

가 개입된 측면이 있다 코호트에서 수행된 한 연구에서는 보다 상. NIOSH

세한 연구설계 하에 산화에틸렌 노출과 유방암의 관련성을 찾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내부분석에서는 산화에틸렌의 누적노출이 높은 군에서 유방암

상대위험도의 증가 및 유의한 노출량 반응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

두 결과는 출산력 과 직계가족의 유방암가족력을 통제한 분석에서도(parity)

유효하였다.

누적노출량이 최대인 군에서의 유방암 위험은 거의 두 배에 달하였다.

이 연구를 토대로 산화에틸렌의 누적노출량이 이상일 때14,620ppm-days

유방암의 발생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는 에, 40ppm-years

해당하는 수준이다.

생물학적 모니터링은 현재 확실한 방법은 없다 혈액 중. ethylene glycol,

과 또는 소변 중 등 다hemoglobin adducts glutathione derivatives HEMA

양한 방법을 시도 중이다.

Page 11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10

5) BPA

는 식음료 병 음식물 캔 수도 파이프 치아 실란트에 포함되어 있BPA , , ,

다 관련 제품을 생산하는 사람은 관련제품 제조시 호흡 및 피부노출이 일.

어날 수 있고 소비자는 식품용기 및 포장재로부터 경구노출이 발생할 수,

있다 국내에는 약 년 전부터 제품 생산 원료로 사용되었다 현재 국내수. 50 .

요와 생산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년부터 용출규격을. 1998 BPA

이하 단 단독 이하 년 로 관리하고 있어 생체시료내2.5ppm ( , 0.6ppm , 2008 )

노출수준은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BPA .

6) Phthalates

는 의 로 주로 로 사용된다 주로Phthalates phthalic acid esters , plasticizer .

염화비닐을 유연화시키는 데 사용한다 흔히 사용되는 프탈레이트를. table

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table 3-16).

프탈레이트는 플라스틱 제품 개인용품 향수용품 등을 통해 주로 노출된, ,

다 는 흡입 는 피부흡수 등은 경구 섭취에 의해. DMP , DEP , DEHP, DBP

주로 노출되며 등은 유아는 먼지섭취나 핥기 등을 통한 섭취, BBzP, DiNP

비율이 높고 성인의 경우 화장품 사용에 의한 흡입비율이 높다 는. DEHP

정맥주사 영양공급 수혈 등 의학적 치료과정에서 노출가능하다 는, , . DEP

의 가소제와 용제 및 화장품 등에서 향료의 운반제cellulose acetate

로 사용된다 다양한 화장품 목욕용품 개인위생제품 등을 위한(carrier) . , ,

성분의 하나로 사용되었으며 각종 플라스틱 제품의 가소제로 널리 사용,

되어 왔다 는 와 함께 전세계에서 생산되는 프탈레이트류의 약. DBP DEHP

를 차지하는 중요한 물질이다 국내에서는 플라스틱 폭약 가소제80% . , , ,

곤충기피제 화장품 향료 용제 등에 사용되어 왔다 동물실험에서 생식, , , .

독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재질의 어린이 장난감 및 제품에는PVC

사용되지 않는다 유럽연합에서는 화장품에도 사용이 금지되어 있으나 최.

Page 11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11

근 국내 유통되는 화장품과 소비자제품 등에서 검출된 바 있다.

프탈레이트를 주로 사용하는 정밀화학공업의 경제적인 규모는 년 대1990

비 년까지 사업체 수에서는 성장을 하였으나 근로자수는 년2004 5.3% , 2004

명으로 년 명에 비하여 성장에 그치고 있다 수입액81,055 1990 78,853 0.2% .

이 년 백만불로 수출액 백만불보다 배 높은 실적을 보이2004 7,573 2,817 2.7

고 있어 수입초과의 산업적 특성을 띤다.

Name Acronym Structural formula CAS No.

Dimethyl

phthalate

DMP C6H4(COOCH3)2 131-11-3

Diethyl

phthalate

DEP C6H4(COOC2H5)2 84-66-2

Di-n-propyl

phthalate

DBP C6H4[COO(CH2)3CH3]2 84-74-2

Butyl benzyl

phthalate

BBP CH3(CH2)3OOCC6H4COOCH2C6H5 85-68-7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DOP

C6H4[COOCH2CH(C2H5)(CH2)3CH3]2 117-81-7

Diisodecyl

phthalate

DINP C6H4[COO(CH2)6CH(CH3)2]2 28553-12-0

Diisodecyl

phthalate

DIDP C6H4[COO(CH2)7CH(CH3)2]2 26761-40-0

가장 흔히 사용되는 프탈레이트류 물질Table 3-16.

7) PCBs

는 돼지고기 고등어 멸치 조기에서 미량 검출된 바 있고 서정혁PCBs , , , (

등 식품 중 쌀 육류 우유 및 유가공품 계란 수산물에서 검출되었, 2003), , , , ,

다 오금순 등 국내 광양 여천 부천의 대기에서 검출된 바 있다( , 2009). , ,

김은정 등( , 2000).

는 뛰어난 절연성 및 방화성으로 인하여 년대 이후 대량 생산PCBs 1920

Page 11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12

되어 변압기의 냉매 윤활제와 같은 전기 산업 및 플라스틱 접착제 도료, , ,

제조 산업 등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년대에 가 잔류성이. 1960 PCBs

큰 환경오염물질로 알려지기 시작하여 년대부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1970

세계 각 국에서 그 사용 및 생산이 중단되었으나 기존에 개방이나 밀폐 시

스템에 사용되었던 가 환경으로 유출되어 대기 수질 및 토양 등을PCBs ,

오염시키고 생물 농축되어 매개체인 식품을 통하여 인체에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년에 전기사업법 에 를 사용하지 못하도록1979 PCBs「 」규정하였다 또한 년에는 폐기물관리법 에 함유폐기물을 지정. 1991 PCBs「 」폐기물로 분류하여 적정처리방법으로 잔류법에 고온소각방법과 화학처리방

법을 규정하였다 국내에서는 년부터 전기기기에 의 사용이 금지. 1979 PCBs

전기사업법 되었으나 오염된 절연유 재활용 및 장비로부터의 용출 등으로( ) ,

오염이 잔존되어 년 현재 전국 약 만대의 변압기 중 약 인, 2010 210 25% 56

만대가 이상으로 오염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김병훈 등2 ppm ( , 2010).

는 위험이 알려진 이후로 생산되지는 않고 있으나 연소과정이나 상PCBs

업적 부산물로서 계속 방출되거나 이전에 사용 또는 저장된 지역에서 휘발

에 의하여 대기 중으로 유입되고 있다 김은정 등( , 2000).

8) Formaldehyde

포름알데히드는 요소 페놀 멜라민을 함유한 레진 또는 폴리아세탈(urea), ,

레진을 생산하는 데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포름알데이드를 함유한 레.

진은 파티클보드 가구나 다른 나무용품을 생산하는 데 접착제나 침투 레,

진으로 표면 코팅에 사용하는 물질고 사용된다 또는 다른 화학물질을 생, .

산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포름알데히드를 중합반응하여 만들어진 폴리.

사세탈 플라스틱은 자동차 용품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

포름알데히드는 실내외에서 가스상 오염물질의 형태로 노출된다 실외에.

서는 발전소 생산 시설 소각로 자동차 배기가스를 통해 노출된다 산불이, , , .

Page 11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13

나 연소의 자연발생물로 노출될 수도 있다 직업적 노출 이외에 실내 노출.

이 많이 일어나는 경우는 건물 재료 소비용품 흡연을 통해서이다 포름알, , , .

데히드는 자연적으로 혹은 오염 때문에 음식에도 존재할 수 있다.

9) Tetrachloroethylene and trichloroethylene

은 가장 중요한 염화유기물 중 하나이고 년대Tetrachloroethylene , 1900

초부터 상업적으로 생산되었다 생산된 테트라클로로에틸렌의 대부분은 드.

라이클리닝 시 사용된다 이외에 다른 화학물질 생산 시 금속 세척 등에. ,

사용된다 은 년대부터 상업적으로 생산되어온 염화. Trichloroethylene 1920

유기물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트리클로로에틸렌의 는 금속 세척제. 80-90%

로 사용된다.

Page 11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14

Chemical

name

연관성의

강도(RR or OR)

추정된

노출수준

생물학적

노출지표생체 반감기

1,3-Butadiene 2.5 하 Urinary

MHBMA

수시간

Acrylamide 1.2 중 Hb adducts 시간24-72

Benzene OR=1.91

(1.18-3.08)

하 t,t-muconic acid,

페닐머캅토산S- ,

최근 하루

지방함량이 높은

조직에서는 시24

간 가장 짧은,

생물학적 반감기

는 시간1-2

Ethyleneoxide 1.87 하 시도 중 분47.6

BPA 역학연구는 있으

나 위험비로 제

시되지 않음

상 BPA(urine,

serum/blood,

saliva, tissue

and fluid)

분26.6

Phthalates OR= 2.20

(1.33 3.63)–

상 요중 요중5-OH,

요중5-OXO,

가 대표적Mn-BP

시간DBP: 12

이내 인체( ),

DEHP:

시간10 18 (rat)∼

PCBs PCB 52/

101/138/153/ 180

ppb, OR=

0.95(0.74 1.2)/–

1.0(0.77 1.3)/–

1.2(0.88 1.5)/–

1.8(1.4 2.5)/–

1.1(0.76 1.5)–

상 Blood PCB 년PCB-28 5.5 ,

년PCB-52 2.6 ,

년PCB-105 5.2 ,

년PCB-118 9.3 ,

년PCB-138 10.8 ,

년PCB-153 14.4 ,

년PCB-170 15.5 ,

년PCB-180 11.5 ,

PCB-187 10.5

년1)

Formaldehyde low/medium/

high Blacks;

OR =1.14/0.93

/1.20 Whites;

1.38/1.30/1.362)

상 사Formic acid

용 시도가 있으

나 노출수준과의,

연관성이 확립되

어 있지 않음.

약 분 가량1

산업용 화학물질의 상대위험도 노출 수준 생물학적 노출지표Table 3-17. , ,

문헌마다 다르고 물질마다 다른데 을 보면 한달에서 년 이상까지 변이가 있다1) , , ATSDR(2000) 70 .

2) Cantor KP, Stewart PA, Brinton LA, Dosemeci M. Occupational exposures and female breast

cancer mortality in the United States. J Occup Environ Med 1995;37(3):336-348.

Page 11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15

산업용 화학물질의 상대위험도 노출 수준 생물학적 노출지표Table 3-17. , ,

계속( )

Chemical name연관성의

강도(RR or OR)

추정된

노출수준

생물학적

노출지표생체 반감기

Tetrachloroeth-

ylene

No difference1) 하 Trichloroacetic

acid in urine,

perchloroethylene

in blood

약 시간144

Trichloroethyl-

ene

No difference2) 하 Trichloroacetic

acid and

trichloroethanol

in urine

약 시간41

나. 연소 부산물

다이옥신에 대한 인체노출은 기저 노출 식품오염 직업적 노출 산업재, , ,

해와 관련된 노출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증가된 기저 노출은 다이옥신이,

높게 함유된 식품의 섭취 또는 동물지방의 섭취를 통해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기저 노출은 식이를 통한 지방섭취이며 주로 상업적으로 판,

매되는 식품들이다.

국내 고엽제 살포는 년 비무장지대 살포기록이 확인된다 년 세1968 . 1971

계적으로 고엽제 사용이 금지되었다 년대에 유기염소계 농약 생산을. 1970

1) Isacson P, Bean JA, Splinter R, Olson DB, Kohler J. Drinking water and cancer incidence in

Iowa. III. Association of cancer with indices of contamination. Am J Epidemiol

1985;121(6):856-869.

2) Isacson P, Bean JA, Splinter R, Olson DB, Kohler J. Drinking water and cancer incidence in

Iowa. III. Association of cancer with indices of contamination. Am J Epidemiol

1985;121(6):856-869.

Page 11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16

금지하였다 년 월 스톡홀름협약 에 의거 다이옥신을 포함한. 2001 5 (UNEP)

개 의 생산 및 사용을 금지하였다 단 산업공정의 부산물로 발생하21 POPs . ,

는 다이옥신에는 노출가능하나 국내 대기 중 노출수준은 일본기준을 초과,

하지 않았다.

와 모두 상업적 사용은 없고 연구 목적으로 소량 생산되거나IQ PhIP , ,

주로 육류와 생선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갈변화 과정의 부산물로 자연적으

로 생성된다 고온과 오랜시간 조리시 생성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처럼 직접적으로 열을 가하는 조리법에서, frying, grilling stewing,

같은 간접적 조리법보다 생산량이 높아진다 는 튀steaming, poaching . IQ

긴 닭 계란 생선 요리 미트볼, , , broiled ground beef, minute steaks, , pork

담배연기 응축물 등에서 검출되었다chops, (cigarette smoke condensate)

(National Toxicology Program, 2010)

Page 11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17

Chemical name

연관성의

강도(RR or

OR)

추정된

노출수준

생물학적

노출지표생체 반감기

Dioxins 세미만군에서60

는 관계없음.

세이상군에서60

역상관관계

고노출집단(

OR=0.31

(0.08-0.89))1)

상 Blood dioxin 2 ,3 , 7 , 8-TCDD

년으로5 .8-11.3

보고2)

IQ OR(1.22-3.34)3) 주 로

식 이 중

노출이므

로 식습

관에 따

라 다름.

IQ-DNA adducts

in WBCs

는HCAs 12 24–

안에 대사됨 반.

감기가 매우 짧

음.

PhIP OR(1.06-2.59),

고노출군 OR=

1.94)

주 로

식 이 중

노출이므

로 식습

관에 따

라 다름.

에서human hair

노출량 측정 가능

한달간 식이노(

출), Urinary

N2-(20-deoxygu

anosin-8-yl)PhIP

, PhIP in urine5)

는HCAs 12 24–

안에 대사됨 반.

감기가 매우 짧

음.

연소 부산물의 상대위험도 노출 수준 생물학적 노출지표Table 3-18. , ,

1) Viel JF, Clément MC, Hägi M, Grandjean S, Challier B, Danzon A. Dioxin emissions from a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 and risk of invasive breast cancer: a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with GIS-derived exposure. Int J Health Geogr 2008;7:4.

2) Warner M, Eskenazi B, Mocarelli P, Gerthoux PM, Samuels S, Needham L, Patterson D,

Brambilla P. Serum dioxin concentrations and breast cancer risk in the Seveso Women's

Health Study, Environ Health Perspect 2002;110(7):625-628.

3) De Stefani E, Ronco A, Mendilaharsu M, Guidobono M, Deneo-Pellegrini H. Meat intake,

heterocyclic amines, and risk of breast cancer: a case-control study in Uruguay.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1997;6(8):573-581.

4) De Stefani E, Ronco A, Mendilaharsu M, Guidobono M, Deneo-Pellegrini H. Meat intake,

heterocyclic amines, and risk of breast cancer: a case-control study in Uruguay.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1997;6(8):573-581.

5) Warner M, Eskenazi B, Mocarelli P, Gerthoux PM, Samuels S, Needham L, Patterson D,

Brambilla P. Serum dioxin concentrations and breast cancer risk in the Seveso Women's

Health Study, Environ Health Perspect 2002;110(7):625-628.

Page 11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18

다. 살충제

과 는 주로 농약 사용 과정에서 노출된다 두 농Dieldrin/aldrin DDT/DDE .

약 모두 잔류위험 때문에 년대 사용 및 판매가 금지되었다 역학연1960-70 .

구 결과는 에 제시하였다table 3-19 .

Chemical

name

연관성의

강도(RR or OR)

추정된

노출수준

생물학적

노출지표생체 반감기

DDT/DDE DDE 201.72≤

/201.73 397.67–

/397.68 675.97–

/>675.98

OR=1/1.04(0.59

1.84)/1.23(0.69–

2.17)/1.22(0.68–

2.21)–

p,p´-DDE

OR=1.6(0.8-3.4),

o,p´-DDT

OR=0.5

(0.3-1.0)1)

하 Blood, urine

trichloroethanol

년DDE 8

Dieldrin and

aldrin

Aldrin OR=1.55

(1.00-2.40)2)하 Serum dieldrin

은(aldrin dieldrin

으로 대사됨)

Dieldrin 100-266

살충제의 상대위험도 노출 수준 생물학적 노출지표Table 3-19. , ,

1)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monograph. Vol 53. 1991.

2)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monograph. Vol 5. 1974.

Page 11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19

라. 방사선

일반인구에서 라돈에 대한 주 노출은 지구 지표면으로부터 발생한다.

등 를radon progeny(polonium-218, lead-214, bismuth-214, polonium 214 )

포함한 음식 방사능 물질 포함한 빌딩의 공기 흡입 지하 근무 및 거주자, ,

에게 노출이 주로 일어난다 (Thomas et al, 1994).

의 주 노출경로는 병의 진단 및 치료X- and Gamma-Radiation (X-ray

검사 등 시 의료기기를 통한 노출이다 그 외에 자연 방사능 물질을, RT ) .

먹을 때 지각으로부터 지역에 따라 다름 노출되기도 하며, ( ) , atomic

등의 사고로 노출되기도 한다bombing .

Chemical name 연관성의 강도(RR or OR)추정된

노출수준

Radon OR=2.211) 상2)

X-and

Gamma-Radiation

RR=1.6(1.1 2.4)– 3) 상

RR=1.0(0.7 1.5)– 4)

유방암으로 후 이차 유방암RT RR=3.95)

소아 호지킨병으로 후RT RR=5.96)

유방암으로 후 이차유방암RT RR=0.99(0.76 1.3)– 7)

폐암으로 후RT RR 2.8(1.0 8.2)–

후RT RR=3.2

후RT RR=3.6

후RT RR=3.6

후X-ray RR =38)

방사선의 상대위험도와 추정된 노출 수준Table 3-20.

1)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monograph vol.78. 2001.

2) Thomas DB, Rosenblatt K, Jimenez LM, McTiernan A, Stalsberg H, Stemhagen A, Thompson

WD. Ionizing radiation and breast cancer in men (United States). Cancer Causes Control

1994;5(1):9-14.

3)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monograph vol.75. 2000.

4) Boice JD Jr. Radiation and non-Hodgkin's lymphoma. Cancer Res 1992;52(19

Page 12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20

마. 건강행태

흡연과 식이습관 등의 건강행태를 통해서도 위험요인에 노출될 수 있다.

개인의 식습관에 의해 노출되는 물질이면서 유방암 위험 증가와 관련성이

의심되는 것 중 하나가 질산염 아질산염이다 질산염 아질산염은 토양 비료/ . /

성분으로 주로 경작 과정에서 오염된 농작물 쌀 밀 목화 담배 채소 등, ( , , , , )

을 섭취함으로써 노출된다 이외에 오염된 식수 절인 고기 고기에 첨가된. , ,

보존제를 섭취함으로써 노출될 수 있다.

바. 직업

직업으로 인해 노출되는 환경 위험요인의 역학 연구와 노출수준에 관한

내용은 와 같다 아직까지 도장공 이 미용사 교대제에 대해 유table 3-22 . , / ,

방암 발생과의 일관된 결과가 도출되지 못하고 있다.

Suppl):5489-5491.

5) Storm HH, Andersson M, Boice JD Jr, Blettner M, Stovall M, Mouridsen HT, Dombernowsky

P, Rose C, Jacobsen A, Pedersen M. Adjuvant radiotherapy and risk of contralateral breast

cancer. J Natl Cancer Inst 1992;84(16):1245-1250.

6) Bhatia S, Robison LL, Oberlin O, Greenberg M, Bunin G, Fossati-Bellani F, Meadows AT.

Breast cancer and other second neoplasms after childhood Hodgkin's disease. N Engl J Med

1996;334(12):745-751.

7) Inskip PD. Pelvic radiotherapy, sex hormones, and breast cancer. Cancer Causes Control

1994;5(5):471-478.

8) Shore RE, Hildreth N, Woodard E, Dvoretsky P, Hempelmann L, Pasternack B. Breast cancer

among women given X-ray therapy for acute postpartum mastitis. J Natl Cancer Inst

1986;77(3):689-696.

Page 12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21

Chemical

name

연관성의 강도

(RR or OR)

추정된

노출수준생물학적 노출지표

생체

반감기

Tobacco

smoking

RR=1.051) 3.9% Blood, urine or

salivary cotinine

(sensitivity of

96 97% and a–

specificity of

99 100%). Cotinine–

농도는 average daily

의 측정에exposure

좋고 의past 2 3 days–

노출을 반영함.

n icot ine

반감기는

시간2

Nitrate or

nitrite

Diet nitrate <11.6

/11.6 18.0 /18.1– –

27.2 />27.2 RR=1.00

/0.98 (0.83 1.17)–

/1.04 (0.87 1.24)–

/0.99 (0.83 1.19)–

주로 식이

중 노출이

므로 식습

관에 따라

다름.

1)direct: urinary,

salivary, blood

N-methylnicotinamide

(NMN) 2)indirect:

blood/urine

methemoglobin

Serum-free

hemoglobin, Serum

haptoglobin

시간 미1

건강행태의 상대위험도 노출 수준 생물학적 노출지표Table 3-21. , ,

1)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monograph vol.83. 2004.

Page 12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22

Chemical

name연관성의 강도(RR or OR)

추정된노출수준

Painter 년 이상 년이상Any/5 /10

OR=1.7(0.4 7.4)/1.0(0.2 4.9)/1.4 (0.3 6.2)– – – 1)

자료없음

Hairdresser

or barber

RR=1.02 (0.62 1.69)– 1.20%

RR=1.02 (0.95 1.09)– 2)

Shiftwork

that involves

circadian

disruption

rotating night work

년 년 년 이상never/1-15 /15-29 /30

RR=1/1.08(0.99 1.18)/1.08(0.90 1.30)/1.36(1.0 1.78)– – – 3)

3.4%4)

rotating night work

년 년 년이상never/1-9 /10-19 /20

RR=1/0.98(0.87 1.10)/0.91(0.72 1.16)/1.79(1.06 3.01)– – –

1)age<50, None/<3.1yrs./>3.1yrs

OR=1.0 /0.3(0.1 1.2) /0.9(0.3 2.9)– –

2)Aged50+, None/<3.1yrs./>3.1yrs

OR=1.0/3.2(0.6 17.3)/4.3(0.7 26.0)– –

1)>1/2yRR=1.5(1.2to1.7)

2)>6yRR=1.7(1.3to1.7)

  년 년 년 년이상0 /1-14 /15-29 /30

OR=1.0/0.95(0.67 1.33)/1.29(0.82 2.02)/2.21(1.10 4.45)– – –

 

직업적 위험요인의 상대위험도와 추정된 노출 수준Table 3-22.

1)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monograph vol.98. 2010.

2)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monograph vol.99. 2010.

3) Schernhammer ES, Kroenke CH, Laden F, Hankinson SE. Rotating night shifts and risk of

breast cancer in women participating in the nurses' health study. J Natl Cancer Inst

2001;93(20):1563-1568.

4) 한국노동패널 한국노동패널 차년도 데이터. 9 . 2006. Available: http://www.kli.re.kr/

klips/ko/main/main.jsp. [cited 14 Sep 2011]

Page 12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23

4. 외국의 유방암 환경 위험 요인 조사 체계

가. BCERCs(Breast Cancer and the Environment Research

Centers)

는 유방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생애 환경 노출의 특징을 파악BCERCs

하는 것을 목적으로 년부터 시작된 연구이다 연구 목표는2003 (table 3-23).

생애동안 정상 유방 발달의 분자적 변화와 환경 노출이 있는 경우의 분자

적 변화 비교 유방 발달 시작 초경 사춘기 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과, , ,

유전 요인을 포함한 여성의 사춘기를 역학 연구하며 소녀와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한 보건 메시지를 위해 유선 발달과 노출로 인한 변화에 관한 과

학 지식을 통합하는 것이다. NIEHS(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와 의 공동 기금으로 운영Health Sciences) NCI(National Cancer Institute)

되며 연구를 진행중이다Puberty study, Windows of susceptibility .

1) Puberty study

는Puberty study COTCs(collaborating with local Community Outreach

가 연구를 진행한다 사춘기 시작을 결정하는 요인and Translation Cores) .

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로 명의 소녀들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코호트, 444

연구이다 태어날 때 의 구성원이었던 다양한 인. KPNC health care system

종의 소녀들을 년에 재모집하였고 소녀들은 첫 방문시 세였다 연2003 , 6-8 .

구 대상자들은 이후 년에 한번 에 방문하여 신체 계측 키 체1 KPNC clinic ( ,

중 및 유방과 음모의 을 측정하였다, BMI) tanner stage .

측정한 환경요인은 호르몬 활성이 있는 개인 용품 및 가정 용품 식이와,

운동을 포함한 생활 습관 요인이었고 사춘기 시작을 결과변수로 하였다, .

Page 12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24

사춘기 시작은 유방과 음모의 로 판단하였다tanner stage (table 3-23).

2) Windows of susceptibility(WOS)

는 개 파트의 가 연구 주Windows of susceptibility 8 Community Partners

체이다 사춘기 이외의 감수성의 창을 찾는 것이 목적으로 유전 환경 상호. -

작용 감수성의 창 기간 동안 환경 노출이 유방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의,

분자 기전을 분석하기위한 연구이다 연구는 유선 상피세포를 이용한 세포.

실험 연구와 동물의 환경 노출 실험 연구로 진행된다.

주요 환경 노출은 방사선 노출이며 식이 호르몬 대체요법 내분비계장애, ,

물질 노출 등을 연구하고 있다.

BCERCs (Breast cancer and the environment research centers)

연구 목적 유방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생애 환경 노출의 특징 파악

생애동안 정상 유방 발달의 분자적 변화와 환경 노출이 있는

경우의 분자적 변화를 비교.

여성의 사춘기 유방발달 시작 초경 사춘기 성숙에 영향을 미( , ,

치는 환경과 유전요인 포함 를 역학 연구) .

소녀와 젊은 여성을 대상으로 한 보건메시지를 위해 유선발달,

과 노출로 유발되는 변화에 관한 과학지식 통합

연구 기간 2003 2010∼

연구비 와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NIEHS)

의 공동기금 총 연구비National Cancer Institute (NCI) . $35

약 억원million( 400 )

Table 3-23. BECRC(Breast Cancer and the Environment Research Centers)

Page 12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25

Puberty Study        

연구 주체 COTCs (collaborating with local Community Outreach and

내 개 파트Translation Cores) 3

Cincinnati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Continued

Studies of Environment Impact on Puberty)

Kaiser Foundation Research Institute(The CYGNET Study:

Envirormental and Genetic Determinants of Maturation of Girls)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Environmental and Genetic

Determinants of Puberty)

연구 목적 사춘기 시작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이해.

연구 설계 명의 소녀들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코호트 연구444

연구 대상 첫 방문 시 세인 다양한 인종의 소녀 명 태어날 때6-8 444 . KPNC

의 구성원이었던 소녀들을 재모집 년health care system (2003 )

주로 어머니 에게 연구 참여 의향을 묻는 편지health care provider ( )

를 보내서 거부하지 않는 경우 전화를 걸어 연구 대상자 모집

연구 방법 년에 한번 에 방문 신체 계측 키 체중 유방과1 KPNC clinic , ( , , BMI),

의 을 측정pubic hair tanner staging

환경요인 호르몬활성의 개인용품과 가정용품 생활습관 요인(hormonallyactive) ,

식이섭취 운동( , )

결과 변수 사춘기의 시작 유방과 음모의 으로 측정 유방 성숙( tanner staging ;

은 과 으로 성숙은visual inspection palpation , Pubic hair visual

으로 측정inspection .)

기타조사

변수

인종 아버지의 부재 가계 수입 엄마의 초경 연령 정신사회적 요인, , , , .

의Table 3-24. BCERC Puberty study

Page 12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26

Windows of Susceptibility (WOS)

연구 주체 내 개 파트Community Partners (CP) 8

Michigan State University (Pubertal High Fat Diet: Effects on

Inflammation, Mammary Development and Cancer)

Mount Sinai School of Medicine of NYU (Breast Cancer

Genomics in Windows of Susceptibility to Endocrine

Disruptors)

Public Health Institute (PEDIGREE: Prenatal 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InterGenerational Risk)

University of Alabama at Birmingham (Combinational

Environmental Chemicals Altering Susceptibility for Mammary

Cancer)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Environmental Effect

on the Mammary Gland across the Lifespan)

University of Cincinnati (Susceptible Window of High Fat

Diet/Bisphenol A Programming of Breast Cancer Risk)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Chapel Hill (Pregnancy,

Obesogenic Environments, and Basal-like Breast Cancer)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Genetics of Breast Cancer

Risk at Windows of Exposure)

연구 목적 사춘기 이외의 다른 감수성의 창을 찾기 위한 연구 식이 호르몬 치( ,

료 소아와 성인에서 내분비계 장애물질 등의 물질 장시간 노출 연구,

등)

유전 환경 상호작용 감수성의 창 기간 동안 환경 노출이 유방암 발- ,

생에 영향을 미치는 분자적 메커니즘 분석(molecular, genetic

approach)

연구 설계 동물 실험 세포 실험,

연구 대상 유선의 상피세포 동물,

연구 방법 동물에서 태아기 및 임신기 사춘기 시기에 식이 내분비계장애물질, , ,

호르몬 치료방사선 노출 실험.

유선의 상피세포에 방사선 내분비계장애물질 노출,

종양의 분석gene array, signaling pathway

환경요인 방사선 식이 내분비계장애물질 호르몬 치료, , (BPA, DEHP),

결과 변수 동물에서 유선종양 발생 종양분화와 전이,

의Table 3-25. BCERC Windows of Susceptibility study

Page 12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27

나. Sister study(A study of the Genetic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는Sister study NIEHS(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가 주축이 되어서 진행하는 연구로 연구비 또한 에서 지원Sciences) NIEHS

하고 있다 연구 목표는 유방암 위험 변화에 유전자와 환경이 어떻게 영향.

을 미치는 지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본인은 유방암에 걸리지 않았.

으나 자매가 유방암에 걸린 세 여성 명이며 연구 대상자 등록35-74 50,000

은 년 시작되어 년 마감되었다 모든 연구 대상자는 년간 추적2004 2009 . 10

관찰 할 예정이다.

연구 참여자는 매년 추적 관찰되며 전화 설문 설문지 자가 기입 검사자, ,

면접 방식 중 택일하여 응답할 수 있다 설문은 식이 가족력 과거 시간. , , 20

노출 개인 용품 종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가량 소요된다 또한 혈액, 4 90 .

및 소변 채취 발톱 채취 집의 먼지 채집 키 체중 허리둘레 엉덩, , , , , BMI, ,

이 둘레 혈압 측정도 시행한다, .

에서는 와Sister study The Two Sister Study The Early Life Exposure

또한 진행하고 있다 는 본인은 유방암에 걸Study . The Two Sister Study

리지 않았으나 자매가 세 이전에 유방암에 걸린 여성 명을 대상으50 1,500

로 한 연구이다 는 세 이하 여성. The Early Life Exposure Study 60 2,200

명을 대상으로 하고 어린 시절 경험과 활동 본인 임신 시 어머니의 경험, ,

질병 가족력을 조사한다 어린 시절 노출 조사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본.

인과 어머니를 함께 설문한다.

Page 12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28

Sister study (A Study of the Genetic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연구 주체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NIEHS)

연구 목적 어떻게 유전자와 환경이 유방암 위험을 변화시키는지 파악하고자

함.

연구 기간 년부터 등록은 년 월 마감 모든 참여자 년간 추적관2004 . 2009 3 ( 10

찰 예정)

연구 설계 전향적 코호트

연구 대상 본인은 유방암에 걸리지 않았으나 자매가 유방암에 걸린 세35-74

여성 명50,000

연구 방법 전화설문과 설문지 자가기입 매년 추적 관찰.

연구비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NIEHS)

환경요인 설문지 참조

결과 변수 연구 참여 중 유방암 발생을 진단받으면 알림.

연구 참여 중 유방암 외 암종 골다공증 심장병 당뇨병 자가면, , , ,

역질환 진단받으면 알림.

기타 조사변수 혈액 및 소변 채취 발톱 채취 집의 먼지 채집 키 체중, , , , , BMI,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 혈압, ,

기타 사항 종류 식이 가족력 설문 분 소요4 ( , , past 20hrs, personal care) : 90

자가기입식- , Computer assisted telephone interview, Examiner

셋 증 택일completed form

본인은 유방암에 걸리지 않았으나 자매The Two Sister Study-

가 세 이전에 유방암에 걸린 여성 명50 1,500

본인과 어머니 함께 설문The Early Life Exposure Study( )- 60

세 이하 여성 명 어린시절 경험과 활동 본인 임신 시 어머2,200 . ,

니의 경험 질병 가족력,

Table 3-26. Sister study (A Study of the Genetic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Page 12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29

Table 3-26. Sister study (A Study of the Genetic and Environmental

계속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

Sister study (A Study of the Genetic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for

Breast Cancer)

설문지 식이 가족력 본인 임신시 엄마의 당뇨 간질 임신성 고혈압 전자간증, ( , , , ,

복용 흡연 간접흡연 본인의 출생체중 모유수유 두유섭취 다태아여DES , , , , , ,

부 엄마 및 아빠 할머니 할아버지 엄마쪽 및 아빠쪽 의 병력 유방암, , , ( ) - ,

난소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백혈병 임파종 뇌암 등, , , , , )

잠들기 전 졸린 정도 몇 분만에 잠past 24hrs questionnaire - nightshift, ,

에 빠지는지 잠잘 때 주변환경 불빛유무 약물복용 음주 흡연 농약, ( ), , , , ,

크림 및 로션 향수 및 코롱 파운데이nail polishor remover, , self-tanner, ,

션 블러쉬 눈화장 립스틱 혈관주사 헌혈 치과치료 등, , , , , , , x-ray

새가구 카펫 애완동물 페인트 혹은 벽지 에어컨 농약past 4 week - , , , , ,

노출.

피임약 월경주기past 12 month - , HRT, .

마스카라 아이새도우 아이라이너 립스틱 입술보습제Personal care - , , , , ,

파운데이션 플러쉬 및 루즈 메이크업 리무버 클렌징 크림 얼굴크림 및, , , ,

모이스춰라이져 얼굴마스크 및 주름개선화장품, , anti-aging , spotlightner,

여드름 개선 화장품 미백화장품, , self-tanning, mineral-based oil,

바디로션 및 크림 핸드로션 및 크림 발크림 및 모이스춰petroleumjelly, , ,

라이져 데오도란트, , antiperspirant, douche, talcum powder, bathor

린스 헤어shower gel, shave, shaving cream, shampoo, hair conditioner, ,

스프레이 헤어젤 무스 머리염색약 노출 머리카락이 가늘어졌는지 여부, , , , ,

머리카락 빠짐 여부 흰머리 여부, , nail polish, polish remover cuticle

인조손톱 머리에 이나 도포 여부 피임약 복용cream, , monoxidil rogaine ,

Page 13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30

다. Cape Cod Breast Cancer and Environment Study

는Cape cod breast cancer and environment study Silent spring

가 진행하는 연구이다 에서는institute . Silent spring institute Household

등 여러exposure study, Newton breast cancer study, Water Research

연구를 하고 있는데 는Cape Cod Breast Cancer and Environment Study

그 일부이다 는. Silent spring institute CDC, US EPA, National Cancer

등 개 기관과 개인 후원금으로 운영되고 있다Institute, Agua Fund 33 .

는 환경 화학물질과 여Cape cod breast cancer and environment study

성 보건 특히 유방암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환자 대조군, -

연구이다 연구는 년 진행되었으며 거주자 중. 1999-2000 Cape cod

년에 유방암을 진단받은 명과 대조군 명을 연구 대상자1988-1995 1,165 1,006

로 하였다 환자군은 유방암 진단 전 개월 이상 거주자 대조군. cape cod 6 ,

은 연구 시행당시 개월 이상 거주자로 제한하였다cape cod 6 .

상담원의 전화 설문으로 집과 집 주변에서 residential cleaning

product(cleaning product use, Air freshener spray, Solid air freshener,

Oven cleaner, Surface cleaner, Mold/mildew control with bleach),

개 카테고리pesticide(10 -insecticides, lawn care, herbicides, lice control,

노출을 파악한다insect repellents, and pest control on pets.) .

Page 13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31

Cape Cod Breast Cancer and Environment Study

연구 주체 Silent spring institute

연구 목적 환경화학물질과여성보건특히유방암의관계파악,

연구 기간 년 설립 환자 대조군 연구는1994 silent spring institute . -

1999-2000

연구 설계 환자 대조군 연구-

연구 대상 거주자 중 년에 유방암을 진단받은 명Cape cod 1988-1995 1,165 ,

대조군 명1,006

환자군은 진단받기 전 거주 개월 이상 대조군은 연구cape cod 6 ,

시행당시 거주 개월 이상cape cod 6 .

연구 방법 상담원의 전화설문 조사 분소요(50 )

연구비 등 개CDC, US EPA, National Cancer Institute, Agua Fund 33

기관과 개인 후원금으로 운영silent spring institute

환경요인 상담원의 전화조사로 집과 집 주변에서 잔여 세척 용품 농약, (10

개 카테고리-insecticides, lawn care, herbicides, lice control,

노출 파악insect repellents, and pest control on pets.)

세척용품 사용 오븐, Air freshener spray, Solid air freshener,

세척제 표면 세척제, , mold/mildew control with bleach

기타 조사변수 유방암 가족력 교육수준 월경력과 생식력 키 체중 음주와 흡연, , , , ,

운동 호르몬 약물 사용,

Table 3-27. Cape Cod Breast and Environment Study

Page 13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32

5. 설문조사 도구 마련

가. 환경 위험요인 노출 경로 범주화

설문지 문항을 개발하기 위해 먼저 유방암 관련 우선적 검토대상 환,

경요인 종의 주 노출경로를 범주화하였다 범주화된 노출 경로는 직업22 . ,

거주지역 거주지 대기오염 식품 용기 개인용품이었다 직업/ , , , , (table 3-28).

을 통해 노출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위험요인은 1,3-Butadiene, Benzene,

Ethylene oxide, BPA, Acrylamide, Phthalates, X- and gamma ray,

Shiftwork, Dieldrin and aldrin, DDT/DDE, Formaldehyde,

로Tetrachloroethylene, Trichloroethylene, Painter, Hairdresser or barber

개 종류였다 개인용품 사용을 묻는 문항으로는15 . Phthalate, Acrylamide,

노출을 측정할 수 있었다Ethylene oxide .

나. 설문지 개발

우선적 검토대상 환경 요인의 범주화된 주요 노출 경로 자료를 바탕으로

우선적 검토대상 환경 요인 노출을 평가할 수 있는 설문도구를 개발하였

다 인지조사와 예비조사에 사용한 설문지는 환자군과 대조군의 설문지. 2

종이며 건강 월경 임신 출산 호르몬제 건강행태 개인용품 사용 식품 용, , / / / , , , /

기 사용 거주 지역 거주지 직업 응답자 특성의 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 , , 8

있었다 인지조사 설문지의 분량은 환자군 쪽 대조군 쪽이었고 예비. 16 , 12 ,

조사 설문지의 분량은 환자군 쪽 대조군 쪽이었다 인지조사와 예비조15 , 12 .

사에 사용된 설문지는 부록 에 수록하였다1-4 .

Page 13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33

노출경로 위험 요인

직업 석유 정제 및 부타디엔 생산 부타디엔을,

이용한 폴리머 및 그 부산물 생산 고무 타, (

이어 등 및 플라스틱 생산 등)

1,3-Butadiene

벤젠 및 관련물질 생산 Benzene

산화에틸렌 생산 산업적 멸균 의료기구, ,

소독

Ethylene oxide

물병 및 음식캔 생산 물수송 파이프 제조, ,

치아 밀폐제 제조

BPA

아크릴아미드 및 관련 물질 생산 Acrylamide

프탈레이트 및 관련 물질 생산 Phthalate

전리방사선 노출 직종 X- and gamma ray

밤근무를 포함한 교대제 Shiftwork

농약 취급 직종 Dieldrin and aldrin,

DDT/DDE

가구나 마루바닥 니스칠 직물 제조 마감, ,

의복 방부제 사용 병리사 제지업 포름알, , , ,

데히드 수지 제조 플라스틱 생산/ ,

Formaldehyde

드라이클리닝 세탁 관련 물질 생산( ), Tetrachloroethylene

금속 세척(Degreasing) Trichloroethylene

도장 Painter

이미용사 Hairdresser or barber

우선적 검토대상 환경요인의 노출경로 범주화Table 3-28.

Page 13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34

우선적 검토대상 환경요인의 노출경로 범주화 계속Table 3-28. ( )

노출경로  위험 요인

거주지역 /

거주지

위험 화학요인 제조 사업장 근처 거주 1,3-Butadiene, Benzene,

Ethyleneoxide

변압기 근처 거주 PCBs

라돈 노출 지역 Radon

새집 수리 파티클보드 등 건축자재 카/ ( ,

페트 페인트 니스, , )

Formaldehyde

대기오염 간접흡연 흡연/ 1,3-Butadiene, Benzene,

Ethylene oxide,

Acrylamide, IQ, PhIP

자동차 배기가스 1,3-Butadiene, Benzene

식품 탄수화물 튀김 감자 고구마칩 튀김( / , ),

과자 쿠키 커피/ ,

Acrylamide

생선 육류 계란 치즈 우유, , , , PCBs, Dioxins

육류나 생선을 튀기거나 구운 음식 닭(

튀김 계란 후라이 튀긴 생선 석쇠에, , ,

구운 고기 스테이크, )

IQ, PhIP

농지 근처 지하수 음용 잎채소 햄 베, , ,

이컨 프랑크프르트 소시지,

Nitrate

용기 플라스틱 BPA, Phthalates(PET)

캔 BPA

개인용품 화장품 향수 사용, Phthalate, Acrylamide,

Ethylene oxide

  곤충 기피제 Phthalate

Page 13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35

6. 인지조사 및 예비조사

가. 인지조사

인지조사는 개발된 설문지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보다 정확한 유방암 발

생과 환경 위험요인의 관련성 평가를 위한 조사 도구를 마련하기 위해 실

시하였다 인지 조사 결과는 질문의 이해도 응답시간 및 집중도 응답 거. , ,

부 정도 설문지 전체 구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

1) 질문의 이해도

질문의 이해도에서는 설문 문항이 이해하기 쉽고 바로 응답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지 평가하였다 매우 어려웠다가 점 매우 쉬웠다를 점으. ‘ ’ 1 , ‘ ’ 5

로 점수화하였을 때 보통이라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지만 어려운 편이라는,

응답 또한 비교적 많았다(table 3-29).

설문 문항에 대한 응답자 평가에서 문항 자체가 바로 응답할 수 없고‘

생각을 오래 해야 하는 부분이 있어 어려움이 있었고 지금 현재가 아닌,

옛날에 있었던 내용에 대해 물어봐 정확한 답변을 할 수 없었다 설문 문’, ‘

항이 너무 복잡해 면접원의 설명을 들어도 다시 물어보는 경우가 많이 생

겼다 또한 기억해야 하는 문항이 너무 많았다 식품 용기 문항에 들어가. ’, ‘ /

서는 응답해야 할 내용이 너무 많았고 솔직히 얼마나 먹었는지 혹은 사용, ,

했는지 정확한 답변을 할 수 없었다 이해 안 되는 문항은 없었는데 전체’, ‘ ,

적으로 봤을 때 조금 까다로웠다는 응답이 있었다’ (table 3-30).

Page 13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36

구 분 대40 대50 대60

대조군설문지 3 4 2 2 2 2 3 4 2

환자군설문지 3 3 2 3 3 2 4 3 3

설문지 질문의 이해도 응답 분포 단위 명Table 3-29. * :

매우 어려웠다 점 어려웠다 점 보통이다 점 쉬웠다 점 매우 쉬* 1 , 2 , 3 , 4 ,

었다 점5 .

Page 13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37

대조군 설문지문항 자체가 바로 응답할 수 없고 생각을 오래 해야 하는 부분이 있1.

어 어려움이 있었고 지금 현재가 아닌 옛날에 있었던 내용에 대해 물,

어봐 정확한 답변을 할 수 없었다.

설문 문항이 너무 복잡해 면접원의 설명을 들어도 다시 물어보는 경2.

우가 많이 생겼다 또한 기억해야 하는 문항이 너무 많았다. .

식품 용기 문항에 들어가서는 응답해야 할 내용이 너무 많았고 솔직3. / ,

히 얼마나 먹었는지 혹은 사용했는지 정확한 답변을 할 수 없었다, .

검사 문항 문 의 경우 흉부 촬영을 몇 번했는지 물어보는4. ( 16) X-ray

데 최근 년도 아니고 평생 몇 번을 촬영 했는지 어떻게 알 수 있는.. 1

지 기간을 정해줬으면 좋겠다? .

이해 안 되는 문항은 없었는데 전체적으로 봤을 때 조금 까다로웠5. ,

다.

환자군 설문지설문 내용은 어렵지 않았으나 살면서 이동이 많았다면 거주 기간을1. ,

기억해서 쓸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됐다 대? .

략 나이 정도로 몇 년 거주했는지 정도면 괜찮을 것 같다.

설문 문항이 예전에 있었던 상황에 대해 물어봐 기억하는 게 쉽지2.

않았다.

언제부터 언제까지와 같이 년도에 대해 물어보는 문항이 많은데 기3.

억하는 게 쉽지 않았다.

질문이 명확치 않아 명확한 기준을 정해 응답하기 어려웠다 예를 들4. .

어 만삭으로 출산 자녀수를 물어보는데 조산으로 태어난 아이는 포함

을 안 하는 건지 포함이 안 된다면 왜 안 되는 건지 이유가 궁금하다, .

식품 관련 문항에서 응답 보기를 너무 세세하게 나눈 건 아닌지 모5.

르겠다 보기가 너무 나눠져 있어 응답하기가 어렵고 내가 맞게 응답.

을 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문항을 이해하는 건 무리가 없었다 그렇지만 면접원에게 다시금 확6. .

인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했다 많이 까다롭다. .

설문지 질문의 이해도와 관련된 서술 내용Table 3-30.

Page 13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38

2) 응답시간 및 집중도

응답시간 및 집중도 항목은 설문을 진행하는 데 있어 응답자의 집중 정

도와 총 응답시간을 면접원이 작성하였다 설문지 응답시간 분포는. table

과 같다 최소 분에서 최장 분이 소요되었으며 평균 응답 시간은3-31 . 20 50 ,

분 가량이었다 설문에 대한 집중도는 대부분 보통 이상이었다32 . (table

3-32).

구분 연번 응답시간응답시간

총( )

대조군

설문지

대40 1 시 분 시 분10 54 ~ 11 44 분50

2 시 분 시 분11 9 ~ 11 35 분26

3 시 분 시 분14 16 ~ 14 36 분20

대50 1 시 분 시 분10 53 ~ 11 29 분36

2 시 분 시 분14 37 ~ 15 03 분26

3 시 분 시 분15 10 ~ 15 44 분34

대60 1 시 분 시 분10 20 ~ 10 40 분20

2 시 분 시 분10 52 ~ 11 32 분40

3 시 분 시 분15 00 ~ 15 32 분32

환자군

설문지

대40 1 시 분 시 분10 53 ~ 11 26 분33

2 시 분 시 분11 9 ~ 11 35 분26

3 시 분 시 분12 53 ~ 13 18 분25

대50 1 시 분 시 분16 55 ~ 17 22 분27

2 시 분 시 분17 30 ~ 17 58 분28

3 시 분 시 분18 30 ~ 19 03 분33

대60 1 시 분 시 분10 15 ~ 10 50 분35

2 시 분 시 분11 00 ~ 11 40 분40

3 시 분 시 분12 5 ~ 12 55 분40

설문지에 응답하는 데 걸린 시간Table 3-31.

Page 13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39

구 분 대40 대50 대60

대조군설문지 2 4 4 4 5 4 3 5 4

환자군설문지 4 4 3 5 3 3 5 4 4

설문에 대한 집중도 분포 단위명Table 3-32. :

매우 집중 안 함 점 집중 안 함 점 보통이다 점 집중함 점 매우* 1 , 2 , 3 , 4 ,

집중함 점5 .

3) 응답 거부 정도

면접 진행 시 응답자의 거부감 정도를 강한 거부 점 부터 매우 호의적(1 ) (5

점 까지 점 척도로 조사하였다 호의적이라는 응답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5 .

응답 거부와 관련된 내용으로는 지금까지 사신 곳을 물어보(table 3-33). ‘

는 문항에서 왜 내가 살았던 곳에 대해 응답을 해야 하는지 말할 수 없다

고 강하게 거부하거나 지금까지 하신 일을 모두 기입하는 부분에서 이거’ , ‘

를 꼭 다 적어야 하는지 정확한 년도가 기억이 안 난다 너무 귀찮다고? .

말하는 의견이 있었다’ (table 3-34).

구 분 대40 대50 대60

대조군설문지 2 4 2 2 4 3 3 5 3

환자군설문지 4 5 3 2 3 4 5 5 3

설문에 대한 응답 거부 정도 분포 단위명Table 3-33. * :

강한 거부 점 거부 점 보통이다 점 호의적 점 매우 호의적 점* 1 , 2 , 3 , 4 , 5 .

Page 14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40

대조군 설문지

전체적으로 설문문항에 대해 불만을 가지고 있음 문항이 너무 길고1. .

복잡하다고 함.

문 지금까지 사신 곳을 물어보는 문항에서 왜 내가 살았던 곳에2. 23)

대해 응답을 해야 하는지 말할 수 없다고 강하게 거부함.

문 지금까지 하신 일을 모두 기입하는 부분에서 이거를 꼭 다3. 27-1)

적어야 하는지 정확한 년도가 기억이 안 난다 너무 귀찮다고 말함? . .

거부를 심하게 하는 건 아니지만 설문이 진행될수록 내용이 복잡해4.

지고 이전의 일들을 기억해야 하는 부분이 있어서 인지 정확하게 답변

하기 않고 건성건성 응답함.

환자군 설문지

처음에는 호의적으로 설문에 응답을 해주었으나 설문이 진행될수록1. ,

짜증을 냄 문항이 너무 길고 복잡하다고 함. ( .)

예전 일에 대해 기억이 나질 않는데 대략적이라도 응답해 달라고 요2.

청하였으나 대략적인 걸 왜 조사하는지 호통을 침, .

강한 거부는 아니였으나 설문 종료 후 이런 거 다신 안하겠다 문항3. , .

이 너무 까다롭다고 함.

설문 응답의 거부와 관련된 서술 내용Table 3-34.

4) 설문지 전체 구성

마지막으로 설문지 전체 구성에 대해 좋은 부분과 수정이 필요한 부분을

서술형으로 물었다 설문지 구성에 대한 지적 내용을 환자군 설문지 문항.

별로 정리하면 와 같다table 3-35 .

Page 14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41

문항 의견

문1-4.내가 유방암에 걸렸던 건 아니지만 자신의 진단 병기를 모,

를 수 있는지 의문이 든다.

문2.

있을 경우 오픈문항으로 묻기보다 객관식으로 응답할 수)

있게 보기를 주는 건 어떤지 어머니 딸 자매 말고 다른? , ,

사람을 응답할 수 있을 것 같다.

문3.양성 종양 이게 암이랑 다른 건지 잘 모르겠다 설명이? ? .

있었으면 더 좋겠다.

문6-2. 조산으로 출산한 자녀는 포함이 안 되는 건지?

문6-3.

모유수유 기간을 아이 명에 대해 말하는 건지 전체인지1 ? ?

기준이 조금 더 명확했으면 좋겠다.

자녀수에 대해 물어보고 진행하는 게 효율적일 것 같다.

문7. 8. 9.

그렇다 응답 경우 주관식으로 물어보는데 이를 문, 7-1, 8-1,

등과 같은 식으로 구분하면 더 쉽게 작성이 가능할 것9-1

같다.

문10.

결혼 전도 포함이 되는 건지 하루 시간을 말해달라? ______

고 하는데 잘 모르겠다.

아버지가 굉장히 많이 피워 측정하기 어려운데 어느 정도를

써야 하는지 모르겠다.

가족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가구 내 동거자도 가족으로?

포함되는 건지 모르겠다.

가족 중에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있는 건지 집안 공간에?

서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있는 건지 모호하다? .

문10-1.

담배연기들 맡을 때에 대해 물어보는데 시간 측정을 어떻...

게 하는지 개비로 물어보는게 더 적절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베란다에서 피고 들어오는데 담배연기를 어떻게 측정하는

지 응답하기 곤란하다? .

문11-1.술을 언제부터 마셨는지 만나이로 딱 잘라 말할 수 없다.

정확하게 기억이 안 난다.

문12. 술을 마실 때마다 편차가 너무 심해 응답하기 어렵다.

문13.

횟수에 대해 주관식으로 물어보는데 보기를 제시해주는 게

더 정확하지 않을까 터무니없이 많이 응답할 경우가 생길?

것 같다.

설문지 전체 구성에 대한 응답Table 3-35.

Page 14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42

설문지 전체 구성에 대한 응답 계속Table 3-35. ( )

문항 의견

문18.

최근 년도 아니고 이거를 어떻게 아는지 특히 흉부1 , ?

는 더 힘들다X-Ray .

는 어느 부위를 말하는 건지CT ?

촬영을 하긴 했는데 어떤 걸 촬영했는지 정확히 모르게다, .

일반적으로 맘모그램 보다 흉부 가 일반적이지 않은? X-ray

가 일반적인 걸 물어보고 맘모그램을 물어보는게 응답자?

가 접근을 수월하게 할 수 있을 것 같다 처음에 맘모그램.

이라고 해서 그게 무엇인지 잘 와 닿지 않았다.

최근 년도 아니고 지금까지 검사받은 횟수를 어떻게 기억1

하냐 잘 모르겠다? .

문 19.해충 퇴치를 따로 하지 않아 답변이 곤란하다 해당 없음. (

이 추가 되어야 하는 게 아닌지?)

문20-1, 5,

6.

색조화장품의 기준을 잘 모르겠다 루즈는 매일 하지만 다. ,

른 화장품은 따로 하지 않는데 어떻게 응답을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 방향제 탈취제 청소용세제 무엇을 말하는지 잘. , /

모르겠다 정확한 명칭 혹은 제품명이 있으면 더 수월할 것.

같다 뿌리는 건지 집에 놓는 걸 말하는지. ? ?

방향제나 탈취제 어떤 종류를 말하는 건지 잘 모르겠다.

몇 세부터 사용했는지 알 수 없다 그런 걸 어떻게 기억하.

고 사냐?

문23.

한번 잡수실 때 문항을 이해하기 어렵다 전체적으로‘ ~’ .( ~)

잎채소에 김치도 포함이 되는 건지?

기준분량이 나와 있는데 을 정확하게 몰라 대답이 곤란하, g

다.

한번 잡수실 때 문항 이해가 어렵다 육류 굽거나 튀긴‘ ~’ . ‘ -

것 따로 구분하기 어렵다’

야쿠르트 발효유 구분이 잘 안된다 또한 기준분량이‘ ’ / ‘ ’ .

나와 있는데 이런 걸 구분하면서 먹는 사람이 몇이나 된다

고 이렇게 구분을 하는지 잘 모르겠다.

Page 14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43

설문지 전체 구성에 대한 응답 계속Table 3-35. ( )

문항 의견

문25.

십대 먹었던 것에 대해 응답하라고 하는데 잘 기억이 나질

않는다 근데 여기서 더 나아가 주 몇 회 일 몇 회 이게. ? ?

말이 되는지 모르겠다 그리고 그 당시에 웬만큼 사는 집.

아니고는 먹기 힘든 음식들이 있는 거 같다.

십대 때 일이라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 지금도 기억이 안.

나는데 그걸 월부터 주 단위 일 단위까지 어떻게 기억을, ~

하냐 너무 한 거 아니냐? ?

문26.

몇 세부터 사용했는지 솔직히 기억이 나질 않는다.

페트병을 몇 세부터 그걸 어떻게 아느냐 페트병 음료 나? ?

왔을 때부터 먹었다.

지난 년간 십대 지난 년간 문항 구성이 통일되어야1 - - 1

지 최근 년 물어보고 십대때 물어보고 다시 지난 년 물어.. 1 1

보고 왔다 갔다 너무 복잡하다~ ~ .

문28.

거주기간을 년 단위로만 구분을 하고 있는데 이렇게 하는

것보다 월 단위까지 구분하는 게 더 정확하지 않을까?

지금까지 거주 지역의 주소를 동까지 확대하는 건 안 되는

지 년 이상을 같은 구에서 동만 이동하며 살았는데 나? 20

는 그럼 이사를 안 한 건 아니지 않느냐?

문29.

시내버스가 다니는 정도의 길이 어느 정도 길인지 잘 모르

겠다 마을버스도 시내버스에 포함이 되는지 기준을 알면. ?

응답하기 수월할 것 같다.

통행량의 많고 적고의 기준이 뭔지 잘 모르겠다 어느 정도.

가 많은 거냐?

문 에서 지금까지 거주 지역을 다 쓰고 문 에서는 시설28 29

에 대해 응답하는데 지금까지 살았던 모든 곳을 응답하는

건지 지금 사는 곳만 말하는 건지 잘 모르겠다? .

지금까지 살아온 곳을 모두 응답하라는 건지 지금 사는?

곳만 말하라는 건지 잘 모르겠다 질문 구성이 이상하지 않.

느냐 시내버스가 다니는 정도의 도로 기준이 뭔지 몇 차? ?

선 도로라도 기준을 정해주는 게 명확하지 않을까?

Page 14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44

설문지 전체 구성에 대한 응답 계속Table 3-35. ( )

문항 의견

문31-2.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게 가솔린 인지 설문 문항과는 관련? (

이 없지만 연료 구분을 못하시는 분이 계셨음)

문32-2.의료 기구를 가스 소독하는 일 이게 무엇을 말하는 건지" "

잘 모르겠다.

문32-3.

규칙적으로 일하신 시간에 대해 물어볼 때 저녁 근무1) 2)

밤 근무 교대 근무 이렇게 물어보고 있는데 이를3) ,

시 시 등으로 수정해서 물어 보am/pm (___) ~ am/pm (___)

는게 좋을 것 같다.

문32-3.

일할 당시 직장 실내에서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있었는지

문항에서

년 년 기간 년 하루_______ ~ _________ ________ __________

시간 이렇게 물어보는데

분 단위를 추가 하는 게 보다 정확하게 측정을 할 수 있을“ ”

것 같다.

5) 예비조사 설문지 확정

인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지조사 시 사용했던 설문지를 일부 수정하

였다 조사 내용 상 반드시 필요한 부분 예 십대 당시 식이습관 문항 은. ( : )

원본 그대로 유지하였으나 그 이외의 부분 예 연도를 묻는 대신 나이로, ( :

질문 흉부 촬영 횟수는 지난 년간으로 제한하여 질문 용어를 더, X-ray 1 ,

자세히 설명 등 은 가급적 인지조사의 결과에 따라 수정하여 예비조사용)

설문지를 만들었다 설문지 전문은 부록 에 수록하였다. 3-4 .

Page 14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45

나. 예비조사

인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

였다 예비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1) 예비조사 대상자 특성

예비조사 대상자는 환자군 명 대조군 명이었다 환자군의 연령과62 , 124 .

지역을 매칭하여 대조군을 선발하였다 교육수준 결혼상태에서 환자군1:2 . ,

과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table 3-36).

예비조사 대상 환자군에서 진단 시기가 년 이전인 사람이 로1-2 35.5%

가장 많았으며 세부 진단명을 모른다는 응답이 에 달했다 진단병기74.2% .

는 기 기 였다 치료 완료된 응답자가 였다1 35.5%, 2 41.9% . 74.2% (table

3-37).

2) 유방암의 확립된 위험요인 분포

유방암의 확립된 위험요인 중 환자군과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인

위험요인은 양성 유방질환 과거력 폐경여부 모유 수유 경험 경구피임약, , ,

복용 경험 기타 여성호르몬제 복용 경험이었다, .

환자군에서 폐경여부를 묻는 설문에 그렇다라고 응답한 사람이 월등히‘ ’

많았으나 자연폐경이 아닌 기타 이유로 폐경이 되었다고 응답한 환자가,

많았다 이는 유방암의 치료 약제로 인한 폐경 유도가 많은 것과(63.6%).

관련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양성 유방질환 과거력 모유 수유 경험 경구피임약 복용 경험 기타 여성, , ,

호르몬제 복용 경험에서도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양성 유.

방질환 과거력이 있는 사람 모유 수유 경험이 없는 사람 경구피임약 복용, ,

Page 14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46

경험이 있는 사람 기타 여성호르몬제 복용 경험이 있는 사람의 경우 각, ,

요인별 해당 대상자 수가 적어 통계적 유의성 확보를 위해 더 큰 표본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table 3-36).

구 분 환자군(N=62) 대조군(N=124) 합(N=186) p-value

연령        

대30 1 (1.6) 2 (1.6) 3 1

대40 21 (33.9) 42 (33.9) 63

대50 34 (54.8) 68 (54.8) 102

대60 6 (9.7) 12 (9.7) 18

지역

서울 50 (80.6) 100 (80.6) 150 1

경기 10 (16.1) 20 (16.1) 30

강원 1 (1.6) 2 (1.6) 3

대전 1 (1.6) 2 (1.6) 3

교육수준

중졸이하 10 (16.1) 26 (21.0) 36 0.118

고졸 32 (51.6) 63 (50.8) 95

대졸 이상 17 (27.4) 35 (28.2) 52

무응답 3 (4.8) 0 (0.0) 3

결혼상태

비혼 3 (4.8) 2 (1.6) 5 0.1646

동거 55 (88.7) 119 (96.0) 174

별거 사별 이혼/ / 3 (4.8) 3 (2.4) 6

  무응답 1 (1.6) 0 (0.0) 1  

예비조사 대상자 분포 단위Table 3-36. : N(%)

Page 14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47

항 목 구 분 N (total=62) %

진단 시기 년 이내1 15 24.2

년1-2 22 35.5

년2-5 11 17.7

년 이상5 14 22.6

진단명 관암 유관암( ) 10 16.1

소엽암 유소엽암( ) 1 1.6

기타 5 8.1

모름 46 74.2

진단 병기 기0 2 3.2

기1 22 35.5

기2 26 41.9

기3 11 17.7

기4 1 1.6

치료상태 치료중 16 25.8

  치료완료 46 74.2

예비조사 대상 환자군 분포Table 3-37.

Page 14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48

위험요인 구 분 환자군

(N=62)

대조군

(N=124)

계 p-value

Family

history

없다 61 (98.4) 122 (98.4) 183 1

있다 1 (1.6) 2 (1.6) 3

Previous

benign breast

disease

없다 48 (77.4) 118 (95.2) 166 0

있다 14 (22.6) 6 (4.8) 20

초경 연령 세 이하13 4 (6.5) 4 (3.2) 8 0.21

세 이상14 57 (91.9) 120 (96.8) 177

무응답 1 (1.6) 0 (0.0) 1

폐경여부 아니다 6 (9.7) 69 (55.6) 75 <0.0001

그렇다 56 (90.3) 55 (44.4) 111

폐경 이유

자연폐경 20 (35.7) 44 (80.0) 64 <0.0001

기타 이유 35 (62.5) 10 (18.2) 45

무응답 1 (1.8) 1 (1.8) 1

임신 경험 없다 2 (3.2) 2 (1.6) 4 0.47

있다 60 (96.8) 122 (98.4) 182

출산 시기

세 이전30 46 (76.7) 105 (84.7) 151 0.13

세 이상30 13 (21.7) 16 (12.9) 29

출산 안함 1 (1.7) 0 (0.0)

무응답 0 (0.0) 1 (0.8)

모유 수유 경험 없다 13 (21.0) 10 (8.1) 23 0.01

있다 47 (75.8) 111 (89.5) 158

무응답 2 (3.2) 3 (2.4)

경구피임약 복

용 경험

있다 19 (30.7) 16 (12.9) 35 0

없다 43 (69.4) 108 (87.1) 151

기타 여성호르

몬제 복용 경험

있다 8 (12.9) 5 (4.0) 13 0.03

없다 54 (87.1) 119 (96.0) 173

음주 회 주 미만1 / 55 (88.7) 103 (83.1) 158 0.31

이상 7 (11.3) 21 (16.9) 28

진단 전 평/

상시 체형

마른 편 9 (14.5) 11 (8.9) 20 0.48

보통 41 (66.1) 90 (72.6) 131

뚱뚱한 편 12 (19.4) 23 (18.6) 35

십대 당시 체형 마른 편 31 (50.0) 59 (47.6) 90 0.84

보통 27 (43.6) 58 (46.8) 85

뚱뚱한 편 4 (6.5) 6 (4.8) 10

  무응답 0 (0.0) 1 (0.8) 1  

유방암의 확립된 위험요인 분포Table 3-38. 단위: N(%)

Page 14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49

3) 유방암의 환경 위험요인 분포

(1) 유방암의 환경 위험요인 분포 변이와 무응답률

가( ) 개인용품

지난 년간 개인용품 사용 빈도 분포에서는1 거의 사용 안한다는 응답자

수가 가장 많았으며 세부적으로는 색조 화장품 매니큐어 헤25.8%, 77.4%

어스프레이 향수 였다 색조화장품 매니큐어 헤어스프레이76.9%, 72.6% . , , ,

향수 모두에서 무응답률은 였다0.0% (table 3-39).

지난 년간 개인용품 사용 빈도 분포 에서 방향제나 탈취제 사용 빈도1 II ,

는 거의 안한다는 응답자가 청소용 세제나 차량용 세척제 사용 빈66.1%,

도는 거의 안한다는 응답자가 로 가장 많았다 방향제나 탈취제 청41.9% . ,

소용 세제나 차량용 세척제 모두에서 무응답률은 였다0% (table 3-40).

지난 년간 염색과 브릿지 사용 빈도 분포에서 거의 안한다는 응답자가1

로 가장 많았다39.78% (table 3-41).

색조화장품 매니큐어 헤어스프레이 향수 방향제나 탈취제 청소용 세제, , , , ,

나 차량용 세척제의 경우 주 회 이상 사용을 잦은 빈도 사용으로 간주1-2

하고 언제부터 그런 정도로 사용하였는지를 물었다 염색과 브릿지의 경우.

년 회 이상 시 잦은 빈도 사용으로 간주하였다 색조화장품을 자주 사4-9 .

용한다고 응답한 명중 질문에 무응답한 사람이 명이었으며 무응답률은113 2

였다 향수를 자주 사용한다고 응답한 명중 질문에 무응답한 사람1.8% . 28

이 명이었으며 무응답률은 였다 그 외 매니큐어 헤어스프레이 방향1 3.6% . , ,

제나 탈취제 청소용 세제나 차량용 세척제 염색과 브릿지 잦은 사용 시작, ,

연령을 묻는 질문에 무응답한 사람은 없었다(table 3-42).

해충 퇴치 방법의 복수 응답 분포에서 전기 모기향을 사용하는 사람이

로 가장 많았으며 그 중 카드형을 쓰는 사람이 였다 해충 퇴치60.8% 39.2% .

방법 분포 및 무응답률에서 해충 퇴치를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사람은, 26

명 무응답 명 입력오류 명 이었다(14%), 1 (0.5%), 8 (4.3%) (table 3-43).

Page 15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50

구 분 색조화장품 매니큐어 헤어스프레이 향수

거의 안 함 48 (25.8) 144 (77.4) 143 (76.9) 135 (72.6)

월 회1 11 (5.9) 17 (9.1) 7 (3.8) 11 (5.9)

월 회2-3 14 (7.5) 9 (4.8) 8 (4.3) 12 (6.5)

주 회1-2 20 (10.8) 9 (4.8) 6 (3.2) 18 (9.7)

주 회3-4 23 (12.4) 3 (1.6) 7 (3.8) 8 (4.3)

주 회5-6 35 (18.8) 1 (0.5) 7 (3.8) 2 (1.1)

매일 35 (18.8) 3 (1.6) 8 (4.3) 0 (0.0)

무응답 0 (0.0) 0 (0.0) 0 (0.0) 0 (0.0)

지난 년간 개인용품 사용 빈도 분포 단위Table 3-39. 1 : N(%)Ⅰ

구 분 방향제나 탈취제 청소용세제나

차량용세척제

거의 안 함 123 (66.1) 78 (41.9)

월 회1 23 (12.4) 31 (16.7)

월 회2-3 26 (14) 43 (23.1)

주 회1-2 8 (4.3) 20 (10.8)

주 회3-4 4 (2.2) 6 (3.2)

주 회5-6 0 (0.0) 2 (1.1)

매일 2 (1.1) 6 (3.2)

무응답 0 (0.0) 0 (0.0)

지난 년간 개인용품 사용 빈도 분포 단위Table 3-40. 1 : N(%)Ⅱ

구 분 빈도(N) 백분율(%)

거의안함 74 39.78

년 회1 16 8.6

년 회2-3 37 19.89

년 회4-9 38 20.43

년 회이상10 21 11.29

지난 년간 염색과 브릿지 사용 빈도 분포Table 3-41. 1

Page 15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51

분 류 전체 무응답 무응답률(%)

색조화장품 113 2 1.8

매니큐어 16 0 0

헤어스프레이 28 0 0

향수 28 1 3.6

방향제나 탈취제 14 0 0

청소용세제나 차량용세척제 34 0 0

염색과 브릿지 59 0 0

개인용품 잦은 사용 시작 연령 무응답 단위Table 3-42. : N

분 류 N %

스프레이 60 32.3

전기모기향 113 60.8

전기모기향 카드형( ) 73 39.2

전기모기향 액체형( ) 21 11.3

불을 붙이는 모기향 13 7

몸에 바르는 약품 7 3.8

모기장 25 13.4

기타 1 0.5

하지 않음 26 14

입력오류 8 4.3

무응답 1 0.5

해충 퇴치 방법 및 무응답 분포 복수 응답Table 3-43. ( )

Page 15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52

나( ) 식품 및 섭취 방법

모유수유를 받았다는 응답자가 였고 그 중 자신이 모유수유를 받89.78% ,

은 기간을 모른다고 응답한 사람이 였다31.1% (table 3-44).

지난 년간 식품 섭취 빈도 분포를 에 나타내었다1 table 3-45, 3-46, 3-47 .

감자나 고구마튀김 과자나 쿠키 햄류 우유(59.1%), (39.3%), (72.6%),

아이스크림 치즈 두유 는 거의 안 먹었(25.8%), (59.7%), (67.7%), (59.7%)

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계란을 주 회 먹었다는 사람은 였다. 1-2 30.7% .

생선에서 육류 굽거나 튀긴 생선 에서 주 회 먹었43.0%, 37.6%, 29.6% 1-2

다고 응답하였다 굽거나 튀긴 육류의 경우 월 회 먹었다는 응답이. 1 32.8%

였다 모든 식품에서 무응답률은 였다. 0% .

분 류 구 분 N %

모유수유 모름 7 3.76

안 받았다 12 6.45

받았다 167 89.78

모유수유기간 모름 52 31.1

모유수유 받은 분포 및 모유수유 기간Table 3-44.

Page 15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53

빈도 감자나

고구마튀김

과자나

쿠키

계란 햄류

거의 안 먹음 110 (59.1) 73 (39.3) 17 (9.1) 135 (72.6)

월 회1 42 (22.6) 56 (30.1) 12 (6.5) 25 (13.4)

월 회2-3 21 (11.3) 29 (15.6) 36 (19.4) 12 (6.5)

주 회1-2 10 (5.4) 19 (10.2) 57 (30.7) 14 (7.5)

주 회3-4 2 (1.1) 9 (4.8) 46 (24.7) 0 (0.0)

주 회5-6 0 (0.0) 0 (0.0) 9 (4.8) 0 (0.0)

일 회1 1 (0.5) 0 (0.0) 9 (4.8) 0 (0.0)

일 회2 0 (0.0) 0 (0.0) 0 (0.0) 0 (0.0)

일 회 이상3 0 (0.0) 0 (0.0) 0 (0.0) 0 (0.0)

무응답 0 (0.0) 0 (0.0) 0 (0.0) 0 (0.0)

지난 년간 식품 섭취 빈도 분포 단위Table 3-45. 1 I : N(%)

빈도 생선 육류 굽거나 튀긴

생선

굽거나 튀긴

육류거의 안 먹음 6 (3.2) 18 (9.7) 25 (13.4) 51 (27.4)

월 회1 11 (5.9) 37 (19.9) 32 (17.2) 61 (32.8)

월 회2-3 42 (22.6) 44 (23.7) 54 (29.0) 43 (23.1)

주 회1-2 80 (43.0) 70 (37.6) 55 (29.6) 24 (12.9)

주 회3-4 34 (18.3) 15 (8.1) 14 (7.5) 6 (3.2)

주 회5-6 10 (5.4) 1 (0.5) 3 (1.6) 0 (0.0)

일 회1 2 (1.1) 1 (0.5) 3 (1.6) 1 (0.5)

일 회2 0 (0.0) 0 (0.0) 0 (0.0) 0 (0.0)

일 회 이상3 1 (0.5) 0 (0.0) 0 (0.0) 0 (0.0)

무응답 0 (0.0) 0 (0.0) 0 (0.0) 0 (0.0)

지난 년간 식품 섭취 빈도 분포 단위Table 3-46. 1 : N(%)Ⅱ

Page 15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54

지난 년간 회당 식품 섭취량 분포에서 많은 수의 응답자가 지난 년1 1 , 1

간 회 섭취한 양이 기준 분량보다 더 적다고 응답한 항목은 감자나 고구1

마 튀김 과자나 쿠키 햄류 아이스크림 치즈 두유였다 많은 수의 응답자, , , , , .

가 지난 년간 회 섭취한 양이 기준분량이라고 응답한 항목은 생선 굽거1 1 ,

나 튀긴 생선 육류 계란 우유 발효유였다, , , , .

무응답률은 감자나 고구마튀김에서 과자나 쿠키에서 햄류에0.5%, 0.5%,

서 계란에서 우유에서 발효유에서 아이스크림에2.1%, 0.5%, 1.6%, 0.5%,

서 치즈에서 였다 입력오류는 과자나 쿠키에서 였다0.5%, 1.1% . 0.5% (table

3-47).

빈도 우유 발효유 아이스

크림

치즈 두유

거의 안 먹음 48 (25.8) 39 (21.0) 111 (59.7) 126 (67.7) 111 (59.7)

월 회1 12 (6.5) 14 (7.5) 43 (23.1) 20 (10.8) 18 (9.7)

월 회2-3 17 (9.1) 26 (14.0) 11 (5.9) 12 (6.5) 19 (10.2)

주 회1-2 37 (19.9) 44 (23.7) 15 (8.1) 11 (5.9) 17 (9.1)

주 회3-4 29 (15.6) 25 (13.4) 6 (3.2) 8 (4.3) 10 (5.4)

주 회5-6 13 (7.0) 6 (3.2) 0 (0.0) 5 (2.7) 2 (1.1)

일 회1 28 (15.1) 26 (14.0) 0 (0.0) 4 (2.2) 7 (3.8)

일 회2 1 (0.5) 3 (1.6) 0 (0.0) 0 (0.0) 1 (0.5)

일 회 이상3 1 (0.5) 3 (1.6) 0(0.0) 0 (0.0) 1 (0.5)

무응답 0 (0.0) 0 (0.0) 0 (0.0) 0 (0.0) 0 (0.0)

지난 년간 식품 섭취 빈도 분포 단위Table 3-47. 1 : N(%)Ⅲ

Page 15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55

식 품 더 적음 기준

분량

더 많음 무응답 입력

오류

감자나 고구마튀김 135 (72.6) 44 (23.7) 6 (3.2) 1 (0.5) 0 (0.0)

과자나 쿠키 104 (55.9) 65 (35.0) 15 (8.1) 1 (0.5) 1 (0.5)

생선 24 (12.9) 119 (64.0) 43 (23.1) 0 (0.0) 0 (0.0)

굽거나 튀긴 생선 40 (21.5) 123 (66.1) 23 (12.4) 0 (0.0) 0 (0.0)

육류 65 (35.0) 103 (55.4) 18 (9.7) 0 (0.0) 0 (0.0)

굽거나 튀긴 육류 82 (44.1) 97 (52.2) 7 (3.8) 0 (0.0) 0 (0.0)

햄류 133 (71.5) 44 (23.7) 5 (2.7) 4 (2.1) 0 (0.0)

계란 25 (13.4) 132 (71.0) 28 (15.1) 1 (0.5) 0 (0.0)

우유 48 (25.8) 120 (64.5) 15 (8.1) 3 (1.6) 0 (0.0)

발효유 39 (21.0) 132 (71.0) 14 (7.5) 1 (0.5) 0 (0.0)

아이스크림 100 (53.8) 82 (44.1) 3 (1.6) 1 (0.5) 0 (0.0)

치즈 119 (64.0) 62 (33.3) 3 (1.6) 2 (1.1) 0 (0.0)

두유 96 (51.6) 90 (48.4) 0 (0.0) 0 (0.0) 0 (0.0)

지난 년간 회당 식품 섭취량 분포 단위Table 3-48. 1 1 : N(%)

지난 년간 일일 커피 섭취 빈도는 잔 일이라는 응답이 로 가장1 1 / 37.63%

높았다 커피를 하루에 잔 마신다는 응답이 를 차지하였다 무응답. 0 14.52% .

은 없었다(table 3-49).

십대 당시 식품 섭취 빈도 분포 에서 감자나 고구마튀김을 거의 안 먹I ,

었다는 응답이 과자나 쿠키를 월 회 먹었다는 응답이 계52.2%, 1-3 38.7%,

란을 주 회 먹었다는 응답이 햄류를 거의 안 먹었다는 응답이1-2 36.6%,

로 가장 높았다 감자나 고구마튀김 과자나 쿠키 계란 햄류의 모든68.8% . , ,

식품에서 무응답률은 였다0% (table 3-50).

Page 15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56

잔 일/ 빈도(N) 백분율(%)

0 27 14.52

0.1 2 1.08

0.2 3 1.61

0.3 2 1.08

0.5 4 2.15

1 70 37.63

1.5 4 2.15

2 36 19.35

2.5 3 1.61

3 22 11.83

3.5 1 0.54

4 7 3.76

5 2 1.08

5.5 1 0.54

6 1 0.54

7 1 0.54

무응답 0 0.0

지난 년간 일일 커피 섭취 빈도 분포Table 3-49. 1

빈도 감자나

고구마튀김

과자나

쿠키

계란 햄류

거의 안 먹음 97 (52.2) 58 (31.2) 28 (15.1) 128 (68.8)

월 회1-3 60 (32.3) 72 (38.7) 52 (28) 35 (18.8)

주 회1-2 17 (9.1) 33 (17.7) 68 (36.6) 16 (8.6)

주 회3-4 9 (4.8) 13 (7) 25 (13.4) 3 (1.6)

주 회5-6 1 (0.5) 6 (3.2) 5 (2.7) 2 (1.1)

매일 2 (1.1) 4 (2.2) 8 (4.3) 1 (0.5)

무응답 0 (0.0) 0 (0.0) 0 (0.0) 1 (0.5)

십대 당시 식품 섭취 빈도 분포 단위Table 3-50. I : N(%)

Page 15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57

십대 당시 식품 섭취 빈도 분포 에서 생선을 주 회 먹었다는 응답II , 1-2

이 육류를 월 회 먹었다는 응답이 굽거나 튀긴 생선을40.3%, 1-3 48.4%,

월 회 먹었다는 응답이 굽거나 튀긴 육류를 월 회 먹었다는1-3 40.9%, 1-3

응답이 로 가장 많았다 생선과 육류의 무응답률은 굽거나 튀긴40.3% . 0%,

생선 굽거나 튀긴 육류는 각각 무응답률이 였다, 0.5% (table 3-51).

십대 당시 식품 섭취 빈도 분포 에서 거의 안 먹었다는 응답이 가장III ,

많았는데 세부적으로는 우유 발효유 아이스크림 치, 49.5%, 56.5%, 53.2%,

즈 두유 였다 우유 발효유 아이스크림 치즈 두유 모두에서81.7%, 75.3% . , , , ,

무응답률은 였다0% (table 3-52).

십대 당시 일일 커피 섭취 빈도 분포에서 십대 당시 일일 커피 섭취는,

잔 일이라는 응답이 로 가장 많았다 무응답률은 였다0 / 83.9% . 0% (table

3-53).

빈도 생선 육류 굽거나 튀긴

생선

굽거나 튀긴

육류거의 안 먹음 16 (8.6) 36 (19.4) 41 (22) 74 (39.8)

월 회1-3 69 (37.1) 90 (48.4) 76 (40.9) 75 (40.3)

주 회1-2 75 (40.3) 44 (23.7) 53 (28.5) 28 (15.1)

주 회3-4 22 (11.8) 12 (6.5) 14 (7.5) 5 (2.7)

주 회5-6 2 (1.1) 2 (1.1) 1 (0.5) 2 (1.1)

매일 2 (1.1) 2 (1.1) 0 (0.0) 1 (0.5)

무응답 0 (0.0) 0 (0.0) 1 (0.5) 1 (0.5)

십대 당시 식품 섭취 빈도 분포 단위Table 3-51. : N(%)Ⅱ

Page 15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58

빈도 우유 발효유 아이스크림 치즈 두유

거의

안 먹음

92 (49.5) 105 (56.5) 99 (53.2) 152 (81.7) 140 (75.3)

월 회1-3 41 (22) 29 (15.6) 46 (24.7) 19 (10.2) 34 (18.3)

주 회1-2 31 (16.7) 32 (17.2) 27 (14.5) 9 (4.8) 7 (3.8)

주 회3-4 13 (7) 10 (5.4) 7 (3.8) 4 (2.2) 5 (2.7)

주 회5-6 3 (1.6) 7 (3.8) 5 (2.7) 2 (1.1) 0 (0.0)

매일 6 (3.2) 3 (1.6) 2 (1.1) 0 (0.0) 0 (0.0)

무응답 0 (0.0) 0 (0.0) 0 (0.0) 0 (0.0) 0 (0.0)

십대 당시 식품 섭취 빈도 분포 단위Table 3-52. : N(%)Ⅲ

잔 일/ 빈도(N) 백분율(%)

0 156 83.9

0.5 2 1.1

1 15 8.1

1.5 1 0.5

2 5 2.7

2.5 2 1.1

3 4 2.2

5 1 0.5

무응답 0 0.0

십대 당시 일일 커피 섭취 빈도 분포Table 3-53.

Page 15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59

지난 년간 음식 섭취 방법 빈도 분포에서 랩 전자레인지는 거의 사용1 ,

안했다는 응답이 로 가장 높았다 플라스틱 용기 인스턴트 식품 캔54.3% . , ,

또는 통조림 페트병 모두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플, .

라스틱 용기 사용에서 무응답이 였고 그 외 랩 전자레인지 사용 인스0.5% ,

턴트 식품 캔 또는 통조림 페트병에서 무응답은 없었다, , (table 3-54).

지난 년간 랩 전자레인지 플라스틱 용기 인스턴트 식품 캔 또는 통조1 , , ,

림 페트병을 자주 사용하여 음식을 섭취했다고 응답한 사람에게 잦은 사,

용을 시작한 연령을 물었다 무응답률은 랩 전자레인지 사용에서 페. 1.8%,

트병 사용에서 였다 그 외 플라스틱 용기 인스턴트 식품 캔 또는 통2.0% . , ,

조림에서 무응답은 없었다(table 3-55).

빈도 랩

전자레인지

사용

플라스틱

용기

인스턴트

식품

캔 또는

통조림

페트병

거의 사용

안 함

101 (54.3) 152 (81.7) 164 (88.2) 123 (66.1) 80 (43.0)

월 회1 14 (7.5) 13 (7.0) 10 (5.4) 30 (16.1) 26 (14.0)

월 회2-3 15 (8.1) 9 (4.8) 6 (3.2) 20 (10.8) 29 (15.6)

주 회1-2 23 (12.4) 6 (3.2) 3 (1.6) 8 (4.3) 18 (9.7)

주 회3-4 13 (7.0) 1 (0.5) 1 (0.5) 3 (1.6) 4 (2.2)

주 회5-6 5 (2.7) 1 (0.5) 2 (1.1) 2 (1.1) 8 (4.3)

일 회1-2 14 (7.5) 3 (1.6) 0 (0.0) 0 (0.0) 10 (5.4)

일 회 이상3 1 (0.5) 0 (0.0) 0 (0.0) 0 (0.0) 11 (5.9)

무응답 0 (0.0) 1 (0.5) 0 (0.0) 0 (0.0) 0 (0.0)

지난 년간 음식 섭취 방법 빈도 분포 단위Table 3-54. 1 : N(%)

Page 16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60

섭취방법 전체 세3 0

미만

30-39

40-49

세5 0

이상

무응답 무응답률

(%)

랩 전자레인지 사용 56 11 18 20 6 1 1.8

플라스틱 용기 11 1 7 2 1 0 0.0

인스턴트 식품 6 1 3 1 1 0 0.0

캔 또는 통조림 13 5 6 1 1 0 0.0

페트병 51 7 14 17 12 1 2.0

지난 년간 잦은 음식 섭취 방법 시작 연령 무응답 단위Table 3-55. 1 : N

다( ) 거주지

거주지 근처 시설 분포 설문에서 질문은 지금까지 사신 곳 중 다음의I , “

시설이 집 근처에 있었던 곳이 있었습니까 있었다면 어디에 사실 때인지? ,

당시 집에서 대략 어느 정도 떨어져 있었는지 알려주십시오 이었고.” “

또는 걸어서m 분 의 주관식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

새집 새사무실 근처에 거주한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였다 거주지/ 61.3% .

근처 쓰레기 소각장이 없다는 응답이 쓰레기 매립장이 없다는 응답96.2%,

이 하수도 처리장이 없다는 응답이 공장이나 공단이 없다는98.4%, 99.5%,

응답이 화학물질 처리장이 없다는 응답이 였다 거주지 근처95.7%, 99.5% .

화장터가 있다는 응답은 없었다 거주지 근처 쓰레기 소각장이 있다고 응.

답한 명 중 쓰레기 소각장이 집에서부터 또는 걸어서 분 거7 (3.8%) 200m 2

리라고 응답한 사람이 명 있었다 쓰레기 소각장이 집에서부터 또1 . 500m

는 걸어서 분 거리라고 응답한 사람이 명 있었다10 1 (table 3-56).

Page 16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61

시 설  구 분  N (%)

새집 새사무실 경험/ 없음 72 (38.7)

  있음 114 (61.3)

쓰레기소각장 없음 179 (96.2)

있음 7 (3.8)

분1200m & 30 1

분200m & 2 1

분500m & 10 1

분2000m & 30 1

분20 2

분30 1

쓰레기매립장 없음 183 (98.4)

있음 3 (1.6)

분5 2

  분60 1

하수도 처리장 없음 185 (99.5)

있음 1 (0.5)

분5 1

공장이나 공단 없음 178 (95.7)

있음 8 (4.3)

분5 1

분10 2

분15 1

분20 1

분25 1

10m 1

  20m 1

화학물질 처리장 없음 185 (99.5)

있음 1 (0.5)

분20 1

화장터 없음 186 (100.0)

거주지 근처 시설 분포Table 3-56. Ⅰ

Page 16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62

거주지 근처 시설 분포 설문에서 거주지 근처 농지나 축산지가 없다II ,

는 응답자가 있다는 응답자가 였다 거주지 근처 농지나 축산지78%, 22.0% .

가 있다고 응답한 사람 명 중 거주지와 농지나 축산지 사이의 거리가 걸41

어서 분 이내라고 응답한 사람이 명 이내 라고 응답한 사람이5 16 , 300m

명이었다 또한 거주지 근처 농지나 축산지가 있다고 응답한 사람 명20 . 41

중 지하수 혹은 간이상수도를 음용한다는 사람이 명 무응답이 명 있었35 , 2

다(table 3-57).

시 설  구 분 N (%)

농지나 축산지 없음 145 (78.0)

있음 41 (22.0)

분1 2

분1.5 1

분2 1

분3 1

분5 11

분10 3

분30 1

50m 4

100m 4

150m 1

200m 4

300m 7

500m 1

수돗물 음용 4

지하수 혹은 간이상수도 음용 35

무응답 2

거주지 근처 시설 분포Table 3-57. Ⅱ

Page 16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63

거주지 근처 시설 분포 설문에서 거주지 근처 버스 택시 종점이 없다III , /

는 응답자가 였다 거주지 근처 버스 택시 종점이 있다고 응답한 명93% . / 13

중 거주지와 근처 버스 택시 종점사이의 거리가 분 이내라고 응답(7.0%) / 5

한 사람이 명이었다8 (table 3-58).

거주지 근처 시설 분포 에서 거주지 근처 도로가 없다는 응답자가,Ⅳ

였다 거주지 근처 도로가 있다고 응답한 명 중 거주지와54.8% . 84 (23.7%)

도로 사이의 거리가 걸어서 분 이내라고 응답한 사람이 명 이내5 28 , 300m

라고 응답한 사람이 명 이내이거나 걸어서 분 이내 거리라고 응30 , 300m 5

답한 사람이 명이었다 즉 거주지와 도로 사이의 거리가 걸어서 분 이10 . , 5

내또는 이하라고 응답한 사람이 명이었다 거주지 근처 시설 분포300m 68 .

에서 무응답자는 명이었다4 (table 3-59).Ⅳ

시 설 구 분 N (%)

버스 택시 종점/ 없음 173 (93.0)

있음 13 (7.0)

분1 2

분2 1

분5 2

분10 3

분20 1

4.5m 1

분150m & 5 1

분300m & 3 1

  500m 1

거주지 근처 시설 분포Table 3-58. Ⅲ

Page 16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64

시 설 구 분 N (%)

도로 없음 102 (54.8)

  있음 84 (23.7)

분1 6

분2 8

분3 4

분5 10

분7 1

분10 7

분30 1

4.5m 1

10m 1

15m 1

25m 1

30m 1

50m 1

80m 1

100m 4

150m 2

200m 9

300m 8

500m 1

분3.5m & 3 1

분20m & 6 1

분100m & 1 1

분100m & 2 1

분100m & 5 1

분200m & 3 1

분200m & 5 1

분200m & 8 1

분300m & 3 1

분300m & 4 1

분300m & 5 2

무응답 4

거주지 근처 시설 분포Table 3-59. Ⅳ

Page 16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65

거주지 근처 시설 분포 에서 거주지 근처 도로가 있다는 응답자 명, 84Ⅴ

중 거주지 근처 도로가 왕복 차선 이상 도로라고 응답한 사람이(23.7%) 4

명 무응답자가 명이었다 거주지 근처 도로의 통행량이 매우 많다는 응50 , 2 .

답이 조금 많다는 응답이 로 거주지 근처 도로의 통행량이 많다고37, 18

느끼는 사람이 많았다(table 3-60).

시 설 구 분 N (%)

도로 없음 102 (54.8)

  있음 84 (23.7)

왕복 차선1 3

차선2 28

차선3 1

차선4 34

차선6 5

차선8 11

무응답 2

통행량 매우 많다 37

조금 많다 18

보통이다 17

적은 편이다 9

  무응답 3

거주지 근처 시설 분포Table 3-60. Ⅴ

Page 16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66

라( ) 직업

직업력 분포에서 직업경험이 있는 응답자가 였다 드라이클리닝, 81.7% . ,

미용사 또는 이용사 도장일 천이나 옷 의료기구 소독 방사선 노출 주유, , , , , ,

농약 화학물질 교대제 모두 경험 없는 응답자가 많았다, , (table 3-61).

직업  구 분 N (%)

직업 경험 없음 34 (18.3)

  있음 152 (81.7)

드라이클리닝 없음 151 (99.3)

있음 1 (0.7)

미용사 또는 이용사 없음 150 (98.7)

있음 2 (1.3)

도장일 없음 151 (99.3)

있음 1 (0.7)

천이나 옷 없음 138 (90.8)

있음 14 (9.2)

의료기구 소독 없음 150 (98.7)

있음 2 (1.3)

방사선 노출 없음 152 (100.0)

주유 없음 152 (100.0)

농약 없음 151 (99.3)

  있음 1 (0.7)

화학물질 없음 146 (96.1)

있음 6 (4.0)

세척작업  

없음 1

있음 4

무응답 1

교대제 없음 129 (84.9)

  있음 23 (15.1)

직업력 분포Table 3-61.

Page 16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67

각 직업력 근무 기간 시작 연령 끝마친 연령의 무응답자 수와 비율이, ,

에 제시되어 있다 미용사 또는 이용사 직업력을 갖고 있다고 응table 3-62 .

답한 사람 명 중 명이 근무 기간에 응답하지 않았다 천이나 옷을 다루2 1 .

는 직업력을 갖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 명 중 명이 근무기간에 명이14 1 , 2

시작 연령에 명이 끝마친 연령에 응답하지 않았다 화학물질을 다루는 직, 2 .

업력을 갖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 명 중 명이 근무 기간에 응답하지 않았6 1

다 교대제 직업력을 갖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 명 중 명이 근무 기간에. 23 3 ,

명이 시작 연령에 명이 마친 연령에 응답하지 않았다3 , 3 (table 3-62).

직업  전체 기간 시작 연령 끝마친 연령

드라이클리닝 1 0 (0.0) 0 (0.0) 0 (0.0)

미용사 또는 이용사 2 1 (50.0) 0 (0.0) 0 (0.0)

도장일 1 0 (0.0) 0 (0.0) 0 (0.0)

천이나 옷 14 1 (7.1) 2 (14.3) 2 (14.3)

의료기구 소독 2 0 (0.0) 0 (0.0) 0 (0.0)

농약 1 0 (0.0) 0 (0.0) 0 (0.0)

화학물질 6 1 (16.7) 0 (0.0) 0 (0.0)

교대제 23 3 (13.0) 3 (13.0) 3 (13.0)

각 직업력 근무 기간 시작 연령 끝마친 연령 무응답Table 3-62. , ,

단위: N(%)

Page 16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68

각 직업력의 세부질문 응답 분포를 에 나타내었다 교대제 경table 3-63 .

험이 있는 응답자 명 중 저녁이나 밤근무를 했다고 응답한 사람이 명으23 9

로 가장 많았다.

의료기구 소독 직업력에서 무응답이 명 화학물질 직업력에서 무응답이1 ,

명 교대제 직업력에서 무응답이 명 입력오류가 명 있었다1 , 1 , 2 (table 3-63).

직업 전체 응답내용   N

도장일 1 철제부품도장 페인트칠 스프레이, , 1

의료기구 소독 2 알코올 포비돈 소독 1

무응답 1

농약 1 살충제 노출 성분명 무응답, 1

화학물질 6 알코올 크레졸/ 물질 선택 (-) 1

신나 피씨비 1

붕산 과산화수소, 벤젠 포름알데히드, 1

염색약 물질 선택 (-) 1

락스 물질 선택 (-) 1

무응답 물질 선택 (-) 1

교대제 23 저녁이나밤근무 9

순환근무 5

기타 6

무응답 1

    입력오류   2

각 직업력 세부질문 응답 분포Table 3-63.

Page 16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69

마( ) 기타

흡연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이 였으며 간접흡연 경험이 있다97.8% ,

고 응답한 사람이 였다 흉부 와 맘모그램 노출 경험이 있는67.7% . X-ray

응답자가 더 많았으며 흉부 노출 경험의 경우 없음에 응답한 비율이, CT

였다 운전을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사람은 였다64% . 72% (table 3-64).

위험요인   구 분 N (%)

흡연 경험 현재 매일 피움 2 (1.1)

가끔 피움 0 (0.0)

과거 흡연 2 (1.1)

피운 적 없음 182 (97.8)

간접 흡연 경험    있음 126 (67.7)

  없음 60 (32.3)

방사선 검사 흉부X-ray 있음 162 (87.1)

없음 24 (12.9)

맘모그램 있음 137 (73.7)

없음 49 (26.3)

흉부 CT 있음 67 (36.0)

  없음 119 (64.0)

운전 여부   함 52 (28.0)

    하지 않음 134 (72.0)

기타 환경위험요인 분포Table 3-64.

Page 17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70

방사선 노출 빈도에서 흉부 노출 빈도는 회 년이라는 응답이, X-ray 1 /

였고 맘모그램은 총 회 촬영하였다는 응답이 로 가장 많았다64.8% 1 33.6% .

흉부 의 경우 총 회 촬영하였다는 응답이 로 가장 많았다CT 1 58.2% (table

3-65).

종류 횟수 빈도(N) 백분율(%)

흉부X-ray 0.1 1 0.6

회 년( / ) 0.3 7 4.3

0.5 38 23.5

1 105 64.8

1.5 1 0.6

2 3 1.9

2.5 1 0.6

3 1 0.6

7 1 0.6

  무응답 4 2.5

맘모그램 0.5 1 0.7

총 횟수( ) 1 46 33.6

2 25 18.3

3 13 9.5

4 20 14.6

5 14 10.2

5.5 1 0.7

6 6 4.4

6.5 1 0.7

7 1 0.7

10 8 5.8

20 1 0.7

흉부CT 1 39 58.2

총 횟수( ) 2 11 16.4

3 6 9

4 1 1.5

5 4 6

6.5 1 1.5

10 4 6

  20 1 1.5

방사선 노출 빈도 분포Table 3-65.

Page 17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71

(2) 환자군과 대조군 간 환경위험요인 분포 비교

가( ) 개인용품

개인용품 사용 빈도의 환자 대조군 분포에서 환자군과 대조군 간 통계적/ ,

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개인용품 사용은 매니큐어 향수 청소용세제나, ,

차량용 세척제였다 색조화장품 헤어스프레이 방향제나 탈취제 염색과 브. , , ,

릿지의 경우 환자군과 대조군 간 분포 차이가 없었다(table 3-66).

분 류  빈도  환자군

(N=62)

대조군

(N=124)

계 p-value

색조화장품 주 회 미만1 22 (35.5) 48 (38.7) 70 0.6686

이상 40 (64.5) 76 (61.3) 116

매니큐어* 주 회 미만1 43 (79.6) 116 (93.6) 159 0.0057

  이상 11 (20.4) 8 (6.5) 19  

헤어스프레이 주 회 미만1 45 (83.3) 106 (85.5) 151 0.7131

이상 9 (16.7) 18 (14.5) 27

향수* 주 회 미만1 42 (76.4) 110 (88.7) 152 0.0332

  이상 13 (23.6) 14 (11.3) 27  

방향제,

탈취제

주 회 미만1 50 (90.9) 116 (93.6) 166 0.5302

이상 5 (9.1) 8 (6.5) 13

청소용세제,

차량용 세척제*

주 회 미만1 36 (64.3) 109 (87.9) 145 0.0002

이상 20 (35.7) 15 (12.1) 35  

염색과브릿지 년 회 미만4 32 (65.3) 82 (66.1) 114 0.9181

  이상 17 (34.7) 42 (33.9) 59  

개인용품 사용빈도의 환자 대조군 분포 단위Table 3-66. / : N(%)

Page 17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72

매니큐어 향수 청소용 세제나 차량용 세척제의 사용 빈도의 세분화 분, ,

포를 에 나타내었다 환자군에서 매니큐어를 사용한다고 응답한table 3-67 .

사람 중 주 회 또는 매일 사용하는 사람이 가장 많았고1-2 (11.3%) (11.3%) ,

대조군에서 매니큐어를 사용한다고 응답한 사람 중에서는 월 회 사1 (9.7%)

용한다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 환자군에서 향수를 사용한다고 응답.

한 사람 중에서는 주 회 주 회 사용하는 사람이 많았1-2 (12.9%), 3-4 (8.1%)

고 대조군에서 향수를 사용한다고 응답한 사람 중에서는 주 회, 1-2 (8.1%),

월 회 사용하는 사람이 많았다 환자군에서는 청소용 세제나 차량1 (7.3%) .

용 세척제를 사용한다고 응답한 사람 중 월 회 사용하는 사람이1 (16.1%)

가장 많았고 대조군에서 청소용 세제나 차량용 세척제를 사용한다고 응답,

한 사람 중에서는 월 회 사용한다고 응답한 사람이 많았다2-3 (28.2%) (table

3-67).

나( ) 식품 및 섭취 방법

진단 전 또는 지난 년간 섭취 식품 빈도의 환자 대조군 분포를1 / table

에 나타내었다 환자군과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인 삭품은 과자3-68 .

나 쿠키 굽거나 튀긴 생선 아이스크림 두유였다 환자군에서는 대조군에, , , .

비해 진단 전 또는 지난 년간 과자나 쿠키를 주 회 이상 굽거나 튀긴1 1 ,

생선을 주 회 이상 아이스크림을 주 회 이상 두유를 주 회 이상 섭취1 , 1 , 1

한 사람의 비율이 높았다.

진단 전 또는 지난 년간 섭취 식품 빈도의 환자 대조군 분포 경향에서1 /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식품은 과자나 쿠키 아이(p-value 0.0217),

스크림 두유 였다(p-value 0.0448), (p-value 0.0009) (table 3-69).

Page 17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73

분 류 빈도  환자군

(n=62)

대조군

(n=124)

계 p-value

매니큐어* 거의 안 함 39 (62.9) 97 (78.2) 136 <.0001

월 회1 4 (6.5) 12 (9.7) 16

월 회2-3 4 (6.5) 7 (5.7) 11

주 회1-2 7 (11.3) 7 (5.7) 14

주 회3-4 0 (0.0) 1 (0.8) 1

주 회5-6 1 (1.6) 0 (0.0) 1

  매일 7 (11.3) 0 (0.0) 7  

향수* 거의 안 함 38 (61.3) 94 (75.8) 132 0.0042

월 회1 3 (4.8) 9 (7.3) 12

월 회2-3 5 (8.1) 7 (5.7) 12

주 회1-2 8 (12.9) 10 (8.1) 18

주 회3-4 5 (8.1) 3 (2.4) 8

주 회5-6 2 (3.2) 1 (0.8) 3

매일 1 (1.6) 0 (0) 1

청소용세제

나 차량용

세척제*

거의 안 함 20 (32.3) 52 (41.9) 72 0.0008

월 회1 10 (16.1) 22 (17.7) 32

월 회2-3 9 (14.5) 35 (28.2) 44

주 회1-2 11 (17.7) 11 (8.9) 22

주 회3-4 5 (8.1) 2 (1.6) 7

주 회5-6 1 (1.6) 1 (0.8) 2

  매일 6 (9.7) 1 (0.8) 7  

개인용품 사용빈도의 환자 대조군 분포 경향 단위Table 3-67. / : N(%)

Page 17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74

분 류 구 분 환자군

(N=62)

대조군

(N=124)

계 p-value

감자나

고구마튀김

주 회 미만1 55 (88.7) 116 (93.6) 171 0.2533

이상 7 (11.3) 8 (6.5) 15

과자나 쿠키* 주 회 미만1 43 (69.4) 105 (84.7) 148 0.0146

이상 19 (30.7) 19 (15.3) 38

생선 주 회 미만1 20 (32.3) 40 (32.3) 60 1.0000

이상 42 (67.7) 84 (67.7) 126

굽거나 튀긴

생선*

주 회 미만1 29 (46.8) 77 (62.1) 106 0.0466

이상 33 (53.2) 47 (37.9) 80

육류 주 회 미만1 34 (54.8) 61 (49.2) 95 0.4678

이상 28 (45.2) 63 (50.8) 91

굽거나 튀긴

육류

주 회 미만1 44 (71.0) 103 (83.1) 147 0.0561

이상 18 (29.0) 21 (16.9) 39

햄 베이컨, 주 회 미만1 57 (91.9) 113 (91.1) 170 0.8533

이상 5 (8.1) 11 (8.9) 16

계란 주 회 미만1 18 (29.0) 47 (37.9) 65 0.2316

이상 44 (71.0) 77 (62.1) 121

우유 주 회 미만1 31 (50.0) 50 (40.3) 81 0.2095

이상 31 (50.0) 74 (59.7) 105

발효유 주 회 미만1 22 (35.5) 60 (48.4) 82 0.0948

이상 40 (64.5) 64 (51.6) 104

아이스크림* 주 회 미만1 47 (75.8) 110 (88.7) 157 0.0222

이상 15 (24.2) 14 (11.3) 29

치즈 주 회 미만1 49 (79.0) 108 (87.1) 157 0.1529

이상 13 (21.0) 16 (12.9) 29

두유* 주 회 미만1 38 (61.3) 107 (86.3) 145 0.0001

이상 24 (38.7) 17 (13.7) 41

커피 하루 잔 미만1 15 (24.2) 19 (15.3) 34 0.2814

잔1 24 (38.7) 48 (38.7) 72

  잔 이상2 23 (37.1) 57 (46.0) 80  

진단 전 또는 지난 년간 섭취 식품 빈도의 환자 대조군 분Table 3-68. 1 /

포 단위: N(%)

Page 17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75

분 류  구 분  환자군

(N=62)

대조군

(N=124)

계 p-value

과자나 쿠키* 거의 안 먹음 21 (33.9) 50 (40.3) 71 0.0217

월 회1 13 (21.0) 37 (29.8) 50

월 회2-3 9 (14.5) 18 (14.5) 27

주 회1-2 13 (21.0) 13 (10.5) 26

주 회3-4 2 (3.2) 6 (4.8) 8

일 회1 2 (3.2) 0 (0.0) 2

일 회2 1 (1.6) 0 (0.0) 1

계 61 124 185

굽거나 튀긴

생선

거의 안 먹음 9 (14.8) 13 (10.5) 22 0.1322

월 회1 7 (11.5) 22 (17.7) 29

월 회2-3 13 (21.3) 42 (33.9) 55

주 회1-2 19 (31.2) 33 (26.6) 52

주 회3-4 10 (16.4) 11 (8.9) 21

주 회5-6 0 (0.0) 2 (1.6) 2

일 회1 2 (3.3) 1 (0.8) 3

일 회 이상3 1 (1.6) 0 (0.0) 1

  계 61 124 185  

아이스크림* 거의 안 먹음 28 (46.7) 72 (58.1) 100 0.0448

월 회1 13 (21.7) 30 (24.2) 43

월 회2-3 6 (10.0) 8 (6.5) 14

주 회1-2 11 (18.3) 9 (7.3) 20

주 회3-4 1 (1.7) 5 (4.0) 6

일 회1 1 (1.7) 0 (0.0) 1

계 60 124 184

두유* 거의 안 먹음 31 (50.0) 80 (64.5) 111 0.0009

월 회1 3 (4.8) 13 (10.5) 16

월 회2-3 4 (6.5) 14 (11.3) 18

주 회1-2 10 (16.1) 10 (8.1) 20

주 회3-4 7 (11.3) 3 (2.4) 10

주 회5-6 3 (4.8) 1 (0.8) 4

일 회1 3 (4.8) 2 (1.6) 5

일 회2 1 (1.6) 1 (0.8) 2

  계 62 124 186  

진단 전 또는 지난 년간 섭취 식품 빈도의 환자 대조군 분포Table 3-69. 1 /

경향 단위: N(%)

Page 17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76

십대 당시 섭취 식품 빈도의 환자 대조군 분포를 에 나타내었/ table 3-70

다 환자군과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인 식품은 감자나 고구마 튀김. ,

과자나 쿠키 굽거나 튀긴 생선 햄 배이컨 발효유 아이스크림 치즈였다, , , , , , .

환자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십대 당시 감자나 고구마 튀김 과자나 쿠키, ,

굽거나 튀긴 생선 햄 배이컨 발효유 아이스크림 치즈를 주 회 이상 섭, , , , , 1

취하였다는 응답자가 많았다(table 3-70).

십대 당시 섭취 식품 빈도의 환자 대조군 분포 경향에서 환자군과 대조/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인 식품은 감자나 고구마 튀김 과자나 쿠키 아이, ,

스크림이었다(table 3-71).

Page 17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77

분 류 구 분 환자군

(N=62)

대조군

(N=124)

계 p-value

감자나 고구

마튀김*

주 회 미만1 42 (67.7) 115 (92.7) 157 <.0001

이상 20 (32.3) 9 (7.3) 29

과자나

쿠키*

주 회 미만1 30 (48.4) 100 (80.7) 130 <.0001

이상 32 (51.6) 24 (19.4) 56

생선 주 회 미만1 26 (41.9) 59 (47.6) 85 0.4663

이상 36 (58.1) 65 (52.4) 101

굽거나 튀긴

생선*

주 회 미만1 32 (51.6) 85 (69.1) 117 0.0198

이상 30 (48.4) 38 (30.9) 68

육류 주 회 미만1 42 (67.7) 84 (67.7) 126 1.0000

이상 20 (32.3) 40 (32.3) 60

굽거나 튀긴

육류

주 회 미만1 47 (75.8) 102 (82.3) 149 0.2988

이상 15 (24.2) 22 (17.7) 37

햄 베이컨, * 주 회 미만1 49 (79) 114 (91.9) 163 0.0117

이상 13 (21) 10 (8.1) 23

계란 주 회 미만1 24 (38.7) 56 (45.2) 80 0.4022

이상 38 (61.3) 68 (54.8) 106

우유 주 회 미만1 42 (67.7) 91 (73.4) 133 0.4214

이상 20 (32.3) 33 (26.6) 53

발효유* 주 회 미만1 38 (61.3) 96 (77.4) 134 0.0209

이상 24 (38.7) 28 (22.6) 52

아이스

크림*

주 회 미만1 41 (66.1) 104 (83.9) 145 0.0059

이상 21 (33.9) 20 (16.1) 41

치즈 주 회 미만1 54 (87.1) 117 (94.4) 171 0.0866

이상 8 (12.9) 7 (5.7) 15

두유 주 회 미만1 58 (93.6) 116 (93.6) 174 1.0000

이상 4 (6.5) 8 (6.5) 12

커피 하루 잔 미만1 55 (88.7) 103 (83.1) 158 0.5975

잔1 4 (6.5) 12 (9.7) 16

  잔 이상2 3 (4.8) 9 (7.3) 12  

십대 당시 섭취 식품 빈도의 환자 대조군 분포 단위Table 3-70. / : N(%)

Page 17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78

분 류 구 분 환자군

(N=62)

대조군

(N=124)

계 p-value

감자나

고구마튀김

*

거의 안 먹음 32 (51.6) 65 (52.4) 97 0.0015

월 회1-3 10 (16.1) 50 (40.3) 60

주 회1-2 10 (16.1) 7 (5.7) 17

주 회3-4 7 (11.3) 2 (1.6) 9

주 회5-6 1 (1.6) 0 (0.0) 1

매일 2 (3.2) 0 (0.0) 2

과자나

쿠키*

거의 안 먹음 19 (30.7) 39 (31.5) 58 0.0005

월 회1-3 11 (17.7) 61 (49.2) 72

주 회1-2 16 (25.8) 17 (13.7) 33

주 회3-4 10 (16.1) 3 (2.4) 13

주 회5-6 3 (4.8) 3 (2.4) 6

  매일 3 (4.8) 1 (0.8) 4  

굽거나

튀긴 생선

거의 안 먹음 16 (25.8) 25 (20.3) 41 0.097

월 회1-3 16 (25.8) 60 (48.8) 76

주 회1-2 20 (32.3) 33 (26.8) 53

주 회3-4 10 (16.1) 4 (3.3) 14

주 회5-6 0 (0.0) 1 (0.8) 1

계 62 123 185

햄 베이컨, 거의 안 먹음 38 (62.3) 90 (72.6) 128 0.0563

월 회1-3 11 (18) 24 (19.4) 35

주 회1-2 9 (14.8) 7 (5.7) 16

주 회3-4 2 (3.3) 1 (0.8) 3

주 회5-6 0 (0.0) 2 (1.6) 2

매일 1 (1.6) 0 (0.0) 1

  계 61 124 185  

발효유 거의 안 먹음 33 (53.2) 72 (58.1) 105 0.0872

월 회1-3 5 (8.1) 24 (19.4) 29

주 회1-2 14 (22.6) 18 (14.5) 32

주 회3-4 6 (9.7) 4 (3.2) 10

주 회5-6 2 (3.2) 5 (4.0) 7

매일 2 (3.2) 1 (0.8) 3

아이스크림

*

거의 안 먹음 30 (48.4) 69 (55.7) 99 0.0084

월 회1-3 11 (17.7) 35 (28.2) 46

주 회1-2 12 (19.4) 15 (12.1) 27

주 회3-4 4 (6.5) 3 (2.4) 7

주 회5-6 3 (4.8) 2 (1.6) 5

  매일 2 (3.2) 0 (0.0) 2  

십대 당시 섭취 식품 빈도의 환자 대조군 분포 경향Table 3-71. /

단위: N(%)

Page 17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79

모유 수유 및 식품 섭취 방법의 환자 대조군 분포에서 환자군과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인 식품은 비닐랩 전자레인지 사용 페트병 사용이었,

다 모유수유 플라스틱 인스턴트 캔 통조림 사용에는 환자군과 대조군. , , , ,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3-72).

식품섭취 방법의 환자 대조군 분포 경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은 비닐랩 전자레인지 사용 이었다(p-value 0.0318) (table 3-73).

분 류 구 분 환자군

(N=62)

대조군

(N=124)

계 p-value

모유수유 받았다 55 (88.7) 112 (90.3) 167 0.8617

안 받았다 4 (6.5) 8 (6.5) 12

모름 3 (4.8) 4 (3.2) 7

비닐랩

전자레인지

사용*

주 회 미만1 34 (54.8) 91 (73.4) 125 0.0111

이상 28 (45.2) 33 (26.6) 61

플라스틱 주 회 미만1 58 (93.6) 115 (92.7) 173 0.8389

  이상 4 (6.5) 9 (7.3) 13  

인스턴트 주 회 미만1 57 (91.9) 120 (96.8) 177 0.1471

  이상 5 (8.1) 4 (3.2) 9  

캔 통조림, 주 회 미만1 53 (86.9) 115 (92.7) 168 0.1948

이상 8 (13.1) 9 (7.3) 17

페트병* 주 회 미만1 36 (59) 96 (77.4) 132 0.0092

이상 25 (41) 28 (22.6) 53

  계 61 124 185  

모유수유 및 식품섭취 방법의 환자 대조군 분포 단위Table 3-72. / : N(%)

Page 18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80

분 류 구 분 환자군

(N=62)

대조군

(N=124)

계 p-value

비닐랩

전자레인지

사용*

거의 안 함 24 (39.3) 72 (58.1) 96 0.0381

월 회1 5 (8.2) 10 (8.1) 15

월 회2-3 5 (8.2) 9 (7.3) 14

주 회1-2 13 (21.3) 9 (7.3) 22

주 회3-4 5 (8.2) 9 (7.3) 14

주 회5-6 2 (3.3) 5 (4.0) 7

일 회1-2 5 (8.2) 10 (8.1) 15

일 회 이상3 2 (3.3) 0 (0.0) 2

  계 61 124 185  

페트병 거의 안 함 22 (37.3) 58 (46.8) 80 0.1278

월 회1 10 (17.0) 16 (12.9) 26

월 회2-3 4 (6.8) 22 (17.7) 26

주 회1-2 9 (15.3) 10 (8.1) 19

주 회3-4 2 (3.4) 1 (0.8) 3

주 회5-6 4 (6.8) 4 (3.2) 8

일 회1-2 3 (5.1) 6 (4.8) 9

일 회 이상3 5 (8.5) 7 (5.7) 12

  계 59 124 183  

식품섭취 방법의 환자 대조군 분포 경향 단위Table 3-73. / : N(%)

Page 18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81

다( ) 거주지

거주지 근처 시설의 환자 대조군 분포 경향에서 환자군과 대조군 간 유/ ,

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은 거주지 건처 쓰레기매립장 공장이나 공단 버스, , /

택시 종점 도로 유무였다 새집 새사무실 경험 쓰레기소각장 하수도 처리, . / , ,

장 화학물질 처리장 화장터 농지나 축산지 분포는 환자군과 대조군 간, , ,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3-74).

분 류 구분 환자군

(N=62)

대조군

(N=124)

계 p-value

새집 새사무실 경험/ 없음 21 (33.9) 51 (41.1) 72 0.3381

있음 41 (66.1) 73 (58.9) 114  

쓰레기소각장 없음 58 (93.6) 121 (97.6) 179 0.1731

있음 4 (6.5) 3 (2.4) 7

쓰레기매립장* 없음 59 (95.2) 124 (100) 183 0.0358

  있음 3 (4.8) 0 (0.0) 3  

하수도 처리장 없음 61 (98.4) 124 (100) 185 0.3333

있음 1 (1.6) 0 (0.0) 1

공장이나 공단*  없음 54 (87.1) 124 (100) 178 <.0001

있음 8 (12.9) 0 (0.0) 8  

화학물질

처리장

없음 61 (98.4) 124 (100) 185 0.1562

있음 1 (1.6) 0 (0.0) 1

화장터 없음 62 (100) 124 (100) 186 -

농지나 축산지 없음 50 (80.7) 95 (76.6) 145 0.5317

있음 12 (19.4) 29 (23.4) 41

버스택시종점/ *

 

없음 52 (83.9) 121 (97.6) 173 0.0005

있음 10 (16.1) 3 (2.4) 13  

도로* 없음 26 (41.9) 76 (61.3) 102 0.0124

  있음 36 (58.1) 48 (38.7) 84  

거주지 근처 시설의 환자 대조군 분포 경향 단위Table 3-74. / : N(%)

Page 18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82

라( ) 직업

직업력의 환자 대조군 분포 경향을 에 나타내었다 환자군과/ table 3-75 .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인 직업력은 천이나 옷 다루는 일(p-value

교대제 였다 직업 경험 드라이클리닝 미용사 또0.0182), (p-value 0.0035) . , ,

는 이용사 도장일 의료기구 소독 방사선 노출 주유 농약 화학물질의 경, , , , , ,

우 환자군과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3-75).

Page 18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83

분 류 구분  환자군

(N=62)

대조군

(N=124)

계 p-value

직업 경험 없음 9 (14.5) 25 (20.2) 34 0.3477

  있음 53 (85.5) 99 (79.8) 152  

드라이클리닝 없음 53 (100) 101 (99) 154 1.0000

있음 0 (0.0) 1 (1.0) 1

계 53 102 155

미용사 또는

이용사

없음 52 (98.1) 101(99.0) 153 1.0000

있음 1 (1.9) 1 (1.0) 2

  계 53 102 155  

도장일 없음 52 (98.1) 102 (100) 154 0.3419

있음 1 (1.9) 0 (0.0) 1

계 53 102 155

천이나 옷

다루는 일*

없음 44 (83.0) 97 (95.1) 141 0.0182

있음 9 (17.0) 5 (4.9) 14

계 53 102 155  

의료기구 소독 없음 52 (98.1) 101(99.0) 153 0.6353

있음 1 (1.9) 1 (1.0) 2

계 53 102 155

방사선 노출 없음 53 (100) 102 (100) 155 -

주유 없음 53 (100) 102 (100) 155 -

농약 없음 52 (98.1) 102 (100) 154 0.3419

있음 1 (1.9) 0 (0.0) 1

  계 53 102 155  

화학물질 없음 50 (94.3) 99 (97.1) 149 0.4119

있음 3 (5.7) 3 (2.9) 6

계 53 102 155

교대제* 없음 39 (73.6) 93 (91.2) 132 0.0035

있음 14 (26.4) 9 (8.8) 23

  계 53 102 155  

직업력의 환자 대조군 분포 경향 단위Table 3-75. / : N(%)

Page 18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84

마( ) 기타

기타 환경 위험요인의 환자 대조군 분포 경향을 에 나타내었/ table 3-76

다 환자군과 대조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인 환경 위험요인은 간접 흡연.

경험 흉부 촬영 맘모그램 촬영 흉부 촬영이었다, X-ray , , CT .

분 류   구분 환자군

(N=62)

대조군

(N=124)

계 p-value

흡연 경험 있음 2 (3.2) 2 (1.6) 4 0.6017

없음 60 (96.8) 122 (98.4) 182

간접 흡연

경험

  있음 51 (82.3) 75 (60.5) 126 0.0027

  없음 11 (17.7) 49 (39.5) 60  

방사선검사 흉부

x-ray*

있음 47 (75.8) 115 (92.7) 162 0.0012

없음 15 (24.2) 9 (7.3) 24

맘모그램* 있음 39 (62.9) 98 (79.0) 137 0.0186

없음 23 (37.1) 26 (21.0) 49

흉부 CT* 있음 13 (21.0) 54 (43.6) 67 0.0025

없음 49 (79.0) 70 (56.5) 119  

운전 여부    함 14 (22.6) 38 (30.7) 52 0.2480

  안함 48 (77.4) 86 (69.4) 134  

기타 환경위험요인의 환자 대조군 분포 경향 단위Table 3-76. / : N(%)

Page 18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85

4) 유방암 유병에 환경위험요인이 미치는 영향

(1) 단변량 분석

유방암 유병 여부에 따른 환경 위험요인의 교차비를 에 나타table 3-77

내었다.

매니큐어의 교차비는 는 였다3.667(95% CI: 1.356-9.915), p-value 0.0105 .

향수의 교차비는 는 청소용 세2.209(95% CI: 0.919-5.312), p-value 0.0766,

제나 차량용 세척제의 교차비는 는5.296(95% CI: 2.092-13.40), p-value

였다0.0004 .

진단 받기 전 또는 최근 년간 과자나 쿠키 섭취 유무의 교차비는1

는 였다 진단 받기 전 또는 최근2.444(95% CI: 1.188-5.026), p-value 0.0152 .

년간 굽거나 튀긴 육류 섭취 유무의 교차비는1 2.125(95% CI: 0.989-4.564),

는 였다 진단 받기 전 또는 최근 년간 아이스크림 섭취 유p-value 0.0533 . 1

무의 교차비는 는 였다 진단 받2.796(95% CI: 1.154-6.773), p-value 0.0228 .

기 전 또는 최근 년간 두유 섭취 유무의 교차비는1 3.397(95% CI:

는 였다1.675-6.892), p-value 0.0007 .

랩 전자레인지 사용 유무의 교차비는 2.306(95% CI: 1.201-4.428),

는 였다 인스턴트 캔 통조림 페트병의 교차비는 각각p-value 0.012 . , , , 2.906,

였다2.063, 2.399 .

Page 18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86

분 류 구 분  OR CI p-value

개인용품 색조화장품 1.198 0.626-2.295 0.5857

매니큐어* 3.667 1.356-9.915 0.0105

헤어스프레이 1.221 0.513-2.903 0.6516

향수 2.209 0.919-5.312 0.0766

방향제나 탈취제 1.429 0.453-4.501 0.5424

청소용세제나 차량용 세척제* 5.296 2.092-13.407 0.0004

  염색과 브릿지 1.105 0.519-2.352 0.7963

식품 지난:

년간1

감자나 고구마튀김 1.750 0.635-4.826 0.2795

과자나 쿠키* 2.444 1.188-5.026 0.0152

생선 0.963 0.500-1.856 0.9108

굽거나 튀긴 생선 1.810 0.947-3.462 0.0728

육류 0.774 0.404-1.483 0.4404

굽거나 튀긴 육류 2.125 0.989-4.564 0.0533

햄 베이컨, 0.903 0.304-2.689 0.8552

계란 1.536 0.799-2.953 0.1980

우유 0.732 0.402-1.334 0.3088

발효유 1.746 0.931-3.273 0.0822

아이스크림* 2.796 1.154-6.773 0.0228

치즈 1.828 0.798-4.190 0.1540

두유* 3.397 1.675-6.892 0.0007

커피 0.716 0.454-1.129 0.1504

식품 십대: 감자나 고구마튀김* 8.438 2.848-25.000 0.0001

과자나 쿠키* 4.411 2.185-8.906 <.0001

생선 1.243 0.679-2.277 0.4801

굽거나 튀긴 생선* 2.245 1.161-4.343 0.0163

육류 1.044 0.517-2.108 0.9049

굽거나 튀긴 육류 1.544 0.703-3.389 0.2792

햄 베이컨, * 3.158 1.239-8.048 0.016

계란 1.367 0.720-2.596 0.3387

우유 1.398 0.702-2.784 0.3407

발효유* 2.306 1.134-4.689 0.0211

아이스크림* 3.224 1.437-7.230 0.0045

치즈 2.693 0.861-8.424 0.0886

두유 1.159 0.318-4.218 0.8232

커피 0.758 0.418-1.375 0.3619

유방암 유병 여부에 따른 환경 위험요인의 교차비 단변량Table 3-77. :Ⅰ

분석

* p<0.05

Page 18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87

분 류  구 분  OR CI p-value

식품섭취

방법

모유수유 1.298 0.646-2.609 0.4638

랩 전자레인지 사용* 2.306 1.201-4.428 0.012

플라스틱 0.871 0.243-3.114 0.8313

인스턴트 2.906 0.678-12.443 0.1507

캔 통조림, 2.063 0.692-6.149 0.1938

  페트병* 2.399 1.206-4.772 0.0126

거주지 지/

새집 새사무실 경험/ 1.324 0.666-2.634 0.4231

쓰레기소각장 3.347 0.593-18.873 0.1711

농지나 축산지 0.719 0.338-1.528 0.3906

버스 택시 종점/ * 6.667 1.835-24.224 0.004

도로* 2.569 1.291-5.111 0.0072

직업 미용사 또는 이용사 2.000 0.125-31.974 0.6241

천이나 옷* 3.121 0.906-10.756 0.0714

화학물질 3.646 0.371-35.835 0.2673

교대제(shiftwork)* 5.859 1.900-18.067 0.0021

기타 흡연 경험 0.500 0.070-3.550 0.4882

간접 흡연 경험* 3.226 1.501-6.937 0.0027

흉부X-ray * 0.231 0.089-0.604 0.0028

맘모그램* 0.446 0.230-0.866 0.0172

흉부 CT* 0.276 0.122-0.628 0.0021

  운전 여부 1.545 0.746-3.197 0.2413

유방암 유병 여부에 따른 환경 위험요인의 교차비 단변량Table 3-78. :Ⅱ

분석

* p<0.05

(2) 다변량 분석

유방암 유병 여부에 따른 환경 위험요인의 교차비 다변량 분석 결과를

에 나타내었다 다변량 분석에서 신뢰구간이 을 포함하지table 3-79 . 95% 1

않은 환경 위험요인은 매니큐어 청소용 세제나 차량용 세척제 두유 십대, , ,

시절 감자나 고구마 튀김류 섭취 십대 시절 과자나 쿠키 섭취 십대 시절, ,

굽거나 튀긴 생선 섭취 십대 시절 발효유 섭취 십대 시절 아이스크림 섭, ,

취 거주지 근처 버스 택시 종점 존재 교대제 유무이다, / , .

Page 18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88

분 류 구 분 OR CI

개인용품 매니큐어* 5.309 1.158-24.352

향수 0.931 0.245-3.535

청소용세제나 차량용 세척제* 7.237 1.897-27.615

식품용기/ 과자나 쿠키 2.101 0.812-5.439

굽거나 튀긴 생선 1.553 0.658-3.665

아이스크림 1.462 0.507-4.220

두유* 3.059 1.155-8.103

십대 감자나 고구마 튀김류: * 4.662 1.224-17.749

십대 과자나 쿠키: * 4.442 1.645-11.995

십대 굽거나 튀긴 생선: * 3.031 1.116-8.232

십대 햄 베이컨: , 3.464 0.994-12.080

십대 발효유: * 4.364 1.454-13.096

십대 아이스크림: * 3.124 1.073-9.094

랩 전자레인지 사용 1.533 0.617-3.806

페트병 2.104 0.803-5.513

거주지역 버스 택시 종점 근처 거주/ * 7.76 1.141-52.760

도로 근처 거주 2.095 0.759-5.783

직업 천이나 옷 다루는 일 6.934 0.877-54.805

교대제* 6.485 1.211-34.738

  간접흡연 2.27 0.807-6.388

유방암 유병 여부에 따른 환경 위험요인의 교차비 다변량분Table 3-79. :

- Adjusted age, education, family history, benign hx, menache age,breast feeding hx, hormonal drug, alcohol, and obesity

* p<0.05

Page 18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89

5) 예비조사의 제한점

예비조사 결과 교차비가 이상으로 큰 환경 위험요인들이 다수 발견되2

었다 물론 환경 위험요인과 유방암과의 관련성을 드러내는 단초로 해석될.

수 있으나 예비조사라는 특성을 감안하여 신중히 해석될 필요가 있다, .

본 예비조사의 경우 유방암 발병례가 아닌 유병례로 조사하였고 유방암,

환우회를 통해 환자군으로 모집하였으며 잠복기가 긴 암종이 결과변수에,

대한 설문인 만큼 오래 된 과거의 노출에 대해 묻는 문항이 많아 회상편견

이 커졌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향후 본격적인 연구를 시행할 때에 반드시.

극복해야 할 문제이다 또한 응답자의 대다수가 모른다고 응답한 문항 노. ,

출이 매우 적거나 혹은 지나치게 많은 문항은 이후 설문지에서 배제하는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연구계획 단계에서는 무작위 추출을 하여 대조군을 선정하려고 하였으나

촉박한 연구 일정으로 인해 여성이 많이 이용하는 문화센터를 중심으로 대

조군 선정이 이루어졌다 또한 짝짓기에 사용된 지역의 단위가 읍 면 동이. / /

아닌 시 군 구까지만 이루어졌기 때문에 환자군과 동일 지역의 여성을 대/ /

표한다고 말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후에는 환자군과 동일한 모집단을 보.

다 더 잘 가정할 수 있는 대조군 선정이 필요하다.

유방암 환자의 경우 자신의 정확한 병명을 모르는 사람이 많았다 또 노.

출 평가가 설문으로만 이루어져 설문 문항이 실제 노출을 어느 정도 반영

하는지에 대해서는 분석을 할 수 없었다 향후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설문조사뿐만 아니라 의무기록조사나 생체시료 조사 등이 추가되어야 한

다.

마지막으로 예비조사의 성격 상 적은 수의 표본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함으로써 노출이 매우 낮아 의미있는 값을 산출하기 어려운 변수가 존

재하였다 향후 대규모의 표본을 이용한 후속연구가 시행된다면 적은 수의.

Page 19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90

표본을 이용하여 생긴 문제점은 해소될 것이며 의미있는 결과가 도출될,

것으로 기대한다.

Page 19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91

7. 유방암과 환경요인의 관련성 평가를 위한 연구 설계 제

가. 연구 정의

본 연구의 구상 체계 는 과 같다 모든(Conceptual framework) Fig. 3-80 .

질병은 우연 유전자 환경 유전자 환경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하는 것으로, , , -

가정할 수 있다 이 가정에서 유방암도 예외가 될 수 없다 유방암 발생에. .

관여하는 환경 위험요인으로는 우선 포괄적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위

치를 들 수 있으며 생식 관련 요인 건강행태 요인 환경 위험요인으로 범, , ,

주화 할 수 있다.

향후 연구는 유방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위험요인의 종류와 그

영향력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할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의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향후 연구의What, Who, Where, When, Why 5 .

연구 질문에는 과 같이 내용을 채워볼 수 있다 가지 연구 질문table 3-81 . 5

구성 요소에 대한 답을 합하면 년 이후 국내 성인 여성에서 환경 요, ‘2000 ,

인 노출로 인한 유방암 발생에 차이가 있는가 라는 연구 질문이 완성된?’

다 이 질문은 관련성을 평가하고자 하는 연구 질문이며 이에 답하기 위해. ,

서는 분석연구 설계 즉 환자 대조군 연구나 코호트 연구가 필요하다, - .

Page 19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92

본 연구의 구상 체계Fig. 3-11. (conceptual framework)

연구 질문 구성요소 내용

What 유방암 발생에 차이가 있는가?

Who 성인 여성에서

Where 국내

When 년 이후2000

Why 환경요인 노출로 인해

향후 연구의 연구 질문Table 3-80.

Page 19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93

나. 연구 설계 계획/

연구 설계 단계에서는 연구 디자인을 결정 자료 수집 방법 결정 연구, ,

설계안 최종 확정의 과정을 거친다.

1) 연구 디자인 결정

연구 디자인을 결정하는 과정에서는 연구에 사용되는 주요 변수들을 정

의하고 일반화 수준을 정하며 연구에서 필요로 하는 정확도의 수준에 맞, ,

추어 표본 수를 산정해야 한다.

(1) 주요 변수 정의

유방암과 환경 위험요인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한 주 변수는 table

과 같다 독립변수는 환경 위험요인이고 이것은3-81 . , Industrial chemicals,

Products of combustion, Pesticides, Radiation, Health behaviors,

으로 구분할 수 있다 종속변수는 유방암이며 혼란요인으로 가Occupation .

족 중 유방암 과거력 양성종양 진단력 초경시기 폐경시기 임신 여부 횟, , , , /

수 모유수유 여부 기간 경구피임약 등 여성호르몬제 복용 여부 시기 기간, / , / / ,

음주 여부 횟수 및 음주량 비만 유무가 있다/ , .

Page 19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94

범주 변수

독립변수 Industrial Chemicals

1,3-Butadiene, Acrylamide, Benzene, Ethylene oxide,

BPA(bisphenolA), Phthalates, Formaldehyde, Tetrachloroethylene,

Trichloroethylene, PCBs(Polychlorinated biphenyls)

Products of combustion

Dioxins, IQ(2-amino-3-methylimidazo[4,5-f]quinoline),

PhIP(2-amino-1-methyl-6-phenylimidazo(4,5-b)-pyridine)

Pesticides

Dieldrin/aldrin, DDT(p,p'-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

/DDE(p,p'-dichlorodiphenyldichloroethylene)

Radiation

X- and Gamma-radiation, Radon and its decay products

Health behaviors

Tobacco smoking / Second-hand tobacco smoke,

Nitrate or nitrite (ingested) under conditions that result in

endogenous nitrosation

Occupation

Painter, Hairdresser or barber, Shiftwork

종속변수 유방암

진단시기 진단명 진단병기 치료상태, , ,

혼란요인 가족 중 유방암 과거력

양성 종양 진단력

초경시기

폐경시기

임신 여부 횟수/

모유수유 여부 기간/

경구피임약 등 여성호르몬제 복용 여부 시기 기간/ /

음주여부 횟수 주량/ /

  비만유무

유방암과 환경요인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한 주요 변수Table 3-81.

Page 19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95

(2) 일반화 수준 결정

일반화 수준 결정 단계에서는 인구 대상집단 지역 시기를 결정한다 대, , .

상 인구집단에서는 전 연령층의 여성으로 하여야 최대한의 일반화 달성이

가능하나 여성 성인 중 유방암 발생률 역학과 설문조사의 난이도를 고려,

해 연령대를 세로 제안하는 것이 현실적인 안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30-59 .

코호트 구축을 염두에 둔다면 국내 유방암 발생률이 높지 않은 점을 감안,

하여 환경 위험요인 노출 수준이 높을 것으로 여겨지는 집단 예를 들어,

간호사 근무 경험이 있는 여성 미용사 섬유 혹은 의복 제조업체 근무 경, ,

력이 있는 여성을 대상으로 코호트를 구축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지역은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가장 좋으나 차 병원이 대다수 수, 3

도권에 밀집되어 있고 실제 환자수가 많이 분포하며 연구 수행성을 감안할

때 지역을 수도권으로 제한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시기는 후향적 연구의 경우 유방암 발생이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는 시

점인 년 이후를 시간적 대상으로 삼을 수 있으나 전향적 연구의 경우2000 ,

에는 특별한 제한을 둘 필요가 없다.

(3) 표본 수 결정

예비조사의 제한점으로 적은 표본 수가 지적되었다 본조사에서는 충분.

한 표본 수를 확보해 연구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코호트 연구를 가정하여 를 이용해 표본 수를 산출하였다 표본 수Stata .

산출시 는 는 위험비는 으로 가정하였다 년0.05, power 0.8, 2.0 . 2008 40-69α

세 여성 유방암 발생률이 인 것을 바탕으로 계산한104.2/100,000

는 였다 모집 기간과 추적 관찰기instantaneous incidence rates, 0.00025 .λ

간 전체 연구 대상자 중 비노출군이 차지하는 분율을 변화시켜가며 계산,

한 표본 수는 와 같다 예비조사에서 다수의 환경 위험요인의 경table 3-82 .

우 노출되지 않은 사람의 분율이 내외였던 것을 감안하면 코호트 연10% ,

Page 19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96

구에 필요한 최소 표본수는 명가량이라고 할 수 있다40,000 .

환자 대조군 연구를 가정하여- Power and Sample Size Calculation

을 사용하여 표본 수를 산출하였다 를 를 교차비Program . 0.05, power 0.8,α

를 대조군에서 환경 위험요인에 노출되는 집단의 분율 는 로 가2.0, P0 0.1

정하였다 짝짓기한 환자 대조군 간 노출의 상관계수 와 짝짓기 비율을. - , Φ

변화시켜가면 계산한 표본 수는 과 같다 병원기반 연구의 경우table 3-83 .

환자군보다 대조군 모집이 더 어렵다는 점을 감안하여 짝짓기 표본을1:1

우선적으로 고려한다면 표본수는 환자군과 대조군 각각 명 이상 요구, 1,148

된다.

Page 19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97

연구 대상 중

비노출군 분율환자 모집 기간 추적 관찰 기간 표본 수

0.9 1 5 83644

0.9 2 5 76681

0.9 3 5 70790

0.9 1 10 43852

0.9 2 10 41863

0.9 3 10 40046

0.8 1 5 48837

0.8 2 5 44772

0.8 3 5 41332

0.8 1 10 25604

0.8 2 10 24443

0.8 3 10 23382

0.7 1 5 38490

0.7 2 5 35286

0.7 3 5 32575

0.7 1 10 20180

0.7 2 10 19265

0.7 3 10 18429

0.6 1 5 34731

0.6 2 5 31840

0.6 3 5 29394

0.6 1 10 18210

0.6 2 10 17384

0.6 3 10 16630

0.5 1 5 32882

0.5 2 5 30144

0.5 3 5 27828

0.5 1 10 17240

0.5 2 10 16458

0.5 3 10 15744

코호트연구의 표본 수 결정Table 3-82.

Page 19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98

구 분 Φ Case Control Total

1:4 matching 0.5 308 1232 1540

0.6 383 1532 1915

0.7 511 2044 2555

0.8 769 3076 3845

1:2 matching 0.5 424 848 1272

0.6 535 1070 1605

0.7 720 1440 2160

0.8 1091 2182 3273

1:1 matching 0.5 646 646 1292

0.6 535 834 1369

0.7 720 1148 1868

0.8 1091 1778 2869

환자 대조군 연구의 표본 수 결정Table 3-83. -

2) 자료 수집 방법 결정

예비조사에서는 설문조사 방법만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설문조사 방법 생체시료 조사 의무기록 직접 확인의 방법을, ,

다양하게 사용할 필요가 있다 예비조사 결과 드러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설문지는 재수정되었다 재수정된 설문지 전문은 부록 에 제시하였. 5

다 환자 대조군 연구를 수행한다고 해도 환자군을 발병례로 모집하는 것. -

을 전제로 최종 제안된 설문지는 환자군과 대조군 공히 사용하는 종으로, 1

제안하였다 설문도구의 응답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설문조사는 반드시. 1:1

면접조사로 잘 훈련된 면접원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

예비조사 결과 유방암 환자들의 경우 자신의 정확한 병명을 인지하는 사

람이 적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의무기록 확인을 통해 환자의 정확.

한 질병 상태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의무기록 확인을 통해 기록해야 할.

Page 19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199

내용은 증례기록서 부록 의 형태로 제시하였다( 6) .

유방암이라는 암종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경우 긴 잠복기 때문에 설문조

사 도구를 이용한 과거 노출 파악이 필수적인 과정이지만 이 때 설문 문,

항이 실제 노출을 어느 정도 반영하는지에 대한 자료가 있을 때에만이 도

출된 결과에 대해 의미있는 해석을 부여할 수 있다 예비조사에서는 설문.

조사만 시행했기 때문에 설문지를 통한 노출 평가 결과와 생체 노출 지표

로 측정한 결과가 어느 정도 상관성을 가지는지 분석할 수 없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생체시료 조사가 추가되어야 한다 생체시료 조.

사는 반감기가 비교적 긴 환경 위험요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한

축이 될 것이고 설문 문항의 평가를 위해 노출 수준이 높을 것으로 여겨,

지는 물질에 대한 조사도 일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연구에서는 모든 대상자에 대해 를 통해CALUX test dioxin, PCBs,

등을 반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일부 대상자에DDT, HCB, aldrin, dieldrine

한해 측정Serum PCBs, PFOS, aldrin, dieldrin, DDT, BPA, Urine 5-OH

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Page 20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00

3) 최종 연구 설계안 확정

위의 과정을 종합하여 다음의 최종 연구 설계안을 제안한다.

최종 연구 설계안 I

� 연구 질문 국내 성인 여성에서 환경요인 노출과 유방암 발생간:

관련성이 있는가?

� 환자 대조군 연구-

대상 환자군 유방암을 진단받은 세 여성 발병례- : 30-59 ( )

지역 전국 또는 수도권- :

환자군 대조군 비- : = 1:1

표본 수 환자군 및 대조군 각각 여명- : 1,150

� 측정 방법

설문지를 이용한 면접조사- 1:1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함: · .

의무기록조사-

생체시료 조사-

모든 대상자에 대해 를 통해: CALUX test dioxin, PCBs,

등을 반정량적으로 측정DDT, HCB, aldrin, dieldrine .

환자군과 대조군 각각 명에 대해: 100 Serum PCBs, PFOS,

측정aldrin, dieldrin, DDT, BPA, Urine 5-OH .

� 연구 진행

연구는 다음과 같이 개년으로 나누어 각기 핵심 주제를 발전시- 3

키면서 진행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생각됨.

차년도 를 결합한 환자 대조군 연구1 : CALUX test -○

환자군 및 대조군 각각 명 모집- 400

Page 20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01

최종 연구 설계안 계속I ( )

모든 대상자에게 를 진행함과 동시에 혈액- CALUX test

banking

결과와 설문 조사 결과의 비교 및- CALUX test

결과를 기반으로 정량 분석 우선순위 물CALUX test

질 선정

환자군과 대조군 대상자 총 명에 대한 설문조사 결- 800

과 분석

차년도 및 차년도 정량분석을 결합한 환자 대조군 연구2 3 : -○

각 해당년도마다 환자군 및 대조군 각각 명 모집- 400

차년도 연구를 통해 결정된 우선순위가 높은 물질에- 1

대해 정량 분석 실시 필요할 경우 및 혈( CALUX test

액 추가 진행banking )

차년도와 차년도 선정 물질을 달리하여 예산을 배정- 2 3

하고 핵심 주제를 발전시킴.

정량 분석 결과를 통한 설문 문항의 신뢰도 확인-

차년도부터 차년도까지 대상자를 통합하여 유방암과- 1 3

환경 위험요인의 관련성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을 시행

함.

� 기타

환자군과 대조군 모두 병원기반으로 모집함 단 환자 대조군 연- . , -

구의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조군 모집 방법을 두 가지 이상

으로 구성할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음.

회상편견을 최소화하기 위해 차 병원에 확진을 받으러 온 환자- 3

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추후 의무기록조사를 통해,

유방암 확진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고려하도록 함.

Page 20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02

최종 연구 설계안 II

� 연구 질문 국내 성인 여성에서 환경요인 노출과 유방암 발생간에:

관련성이 있는가?

� 코호트 연구

대상 인구집단-

간호사 근무 경험이 있는 여성 간호사코호트: ( )

미용사:

섬유 혹은 의복 제조업체 근무자 코호트:

검진자 코호트:

지역 전국 또는 수도권- :

표본 수 약 명- : 40,000

년 이상 추적관찰 기간 필요- 10

� 측정 방법

설문지를 이용한 면접조사- 1:1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함: · .

생체시료 조사-

모든 대상자에 대해 를 통해: CALUX test dioxin, PCBs,

등을 반정량적으로 측정DDT, HCB, aldrin, dieldrine .

연구 시작 시점에서 약 명에 대해: 400 Serum PCBs, PFOS,

측정aldrin, dieldrin, DDT, BPA, Urine 5-OH .

Page 20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03

IV. 결론

예비조사 결과 국내에서의 환경 위험요인 노출이 유방암 발생과 관련성

이 있다는 가설이 지지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수행된 예비조사는.

유방암 유병례를 환자군으로 하여 조사하였기 때문에 회상편견의 가능성이

더 높고 조사 대상자 수가 적어서 추정치의 신뢰구간이 상당히 넓으며 값,

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더 자세한 추가 분석을 하는 데 제한이 있었다 그.

럼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큰 교차비가 몇몇 요인들에 대해 제시된 것은 정

확성과 신뢰성을 높인 추후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향후 연구는 본 예.

비조사 결과와 개발된 설문지를 참조하여 제시된 연구 설계안을 바탕으로,

보다 대규모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내 여성의 유방암 발생률 분석 결과 급격한 증가 추세가 뚜렷하였다.

연령별로는 세 그 중에서도 세의 발생률이 가장 높은 양상을40-64 , 45-49

보였으며 이러한 양상은 년부터 년 모두 유사했다 세 이후 연, 1999 2008 . 45

령에서는 코호트에 따른 사망률 증가양상도 보였다 이는 국내 여성들의.

유방암 위험요인에 대한 노출 수준이 급격히 변화해 왔다는 점을 시사한

다.

유방암과 관련된 환경 위험요인을 포괄적으로 고찰하여 종을 선정하였22

다 선정된 물질 및 직업 요인에 대해 노출 경로를 고찰 정리하고 이를 바. ,

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인지조사를 거쳐 수정된 설문지로 예비조사.

를 실시하였으며 예비조사 결과 단변량 분석과 다변량 분석 모두에서 유, ,

방암 유병 여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는 환경 위험요인들이

다수 발견되었다 연령 교육수준 가족력 양성유방질환력 초경 연령 수유. , , , , ,

력 호르몬제 복용 음주와 비만을 보정한 후 시행한 다변량분석에서 유의, ,

한 관련성을 보인 환경 위험요인은 매니큐어 교차비( 5.309, 95% CI

청소용 세제나 차량용 세척제 교차비1.158-24.352), ( 7.237, 95% CI

Page 20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04

의 잦은 사용 지난 년간 두유 교차비1.897-27.615) , 1 ( 3.059, 95% CI

의 잦은 섭취 십대 시절 감자나 고구마 튀김류 교차비1.155-8.103) , ( 4.662,

과자나 쿠키 교차비95% CI 1.224-17.749), ( 4.442, 95% CI 1.645-11.995),

굽거나 튀긴 생선 교차비 발효유 교차비( 3.031, 95% CI 1.116-8.232), (

아이스크림 교차비4.364, 95% CI 1.356-9.915), ( 3.667, 95% CI

의 잦은 섭취 거주지 근처 버스 택시 종점 존재 교차비1.454-13.096) , / ( 7.76,

교대제 근무력 교차비95% CI 1.141-52.760), ( 6.485, 95% CI 1.211-34.738)

이었다.

예비조사 결과는 향후 유방암과 환경 위험요인과의 관련성을 탐구하는

본격적인 연구가 반드시 필요함을 시사한다 잠복기가 길고 유방암의 발생.

률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을 감안할 때 향후 연구는 환자 대조군 연구가, -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대상자는 설문지의 난이도와 유방암 역학을 감.

안하여 세 여성으로 제한하고 유방암 발병례를 환자군으로 한다 환40-59 , .

자군과 대조군 모두 병원 기반으로 모집한다 병원 기반 연구의 경우 일반.

적으로 대조군 모집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환자군과 대조군 비는 로 하, 1:1

여 교차비 을 유의하게 검출해낼 수 있는 표본 수는 환자군과 대조군2.0

각각 약 명이다 측정도구는 본 연구에서 수정한 설문지를 기반으로1,150 .

수정 보완해서 사용하며 의무기록조사와 생체시료조사를 추가하여 정확도,

를 높이도록 한다.

Page 20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05

V. 기대 성과 및 향후 계획

본 연구는 유방암의 역학을 입체적으로 분석하고 유방암 연구와 관련성,

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물질들을 포괄적으로 고찰하여 우선순위를 선정

하였다 제시된 정보들은 향후 유방암과 환경 위험요인과의 관련성을 탐색.

하고 기본 방향을 설정하는 데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설문지와 예비조사 결과를 통해 제안된 연

구 설계 안은 향후 본격적인 연구를 계획하고 수립 실행하는 데 튼실한,

토대가 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차기년도 연구 설계안으로 다.

음을 제안한다.

차기년도 연구 설계 최종안

� 연구 질문 국내 성인 여성에서 환경요인 노출과 유방암 발생간에:

관련성이 있는가?

� 환자 대조군 연구-

대상 인구집단 유방암을 진단받은 세 여성 발병례- : 30-59 ( )

지역 전국 또는 수도권- :

환자군 대조군 비- : = 1:1

표본 수 환자군 및 대조군 각각 여명- : 1,150

� 측정 방법

설문지를 이용한 면접조사- 1:1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함: · .

의무기록조사-

Page 20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06

생체시료 조사-

모든 대상자에 대해 를 통해: CALUX test dioxin, PCBs,

등을 반정량적으로 측정DDT, HCB, aldrin, dieldrine .

환자군과 대조군 각각 명에 대해: 100 Serum PCBs, PFOS,

측정aldrin, dieldrin, DDT, BPA, Urine 5-OH .

� 기타

연구는 개년으로 나누어 각기 핵심 주제를 발전시키면서 진행- 3

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생각됨.

환자군과 대조군 모두 병원기반으로 모집함 단 환자 대조군 연- . , -

구의 제한점을 극복하기 위해 대조군 모집 방법을 두 가지 이상

으로 구성할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음.

회상편견을 최소화하기 위해 차 병원에 확진을 받으러 온 환자- 3

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추후 의무기록조사를 통해,

유방암 확진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고려하도록 함.

Page 20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07

VI. 참고문헌

1. 강은영 신진희 강성구 황유나 차은숙 송상욱 한국 여성에서 방사선, , , , , .

학적 치밀유방과 유방암 위험요인과의 연관성 가정의학회지.

2007;28;937-942. (Korean)

2. 고광필 박수경 김연주 배지숙 전재관 곽진 유근영 여성의 출산력과, , , , , , .

초경 및 폐경 연령에 대한 설문지의 신뢰도. J Prev Med Public Health

2008;41(3):181-185. (Korean)

3. 김승권 김유경 조애저 김혜련 임성은 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 , , , . 2009

건복지 실태조사 한국 보건사회연구원. . 2009. (Korean)∙

4. 박수경 강대희 김연주 유근영 한국인 유방암의 역학적 특성, , , . . J

Korean Med Assoc 2009;52(10):937-945. (Korean)

5. 유근영 박수경 성주현 강대희 김영철 강한성 서준석 김지수 윤익진, , , , , , , , ,

한세환 노동영 최국진 한국인 여성 유방암 고위험군 설정에 관한 연구, , . .

J Korean Cancer Assoc 1998;30(3):435-449. (Korean)

6. 유근영 박수경 임영기 유방암 발생의 고위험군 및 조기진단 방안에 관, , .

한 역학적 연구 암예방학회지. 1998;3:1-23. (Korean)

7. 이미숙 윤현조 정성후 한국 여성 유방암의 발병위험요인에 관한 환자, , . -

대조군연구. J Breast Cancer 2006;9(2):45-50. (Korean)

8. 이상아 유근영 노동영 최국진 안세현 박수경 강대희 식이 요인과 유, , , , , , .

방암 발생과의 관련성에 대한 환자 대조군 연구 한국유방암학회지- .

2003J Korean Med Assoc. 2009;6(4):271-276. (Korean)

9. 이은하 박수경 고광필 조인성 장성훈 신해림 강대희 유근영 한국인, , , , , , , .

의 흡연과 사망 위험에 관한 코호트 연구. J Prev Med Public Health

2010;43(2):151-158. (Korean)

Page 20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08

10. 이정운 의학논문 보고지침. . Korean J Fam Med 2009;30:1-14.

(Korean)

11. 이진헌 백도명 설동근 이종태 강희숙 김형아 김재현 김성천 김기, , , , , , , ,

석 김정희 김판기 문찬석 손부순 박석환 박원열 박경렬 양원호 심해, , , , , , , , ,

숙 신대윤 윤병준 안령미 이종화 이선동 이승묵 장봉기 이채관 임호, , , , , , , , ,

섭 한돈희 최경호 최인자 제 차 국민생체 내 유해물질 실태조사 국립, , , . 3 .

환경과학원. 2008. (Korean)

12. 임선미 신인순 이선희 서경화 정유민 장지은 근거수준별 문헌의 질, , , , , .

평가 도구. J Korean Med Assoc 2011;54(4):419-429. (Korean)

13. 하은희 김영민 박소희 양지연 정해관 문병인 유방암 발생의 환경적, , , , , .

요인에 관한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 2010. (Korean)

14. 한상아 박수경 안세현 손병호 이민혁 최두호 노동영 한원식 이은, , , , , , , ,

숙 한서경 김이수 정용식 김구상 서영진 문병인 남석진 노우철 이정, , , , , , , , ,

언 김성원 한국유방암학회 및 유전자 돌연변이에 기인, , . BRCA1 BRCA2

한 한국인 유방암 및 난소암 위험도. J Breast Cancer 2009;12(2):92-99.

(Korean)

15. Aday LA. Designing and conducting health surveys. JOSSEY-BASS

Publications 1989.

16. Antoniou A, Pharoah PD, Narod S, Risch HA, Eyfjord JE, Hopper

JL, Loman N, Olsson H, Johannsson O, Borg A, Pasini B, Radice P,

Manoukian S, Eccles DM, Tang N, Olah E, Anton-Culver H, Warner

E, Lubinski J, Gronwald J, Gorski B, Tulinius H, Thorlacius S, Eerola

H, Nevanlinna H, Syrjäkoski K, Kallioniemi OP, Thompson D, Evans

C, Peto J, Lalloo F, Evans DG, Easton DF. Average Risks of Breast

and Ovarian Cancer Associated with BRCA1 or BRCA2 Mutations

Detected in Case Series Unselected for Family History: A Combined

Page 20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09

Analysis of 22 Studies. Am J Hum Genet 2003;72:1117 1130.–

17. Bennett LM, Davis BJ. Identification of Mammary Carcinogens in

Rodent Bioassays. Environ Mol Mutagen 2002;39(2-3):150-157.

18. Bhatia S, Robison LL, Oberlin O, Greenberg M, Bunin G,

Fossati-Bellani F, Meadows AT. Breast cancer and other second

neoplasms after childhood Hodgkin's disease. N Engl J Med

1996;334(12):745-751.

19. Boice JD Jr. Radiation and non-Hodgkin's lymphoma. Cancer Res

1992;52(19 Suppl):5489-5491.

20. Breast Cancer and the Environment Research Centers. Progress

Report. 2009.

21. Cantor KP, Stewart PA, Brinton LA, Dosemeci M. Occupational

exposures and female breast cancer mortality in the United States. J

Occup Environ Med 1995;37(3):336-348.

22. Charlier CJ, Albert AI, Zhang L, Dubois NG, Plomteux GJ.

Polychlorinated biphenyls contamination in women with breast cancer.

Clin Chim Acta 2004;347(1-2):177-181.

23. Choi JY, Lee KM, Park SK, Noh DY, Ahn SH, Yoo KY, Kang D.

Association of paternal age at birth and the risk of breast cancer in

offspring: a case control study. BMC Cancer 2005;5:143.

24. Cohn BA, Wolff MS, Cirillo PM, Sholtz RI. DDT and Breast Cancer

in Young Women: New Data on the Significance of Age at Exposure.

Environ Health Perspect 2007;115(10):1406-1414.

25. Collaborative Group on Hormonal Factors in Breast Cancer. Alcohol,

tobacco and breast cancer collaborative reanalysis of individual data–

from 53 epidemiological studies, including 58,515 women with breast

Page 21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10

cancer and 95,067 women without the disease. Br J Cancer

2002;87(11):1234-1245.

26. Collaborative Group on Hormonal Factors in Breast Cancer. Breast

cancer and breast feeding: collaborative reanalysis of individual data

from 47 epidemiological studies in 30 countries, including 50,302

women with breast cancer and 96,973 women with out the disease.

Lancet 2002;360:187 195.–

27. Davis S, Mirick DK, Stevens RG. Light at Night, Shiftwork, and

Breast Cancer Risk. J Natl Cancer Inst 2001;93(20):1557-1562.

28. De Stefani E, Ronco A, Mendilaharsu M, Guidobono M,

Deneo-Pellegrini H. Meat intake, heterocyclic amines, and risk of

breast cancer: a case-control study in Uruguay.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1997;6(8):573-581.

29. Deardorff J, Ekwaru JP, Kushi LH, Ellis BJ, Greenspan LC,

Mirabedi A, Landaverde EG, Hiatt RA. Father Absence, Body Mass

Index, and Pubertal Timing in Girls: Differential Effects by Family

Income and Ethnicity. Adolesc Health 2011;48(5):441-447.

30. Dunnick JK, Elwell MR, Huff J, Barrett JC. Chemically induced

mammary gland cancer in the National Toxicology Program's

carcinogenesis bioassay. Carcinogenesis 1995;16(2):173-179.

31. Gray J. State of the Evidence: The Connection Between Breast

Cancer and the Environment. Sixth Edition. 2010.

32. Hedrick TE, Bickman L, Rog DJ. Applied research design. SAGE

Publications. 1993.

33. Ibarluzea Jm J, Fernández MF, Santa-Marina L, Olea-Serrano MF,

Rivas AM, Aurrekoetxea JJ, Expósito J, Lorenzo M, Torné P,

Page 21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11

Villalobos M, Pedraza V, Sasco AJ, Olea N. Breast cancer risk and

the combined effect of environmental estrogens. Cancer Causes

Control 2004;15(6):591-600.

34. Inskip PD. Pelvic radiotherapy, sex hormones, and breast cancer.

Cancer Causes Control 1994;5(5):471-478.

35.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monograph. Vol

5. 1974.

36.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monograph. Vol

53. 1991.

37.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monograph

vol.75. 2000.

38.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monograph

vol.78. 2001.

39.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monograph

vol.83. 2004.

40.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monograph

vol.98. 2010.

41.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monograph

vol.99. 2010.

42. Isacson P, Bean JA, Splinter R, Olson DB, Kohler J. Drinking water

and cancer incidence in Iowa. III. Association of cancer with indices

of contamination. Am J Epidemiol 1985;121(6):856-869.

43. Jee SH, Yun JE, Park EJ, Cho ER, Park IS, Sul JW, Ohrr H, Samet

JM. Body mass index and cancer risk in Korean men and women. Int

J Cancer 2008; 123:1892-1896.

Page 21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12

44. Julious SA. Sample sizes for clinical trials. Talor & Franxis, CRC

Press. 2010. p248-257.

45. Jung KW, Park S, Kong HJ, Won YJ, Lee JY, Park EC.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cidence, mortality ,survival, and prevalence in

2008. Cancer Res Treat 2011;43:1-11.

46. Kim Y, Choi JY, Lee KM, Park SK, Ahn SH, Noh DY, Hong YC,

Kang D, Yoo KY. Dose-dependent protective effect of breastfeeding

against breast cancer among ever-lactated women in Korea. Eur J

Cancer Prev 2007;16:124-129.

47. Lee SY, Kim MT, Kim SW, Song MS, Yoon SJ. Effect of lifetime

lactation on breast cancer risk: a Korean women’s cohort study. Int J

Cancer 2003;105(3):390-393.

48. Levy-Lahad E, Friedman E. Cancer risks among BRCA1 and

BRCA2 mutation carriers. Br J Cancer 2007;96(1):11-15.

49. Lichtenstein P, Holm NV, Verkasalo PK, Iliadou A, Kaprio J,

Koskenvuo M, Pukkala E, Skytthe A, Hemminki K. Environmental

and heritable factors in the causation of cancer. N Engl J Med

2000;343:78-85.

50. López-Carrillo L, Hernández-Ramírez RU, Calafat AM,

Torres-Sánchez L, Galván-Portillo M, Needham LL, Ruiz-Ramos R,

Cebrián ME. Exposure to Phthalates and Breast Cancer Risk in

Northern Mexico. Environ Health Perspect 2010;118(4):539-544.

51. McPherson K, Steel CM, Dixon JM. ABC of breast diseases. Breast

cancer-epidemiology, risk factors, and genetics. BMJ

2000;321(7261):624-628.

52. National Toxicology Program. Report on Carcinogens, Twelfth

Page 21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13

Edition. 2010.

53. Nguyen DH, Oketch-Rabah HA, Illa-Bochaca I, Geyer FC,

Reis-Filho JS, Mao JH, Ravani SA, Zavadil J, Borowsky AD, Jerry

DJ, Dunphy KA, Seo JH, Haslam S, Medina D, Barcellos-Hoff MH.

Radiation Acts on the Microenvironment to Affect Breast

Carcinogenesis by Distinct Mechanisms that Decrease Cancer Latency

and Affect Tumor Type. Cancer Cell 2011;19(5):640-651.

54. Park SB, Shin HR, Lee SY.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of

HRT Use and Breast Cancer in Korea. Asia Pac J Public Health. (In

Press)

55. Rudel RA, Attfield KR, Schifano JN, Brody JG. Chemicals Causing

Mammary Gland Tumors in Animals Signal New Directions for

Epidemiology, Chemicals Testing, and Risk Assessment for Breast

Cancer Prevention. Cancer. 2007;109(12 Suppl):2635-2666.

56. Schernhammer ES, Kroenke CH, Laden F, Hankinson SE. Rotating

night shifts and risk of breast cancer in women participating in the

nurses' health study. J Natl Cancer Inst 2001;93(20):1563-1568.

57. Schwartzbaum J, Ahlbom A, Feychting M. Cohort study of cancer

risk among male and female shift worker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07;33(5):336 343.–

58. Shore RE, Hildreth N, Woodard E, Dvoretsky P, Hempelmann L,

Pasternack B. Breast cancer among women given X-ray therapy for

acute postpartum mastitis. J Natl Cancer Inst 1986;77(3):689-696.

59. Silent Spring Institute. Findings of the Cape Cod Breast Cancer and

Environment Study. 2006.

60. Smith-Warner SA, Spiegelman D, Yaun SS, van den Brandt PA,

Page 21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14

Folsom AR, Goldbohm RA, Graham S, Holmberg L, Howe GR,

Marshall JR, Miller AB, Potter JD, Speizer FE, Willett WC, Wolk A,

Hunter DJ. Alcohol and breast cancer in women: a pooled analysis of

cohort studies. JAMA 1998;279:535 540.–

61. Song YM, Sung J, Ha M. Obesity and risk of cancer in post

menopausal Korean women. J Clin Oncol 2008;26:3395-3402.

62. Storm HH, Andersson M, Boice JD Jr, Blettner M, Stovall M,

Mouridsen HT, Dombernowsky P, Rose C, Jacobsen A, Pedersen M.

Adjuvant radiotherapy and risk of contralateral breast cancer. J Natl

Cancer Inst 1992;84(16):1245-1250.

63. Suh JS, Yoo KY, Kwon OJ, Yun IJ, Han SH, Noh DY, Choe KJ.

Menstrual and reproductive factors related to the risk of breast

cancer in Korea. J Korean Med Sci 1996;11(6):501-508.

64. Thomas DB, Rosenblatt K, Jimenez LM, McTiernan A, Stalsberg H,

Stemhagen A, Thompson WD. Ionizing radiation and breast cancer in

men (United States). Cancer Causes Control 1994;5(1):9-14.

65. Veronesi U, Boyle P, Goldhirsch A, Orecchia R, Giuseppe Viale G.

Breast cancer. Lancet 2005;365:1727 1741.–

66. Viel JF, Clément MC, Hägi M, Grandjean S, Challier B, Danzon A.

Dioxin emissions from a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 and risk of

invasive breast cancer: a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with

GIS-derived exposure. Int J Health Geogr 2008;7:4.

67. Warner M, Eskenazi B, Mocarelli P, Gerthoux PM, Samuels S,

Needham L, Patterson D, Brambilla P. Serum dioxin concentrations

and breast cancer risk in the Seveso Women's Health Study, Environ

Health Perspect 2002;110(7):625-628.

Page 21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15

68. Warner M, Eskenazi B, Mocarelli P, Gerthoux PM, Samuels S,

Needham L, Patterson D, Brambilla P. Serum dioxin concentrations

and breast cancer risk in the Seveso Women's Health Study. Environ

Health Perspect 2002;110(7):625-628.

69. Yoo KY, Kang D, Park SK, Kim SU, Kim SU, Shin A, Yoon H,

Ahn SH, Noh DY, Choe KJ. Epidemiology of Breast Cancer in Korea:

Occurrence, High-Risk Groups, and Prevention. J Korean Med Sci

2002;17(1):1-6.

70. Yoo KY, Shin HR, Chang SH, Lee KS, Park SK, Kang D, Lee DH.

Korean Multi-center Cancer Cohort Study including a Biological

Materials Bank (KMCC-I). Asian Pac J Cancer Prev 2002;3(1):85-92.

71. Yoon SJ, Bae SC, Lee SI, Chang H, Jo HS, Sung JH, Park JH, Lee

JY, Shin Y. Measuring the Burden of Disease in Korea. J Korean

Med Sci 2007;22:518-523.

72. Zota AR, Aschengrau A, Rudel RA, Brody JG. Self-reported

chemicals exposure, beliefs about disease causation, and risk of breast

cancer in the Cape Cod Breast Cancer and Environment Study: a

case-control study. Environ Health 2010;9:40.

73. 년 대국민 암검진 수검률 조사 국립암센터2009 . . Available:

http://www.ncc.re.kr/library/library_03.jsp. [cited 7 Aug 2010]

74. 국가통계포털 경제활동인구조사. . 2009. Available:

http://kosis.kr/abroad/abroad_01List.jsp?parentId=A [cited 28 Aug 2011]

75. 국가통계포털 국민건강영양조사. . 2009. Available:

http://kosis.kr/abroad/abroad_01List.jsp?parentId=A [cited 9 Sep 2011]

76. 국가통계포털 인구총조사. . 2000. Available:

http://kosis.kr/abroad/abroad_01List.jsp?parentId=A [cited 9 Sep 2011]

Page 21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16

77. 국가통계포털 인구총조사. . 2010. Available:

http://kosis.kr/abroad/abroad_01List.jsp?parentId=A [cited 14 Sep 2011]

78. 한국노동패널 한국노동패널 차년도 데이터. 9 . 2006. Available:

http://www.kli.re.kr/ klips/ko/main/main.jsp. [cited 14 Sep 2011]

79. American Cancer Society. Learn About Cancer. The Sister Study

and the Two Sister Study. Available: http://www.cancer.org/

Cancer/BreastCancer/MoreInformation/the-sister-study-and-the-two-si

ster-study [cited 05 Oct 2011]

80. Breast Cancer and the Environment Research Program. About

BCERC. Available: http://www.bcerc.org/about.htm [cited 05 Oct 2011]

81. Cancer Research UK. News & Resources. Cancerstats. Available:

http://info.cancerresearchuk.org/cancerstats/ [cited 09 Jan 2012]

82.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GLOBOCAN 2008.

Available: http://globocan.iarc.fr/ [cited 22 Oct 2011]

83. Silent Spring Institute. Breast Cancer and the Environment.

Available: http://www.silentspring.org/ [cited 18 Sep 2011]

84. Silent Spring Institute. Silent Spring Institute Guide to Cohort

Studies for Environmental Breast Cancer Research. Available:

http://www.silentspring.org/our-tools/guide-breast-cancer-cohort-studie

s [cited 15 Oct 2011]

85. The Sister Study. What Participants Provide. Available:

http://www.sisterstudy.org/ [cited 05 Oct 2011]

Page 21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17

VII. 부록

1. 인지조사 환자군 설문지

2. 인지조사 대조군 설문지

3. 예비조사 환자군 설문지

4. 예비조사 대조군 설문지

5. 최종 제안 설문지

6. 증례기록서

Page 21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18

부록 인지조사 환자군 설문지1.

Page 21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19

Page 22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20

Page 22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21

Page 22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22

Page 22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23

Page 22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24

Page 22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25

Page 22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26

Page 22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27

Page 22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28

Page 22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29

Page 23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30

Page 23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31

Page 23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32

Page 23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33

Page 23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34

인지조사 대조군 설문지2.

Page 23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35

Page 23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36

Page 23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37

Page 23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38

Page 23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39

Page 24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40

Page 24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41

Page 24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42

Page 24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43

Page 24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44

Page 24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45

Page 24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46

예비조사 환자군 설문지3.

Page 24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47

Page 24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48

Page 24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49

Page 25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50

Page 25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51

Page 25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52

Page 25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53

Page 25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54

Page 25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55

Page 25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56

Page 25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57

Page 25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58

Page 25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59

Page 26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60

Page 26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61

예비조사 대조군 설문지4.

Page 26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62

Page 26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63

Page 26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64

Page 26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65

Page 26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66

Page 26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67

Page 26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68

Page 26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69

Page 27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70

Page 27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71

Page 27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72

Page 27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73

최종 제안 설문지5.

Page 27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74

Page 27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75

Page 27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76

Page 27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77

Page 27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78

Page 27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79

Page 280: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80

Page 281: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81

Page 282: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82

Page 283: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83

Page 284: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84

Page 285: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85

Page 286: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86

Page 287: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87

Page 288: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88

Page 289: 유방암과 환경요인 2차연구 보고서

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