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7
스마트폰의 확산과 정보불평등 변화에 대한 고찰 - 미디어 패널 조사 자료를 이용한 정보불평등과 미디어 컨버전스에 대한 시계열 분석 -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스마트폰의 확산과 정보불평등 변화에 대한 고찰 · 스마트폰의 확산과 정보불평등 변화에 대한 고찰 - 미디어 패널 조사 자료를 이용한

  • Upload
    others

  • View
    3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스마트폰의 확산과

정보불평등 변화에 대한 고찰

- 미디어 패널 조사 자료를 이용한 정보불평등과

미디어 컨버전스에 대한 시계열 분석 -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김 영 진

스마트폰의 확산과

정보불평등 변화에 대한 고찰

- 미디어 패널 조사 자료를 이용한 정보불평등과

미디어 컨버전스에 대한 시계열 분석 -

지도 김 용 학 교수

이 논문을 박사 학위논문으로 제출함

2014년 12월 일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김 영 진

i

차 례

그림 차례 ..................................................................................................... iv

표 차례 ......................................................................................................... vi

국 문 요 약 ................................................................................................. vii

제 1 장 서론 ................................................................................................. 1

1. 1. 연구 배경 .......................................................................................... 1

1. 2. 문제 제기 .......................................................................................... 3

1. 3. 주요 개념 소개 ................................................................................ 12

1. 3. 1. 정보불평등 ........................................................................... 12

1. 3. 2. 미디어: 기기–행위 구분 ........................................................ 14

1. 3. 3. 컨버전스 ............................................................................... 15

1. 3. 4. 미디어 레퍼토리 ................................................................... 17

1. 4. 연구 목적과 논문의 구성 ................................................................ 18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검토 .................................................. 21

2. 1. 기존 정보불평등 연구의 흐름: 수용과 이용을 중심으로 .................. 23

2. 1. 1. 정보불평등: 접근에서 이용으로 ............................................ 23

2. 1. 2. 정보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7

2. 1. 3. 미디어 활용 능력과 정보불평등의 누적 효과 ....................... 32

2. 2. 미디어 컨버전스, 정보불평등에 대한 입체적 접근 .......................... 37

2. 2. 1. 미디어 대체, 보완 그리고 공존 ............................................ 40

2. 2. 2. 스마트폰 레퍼토리 ................................................................ 42

2. 2. 3.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 45

ii

제 3 장 연구 자료와 연구 방법 ................................................................ 49

3. 1. 자료와 특성 ..................................................................................... 49

3. 1. 1. 종단 자료 ............................................................................. 49

3. 1. 2. 다층적인 미디어 이용 이해 .................................................. 51

3. 1. 3. 미디어 다이어리 ................................................................... 52

3. 1. 4. 자료와 연구의 적합성 .......................................................... 53

3. 2. 분석 방법 ........................................................................................ 53

3. 2. 1. 자료 변환 및 변수 ................................................................ 53

3. 2. 2. 분석 방법 ............................................................................. 64

3. 2. 3. 종속 변수의 특성과 분석 방법 정리 .................................... 68

제 4 장 정보불평등 양상의 시간적 변화: 수용과 이용을 중심으로 ....... 70

4. 1. 스마트폰 수용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70

4. 2. 스마트폰 이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77

4. 3. 정보 이용 행위와 정보불평등 .......................................................... 81

4. 4. 소결 ................................................................................................. 84

제 5 장 미디어 컨버전스와 정보불평등에 대한 입체적 접근 .................. 92

5. 1. 스마트폰 레퍼토리 크기와 그 변화 ................................................. 93

5. 2.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크기와 변화 ................................................. 99

5. 3. 소결 .............................................................................................. 112

제 6 장 결론 .............................................................................................. 117

6. 1. 요약 및 토론 ................................................................................. 117

6. 1. 1. 정보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19

6. 1. 2. 정보불평등 양상의 시간적 변화 ......................................... 121

6. 1. 3. 정보불평등에 대한 입체적 이해 ......................................... 126

iii

6. 2. 앞으로 연구와 정책 방향에 대한 제언 .......................................... 129

6. 2. 1. 정보불평등의 다양한 차원 .................................................. 129

6. 2. 2. 미디어 이용의 맥락적 이해 ................................................ 131

6. 2. 3. 세대 간 정보불평등 완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 ................... 132

6. 2. 4. 방법론적 제안 .................................................................... 134

6. 3. 맺음말 ........................................................................................... 135

참고 문헌 ................................................................................................... 137

부록 1. 미디어 다이어리 설문지 (예시) ................................................... 154

부록 2. 정보불평등 관련 변수들에 대한 이해......................................... 155

부록 3. 가구 구성과 스마트폰 수용의 관계 ............................................ 158

Abstract ...................................................................................................... 165

iv

그림 차례

그림 1-1. 스마트폰 가입자 추이 ..................................................................................... 2

그림 1-2. 미디어 기기-행위 레이어 ............................................................................. 15

그림 1-3. 연구 분석틀 .................................................................................................... 20

그림 2-1. 정보 기기 접근에 대한 다층 누적 모형 ..................................................... 32

그림 2-2. 기술 확산의 누적 S 형 곡선 ......................................................................... 33

그림 3-1. 스마트폰 가입자 추이 비교 .......................................................................... 50

그림 3-2. 미디어 패널 응답자들의 스마트폰 이용 미디어 행위 비율 ...................... 51

그림 3-3. 미디어 패널 자료의 통합과 변환 ................................................................ 54

그림 3-4. 미디어 패널 응답자의 연령 분포 (2013 년) ................................................ 60

그림 3-5. 2012 년 1 일 평균 스마트폰 이용 횟수 분포 .............................................. 65

그림 4-1. 스마트폰 수용 여부에 대한 연령의 영향력 크기 변화 ............................. 71

그림 4-2. 스마트폰 수용 여부에 대한 학력의 영향력 승산비 변화 .......................... 73

그림 4-3. 스마트폰 수용 여부에 대한 고용의 영향력 승산비 변화 .......................... 74

그림 4-4. 거주 지역별 스마트폰 이용 비율 변화 ....................................................... 75

그림 4-5. 스마트폰 수용 여부에 대한 미디어 활용 능력의 영향력 승산비 변화 ... 76

그림 4-6. 정보기기 활용 능력차이가 스마트폰 이용량에 미치는 영향 .................... 80

그림 4-7. 정보 이용행위에 대한 연령의 영향력 크기 변화....................................... 81

그림 4-8. 정보 이용행위에 대한 학력의 영향력(승산비) 크기 변화 ......................... 83

그림 4-9. 정보기기 활용능력에 따른 연도별 스마트폰 수용률 변화 ........................ 86

그림 4-10. 연령대에 따른 스마트폰 수용률 ................................................................ 87

그림 4-11. 스마트폰 요금과 스마트폰 이용량의 상관관계 ........................................ 90

그림 5-1. 스마트폰 수용 시점과 스마트폰 레퍼토리 변화 ........................................ 98

그림 5-2. 2010-2013 미디어 레퍼토리 크기 변화 분포 ............................................. 100

그림 5-3. 연도별 미디어 레퍼토리 크기 분포 ............................................................ 101

그림 5-4. 연도별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연결 중앙성 변화...................................... 104

그림 5-5. 연도별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연결 중앙성 ............................................... 105

그림 5-6. 미디어 활용 능력과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변화...................................... 110

v

그림 5-7. 스마트폰 이용 여부와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변화 .................................. 111

그림 5-8. 연령별 스마트폰 레퍼토리 변화 추이 ........................................................ 113

그림 5-9. 안드로이드 앱 성장 추이 ............................................................................ 114

그림 6-1 인터넷과 스마트폰 확산 속도 비교 ............................................................. 118

그림 6-2 정보 불평등 양상의 변화 ............................................................................. 125

그림 6-3. 스마트폰 수용시기에 따른 스마트폰 이용량 차이 .................................... 127

그림 6-4. 스마트폰 레퍼토리와 스마트폰 이용량과의 관계 ..................................... 128

그림 부 2-1. mclust 모형 선택 – 집단 수별 BIC 변화............................................... 156

그림 부 2-2. 구분된 집단의 분포 ................................................................................. 157

그림 부 3-1. 거주 지역별 60 세 이상 인구의 스마트폰 수용 비율 차이 ................. 158

그림 부 3-2. 2013 년 가구원 수 별 60 세 이상 인구의 이동전화/스마트폰 이용률 159

그림 부 3-3. 지역과 가구원 수에 따른 2013 년 스마트폰 수용 가능성 ................... 162

그림 부 3-4. 군 지역 60 대 이상 인구의 이동통신, 스마트폰 가입률 차이 ............ 163

vi

표 차례

표 1-1. 논문 구성 ........................................................................................................... 18

표 3-1. 미디어 패널 조사의 연도별 조사 응답자 변화 .............................................. 49

표 3-2. (연도별) 스마트폰 수용 비율 ........................................................................... 55

표 3-3. (연도별) 스마트폰 이용량 평균 ....................................................................... 56

표 3-4. (연도별) 정보 추구 행위 여부 비율 ................................................................ 57

표 3-5. (연도별) 스마트폰 레퍼토리 평균 .................................................................... 57

표 3-6. 조사 대상 미디어 기기 종류 ............................................................................ 58

표 3-7. (연도별)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평균값 변화 ................................................. 58

표 3-8. 기술 통계 ........................................................................................................... 59

표 3-9. 미디어 활용 능력(도구적 이용 능력) 질문 문항 ............................................ 61

표 3-10. 변수 간의 상관 관계 ....................................................................................... 63

표 3-11. 하루 평균 스마트폰 이용 횟수 ...................................................................... 64

표 3-12. 미디어 패널 응답자중 스마트폰 이용 횟수 0 인 경우 ................................ 65

표 3-13. 종속변수의 특성과 분석 방법 정리 ............................................................... 68

표 4-1. 연도별 스마트폰 수용 여부에 대한 로짓 분석 결과 ..................................... 72

표 4-2. 스마트폰 이용량(빈도)에 대한 제로팽창 음이항 모형 결과 ......................... 78

표 4-3. 정보 이용행위 여부 로짓 분석 ........................................................................ 82

표 4-4. 정보 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85

표 5-1. 스마트폰 레퍼토리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확률효과모형 ................ 95

표 5-2. 스마트폰 레퍼토리 성장 모형 분석결과 ......................................................... 97

표 5-3. 미디어 기기 이용 비율 변화표 ....................................................................... 102

표 5-4.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성장 모형 분석결과 .................................................. 108

표 6-1. 정보불평등 다양한 차원들의 변화 ................................................................. 123

표 6-2. 정보불평등 다양한 차원들의 변화 (표준화) .................................................. 124

표 부 2-1. 요인 분석 결과 ............................................................................................ 155

표 부 3-1. 60 대 이상 2013 년 스마트폰 수용 여부 추정 모형 ................................. 161

vii

국 문 요 약

스마트폰의 확산과 정보불평등 변화에 대한 고찰: 미디어 패널 조사 자료를

이용한 정보불평등과 미디어 컨버전스에 대한 시계열 분석

이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의 확산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보불평등 양태와 그

변화를 분석하여 정보불평등이 발생하는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정보불평등

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진단하여 앞으로 정보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제언을 하고

자 한다. 이 논문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정보불평등은 스마트폰 수용과 이용량, 활용

의 다양성, 그리고 스마트폰으로 인한 미디어 컨버전스 속도의 차이이다.

PC 와 인터넷이 확산되는 시기에 활발하게 논의되었던 정보불평등이 스마트폰

의 확산 과정에서도 다시 드러나는가? 이 질문을 바탕으로 기존의 정보불평등 논의

가 스마트폰이라는 새로운 정보 미디어 기기의 확산 과정에서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인구사회학적 요인 및 기존 미디어 활용 능력의 영향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이에

더하여 스마트폰이 촉발한 개인들의 미디어 이용 환경 변화, 즉 미디어 컨버전스가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미디어 진화론적 관점에서 접근한다.

스마트폰의 수용과 이용 관련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왔지만, 대개는 초기 수

용자들이 가지는 특징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정보불평등은 고착되어 있지 않고, 시

간이 흐름에 따라 변화한다. 정보불평등과 관련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것은 정보 이용의 소외 계층을 발견하는데 필요하다. 스

마트폰의 확산 과정에서 정보불평등 양상의 변화를 포착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한국 미디어 패널 4 개 연도 자료(2010-2013 년)를

이용한다.

스마트폰 수용과 이용에 있어서 이전까지 확산된 미디어 활용 능력이 가장 중

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새로운 정보 미디어가 확산되는 과정에

서 정보불평등의 누적 효과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미디어를 빨리 수용하고

많이 이용하는데 있어 다른 인구사회학적 요소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 스마트폰을

viii

얼마나 다양하게 이용하는지를 측정한 스마트폰 레퍼토리와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분석에서도 미디어 활용 능력의 중요성은 확인된다. 미디어 활용 능력이 높은 이들

일수록 다양하게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더 빠른 속도로 미디어 컨버전스를 진행하고

있다.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에서는 연령과 학력의 효과가 크고 일관적이다. 스마트폰

과 같은 새로운 미디어 기기에 접근하고 이용하는 것은 적응과 학습이 필요하기 때

문이다. 반면 소득이 정보불평등의 다양한 차원에서 일관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정보에 대한 접근과 이용이 손쉬워지면서 이에 대한 경제 자본의 영향력이 감

소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성별, 고용, 거주지역과 같은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은 다

른 요인들과 함께 고려하여 분석할 때, 모든 차원에서 일관적인 영향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미디어 진화적 관점에서 미디어 레퍼토리를 개인 성장모형으로 분석하여 스마

트폰으로 인한 미디어 컨버전스의 진행을 확인하였다. 미디어 컨버전스의 속도와

정보불평등의 다른 차원들을 설명하는 요인들이 일치하여 컨버전스 능력을 오늘날

정보불평등의 하나의 차원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것도 중요한 발견이다. 방법론적

으로도 개인 성장 모형, 제로 팽창 음이항 모형 등을 이용하여 미디어 다이어리로

조사된 패널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을 확장하는데 기여를 하였다.

요약하자면, 스마트폰이 빠른 속도로 널리 확산되었지만 그 과정에서 사회구조

적 불평등이 반영되어 드러나고, 이전까지 형성된 미디어 활용 능력이 새로운 미디

어 기기 확산 과정에서 정보불평등 양상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보불평등을 줄여나가기 위해서는 정보 소외 계층에게 새로운 미디어에 관심을 갖

고 활용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관계적 접근을 통한 스마트폰 이용 동기 및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는 바이다.

핵심되는 말: 스마트폰, 정보불평등, 미디어 컨버전스, 미디어 패널 조사,

미디어 다이어리, 미디어 진화, 공진화, 미디어 생태학, 확산, 시계열 분석

1

제 1 장 서론

1. 1. 연구 배경

이동통신 기술은 지금껏 사용되었던 어떤 통신 기술보다 빠르고 광범위하게 확

산되었다(Castells, Fernandez-Ardevol, Qiu and A. Sey 2007, p. 1). 2002 년 전 세

계 이동통신 가입 회선 수가 유선전화 회선 수를 넘어선 이래, 2013 년 말에는 약

67 억에 이르는 회선이 이동통신망에 가입되어 있다(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2014a). 2014 년 말에는 70억 회선의 가입이 추정된다. 이

는 전 세계 인구의 96%에 해당하는 수준이다(ITU 2014c).

한국의 경우 2014 년 9월 현재, 한국 인구보다도 많은 5,674 만 회선이 이동전

화 망에 가입되어 있다(미래창조과학부 2014). 이뿐 아니라 한국은 높은 인구 밀도

와 도시화로 인하여 네트워크 인프라 확충이 용이했기 때문에 초고속인터넷 가입률

도 세계에서 가장 높은 국가로 꼽힌다. 이러한 IT이용의 확산은 한국인들의 새로운

기술 개발과 수용에 대한 욕구, 삼성과 LG 같은 세계적인 이동통신 제조사들의 경

쟁, 그리고 CDMA 자체 기술 개발 등 정보 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관련 발전의 조응으로 추동된 결과라고 평가된다(Whang

and Hobday 2011).

한국에서는 2009 년 iPhone의 국내 출시로 또 한 차례의 이동통신 기기 및 통

신 방식의 급격한 변화가 있었다. 불과 5 년도 채 안 되는 짧은 시간 동안 <그림 1-

1>에서 살펴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스마트폰으로의 변환이 급속하게 진행되었고,

2014년 9월 현재 스마트폰 가입자는 약 4,000만 명에 이른다(미래창조과학부 2014).

또한 이 확산의 모습은 로저스(Rogers 2003)의 확산 이론이 제기한 것처럼 S 자 커

브를 그린다. 확산 초기 완만한 상승 구간이 짧고, 2010 년 후반부터는 급속한 확산

모습을 보인다. 최근에 와서 그 기울기는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꾸준하게 가입자가

증가하고 있는 확산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2

그림 1-1. 스마트폰 가입자 추이(출처: 미래창조과학부(2014), 단위: 만 명)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의 포화(saturation)와 더불어 스마트폰으로의 급속한 변환

은 21 세기 한국에서 정보불평등이라는 개념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지에 대한 물음

을 제기하게 한다. 빠른 확산 과정과 이용량의 차이, 그리고 스마트폰으로 말미암은

개인들의 미디어 환경 변화에 이르기까지 그간의 정보불평등 논의로 전개하였던 것

을 새로운 시각에서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측면이 많기 때문이다. 스마트폰

확산 과정을 연구하면서 이전 단계의 정보불평등이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매년 스마트폰 수용자 특성의 차이점이 존재하는지를 살펴보고 이런 특성이

정보 이용 행위, 스마트폰 활용 다양성, 다중 미디어 기기 이용 변화와 어떤 연관을

갖는지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접근은 기존에 단편적으로 살펴봤던 정보불평등의

면모를 보다 다양하고 넓게 이해하며 기존의 정보불평등 논의를 확장하는 데 기여

할 수 있다.

스마트폰 활용 다양성과 다중 미디어 기기 이용 변화는 미디어 컨버전스와 연

결된다. 디지털화로 인한 콘텐츠 이용의 미디어 경계가 허물어지고(Negroponte

1996) 다중 미디어화가 이루어짐에 따라서 발생하는 미디어 컨버전스 현상(강남준,

김은미 2010, 정준희, 김예란 2010)이 스마트폰 이용과 맞물려 어떻게 변화하고 있

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최근에 이르기까지 정보 기술의 발달은 개인들의 목적에

따른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 이용을 가능케 하였다. 또한 지금까지의 미디어 연구들

4,006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4,000

4,500

2009.12월

2010.3월

2010.6월

2010.9월

2010.12월

2011.3월

2011.6월

2011.9월

2011.12월

2012.3월

2012.6월

2012.9월

2012.12월

2013.3월

2013.6월

2013.9월

2013.12월

2014.3월

2014.6월

2014.9월

3

은 다중 미디어 이용을 미디어 리터러시가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다(Ferguson 1992,

Ferguson and Perse 2000, Heeter 1985). 그러나 스마트폰의 확산과 스마트폰으로의

컨버전스는 기존의 다중 미디어 이용을 새로운 차원에서 이해할 것을 주문한다.

1. 2. 문제 제기

“모든 현대인들은 스마트폰에 둘러싸여 있었다. 스마트폰과 스마트폰의 심리가 사람

들에게 흘러넘쳤고, 이용자들은 부지불식간에 내면적으로 그것의 노예가 되어버렸다.

마치 노예에 둘러싸인 로마인들처럼 현대인은 스마트폰을 손에 든 노예들에게 둘러

싸여 있다. 언제나 스마트폰의 분위기 속에서 생활했기 때문에 현대인은 무의식적으

로 스마트폰의 정신세계에 젖어든 것이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영향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1” (백욱인 2014)

기존의 정보불평등 논의는 인터넷의 확산 과정에서 등장하였다. 네트워크에 접

속할 수 있는지 여부가 정보 습득의 문제로 연결되고, 이는 사회적 불평등으로 이

어진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인터넷에 대한 접근성의 문제가 많이

해소되면서 정보불평등 논의는 2000 년대 중반 이후 감소되는 추세에 있었다. 그러

나 스마트폰의 빠른 확산과 이용량의 증가 그리고 콘텐츠(애플리케이션)의 증가를

볼 때, 스마트폰에 대한 수용, 이용, 활용과 같은 불평등 양상이 과연 시간에 따라

어떻게 달라졌는지, 각각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한 정보불평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스마트폰에 대한 수용, 이용, 활용은 인구사회학적 배경에 따라 그 불

평등 양상 및 변화의 속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스마트폰은 ‘스마트’, ‘폰’ 두 단어의 속성이 결합되어 있는 특징을

갖는다. 즉 스마트폰은 일반전화-휴대전화의 계보를 잇는 대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발전선상에 놓여 있다. 동시에, 독자적인 OS 를 지니고 있어서 다양한 응용

애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설치할 수 있고 언제든지 정보 검색을 할 수 있다는

1 매클루언(2011)이 <미디어의 이해> 에서 융의 <분석심리학 논고>를 인용한 것을

백욱인(2014)이 차용한 것을 다시 인용함.

4

점에서 PC-인터넷의 계보도 잇는 정보 기기이다 (김은미, 심미선, 김반야 2012,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2011).

이처럼 스마트폰은 ‘전화’와 ‘컴퓨터’의 속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서, 작

은 단말기의 크기에도 불구하고 컴퓨터에 필적하는 고급 사양을 갖추고 있고, 가격

또한 비싸다. 확산 초기 스마트폰 단말기 가격은 보급형 노트북(넷북)보다 가격이

비샀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람들은 5 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인구의 80%가 이

용할 정도로 스마트폰을 빠르게 수용해왔다2. 그렇지만 이런 빠르고 광범위한 변화

가운데서도 누가 빨리 스마트폰을 수용했는지와 같은 시기별 접근성의 차이가 존재

해왔다. 정보불평등 논의를 적용하여 스마트폰 수용 시기에 따른 불평등의 양상을

살펴보고 정보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앞으로 또다시 새로운

미디어가 확산되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은 그 이용 시간이 TV와 PC 같은 기존 미디어를 초과할 정도로

사람들에게 많이 쓰이고 있다. 닐슨 코리아의 3 스크린 신디케이트 리포트에 의하

면, TV, PC, 스마트폰을 모두 이용하는 이들이 2014 년 6 월 한 달 동안 스마트폰을

하루 평균 이용한 시간은 3 시간 40분으로 하루 평균 TV 시청 시간(2 시간 57 분)과

PC 이용 시간(47 분)을 능가한다(Nielsen Korea 2014a). 스마트폰의 이용으로 개인들

의 미디어 이용에 변화가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스마트폰 이용량이 이렇게 급속히 증가할 수 있었던 것은 스마트폰이 가진 다

양한 기능 때문이다. 컴퓨터와 마찬가지로 “각기 다른 미디어들의 독특한 속성들과

기술들이 과거에는 불가능했던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요

소”(Manovich 2013, p. 176) 가 되어 이전 미디어들이 각기 수행하는 기능들을 스마

2

A제조사의 대표 스마트폰 출고 가격과 넷북 인기 모델 가격 추이(dawana.com) 비교.

40

60

80

100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스마트폰

넷북

5

트폰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3. 사람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기존 휴대폰의 통화

와 문자메시지 등 커뮤니케이션 기능에 더하여, 채팅, 게임, 인터넷, 동영상 시청,

음악 청취, 금융 거래, 지도 검색 등 다양한 행위를 할 수 있다. 개인이 언제 어디

서나 이용이 가능하고 통신과 방송의 기능이 공존하는 컨버전스 미디어가 탄생한

것이다(김은미, 심미선, 김반야 2012). 기존 휴대폰에서 전통적으로 쓰이던 통화/문

자메시지는 스마트폰 이용 시간의 약 1/10 정도에 불과할 정도로 스마트폰은 다기능

메타미디엄으로 기능하고 있다(김영진 2012).

스마트폰은 비싼 가격과 고사양 기기임에도 불구하고 빠른 속도로 확산되었다

는 것과, 사람들에게 많은 시간 이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 문제를 발견할 수 있

다. 우선 개개인이 스마트폰을 구매하고 수용하는 단계에서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문제이다. 기존의 정보불평등 논의에서는 인터넷

확산 당시 소득, 교육수준, 고용, 성별, 지역, 연령 등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PC

및 인터넷에 대한 물리적인 접근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스마트폰의 확산

과정에서도 인터넷 확산 과정과 동일하게 혹은 다른 양태로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단말기를 구입해야 하고,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통신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스마트폰 수용과

이용에 소득과 같은 사회경제적 요소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인터넷 확산 과정에서는 인터넷과 유사한 기능을 가진 미디어가 없었기

때문에, 새로움과 낯설음이 수용 여부를 결정짓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새로움과

낯설음은 새로운 기기의 효용을 판별하는 데 어려움을 갖게 한다. 하지만 스마트폰

은 외형적으로 유사했던 휴대폰의 뒤를 잇고, 기능적으로도 휴대폰과 PC의 계보를

잇기 때문에 스마트폰 확산 과정에서의 정보불평등은 인터넷의 확산과는 다른 양태

를 보일 수 있다. 기존에 PC, 인터넷, 휴대폰 등을 이용하면서 형성한 미디어 활용

능력의 차이가 스마트폰이라는 새로운 기기의 수용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이용량과 다양한 활용도 정보불평등을 드러내는 차원으로 살

3 마노비치는 컴퓨터와 스마트폰 등이 응용 소트프웨어와 앱을 통해서 기존의

미디어들이 가진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이해하기 위하여 ‘메티미디엄(metamedium)’

이라는 용어를 창안하였다(Manovich 2001, 2013).

6

펴볼 수 있다. 스마트폰을 많이 이용하는 것은 시간 및 경제적 자원의 여유가 있어

야 가능하고, 또 이를 이용할 수 있는 도구적 능력이 필요하다. PC 와 인터넷과 같

은 정보 미디어 기기는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미디어 이용량

을 정보불평등을 드러내는 차원으로 바라보았다(van Dijk 2005). 마찬가지로 스마트

폰을 풍부하게 이용하기 위해서 이용자들은 많은 앱 중에서 자신이 필요한 앱을 찾

아서 설치해야 하고 이에 익숙해 져야 한다. 이 과정에서 자신들에게 필요한 앱이

무엇인지, 시간 및 경제적 자원을 아껴줄 수 있는 앱들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하고 기기를 도구적으로 다룰 수 있어야 한다. 스마트폰의 이용과 다양한

활용에서 개인별로 차이가 나타나고 불평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4.

이 연구는 스마트폰의 확산 과정에서 인터넷의 확산 때와 같은 정보불평등이

존재하였는지, 그리고 현재 스마트폰을 사용한 정보 이용에 가장 소외를 받고 있는

이들이 누구인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 정보불평등 논의에서 살펴

보았던 ‘수용’, ‘이용’, ‘활용(다양성)’의 세 가지 차원을 구분하여 분석하고

(이현주 2014, 황용석, 박남수, 이현주, 이원태 2012) 추가적으로 스마트폰으로 인하

여 발생하는 미디어 컨버전스의 양상의 변화도 살펴본다.

스마트폰은 개인적으로 보유하고 이용하는 미디어 기기이기 때문에 PC, TV, 전

화 등 기존 미디어와 같이 기본적으로 가구 단위에서 구매되고 보유되었던 미디어

기기와 수용 및 이용의 차원에서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다. 스마트폰의 개인성과

관련한 특징을 다음처럼 네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스마트폰은 자기 표현 수단이다. 개인의 정체성 혹은 사회적 지위를 드러

내는 하나의 표지일 수 있다는 것이다. 새로운 기기가 확산되는 과정에서도 단말기

가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하나의 과시적인 수단으로 여겨졌다는 연구들이 있었

다(김대호, 김도연, 김은미, 도준호 2006, 김성철, 박의범 2005). 스마트폰과 같은 고

사양의 단말기 사용이 개인의 사회적 지위를 드러내는 하나의 과시적 수단이 될 수

4 하지만 스마트폰을 많이 이용한다고 해서 정보 이용 능력이 높다고 주장할 수 없다.

상대적으로 시간에 대한 비용이 낮은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많이 이용할 수 있고, 스마트폰

이용을 조절하지 못해 중독이 발생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과다

이용과 중독을 구분하지는 않지만, 스마트폰 이용 연구 시에 이 부분은 유의해야 한다.

7

있다.

둘째, 연결성이다. 국내에서 스마트폰이 확산되는 과정에서 가장 크게 역할한

것이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등과 같은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이다. 특

히 카카오톡은 최근 감청 논란으로 많은 탈퇴가 있었음에도 여전히 스마트폰 이용

자의 96.6%가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많은 이들이 사용한다(Nielsen Korea 2014c). 정

보 기기는 네트워크 효과를 갖고 있어 결정적 다수(critical mass)가 사용하면 그 가

치가 크게 증가한다(van Dijk 2005). 많은 이들이 카카오톡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카카오톡 연결망에 포섭되어 있지 않으면 정보와 소통의 관계에서 배제될 수 있다

(조연정 2014). 연결망 포섭 메커니즘이 스마트폰 확산을 가속화했다.

셋째, 스마트폰은 일상을 미디어화(mediatization) 한다(Miller 2014). 스마트폰의

이용은 일상생활과 밀접하고, 현실을 증강시킬 수 있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 프레스

와 윌리엄스(Press and Williams 2010, p. 194)의 말대로 “미디어는 일상의 우리 존

재의 거의 모든 순간에 침투해 있다.” 이메일을 이용하여 시공간적 제약 없이 업

무를 처리할 수 있고, 공유(cloud) 서비스로 사무실과 동기화된 무선 업무환경이 만

들어졌다. 은행, 증권 앱을 통해 금융 서비스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고, TV리모콘

을 대체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차원에서 일상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스마트폰의

현실 증강 기능으로 기존 온라인에서 하지 못하였던 미디어 행위도 가능하다.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하여 내비게이션이나 지도와 같은 길찾기 서

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카메라로 QR코드를 찍어 온라인으로 물품을 구매할 수 있

다. 위치를 기반으로 지역 맛집까지 할인 쿠폰을 제공하는 소셜 쇼핑은 일상생활에

서 직접적인 경제적 절약을 가능하게 한다. 스마트폰은 이전 미디어에 비하여 일상

생활의 많은 부분에 더 밀착된 측면이 있다.

넷째, 상호작용성이다. 스마트폰은 뉴미디어의 특징인 상호작용성이 가장 잘 드

러나는 미디어 기기이다(van Dijk 2012). 손가락으로 화면을 직접 터치하여 앱을 실

행시켜야 하고, 기본 설치된 앱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스스로 다양한 앱을 내려받아

설치하고, 업데이트 해야 하기 때문이다. TV, 라디오, 신문과 같은 전통적 미디어는

일방향적인 정보 전달로 이용자가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면 되지만, 인터넷과 스마트

폰의 경우에는 능동적으로 정보를 찾아나가야 한다는 측면이 있다.

이러한 네 가지 특징은 스마트폰의 수용, 이용 및 활용에 있어서의 차이가 정

8

보불평등 논의를 촉발시켰던 기존 뉴미디어인 인터넷과 유사한지 상이한지 궁금증

을 갖게 한다. 또한 스마트폰 이용은 인터넷 등 기존 미디어 이용보다 편리하고 일

상화된 이용이 가능하여 삶의 제약을 보다 쉽게 극복해줄 수 있다. 이는 정보불평

등으로 인한 삶의 격차를 감소시킬 수도 있고 반대로 더 크게 만들 수도 있다. 예

를 들어,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한 학생이 어려운 가정환경 속에서도

모바일 인터넷을 이용하여 관심사를 찾아 발전시키고, 자신이 이전까지 만나지 못

했던 후원자를 만나고 관계를 이어나가 자신이 원하는 일을 하게 되었다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Walton and Donner 2012). 반면에 스마트폰 앱으로 기차 예매가 가

능해지면서 스마트폰을 잘 활용하지 못하는 노년층이 좌석 확보를 못하는 경우가

많아지자 코레일은 노년층을 위한 아날로그 서비스를 다시 시작했다(코레일 2013).

정보 기기에의 접근과 이용을 연구하는 것은 기존의 구조적인 불평등을 재확인하는

과정일 수도 있고, 반대로 기존의 구조적 제약을 극복하는 과정을 살펴볼 수도 있

다는 이중적인 측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기존의 정보불평등 연구들은 대부분 새로운 정보 기술의 수용, 이용, 활용 중

한 가지에 초점을 맞춰서 연구되었다. 인터넷 확산 초기에는 수용 과정에서의 차이

에 관심을 가졌다가, 공공시설을 통한 접근 등으로 보편적 차원의 서비스가 가능해

지고 나서야 이용과 활용에 대해 관심을 기울였다(DiMaggio and Hargittai 2001,

Selwyn 2004). 정보 미디어 수용과 이용, 활용의 불평등에 대한 학문적, 정책적 관

심의 시간 차가 존재했다. 그렇지만 한국에서 스마트폰은 짧은 시간 동안에 급속하

게 확산되었기 때문에 세 가지 측면을 동시에 연구하며 비교할 수 있다. 또한 PC,

인터넷, 휴대폰 등 기존의 정보통신 기기가 보급되고 이용되면서 형성된 미디어 활

용 능력이 스마트폰을 새로이 수용하고, 이용하고 활용하는 데에 어떠한 영향을 끼

칠 것인가 역시 연구 문제로 이어진다(van Dijk 2005).

인터넷에 대한 물리적 접근에서 정보 격차는 많이 완화되었다고 평가되지만,

여전히 정보 소외 계층으로 남아 있는 이들이 존재하고 (진상기 2013, 한국정보화

진흥원 2014) 활용의 측면에서 볼 때 한국인 전체 평균과 정보 소외 계층과의 격차

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이렇게 PC

와 인터넷 이용을 대상으로 평가하는 정보 격차가 여전히 존재하는 가운데, 기존의

정보 격차로 형성된 미디어 활용 능력 차이가 새로운 미디어를 수용하고 이용하고

9

활용하는 데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라는 질문 역시 정보불평등의 새로운 양태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문제이다.

또한 스마트폰의 이용은 개인들의 미디어 이용 환경을 변화시킨다.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은 많은 부분 기존 미디어를 재매개하는 것이다. 웹 서핑과 정보 검색

기능은 PC 의 기능을, 동영상/TV 시청은 TV의 기능을, 음악 듣기, 라디오 듣기 등

은 워크맨, MP3, 라디오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스마트폰이라는 하나의 미디어 기

기로 기존 미디어들의 기능이 포괄적으로 이용된다면, 기존의 매체들은 대체될 것

인가?

1980년대 이후 PC, 인터넷, 모바일 등 뉴미디어가 지속적으로 등장함에 따라

학계에서는 새로운 미디어에 의해 기존 미디어 이용이 대체되는 양상에 대한 지속

적인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Dimmick, Feaster and Ramirez 2011, Feaster 2009,

Ferguson and Perse 2000, Ramirez et al. 2008, 손승혜 2005, 정재민, 이화진, 김영

주 2005, 허윤, 이상우 2012).

미디어 이용 대체는 미디어 수용과 동전의 양면과도 같아 새로운 미디어의 탄

생과 더불어 동시에 촉발되는 현상이다. 그러나 새로운 미디어의 발생이 기존 미디

어를 완전히 대체하지는 않는다(Ferguson 1992, Ferguson and Perse 2000, Lee and

Leung 2008). TV가 등장하고 나서도 여전히 라디오와 종이 신문은 그 독자적인 영

역을 유지하고 있고, 인터넷과 모바일이 일상화되고 나서도 TV의 영향력은 크게

줄어들지 않았다(이혜미 2014). 각각의 미디어에 대한 이용 동기가 다르고, 정보에

대한 중요성 인식도 다르기 때문이다(Kayany and Yelsma 2000). 하지만 스마트폰은

기존의 다양한 미디어를 재매개하는 메타미디엄이면서 개인이 소지하고 이동 가능

하기 때문에, 기존 미디어를 보다 폭넓게 대체해나갈 수 있지 않을까라는 질문도

가능하다.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미디어 이용을 단순하게 하나의 미디어 이용

증감 만으로 살펴봐서는 안된다. 닐 포스트만이 제기한대로 새로운 미디어 기기의

출현은 단순히 하나의 미디어가 더해진 것이 아니라 생태학적으로 개인을 둘러싼

환경의 변화로 이해하고 살펴봐야 한다(Postman 1998, Scolari 2012). 미디어 이용 대

체를 분석하기 위해서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 이후 개인 수준에서 미디어 기기 이용

의 폭과 변화가 어떠한지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10

스마트폰은 TV, PC 와는 달리 개인이 보유하고, 이동하며 이용할 수 있는 미디

어 기기라는 차원에서 앞선 TV, PC 가 기존 정주형 미디어와 경쟁할 때와는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다. 정주형 미디어 간에는 동시 이용이 쉽지 않다. 따라서 PC 의

사용량이 증가하면 TV 시청이 줄어드는 시간 대체 효과를 살펴볼 수 있다(Cai 2005,

Kayany and Yelsma 2000, Robinson 2011). 그렇지만 이동형 DMB 사용과 같이(이중

식 2005) 스마트폰은 이동 중 혹은 취침 전과 같은 틈새 시간에 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미디어와 달리 단순한 시간 대체적 이용이 아니라 다른 적소 시간대

에 이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미디어 간의 경쟁과는 다른 차원의 양상을 보일

수 있다.

한편 MP3, 휴대용 라디오, 디지털 카메라와 캠코더와 같은 이동 미디어 기기들

이용에는 큰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사람들이 이동하면서 소지하는

물품에는 인지적, 물리적 제약이 따르기 때문이다. 또한 PC 로 인터넷 정보 검색을

했던 것과 같은 경우에는 기능적인 대체가 이뤄질 수 있다. PC 를 부팅하고 인터넷

에 접속하기까지의 시간과 노력에 비하여 스마트폰으로 정보 검색을 하는 것이 더

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폰으로 인하여 기존의 미디어 이용이 어떻게 대체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 역시 정보 기술을 수렴적으로(converged) 활용하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다. 최근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변화를 설명하는 가장 큰 특

징 중의 하나는 융합∙수렴(convergence)이다. 융합화란 “서로 다른 미디어 시스템

이나 조직이 서로 결합하고 교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Dennis and Pavlik 1993,

Fidler 1997, 김양은 2009, p. 114). 2000년대 초반까지 미디어 컨버전스는 컴퓨터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디지털화가 진행되면서 전통적인 미디어가 갖고 있던 선형적,

단일적인 특성은 비선형적이고 복합적인 형태로 전환하면서 컴퓨터로 이용이 가능

해졌다(김양은 2009, 이재현 2004). PC 와 인터넷과 같은 뉴 미디어의 등장과 이들

미디어가 같는 미디어 성격의 변환은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 논의를 불러

온다. 이들 미디어를 도구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지 여부와, 실질적으로 잘 활용하는

지 여부가 문자를 읽고 쓸 줄 아는 능력과 마찬가지로 중요하다고 평가되었기 때문

이다.

스마트폰이라는 새로운 컨버전스 미디어의 등장은 기존에 가지고 있던 미디어

11

리터러시 개념에 융합성이라는 차원을 덧붙이게 된다. 융합/수렴적인 성격을 갖는

미디어를 잘 이용한다는 것은, 스마트폰으로 인하여 기존의 미디어를 많이 대체할

수 있다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술의 발달로 미디어의 융합/수렴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미디어 컨버전스는 진화론적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미디

어와 이를 이용하는 인간이 상호 연계가 되어 있기 때문에 미디어의 발달은 미디어

-인간의 공진화(co-evolution)를 만들어낸다.

기존의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에서는 많은 미디어 레퍼토리, 즉 다양한 미디어

기기를 쓰는 사람들이 적은 수의 미디어를 쓰는 이들보다 미디어 활용 능력이 우수

하다고 평가하였다(Fortunati and Taipale 2014, Reagan 1996, 심미선 2007, 이미영,

김담희, 김성태 2010). 하지만 스마트폰 이용의 증가는 미디어 레퍼토리를 새로운

관점에서 살펴볼 것을 요구한다. 왜냐하면 스마트폰은 기존의 다양한 미디어 기능

을 수렴한 융합 매체이기 때문이다.

스마트폰으로 인하여 기존 미디어들이 기능적으로 대체되어 개인의 전체적인

미디어 이용 환경(system)이 변화한다면, 이는 미디어 레퍼토리의 축소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 레퍼토리가 감소하는 속도가 스마트폰으로 인하여 차이가 발

생한다면, 스마트폰으로 인하여 기기 차원에서의 미디어 컨버전스가 얼마나 빨리

이뤄지는지 살펴볼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컨버전스를 빨리 해나가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 사이에 속도의 차이가 존재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빠르게 기존 미디

어를 대체하여 스마트폰으로 그 이용을 수렴하는 이들이 빠른 정보 활용 능력을 가

진다고 가정한다. 미디어 컨버전스를 진행하는 속도의 차이를 정보불평등의 하나의

요소로 놓고 논의를 확장할 것이다.

스마트폰은 2014년 한국에서 살아가는 많은 이들에게는 필수품이 되어버렸다.

스마트폰이 우리 삶에서 점점 밀접해지는 가운데, 확산 초창기의 수용과 이용의 맥

락 그리고 미디어 컨버전스의 변화를 이해하는 것은 정보불평등 양상을 이해하는데

뿐만 아니라 이를 해결해나가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12

1. 3. 주요 개념 소개

1. 3. 1. 정보불평등

이 논문에서는 정보불평등을 다각적으로 살펴보아 입체적으로 조명하고자 한

다. 정보불평등(digital inequality)은 정보 격차(digital divide)의 연장선상에 놓여 있는

개념인데, 우리나라에서 정보불평등에 대하여 사회적으로 합의된 정의는 [정보 격

차 해소와 불평등에 관한 법률] (2001년 제정)에서 잘 드러난다. 여기서는 정보 격

차를 “경제적∙지역적∙신체적 또는 사회적 여건으로 인해 정보통신망을 통한 정보통

신서비스에 접근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기회에서의 차이”라고 정의하였다. 즉 정

보불평등은 새로운 정보통신서비스에 접근하고 이용하는 차이가 사회적으로 어떻게

구조화되어 있는가를 드러내는 개념이다. 여기에는 정보통신서비스가 “기초적인

일상의 자원이자, 삶의 토대로 내지 가치로서의 의미를 내포”한다는 전제가 놓여

있다(윤석민, 송종현, 김유경, 김주형 2004).

불평등이라는 단어에서 드러나듯이, 정보불평등은 일상에서 드러난 정보에 대

한 ‘접근성의 차이’ 혹은 정보 접근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기회의 차이’

모두를 의미한다. 이는 정보 이용이 보편적으로 누구에게나 제약 없이 자유로워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정보불평등은 사회구조적 요인으로 발생하는 사회

불평등의 결과이자 동시에 정보 이용 배제와 이로 인한 차별로 정보화 사회에서의

새로운 사회 불평등을 만들 수 있는 요인이다.

정보불평등이 본격적으로 논의가 되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중후반 PC 와 인

터넷이 선진국들에게서 확산되는 과정에서이다. 이전까지는 ‘정보’에 접근하는

것을 책이나 신문/잡지 등 전통적인 미디어를 읽고 해독할 수 있는 능력(literacy)이

라는 관점에서 논의가 되어왔지만, PC 와 인터넷의 확산으로 인한 정보화는 아날로

그 시대에 개인들이 접할 수 있었던 정보의 양과 질의 차원을 달리 만들었다. 대학

이나 도서관과 같은 정보가 집합된 곳이 아니더라도 인터넷 네트워크로 웹에 접근

하게 되면 무한한 정보들을 접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면 개인들이 지식을 쉽게 구

하고, 가공하고, 생산할 수 있게 된 시대가 열린 것이다. 즉 이러한 정보 자원에 접

근할 수 있는 물리적인 환경인 PC와 인터넷에 대한 물리적인 접근 여부가 중요하

13

게 여겨졌다.

하지만 단순하게 물리적으로 정보 기기에 접근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이

용하지 않거나 못한다면 정보에 흐름에서 역시 배제될 수 있다. PC 이전에 확산되

었던 TV, Radio등과 같은 대중 매체(mass media)들은 접근하게 되면 이용의 제약이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그렇지만 능동적인 이용 양식이 필요한 PC 와 인터넷의 경

우에는 물리적인 접근 이외에도 실제적인 이용에 있어서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정

보 기기의 이용은 정보불평등의 한 차원으로서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이용의 차

원에서는 실질적인 이용 여부, 이용량, 이용의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 정보불평등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정보불평등 연구는 미디어 이용 결과로 얻어지는 지식의 차이가 사회경제적 지

위(특히 교육수준)에 따라 다르게 드러난다는 ‘지식 격차 가설(knowledge gap

hypothesis)’ 연구와는 그 목적과 관심이 다르다(Kim 2008, Kwak 1999, Tichenor,

Donohue and Olien 1970). 이 연구에서는 미디어 이용의 결과보다는 미디어 이용

그 자체의 차이에 관심을 가진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정보불평등에 대한 관심을 이어서 스마트폰이라는 새로

운 정보 미디어 기기가 확산되는 과정에서 그 접근성과 이용(이용량/다양성), 그리

고 스마트폰이 확산되는 과정에서 개인들의 미디어 이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5

가지 측면에서 살펴본다.

첫 번째 측면은 새로운 정보 미디어인 스마트폰을 수용했는지 여부이다. 이는

시계열적으로 언제 수용했는지를 통해서, 정보불평등에서 논의하는 중요한 양상인

‘접근(access)’의 문제를 다룬다.

두 번째 측면은 스마트폰 이용량이다. 스마트폰이 있다고 할지라도 이용하지

않는다면 정보불평등이 발생할 수 있다. 하루에 얼마나 자주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지를 정보불평등의 또 다른 측면으로 파악한다.

세 번째 측면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 추구 행위이다. 스마트폰을 많이 이용

한다 하더라도, 대인 커뮤니케이션 혹은 오락적 목적으로만 사용할 수도 있기 때문

에 이런 정보 추구 행위 여부를 정보불평등의 양상으로 조작적으로 정의한 뒤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본다.

네 번째 측면은 스마트폰으로 얼마나 다양한 행위를 하는지를 살펴보는 스마트

14

폰 레퍼토리다. 스마트폰을 잘 활용한다는 것은 스마트폰으로 다양한 행위를 할 수

있는 것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다섯 번째 측면은 스마트폰 사용과 더불어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가 어떻게 달

라졌는가를 살펴본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다양한 채널 혹은 다양한 사이트를 접하

는 것을 정보 능력이 보다 우수한 것으로 평가한 반면에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미디어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미디어 컨버전스 속도가 빠른 이들이 정보

능력이 우수하다고 가정한다.

1. 3. 2. 미디어: 기기–행위 구분

“미디어가 메시지다”라는 매클루언(McLuhan 1994)의 말처럼, 이전의 미디어

연구는 TV, 라디오, 신문 등 미디어 자체를 그 기기 이용과 내용/행위를 구분하지

않고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어떤 미디어를 이용한다는 것이, 특정 미디어 행위를

하는 것과 마찬가지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 기기들이 발명되고 이용되어 미디어 컨버전스가

진행되면서 이제는 미디어 이용을 세부적으로 구분할 필요가 생겼다. 예를 들어, 스

마트폰 기기를 이용하여 Youtube 앱으로 지상파 방송사의 TV 프로그램을 LTE 무

선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다시보기로 시청할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이긴 하지만 지

상파 주파수가 필요 없고, TV수상기 없이 해당 콘텐트를 소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이재현(2014)은 미디어 레이어 개념을 제안하며 미

디어 이용을 ① 미디어 기기, ② 물리적 네트워크, ③ 미디어 플랫폼, ④ 콘텐트 패

키징, ⑤ 단위 콘텐트 등 5 개의 레이어로 구분한다.

이와 같은 세부적인 분류로는 미디어 이용에 대한 이해가 어려울 수 있다. 이

용자들은 네트워크, 플랫폼 콘텐트 패키징에 대하여 인지하지 않은 채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재현(2014)의 다섯 가지 미디어 레이어 구

분보다는 단순하게 미디어 이용을 미디어 기기 이용과 그 내용(미디어 행위)으로

나누어 살펴본다. 미디어 기기와 미디어 행위를 구분하는 것은 미디어 컨버전스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스마트폰과 같은 새로운 미디어 기기가 얼마나 다양하게 기존

미디어를 재매개하는지, 혹은 스마트폰으로 인하여 사람들이 기존 미디어 기기 이

용을 늘리는지 혹은 줄이는지 살펴보는 데 도움을 준다.

15

그림 1-2. 미디어 기기(외부)-행위(내부) 레이어

1. 3. 3. 컨버전스

미디어 컨버전스는 두 가지 차원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나는 콘텐츠 차원(미

디어 행위)이고, 다른 하나는 미디어 기기 차원이다.

현대적 미디어의 발전과 컴퓨터의 발전은 디지털로 수렴하는 미디어 컨버전스

를 가능하게 하였다(Fidler 1997, Manovich 2001, 2013, Negroponte 1996). PC 와 MP3,

디지털 카메라 등 개인이 사용하는 디지털 미디어가 증가하면서 디지털 콘텐츠의

생성은 증가하였다. 생성된 디지털 콘텐츠들은 생성된 미디어 기기 이외에 다른 미

디어 기기에서도 자유로이 사용된다. 또한 TV와 같은 기존 미디어도 디지털화되면

서 다른 미디어 기기에서 생성된 콘텐츠를 재현 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제약이

사라졌다. 기술의 발전으로 미디어 기기 간 경계가 희미해졌다(Doyle 2010, 김은미,

이혜미 2011). 이와 같은 특성으로 최근에는 방송∙통신의 융합(convergence)으로 하

나의 콘텐츠가 여러 기기에서 이용되는 N 스크린 논의도 전개되고 있다(김은미, 이

혜미 2011, 이혜미 2014, 이혜미, 정영호 2013).

또 다른 차원인 미디어 기기 차원의 컨버전스는 다양한 미디어 기능이 하나의

기기로 융합∙수렴되는 것을 말한다. PC 가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 음악, 동영상

16

등 다양한 기존 미디어 콘텐츠를 담아내고 재현할 수 있게 되면서 PC 는 ‘멀티미

디어’라는 명칭으로 쓰이기 시작했다(이재현 2004). 하지만 PC 는 이동성이 떨어지

고, 카메라, 마이크 등 다른 주변 기기와 더불어 사용되며 멀티미디어 기능을 수행

하였다. 반면 스마트폰은 이동 가능한 작은 기기에 기존 미디어들을 담아낸다. 물리

적으로도 스크린, 카메라 렌즈, 마이크, 스피커 등이 내장되어 기존 미디어 기기를

통합하였고, 소프트웨어적으로도 응용 앱을 설치하여 다양한 기능을 재현하는 등

기존 미디어를 수렴∙통합하면서 메타미디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1. 3. 3. 1. 디지털 컨버전스와 크로스 미디어 이용

“그 어떤 미디어의 경우도 ‘내용’은 항상 또 다른 미디어가 된다. 글쓰기의 내용은 말

인데, 이것은 문자가 인쇄물의 내용이 되는 것과 같으며, 인쇄물은 전보의 내용이다”

-매클루언(1964 [2011, p. 32])

새로운 미디어 기기들은 기존 미디어를 재매개한다. 볼터와 그루신은 ‘재매개

(remediation)’을 설명하면서 위에서 인용한 매클루언(1964)의 구절을 설명한다

(Bolter and Grusin 1999, [2006, p. 53]). 디지털 미디어가 등장하기 이전부터 미디어

의 자체에 기존 미디어를 재매개하는 특징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또한

기존의 존재하고 있는 미디어도 새로운 미디어를 재매개할 수 있다. 볼터와 그루신

은 “텔레비전은 스스로를 개조해 월드와이드웹과 유사하게 만들 수도 있고, 사실

그렇게 하고 있다”며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컨버전스 양상을 설명한다(Bolter and

Grusin 1999, [2006, p. 65]).

미디어 콘텐츠는 디지털화되면서 기존 기기 영역의 구분없이 다양한 미디어 기

기와 플랫폼에서 이용된다(Napoli 2011). 하나의 미디어 콘텐트를 여러 개의 미디어

에서 이어 보기, 다시 보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디지털 컨버전스

시대가 열리면서 미디어 이용은 기존과 같이 단일 미디어 측정에 머물러서는 안되

고, 여러 미디어 기기를 복합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필요해졌다(강남준, 김은미 2010,

이재현 2014, 이혜미 2014, 정준희, 김예란 2010).

17

1. 3. 3. 2. 미디어 기기 컨버전스와 메타미디엄으로서의 스마트폰

스마트폰은 재매개와 미디어 컨버전스의 양상을 잘 보여주는 미디어이다. 스마

트폰은 통화와 같은 기존 전화의 기능뿐만 아니라 라디오, TV, 신문과 같은 전통

미디어를 재매개한다. 또한 인터넷과 같은 뉴미디어, 카메라와 비디오 같은 영상 미

디어, 시계, 알람과 같은 시간 관리 미디어를 재매개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스마트

폰은 ‘브리콜라쥬 기기(bricolage)’라고도 불린다(Fortunati and Taipale 2014).

스마트폰은 기존에 있던 미디어들을 하나로 통합하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메타미디엄으로서의 기능을 한다. 메타미디엄으로서의 스마트폰은 그 자체로 다양

한 기능을 수행할 뿐 아니라, 개인이 사용하는 미디어 환경 자체를 바꿔나간다. 예

를 들어 MP3, 디지털 카메라, DMB, 내비게이션과 같은 기존의 디지털 미디어를 통

합, 대체해나가는 것이다. 위에서 정리한 디지털 컨버전스가 하나의 미디어 콘텐트

를 여러 미디어 기기에서 경계 없이 이용하는 것이라면, 미디어 기기 컨버전스는

다양한 미디어들의 고유 기능을 하나의 미디어에서 완벽하게 재현해 기존 미디어

기기 이용을 새로운 미디어 기기로 통합, 대체하는 과정으로 살펴볼 수 있다.

1. 3. 4. 미디어 레퍼토리

레퍼토리는 공연예술에서 공연 목록을 지칭하는 말로 생겨났으며 연주자(연출

가)가 연주(공연) 가능한 작품의 다양성을 의미한다. 최근, 미디어 연구에서도 선택

가능한 많은 미디어 속에서 얼마나 다양한 미디어를 쓰는지와 그 레퍼토리 조합으

로 이용자를 이해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미디어 레퍼토리’라는 개념을 사용한

다. 이 논문에서는 ‘미디어 레퍼토리’를 스마트폰을 이용한 미디어 이용행위 레

퍼토리(이하 스마트폰 레퍼토리), 그리고 30 개의 전자 미디어 기기 이용 레퍼토리

(이하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로 구분하여 살펴본다. 기존의 미디어 연구에서 레퍼토

리 개념을 어떻게 이용했는지는 2 장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18

1. 4. 연구 목적과 논문의 구성

이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폰의 확산 과정에서의 정보불평등 양태와 그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정보불평등이 발생하는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정보불평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진단하여 앞으로 정보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정보불평등은 새로운 미디어 기기 접근과 이용

량, 정보 이용 행위, 활용 다양성의 차이 그리고 스마트폰으로 인한 미디어 컨버전

스 변화 속도이다. 미디어 이용 결과 드러나는 지식 격차, 이를 매개로 드러나는

정치 참여 혹은 경제적 불평등과 같은 주제는 이 연구의 대상에서 제외된다.

PC 와 인터넷이 확산되는 시기에 활발하게 논의되었던 정보불평등이 스마트폰

의 확산 과정에서도 마찬가지로 드러나는가? 이 질문을 바탕으로 기존의 정보불평

등 논의가 스마트폰이라는 새로운 정보 통신 기기의 확산 과정에서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스마트폰 수용, 이용량, 정보 이용행위, 다양한 기능 이용, 미디어 컨

버전스 변화 속도 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다.

표 1-1. 논문 구성

19

이 논문이 정보불평등 논의에 기여하는 바는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기존 정

보불평등 논의를 새로운 기기인 스마트폰이 확산되는 맥락에서 검증한다. 둘째, 스

마트폰 수용과 이용 그리고 활용의 측면을 2010년 이후 4년이라는 시간적 변화와

더불어 살펴본다. 셋째, 스마트폰 이용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으로 촉발된 미디어 컨

버전스의 진행을 미디어 진화론의 시각에서 입체적으로 살펴본다는 것이다. 논문

각 장에서 다루는 내용은 표 1-1 과 같다.

2 장에서는 정보불평등, 미디어 컨버전스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고 연구

문제 및 가설을 도출한다. 3장은 연구에서 사용하는 한국 미디어 패널 데이터의 특

성과 분석에서 사용하는 통계 방법, 그리고 변수들의 특성을 설명한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는 두 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4 장과 5 장에 서술한다. 첫

번째 부분은 스마트폰 확산 과정에서 살펴본 정보불평등의 추이 변화를 살펴볼 것

이고, 두 번째로는 스마트폰의 활용 다양성과 이로 인한 미디어 기기 이용 변화를

미디어 컨버전스의 진행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여 미디어 레퍼토리로 조작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한다. 연구의 관심은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기존의 정보불평등이 스마

트폰으로 인한 정보불평등과 그 변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첫 번째 스마트폰 확산 과정에서 살펴본 정보불평등의 추이 변화 분석은 정보

불평등 논의가 여전히 한국 사회의 사회구조적 불평등 양상을 설명하는 데 유효한

가라는 물음을 바탕으로, 1) 스마트폰 확산 과정에서 각 연도의 스마트폰 수용자들

의 특성 차이를 분석하고, 2) 매년 스마트폰 이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

보고, 3) 정보 이용 행위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해하고자 한다.

두 번째 부분은 정보불평등을 더 넓은 차원에서 살펴본다. 스마트폰 이용의 다

양성(활용) 차원과 이로 인한 전반적인 미디어 이용 양태가 변화하는지를 살펴보는

부분이다. 스마트폰의 보급 이후 사람들의 미디어 이용 패턴이 어떻게 달라졌는가

를 미디어 레퍼토리(media repertoire) 개념을 바탕으로 접근한다 (Feaster 2009,

Ferguson and Perse 1993, Heeter 1985, 심미선 2007, 이미영, 김담희, 김성태 2010).

두 번째 부분 역시 두 개의 분석으로 나뉜다. 1) 스마트폰 레퍼토리 변화로, 스마트

폰을 이용하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용하는 기능의 다양성이 증가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스마트폰 레퍼토리는 스마트폰을 잘 활용하는가의 지표로 이해할 수 있

어 기존 정보불평등 논의에서 ‘활용’ 차원을 살펴본 것과 이어진다. 2) 스마트폰

20

의 등장으로 사람들이 다른 미디어 기기 사용을 줄였는지, 늘렸는지를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관점으로 접근한다. 스마트폰이 다른 미디어를 재매개하는 컨버전스 미디

어로 사용된다면, 스마트폰의 이용으로 다른 미디어 기기 이용은 줄어들 수 있다.

스마트폰이라는 정보 기기를 잘 활용한다면 미디어 기기 컨버전스를 빨리 진행해나

가는가라는 질문에 답한다.

또한 다섯 가지 분석 과정에서 정보불평등의 누적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한다. 그림 1-3과 같이 스마트폰을 수용, 이용, 활용하는데 그리고 개인이

활용하는 미디어 환경과 맥락을 변화시키는데 인구사회학적 요인 이외에도 기존에

형성된 미디어 활용 능력이 정보불평등의 다섯 가지 차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정보 불평등 해결에 대한 과제들을 도출하고자

한다.

그림 1-3. 연구 분석틀 (정보불평등 누적 효과 모형)

21

제 2 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검토

정보불평등은 영어 Digital Inequality의 우리말로 PC, 인터넷, 이동통신 등 정보

화가 진전하는 과정에서 그 수혜가 사회경제적 요인들에 의하여 집단에 따라서 차

별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개념화하여 설명한 용어이다.

정보불평등(digital inequality)은 정보 격차(digital divide)의 연장선상에 놓여 있

는 개념으로, 인터넷이 확산되어가면서 새로운 기기를 수용했는지 여부로 단순히

‘가진 자(haves)’와 ‘가지지 못한 자(have-nots)’의 차이로 살펴볼 수 있는 것

못지않게,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 간에도 차이와 불평등이 존재한다는 것을

드러내고자 만들어졌다(DiMaggio and Hargittai 2001)5. 여기서 Digital 이 ‘정보’로

번역된 까닭은 PC 와 인터넷으로 대변되었던 ‘디지털 정보 기술’의 특징과 관련

되어 있다.

네그로폰테(Negroponte 1996)가 주장했듯이, PC 와 인터넷의 확산은 단순한 계

산 도구나 정보 접근 방식의 변화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모든 정보와 신호가 디지

털 부호로 저장∙복제∙유포가 가능해짐에 따라서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들은

무한한 양의 정보에 저렴한 비용으로 다가설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Varian and

Shapiro 1999). 인터넷으로 디지털 정보를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서 인터넷

에 접근 가능한지 유무를 살펴보는 정보 격차 논의는 정책과 연구 분야에서 모두

주목을 받게 되었다.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지 아닌지 여부가 ‘정보 부자

(information rich)’와 ‘정보 빈자(information poor)’가 되는 기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Gillett 2000, Sawhney 1994). 또한 인터넷을 활용하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5 어떠한 불평등이 개념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은, 사람들의 관념 속에 그와 관련한

평등한 상태에 대한 추구가 존재하고 또, 불평등한 상태로 인한 피해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사회과학에서 논의하는 불평등은 소득(자산), 건강, 교육 등과 같이 삶에 있어서 필수적이며,

최저 수준 이상의 보장이 필요한 것들이다. 정보불평등도 이러한 불평등의 개념적 연장선에

놓여있다. 인터넷과 같은 정보 채널에 접근할 수 있는지, 이를 접근하지 못함에 따라서

발생하는 일상 생활의 제약이 발생할 수 가능성이 있는지가 정보불평등이 갖고 있는

개념적인 중요성이다.

22

연결망 외부성(network externality) 역시 커져서 그 가치가 증가하기 때문에, 인터

넷에 접근하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 간의 격차가 더 커지게 될 수 있다(서이

종 2000). 요컨대 정보 기기를 활용한다는 것은 개인들이 스스로의 역량을 증진하

고, 또 기존에 존재하는 사회적 재화의 배제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보 기기의 이용 여부를 정보불평등 논의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통시

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어떤 기술이든 확산하는 데 시간이 소요된다. 특히 전화, 인

터넷, 이동통신과 같은 네트워크 설비가 필요한 재화와 기술은 확산 과정에서 공공

재적 성격을 갖는 네트워크 토대(infrastructure)가 필요하다. 네트워크 인프라 설치

는 큰 비용과 투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경제적 제약이 존재하고 이에 지역적인 차이

가 발생한다. 지역에 따른 네트워크 인프라 차이는 경제성이라는 논리에 의하여 사

회적 요인들에 의하여 결정되고 이는 다시 정보화의 혜택에 있어서 지역적 격차,

사회 인구학적 요인에 의한 격차를 만들어 낸다(NTIA 1995, 2002).

인터넷 접근의 사회적 격차를 확인한 미국 통신정보국의 보고서(NTIA, 1995)는

인터넷이라는 네트워크 기술의 속성이 공평하고(equitable) 비차별적으로

(nondiscriminatory) 서비스 해야 하는 보편적 서비스(universal service)인지 여부를

재고하는 계기를 마련하였고, 1996 년 미국 통신법 (Telecommunications Act of 1996)

에서는 인터넷 네트워크 역시 초등 교육, 보건, 전기∙전화 서비스와 같은 보편적 서

비스의 일부로 포함되었다(FCC 2014, 조성선 1998). 즉 언제 어디서나 적정 요금

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만들면서, 소외 계층을 위한 지원, 그리고 학교, 도

서관을 통한 접근 개선, 인터넷을 활용한 원격 의료 활성화 등을 정책적으로 추구

한다(FCC 2014). 인터넷은 전화와 마찬가지로 위급 상황 시 구조를 요청할 수 있

는 필수적인 기능을 포함하며 새로운 정보를 얻어서 삶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서비스라는 것이다(Sawhney 1994). 이러한 영향으로 국내에서도 2000년대 이래 정

보 격차 해소에 대한 정책적 노력이 계속되어 왔다. 2001년에는 [정보 격차 해소와

불평등에 관한 법률] 이 제정되고, 정보 격차해소 종합계획이 수립되었으며, 매년

인터넷 이용 실태 조사를 통해 정보 소외 계층의 정보 격차 추세를 조사해왔다(이

호규 2009).

다음 절에서부터 자세히 살펴보겠지만, 이러한 맥락 속에서 기존의 정보불평등

23

연구는 물리적 접근, 이용 및 활용(다양성) 격차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민영 2011,

이현주 2014, 황용석, 박남수, 이현주, 이원태 2012). 수용과 이용이라는 측면에서

정보불평등을 접근하는 것은 급속하고 널리 확산된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충분하지

않다.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 중에 실제 얼마나 많은 기능을 이용하는지를 살펴보

는 것은 스마트폰 활용 정도를 살펴보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또한 스마트폰 사용을 미디어 그 자체에 한정시킬 뿐만 아니라, 개인이

사용하는 미디어 환경과 함께 입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정보불평등의 새로운

논의를 전개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기존의 사용했던 핸드폰뿐만 아니라 PC, TV,

MP3, 카메라, 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미디어를 대체할 수 있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스마트폰을 얼마나 잘 활용하는가라는 숙련의 부분은 어떻게 보면 다른 미디어를

얼마나 많이 대체하여 나가는지를 새로운 미디어 환경의 적응했는지와 스마트폰을

잘 활용한 결과로써 살펴볼 수 있다. 미디어 환경 적응은 미디어 레퍼토리 개념을

도입해 그 변화로 설명할 것이다.

2. 1. 기존 정보불평등 연구의 흐름: 수용과 이용을 중심으로

2. 1. 1. 정보불평등: 접근에서 이용으로

1990년대 중반 컴퓨터와 인터넷이 확산되는 가운데, 초기 정보불평등 연구자들

이 주목하였던 것은 물리적 접근성(access)의 문제였다. 이들은 정보 통신 이용이

가져다주는 혜택에 대한 장밋빛 기대를 갖고, 컴퓨터 및 인터넷 수용자(haves)와 비

수용자(have nots) 사이의 정보 격차(digital divide)에 관심을 가졌다(Hoffman and

Novak 1998, Kahin and Keller 1995, NTIA 1995). 정보 격차는 “포섭과 배제를 강

제하는 사회시스템으로서 네트워크 확산 과정의 산물”이기 때문이다(서이종 2000:

p. 72). 정보 격차에 대한 초기 연구 결과는 사회적 불평등과 정보불평등이 연결되

어 있는 것을 보여주었다. 컴퓨터 및 인터넷 수용에 있어서 지역, 세대, 소득, 교육

수준, 인종 등의 요인들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고하였다(Hoffman and Novak,

1998; NTIA 1995).

한국에서도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 ‘정보 격차’에 대한 많은 논의

24

가 있었다. 학문적∙정책적 논의는 2000년대 초반부터 활성화되었는데, 초창기 연구

들은 경험적 분석보다는 개념을 설명하거나 다른 나라의 연구 흐름을 소개하며 정

책적 제언을 하는 방향이었다(김문조, 김종길 2002, 서이종 2000).

한국은 세계에서도 가장 빠른 속도로 인터넷 접근 격차가 줄어들었다고 평가된

다(진상기 2013). 2000년대 초반에 총 가구 대비 70% 수준의 인터넷 접속이 가능했

고, 지역적, 경제적인 격차로 인하여 인터넷 접근이 제한되는 이들을 위해 학교, 공

공 도서관 등을 통한 인터넷 접근성 개선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정책적 노력의

결과 인터넷 이용에서는 노년층, 저소득층, 장애인 등 정보 소외계층에 대한 관심도

끊임없이 이어져 접근에 있어서는 그 격차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고 평가된다(진상

기 2013). 하지만 단순한 인터넷 접속률의 계측이 아니라 웹 콘텐츠의 적절성, 웹을

통한 자유와 개방성, 그리고 개인들의 역량 강화로 이어지는지까지 엮어서 살펴보

면 한국의 정보 수준(web index)은 10 위권으로 밀려난다(Web Foundation 2013).

국내의 정보 격차 실태 조사에서는 다양한 소외의 발생 원인을 찾아내고 탈북

자, 결혼 이민자 등 신 소외계층을 발견하고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고 있지만(한국

정보화진흥원 2014), 정보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사회구조적 요인들의

복합적 양상을 살펴보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개인의 동기 및

성향을 파악하더라도 단일 시점으로 연구가 진행된 경우 확산 단계에 따른 그 차이

를 알기 어렵다(손승혜, 최윤정, 황하성 2011, 최용준, 정명화 2005). 새로운 개혁이

확산/수용되어 나가는 과정은 그 기술의 특징과 사회구조에 따라 그 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Rogers 2003: pp. 5~41). 따라서 스마트폰의 확산 과정을 각 시기별로 구분

하여 사회구조적 요인들이 스마트폰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은 스마트폰

이라는 기술의 특징과 한국 사회의 구조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기존 정보 미디어 이용 관련 정보불평등이 스마트폰이라는 새로운 기술이

확산되어 나가는 과정에서 반복되거나 고착되는지도 관심이 필요하다(van Dijk

2005). 한국에서의 경험 연구에서도 새로운 기기 수용에 있어서 정보불평등의 누적

현상을 관찰할 수 있는데, 학력, 소득 등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영향을 미칠 뿐만 아

니라, 수용자들의 용어 인지도 등과 같은 정보 이해도 역시 디지털 TV와 같은 새

로운 기기를 수용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최용준, 정명화 2005). 또

한 서이종(2000)이 제기한 것과 같이 정보불평등은 확산 과정의 각 단계별 특성에

25

따라 복합적인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연구문제 1-1. 스마트폰 수용 시기에 따라서 수용한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징

의 차이가 존재하는가?

인터넷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접근성의 격차가 완화되자, 소유와 접근의 문제에

서 ‘이용(use/usage)’과 ‘숙련(skill)’으로 관심의 초점이 옮겨졌다(DiMaggio et

al. 2004, Hargittai 2002, 2010, Selwyn 2004, van Deursen and van Dijk 2011, van

Dijk 2005, van Dijk and Hacker 2003).

TV와 같은 매스미디어나 전화와 같은 단순 네트워크는 접근 이후에 이용의 장

벽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PC, 인터넷 서비스 네트워크(ISP), 웹이라는

정보시스템 플랫폼이 다층적인 레이어로 구성된 인터넷과 같은 복잡한 정보통신 미

디어는 접근이 가능하더라도 이용하는 것에 제약이 존재하기 때문에 정보불평등이

더 발생하기 쉽다(황주성, 유지연 2004). 쉘윈은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논의를 확장

하여 정보 이용에 적용시킨다. 정보 기기에 물리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경제적 자본

만으로도 충분히 가능하지만 정보 기기를 이용하는 것은 개인들이 스스로 배우고,

익혀야 하는 문화적 자본으로 볼 수도 있다는 것이다(Bourdieu 1997, Selwyn 2004,

p. 353).

정보 미디어 이용량을 정보불평등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는 이유는 정보 미디

어 이용량이 개개인이 갖고 있는 자원에 따라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반 다이크는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시간-물질-정신 자원과 정보 미디어 이용량과 연관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은 개인이 향유할 수 있는 제한적인 여

가 시간의 일부이기 때문에 시간 자원이 충분한 사람들이 인터넷 이용도 많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반면 이용량에 있어서 물질적인 자원과 정신적(인적) 자원은 상대적

으로 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van Dijk 2005).

한편 미디어를 많이 이용한다는 것은 중독이나 미디어 통제력 상실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스마트폰과 같이 채팅, SNS, 인터넷, TV시청, 게임 등 다양한 미디어

행위를 할 수 있고 개인이 항시 소지하고 있는 기기의 경우 그 중독의 위험이 높

다. 미래창조과학부·한국정보화진흥원 (2014b)의 조사에 따르면 2013년 만 10~54세

26

스마트폰 이용자 중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은 11.8 %로, 일반적인 인터넷 중독위험

군의 비율(7.0%)보다 더 높다. 특히 스마트폰 중독 현상은 상호작용 강도가 높은

SNS, 오락성을 추구하는 동영상 시청과 게임 등과 관련이 있다(박성복, 황하성

2014). 즉 이용량이 많다는 것 자체가 정보불평등의 관점에서 정보 이용을 수월하

게 잘한다는 의미와 다르게도 해석될 수도 있다6.

하지만 스마트폰의 많은 이용에 대한 반대의 논지도 존재한다. 김은미 등(2012)

의 연구에 의하면 스마트 미디어 중(重)이용은 능동성의 하위 차원을 구성한다. 스

마트 미디어의 이용은 일상의 다양한 맥락 속에서 이루어지고, 생비자(prosumer)로

서의 미디어 이용자 개념이 나타나기 때문에 스마트 미디어 중이용은 다른 미디어

중이용과 다른 맥락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렇듯 새로운 정보기술 이용에 대한 연구의 기반에는 인구사회학적인 차이가

미디어 이용 양식의 차이를 만들어내는가에 대한 관심이 있어왔다.

연구문제 1-2.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라서 스마트폰 이용량의 차이가 존재하는

가?

단순히 스마트폰을 많이 이용한다는 것만으로 스마트폰을 잘 이용한다고 보기

는 어렵다. 스마트폰은 다양한 기능을 바탕으로 다채로운 행위를 할 수 있다. 정보

추구 행위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락적 혹은 소통적(상호작용) 기능 또한 할

수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 이용 양태에서의 정보불평등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정보

행위로 좁혀서 관찰할 필요가 있다.

김영주 등의 연구에서 스마트폰 앱 이용을 뉴스/정보, 여가/오락, 커뮤니케이션,

생산성, 위치기반서비스, 모바일 거래 등 6개의 유형으로 구분하고, 각각 유형별 이

용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뉴스/정보 유형 앱 사용에서는

6 스마트폰 중독은 단지 이용량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스마트폰 중독

측정은 의존, 집착, 생활 장애, 강박(금단) 등의 다양한 하부 요소를 포괄하여 이루어진다.

스마트폰 이용량이 많더라도 의존하지 않고 통제할 수 있다면 중독이 아닌 것이다(황하성,

손승혜, 최윤정 2011)

27

여성보다 남성이, 혁신성향이 높을수록, 앱들을 인기/유행, 자랑/과시 속성으로 파악

할수록 더 많이 이용한다고 밝혔다(김영주, 정재민, 이은주 2011).

반 되르센과 반 다이크의 인터넷 연구에서는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인터넷 이

용량이 많다는 것을 발견하고, 인터넷 이용을 7가지로 구분하여 그 이용량을 살펴

보았다(van Deursen and van Dijk 2013). 그러나 정보 이용 행위와 자기 계발 행위

를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그 이용량이 많은 것을 확인하였

다. 즉 스마트폰 이용에서 행위의 맥락 좁혀서 정보 이용 행위만을 살펴볼 필요성

이 존재한다.

연구문제 1-3.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 이용 행위에서도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

른 차이를 발견할 수 있는가?

2. 1. 2. 정보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스마트폰 수용 및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지금까지 연구들은

소득, 교육, 나이, 성별, 인종, 고용 여부, 가구 구성, 건강, 시간, 지적 자원, 사회적

자원, 지역 등이 정보불평등을 발생시키고 심화시키는 요인이라고 설명해왔다(de

Haan 2004, Duggan 2013, Hargittai 2010, Hargittai and Hinnant 2008, Hoffman and

Novak 1998, Kahin and Keller 1995, Katz and Rice 2002, van Dijk 2005, Willis and

Tranter 2006).

소득은 정보 격차 논의 초창기부터 가장 중요하게 다뤄진 요인이다. 소득은 교

육, 고용, 직업 등과 연계되어 있으면서도, 다변량 분석 시 가장 큰 차이를 만들어

내는 독립적인 요인으로 다뤄져 왔다(de Haan 2004, Hoffman and Novak 1998, Kahin

and Keller 1995, van Dijk 2005). 소득 수준에 따라서 집과 직장에서 컴퓨터에 접근

할 수 있는 정도가 다르고, 이는 인터넷 이용 차이를 촉발한다(Hoffman & Novak,

1998). 또한 소득 수준은 인터넷을 이용하여 습득한 지식 정보의 차이와 이용 숙련

도의 차이도 만들어낸다(DiMaggio et al. 2004). 소득 수준은 오늘날 이동전화를 이

용하여 이메일을 사용하고, 앱을 다운받아 사용하는 등의 행위와도 유의미한 관계

가 있다(Duggan 2013). 한편 인터넷 이용에 있어서 정보 이용 행위의 경우에는 소

득과 정의 관계를 갖지만, 음악 다운로드나 채팅의 경우에는 부의 관계를 갖는다는

28

연구도 있다. 즉 소득의 효과는 스마트폰 이용 맥락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Madden and Rainie 2003, van Deursen and van Dijk 2013).

가설 1-1-1. 소득이 높을수록 스마트폰을 빨리 수용할 것이다.

가설 1-2-1. 소득이 높을수록 스마트폰을 많이 이용할 것이다.

가설 1-3-1. 소득이 높을수록 정보 이용 행위를 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소득과 같은 경제적인 요인은 이용하는 정보 기술의 특성과 그 기술을

향유할 수 있는 문화적/제도적/환경적 맥락에 따라서 다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휴대폰이나 위성 DMB와 같이 항시 휴대하고 다니는 기기의 경우, 초기 채택자들이

합리적인 소비가 아니라 자기 과시를 위해 채택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김대호 외

2006, 김성철, 박의범 2005). 또, 제도적∙정책적 노력의 결과로 한국의 경우 저소득

층의 정보 격차가 장애인 집단과 함께 그 폭이 빨리 감소하였다고 평가된다(진상기

2013). 스마트폰의 경우 급속한 확산이 가능한 요인 중에 하나로, 이미 포화된 이동

통신 이용률, 빠른 단말기 교체 속도, 그리고 이동통신 회사의 단말기 보조금 지급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 때문에 소득 수준의 차이가 정보불평등과 얼마나 연관이 있

을지는 새로이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학력은 소득 다음으로 정보불평등을 야기하는 요인으로 제기되어 왔고, 때에

따라서는 소득 보다 정보 격차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진다(Katz & Rice,

2002). 정보 기기 활용은 특히 나이든 세대에게는 새로운 ‘학습(learning)’이 요구

되는 행위이다. 따라서 학력은 이러한 새로운 학습 과정에서의 인지적 용이성과 유

용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활용 정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Davis 1989, López-

Nicolás, Molina-Castillo, and Bouwman 2008, Venkatesh et al. 2003). 뉴스 이용과 같

은 정보 이용 행위에도 학력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이는 고학력인 이들일수록

새로운 정보를 배우고 조합하는 데 더욱 능숙하기 때문이다(Eveland 1997, Eveland

and Scheufele 2000). 뉴미디어 이용과 사용 빈도에서도 교육수준은 영향을 미친다

(Pearce and Rice 2013). 이메일, 인터넷 등의 미디어 활용 능력과 인터넷을 이용한

정보 이용 행위에서도 교육수준의 영향력은 계속 확인되고 있다(Blank and Groselj

2014, Duggan and Rainie 2012).

29

가설 1-1-2. 학력이 높은 사람이 스마트폰을 빨리 수용할 것이다.

가설 1-2-2. 학력이 높은 사람이 스마트폰을 많이 이용할 것이다.

가설 1-3-2. 학력이 높을수록 정보 이용 행위를 할 가능성이 높다.

성별과 연령은 소득 혹은 학력과 달리 성취적으로 갖게 된 요인이 아니라 귀속

적인 요인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귀속 요인도 정보 기기의 이용 차이라는 사회적

결과를 만들어낸다. 2000년대 많은 정보 기기들은 만들어질 때부터 젊은 남성들을

그 주요 구매 대상으로 여기며 디자인되었다(Fortunati 2009, p. 25). 정보 기기의 특

성에 따라 성별에 의한 이용의 차이가 다르게 나타난다. 기술 수용 모형 연구에 따

르면 컴퓨터나 인터넷과 같은 정보 기술에 있어서 남성은 여성보다 더욱 쉽게 받아

들이고 잘 활용한다(Venkatesh and Morris, 2000; Venkatesh et al., 2003). 국내 이동

통신 수용 초기에 있어서도 남성이 더 빠르고 적극적이었다(김현주 2000, 나은영

2001).

이용에 있어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인터넷 이용량이 더 많고 우수한 활용 능력

을 보였다(Kayany and Yelsma 2000). 반면 유선 전화, 이동 전화와 같이 사교성에

영향을 받는 기기들은 여성의 이용량이 남성에 비하여 더욱 많다(Fischer 1992,

Paragas 2009, Smoreda and Licoppe 2000, Zainudeen, Iqbal and Samarajiva 2010, 이

동후, 손승혜 2006). 이는 여성들이 자기 스스로를 더욱 잘 표현할 수 있으며, 또

집안에서 친인척들과의 사회적 관계들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Ling

1998, Moyal 1992). 미디어 기기가 어떠한 기능과 역할을 갖는지에 따라서 성별에

따른 이용량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1-1-3. 남성이 여성보다 스마트폰을 빨리 수용할 것이다.

가설 1-2-3-1. 스마트폰이 정보 도구로서의 성격이 강하다면, 남성이 여성보다

스마트폰을 많이 이용할 것이다.

가설 1-2-3-2. 스마트폰이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의 성격이 강하다면, 여성이

남성보다 스마트폰을 많이 이용할 것이다.

가설 1-3-3. 남성이 여성보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정보 이용 행위를 할 가능

성이 높다.

30

연령이 어린 사람들이 나이 많은 이들에 비하여 새로운 기술을 더욱 빨리 습득

하고 이용한다(Czaja and Sharit 1998, Czaja et al. 2001, Lu et al. 2003). 이동전화

이용량에서도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다. 연령이 낮을수록 이

동전화 이용량이 많다는 결과(윤석민 외 2004)는 이동전화를 이용하여 어떤 기능을

사용했는지에 따라서 의미가 다를 수 있다. 문자메시지와 영상통화 이용량에 있어

서는 연령이 미치는 효과가 반대로 나타났다(황하성, 이옥기 2009).

연령이 새로운 기술 수용에 미치는 영향은 정보 기기 학습능력의 차이와 연결

망 외부성(network externality)으로 인한 세대 효과(cohort effect) 때문에 발생한다

(Hargittai 2010, Tapscott 2008, 이현주 2014, 황용석 외 2012).

스마트폰이 등장하기 이전에도 휴대전화 기능 중에서 문자메시지의 이용과 미

디어 풍요도 인식은 연령층에 따라서 상이하게 나타났다(황하성, 이옥기 2009). 40

세 이상인 이들은 20 대에 비하여 문자메시지 이용량이 약 1/3에 불과하며 미디어

풍요도도 낮다. 이렇게 장년층의 문자메시지 인식 및 이용에서 차이가 발생하는 이

유를 기존 연구에서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1) 기존 아날로그 환경의 미디어 이

용 경험과의 차이(Gasser and Palfrey 2008), 2) 새로운 미디어 사용방법을 스스로

배우고자 하는 내부 동기 결여, 3) 연락을 주고받는 연결된 집단의 채택 정도에서

이용의 차이가 비롯한다는 것이다(Ling 2008). 반면에 디지털 세대로 자라는 젊은

층은 유연한 학습 능력을 기반으로 새로운 기능과 미디어에 대한 학습이 빠르다

(Gasser and Palfrey 2008, Tapscott 2008). 또한 유행을 따라는 소속 집단에 대한 동

질성 추구가 새로운 기술 수용과 이용을 빠르게 한다.

가설 1-1-4. 연령이 어릴수록 스마트폰을 빨리 수용할 것이다.

가설 1-2-4. 연령이 어릴수록 스마트폰을 많이 이용할 것이다.

가설 1-3-4. 연령이 어릴수록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정보 이용 행위를 할 가능

성이 높다.

고용 여부 역시 정보불평등과의 연관성이 존재한다. 새로운 정보 기술의

확산에서 초기 단계에는 각 개인 혹은 가구에서의 접근 가능성 못지않게,

직장에서의 접근성 및 이용 가능성이 정보불평등에 영향을 미친다(Dimaggio,

31

Hargittai, Celeste, & Shafer, 2004). 기업은 새로운 기술 도입에 적극적이고 또

기민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기업에 고용이 되어 있으면 새로운 기술을 접하고

수용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2001 년도 미국 NTIA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만 16 세

이상의 인구 중에 현재 고용되어 있는 이들의 컴퓨터 이용률은 73.2%, 인터넷

이용률은 65.4%였음에 반하여, 조사 당시 고용되어 있지 않은 이들의 컴퓨터

이용률은 40.8%, 인터넷 이용률은 36.9%로 큰 차이를 나타냈다(NTIA 2002).

가설 1-1-5. 고용된 이들이 스마트폰을 빨리 수용할 것이다.

가설 1-2-5. 고용된 이들이 스마트폰을 많이 이용할 것이다.

가설 1-3-5. 고용된 이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정보 이용 행위를 할 가능성

이 높다.

또한 지역도 새로운 기술 수용 속도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 요인이다. 미국뿐만

이 아니라(NTIA 1995) 다른 국가들에서도 지역에 따른 정보 미디어 수용 속도의 차

이를 발견할 수 있다. 핀란드에서는 도시화 정도에 따라서 다양한 정보통신 기기의

확산 속도의 차이가 보고되었다(Fortunati and Taipale 2013). 또한 이탈리아와 독일

과 같은 국가에서도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얼마나 다양하게 잘 활용하는지는 도시화

정도와 연관이 있었다(Fortunati and Taipale 2014). 한국을 대상으로한 경험적 연구

에서도 지역은 정보불평등에 중요한 요인으로 꼽힌다. 군 지역 인터넷 이용률은

1999 년에 27.3%에서 2004년 46.2%로 증가하였지만 전국평균 이용률과 비교할 때는

그 차이가 같은 기간 동안 29.1%에서 32.3%로 오히려 증가한다(황주성, 유지연 2004,

p. 22). 2004년에서 2012년까지 정보 취약 계층의 정보 격차를 시계열로 분석한 결

과에 따르면, 4 대 정보 취약 집단 중에서 농어민 집단이 정보역량격차지수의 개선

이 가장 더디게 나타나며 정보 격차가 가장 심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진상기

2013).

더욱이, 한국의 경우 수도권의 인구 밀집과 대중교통을 이용한 장거리 통근이

(이재훈 2012) 휴대용 미디어 이용에 영향을 준다(성동규, 임성원 2006). 이는 스마

트폰 수용과 이용에서 수도권 거주자와 비거주자 간의 지역적 차이를 예측하는 요

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동전화 구매와 이용에 있어서 과시 성향과 동조 성향이

32

강한 한국인들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인구 밀도가 높은 수도권 지역에서 유행을

빨리 받아들여 스마트폰 구매와 이용이 더욱 빠를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전종우,

정재진, 정수주 2010).

가설 1-1-6. 도시화된 지역일수록 스마트폰을 빨리 수용할 것이다.

가설 1-2-6. 도시화된 지역일수록 스마트폰을 많이 이용할 것이다.

가설 1-3-6. 도시화된 지역일수록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정보행위를 할 가능성

이 높다.

2. 1. 3. 미디어 활용 능력과 정보불평등의 누적 효과

새로운 기기가 확산되는 과정에서 정보불평등은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일

까? 혹은 지속적이며 또 다른 기기가 등장할 때마다 거듭해서 나타나는 것일까? 새

로운 정보 기술을 얼마나 빨리 수용하느냐가 정보 미디어 이용과 숙련에 영향을 미

치는지에 대하여도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져왔다.

그림 2-1. 정보 기기 접근에 대한 다층 누적 모형 (출처: van Dijk, 2005: 22)

33

반 다이크는 <그림 2-1>과 같이 4 단계의 누적적이고 순환적인 정보불평등 고

리를 제시하였다(van Dijk 2005: 22). 인지적/동기적 차원, 물질적인 접근, 숙련 및

이용 능력, 이용량, 이렇게 4 단계에서 각기 정보불평등의 양상이 다르게 드러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불평등은 새로운 혁신으로 다른 정보 기기가 등

장하면 다시 처음부터 정보 기기 접근에 대한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다. 기존에 누

적된 정보불평등이 새로운 기기 확산과 이용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서론에서 제시했듯이 스마트폰은 이미 한국 인구의 80% 가까이 사용할

정도로 그 이용이 높은 수준에 도달해있다. 또한 대부분의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이미 기존에 일반 핸드폰(feature phone)을 사용했던 이들이고, 많은 경우 PC 와

인터넷 사용 경험이 있는 이들이어서 반 다이크가 제기한 정보불평등의 누적 순환

고리를 잘 검증할 수 있다는 측면이 있다. 그렇지만 아직까지 스마트폰을 수용하지

않은 계층이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지, 그들이 정보 소외계층으로 남을지 여부도

흥미로운 연구의 대상이다. 노리스(Norris 2001)가 제기한 것과 같이 새로운

기술의 확산이 모든 계층이 표준적으로 수용하는 상태가 될지(그림2-2(좌)), 혹은

계층별로 다른 지점에서 수용 포화(saturation)가 될지(그림 2-2(우)) 역시

흥미로운 관심의 대상이 된다. 이전 단계의 정보불평등이 해소되지 않은 채로

새로운 기술이 확산된다면 이는 기존의 불평등을 재현하고, 그 간극이 유지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그림 2-2. 기술 확산의 누적 S 형 곡선

[좌: 표준화 모형, 우: 계층화 모형, (Norris, 2001: 31)]

이러한 논의는 스마트폰의 확산과 더불어 이중 격차, 다중 격차 등의 프레임으

34

로 논의가 재점화되었다. 인터넷에 대한 접근, 이용, 활용의 다양성이라는 세 가지

차원에서 격차가 좁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스마트폰이 새로 확산하는 가운데 접근,

이용, 활용의 격차가 모두 발생한다는 것이다(이현주 2014). 즉 기존 인터넷 이용

능력 등을 고려한 기존의 미디어 활용 능력이 스마트폰의 수용, 이용 등과 관련되

는 다양한 차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스마트폰의 수용에는 성별, 나이, 학력, 소득, 고용 여부, 지역과 같은 인구사회

학적 변수들 외에도 컴퓨터 조작 능력, 인터넷 혹은 휴대폰 등 정보 기기와 관련한

지식과 경험 등 미디어 활용 능력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하지타이(Hargittai 2002, 2008)에 의하면, 평소에 인터넷을 얼마나 오래 이용했

는지가 인터넷 활용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새로운 정보 기기인 스마트폰

의 수용과 이용도 이전에 얼마나 많은 미디어를 사용해봤는지, 이용량이 어떤지 등

과 연관이 있을 수 있다. 하지타이(Hargittai 2002)의 연구에서는 인터넷을 얼마나

오랜 기간 사용했는지가 연구자가 제시한 5 가지 종류의 정보를 온라인에서 제대로

찾을 수 있는지 여부와 또 이를 찾는 데 걸리는 시간에 차이를 만들어낸다고 밝혔

다. 그렇지만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에서는 인터넷을 3 년 이상 사용한

이들이 그렇지 않은 이들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인터넷 관련 숙련도가

높거나 자원 증대 온라인 행위를 더 많이 하지는 않는다고 하였다(Hargittai and

Hinnant 2008). 이들은 인터넷 이용 숙련도를 5 가지의 인터넷 관련 용어(이미지 파

일(jpg), 프레임(frames), 선호 설정(preference settting), 뉴스 그룹(news groups),

PDF에 대한 이해도로 측정하였다. 이 연구 결과에서는 인터넷을 쉽게 사용하는 젊

은 층에 있어서는 인터넷 수용 시기가 이용 행위의 차이를 만들어내지 않았다

(Hargittai and Hinnant 2008).

국내 연구에서도 보다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영역의 도구적 조작능력으로 ‘리

터러시(literacy)’ 개념을 도입하여 측정하였다. 리터리시란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능력을 일컫는다. 이처럼 정보사회에서는 정보 미디어를 해독하고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는 것에서 등장한 개념이 미디어 리터러시이다(김민하,

안미리 2003; 김은미 2011; 민영 2011; 황용석, 박남수, 이현주, 이원태 2012). 특히

인터넷, PC 등과 같은 뉴미디어는 TV, 라디오, 신문 등 이전 미디어와 비교할 때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이용 자세와 능력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연구

35

들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2000년대 초반 김민하와 안미리(2003)의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기기 이용능력)를 측정한 연구에서는 정보검색 경력 혹은 인터넷을 오래

사용한 경력이 디지털 리터러시에 유의미한 영향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한다. 이 연

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를 컴퓨터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 지식 리터러시 세 가

지 측면으로 구분하고 기초 컴퓨터 작동 능력, Windows 조작 능력, 프로그램 활용

능력, 인터넷 조작 능력, 정보 필요성 인식 능력, 정보 검색 능력, 정보 분석 및 추

출 능력, 정보의 조직과 활용, 정보 검색과정 및 결과물 평가, 정보윤리 평가, 커뮤

니티 기술 활용 능력, 커뮤니티 정보공유에 대한 인식 및 활용, 커뮤니티 윤리 평가

등 13가지 세부영역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를 측정하였다.

특정 세대를 한정하지 않고 일반을 대상으로 정보 활용 능력을 측정한 민영

(2011)의 연구에서는 운영 시스템(OS), 워드 프로세서, 사무용 프로그램, 멀티미디어

프로그램, 그래픽 프로그램, 동영상 프로그램, 브라우저 사용 등 7개 항목에서 사용

능력을 측정하였다. 정보 활용 능력에는 성별, 연령, 학력, 소득과 같은 인구사회학

적 요인과 인터넷 접근성 요인 모두의 유의미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김은미(2011)의 연구에서는 인터넷 리터러시를 ‘다른 친구의 블로그나 미니홈피

찾기’, ‘인터넷 게시판에 사진이나 그림을 올리기’, ‘이메일 보낼 때 파일 첨부하기’,

‘인터넷 사이트에서 문서나 그림 다운로드’, ‘인터넷에서 음악을 듣거나 동영상 보

기’, ‘인터넷에서 동영상이나 음악 파일을 다운 받아서 다른 기계로 옮기기’, ‘홈페

이지 만들기’, ‘동영상 파일 편집하기’, ‘디지털 사진 꾸미기’, ‘텍스트, 음악, 그림,

동영상 등을 활용하여 발표자료 만들기’와 같이 보다 구체적인 조작 수준에서 측정

하고 이를 이용리터리시와 생산리터러시로 구분하였다.

황용석 등(2012)의 연구에서는 개인의 미디어 능력을 도구적 이용 능력, 창의적

생산 능력, 사회적 관계 형성 능력으로 구분하여 “타인과의 원활한 네트워킹을 위

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측정하여 그 격차가 기기 접근성, 연령, 성별, 소득, 학

력 등의 영향 요인들과 유의미한 관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이용 경험(경력)을 미디어 활용 능력의 주요 변인으로 여긴 연구도 있다.

반 되르선과 반 다이크(van Deursen and van Dijk 2011)의 연구에서는 얼마나 오래

36

인터넷을 이용했는지가 인터넷 실행 능력에는 영향을 주지만, 형태 분간, 정보 습

득, 전략적 이용 능력 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았다. 즉 지금까지 연구에

서는 특정한 정보 기술을 얼마나 오래 이용했는지를 정보 기술의 숙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살펴보았지만, 이는 연구에 따라서 다른 효과로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선행 연구들의 결과를 살펴보면, 연구 시기와 측정 방식에 따라서 이전 단계의

미디어 활용 능력 혹은 인터넷 이용 경력의 영향이 달리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

는 조사 집단, 미디어 활용 능력을 정의하는 관점의 차이와 측정 방식의 차이, 그리

고 측정하고자 하는 정보 기술의 확산 단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정보 기술이 얼마나 이용하기 편한가와 관련될 수 있다. 만약 사람들이 쉽

게 정보 미디어 기기에 익숙해진다면 이용기간과 숙련도와는 연관 관계가 없을 수

있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새로운 정보 기기가 확산되는 과정에 적용할 수 있다.

새로운 정보 기기가 이전 단계의 기술적 난이도를 유지하든지, 또는 더 이용하

기 어려워졌다면 새로운 기술의 수용과 이용에는 모두 이전 단계에서의 미디어 활

용 능력이 분기점을 형성하며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하지만 새로운 정보 기기가 이

용하기 쉽다면, 이전 단계에서의 미디어 활용 능력의 영향이 감소할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선행 연구들은 도구적 미디어 활용 능력을 정보 기술 이용 능력의 가장 공

통적이고 기본적인 부분으로 여기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새로운

정보 기기 수용과 이용 등에도 이전 단계의 (도구적) 미디어 활용 능력이 누적적으

로 영향을 미치는, 정보불평등의 누적 효과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DiMaggio and Garip 2012, Merton 1968).

가설 1-1-7. 이전 단계의 (도구적) 미디어 활용 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이 스마트

폰을 더 빨리 수용할 것이다.

가설 1-2-7. 이전 단계의 (도구적) 미디어 활용 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이 스마트

폰을 더 많이 이용할 것이다.

가설 1-3-7. 이전 단계의 (도구적) 미디어 활용 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이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정보 이용 행위를 할 가능성이 높다.

37

2. 2. 미디어 컨버전스, 정보불평등에 대한 입체적 접근

새로운 미디어를 수용하면 이전까지 사용하던 미디어 사용이 대체될까? 이전까

지의 미디어에서 이용하던 콘텐츠를 모두 이용할 수 있고, 이용 환경에 차이가 없

다면 새로운 미디어는 기존의 미디어를 대체해나갈 수 있다. 하지만 PC 와 인터넷

으로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더라도, 많은 이들은 여전히 동

영상을 시청하는 가장 주된 미디어 기기로 TV를 이용한다(신지형 2014).

미디어 컨버전스는 현재 진행형이지만, 아직까지 그 진행과 변화의 과정이 면

밀하게 파악되지 않고 있다. 또한 미디어 간의 기능적 대체와 기존 미디어가 새로

운 형식으로 변환되는 것은 다른 차원에서 관심 가져야 할 문제이다. 아날로그 워

크맨이 MP3로, 아날로그 카메라가 디지털 카메라로 전환되는 것은 단순히 기능적

대체뿐만 아니라 새로운 미디어 전유 양식을 만들어낸다(Manovich 2001). 마찬가지

로, 스마트폰이 디지털 카메라를 대체해나가는 과정을 살펴보면 이전의 미디어 대

한 단순 대체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어디서나 휴대할 수 있어 항상 소지하는 스마

트폰으로 사진을 찍고 바로 전송할 수 있게 되면서, 하루의 일상을 기록하고 이미

지를 공유하는 등 사용 방식 자체가 달라지기 때문이다(Hjorth 2013).

즉 새로운 미디어의 출현은 기존 미디어와 새로운 미디어와의 경쟁, 대체, 보완

등 상호 관계 속에서 개인이 활용하는 미디어 환경 자체를 변화시킨다. 개인들이

활용하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적응’과 ‘학습’을 요구한다. 또한 개인 소유

미디어뿐만 아니라, 가구 단위로 소유하는 미디어들 역시 개개의 미디어 변화에 따

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새로운 기기의 도입은 가구 내에서 가구원들이 개별 기기

들과 맺고 있던 관계와 역할이 재조합되어 변화가 발생한다(Kayany and Yelsma

2000, p. 216). 예를 들어 가구 내에 스마트폰 소지자가 많아지면 디지털 카메라를

소유하고 소지할 동기가 감소할 수 있다. 같이 있는 사람의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고 전해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개인이 이용할 수 있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단순하게 개인이 스마트폰을 소유하는가 아닌가의 문제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을 함

38

께하는 다른 이들 간의 연계 속에서 상호작용하며 변화한다7.

여기서 정보불평등에 대한 새로운 질문을 도출할 수 있다. 개인을 둘러싼 미디

어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서 개인들이 실질적으로 미디어 이용 양태에 적응해 나가

는 방식과 정보불평등이 관련 있다는 것이다. 미디어 컨버전스는 진화론적 관점에

서 이해할 수 있다. 기술이 진화함에 따라서 이를 이용하는 이들도 함께 진화한다.

공진화(co-evolution) 관계 속에서 기술과 사회는 함께 변화한다.

Wired 편집장이었던 기술평론가 케빈 켈리는 “세계적이며 대규모로 상호 연

결된 기술계(system of techonology)”를 ‘테크늄(techonium)’이라 일컬으며 테크

늄을 자기 강화적이고 창조적이며 자율성을 가진 하나의 시스템으로 정의한다(Kelly

2010, pp. 11-13). 자연계의 종들이 진화 메커니즘으로 새롭게 변이하듯이 기술 역

시 독립적인 변화의 추동 메커니즘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는 기술은 “더 나아지

고 값싸지고 빨라지고 가벼워지고 쉬워지며 더 흔해지고 더 강력해진다”고 제시한

다(Kelly 2010, p. 88).

기술의 발전은 단순히 스마트폰과 같은 컨버전스 기기의 탄생 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방송과 통신의 발달로 같은 기능을 하는 콘텐츠를 생산하는 주체들의 증가,

콘텐츠를 유통하고(네트워크) 소비하는 방식이 변환으로 미디어 혼종(hybrid)이 발생

하고 미디어 기기의 다양성이 증가하였다. 인터넷 네트워크를 이용한 음성 통화 기

능이 가능한 인터넷 전화가 하나의 상품으로 등장했고, PC 는 점점 가볍고 다루기

쉬워지면서 노트북, 넷북, 태블릿 PC, PDA 등의 변종을 낳았다.

방송∙통신 기술의 발달과 혼종화로 미디어 기기의 수는 증가하였지만 동시에

미디어 사이의 융합∙수렴도 진행되고 있다(김양은 2009). 또한 미디어 환경의 변화

의 흐름에 따라 미디어 이용자들은 진화한다(Napoli 2011). 스마트폰은 이러한 미디

어 생태계 진화에 있어서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는데, 개개인이 융합된 미디어 기

기를 소유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디어 기기의 발달과

이용자의 변화는 공진화의 관점으로 이해할 수 있다(김희정 2014). 미디어 이용자들

7 다른 예를 생각해보면 스마트폰으로 인터넷 검색이 가능해지면서, 스마트폰이 있는

20~30 대는 집에서 PC 를 이용하지 않게 된다. 가구 내에서 PC 의 1 차 이용자들인

20~30 들의 이용 욕구가 줄어들면서 가정용 PC 소유와 구매 비율이 감소하고, 이는 다른

가구원들에게도 가정에서 PC 를 이용할 기회 자체가 적어지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39

의 진화는 새로운 미디어∙기술에 잘 적응하는 것이고 스마트폰에 이를 적용하자면

융합되어 있는 다양한 기능을 잘 활용하는 것, 즉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기존의 미

디어들을 재매개한 행위를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용할 수 있는 미디어 기기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다중 미디어 이용자는 증가

하였다. 하지만 스마트폰이 등장한 이후에도 계속 미디어 이용자들의 추구가 다중

미디어 사용을 추구할지는 의문이다. 스마트폰이 다른 미디어들을 기능적으로 대체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마트폰 등장 이후 개별 이용자 단위에서 다중 미디어 이용

이 증가하고 있는지, 감소하고 있는지는 아직 연구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기능

적으로 대체 가능한 다른 미디어들을 대신하여 스마트폰을 얼마나 잘 활용하는가를

미디어 컨버전스 환경에서 하나의 적응 능력으로 볼 것이다. 스마트폰을 다양하고

풍부하게 이용한다면, 다중 미디어 기기 이용을 줄여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미

디어 컨버전스 환경에서의 적응 능력이자 스마트폰의 능숙한 활용의 결과로 바라본

다.

스마트폰의 다양한 활용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기존 미디어를 대체하는 다양

한 미디어 행위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다중 미디어 기기 이용을 대체하여 개인이 다

루는 미디어 기기 수를 줄여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를 계

승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한 다양한 미디어 행위의 수와, 개인이 이용하는 전체 미디

어 기기 수라는 두 가지 측면을 모두 살펴본다.

미디어 레퍼토리 관점에서 스마트폰을 다양하고 풍부하게 사용하는 것을 미디

어 행위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다. 미디어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서 더 다양하게 스

마트폰을 사용하는 것을 미디어 레퍼토리가 풍부하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

의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는 이용하는 케이블 TV 채널 수, 인터넷 사이트 수 등 다

양하고 풍부하게 TV 혹은 웹을 이용하는 것을 미디어를 우수하게 이용하는 것으로

평가했다(Ferguson 1992, Ferguson and Perse 2000, Heeter 1985).

반대로 다중 미디어 기기 이용 측면에서 볼 때, 스마트폰을 다양하게 잘 활용

하면 다른 미디어 기기 이용 수가 줄어들지 않을까 질문해볼 수 있다. 스마트폰으

로 다양한 미디어 기기 이용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미디어 기기

이용이 빠르게 수렴하는 것을 스마트폰을 능숙하게 활용하여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잘 적응한 것으로 보고,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의 변화 속도를 측정하고자 한다.

40

아래 절에서는 기존 미디어 대체와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를 살펴보고 분석 가

설을 도출한다.

2. 2. 1. 미디어 대체, 보완 그리고 공존

새로운 미디어의 출현은 기존 미디어와의 경쟁 혹은 대체를 야기한다. 뉴미디

어와 기존 미디어 간의 관계는 대체 관계, 상호 보완 관계, 기존 미디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공존 관계로 나누어 접근할 수 있다(이재현 2005; 허윤, 이상우 2012).

미디어 대체 가설은 사람들이 미디어를 이용하는 데 사용하는 시간이 제한되어 있

다는 것에 기반하여, 새로운 미디어의 이용은 기존 미디어 사용의 시간적인 대체

(time displacement)를 야기한다고 설명한다 (Ha and Fang 2012, Kayany and Yelsma

2000, Lee and Leung 2008, 강남준, 이재현, 오현경 2008, 이재현 2005b). 이는 또한

새로운 미디어가 기존 미디어와 기능적인 유사성을 지니고, 이를 바탕으로 사람들

의 미디어 이용 동기가 충족됨에 따라서 대체 현상을 보인다고 이야기한다(Atkin,

Jeffres and Neuendorf 1998, Ferguson and Perse 2000). 재매개(remediation)를 통해

(Bolter and Grusin 1999) 미디어 대체는 미디어 이용자의 적응과 선택에 의해 이루

어진 결과이다. 디지털화로 하나의 콘텐츠가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에서 사용됨에

따라서 미디어 대체 효과는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한편, 새로운 미디어는 기존 미디어를 보완해주거나 사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

고 공존한다는 연구도 존재한다. 로빈슨 등은 생활시간 조사를 통해 미국에서 컴퓨

터를 많이 사용하는 이들은 컴퓨터를 쓰지 않는 이들에 비해서 인쇄 미디어나 영화

등 기존 미디어 이용이 감소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Robinson, Barth and

Kohut 1997). 이는 컴퓨터와 같은 뉴미디어가 자동차나 식기세척기와 같은 “시간

활용 증진(time-enhancing)” 기기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정한

다. 한편, 뷔시 등은 인터넷 뉴스 미디어는 인쇄 신문에 비하여 의제 설정 능력이

떨어지고, 인터넷 뉴스 미디어 이용 시간이 기존 미디어 이용 시간과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인터넷 뉴스 미디어 소비는 인쇄 신문의 대체재라기보다는

보완재로 존재한다고 주장한다(Bucy, Gantz and Wang 2007). 피들러(Fidler 1997)는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인한 기존 미디어의 완전 대체를 부정하며, 새로운 환경 속에

서 미디어들 간의 공진화와 공존(coevolution & coexistence) 관계가 유지됨을 주장

41

한다(허윤, 이상우 2012 에서 재인용).

국내의 경험 연구들을 살펴보면, 심미선(2001)은 케이블 TV 및 인터넷 등장이

지상파 방송 시청에 미친 영향이 시간대에 따라서, 교육수준 및 연령대에 따라서

경쟁 관계가 다르게 나타남을 보였다. 유세경(2004)은 전반적으로 텔레비전과 인터

넷 이용이 정의 관계를 보여주지만,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서 관계의 유의함이

다르게 나타남을 살펴봤다. 임종수(2005)는 대학생들의 뉴스 소비에서 인터넷 포털

미디어 사용이 기성 주류 미디어인 텔레비전 혹은 유료 종이 신문과 비슷하거나 오

히려 그 이상임을 발견하였다. 이재현(2005b)은 ‘시간 재할당’ 가설을 제안하며

미디어 대체/보완 현상을 미디어 이용 영역 이외에 수면, 노동, 여가 등 생활시간

전반에 걸친 재조정의 결과로 바라볼 것을 주장하며, 시간 재할당도 연령층에 따라

서 달리 나타남을 살펴봤다.

다양한 미디어를 복합적으로 이용하는 이들이 증가함에 따라, 2006 년 이후에는

대체/보완 관계 측면이 아니라 미디어 이용의 동기를 바탕으로 다중 미디어 이용자

의 특성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살펴보는 연구가 진행되었다(이준웅, 김은미, 심미

선 2006). 심미선 등의 연구에서는 미디어 이용 성향이나, 라이프 스타일, 미디어

이용 시간에 따라서 미디어 이용자 군집을 나누어 이들의 특성을 살펴보았다(심미

선, 김은미, 이준웅 2008, 심미선, 김은실, 하예린 2009). 또한 페이스북, 트위터 등

의 SNS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서 허윤과 이상우(2012)는 SNS의 이용 동기가 기존

매스미디어와 경쟁 관계에 있는지를 적소 이론의 측면에서 살펴보며, ‘휴식/재미’

와 ‘ 현실도피’ 측면에서 SNS와 기존 미디어가 경쟁적 관계를 갖게 될 것을 예

상하였다.

스마트폰은 기존 미디어들과 기능적 중첩도가 높기 때문에(황주성, 이재현

2011) 그 대체성이 더욱 두드러질 것인지, TV와 같은 미디어를 이용하면서 스마트

폰을 동시 이용(Steel 2013, 이혜미 2014, 코리안클릭 2013) 하기 때문에 보완 관계

가 나타나는지 (예: TV 시청하면서 궁금한 내용을 즉석 검색하는 행위의 등장) 혹

은 기존 미디어와의 대체/보완 관계가 없이 공존하는지에 대해서 최근 경험적 연구

가 이루어지고 있다(김민철 2012, 신지형 2014).

그렇지만 개별 미디어 간의 관계 차원에서 대체와 보완 경쟁을 살펴보는 것은

한계가 있다. 스마트폰과 같이 그 기능이 여러 미디어 기기와 중첩되어 있고, 또 일

42

상생활에서의 사용량이 많은 미디어의 등장은 개인들의 미디어 이용 전반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보기 위해서는 개인 수준에서 포괄적인 미디어 이

용 양태를 살펴보는 미디어 레퍼토리 관점이 더욱 유용하다.

2. 2. 2. 스마트폰 레퍼토리

메타미디엄(metamedium)으로서의 스마트폰은 기존의 다양한 미디어를 재매개

한다(Manovich 2013). 최근 메타미디엄으로서의 성격을 갖는 인터넷과 스마트폰 연

구에서는 그 이용의 다양성을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메타미디

엄인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은 단순히 이용의 양만을 살펴봐서는 이용의 성격을 이해

하는 데 제한이 있다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블랭크와 그로셀(Blank and Groselj

2014), 포르뚜나띠와 타이페일(Fortunati and Taipale 2014)의 연구가 있다.

블랭크와 그로셀은 그동안 인터넷 이용 연구가 이용량 혹은 유형화와 같은 단

일 차원에서 이루어졌다고 비판하며, 인터넷 이용의 다차원적 측면을 이해하기 위

해서는 이용량뿐만 아니라, 이용의 다양성과 그 유형별 이용의 차이를 살펴봐야 한

다고 주장한다(Blank and Groselj 2014). 이들은 48개의 인터넷 이용 행위를 조사하

여, 이를 주성분 분석(PCA)으로 10 개의 요인으로 구분한 후에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각각의 요인별로 다른 영향이 드러남을 살펴보았다. 또한 얼마나 다양한 행위를 하

는지 역시 나이와 성별, 그리고 교육수준과 고용의 효과가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

다. 어릴수록, 남자가 여자보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고용된 이들이 학생

보다 더 다양하게 인터넷을 이용한다는 것을 밝혔다.

포르뚜나띠와 타이페일은 스마트폰의 스마트함을 잘 살려서 쓰는지 여부를 스

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을 활용하는가로 측정했다(Fortunati and Taipale 2014). 스마트

폰의 많은 기능을 활용할수록 앞선(advanced) 방식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한다고 평

가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을 다양하게 이용하는 것을 ‘스마트폰 레퍼

토리’로 개념화하고 정보불평등을 설명하는 요인들이 마찬가지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미디어 레퍼토리 개념은 히터(Heeter 1985)가 제안한 채널 레퍼토리(channel

repertoire)에서 비롯한다. 히터는 수많은 케이블 TV 채널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개인들이 인지적 제약과 습관적 이용으로 제한된 수의(typically fewer than a dozen)

43

채널의 수(set)를 이용한다는 것을 발견하고, 개인들이 이용하는 채널들의 조합을

채널 레퍼토리라고 명명하였다(Heeter 1985). 이후에도 사람들은 개인들의 선호에

따른 선택과 기억의 제한으로 인하여 제한된 수의 채널 다양성을 유지한다는 것이

확인되었고(Ferguson and Perse 1993), TV 시청뿐만이 아니라 관심을 갖고 습득하는

정보도 선택적으로 제한된 종류로 구성되는 것이 밝혀졌다(Reagan 1996). 이처럼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의 초기에는 레퍼토리의 크기에 관심이 있었다. 또한 케이블

TV 가입 여부(Heeter 1985), 리모컨과 같은 미디어 환경의 영향(Ferguson 1992), TV

노출 정도와 채널 변경, 이용 동기 등이 채널 레퍼토리 크기에 영향을 미친다고 밝

혀졌다(Ferguson and Perse 1993).

인터넷의 도입 이후 채널 레퍼토리 개념은 얼마나 다양한 웹사이트를 이용하

고, 기억하는가를 연구하기 위해 적용되었다. 수십, 수백 개에 이르는 TV채널과 달

리, 인터넷은 수백만 개의 웹사이트가 존재하며 사용자들은 이를 제한적으로 사용

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레퍼토리의 구성이 더욱 뚜렷하게 드러날 수 있다는 것이

다. 인터넷 이용 시간과 동기와 성별, 정보 습득 창구 등의 요인들은 웹 레퍼토리

다양성과 연관이 있다(Ferguson and Perse 2000, 임정수 2003). 웹사이트 레퍼토리

크기는 여성이 남성보다 작게 관찰된다(Ferguson and Perse 2000). 이렇듯 미디어

이용의 ‘레퍼토리’ 접근은 이용의 다양성이라는 차원을 측정하고 개념화하는 데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스미트폰을 다양하게 이용하는지를 측정하는 ‘레퍼토리’를 기

존 정보불평등 논의에서 이용의 다양성을 살펴본 연구들의 연장선에 위치시키고자

한다. 이용 단계에서의 정보불평등은 정보 기기 이용량뿐 아니라(van Deursen and

van Dijk 2013, van Dijk 2005) 이용 다양성과 숙련도, 능동성을 함께 고려하여 살펴

볼 수 있다(de Haan 2004, Hargittai 2002, 김은미, 심미선, 김반야 2012). 스마트폰을

다양하고 폭넓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앱을 내려받고 설치하고 이용해야 한

다. 이를 위해서는 어떤 앱이 자신의 필요와 취향에 맞는지를 파악하고 선택할 수

있는 정보와 판단 능력이 필요하다. 또한 스마트폰으로 이용할 수 있는 앱이 다양

해짐에 따라, 사람들이 스마트폰의 활용을 넓혀 그 이용의 다양성이 증가할 수 있

다. 인간과 미디어의 공진화라는 관점에서 볼 때 미디어 기기의 발전뿐 아니라 콘

텐츠 생태계의 다양성의 증가를 스마트폰 이용의 다양성 증가로 이해할 수 있다.

44

한편 사람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다양한 행위를 할 수 있지만, 실제 행위의

다양성은 아직 낮은 수준이다(Fortunati and Taipale 2014, 김영주, 정재민, 이은주

2011).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개수와 같이 스마트폰 이용 다양성을 살펴볼 수 있는

척도는 미디어 최적화 등 미디어 활용 능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인다(김은미,

심미선, 김반야 2012). 따라서 어떤 이들이 스마트폰을 다양하고 풍부하게 사용하는

지를 레퍼토리로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측정하고자 한다.

또한 레퍼토리의 시간적 변화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정보 기기의 이용은 시

간의 흐름에 따라서 그 이용 능력과 숙련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Hargittai and

Hinnant 2008, 김민하, 안미리 2003). 위에서 살펴본 연구들은 레퍼토리를 정태적인

측면에서 관찰하였다. 그렇지만 스마트폰과 같이 새로이 등장하여 점점 이용자층이

두터워지고 이용 가능한 행위가 다원화되는 미디어 기기의 경우에는 레퍼토리 변화

역시 하나의 학습 능력으로 평가하고 이를 정보불평등의 관점에서 조망할 수 있다.

가설에서 제기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종속변수의 관계는 2.1.2 에서 살펴본 선행

연구와 블랭크와 그로셀(Blank and Groselj 2014)의 연구를 참조하여 도출하였다.

연구문제 2-1-1. 개인들의 스마트폰 레퍼토리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가?

가설 2-1-1. 남성이 여성보다 스마트폰 레퍼토리가 클 것이다.

가설 2-1-2. 나이가 어릴수록 스마트폰 레퍼토리가 클 것이다.

가설 2-1-3. 학력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레퍼토리가 클 것이다.

가설 2-1-4. 소득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레퍼토리가 클 것이다.

가설 2-1-5. 고용된 이들의 스마트폰 레퍼토리가 클 것이다.

가설 2-1-6. 보다 도시화된 지역에 거주하는 이들이 지방에 거주하는 이들

에 비해 스마트폰 레퍼토리가 클 것이다.

가설 2-1-7. 미디어 활용 능력이 높은 사람들이 스마트폰 레퍼토리가 클 것

이다.

연구문제 2-1-2. 미디어 컨버전스가 진행되고 있는 환경에서 개인들의 스마트

폰 레퍼토리 크기가 변화하고 있는가?

45

가설 2-1-8. 스마트폰 이용자와 이용할 수 있는 앱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네트워크 외부성이 증가하는 환경에서 개인들의 스마트폰 레퍼

토리는 시간에 따라 커질 것이다.

연구문제 2-1-3. 개인들의 스마트폰 레퍼토리 크기 변화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가설 2-1-9. 스마트폰을 빨리 수용한 사람들의 스마트폰 레퍼토리 증가 속

도가 더 빠를 것이다.

2. 2. 3.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개인들의 다중 미디어 활용이 일상화되면서 ‘다중 미디어의 논리’를 이해하

고자 하는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Deuze 2004, 강남준, 김은미 2010, 이재현 2006).

그 중 한 흐름이 다중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이다. 기존에 미디어 내에서의 레퍼토

리에 초점이 맞춰졌던 연구들은 다중 미디어 레퍼토리로 그 영역을 확장하였다. 다

중 미디어 레퍼토리 초기 연구인 반 리즈와 반 아이직(van Rees and van Eijck 2003)

의 논문에서 다중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의 목적 세 가지를 도출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개개인의 미디어 이용 다양성과 그 조합이 어떻게 구성되는가에 대

한 질문이다. 미디어 이용은 개인이 선택할 수 있는 미디어가 다양하게 존재해야

하며(공급의 측면), 또 개인은 이를 능동적으로 선택한다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두

번째는 특정한 미디어 레퍼토리를 가진 이들의 특징이 어떠한가라는 것이다. 이는

미디어 이용의 선호와 취향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미디어 이용을 문화

적 행위 중 하나로 이해하고 특정 미디어에 대한 선호를 문화적 취향 혹은 개개인

이 속해 있는 사회적 지위와 관련성에서 살펴본 것이다. 세 번째는 미디어 레퍼토

리 유형으로 수용자(audience)의 구분(segmetation)하여 미디어 이용자 특성과 시장

을 이해하고자 함이다. 이 연구는 부르디외의 아비투스(habitus) 개념을 차용하여 다

중 미디어 이용을 문화적 취향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고, 미디어 이용을 유형화했

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성별, 연령, 고용, 사회경제적 지위뿐만 아니라, 정치∙종

교적 태도 역시 미디어 이용 행위와 관련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그렇지만 위

계적 군집분석으로 도출한 8개 레퍼토리별로 상위 25%에 해당하는 이들의 특성을

46

살펴봤기 때문에, 여러 레퍼토리에 중복적으로 속하는 이용자들이 존재해서 미디어

행위에 기반한 미디어 이용자 세분화를 명확하게 도출하지 못했다는 단점이 있다.

이 연구에 이어 국내에서도 다중 미디어 레퍼토리를 도출하려는 연구들이 활발

하게 진행되었다. 국내에서 진행된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들은 대부분 다중 미디어

사용 레퍼토리의 유형을 파악하여 이용자들을 구분하고, 각 유형별 미디어 이용 양

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이창훈, 김정기 2013). 국내의 다중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

들의 진행을 살펴보면 어떤 미디어까지 유형화 대상으로 포함할 것인가에 대한 문

제의식과 미디어 이용자 유형 분류 방법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론적 고민

을 엿볼 수 있다.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에서 첫째 고민은 미디어를 어느 정도 범위까지 구분하여

포함하느냐에 대한 것이다. 다중 미디어 분석의 초기 연구인 이재현(2006)의 연구는

모바일(휴대폰)의 이용 시간과 TV, PC, 모바일 세 개 미디어의 중첩 이용에 관심을

가졌다. 국내 다중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의 시작인 심미선(2007)의 연구에서는 ①지

상파, ②케이블, ③위성, ④라디오, ⑤신문, ⑥DMB, ⑦인터넷 이용 패턴을 군집 분

석을 통해 레퍼토리 유형을 도출하였다. ①지상파, ②케이블, ③위성의 경우 TV라

는 하나의 플랫폼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이를 따로 구분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적이

있었고(심미선, 2010), 이후 몇몇 연구에서는 전송 방식에 따른 TV 구분을 하지 않

고 기기별로 접근하기도 하였다(강남준, 이종영, 이혜미 2008, 이미영, 김담희, 김성

태 2010, 조성동, 강남준 2009). 최근 연구에서는 인터넷과 SNS 등의 세부 이용 유

형도 미디어 이용으로 이해하기 위해 미디어 기기 – 미디어 콘텐츠(장르) 조합으로

미디어를 구분하였다(Kim 2011, 이창훈, 김정기 2013).

미디어 이용자 구분을 위해서는, 이용자 k 평균 군집 분석 방식과(강남준, 이종

영, 이혜미 2008, 김은실, 하예린, 박원기 2009, 윤해진, 문성철 2010, 이찬구, 이종

영, 성지연 2009, 이창훈, 김정기 2013), 10% 혹은 35%와 같이 일정 비율 이상이 이

용자를 독립 유형으로 이해하는 방식(심미선 2007, 2008, 이미영, 김담희, 김성태

2010, 조성동, 강남준 2009)을 주로 이용하여 미디어 이용자들의 레퍼토리를 유형화

하였다. 이는 특정 레퍼토리 유형을 가진 집단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함인가, 혹은

미디어 이용자를 분절적으로 구분하고자 함인가에 따라서 접근이 달라져 왔다.

47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주로 다중 미디어 이용 혹은 동시 미디어 이용 유형에

대한 관심이 있었지만, 다중 미디어화와 스마트 미디어화로 인한 미디어 수렴 혹은

변환을 살펴보지는 못했다. 다중 미디어 이용은 콘텐츠 차원에서 하나의 콘텐츠를

여러 미디어 기기에서 볼 수 있는 미디어 컨버전스를 가능하게 하였다. 한편,

스마트폰과 같이 메타미디엄의 성격을 갖는 기기의 확산은 다중 미디어 이용 패턴

자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스마트폰의 이용은 기존에 관찰되지 못했던 미디어

레퍼토리 변화와 미디어 컨버전스 여부를 관찰할 수 있게 한다.

이 분석에서는 기기 차원에서의 미디어 수렴, 즉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인하여

스마트폰이 재매개(remediation)하는 중첩적 성격을 갖는 미디어 기기의 사용이 줄

어드는가에 대한 물음을 던진다. 기존 연구에서 밝힌 바와 같이 미디어 리터러시가

높은 이들은 다중 미디어 이용을 할 것이다. 하지만 반대로 스마트폰을 잘 활용하

는 이들은 스마트폰 하나로 여러 미디어를 이용할 것이기 때문에 미디어 기기 이용

의 감소가 나타날 수 있다. 이를 확인해 보기 위하여 이 분석에서 측정하는 미디어

레퍼토리는 미디어 ‘기기’ 이용을 분석 단위로 한다. 스마트폰 레퍼토리 분석과

마찬가지로 다층 성장 모형을 이용하여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의 양과 그 변화율을

살펴본다.

지금까지 연구에서는 주로 단일 시점에서 미디어 레퍼토리 크기와 그 유형을

측정했기 때문에 미디어 레퍼토리의 변화 과정을 살펴보지 못했다. 이 부분에서 도

출하는 연구 질문과 가설은 메타미디엄으로서의 스마트폰 활용을 잘한다면, 다른

미디어 기기 대체가 빨리 이루어져 미디어 레퍼토리가 감소할 것이라는 가정에서

비롯한다. 이는 미디어와 인간 사이의 공진화에서 기술 발전으로 인한 미디어 환경

에 잘 적응하는 것이 이용자 입장에서는 더 우수하게 환경에 적응한 결과라는 미디

어 진화론적 시각에서 비롯한다.

연구 질문과 가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에서 제기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종속변수의 관계는 2.1.2 에서 살펴본 선행 연구에서 도출하였고 미디어 컨

버전스는 미디어 이용이 수렴하는 방향으로 진화한다는 가정에서 도출하였다.

연구문제 2-2-1. 미디어 컨버전스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환경에서 개인들의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크기가 변화하고 있는가?

48

가설 2-2-1. 미디어 컨버전스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환경에서 개인들

의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는 선형적으로 감소한다.

연구문제 2-2-2. 개인들의 미디어 레퍼토리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

인가?

가설 2-2-2. 남성이 여성보다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가 클 것이다.

가설 2-2-3. 나이가 어릴수록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가 클 것이다.

가설 2-2-4. 학력이 높을수록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가 클 것이다.

가설 2-2-5. 소득이 높을수록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가 클 것이다.

가설 2-2-6. 고용된 이들의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가 클 것이다.

가설 2-2-7. 보다 도시화된 지역에 거주하는 이들이 지방에 거주하는 이들

에 비해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가 클 것이다.

가설 2-2-8. 미디어 활용 능력이 높은 사람들이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가 클

것이다.

연구문제 2-2-3. 개인들의 미디어 레퍼토리 크기 변화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들은 무엇인가?

가설 2-2-9. 남성이 여성보다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가 빨리 감소할 것이다.

가설 2-2-10. 나이가 어릴수록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가 빨리 감소할 것이다.

가설 2-2-11. 학력이 높을수록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가 빨리 감소할 것이다.

가설 2-2-12. 소득이 높을수록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가 빨리 감소할 것이다.

가설 2-2-13. 고용된 이들의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가 빨리 감소할 것이다.

가설 2-2-14. 보다 도시화된 지역에 거주하는 이들이 지방에 거주하는 이들

에 비해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가 빨리 감소할 것이다.

가설 2-2-15. 미디어 활용 능력이 높은 사람들이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가

빨리 감소할 것이다.

가설 2-2-16.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가 빨리

감소할 것이다.

49

제 3 장 연구 자료와 연구 방법

3. 1. 자료와 특성

이 논문에서 앞으로 살펴보는 5 개의 분석은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2010-

2013 년 조사한 한국 미디어 패널 자료를 이용한다. 미디어 패널 조사는 방송통신

융합과 스마트화 등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6세 이상 한국인들의 미디어 이용행

태를 포괄적으로 분석하고자 실시한 국가 수준의 종단연구이다 (김민철, 한은영, 임

경진, 김정한, 조지연 2010).

미디어 패널 자료는 미디어 이용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1) 종단적인 특성, 2)

미디어 기기와 행위 구분, 3) 미디어 다이어리 조사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이를 자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3. 1. 1. 종단 자료

표 3-1. 미디어 패널 조사의 연도별 조사 응답자 변화

연도 응답자(명)

(A+B+C+D)

A. 2010년

응답자

B. 2011년

신규응답자

C. 2012년

신규응답자

D. 2013 년

신규응답자

2010년 6,737 6,737

2011년 12,000 3,772 8,228

2012년 10,319 3,184 6,563 572

2013 년 10,464 3,104 6,431 470 459

첫째, 미디어 패널은 국가 수준의 종단 자료이다. 2010년부터 2013 년까지 4년

간 동일 패널 집단을 유지하며 반복적으로 미디어 이용 행태를 물어, 스마트폰과

태블릿, 스마트 워치 등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이 확산되는 과정을 추적한다. 또한

종합 편성 채널 등 해당 기간 동안의 미디어 채널 변화에 의한 한국인들의 미디어

콘텐츠 소비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김민철, 신지형, 김윤화, 하태림, 신선 2013).

유의해야 할 것은 조사 응답자 수의 변화이다. 미디어 패널 조사의 연도별 조사인

원 변화를 살펴보면 표 3-1 과 같다.

50

2010년 조사 응답자 수와 2011년 이후 응답자 수의 차이가 많이 발생한다. 이

는 2010년 첫해 조사는 수도권 및 6대 광역시 3,000 가구 및 가구 내 만 6세 이상

의 가구원을 목표로 조사한 것이고, 2011년부터의 조사는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표본추출틀(sampling frame)로 하여 층화 2단계 확률비례계통추출법으로 추

출한 5,000여 가구를 대상으로 조사가구를 늘렸기 때문이다(김민철, 임경진, 한은영,

하태림 2011, 김민철 등 2010). 2011년 이후의 응답자 수의 차이는, 가구 내에서 가

족 구성원 중 만 6세 이상으로 편입되는 경우, 이전년도에 응답하지 못하였다가 조

사년도에는 응답한 경우 등에 의해서 달라진다.

그림 3-1. 스마트폰 가입자 추이 비교 [출처: 미래창조과학부(2014), 정보통신정책연구원(2013)]

미디어 패널에서는 조사 시점에 스마트폰을 쓰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

는 설문 문항이 포함되어 있어서, 전년도와 비교하여 그림 3-1 과 같이 어느 시점에

새로 스마트폰을 수용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응답자의 기억이 부정확할 수 있기

때문에 응답된 자료를 통해서 확인하는 방법이 회상법보다 정확하다. 그렇지만 위

에서 알 수 있듯이 미디어 패널 스마트폰 이용률을 한국의 스마트폰 가입회선 수를

인구 전체 수에 나눈 비율과 비교해보면 2~12% 가량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한국 전체의 스마트폰 가입률과 미디어 패널의 스마트폰 이용률 차이는 두 가

6.6

17.2

41.9

58.8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0

1,000

2,000

3,000

4,000

5,000

미디어 패널 스마트폰 수용자 비율(%) 스마트폰 가입 회선수

(만 명)

51

지 이유에서 비롯한다. 첫째, 한 사람이 업무용 등 다수의 휴대전화 단말기(스마트

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2014 년 10 월 현재, 한국의 인구는 약 5,130 만이지만 이

동통신 가입 회선 수는 인구를 550 만 가량 넘어서는 약 5,675 만이다. 즉 전 국민이

휴대전화를 갖고 있다 하더라도 550 만 명 가량이 2 개의 휴대전화를 갖고 있는 셈

이다. 둘째, 외국인 혹은 여행객들이 사용하는 회선 때문이다. 전 세계적으로 보면

외국인 체류 비율이 높은 마카오, 홍콩 등이 인구 대비 이동통신 가입 회선 비율이

높다(ITU 2014b).

3. 1. 2. 다층적인 미디어 이용 이해

그림 3-2. 미디어 패널 응답자들의 스마트폰 이용 미디어 행위 비율 (2013 년, n=10,464)

둘째, 미디어 패널은 미디어 이용을 시간, 장소, 미디어 기기, 미디어 행위, 미

디어 연결 등 다층적인 레이어와 맥락 속에서 이해할 수 있는 자료이다. TV 와 같

은 기존 미디어의 디지털 전환과 스마트 미디어의 출현은 미디어 융합 또는 수렴

0.02%

0.03%

0.03%

0.04%

0.05%

0.05%

0.05%

0.10%

0.11%

0.12%

0.18%

0.20%

0.23%

0.26%

0.46%

0.64%

1.12%

1.62%

4.19%

6.05%

7.01%

7.66%

7.84%

26.39%

35.55%

0.00% 10.00% 20.00% 30.00% 40.00%

TV데이터방송프로그램시청

잡지

UCC(실시간)

문서작업프로그램

그래픽프로그램

이메일

사진(그래픽 이미지)

영화

sns

정보콘텐츠

게임

통화

52

못지않게, 분리, 이탈, 재결합을 뜻하는 ‘다이버전스(divergence)’ 현상도 만들어

내었다(이재현 2014).

예전에는 지상파 방송국에서 제작한 방송 콘텐츠는 TV라는 미디어 기기에서만

소비가 가능했지만, 이제는 PC, 스마트폰, 차량용 내비게이션에서도 소비할 수 있

다. 마찬가지로 인터넷 검색 역시 PC 뿐만 아니라 TV, 스마트폰 등에서도 가능해졌

다. 미디어 기기와 콘텐츠와의 일대일 대응이 깨져버린 것이다. 따라서 이제는 단순

히 특정한 미디어 기기를 이용한다는 것이 어떠한 미디어 행위를 하는지를 특정하

지 않는다. 예를 들어, 미디어 패널 자료의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사람들이 스마트

폰을 이용한다고 할 때 그림 3-2 와 같은 25 가지의 다양한 행위를 하는 것을 포착

할 수 있다8.

또한 미디어 패널 조사는 특정 미디어 행위를 어떤 시간에 어떤 장소에서 했는

지도 기입하도록 되어 있다. 시간과 장소의 맥락에 따라 미디어 이용이 어떻게 달

라지는지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다층적인 설문으로 미디어 기기와 미디어

행위의 구분뿐만 아니라, 시간, 장소 또한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 미디어 패널 자료

의 장점이다.

3. 1. 3. 미디어 다이어리

셋째, 미디어 패널 조사는 미디어 다이어리 방식을 이용했다는 장점이 있다. 미

디어 다이어리는 생활시간 조사를 미디어 이용 조사에 적용해 각 응답자들이 3 일

간 미디어 기기 이용, 이용 행위, 미디어 간 연결 행위, 이용 장소, 수면 여부에 대

하여 15 분 단위로 기입한 것이다. 15 분 단위별 이용 양태를 조사하는 이 방식은

사람들의 미디어 이용 범위와 그 양을 파악하는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15 분 단위의 미디어 이용을 조사한 이 데이터는 시간대에 따라서 미디어 이용

패턴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유용하다. 또한 자기 기

억에 의존하여 전날 사용한 미디어 사용 총량을 묻는 조사에 비하여 그 정확도와

8 2012 년부터 ‘종합편성채널 실시간 시청’과 ‘VOD 시청’ 여부도 조사에 포함

되었는데, 2010, 2011 년과의 비교를 위하여 비지상파 TV 방송 실시간 시청과

비지상파 TV 방송 VOD 시청으로 통합하였다.

53

상세함이 높다. 미디어 다이어리와 같은 시간 일지법은 자기 기입법에 의한 시간량

응답에 비해서 그 정확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Robinson and Gershuny

1994). 미디어 다이어리 기입 방식은 부록 1 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4. 자료와 연구의 적합성

2010-2013 년 4 년 간의 조사가 누적된 미디어 패널 조사는 다중 미디어 시대에

한국인의 스마트폰 수용 시기 및 이용량과 양태, 그리고 미디어 레퍼토리의 크기와

그 변화를 추적하는 데 적합한 자료이다. 미디어 패널 조사는 iPhone 출시와 더불

어 스마트폰 사용이 유행한지 얼마 지나지 않은 2010 년에 시작되어, 스마트폰 보급

이 전 국민의 60%가 넘은 2013 년에 이르기까지 스마트폰 초기 확산에 의한 미디어

이용 패턴의 변화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장점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2010-

2013 미디어 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각 분석의 목적에 따라 적합한 데이터 셋을 구

축하였다.

위에서 살펴봤다시피, 미디어 패널 조사는 한국인 전반을 대상으로 하는 조사

의 범위, 동일 문항에 의한 시계열적인 반복 측정, 미디어 다이어리라는 미디어 이

용에 대한 구체적인 측정 등 미디어 이용 양태가 변화하는 시기에 이를 살펴보기

위한 최적의 자료라고 할 수 있다.

3. 2. 분석 방법

3. 2. 1. 자료 변환 및 변수

3. 2. 1. 1. 자료 접근, 통합, 변환

2014 년 11 월 현재 2010-2013 년 한국 미디어 패널 자료는 방송∙뉴미디어 통계

정보시스템(http://stat.kisdi.re.kr/)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미디어 패널 데이터는 각

연도별 가구, 개인, 다이어리로 구분되어 데이터가 올려져 있어, 연구자의 목적에

따라서 자료를 통합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그림 3-3 과 같이 2010-2013 년 개인,

가구 데이터와, 다이어리 세로 통합데이터 등 총 12개의 데이터 파일을 개인 식별

정보(pid)와 가구 식별정보(hid)를 기준으로 통합하고, 시계열 분석이 가능한 세로

형태(long type)로도 변환하였다.

54

그림 3-3. 미디어 패널 자료의 통합과 변환

3. 2. 1. 2. 분석 대상

3.1.1.1 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미디어 패널 조사는 2011 년 이후 조사 대상 범

위가 넓어졌다. 2010 년에는 패널 모집단이 수도권과 6 대 광역시 거주 인구였지만,

2011 년 이후 전국으로 확장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2011 년 이후에도 패널의 이탈과

유입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수용 및 이용량, 정보추구 행위,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스마트폰 레퍼토리 등을 종속 변수로 다양한 정보불평등 관련 분석을 시

행하기 때문에, 각 분석 모형마다 관측 응답자 수가 조금씩 달라진다. 미디어 패널

은 가구 단위로 조사 표본을 추출하였지만, 가구원 전원을 조사하지 못함으로 인하

여 추출하고자 했던 표본과 오차가 존재한다. 4 년 연속 포함된 균등 표본(balanced

sample)만 포함하면 표본 오차가 더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연도별∙ 분석별로 포함되

는 분석 대상은 조금씩 달라졌다.

3. 2. 1. 3. 종속 변수

분석에서 사용하는 종속 변수는 미디어 패널의 데이터를 재코딩하여 만들어졌

다. 각각 분석의 종속변수는 다음과 같이 생성하였다.

55

(1-1) ‘스마트폰 수용’변수는 미디어 패널 개인용 설문지 문항 1-1 의 휴대폰

구분 항목에서 ‘3G 스마트폰’과 ‘LTE스마트폰’을 응답한 경우를 합하여9 당

해 연도에 스마트폰 이용 여부를 확인한 후, 전년도에 스마트폰을 이용하지 않은

경우를 ‘수용’이라고 코딩하였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몇 년도에 수용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2 년 이상을 연속으

로 미디어 패널에 응답한 이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10. 연도별 스마트폰

수용 추이는 표 3-2 에서 확인할 수 있다11.

표 3-2. (연도별) 스마트폰 수용 비율

N 스마트폰 수용

(2011 년부터는

2 년 이상 유지 패널)

누적

비율

당해 연도 기준

스마트폰 이용자 비율

(참조 3.1.1.1)

2010 년 6,737 6.60% 6.60% 6.60%

2011 년 3,772 14.90% 21.50% 17.20%

2012 년 9,617 25.90% 47.40% 41.90%

2013 년 9,176 18.40% 65.80% 58.80%

(1-2)‘하루 평균 스마트폰 이용 횟수’는 3 일 간의 스마트폰 이용 횟수를 평

균한 값으로 스마트폰 이용량을 대표하는 값으로 사용하였다.

9 해외 연구들의 경우 무선 인터넷이 가능한 2G 휴대폰의 경우도 스마트폰으로

간주하는 경우가 있는데, 연구자는 2009 년 도입된 아이폰과 그 이후 도입된

안드로이드폰과 같이 휴대폰 전용 OS 가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들이 스스로 앱을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는 단말기를 스마트폰으로 한정하였다. PDA 폰의 경우는 2000 년대 초반부터

이용되었기 때문에 새로운 기술 수용으로 판단할 수 없어 배제하였다.

10 2009 년 11 월에 아이폰이 출시되었기 때문에, 2010 년 스마트폰 수용자와 2009 년

수용자를 구분하지는 않았다. 2011 년이 응답자 수가 가장 많지만, 2010 년에 이어 등장하는

이들이 적기 때문에 분석 모형에 포함되는 관측치는 가장 낮다.

11 2011 년부터 스마트폰 수용 누적 비율과 당해 연도 기준 스마트폰 이용자 비율이

차이가 발생하는데, 2010~2011 년도의 경우 분석 모형에 포함된 대상이 수도권과 광역시에

거주하는 이들만으로 한정되었기 때문이다.

56

표 3-3. (연도별) 스마트폰 이용량 평균

N

하루 평균

스마트폰 이용

횟수 (표준편차)

<스마트폰

이용자>

하루 평균

스마트폰 이용 횟수

<스마트폰 이용자>

(표준편차)

하루 평균

스마트폰

이용 시간(분)

<스마트폰 이용자>

2010 년 6,737 0.32 (1.90) 445 4.41 (5.71) 66.22

2011 년 12,000 1.07 (3.09) 2,069 6.05 (4.90) 90.75

2012 년 10,319 2.55 (4.22) 4,325 5.89 (4.65) 88.38

2013 년 10,464 3.75 (5.02) 6,151 6.26 (5.18) 93.96

24 시간 동안 매 15 분마다 스마트폰을 이용한다고 하면, 하루 최대 96회의 이

용이 가능하다. 즉 이용 횟수에 15 분을 곱하면 하루 평균 이용량을 도출할 수 있

다. 미디어 패널 전체로 볼 때는 연도별 스마트폰 수용 비율이 낮기 때문에 스마트

폰 이용 횟수가 낮게 나타난다. 그래서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이용횟수와 시간을 따

로 계산하여 우측에 제시하였다.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스마트폰 이용 횟수에 15 분

을 곱한 하루 평균 스마트폰 이용 시간을 보면, 스마트폰 이용 시간 평균이 66~94

분으로 적지 않다. 15 분 단위로 미디어 이용 행위를 적는 미디어 다이어리 조사의

경우 15 분을 근사하게 채운 행위에 한하여 응답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응답자들의

기억의 한계로 실제 이용했음에도 응답에 누락되는 경우도 존재한다. 이러한 경향

으로 스마트폰 이용의 경우 미디어 다이어리 조사로 얻은 이용 시간이 기계식 측정

과 비교하여 작게 나타난다. 분석에서는 ‘횟수’를 종속변수로 사용하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이용 시간과 완벽한 선형 관계를 갖기 때문에 앞으로 분석에서는 이용

횟수/이용량이 같은 의미로 쓰인다는 것을 미리 밝힌다.

(1-3) ‘스마트폰 이용 정보 검색 유무’는 미디어 다이어리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신문, 책, 잡지, 정보콘텐츠를 이용하는 미디어 행위를 했는지 여부로 파

악한다. 스마트폰으로 신문, 책, 잡지 등을 재매개하여 읽거나, 인터넷을 이용하여

정보 검색을 할 수 있지만, 이러한 행위는 미디어 다이어리 조사에 의하면 스마트

폰을 이용한 미디어 행위 전체 비중에서 8%에 불과하다. 아직까지 스마트폰을 이용

한 정보 추구 행위는 하는 이들도 많지 않고(2013 년 13%), 그 정보 이용량도 적다.

57

표 3-4. (연도별) 정보 추구 행위 여부 비율

연도 미디어 패널

응답자

정보추구

행위

<스마트폰

이용자>

정보추구 행위

<스마트폰이용자>

2010 년 6737 0.00 445 0.05

2011 년 12000 0.01 2,069 0.07

2012 년 10319 0.04 4,325 0.09

2013 년 10464 0.08 6,151 0.13

(2-1) 스마트폰 레퍼토리

스마트폰을 잘 이용한다는 것은, 단순히 정보 검색을 많이 한다는 것만을 의미

하지는 않는다.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을 잘 활용할 수 있는지 여부를 보기 위해

서 스마트폰으로 얼마나 다양한 미디어 행위를 하는지를 측정한다. 스마트폰 미디

어 행위는 통화를 비롯해서, DMB 시청에 이르기까지 25 가지의 행위 유형으로 조사

되었다(스마트폰 미디어 행위 25개는 그림 3-2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폰 레

퍼토리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25개 미디어 행위 중 얼마나 다양한 미디어 행위를

했는지로 산출하였다. 스마트폰 레퍼토리는 2010 년 1.12 에서, 2013 년 1.86 으로 매

년 커지지만 2012-2013 년 사이에는 그 증가폭이 작다.

표 3-5. (연도별) 스마트폰 레퍼토리 평균

연도 스마트폰 이용자 스마트폰 레퍼토리

<스마트폰 이용자>

2010 년 445 1.12 (1.06)

2011 년 2,069 1.65 (1)

2012 년 4,325 1.84 (1.01)

2013 년 6,151 1.86 (0.99)

(2-2)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는 3 일간에 한 번이라도 사용한 전자 미디어 기기 수로

측정한다. 미디어 패널 조사에서는 전체 39개의 미디어를 조사했는데, 신문, 책, 잡

지 등 아날로그 미디어와 공연 전시 미디어를 제외한 30개 전자 미디어 기기의 활

용 여부를 합산하여 살펴본다. 미디어 다이어리로 조사한 30개 전자 미디어 기기의

58

종류는 표 3-6 과 같다.

표 3-6. 조사 대상 미디어 기기 종류

가정용 TV 키오스크 가정용 오디오

전광판/옥외 TV 공중 전화기 카오디오

휴대용 TV 일반 전화기 오디오 레코더

차량용 TV 인터넷 전화기 휴대용 오디오

데스크탑 PC 일반 휴대폰 VCR

일반 노트북 PC PDA폰 DVD플레이어

넷북 스마트폰 PVR/DVR/DivX 플레이어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비디오 재생기기

PDA 비디오 녹화기기 휴대용 게임기

내비게이션 일반 라디오 가정용 게임기

TV 를 4개로 구분하고, 전화기를 6개, 오디오(라디오)를 5개로 구분하는 것이

미디어를 너무 세분화한 것은 아닌가라는 물음이 제기될 수 있다. 그렇지만 기존의

많은 다중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에서도 TV 의 경우 지상파 TV, 케이블 TV, 위성

TV 등을 구분하여 미디어 이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았다(김은실, 하예린, 박원기

2009, 심미선 2007, 윤해진, 문성철 2010, 이창훈, 김정기 2013). 새로운 미디어들의

등장으로 인한 미디어 대체, 보완, 경쟁 등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미디어를 세분화하

여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표 3-7. (연도별)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평균값 변화

미디어 패널

응답자

미디어

레퍼토리

<스마트폰

이용자>

미디어 레퍼토리

<스마트폰 이용자>

2010 년 6,737 3.06 (1.17) 445 3.69 (1.35)

2011 년 12,000 3.14 (1.12) 2,069 3.56 (1.24)

2012 년 10,319 2.97 (1.04) 4,325 3.30 (1.10)

2013 년 10,464 2.90 (1.08) 6,151 3.12 (1.09)

2010 년부터 2013 년까지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크기의 분포는 평균점을 중심으

로 약간 우측으로 치우쳐 있으나, 극단치가 존재하지 않고 정규분포에서 크게 벗어

나지 않아서 변환없이 종속변수로 사용하였다.

59

3. 2. 1. 4. 설명 변수

성별의 경우는 가구 단위 조사의 문제로 샘플에 여성이 남성에 비해 많이 포함

되어 있다. 이는 조사원들이 가구를 방문할 때 낮 시간에 집에 거주하고 있는 중년

여성들을 주로 만나게 되고, 다른 가구원들의 경우 조사원과 접촉한 가구원들에 의

해 조사되기 때문에 이런 편의(bias)가 발생할 수 있다.

표 3-8. 기술 통계

변수 2010 년 2011 년 2012 년 2013 년

성별 (여성=1) 55% 54% 54% 54%

나이

(표준 편차)

39.09

(19.94)

41.59

(20.59)

43.32

(20.79)

43.93

(20.88)

학력

(표준 편차)

4.03

(1.51)

3.88

(1.5)

3.9

(1.49)

3.94

(1.49)

가구 소득12

(표준 편차)

320.5

(169.99)

333.7

(170.39)

343.52

(179.27)

347.94

(180.43)

고용 여부 40% 44% 47% 48%

지역

군 지역 5% 17% 16% 13%

기타 시 지역 39% 47% 49% 50%

수도권 시 지역 56% 36% 34% 36%

미디어 활용 능력

하 16% 17% 16% 15%

중 25% 30% 32% 32%

상 59% 53% 52% 52%

또한 조사 응답자의 연령을 살펴봐도 그림 3-4 와 같이 10 대 후반에서 30 대 중

반에 이르는 이들이 과소 표집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를 기준으로 과소 표

12 가구 소득 값은 50 만 원 단위로, 50 만 원 이하(1)부터 800 만 원 이상(17)까지

코딩되어 있다. 연구에서 사용하는 자료는 3 년 연속 응답한 가구들을 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조사 당시 응답자들의 정보 부족으로 인하여, 2010 년 141 개, 2011 년 5 개 사례의

가구 소득 정보가 미비되어 있다. 누락된 가구 소득 값은 다음 연도 혹은 이전 연도의 소득

값을 대입하여 결측치로 발생하는 사례의 손실을 막았다.

60

집된 20-30 대에 가중치를 부여할 경우 샘플에 포함되지 않은 집단의 성향이 더욱

과소 반영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가중치를 이용하지 않고 원자료를 그대로 이용하

였다13.

그림 3-4. 미디어 패널 응답자의 연령 분포(2013 년)

학력 변수는 최종학력을 기준으로 미취학(=1), 초졸 이하(=2), 중졸 이하(=3), 고

졸 이하(=4), 대학 재학(=5), 대학 졸업(=6), 대학원 이상(=7)로 변환하여 코딩하였다.

고용 변수는 고용주와 무급 가족 종사자를 포함하여 현재 노동 시장에 있는지 여부

를 코딩하였다. 소득 변수는 청소년, 가정주부, 노인 등 비경제활동인구도 포함하여

분석하기 위하여, 개인 소득 변수를 사용하지 않고, 가구 소득 변수를 사용하였다.

가구 소득 변수는 50 만 원 단위로 응답∙코딩되어 있어 이를 범주형 변수로 변환시

13 연령 분포 히스토그램에서 알 수 있듯이, 연구에서 사용하는 표본에서 20 대의 경우

40 대와 비교할 때 30%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즉 20 대 응답자들의 경우 가구단위

조사에서 발생하는 응답 누락이 무작위가 아니라, 가족을 떠나 타지방에서 공부하는

대학생들과 직장인들이 체계적으로 누락된 것이다. 따라서 응답 조사된 이들에게 가중치를

부여할 경우 실제 조사되지 않은 이들의 성향이 과소 반영된다고 할 수 있다.

0.005

.01

.015

.02

.025

Density

0 20 40 60 80 100age2013

61

키지 않고 연속 변수로 분석에 사용하였다. 거주 지역 변수는 도시 규모와 수도권

여부에 의한 차이를 보기 위해서 수도권 시 지역, 기타 시 지역, 군 지역 3 가지로

구분하였다.

미디어 활용 능력은 기존의 정보 역량 연구에서 가장 공통적으로 논의되었던

도구적 미디어 활용 능력에 초점을 맞춘다(Hargittai 2002, Hargittai and Hinnant

2008, Livingstone and Helsper 2010, 김민하∙안미리 2003, 김은미 2011, 이원태 et al.

2011). 도구적 미디어 활용 능력은 미디어 리터러시의 다른 측면인 ‘이해’의 차

원은 포함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다중 미디어 이용 능력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

여 인터넷 리터러시 연구에서 측정하였던 온라인 기술뿐만 아니라 휴대폰, 동영상

등 스마트폰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10 가지 미디어 이용 능력 문항을 이용한다.

표 3-9. 미디어 활용 능력(도구적 이용 능력) 질문 문항

① 자신에게 수신된 휴대폰 문자메시지를 열람·확인할 수 있습니까?

② 휴대폰 문자메시지를 작성하여 타인에게 보낼 수 있습니까?

③ 곰플레이어/ 윈도우미디어 플레이어/ 아이튠스 등의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을

통해 영화 동영상 파일을 재생시킬 수 있습니까?

④ 즐겨찾기가 되어 있는 인터넷 사이트를 클릭하여 방문할 수 있습니까?

⑤ 특정한 웹사이트 주소가 주어지면 그 사이트를 인터넷 주소창에 직접 기입하

여 방문할 수 있습니까?

⑥ 인터넷 포털 사이트나 검색 사이트에서 검색어를 입력하여 정보검색을 할 수

있습니까?

⑦ 자신에게 수신된 이메일을 열람·확인할 수 있습니까?

⑧ 이메일을 작성하여 타인에게 보낼 수 있습니까?

⑨ 이메일에 파일을 첨부하여 보낼 수 있습니까?

⑩ 이메일에 첨부된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파일을 열어 보실 수 있습니까?

미디어 활용 능력은 각 개인들에게 타인의 도움을 받지 않고 문자메시지 송수

신, 동영상 재생, 인터넷 즐겨찾기, 주소창 이용, 검색, 이메일 송수신, 파일 첨부,

62

파일 확인 능력 총 10 가지 기능의 사용 가능 여부를 합산한 값으로 측정하였다.

2010-2013 년도 매해 미디어 활용 능력을 측정하는 10개 문항에 대한 크론바하 알

파 값은 0.9875~0.9890 로 매우 높다. 이렇게 합산된 값은 연령, 교육수준과 상관관

계가 높다. 또한 미디어 활용 능력 집단별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포를 고려하

여, 모두 할 수 있으면 ‘상’, 4개 이상 9개 이하 가능하면 ‘중’(4~9), 3개 이

하 응답한 이들은 ‘하’(0~3)로 범주를 구분하였다.

3. 2. 1. 4. 변수 간의 상관관계

분석에 포함되는 변수들의 상관관계에서 많은 유의미한 관계를 확인할 수 있

다.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각 변수들이 4 년 반복해서 등장하기 때문에 관측치가 많

아 약한 상관계수에도 상관계수 유의도 검정시에 t값을 높게 만든다.

미디어 활용 능력이 다른 변수와의 상관 관계가 높다. 다중 공선성의 문제를

낮추기 위하여 미디어 활용 능력 10개 문항으로 만든 연속 변수를 3개의 명목 변

수로 바꾸어 더미 변수로 모형에 포함시켰다.

미디어 활용 능력을 카테고리 변수로 바꿨음에도 불구하고 학력과 미디어 활용

능력(상)의 경우 상관관계가 r=0.563***이다. 또한 미디어 활용 능력(상)의 경우 연령

과도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난다(r=-0.495***). 연령이 증가할수록 미디어 활용 능력이

낮기 때문이다.

미디어 활용 능력 변수들은 앞으로 분석에서 기본 모형에서는 다른 설명변수들

과 함께 쓰이지 않고, 정보불평등의 누적적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 모형에서

함께 포함된다. 추가모형 분석 결과를 해석할 때 다른 변수들의 계수와 표준 오차

의 변화를 살펴보고, 분석 후 다중공선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63

표 3-10. 변수 간의 상관관계 (n=39,112)

(통계적 유의도 * p<.05, ** p<.01, *** p<.00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 성별 1

(2) 연령 0.064*** 1

(3) 교육수준 -0.128*** -0.173*** 1

(4) 가구소득(로그) -0.074*** -0.458*** 0.390*** 1

(5) 고용 여부 -0.300*** 0.196*** 0.340*** 0.144*** 1

(6) 지역(군 지역) 0.002 0.160*** -0.190*** -0.181*** 0.051*** 1

(7) (기타 시 지역) -0.014*** 0.028*** -0.019*** -0.061*** -0.002 -0.377*** 1

(8) (수도권

시 지역) 0.013** -0.142*** 0.153*** 0.190*** -0.034*** -0.320*** -0.757*** 1

(9) 미디어 활용

능력 (하) 0.094*** 0.421*** -0.478*** -0.431*** -0.169*** 0.178*** 0.004 -0.130*** 1

(10) 미디어 활용

능력 (중) 0.036*** 0.200*** -0.229*** -0.089*** 0.033*** 0.054*** 0.052*** -0.091*** -0.289*** 1

(11) 미디어 활용

능력 (상) -0.102*** -0.495*** 0.563*** 0.400*** 0.094*** -0.181*** -0.051*** 0.180*** -0.470*** -0.708*** 1

(12) 스마트폰 수용 -0.068*** -0.270*** 0.401*** 0.289*** 0.131*** -0.112*** -0.016*** 0.095*** -0.298*** -0.214*** 0.417*** 1

(13) 스마트폰

이용량(로그)-0.065*** -0.273*** 0.389*** 0.282*** 0.120*** -0.113*** -0.020*** 0.100*** -0.288*** -0.217*** 0.412*** 0.924*** 1

(14) 정보 이용

행위 -0.013*** -0.076*** 0.126*** 0.078*** 0.034*** -0.034*** -0.009* 0.033*** -0.081*** -0.078*** 0.131*** 0.260*** 0.307*** 1

(15) 스마트폰

레퍼토리 -0.042*** -0.247*** 0.345*** 0.242*** 0.099*** -0.093*** 0.003 0.062*** -0.251*** -0.197*** 0.367*** 0.809*** 0.881*** 0.431*** 1

(16)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0.052*** -0.162*** 0.376*** 0.260*** 0.172*** -0.087*** -0.002 0.064*** -0.308*** -0.123*** 0.341*** 0.160*** 0.174*** 0.036*** 0.145*

64

3. 2. 2. 분석 방법

이 연구에서는 분석의 목적과 종속 변수의 특성에 따라서 로짓, 제로 팽창 음

이항 모형, 확률효과 모형, 성장 모형 등 다양한 통계 모형으로 분석을 실시한다.

사회학, 언론학에서 지금까지 많이 사용되지 않았던 제로 팽창 음이항 분석과, 개인

성장 모형 분석에 대해서는 다른 분석 방법보다 상세하게 방법론적 특성을 기술하

여 설명한다.

3. 2. 2. 1. 로짓 분석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정보 이용 능력이 각 연도별 스마트폰의 수용 과정과 정

보 이용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여부를 살펴보기 위하여 로짓 분석을 실시한다. 로

짓 분석은 스마트폰 수용 여부, 정보 이용 행위와 같이 이항형의 값을 갖는 종속

변수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로짓 분석의 경우 계수의 크기는 자연 지수

(exponential)를 취한 승수비(odds ratio)로 변수의 영향력을 해석한다. 로짓 모형의

일반식을 제시하면 수식 3-1 과 같다.

log(��

����)= β

��+ β

���� + ��(수식 3-1)

��: t 시기에 스마트폰 수용/정보 이용 행위를 할 가능성

β��: t 시기의 상수항, β

��: 독립변수들의 계수 벡터, ��독립변수, ��: 오차항

3. 2. 2. 2. 제로 팽창 음이항 모형 분석

표 3-11. 하루 평균 스마트폰 이용 횟수

N 평균 표준편

차 최소값 최대값

2010 년 6,737 0.32 1.90 0 46.7

2011 년 12,000 1.07 3.09 0 48

2012 년 10,319 2.55 4.22 0 57

2013 년 10,464 3.75 5.02 0 67.7

두 번째 분석은 3 일 평균 스마트폰 이용 횟수를 설명하는 제로 팽창 음이항

65

모형(zero inflated negative binomial model)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가산 변수(count

variable)의 분석에는 포아송 모형(poisson model)을 많이 사용하지만 횟수의 차이가

크고 변수의 평균보다 분산이 큰 경우에는 포아송 모형보다 음이항 모형(negative

binomial model)이 적합하다.

그림 3-5. 2012 년 1 일 평균 스마트폰 이용 횟수 분포

표 3-12. 미디어 패널 응답자중 스마트폰 이용 횟수 0 인 이들의 구성

3 일 간 스마트폰 이

용이 0 인 이들의 수

(1) 스마트폰

미보유자 수

(2) 스마트폰 보유자 중

스마트폰 미사용자수 비율

2010 6,364 6,248 116 1.8%

2011 9,965 9,851 114 1.1%

2012 6,014 5,808 206 3.4%

2013 4,190 4,037 153 3.7%

하지만 그림 3-5 와 표 3-12 에서 볼 수 있듯이 스마트폰 이용 횟수와 같이 0 이

많이 발생하고, 또 이렇게 발생한 0 이 두 가지 의미가 있을 경우에는 수식 (3-2),

(3-3)과 같이 0인 집단을 설명하는 로짓 모형과 0 이 아닌 횟수의 분포를 설명하는

가산 모형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제로 팽창 음이항 모형이 더욱 적합하다(Chen 2013,

Lambert 1992, McPherson, Smith-Lovin and Brashears 2009).

020

40

60

Percent

0 20 40 60Avg. number of smartphone uses

66

��(� = 0) = �� + (1 − ��)��� (수식 3-2)

����� = ℎ�� = 1 − ��������

��, ℎ� ≥ 1(수식 3-3)

��(� = 0): t 시기에 스마트폰 이용이 0 일 가능성

����� = ℎ� ∶ t 시기에 스마트폰 이용이 1 보다 클 가능성

스마트폰 이용 횟수가 0 이 되는 경우는 (1) 스마트폰이 없기 때문에, (2) 스마

트폰이 있더라도 해당 기간에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스마트

폰 이용 횟수를 설명하는 모형에서는 먼저 0 을 설명하는 제로 팽창 모형(zero-

inflated model)을 설명하고, 가산 모형 계수를 통해서 스마트폰 사용자들의 사용 빈

도를 인구사회학적 변수들 및 미디어 활용 능력으로 설명한다. 제로 팽창 음이항

모형은 과잉인 0의 확률(p)과 (1-p)의 확률로 음이항 분포를 따르는 가산 자료를 로

짓 모형을 이용해 구분하고, 그 다음 최대우도추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을 이용하여 가산 모형을 추정한다(Heilbron 1994, Lambert 1992, 심정숙, 이동희,

정병철 2011).

3. 2. 2. 4. 확률효과 모형

미디어 패널 개인들의 스마트폰 레퍼토리 크기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

해서 확률효과 모형(random effect model)을 이용한 종단 분석을 실시한다. 미디어

패널 데이터는 매년 같은 문항으로 측정되어 있기 때문에, 한 개인이 응답한 매년

도 값들은 자기 상관(auto correlation)을 가진다. 확률효과 모형은 자기 상관을 통제

하고 독립 변수들이 개인 간의 차이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이

다.

Yti = β + β

Xti + εt (수식 3-4)

Yti: t 시기에 응답자 i 의 스마트폰 레퍼토리 크기

β: 상수항, β

: 독립변수들의 계수 벡터, ��: 독립변수, ε: 오차항

67

3. 2. 2. 5. 개인 성장 모형 분석

5 장에서 분석하는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에서는 각 개인의 2010 년부터 2013 년

에 이르기까지 미디어 다이어리를 작성한 3 일 간 이용한 미디어 레퍼토리 수와 그

변화를 모형화하고, 그 변화의 차이를 설명하는 변수들을 개인 수준 변수에서 검증

한다. 이 역시 미디어 패널 자료를 사용하는데, 이 분석은 매년도의 반복 측정치

(repeated measures)를 포함한 종단적 조사자료를 이용한다. 따라서 한 개인에게 4

차례의 측정치가 분석에 사용된다. 이에 적합한 분석방법은 교육학에서 학교별 개

인 학업수준 성장도 평가를 할 때 많이 사용하는 성장모형(individual growth model)

이다(Moskowitz and Hershberger 2002, Raudenbush and Bryk 1986, Singer and Willett

2003, 김창환 등 2009, 장혜숙, 강상진, 이규민 2008).

이 연구에서 설계한 2 수준 다차항 성장 모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준

모형은 개인들의 미디어 레퍼토리 변화 과정을 모형화한 것이다. 응답자 개개인이

2010 년부터 2013 년까지 4 회 반복 측정되기 때문에 개개인으로부터 4 차례의 미디

어 레퍼토리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4 번의 측정치는 한 개인의 특성에 귀속되는

위계적 자료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자면, 2012 년의 미디어 레퍼토리는 2011, 2010

년의 미디어 레퍼토리와 독립적이지 않고 자기 상관(autocorrelation)된다(Goldstein

2010).

[무조건부 모형]

모형 1. Yti = π0i + εti, εti ~ N(0, σ2) (수식 3-4)

[수준 1 모형: 개인 내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변화 모형]

모형 2. Yti = π0i + π1iTimei + εti, εti ~ N(0, σ2), Time= 0, 1, 2, 3 (수식 3-5)

위의 수식 (3-5)는 1 차 함수식으로 개인의 미디어 레퍼토리가 연도에 따라 변

화한다는 것을 가정하는 통계모형이다. 위의 식에서 예측변수인 시간(Time)은 조사

년도로 2010 년을 0, 2011 년을 1, 2012 년을 2, 2013 년을 3 으로 입력하여 선형 변화

를 가정하였다. 절편인 π0i은 개인 i 의 2010 년도 미디어 레퍼토리를 의미한다. 또

한 계수인 π1i는 개인들의 기간 효과를 측정하는 성장모수로, 조사가 계속되면서

(시간이 흐르면서) 바뀌는 응답자들의 평균 미디어 레퍼토리 변화율(기울기)을 추정

68

할 수 있다(Raudenbush 2001, Singer and Willett 2003, 장혜숙, 강상진, 이규민 2008).

[수준 2 모형: 개인 간 모형]

(모형 4, 5) π0i = β00 + β01X i + 0 , 0 ~N (0, τπ00) (수식 3-6)

(모형 6) π1i = β10 + β11X i, + , 1 ~N (0, τπ10) (수식 3-7)

개인들의 2010 년도 미디어 레퍼토리 초기값(π0i)과 그 변화율(π1i,)은 개인에

따라 다를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들이 밝혀낸 것과 같이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미디어 활용 능력, 스마트폰 수용 시기 등 변수(Xi)들이 미디어 레퍼토리 절

편과 그 변화율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한다. 따라서 수준 2 모형을 수식으로 표

현하면 수식 3-6, 3-7 과 같다.

위 식에서 알 수 있듯이, 개인들의 2010 년 미디어 레퍼토리 크기 π00 는 2010

년도의 설명변수(X i)가 전체 응답자들의 평균값으로 교정된 후 설명변수에 의한 관

찰값의 차이(β01), 그리고 무선효과 0과의 선형조합으로 표현됨을 보여준다. 수준

1 모형의 변화 가속도를 나타내는 π1i는 개인별 변화 기울기 평균 β10 과 개인별

설명변수들에 의한 성장률 차이 β11, 로 표현된다.

3. 2. 3. 종속 변수의 특성과 분석 방법 정리

표 3-11. 종속변수의 특성과 분석 방법 정리

연구

문제 종속변수

종속변수의

특성 분석 방법

분석

결과

1-1 스마트폰 수용 이항 변수 로짓 4 장

1-2 스마트폰 이용량 가산 변수

(이용 횟수)

제로 팽창

음이항 모형 4 장

1-3 정보 이용 행위 여부 이항 변수 로짓 4 장

2-1 스마트폰 레포토리 연속 변수 확률효과 모형,

개인 성장 모형 5 장

2-2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연속 변수 개인 성장 모형 5 장

69

이 논문에서는 정보불평등의 다양한 차원을 이해하기 위해 여러 분석을 시행한

다. 독자들의 편의를 위해서 앞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 별로 분석에서 사용하는 변

수의 특성과 분석 방법을 하나의 표로 정리하여 제시한다. 종속변수들의 특성을 이

해하기 위하여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차원을 축소하였다. 또한 잠재집단분석으로 2

개 집단으로 나누어 변수들의 분포에서 어떻게 두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지는지를

부록 2 에서 살펴보았다.

70

제 4 장 정보불평등 양상의 시간적 변화: 수용과

이용을 중심으로

제 4 장은 스마트폰 수용과 스마트폰 이용량, 그리고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추

구 행위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본다. 새로운 정보 미디어 기기 수용

과 이용은 정보불평등 논의에서 중요한 흐름을 차지한다. 이 연구는 4 년 간의 변화

를 가늠한다는 측면에서 흥미로운 결과들을 보여준다. 다음 절부터 이어지는 분석

은 2010-2013 년 4 개 연도를 분석함으로써, 스마트폰 수용 시점 및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정보불평등 양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았다.

4. 1. 스마트폰 수용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적인 미디어 기기는 개인이 이를 구매(수용)하여야 물리

적으로 접근이 가능하다. 이 절에서는 정보불평등 논의에서 주된 관심이었던 정보

기기에 대한 물리적 접근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 사회적 요인이 무엇인지를 확인하

고 시기에 따른 변화를 추적한다.

<표 4-1>은 2010-2013 년 각 연도에 새로 스마트폰을 수용한 사람들의 특성 요

인들을 로짓 분석한 결과이다. 앞서 자료 변환 과정에서 기술했다시피, 수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2010 년을 제외하고는 전년도에도 응답한 이들을 대상으로 모형에

포함하였다(종속변수: 스마트폰 수용=당해 연도 스마트폰 이용 & 전년도 스마트폰

비이용). 각 연도에서 모형 (A)는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을 포함한 기본 모형이고, 모

형 (B)는 이전 미디어 활용 능력이 스마트폰 수용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

하는 모형이다. 모형 (B)에서 이전단계의 미디어 활용 능력을 변수로 포함함으로써

영향력이 유의미하게 변화하는 요인은 2012 년에 수도권 시 지역 거주 요인, 그리고

2013 년 연령과 학력 요인이다. 연령과 수도권 거주 여부 변수의 경우 미디어 활용

능력 변수 추가 후 방향성은 변하지 않고 통계적 유의미함이 약화되었다. 2013 년

학력의 경우는 반대로 미디어 활용 능력 변수를 포함하기 전엔 유의미하지 않다가,

71

모형(B)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관찰할 수 있다. 나머지는 변수의 방향이나 유의미함

이 크게 변하지 않아서 각 연도의 모형 (B)를 중심으로 변수의 효과를 해석한다.

2010 년과 2012 년에는 스마트폰 수용에 있어서 다른 모형들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성별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난다. 2010(B) 모형에서 여성이 스마트폰 개혁

자에 포함될 가능성은 남성보다 29.2%(=1-exp-0.345) 가량 낮다(가설 1-1-3 채택). 하

지만 2011 년에는 성별의 유의미한 영향이 발견되지 않고, 2012 년에는 반대로 여성

이 남성에 비하여 스마트폰을 수용하는 경우가 18.2%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인

터넷과 이동통신이 확산되어 나갈 때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혁신이 등장한 초창기에

는 남성이 여성에 비하여 새로운 정보 기기를 빨리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으나

(Castells et. al. 2007; Kayany and Yelsma 2000; Venkatesh and Davis 2000), 시간이

지나면서 성별의 효과는 사라지고, 초기에 스마트폰을 수용하지 않았던 여성들이

다수가 스마트폰을 수용하는 시기에 수용률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

다.

그림 4-1. 스마트폰 수용 여부에 대한 연령의 영향력 크기 변화 (reverse scale)

또한 기존의 선행 연구에서 밝힌 것과 이어지는 결과로 (Czaja & Sharit, 1998;

Czaja, Sharit, Ownby, Roth, & Nair, 2001; Lu, Yu, Liu, & Yao, 2003; Hargittai, 2010)

연령이 어릴수록 새로운 기기를 빨리 수용할 가능성이 높다. 연령이 한 살이 증가

할수록 스마트폰을 새로 수용할 가능성이 2010 년에는 4.6%(1-exp-0.047) 낮아지고,

2011 년에는 3.7%(1-exp-0.038), 2012 년에는 2.4%(1-exp-0.024) 낮아진다. 2013 년의 경우

연령의 효과가 미디어 활용 능력 변수가 추가될 때 그 효과의 크기가 작아지며 통

-4.6%***

-3.7%***

-2.4%***

-0.2%

-5.0%

-4.0%

-3.0%

-2.0%

-1.0%

0.0%

2010 (B) 2011 (B) 2012 (B) 2013 (B)

72

표 4-1. 연도별 스마트폰 수용 여부에 대한 로짓 분석 결과14

2010 (A) 2010 (B) 2011 (A) 2011 (B) 2012 (A) 2012 (B) 2013 (A) 2013 (B)

성별(여성=1) -0.369*** -0.345** 0.119 0.143 0.175** 0.167** 0.077 0.074

(0.111) (0.111) (0.104) (0.105) (0.053) (0.054) (0.058) (0.059)

연령 -0.059*** -0.047*** -0.051*** -0.038*** -0.036*** -0.024*** -0.013*** -0.002

(0.006) (0.006) (0.004) (0.005) (0.002) (0.002) (0.002) (0.002)

학력 0.723*** 0.570*** 0.589*** 0.441*** 0.328*** 0.167*** -0.011 -0.137***

(0.049) (0.053) (0.041) (0.045) (0.020) (0.023) (0.022) (0.025)

가구 소득(로그) 0.107 0.060 -0.048 -0.136 0.410*** 0.298*** 0.325*** 0.185**

(0.106) (0.106) (0.105) (0.108) (0.057) (0.058) (0.057) (0.059)

고용 여부 0.617*** 0.585*** 0.444*** 0.395** 0.252*** 0.164** 0.061 -0.069

(0.135) (0.136) (0.123) (0.124) (0.062) (0.063) (0.066) (0.067)

지역(ref.=군 지역)

기타 시 지역 -0.457 -0.481 0.159 0.173 0.127 0.078 0.385*** 0.270**

(0.257) (0.258) (0.268) (0.271) (0.083) (0.085) (0.098) (0.099)

수도권 시 지역 -0.106 -0.145 0.198 0.172 0.209* 0.109 0.472*** 0.322**

(0.248) (0.249) (0.267) (0.271) (0.087) (0.088) (0.103) (0.104)

미디어 활용 능력(ref.=하)

중 0.499 2.023* 2.427*** 2.559***

(0.774) (1.018) (0.298) (0.214)

상 2.132** 3.185** 3.153*** 2.859***

(0.721) (1.013) (0.301) (0.227)

상수항 -4.591*** -5.870*** -2.742*** -4.920*** -3.728*** -5.569*** -3.180*** -4.731***

(0.677) (0.958) (0.663) (1.186) (0.338) (0.439) (0.345) (0.397)

Log likelihood -1300.31 -1274.63 -1335.74 -1302.22 -4748.38 -4603.55 -4249.63 -4109.64

Pseudo R2 0.1679 0.1844 0.1545 0.1757 0.1351 0.1615 0.0294 0.0613

관측치 6394 6394 3755 3755 9602 9602 9174 9174

(통계적 유의도 * p<.05, ** p<.01, *** p<.001)

14 다중 공선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VIF 검증을 실시한 결과 독립 변수 중에서 가장

VIF가 높은 변수는 2010(B)모형에서 수도권 시 지역 더미 변수이다(VIF=5.28). 지역을

3개로 구분한 범주형 변수를 더미 변수로 변환한 경우 하나의 카테고리와 다른

카테고리(ex. 기타 시 지역)의 상관관계가 크기 때문에 VIF가 크게 나타났다. 하나의

카테고리 변수에서 생성된 더미 변수 간의 관계를 제외하기 위해 Collinearity test에서

카테고리 하나만 넣으면 VIF는 모든 모형에서 2 이하로 내려가서 공선성에 큰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분석에서도 독립변수의 구성은 동일하기 때문에 다중 공선성의

문제는 없다.

73

계적인 유의미성도 사라진다. 그림 4-1 과 같이 연도가 지남에 따라서 스마트폰 수

용에 대한 나이의 영향력이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20, 30 대 등의 젊은

층에서 2012 년 이전에 많은 이들이 스마트폰을 수용하여 2013 년에는 오히려 40 대

이상보다 스마트폰의 신규 수용률이 낮아지기 때문이다(그림 4-10 참조). (가설 1-1-

4 채택)

그림 4-2. 스마트폰 수용 여부에 대한 학력의 영향력 승산비 변화 (odds ratio)

2013 년을 제외하고 스마트폰 수용은 학력과 정의 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연령의 영향력 크기 변화와 마찬가지로 학력의 영향력도 해를 거듭할수록 감소하고,

심지어 스마트폰 수용자 비율이 절반을 넘긴 2013 년에는 학력이 부의 영향력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른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교육 수준이 한 단계 증

가하면 스마트폰을 수용할 가능성이 2010 년에는 약 1.8 배, 2011 년에는 1.6 배,

2012 년에는 1.2 배 높아진다. 2013 년에는 반대로 학력이 높아지면 스마트폰을 수

용할 가능성이 1.3 배 낮아진다. 즉 2012 년까지 고학력자들은 스마트폰을 이미 수

용했기 때문에 2013 년에는 오히려 학력이 낮은 사람들일 수록 스마트폰을 더욱

많이 수용하기 시작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가설 1-1-2 채택).

한편, 2010-2011 년 스마트폰 수용에 있어서 가구 소득은 유의미한 영향을 갖지

않는다. 스마트폰의 초기 수용이 합리적인 소비의 결과라기보다는 위성 DMB 초기

수용자들의 채택 요인과 같이 자기 과시성 등 사회적 영향에 의한 효과라는 해석도

가능하다(김대호 등 2006). 반면에 2012-2013 년의 경우 가구 소득은 스마트폰 수용

에 있어서 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2012, 2013 년과 같이 비교적 스마트폰이 확산되

1.768***

1.554***

1.182***

0.872***

0.600

1.100

1.600

2.100

2010 (B) 2011 (B) 2012 (B) 2013 (B)

74

었을 때 오히려 소득의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은 스마트폰이 어느 정도 확산된 이후

에야 이것을 경제적 재화로 인식하는 이들이 많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요컨대 스

마트폰 확산 단계에 따라서 스마트폰 구입을 결정하는 경제적 논리가 달라짐을 보

여준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용 여부가 스마트폰 수용에 미치는 영향도 학력의 영향

력과 비슷한 모습을 보여준다. 2010-2012 년 모두 정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면서 그 영향력은 점점 감소한다. 직장이 없는 이들과 비교할 때 2010 년에는

1.8 배, 2011 년에는 1.48 배, 2012 년에는 1.18 배로 직장이 있는 사람들의 스마트폰

수용 가능성이 차이가 난다. 그러나 2013 년에 가서는 고용 여부가 스마트폰 수용에

미치는 영향은 반대로 뒤집힌다. 스마트폰 확산 초기에 고용의 효과를 살펴볼 수

있다(가설 1-1-5 채택).

그림 4-3. 스마트폰 수용 여부에 대한 고용의 영향력 승산비 변화(odds ratio)

이는 스마트폰의 초기 확산 과정 가운데서 스마트 워크 등에 대한 관심으로 기

업에서 직원들에게 일괄적으로 스마트폰을 지급하였던 사례 등을 통해서(김현예

2010), 스마트폰이 초기 확산 과정에서 업무와 관련하여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움

직임과 연관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는 또한 스마트폰을 통해서 일과 삶의 연

계가 더욱 강화되는 추세에 있다는 설명을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확산 과정에서 다른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스마트폰

수용과 거주 지역 사이에 초기에는 유의미한 관계를 발견할 수 없지만 시간이 지날

1.795 ***

1.484 ***

1.178**

0.933

0.800

1.000

1.200

1.400

1.600

1.800

2.000

2010 (B) 2011 (B) 2012 (B) 2013 (B)

75

수록 도시화된 지역에서 스마트폰 수용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15.

2010 년도에는 스마트폰 수용과 거주 지역 사이에 큰 관계를 찾아볼 수 없다. 2010

년에는 지역별 스마트폰 수용의 차이가 미미하고, 수도권(경기, 인천) 군 지역이 기

타 시 지역보다도 스마트폰 수용 비율이 높다. 2011 년부터는 수도권 시 지역, 기타

시 지역, 군 지역의 격차가 명확하게 드러난다. 그림 4-4 에서 볼 수 있듯이, 수도권

시 지역과 군 지역의 스마트폰 수용비율은 해를 거듭할수록 그 격차가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스마트폰의 수용이 지역적 차이를 두고 진행되지만, 다른 인구사회학적

변수(연령, 학력, 고용)와의 연관이 존재하고 다른 인구사회학적 특성들이 더 뚜렷

한 영향을 미쳐 분석 모형(A)에서 2010-2012 년에 통계적 유의미함을 찾기 어려운

것으로 여겨진다(가설 1-1-6 기각).

미디어 활용 능력 변수를 추가한 모형 (B)는 모형 (A)보다 모든 연도에서 모델

의 설명력이 유의미하게 크다. 흥미롭게도 미디어 활용 능력 수준에 따라서 확산

단계마다 스마트폰 수용에 주는 영향이 크게 변화한다.

이전단계의 미디어 활용 능력이 ‘상’인 사람들은 미디어 활용 능력이 ‘하’

인 사람들과 비교할 때 2010 년 8.4 배 (=exp2.132), 2011 년 24.2 배 (=exp3.185), 2012 년

23.4 배(=exp3.153), 2013 년 17.4 배(=exp2.859) 스마트폰을 수용할 승산비가 높다. 2010 년

15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시화 수준과 스마트폰 수용 단계별 진행을

보면 그림 4–4 와 같다.

그림 4-4. 거주 지역별 스마트폰 이용 비율 변화 (단위 %)

7.83

23.09

53.65

72.48

4.91

15.29

39.6

56.26

6.069.94

24.5631.06

0

20

40

60

80

2010 2011 2012 2013

수도권 시 지역

기타 시 지역

군 지역

76

과 2011 년 사이 변수의 영향력이 크게 증가하였다가, 이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

다.

반면 미디어 활용 능력이 ‘중’인 사람들은 수용 단계가 지남에 따라서 점점

수용 가능성이 높아진다. 2010 년에는 미디어 활용 능력이 ‘하’인 사람들과 유의

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다가, 2011 년 이후부터는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

고, 매년 그 차이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미디어 활용 능력이 ‘중’인 사람

들은 2011 년 이후부터 점점 스마트폰 수용 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4-5. 스마트폰 수용 여부에 대한 미디어 활용 능력의 영향력 승산비 변화 (odds

ratio)

다른 변수들과의 승산비의 크기를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스마트폰 수용에서

미디어 활용 능력의 영향력이 크다. 이는 스마트폰이라는 새로운 정보 미디어 기기

를 수용하는 데 있어서 이전 단계에서 확산된 PC, 인터넷, 모바일 미디어 사용 능

력이 크고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새로운 정보 기기 수용에

서 이전 단계의 정보불평등이 누적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이야기할 수 있다(가설

1-1-7 채택). 이전 단계의 미디어 활용 능력이 낮은 사람들은 새로운 정보 기기인

스마트폰이 도입되어도 상당 기간 이를 수용하지 않는 정보 미디어 변화의 소외 지

대에 놓여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8.432

24.167

23.406

17.444

1.647

7.561

11.325 12.923

0.00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2010 (B) 2011 (B) 2012 (B) 2013 (B)

77

4. 2. 스마트폰 이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위에서는 로짓 모형을 통해서 각 연도별로 인구사회학적 요인들과 이전 단계

미디어 활용 능력이 개인들의 스마트폰 수용에 미치는 영향과 그 변화를 살펴보았

다. 이 절에서는 1 일 평균 스마트폰 이용 횟수에 대한 제로 팽창 음이항 모형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매년 스마트폰 이용량에 미치는 요인들을 설명한다. 정보 기기 이

용량은 새로운 기기를 얼마나 잘 이용하는가에 대한 하나의 차원으로 정보불평등

양상과 그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인이다(van Dijk 2005). 이 절에서는 스마

트폰 이용량과 이전의 미디어 활용 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보며 정보불평등 논의를

보다 입체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 분석에서는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은 이들, 즉 모형에서 예측하는 스마트

폰 이용 횟수가 ‘0’에 해당하는 사람은 1) 스마트폰이 없고, 해당 기간 스마트폰

을 사용하지 않은 사람, 2)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지만, 해당 기간 스마트폰을 사

용하지 않은 사람, 두 가지 경우로 나뉜다. 반면에, 해당 기간 동안 스마트폰이 없

을지라도 가족이나 친구들의 스마트폰을 사용한 경우 가산 모형에 포함한다. <표

4-2> 하단에서 볼 수 있듯이, 제로 팽창 계수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유의미한 변수

들의 영향력의 방향은 위에서 살펴본 2012 년도 로짓 모형과 기본적으로 반대이다.

그렇지만 그 영향력의 크기는 로짓 모형 분석 결과와 다르다. 이는 스마트폰 미보

유자뿐만 아니라, 보유하고 있지만 3 일 동안 사용하지 않은 이들도 존재하기 때문

이다(표 3-12 참조).

이 분석에서 주로 관심을 갖는 것은 어떤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더 많이 사용하

는지에 대한 가산 모형 부분이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지 않는 제로 팽창(zero

inflated)을 설명하는 하단의 부분은 대개 앞선 로짓 분석과 결과가 비슷하여 해석

을 따로 하지는 않는다.

인구사회학적 요인만 포함시킨 모형 (A)의 경우, 이용량에 대한 요인들의 영향

력은 매년 달라진다. 2010 년에는 19%(=1-exp0.215), 2011 년에는 6.4% 정도 남성이 여

성보다 스마트폰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초기에는 스마트폰을 이용

하는 사람이 적기 때문에 빨리 수용한 남성들의 사용이 두드러진다. 즉, 스마트폰

78

표 4-2. 스마트폰 이용량(빈도)에 대한 제로 팽창 음이항 모형 결과

2010 (A) 2010 (B) 2011 (A) 2011 (B) 2012 (A) 2012 (B) 2013 (A) 2013 (B)

가산 모형 계수(음이항 회귀 계수)

성별(여성=1) -0.215* -0.172 -0.066* -0.059 0.048* 0.047* 0.015 0.023

(0.106) (0.105) (0.031) (0.031) (0.020) (0.020) (0.019) (0.018)

연령 -0.013* -0.003 -0.011*** -0.010*** -0.008*** -0.006*** -0.011*** -0.009***

(0.006) (0.006) (0.002) (0.002) (0.001) (0.001) (0.001) (0.001)

학력 -0.048 -0.073 0.061*** 0.047** 0.083*** 0.062*** 0.103*** 0.073***

(0.050) (0.050) (0.015) (0.015) (0.009) (0.009) (0.008) (0.008)

가구 소득(로그) 0.088 0.095 -0.064* -0.065* -0.024 -0.035 -0.073*** -0.085***

(0.095) (0.093) (0.031) (0.031) (0.021) (0.021) (0.020) (0.019)

고용 여부 -0.119 -0.192 -0.010 -0.017 0.051* 0.041 0.054* 0.045*

(0.118) (0.117) (0.037) (0.037) (0.024) (0.024) (0.022) (0.022)

지역(ref.군 지역) 0.000 0.000 0.000 0.000

기타 시 지역 -0.287 -0.208 0.030 0.023 -0.089** -0.093** 0.089* 0.087*

(0.255) (0.251) (0.054) (0.054) (0.034) (0.033) (0.036) (0.035)

수도권 시 지역 -0.385 -0.379 0.123* 0.104 0.163*** 0.156*** 0.344*** 0.337***

(0.247) (0.242) (0.054) (0.054) (0.034) (0.034) (0.036) (0.036)

미디어 활용 능력(ref.하)

중 1.735** 0.812* 0.383* 0.311***

(0.649) (0.384) (0.150) (0.086)

상 2.360*** 1.000** 0.584*** 0.545***

(0.637) (0.380) (0.149) (0.086)

상수항 3.467*** 0.937 3.314*** 2.367*** 2.838*** 2.393*** 3.031*** 2.660***

(0.641) (0.922) (0.192) (0.424) (0.132) (0.190) (0.121) (0.144)

제로 팽창 모형 계수(로짓)

성별(여성=1) 0.349** 0.330** 0.057 0.038 -0.157** -0.148** -0.230*** -0.242***

(0.119) (0.119) (0.058) (0.058) (0.054) (0.055) (0.059) (0.062)

연령 0.055*** 0.045*** 0.059*** 0.046*** 0.058*** 0.045*** 0.051*** 0.036***

(0.006) (0.006) (0.003) (0.003) (0.002) (0.002) (0.002) (0.002)

학력 -0.693*** -0.575*** -0.732*** -0.549*** -0.764*** -0.559*** -0.875*** -0.544***

(0.052) (0.057) (0.023) (0.026) (0.021) (0.024) (0.026) (0.028)

가구 소득(로그) 0.021 0.059 -0.111 -0.050 -0.428*** -0.315*** -0.366*** -0.251***

(0.111) (0.111) (0.061) (0.061) (0.057) (0.059) (0.056) (0.059)

고용 여부 -0.648*** -0.623*** -0.578*** -0.554*** -0.564*** -0.474*** -0.619*** -0.506***

(0.144) (0.145) (0.072) (0.072) (0.065) (0.066) (0.067) (0.070)

지역(ref.군 지역) 0.000 0.000 0.000 0.000

기타 시 지역 0.061 0.082 0.026 0.074 -0.038 0.007 -0.452*** -0.398***

(0.301) (0.301) (0.096) (0.098) (0.081) (0.084) (0.087) (0.092)

수도권 시 지역 -0.194 -0.164 -0.297** -0.197* -0.315*** -0.213* -0.940*** -0.840***

(0.293) (0.293) (0.096) (0.098) (0.084) (0.087) (0.092) (0.098)

미디어 활용 능력(ref. 하)

중 0.180 -1.947*** -1.900*** -1.564***

(0.608) (0.512) (0.236) (0.135)

상 -0.917 -3.186*** -2.871*** -2.835***

(0.564) (0.507) (0.236) (0.144)

상수항 4.300*** 4.553*** 3.753*** 5.835*** 4.159*** 5.456*** 3.718*** 4.363***

(0.720) (0.878) (0.363) (0.612) (0.341) (0.407) (0.337) (0.366)

N 6394 6394 11954 11954 10302 10302 10462 10462

ll(model) -2567.6 -2547.8 -11915.0 -11771.9 -20633.6 -20388.4 -27967.3 -27601.9

df 17 21 17 21 17 21 17 21

AIC 5169.3 5137.6 23864.1 23585.9 41301.2 40818.8 55968.7 55245.8

BIC 5284.2 5279.6 23989.7 23741.0 41424.2 40970.8 56092.0 55398.2

(통계적 유의도 * p<.05, ** p<.01, *** p<.001)

79

확산 단계 초기에는 수용뿐만 아니라 이용에서도 역시 남성의 우위가 발견된다. 그

러나 2012 년에는 성별의 유의미한 영향이 바뀐다.

여성이 남성보다 5% 정도 많이 이용한다. 2014 년에도 여성이 남성보다 스마트

폰을 많은 이용하지만 그 차이가 유의미하지는 않다. 즉 다른 변수들의 효과를 통

제한 상태에서 성별과 스마트폰 이용량의 관계는 스마트폰 확산 단계에 따라 달라

진다. 이를 선행 연구의 연장선에서 보면 스마트폰 확산 초기에는 스마트폰을 정보

도구로써 여기지만(가설 1-2-3-1 일부 검증), 사용이 보다 일반화되면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의 성격이 더 강해진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가설 1-2-3-2 일부 검증).

연령은 스마트폰 이용량에 있어서도 가장 일관적이고 큰 영향력을 보여준다.

그 효과를 살펴보면, 2010-2013 년의 기간 동안 나이 한 살이 많을수록 하루 평균

스마트폰 이용 횟수가 약 1% 정도 감소한다. 나이가 어릴수록 스마트폰 수용을 빨

리하고, 많이 이용한다(가설 1-2-4 채택).

학력의 경우 2010 년 스마트폰 확산 초기에는 유의미한 영향력이 관찰되지 않

는다. 그렇지만 2011 년부터는 학력이 높은 사람들이 스마트폰 이용량이 많아지며

학력의 효과가 뚜렷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흥미로운 것은 스마트폰 수용의 경우

연도가 지나면서 학력의 영향력이 약화되었지만, 스마트폰 이용량에 있어서는 반대

로 학력의 영향력이 점점 뚜렷해진다(가설 1-2-2 채택).

고용 여부 역시 확산 초기보다는 다수가 참여하는 2012 년 이후부터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다. 2012, 2013 년에는 고용 상태에 있는 이들이 고용되지 않은 이들에

비하여 약 5% 정도 스마트폰을 더 많이 이용한다(가설 1-2-5 채택).

흥미롭게도 소득의 영향력은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거나(2010 년, 2012 년), 가설

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드러난다(2011 년, 2013 년). 이에 대해 세 가지 해석이 가능

하다. 첫째, 소득에 따라서 이용 가능한 미디어 기기의 범위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

다. 소득이 많은 사람들은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태블릿 PC등 새로운 기능의 제품

들을 구입하기 쉽고, 이는 스마트폰 이용량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둘째, 소득이 많

은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시간 비용이 높은 사람들이기 때문에 소득과 스마트폰 이

용의 관계가 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셋째, 가구 내 와이파이 설치와 무제한 요금

제 이용 확산 등 일정 정도의 소득 범위를 넘어서면 스마트폰 이용량이 경제적인

제약과 선형적 관계를 갖지 않을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이 세 가지에 대하여는

80

소결에서 더 구체적으로 논의한다(가설 1-2-1 기각).

거주 지역 변인 역시 연도에 따라 그 영향력과 방향이 달리 나타난다. 2010 년

에는 그 유의미한 효과를 찾아볼 수 없는데, 2011 년부터는 수도권 도시 지역 거주

자가 군 지역 거주자에 비하여 13-41% 정도 더 많이 이용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스마트폰 이용량에 있어서 지역의 효과 역시 스마트폰 확산이 증가할수록 더 뚜렷

하게 나타난다. 한편, 군 지역과 수도권 외 기타 시 지역과의 차이는 유의미한 관계

가 보이지 않거나 2012, 2013 년에는 그 차이의 방향이 뒤바뀌기기도 한다. 즉 이

두 지역 간의 차이는 유의미하거나 지속적이라고 볼 수가 없다(가설 1-2-6 일부 채

택 – 수도권 시 지역과 군 지역의 격차 존재).

그림 4-6. 미디어 활용 능력 차이가 스마트폰 이용량에 미치는 영향

– 연도에 따른 승산비 변화

미디어 활용 능력을 포함한 모형 (B)에서는 미디어 활용 능력 변수가 스마트폰

이용량에 유의미하고 지속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가설 1-2-7 채택).

2010 년의 경우 모형 (A)에서 영향이 있었던 성별, 연령의 변수들의 효과도 사라진

다. 하지만 흥미로운 사실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서 스마트폰 이용량에 있어서 미디

어 활용 능력이 미치는 영향의 크기는 그림 4–6 과 같이 점점 감소한다는 것이다.

스마트폰 이용량에 있어서 미디어 활용 능력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2011

년 이후에는 미디어 활용 능력이 높은 사람과 중간인 사람의 차이가 작아진다. 게

다가 이것은 두 집단 간 스마트폰 수용의 차이보다 훨씬 작다(그림 4-5 참조). 즉

스마트폰을 수용한 후 얼마나 많이 이용하는가는 미디어 활용 능력이 중간 정도인

5.67

2.25 1.47 1.36

10.59

2.72 1.79 1.72

0.00

5.00

10.00

15.00

2010 (B) 2011 (B) 2012 (B) 2013 (B)

81

지 높은 수준인지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이런 유의미한 영향력이 계속

나타난다는 것은 여전히 미디어 활용 능력이 낮은 사람들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스

마트폰을 적게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볼 때, 스마트폰의 이용이 미

디어 활용 능력이 중간 정도 되는 사람에게는 어렵지 않지만, 미디어 활용 능력이

낮은 사람에게는 어려울 수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4. 3. 정보 이용 행위와 정보불평등

누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정보 검색 행위를 하는가? 앞선 분석에서는 스마트

폰 수용과 이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그렇지만 스마트폰을 구

매한다는 것이 초창기에는 자신의 지위를 과시하거나, 유행에 따르는 하나의 동참

에 불과할 수 있다는 것이 앞선 분석 결과에 대한 가능한 해석이었다. 또한 스마트

폰을 많이 이용한다 할지라도, 음성 통화, 채팅, 동영상 시청, 게임 등 정보 습득과

관련 없는 행위만 한다면 스마트폰 이용량의 차이를 정보불평등과 연결시키기 쉽지

않다. 따라서 이번 절에서는 미디어 다이어리 조사에서 스마트폰 기기 이용 중 정

보 이용 행위와 관련된 신문, 책, 잡지, 정보콘텐츠 등을 이용했는지 여부만을 살펴,

누가 정보 이용 행위를 하는가라는 연구문제 1-3 에 답한다. 매년 정보 이용 행위

여부를 로짓 분석으로 분석하며 스마트폰 수용 여부 분석과 마찬가지로 인구사회학

적 변수만 있는 모형 (A)와 미디어 활용 능력 변수를 추가한 모형 (B)를 검증해보았

다.

그림 4-7. 정보 이용 행위에 대한 연령의 영향력 크기 변화 (reverse scale)

-0.118***

-0.066***

-0.023***

-0.014***

-0.150

-0.100

-0.050

0.000

2010 (B) 2011 (B) 2012 (B) 2013 (B)

82

표 4-3. 정보 이용 행위 여부 로짓 분석

2010 (A) 2010 (B) 2011 (A) 2011 (B) 2012 (A) 2012 (B) 2013 (A) 2013 (B)

성별(여성=1) -0.620 -0.602 -0.274 -0.245 0.087 0.095 0.165* 0.183*

(0.434) (0.434) (0.177) (0.177) (0.109) (0.110) (0.080) (0.080)

연령 -0.131*** -0.126*** -0.076*** -0.068*** -0.039*** -0.023*** -0.025*** -0.014***

(0.034) (0.035) (0.010) (0.011) (0.004) (0.005) (0.003) (0.003)

학력 1.094*** 0.962*** 0.795*** 0.641*** 0.512*** 0.315*** 0.391*** 0.254***

(0.236) (0.251) (0.083) (0.091) (0.044) (0.049) (0.031) (0.035)

가구소득(로그) -0.420 -0.438 -0.051 -0.080 0.110 -0.011 0.138 0.051

(0.365) (0.363) (0.180) (0.180) (0.120) (0.121) (0.086) (0.087)

고용 1.048 1.066 0.132 0.163 0.107 0.043 0.247** 0.197*

(0.549) (0.550) (0.221) (0.224) (0.131) (0.132) (0.094) (0.094)

지역(ref. 군 지역)

기타 시 지역 -0.468 -0.525 -0.567* -0.598* -0.050 -0.095 0.443* 0.378*

(0.777) (0.777) (0.280) (0.280) (0.172) (0.172) (0.182) (0.182)

수도권 시 지역 -1.046 -1.112 -0.047 -0.108 -0.306 -0.408* 0.927*** 0.822***

(0.781) (0.782) (0.272) (0.272) (0.182) (0.182) (0.182) (0.182)

미디어 활용 능력(ref.중)16

하 - - - -1.602***

(0.427)

상 - 1.240** 1.406*** 2.336***

(0.437) (0.210) (0.434)

상수항 -4.094 -3.309 -4.972*** -4.131*** -4.676*** -3.215*** -4.899*** -6.146***

(2.413) (2.437) (1.100) (1.113) (0.722) (0.739) (0.529) (0.647)

ll(null) -163.56 -150.51 -783.87 -756.41 -1672.28 -1602.31 -2812.84 -2812.84

ll(model) -134.13 -132.20 -679.13 -669.98 -1512.49 -1469.66 -2557.20 -2521.55

df 8 8 8 9 8 9 8 10

AIC 284.25 280.39 1374.27 1357.97 3040.97 2957.32 5130.40 5063.09

BIC 338.36 330.33 1433.38 1422.77 3098.89 3020.91 5188.44 5135.65

Obs 6394 3799 11954 9904 10302 8658 10462 10462

(): 표준오차, *p<0.05, **p<0.01, ***p<0.001

16 이전 분석들과 달리 준거 변수(reference)가 미디어 활용 능력 ‘하’에서 정보 미디어

활용 능력 ‘중’으로 바뀐 까닭은 2012 년까지 미디어 활용 능력이 ‘하’인 이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이용행위를 하지 않아 모형 분석 시 배제되기 때문이다. (2010~2012 년의 경우

정보 미디어 활용 능력 변수를 추가하면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분석 사례 수

(observation)가 줄어든다.)

83

모형 (A)와 모형 (B)의 분석 결과에서 각각 변수의 계수 크기의 차이와 통계적

유의미도가 크게 다르지 않아 모형 (B)를 중심으로 유의미한 변수들의 효과를 설명

하겠다.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의 영향을 살펴보면 정보 이용 행위에 있어서는 연령

과 학력 요인은 4 년간 지속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연령의 효과는 앞선 스마트폰 수용 과정에 미쳤던 효과와 마찬가지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음의 효과, 즉 정보 이용 행위를 할 가능성이 낮아진다. 그렇지만

연도가 지남에 따라 연령의 유의미한 영향력은 그림 4–7 과 같이 점점

낮아진다(가설 1-3-4 채택).

그림 4-8. 정보 이용 행위에 대한 학력의 영향력(승산비) 크기 변화

그림 4-8 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학력의 효과도 연령과 마찬가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영향력이 약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13 년에는 학력의

효과가 스마트폰 수용에 영향력을 나타내지 않는 것과 비교할 때, 정보 이용

행위에 있어서 학력의 효과는 더욱 뚜렷하고 강하다고 할 수 있다(가설 1-3-2

채택).

성별, 고용, 지역의 효과는 지속적인 유의미함을 발견하긴 어렵다. 인구의 절반

이 넘게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2013 년이 되어서야 성별과 고용의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난다. 여성이 남성보다, 고용된 이들이 고용이 안된 이들에 비하여 정보 이용

행위를 할 가능성이 높다(가설 1-3-3, 가설 1-3-5 부분 검증). 지역의 효과는 2013

년이 되기 전까지 다른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는 가설과 반대의 방향을 보이다가,

2.617 ***

1.898 ***

1.370 *** 1.289 ***

1.000

1.500

2.000

2.500

3.000

2010 (B) 2011 (B) 2012 (B) 2013 (B)

84

2013 년이 되어서야 가설과 일치하는 효과를 살펴볼 수 있다(1-3-6 부분 검증). 정

보 이용 행위를 하는 경우가 많지 않기 때문에 다수가 참여하는 시기가 되어야 영

향력이 약한 변수들의 효과와 그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다.

유심히 살펴봐야할 것은 미디어 활용 능력 변수의 영향력이다. 2010 년의 경우

미디어 활용 능력이 낮거나, 중간인 사람들은 정보 이용 행위를 한 명도, 단 한 차

례도 하지 않았다. 즉 이전 단계에서 미디어 활용 능력이 높은 이들만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 이용 행위를 했다는 것이다. 2011, 2012 년의 경우에는 미디어 활용 능

력이 중간인 이들은 포함이 되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의 미디어 활용 능력을 가진

이들은 스마트폰을 수용했다 하더라도 단 한 차례도 정보 이용 행위를 하지 않았

다. 2013 년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미디어 활용 능력이 낮은 이들도 정보 이용 행위

를 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을 소유하는 것, 이용하는 것과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정보 추구 행

위를 하는 것은 다른 차원임을 알 수 있다. 스마트폰 이용자 내에서도 이전 단계에

서의 미디어 활용 능력에 따라서 정보 이용 가능성의 차이가 발생한다. 정보 이용

행위 여부에서 정보불평등의 누적적인 효과가 강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가설 1-

3-7 채택). 그렇지만 이전 단계에서의 미디어 활용 능력의 영향도 시간이 지나면

조금씩 작아진다.

4. 4. 소결

기존의 정보 격차 연구에서 논의되었던 요인들은 대체적으로 스마트폰 수용과

이용량, 정보 이용 행위 여부의 차이를 설명하는 데 유효하다.

스마트폰을 수용하고, 얼마나 이용하는가에 있어서 크고 일관적으로 영향을 미

치는 요인은 미디어 활용 능력이다. 지금까지 인터넷이 보급되는 과정에서 인터넷

에 대한 접근성과 이용 능력의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들여왔지만, 도

구적인 미디어 활용 능력 격차가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도 새로운

기기를 수용하고 이용하는 데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중요한 발견이다. 조

금 과장되게 해석하자면 인터넷 사용 능력이 부족한 이들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85

싶은 마음도, 사용할 수 있는 능력도, 다양한 기능에 대한 이해도 부족하다는 것이

다.

표 4-4. 정보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정리)

스마트폰 수용 스마트폰 이용량 정보 이용 행위

2010 2011 2012 2013 2010 2011 2012 2013 2010 2011 2012 2013

성별(여성=1) - + +

연령 - - - - - - - - - -

학력 + + + - + + + + + + +

가구 소득 + + - -

고용 여부 + + + + +

지역(ref. 군 지역)

기타 시 지역 + - + - +

수도권 시 지역 + + + - +

미디어 활용 능력

중 + + + + + + + +

상 + + + + + + + + + + + +

그림 4–9 에서 알 수 있다시피, 미디어 패널의 58.8%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

는 2013 년에도 미디어 활용 능력이 낮은 사람들은 단 2.6% 만이 사용하고 있다. 즉

이전 단계에서의 정보불평등은 새로운 기술 확산 과정에서 기술 수용을 제한∙배제

하는 기제로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스마트폰 이용량에 있어서는 미디어 활용 능력의 영향력이 스마트폰 수용과 비

교하여 상대적으로 작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그 영향력이 낮아지고 있는 것

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대적으로 스마트폰이라는 미디어는 비교적 사용이 용이해

서 수용 단계의 접근 제약을 넘어서면 이용 단계에서는 미디어 활용 능력의 제약이

수용 단계보다는 덜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스마트폰이 이전 기기들에 비하여 사용하기 쉽기 때문에 나타난

다. 이는 역설적이게도 이전 단계에서의 정보 격차가 스마트폰의 수용으로 해소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스마트폰을 사용하기 전까지는 이전 단계의 정보불

86

평등이 더욱 크게 영향을 미치지만, 수용 이후에는 이전 단계의 미디어 활용 능력

의 제약이 상대적으로 영향을 적게 미치고 또 쉽게 학습할 수 있는 것이다. 스마트

폰이 급속도로 인구 집단 전체에 확산될 수 있었던 것도 스마트폰 이용이 비교적

쉬웠기 때문으로, 앞으로 인터넷에 대한 물리적 접근의 정보불평등까지 좁혀주는

역할을 해줄 수 있다는 기대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스마트폰 이용의 도구적,

인지적 어려움이 이전의 정보 기기들과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림 4-9. 미디어 활용 능력에 따른 연도별 스마트폰 수용률 변화

하지만 정보 이용 행위만 추출해서 살펴봤을 때는 미디어 활용 능력의 제약을

한층 명확하게 살펴볼 수 있었다. 2010 년에는 미디어 활용 능력이 높은 이들만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정보 이용 행위를 하였고,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미

디어 활용 능력이 낮은 사람들은 2012 년까지 스마트폰을 이용한 정보 이용 행위를

하지 않았다. 즉 스마트폰이 있더라도 대인 커뮤니케이션 이상의 도구로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기술 확산 단계에서의 정보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단순히 새

로운 기기의 보급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전 단계에서 확산된

미디어 기기들도 계속 소개하고 그 이용 능력을 키워주는 것이 여전히 중요하다는

10.8%

30.4%

68.3%

88.1%

0.7%3.9%

19.8%

38.5%

0.2% 0.0% 1.0% 2.6%

6.6%17.2%

41.9%

58.8%

0.0%

20.0%

40.0%

60.0%

80.0%

100.0%

2010 2011 2012 2013

높음

보통

낮음

전체

87

것을 보여준다.

한편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일관되게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는 변수는 연령과

학력이다. 연령을 기준으로 기존의 인터넷 이용에 있어서 디지털 원주민과 디지털

이주자를 나눈 것과 같은 현상이 스마트폰의 수용 시기, 이용량, 그리고 정보 이용

행위에도 마찬가지로 연령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볼 수 있다. 스마트폰 수용에 있

어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연령의 영향력이 점점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수용에 있어서는 2013 년에 이르면 통계적 유의미성이 사라지는데, 이는

20, 30 대에서는 스마트폰의 수용이 포화 수준(90% 이상)에 도달하여, 연령대 내에

서 새로이 수용하는 이들의 비율이 다른 세대와 차이가 나지 않거나 오히려 증가율

이 적기 때문이다. 2013 년, 즉 인구의 50% 이상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기가 되

면, 앞서 4.1 에서 연령, 학력, 고용 요인이 스마트폰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의

방향이 이전 연도들과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 4-10. 연령대에 따른 스마트폰 수용률

2010 2011 2012 2013

10세 이하 0.25 0.97 11.37 18.59

10~19 3.17 16.21 53.85 76.64

20~29 22.16 54.39 90.26 96.39

30~39 12.8 33.56 75.11 91.86

40~49 5.44 17.96 53.48 80.66

50~59 1.49 4.96 24.88 52.36

60~69 0.68 0.82 4.92 18.63

70 이상 0 0.07 0.73 3.51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스마트폰

수용률(%

)

88

반면 이용량에 있어서는 그 영향력이 작고 연령 계수의 방향과 크기가 일관적

이지 않다. 이는 스마트폰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기능과 관련이 있다. 음성통화 혹

은 문자메시지 사용량의 경우는 젊은 층보다는 중장년층의 사용도가 높다. 또한 미

디어 패널 조사 응답자들의 연령에 따라서 스마트폰 이용 및 다이어리 기입 패턴이

다르다면(예를 들어 젊은 층은 짧고 분산적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장년층은 한

번 사용 시 사용량이 길다면) 실제 사용량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 영향력의 크기

가 작게 평가될 수 있다.17.

기존 연구와 가설에서 제기했던 것처럼 대체로 학력이 높은 사람일수록 스마트

폰을 빨리 수용한다. 그러나 미디어 활용 능력 변수를 포함하면 학력의 영향력은

크기가 약해진다. 한편, 이용량에 있어서는 학력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작고, 2010 년

에는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는다. 혁신가 집단으로 구분될 수 있는 초기 수

용자들의 경우에는 일단 스마트폰을 수용한 이후에는 이용량에서 학력이 주는 효과

를 살펴볼 수 없다는 것이다. 반면에 교육수준이 높아질수록 정보 이용 행위를 할

가능성이 뚜렷하게 높다. 스마트폰을 수용하는지 여부보다 정보 이용 행위 여부에

서 더 명확하게 교육수준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스마트폰 수용, 이용량,

정보 이용 행위를 비교해볼 때, 학력의 영향력은 정보 이용 행위 > 수용 > 이용량

순으로 그 크기가 다르다.

반면에 소득의 경우는 2010 년, 2011 년 초기 수용시기에 있어서는 영향이 나타

나지 않고 2012 년, 2013 년에야 유의미한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스마트폰 수용의

초기 단계에서는 동조화 및 과시 소비성향의 영향으로 소득 수준이 유의미한 영향

을 미치지 않지만(전종우 외, 2010), 오히려 다수가 가입하는 2012 년, 13 년이 돼서

야 그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난다는 것은 수용 시기별로 소득 수준의 영향이 다르다

는 것이다. 이는 확산 연구에 있어서 어느 시점에 연구를 하는가가 중요하다는 것

17 미디어 다이어리를 기반으로 스마트폰 이용 시간을 도출하면, 기계식(로그

데이터)으로 측정한 경우보다 더 적게 나타난다(황성연⋅최원석⋅안진경⋅김보람. 2014). 이는

사람들이 15 분 단위의 미디어 다이어리의 기입에 있어, 비교적 15 분을 채우는 행위를 한

경우에 한정하여 응답을 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사람들이 회상하지 못하는 틈새 시간의

스마트폰 이용이 많기 때문이다.

89

을 시사한다.

또한 초창기 스마트폰을 수용한다는 것은 이동전화 초기 확산 때와 마찬가지로

경제적인 능력으로 재화를 구매한다기보다 유행을 좇거나 자기 스스로의 정체성을

드러내고자 하는 수단으로서 과시적 행위일 수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Castells et

al. 2007, Katz and Sugiyama 2006). 이는 초창기의 스마트폰 수용이 경제적 여유에

의하여 향유하는 소비라기보다는 같은 준거집단 내에서 동질적으로 향유하는 문화

적 차별 기제로서 역할하였음을 보여준다. 또한 스마트폰 수용을 결정하는 것은 단

말기 보조금, 약정할인 요금 제도와 같은 요인과 사용자들이 얼마나 요금제와 관련

한 정보를 갖고 있는지와 관련이 있다(송인숙, 양덕순 2009). 즉 정보 격차의 문제

에는 단순한 경제적 능력뿐만 아니라, 정보 기기 이용 관련 외부 환경 요인까지도

이해하고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2011 년과 2013 년에 소득이 증가할수록 스마트폰 이용량이 감소한다는 것

은 세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첫째, 소득에 따라서 이용 가능한 미디어 기기의 범위

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소득이 많은 사람들은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태블릿 PC

등 새로운 기능의 제품들을 구입하기 쉽고, 이는 스마트폰 이용량에 영향을 준다.

또한 소득 수준에 따라서 기존에 사용하던 유선 전화 혹은 유선 인터넷 등의 이용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소득 탄력성에 따라서 기존 미디어의 대체가 달라질 수 있

기 때문이다. 소득 수준이 어느 정도인가에 따라서 기존의 PC, 일반 전화 등의 대

체 정도를 확인해보는 것도 앞으로의 연구에서 필요하다.

또 한 가지 가능한 설명은 소득이 많은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시간에 대한 비용

이 높은 사람이기 때문에, 소득과 스마트폰 이용의 관계가 부적으로 형성될 수 있

다는 것이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단순 정보 이용이나 연락뿐만 아니라 게임, 동영

상 등 시간 소요성 행위(time-consuming behavior)가 크게 증가한다면 시간 비용이

높은 사람들일수록 스마트폰의 상대적인 이용은 작을 수 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세 번째 설명은 가구 내 와이파이 설치와 무제한 요금제 이용 확산 등 일정 정

도의 소득 범위를 넘어서면 스마트폰 이용량이 경제적인 제약과 선형적 관계를 갖

지 않을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분석에서 개인 소득이 아닌 가구 소득을 사

용했다는 점에서도 분석의 제한이 있을 수 있다. 개인별로 볼 때 스마트폰 이용량

과 관련이 큰 요금제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스마트폰 요금을 적게 내는 이들은 요

90

금량과 스마트폰 사용량이 정의 상관관계를 갖지만, 요금이 일정 수준을 넘어서면

요금제와 스마트폰 이용량 사이의 관계가 드러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4-11. 스마트폰 요금과 스마트폰 이용량의 상관관계

다른 변수들의 효과도 다음과 같은 보충적인 해석과 토론이 가능하다. 성별의

효과는 시기에 따라 전환된다. 이는 2010 년 초기 혁신 소비자 집단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수용할 가능성이 낮지만, 2012 년에는 반대로 뒤집힌다. 이는 스마트폰의

특성과 더불어 고찰해야 하는 부분이다. 스마트폰은 이동통신 단말기로서의 커뮤니

케이션 기능에 더하여 인터넷 접속, 동영상 시청과 같은 기존 디지털 미디어들을

수렴한 다기능 미디엄이다. 스마트폰 확산 초기에는, 위치정보 등을 이용한 증강 현

실(Augmented Reality) 기능 등에 대한 강조로 스마트폰이 사용하기 어려운 미디어

라는 인식이 존재했다(김지수, 2012). 그렇지만 사람들이 인지하는 스마트폰 용이성

의 차이는 성별에 따라 스마트폰 사용 전후로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스마트폰이 다

기능 수렴 기기이지만, 실제 사용은 카카오톡 등과 같은 대인 커뮤니케이션 기능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김민철 외, 2013: 138)하기 때문이다.

2010-2013 년에는 고용 여부에 따른 스마트폰 수용 가능성의 차이도 존재한다.

인터넷의 초기 확장시기와 마찬가지로 직장인들이 새로운 정보 기기을 빨리한다

(DiMaggio et al. 2004, NTIA 2002). 그렇지만 같은 시기 스마트폰 이용량과 정보 이

용 행위에는 고용 여부가 영향을 미치지 않고, 오히려 스마트폰 수용과 고용의 관

계가 확인이 되지 않는 2013 년에야 고용 여부가 스마프톤 이용량과 정보 이용 행

91

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고용 여부와 스마트폰 이용 횟수, 그리

고 스마트폰 사용 시간의 관계는 직업의 종류를 고려하여 앞으로 더 세심하게 연구

를 해야 하는 부분으로 여겨진다.

지역의 효과도 2012 년까지는 그 효과가 작거나 방향이 일관적이지 않다. 2013

년에야 군 지역에 거주하는 이들보다, 수도권 시 지역, 기타 시 지역에 거주하는 이

들의 스마트폰 수용 가능성, 이용량, 정보행위 가능성이 높다. 이는 스마트폰 관련

정보불평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서 지역 그 자체의 영향력이 우선적이지 않고 연

령, 고용, 학력에 의하여 혼합되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한국에서

지역의 문제는 스마트폰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지역, 연령, 고용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연구 모형을 고려하면

이 부분을 뚜렷하게 밝힐 수 있을 것이다.

92

제 5장 미디어 컨버전스와 정보불평등에 대한 입체

적 접근

서론에서도 언급하였지만, 스마트폰의 등장은 두 가지 측면에서 미디어 컨버전

스를 가능하게 하였다. 스마트폰이라는 미디어 기기는 기존 미디어 콘텐츠를 플랫

폼에 구애받지 않고 스마트폰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미디어 컨버전스의 한

측면을 보인다. 또한 스마트폰이라는 다기능 메타미디엄의 등장으로 스마트폰 하나

로 기존 미디어들이 기능적으로 수렴하는 측면에서의 미디어 컨버전스도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스마트폰을 잘 활용하는지를 두 가지 관점으로 살펴볼 수 있

다. 첫 번째는 메타미디엄인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얼마나 다양한 미디어 행위를 하

는가이다. 두 번째는 스마트폰의 이용이 다른 미디어를 기능적으로 대체하여 이용

하는 미디어 기기의 수가 줄어드는가이다.

스마트폰으로 다양한 미디어 행위를 하는 것은 정보불평등의 한 차원으로 이해

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 대한 접근(수용)과 이용뿐만 아니라 이용의 다양성은 정보

미디어 활용의 중요한 지표로 정보불평등을 구성하는 중요한 차원이다. 스마트폰은

이용자가 능동적으로 앱을 설치하고 실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이용의 다양성에서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스마트폰으로 이용할 수 있는 앱의 종류는 2014년 현재

140 만 개 정도에 이르지만, 채널이 한정되어 있는 TV와 같은 미디어와 유사하게

그 이용의 다양성은 제한적일 수 있다. 스마트폰이나 인터넷에 비하여 수동적 미디

어인 케이블 TV의 등장 이후에 채널 레퍼토리(Heeter 1985)에 대한 관심이 시작되

었지만, 능동적인 미디어인 인터넷(웹)의 경우에도 레퍼토리의 수는 제한적이었다

(Ferguson and Perse 2000).

이런 레퍼토리 연구의 흐름에서 인구사회학적인 특성과 이전 단계에서의 미디

어 활용 능력이 스마트폰이라는 메타미디엄으로 얼마나 다양한 미디어 행위를 하는

지 여부를 살펴보는 것은 흥미로울 수 있다. 스마트폰이 갖는 이동성과 개인성이라

는 특성이 PC-인터넷과 같이 고정된 장소에서 이용하는 미디어와 다른 양태의 특

93

징을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스마트폰 레퍼토리의 변화에도 관심을 가진다.

레퍼토리를 늘려나간다는 것은 스마트폰을 잘 활용한다는 하나의 지표로 기존의 정

보불평등이 누적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스마트폰 수용 단계에 따라서 레퍼토리

증가 속도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살펴볼 것이다.

한편, 스마트폰을 잘 활용하면 기존에 사용하던 미디어 기기를 쉽게 대체할 수

있다. 스마트폰으로 기존 미디어 이용의 융합 및 수렴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스마트

폰의 이용은 다른 미디어 기기 이용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스마트

폰 이용과 활용을 보다 입체적인 차원에서 이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앞서 이론

적 배경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지금까지의 미디어와 미디어 이용자의 진화는 다중

미디어 이용이라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김양은 2009, pp. 176-179). 그러나 스마트

폰으로 인하여 미디어 간의 융합과 수렴이 진행된다면, 미디어 기기 수렴을 빨리

하는 것이 스마트폰 활용 능력이 우수하고,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잘 적응한

결과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이 장에서는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개인들이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잘 적응하는 것을 미디어 이용 능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하고, 이를

스마트폰 확산 과정에서 드러나는 정보불평등의 하나의 차원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5장은 스마트폰으로 인한 미디어 이용 양태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스마트폰 레퍼토리와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변화를 분석한다. 기존의 연구들

이 대부분 미디어 레퍼토리 크기(Ferguson 1992, Ferguson and Perse 2000, Heeter

1985) 혹은 유형(강남준, 이종영, 이혜미 2008, 김은실, 하예린, 박원기 2009, 윤해진,

문성철 2010, 이찬구, 이종영, 성지연 2009, 이창훈, 김정기 2013)을 연구하거나, 개

인 수준에서 일치시킬 수 없는 누계 자료로 거시적인 변화를 살펴보았던 반면에(이

재현 2005b), 이 연구에서는 풍부한 인구사회학적 정보를 이용하여 미디어 레퍼토

리 변화를 측량할 수 있는 개인 성장 모형 분석을 이용하여 레퍼토리 증감 여부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적인 요인들을 밝히고자 한다.

5. 1. 스마트폰 레퍼토리 크기와 그 변화

스마트폰 레퍼토리는 스마트폰으로 얼마나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함이다. 3.2.1.3 에서 살펴보았지만,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의 미디

94

어 패널 다이어리 조사에서 3 일 간 스마트폰으로 이용한 미디어 행위의 수는 2010

년 평균 1.12, 2013 년 평균 1.86 에 불과하다. 미디어 패널에서 구한 스마트폰 레퍼

토리 값은 포르뚜나티와 테이페일의 연구에서 20 가지의 기능을 대상으로 물어 얻

은 평균값인 6.88, 블랭크와 그로셀(Blank and Groselj 2014)의 연구에서 48가지의

인터넷 행위를 조사해 구한 평균값 25에 비하여도 많이 작다(Fortunati and Taipale

2014).

이는 미디어 다이어리 조사의 특징과 관련된다. 3 일이라는 제한된 시간은 개개

의 이용자들 입장에서 본인이 관심있거나 이용할 수 있는 미디어 행위를 모두 시행

하거나 관찰할 수 있지 않다. 또한 15분이라는 시간 단위의 다이어리 기입으로 일

부 사용자들은 15분보다 짧게 미디어를 사용한 것은 누락하기도 하여 실제 이용보

다 과소 측정될 수 있다(황성연, 최원석, 안진경, 김보람 2014). 또한 일부 응답자들

은 스마트폰을 사용한 경우에도 어떤 행위를 했는지에 대해서 기억하지 못하여 기

입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작은 스마트폰 레퍼토리 크기에도 불구하고, 인

구사회학적 요인 및 이전 단계의 정보불평등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스

마트폰 이용자 개인 수준에서 스마트폰 레퍼토리의 의미 있는 변화도 관찰할 수 있

었다.

먼저 스마트폰 레퍼토리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하여 확률

효과 모형(random effect model) 패널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세 가지 모형으로

(1) 기본 인구사회학적 변인 모형, (2) 미디어 활용 능력 포함 모형, (3) 2모형 + 스

마트폰 수용 시기 차이 모형으로 구성하였다.

(1)~(3) 모형이 고용 여부의 유의미한 효과가 바뀌는 것을 제외하고는 큰 차이

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최종 모형 (3)에서 변수들의 효과를 살펴보자. 남성에 비하

여 여성이,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고용된 사람일수록 더 많은 스마트

폰 기능을 사용한다(가설 2-1-1 기각, 가설 2-1-2, 2-1-3, 2-1-5 채택). 성별 효과를

제외하고는 블랭크와 그로셀(Blank and Groselj 2014)의 연구와 같은 방향성을 갖는

결과이다. 또한 가설과 달리 소득의 효과는 스마트폰 레퍼토리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가설과 반대로 수도권 시 지역(도시지역)에 사는 이들이 비도시화 지역(군 지역)에

사는 이들에 비하여 스마트폰 기능을 적게 사용한다(2-1-4, 2-1-6 기각).

95

표 5-1. 스마트폰 레퍼토리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한 확률효과 모형

(1) (2) (3)

성별(여성=1) 0.143*** 0.145*** 0.133***

(0.024) (0.024) (0.023)

연령 -0.008*** -0.006*** -0.007***

(0.001) (0.001) (0.001)

학력 0.061*** 0.045*** 0.058***

(0.010) (0.010) (0.010)

가구 소득(로그) 0.038 0.024 0.006

(0.025) (0.025) (0.025)

고용 여부 0.047 0.039 0.057*

(0.027) (0.027) (0.027)

지역(ref=군 지역) 0.000 0.000 0.000

기타 시 지역 -0.021 -0.025 -0.020

(0.044) (0.043) (0.043)

수도권 시 지역 -0.127** -0.135** -0.100*

(0.044) (0.044) (0.044)

미디어 활용 능력(ref=하)

중 0.627*** 0.600***

(0.142) (0.141)

상 0.732*** 0.711***

(0.142) (0.141)

스마트폰 수용

2011 0.321***

(0.045)

2012 0.400***

(0.039)

2013 0.297***

(0.045)

상수항 1.479*** 0.882*** 0.632**

(0.152) (0.199) (0.200)

rho(ρ) 0.12 0.115 0.100

df 7 9 12

Wald χ2 157.29 192.82 308.71

관측치 8,655 8,655 8,655

사례 수 5,152 5,152 5,152

( ): 표준오차, *p<0.05, **p<0.01, ***p<0.001

96

미디어 활용 능력 역시 스마트폰 레퍼토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데, 미디

어 활용 능력이 ‘하’인 사람들과 비교할 때 미디어 활용 능력이 ‘중’인 사람들이 0.6

개, ‘상’인 사람들이 0.7개 더 많이 스마트폰 미디어 행위를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스마트폰 레퍼토리에 있어서도 미디어 활용 능력이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

인할 수 있다(가설 2-1-7 채택).

그렇다면 이러한 스마트폰 레퍼토리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가?

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스마트폰 레퍼토리를 종속변수로 하고, 연도를 독립변수로

추가한 개인 성장 모형을 분석하였다.

표 5-2 의 모형 1 에서는 4년간의 스마트폰 레퍼토리 평균(=1.753)을 확인할 수

있다. 모형 2 에서 매년 선형 변화를 감안한 시간(time) 변수를 포함하면, 스마트폰

레퍼토리 초기값은 1.413 으로 떨어지고, 매년 0.146씩 스마트폰 레퍼토리가 증가한

다는 선형 모형이 검증된다(가설 2-1-8 검증). 스마트폰 레퍼토리가 조금씩이나마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형 3 은 스마트폰 레퍼토리 초기값에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이 얼마나 영향을

끼치는가를 살펴봤다.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을 모형에 포함해도 레퍼토리 변화의 선

형 효과는 유의미하고 오히려 그 효과가 더 뚜렷해진다.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0.137개의 스마트폰 미디어 행위를 더 많이 하고, 나이가 한 살 어릴수록 0.01개의

미디어 행위를 더 한다. 즉 10 대와 60 대는 0.5 개의 스마트폰 레퍼토리가 차이가

나는 것이다. 또한 고용된 이들이 그렇지 않은 이들에 비하여 0.07 만큼 스마트폰

레퍼토리가 더 크고, 수도권 도시 지역(시부)에 거주하는 이들이 군 지역에 거주하

는 이들에 비하여 0.106개의 미디어 레퍼토리가 더 작다. 한편, 가구 소득은 스마트

폰 레퍼토리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미디어 활용 능력을 포함한 모형 4를 살펴보면, 미디어 활용 능력을 포함했을

때 기존 모형의 스마트폰 레퍼토리 초기값이 크게 변화함을 알 수 있다. 미디어 활

용 능력에 따라서 스마트폰을 쓰고 나서 첫해의 스마트폰 미디어 레퍼토리가 크게

달라짐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시간에 따른 변화 기울기, 설명 변수의 크기

나 유의미함은 크게 변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미디어 활용 능력이 낮은 사람들에 비하여 중간인 사람들이 0.6, 높은 이들이 0.73

만큼 스마트폰을 이용한 미디어 행위를 많이 한다.

97

표 5-2. 스마트폰 레퍼토리 성장 모형 분석결과

(1) (2) (3) (4) (5) (6)

초기값 1.753*** 1.413*** 1.156*** 0.572** 0.549** 0.476*

(0.011) (0.032) (0.153) (0.199) (0.200) (0.200)

레퍼토리 변화기울기 0.146*** 0.172*** 0.174*** 0.191*** 0.268***

(Time) (0.013) (0.013) (0.013) (0.016) (0.026)

성별(여성=1) 0.137*** 0.141*** 0.133*** 0.133***

(0.024) (0.024) (0.023) (0.023)

연령 -0.010*** -0.008*** -0.007*** -0.007***

(0.001) (0.001) (0.001) (0.001)

학력 0.083*** 0.065*** 0.055*** 0.056***

(0.010) (0.010) (0.010) (0.010)

가구 소득(로그) 0.019 0.003 -0.005 -0.009

(0.025) (0.025) (0.025) (0.025)

고용 여부(고용=1) 0.071** 0.062* 0.056* 0.054*

(0.027) (0.027) (0.027) (0.027)

지역(ref . 군지역)

기타 시 지역 -0.036 -0.040 -0.040 -0.035

(0.043) (0.043) (0.043) (0.043)

수도권 시 지역 -0.106* -0.114** -0.112* -0.107*

(0.044) (0.044) (0.044) (0.044)

미디어 활용 능력(ref . 하)

중 0.601*** 0.588*** 0.589***

(0.139) (0.139) (0.139)

상 0.730*** 0.707*** 0.711***

(0.140) (0.139) (0.139)

스마트폰 수용

2011 0.155** 0.209**

(0.048) (0.079)

2012 0.125** 0.440***

(0.046) (0.083)

2013 -0.076 0.024

(0.055) (0.360)

스마트폰 수용*시간

2011*Time -0.060

(0.040)

2012*Time -0.170***

(0.038)

2013*Time -0.081

(0.122)

모형 적합도

ll(model) -12262.91 -12184.86 -12019.85 -11999.8 -11969.8 -11959.44

d.f. 3 6 13 15 18 21

AIC 24531.82 24381.73 24065.71 24029.61 23975.61 23960.89

BIC 24553.03 24424.15 24157.57 24135.6 24102.79 24109.27

Observations 8691 8691 8655 8655 8655 8655

Individual 5160 5160 5152 5152 5152 5152

n=39395(15872), m3- m6: n = 39112 (15833), (): 표준오차, *p<0.05, **p<0.01, ***p<0.001

98

모형 5는 스마트폰 수용 시기에 따라서 스마트 미디어 초기 수용값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연도별 스마트폰 레퍼토리를 살펴보면, 흥미롭게도

2010 년도에 스마트폰을 수용한 사람들보다 2011 년, 2012 년 스마트폰을 수용한 이

들이 스마트폰 레퍼토리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수용자의 스마트폰 레퍼토리 차이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스마트폰 수용 연도와 시간 변화(time)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것이 모형 6 이다. 변수의 추가로 초기값이 낮아지고, 연도에 따른 레퍼토리 성장

변화율이 더 높아진 것을 제외하고는 개별 설명변수의 효과들은 크게 달라지지 않

았다. 다만 모형 5와 비교해보면, 2010 년에 스마트폰을 수용한 이들보다 2011 년

수용한 이들이 절편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0.155에서 0.209 로, 2012 년에 수용한

이들이 0.125에서 0.440 으로 바뀌는 등 절편의 차이가 더 크게 변화하였다. 그렇지

만 모형 적합도를 판정하는 BIC 를 비교하면 모형 5에 비하여 모형 6 의 적합도가

낮다. 즉 수용 시기에 따른 기울기 차이는 큰 의미가 없다.

그림 5-1. 스마트폰 수용 시점과 스마트폰 레퍼토리 변화

하지만 2010 년 수용자를 준거로 놓고 보면 나머지 연도의 수용한 이들과 시간

1

1.2

1.4

1.6

1.8

2

2.2

2010 2011 2012 2013

adoption2010

adoption2011

adoption2012

adoption2013

99

과의 상호작용 변수 방향은 음의 값(-)을 갖는다. 스마트폰 수용 시기와 스마트폰

레퍼토리 변화율과의 상호작용 효과를 그림으로 살펴보면 그림 5–1 과 같다. 2010

년에 스마트폰을 수용한 이들의 스마트 미디어 성장 속도가 다른 연도에 수용한 이

들보다 더 빠르게 변화한다. 한편 스마트 레퍼토리 성장 기울기의 유의미한 차이는

2010 년 수용한 이들과 2012 년 수용한 이들 사이에서만 유의미하게 발견된다. 다시

말해, 다른 변수들을 통제했을 때 스마트폰을 이용한 다양한 행위는 스마트폰의 다

양한 기능들이 소개되고 확산됨에 따라 수용 초기보다 자연스레 증가하는 추세에

있지만, 먼저 스마트폰을 수용한 이들(2010/2011 년 수용)의 스마트폰 레퍼토리 성장

속도가 더 빠른 모습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가설 2-1-9 부분 검증).

2013 년 수용자를 제외하고는 뒤늦게 스마트폰을 수용하더라도 스마트폰을 수

용한 연도에 스마트폰 레퍼토리가 2010 년에 스마트폰을 수용한 이들보다 적지 않

다. 매년 스마트폰 레퍼토리가 자연 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매년 스마트폰 성

능 및 기능이 발전하고 일년에 수십 만개의 앱이 개발되며 스마트폰이 다양하게 이

용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라고 해석된다. 스마트폰 레퍼토리의 자연 성장은 단

순하게 이용자의 능력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콘텐츠 생태계의 변화도 고려해야 하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유의해서 바라봐야 할 것은 2013 년에 스마트폰을 수용한 이

들의 스마트폰 레퍼토리가 다른 집단에 비해 낮다는 것이다. 스마트폰 환경이 크게

변화해도 미디어 활용 능력 등이 부족한 이들은 환경 변화를 따라잡지 못하는 격차

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늦게 스마트폰을 수용한 이들의 스마트폰 활용 다

양성이 앞선 집단들과 어떻게 달라지는지는 앞으로의 연구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

다.

5. 2.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크기와 변화

이 연구에서는 개인이 이용한 미디어의 수 자체에 관심을 가진다. 개인이 이용

하는 미디어의 수는 미디어 이용에 지불해야 하는 비용과 시간 그리고 사용 능력과

결부되어 있기 때문이다. 미디어 패널 데이터에서 개인들이 사용한 미디어들의 수

를 측정하기 위해서 동시 이용 미디어를 포함하여 3 일간의 미디어 다이어리를 모

100

두 합산하여 변수를 생성하였다. 미디어 패널 데이터에는 총 39 개 유형의 미디어

이용 관련 정보가 있다. 이 중에서 종이 미디어(신문/책/잡지, 그림/사진/편지)와 공

간미디어(영화관, 노래방, 멀티미디어방, 공연장, 갤러리, 박물관, 스포츠경기장)의

경우 10 대, 20 대 학생들의 방학 여부에 따라 이용 빈도가 크게 달라진다18.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전자/디지털 미디어 30 가지를 이용 가능한 미디어로 한정하고, 이

안에서 개인별로 이용한 미디어 기기 수를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라고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측정한다.

그림 5-2. 2010-2013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크기 변화 분포

개인 수준에서 인쇄, 공간 미디어를 제외한 30 개 미디어 레퍼토리 변화를 살펴

보면 그 분포는 그림 5-2 와 같다19. 그림 5-2 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미디어 레퍼토

리 변화는 0 을 중심으로 하는 정규분포를 그린다.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2010 년,

18 이렇게 종이매체와 공간미디어 9개 종류의 미디어를 제외하면, 39개 미디어로

계산할 때와 비교해 2010년 평균 3.5 � 3.1, 최대값 13 � 11, 2012년 평균 3.5 � 3.0,

최대값 11 � 10 으로 변화함을 알 수 있다.

19 이 변수는 2013년 30개 미디어 중에서 3일간 한 번이라도 이용한 미디어의

수에서 2010년 30개 미디어 중에서 3일간 한 번이라도 이용한 미디어 수를 뺀 것이다.

101

2013 년 모두 응답한 3,104 명 중 3 년 사이에 미디어 이용 수가 변화하지 않은 이들

이 1,071 명(34.5%), 감소한 이들이 1,131 명(36.4%), 증가한 이들이 902 명(29.1%)이다.

이는 스마트폰 등 뉴미디어 수용에도 불구하고, 개인이 유지하는 미디어 레퍼토리

의 크기 변화가 모든 인구집단에 일관되게 적용되지 않음을 보여준다. 즉 해당 기

간 동안 평균적으로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가 약간 감소하였지만, 모든 사람들이 이

용하는 미디어 기기 수를 줄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표 3-7 에서 살펴봤듯이,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평균은 3 정도로 작다20.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의 평균은 2010 년 3.06 에서 2013 년 2.9 로 근소하게 미디어 이용 개

수가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특이한 점은 2011 년의 경우 미디어 레퍼토리의 크

기가 3.14 로 2010 년보다 오히려 증가하였다는 것이다21. 그림 5-3 에서 확인할 수

있다시피 2013 년에 미디어 레퍼토리, 즉 사용하는 전자 미디어 기기의 수가 한 개

혹은 두 개인 경우가 다른 연도에 비하여 가장 많다. 이전년도와 비교할 때, 미디어

기기 이용 감소가 나타난 것이다.

그림 5-3. 연도별 미디어 레퍼토리 크기 분포

20 기존의 다중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에서도 다중 미디어 레퍼토리가 채널 레퍼토리에

비하여는 작다라는 지적이 있었다(심미선 2007).

21 이는 2010년 조사와 2011~13년 조사가 조사 시점(10월 � 6월)이 바뀌면서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

0

10

20

30

40

50

0 1 2 3 4 5 6 7 8 9 10 11

re302010

re302011

re302012

re302013

102

표 5-3. 미디어 기기 이용 비율 변화표 (2013 년-2011 년)22

22 전국 단위 조사를 시행한 2011 년과 2013 년 모두 조사에 응답한 9388 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3 일 간의 조사기간 중 단 한 차례라도 해당 미디어 기기를 이용한

경험 유무의 변화를 통해 산출하였다. 카오디오, 일반 라디오, 내비게이션, 전광판/옥외

TV 의 이용 증가도 살펴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는 해당 패널들이 나이가

늘어나면서 자가 차량을 구매하거나, 라이프스타일이 변한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스마트폰 증가 비율에 비하여 일반 휴대폰 감소 비율이 작은 것은, 20대 이하 집단에서

기존 휴대폰 사용 없이 스마트폰을 이용하게 된 이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103

미디어 레퍼토리 크기의 변화에는 2009 년 이후 수용된 스마트폰의 이용이 가

장 큰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것이 연구의 주된 질문이다. 이는 4 년 동안 스마트

폰 이용자가 급속도로 증가한 반면 다른 이동 미디어 기기 이용이 전반적으로 감소

하였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미디어 이용 비율 증감을 살펴보면, 표 5-3 과 같다. 가장 뚜렷한 차

이는 일반 휴대폰의 이용 감소와 스마트폰의 이용 증가이다. 2011 년 스마트폰 이용

은 44%가 증가한 반면 같은 기간 일반 휴대폰 이용은 37.8% 감소했다.

이 비교 증감표에서 알 수 있듯이 스마트폰의 이용 증가는 단순한 일반 휴대폰

이용 대체뿐만 아니라, 그 규모로 보면 일반 전화기(-14.9%), 데스크탑 PC(-10.4%),

인터넷 전화기(-4.7%), 휴대용 오디오(-2.3%), 디지털 카메라(-1.6%) 등 다양한 미디

어 기기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대체 현상은

2011 년 기준 10-20 대에서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다.

스마트폰 수용으로 인하여 많은 변화가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는 휴대

용 오디오(MP3 등), 디지털 카메라, 일반 노트북 PC 등 휴대용 개인 미디어 기기의

변화 비율이 상대적으로 작아 보인다. 이는 2011 년 기준 3 일 간의 미디어 다이어

리 조사 기간 중에 이러한 휴대용 개인 미디어를 사용했던 비율 자체가 작기 때문

에(2011 년 당시 휴대용 오디오(3.5%), 디지털 카메라(2.3%), 일반 노트북 PC(6.7%))

그 변화의 폭이 적게 느껴지는 것이다. 전체 이용자 비율 차이가 아닌 2011 년도 해

당 미디어 이용자 대비 변화 비율로 살펴보면 2011 년 휴대용 오디오 이용자 중

66.7%가 감소했고,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68.2%, 일반 노트북 PC 이용자의 경우

9.2%의 이용자가 감소하였다.

개인의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에 포함되는 기기들은 서로 연결되었다고 가정하

고 미디어 기기의 관계와 연결 중앙성(degree centrality) 변화를 살펴볼 수 있다.23

그림 5–5 는 미디어 다이어리 조사기간 3 일 동안 한 번이라도 사용된 미디어들이

개개인을 매개로 연결이 된다고 가정하고 미디어의 연결망을 표현한 것이다.

23 연결 중앙성(degree centrality)은 사회 연결망 분석에서 발달한 지표로, 연결망

그래프에서 하나의 결점(node)이 다른 결점들과 많이 연결되어 있으면 중앙성이

높아진다(Freeman 1979, 김용학 2003).

104

매년 미디어 패널의 미디어 레퍼토리에서 도출한 미디어 기기 관계에서 가장

중앙에 놓여 있는 미디어는 가정용 TV 이다. 가정용 TV 는 가장 많은 사람들의 미

디어 레퍼토리에 포함되는 미디어 기기이다. 그러나 TV의 연결 중앙성은 매년 감

소한다. 흥미롭게도 미디어 레퍼토리에서 두 번째로 연결 중앙성이 높은 미디어는

2011-2013 년 사이에 매년 변화한다. 2011 년에는 일반 휴대폰, 2012 년은 데스크탑

PC, 2013 년은 스마트폰이다.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구성이 매년 변화하는 가운데

스마트폰이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중앙으로 점차 부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

결망 중앙성 상위 8 개 미디어의 2011-2013 년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연결 중앙성의

변화를 살펴보면 그림 5–4 와 같다. 스마트폰과 카오디오를 제외한 다른 주요 미디

어들의 연결 중앙성은 낮아진다. 카오디오의 연결 증가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자

동차를 소유하는 이들이 늘어나게 된 결과이고, 스마트폰의 확산으로 다른 기기들

의 연결 중앙성은 낮아졌다.

그림 5-4. 연도별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연결 중앙성 변화

0

200

400

600

800

1000

2011 2012 2013

가정용 TV

스마트폰

데스크탑 PC

일반 전화기

일반 휴대폰

카오디오

일반 노트북 PC

인터넷 전화기

105

그림 5-5. 연도별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연결 중앙성

106

스마트폰의 확산과 더불어 4 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에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구성에 큰 변화가 일어난 것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미디어 기기 이용 변

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일까? 어떤 속성을 가진 사람들이 미디어 수렴을

더 빨리 해나가는 것일까? 앞의 분석에서 살펴본 정보불평등과 관련한 요인들이 미

디어 컨버전스 과정에도 마찬가지로 영향을 끼치는가? 이런 질문들에 답하기 위하

여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가 줄어드는 과정 속에서 스마트폰이 과연 얼마나 영향이

있었는지를 성장 모형(growth model)으로 분석하였다.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성장 모형 분석결과는 표 5-4 와 같다. 이 연구에서는 총

6 개 모형으로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변화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초기값과 변화율을

살펴보는 모형 1~2, 초기값(절편)을 설명하는 모형 3~5, 그리고 절편과 기울기를 설

명하는 모형 6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기초 모형(unconditional model)을 살펴보면,

2010 년 미디어 레퍼토리 크기에 대한 무선효과를 파악할 수 있다. 모형 1의 초기값

(상수항) 3.083 은 응답자들의 4 년 전체 미디어 레퍼토리 크기의 전체 평균이다.

모형 2는 기초 모형에 시간 기울기를 추정한 모델이다. 분석결과는 기울기는 -

0.08 로 p 값 0.000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즉 2010-2013 년 동안 응답자들

의 평균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가 매년 0.08 정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선형 감

소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가설 2-2-1 채택).

모형 3에서는 선형 감소의 기울기는 집단에 따른 차이가 없다고 가정하고 미디

어 기기 레퍼토리의 초기값(절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다. 인구통계학

적 요인에 따라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초기값이 유의미하게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크기 초기값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가구 소득, 고용, 그리고 수도권 도시 지역 거주이다.

성별의 영향을 살펴보면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초기값이

0.04 정도 많다. 이는 인터넷 웹 레퍼토리 분석 연구에서 남성이 여성에 비하여 다

양한 레퍼토리를 갖고 있다고 보고한 것과 달리(Ferguson and Perse 2000), 여성이

다양한 미디어 기기를 이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가설 2-2-2 기각). 반면 다른 조건

이 동일한 상태에서 연령이 어릴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직업

이 있을수록, 수도권 도시 거주자보다 지방(군 거주자) 거주자가 미디어 기기 레퍼

토리 초기값이 큰 것을 알 수 있다(가설 2-2-3~2-2-6 채택. 가설 2-2-7 부분 채택).

107

다중 미디어 환경 속에서 연령이 어릴수록, 또 교육수준과 소득이 높을수록,

더 많은 전자 미디어 기기에 접근하고자 하는 동기가 높고, 또 이용할 수 있는 능

력이 좋다. 이는 기존의 연구들과 이어지는 결과이다(Ferguson 1992, Ferguson and

Perse 2000, Heeter 1985).

유의해서 이해해야 할 부분은 거주 지역에 의한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의 차이

이다. 예상과는 다르게 수도권 시 지역 거주자가 군 지역 거주자와 비교하여 미디

어 기기 레퍼토리가 유의미하게 작다. 다른 변수를 통제하지 않고 지역에 따른 미

디어 기기 레퍼토리 평균을 비교하면, 수도권 시 지역 거주자의 미디어 기기 레퍼

토리가 군 지역 거주자 혹은 기타 시 지역 거주자의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보다 유

의미하게 크다. 그렇지만 다른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을 통제할 경우 거주 지역과 미

디어 기기 레퍼토리 크기의 관계는 뒤집힌다.

모형 4 는 인구통계학적 변수들뿐만 아니라, 미디어 활용 능력 변수를 추가한

모형이다. 미디어 활용 능력이 낮은 집단에 비하여 중간 집단이 0.32 개, 미디어 활

용 능력이 높은 집단이 0.62 개의 미디어 기기를 더 활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가설

2-2-8 채택). 미디어 활용 능력 변수를 추가하면,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초기값에

연령이 미치는 효과가 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연령이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를

설명하는 변량의 많은 부분을 미디어 활용 능력이 설명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형 5 에서는 미디어 레퍼토리 초기값에 스마트폰 이용 여부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분석 첫해에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이들은

다른 이들에 비하여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초기값이 0.05 정도 작다. 이미 스마트폰

을 수용하는 시기에서부터도 미디어 기기 이용의 환경 변화가 있다는 것이다.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의 절편과 더불어 변화 기울기를 추정하는 모형 6 의 결

과를 살펴보자. 마찬가지로 레퍼토리 초기값에 미치는 변수들의 통계적 유의미도는

스마트폰 이용 변수만 제외하고는 모형 5 와 큰 차이가 없다. 즉 동일한 선형 감소

를 추정하는 모형이나, 기울기의 변화를 추정하는 모형에서 절편을 추정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는 별로 없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레퍼토리 변화율은 음

수에서 양수로 변화한다. 이는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변화가 설명 변수들에 의하여

크게 변화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108

표 5-4.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성장 모형 분석결과

n=39395(15872), m3- m6: n = 39112 (15833), (): 표준오차, *p<0.05, **p<0.01, ***p<0.001

Variable 모형 1 모형 2 모형 3 모형 4 모형 5 모형 6

레퍼토리 초기값 3.016*** 3.143*** 1.380*** 1.237*** 1.223*** 0.908***

(0.007) (0.011) (0.066) (0.065) (0.065) (0.105)

레퍼토리 변화율 -0.080*** -0.088*** -0.091*** -0.082*** 0.119*

(Time) (0.005) (0.005) (0.005) (0.005) (0.053)

초기값

성별(여성=1) 0.044*** 0.047*** 0.047*** 0.111***

(0.013) (0.013) (0.013) (0.020)

연령 -0.004*** 0.001 0.001 -0.001

(0.000) (0.000) (0.000) (0.001)

학력 0.222*** 0.147*** 0.150*** 0.150***

(0.005) (0.005) (0.005) (0.009)

가구 소득(로그) 0.175*** 0.148*** 0.149*** 0.208***

(0.011) (0.011) (0.011) (0.017)

고용 여부 0.172*** 0.148*** 0.150*** 0.044*

(0.013) (0.013) (0.013) (0.022)

거주 지역(ref.=군 지역)

기타 시 지역 -0.000 -0.017 -0.016 -0.061

(0.018) (0.018) (0.018) (0.033)

수도권 시 지역 -0.046* -0.077*** -0.074*** -0.192***

(0.019) (0.019) (0.019) (0.033)

미디어 활용 능력

중 0.315*** 0.315*** 0.402***

(0.018) (0.018) (0.031)

상 0.623*** 0.630*** 0.730***

(0.022) (0.022) (0.038)

스마트폰 이용 -0.045** 0.130***

(0.014) (0.027)

성장기울기(변수* Time)

성별(여성=1) -0.039***

(0.010)

연령 0.001*

(0.000)

학력 0.001

(0.004)

가구 소득(로그) -0.038***

(0.009)

고용 여부 0.064***

(0.011)

거주 지역(ref.=군 지역)

기타 시 지역 0.031

(0.016)

수도권 시 지역 0.079***

(0.016)

미디어 활용 능력

중 -0.056***

(0.016)

상 -0.068***

(0.020)

스마트폰 이용 -0.076***

(0.013)

ll(model) -57378.2 -57109.58 -54421.6 -54000.02 -53994.7 -53875.53

df 3 6 13 15 16 26

AIC 114762.4 114231.2 108869.2 108030 108021.4 107803.1

BIC 114788.1 114282.6 108980.7 108158.7 108158.6 108026.0

109

변화 기울기를 설명하는 모형 6 에서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변화 기울기에 미

치는 요인은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초기값의 크기를 크게 영향을 준 요인들이다.

성별의 효과는 가설과는 반대 방향으로 유의미하다. 조사 응답 초기에는 남성

들에 비하여 여성들이 미디어 레퍼토리가 컸음에 반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미디

어 기기 레퍼토리의 수에 있어 여성이 남성보다 더 빠른 속도로 미디어 기기 이용

숫자를 줄여나간다(가설 2-2-9 기각). 3 년이 지나면 여성이 남성보다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가 작다. 스마트폰 등 미디어 컨버전스가 가능해짐에 따라서 무게에 민감

한 여성들이 남성들에 비하여 이용하는 미디어 레퍼토리를 줄여나가는 경향이 존재

한다고 추정할 수 있다24.

연령이 많아질수록 연도가 지남에 따라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가 증가한다. 이

값은 0.001 로 1 년이 경과할 때 60세의 경우 10세보다 0.05 개의 미디어 기기 이용

이 증가한다는 미미한 변화를 이야기한다. 그렇지만 이는 점차 많은 미디어를 이용

할 수 있고, 스마트폰으로 동시에 컨버전스를 해나갈 수 있는 환경에서 나이가 많

은 이들은 미디어 컨버전스에서 뒤쳐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나이가

어릴수록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가 빨리 감소할 것이라는 가설 2-2-10 은 검증되었

다. 또한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개인들이 미디어 수렴을 빨리 해나간다. 경제자본은

다양한 미디어 기기를 이용하도록 했지만 동시에 스마트폰으로 인하여 더 빠른 미

디어 컨버전스를 진행하도록 하는 요인이 된다(가설 2-2-12 채택). 경제력에 따라서

스마트폰 구매시 기기 사양이 달라지는지 앞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고용되어 있

는 사람과 수도권 시 지역 거주자들은 시간에 따라서 유의미하게 미디어 기기 레퍼

토리가 증가한다(가설 2-2-13~2-2-14 기각)25. 한편 교육수준은 미디어 기기 레퍼토

리 기울기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가설 2-2-11 기각).

24 넷북 등 가벼움이 추구되는 기기들이 보급되는 과정에서도 무게에 민감한 여성들을

중심으로 가벼운 기기 이용이 확대되었다고 보고하고 있다(이은민 2008, p. 33)

25 이 변수들의 효과를 명확히 알게 위해서는 앞으로의 연구에서 미디어 활용 능력과

스마트폰 이용 등과 같은 변수와의 상호 작용 효과를 살펴봐야 할 것이다. 또한 차량 관련

미디어 기기가 많기 때문에, 자가 차량 소유 여부 등에 대한 통제도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110

그림 5-6. 미디어 활용 능력과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변화

가장 뚜렷하게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변화 기울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미

디어 활용 능력과 스마트폰 이용 여부다. 미디어 활용 능력이 높을수록 시간이 지

남에 따라 미디어 레퍼토리 수가 빠르게 줄어든다(가설 2-2-15 채택). 그림 5-6 에

서 볼 수 있듯이, 미디어 활용 능력이 ‘하’인 사람들은 시간이 지나도 미디어 기

기 레퍼토리 기울기 변화가 거의 없다. 스마트폰 수용이 늦고 이용이 적은 이들은

미디어 이용 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자신들의 미디어 기기 이용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미디어 활용 능력이 높은 집단일수록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초기값

도 높고, 그 변화 기울기도 가파르다. 요컨대 미디어 활용 능력이 높은 사람일수록

미디어 컨버전스 속도가 빠르다. 미디어 활용 능력이 높을수록 변화에 민감하고 더

잘 적응한다고 평가할 수 있다.

111

그림 5-7. 스마트폰 이용 여부와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변화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감소가 미디어 활용 능력이 좋은 사람들에게서 발견할

수 있는 미디어 컨버전스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미디어 컨버전스에 가장 크게 기

여하는 것은 역시 스마트폰 이용이다. 스마트폰 이용이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변화

기울기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모형을 세우면,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초기값에 대한

영향은 모형 5 와 반대로 변한다.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스마트폰 이용 초기에는 스

마트폰 비이용자보다 많은 미디어 기기를 이용하는 이들인 것이다. 그러나 스마트

폰 이용은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를 크게 감소시킨다 그림 5–7 에서 볼 수 있다시

피, 미디어 레퍼토리 초기값도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크지만, 그 감소폭은 0.228(=-

0.076*3)만큼 스마트폰 비이용자보다 더 크다. 스마트폰을 이용하면 다른 미디어 기

기 이용이 더 빨리 줄어든다는 것을 보여준다(가설 2-2-16 검증). 그렇지만 스마트

폰을 이용하지 않는 이들의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도 감소한다. 스마트폰 수용 자체

가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으로 인한 미디어 환

경 변화가 개인들의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112

5. 3. 소결

스마트폰의 확산은 미디어 컨버전스를 두 가지 차원에서 모두 보여준다. 사람

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다양한 미디어 행위를 하고 있고, 여전히 여러 개의 미

디어 기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연구 문제에서 제기한 것과 같이 미디어 레퍼

토리는 계속 변화하고 있다.

미디어 레퍼토리를 측정하는데 3 일이라는 시간은 짧은 기간일 수도 있다. 3 일

이라는 기간은 개개인이 이용하는 혹은 이용할 수 있는 모든 미디어 기기를 사용하

거나 혹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미디어 행위를 모두 표출할 수 있는 기간은 아니

다. 그렇지만 일상생활에서 개인들이 즐겨 이용하는 미디어의 변화를 관찰하는 데

는 유용한 기간이다.

3 일간의 기간이었지만 미디어 패널의 스마트폰 수용자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하

여 통화, 채팅 등 커뮤니케이션 행위뿐만 아니라, TV, 신문, 책, 잡지 등 기존의 미

디어 등도 이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미디어 행위

는 해를 거듭할수록 꾸준히 다양해지고 풍성해지고 있다. 이는 스마트폰 이용 행위

를 분석할 때, 단순히 이용 행위의 종류를 보는 것뿐만 아니라, 그 행위의 변화를

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장에서는 방법론 적용에서 패널 자료 특성을 잘 살리기 위해서 개인 성장

모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아직 조사시점이 4 개 연도에 불과하여, 개인 성장 모형

에서 시간효과에 의한 성장/감소 효과를 충분하고, 다양하게 모형에 포함시키지 못

하였다. 그렇지만 스마트폰 레퍼토리와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모두 선형 변화를 하

고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은 오늘날 미디어 기기 이용 및 기기를 이용한 미디어 행

위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스마트폰 레퍼토리와 그 변화를 볼 때 2010 년부터 2013 년까지 지속적으로 레

퍼토리 크기가 증가하였지만 2012-2013 년 사이에는 그 증가폭이 작아진 것을 알

수 있다. 스마트폰의 수용이 인구 절반을 넘는 시점에서 그 사용 방식이 제한적으

로 고착됨을 시사한다. 사람들은 다양한 기능을 갖춘 기기라 할지라도 제한적인 기

능만 사용한다는 것으로, 기존 채널 레퍼토리(Heeter 1985), 웹 레퍼토리 연구

113

(Ferguson and Perse 2000)와 유사한 결과를 갖는다.

그림 5-8. 연령별 스마트폰 레퍼토리 변화 추이

개인 성장 모형 분석에서는 연령별로 증가 추이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피지

않았다. 스마트폰 레퍼토리의 평균이 작고, 연속변수인 연령 변수와 성장률과 상호

작용의 효과가 뚜렷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는 연령과 스마트폰 레퍼토리가 선형

관계가 아니기 때문이다. 두 변수 간의 관계만 살펴보면 그림 5-8 과 같다. 스마트

폰 레퍼토리 크기가 20 대-30 대-10 대-40 대 순임을 알 수 있다. 흥미로운 것은 10

대와 20 대의 경우 2012 년에 스마트폰 레퍼토리 성장이 멈췄지만, 30~40 대의 경우

2012-2013 년 사이에도 레퍼토리 크기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연령별 성장 곡선의 추이를 보면, 제 2 장 그림 2-2 기술확산 모형의 계층

적 모형과 같이 스마트폰 레퍼토리 성장에서 30-40 대를 제외하면 연령대별 계층적

모형이 적합함을 볼 수 있다. 그렇지만 개인 성장 모형이 아니라 연도별 레퍼토리

평균을 살펴보는 것은 스마트폰을 새로 수용한 사람들의 효과를 명확하게 파악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어서 이를 유의해야 한다.

0

0.5

1

1.5

2

2.5

2010 2011 2012 2013

10세 이하

10대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70세 이상

114

스마트폰 레퍼토리 개인 성장 모형 분석(표 5-1, 그림 5-2)에서 개인의 스마트

폰 레퍼토리 변화를 볼 때 매년 스마트폰 레퍼토리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1

년 이상 이용한 이들뿐만 아니라 당해 연도에 스마트폰을 수용한 이들도 스마트폰

레퍼토리가 작년 평균에 비해 크다는 것은 스마트폰 레퍼토리의 자연 성장을 의미

한다. 일상생활에서의 필요 혹은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스마트폰 앱이 스마트폰

이용의 다양성을 만들어낸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그림 5-9 에서 볼 수 있듯이 2009 년-2014 년 5 년 간 약 144 만개의 앱이 새로

이 만들어져서 스마트폰으로 내려받을 수 있다. 매년 10~50 만개에 이르는 새로운

앱이 등장하면서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더 세세하게 자신의 욕구와 목적에 맞춰 스

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여기에서 인간과 미디어의 공진화를 추론해볼

수 있다. 스마트폰 레퍼토리의 성장이 스마트폰을 능숙하게 사용한다는 것을 보여

주는 것이지만, 이는 풍부한 콘텐츠 조성으로 이용 여건이 좋아지면서 스마트폰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양면적인 해석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그림 5-9. 안드로이드 앱 성장 추이 (출처: Statista 2014)

또한 개인 성장 모형 분석에서 스마트폰 수용 시기와 스마트폰 레퍼토리 변화

율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2010 년도에 스마트폰을 수용한 개혁자 성향을 가진 이들

이 2011 년에 스마트폰을 수용한 집단과 비교할 때 이용 학습 속도가 빠르지 않고

0

200,000

400,000

600,000

800,000

1,000,000

1,200,000

1,400,000

1,600,000

2009.12월

2010.3월

2010.4월

2010.7월

2010.10월

2011.4월

2011.7월

2011.8월

2011.12월

2012.2월

2012.5월

2012.6월

2012.9월

2012.10월

2013.4월

2013.7월

2014.7월

2010.12월

115

더 다양하게 사용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확산 단계에 따라서

수용층들의 특성이 차이가 존재하기도 하지만 뚜렷하게 특성이 구분되는 시점은 각

미디어에 따라 혹은 문화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스마트폰과 같이 메타미디엄의 성격을 갖는 기기의 경우에는 활용 능력

혹은 리터러시를 측정할 때, 보다 세밀한 영역을 구분하여 측정해야 할 필요성을

발견할 수 있다. 게임을 하는 것, 음악을 듣는 것과 같이 정보 활용 능력이라고 보

기보다는 개인의 취향으로 볼 수 있는 행위들을 구분해야 하기 때문이다. 지금의

모형은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는 것이 스마트폰을 보다 잘 활용하는 것

이라는 전제 아래 스마트폰 레퍼토리 성장 모형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미디

어 레퍼토리 연구와 같이 스마트폰의 미디어 행위에 대한 레퍼토리 유형 연구가 후

속적으로 필요하다.

반대로 스마트폰으로 인하여 사람들의 다중 미디어 행위는 ‘기기 이용’이라

는 측면에서 그 다양성이 감소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다양한 기능이 스마트폰 이외

의 다른 미디어 기기들을 조금씩 대체해나가고 있는 것이다. 또한 스마트폰을 소유

하고 있는 이들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비소유자도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가 감소하고

있다는 것은 개인들의 미디어 이용이 개인의 소지 여부를 떠나서 다른 이들과의 상

호작용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26.

스마트폰 보급 등과 같이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이 아니라면 미디어 레퍼토리가

매년 변화한다는 가정과 이러한 성장모형을 적용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을 수 있

다. 하지만 앞서 살펴봤다시피, 2011 년에서 2013 년 만 2 년 동안 조사 인원의 2/3

에 해당하는 응답자들의 미디어 레퍼토리 크기가 변화하였고, 개인 성장 모형을 통

해서도 유의미한 변화를 추정할 수 있었다. 스마트폰의 확산과 더불어 미디어 레퍼

토리 크기의 변화가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서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의 선형 감소 추세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앞으로 스마트폰이라는 하나의 미디어 기기로 모든 미디어가 수렴하는 레퍼토리 감

26 예를 들어 친구들과 모여서 사진을 찍어야 할 일이 있을 때, 개인이 소지한 디지털

카메라보다 성능이 좋거나 최신 기종의 디지털카메라 혹은 스마트폰 보유자가 있으면

자신의 디지털 카메라는 이용을 하지 않게 된다.

116

소가 이루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추론한다. 지금까지의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를

보면 TV 를 중심으로 미디어 레퍼토리가 구성되어 있고, TV 시청은 여전히 많은 이

들에게 가장 큰 미디어 활용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신지형 2014, 심미선 2007).

TV 가 등장한 이후에도 라디오가 여전히 공존하며 역할을 하고 있는 것과 같이

(Dimmick 2003), 각각의 미디어들은 새로운 미디어 생태계에서 나름의 적합한 위치

를 찾고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도 가능하다. 앞으로 사물 인터넷이 발달하는 과정에

서 스마트 TV 는 가구 내의 다양한 전자 기기들을 연결하는 허브 역할을 할 것이라

는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이동건, 이상준, Beom-Jin Choi 2012). TV 가 스마트 미

디어로 다시 변화하고, 또 스마트홈이 확산된다면 개인이 접하는 미디어 환경은 크

게 변화할 것이다.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감소 선형 효과는 앞으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스마트워치, 스마트글라스(Google glass) 등 착용 가능한 디지털 기기

(wearable digital device)가 새로 등장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기기들은 스마트폰

혹은 가정 내의 기기들과 연결되어 공존하는 형태로의 발전이 예상되기 때문에, 이

들이 대중화된다면 미디어 레퍼토리의 크기가 다시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화할지 모

른다.

그렇지만 미디어 이용 시간 변화 등을 통해 살펴볼 때,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이동 가능한(mobile) 개인 미디어 기기의 이용 증가와 기존 미디어 이용 대체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미디어 기기가 더 많은 삶의 영역(길찾기, 콘텐츠

공유 등)에 이용될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미디어 이용 시간 및 미디어 레

퍼토리 변화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앞으로의 미디어 레퍼토리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시도했던 것과 같

이 미디어 기기–콘텐츠–행위의 조합으로 미디어 레퍼토리를 구분하고 기기의 특성

과 미디어 행위의 특성이 어떻게 조합되는지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미디어 패널 자료로 미디어 기기–미디어 행위의 매트릭스를(matrix) 도출하고, 이

연결의 관계적인 측면을 살펴봐야 할 것이다.

117

제 6 장 결론

6. 1. 요약 및 토론

한국은 ICT 의 이용이 인구집단을 고르게 포함하는 수준에 이르렀기 때문에, 기

존 정보 격차 논의가 무의미하지 않는가라는 생각이 가능하다. 그러나 초기의 정보

격차 연구와 같이 접근성(access) 자체에 관심을 두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이용

의 맥락을 살펴보는 것은 여전히 중요하다. 다양한 기기를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근

할 수 있으면서, 기기의 특성과 이용 양식 차이의 조응을 살펴보는 것은 새로 ICT

기술이 확산되어 가는 다른 국가들에게 정책적 함의도 가져다 줄 수 있다.

그렇지만 최근의 ICT 이용에 대한 연구는 커뮤니케이션과 MIS 관련 영역 중심으

로 논의되어 왔다. 사회학계에서는 1990 년대 후반에서 2000 년대 초반까지 정보 격

차(digital divide)와 네트워크 사회의 도래에 대한 논의를 시작한 이후 정보불평등

그 자체에는 많은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주로 인터넷을 매개로 한 사회적 관계

의 증감, 정치 참여 등 인터넷의 효과에 대한 관심이 더 많았다. 사회학에서는 더욱

이론적이고, 방법론적인 논의들이 강조되다 보니 인터넷, 모바일, 스마트폰 확산 등

비슷한 양상이 반복되며 빠르게 변화하는 현상들과 이에 대한 관심에 답하는 연구

들이 밀려나 버린 것인지도 모른다. 혹은, 정보불평등에서 사회구조적인 요인은 한

국과 같은 정보기술 이용이 일상화된 나라에서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는 것일 수 있

다. 이는 역설적으로 정보불평등의 누적적 효과, 그리고 새로운 미디어가 정착되는

과정에서 사회구조적인 요인이 미치는 영향 등을 연구하고 사회학적인 함의들을 찾

아내야 하는 작업들이 아직 필요함을 의미한다. 여전히 사회구조적인 요인이 정보

불평등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그 양상은 인터넷 확산 때와는 다르기 때문이다.

2009년부터 시작된 스마트폰 확산은 2014 년 9 월 현재 한국 인구 대비 78% 수

준에 이를 정도로 빠르게 진행되었다. 이는 그림 6-1 과 같이 인터넷 이용 확산과

비교해보면 그 속도가 얼마나 빠른지를 알 수 있다.

118

그림 6-1 인터넷과 스마트폰 확산 속도 비교

(자료 출처: 한국인터넷진흥원 (2014), 미래창조과학부 (2014), 단위: 만 명)

이 논문에서는 한국 미디어 패널이라는 대표성 있는 표본을 대상으로 4 년

(2010-2013 년)에 걸친 시계열 분석을 실시하여, 스마트폰 확산 과정에서 정보불평

등의 다양한 양상들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스마트폰의 빠르고 광범위

한 확산에도 불구하고 그 과정에서는 여전히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기존에 형성된

미디어 활용 능력의 차이로 인한 정보불평등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순한

휴대폰 교체 주기로는 스마트폰의 확산을 설명하지 못하는 것이다. 스마트폰이 휴

대폰이라는 커뮤니케이션 도구라는 특성뿐만 아니라 이용자마다 활용 범위를 달리

가질 수 있는 정보 기기로서의 성격을 갖춘 메타미디엄으로의 특성을 갖는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더불어 미디어 활용 능력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스마트폰 수용, 이

용량, 정보 이용 행위, 스마트폰 레퍼토리,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크기와 그 변화율

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여 새로운 단계의 정보 기기 확산에 기존에 형성된

정보불평등이 누적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스마트폰의 빠른 확산과 폭넓은 이용으로 스마트폰과 관련한 정보불평등

이 점점 줄어들고는 있지만, 기존에 미디어 활용 능력이 낮은 사람들은 여전히 정

보화의 혜택에 대한 소외 대상으로 존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들에 대한 추

가적인 분석은 부록 3 에서 다룬다.

한편, 스마트폰으로 인한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정보불평등을 단순하게

1,904

2,4382,627

2,922 3,158

3,301 3,491 3,559 3,619 3,658 3,701 3,7183,812

4,008 4,112

442

1,867

3,088

3,663

4,006

0

1,000

2,000

3,000

4,000

5,000

2000 2001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인터넷 이용자수

스마트폰 이용자 수

119

스마트폰 수용 혹은 이용량에서만 살펴볼 것이 아니라 다양한 차원에서 관찰해야

함을 제시한 것도 이 논문이 기여한 바다.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다중 미디어

이용 방식은 끊임없이 변화한다. 스마트폰의 이용은 다른 미디어 기기 이용에 영향

을 미친다. 스마트폰 레퍼토리 분석에서는 미디어 이용자 개인 수준에서 스마트폰

의 이용 다양성이 증가하고 있음을 검증하였고,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분석에서는

반대로 미디어 기기 이용 수가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가설에서 제기하였던 대로 미디어 활용 능력이 높은 사람이 더욱 빨리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를 줄여나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기존 연구가 다중 미

디어를 많이 이용하거나 미디어 레퍼토리가 큰 것이 미디어 활용 능력이 우수한 것

으로 제시한 것이 스마트폰 등장 이후에는 달라지게 됨을 나타낸다. 미디어 컨버전

스를 빨리 해나가는 것도 스마트폰을 잘 활용하고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잘 적응

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고 정보불평등의 한 양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시

사한다. 스마트폰 레퍼토리 분석과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분석으로 미디어 환경이

변화는 과정에서 미디어-인간의 공진화를 이해할 수 있었다.

논문 분석에서 활용한 미디어 패널 4 개 연도(2010-2013 년) 자료는 연구자들에

게 공개되어 있지만, 아직까지 경험적 연구 결과가 많지 않다. 이 논문은 미디어 패

널 자료를 분석하는데 있어서도 방법론적으로 기여를 하였다. 첫째, 확률효과 모형,

개인 성장 모형 등을 비교하여 다년간의 패널 자료를 분석하여 개인들의 미디어 이

용 변화를 분석하였다. 둘째, 0 이 많이 발생하는 미디어 이용 횟수 분석에 있어 제

로 팽창 음이항 분석을 적용했다는 것도 기존 사회학,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많이

쓰이지 않았던 새로운 방법론을 도입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6 장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연구에서 발견한 정보불평등의 다양한 측면들을 요

약, 부연하며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6. 1. 1. 정보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론에서 정보불평등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앞선 선행

연구들과 비교하여 볼 때 주목해야 할 것은 미디어 활용 능력의 큰 영향력과 소득

변수의 영향력이다. 4.4 소결에서도 살펴본 것과 같이 미디어 활용 능력은 스마트폰

수용과 이용, 그리고 정보 이용 행위에 다른 어떤 변수들보다 크고 지속적인 영향

120

을 미친다.

반면 이전까지 정보불평등에 중요하게 다뤄진 소득 변수의 효과는 초기에는 나

타나지 않거나(수용), 이용량과 부적 관계를 갖거나,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정보

이용 행위, 스마트폰 레퍼토리). 경제력이 정보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이 과거 PC∙인

터넷 확산 시기보다 약해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스마트폰이라는 정보 미디어

기기과 관련한 정보불평등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경제적 관점보다는 다른 관점에

서 이해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디어 활용 능력의 지속적이고 큰 영향과 소득의 일정치 않은 영향력을 보면

과거 자기 자신이 얼마나 정보 미디어에 관심을 갖고 친근했는지가 경제 자본보다

중요한지를 보여준다고 해석이 가능하다. 최근 문화 소비에 있어서도 유사한 경향

성이 나타난 것을 보여주는 연구가 있다. 고급 문화라고 인식되었던 클래식과 국악

공연 관람을 2 번 이상 한 이들을 대상으로 분석할 때 관람 횟수에 있어서 소득이

나 교육수준은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개개인이 얼마나 관심갖고 정보를 수집하는지가

크고 유의한 관계를 갖는다(정영찬 등 2014). 인터넷과 온라인의 활성화로 정보환경

이 변화하여 과거 일부 계층만이 향유할 수 있었던 정보와 문화에 대한 접근과 이

용의 제약이 사라졌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스마트폰 수용과 이용도 일종의 문화 소비로 바라보고 접근하여 해석할 수 있

다. 제한적이고 차별적인 행위였던 정보 미디어 이용 행위 역시 점점 일반화하고

있고 그 과정에는 경제자본보다는 개인들이 살아오면서 형성한 경험과 관심이 더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미디어 기기를 이용할 수 있고,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능력이 문화 소비 및 정보불평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정보 행

동과 미디어 활용 능력이 앞으로 문화의 하위 영역들에서 그 연관성을 살펴볼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일관되게 정보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연령

과 학력이다. 스마트폰 수용 시기, 이용량, 정보 이용 행위, 스마트폰 레퍼토리 크

기,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감소 속도에도 연령이 미치는 영향을 뚜렷하고 일관되게

볼 수 있다. 나이가 어릴수록 정보에 대한 접근성과 이용이 좋다. 정보 미디어 이용

에 있어 세대의 구분이 명확하게 나타나는 것이다. 연령에 따른 정보 미디어 이용

121

의 차이는 새로운 소식을 접하는 뉴스 채널의 차이 및 정치적 의견 표출 방식, 온

라인 커뮤니티 참여 등 다양한 차이를 만들어 내고 이는 정치적 입장 및 가치관 차

이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앞으로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이현주 2014).

학력의 경우는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감소 속도를 제외하고 정보불평등의 하위

4 개의 차원에서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를 보였다. 아직까지는 스마트폰 이용이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교육 수준이 높아 새로운 것에 대한 학습 능력이 우수하고, 더 많

은 정보를 접하고자 하는 이들이 상대적으로 더 빨리, 더 많이, 더 다양하게 이용을

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 미디어 기기는 어떻게 이용하는지에

따라서 활용의 다양성과 이에 따른 효용이 크게 달라진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에게

다양한 기능을 소개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알려주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 밖에도 성별, 고용, 지역의 효과는 종속 변수 혹은 통계 모형에 따라서 불평

등 양상을 이해할 수 있는 측면이 달라지는 것을 살펴보았다. 대표적인 예가 지역

에 따른 스마트폰 수용 차이가 존재하지만(그림 4-4),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면(표

4-1) 그 효과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 시기가 많다는 것이다. 즉 정보불평등은

여러 가지 사회구조적인 요인들은 서로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개별 요

인의 효과를 명확하게 살펴보기 위해서는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고 그 결과를 이해

해야 한다.

6. 1. 2. 정보불평등 양상의 시간적 변화

정보불평등 양상의 시계열 변화를 살펴보았다는 것은 이 논문이 가진 장점이

다. 정보불평등은 사회구조적인 요인과 이전 단계에서의 정보불평등이 중첩적으로

맞물려 나타나는 현상이지만, 고착되어 있는 정태적인 문제는 아니다. 사회 변화와

기술 발전이라는 큰 틀에서 볼 때 어느 구성원이 이러한 변화에 앞장서 있거나 이

득을 받고 있는가의 문제, 반대로 어느 구성원들이 이러한 변화에 뒤쳐져 있거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가의 관점에서 살펴봐야 한다. 명확하게 사회를 진단해야

앞으로의 기술 발전으로 인한 사회 변화 과정에서 소외 계층을 빨리 줄일 수 있다.

스마트폰이라는 새로운 정보 기기가 출시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보불평등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크기는 줄어들고 있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표 6-1 에서

는 4 장과 5장에서 통계 모형들을 이용하여 분석한 정보불평등의 다양한 측면들의

122

변화를 보기 쉽게 정리하였다. 연속변수였던 독립변수의 값을 리코딩하여 카테고리

화하고 각각의 종속변수에 대한 평균을 산출하였다. 표 6-2 는 각각의 변수에서 집

단별로 정보불평등 양상의 평균값 중 최대값을 100 으로 놓고 상대적인 비교가 가

능하도록 표준화하여 시계열 변화에 따른 간극의 변화를 살펴보았다.27

표 6-2 에서 각 집단별 최대값과 최소값을 뺀 값을 격차 지수라고 산정하고 이

변화 추이를 살펴본 것이 그림 6-2 이다. 숫자가 클수록 집단 간의 정보불평등 차이

가 큰 것을 의미한다. 성별의 경우 스마트폰 수용, 이용량, 정보 이용 행위 여부,

스마트폰 레퍼토리 네 가지 차원 모두 시간이 지날수록 남녀 간의 차이가 크게 줄

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격차의 양상이 가장 크게 나타는 것은 앞서 살펴본 대로 미디어 활용 능력, 연

령 그리고 교육수준이다. 이 그림을 통해서 정보 격차는 소득이나 거주 지역보다는

미디어 활용 능력, 연령, 교육수준이 더 명확한 간극을 만들어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3 개의 요인 모두 시간이 지날수록 격차가 줄어드는 것이 나타난다. 미디어

활용 능력에 따른 격차가 가장 좁혀지지 않고 있고, 연령에 의한 격차는 2013 년부

터 조금씩 줄어드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교육수준 차이로 인한 격차는 2011 년부터

뚜렷하게 감소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반면 소득의 경우는 집단 간 격차가 상대적

으로 크지 않고 특정한 방향이 없이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거주 지역은

2010 년에 비하여 2013 년에 격차가 더 벌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개의 차원에서 미디어 활용 능력, 학력과 연령 등 스마트폰 수용과 이용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영향이 작아진다는 것은, 확산 단계에 따라서

스마트폰을 수용하는 이들의 특성이 다르다는 것, 그리고 불평등의 간극이 좁아지

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해석에서 유의해야 할 것은 표준화하지 않은 상

태에서(표 6-1) 각 차원의 요인 내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를 살펴본 절대 격차는

반 다이크가(van Dijk 2005: p51-52) 살펴본 것과 마찬가지로 증가하고 있다.

27 표준화한 값으로 계산한 정보 격차에서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는 다른 변수들과는

다른 성격을 갖기 때문에 격차 추이 변화 그래프를 제시하지 않는다. 또한 유의할 것은 정보

이용 행위와 같이 표 6-1의 원래 값이 작은 경우, 표준화할 때 비율이 과장되어 이해될

수도 있다.

123

표 6-1. 정보불평등 다양한 차원들의 변화

스마트폰 수용 스마트폰 이용량 정보 이용 행위 스마트폰 레퍼토리

(다양성)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2010 2011 2012 2013 2010 2011 2012 2013 2010 2011 2012 2013 2010 2011 2012 2013 2010 2011 2012 2013

전체 평균 0.07 0.17 0.42 0.59 0.32 1.07 2.55 3.75 0.00 0.01 0.04 0.08 0.08 0.29 0.80 1.11 3.06 3.14 2.97 2.90

성별 남성 0.09 0.20 0.46 0.63 0.44 1.28 2.73 4.01 0.01 0.01 0.04 0.08 0.11 0.33 0.85 1.16 3.05 3.20 3.04 3.00

여성 0.05 0.15 0.39 0.55 0.23 0.89 2.40 3.54 0.00 0.01 0.04 0.07 0.06 0.25 0.75 1.07 3.07 3.09 2.91 2.80

연령대별 19 세 이하 0.02 0.12 0.44 0.63 0.11 0.80 2.69 4.17 0.00 0.01 0.03 0.06 0.03 0.22 0.84 1.15 2.89 2.94 2.77 2.57

20 대 0.22 0.54 0.90 0.96 1.30 3.93 6.61 7.90 0.02 0.06 0.13 0.15 0.33 1.03 1.96 2.08 3.34 3.48 3.30 3.08

30 대 0.13 0.34 0.75 0.92 0.51 1.96 4.54 6.05 0.01 0.02 0.07 0.14 0.14 0.54 1.46 1.92 3.58 3.70 3.45 3.38

40 대 0.05 0.18 0.53 0.81 0.24 0.95 3.00 4.83 0.00 0.01 0.05 0.10 0.07 0.27 0.94 1.46 3.29 3.46 3.29 3.24

50 대 0.01 0.05 0.25 0.52 0.06 0.26 1.34 2.82 0.00 0.00 0.02 0.06 0.01 0.07 0.42 0.87 2.86 3.05 2.92 2.96

60 세 이상 0.00 0.00 0.03 0.10 0.03 0.03 0.12 0.40 0.00 0.00 0.00 0.01 0.01 0.01 0.04 0.15 2.42 2.51 2.45 2.46

학력별 중졸 이하 0.01 0.02 0.12 0.23 0.02 0.12 0.62 1.22 0.00 0.00 0.01 0.02 0.01 0.04 0.22 0.39 2.58 2.66 2.54 2.48

고졸 이하 0.05 0.16 0.47 0.71 0.25 0.92 2.75 4.28 0.00 0.01 0.04 0.09 0.05 0.26 0.88 1.31 3.06 3.20 3.00 2.89

대재 이상 0.15 0.39 0.75 0.89 0.71 2.52 4.85 6.26 0.01 0.03 0.08 0.13 0.19 0.67 1.46 1.77 3.56 3.71 3.49 3.41

소득 수준 상 0.10 0.27 0.60 0.78 0.47 1.68 3.81 5.00 0.00 0.02 0.06 0.10 0.11 0.46 1.15 1.46 3.41 3.48 3.23 3.15

중 0.07 0.19 0.51 0.70 0.33 1.18 3.01 4.45 0.00 0.01 0.04 0.09 0.09 0.32 0.96 1.34 3.18 3.32 3.11 3.02

하 0.05 0.10 0.21 0.34 0.26 0.66 1.33 2.17 0.00 0.01 0.02 0.04 0.06 0.17 0.41 0.63 2.82 2.77 2.66 2.59

고용 여부 고용 0.10 0.22 0.48 0.66 0.47 1.31 2.87 4.09 0.01 0.01 0.04 0.09 0.13 0.35 0.90 1.24 3.26 3.34 3.16 3.14

비고용 0.04 0.13 0.37 0.52 0.22 0.88 2.28 3.45 0.00 0.01 0.03 0.06 0.05 0.24 0.71 0.99 2.92 2.98 2.79 2.67

거주 지역수도권 시 지

역 0.08 0.23 0.54 0.72 0.35 1.47 3.65 5.27 0.00 0.02 0.04 0.11 0.10 0.37 0.97 1.37 3.08 3.23 3.03 3.05

기타 시 지역 0.05 0.15 0.40 0.56 0.27 0.94 2.16 3.24 0.00 0.01 0.04 0.06 0.06 0.27 0.78 1.07 3.05 3.15 2.99 2.87

군 지역 0.06 0.10 0.25 0.31 0.33 0.57 1.44 1.57 0.01 0.01 0.03 0.03 0.07 0.17 0.50 0.56 2.88 2.90 2.75 2.60

미디어 상 0.11 0.30 0.68 0.88 0.52 1.91 4.32 6.00 0.01 0.02 0.07 0.12 0.13 0.52 1.32 1.72 3.41 3.51 3.32 3.21

활용 능력 중 0.01 0.04 0.20 0.39 0.03 0.18 0.95 1.87 0.00 0.00 0.01 0.04 0.01 0.06 0.34 0.65 2.79 2.95 2.76 2.71

하 0.00 0.00 0.01 0.03 0.00 0.00 0.04 0.16 0.00 0.00 0.00 0.00 0.00 0.00 0.01 0.04 2.15 2.31 2.23 2.22

124

표 6-2. 정보불평등 다양한 차원들의 변화 (표준화)

스마트폰 수용 스마트폰 이용량 정보 이용 행위 스마트폰 레퍼토리

(다양성)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2010 2011 2012 2013 2010 2011 2012 2013 2010 2011 2012 2013 2010 2011 2012 2013 2010 2011 2012 2013

전체 평균 0.07 0.17 0.42 0.59 0.32 1.07 2.55 3.75 0.00 0.01 0.04 0.08 0.08 0.29 0.80 1.11 3.06 3.14 2.97 2.90

성별 남성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99 100 100 100

여성 57 71 84 89 52 69 88 88 51 65 88 94 60 76 88 92 100 97 96 93

연령대별 19 세 이하 11 23 49 65 8 20 41 53 7 20 25 43 8 22 43 55 81 80 80 76

20 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93 94 96 91

30 대 58 62 83 95 39 50 69 77 28 32 51 96 43 52 75 92 100 100 100 100

40 대 25 33 59 84 19 24 45 61 12 17 36 69 21 26 48 70 92 94 95 96

50 대 7 9 28 54 5 7 20 36 0 2 15 40 3 7 22 42 80 82 85 88

60 세 이상 2 1 3 10 3 1 2 5 0 1 1 6 2 1 2 7 68 68 71 73

학력별 중졸 이하 4 6 16 25 3 5 13 19 0 3 8 12 3 5 15 22 73 72 73 73

고졸 이하 31 41 62 79 35 37 57 68 8 29 56 66 28 39 60 74 86 86 86 85

대재 이상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소득 수준 상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37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중 70 72 85 89 70 70 79 89 100 54 76 89 85 70 84 92 93 95 96 96

하 46 37 35 43 55 39 35 43 80 37 40 42 56 38 35 43 83 80 82 82

고용 여부 고용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비고용 41 60 76 79 47 67 79 84 35 83 82 73 43 67 78 80 90 89 88 85

거주 지역수도권 시 지

역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35 100 93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기타 시 지

역 63 66 74 78 78 64 59 61 56 53 100 56 67 73 81 78 99 97 99 94

군 지역 77 43 46 43 93 39 39 30 100 53 63 23 69 46 52 41 93 90 91 85

미디어 상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활용 능력 중 6 13 29 44 6 9 22 31 0 8 14 29 8 11 26 38 82 84 83 84

하 2 0 1 3 1 0 1 3 0 0 0 3 1 0 1 2 63 66 67 69

125

그림 6-2. 정보불평등 양상의 변화

126

지금까지의 분석은 스마트폰 확산 초기 4 년을 다룬 것이기 때문에 스마트폰과

관련한 정보불평등의 양상은 앞으로도 매년 달라질 것이다. 스마트폰과 관련한 정

보불평등 양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는 앞으로도 관심이 필요하다.

6. 1. 3. 정보불평등에 대한 입체적 이해

이 논문이 기존의 정보불평등 논의에 기여하는 것 중의 하나는 정보불평등을

수용, 이용량, 정보 이용 행위 등 기존의 시각에서 검증한 것뿐만 아니라, 미디어

컨버전스의 진행이라는 미디어 환경 전반에 걸친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것

이다. 이는 그동안 미디어 생태학이 단기적 사회변화 분석에 부적합하다는 지적을

넘어서는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김성벽 2004, 김희정 2014).

스마트폰에서 비롯한 정보불평등은 단순하게 스마트폰을 이용하느냐 아닌가의

문제로 접근하기 어렵다. 기존의 휴대폰에 비하여 큰 화면과 스크린 터치가 가능한

입력 체계,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와 함께 즐길 수 있는 여러 가지 통신 제반 환경

의 변화, SNS 와 UCC 등 다양한 콘텐츠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변화 속에 스마트

폰이 놓여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마트폰의 확산과 더불어 정보불평등을 이해하는 지표로, 미디어 레퍼

토리 논의를 도입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한 미디어 행위의 다양성을 측정하고 두 가

지 측면의 미디어 컨버전스를 확인하였다. 스마트폰 레퍼토리는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하고 있고, 미디어 기기 이용 다양성(미디어 기기 레퍼토리)은 반대로 감소하고

있다. 이는 스마트폰으로 인하여 다중 미디어 이용 양태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수용과 이용, 그리고 다양성 등 다양한 측면을

살펴봤다. 이러한 다양한 차원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 살펴보자. 먼저, 그림 6-3 은

스마트폰 수용 시기와 이용량의 관계를 연도별로 살펴보았다. 스마트폰 수용 시기

에 따른 이용량의 차이가 뚜렷이 드러나지는 않는다.

수용 시기가 다른 집단 간의 이용량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서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시행하면 2011 년에는 2010 년, 2011 년 수용한 이들

간의 스마트폰 이용량의 차이가 없다. 한편, 2012 년에는 각각 2010, 2011, 2012 년

수용한 시기에 따라 스마트폰 이용량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그러나 2013 년에는

127

2011 년에 수용한 이들에 비하여 2010 년에 스마트폰을 수용한 이들의 스마트폰 이

용량 평균이 유의미하게 작다. 스마트폰 수용시기에 따라서 이용량이 일관적으로

뚜렷하게 차이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그림 6-3. 스마트폰 수용 시기에 따른 스마트폰 이용량 차이

스마트폰 이용량과 스마트폰 레퍼토리와의 관계를 살펴보자. 인터넷 이용과 마

찬가지로 스마트폰을 다양하게 이용할수록 스마트폰 이용량이 증가할 것이라는 생

각은 할 수 있다(Blank and Groselj 2014). 그림 6-8 에서 살펴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스마트폰 레퍼토리가 증가할수록 스마트폰 이용량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

다. 두 변수 간의 관계를 회귀 식으로 구해보면 회귀 계수가 2.97 로 스마트폰 레퍼

토리가 하나 증가할수록 하루 평균 3 회(약 45 분)의 스마트폰 이용량이 증가한다.

이처럼 앞의 본문에서 살펴보지 못한 스마트폰 수용 시기-이용량, 스마트폰 레

퍼토리–이용량 등도 서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스마트폰 수용-이용량-다양성

의 관계를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일방적으로 스마트폰 레퍼토리의 다양성이 큰 이들을 정보 활용 능력이

우수하다고 평가하기는 어려울 수 있다. 스마트폰 레퍼토리에는 TV 이용 등 오락/

유희적 미디어 활동이 많기 때문에, 모든 집단에서 스마트폰 이용 능력이 평준화된

다면 스마트폰 레퍼토리 다양성의 의미 그리고 스마트폰 레퍼토리와 스마트폰 이용

2010 2011 2012 2013

a2010 4.41 6.39 7.94 6.70

a2011 6.28 6.45 7.50

a2012 5.58 6.29

a2013 5.22

0.00

2.00

4.00

6.00

8.00

10.00

스마

트폰

이용

량(횟

수)

128

량과의 관계 등은 변할 수 있다. 또한 개인 성장 모형으로 분석할 때는 스마트폰

페러토리가 성장하고 있고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가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동시에

발견할 수 있었지만, 스마트폰 레퍼토리 크기와 변화율은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변

화 크기 및 속도와는 직접적인 관련성을 찾을 수 없었다. 스마트폰 활용의 다양성

과 미디어 기기 다중 이용 행태 변화와 관련해서는 앞으로 더 자세한 연구가 필요

하다.

그림 6-4. 스마트폰 레퍼토리와 스마트폰 이용량과의 관계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레퍼토리의 조합, 시공간적 맥락에 따른 미디어 이용 양

태 등 융합형 미디어로서 스마트폰의 스마트한 이용에 대한 고민이 더욱 요구된다.

예를 들어, 개인이 집 안에서 TV 와 스마트폰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을 때 어떠한

특징을 가진 집단이 TV 기기를 선호하고, 어떤 집단이 스마트폰을 선호하는가? 미

디어 이용 시간 중 스마트폰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집단의 특성은 무엇인

가? 이를 밝혀낸다면 미디어 행위와 미디어 기기의 선택적 친화성뿐만 아니라 미디

어 최적화에 경험적 증명 그리고 미디어 레퍼토리 구성이 이루어지는 환경적, 구조

적 특성을 더 자세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9

6. 2. 앞으로 연구와 정책 방향에 대한 제언

6. 2. 1. 정보불평등의 다양한 차원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의 확산 과정에서 스마트폰에 대한 물리적 소유, 이용

량, 그리고 정보 행위 여부, 스마트폰 레퍼토리 변화 등 비교적 쉽게 관찰할 수 있

는 물리적인 이용 측면에서의 불평등을 살펴보았다. 결론 부분에서 분석을 시도한

결과를 간단히 언급하였으나, 가구 구성과 같은 사회 관계적 요인도 정보불평등을

이해하는 데 필요하다.

정보는 사람과의 관계 혹은 미디어를 통해서 습득하지만, 스마트폰 구매와 같

은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미디어보다는 사람과의 관계가 더욱 중요하다(Banerjee

et al. 2013).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연락을 주고받는 관계의 수 등 사회 관계적 측면

을 고려하여 이들이 스마트폰 수용 및 이용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일지 살펴볼 필요

가 있다.

또한 정보불평등은 여러 차원에서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도구적이고 물리

적인 측면에서의 정보불평등이 다른 정보불평등의 근저에 놓이기 때문이다. 앞으로

의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수용, 이용량, 정보 행위 등을 조절 기제로 놓고 다양한 결

과적 불평등의 양상이 어떻게 벌어지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첫째, 스마트폰을 이용한 콘텐츠 생산의 영역이다. 스마트폰은 개인이 원한다면

언제 어디서든 자신의 의견을 공적으로 발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뿐만 아니

라, 디지털 사진과 동영상 등도 쉽게 만들고 공유할 수 있다. 콘텐츠 생산의 차이와

불평등은 스마트폰 레퍼토리의 조합과도 연결되어 있을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새로운 미디어 기기 사용에서는 기존보다 콘텐츠의 생산 차이가 더욱 벌어질 수 있

기 때문에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이런 부분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둘째, 스마트폰 이용과 정치 참여와의 관계이다. 정치 참여는 사회 갈등과 불평

등의 양상이 가장 극적으로 표출될 수 있는 지점이다. 인터넷 이용이 활성화되고,

트위터 등 SNS 가 확산됨에 따라 지난 몇 차례의 선거에서 트위터 등의 정치적 활

용이 크게 주목받았다. 인증샷 공유를 비롯한 투표 독려행위가 실제 일부 세대의

투표율에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이미나, 서희정 and 김현아 2012). 아

130

울러 SNS 에서의 정치 행위를 분석하는데 주목해야 할 지점은 한국 사회에서 어떤

특성을 갖는 인구 집단이 이런 행위를 많고 적게 하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이다. 스

마트폰과 같이 개인화된 미디어 기기를 이용할 때 이러한 정치 참여 행위는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예를 들면, 60 대 이상의 사람들도 스마트폰으

로 젊은이들이 많이 사용하는 트위터와 같은 SNS 를 이용하게 되면 더 진보적인 성

향을 갖게 되는지, 혹은 그렇지 않더라도 인증샷 놀이 같은 유행이 확산되는지 등

과 같은 한국 내에서 정치 성향에 따른 분화와 정보 미디어 이용과의 관계는 앞으

로도 많은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스마트폰 이용이 사회적 관계 혹은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가에 대한 연구

이다. 2013 년 미디어 패널 조사에는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묻는 문항이 포함되었

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흥미롭게도 스마트폰을 소유하고 있는 이들이 그렇지 않은

이들에 비하여 개인적 측면, 관계적 측면, 집단적 측면에서 모두 삶의 만족도가 유

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김나영 2014). 물론 이는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을 통

제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결과이기 때문에 스마트폰이 직접적으로 삶의 만족도를 높

여준다고 주장할 수는 없다. 그러나 스마트폰과 SNS 등이 연결망 효과를 가져온다

면, 연결망에 포섭되지 않은 이들과의 간극이 실제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넷째, 스마트폰으로 인하여 일상생활에 실제적인 변화(혜택이나 배제)가 발생했

는지를 살펴보는 차원에서의 정보불평등 연구가 필요하다. 앞에서 논의했다시피 스

마트폰으로는 시간과 경제적 자원을 아끼는 행위를 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하

여 누가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려고 하는지, 얼마나 아끼는지, 혹은 한정된 재화

를 누가 점유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의 경우 최근 빠른 정보화로

인한 혜택이 젊은 세대 중심으로만 누려지고 있다는 문제의식이 드러나고 있다. 스

마트폰으로 각종 공연이나 교통 서비스(철도/고속버스) 이용에서 예매를 할 수 있게

되면서, 스마트폰이 없거나 활용 능력이 없는 이들이 상대적인 피해를 받고 있다.

이에 철도 서비스를 운영하는 코레일에서는 정보 소외 계층의 철도 이용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어르신 우대 예약’을 실시하고 전용좌석 등을 운영하기도 한다

(코레일 2013). 스마트폰의 나쁜 영향으로 살펴볼 수 있는 것은 삶의 가속화이다.

스마트폰이 일상생활을 더욱 바쁘게 만들 수 있다. 정보통신 기기들이 일상생활에

쓰이면서 가속화된 시간경험을 촉진한다는 연구결과도 존재한다(박지영 2013). 스마

131

트폰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는 명/암 양면을 모두 살펴봐야 할 것이다.

6. 2. 2. 미디어 이용의 맥락적 이해

모바일 기기는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의 경계를 허물어뜨렸다 (Humphreys

2005). 개인들은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에서 미디어 이용 양식이 달라진다. 흥미로

운 것은 스마트폰으로 인하여 개인의 공간이 더욱 확장됨과 동시에 더 쉽게 자신의

사적 영역이 침투당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이다. 모바일 기기는 언제 어디서나 개

인들이 멀리 떨어진 타자와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대중교통 혹은 공원과 같은 공

공장소에서 TV 혹은 영화를 시청하는 행위 등은 타인의 침해를 받지 않는 개인성

이 극대화된 행위이다. 이재현은 이를 “공적 공간 속의 사적 미디어(private-in-

public media)”라고 규정한다(이재현 2005a, 2013). 그러나 동시에 집에서도 스마트

폰과 노트북 등으로 회사 업무를 볼 수 있게 되었다. 스마트폰과 미디어 기술의 발

달로 공적/사적 영역의 경계가 허물어짐에 따라 미디어 이용을 단순히 시간적 계량

으로만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이용의 맥락까지 고려할 필요가 증가하는

것이다.

모바일 기기의 발달 양상과 환경의 변화를 고려할 때, 앞으로의 연구에서 다음

두 가지를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첫째, 스마트폰의 이용 목적과 유형에 대한 분석

이다. 이번 분석에서 정보 이용 행위 여부를 따로 살펴보기는 하였지만, 스마트폰을

이용한 다른 유희적 이용 등 이용 목적 차이에 따른 이용 양태 분석도 필요하다.

기존에 이용하던 통화, 문자메시지 기능 등은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새로운

앱을 찾아내고 설치하는 행위에서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둘째, 시간대별로 스마트폰 이용 양식의 차이를 발견하는 것이다. 생활시간자료

와 사용자들의 실제 사용기록이 기계적으로 남겨진 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퇴근

이동시간, 대기 시간과 취침 전후 시간에서 미디어 이용 방식의 변화를 측정함으로

써 이용 시간 전체를 분석한 결과보다 세세한 사회적 현상과 의미를 발견할 수 있

다. 예를 들어, 자신에게 밀려오는 연락은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받게 되지만, 게

임이나 동영상 시청 등의 행위는 더욱 개인적인 시간과 장소에서만 가능할 수 있

다. 다시 말해 시간에 따라서 스마트폰 이용 양태가 달라진다는 것이다(김영진

2014). 이는 일상생활과 자투리 시간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132

정보불평등 논의의 새로운 확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6. 2. 3. 세대 간 정보불평등 완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가장 정보로부터 소외된 계층으로 존재하고 있는 이들은

(지방에 거주하는) 60 대 이상의 장∙노년층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 기기를 제공

하는 것만으로는 이들을 정보 소외로부터 쉽사리 벗어나게 할 수 없다. 스마트폰을

소유하고 있더라도 이용 방법이 서툴고 혜택을 얻을 수 있는 콘텐츠에 대한 지식과

정보가 부족해 스마트폰을 소유하더라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을 정보 소외에서 벗어나게 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 기기를 제공

하는 것 이상의 대책이 필요하다.

스마트폰의 콘텐츠들은 이를 잘 활용하는 이용자들의 라이프스타일과 행동 패

턴에 맞춰 더욱 변화하고 있다. 세대 간의 정보불평등이 계속 유지된다면, 정보 사

회의 혜택을 크게 누리는 젊은 세대와 비교하여 장∙노년층은 점점 일상생활의 불편

함은 물론 네트워크를 통해 향유되는 정보의 배제로 인한 소비, 고용, 의료, 문화,

복지 등의 영역에서도 불이익을 갖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불편과 불이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해소될 수도 있지만, 스마트홈과 사물 인터넷 등 정보통신 기술이 일

상에 밀접해지면 그 격차가 더욱 벌어질 수도 있다(이현주 2014).

기존의 연구에서는 장∙노년층의 정보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서 공적 자원 지출

을 통한 디지털 기기 공급과 같은 물리적 측면, 그리고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제공

등의 이용 측면을 고려하였다. 그러나 앞서 연령과 지역, 가구원 수와 같은 요인들

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아직 정보 기술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장∙노년층을 제

대로 정보 네트워크로 포섭하기 위해서는 관계적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위해

서 다음 세 가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 번째, 연결망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부록 3 에서 다루는 내용이지만 군 지

역 1 인 가구 혹은 2 인 가구 장∙노년층은 스마트폰 이용 등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

어 있다. 정보통신 기기가 갖고 있는 연결망 외부성(network externality) 효과 때문

에 일상생활에서 소통할 대상이 없는 이들은 정보 기기의 효용이 더욱 떨어지는 것

이다. 한국 사회에서 노인 문제는 결코 정보 소외에만 국한되어 있지 않다. 예컨대

노인 자살의 경우에도 독거노인의 경우에는 고독감과 무망감을 가지게 되고, 자살

133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다(권중돈, 엄태영, 김유진 2012, 김형수, 허평화

2011, 이인정 2011, 이화영, 조성희 2012). 따라서 스마트폰으로 노년층들에게 연결

망을 형성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 기기를 잘 활용하면 물리적으로 떨어져서 사는 가족과도

친밀감을 형성하고 현존감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자녀/손자/손녀들이

자신들이 찍은 사진들을 할아버지/할머니와 공유하며 스마트폰으로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고 소통하는 것이다. 가족 내에서 관계 맺기가 어려운 이들인 경우에

는 도시에 거주하는 초∙중학생 학생들을 SNS 등으로 연결시켜주는 방법이 가능하

다. 스마트폰과 같이 손쉬운 정보 기기를 이용하여 연결의 소외를 극복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금씩 정보화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두 번째, 노년층과 스마트 미디어 콘텐츠 간의 관계 강화를 제안한다. 달리 표

현하자면 노인들을 위한, 노인들에 의한, 노인의 앱을 만들어야 한다. 스마트폰 확

산과 더불어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 정책으로 IT 업종은 제 2 의 창업 붐을 맞이

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IT 창업가, 개발자들은 20~30 대 젊은 층이다. 아무래도 스마

트폰 앱 콘텐츠 개발자와 지금 현재 노년층과는 세대적/문화적 거리감이 존재한다.

따라서 노년층을 위한 이용 환경 및 콘텐츠 개발에 정부와 제조사, 통신사가 앞장

서야 한다.

2013 년에 보건복지부와 통신사의 합작으로 ‘T 실버 서비스’ 등 어르신을 위

한 스마트폰 런처와 앱이 개발되었는데(엄지은 2014) 활성화되지 않은 측면이 있다.

단순히 화면에서 글꼴이 커지고, 보건복지부 서비스만 이용 가능해 보인다는 것은

오히려 노인들을 다양한 이용으로부터 배제하는 것과 같다는 비판이 이어졌다(최호

섭 2013). 반면 2014 년 10월에 출시된 와인스마트폰의 경우 기존의 폴더 피쳐폰 외

관에 터치 스크린, 그리고 장∙노년층들도 많이 이용하는 카카오톡 바로가기 버튼 등

사용자 편의를 크게 개선하여 시장에서도 좋은 호응을 얻은 바 있다(김민성 2014).

이는 즉 노년층의 관점에서 기술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세 번째, 사회 연결망을 이용한 콘텐츠 제공을 추구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이

용한 게임 이용 실태를 살펴보면, 20~30 대의 경우에는 유행이 빨리 변화하지만

40~50 대의 경우에는 한 번 유행했던 콘텐츠(애니팡)가 고착(lock-in)되는 경향이 있

다(TNS 2013). 애니팡의 경우 초창기에 카카오톡 친구 연결망을 이용한 관계형 확

134

산 전략을 사용했는데, 이때 이용하기 시작한 40~50 대들이 계속 이용하는 것이다.

새로운 정보를 능동적으로 찾는데 능력이 제한되거나 시간과 비용이 많이 투자되어

야 하는 이들의 경우, 관계를 이용한 새로운 콘텐츠 전달(push)이 스마트폰 등 정보

기기의 다양한 활용에 기여할 것이라 생각한다.

관계적 차원뿐만 아니라 경제적 차원에서의 고민도 여전히 필요하다. 개발도상

국에서 저소득층에게 이동전화가 이용되었던 방식을 국내 상황에 적용할 수 있다.

필리핀과 남미에서 이동전화가 저소득층에게도 널리 확산될 수 있었던 이유 중에

하나는 선불 요금제와 중고폰 혹은 저가폰의 판매였다(Castells et al. 2007, Rafael

2003). 한정된 시간을 이용할 수 있는 요금만 선불 결제로 구매하고, 다 쓴 후에 필

요에 따라서 충전하는 방식으로 저소득층의 요금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이미 인구의 80%가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접근이 가능한 상황에서,

정부에서 무선 인터넷과 스마트폰 이용을 보편적 서비스로 받아들이고 소외자들에

게 단말기나 데이터 접속 비용을 보편적 서비스의 일환으로 싸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또한 과거 음성통화 요금을 아끼기 위해서 문자메시지

발신이나 비핑(beeping, 신호만 울리게 하고 끊은 후 되걸기를 하게 해 통화비용을

아끼는 방법)을 하였던 것(Donner 2007)에서 발전시켜 사회적으로 무선 데이터를

기부하여 이를 저소득층이나 농어촌 노년층을 위한 사회적 지원을 하는 방법 등도

고려할 수 있다.

6. 2. 4. 방법론적 제안

다중 미디어의 시작으로 미디어 환경은 복잡해졌다. 사람들이 동시에 여러 가

지 미디어 행위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전까지 미디어 이용에 제약을 가졌던

통근 시간 등의 틈새 시간이 미디어 이용 시간에 큰 비중으로 포함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마트폰 이용을 더 자세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직장에서 일하는 시간, 가

사 시간, 통근 시간 등도 구조적인 요인으로 모형에 포함시켜야 한다(Taneja et al.

2012). 미디어 패널은 동시 이용 미디어를 최대 9개까지 기입할 수 있도록 설계하

였지만, 기억에 의존한 방식으로는 미디어 동시 이용을 재현하기 어렵다. 조사 응답

자들이 15분이라는 단위의 시간 사용이 채워지지 않을 경우 보고하지 않는 경향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황성연⋅최원석⋅안진경⋅김보람 2014).

135

스마트폰 로그 데이터 분석으로 스마트폰 이용 양태를 정확히 측정하는 방법

등을 제안할 수 있다. 2014 년 12월 현재 스마트폰 앱은 140 만 개가 넘고 이를 내

려받아 이용할 수 있다(AppBrain 2014). 사람들이 존재하는 모든 앱을 이용하지는

않는다. 국가(언어)별로, 성별 혹은 연령대에 따라서 이용하는 앱의 종류는 다르다.

개인의 선택에 의하여 다운로드를 하고 설치한 앱을 모두 이용하는 것도 아니다.

로그 데이터 분석으로 스마트폰 이용의 실제적인 계측과 상세한 맥락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이다.

스마트폰 로그 데이터로 전체적인 스마트폰 이용 시간을 계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앱 이용 정도도 그 어느 데이터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Boase and Ling 2013). 인구사회학적 정보와 더불어 이용 시간을 분석하여, 스마트

폰 이용 행위와 그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앱들의 이용 양태를 확인할 수

있다. 최근 닐슨 코리아, TNS 와 같은 민간 조사기관에서는 스마트폰 패널을 구축하

고, 이들의 앱 이용 양태를 기계적으로 계측하고 있다(Nielsen Korea 2014c, 김영진

2012).

뿐만 아니라, TV-PC-스마트폰을 동시에 이용하는 패널을 대상으로 하는 3

screen 크로스 미디어 조사도 이루어지고 있고 최근 연구 차원에서의 접근도 이뤄

지고 있다(Nielsen Korea 2014b, 이혜미 2014). 이런 기계적 조사와 더불어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설문 조사가 병행된다면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

중 미디어 이용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정보불평등의 양상도 다면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6. 3. 맺음말

새로운 기술의 발달과 이로 인한 사회 변화는 역사의 발전 과정에서 반복적으

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기술 그 자체는 중립적일지라도 기술이 사회적으로 선택되

는 과정과 기술 이용의 결과는 사회적인 현상으로 나타난다. 스마트폰이라는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은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정보에 접속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 인해 개개인들은 일상생활에서 시간 및 경제적 자원을 아낄 수 있는 등 많은

136

혜택을 누리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그 이익과 혜택이 무엇인지 모르는 집단이

존재한다는 것은 사회적으로 또 정책적으로 관심을 가져 해결책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에서는 정보 기기의 활용이 정치적 입장과 가치관의 차이마저도 영향을 준

다는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 앞으로의 사회에서는 어떠한 정보 원천(source)에 연결

되어 있고, 누구와 소통할 수 있는가의 문제가 개인의 정체성에 더욱 크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도 가능하다. 세대 간의 단절을 완화하고, 정보화로 인한 혜택을

모든 사회 구성원과 함께 누리기 위해서는 지금 존재하는 정보불평등을 줄여 나가

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지금 존재하는 정보불평등은 단순히 인터넷 등으로

정보에 접근하거나 이용할 수 있는 여부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세대 간 정보 기

기 이용의 차이는 세대 간 언어와 문화, 라이프 스타일의 차이를 가져오고, 이는 세

대 간의 소통 단절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이현주 2014). 정보불평등은 사회 통합의

문제로 연결된다.

한국은 스마트폰 보급을 비롯한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사회적 쓰임이

세계적으로도 매우 빠르게 진행되는 곳이다. 한국에서 경험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정보불평등의 누적적인 영향의 발견은 한국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에서도 확인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다른 국가에서 진행되는 스마트 미디어화의

추세와도 비교되어 한국 사회의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137

참고 문헌

강남준, 김은미. 2010. "다중 미디어 이용의 측정과 개념화". 언론정보연구, 47(2): 5-

39.

강남준, 이재현, 오현경. 2008. "인터넷 이용에 따른 생활시간 패턴의 변화".

한국언론정보학보: 145-180.

강남준, 이종영, 이혜미. 2008. "군집분석 방법을 사용한 미디어 레퍼토리 유형분석".

한국방송학보, 22(2): 7-46.

권중돈, 엄태영, 김유진. 2012. "독거노인의 자살위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2(1): 89-114.

김대호, 김도연, 김은미, 도준호. 2006. "초점집단 인터뷰를 통해 본 위성 DMB

초기채택자의 채택 동기 및 이용행태". 한국언론학보, 50(3): 65-93.

김문조, 김종길. 2002. "정보격차(Digital Divide)의 이론적ㆍ정책적 재고". 한국사회학,

36(4): 123-155.

김민성. 2014. 'LG 카톡 폴더폰' 조용한 돌풍…"아날로그 감성 통했다" 한국경제신문

(2014. 11. 19).

김민철. 2012. 미디어 이용시간 총량과 그 배분의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

미디어 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본연구 (Vol. 12-16):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김민철, 신지형, 김윤화, 하태림, 신선. 2013. 2013 한국 미디어 패널조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김민철, 임경진, 한은영, 하태림. 2011. 2011 한국 미디어 패널조사 (정책자료 11-12:)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김민철, 한은영, 임경진, 김정한, 조지연. 2010. 2010 한국 미디어 패널조사 정책자료

10-15: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김민하, 안미리. 2003.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 확인을 위한 문항개발 및 능력 평가".

교육정보미디어연구, 9(1): 159-192.

138

김성벽. 2004. "미디어생태학의 연구경향과 의의에 대한 고찰”.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3): 218-243.

김성철, 박의범. 2005. "광고효과, 상표와 기업의 이미지가 휴대폰에 대한 상하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국제경영리뷰, 9(2): 237-263.

김양은. 2009.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 커뮤니케이션북스.

김영주, 정재민, 이은주. 2011.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채택과 이용".

한국언론학보, 55(6): 227-252.

김영진. 2012. "Life Log Segmentation of Mobile Users in Korea". TNS 『Mobile, it's

a new market,』, 9 월 13 일, 서울. 반얀트리클럽.

김용학. 2003. 사회연결망분석. 博永社. ISBN 8910380349.

김은미. 2011. "부모와 자녀의 인터넷 리터러시의 관계". 한국언론학보, 55(2): 155-

177.

김은미, 심미선, 김반야. 2012. "능동적 미디어 이용 개념에 대한 재탐색".

한국방송학보, 26(6): 46-87.

김은미, 이혜미. 2011. "컨버전스 환경에서의 방송콘텐츠 이용 행위에 관하여".

한국방송학보, 25(4): 39-81.

김은실, 하예린, 박원기. 2009. "미디어 레퍼토리와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11(1): 61-95.

김현예. 2010. "삼성, 계열사 직원들에게 갤럭시 s 쏜다", 한국경제신문 (2010.07.08.)

김현주. 2000. "전화의 사회문화적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44(2): 65-92.

김형수, 허평화. 2011. "노인자살 예방전략에 관한 모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3): 309-317.

김희정. 2014. "생태계로서의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은유들,

한국언론학회 편.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나은영. 2001. "이동전화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이동전화 커뮤니케이션의 매체적

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45(4): 189-228.

미래창조과학부. 2014. 무선통계(2014 년도 9 월).

139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2013 정보격차지수 및 실태조사 보고서,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민영. 2011. "인터넷 이용과 정보격차". 언론정보연구, 48(1): 150-187.

박성복, 황하성. 2014.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구". 한국언론학보,

58(4): 289-311.

박지영. 2013. 가속화 사회의 시간경험에 대한 연구 : 전문직 여성들의 생애시간,

일상적 시간, ICT 가 생성한 시간을 중심으로. 언론정보학과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2011. 2011년 스마트 미디어 이용실태 조사.

백욱인. 2014. "[뒤집어 보는 인터넷세상](9) 마셜 매클루언 ‘스마트폰의 이해’”,

경향신문. 2014 년 3월 7일.

서이종. 2000. "디지털 정보격차의 구조화와 사회문제화". 정보와사회, 2: 68-87.

성동규, 임성원. 2006. 수용자 특성에 따른 모바일미디어 콘텐츠 활용 연구

한국방송학보. 20. 139-178

손승혜. 2005. "미디어 이용량, 연령, 성별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간 경쟁 및 대체

관계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16): 273-308.

손승혜, 최윤정, 황하성. (2011).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초기 이용자들의 스마트폰

채택 행동 연구. 한국언론학보. Vol. 55, pp. 227-251): 한국언론학회.

송인숙, 양덕순. 2009. "청소년 소비자의 이동통신 계약관련 지식 및 소비자문제

연구". 소비자학연구, 20(2): 173-201.

신지형. 2014. 동영상 콘텐츠 소비와 디바이스. KISDI STAT Report.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심미선. 2001. "케이블 tv 및 인터넷 등장에 따른 지상파방송 시청행위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45(2): 250-283.

───. 2007. "다매체 시대 미디어 레퍼토리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1(2): 351-390.

───. 2008. "융합환경 하에서의 미디어 이용에 관한 이론적 고찰". 미디어 경제와

문화, 6(2): 7-44.

140

심미선, 김은미, 이준웅. 2008. "라이프스타일과 매체 이용행위 간의 관계 연구".

한국언론학보, 52(6): 189-216.

심미선, 김은실, 하예린. 2009. "미디어 이용의 보완 및 대체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3(3): 317-364.

심정숙, 이동희, 정병철. 2011. "제로팽창 음이항 회귀모형에 대한 베이지안 추론".

응용통계연구, 24(5): 951-961.

엄지은. (2014, 09. 13). 어르신 위한 앱 'T 실버 서비스' 출시. 뉴스 1.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12624235&ctg=1200

유세경. 2004. "텔레비전과 인터넷 이용행위의 상호관계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18(3): 475-520.

윤석민, 송종현, 김유경, 김주형. 2004. "이동전화격차". 한국언론학보, 48(3): 354-378.

윤해진, 문성철. 2010. "미디어 레퍼토리 유형에 따른 콘텐츠 소비". 한국방송학보,

24(5): 325-369.

이동건, 이상준, Beom-Jin Choi. 2012. "스마트 TV 이용의도에 관한 실증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10(4): 107-118.

이동후, 손승혜. 2006. 휴대전화 이용의 성별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0:

249-284

이미나, 서희정, 김현아. 2012. "투표인증샷 분석". 한국언론학보, 56(6): 246-277.

이미영, 김담희, 김성태. 2010. "청소년 미디어 레퍼토리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4(1): 82-106.

이인정. 2011. "노인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관계에 대한 위기사건,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보건사회연구, 31(4): 34-62.

이재현. 2004.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세계: 뉴미디어란 무엇인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2005a. "Dmb 의 인터페이스, 시공간성, 그리고 모바일 상호작용".

방송문화연구, 17(1): 75-100.

───. 2005b. "인터넷, 전통적 미디어, 그리고 생활시간 패턴". 한국언론학보, 49(2):

224-254.

141

───. 2006. "모바일 미디어와 모바일 콘텐츠". 방송문화연구, 18(2): 285-317.

───. 2013. 모바일 미디어.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ISBN 896680893X.

───. 2014. "미디어 레이어". 언론정보연구, 51(2): 109-141.

이재훈. 2012. "수도권 거주자의 출근전쟁". 한국의 사회동향 2012, 한준 편.

통계개발원.

이준웅, 김은미, 심미선. 2006. "다매체 이용자의 성향적 동기". 한국언론학보, 50(1):

252-284.

이중식. 2005. "DMB 미디어 이용과 틈새시간에 관한 연구". 방송문화연구, 17(1):

207-229.

이찬구, 이종영, 성지연. 2009. "다매체 시대, 군집 유형에 따른 미디어 이용방식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26(3): 201-242.

이창훈, 김정기. 2013. "다중미디어 이용자의 이용특성과 사회적, 개인적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57(3): 347-380.

이현주. 2014. "세대 간 미디어 이용 격차". 디지털 사회와 커뮤니케이션,

한국언론학회 편.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이혜미. 2014. 컨버전스 환경의 미디어다중이용행위 연구: 3-Screen 싱글소스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언론정보학과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이혜미, 정영호. 2013.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방송콘텐츠 크로스 미디어 이용 연구".

미디어 경제와 문화, 11(3): 46-82.

이호규. 2009. "정보 격차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언론학보, 53(6): 5-25.

이화영, 조성희. 2012. "경기지역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43: 191-216.

임종수. 2005. "포털 미디어 재매개에서의 뉴스 소비". 한국방송학보, 19(2): 8-46.

장혜숙, 강상진, 이규민. 2008. "모의실험을 통한 3 수준 다차항 다층 성장모형의

고정효과 및 부가가치 추정량의 양호도 탐색". 교육평가연구, 21: 173-199.

전종우, 정재진, 정수주. 2010. 수도권 청소년들의 이동전화 구매와 모바일 콘텐츠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문화적 차원의 역할.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13,

1399-1411

142

정영찬, 이중식, 김은미, 신동엽. 2014. "한국 중·하위계층의 고급예술 소비 연구".

예술경영연구, 30: 219-242.

정재민, 이화진, 김영주. (2005). 미디어간 경쟁과 대체. 한국방송학보, 19(4), 523-564.

정준희, 김예란. 2010. "컨버전스의 현실화". 언론정보연구, 47(1): 5-42.

정지운, 임병인, 김주현. 2014. "가구원수 분화가 소득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구학, 37(2): 71-90.

조성동, 강남준. 2009. "다매체 환경 정착에 따른 수용자들의 매체이용 특성변화와

이용매체 구성변화". 한국언론학보, 53(1): 233-256.

조성선. 1998. FCC, 보편적 서비스 정책 재확인. 정보통신산업진흥원.

http://kidbs.itfind.or.kr/WZIN/jugidong/846/84607.html

조연정. 2014. 카카오톡 기반 모바일 공동체의 특성 : 즉시성과 이차적 구술성을

통한 상호주관성의 형성. 사회학과 석사학위논문. 서울 : 연세대학교 대학원

진상기. 2013. "한국 정보격차의 시계열 변화 분석".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16(3):

161-188.

최용준, 정명화. 2005. "디지털 tv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방송문화연구, 17(2): 209-237.

최호섭. 2013. 스마트폰 어르신 모드, 이건 아니잖아요 블로터 (2013. 09. 17.)

http://www.bloter.net/archives/164593.

코레일. 2013. "‘어르신 우대 예약’, 디지털 못지않은 아날로그 서비스 - 코레일,

노인 및 장애인 등 디지털 약자 배려 서비스 확대 -".

http://info.korail.com/mbs/www/jsp/board/view.jsp?spage=17&boardId=9863262&

boardSeq=10464231&mcategoryId=&id= (2014 년 12월 10 일 접속)

코리안클릭. “2013. 크로스 미디어 플랫폼 이용 현황” Newsletter Monthly Topic (Vol.

제 221-2호): Nielsen.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2013 정보격차 실태조사 요약 보고서 - 스마트 시대의

신(新) 정보격차 현황 분석 및 제언.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허윤, 이상우. 2012. "다매체 환경에서의 미디어 간 경쟁과 대체". 한국언론학보,

56(4): 29-54.

143

황성연, 최원석, 안진경, 김보람. 2014.”미디어 이용시간의 실측과 인식의 차이 및

하이브리드 패널 전환 가능성”. 제 2 회 한국미디어패널 학술대회, 2014 년

10월 24 일,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 컨벤션센터.

황용석, 박남수, 이현주, 이원태. 2012.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커뮤니케이션 능력

격차 연구". 한국언론학보, 56(2): 198-225.

황주성·유지연. (2004). “제 2세대 인터넷에 대응하는 정보격차해소 정책의 방향과

과제”. KISDI 이슈리포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황주성, 이재현. 2011. "스마트폰과 일반폰 이용자의 미디어 이용패턴 비교".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28(4): 303-351.

황하성, 이옥기. 2009. "수용자 특성에 따른 모바일의 매체풍요도 인식 및 이용의

차이". 한국언론학보, 53(2): 300-324.

AppBrain. 2014. Number of Android Applications. Retrieved 12.1, 2014, from

http://www.appbrain.com/stats/number-of-android-apps

Atkin, D. J., L. W. Jeffres and K. A. Neuendorf. 1998. "Understanding Internet

Adoption as Telecommunications Behavior".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2(4): 475-490.

Banerjee, A., A. G. Chandrasekhar, E. Duflo and M. O. Jackson. 2013. "The Diffusion

of Microfinance". Science, 341(6144).

Blank, G. and D. Groselj. 2014. "Dimensions of Internet Use: Amount, Variety, and

Types". Information, Communication & Society, 17(4): 417-435.

Boase, J. and R. Ling. 2013. "Measuring Mobile Phone Use: Self-Report Versus Log

Data.".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Bolter, J. D. and R. Grusin. 1999. Remediation: Understanding New Media. Translated

by 이재현[2006]. MA: MIT Press. ISBN 0262522799. [제이 데이비드

볼터,리처드 그루신. 2006. 재매개 뉴미디어의 계보학. 이재현 역.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Bourdieu, P. 1997. "The Forms of Capital". In Education: Culture, Economy and

Society, Edited by H. L. A. Halsey, P. Brown, A. Stuart Well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44

Bucy, E. P., W. Gantz and Z. Wang. 2007. "Media Technology and the 24-Hour

News Cycl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ocial change: Theory and

implications: 143-163.

Cai, X. 2005. "An Experimental Examination of the Computer’s Time Displacement

Effects". New Media & Society, 7(1): 8-21.

Castells, M., M. Fernández-Ardèvol, J. L. Qiu and A. Sey. 2007. Mobile Communication

and Society: A Global Perspective. Cambridge, MA: Mit Press. ISBN

0262262304.

Chen, W. 2013. "Internet Use, Online Communication, and Ties in Americans’

Networks".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31(4): 404-423.

Czaja, S. J. and J. Sharit. 1998. "Age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 Computer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53(5): P329-P340.

Czaja, S. J., J. Sharit, R. Ownby, D. L. Roth and S. Nair. 2001. "Examining Age

Differences in Performance of a Complex Information Search and Retrieval

Task". Psychology and Aging, 16(4): 564.

Davis, F. D.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40.

de Haan, J. 2004. "A Multifaceted Dynamic Model of the Digital Divide". It & Society,

1(7): 66-88.

Dennis, E. E. and J. V. Pavlik. 1993. "The Coming of Convergence and Its

Consequences". Demystifying Media Technology, Mountain View, CA: Mayfield.

Deuze, M. 2004. "What Is Multimedia Journalism?". Journalism studies, 5(2): 139-152.

DiMaggio, P. and F. Garip. 2012. "Network Effects and Social Inequality". Annual

Review of Sociology, 38(1): 93-118.

DiMaggio, P. and E. Hargittai. 2001. "From the ‘Digital Divide’to ‘Digital

Inequality’: Studying Internet Use as Penetration Increases". Princeton

University Center for Arts and Cultural Policy Studies, Working Paper Series

number, 15.

145

DiMaggio, P., Hargittai, E., Celeste, C., & Shafer, S. 2004. From Unequal Access to

Differentiated Use: A Literature Review and Agenda for Research on Digital

Inequality.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Dimmick, J. 2003. Media Competition and Coexistence: The Theory of the Niche.

Mahwah,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ISBN

141060621X.

Dimmick, J., J. C. Feaster and A. Ramirez. 2011. "The Niches of Interpersonal Media:

Relationships in Time and Space". New Media & Society.

Donner, J. 2007. "The Rules of Beeping: Exchanging Messages Via Intentional

“Missed Calls” on Mobile Phone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3(1): 1-22.

Doyle, G. 2010. "From Television to Multi-Platform: Less from More or More for

Less?". Convergenc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to New Media

Technologies, 16(4): 431-449.

Duggan, M. (2013). Cell Phone Activities 2013: PewResearchCenter, Retrieved from

http://www.pewinternet.org/~/media//Files/Reports/2013/PIP_Cell%20Phone%20

Activities%20May%202013.pdf (accessed Dec 13, 2013).

Duggan, M., & Rainie, L. (2012). Cell Phone Activities 2012: Photo taking, texting,

and accessing the internet are the most popular activities people pursue with

their mobile phones: Pew Internet & American Life Project, Retrieved from

http://www.pewinternet.org/Reports/2012/Cell-Activities.aspx (accessed May 11,

2013).

Eveland, W. P. 1997. The Process of Political Learning from the News: The Roles

of Motivation, Attention, and Elaborati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Eveland, W. P. and D. A. Scheufele. 2000. "Connecting News Media Use with Gaps

in Knowledge and Participation". Political Communication, 17(3): 215-237.

FCC. 2014. 2014 Universal Service Headlines. from

http://www.fcc.gov/encyclopedia/universal-service (accessed 2014-11-07)

Feaster, J. C. 2009. "The Repertoire Niches of Interpersonal Media: Competition and

Coexistence at the Level of the Individual". New Media & Society, 11(6):

965-984.

146

Ferguson, D. A. 1992. "Profile: Channel Repertoire in the Presence of Remote

Control Devices, Vcrs and Cable Television".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36(1): 83-91.

Ferguson, D. A. and E. M. Perse. 1993. "Media and Audience Influences on Channel

Repertoire".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37(1): 31-47.

───. 2000. "The World Wide Web as a Functional Alternative to Television".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4(2): 155-174.

Fidler, R. F. 1997. Mediamorphosis: Understanding New Media. Sage Publications.

ISBN 145226399X.

Fischer, C. S. 1992. America Calling : A Social History of the Telephone to 1940.

Book, Whole. Berkeley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0520079337

Fortunati, L. 2009. "Gender and the Mobile Phone". In Mobile Technologies: From

Telecommunications to Media, Edited by G. G. a. L. Hjorth. New York and

London: Routledge.

Fortunati, L. and S. Taipale. 2013. "The Diffusion and 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 City from 1996 to 2009". First Monday,

18(11).

───────────────. 2014. "The Advanced Use of Mobile Phones in

Five European Countries". The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65(2): 317-337.

Freeman, L. C. 1979.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s, 1(3): 215-239.

Gasser, U. and J. Palfrey. 2008. "Born Digital-Connecting with a Global Generation

of Digital Natives". CITY, Perseus Publishing.

Gillett, S. E. 2000. "Universal Service: Defining the Policy Goal in the Age of the

Internet". The Information Society, 16(2): 147-149.

Goldstein, H. 2010. Multilevel Statistical Models. Wiley Series in Probability and

Statistics (Book 847). Wiley. ISBN 111995682X.

Ha, L. and L. Fang. 2012. "Internet Experience and Time Displacement of Traditional

News Media Use: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the Niche". Telematics

and Informatics, 29(2): 177-186.

147

Hargittai, E. 2002. "Second-Level Digital Divide: Differences in People's Online Skills".

First monday, 7(4).

───. 2008. The Digital Reproduction of Inequality. In D. Grusky (Ed.), In Social

Stratification (pp. 936-944). Boulder, CO: Westview Press

───. 2010. "Digital Na(T)Ives? Variation in Internet Skills and Uses among Members

of the “Net Generation”*". Sociological Inquiry, 80(1): 92-113.

Hargittai, E. and A. Hinnant. 2008. "Digital Inequality: Differences in Young Adults'

Use of the Internet". Communication Research, 35(5): 602-621.

Heeter, C. 1985. "Program Selection with Abundance of Choic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12(1): 126-152.

Heilbron, D. C. 1994. "Zero-Altered and Other Regression Models for Count Data

with Added Zeros". Biometrical Journal, 36(5): 531-547.

Hjorth, L. 2013. "The Place of the Emplaced Mobile: A Case Study into Gendered

Locative Media Practices". Mobile Media & Communication, 1(1): 110-115.

Hoffman, D. L. and T. P. Novak. 1998. "Bridging the Digital Divide: The Impact of

Race on Computer Access and Internet Use".

Humphreys, L. 2005. "Cellphones in Public: Social Interactions in a Wireless Era".

New Media and Society, 6(8): 813-836.

Kahin, B. and J. Keller. 1995. Public Access to the Internet. The MIT Press. ISBN

026261118X.

ITU. (2014a). Key ICT indicators for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and the

world. http://www.itu.int/en/ITU-D/Statistics/Pages/stat/default.aspx

───. (2014b). Measuring the Information Society Report 2014.

───. (2014c). The World in 2014: ICT Facts and Figures.

Katz, J. and R. Rice. 2002. "Project Syntopia: Social Consequences of Internet Use".

IT & Society, 1(1): 166-179.

148

Katz, J. and S. Sugiyama. 2006. "Mobile Phones as Fashion Statements: Evidence

from Student Surveys in the Us and Japan". New media & society, 8(2): 321-

337.

Kayany, J. M. and P. Yelsma. 2000. "Displacement Effects of Online Media in the

Socio-Technical Contexts of Household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4(2): 215-229.

Kelly, K. 2010. What Technology Wants. Penguin. ISBN 1101444460.

Kim, S.-H. 2008. "Testing the Knowledge Gap Hypothesis in South Korea: Traditional

News Media, the Internet, and Political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Opinion Research, 20(2): 193-210.

Kim, S. J. 2011. Emerging Patterns of News Media Use across Multiple Platforms

and Their Political Implications in South Korea. PhD. Dissertation at

Northwestern University.

Kwak, N. 1999. "Revisiting the Knowledge Gap Hypothesis: Education, Motivation,

and Media Use". Communication Research, 26(4): 385-413.

López-Nicolás, C., F. J. Molina-Castillo and H. Bouwman. 2008. "An Assessment of

Advanced Mobile Services Acceptance: Contributions from Tam and Diffusion

Theory Models". Information & Management, 45(6): 359-364.

Lambert, D. 1992. "Zero-Inflated Poisson Regression, with an Application to Defects

in Manufacturing". Technometrics, 34(1): 1-14.

Lee, P. S. N. and L. Leung. 2008. "Assessing the Displacement Effects of the

Internet". Telematics and Informatics, 25(3): 145-155.

Ling, R. 1998. She Calls,[but] It's for Both of Us You Know: The Use of Traditional

Fixed and Mobile Telephony for Social Networking among Norwegian Parents.

R&D Report 33/98. Kjeller, Norway: Telenor.

Ling, R. 2008. "Should We Be Concerned That the Elderly Don't Text?". Information

Society, 24(5): 334-341.

Livingstone, S. and E. Helsper. 2010. "Balancing Opportunities and Risks in Teenagers’

Use of the Internet: The Role of Online Skills and Internet Self-Efficacy".

New Media & Society, 12(2): 309-329.

149

Lu, J., C.-S. Yu, C. Liu and J. E. Yao. 2003.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Wireless Internet". Internet Research, 13(3): 206-222.

Madden, M. and L. Rainie. 2003. America's Online Pursuits: The Changing Picture

of Who's Online and What They Do. Pew Internet & American Life Project.

Manovich, L. 2001. The Language of New Media. MIT press. ISBN 0262632551.

───. 2013. Software Takes Command. A&C Black. ISBN 1623567459.

McLuhan, M. 199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MA: MIT press.

ISBN 8964061519. [마샬 매클루언. 2011. 미디어의 이해-인간의 확장.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ISBN 9788964061510]

McPherson, M., L. Smith-Lovin and M. E. Brashears. 2009. "Models and Marginals:

Using Survey Evidence to Study Social Network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74(4): 670-681.

Merton, R. K. 1968. "The Matthew Effect in Science". Science, 159(3810): 56-62.

Miller, J. 2014. "The Fourth Screen: Mediatization and the Smartphone". Mobile

Media & Communication, 2(2): 209-226.

Moskowitz, D. S. and S. L. Hershberger. 2002. Modeling Intraindividual Variability

with Repeated Measures Data : Methods and Applications. Edited by M. A.

Series. Mahwah,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Moyal, A. 1992. "The Gendered Use..Of the Telephone: An Australian Case Study".

Media, Culture and Society, 14: 51-72.

Napoli, P. M. 2011. Audience Evolution: New Technologies and the Transformation

of Media Audiences.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0231150350.

Negroponte, N. 1996. Being Digital. Random House LLC. ISBN 0679762906.

Nielsen Korea. (2014a). 3 Screen synd. Report data (2014. 6).

───. (2014b). 2013 년 2 분기 Cross-Platform Report (TV-PC-Mobile).

───. (2014c). Top 10 List for Smartphone Apps Oct. 2014. 2014.11.28 접속.

Norris, P. 2001. Digital Divide: Civic Engagement, Information Poverty, and the

Internet Worldwid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002230.

150

NTIA. 1995. Falling Through the Net: A Survey of the "Have Nots" in Rural and

Urban America. At available: http://www.ntia.doc.gov/ntiahome/fallingthru.html,

accessed 25 Sep 2013.

NTIA. 2002. A NATION ONLINE: How Americans Are Expanding Their Use of the

Internet. Washington, D.C.

Paragas, F. 2009. "Migrant Workers and Mobile Phones: Technological, Temporal,

and Spatial Simutaneity". In The Reconstruction of Space and Time, Edited

by R. S. Ling and S. W. Campbell. New Brunswick and London: Transaction

Publishers.

Pearce, K. E. and R. E. Rice. 2013. "Digital Divides from Access to Activities:

Comparing Mobile and Personal Computer Internet Users". Journal of

Communication, 63(4): 721-744.

Postman, N. 1998. "Five Things We Need to Know About Technological Change".

Retrieved December, 1: 2003.

Press, A. L. and B. A. Williams. 2010. The New Media Environment: An Introduction.

Blackwell Pub. ISBN 1405127686.

Rafael, V. L. 2003. "The Cell Phone and the Crowd: Messianic Politics in the

Contemporary Philippines". Philippine Political Science Journal, 24(47): 3-36.

Ramirez, A., J. Dimmick, J. Feaster and S.-F. Lin. 2008. "Revisiting Interpersonal

Media Competition: The Gratification Niches of Instant Messaging, E-Mail,

and the Telephone". Communication Research, 35(4): 529-547.

Raudenbush, S. and A. S. Bryk. 1986. "A Hierarchical Model for Studying School

Effects". Sociology of Education, 59(1): 1-17.

Raudenbush, S. 2001. "Comparing Personal Trajectories and Drawing Causal

Inferences from Longitudinal Data".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1): 501-

525.

Reagan, J. 1996. "The “Repertoire”; of Information Source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0(1): 112-121.

Robinson, J. P. 2011. "It Use and Leisure Time Displacement". Information,

Communication & Society, 14(4): 495-509.

151

Robinson, J. P., K. Barth and A. Kohut. 1997. "Social Impact Research: Personal

Computers, Mass Media, and Use of Time". Social Science Computer Review,

15(1): 65-82.

Robinson, J. P. and J. Gershuny. 1994. "Measuring Hours of Paid Work: Time-Diary

Vs. Estimate Questions". Bulletin of Labour Statistics, 1: 11-17.

Rogers, E. M. 2003. Diffusion of Innovations, 5th Edition. NY: Free Press. ISBN

0029266718.

Sawhney, H. 1994. "Universal Service: Prosaic Motives and Great Ideal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38(4): 375-395.

Scolari, C. A. 2012. "Media Ecology: Exploring the Metaphor to Expand the Theory".

Communication Theory, 22(2): 204-225.

Selwyn, N. 2004. "Reconsidering Political and Popular Understandings of the Digital

Divide". New Media & Society, 6(3): 341-362.

Singer, J. D. and J. B. Willett. 2003. Applied Longitudinal Data Analysis: Modeling

Change and Event Occurrence.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5152964.

Smoreda, Z. and C. Licoppe. 2000. "Gender-Specific Use of the Domestic Telephone".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3(3): 238-252.

Steel, E. (2013). Tipping Point for Media Viewing as Couch Potatoes Go Digital.

Financial Times. Retrieved from http://www.ft.com/intl/cms/s/0/a0fbb2ca-fa9d-

11e2-87b9-00144feabdc0.html

Taneja, H., J. G. Webster, E. C. Malthouse and T. B. Ksiazek. 2012. "Media

Consumption across Platforms: Identifying User-Defined Repertoires". New

Media & Society, 14(6): 951-968.

Tapscott, D. 2008. Grown up Digital. Tata McGraw-Hill Education. ISBN 0070140677.

Tichenor, P. J., G. A. Donohue and C. N. Olien. 1970. "Mass Media Flow and

Differential Growth in Knowledge". Public opinion quarterly, 34(2): 159-170.

TNS. 2013. Tns Mobile Behave Quaterly Report (Q3).

152

van Deursen, A. and J. van Dijk. 2011. "Internet Skills and the Digital Divide". New

Media & Society, 13(6): 893-911.

───────────────. 2013. "The Digital Divide Shifts to Differences in

Usage". New Media & Society.

van Dijk, J. 2005. The Deepening Divide: Inequality in the Information Society. Sage.

ISBN 141290403X.

───. 2012. The Network Society. Sage Publications. ISBN 1446248968.

van Dijk, J. and K. Hacker. 2003. "The Digital Divide as a Complex and Dynamic

Phenomenon". The Information Society, 19(4): 315-326.

van Rees, K. and K. van Eijck. 2003. "Media Repertoires of Selective Audiences:

The Impact of Status, Gender, and Age on Media Use". Poetics, 31(5–6): 465-

490.

Varian, H. R. and C. Shapiro. 1999. "Information Rules: A Strategic Guide to the

Network Economy".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Cambridge.

Venkatesh, V. and Morris, M. G. 2000. Why Don't Men Ever Stop to Ask for

Directions? Gender, Social Influence, and Their Role in Technology

Acceptance and Usage Behavior. MIS Quarterly, 24(1), 115-139.

Venkatesh, V. and Davis, F. D. 2000.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46(2),

186-204.

Venkatesh, V., M. G. Morris, B. D. Gordon and F. D. Davis. 2003.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Toward a Unified View". MIS Quarterly, 27(3):

425-478.

Walton, M. and J. Donner. 2012. "Public Access, Private Mobile: The Interplay of

Shared Access and the Mobile Internet for Teenagers in Cape Town".

GLOBAL IMPACT STUDY RESEARCH REPORT SERIES.

Web Foundation. 2013. Web Index 2013. Retrieved 2014.11.25, from

https://thewebindex.org/data/index/

153

Whang, Y.-K. and M. Hobday. 2011. "Local ‘Test Bed’market Demand in the

Transition to Leadership: The Case of the Korean Mobile Handset Industry".

World Development, 39(8): 1358-1371.

Willis, S. and B. Tranter. 2006. "Beyond the ‘Digital Divide’: Internet Diffusion

and Inequality in Australia". Journal of Sociology, 42(1): 43-59.

Zainudeen, A., T. Iqbal and R. Samarajiva. 2010. "Who’s Got the Phone? Gender

and the Use of the Telephone at the Bottom of the Pyramid". New Media

& Society, 12(4): 549-566.

154

부록 1. 미디어 다이어리 설문지 (예시)

155

부록 2. 정보불평등 관련 변수들에 대한 이해

부록 2 에서는 본 논문에서 이용한 정보불평등 관련 다섯 개의 변수와 미디어

활용 능력의 관계 등을 살펴보고 어떠한 변수 조합의 단면이 정보불평등의 차이를

드러내는지를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정보불평등과 관련한 6 개의 변수들의 차원을 축소하여 이해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2013 년 미디어 패널 조사에 포함된 스마트폰 이용자를

대상으로 요인 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R 의 psych 패키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요인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최대우도추정방식으로 2 개의 요인을

추출한 후 베리멕스 회전을 하였다. 요인 적재값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부 2-1. 요인 분석 결과

요인 1 요인 2

스마트폰 레퍼토리 0.827 0.122

이용량 0.477 0.181

정보 이용 행위 여부 0.436 0.025

미디어 활용 능력 0.113 0.351

미디어 기기 레퍼토리 0 0.256

스마트폰 수용 시기 -0.085 -0.377

SS loadings 1.122 0.379

Proportion Var 0.187 0.063

Cumulative Var 0.187 0.25

Obs. 4389

스마트폰과 관련한 정보불평등을 두 차원으로 요약하면, 스마트폰을 다양하게

이용하는 것과 스마트폰 기기를 빨리 수용하고 다양한 기기를 사용하는가로 구분할

수 있다. 다양하게 많이 쓰는지 여부와 빨리 수용하는지 여부로 두 축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포괄적으로 변수들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잠재집단 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실시하였다. Mclust 패키지 분석은 10 개의 모형을 기초로 1~9개의 집단

구분을 실시하고 BIC(Bayesian information criterion)를 기준으로 가장 적합한 모형

156

을 추출한다. 6 개의 변수들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그림 부 2-1 과 같이 BIC를 기준

으로 EEV (ellipsoidal, equal volume and shape) 모형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림 부 2-1. mclust 모형 선택 – 집단 수별 BIC 변화

이렇게 해서 구분한 두 개의 집단을 각각의 변수에 매핑하면 그림 부 2-2 와 같

다. 집단 1은 채워져 있는 파란색 다각형, 집단 2 은 비어 있는 빨간 네모 표식되어

있다. Mclust 는 잠재집단모형을 기반으로 실행한다. 따라서 그 구분이 명확해지는

지점을 찾을 수가 있는데, 집단 1 로 구분된 이들은 70명으로 미디어 활용 능력이

낮은 사람들과 스마트폰 이용량이 많은 이들과 그 밖의 사람들이다. 이들은 2013 년

스마트폰 이용자 중에서 예외적인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다른 변

수들에 있어서는 집단 간의 의미있는 차이가 드러나지 않아 예외적인 이들을 제외

하고 나면 하나의 집단으로 스마트폰 이용자들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157

그림 부 2-2. 구분된 집단의 분포

158

부록 3. 가구 구성과 스마트폰 수용의 관계

미디어 활용 능력에 따른 스마트폰 수용률의 차이에서 알 수 있다시피, 58.8%

가 스마트폰을 사용한 2013 년에도 미디어 활용 능력이 낮은 이들은 단 2.6%만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었다. 미디어 활용 능력은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한 상

태에서도 뚜렷한 영향력을 보인다. 이것은 이전 단계에서 미디어 활용 능력을 어느

정도 확보하지 못한 이들은 새로운 기기가 도입되고 확산되는 과정에서도 여전히

소외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는 기존의 인터넷 이용 실태 조사에서 인터넷 소외

계층의 인터넷 비이용이 사용 방법을 모르거나, 어렵기 때문이라는 기존의 인터넷

격차를 설명하는 요인과도 맞닿아 있는 부분이다(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사회구조

적인 요인으로 볼 때 미디어 활용 능력이 가장 낮은 이들은 군 지역에 거주하는 60

대 이상의 노년층이다.

그림 부 3-1. 거주 지역별 60 세 이상 인구의 스마트폰 수용 비율 차이(n= 2574)

그림 부 3-1 에서 살펴볼 수 있는 것과 같이, 같은 60 세 이상의 연령대라도 거

주 지역에 따라서 스마트폰 수용 비율과 그 변화 속도는 크게 다르다. 시 지역 거

주자들은 60 세 이상이어도 2012 년이면 그 변화 기울기가 급속하게 바뀌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2013 년에도 군 지역에 거주하는 60 세 이상 인구 중에는 단 4%만

2010 2011 2012 2013

수도권 시지역 0.5% 1.3% 6.6% 18.3%

기타 시지역 0.2% 0.3% 2.0% 9.5%

군지역 0.0% 0.0% 0.8% 4.0%

0.0%

10.0%

20.0%

30.0%

159

이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다. 즉 정보화의 사각 지대가 존재하는 것이다.

지방에 거주하는 60 세 이상의 노년 인구가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이뉴가

무엇인지는 다각적으로 따져볼 문제다. 예컨대 이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젊은 세대에 비하여 미디어 리터러시가 떨어지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새로운

미디어에 거부감을 갖고 있거나 또는 텔레비전이나 신문 등 전통 미디어가 더 친숙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노년층에 있어서 거주 지역에 따라 스마트폰 확산 속도가 크게 차이나는 것이

다른 사회구조적 요인에 의한 것은 아닌지 진단할 필요가 있다. 거주 지역에 의한

정보불평등은 3G, LTE 등 네트워크 설비의 시차뿐만 아니라, 지역별 가구 구성 등

과 같은 간과되기 쉬운 사회적 요인들의 결과로 나타나는 문제일 수 있다.

그림 부 3-2. 2013 년 가구원수 별 60 세 이상 인구의 이동전화(실선)/

스마트폰 이용률 (막대그래프) (n=2,574)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사회적으로, 정책적으로 검토가 필요한 부분은 1 인 노인

가구의 연결망 소외이다. 그림 부 3-2 는 60 세 이상 인구의 스마트폰 이용률을 가구

원수 별로 구분하여 살펴본 것이다. 흥미로운 것은, 1 인 가구에서 4 인 가구로 구성

원 수가 증가할 때까지는 스마트폰 수용률이 점차로 높아지다가 5 인 가구부터는

다시 줄어드는 추세를 보인다. (7~8 인 가구는 인구의 0.6%를 차지하는 작은 규모라

서 추세에서 논의를 제외한다.) 반면 이동통신 가입률은 가구원 수에 따라 크게 차

1 2 3 4 5 6 7 8

smart 3.6% 10.4% 14.4% 15.3% 9.6% 4.0% 14.3% 0.0%

mobile 69.1% 78.3% 78.2% 79.5% 69.6% 76.0% 92.9% 0.0%

0.0%

20.0%

40.0%

60.0%

80.0%

100.0%

160

이가 나지 않는다.

가구원 수에 따른 스마트폰 이용 비율의 차이는 하나의 원인으로 설명하기 어

렵다. 1 인 가구 노년층이 스마트폰 수용률이 낮은 이유는 두 가지로 설명이 가능하

다. 먼저, 이들은 소통할 이들이 많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정보통신 기기를 수용할

가능성이 낮다. 다음으로, 이들은 다른 이들에 비하여 새로운 기기에 대한 정보나

그 혜택을 알게 될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향성은 농어촌지역인 군 지

역만 따로 살펴볼 때 더욱 심각하다.28 반면 가구원 수가 5 인 이상이라는 일정 수

준에 도달하면 노년층 가구원들이 정보 기기 교체에서 다른 가구 구성원들에 비하

여 정보 기기 지출 우선순위에서 뒤로 밀리게 된다는 추론을 할 수 있다. 가구원

수가 많으면 지출 우선순위에서 노년층이 차별 혹은 배제를 당할 수 있음을 보여준

다.

이러한 경향성은 표 부 3-1 모형(1)과 그림 부 3-3 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2013

년도 스마트폰 수용 여부를 종속변수로 놓고, 가구원 수와 가구원 수 제곱, 지역 더

미 변수를 포함한 로짓 모형 분석 결과에서도 마찬가지로 드러난다. 즉 연령과 지

역, 그리고 가구 구성이라는 사회구조적 요인의 상호 작용을 정보불평등의 극단적

인 소외층을 설명하는 하나의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가구 구성의 특성

은 지금까지 국내 연구에서 정보불평등을 설명하는 독립적인 요인으로 연구되지 않

았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가구원 수의 경우에 선형 효과를 발견하기 어렵고 소

득 등의 요인과 가구 구성이 교차되어 있기 때문이다(정지운, 임병인, 김주현

2014)29.

28 군 지역에 사는 1인 가구 노년층의 경우에는 스마트폰 이용률이 0.8%에 불과하다.

또한 군지역에서는 4인 가구 이상에서는 스마트폰 이용률이 0%이다(n=654).

29 같은 1~2인 가구의 경우에도 20~30대 1인 가구와 60대 이상의 1~2인 가구는

성격이 다르다. 미대어 패널 20~30대 응답자의 경우 60대 이상의 노년층에 비하여 소득

수준도 높고 취업률도 높다. 또한 세대별 통신비 지출에 대한 민감도가 소득 수준 및

고용률도 달라 가구 구성과 세대의 교차가 정보 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앞으로

연구가 필요하다.

161

한편, 모형 2 와 같이 성별, 가구 소득, 교육수준, 고용, 미디어 활용 능력 등을

포함하면(모형(2)) 가구원 수와 스마트폰 이용의 역 U 관계 형태도 발견하기

어렵다.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을 포함하냐의 유무에 따라서 가구원 수가 스마트폰

수용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의 통계적 유의미함은 달라진다. 가구원의 수는 지역,

연령, 소득, 고용 등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 요인이기 때문이다.

표 부 3-1. 60 대 이상 2013 년 스마트폰 수용 여부 추정 모형

(1) (2)

가구원 수 1.375*** -0.182

(0.279) (0.325)

가구원 수 (제곱) -0.195*** -0.003

(0.044) (0.045)

지역(ref.=군 지역)

기타 시 지역 0.910*** 0.503*

(0.221) (0.240)

수도권 시 지역 1.642*** 0.977***

(0.229) (0.259)

성별(여성=1) -0.314

(0.179)

연령 -0.077***

(0.016)

학력 0.302***

(0.074)

가구 소득(로그) 0.394*

(0.170)

고용 여부 0.196

(0.180)

미디어 활용 능력 0.000

중 1.662***

(0.276)

상 2.849***

(0.362)

상수항 -5.132*** -1.284

(0.442) (1.605)

Log likelihood -791.81442 -602.38497

Pseudo R2 0.0601 0.2850

N 2574 2574

162

그림 부 3-3. 지역과 가구원 수에 따른 2013 년 스마트폰 수용 가능성

지방에 거주하는 60 대 이상의 이들이 과연 스마트폰과 더불어 발생한 정보불

평등 현상에서 벗어나기 어려운가에 대하여 더 고찰해보자. 그림 6-1 에서 살펴봤듯

이, 2014 년 현재 인터넷 이용자 수와 스마트폰 이용자 수는 거의 동일하다. 즉 앞

으로 인터넷 이용자의 새로운 확대는 대부분 스마트폰을 새로 수용하는 이들이라는

추론을 할 수 있다. 이미 성장 정체기에 이른 유선 인터넷보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이용이 더욱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인터넷 이용 방식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 인터넷 이용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확산 및

스마트폰 이용을 증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유선 인터넷 이용을 위해서는 가구 내에 PC 가 필요하고, 인터넷 통신망을 따

로 확보해야 하는 복합적인 제약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지금 현재 농어촌 고령 인

구들도 많은 수가 휴대 전화를 소지하고 있고(군 지역 60 대 이상 인구의 69%가 휴

대폰 보유), 이들의 경우 휴대폰 고장 등으로 교체 시기가 되면 무선 인터넷이 가

능한 스마트폰으로 변환이 가능할 것이다.

163

그림 부 3-4. 군 지역 60 대 이상 인구의 이동통신, 스마트폰 가입률 차이(2013 년)

그러나 휴대 전화 단말기 교체로 인하여 새로 스마트폰을 갖게 되더라도, 이를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는 이들이 앞으로도 존재할 수 있다. 이는 본

문 4. 3 의 분석에서 살펴봤듯이 스마트폰을 수용하더라도 인터넷 검색 등 실질적인

정보 이용 행위로 바로 이어지지는 않기 때문이다. 장노년층의 경우 스마트폰 구입

에 대한 부담뿐만 아니라, 기존의 컴퓨터와 인터넷에 대한 미디어 활용 능력 부재

가 스마트폰 이용 동기를 가로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지방에 거주하는 노년

층은 지금까지의 삶에서 인터넷에 대한 실질적인 필요를 느끼거나, 인터넷으로 인

한 혜택을 얻은 적이 없는 이들이다. 따라서 이들을 정보 소외 계층에서 벗어나게

하기 위해서는 다른 차원의 사회적/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이것은 6. 2. 2 에서 자

세히 다루었다.

이동통신 가입률과 현재 스마트폰 이용률의 격차를 보이는 집단이 있다는 것은

스마트폰으로 인한 정보불평등의 단면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기존 이동통신이 널

리 확산된 과정과 마찬가지로 스마트폰이 보편적인 기술과 서비스로 전환되고 정착

하여 스마트폰과 더불어 존재하는 정보불평등이 사라질 수 있다는 것도 시사한다.

164

자신이 사용해본 적이 있는 친근한 미디어 기기가 새로 수용하고 이용하기 더 편하

기 때문이다.

이호규(2009)가 주장한 바와 같이 “정보 부자인 경우에는 개인의 차원에서 고

려될 수 있는 반면 정보 빈자의 경우에는 개인들이 삶을 영위하고 있는 집단 혹은

공동체와 그 맥을 같이 한다”(이호규, 2009, p. 21)는 관점에서 정보불평등의 구조

적∙관계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이해하는 것은 앞으로 정보불평등을 줄여나가는

데 있어서 중요할 것이라 여겨진다.

165

Abstract

Reconsidering Digital Inequality and Media Convergence in

the Smartphone Era Using the Korean Media Panel Data

Kim, Young-jin

Dept. of Sociolog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The smartphone is a unique medium that has been diffused rapidly and

widely throughout the world, positioning itself as a necessity for contemporary

people. The objective of this dissertation is to examine digital inequality and its

changes in five dimensions: a) smartphone adoption, b) amount of smartphone

usage, c) information-seeking behavior, d) diverse activities of smartphone

users, and e) differences in media convergence rate. The media repertoire

approach was employed to explain diverse uses of the smartphone and

differences in media convergence rate. Using the Korean Media Panel Data

(2010 ~ 2013), this study investigates digital inequality and its change in the

early stage of smartphone diffusion and examines whether media skills has had

a cumulative effect on this new stage of digital inequality.

The Media Panel Data analysis reveals that a high level of media skills was

consistently associated with the early adoption, increased level of smartphone

use, info-seeking behavior, and diversity in the use of smartphones. This

finding indicates that the cumulative digital inequality is continuously associated

with the adoption of new technology and its use. In line with extant literature,

findings denote that age and education level is related to every dimensions of

166

digital inequality. It shows that the young and the educated easily learn and

adapt new digital technology. However, unlike previous research, income level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arly adoption; rather, it had a negative

association with smartphone usage of individuals. It seems to decouple between

information skill and economic capital. Gender, geographic region and

employment factors did not explain consistently the digital inequality related to

smartphone usage when controlled for other variables.

Results from the growth model of repertoire of media device usage suggest

that media convergence is generated from smartphone use and one can see the

difference in convergence of media device usage as a result of media use

adaptation that is associated with digital literacy. This study also extends to the

methodology of media panel analysis by incorporating a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model and an individual growth model which have not been widely

adopted within communication research,

In conclusion, smartphone adoption and usage reflects established

inequalities including media skills although the smartphone has been diffused

swiftly and broadly. To diminish digital inequality, we should support the info-

poor, especially the older adults, who have been marginalized in this era of new

digital media.

Key words: smartphone, digital inequality, media convergence, media ecology,

media evolution, diffusion of innovations, Korean Media Panel, media di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