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09 Vol. 2014 February Exhibition 새의 관점에서 바라보기 _ 류주현,이경현 Column 전신질환까지 관련되는 치주질환 미플러스 웹진

Miplus webzine vol 09

Embed Size (px)

DESCRIPTION

 

Citation preview

Page 1: Miplus webzine vol 09

09 Vol.2014 February

Exhibition

새의 관점에서 바라보기 _ 류주현,이경현

Column

전신질환까지 관련되는 치주질환

미플러스 웹진

Page 2: Miplus webzine vol 09
Page 3: Miplus webzine vol 09

미플러스 웹진 09 Vol.2014 February

전신질환까지 관련되는 치주질환 [<건강보험> 2014년 2월호]

Column 12

Exhibition 04

류주현의 새의 관점(Bird’s eye View) 작업은 문득 들여다 보았던 세상에 대한 개인적이고도 감정적 위안으로부터 시작한다.

누구나 한번쯤 혹은 매일 보았을지도 모르는 빼곡한 구조물로 덮힌 세상에서 풍겨지는 삶의 자취와 따스함이 바라봄의 대상으

로 찾아왔고, 일상적 풍경에 관한 단순한 조감의 시점이 아닌 마음의 렌즈라는 시각에서 비롯된 세상을 다시 짓고 재배치하는

작업이다. 이 세계는 나에게 허구를 넘어선 이상세계 즉 실제했지만, 실재하지 않은 유토피아적(Utopia) 공간임을 알 수 있다.

이경현의 작품에서 위에서 내려다보는 시선은 나를 감시자로 만들고, 누군가를 훔쳐보는 쾌락을 맛보게 한다. 시선의 위치를

통해 타자와의 관계에서 획득한 권력은 대상을 하찮고 의미 없는 것으로 만들어 버린다. 그러나 바라보는 자로서의 ‘나’는 언제

든 또 다른 타인에 의해 바라보이는 하찮은 대상으로 전복될 수 있고, 감시자에서 감시당하는 사람으로 전락할 수 있다.

병원 공지사항

•2월 28일 전체 휴진

•미플러스치과 앤갤러리 2014 전시 일정을 담은 캘린더를 드리고 있습니다.

필요하신 분들은 병원으로 문의주세요 02-515-7928 ( 한정된 수량으로 조기에 소진 될 수 있습니다. )

Ryu, Joo Hyun Lee, Kyoung Hyun2014. 2. 10 - 3. 8새의 관점에서 바라보기

[Bird’s eye View]

09 Vol.2014 February

Exhibition

새의 관점에서 바라보기 _ 류주현,이경현

Column

전신질환까지 관련되는 치주질환

미플러스 웹진

Page 4: Miplus webzine vol 09

04 Exhibition

새의 관점(Bird’s eye View)이라는 작업은 내 자신이 문득 들여다보았던

세상에 대한 개인적이고도 감정적 위안으로부터 시작된다. 누구나

한번쯤 혹은 매일 보았을지도 모르는 빼곡한 구조물로 덮힌 세상에서

풍겨지는 삶의 자취와 따스함이 나에게 흥분하게 된 바라봄의 대상으로

찾아왔고, 일상적 풍경에 관한 단순한 조감의 시점이 아닌 나의 마음의

렌즈라는 시각에서 비롯된 세상을 다시 짓고 재배치하는 작업을 한다.

캔버스 속 그 곳은 가본 듯한 그러나 결코 실존하지 않은 가상세계로

관객을 이끈다. 이 세계는 나에게 허구를 넘어선 이상세계 즉 실제했지만,

실재하지 않은 유토피아적(Utopia) 공간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담겨진 광경은 실재이지만, 당시 내려다보았던 나의 심정과

정서 그리고 투과된 기억과 함께 실존하지 않는 허구적인 공간으로

희망과 활기를 받았던 색감과 구조로 실체화한다. 무無의 캔버스에 종이

테이핑을 반복적으로 하여 여백을 쌓아 올리는 행위를 통해서 등장하는

색면의 조각들로 긍정적인 활력을 얻으며, 재배치된 조형성으로 인한

심리적 이완을 유도하며 붓으로 다시금 재현함으로써 평안을 찾는다.

줄지어 서있는 여백 없는 지붕과 자동차의 재현은 살아 움직이는

생명체가 없는 멈춰진 풍경임에도 불구하고 발아래 펼치져있는 시점을

통해 캔버스에 온기를 불어넣는 과정을 통해 내제된 생명력을 보여준다.

보는 이들로부터 어떠한 평면적으로 잘 그려진 완결작이 아닌 나의

작업을 보면서 제각각 다른 자신의 경험과 기억을 중첩시켜 보며

소통하며 공감하길 원한다. 마치 한번쯤은 자신이 올라가본 곳이거나

혹은 자신도 모르고 지나치고 살아오는 공간은 아닌지 말이다.

새의 관점에서 바라보기

Ryu, Joo Hyun _ 류주현

Education

현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회화전공 재학

2012 인하대학교 미술과 조소전공 졸업

Solo Exhibition

2012 ‘Bird’s eye View’, 갤러리 산토리니, 서울

Group Exhibitions

2013 특별기획초대전 작가2인, 갤러리각, 서울

‘Art of Angel’그룹展, 갤러리 아카스페이스, 서울

2011 ‘go’ 인하대학교 미술과 졸업展, 덕원갤러리, 서울

‘2011 단원미술제’, 안산시 단원전시관, 안산

Grants Awards

2011 ‘2011 단원미술제’ 입선

‘제 4회 서울 메트로 전국미술대전’ 대상

‘제 12회 대한민국 여성미술대전’ 은상

2010 ‘제 24회 대한민국 회화대전’ 입선

Collections

Bird’s eye View #1 2011, 서울 메트로 본사, 서울

Bird’s eye View #2012, 갤러리각, 서울

E-mail : [email protected]

1

Page 5: Miplus webzine vol 09

miplus webzine 2014 Vol. 09 05

1 새의 관점(Bird’s eye view) 91×116cm, acrylic on canvas, 2012 | 350만원

2 새의 관점(Bird’s eye view) 100×80.3cm(3), acrylic on canvas, 2013 | 각 280만원, 총 830만원

3 새의 관점(Bird’s eye view) 50×1m20cm, acrylic on canvas, 2012 | 150만원

3

2

Page 6: Miplus webzine vol 09

06 Exhibition

새의 관점(Bird’s eye view) 1m45×1m50cm, acrylic on canvas, 2012 | 700만원

1 새의 관점(Bird’s eye view) 푼크툼 시리즈 작업 27.2×44.0cm, acrylic on canvas, 2013 | 40만원

2 새의 관점(Bird’s eye view) 45.5×37.9cm, acrylic on canvas, 2012 | 60만원(액자값포함)

3 새의 관점(Bird’s eye view) 45.5×37.9cm, acrylic on canvas, 2012 | 60만원(액자값포함)

1 2 3

Page 7: Miplus webzine vol 09

miplus webzine 2014 Vol. 09 07

Bird’s eye View, 91×116cm(4), acrylic on canvas, 2013 | 각 350만원, 총1400만원(4)

새의 관점(Bird’s eye view) 112.1×145.5cm, acrylic on canvas, 2012 | 560만원

Page 8: Miplus webzine vol 09

08 Exhibition

바라보기는 현실사회를 보고 있는 관점이자 동시에 사회 읽기이다. 내가 바라본

현실사회의 모습은 이기심이 만연하고 표면적인 인간관계를 맺으며 아슬아슬하게

살아가고 있는 모습이다. 겉으로 보기에는 평화롭고 큰 문제가 없는 듯 보이지만

내면에는 서로 더 잘되려는 욕심, 욕망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외면과 내면의

모습이 다른, 마치 가면을 쓴 사람들의 모습처럼… 그래서 언젠가부터 나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피상적으로 보이기 시작했고 냉소적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높은 곳에 올라가 아래를 내려다보는 극단적인 시점에서의 바라보기는 내가

생각하는 현실의 모습을 잘 대변해 주었다. 그 모습은 마치 욕심에 가득 찬

새의 관점에서 바라보기

Lee, Kyoung Hyun_ 이경현

1

2

Page 9: Miplus webzine vol 09

miplus webzine 2014 Vol. 09 09

누군가에게 조종당하고 있는 작은 장난감 혹은 벌레들을 보는 느낌이었고,

욕망과 욕심에 사로잡혀 버둥대고, 이기심으로 물들어가는 우리의 초상화도

같았다. 이런 현실의 모습을 누군가 하늘에서 보고 있다면 한편의 영원한

서커스를 보는 느낌이지 않을까 생각한다.

치열하게 열심히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이 부질없게 느껴지는 순간이었다.

이런 현실사회의 모습을 희화화한 바라보기를 통해서 욕망과 욕심을 내려두고

‛인간’ 그 자체의 존재가치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었으면 한다. 바라보는

사람과 작품 속 바라봄을 당하는 사람이 다르지 않다는 사실과 함께.

1 Life is a circus I, 25×25cm, acrylic on canvas, 2013 | 40만원

2 Take a rest, 116×91cm, acrylic on canvas, 2013 | 350만원

3 Basketball, oil on canvas, 117×80cm, 2010 | 160만원

4 Line, 30×25cm, acrylic on canvas, 2013 | 40만원

3

4

Education

건국대학교 예술문화대학(서울), 현대미술전공 / 산업디자인부전공 학사 졸업

Solo Exhibition

2013. 10 신진작가 초대전 “Life is a circus”, 정수화랑, 서울

2013. 7 신진작가 초대전 “Life is a circus”, KITCHEN TALK, 서울

2012. 10 신진작가 초대전 “Look Down”, 아우름 미술관, 남양주

Group Exhibitions

2013. 10 기획 초대 3인전, 정수화랑, 서울

2013. 9 Love Impossible, 서울대 미술관(MoA미술관), 서울

2013. 7 바람난 미술, 여의도 IFC몰, 서울

2013. 5 기획 초대 2인전, 갤러리 각, 서울

2013. 5 MAYFEST, 스페이스 오뉴월, 서울

2012. 12 TITLE UN 지원기구와 함께하는 “산타클로스가 되어주세요”, 비욘드뮤지엄, 서울

2012. 10 959 예술가들 Grand opening, toka art factory, 서울

2012. 9 W.H.E.P 세계문화유산 교류 프로젝트 “Woher, Wohin” 수원문화재단, 수원

2011. 12 건국대학교 현대미술전공 졸업전시회, 공평갤러리, 서울

Art fair

2013. 12 2013 아트쇼, 코엑스, 서울

2013. 7 2013 아시아프, 문화역서울 284, 서울

2013. 5 광화문 국제아트페스티벌 “GIAF” 세종문화회관 미술관, 서울

2013. 2 California Long Beach Art Show, Hancock University Art Center, 캘리포니아

Award

2013. 7 광화문 국제아트페스티벌 “GIAF” 평면부분 대상

Blog : blog.naver.com/09ebwl

E-mail : [email protected]

Page 10: Miplus webzine vol 09

10 Exhibition

1 Ice fishing, 65×53cm, acrylic on canvas, 2013 | 120만원

2 Life is a circus II, 65×91cm, acrylic on canvas, 2012 | 160만원

3 Life is a circus III, 73×91cm, acrylic on canvas, 2012 | 160만원

1

2 3

Page 11: Miplus webzine vol 09

miplus webzine 2014 Vol. 09 11

4 Shopping, 65×53cm, acrylic on canvas, 2013 | 120만원

5 Power of 150 years old, acrylic on canvas, 100×73cm, 2013 | 200만원

6 Concentrate, 65×53cm, acrylic on canvas, 2013 | 120만원

7 Department, 46×38cm, acrylic on canvas, 2013 | 80만원

8 Poll, oil on canvas, 73×91cm, 2010 | 80만원

4 5

6 8

7

Page 12: Miplus webzine vol 09

12 Column

잇몸이 붓고 피가 나고 치아가 흔들리고 냄새까지 나는 치주질환. 성인 대부분이 치주질환에 시달린

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빈번한 질환이다. 특히 노인의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치주질환은 전신

질환과의 상관관계도 속속 밝혀지고 있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전신질환까지 관련되는 치주질환

2013년 건강보험공단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치주질

환이 노인 외래 진료 빈도의 4위에 랭크될 정도로 빈번하

게 발생하는 질병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인의 경우 신체기능의 저하로 모든 부분에서 문제

점이 발견되지만 특히 치주질환도 높은 발병 빈도를 보이

고 있다. 치주질환이란 흔히 풍치라고 알려진 잇몸질환으

로 치아가 흔들리거나 잇몸이 붓고 피가 나면서 아프기도

한데, 이미 이러한 임상 증상을 보이는 경우에는 치아 주변

조직의 파괴가 중증도 이상으로 진행된 경우가 많다. 예전에는 치주염을 앓는 사람 대부분이 주기적인 스케

일링이나 치과 방문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지식과 관심이 높아지면서 앞

서 말한 주기적인 치아 관리를 잘 하는 편인데도, 여전히 치주질환으로 인한 치아의 손실과 치료 빈도가 높은

편이다. 오히려, 어떤 경우에는 철저한 칫솔질과 관리를 병행하고 있는데도, 치주질환으로 인한 치아 손상과

치주염은 여전히 악화되고 있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왜 그럴까?

다양한 전신질환과도 관련

치주질환을 일으키는 근본 원인은 치주염을 일으키는 박테리아와 그 부산물로 인한 조직의 손상이지만, 그

렇다고 치주염을 앓고 있는 모든 사람이 구강관리를 잘못하거나, 양치질을 대충 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

인이 치주염으로 인해 불리한 상태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열심히 식후 양치질을 하고, 치간 칫솔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어떤 사람들은 하루에 한두 번 칫솔질을 하고 그것도 대충 하는 경우도 많다고

하는데, 치주염으로 인해 손상된 치아가 없는 경우도 있다. 치주염으로 인한 치아 손실에 대한 최신 연구는

치주염의 시작과 진행 및 발생 빈도에 대한 해답을 당뇨와 같은 전신질환, 부정교합과 같은 치아 배열과 맞물

림의 부조화, 그리고 이갈이나 이 악물기와 같은 수면장애, 야간 업무 등으로 인한 불규칙한 수면리듬과 스트

레스 등에서 찾고 있다. 또한 치주질환이 있는 경우 악화될 수 있는 심장혈관 질환과 뇌혈관 질환과의 상관관

계에도 새롭게 주목하고 있다.

Page 13: Miplus webzine vol 09

miplus webzine 2014 Vol. 09 13

당뇨는 면역학적으로 혈관 내 염증이 회복되기 어려운 환경을 만드는데, 특히 입안과 같

이 모세혈관이 풍부한 치주조직에서 염증이 발생한 경우 박테리아의 증식과 독성의 확대

가 빠르고,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치주조직의 파괴뿐 아니라 미세혈류를 타고 확산된 세균과 독소는 당뇨 자체를 더 악화시

키기도 하고, 심장혈관으로 이동하면 심장 질환은 물론 뇌혈관으로의 이동과 확산으로 뇌

졸중의 위험성도 높일 수 있다.

실제로 뇌혈관의 문제로 입원, 수술 치료를 받은 환자의 세균 배양 결과 원인균은 치주염

을 일으키는 구강 박테리아로 밝혀졌고, 원인 치아에 대한 추적도 가능하였다. 따라서 당

뇨를 가진 경우, 치주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환경들을 제어하고, 위생관리를 더욱 철저하

게 하면서, 3개월 정도의 치과 방문과 관리를 추천하고 있다.

부정교합이나 고르지 못한 치아도 원인

부정교합과 치아 배열의 부조화는 치주염을 일으키는 미생물의 번식과 부착을 용이하게

하고, 올바른 구강 위생관리를 어렵게 만들기 때문에 치주질환의 위험성을 높이기도 한

다. 주목해야 할 것은 나이가 듦에 따라 치아 배열의 부조화가 더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지속적인 맞물림 작용과 치주조직의 약화가 서로 상승작용을 하기 때문에, 나이

가 들면서 위아래 앞니의 배열이 틀어지고, 튀어나오는 것 같다고 하는 경우를 쉽게 볼 수

있다. 치아 배열과 맞물림이 고르고 정상적인 경우 치주질환 빈도가 더 낮게 보고되는 것

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그러므로 치아 배열에 대한 관리와 교정치료 역시 치주 질환의 위

험성을 낮추고, 잘 관리하는 방법이다.

스트레스도 잇몸질환 진행 가속화

야간 업무와 이로 인한 불규칙한 수면 리듬, 그리고 스트레스는 대개 혼재된 양상을 보이

는 경우가 많다. 수면이 불규칙할 경우 당연히 코르티솔과 같은 스트레스 호르몬의 분비

가 증가하고 이것은 잇몸질환의 발병과 진행을 가속화할 수 있다. 본인이 자각할 수 있는

증상으로는 잇몸이 붓거나 피가 나고, 칫솔질하고 나서도 금방 입안이 텁텁해지는 것을

느낄 때 조금 더 잦은 주기로 치과를 방문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앞서 설명한 것

들이 전신적으로 그러한 문제들이 있을 때 치주질환이 발병하거나 심해지기 쉬운 요건들

이었다면, 반대로 치주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 악화될 수 있는 전신질환으로는 당뇨,

심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 등이 있다. 그래서 최근의 연구들은 치주질환을 혈관질환과 연

관지어 연구하고, 관리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치주조직에 풍부한 모세혈관, 무수히 많

은 혈관의 혈류들이 모이는 심장, 미세한 혈관들의 요체이면서 탄성과 회복을 많이 허용

하지 않는 뇌혈관, 이렇게 인체의 중추와 핵심이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입안의 건강과 청

결은 신의 건강과 행복을 약속하는 첫걸음이고, 약속임을 기억해야 한다.

미플러스치과 앤갤러리

대표원장 이진민

*<건강보험>

2014년 2월호에

게재된 글입니다.

Page 14: Miplus webzine vol 09

교정 치료 전 교정 치료 후

14

아름다운 얼굴은 치과에서 만들어진다2월 교정 치료 케이스 사례

Page 15: Miplus webzine vol 09

미플러스치과 앤갤러리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605 휴먼타워

Caffe bene 6층(신사역 4번 출구)

진료 & 관람시간

평일 오전 10:00 ~ 오후 7:00

토요일 오전 10:00 ~ 오후 4:00

야간진료 수요일 오후 1:00 ~오후 9:00

점심시간 오후 1:00 ~ 오후 2:00

(일요일, 공휴일 휴진)

신사점 T 02 515 7928 F 02 545 7928

미플러스치과 앤갤러리는 새로운 전시 공간을

만들고자 노력하였으며, 배치와 형태는기능적

선과 면이 만들어내는 가변적인 공간을

기본으로 합니다.

작품구매를 희망하시는 분은 안내데스크에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별도의 큐레이터 및

에이전시에서 주관하며 판매되는 금액의

일부는 자선단체에 기부됩니다.

설계/시공 (주)디자인 인퍼 www.infur.com

BUS

BUS

BUS

우편취급국

GS주유소 동양아트홀

신한은행

한남대로

도산대로

강남역

잠원역

미플러스치과앤갤러리(카페베네 건물)

신사역 4번 출구4

치아교정부문대상

미플러스치과

고르지 않은 앞니 배열을 위한 맞춤형 설측교정

아나운서와 방송인, 상담가 등을 위한 안보이는 교정장치

맞춤형으로 발음장애를 개선하고, 치료 효율성을 높임.

간편하고 치료시간이 짧다.

마찰력을 줄여 치료효율성이 높다.

두 세달에 한번만 치과에 방문해도 교정치료가 가능하다.

바쁜 비즈니스 맨을 위한 교정치료.

효율성과 심미성을 한층 더 높인 클래리티 어드밴스드

미플러스치과

진료시간

상담 및예약문의

월,화,목,금 오전 10:00 ~ 오후 07:00

수요일(야간) 오후 01:00 ~ 오후 09:00

토요일 오전 10:00 ~ 오후 04:00

점심시간 오후 01:00 ~ 오후 02:00

일요일, 공휴일 휴진

02) 515-7928

02) 3141-0028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동 20-9

휴먼타워 Caffe Bene 6층

www.e-miplus.com

후원

miplus webzine 2014 Vol. 09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