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송연숙 ** · 박영옥 *** 본 연구는 유치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실습의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살펴보고자 지역의 교육실습 지도교사 명을 대상으로 설문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실습 운영 현황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살펴본 결과 실습시기에 대해선 실제 이 루어지는 시기와 이상적인 실습시기가 동일하였으며 수업실습에서는 부분수업 전일제 수 회를 바람직하게 여기고 있었다 또한 관찰실습 수업실습은 교사의 계획하에 지도되고 있 으나 실무실습의 경우 제한된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관실습 수업실습 실무실 습에 대한 역할 수행 및 실습지도 만족도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중 참관실 습에 대한 지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실무실습에 대한 지도는 다소 낮았다 셋째 실습제 도 개선에 대해선 사전ž사후실습의 필요성을 제안하였으며 대학에 대해 현장실습의 기회확대 연령별 모의수업 시연을 통한 수업역량 및 생태적 현장역량 강화를 요구하였다 주제어 교육실습 운영실제 실습제도개선 실습지도교사 생태적 현장역량 논문접수 수정본 접수 게재승인 본 연구는 년도 울산과학대학교 교내학술연구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울산과학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교신저자 천상잔디유치원 원장 울산과학대학교 유아교육과 겸임교수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 · 한 시간으로 많은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정규실습기간을 연장하거나

  • Upload
    others

  • View
    0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 · 한 시간으로 많은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정규실습기간을 연장하거나

생태유아교육연구

2015. 제14권 제3호 , 219 - 242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송연숙** · 박영옥***

요 약

본 연구는 유치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실습의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살펴보고자 U, G지역의 교육실습 지도교사 258명을 대상으로 설문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육실습 운영 현황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살펴본 결과, 실습시기에 대해선 실제 이

루어지는 시기와 이상적인 실습시기가 동일하였으며 수업실습에서는 부분수업 4회, 전일제 수

업 1회를 바람직하게 여기고 있었다. 또한 관찰실습, 수업실습은 교사의 계획하에 지도되고 있

으나 실무실습의 경우 제한된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관실습, 수업실습, 실무실

습에 대한 역할 수행 및 실습지도 만족도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중 참관실

습에 대한 지도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실무실습에 대한 지도는 다소 낮았다. 셋째, 실습제

도 개선에 대해선 사전ž사후실습의 필요성을 제안하였으며, 대학에 대해 현장실습의 기회확대,

연령별 모의수업 시연을 통한 수업역량 및 생태적 현장역량 강화를 요구하였다.

주제어 교육실습 운영실제(present state of kindergarten teaching practice)

실습제도개선(requirement for kindergarten teaching practice system)

실습지도교사(cooperating teacher)

생태적 현장역량(ecological field capacity)

※ 논문접수 : 2015. 07. 23 / 수정본 접수 : 2015. 09. 07 / 게재승인 : 2015. 09. 22* 본 연구는 2015년도 울산과학대학교 교내학술연구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 울산과학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교신저자, [email protected])

*** 천상잔디유치원 원장(울산과학대학교 유아교육과 겸임교수)

Page 2: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 · 한 시간으로 많은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정규실습기간을 연장하거나

22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Ⅰ. 서 론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능가할 수 없다’라는 통설은 교육의 질이 무엇보다도 교사의 질

에 달려있음을 의미한다. 아무리 좋은 여건과 시설 및 설비를 갖추었다 해도 교사의 자질과

교직에 임하는 태도가 바람직하지 못하다면 교육의 질적 향상은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유아기의 발달적 특성이나 유아교육과정 및 방법의 특수성으로 유아교사의 자질에 대

한 중요성은 배가되며 이에 의존하는 비율도 높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유아교

사가 되고자 하는 학생에게 필수적 경험이 되는 교육실습은 실제 교수학습 상황에 예비교사

가 지닌 이론 및 가설들을 통합하여 실습생 자신의 교육적 철학의 기초를 다지는 과정으로

교사가 되어가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교육실습을 통해 예비교사들은 유치원현장에서 미리 교사로서의 직무를 경험하면서 실천

적 지식을 습득하는 기회를 가지게 되는데 이미 많은 선행연구(배소영, 조부경, 1997;오선영,

2003; 임승렬, 1995; 정혜영, 2004; Ricord, 1986)들은 예비유아교사들이 교육실습에 참여함으

로써 유아교사로서 필요한 다양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을 습득하고 있음을 일관되게 보고하고

있다. 이처럼 교육실습은 단순히 자격증을 받기 위한 교과목의 성격을 넘어 유아교사로서의

교수학습이나 의사결정자로서의 역할, 교사로서의 지식, 기술, 태도 등을 직간접적으로 체험

하면서 교사로서의 전문성과 인격적 성숙을 도모하는 기회가 된다. 같은 맥락으로 교육부에

서는 교육실습의 중요성을 기하기 위해 학교현장실습 외에 교육봉사활동 교과목을 추가하여

시간과 학점배당을 강화하였으며, 교원양성기관평가 시 중요 평가지표로 교육실습항목이 중

요하게 강조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교육실습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습효과에 관한 연구들은 크게 긍정적 측면

과 부정적 측면을 기술하는 양면성을 보이고 있다(김안나, 2011; 송연숙, 2010; 이현중, 2002;

임승렬, 1998; 정혜영, 2004; 조채영, 좌승화, 2014; 황윤세, 최미숙, 2005). 실습 후 유아교사로

서의 교수능력, 유아들을 파악하고 이해하는 능력, 유아교사 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

아졌다는 결과들이 있는 반면 실습 이후 교사중심의 교수방안, 교직에 대한 부정적 입장을

보이거나 교사의 역할 등에 대한 인식이 감소했다는 결과들도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교육실

습이 교사로서의 전문성 신장 및 정체성 형성을 위한 중요한 과정이고 교육실습 경험에 따라

긍정적 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질 높은 교육실습을 제공하는 것은 교사양성제

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그동안 대학과 현장에서는 더 적합한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들

Page 3: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 · 한 시간으로 많은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정규실습기간을 연장하거나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221

을 해왔다. 그러나 그간의 내실화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학과 실습기관의 협

조체제 미흡, 효율적인 지도 부족과 체계적인 실습지도 프로그램 미비, 지도교사 및 기관에

따른 차이, 재정 및 제반 여건의 지원 부족 등 실습의 질이나 내용 면에서 아직 개선되어야

할 많은 문제들이 남아있다(임승렬, 1995; 조부경, 고영미, 2004; 조운주, 박은혜, 2001). 또한

일부에서는 아직도 실습을 체계적인 계획없이 교사 자격을 갖추기 위한 형식적인 과정으로

여기는 인식 부족, 교육실습 기간과 교육실습을 담당하는 지도교사의 자질, 교육실습 내용에

대한 문제점 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노민자, 2004; 박지완, 2000; 유연화, 2004; 정남

미, 2008).

이상에서 언급된 문제점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현재 4~6주간의 실습으로 이루어지는 우

리나라의 경우 대학에서 습득한 이론을 충분히 반영하고 다양한 경험을 하기에는 매우 부족

한 시간으로, 많은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정규실습기간을 연장하거나 사전·사후실습과 연계하

여 이루어지길 기대하며 실습관련 제도의 개편 즉 실습기간의 연장, 교육실습의 질 관리 강

화를 주장하고 있다(배소연, 윤기영, 조부경, 1994; 임승렬, 1995; 조부경, 고영미, 2004; 홍혜

경, 김영옥, 지성애, 2003). 이와 더불어 현장실습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최근 각 대학에서는

교육실습을 사전실습, 정규실습, 사후실습 등으로 세분화하여 실시하고 있으나 정규실습만이

필수교과로 지정되어 있어 사전ž사후실습의 경우 실시여부 및 방법에 이르기까지 큰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실제 이러한 요구가 유치원 현장에서는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

지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또한 실습내용과 실습활동의 유형 및 횟수는 실습기관에 따라 상

이하게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임효진, 2007) 이러한 결과는 실습기관에 따라 경험하는

교육실습의 질이 달라질 수 있음과 실습시작 전 실습내용과 유형에 대한 사전협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한편 실습기간동안 실습지도교사는 실습생에게 유치원 교사로서의 역할모델링뿐만 아니라

실습의 안내자이자 평가자이며 나아가 실습생들의 정서적 지원자라고 할 수 있다(김선경,

2004; 송연숙, 2008; 조운주, 박은혜, 2001; Olson & Carter, 1989). 따라서 실습지도교사의 자

질과 역할수행이 교육실습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과 실습생에게 비춰지는 지

도교사의 영향력을 감안해볼 때 실제 실습운영형태에 따른 교사 자신의 역할수행에 대해 어

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나아가 이들이 실습지도시 겪는 어려

움을 해소하고 실습지도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 질 높은 교육실습이 되기 위한 필요 요건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교육실습을 경험한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습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대다수이다. 그러나 실제 한달 가량의 정규실습만을 경험

Page 4: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 · 한 시간으로 많은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정규실습기간을 연장하거나

22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실습의 제반적인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찾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여

겨진다. 오히려 실습생들로 하여금 많은 경험을 하게 하는 지도교사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최

근에는 실습생의 시각에서 벗어나 교육실습을 지도하는 교사의 측면을 다루는 다각적인 시

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실습지도교사의 교육에 대한 연구(조부경, 고영미, 2004; 조운주, 박은

혜, 2001), 실습지도교사의 역할인식과 수행에 관한 연구(권기염, 방유선, 2012; 김선경, 2004;

신현주, 1998), 실습시 지도교사와 실습생 사이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에 대한 연구(송연숙,

2010; 조채영, 좌승화, 2014) 등을 알아보는 연구들이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들은 실습과정에서 일어나는 특정 상황에 대한 문제들을 다루었을 뿐 교

사양성과정에 있어 유치원 교사의 측면에서 교육실습 운영 실제에 대한 인식과 개선에 대한

요구를 살펴본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실습지도교사를 대상으로 실습운영 제반에 대한 인식

을 살펴본 연구는 몇몇의 연구(박현우, 2006; 정남미, 2008; 최명아, 2013)에 불과하다. 박현우

(2006)은 예비교사의 실습에 대한 인식과 실제를 교사의 실습경험 유무 및 교사관련 변인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으며, 정남미(2008)는 실습생, 지도교사, 관리자의 입장에

서 실습지도 현황과 인식을 살펴보되 수업횟수, 교구제출 및 비용에 대한 양적 정보와 실습

시의 어려움과 개선점은 질적 정보로 제안하고 있다. 최명아(2013)은 교육실습 현황과 개선

에 대한 제반요소는 다루고 있지만 실습지도교사로의 역할수행이나 지도에 대한 정보는 제

시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또한 앞서 제시된 예비교사 대상의 교육실습 현황과 관

련된 연구(박지완, 2000; 배소연 외, 1994; 유연화, 2004; 임효진, 2007)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보

면 실습동안 이루어지는 제반적 요소를 살펴보기보다는 실습시기 및 실습내용에 대한 현황

만을 부분적으로 분석하고 있으며 특히 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부분은 전혀 다루고 있지 않

다. 실습 시의 교사역할 수행에 대한 연구는 운영 현황과는 별도의 주제로 주로 연구되고 있

는 편이다. 그러나 실습지도교사의 관점에서 실습운영 실제에 대한 인식과 개선을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면 마땅히 실습을 지도하는 교사의 역할수행정도나 실습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제반적인 요소 즉 시기, 내용 및 지도, 사전·사후 실습, 그리고 이에 대한 요구나

개선 등을 포함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 운영 제반에 대한 정보와 구체적으로 교육실습에 대해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부분, 앞으로 개선되어야 할 부분은 무엇이며 실습의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교육실습이 어떤 형태로 이루어지는지 또한 실습운영형태별 실습지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지 크게 실습내용부분, 지도교사의 역할부분, 실습제도 개선부분으로 나

누어 그 내용과 구성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이 교사양성과정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생각해볼 때 지도

Page 5: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 · 한 시간으로 많은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정규실습기간을 연장하거나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223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실습의 운영 실제와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현행 실습의 현황과 그 내용을 알아보고 바람직한 실습의 개선방향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

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현황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인식 및 요구는 어떠한가?

2. 유치원 교육실습 지도교사로서의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 및 요구는 어떠한가?

3. 유치원 교육실습 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인식 및 요구는 어떠한가?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울산광역시, 경상남도에 소재하는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교사이다. 유치

원의 교육실습 운영 실제와 실습제도 개선을 위한 요구를 알아보고자 설문지의 응답은 최근

2년 동안에 실습 지도를 해본 현직교사, 원감, 원장이 하였다. 연구대상의 선정을 위해 학급

수가 많은 유치원을 우선적으로 임의 표집하였고 전화 및 면담을 통해 실습지도의 여부를 확

인한 후 연구의 취지를 밝히고 직접 방문 또는 우편을 통해 설문지를 배부, 회수하였다. 배부

된 총 300부 설문지 중 미회수 되거나 응답 미기재 혹은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교사 258

부를 본 연구의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 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은 표 1과 같다.

<표 1>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 N(%)

대상 변인 구분 빈도(N) 비율(%) 전체(%)

교사

(N=258)

직위

교사 206 79.8

258(100.0)주임교사 32 12.4

관리자 20 7.8

학력3년제 대학 졸 192 74.4

258(100.0)4년제 대학이상 66 25.6

경력

1~2년 92 35.7

258(100.0)3~4년 74 28.7

5~6년 32 12.4

7년 이상 60 23.3

2. 연구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유치원의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

Page 6: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 · 한 시간으로 많은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정규실습기간을 연장하거나

22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지도교사의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박지완, 2000; 임효진, 2007;

최명아, 2013)를 토대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교육실습 현황에 대한 인식 내용은 정규실습시기, 지도교사의 선정기준, 실습내용과 구성

을 먼저 살펴보면서 실습운영형태별 실습지도교사의 역할수행, 사전·사후실습에 대한 여부와

교육실습 제도에 대한 개선까지 확대하여 설문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도구의 내용타당도와

적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유아교육과 교수 3인과 교육실습 지도경력이 있는 교사 4인으로

부터 적절성을 검토받았다. 본 설문은 척도형과 선택형으로 구성되며 총 39문항이다. 지도교

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은 Cronbach‘s ⍺= .87로 나타났다. 세부적인 내용은 표 2와 같다.

<표 2> 설문지 구성 내용

영역 하위영역 문항

교육실습 운영

현황 및 요구

정규 교육실습 시기 2

실습지도 교사 선정 기준 2

교육실습 내용과 운영 11

교육실습 운영형태별

역할수행

인식 및 요구

참관실습, 수업실습, 실무실습 제반에 대한 지도 9

실습지도 만족도 1

실습지도상의 강조점, 어려움, 요구 3

교육실습 제도 관련

현황 및 요구

사전실습 현황 등 4

사후실습 현황 등 4

대학에 바라는 점 3

총 문항 수 39

3. 연구절차

1) 예비조사

설문지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내용이 모호한 문항의 선별과 예기치 못한 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2014년 5월 10일부터 21일까지 울산광역시의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가 이루어졌다. 예비조사를 통해 문항의 적합성을 검토하고 수정하였다.

2) 본 조사

본 조사는 2014년 7월 1일부터 30일까지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내 유치원에서 근무하며 교

육실습을 지도한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미회수된 설문지와 부실 기재된 설문지

Page 7: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 · 한 시간으로 많은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정규실습기간을 연장하거나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225

를 제외하여 258부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사용하였다.

4.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으로 통계처리 되었다. 각 연구도구의 신뢰도

는 Cronbach‘s ⍺를 이용하여 검증하였고, 자료의 기초적인 분석을 위해 빈도, 백분율을 구하

였다. 이외에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및 해석

1.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현황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인식 및 요구

먼저 정규 교육실습의 시기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한 지도교사의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각

문항별 빈도수와 백분율을 알아보았다. 분석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 정규 교육실습 시기 현황 및 요구 N(%)

구분 현황 요구

실습시기

3월 0(0.0) 43(17.7)

4월 34(11.3) 25(9.7)

5월 32(10.0) 55(22.1)

6월 77(37.5) 13(4.4)

7월 75(36.3) 13(4.4)

8월 22(3.8) 37(15.0)

9월 0(0.0) 31(12.4)

10월 18(1.3) 29(11.5)

11월 0(0.0) 0(0.0)

12월 0(0.0) 0(0.0)

1월 0(0.0) 12(2.7)

총계 258(100.0) 258(100.0)

표 3과 같이 교육실습이 가장 많이 이루어진 시기는 6월(77명, 37.5%), 7월(75명, 36.3%) 4

월(34명, 11.3%) 순으로 나타났으며, 정규실습의 가장 적절한 시기로는 5월, 3월, 8월로 나타

났다. 이는 정규실습이 대부분 1학기에 이루어지며 적절한 시기로도 1학기를 선호하고 있음

을 보여준다.

Page 8: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 · 한 시간으로 많은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정규실습기간을 연장하거나

22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다음으로 실습지도교사의 선정 기준에 대한 인식과 이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각 문

항별 빈도수와 백분율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 표 4와 같다.

<표 4> 실습지도교사의 선정 기준 현황 및 요구 N(%)

구분 현황 요구

실습지도

교사 자격기준

경력 145(60.0) 166(68.4)

직급 13(2.6) 26(8.5)

유아 연령 51(19.1) 44(16.2)

특정기준 없음 49(18.3) 22(6.8)

총계 258(100.0) 258(100.0)

교육실습의 실습지도교사 선정 기준으로 경력(145명, 60.0%), 유아 연령(51명, 19.1%) 순으

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정 기준없이 담당하게 된다고 응답한 경우도 49명(18.3%)으로 나타났

다. 선정기준에 대한 요구는 경력, 유아의 연령, 직급 순으로 나타났다.

정규실습 시 참관실습의 운영 현황과 참관실습 시 강조되어야 할 부분에 대한 지도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 표 5와 같다.

<표 5> 정규교육실습 기간 동안의 참관실습 운영 현황 및 요구 N(%)

문 항 내 용 N(%) 전체(%)

지도교사 계획 하에 이루어진다 232(94.9)

258(100.0)참관실습 안내는 없었으나 유사한 기간이 있었다 17(4.2)

참관수업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9(.8)

유아 관찰 및 기록 59(23.1)

258(100.0)

상호작용 방법 및 내용 159(65.8)

간식 및 급식의 운영 6(.9)

기본생활 습관 지도 17(5.1)

교재교구 및 자료 준비와 관리 17(5.1)

표 5와 같이 참관실습은 지도교사의 계획 하에 이루어진다(232명, 94.9%), 참관실습(관

찰수업) 안내는 없었으나 유사한 기간이 있었다(17명, 4.2%) 순으로 나타나 대부분의 유치

원에서 참관실습(관찰수업)을 운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참관실습 시 강조되는 것은 상호

작용 방법 및 내용(159명, 65.8%), 유아관찰 및 기록(59명, 23.1%)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정규실습 시 수업실습의 내용 현황과 요구를 알아보기 위해 부분수업과 전일제

Page 9: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 · 한 시간으로 많은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정규실습기간을 연장하거나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227

수업지도 현황과 이에 대한 이상적인 수업지도 횟수를 분석한 결과는 표 6과 같다.

<표 6> 수업실습 지도 현황 및 요구 N(%)

영역 구분실제 수업지도

현황이상적인 수업지도

요구

부분수업

실시하지 않음 0(0.0) 0(0.0)

1회 11(4.3) 6(2.3)

2회 59(22.9) 52(20.2)

3회 49(19.0) 55(21.3)

4회 61(23.6) 59(22.9)

5회 11(4.3) 26(10.1)

6회 17(6.6) 20(7.8)

7회 12(4.7) 6(2.3)

8회 21(8.1) 10(3.9)

9회 7(2.7) 4(1.6)

10회 7(2.7) 10(3.9)

20회 3(1.2) 8(3.1)

총 계 258(100.0) 258(100.0)

all-day(전일제수업)

실시하지 않음 8(3.1) 6(2.3)

1회 190(73.6) 143(55.4)

2회 28(10.9) 79(30.6)

3회 16(6.2) 13(5.0)

5회 0(0.0) 9(3.5)

6회 16(6.2) 8(3.1)

총 계 258(100.0) 258(100.0)

표 6과 같이, 부분수업의 경우 0∼20회로 나타났으며 이중 4회(61명, 23.6%), 2회(59명,

22.9%), 3회(49명, 19.0%) 순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2~4회의 부분수업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임을 보여준다(180명, 65.5%).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부분수업 횟수도 역시 4, 3, 2회

순으로 나타났다. 전일제 수업의 경우 1회(190명, 73.6%), 2회(28명(10.9%) 순으로 시행되었

으며, 이상적인 횟수 역시 1, 2회 순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흥미영역별 활동과 대소집단활동에서 어떤 유형의 수업이 이루어졌는지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age 10: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 · 한 시간으로 많은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정규실습기간을 연장하거나

22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표 7> 흥미영역활동 및 대소집단활동의 수업지도 현황(모두 선택) N(%)

영역 구분 실제 수업지도현황

흥미영역활동

언어영역 113(43.7)

수조작영역 73(27.8)

과학영역 55(20.6)

역할영역 53(19.8)

쌓기영역 29(10.3)

미술영역 121(46.8)

음률영역 109(42.1)

모두 63(23.8)

기타 9(2.4)

대소집단활동

이야기나누기 211(82.5)

새노래 172(67.2)

동시 95(36.5)

동화 145(56.3)

동극 11(3.2)

신체표현 79(30.2)

게임 117(45.2)

실외활동 45(16.7)

모두 35(12.7)

기타 19(6.3)

표 7과 같이 수업실습 지도현황은 흥미영역에서는 미술영역(121명, 46.8%), 언어영역(113

명, 43.7%), 수조작영역(73명, 27.8%) 순으로 나타났다. 대소집단활동은 이야기나누기(211명,

82.5%), 새노래 지도(172명, 67.2%), 동화(145명, 56.3%)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상과 같은 수업실습 지도의 효과를 활성화하기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8> 수업실습 지도의 효과 고취방안 N(%)

영역 구분 N(%)

개선 방안

유치원 교재·교구를 활용하여 수업해 보기 39(15.1)

대학에서의 모의수업시연 기회 확대하기 140(54.8)

실습생끼리 공동으로 협의하여 수업해 보기 19(7.1)

지도교사의 다양한 수업모델 보이기 47(18.3)

사후실습 시 수업 기회 제공하기 13(4.8)

기타 0(0.0)

총 계 258(100.0)

Page 11: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 · 한 시간으로 많은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정규실습기간을 연장하거나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229

표 8과 같이 수업실습 지도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의 모의수업시연 기

회 확대(140명, 54.8%)를 가장 많이 요구했으며, 실습지도교사의 다양한 수업 모델 경험시

키기(47명, 18.3%), 유치원 교재교구를 활용하여 다양한 수업해보기(39명, 15.1%)가 다음 순

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습지도교사들은 수업실습 지도의 활성화를 위해선 실습 전 대학

에서 다양한 수업시연의 기회가 확대되어야 함을 개선방안으로 제안하였다.

정규실습 시 참관실습, 수업실습 외 유치원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의 직무와 관련된 실무

실습 현황을 알아보고 이중 강조되어야 하는 부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정규실습 시

이루어지고 있는 실무실습의 내용과 요구는 다음 표 9와 같다.

<표 9> 실무실습 지도 현황 및 요구(모두 체크) N(%)

구분 현황 요구

수업

실무

지도

실습 일지 작성 219(85.7) 133(51.6)

출석부 및 학급경영록 작성 등 105(40.5) 41(15.1)

유아 관찰 및 평가 175(68.3) 151(58.7)

급 간식 지도 및 관리 131(50.8) 19(6.3)

부모교육 및 상담 계획과 실행 7(1.6) 51(19.0)

행사 계획 및 실행 17(5.6) 15(4.8)

자료 제작, 수납 및 관리 97(37.3) 31(11.1)

공문서 작성 및 각종 문서 관리 10(2.4) 15(4.8)

보조업무(차량, 청소 등) 143(55.6) 69(26.2)

기타 9(2.4) 13(4.0)

표 9와 같이 정규실습기간 동안 이루어진 실무실습에는 실습일지 작성(219명, 85.7%), 유

아관찰 및 평가(175명, 68.3%), 차량, 청소 등의 보조업무(143명, 55.6%) 순으로 나타난 반

면 이에 대한 요구로는 유아관찰 및 평가(151명, 58.7%), 실습일지 작성(133명, 51.6%), 차

량 및 청소 등의 보조업무(69명, 26.2%)로 나타나 일부 순위변화는 있지만 현황과 요구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정규실습 내용을 선정하는 주체와 선정방안에 대한 지도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각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을 알아보았다. 분석결과는 표 10과 같다.

<표 10> 실습지도 내용 선정 방안에 대한 현황 및 요구 N(%)

문 항 내 용 현황 요구

표준 교육실습 지침에 따라 전체 동일하게 진행한다 39(14.9) 29(11.2)

실습기관이 계획한다 47(18.2) 57(22.1)

대학과 실습기관이 함께 계획한다 73(28.9) 74(28.7)

대학이 지침기준을 제시하고 실습기관이 이를 토대로 조절한다 82(32.2) 87(33.7)

대학에서 계획한다 17(5.8) 11(4.3)

258(100.0) 258(100.0)

Page 12: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 · 한 시간으로 많은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정규실습기간을 연장하거나

23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표 10과 같이 정규실습내용의 선정은 대학이 지침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실습기관

이 조절한다(82명, 32.2%), 대학과 실습기관이 함께 계획한다(73명, 28.9%), 실습기관이 계

획한다(39명, 14.9%)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요구 또한 같은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

서 정규실습의 내용 선정은 대학의 기본지침 하에 실습기관이 협의해 조절하거나 양 기관

이 함께 협의하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유치원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 및 요구

유치원 교육실습 지도교사로서 실습운영형태에 따른 역할 수행정도와 실습지도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참관실습, 수업실습, 실무실습 각 문항별 평균 및 표준편차를 알아

보았다. 분석결과는 표 11과 같다.

<표 11> 교육실습 지도교사로서의 역할 수행과 실습지도의 만족도에 대한 인식 M(SD)

실습지도교사로서의 역할수행 정도 M(SD)

참관실습

유아들에게 실습생에 대해 설명해주고 유아의 특성에 대해 관찰하도록 지도

하였다3.77(.64)

교사의 역할(수업, 일상적 업무, 일지작성 등)에 대해 설명해주고 관찰하도록

지도하였다3.72(.74)

교실과 기관의 공간 즉 실내외 환경 및 교재교구를 설명해주고 관찰하도록

지도하였다3.69(.81)

수업실습

수업계획안 작성과 수업자료, 교재교구 제작 및 활용에 대해 지도하였다 3.61(.71)

다양한 교수방법을 보여주고 실습생의 수업시 적절한 방법으로 개입하여 지

도하였다3.58(.65)

부분수업, 종일수업을 통해 실습생의 수업역량을 함양시키고 적절한 평가와

지도를 해주었다3.70(.78)

실무실습

교사의 다앙한 직무에 대해 알려줌으로 교직생활을 이해하도록 지도하였다 3.58(.77)

등하원지도, 급간식지도, 안전지도, 기본생활습관지도, 환경구성 및 청소 등

학급운영과 관련된 실무에 대해 지도하였다3.58(.71)

출석부, 생활기록부 외 공문서 작성 등의 문서관리와 부모상담, 행사계획 등

의 실무에 대해 지도하였다3.21(.73)

실습지도에 대한 만족도 3.51(.63)

표 11과 같이 실습운영형태에 따른 실습지도교사로서의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Page 13: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 · 한 시간으로 많은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정규실습기간을 연장하거나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231

결과 평균 5점을 기준으로 평균 3.21∼3.77의 범위를 보이고 있으며, 참관실습에 대한 역할

수행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이중 유아의 특성에 대한 관찰지도에 대한 점수가 가장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습지도교사로서의 만족도는 평균 3.51(.63)으로 나타났다.

실습지도시 강조점과 어려움, 그리고 실습지도교사에게 필요한 지원에 대한 요구를 알아

보기 위해 각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을 알아보았다. 분석결과는 표 12와 같다.

<표 12> 실습 지도시의 강조점과 어려움, 지원 요구 N(%)

문 항 내 용 N % 전체(%)

교직생활을 준비하는 최종 정리 21 8.0

258(100.0)

실습생의 교직에 대한 적성 및 능력 검증 84 32.8

이론을 실제에 적용해보는 학습과정 30 12.0

실제 수업지도기술, 방법을 익히는 과정 110 43.2

교직원간의 인간관계 기술 10 3.2

수업 외 직무 관련 실무실습 3 0.8

수업 공개 부담 67 26.2

258(100.0)

과중한 업무량 및 시간 할애 어려움 67 26.2

예비교사로서의 인성 및 태도 부족 97 38.5

예비교사의 유아에 대한 이해 부족 21 7.4

기 타 6 1.6

인적 지원(실습지도 보충 인력 제공) 74 29.4

258(100.0)

재정적 지원(실습지도교사에게 제공) 80 31.9

실습지도를 위한 연수 기회 제공 56 21.8

실습지도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학점) 인정 12 3.4

교육실습 표준 지침 가이드 제공 32 11.8

기타 4 1.7

표 12와 같이 교육실습 동안에는 실제 수업지도 기술 및 방법을 익히는 과정(110명,

43.2%)과 실습생의 교직에 대한 적성 및 능력을 검증(84명, 32.8%)하는 것을 강조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습지도 교사들이 실습지도시 겪는 어려움은 예비교사의 인성 및 태

도 부족(97명, 38.5%), 수업공개 부담, 과중한 업무량과 시간 할애 어려움(67명, 26.2%) 순

으로 나타났다. 반면 실습지도교사에게 필요한 지원으로는 재정적 지원, 인적 지원, 실습지

도를 위한 연수기회 제공 순으로 나타났다.

3. 유치원 교육실습 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인식 및 요구

유치원 교육실습 제도 개선과 관련하여 사전실습 운영 현황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

Page 14: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 · 한 시간으로 많은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정규실습기간을 연장하거나

23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문 항 내 용 N(%) 전체(%)

운영

현황

실시하지 않음 196(80.7)

258(100.0)

정규실습 전 1주간 28(10.1)

49(15.1)정규실습 전 2주간 5(.8)

정규실습 전 3주간 7(1.7)

보기 위해 각 문항별 빈도수와 백분율을 알아보았다. 분석결과는 표 13과 같다.

<표 13> 사전실습 운영 현황 및 요구 N(%)

문 항 내 용 N(%) 전체(%)

운영

현황

실시하지 않음 127(51.3)

258(100.0)

정규실습 전 1주간 51(19.8)

106(38.8)정규실습 전 2주간 11(3.3)

정규실습 전 3주간 11(3.3)

정규실습 전 4주간 33(12.4)

기타(대학 요청에 따라 실시) 25(9.9)

필요성필요하다 202(79.2)

258(100.0)필요하지 않다 54(20.8)

필요

이유

기관의 교육철학 및 프로그램 현황 파악 35(17.5)

202(100.0)실습생의 역할에 대한 지도(근무태도, 유의사항 등) 79(38.8)

유아와의 래포형성 및 상호작용 경험 45(22.3)

계획안, 일지 등의 형식에 대한 구체적인 사전 지식 전달 18(8.7)

하루 일과 경험 및 주제 진행 파악 25(12.6)

운영

어려움

대학에서의 사전실습에 대한 요구 부족 67(29.9)258(100.0)과중한 업무로 실습지도 시간 할애의 어려움 118(47.9)

사전실습 프로그램의 부재 50(18.8)

기 타 14(3.4)

표 13과 같이 사전실습을 실시하지 않는다(127명, 51.3%)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실시한다(106명, 38.8%), 대학요청에 따라 실시한다(25명, 9.9%) 순으로 나타났다. 사전실습

이 필요하며(202명, 79.2%), 필요한 이유로는 실습생의 역할에 대한 지도(79명, 38.8%), 유

아와의 래포 형성 및 상호작용 경험(45명, 22.3%), 기관의 교육철학 및 프로그램 현황 파악

(35명, 17.5%) 순으로 나타났다. 사전실습 운영의 어려움으로는 과중한 업무로 실습지도 시

간 할애의 어려움(118명, 47.9%)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사후실습 운영 현황 및 요구는 정규실습 후 1주에서 4주 그리고 실시하지 않는

경우까지 포함해서 각 문항별 빈도수와 백분율을 알아보았다. 분석결과는 표 14와 같다.

<표 14> 사후실습 운영 현황 및 요구 N(%)

Page 15: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 · 한 시간으로 많은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정규실습기간을 연장하거나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233

정규실습 전 4주간 9(2.5)

대학 요청에 따라 실시 13(4.2)

필요성필요하다 147(57.3)

258(100.0)필요하지 않다 111(42.7)

필요

이유

실습기간이 짧아 흥미영역별, 대집단 활동의 경험이 부족 16(11.5)

147(100.0)교사로서의 적성을 생각해보고 교사로서의 정체감 형성위해 65(42.3)

학기 중반, 학기말 등에 이루어지는 교육에 대한 경험이 필요 44(29.5)

실습시 부족했던 실무실습을 위해(공문서작성, 부모상담 등) 20(14.1)

기타 2(2.6)

운영

어려움

대학에서의 사후실습에 대한 요구 부족 74(29.5)

258(100.0)과중한 업무로 실습지도 시간 할애의 어려움 100(41.9)

사후실습 프로그램의 부재 56(21.0)

기타 28(7.6)

문 항 내 용 N(%) 전체(%)

실습지도

만족도

고취방안

대학에서의 사전실습교육 강화 75

29.1실습기관에서의 충실한 지도 45

현장실습의 경험 기회 확대 115

실습생 자신의 노력 23

대학에서

강화해야할

교육

수업계획안 작성 43(16.8)

17.3연령에 맞는 다양한 모의수업시연 91(38.1)

교직원과의 인간관계 0(0.0)

유아와의 상호작용하는 방법 43(16.8)

표 14와 같이 사후실습을 실시하지 않는다(196명, 80.7%)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실시하고 있다(49명, 15.1%), 대학요청에 따라 실시한다(13명, 4.2%)로 나타났다. 사후실습

이 필요하며(147명, 57.3%), 필요한 이유로는 교사로서의 적성을 생각해보고 교사로서의 정

체감 형성을 돕기 위해(65명, 42.3%), 학기중, 학기말 등에 이루어지는 교육에 대한 경험이

필요하기에(44명, 29.5%), 실습 시 부족했던 실무실습을 위해(20명, 14.1%) 순으로 나타났

다. 사후실습 운영에서는 과중한 업무로 실습지도 시간 할애의 어려움(100명, 41.9%)이 가

장 많았다.

지도교사를 대상으로 교육실습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과 정규실습 전 교사양

성과정에서 더 다루어야 할 것, 대학에 바라는 점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각 문항별 빈도수

와 백분율을 알아보았다. 분석결과는 표 15와 같다.

<표 15> 교사양성기관에 대한 요구 N(%)

Page 16: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 · 한 시간으로 많은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정규실습기간을 연장하거나

234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유아 관찰지도 4(.9)

유아교사의 역할 및 자질 이해 41(15.9)

교재교구 제작 및 환경구성 11(2.7)

실습일지작성 및 실습에 대한 사전교육 25(8.8)

대학에

바라는 점

정기적 순회를 통한 실습생의 문제점 발견 및 지원 92(38.1)

44.9

실습내용에 대한 협의 98(40.7)

학교별 실습기간이 겹치지 않게 배치 39(15.0)

실습기관에 대한 정보제공 15(4.4)

기타 9(1.8)

표 15와 같이 교육실습지도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지도교사들은 실습생

들에게 현장 실습의 경험 기회를 확대하는 것(115명, 44.9%)이 가장 필요하며, 다음으로 대

학에서의 사전실습교육 강화(75명, 29.1%), 실습기관에서의 충실한 지도(45명, 17.3%) 순으

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에서 실습 전 강화해야 할 교육으로 연령에 맞는 다양한 모의수업

시연(91명, 38.1%), 수업계획안 작성(43명, 16.8%), 유아와의 상호작용하는 방법(43명,

16.8%)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학에 바라는 점은 실습내용에 대한 협의(98명, 40.7%), 정

기적 순회를 통한 실습생의 문제점 발견 및 지원(92명, 38.1%) 순으로 나타났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 연구 문제의 검증을 통해 밝혀진 결과들을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육실습의 운영 측면에서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배정과 요구되는 자질, 실무

실습의 내용, 실습내용의 선정 주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운영 현황과 관련된 내

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교육실습은 대부분 1학기에 시행되고 있으며, 선호하는

시기도 전반적으로 1학기로 나타나 유치원 현장과의 협의가 적절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

준다. 이에 반해 실습지도교사의 자격은 경력, 유아 연령, 특정 기준없이 배정되는 것으로 나

타난 반면 향후에는 경력, 유아 연령, 직급 등을 고려하여 배정하길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실습지도 교사의 자격 조건으로 전공분야의 자격증, 실습지도 관련 연수, 경

력, 학위 등을 제안하는 연구(배소연, 윤기영, 조부경, 1996; Zerr, 1988), 실습지도 경험이 없

는 교사에게 실습지도경험은 많은 스트레스를 준다는 연구(박현우, 2006), 교육경력이나 학력

보다 교육실습과 실습생에 대한 관심과 열정이 실습지도교사로서 우선적 갖추어야 할 자질

임을 주장한 연구(송연숙, 2008)에 비추어볼 때 실습지도교사의 선정 및 자격에 대해 일정한

Page 17: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 · 한 시간으로 많은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정규실습기간을 연장하거나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235

기준을 가지고 실습지도교사를 관리하고 지원하기 위한 계획이 필요하다. 바람직한 교사상을

제시하고 교육실습지도의 질적 부분을 고려한다면 전문성을 고려한 실습지도교사의 선정 기

준이 필요할 것이다.

정규실습 시 참관실습은 대부분 지도교사의 지도하에 이루어지며 이시기에는 유아와 상호

작용하는 방법과 내용, 유아관찰 및 기록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실습에 대한 현황과

요구를 살펴본 결과, 부분수업은 4회, 전일제 수업은 1회가 가장 많았으며, 이상적인 수업 횟

수 또한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들은 수업실습의 경우 4회의 부분수업

과 1회의 전일제 수업 지도를 가장 바람직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어떤

유형의 수업이 이루어졌는지 살펴본 결과, 흥미영역은 미술, 언어, 수조작영역 순으로, 대소집

단활동은 이야기나누기, 새노래지도, 동화 순으로 수업지도가 이루어졌다. 이는 선행연구(임

효진, 2007; 정남미, 2008)와 같은 맥락으로 다양한 유형의 수업지도 및 횟수가 나타난 것과

일치한다. 이와 같은 수업실습 지도에 대한 효과를 고취시키기 위해 교사들은 대학에서의 모

의수업시연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 우선적이며 그리고 현장에서는 실습지도교사의 다양한 수

업 모델보이기, 유치원 교재교구를 활용하여 수업해보는 것을 개선방안으로 제안하였다. 즉

교사로서의 수업능력 함양은 우선 대학에서 선제적으로 이루어진 다음 실습현장에서 이를

보완하고 지원하는 것을 바람직하게 여기고 있음을 보여준다.

수업실습 외에 교사의 다양한 직무와 관련된 실무실습에 대한 현황과 요구를 살펴본 결과,

지도교사들은 모두 실무실습의 내용으로 실습일지 작성, 유아관찰 및 평가, 보조업무(차량 및

청소 등)를 우선적으로 제안하였다. 이는 교사로서의 다양한 직무를 수행하는 측면에서 볼

때 매우 제한된 것으로 판단되며, 실습지도교사들이 실무지도 역할을 잘 수행하지 못한다는

선행연구(신현주, 1998; 유현화, 2004)를 지지한다. 실무실습은 교사가 학급관리와 유치원 운

영관리에 참여하면서 발생되는 다양한 역할들을 경험해보는 과정으로 아마도 4주 가량의 실

습기간에 이루어지기에는 시간적 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며, 또한 실무실습 지도에 대한

인식부족의 결과일수도 있다. 따라서 교육실습의 내용 중에 실무실습이 있음을 실습 사전간

담회 시 이러한 내용에 대한 협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같은 맥락으로 참관실습, 수업실

습, 실무실습을 포함하는 정규교육실습의 내용을 선정함에 있어 대학이 실습지침을 정하고

이를 토대로 실습기관이 조절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대학차원에서의 학교현

장실습 운영매뉴얼과 실습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교육실습지도교사의 역할수행 측면에서는 실무실습의 지도, 실습지도교사의 지원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실습지도과정을 통해

실습지도교사로서의 역할수행과 실습지도의 만족도에 대한 인식은 평균이상으로 나타나 대

Page 18: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 · 한 시간으로 많은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정규실습기간을 연장하거나

236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실습지도교사의 실무지도 역할수

행이 매우 낮다고 보고한 연구(노민자, 2004; 신현주, 1998)와는 일치하지 않으나 실습생을 통

해 실습지도교사의 역할수행이 보통이상으로 나타난 연구(권기염, 방유선, 2012; 송연숙,

2008; 오지연, 2005; 조인경, 1992), 지도교사와의 갈등이 비교적 낮게 나타난 연구(조채영, 좌

승화, 2014)와 맥을 같이 하는데, 교사들이 실습지도 시 실습생들에게 지도교사로서의 역할

모델을 적절히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실습지도교사의 역할수행과 실습지도의 만족

도가 실습생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송연숙, 2008; Yee, 1969)

지도교사의 역할수행은 실습생의 실습적응 및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을 예측해

볼 수 있다. 즉 지도교사로부터 실습과 관련된 역할수행에서 상대적으로 역할모델링의 부재

를 경험하게 되어 교사로서의 역할인식과 수행, 그리고 이후 교사가 되었을 때 유아교사로서

의 정체감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음(박유미, 최인숙, 조상일, 2011; 황윤세, 최

미숙, 2005)을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실습지도교사의 역할수행 문제는 전문성 확보와

직결되는 문제이며, 실습생이 실습기간 동안 유아교사의 역할과 교육실제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하기에 더욱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실습지도교사의 선정기준이나 실습지

도를 위한 연수, 실습지도교사의 역할과 자질 및 필수요건에 대한 함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

이다.

한편 실습운영형태 중 실무실습에 대한 역할수행 정도가 참관실습, 수업실습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난 점, 실습지도의 강조점으로 실무실습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은 점, 앞서 제시된

실무실습지도 내용으로 일지작성, 유아관찰, 청소 등의 보조업무로 제한된 결과가 나타난 점

등을 감안할 때 실무실습에 대한 인식 제고와 실무실습 내용에 대한 협의가 충분히 이루어져

야 함을 시사한다. 교사들은 실습지도 시 겪는 어려움으로 예비교사의 인성 및 태도 부족을

제시하였으며, 실습지도 시 재정적 지원, 인적 지원, 실습 관련 연수 제공을 원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는 실습 시 가져야 할 기본자세 등에 대한 노력이 부족하여 열심히 하고자 하는 마

음과 태도,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말투와 복장, 힘든 과업이지만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가

필요하다고 주장한 연구(김신영, 2005; 유병예, 양성은, 2013)와 실습지도에 대한 업무를 인정

하여 실습지도수당의 제공, 실습지도로 인한 업무증가를 경감시키기 위한 인적 지원의 제공,

그리고 많은 교사들이 실습지도에 대한 연수나 교육을 받지 못한 체 이전의 경험에 준하여

지도하고 있다는 선행연구(배소연 외, 1996; Koenrner, 1992)를 지지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

서 교육실습의 중요성을 감안한다면 실습지도로 인한 어려움들을 구체화시키고 이를 토대로

적절한 해결방안과 지원 체계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나아가 개인, 대학만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 차원에서 교사들의 과중한 업무를 경감시킬 수 있는 지원의 확보 방안에 대한 검토도

Page 19: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 · 한 시간으로 많은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정규실습기간을 연장하거나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237

필요할 것이다.

셋째, 교육실습 제도 개선과 관련하여 사전ž 사후실습 여부 및 내용, 교육과정에 대한 검토

가 필요하다고 본다. 교육실습 제도 개선에 대한 지도교사들의 인식과 요구를 살펴보면, 먼저

사전·사후실습의 운영 현황에서 사전실습은 대부분의 유치원에서 절반정도 시행되고 있으나

사후실습은 하지 않는 경우가 더 많았다. 그러나 사전·사후실습 모두 필요하며 사전실습이

필요한 이유로는 실습생의 역할에 대한 지도가, 사후실습이 필요한 이유로는 교사로서의 적

성을 생각해보고 교사로서의 정체감 형성을 돕기 위해 필요하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사

전·사후실습 운영의 애로점으로는 과중한 업무로 실습지도 시간 할애의 어려움이 가장 많았

다. 이러한 결과는 실습운영에 있어 대학과 실습기관과의 협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

음(조부경, 고영미, 2004; Garland & Shippy, 1995)을 예측해볼 수 있는데, 실습운영에 있어 4

주간의 정규실습으론 대학에서 습득한 지식을 충분히 반영하고 교사의 직무와 관련된 다양

한 경험을 하기에는 부족함을 주장하는 선행연구(박지완, 2000; 배소연 외, 1996; 양옥승,

2002, 임승렬, 1995; 홍혜경 외, 2003)들을 지지한다. 따라서 정규실습기간을 연장하거나 사전·

사후실습과의 연계를 통해 충분한 지도가 이루어져야 하며, 특히 사전실습은 필히 이루어져

야 할 것이다. 사전·사후실습의 진행과 개선은 향후 실습운영에 대한 대학과 실습기관과의

협력적 관계를 통해 제도 개선에 대한 방안을 검토해보는 것이 필요하며 나아가 국가차원에

서 실습기간의 연장 혹은 실습의 질 관리 강화를 위한 실습관련 제도의 개편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교육실습지도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려면 교사들은 대학에서 현장실습의 경험이 확대되어

야하며 이를 위해 실습 전 교사양성과정에서 강화되어야 하는 것으로 연령별 다양한 모의수

업의 시연과 유아와 상호작용하는 방법, 수업계획안 작성 등에 대한 교육이 강조되어야 한다

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실습생이 갖추어야 할 기본적 소양으로 유아발달의 이해 및 유아

와의 원활한 상호작용 기술, 유아관찰방법, 수업계획안과 일지 작성방법 등이 포함되며 이러

한 자질은 효율적인 실습수행을 위해 예비적으로 갖추어야 할 부분임을 주장한 연구(유병예,

양성은, 2013)와 같은 맥락으로 예비교사의 생태적 현장 역량 강화를 요구하고 있다. 성공적

인 교육실습을 위해 가장 중요시 되는 교수역량으로 수업진행능력을 주장한 연구(박창현, 전

경화, 2014), 실습지도교사들이 실습 시 일반적으로 교수계획과 교수방법 및 교수기술에 관한

피드백을 많이 한다는 연구(임승렬, 2008)를 고려할 때 실습 나가기 전 예비유아교사들의 수

업역량 및 유치원 현장이라는 생태적 실천 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또한 대학에 대해 실습내용에 대한 협의, 정기적 순회를 통한 실습의 문제점 발견

과 이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따라서 교원양성과정에서는 실습기관의 교육적 여

Page 20: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 · 한 시간으로 많은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정규실습기간을 연장하거나

238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건, 실습기관과 대학의 실습지도 방향, 실습내용에 대한 이해 등 사전 준비교육에 실습 관련

기관들의 협조체계를 구성하는 부단한 노력(염지숙, 2000)을 해야 하며 이와 더불어 대학과

유치원 현장간의 긴밀한 협업이 바탕이 된 교육실습프로그램을 설계하되 대학의 전 교육과

정에 앞서 제시된 요구들이 체계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현재의 교원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

는 울산광역시, 경상남도 지역의 일부 실습지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기에 연구결과를 전체

유아교육기관으로 확대 해석하는데 제한이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유치원 현장의 시각을 반영

한 결과이다. 향후 교육실습을 경험한 실습생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이들 간의 인식 및 요구

차이를 알아본다면 효과적인 실습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운영하는데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교육실습의 질 관리 강화를 위해 효과적인 교육실습 프로그램과 실습

운영매뉴얼 개발을 위한 노력, 실습관련 제도의 개편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age 21: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 · 한 시간으로 많은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정규실습기간을 연장하거나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239

참고문헌

권기염, 방유선(2012).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실습지도 역할수행에 관한 사례연구. 유아교육연구,

32(2), 97-124.

김선경(2004). 유아교육기관 실습지도교사의 역할인식 및 역할수행 분석.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신영(2005). 교육실습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의 문제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4), 1-23.

김안나(2011). 교육실습에 비춰진 예비유아교사의 감정에 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0(4),

19-49.

노민자(2004). 유치원 교육실습 지도교사에 대한 교생들의 역할기대와 교사의 역할수행 간의 관계.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유미, 최인숙, 조상일(2011). 교사의 교육실습지도 직무만족도와 예비유아교사의 교직관 및 실습

불안.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1-17.

박지완(2000). 유아교육 및 보육실습 실태와 실습생의 인식조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박창현, 전경화(2014).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교육실습 역량 분석: 면담자료 및 개념 연결망분

석. 유아교육학논집, 18(4), 289-306.

박현우(2006).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 및 실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배소연, 윤기영, 조부경(1994).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의 교육실습 현황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

구, 14(1), 173-197.

송연숙(2008). 유아교육실습생이 지각한 지도교사의 역할수행과 경험한 갈등에 관한 연구. 유아교

육학논집, 12(4), 325-348.

(2010). 유아교육 실습생의 갈등상황과 대처방안 탐색. 아동교육, 19(1), 19-36.

신현주(1998). 유아교육실습 지도교사의 역할인식과 수행에 관한 연구.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염지숙(2000). 교육실습의 의미: 예비교사들의 이야기. 교육인류학회 53차 월례발표회자료.

오선영(2003). 교육실습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역할인식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

학논집, 7(1), 61-91.

오지연(2005). 유아교육 실습유형에 따른 지도교사의 역할인식과 수행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

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연화(2004). 유치원 교육 실습 내용 및 현황 연구. 경복논총, 제5집, 275-298.

Page 22: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 · 한 시간으로 많은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정규실습기간을 연장하거나

240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유병예, 양성은(2013). 보육교사의 실습지도 경험에 관한 반성적 평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5),

143-157.

이현중(2002). 유아교육 예비교사가 교육실습과정에서 느끼는 갈등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승렬(1995). 유아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실습 개선방안. 교육연구, 제4집, 77-97.

(1998). 2년제 유치원교사양성대학의 교육실습개선방안연구. 한국교사교육, 15(2), 128-149.

(2008). 유아교육기관 실습지도교사가 실습생에게 제공하는 피드백 프로파일 분석. 유아교

육학논집, 12(5), 349-66.

임효진(2007). 교육 보육실습의 실태와 실습생의 실습에 대한 인식.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조부경, 고영미(2004). 유아교육 실습지도를 위한 대학과 유치원과의 협력모형 개발. 유아교육연

구, 24(3), 47-76.

조운주, 박은혜(2001). 유아교육실습지도교사 교육프로그램 모형개발. 유아교육연구, 21(2),

273-298.

정남미(2008). 유아교육실습지도 현황과 인식 분석-실습생, 지도교사, 원감, 원장입장에서. 유아교

육학논집, 12(6), 215-235.

정혜영(2004).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기대와 평가, 교육실습을 통한 인식변화에 관한 연

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1(2), 209-230.

조채영, 좌승화(2014). 예비유아교사가 교육실습에서 경험한 갈등에 대한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3(2), 193-213.

최명아(2013). 유치원 교육실습 현황과 교육실습개선에 대한 요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황윤세, 최미숙(2005). 유아교육실습생이 지각한 조직건강 및 갈등이 창의적인 교사 역할 인식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5(4), 261-282.

홍혜경, 김영옥, 지성애(2003). 한국영유아교원양성대학의 교과과정 현황 및 과제. 한국영유아교원

학회, 8(1), 5-32.

Garland. C., & Shippy, V.(1995). Guiding clinical experience: effective supervision in teacher

education. Norwood, New Jersey ABLEX Public Corporation.

Grimmett, P. P. & Ratzlaff, H. C.(1986). Expectations for the cooperating teacher role.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7(6), 41-50.

Koerner, M.(1992). Teacher’ Image. In W. H. Schubert and W.C. Ayers(Eds.). Teacher Lore.

New York: Longman.

Ricord, O.(1986). A developmental study of the "teaching self" in student teaching. Journal of

Page 23: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 · 한 시간으로 많은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정규실습기간을 연장하거나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인식 및 요구 ․ 241

Education for Teaching, 12(1), 65-76.

Yee, A.(1969). Do cooperating teachers influence the attitudes of student teacher.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60(40), 327-330.

Zerr, R. G.(1998). What supervisors of student teaching and student teacher tell us about

student teaching?. ERIC Document No. ED 300-362.

Page 24: 유치원 교육실습 운영 실제 및 실습제도 개선에 대한 실습지도교사의 … · 한 시간으로 많은 유아교육전문가들은 정규실습기간을 연장하거나

242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4권 제3호

Abstract

A study on recognition and requirement of cooperating

teacher for kindergarten teaching practice

Yeon Sook Song · Young Ok Park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tate in kindergarten teaching practice

as well as requirements for a kindergarten teaching practice system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collaborative operation of student teaching practice between universities and kindergartens. In

this study, 258 cooperating teachers teaching students in kindergartens in the U·G area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survey. To measure recognition and requirement in the present state of kindergarten

teaching practice, the questionnaires (Park, 2000; Lim, 2007; Choi, 2013) developed by the researcher

in this study were used. Data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frequencies, percentages, averages,

standard deviations, and Cronbach’s ⍺ with SPSS 18.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showedthat cooperating teachers were almost unanimous in their opinions about the desirable frequencies of

teaching practice periods, part-time classwork, and full-day classwork. Results showed that they

wanted four part-time classwork and one full-day classwork opportunities. Moreover, observation

teaching practice and class teaching practice were guided under the plan of cooperating teachers but

it appeared as a limited experience in duties teaching practice. Second, they generally recognized the

positive aspects of their performance. Guidance on observation teaching practice relatively appeared

higher. In comparison, the satisfaction regarding the guidance of duties teaching practice appeared

lower. Third, they had the same opinion on the need for a pre–post teaching practice system; they

demanded practical training opportunities in kindergarten and simulation classes. In addition, they

asked student-teachers to be active and willing to learn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