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물리학과 첨단기술 DECEMBER 2019 36 Position and Frequency Controlled Quantum Emitters from WSe 2 Monolayers on a Micro-Cantilever (a) (b) (c) (a) 실리콘 나노패턴 위 WSe2 monolayer와 단일 광자 측정 결과. (b) 전압 인가 방식의 실시간 단일 광자원 파장 제어. (c) 제작한 위치/파장 동시 제어가 가 능한 양자 광소자 모식도와 실제 제작한 소자 사진. 빛에 대한 인류의 관심은 매우 오래되 었지만 현재에도 매우 중요한 연구 대상 이다. 빛을 이용한 연구는 크게는 우주, 작게는 원자를 관찰하는 데 필수적이며 특히, 레이저의 등장 이후 빛을 제어하고 응용하는 기술은 정보, 국방, 의료 등 다 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빛의 양자화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양자 광 학 기술이 등장함에 따라 양자화된 빛을 생성하고 제어하는 기술이 차세대 광기반 양자 정보 연구의 핵심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다양한 양자 광원 생성 기술 중 원 하는 시간에 단일 광자 생성이 가능한 단 일 양자 구조 제어 기술, 특히 고체 기반 의 단일 광자원 생성 기술은 기존 나노 광학 기술과 결합하여 빠르게 발전해왔다. 하지만 기존 고체 기반 양자 광원의 경우 고효율, 빠른 방출 속도 등 생성 성능 측 면에서는 눈부신 발전이 있었지만 고체 기반 양자 구조의 문제점인 불균일성으로 인해 위치와 발광 파장의 정밀 제어가 아 직까지 도전과제로 남아 있다. 최근 UNIST 물리학과의 김제형 교수 연구팀 은 기존 양자점, 고체 점 결함이 아닌 원자층 두께의 이차원 반도체 물질 기반 의 위치, 파장 동시 제어 가능한 양자 광원 생성 기술 개발에 성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WSe 2 이차원 단일층 물질과 실리콘 기반의 MEMS 소자를 결 합함으로써 기존 반도체 양자 광원의 위 , 파장 제어의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하 였다. 우선, 원자층 두께의 얇은 이차원 물질은 미세 응력 변화에도 전기적/광학 적 특성이 크게 변하게 되는데, 이 점에 착안하여 실리콘 기판에 나노 패턴을 새 긴 후 이차원 반도체 물질을 패턴 위에 올려놓는 것만으로도 고효율의 단일 광 자원이 원하는 위치에 생성됨을 확인하 였다(그림 a). 실리콘 기판 내 나노 패턴 이 반도체 밴드갭을 이차원 평면 내 국 소적으로 변화시킴에 발생되는 엑시톤(/홀 결합)의 양자 구속 효과를 이용한 것이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실 리콘 MEMS 소자 기술을 이용하여, 기적으로 응력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는 micro-cantilever를 제작한 후 생성한 양자 광원 파장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데 성공하였다(그림 b). 그림 cmicro- cantilever 기반의 위치, 파장 제어가 가 능한 양자 광원 어레이에 대한 모식도와 실제 제작한 반도체 양자 광소자 사진이 . 반도체 시료 내 국소 응력 변화는 광원의 파장뿐만 아니라, 편광, 미세 구 (fine structure) 등 다양한 광학 특성 에 영향을 주는데, 본 연구에서는 응력의 제어를 통해 파장뿐만 아니라 미세 구조 갈라짐(fine structure splitting)의 크기 또한 제어 가능함을 함께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원하는 위치에 파장 변화가 가능한 다수의 양자 광원을 집적 소자화 할 수 있다는 점과 함께 고가의 성장 장비와 까다로운 성장 공정 없이도 손쉽게 양자 광원 제작이 가능하다는 결 과를 보여주어 미래 활용 가능한 양자 광원 소자 개발 가능성을 크게 높였다. 하지만 차후 양자 상호작용에 핵심인 긴 결맞음 시간 확보를 위해서는 고체 소자 내 불필요한 상호작용 제거 등은 앞으로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김효주, 문종성(UNIST), 노기창, 이지은(아주대), 김제 (UNIST), Nano Lett. 19, 7534 (2019). DOI: https://doi.org/10.1021/acs.nanolett.9b03 421

Position and Frequency Controlled Quantum Emitters from WSe …webzine.kps.or.kr › contents › data › webzine › webzine › ... · 2020-01-22 · 36 물리학과 첨단기술

  • Upload
    others

  • View
    2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Position and Frequency Controlled Quantum Emitters from WSe …webzine.kps.or.kr › contents › data › webzine › webzine › ... · 2020-01-22 · 36 물리학과 첨단기술

물리학과 첨단기술 DECEMBER 201 936

Position and Frequency Controlled Quantum Emitters from WSe2 Monolayers on a Micro-Cantilever

(a) (b) (c)

▲ (a) 실리콘 나노패턴 위 WSe2 monolayer와 단일 광자 측정 결과. (b) 전압 인가 방식의 실시간 단일 광자원 파장 제어. (c) 제작한 위치/파장 동시 제어가 가

능한 양자 광소자 모식도와 실제 제작한 소자 사진.

빛에 대한 인류의 관심은 매우 오래되

었지만 현재에도 매우 중요한 연구 대상

이다. 빛을 이용한 연구는 크게는 우주,

작게는 원자를 관찰하는 데 필수적이며

특히, 레이저의 등장 이후 빛을 제어하고

응용하는 기술은 정보, 국방, 의료 등 다

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빛의 양자화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양자 광

학 기술이 등장함에 따라 양자화된 빛을

생성하고 제어하는 기술이 차세대 광기반

양자 정보 연구의 핵심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다양한 양자 광원 생성 기술 중 원

하는 시간에 단일 광자 생성이 가능한 단

일 양자 구조 제어 기술, 특히 고체 기반

의 단일 광자원 생성 기술은 기존 나노

광학 기술과 결합하여 빠르게 발전해왔다.

하지만 기존 고체 기반 양자 광원의 경우

고효율, 빠른 방출 속도 등 생성 성능 측

면에서는 눈부신 발전이 있었지만 고체

기반 양자 구조의 문제점인 불균일성으로

인해 위치와 발광 파장의 정밀 제어가 아

직까지 도전과제로 남아 있다. 최근

UNIST 물리학과의 김제형 교수 연구팀

은 기존 양자점, 고체 점 결함이 아닌

원자층 두께의 이차원 반도체 물질 기반

의 위치, 파장 동시 제어 가능한 양자

광원 생성 기술 개발에 성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WSe2 이차원 단일층

물질과 실리콘 기반의 MEMS 소자를 결

합함으로써 기존 반도체 양자 광원의 위

치, 파장 제어의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하

였다. 우선, 원자층 두께의 얇은 이차원

물질은 미세 응력 변화에도 전기적/광학

적 특성이 크게 변하게 되는데, 이 점에

착안하여 실리콘 기판에 나노 패턴을 새

긴 후 이차원 반도체 물질을 패턴 위에

올려놓는 것만으로도 고효율의 단일 광

자원이 원하는 위치에 생성됨을 확인하

였다(그림 a). 실리콘 기판 내 나노 패턴

이 반도체 밴드갭을 이차원 평면 내 국

소적으로 변화시킴에 발생되는 엑시톤(전

자/홀 결합)의 양자 구속 효과를 이용한

것이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실

리콘 MEMS 소자 기술을 이용하여, 전

기적으로 응력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는

micro-cantilever를 제작한 후 생성한

양자 광원 파장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는

데 성공하였다(그림 b). 그림 c는 micro-

cantilever 기반의 위치, 파장 제어가 가

능한 양자 광원 어레이에 대한 모식도와

실제 제작한 반도체 양자 광소자 사진이

다. 반도체 시료 내 국소 응력 변화는

광원의 파장뿐만 아니라, 편광, 미세 구

조(fine structure) 등 다양한 광학 특성

에 영향을 주는데, 본 연구에서는 응력의

제어를 통해 파장뿐만 아니라 미세 구조

갈라짐(fine structure splitting)의 크기

또한 제어 가능함을 함께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원하는 위치에 파장

변화가 가능한 다수의 양자 광원을 집적

소자화 할 수 있다는 점과 함께 고가의

성장 장비와 까다로운 성장 공정 없이도

손쉽게 양자 광원 제작이 가능하다는 결

과를 보여주어 미래 활용 가능한 양자

광원 소자 개발 가능성을 크게 높였다.

하지만 차후 양자 상호작용에 핵심인 긴

결맞음 시간 확보를 위해서는 고체 소자

내 불필요한 상호작용 제거 등은 앞으로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김효주, 문종성(UNIST), 노기창, 이지은(아주대), 김제

형(UNIST), Nano Lett. 19, 7534 (2019).

DOI: https://doi.org/10.1021/acs.nanolett.9b03

421

Page 2: Position and Frequency Controlled Quantum Emitters from WSe …webzine.kps.or.kr › contents › data › webzine › webzine › ... · 2020-01-22 · 36 물리학과 첨단기술

물리학과 첨단기술 DECEMBER 201 9 37

Lifshitz-Transition-Driven Metal-Insulator Transition in Moderately Spin-Orbit- Coupled Sr2-xLaxRhO4

▲ Sr2-xLaxRhO4 단결정의 도핑별 전자 구조. (위) 동 에너지 준위 내 전자 구조의 운동량 분포, (아래) ΓΧ

방향 전자 구조의 에너지-운동량 분포.

강한 전자 상관에 의한 모트 금속-비

금속 상전이 현상(Mott metal-insulator

transition)은 전이금속 산화물의 흥미로

운 현상들 중 오랜 기간 동안 연구되어

온 분야이다. 초창기의 모트 부도체(Mott

insulator) 연구에서는, 좁은 밴드 너비

(bandwidth)와 강한 전자 상관 효과가

존재하는 구리, 철 등의 3d 전이금속 산

화물에서 존재하는 비금속 성질이 주로

연구되었다. 하지만, 그 이후 3d 전이

금속뿐만 아니라 스핀-궤도 상호작용

(spin-orbit coupling)이 큰 물질로 알려

진 5d 전이 금속 산화물에서도 모트 부

도체 현상이 발견되었고, 이러한 발견은

이전까지 3d 전이 금속 산화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했던 4d, 5d 전

이 금속 산화물의 연구를 촉진시키는 계

기가 되었다.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김창영 교수 연구팀은 그 중 4d 전이금

속 산화물인 Sr2-xLaxRhO4 단결정 시료

에서 새로운 금속-비금속 상전이 현상을

발견하였다. 이 상전이 현상은 높은 전도

성을 가진 Sr2RhO4에 란타넘(La) 원자를

도핑함으로써 발현되며, 김창영 교수 연

구팀은 각분해 광전자 분광 실험을 활용

해 도핑에 따른 전자 구조를 측정하여

상전이 현상의 진행 과정과 그 원인을

탐구하였다.

이 상전이 현상은 란타넘 도핑 비율(x)

에 따라 그림에서와 같이 페르미 준위에

존재하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밴드(band)

와 (그림 (h))가 각기 다른 진행과정

을 통해 페르미 준위에서 사라지면서 밴

드 갭을 만드는 현상을 통해 발현된다.

란타넘의 치환은 전자의 도핑 효과를 야

기하게 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Sr2RhO4

의 전자구조에 전자를 도핑한 효과를 일

으킨다. 전자가 도핑됨에 따라 밴드는

모두 채워져 페르미 준위 아래로 내려가

게 된다. 반면에, 밴드의 경우 x

0.4 이후에 모트 부도체로 상전이하는

형태로 밴드가 사라짐이 확인되었다.(그

림 (e), (l)) 이후 란타넘 도핑을 통하여

전자를 더 공급하더라도 갭이 더 커지면

서 더 강한 비금속 상태가 되어 가는 것

이 확인되었다.

Sr2-xLaxRhO4에서 관찰되는 이와 같은

금속-비금속 상전이 현상은 일반적인 경

우와 다른 두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로, 상전이 현상이 일어나는 도핑이

x 0.4로, 총 전자의 개수가 정수가 아

니라는 점이다. 일반적인 모트 부도체 혹

은 밴드 부도체(band insulator) 상태에

서는 필수 조건으로서 정수 개의 전자

개수가 필요하다. 하지만 Sr2-xLaxRhO4에

서 발견된 금속-비금속 상전이 현상은

기존의 통념을 벗어난 비 정수 전자 개

수에서 일어난다는 점에서 매우 희귀한

현상이다.

두 번째로, Sr2-xLaxRhO4의 상전이 현

상은 적당한(moderate) 크기의 스핀-궤도

상호 작용이 있어야만 발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여타 상전이 현상과는 다른 점이

다. 해당 연구에서 실험적으로 관측된 바

에 따르면 Sr2-xLaxRhO4에서의 금속-비

금속 전이 현상은 밴드의 채워짐과 밀접

한 관련을 가진다. 또한, 밴드의 에너지

준위는 스핀-궤도 상호작용의 크기에 의

하여 결정된다. 결과적으로, Sr2-xLaxRhO4

에서의 금속-비금속 전이 현상은 3d나

5d 전이 금속 산화물처럼 너무 약하거나

강하지 않은 적당한 크기의 스핀-궤도

상호작용 상황에서만 발현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해당 연구 결과는, 지금까지 잘 연구

되지 않아왔던 4d 전이금속 산화물의 적

당한 스핀-궤도 상호작용에 대한 역할

연구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해당 연구를

통하여 습득된 적당한 스핀-궤도 상호작

용의 역할에 대한 지식은, 기타 다른 4d

전이 금속 산화물의 특이 현상에 대한

이해에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Junyoung Kwon, Minsoo Kim, Dongjoon Song,

Yoshiyuki Yoshida, Jonathan Denlinger, Wonshik

Kyung, and Changyoung Kim, Phys. Rev. Lett.

123, 106401 (2019).

Page 3: Position and Frequency Controlled Quantum Emitters from WSe …webzine.kps.or.kr › contents › data › webzine › webzine › ... · 2020-01-22 · 36 물리학과 첨단기술

물리학과 첨단기술 DECEMBER 201 938

Nonambipolar Transport due to Electrons with 3D Resistive Response in the KSTAR Tokamak

▲ (왼쪽 위) KSTAR 토카막 플라즈마 및 설치된 자기 섭동 코일의 구조. (왼쪽 아래) 보통 외부에서

비대칭 자기장을 가할 경우 녹색이나 빨간색처럼 플라즈마 회전이 감소하고 플라즈마 불안정성이 생

겨 플라즈마 회전이 0이 됨. 그러나 파란색 경우 외부 자기장 증가에 따라 역으로 플라즈마 회전이

증가하게 되고 플라즈마 불안정성 발현이 지연되는 것을 볼 수 있음. (오른쪽) 비확산 수송 및 플라즈

마 저항을 상호보완적으로 고려한 본 연구의 전산모사와 기존 전산모사의 전자온도 영상 진단장치 결

과 비교.

토카막(Tokamak) 장치는 자기장을 이

용해 고온의 플라즈마를 가두어 핵융합

을 지속적으로 일으키기 위해 고안된 도

넛 형태의 장치이다. 토카막 플라즈마에

는 다양한 불안정성이 존재하는데 플라

즈마의 회전은 이러한 불안정성을 안정

화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

로는 중성입자빔을 한쪽 방향으로 주입

하여 플라즈마 회전을 발생시키는데, 대

규모 핵융합로에서는 플라즈마 체적이

증가함에 따라 중성입자빔에 의한 플라

즈마 회전 구동효율이 극도로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대체하여 플라즈마 회

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서울대 원자핵공학과의

나용수 교수 연구팀은 KSTAR 토카막장

치에 미량의 외부 자기장을 인가하여 플

라즈마 회전을 증가시키고 이를 통해 플

라즈마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실증하였다.

토카막에 비대칭 외부 자기장을 인가

하면 보통 그림의 녹색이나 빨간색처럼

플라즈마 회전이 감소하게 된다. 이는

외부 비대칭 자기장에 의해 토로이덜

(toroidal) 방향의 대칭성이 깨져 발생하

게 되는 플라즈마 입자의 비확산 수송

(non-ambipolar transport)과 밀접한 연

관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플라즈

마 회전의 감소는 보통 플라즈마를 이루

는 전자와 이온 가운데 이온이 만드는

비확산 수송 때문에 발생하게 된다. 반대

로 전자의 비확산 수송은 플라즈마 화전

을 가속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 이온은 전자보다 매우 질량이 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비확산 수송도 더 크

게 발생하게 되며 이 때문에 전자의 비

확산 수송은 많은 경우 무시되어 왔다.

본 연구는 전자의 비확산 수송을 관측하

기 위해 이온의 충돌률을 증가시킨 상황

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이때에 전자는

바나나 모양, 이온은 일반적인 충돌 운동

을 하며 토카막 반경방향으로 빠져나가

게 된다). 이 조건에서 비대칭 자기장을

인가할 경우에는 그림의 파란색 경우처

럼 플라즈마 회전이 증가하고 플라즈마

불안정성 발현이 지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로 본 연구에서는 플라즈마의 가

속을 정량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플라

즈마 전기저항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함

을 발견하였다. 비확산 수송에 의해 발생

한 전류는 자기장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데 이 영향을 플라즈마 저항을 포함하여

재차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 상호보완적인 효과를 고려한 전산모

사는 KSTAR에 설치된 전자온도 영상 진

단장치를 통해 유추한 플라즈마 이동

(displacement)과 비교한 결과 큰 유사

성을 보였다.

이러한 외부 자기장을 활용한 플라즈

마 가속은 플라즈마의 충돌률이 기존보

다 훨씬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대규모

핵융합로에서는 훨씬 쉽게 일어날 수 있

을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이러한 플라

즈마 회전 가속 기술은 ITER를 비롯한

상용 핵융합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

으로 기대된다.

양성무(서울대), 박종규(PPPL), 나용수(서울대), Z.

R. Wang(PPPL), 고원하(NFRI), 인용균(UNIST)

이규동(NFRI), 김상균(서울대), Phys. Rev. Lett.

123, 095001 (2019).

Page 4: Position and Frequency Controlled Quantum Emitters from WSe …webzine.kps.or.kr › contents › data › webzine › webzine › ... · 2020-01-22 · 36 물리학과 첨단기술

물리학과 첨단기술 DECEMBER 201 9 39

Probing Bayesian Credible Regions Intrinsically: A Feasible Error Certification for Physical Systems

◀ (a) 신용 영역이 양자 상

태 공간 안에 완전히 포함

될 때와 (b) 양자 상태 공

간 경계에 의해서 잘리는

상황에서, 신용 영역 능력에

대한 근사값들(곡선)과 제시

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시

뮬레이션을 통해서 계산된

값들(점).

양자정보처리에 있어서 우리가 가지고

있는 양자 상태에 대해서 정확하게 기술하

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보유하고

있는 양자 상태가 어떤 상태인지 조사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양자 상태 단층촬영

(quantum state tomography)이라는 기법

을 사용한다. 양자 상태 단층촬영 기법을

사용할 경우, 양자 상태의 추정값과 신용

도 및 신용 가능한 영역을 제시해야 한다.

양자통신 및 양자 컴퓨터 등 양자 상

태를 이용하는 정보 처리에 있어서 고차

원 양자 상태를 다루는 것이 특히 중요

한데, 고차원 상태에 대해서 양자 상태

단층 촬영 기법을 사용할 경우 양자 상

태 추정 과정에서 많은 시간적 비효율성

이 야기된다. 지금까지 고차원 양자 상태

에 대해서 추정값을 효율적으로 계산하

는 방법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있었던

반면, 신용도와 신용 영역 계산에서는 여

전히 효율적인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필

수적이었다. 특히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몬테카를로 필터링(Monte Carlo filtering)

방법은 고차원 양자 상태 공간이 매우

넓으며 신용 영역은 차원에 따라서 지수

함수적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매우 비효

율적이다. 더우기 고차원 양자 상태 공간

의 수학적 복잡성에 의해 우리가 다루는

양자 상태의 차원이 증가함에 따라서, 매

우 정확히 신용도와 신용 영역을 계산하

는 것이 지수함수적으로 어려워진다는

것이 증명되어 있던 만큼, 효율적 계산

방법에 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양자 상태 단층 촬영 과정에서 충분히

많은 자료를 수집하였을 때에 대해서 근

사적으로 신용도와 신용 영역을 계산하

는 방법은 이미 제시되어 있었다[New J.

Phys. 20, 093009 (2018)]. 그러나 이

러한 근사적 접근은 높은 차원에서 실제

값과는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하였기 때

문에, 보다 엄밀한 수치적 방법론의 개발

이 불가피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차원 양자 상태에 대

한 양자 단층 촬영에서 매우 효율적으로

신용도와 신용 영역을 계산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

여 이를 검증하였다. 기존에 주로 사용되

던 몬테카를로 필터링 방법의 경우, 전체

양자 상태 공간에서 많은 양자 상태를

샘플링(sampling)하고, 이 샘플들 중에서

신용 영역 안에 들어가는 샘플들의 수의

비율을 이용하여 신용 영역을 계산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서 신용도를 얻어낼 수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은 차원에 따

라서 지수함수적으로 많은 시간을 필요

로 하기 때문에 높은 차원의 양자 상태

에 대한 추정에서 사용되기는 어렵다.

이러한 비효율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우

리는 먼저 매개변수화된 신용 영역 내에서

어떤 함수의 평균값을 매개변수를 바꾸어

가며 조사하면 신용 영역과 신용도를 얻어

낼 수 있다는 정리를 증명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양자 상태 공간 전체에서 샘플링을

하지 않고, 매개변수화된 신용 영역 내에

서만 샘플링을 하여 어떤 함수의 평균값을

수치적으로 계산하고 추적하여 신용 영역

과 신용도를 계산할 수 있었다. 양자 상태

공간 전체에서 샘플링을 하지 않기 때문

에, 지수적으로 많은 샘플을 얻을 필요가

없고, 따라서 차원이 커지더라도 매우 효

율적으로 신용 영역 및 신용도를 계산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제시된 알고리즘의

경우 차원에 대해 다항함수적인 시간만을

요구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고, 따라

서 이 알고리즘은 기존의 몬테카를로 필터

링 방법보다 훨씬 효율적이다. 또한 제시

된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신용 영역과 양자

상태 추정값 사이의 거리로 정의된 신용

영역 능력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였고, 근사

적 방법과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알고리즘

이 잘 작동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율성은 고차원 양자 상태에

대한 양자 상태 단층 촬영에 있어서 신

용도와 신용 영역 계산을 빠른 시간 안

에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특히, 앞으로 다양한 양자 정보 처리 과

정에서 계속해서 높은 차원 또는 많은

큐비트를 사용하는 양자 시스템이 많이

개발될 것이므로, 제시된 알고리즘은 이

와 같은 시스템들을 검증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오창훈(서울대), Y. S. Teo(서울대), 정현석(서울

대), Phys. Rev. Lett. 123, 040602 (2019),

Phys. Rev. A 100, 012345 (2019).

Page 5: Position and Frequency Controlled Quantum Emitters from WSe …webzine.kps.or.kr › contents › data › webzine › webzine › ... · 2020-01-22 · 36 물리학과 첨단기술

물리학과 첨단기술 DECEMBER 201 940

Thermal Conductance of Single-Molecule Junctions

▲ 유기 단분자 열전도특성 측정을 위한 STM-BJ 기법의 모식도 및 개념.

유기분자가 단분자 레벨에서 나타내는

전하와 열의 전도특성은 많은 과학자들

이 궁금해 하는 주요 관심사이며 특히

분자를 이용하는 전자소자와 열전발전소

자와 방열소자에 대한 기술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어 왔다. 하지

만 단분자의 다양한 특성들(전기전도, 발

광, 열전, 열분산 등)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실험적 방법들을 확립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했다.

소재의 열전성능은 figure-of-merit(ZT)

값으로 정의되며 이는 ⋅ 2⋅

⋅―1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때 는

전기전도도, 는 Seebeck 상수, 는 열

전도도, 는 절대온도를 나타낸다.(가

이를 결정하는 주요 성질임.) 유기 단분

자의 전기전도도와 열전특성은 각각

2003년과 2007년에 실험적으로 밝혀진

데 반해 열전도도는 현재까지 정확히 측

정된 바가 없으므로 유기 단분자 내에서

의 열전달 현상에 대해서도 정확히 규명

된 적이 없었다.

장성연 교수(UNIST 에너지 및 화학공

학부)와 Michigan 주립대학의 Pramod

Reddy 교수 공동연구팀이 picowatt 수

준의 매우 예민한 열 감지 능력을 지닌

탐침형 열량계(calorimetric scanning

probe)를 개발하고 이를 scanning tunnel-

ing microscopy 기반의 break junction

(STM-BJ) 기술에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길이의 탄소체인으로 구성된 유기 단분

자의 열전도도를 측정하는 데 세계 최초

로 성공하여 그 결과를 Nature(527,

628, 2019)지에 보고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자가조립된 유기 단분

자층이 덮인 금 기판과 금으로 된 탐침

형 열량계는 진공상태에서 picowatt 수

준의 열흐름을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

었으며 유기단분자가 두 전극으로부터

분리되면서 발생하는 수십 picowatt 수

준의 작은 온도변화를 열량계가 감지하

도록 하여 유기 단분자의 탄소 사슬을

통해 전달되는 열을 측정해 내는 데 성

공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유기단분자의 열전도

도가 ∼20 pW/K임을 세계 최초로 밝

혔으며, 특히 그동안 이론적으로 알려져

있고 실험적으로 구현된 적이 없던 “유

기분자의 탄소사슬에서의 열전도는 pho-

non에 의존하여 이루어진다”라는 이론을

유기분자의 길이가 열전도에 크게 영향

을 미치지 않음을 실험적으로 증명함으

로써 밝혀내 기초과학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연구이다.

이론상 금속이나 반도체에서 소재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전달되는 전자와 열

도 감소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양자효과

가 적용되는 미시 단분자 접합에서는 분

자의 길이에 따라 전자의 전달은 영향을

받지만, 열전달은 거의 일정하다는 사실

을 밝혀낸 연구결과이며, 이는 유기단분

자에서 전자에 의해 발생하는 열전도는

무시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번에 규명된 결과에 의하면 유기단

분자의 열전달은 전자전달과는 매우 다

른 거동을 보이며 분자의 길이에 영향을

받지 않아서, 유기분자들과 같은 나노스

케일에서는 100 nm 이상까지도 열의

이동이 가능할 것이라는 이론적 예측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따라서 향후 분자 구

조의 디자인을 통해 새로운 거대분자와

고분자를 개발하고 전자 및 열의 전달

특성을 제어하여 분자에너지 소재를 개

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되며 더 나아가 유기분자의 낮은 열전도

도는 분자의 길이와 무관하게 거의 일정

하다는 사실을 응용하여 향후 분자컴퓨

팅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하게 한다.

Longji Cui, Sunghoon Hur, Zico Alaia Akbar,

Jan C. Klöckner, Wonho Jeong, Fabian

Pauly*, Sung-Yeon Jang*, Pramod Reddy*

and Edgar Meyhofer*(UNIST), Nature 572,

628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