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cript
Page 1: 한국의 전력산업 현황 및 정책방향

한국의 전력산업 현황 및 정책방향

2009. 52009. 5

지 식 경 제 부지 식 경 제 부

전 력 산 업 과전 력 산 업 과

한국전기산업연구원 개원기념 기조강연

Page 2: 한국의 전력산업 현황 및 정책방향

2

Ⅰ 한국 전력산업의 특성과 구조한국 전력산업의 특성과 구조

Ⅲ 전력산업의 대내외 여건전력산업의 대내외 여건

목 차목 차

Ⅱ 한국 전력산업의 현황과 위상한국 전력산업의 현황과 위상

Ⅳ 한국의 전력산업 정책 방향한국의 전력산업 정책 방향

Page 3: 한국의 전력산업 현황 및 정책방향

3

ⅠⅠ 한국 전력산업의 특성과 구조한국 전력산업의 특성과 구조

Page 4: 한국의 전력산업 현황 및 정책방향

4

고립 계통 하계피크 전력수급 중요

높은 해외 의존도 발전연료 97% 해외 의존

여전히 높은 수요성장 최근 5 년 전기판매량

증가율 : 평균 5.8%

다양한 발전원 구성 석탄 (31), 가스 (26%), 원자력 (25%)

1. 한국 전력산업의 특징

Page 5: 한국의 전력산업 현황 및 정책방향

5

주요 전원 확충 실적 및 전망 70 년대 : 석유 위주 80 년대 : 원전 /석탄 중심 확충 ( 탈유정책 ) 90 년대 : LNG 긴급 확충 ( 고수요 대응 ) 2000 년대 초반 : 원전 /석탄 /LNG 균형 확충 향후 : 기후변화협약 및 지속가능발전 고려

2. 전력수급 정책기조 변천과정

( 만 kW)

Page 6: 한국의 전력산업 현황 및 정책방향

6

ⅡⅡ 한국 전력산업의 현황과 위상한국 전력산업의 현황과 위상

Page 7: 한국의 전력산업 현황 및 정책방향

7

설비용량 증가율 (’85-’08 년 ) : 연평균 9.6% 최대수요 증가율 (’85-’08 년 ) : 연평균 12.6%

1. 설비용량 및 전력수요 실적

Page 8: 한국의 전력산업 현황 및 정책방향

8

2. 발전설비 현황 (’09.4.1 기준 )2. 발전설비 현황 (’09.4.1 기준 )

發 電 源 別發 電 源 別

會 社 別會 社 別

석 유석 유8.0%8.0%

수 력수 력7.6%7.6%

원자력원자력24.4%24.4%

복합복합 ,LNG ,LNG 등등28.3%28.3%

민간발전민간발전809809 만만 kWkW(11.1%)(11.1%)

55 개 발전사개 발전사4,5094,509 만만 kWkW (62.1%) (62.1%)

한수원한수원 1,9451,945 만만 kWkW

(26.8%)(26.8%)

총 총 7,2637,263 만만 kWkW

석 탄석 탄31.7%31.7%

Page 9: 한국의 전력산업 현황 및 정책방향

9

수 력

1.3%(561.3%(56 억억 kWh)kWh)석 유

3.9%(1653.9%(165 억억 kWh)kWh)

가 스

17.9%(75817.9%(758 억억 kWh)kWh)

원 자 력

35.7%(1,51035.7%(1,510 억억 kWh)kWh)

총발전량총발전량

4,2244,224 억억 kWhkWh

3. 발전량 점유비 현황 (’08 년말 기준 ]3. 발전량 점유비 현황 (’08 년말 기준 ]

석 탄

41.1%(1,73541.1%(1,735 억억 kWh)kWh)

Page 10: 한국의 전력산업 현황 및 정책방향

10

4. 국내 전력산업의 위상

세계 일류의 전기품질 유지

저렴한 전기요금으로 산업의 국제경쟁력 뒷받침 전기요금 국제비교 ( 한국 =100)

: 한국 100, 일본 162, 미국 108, 프랑스 134, 영국 147

구분 한국 일본 대만 프랑스 미국 영국

부하율 (%) 73.8 62.4 70.0 66.8 59.3 66.3

손실률 (%) 4.0 5.1 4.8 6.6 6.5 9.1

호당정전시간 ( 분 /년 )

17 18 30 51 122 61

구분 한국 일본 중국 프랑스 미국 영국

1 인당 전력소비량 (kWh/인 )

8,064 8,628 1,914 9,176 14,448 6,651

순 위 14 11 33 9 5 21

우리나라 1 인당 전력소비량 세계적 수준

Page 11: 한국의 전력산업 현황 및 정책방향

11

ⅢⅢ 전력산업의 대내외 여건전력산업의 대내외 여건

Page 12: 한국의 전력산업 현황 및 정책방향

12

1. 대외 환경변화

고유가 상황 고착화 전망 요인 : 중동지역 정정 불안 , BRICs 국가 등의 수요 증가 ,

OPEC 의 시장지배 강화 등

주요 에너지원의 매장국가 편중과 자원의 무기화 등으로

공급불안 요인 상존

각국의 경쟁적 자원 확보 노력 심화로 갈등 예상

교토의정서 발효 (‘05.2) 에 따른 에너지 분야의 온실가스 환경규제 강화

Page 13: 한국의 전력산업 현황 및 정책방향

13

2. 대내 환경변화

환경에 대한 관심증대로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요구 및 대규모 전원설비 건설여건 악화

원전 , 석탄발전소는 부지확보의 어려움 , 민원 등으로 인허가 및 건설 지연

전력과 정보통신기술 융합의 가속화로 배전자동화 ,

전력선통신 , 디지털변전소 등 전력 IT 기술 부상

국내 전력수요 성장 한계에 따른 미래 성장동력 확보 필요 과거 전력수요증가율 : (‘02-’08 년 ) 5.8% ‘15 년 이후 전력수요 증가율 1% 미만 ( 연간 신규 건설물량 100 만 kW 미만 )

Page 14: 한국의 전력산업 현황 및 정책방향

14

ⅣⅣ 한국의 전력산업 정책방향한국의 전력산업 정책방향

Page 15: 한국의 전력산업 현황 및 정책방향

15

1. 설비 확충을 통한 전력의 안정적 공급

발전 부문 발전설비 적기 확충과 적정 수준의 설비예비율 유지

o 공급안정성과 경제성이 높은 석탄 등 기저설비 지속 확충 o 공급유연성이 높은 LNG 설비 보완 추진o 원전은 사회적 수용성 및 공론화를 거쳐 적정비중 결정

송배전 부문 전력계통 보강 및 계통안정도 향상 : 권역별 다중환상망 구축 , 송전능력 증대

배전설비 운용 효율성 증대 : 신진단기법 도입 , 자동화확대 , 첨단 배전기술 개발

환경친화적 설비 확대 : 송 ·배전선로 지중화 및 변전소 GIS 화 확대

전력계통 신뢰도 및 품질 향상 : 정전시간 단축 , 송배전손실율 4.5% 이하

장기 전력수급 전망 , 적정 전원구성 , 분산형 전원 , 환경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2 년마다 전력수급기본계획 확정 (‘08.12 월 제 4 차 계획 수립 )

장기 전력수급 전망 , 적정 전원구성 , 분산형 전원 , 환경비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2 년마다 전력수급기본계획 확정 (‘08.12 월 제 4 차 계획 수립 )

Page 16: 한국의 전력산업 현황 및 정책방향

16

8,000

7,000

6,000

5,000

4,000

3,000

2,000

1,000

02006 2007 2008 2009 2010 2018 2022

20

15

10

5

0

설비용량 ( 만kW)

설비예비율 : ‘14 년까지 9~14%, ‘125 년 이후 15% 이상 유지 예상

예비율 (%)

설비용량 ( 만㎾ )

최대수요 ( 만㎾ )

설비예비율 (%)

10.5

7.2

10.2 7.35.9

19.3

23.3

6,518

5,899

6,677 6,228

7,1366,279

7,254

6,722

7,614

6,946

9,708

8,017

10,089

8,180

* 공급신뢰도 유지를 위해 15% 수준의 설비예비율이 요구됨

'00-'08 년 73~77% 이상의 고부하율 ( 세계 최고수준 ) 시현

중기 전력 수급 전망 (4 차 전력수급 기본계획 기준 )

Page 17: 한국의 전력산업 현황 및 정책방향

17

장기 전원 구성계획

Page 18: 한국의 전력산업 현황 및 정책방향

18

2. 친환경 전력공급 체계 구축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발전차액 제도 및 RPA 등을 통해 투자 적극 장려 산업 파급효과가 큰 태양광 , 풍력 , 수소 /연료전지 분야 핵심

지원o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 : (‘07) 2.4% -> (‘30) 11%

o RPA(Renewable Portfolio Agreement): 한전 , 발전회사 등 9 개 기관의

신재생에너지 공급참여 협약으로 ‘ 05~’08 년 동안 34 만 kW 의 신재생에너지 설비 건설

전력분야 CO2 배출 저감 유도 업종별 배출량 산정 및 감축대책 수립 추진 배출권거래제 , 청정개발체제 등 온실가스감축 이행기반 구축 CCT 등 친환경기술개발 지원 및 실증사업 추진 등

분산형 전원 기술개발 및 사업화 확대 기존 대규모 중앙제어형 전원과 조화 추진 전력소비지 근방에 소규모 분산배치를 통해 생산

: 소비지역 통합 , 높은 열효율 , 환경문제해결 등 기대

Page 19: 한국의 전력산업 현황 및 정책방향

19

3. 에너지산업의 차세대 성장동력 육성

민관 공동 스마트 그리드 (Smart Grid) 구축사업 적극 추진 ´09. 2.16 VIP 주재 녹색성장위 :

→ 세계 최초 국가단위 스마트 그리드 구축계획 보고 ´09.3.31 스마트 그리드 추진위 : 발대식 및 워크샵 개최 (200명 참석 )

역점 추진사업 한국형 스마트 그리드 비전 선포 - 에너지 절감 , CO2 저감 , 신비즈니스 창출 관련 정량화된 비전 선포

실증단지 부지 선정

- 입지선정 실무협 (4.28-5.19) → 최종부지선정 (5.28) → 대외공표 (6.2)

한국 스마트 그리드 협회 (KSGA) 발족 - 창립위 회의 (5.8) → 창립총회 (5.21) → 설립허가 (5.26) → 설립등기

(5.29)

미국과의 양자 협력체계 구축

- 美에너지부처간 SOI, 협회간 MOU 체결 , 민간투자포럼 개최

Page 20: 한국의 전력산업 현황 및 정책방향

20

4. 전력산업의 신성장동력 확보

전력산업의 해외진출 확대 화력발전 , 송배전 등 전력기술이 세계적 수준인 점을 활용하여

전력설비 투자가 활발한 중국 , 동남아 , 북아프리카 등에 적극 진출

* 해외 발전설비용량 확보 : (’07) 265 만 kW → (’12) 800 만 kW

→ 국내 전력수요 성장 한계에 따른 국내 전력업계의 미래 성장동력을 확충하고 전력산업의 지속적인 발전기반 마련 전력산업에 첨단 IT 기술을 접목한 전력 IT 기술 지원

배전지능화 , 전력선통신 스마트그리드 등 10 대 핵심과제 개발 PLC활용 원격검침 및 변압기감시 등 시범사업으로 사업화 기반 구축

전력분야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인프라 구축 전력전문투자조합 결성 (250 억원 규모 ) 으로 개발기술의 사업화 촉진 전력산업분야 인력양성 , 표준화 등 인프라 구축 투자 (’08 년 372 억원 )

Page 21: 한국의 전력산업 현황 및 정책방향

전력산업 발전과 관련 연구원의 Think-Tank 역할 기대22

법규 제개정시 연구원의 연구기능 강화 및 회원사에 대한 정책 홍보 확대로효율적인 정부업무 수행 협조 기대 ‘06.6 월 전력기술관리법 개정발효후 민원건수 : (‘06 상 ) 124-> (‘06 하 )224 -> (‘07 상 )255

전력산업 지원을 위한 법 , 제도 등 기본계획 수립 참여 및 정부시책 개발 전력수급 기본계획 , 전기공사업 , 전력기술인관리 , 기술기준 , 신기술인증 등

전력산업 발전을 위해 산 , 학 ,연 등 범전기계 공조체제 강화33

지식형성 기반의 산업강국으로 성장11

산업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한 저탄소 녹색성장 기반 대체에너지 개발

스마트 그리드와 같은 에너지 이용효율 향상 스마트 그리드 : 전력운영 + 정보기술 (IT) = 똑똑한 전력망 스마트 그리드의 시장규모 : 2030 년까지 2 조 9880 억달러 (국제에너지기구 ) 스마트 그리드의 상용화 : 연간 3조원이상의 비용절감효과 산출

5. 협조 및 당부사항

Page 22: 한국의 전력산업 현황 및 정책방향

22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