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I. 성성성성성성 성성

I. 성취평가제의 이해

  • Upload
    delta

  • View
    73

  • Download
    1

Embed Size (px)

DESCRIPTION

I. 성취평가제의 이해. Evaluation driven education ( 평가는 교육의 방향을 결정짓는다 ). 목 차. 1. 성취평가제의 도입 배경. 2. 성취평가제의 개 요. 3. 성취기준 과 성취수준의 의미. 4. 성취평가제의 실제. 성취평가제의 도 입 배경. 1. 창의 · 인성 교육 활성화를 위한 2009 개정 교육과정 도입 및 기존 평가제도 개선 필요. 선택 교육과정으로 편성 보통교과를 수준 ∙ 영역에 따라 ‘ 기본 - 일반 - 심화 ’ 과목으로 정비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Citation preview

Page 1: I.   성취평가제의 이해

I. 성취평가제의 이해

Page 2: I.   성취평가제의 이해

Evaluation driven education (평가는 교육의 방향을 결정짓는다)

Page 3: I.   성취평가제의 이해

3

목 차

1 성취평가제의 도입 배경

2 성취평가제의 개요

4 성취평가제의 실제

3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의 의미

Page 4: I.   성취평가제의 이해

4

창의 · 인성 교육 활성화를 위한 2009 개정 교육과정 도입 및 기존 평가제도 개선 필요

학교 여건과 학생의 적성과 소질을 고려한

자율적‧창의적인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중요

선택 교육과정으로 편성

보통교과를 수준 영역에 따라∙ ‘기본 - 일반 - 심화’ 과목으로 정비

고교 다양화를 통해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 운영 권한 확대‧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 교원 1 인당 학생수 및 학급당 학생수 감소 및

창의적 및 수준별 수업 가능한 공교육 여건 마련'09 '20

25 명

현행 평가 제도의 개선

학년 내의 상대적 서열에 따라 성적 결정 및 석차에 대한 과도한 스트레스 유발가르친 내용 에서 출제하기 보다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어려운 문제 출제석차등급에 유리한 과목 선호 , 소인수 과목 기피로 인한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 제약창의 인성 수업과 평가 방법의 괴리

학교 선발 체제 선진화

( 고교입시제도개선 ) ‘ 자기주도 학습전형’ 도입 입학 담당관제 도입 , 중학교 내신성적 · 출결 · 면접 등으로 선발

( 대학입시 선진화 ) ‘ 입학사정관제’ 도입 학생의 잠재력 , 소질 , 환경 , 교육과정 이수 및 창의적 체험활동 등 학교 생활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선발

1. 성취평가제의 도입 배경

Page 5: I.   성취평가제의 이해

5

학업성취에 대한 학교의 책무성 강화

취업 , 대입에서 학교교육의 성과 중시

창의적교실수업 구현

학교교육 경쟁력 강화

중등학교 학사관리 선진화

평가 방법의 질적 혁신

서술형 평가 및 수행평가 내실화 ‘A - B - C - D – E ’ 평가 실시

교과목별 성취기준 성취수준 개발∙

교원의 평가 책무성 및 전문성 제고성적 부풀리기 방지를 위한 학업성적 관리체제 구축

학교 교육 중심 대입전형 정착 지원성취평가제 도입 추진체계 구축

성취 평가제 도입

학사관리 선진화 여건 조성

중등학교 학사관리 선진화 방안 (2011. 12. 13 발표 ) 의 일환으로

‘ 성취평가제’ 도입

1. 성취평가제의 도입 배경

Page 6: I.   성취평가제의 이해

6

성취평가제의 추진 일정

1. 성취평가제의 도입 배경

Page 7: I.   성취평가제의 이해

7

최근의 성취평가제 정책 방향 2014 학년도 고 1 학생부터 성취평가제 적용

- 성취평가 결과의 대입반영은 2019 학년도까지

유예

- 2017 학년도 대입전형에서 현행과 같이 석차 9

등급 ,

원 점수 , 과목평균 , 표준편차만 대학에 제공함

- 학생 성적 산출은 9 등급과 성취도 (A,B,C,D,E)

병행함

2013. 8. 28( 교육부 보도자료 )

2014 학년도 고 1 학생부터 성취평가제 적용

- 성취평가 결과의 대입반영은 2018 년도까지 유예

- 2019 학년도 이후 성취평가 결과 (A,B,C,D,E) 의

대입반영은 성취평가제 정착 방안을 마련 ,

시행하고 그 운영 결과를 보아가며 2015 년도에

결정함

2013. 10. 24( 교육부 보도자료 )

1. 성취평가제의 도입 배경

Page 8: I.   성취평가제의 이해

80

학생의 성취 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평가

‘ 준거참조평가’와 동일 개념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교과별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에 도달한 정도’평가

성취평가제의 의미

2. 성취평가제의 개요

* 준거참조평가 : 학생들이 무엇을 얼마만큼 알고 있으며 할 수 있는지에 관심을 두고 준거에 비추어 평가함 .

Page 9: I.   성취평가제의 이해

9

상대평가

89 7 6 5 4 3 2 1

7%4% 12% 17% 20% 17% 12% 7% 4%

비교 집단 내의 상대적인 서열 비교

성취평가

성취기준에 도달한 정도 판단

A

B

C

D

E

개인 성취율

기준 성취율

상대적 서열에 의해‘누가 잘 했는지’평가하는 것이 아니라‘학생이 무엇을 어느 정도 성취했는지’중요하게 생각하는 평가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개발된 교과별 성취기준에 도달한 학생의 학업 성취수준을 평가하고 , ‘A-B-C-D-E’ 로 성취도를 부여

2. 성취평가제의 개요

Page 10: I.   성취평가제의 이해

10

성취기준 교과목에서 학생들이 학습을 통해 성취해야 할 지식 , 기능 , 태도의 능력과 특성을 진술한 것

성취수준 학생들이 교과별 성취기준에 도달한 수준을 나타내는 것

교수학습 평가

성취기준무엇을

배워야 하는지가르쳐야 하는지

무엇을 평가해야 하는지도달해야 하는지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의 의미3

.

Page 11: I.   성취평가제의 이해

11

교과별 성취기준과 성취수준 예시 ( 수학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과 성취수준 ( 평가기준 ) 개발 자료 안내 중등학교 성취평가제 지원 사이트 http://assess.kice.re.kr 참고

학교의 상황에 맞도록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을 재 구성하여 사용 가능함

교육과정

내용성취기준

성취수준

상 중 하

121. 거듭제곱의 뜻을 안다 .

121-1. 거듭제곱의 뜻을 안다 .

서로 다른 두 개 이상의 수를 여러 번 곱한 것을 거듭제곱을 사용하여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

같은 수를 여러 번 곱한 것을 거듭제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

어떤 수의 거듭제곱에서 밑과 지수를 말할 수 있다 .

122. 소인수분해의 뜻을 알고 , 자연수를 소인수분해 할 수 있다 .

122-1. 소수의 뜻을 안다 .

다소 복잡한 수 또는 특정한 범위에서 소수를 능숙하게 구별할 수 있다 .

소수와 합성수의 뜻을 말하고 구별할 수 있다 .

주어진 간단한 수가 소수인지를 구별할 수 있다 .

122-2. 자연수를 소인수분해 할 수 있다 .

문제 해결에 자연수의 소인수분해를 활용할 수 있다 .

50 보다 큰 자연수를 소인수분해 할 수 있다 .

50 보다 작은 자연수를 소인수분해 할 수 있다 .

3.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의 의미

Page 12: I.   성취평가제의 이해

12

학기단위 성취수준 기술의 예시한 학기 동안 학습한 성취기준에 도달한 정도를 5 개 수준 (A-B-C-D-E) 또는 3 개 수준 (A-B-C) 으로 구분하고 학생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설명한 것

성취수준 성취수준 기술 성취율 ( 원점수 )

A한 학기 동안 학생들이 충실한 교수 - 학습 과정을 통해 성취하기를 기대하는 전체 성취기준에 대한 이해와 수행이 매우 우수한 수준

90% 이상

B한 학기 동안 학생들이 충실한 교수 - 학습 과정을 통해 성취하기를 기대하는 전체 성취기준에 대한 이해와 수행이 우수한 수준

90% 미만~ 80% 이상

C한 학기 동안 학생들이 충실한 교수 - 학습 과정을 통해 성취하기를 기대하는 전체 성취기준에 대한 이해와 수행이 보통 수준

80% 미만~ 70% 이상

D한 학기 동안 학생들이 충실한 교수 - 학습 과정을 통해 성취하기를 기대하는 전체 성취기준에 대한 이해와 수행이 다소 미흡한 수준

70% 미만~ 60% 이상

E한 학기 동안 학생들이 충실한 교수 - 학습 과정을 통해 성취하기를 기대하는 전체 성취기준에 대한 이해와 수행이 미흡한 수준

60% 미만

3.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의 의미

Page 13: I.   성취평가제의 이해

13

기준 성취율 학생들이 성취목표에 도달한 정도에 따라 성취도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

A

B

C

D

E

개인 성취율

기준 성취율

일반교과성취율 ( 원점수 ) 성취도

90% 이상 A

80% 이상 ~ 90% 미만 B

70% 이상 ~ 80% 미만 C

60% 이상 ~ 70% 미만 D

60% 미만 E

※ 전문교과의 경우 학교 여건과 학생특성을 고려하여 학교별로 , 교과목별로 기준성취율을 자율적으로 결정 할 수 있음

성취기준 1

성취기준 2

성취기준 3

A 성취수준기술 A

B 성취수준기술 B

C 성취수준기술 C

D 성취수준기술 D

E 성취수준기술 E

standard level description

성취수준 기술

standard setting

분할점수(cut score)결정

수준 설정

grad-ing

A

B

C

D

E

평정

기준성취율

성취기준

성취기준 4

성취기준 5

성취기준 6

평가

평가도구 개발

평가 실시

3.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의 의미

Page 14: I.   성취평가제의 이해

14

교수 · 학습변화 성취기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수업내용 구성하여 교수 · 학습 진행 교육과정 , 교수 · 학습 , 평가 간의 일관성 확보

학생부 성적 기재 방식 변화

준거참조평가의성격을 반영하여 평가 준비 및 시행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토대로 한 학기 동안 교수 · 학습 활동 후에 학생들이 도달해야 하는 성취수준 기술

학교의 학생 수준을 고려하여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의 특성 기술성취기준을 토대로 학생들의 성취도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 제작

평가를 시행하고 결과를 종합하여 교과목 별 기준 성취율에 따라 학생 성취도 평정

교과목별 기준 성취율에 따라 성취도를 5 개 수준 (A, B, C, D, E) 또는 3 개 수준 (A, B, C) 으로 평정

석차 등급 표기 삭제하고 , 원점수 / 과목평균 ( 표준편차 ) 을 병기

성취평가제 도입으로 인한 변화 내용4. 성취평가제의 실제

Page 15: I.   성취평가제의 이해

15

성취기준 · 성취수준 수정 · 개발

평가계획 수립

출제 계획표 작성 , 평가 도구 공동 검토

교과목별 기준 성취율 설정 또는 확인

교사협의회 활성화

학교성적 관리 규정 개정

정보공시

학업성적관리위원회의 과목별 기준 성취율 심의

성취도 표기 방법 개정

기타 개정 사항 반영

평균 , 표준편차 , 성취도별 분포 비율 공시

4. 성취평가제의 실제

Page 16: I.   성취평가제의 이해

16

학교 생활기록부 기재 방식 변경‘ 석차등급’표기 삭제 , 성취도 ‘ A-B-C-D-E’ 기재

성적 부풀리기 방지 , 평가의 난이도 , 점수 분포 등에 관한 정보 제공을 위해 현행대로 원점수 / 과목평균 ( 표준편차 ) 병기

현행 개선

석차등급(

수강자수 )

단위수

과목

5수학 1(532)

원점수 /과목평균

(표준편차 )95/70.7

(10.5)

성취도(

수강자수 )

단위수

과목

5수학 A(532)

원점수 /과목평균

(표준편차 )95/70.7

(10.5)

4. 성취평가제의 실제

Page 17: I.   성취평가제의 이해

17

학교 교육과정 설계 시 교육목표 , 교육내용 , 교수 - 학습 방법 , 평가방법이 성취평가제와 일관성 있도록 설계하며 , 학생이 도달해야 하는 성취기준을 정하고 교수 - 학습 활동을 전개한 다음 성취기준에 어느 정도 도달했는지 평가하고 성취기준에 근거하여 교과의 어느 부분이 부족한지 파악하여 지도함

교육과정에 근거한 성취기준이 적절한지 , 성취기준에 근거한 교수 - 학습 활동이 적절하였는지 , 성취기준이 제대로 성취되었는지 , 평가도구가 타당 했는지 등에 대해 진단하고 개선해 나가는 자세 , 즉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평가 계획을 수립하고 타당도 높은 평가 도구를 제작할 수 있는 교사의 평가 전문성 요구됨

성취평가제 도입에 따른 교사의 역할 변화

4. 성취평가제의 실제

학생의 성적을 서열화하기 위하여 어려운 함정 문제 출제 등과 같이 변별력 확보에 치중하였던 평가 방법에서 벗어나 학생이 성취기준에 도달하였는지를 평가하여 학생의 실질적 학력 향상을 추구하는 , 평가 본래의 목적을 추구하고자 하는 교사의 인식 전환이 중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