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
1 본 프로그램은 2015년 여성가족부 양성평등 및 여성사회참여확대 공모사업 후원으로 진행합니다.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1

본 프로그램은 2015년 여성가족부 양성평등 및 여성사회참여확대 공모사업 후원으로 진행합니다.

Page 2: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2

프로그램

1시 30분 등록

2시 인사말

김효선 여성문화네트워크 이사 /여성신문 대표

축 사

권용현 여성가족부 차관

라르스 다니엘손 주한스웨덴대사

마크 네퍼 주한미국공관차석

2시 20분 영상 : 스웨덴과 한국의 워킹대디의 하루

2시 30분 초청강연 ‘행복한 워킹패밀리’

-에이미 잭슨 주한미국상공회의소 대표

2시 50분 주제 발표 ‘워킹대디의 일·가정 양립’

-홍승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

3시 10분 공연

3시 20분 쇼퍼런스 ‘나는 행복한 워킹대디’

- Mattias Chu 주한스웨덴대사관 참사관

- Dae G. Kim 주한미국대사관 이등서기관

- 김용범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담당관

- 유재구 한국 마이크로소프트 이사

- 정우열 “생각과 느낌” 원장 (정신건강의학 전문의)

5시 종합 토론 (플로어 토론)

5시 30분 닫는 인사

Page 3: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3

Program

13:30 Registration

14:00 Welcoming Remarks

Hyoseon Kim (Director, Women and Culture in Network/ CEO, Women’s News/ )

Congratulatory Remarks

Yonghyun Kwon (Vice ministe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H.E. Lars Danielsson (Ambassador of Sweden)

Marc Knapper (Deputy Chief of Mission, U.S. Embassy Seoul)

14:20 Video: A day of Swedish and Korean working dads

14:30 Special Lecture - “Happy Working Family”

Amy Jackson (President, American Chamber of Commerce Korea (AMCHAM))

14:50 Topic Presentation - “Working dads’ Work-Family balance”

Seungah Hong (Researcher,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

15:10 Performance

15:20 Showference “I am a happy working daddy”

Mattias Chu ( Political Counsellor, Embassy of Sweden, South Korea)

Dae G. Kim (Vice Consul, U.S. Embassy Seoul)

Yongbeom Kim (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Jaegu Yoo ( Microsoft Korea)

Dr. Wooyeol Jung ( Psychiatrist )

17:00 Discussion

17:30 Closing Remarks

Page 4: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4

초청의 글

최근에 육아에 적극 참여하려는 남성들은 늘고 있지만 ‘아빠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남성들

은 여전히 적습니다. (사)여성·문화네트워크가 올 해 조사한 연구결과에서도 ‘아빠 육아휴

직’을 사용한 남성들은 육아휴직이 가능한 8세 이하의 자녀를 둔 워킹대디 100명 중 8명에

불과합니다. 남성들이 육아휴직을 하지 못하는 이유로 ‘육아휴직을 사용하기 어려운 분위기’

를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워킹대디 쇼퍼런스’는 남성들이 좀더 적극적으로 육아에 참여해 워킹맘과 워킹대디들이

행복하게 일과 가정생활의 균형을 잘 맞출 수 있는 해법을 찾는 자리입니다. 가정적인 나라 미

국의 워킹대디, 아빠 육아휴직이 활성화 돼 있는 스웨덴의 워킹대디, 그리고 육아휴직을 경험

한 한국의 워킹대디와 적극적으로 육아에 참여하고 있는 워킹대디의 솔직한 이야기를 들어봅

니다.

부디 이분들과 함께 더 많은 워킹대디들이 육아휴직을 이용하고, 우리사회가 아이를 함께

돌보고 키우는 사회적 공감대를 만드는데 머리를 맞대어 주시기를 바랍니다.

바쁘신 가운데 함께 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2015년 8월 21일

(사)여성·문화네트워크 대표 박 혜 란

Today, we are gathered here at the “Working dads Showference” to seek solutions to

achieve “work and family balance” for both working moms and working dads through encour-

aging men’s participation in parenting. We have invited very special guests to share their sto-

ries: from the United States, Sweden, and Korea, who are actively taking part in child rearing.

Through these special dialogue, we will be able to listen to the real dads’ voices.

Lastly, I would like to encourage all of you to gather your thoughts and actions toward

making Korean society, a “paternity leave friendly society” where the society takes care of our

children and raise them together.

Thank you.

August 21, 2015

Hyeran Park

President, Women and Culture in Network

Page 5: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5

권용현 여성가족부 차관

Kwon Yong Hyun, Vice Minister,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축사

□ 주요학력

ㅇ 서울대 행정대학원 졸업(행정학 박사)

□ 주요경력

ㅇ 1989. 총무처 수습(행정고시 제32회)

ㅇ 2010. 10 ∼ 여성가족부 대변인

ㅇ 2011. 8 ∼ 여성가족부 기획조정실장

ㅇ 2013. 4 ∼ 여성가족부 청소년가족정책실장

ㅇ 2014. 7. 25 여성가족부 차관

□ 상훈

ㅇ 2011. 홍조근정훈장

ㅇ 1992. 대통령표창

Mr. Yong Hyun Kwon is the current Vice Minister of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MOGEF) of Republic of Korea. After passing the 32th Public Administration Exami-

nation, he has been through various roles within the MOGEF. He served as the Director of the

General Affairs Division, and the Director General for Women’s and Youth’s Rights Promotion

Bureau within the Ministry. He holds Ph.D. in Science of Public Administration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He received his Bachelor and Masters degree in Yonsei University.

Page 6: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6

라르스 다니엘손 주한스웨덴 대사

H.E. Lars DANIELSSON

Ambassador of Sweden

저는 라르스 다니엘손 주한 스웨덴 대사입니다. 해외 출장 때문에 오늘 이 자리에 여러

분과 함께 하지 못해서 죄송합니다. 양성평등에 관한 아주 중요한 주제를 다루는 본 행사가

열리게 되어 기쁘게 생각합니다.

보통 양성 평등을 이야기 할 때는 여성 인권에 대한 이야기를 합니다. 이는 양성 평등을

이룬다는 것 자체가 여성 인권 신장에 바탕을 두기 때문에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남성, 아버지, 아빠들은 사회의 일·가정 양립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역

할을 담당합니다.스웨덴에서는 아빠들이 가정을 함께 이루는데 노력하지 않는다면, 다시 말

해 양성 평등을 위해 활발히 노력하지 않는다면 양성평등이 불가능 할 것이라고들 합니다.

스웨덴이 지금과 같은 높은 출산율을 자랑 하는 데에는 스웨덴 여성들이 일·가정 양립

을 잘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한데서 그 이유가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스웨덴의 관대한

부모육아휴직도 한몫 하는 것 같습니다- 스웨덴의 아버지들은 최소한 3개월의 육아휴직을

사용해서 그들의 아이들과 함께하며 아이들의 인생의 시작에 함께 해야 합니다.

양성 평등을 위해 아빠들에게 더 큰 역할을 주기 위해서는 많은 일들이 함께 되어야 합

니다. 대부분은 입법활동을 통해 가정의 경제 상황에 변화를 줌으로서 가능한 일입니다. 하

지만 스웨덴에서 가장 힘들었던 것 중 하나가, 아마 한국에도 가장 힘들 것인데, 바로 사람들

의 인식을 바꾸는 것 이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남성들에게 그들이 어린 자녀들과 함께

생활한다는 것을 멋지고 중요한 일이라고 각인시켜줘야 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그들의 태

도를 바꿔야 하는 문제입니다. 남성들의 태도, 고용주들의 태도를 비롯해 사회 전체의 태도

를 바꿔야 하죠.

스웨덴을 방문하는 외국인들이 놀라워 하는 것들 중 하나는 바로 길거리에서 어린 아이

들과 함께 있는 많은 남성들과 마주친다는 것입니다. 이는 우리가 다른 나라들에 비해 아버

지의 역할을 강조하는데 좀 더 발전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하나의 중요한 사례라고 할 수 있

습니다. 조금 있다가 여러분은 스웨덴의 한 아버지가 그의 자녀들의 유년기를 어떻게 함께

했는지에 관한 이야기를 들을 것입니다.

축사

Page 7: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7

My name is Lars Danielsson and I am the Swedish Ambassador to the Republic of

Korea. I am very sorry that I cannot be with you this afternoon on this importance confer-

ence because of my trip abroad. I am very happy that this conference concentrates on a

subject which is particularly important when we speak about gender equality.

Gender equality most often concentrates on the rights of women, and that’s very natu-

ral because to achieve good gender equality is to a large extent a question of improving the

situation for women. But men, fathers, daddies, have a key role when it comes to achieving

society’s work and family life can balance each other in a better way. The experiences

from my own country Sweden, says that if fathers, if daddies do not engage actively in the

pursuit of more gender equality, in the pursuit of jointly raising families, then we will not

achieve gender equality.

In my country, we have managed to achieve a very high birthrate, partly because we

give women good opportunities to combine family life and working life. But also our very

generous parental leave contains supervision that fathers should take at least 3 months, of

parental leave to be together with their small child or children, thereby contributing also to

giving their children the good start in life.

Congratulatory Remarks

저는 이 행사가 아버지의 중요성, 아빠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왜냐하면 이 행사를 통해 이루고자 하는 바가 아빠의 중요성이 단순히

좋은 연봉 때문이 아니라 행복한 가정을 이루는데 있어서 남성 여성 모두 쓸모 있고, 중요하며

필요한 것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대한민국에는 더 많은 아이들이 필요합니다. 대한민국에서 아이들을 키우는데 있어서 아

버지들의 역할이 커지고 책임감이 커진다면 더 많은 아이들이 생길 것입니다. 저는 이 행사가

그런 미래를 만드는 게 어떻게 가능 할 지를 보여주는 많은 흥미로운 예시를 보여줄 것이라 확

신합니다.

여러분의 성공을 기원합니다.

고맙습니다.

Page 8: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8

There are many things you need to do in order to achieve a bigger role for daddies in

achieving gender equality. Most of it, you can do by legislation, by changing the economic

circumstances for families. But one thing has proven to be the most difficult in my country

and it’s probably the most difficult in Korea and that is to change the mindset – because we

have to achieve a situation where men find it cool, where men find it important also to spend

part of their life with their young children. This is the matter of having to change the attitudes.

You need to change attitudes with men, you need to change attitudes with employers. And

you also need to change attitudes in society as whole.

One thing that surprises many foreigners to come to Sweden is that they see a lot of men

out in the streets with small children. That is one important sign that we have at least come a

little bit further than most others when it comes to underlining the role of fathers. Later on in

this conference, you will hear a concrete example of how a Swedish father experience his time

together with his children at their early age.

I am quite convinced that this conference will constitute a very important contribution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fathers, the importance of daddies. Because what this is all about

is trying to achieve a situation where families, men and women, will find it useful, important

and necessary, not only to get a good salary but also to contribute to raising happy families.

Korea needs more children. Korea will have more children if fathers take bigger and

greater responsibility in the raising of children. I am sure that this conference will give many

interesting examples of how this can be achieved.

And I wish you all success and all the best.

Thank you.

Page 9: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9

마크 네퍼 주한미국공관차석

Marc Knapper

Deputy Chief of Mission, U.S. Embassy, Seoul

축사

미 국무부 외교국 소속 마크 네퍼는 2015 년 4 월 8 일 주한 미국대사관 차석으로 부임

하였다. 대사관 차석으로 임명되기 전에는 국무부 일본과장 및 인도과장을 역임하였으며, 초

기에는 주이라크 미국대사관 소속 정무참사관, 주일 미국대사관 정치과장보, 그리고 주베트남

미국대사관 소속 정무참사관 등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1993 년부터 1995 년, 그리고 1997 년 부터 2001 년의 기간 동안 주한 미국대사관에

서 근무한 그는 대한민국 및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다. 또

한 그는 국무부 중국과 및 몽골과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으며 일본에서의 근무 당시 특별보좌

관의 직책을 역임하여 월터 먼데일 대사를 보좌하였다. 그 외에도 그는 1997 년 영변 핵시설

사용후 핵연료팀의 국무부 대표로, 그리고 2000 년 당시 매들린 올브라이트 국무장관 평양

방문 선행팀의 일원으로서 공적 업무차 북한을 두 차례 방문한 경험이 있다.

마크 네퍼는 올해의 어학자상 및 세 차례에 걸친 최고 명예 표창 등을 포함한 여러 표창

들을 국무부로부터 수여받았다. 프린스턴대학교에서 정치학을 전공한 그는 동아시아학을 부

전공하여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이후 동경대학교에서 대학원 연구생으로서 2 년간 재학하였

으며, 미들버리대학교의 집중 일본어 과정, 미육군 대학원, 그리고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의

세미나 과정을 완료하였다. 그는 한국어, 일본어, 베트남어에 능통하다.

로스엔젤레스 출신인 마크 네퍼는 부인인 스즈코 네퍼와 슬하에 15 세인 아들 알렉스를 두었

다.

Mr. Marc Knapper, a member of the Senior Foreign Service of the U.S. Department of

State, began his tenure as Deputy Chief of Mission at the U.S. Embassy in Seoul on April 8,

2015.

Prior to his arrival in the Republic of Korea, he was the Director of the Department of

State’s Office of India Affairs, and before that he served as the Director of Japanese Affairs.

Page 10: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10

Earlier assignments include serving as Political Counselor in the U.S. Embassy in Bagh-

dad; as Deputy Chief of the Political Section at the U.S. Embassy in Tokyo; and as Political

Counselor at the U.S. Embassy in Hanoi. Mr. Knapper brings an extensive knowledge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Asia-Pacific region to his current assignment, having served twice

at the U.S. Embassy in Seoul - first between 1993 and 1995, and again between 1997 and

2001.

He has also completed assignments in the Department of State’s Office for Chinese and

Mongolian Affairs, and during an early assignment in Tokyo, he served as aide to Ambassa-

dor Walter Mondale. Mr. Knapper has twice traveled to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for official purposes, once in 1997 as the State Department representative to the Spent

Fuel Team at the Yongbyon nuclear facility, and again in 2000 as part of the advance team for

then-Secretary of State Madeleine Albright's visit to Pyongyang.

Mr. Knapper is the recipient of a number of awards from the U.S. Department of State,

including Linguist of the Year and three Superior Honor Awards. He is a summa cum laude

graduate from Princeton University, with a BA in Politics and a minor in East Asian Studies.

After graduation, he studied for two years at the University of Tokyo as a graduate research

student. He is also a graduate of Middlebury College’s intensive Japanese program, the Army

War College, and the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s Seminar XXI course. Mr.

Knapper speaks Korean, Japanese, and Vietnamese. A native of Los Angeles, Mr. Knapper is

married to Suzuko Knapper and they have one son, Alex, who is 15.

Page 11: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11

에이미 잭슨 주한미국상공회의소 대표

Amy Jackson

President, AMCHAM Korea

주요경력

2009.9—현재 주한미국상공회의소 대표 AMCHAM

2015.3– 현재 아태지역 미상공회의소회의 부회장 (APCAC)

2005.11-2009.7 C&M International (CMI) 이사

한미 FTA 협상 관련, 주한미국상공회의소와 미 제약회사협회

(PhRMA)등`한미 주요 협회 및 단체에 자문 제공

사회단체경력

2009.11– 현재 서울시외국투자자문 위원회 부위원장 (2014.10.2)

2009.12—현재 풀브라이트 재단 이사

2010.1– 현재 한미협회 이사

2011.6– 현재 USO (United Service Organization) 자문위원

2012.11– 현재 서울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고문

2013.5– 현재 외국투자자문단 (2009. 11 (구) 인베스트 코리아 자문위원회)

수상경력

2013.10.28 서울명예시민 수여

2012.11.1 대한민국 산업포장 수상

Ms. Amy Jackson joined the American Chamber of Commerce in Korea (AMCHAM

Korea) as its President on August 31, 2009. In this position, she is responsible for managing the

day-to-day operation and activities of the Chamber. Since March 2015, she is also serving as the

APCAC (Asia Pacific Council of American Chambers) Vice Chair for North Asia.

In recognition of her efforts in promoting mutually cooperative economic relations be-

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Ms. Jackson was awarded an Industrial

Service Medal by President Lee Myung-bak on November 1, 2012. She was appointed as an

honorary citizen of Seoul on October 28, 2013.

Ms. Jackson has a Masters degree in International Relations from the Johns Hopkins Uni-

versity School of Advanced International Studies and a Bachelors degree in Government from

Pomona College. Ms. Jackson is married with two children.

초청강연

Page 12: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12

홍승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

Seungah Hong, Researcher at

Korean Woman’s Development Institute

주제 발표

여성의 경제활동이 증가하고 핵가족화가 진행됨에 따라 젠더와 가족관계는 급속히 변화

하고 있다. 현대가족의 변화는 남성들로 하여금 가족 내에서 아버지의 역할과 책임을 보다 적

극적으로 참여하고 수행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변화하는 가족과 노동시장 속에서 남성들 역

시 자녀양육이나 가족돌봄의 책임을 여성과 함께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지만 우리사회는 맞벌이부부를 선호하는 사회적 변화에 비하여 실제로 남성의 가족

생활 참여, 육아참여는 활발한 편은 아니다. 우선, 2014년 「생활시간조사」 결과를 통하여 가

족 내 성별 가사노동시간을 비교해 보면, 여성은 1일 3시간 13분, 남성은 41분으로 나타나 여

성이 5배 이상을 많이 일하고 있다. 또한 맞벌이 가족과 외벌이 가족을 비교해 보면, 맞벌이

남성의 총 가사노동시간은 41분, 외벌이 남성의 경우는 46분으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반면 여성의 경우에는 맞벌이 3시간 13분, 외벌이 6시간으로 큰 차이가 나타난다. 즉 남성의

경우는 맞벌이 여부에 큰 차이가 없이 가사 참여가 적다.

2015년 7월부터 시행된 「양성평등기본법」에서는 부성의 권리가 새롭게 강조되었다. 개

정법에서는 종래의 모성권에서 모・부성권으로 확대하여 여성과 남성의 부모로서의 권리를 사

회권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에 기반하여 “육아 전담자로서의 여성”이라는 고정관념에서 벗

어나 “육아의 공동 주체”로서의 여성과 남성의 젠더역할 변화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남

성의 육아 및 가족생활 참여를 장려함과 동시에 남성의 일・가정양립을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

하다.

이번에 실시한 <워킹대디의 일가정양립 실태조사>에 의하면, 배우자출산휴가(paternity

leave)를 사용한 남성은 전체 1,000명 응답 남성 중 46.3%, 육아휴직(parental leave) 사용

은 8.8%로 나타났다. 즉 여전히 남성이 자녀출산과 관련하여 휴가나 휴직을 사용하는 경우는

Page 13: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13

적고, 육아휴직에 참여하는 남성들은 더욱 적다. 육아휴직을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 중에는

“직장분위기상 사용이 어렵다”가 전체 응답의 절반(48.1%)을 차지할 정도로 높고, 다음으

로 “수입감소 등 경제적인 어려움이 우려된다”(16.1%)로 나타났다.

한편, 제도에 대한 인지도도 그리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우리나라 육아휴직제도는 8세

이하의 자녀를 둔 부모에게 각각 1년씩의 휴직기간을 제공한다. 그러나 실제 조사에서는 이러

한 제도의 내용을 정확히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28.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와 기업은 제도에 대한 안내를 보다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일가정양립에 대한 사회전반적인 인

식변화가 더욱 강화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주목할 사실은 응답자의 82.4%가 “향후 육아휴직을 사용할 의사가 있다”고 응

답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응답자의 2/3(76.5%)가 “남성의 육아휴직 사용은 바람직하고, 나

도 사용하고 싶다”고 응답하고 있어서, 이들의 사용의지를 현실적으로 수용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실천여건을 조성하고 확산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사회에서 남성의 육아휴직 참여가 증가해 나갈 것은 거스를 수 없는 방향이다. 다만

그 속도가 빠를지 느릴지는 우리의 노력 여하에 달려있다. 여성의 사회진출이 급속도로 진행

되고 있는 가운데 남성의 가족생활 참여도 함께 진행되어서 “함께 일하고 함께 돌보는 사

회”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Work-family balance of working dads: Reality and Prospect

As women’s economic activity increases with the progression toward nuclear families,

gender and family relations are rapidly changing. Changes in the contemporary family require

males to more actively engage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as fathers in the family. Amid

the changes in family and the labor market, males need to consider means to actively partici-

pate in and perform their responsibilities in parenting and family caregiving as well as females.

However, in Korean society, relative to the social transition toward a preference for dou-

ble income families, actual male participation in family life and child rearing is not as active.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Time User Survey (2009)’s section where the hours of

domestic labor work load between genders was compared, females engage in domestic labor 5

times longer than males, with 3 hours and 35 minutes a day, while males spend only 41 min-

utes per day. When comparing single income and double income households, whereas for

Page 14: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14

males, at 37 and 39 minutes, respectivel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a large differ-

ence was observed for females, at 3 hours and 20 minutes in single income households, and 6

hours and 18 minutes for double income households. That is, male participation in domestic

labor is low regardless of household’s income type.

Paternity rights were newly stressed in the “Framework Act on Gender Equality,” which

entered into enforcement on July 1st, 2015. In the revised act, the conventional maternal right

has been expended to maternal and paternal rights, providing for the parental rights of males

and females as a social right. Based on this new act, conventional idea of females as “fully

responsible for parenting” should be departed from the stereotype and also “joint parenting”

of both females and males’ gender role change is needed. Through these changes, males’ par-

ticipation in parenting should be encouraged while activating work-family balance of males.

According to the “Working Daddy Work-Family Balance Survey” conducted for the pre-

sent study, 46.3% of 1,000 total male respondents used paternity leave, while 8.8% used pa-

rental leave. This result implies that few males use leave for childbirth, as even fewer males

use parental leave. As for reasons why the respondents could not use parental leave, a large

number of respondents, accounting for almost half of responses(48.1%), answered that “the

atmosphere at work makes using parental leave difficult,” followed by “concerns over eco-

nomic difficulties such as reduction of income ”(16.1%).

Meanwhile, policy awareness was found not to be high either. Korean parental leave pol-

icy provides parents with children aged 8 or younger with 1 year of leave, respectively for

both mother and father. However, in the survey, only 28.1% of responses indicated that they

knew of such policy details. The government and corporations should more actively engage in

promoting the policy, and a general change in the society’s awareness for work-family balance

is needed.

Notable, however, is that 82.4% of respondents were “Intend to use parental leave in the

future”. Also, three quarters (76.5%)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Male parental leave is

desirable, and I also wish to use parental leave”- it is important to create and proliferate condi-

tions for their will to use parental leave to be put into practice.

The increased participation of males in parental leave in Korean society is an irreversible

trend. However, how fast the trend progresses depends on our efforts. The rapid increase in

female social activity needs to be met with increased family life participation of males in an

effort toward a society of “working together and caring together.”

Page 15: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15

Page 16: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16

Page 17: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17

Page 18: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18

Page 19: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19

Page 20: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20

Page 21: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21

Page 22: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22

Page 23: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23

Page 24: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24

Page 25: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25

Page 26: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26

Page 27: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27

Page 28: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28

Page 29: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29

Page 30: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30

Page 31: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31

Page 32: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32

패널 소개

마티아스 주 주한스웨덴대사관 참사관

Mattias Chu, Political Counsellor,

Embassy of Sweden, South Korea

주요 학력

1999 - 2000 법학사, 캐임브릿지 대학교

1994 - 2000 법학사, 스톡홀름 대학교

주요 경력

2014 - 주한 스웨덴 대사관 참사관

2010 - 2014 스웨덴 외교부 아시아 태평양 부서 중국 외교 담당과 부과장

수상 경력

2001 스톡홀름 법학대학교 최고 법학사 논문 Cassel 상 수상

언어 스웨덴어, 영어, 불어, 중국어, 스페인어

Education

1999 - 2000 Master of Law, LL.M., University of Cambridge

1994 - 2000 Jur.kand, LL.M., University of Stockholm

Professional Experience

2014 - Political Counsellor, Embassy of Sweden, South Korea

2010 - 2014 Deputy Director for China Political Affairs Desk, Department for Asia

and the Pacific, Ministry for Foreign Affairs

Other

2001 Stockholm Faculty of Law Cassel-award for best LL.M. thesis

Languages Swedish (mother tongue), English, French, Mandarin and some Spanish

Page 33: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33

대 김 주한미국대사관 이등서기관

Dae G. Kim, Vice Consul, U.S. Embasy Seoul

대 김 씨는 현재 주한미국대사관 이민비자과에서 근무 중이고, 직위는 부영사/ 이등서

기관 이다. 아내 스베틀라나 니키티나 김씨와 자녀인 알렉스, 아나스타샤를 비롯, 고양이 두

마리와 함께 서울에서 살고 있다.

이 전에는 엘살바도르에서 근무하였다. 2011년 국무부 외교관이 되기 전에는, 5년 동

안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재무관리사인 블랙록에서 법률 고문 및 부사장을 지냈다. 또한

증권, 합병, 인수 관련 변호사로서 샌프란시스코와 뉴욕에서 활동하였고 모건스탠리 은행과

브로드 뷰 인터내셔널에서 연구원과 금융 분석가로 활동하였다.

스탠포드대학교에서 역사학을 전공으로 1999년에 졸업하였고,시카고 법학대학원에서

J.D.로 2004년에 졸업하였다. 2살 때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이민을 간 한국계 미국 외교관

이다.

Dae Kim is a Vice Consul at the U.S. Embassy in Seoul currently working in the Immi-

grant Visa Unit. He currently resides in Seoul with his wife, Svetlana Nikitina-Kim, his chil-

dren, Alex and Anastasia, and 2 cats.

He previously served in El Salvador. Prior to joining the U.S. Foreign Service in 2011,

he worked for 5 years as a Vice President and in-house legal counsel for BlackRock, the

world’s largest financial manager. He has also worked as a securities and mergers and acqui-

sitions lawyer in San Francisco and New York, and as an equity research associate and finan-

cial analyst for J.P. Morgan Chase and Broadview International.

He graduated from Stanford University in 1999 with a B.A. in History and from the Uni-

versity of Chicago Law School in 2004 with a J.D. He immigrated to the United States with

his family when he was two years old.

Page 34: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34

● 자녀 수: 2명 (만 2세, 만 6개월)

● 어떤 일을 하는지: 회사원

● 육아 휴직을 해 본 경험이 있나요?

아내가 둘째를 임신한 상황에서 아내의 직장이 지방으로 이전하면서 아내의 일·가정

양립을 돕기 위해 육아휴직을 결심함

● 육아와 가사에 얼마나 참여하나요?

퇴근 후 아기 목욕과 기저귀 교환 등 가능하면 아빠인 내가 하려고 노력 중

● 육아하면서 가장 힘든 점과 좋은 점을 꼽는다면?

가장 힘든 점은 집에서 가까운 공공 어린이 집을 이용할 수 없어(맞벌이지만 대기자가

많아 입소 대기순번을 받으려면 2년을 기다려야 한다고 함) 차량을 이용해야 할 정도로

멀리 떨어져 있는 사설 어린이 집을 이용해야 하는 점

내가 매일 운전을 해서 첫째 아이를 어린이 집에 데려다 주고 또 데려 와야 하는데 집과

어린이 집을 왕복하는 동안 6개월이 안 된 둘째 아기를 잠깐 돌봐 줄 사람이 없어 두 아이

를 한꺼번에 차에 태우고 데리고 다녀야 하는 점

정부나 공공분야의 육아지원 프로그램의 경우 특정계층에만 한정돼 있다 보니 중산층이

필요 시 잠깐 아기를 믿고 맡길 수 있는 프로그램은 사실상 전무한 실정임. 좋은 점은 아

이와 함께 추억을 만들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삶의 활력이 된다는 점

● 추가로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면?

육아와 출산을 장려하기 위해 정부에서 유연근무제나 육아휴직을 장려하고 있으나 이는

개인이 회사에 양해를 구해 이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이용하기 쉽지 않아 보다 구조적인

차원의 정책 도입이 필요하다고 봄.

결혼과 출산, 육아, 고용을 장려하기 위해 현행 9 to 6 근로시간제를 9 to 5로 한 시간 줄

이기 위한 정책적, 사회적인 합의가 도출되어야 할 때라고 생각함.

김용범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담당관

Yongbeom Kim, UNESCO Korea

Page 35: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35

● 자녀 수: 2명 (아들: 18세, 딸 16세)

● 어떤 일을 하는지: 한국마이크로소프트에서 삼성그룹 총괄영업을 담당합니다.

● 육아 휴직을 해 본 경험이 있나요?

첫아이를 98년 마이크로소프트로 이직하던 해 낳았고, 당시에는 육아휴직이 생소했을

뿐더러 새로운 직장에서 열심히 일하는 것이 가족을 위한 최선의 길이라고 생각하여 다

른 아빠들처럼 육아에 신경을 쓰지 않다가 둘째 아이가 글을 읽기 시작했을 때 어떤 특

별한(?)계기로 육아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그때부터는 육아휴직은 하지 않았어

도 휴가와 주말을 충분히 활용하여 아내와 역할과 책임을 나누어 육아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 주요 육아지원 내용

스토리가 있는 여행, 매 주말 다른 가족과의 만남

첫아이가 중3 시작하던 해 매주 했던 멘토링 (친구들 3명과 동생이 함께 했는데 제

육아에 기본 뼈대이고 아이들이 항상 마음에 담고 있는 것입니다.)

각종 학교행사참여 (일일교사, 직업탐방, Research & Education등)

최근 시작한 “가족의 시간” - 1주일에 한번 토요일 또는 일요일 저녁 모여 서로에 대

하여 알아가는 시간입니다.

스펙쌓기 – 제가 가장 하기 싫어하지만 요즘 수시입학이나 대학진학에 많이 요구되는

것들이 있어 어쩔 수 없이 해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이 부분을 대부분 돈으로 사게 되

는 것을 보고 안되겠다 싶어 시작하게 되었는데, 의외로 아빠들이 할 수 있는 것이 상당

히 많습니다.

아이들과 친한 친구들의 학부모모임(상담?)

유재구 한국 마이크로소프트 이사

Jaegu Yoo, Global Business Manager, Samsung at Microsoft

Page 36: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36

● 육아하면서 가장 힘든 점과 좋은 점을 꼽는다면?

육아를 하면서 힘든 점은 없습니다. 저도 즐기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 육아를 즐기

지 못하면 고통스럽고 하기 싫어지겠지요. 가장 좋은 점은 아이들과 소통하고 공감

을 많이 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추억이 많이 쌓이지요.

특히 대략 6학년부터 고3까지 7년은 아이들과 가장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육아에서 가장 중요한 시간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아이들에게는 가장 중요한 순간

들이 지나가지요. 신체적 성장, 사춘기, 이성에 눈을 뜰 수도 있고, 친구가 중요한 때

이고 이 친구들이 평생을 가게 되죠. 부모를 통해 결혼관이 자연스레 생길 수 도 있

습니다.

대학에서 공부할 전공을 고민할 수 있는 나이이고, 나중에 어떤 직업을 선택해야 하

는지를 궁금해 하는 나이이죠. 부모와 함께 한 추억으로 나중에 아이를 키울 때 벤치

마킹이 될 것이고 부모와도 어떻게 지낼지를 배우게 되지요. 올바른 자아가 생기는

아주 중요한 시기를 함께 해줄 수 있다는 것이 좋은 점입니다.

● 추가로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면?

육아에 대한 잘못된 이해를 하는 주변사람들을 많이 봅니다. 예를 들어 첫째, 육아하면

떠 올리는 것은 아이를 낳고 산모가 힘들 때 육아휴직을 2-3개월 같이 하거나 아이가 취

학 전 힘들 때 휴직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시간을 낼 수 있는 사람도 많지 않고, 이

런 일시적인 것보다 육아는 마라톤 같은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렸을 때 뿐 아니라 부모

품을 떠날 때까지 해야 하는 것이 육아라고 생각합니다.

간혹 육아휴직을 한 남자직원들은 이때 너무 질려서 “난 할 만큼 했다, 이제 당신이 해’

하며 아내에게 떠미는 사람도 많이 봤습니다. 둘째 육아에는 시간이 많이 든다? 시간보

다는 관심이 많이 필요한것이고 시간은 실제 많이 들지 않습니다.

셋째 남자는 육아를 못한다? 저도 시작 전에는 몰랐다가 지금은 아빠들이 육아에 더 재능

과 할 일이 많이 있음을 느낍니다. 넷째 아빠가 아이들 교육에 신경을 쓰면 안된다. (농

담으로 아빠의 무관심, 할아버지의 재력이 성공 비결이다는 말도 들었습니다만…) 준비

없이 잔소리를 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고민하는 아빠는 원하는 대로 아이들을 가르치고

인도하기 쉽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Page 37: 워킹대디 자료집 최종

37

● 자녀 수?

2명 (4세 딸, 3세 아들)

● 어떤 일을 하는지?

정신과의사

● 육아 휴직을 해 본 경험이 있나요?

전문직이어서 휴직은 아니지만 일을 쉬며 전업 아빠 9개월 정도 했어요.

● 육아와 가사에 얼마나 참여하나요?

보통 집의 엄마 역할을 아빠인 제가 하고 있어요.

● 육아하면서 가장 힘든 점과 좋은 점을 꼽는다면?

아이가 어릴 때에는 체력적 한계, 아이가 커가면서 감정적 한계가 힘들어요.

아이들과의 긴밀한 유대감을 경험하는 기쁨

● 추가로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면?

아빠 육아의 최대 수혜자는 아이도 엄마도 아닌 아빠 자신입니다.

정우열 생각과 느낌 원장 (정신건강의학 전문의)

Dr. Wooyeol Jung, Psychiatrist, Clinic SE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