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 1 - 자아강도, 실패내성 수행불안이 학령기 아동의 학교수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김세영 주제어: 자아강도, 실패내성, 수행불안, 학교수업적응 실패 내성 수행 불안 학교 수업적용 자아 강도 그림 1 가설적 연구모형. 표 1 성별에 따른 자아강도, 실패내성, 수행불안 학교수업적응 차이 M (SD) t 변수 남학생 여학생 자아강도 3.72 (.55) 3.61 (.65) 2.21* 실패내성 3.11 (.82) 2.86 (.83) 3.58*** 수행불안 2.22 (.87) 2.53 (.97) -3.80*** 학교수업적응 3.44 (.74) 3.40 (.84) 0.47 * p < .05. *** p < .001.

학교수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 childstudies.orgchildstudies.org/upload/media/kjcs-37-2-13-korean-summary.pdf · 요인 분석 연구. 교육연구논총, 35(1), 79-101

  • Upload
    others

  • View
    1

  • Download
    0

Embed Size (px)

Citation preview

Page 1: 학교수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 childstudies.orgchildstudies.org/upload/media/kjcs-37-2-13-korean-summary.pdf · 요인 분석 연구. 교육연구논총, 35(1), 79-10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 - 1 -

○○

○○

자아강도, 실패내성 및 수행불안이 학령기 아동의 학교수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김세영

주제어: 자아강도, 실패내성, 수행불안, 학교수업적응

실패내성

수행불안

학교수업적용

자아강도

그림 1 가설적 연구모형.

표 1

성별에 따른 자아강도, 실패내성, 수행불안 및 학교수업적응 차이

M (SD)t변수 남학생 여학생

자아강도 3.72 (.55) 3.61 (.65) 2.21*실패내성 3.11 (.82) 2.86 (.83) 3.58***수행불안 2.22 (.87) 2.53 (.97) -3.80***학교수업적응 3.44 (.74) 3.40 (.84) 0.47

*p < .05. ***p < .001.

Page 2: 학교수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 childstudies.orgchildstudies.org/upload/media/kjcs-37-2-13-korean-summary.pdf · 요인 분석 연구. 교육연구논총, 35(1), 79-10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3 -

표 2

성별에 따른 자아강도, 실패내성, 수행불안 및 학교수업적응 간 상관관계 변수 성별 자아강도 실패내성 수행불안

실패내성 남학생 .48***여학생 .62***

수행불안 남학생 -.32*** -.33***여학생 -.39*** -.30***

학교수업적응 남학생 .55*** .67*** -.23***여학생 .70*** .73*** -.32***

***p < .001.

표 3

성별에 따른 측정모형의 표준화된 요인부하량

변수 매개변수

표준화된 요인부하량남학생 여학생

자아강도 → 유능성 .70*** .70***주도성 .67*** .70***탄력성 .67*** .61***사회성 .82*** .78***

실패내성 → ft1 .87*** .88***ft2 .85*** .88***ft3 .88*** .93***

수행불안 → pa1 .83*** .83***pa2 .84*** .89***pa3 .84*** .90***

학교수업적응 → sca1 .72*** .62***sca2 .72*** .81***sca3 .63*** .75***

Note. ft = 실패내성; pa = 수행불안; sca = 학교수업적응.***p < .001.

Page 3: 학교수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 childstudies.orgchildstudies.org/upload/media/kjcs-37-2-13-korean-summary.pdf · 요인 분석 연구. 교육연구논총, 35(1), 79-10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3 -

그림 2 남학생 집단의 결과모형 및 표준화된 추정치. ft = 실패내성; pa = 수행불안; sca = 학교수업적응.

그림 3 여학생 집단의 결과모형 및 표준화된 추정치. ft = 실패내성; pa = 수행불안; sca = 학교수업적응.

실패내성

자아강도

수행불안

유능성

주도성

탄력성

사회성

e101

1

11

1

1.70

.67

.67

.55***

-.54***-.27**

.22**

.70***

-.18**

.82

1

1

1

e6

e5

e4

d2 d3

.83 .84 .84

.63 sca1 e11

e12

e13

sca2

sca3

.72

.72학교수업적응

1

e9

pa1 pa2 pa3

e8 e7

1 1

1

1 1 1

d1

.87 .85 .88

e1

ft1 ft2 ft3

e2 e3

실패내성

자아강도

수행불안

유능성

주도성

탄력성

사회성

e101

1

11

1

1.70

.70

.61

.69***

-.46***-.00

.47***

.56***

-.01

.78

1

1

1

e6

e5

e4

d2 d3

.83 .89 .90

.62 sca1 e11

e12

e13

sca2

sca3

.81

.75학교수업적응

1

e9

pa1 pa2 pa3

e8 e7

1 1

1

1 1 1

d1

.88 .88 .93

e1

ft1 ft2 ft3

e2 e3

Page 4: 학교수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 childstudies.orgchildstudies.org/upload/media/kjcs-37-2-13-korean-summary.pdf · 요인 분석 연구. 교육연구논총, 35(1), 79-10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 - 5 -

표 5

성별에 따른 경로계수의 차이 변수 매개변수 남학생 여학생 C.R.

자아강도 → 실패내성 .55*** .69*** 1.12수행불안 -.53*** -.39*** 0.67학교수업적응 .24** .49*** 2.97*

실패내성 → 학교수업적응 .73*** .51*** -0.08

*p < .05. **p < .01. ***p < .001.

표 4

성별에 따른 구조회귀모형의 효과분해 변수 성별 총 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

자아강도 → 실패내성 Boy .55* .55*** -Girl .69* .69*** -

수행불안 Boy -.39* -.54*** .15*Girl -.46* -.46*** .00

학교수업적응 Boy .67* .22** .45*Girl .85* .47*** .38*

실패내성 → 수행불안 Boy -.27* -.27** -Girl -.00 -.00 -

학교수업적응 Boy .65* .70*** -.05*Girl .56* .56*** .00

수행불안 → 학교수업적응 Boy -.18* -.18** -Girl -.01 -.01 -

*p < .05. **p < .01. ***p < .001.

Page 5: 학교수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 childstudies.orgchildstudies.org/upload/media/kjcs-37-2-13-korean-summary.pdf · 요인 분석 연구. 교육연구논총, 35(1), 79-10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 - 5 -

자아강도, 실패내성 및 수행불안이 학령기 아동의 학교수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김세영

주제어: 자아강도, 실패내성, 수행불안, 학교수업적응

강유경, 한유경 (2015). 초등학생의 학업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연구. 교육학연구, 53(3), 61-88.

고홍월 (2012). 대학생 학습동기 유형에 따른 학업소진과 학업적 실패내성의 차이. 아시아교육연구, 13(1), 125-147.

공인숙, 민하영 (2011). 중학교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간 갈등과 특질불안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6(1), 1-13.

구경호, 김석우 (2014).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학업탄력성과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8), 69-89.

권용준, 김영희 (2011). 가족기능과 청소년의 자아조절이 게임 과몰입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8(6), 99-121.

권혜경, 이희경 (2004). 낙관성이 진로태도성숙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4), 723-741.

김미숙 (2001). 초등학생의 발표불안과 자기 효능감 및 학교생활 적응도(미출판 석사학위 논문). 서강대학교, 서울, 한국.

김미숙 (2015). 한국아동의 주관적 웰빙수준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20, 14-26.

김세영 (2015). 자아강도와 학교 적응이 학령기 아동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6(4), 111-127.

김세영, 박부진 (2013). 아동 자아강도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1(5), 537-549.

김세영, 최나야 (2013a). 아동 자아강도 척도의 타당화 및 규준 연구. 아동과 권리, 17(1), 1-27.

김세영, 최나야 (2013b). 자아강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아동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4(4), 37-52.

김소라, 홍상황 (2011). 인지행동적 학업스트레스 대처훈련이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효과. 초등상담연구, 10(1), 19-38.

김수정, 곽금주 (2011). 초기 학교적응과 어머니 양육 간 관계에 대한 아동 기질의 조절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4(2), 155-171.

김수진, 김순혜 (2015). 아동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22(2), 49-70.

김아영 (2002). 학업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 교육평가연구, 15(1), 157-184.

김영희, 강혜원 (2008). 학습된 무기력, 실패내성, 학교학습동기와 학교적응 및 성적의 관계. 소년보호연구, 10, 187-216.

김유진, 김종운 (2013). 중학생의 비합리적 신념 및 지각된 부모의 성취압력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학업실패내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연구, 24(2), 119-148.

김일태, 허남진 (2004). 비학업자아개념과 학습동기 및 학교적응간의 관계 분석. 열린교육연구, 12(1), 75-96.

김지혜 (2006). 초등학교 고학년의 성격유형에 따른 자기조절학습, 학업적 실패내성 및 학교적응의 차이(미출판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한국.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문영주, 좌현숙 (2008).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있어 정서적 조절 능력의 조절효과. 사회복지연구, 38, 353-379.

문혜신, 오경자 (2002). 한국판 아동ㆍ청소년용 사회 불안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2), 429-443.

박분희, 육진경, 김누리 (2013). 영재아의 학업적 실패내성과 자기결정성에 따른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성취도의 차이. 영재와 영재교육, 12(2), 49-67.

박상희 (2009).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실패내성, 학교적응 관계 연구. 초등교육학연구, 16(2), 59-81.

박소현 (2013). 모래상자치료가 시설아동의 자아강도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미출판 석사학위 논문). 목포대학교, 전남, 한국.

박영희 (2005). 아동의 사회불안 및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미출판 석사학위 논문). 경북대학교, 대구, 한국.

박지영 (2011). 집단모래놀이치료가 아동의 사회불안과 자아강도에 미치는 효과(미출판 석사학위 논문). 명지대학교, 서울, 한국.

박현석 (2014).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학업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미출판 석사학위 논문). 국민대학교, 서울, 한국.

성애리 (2012). 심리서비스로서 학교미술치료가 정서불안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 불안, 우울, 자기효능감, 자아강도를 중심으로(미출판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서울, 한국.

유지혜, 이한샘 (2014). 우리나라 중학생의 학교수업적응 영향요인 분석 연구. 교육연구논총, 35(1), 79-101.

유혜승, 신명희 (2013). 대학생의 자의식과 성취동기가 발표불안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교육연구, 14(3), 155-182.

이경님 (2008). 아동의 개인 및 가족 변인과 교실의 심리사회적 환경이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7(2), 207-221.

이봉주, 손선옥, 김윤지 (2015). 아동청소년 학교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학교사회복지, 31, 37-58.

Page 6: 학교수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 childstudies.orgchildstudies.org/upload/media/kjcs-37-2-13-korean-summary.pdf · 요인 분석 연구. 교육연구논총, 35(1), 79-10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 - 6 -

이선희, 하은혜 (2009).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2(3), 83-96.

이소래 (2001). 학교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연구. 학교사회복지, 4, 111-142.

이연실 (2004).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미출판 석사학위 논문). 충남대학교, 대전, 한국.

이효선, 방명애 (2012). 자아존중감 집단중재 프로그램이 품행장애 위험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ㆍ행동장애연구, 28(2), 171-194.

임기창 (2015, 5, 18). ‘한국 어린이들 행복하지 않다’. 행복 체감도 최하위. 연합뉴스. http://www.yonhapnews.co.kr에서 인출.

장혜진, 김은설, 송신영 (2014). 아동 개인 및 가정환경에 따른 초등학교 1학년 학기 초 학교적응 차이 연구. 초등교육연구, 27(2), 95-122.

정소희 (2007). 부부갈등, 부모양육행동, 자아통제력이 청소년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분석: 비행친구와 학교부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9(1), 145-170.

정수경 (2010). 놀이중심의 자기표현훈련이 초등학교 저학년의 발표불안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효과. 초등교육학연구, 17(2), 155-176.

정택용 (2015).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및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또래애착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2(8), 253-279.

정혜민 (2010).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유치원 적응에 관한 연구(미출판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서울, 한국.

정혜연, 이정윤 (2009). 청소년의 낙관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0(4), 2367-2381.

정효선 (2014).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성취압력과 시험불안의 관계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의 조절효과(미출판 석사학위 논문). 홍익대학교, 서울, 한국.

조성경, 최연실 (2014). 남·녀 대학생의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의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2(1), 53-74.

주영주, 하영자 (2005). 직무몰입과 학습효과 예측변인으로서의 동기변인 규명. 교육과학연구, 36(2), 65-90.

차한솔, 김주일 (2015). 청소년 봉사활동만족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2(3), 177-204.

채선미, 이영순 (2011). 부모의 이혼을 경험한 청소년의 정서, 자아 강도 및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15(1), 1-16.

최경일 (2012). 청소년의 우울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에서 자기보호요인의 매개효과. GRI 연구논총, 14(3), 170-189.

최지원, 박영숙 (2011). 학교부적응청소년의 MMPI-A 특성 및 학교생활적응수준. 청소년학연구, 18(9), 265-284.

통계청 (2014). 2014년 사회조사 결과. 대전: 통계청.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2013 아동종합실태조사(정책보

고서 2013-92).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